KR102297806B1 -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 Google Patents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806B1
KR102297806B1 KR1020190143144A KR20190143144A KR102297806B1 KR 102297806 B1 KR102297806 B1 KR 102297806B1 KR 1020190143144 A KR1020190143144 A KR 1020190143144A KR 20190143144 A KR20190143144 A KR 20190143144A KR 102297806 B1 KR102297806 B1 KR 102297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talum
copper alloy
copper
oxid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548A (ko
Inventor
박경태
서석준
심재진
서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4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8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 C22C1/051Making hard metals based on borides, carbides, nitrides, oxides or silicides; Preparation of the powder mixture used as the starting material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5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 C22C1/058Mixtures of metal powder with non-metallic powder by reaction sintering (i.e. gasless reaction starting from a mixture of solid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7/00Alloys based on rhenium or a refractory metal not mentioned in groups C22C14/00 or C22C16/00
    • C22C27/02Alloys based on vanadium, niobium, or tantal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및 구리분말을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 볼밀하여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복합입자와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소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Manufacturing method of Ta-Cu alloy and Ta-Cu allo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접점 부재는, 회로의 개폐 또는 접촉을 위한 소재 및 가공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배선용 차단기, 개폐기, 스위치 등의 전기기구나 전기설비 등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전기 접점 부재는 재료의 종류 및 합량에 따라 응용 분야가 상이하며, 가정용 개폐기S/W, 가정용 전기기기 S/W, 약전류/경부하용 스냅액션 S/W, 중대전류용 접촉기, 중부하 개폐기 등으로 응용 가능하다.
현재 전기 접점 부재로 사용되는 주 물질인 Ag으로 인하여 높은 비용이 발생하며, 기존 접점 재료는 중고전압 하에서 여러 번 작동 시 쇼트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안인 Ag-CdO의 경우 기기 작동시 발생하는 아크열로 인하여 Cd가 증기상태로 비산하여 인체에 흡착되고, 폐기처리 시 1g 당 16만 ppm의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가격이 비싼 Ag나 환경오염 및 인체에 위해를 가하는 Cd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나아가 경도 등과 같이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접점 부재용 합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032036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10104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부재에 적용 가능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접점 부재에 적용하여, 기존 전기 접점부재의 물성 개선이 가능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높은열전도도, 내열성 및 우수한 경도를 갖는 탄탈륨-구리 합금을 제조할 수 있는 탄타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및 구리분말을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볼밀하여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복합입자와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소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4단계는 액상 소결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4단계의 소결로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금속과 탄탈륨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2단계를 거친 후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입자의 평균입경이 0.8 내지 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은 세륨, 텅스텐 및 루테늄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CeO2 또는 W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볼밀은 100 내지 300 rpm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구리분말 및 탄탈륨 분말의 총합 대비 0.5 내지 3 중량%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탄탈륨 분말 : 구리 분말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4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액상 소결은 1100 내지 1400 ℃에서 1 내지 5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전기전도도가 5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경도가 162 H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열전도도가 177 W/mK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탄탈륨-구리 합금을 제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내에 구리분말을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고, 탄탈륨 분말과 혼합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소결함으로써, 전기 접점 부재에 적용하여,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열전도도 및 높은 경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복합입자를 SEM 및 EDS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볼밀 시간 및 조건에 따른 CeO2의 평균입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은 볼밀 속도에 따른 CeO2의 입경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복합입자와 탄탈륨을 혼합 후 SEM 및 EDS로 관찰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탄탈륨 혼합 후 액상소결을 수행하고 ESBD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탄탈륨 혼합 후 고상소결을 수행하고 ESBD 분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을 XRD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구리가 과량 첨가된 경우 소결체에서 구리가 용출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및 구리분말을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볼밀하여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복합입자와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소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탄탈륨-구리 합금 대비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경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합금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통하여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을 향상된 물성을 요구하는 전기접점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볼밀을 통해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킨 후, 탄탈륨 분말과 혼합함으로써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예방하고 높은 경도를 갖는 합금의 제조가 가능하다. 반면, 본 발명과 달리 구리분말 내에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키지 않고 단순 혼합말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와 상기 탄탈륨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산화물 또는 탄화물 첨가에 의한 경도 등의 물성 향상 효과를 도모하면서도,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구리 내에 위치시켜 상기 제 4단계의 소결을 수행하더라도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금속과 탄탈륨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전기전도도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경도가 높은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및 구리 분말을 혼합하는 제 1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구리 분말의 평균 입경은 15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구리 분말의 평균 입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의 분포가 어려우며, 구리 분말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소결체의 소결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은 좋게는 세륨, 텅스텐 및 루테늄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다만 루테늄의 경우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내마모성을 가지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고 생산단가가 높은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은 세륨 또는 텅스텐일 수 있으며,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은 좋게는 산화세륨 또는 탄화텅스텐, 더욱 좋게는 산화세륨일 수 있다. 산화 세륨을 이용하는 경우 제조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전기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경도를 향상시키고, 열전도도 또한 종래 탄탈륨-구리 합금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이금속 및 희토류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상기 제 2단계의 볼밀을 거쳐 작은 입자로 일부 분쇄되므로 평균입경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나, 좋게는 평균입경이 5 내지 20 ㎛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과도한 볼밀 없이도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구리 분말 내에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 혼합되는 산화물 또는 탄화물은 구리 분말 및 탄탈륨 분말의 총 합을 기준으로 하며, 구리 분말 및 탄탈륨 분말의 총 합 대비 산화물 또는 탄화물은 0.5 내지 3 중량%, 좋게는 0.5 내지 1.5 중량%, 더욱 좋게는 0.5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산화물 또는 탄화물이 지나치게 많이 첨가되는 경우 전기전도도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산화물 또는 탄화물이 구리분말 내가 아닌 구리 분말의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소결 시 탄탈륨과의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볼밀하여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볼밀을 통해 물리적 충격을 가해 줌으로써, 금속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가 구리 분말 내부에 분포하여 상술한 경도 향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볼밀은 100 내지 300 rpm의 속도로 1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볼밀 속도가 느리거나 볼밀을 단시간 동안 진행하는 경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구리분말 내부에 분산시키기 어려우며, 볼밀 속도가 빠르거나 볼밀이 지나치게 장시간 진행되는 경우, 구리 분말의 편상화가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단계에서 볼밀의 수행 조건을 조절하여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구리분말 내부에 분산시키고, 구리 분말의 편상화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에서 제조되는 복합입자에 포함된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평균입경이 0.8 내지 2 ㎛, 구체적으로는 0.9 내지 1.5 ㎛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볼밀의 조건을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입경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입경은 볼밀 시간 및 속도를 높이더라도 입경이 더 이상 작아지지 않고 수렴하게 되며, 가혹한 조건으로 볼밀을 수행하는 경우 구리의 편상화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탄화물 또는 산화물의 평균입경이 2 ㎛보다 큰 경우, 구리 내부에 산화물 또는 탄화물이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구리 외부에 위치하며, 탄탈륨과 접촉하기 쉬운 상태가되어, 결과적으로 소결시 탄탈륨과의 화학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단계 후 상기 복합입자와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혼합은 통상의 혼합장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제 3단계의 혼합은 구리입자의 변형 또는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의 탈리를 예방할 수 있는 범위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혼합은 볼밀을 이용하여 100 내지 180 rpm 속도로 30 내지 180분간 수행될 수 있으며, 볼밀 속도가 높거나 혼합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상술한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의 탈리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 3단계에서 혼합되는 탄탈륨 분말 : 구리 분말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40 : 60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탈륨 분말 : 구리 분말의 중량비가 70 : 30 내지 40 : 60일 수 있다. 구리 분말이 지나치게 다량 첨가되는 경우 소결과정에서 소결체의 형상이 변화하며, 순수한 구리만이 용출되어 전기 접점소재의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탄탈륨 분말이 지나치게 다량 첨가되는 경우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탄탈륨 분말은 평균입경이 15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상기의 범위에서 구리 분말과 단순 혼합을 수행하여도 고른 분산을 나타내어 균일한 물성의 소결체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은 상기 성형체를 소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결을 거쳐 최종적으로 탄탈륨-구리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결은 액상 소결로 진행될 수 있다. 액상 소결을 수행함으로써, 크기가 큰 결정립을 제조할 수 있으며 큰 결정립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우수하고 취성파괴를 예방할 수 있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제 4단계에서 고상소결을 수행하는 경우, 작은 결정립들이 다수 생성되며, 이로 인한 취성파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소결은 1100 내지 1400 ℃에서 1 내지 5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소결 중 구리가 분리되는 문제를 예방하고 경도 등이 우수한 탄탈륨-구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50% IACS 이상, 구체적으로는 52% IACS 이상일 수 있으며, 기존 Ta-Cu 합금 대비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첨가에도 전기전도도의 저하가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이는 전기접점소재로 상용화 하기 위한 전기전도도 값인 50% IACS를 넘어는 것으로, 전기 접점 소재로 곧바로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비커스 경도계를 통하여 측정된 경도가 162 Hv이상일 수 있다. 이는 전기 접점 소재에서 요구하는 경도값인 110 Hv를 훨씬 상회하는 경도에 해당하며, 이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우수한 경도를 요구하는 전기 접점 소재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열전도도가 177 W/mK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접점 소재는 산화물 또는 탄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Ta-Cu 합금과 대비하여 열전도도에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전기 접점 소재에서 요구하는 열전도도 값인 150 W/mK를 상회하여, 전기 접점 소재로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탄탈륨-구리 합금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탄탈륨-구리 합금은 우수한 전기전도도와 함께 향상된 경도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볼밀 조건에 따른 복합입자 생성 확인-CeO2
Mean size 19.74 ㎛를 지닌 Cu분말과 CeO2 분말을 혼합하였으며, 이때 CeO2의 첨가량은 Cu 및 Ta 분말의 총합 대비 0.5 wt% 중량 비율이 되도록 각 분말을 혼합하고 볼밀을 수행하고 복합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Ta의 Mean size는 7.023 ㎛이다.
볼밀은 에탄올 첨가액을 첨가하고, WC재질의 볼을 이용하였으며, 볼 : 분말의 비율이 부피 기준으로 10:1이 되게 하였으며, 5㎜ 볼과 10 ㎜볼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때 볼밀은 100 내지 300 rpm으로 진행되었으며, 볼밀을 1 내지 8시간 수행하였고, 각 볼밀 조건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EDS, SEM 분석
제조된 복합입자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ry),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통해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로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 조건에서 볼밀을 8시간 동안 수행한 후, EDS, SEM을 통해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로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관찰하면, 볼밀에 의하여 CeO2 입자가 CuO 입자 사이에 고르게 분포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볼밀을 1시간 수행한 도 1의 경우 CeO2의 최대 크기가 10.1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볼밀을 8시간 수행한 도 2의 경우 최대 입자 크기가 1.47 ㎛로 볼밀 수행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CeO2 입자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u 입자의 형상은 볼밀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일부 평상화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볼밀 조건에 따른 입자 크기 변화
상기 복합입자에서, 볼밀 컨디션에 따른 평균 입자 크기를 관찰하고 도 3 및 표 1로 나타내었다. 또한, 볼밀 속도 및 시간에 따른 입자 분포를 각각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 내지 6으로 나타내었다.
시간 혼합 속도(RPM) CeO2Size
(hr) (㎛)
1 100 12.3
2 100 6.24
4 100 4.25
8 100 1.97
1 200 9.59
2 200 5.13
4 200 2.84
8 200 1.94
1 300 3.34
2 300 2.955
4 300 2.71
8 300 1.905
도 3 및 표 1을 참고하면, 혼합시간 및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리 입자 내부에 CeO2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전체적인 입도 분포는 입경이 균일한 uni-modal 형태를 지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크기의 변화량이 적은 것을 통해 볼밀에 따른 Cu의 파쇄 및 냉간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탄탈륨과 혼합
상기 1에서 제조된 복합입자와 탄탈륨을 혼합하였다. 이때 구리 입자 : 탄탈륨입자의 중량비는 동일하며 각각 49.75 wt%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은 복합입자에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150 rpm으로 2시간 동안 볼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제조된 혼합물을 SEM 및 DES 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7로 나타내었다.
도 7을 참고하면, 탄탈륨을 혼합하는 볼밀을 수행한 경우에도 CeO2 입자가 구리 내에서 탈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성형 및 소결
2에서 제조된 혼합분말로 두께 1㎝, 지름 5㎝, 상대밀도 88%의 성형체를 제작하고, 액상 소결을 수행하였다.
이때 액상 소결의 승온 속도는 10 ℃/min 이며, 1300 ℃에서의 소결온도에서 3시간 동안 아르곤 분위기에서 수행되었다. 소결 후 소결체의 ESBD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8로 나타내었다. 이와 별개로, 동일한 성형체를 30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900℃ 온도로 15분 동안 진공분위기에서 고상 소결하였으며, 소결 후 소결체를 ESBD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9로 나타내었다.
도 8 및 도 9를 비교하면, 액상 소결을 한 경우 큰 결정립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고상소결한 도 9의 경우, 작은 결정립들이 다수 존재하며, 결정립의 방향이 각기 다른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취성파괴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공에 부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액상소결을 통해 소결된 소결체를 XRD를 통해 분석하고 도 10으로 나타내었다.
도 10을 참고하면, CeO2가 탄탈륨과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물성 측정
100 rpm으로 8 시간 동안 볼밀하여 제조된 상기 복합입자를 이용하였으며, Cu : Ta의 중량비는 동일하게 각각 50, 49.75, 49.6, 49.5, 49.25, 49, 48.5 wt% 첨가하여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에 대하여 아래의 각 물성을 측정하였다.
전기 전도도의 측정
CeO2의 첨가량에 따른 탄탈륨-구리 합금의 전기 전도도, 경도 및 열전도도를 각각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Ta 및 Cu
첨가량(wt%) 
CeO2
첨가량(wt%) 
전기전도도(%IACS) 경도(Hv) 열전도도(W/mk)
50 0 52.6 161.24 178.60
49.75 0.5 52.8 163.45 188.32
49.6 0.8 52.6 168.01 177.95
49.5 1 52.4 169.19 193.96
49.25 1.5 47.2 172.52 186.93
49 2 43.6 177.79 192.79
48.5 3 41 183.4 195.64
표 2를 참고하면, CeO2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나, 0.5 내지 1 중량% 범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CeO2의 첨가로 전기전도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도의 경우 CeO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대비 모두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CeO2의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열전도도 또한 CeO2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대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5. 단순 혼합한 경우의 물성 변화
Ta 및 Cu를 각각 48.5 중량%씩 동량 혼합하여 탄탈륨-구리 합금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구리와 WC를 볼밀하여 복합입자를 제조한 경우(볼밀혼합) 및 구리, WC, 탄탈륨을 한번에 혼합하여 합금을 제조한 경우의 전기전도도 차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다.
혼합방법 각각의 Ta 및 Cu
첨가량(wt%) 
WC 첨가량(wt%) 전기전도도
(%IACS)
단순 혼합 48.5 3 44.4
볼밀 혼합 48.5 3 45.2
표 3을 참고하면, 3wt%의 WC를 단순 혼합시 전기전도도는 44.4 (%IACS)를 나타내며 볼밀 혼합을 하였을 때 보다 0.8 (%IACS)가 낮은 걸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혼합시 Cu내 WC가 탈리되어 Ta과 WC가 다량의 화학반응을 일으킨 결과로 판단된다.
6. 구리 및 탄탈륨의 비율에 따른 소결체의 변화
CeO2를 각가 0.5 중량% 첨가하고, 구리와 탄탈륨의 비율을 달리하여 액상 소결을 통해 소결체를 제조 하고 그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으며, 탄탈륨:구리 중량 비가 30:70인 경우 구리가 용출되어 용출된 소결체를 도 12로 나타내었다.
45Ta-55Cu-0.5CeO2 40Ta-60Cu-0.5CeO2 35Ta-65Cu-0.5CeO2 30Ta-70Cu-0.5CeO2
전기전도도(%) 54.5 57 58.2 59.2
기공 유무 기공 관찰 되지 않음 기공 관찰됨
소결체 형상 소결체 형상 변화 X 소결체 형상 변화 O
표 4를 참고하면, 구리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전기 전도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나, 구리의 비율이 60 이상인 경우 소결체의 형상변화 및 기공이 관찰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세륨, 텅스텐 또는 루테늄의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 및 구리분말을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볼밀하여 상기 구리분말 내에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를 분산시켜 복합입자를 제조하는 제 2단계;
    상기 복합입자와 탄탈륨 분말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성형체를 소결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의 소결로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금속과 탄탈륨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액상 소결로 수행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를 거친 후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입자의 평균입경이 0.8 내지 2 ㎛인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CeO2 또는 W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밀은 100 내지 300 rpm에서 1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 또는 탄화물 입자는 구리분말 및 탄탈륨 분말의 총합 대비 0.5 내지 3 중량% 첨가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탈륨 분말 : 구리 분말의 중량비는 90 : 10 내지 4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소결은 1100 내지 1400 ℃에서 1 내지 5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전기전도도가 50 % IAC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경도가 162 H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은 열전도도가 177 W/mK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14.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6항 내지 제 1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KR1020190143144A 2019-11-11 2019-11-11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KR10229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44A KR102297806B1 (ko) 2019-11-11 2019-11-11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44A KR102297806B1 (ko) 2019-11-11 2019-11-11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48A KR20210056548A (ko) 2021-05-20
KR102297806B1 true KR102297806B1 (ko) 2021-09-03

Family

ID=7614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44A KR102297806B1 (ko) 2019-11-11 2019-11-11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8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04307B (zh) * 2024-01-24 2024-03-26 崇义章源钨业股份有限公司 一种稀土钨棒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806A (ja) 2004-03-29 2005-11-10 Nano Gijutsu Kenkyusho:Kk 高硬度で高導電性を有するナノ結晶銅金属及びナノ結晶銅合金の粉末、高硬度・高強度で高導電性を有する強靱なナノ結晶銅又は銅合金のバルク材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3433A (ja) * 1988-10-13 1990-08-24 Toshiba Corp 分散強化型銅合金及びその製造方法
DE4426245A1 (de) * 1994-07-23 1996-02-22 Gruenenthal Gmbh 1-Phenyl-3-dimethylamino-propanverbindungen mit pharmakologischer Wirkung
JPH0978156A (ja) * 1995-09-12 1997-03-25 Nippon Tungsten Co Ltd 高伝導性焼結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2006032036A (ja) 2004-07-14 2006-02-02 Toshiba Corp 真空バルブ用接点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806A (ja) 2004-03-29 2005-11-10 Nano Gijutsu Kenkyusho:Kk 高硬度で高導電性を有するナノ結晶銅金属及びナノ結晶銅合金の粉末、高硬度・高強度で高導電性を有する強靱なナノ結晶銅又は銅合金のバルク材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48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1374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microstructures of Cu-Cr-based contact materials for vacuum interrupters and contact materials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5420384A (en) Contact material for a vacuum interrupter
EP3109883B1 (en) Electrode material
Biyik Effect of cubic and hexagonal boron nitride additions on the synthesis of Ag–SnO2 electrical contact material
WO2015133264A1 (ja) 合金
JP6200669B2 (ja) 電気接点材料
WO2015133263A1 (ja) 電極材料の製造方法
WO2014136617A1 (ja) 電気接点材およびブレーカ
CN110225803B (zh) 用于制造电极材料的方法和电极材料
KR102297806B1 (ko) 탄탈륨-구리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탈륨-구리 합금
EP0929088B1 (en) Contact material
KR100446985B1 (ko) W-Cu복합 분말의 제조방법
JP6669327B1 (ja) 電気接点、電気接点を備えた真空バルブ
JP6398415B2 (ja) 電極材料の製造方法
EP318728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material and electrode material
CN102347158A (zh) 大功率硬质铜钨铁复合电触头加工工艺
JP2002294384A (ja) 電気接点材料
KR102319995B1 (ko) 전기접점소재 제조방법
JP6090388B2 (ja) 電極材料及び電極材料の製造方法
JP4619821B2 (ja) 接点材料および真空バルブ
KR102372776B1 (ko) Cu-Cr-Mo에 세라믹을 포함한 전기접점소재 제조방법
KR102311541B1 (ko) 은-카본 나노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은-카본 나노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 접점 재료
JPH08222061A (ja) 耐溶着性および耐消耗性のすぐれたAg−酸化ランタン系電気接点材料
KR101809844B1 (ko) 전기 접점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111371A (ja) 耐溶着性および耐消耗性のすぐれたAg−酸化錫−三酸化モリブデン系電気接点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