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772B1 -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772B1
KR102297772B1 KR1020210000935A KR20210000935A KR102297772B1 KR 102297772 B1 KR102297772 B1 KR 102297772B1 KR 1020210000935 A KR1020210000935 A KR 1020210000935A KR 20210000935 A KR20210000935 A KR 20210000935A KR 102297772 B1 KR102297772 B1 KR 102297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hape
personalized
wearer
strength enhan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긍록
권용찬
김세훈
Original Assignee
(주)예스바이오
권용찬
김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스바이오, 권용찬, 김세훈 filed Critical (주)예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0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7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that prevents the muscles of an airway area from being relaxed and sagging down during sleep, and enhances the strength of a tongue. The device includes: a body that is provided individually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jaws of a wearer; and a lift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body and secures a space for seat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of the tongue or the front portion of the tongue during sleep, so that the device can strengthen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by massaging and training the tongue.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 중 기도 부위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혀의 근력을 증강시키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for preventing muscles in an airway region from being relaxed and sagging down during sleep, and for enhancing tongue muscle strength.

일반적으로, 인체의 혀(Lingua)는 구강 바닥에서 입안으로 튀어나온 길쭉한 근육성 기관으로,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미각을 느끼고 음식물을 이동시키며 소리를 만드는 작용을 한다.In general, the human tongue (Lingua) is an elongated muscular organ protruding from the floor of the oral cavity into the mouth, and acts to sense taste through various movements, move food, and make sound.

이러한 혀는 구강의 바닥에서 입안으로 튀어나온 형태로, 10cm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혀는 크게 뿌리와 몸통, 끝 세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뿌리 부분은 움직임이 거의 없으며 주로 몸통 부분이 입 안에서 움직이는 부분으로 전체 혀의 2/3 정도가 여기에 해당되며, 혀뿌리에는 혹처럼 림프절이 모여 있으며 이를 혀편도라 한다.Such a tongue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oral cavity into the mouth, and has a length of about 10 cm. The tongue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root, the body, and the tip. The root part has little movement, and the body part mainly moves in the mouth, accounting for about 2/3 of the total tongue. And this is called the tongue tonsil.

근육성 조직인 혀와 주변 근육들로 인해 혀를 동그랗게 말거나 끝을 위로 올리는 등의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하고,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음식물을 골고루 섞고 목으로 삼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혀를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공기를 통과시켜 소리를 만드는 기능을 하며, 혀와 입술, 구강의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움직이면서 특정 발음과 소리를 낼 수 있다.Due to the muscular tissue of the tongue and surrounding muscles, various movements such as rolling the tongue or raising the tip are possible, and through these movements, food is evenly mixed and the throat is swallowed. In addition, it functions to make sound by passing air through the tongue while moving freely, and the tongue, lips, and the space of the oral cavity move organically to produce specific pronunciations and sounds.

한편, 코골이는 수면시에 근육들이 이완됨으로써 좁아진 구강 내로 공기가 통과할 때 연구개, 목젖 및 주위 점막 등을 진동시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 주변의 조직들이 늘어지고, 특히 혀가 처지면서 기도를 막음으로써 일시적으로 호흡이 중단되는 것을 말한다.On the other hand, snoring refers to the generation of sound by vibrating the soft palate, uvula, and surrounding mucous membranes when air passes into the narrowed oral cavity as the muscles relax during sleep. , a temporary cessation of breathing, especially when the tongue droops and blocks the airway.

근래에는 이러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수면 시 체내 산소의 부족 사태를 초래하고 깊은 숙면을 방해하고 잦은 수면 분절을 야기함으로써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중요한 유인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도 1의 (a)는 정상적인 수면 상태이고 (b)는 비정상 수면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의 (a)를 보면 수면 중 정상적인 기도가 확보된 모습을 나타내지만 (b)의 A를 보면 연구개(10)와 혀(20)의 비대증으로 인해 기도가 막혀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도 1의 (b)와 같이, 수면 중 기도 부위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아래로 쳐지면서 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코골이는 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며, 만성피로, 졸음, 기억력 감퇴 및 우울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수면무호흡증, 저산소증, 심폐혈관계 질환 및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빠르고 정확한 원인 규명 및 치료가 중요하다.Recently, as it has been found that snoring and sleep apnea cause a lack of oxygen in the body during sleep, interfere with deep sleep, and cause frequent sleep fragmentation, which is an important inducement that causes or worsens various diseases. Interest was heightened. Figure 1 (a) shows a normal sleep state and (b) shows an abnormal sleep state. Referring to (a) of FIG. 1, it shows a state in which a normal airway is secured during sleep, but looking at A of (b), the airway is blocked due to hypertrophy of the soft palate (10) and tongue (20). That is, as shown in Fig. 1 (b), snoring that occurs as the airway narrows as the muscles in the airway area relax and sag down during sleep interferes with normal sleep, and chronic fatigue, drowsiness, memory loss, depression, etc. It is important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cause and treat it because it can lead to sleep apnea, hypoxia, cardiopulmonary disease, and sudden death if it is accompanied by the symptoms of

이와 같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고, 그 방법들은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 치료, 지속적 양압공급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및 예방 방법 등으로 분류된다.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as a treatment for such snoring and sleep apnea, and the methods are largely medical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treatment using a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supply device, treatment and prevention method using an oral device, etc. classified as

상기 구강장치의 원리는 두 가지로 대별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하악(下顎)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개 및 목젖을 상측으로 압박함으로써 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The principle of the oral device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one of which is a method of moving the mandible forward to secure an airway to prevent snoring, and the other is a method of pressing the soft palate and uvula upwards. This is a way to secure the airway and prevent snoring.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Documents 1 to 3 and the lik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외 측면에는 가압부재가 부분 매립되는 한 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 및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이동부재(21)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하악 어금니몰딩(20)을 포함하고, 상기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한 쌍으로 분리 구성되며, 형상기억 와이어(30)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이탈방지를 위해 치아의 송곳니 외 측면에 밀착되는 고리 형태의 가압 와이어(50)가 마련된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as shown in FIG. 2 ,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space in which the tongue in the mouth is located and prevent airway obstruction, it is coupled to the entire molar except for the incisors and canines, and is a pressing member on the outer side. A pair of maxillary molar moldings 10 in which are partially embedded and a pair of mandibular molar moldings 20 integrally formed with a moving member 21 coupled to the entire molars except for incisors and canines and receiving force by the pressing member. ), wherein the maxillary molar molding 10 and the mandibular molar molding 20 are configured separately as a pair, and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shape memory wire 30, and the pair of maxillary molar moldings (10) And mandibular molar molding 20 is disclosed for an oral insertion type airway expansion maintenance device provided with a ring-shaped pressure wire 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canine teeth to prevent separation.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착용자의 입천장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착용자의 입천장에 착용되는 옴니백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옴니백시트에 상기 옴니백시트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혀를 누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옴니백시트의 후측에 상기 옴니백시트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착용자의 혀를 누름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옴니백시트에 공기소통구가 형성된 호흡개선용 보조기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below, it is formed of an omni-back sheet that is mold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wearer's mouth and worn on the roof of the wearer's mouth, and the omni-back sheet protrudes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mni-back sheet and presses the wearer's tongue A plurality of press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ressing par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mni-back sheet to protrud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omni-back sheet to press and press the wearer's tongue, and an air communication hole is provided in the omni-back sheet. Disclosed is an auxiliary device for improving breathing formed.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언어장애 대상자들이 사용하는 혀 운동 몸체 기구에서, 상기 몸체는 언어 및 청각 장애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물림 홈과 상기 몸체 내외 측으로는 대상자의 혀 부분이 마찰되면서 부딪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재 내지 걸림부재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몸체 내측 표면에 한 개 내지 다수 개로 형성된 돌기부재는 몸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혀 운동 촉진기구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3, in the tongue exercise body mechanism used by speech impaired subjects, the body is formed and fit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teeth of the speech and hearing impaired subject, and the tongue part of the subject inside and outside the body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rotrusion members or locking members that are formed to collide while rubbing, and one or more protrusion member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re disclosed for a tongue movement promoting mechanism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body. hav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01770호(2020.08.07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20-0001770 (published on August 7, 202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660호(2019.08.02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660 (registered on Aug. 2, 201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166호(2004.01.29 등록)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1166 (registration on January 29, 2004)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을 마련하였지만, 형상기억 와이어(30)와 고리 형태의 가압 와이어(50)에 의해 착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혀가 위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maxillary molar moldings 10 and mandibular molar moldings 20 are provided in order to secure the maximum space in which the tongue in the mouth is positioned and prevent airway obstruction, but the shape The memory wire 30 and the ring-shaped pressure wire 50 are not only uncomfortable to wear, but also have a problem in that a sufficient space for the tongue cannot be secured.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은 상태로 착용자의 호흡을 개선하여 착용자의 코골이를 높은 효율로 방지하기 위해 입천장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지만, 혀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고, 착용 후 입천장 부위에 고정되지 않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혀를 누름 가압하는 돌기부가 마련되었지만, 돌기부가 혀의 상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의 돌기부는 착용자의 혀에 대해 마사지 기능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it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mouth in order to improve the breathing of the wearer without causing discomfort to the wearer and prevent the wearer's snoring with high efficiency, bu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where the tongue is located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stable state could not be maintained because it was not fixed to the roof of the mouth after wearing. Furth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 protrusion for pressing the tongue is provided,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 cannot maintain the same pressing state over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tongue. Moreover, there also existed a problem that the protrusion part of the technique disclosed by the said patent document 2 cannot achieve a massage function with respect to a wearer's tongue.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언어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에 몸체를 끼워지게 형성하므로 인하여 착용자는 자연스럽게 이질감을 느끼는 구성을 마련하였지만, 상기 특허문헌 3에도 혀가 위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고, 혀의 상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3, since the body is fitted to the upper teeth of the subject with language and hearing impairments, the wearer naturally feels a sense of heterogeneity.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same pressurized state over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tongu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면 중 기도 부위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that can prevent the muscles of the airway region from being relaxed and sagging down during slee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혀를 마사지 및 단련하여 혀의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tongue by massaging and training the tongu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시 착용자의 호흡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코골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snoring by maintaining a constant breathing state of a wearer during slee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시 착용자의 혀가 위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안정적인 상태로 착용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device that can be worn in a stable state while sufficiently securing a space where the wearer's tongue is positioned during slee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는 착용자 각각의 상악 및 하악에 대응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마련되고,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면시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 또는 혀의 앞 부분을 안착시키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거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ividually tailor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dividually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wearer, and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of the tongue during sle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aised part for securing a space for seating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or part.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악 형상부 또는 착용자의 하악에 대응하는 하악 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악 형상부가 마련된 제1 본체 또는 상기 하악 형상부가 마련된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상부는 상기 상악 형상부 상에 마련된 제1 거상부 또는 상기 하악 형상부 상에 마련된 제2 거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maxillary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or a mandib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mandible, wherein the main body is a first body provided with the maxillary shape. or a second body provided with the mandibular shape, wherein the raised part comprises a first raised part provided on the maxillary shape or a second raised part provided on the mandibular shape.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거상부는 상기 상악 형상부 또는 하악 형상부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상부는 상기 상악 형상부 또는 하악 형상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maxillary or mandibular shape, respectively, and the elevating portion is formed only at the edge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shape. do it with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거상부는 1~7㎜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s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 height of 1 ~ 7mm.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거상부와 상기 상악 형상부 또는 상기 거상부와 하악 형상부의 사이에는 혀의 안착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ngue seat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raised part and the maxillary shape or between the raised part and the mandibular shape.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착용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에 본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seat the main body on the wearer's upper or lower teeth.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돌기부는 입안의 천장을 이루는 구개에서 혀의 상부를 향해 평탄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provided in a flat state from the palate forming the ceiling of the mouth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tongue characterized in that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다수의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 부분에서 상악 형성부를 향한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formed to be lowered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upper jaw.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착용자의 혀의 앞 부분 상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다수의 돌기부와 상악 형성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wrinkle portion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wearer's tongue is seated, and the wrinkle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upper jaw form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선형상은 방사형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 portion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ar shape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plurality of linear shapes are provided in a radial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 의하면, 거상부와 상악 형상부 또는 거상부와 하악 형상부의 사이에 혀의 안착 공간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수면 중 기도 부위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며 수면시 착용자의 혀를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켜 코골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ating space of the tongue between the raised part and the maxillary shape or between the raised part and the mandibular shape, the muscles of the airway region during sleep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noring phenomenon is obtained by preventing them from being relaxed and sagging down and maintaining the wearer's tongue in a flat state during sleep.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를 마련하고, 착용자의 혀의 앞 부분 상부가 안착되는 주름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혀를 마사지하며 단련시켜 혀의 휴식공간 및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are provided, and a wrinkle part o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wearer's tongue is seated is provided, thereby massaging and training the tongue. It has the effect that it can enhance the resting space and muscle strength of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 의하면, 본체의 외부에 착용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에 본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수면시 착용자의 혀가 위치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며, 안정적인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body on the wearer's upper teeth or lower teeth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 space in which the wearer's tongue is positioned during sleep is sufficiently secured. , the effect that it can be worn in a stable state is also obtained.

도 1은 착용자의 정상 수면 상태와 비정상 수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본체 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돌기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본체 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normal sleep state and an abnormal sleep state of a wearer;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oral implantable airway expansion maintenance devic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personally custom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3;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projection shown in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individual custom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7;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dividual custom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내부"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에서 혀와 맞닿는 부분을 의미하며, "외부"는 입천장 또는 아랫니의 잇몸과 맞닿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일 예는 상악 부분에 안착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나타내며, 본체의 다른 예는 하악 부분에 안착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나타낸다.As used herein, the term “inside” refers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ngue in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and “outside” refers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roof of the mouth or the gums of the lower teeth. In addition, an exampl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another example of the main body shows a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mechanism seated on the mandibular part.

혀는 얼굴 중에서 유일하게 뼈와 붙어있지 않은 근육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적용하여 혀를 단련하면 머리, 목, 턱 근육이 자극되며, 혀를 단련해 입을 자연스럽게 닫을 수 있게 되면, 박테리아도 사라지고 지독한 입냄새도 제거할 수 있으며,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tongue is the only muscle in the face that is not attached to bones, and when the tongue is trained by applying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neck, and jaw muscles are stimulated, and the tongue can be trained to close the mouth naturally. When present, bacteria can be eliminated, bad breath can be eliminated, and health can be improved.

또한, 혀의 근육이 단련되지 않은 사람은 혀가 목구멍으로 밀려들어 가기 쉽고, 이에 따라 밀려 들어간 혀가 공기의 순환을 방해하고, 코골이의 원인이 되며,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적용하여 혀 근육 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코골이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ose who have not trained the muscles of the tongue, the tongue tends to be pushed into the throat, and accordingly, the pushed tongue interferes with air circulation, causes snoring, and enhances individu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noring can also be solved by applying a device to exercise the tongue musc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본체 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체의 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shown in FIG. 3, and FIG. 5 is the outside of the body shown in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는 착용자 각각의 상악 및 하악에 대응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마련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면시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 또는 혀의 앞 부분을 안착시키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거상부를 포함한다.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dividually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wearer, and as shown in FIG. 3 , the body,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the tongue during sleep It includes a raised part for securing a space for seating the periphery of the body or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상기 본체는 착용자의 입 천장에 대응하여 대략 반 원형으로 마련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형상부(121)가 마련된 제1 본체(110)를 구비하며, 상기 거상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형상부(121)에 대응하여 상악 형상부(121) 상에 마련된 제1 거상부(120)로 이루어지며, 제1 거상부(120)는 상악 형상부(121)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된다.The main body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ceiling of the wearer's mouth, and as shown in FIG. 3 , has a first body 110 provided with a maxillary shape 121 , and the raised part is shown in FIGS. 3 and 4 . As shown in , it consists of a first raised portion 120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21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121 , and the first raised portion 120 i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121 . It is formed only on the edge part.

상기 상악 형성부(121)는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가 안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옴니백시트에 의해 착용자의 입천장에 대응하는 제1 본체(110)가 마련된다.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may be provided by seating the omni back she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del imit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wearer's mouth is provided by the omni-back sheet.

상기 제1 본체(110) 및 상악 형성부(121)로서는 옴니백시트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적용할 수 있지만, 가열시 그을음이 없어 연기, 냄새가 발생하지 않고, 재활용 원료가 아닌 순수고급원료 및 인체에 무해한 원료사용으로 기포발생이 없어 별도의 드라이 처리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강한 진공에도 찢어지지 않아 완벽한 성형이 가능한 옴니백시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본체(110) 및 상악 형성부(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입천장 및 상악의 형상을 본뜬 석고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뒤집힌 상태인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를 안착시켜 모형의 치아 및 입천장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열 성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As the first body 110 and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various types of sheets other than the omniback sheet can be applied, but there is no soot during heating, so smoke and odor are not generated, and pure high-grade raw materials are not recycled materials. And it is desirable to apply an omni-back sheet that can be completely molded because it is not torn even in strong vacuum and does not generate bubbles by using raw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t is, the first body 110 and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are, as shown in FIG. 3, an inverted state that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 gypsum material that mimics the shape of the wearer's palate and upper jaw. By seating the back sheet, it may be provided in a heat-molded state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eeth and palate of the model.

상기 제1 거상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상악 형성부(121)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 거상부(120)는 옴니백시트와 동일 재질 또는 인체에 무해한 레진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상악 형성부(121)에 대응하여 1~7㎜의 높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높이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의 상악 또는 혀의 두께 등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거상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형상부(121)의 외측 둘레에 상악 형상부(121)의 표면의 1/2~1/3의 부분에만 마련되어, 상기 제1 거상부(120)와 상악 형상부(121) 사이에는 혀의 안착 공간부(123)가 마련된다. The first raised portion 120 is provided only at the edge of the upper jaw forming portion 121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aised part 120 is formed in a height of 1 to 7 mm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upper jaw forming part 121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omni back sheet or a resin harmless to the human body. However, the height is not specified, and the heigh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arer's upper jaw or tongu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the first elevation part 120 is provided only in 1/2 to 1/3 of the surface of the maxillary shape part 12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xillary shape part 121, The tongue seating space 12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elevation 120 and the maxillary shape 121 .

상기 안착 공간부(123)는 수면시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안착 공간부(123)의 형상 및 면적도 착용자의 혀의 상태에 따라 가변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eating space 123 is provided so th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of the tongue is seated during sleep, and the shape and area of the seating space 123 may also be variab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wearer's tongue.

즉,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에서는 제1 거상부(120)의 높이 및 안착 공간부(123)의 형상 및 면적이 착용자 각각의 상악에 대응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마련되므로, 특정 규격에 한정되어 마련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first elevating part 120 and the shape and area of the seating space 123 are provided in a personalized way to correspond to each upper jaw of the wear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andard.

또 상기 안착 공간부(123)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을 안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착용자의 어금니 부분에 주로 마련되며, 앞니 부분에는 마련되지 않는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seating space 123 is mainly provided on the molars of the wearer, for example, in order to seat the periphery of the body of the tongue, but is not provided on the front teeth.

또한, 상기 제1 거상부(120)는 착용시 상악 부분의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형상부(121)의 전체에 대응하여 대략 동일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상악 형상부(121)의 어금니 부분에는 안착 공간부(123)가 비교적 넓은 형상으로 마련되고, 앞니 부분에는 안착 공간부(123)가 마련되지 않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raised part 120 is provid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to correspond to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121 so as to maintain the same height over the entire part of the upper part when worn. . That is, the molar portion of the maxillary shape 121 may have a relatively wide seating space 123 , and the front teeth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eating space 123 is not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은 안착 공간부(12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의 수면 중 혀의 둘레 부분이 안착 공간부(123)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혀를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코골이 등을 방지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seating space 123 as described abov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tongue during sleep of the wearer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123 so that the tongue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resulting in a narrowing of the airway It can prevent snoring, etc.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착용자의 혀의 앞 부분 상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130) 및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140)가 더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11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wearer's tongue is seated. 1 The wrinkle portion 130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main body 110 are further provided.

상기 주름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돌기부(140)와 상악 형성부(121)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선형상은 방사형으로 마련된다. 즉, 이와 같은 주름부(130)는 착용자의 상악 앞니 부분에서 혀의 앞 부분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름부의 중앙 부분은 대략 하나의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이 직선 형상의 좌우에 대칭의 방사형으로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3 , the wrinkle part 130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and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 and has a plurality of linear shape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10 . is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linear shapes are provided in a radial shape. That is, such a wrinkle 13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in the upper incisor part of the wearer,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but the central part of the wrinkle part is provided to protrude in approximately one straight shape, It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radial shape on the left and right of this linear shape.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에서는 제1 본체(110) 내에 주름부(13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가 주름부(130)의 부분에서 혀의 앞 부분을 마찰시키는 혀의 운동을 실행하여 혀의 마사지 효과 및 단련을 실행하여 혀의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rubs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in the wrinkle part 130 by providing the wrinkle part 130 in the first body 110 . You can increase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by performing a massage effect and training of the tongue by executing the exercise.

상기 다수의 돌기부(14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110)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입안의 천장을 이루는 구개에서 혀의 상부를 향해 평탄한 상태로 마련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돌기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As shown in FIGS. 3 and 6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are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 and are provided in a flat state from the palate forming the ceiling of the mouth toward the top of the tongue.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protrusion shown in FIG. 3 .

즉, 상기 다수의 돌기부(140)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본체(110)의 내부 중앙 부분에서 상악 형성부를 향한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부(140)는 혀의 상부 전체 면적에 걸쳐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돌기부(140)는 상술한 주름부(130)와 같이, 착용자의 혀의 상부를 마사지하여 혀의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are formed to have a lower height in a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having a semi-circular shape toward the upper jaw forming por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may be provided on approximately the same plane over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tongue. Su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may massage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er's tongue, like the above-described wrinkle part 130 , to enhance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의 제1 본체(110)의 외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윗니에 제1 본체(1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1 안착홈(15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1 안착홈(150)은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가 안착되어 제1 본체(1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를 착용하는 경우, 제1 안착홈(150)이 단순히 착용자의 윗니에 끼워 맞춤 되는 것에 의해 종래의 기술과 같은 착용 불안감이 해소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10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eating for seating the first body 110 on the wearer's upper teeth A groove 150 is provided. The first seating groove 150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rst body 110 by seating the omniback she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del imit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Therefore, whe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the first seating groove 150 is simply fitted to the wearer's upper teeth,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of wearing as in the prior art and making it stable It can be worn in stat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의 본체 내부의 다른 예를 도 7 및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Next, another exampl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본체 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외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utside of the body shown in FIG. 7 .

상술한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체에 제1 본체(110)와 제1 거상부(120)가 착용자의 상악 부분에 대응하여 마련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도 7 및 도 8에서는 본체가 착용자의 하악 부분에 대응하여 마련된 제2 본체(210) 및 제2 거상부(2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10)에서는 착용자의 상악 부분에 착용하는 제1 본체(110)와 착용자의 하악 부분에 착용되는 제2 본체(210)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수면 중 기도 부위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아래로 쳐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GS. 3 to 6, the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raised part 120 on the body have been described as a structure in which the wearer's upper jaw is provided, but in FIGS. 7 and 8, the main body is the wearer's mandibl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body 210 and the second raised part 220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will be described. That is, in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ement mechanism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110 worn on the upper part of the wearer and the second body 210 worn on the lower part of the wearer are applied during sleep.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muscles in the airway area from being relaxed and sagging down.

상기 제2 본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아랫니의 잇몸과 맞닿는 부분에 대응하여 대략 수직의 반 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본체(210)에는 수면시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 또는 혀의 앞 부분을 안착시키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제2 거상부(220)가 마련된다. 상기 제2 거상부(220)는 하악 형상부(221)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body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emi-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wearer's lower teeth, and the second body 210 ha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of the tongue or A second elevating part 220 is provided to secure a space for seating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The second raised portion 220 is formed on the entire edge portion of the mandibular portion 221,

상기 하악 형성부(221)는 상술한 상악 형성부(121)와 같이, 착용자의 하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가 안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옴니백시트에 의해 착용자의 아랫니에 대응하도록 제2 본체(210)가 마련된다. 이 제2 본체(210)와 하악 형성부(220)도 상기 제1 본체(110) 및 상악 형성부(121)와 동일하게 인체에 무해한 원료사용으로 기포발생이 없어 별도의 드라이 처리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옴니백시트를 적용할 수 있다.The mandible forming part 221 may be provided by seating the omni back she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del imit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mandible, like the upper maxilla forming part 121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econd body 21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wearer's lower teeth by the omni-back sheet. The second body 210 and the lower jaw forming part 220 are also used in the same way as the first body 110 and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so there is no bubble generation due to the use of raw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it can be used immediately without a separate drying treatment. Possible omniback sheets can be applied.

상기 제2 거상부(220)는 하악 형성부(221)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마련되고, 옴니백시트와 동일 재질 또는 인체에 무해한 레진 등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하악 형성부(221)에 대응하여 1~7㎜의 높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거상부(220)는 아래 어금니 부분보다 앞니 부분이 더 높게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2 거상부(220)의 높이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고 착용자의 하악 또는 혀의 두께 등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 거상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형상부(221)의 외측 둘레에 상악 형상부(121)의 표면의 1/2~1/3의 부분에만 마련되어, 상기 제2 거상부(220)와 하악 형상부(221) 사이에도 혀의 안착 공간부가 마련된다. The second raised part 220 is provided only at the edge of the mandible forming part 221, and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omniback sheet or a resin harmless to the human body, 1 to corresponding to the mandibular forming part 221 of the wearer. It is formed to a height of 7 mm. In addition, the second raised portion 220 may be provided with a higher incisor portion than the lower molar portion. However, the height of the second raised part 220 is not specified, and the height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earer's mandible or tongu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raised part 220 is provided only in 1/2 to 1/3 of the surface of the maxillary shape 12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ndibular shape 221 , A seating space for the tongue is also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levation 220 and the mandibular shape 221 .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거상부(120)와 제2 거상부(220)에 공간 안착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220)를 착용하는 경우, 더욱 효율적으로 혀를 평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코골이 등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220 are worn by providing a space seating por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levations 120 and 220, the tongue is more effectively used. Since it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snoring and the like caused by narrowing of the airway.

또 제2 본체(220)의 내부에도 주름부를 마련하여 착용자가 주름부의 부분에서 혀의 앞 부분을 마찰시키는 혀의 운동을 실행하여 혀의 마사지 효과 및 단련을 실행하여 혀의 근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wrinkle part inside the second body 220, the wearer executes a tongue movement that rubs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at the wrinkle part to perform a tongue massage effect and training to further enhance the muscle strength of the tongue ha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의 제2 본체(110)의 외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아랫니에 제2 본체(2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제2 안착홈(250)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제2 안착홈(250)은 착용자의 하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가 안착되어 제2 본체(21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를 착용하는 경우, 제2 안착홈(150)이 단순히 착용자의 아랫니에 끼워 맞춤 되는 것에 의해 종래의 기술과 같은 착용 불안감이 해소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착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110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ody 210 for seating the second body 210 on the lower teeth of the wearer. A seating groove 250 is provided. The second seating groove 250 is provi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body 210 by seating the omni back sheet on the upper part of the model imit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mandible. Therefore, when wearing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ating groove 150 is simply fitted to the wearer's lower teeth,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of wearing as in the prior art and making it stable It can be worn in stat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의 제1 본체(110)의 제조 과정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Next,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body 110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en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도 9 내지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shown in FIG. 3 .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의 상부에 옴니백시트가 안착되어 제1 본체(110) 및 상악 형성부(121)가 마련된다. 될 수 있다. 또 상기 옴니백시트에 의해 착용자의 입천장에 대응하는 제1 본체(110)가 마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100)는 상술한 옴니백시트의 적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D 프린터 등 다양한 성형장치를 통해 성형 제조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9 , the omniback shee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del imit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so that the first body 110 and the upper jaw forming part 121 are provided. can be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roof of the wearer's mouth is provided by the omni-back sheet. However, the personal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omniback sheet, and may be molded and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molding devices such as a 3D printer.

또한, 상술한 제1 본체(110)의 제조시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을 본뜬 모형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부(130)와 다수의 제1 돌기부(141)를 마련하여 제1 본체(110)와 일체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1 돌기부(141)의 각각의 높이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마련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wrinkle part 130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41 as shown in FIG. 9 in a model simulating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 110) and can be provided integrally. In this case, the heights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41 are provid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부(140)가 혀의 상부 전체 면적에 걸쳐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마련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부(141) 상에 빌드업하여 다수의 제2 돌기부(142)를 마련한다. 이 제2 돌기부(142)의 재질은 옴니백시트와 동일 재질 또는 인체에 무해한 레진이나, 메탈, 골드 등을 이용하며, 다수의 제2 돌기부(142)의 높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본체(110)의 내부 중앙 부분에서 상악 형성부(121)를 향한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마련된다. 따라서, 다수의 제2 돌기부(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상부에서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마련된다.Next, as shown in FIG. 10,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protrusion 141 so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can be provided on the same plane over the entire upper area of the tongu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2 are provided by building up on the top. The material of the second protrusion 142 uses the same material as the omniback sheet or a resin, metal, gold, etc.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2 is semi-circular in the first body 110 . The height is provided to be lower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axilla forming part 121 from the inner central part of the.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2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plane at the top of the tongue, as shown in FIG. 6 .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제2 돌기부(142)의 형성 후, 상악 형상부(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제1 거상부(120)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제1 거상부(120)도 옴니백시트와 동일 재질 또는 인체에 무해한 레진이나, 메탈, 골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After the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2 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A customized tongue strengthening mechanism is completed. The first raised part 120 may also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omniback sheet or a resin, metal, or gold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또 상기 설명에서는 다수의 제2 돌기부(142)를 형성한 후, 제1 거상부(120)를 마련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거상부(120)를 형성한 후, 다수의 제2 돌기부(142)를 마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42 , the structure of providing the first raised portions 120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second protrusion 142 may be provid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본체(210) 및 제2 거상부(220)도 상술한 제1 본체(110) 및 제1 거상부(120)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body 210 and the second raised part 220 as shown in FIG. 7 can also be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first body 110 and the first raised part 120 , thi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혀를 마사지하며 단련시켜 혀의 근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By using the personally customized tongue muscle strength enhan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tongue muscle strength by massaging and training the tongue.

110 : 제1 본체
120 : 제1 거상부
130 : 주름부
140 : 돌기부
110: first body
120: first colossal part
130: wrinkles
140: protrusion

Claims (10)

착용자 각각의 상악 및 하악에 대응하여 개인 맞춤형으로 마련되고,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수면시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 또는 혀의 앞 부분을 안착시키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거상부,
착용자의 혀의 앞 부분 상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상부는 착용자의 상악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악 형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악 형상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마련된 제1 거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상부는 상기 상악 형상부의 외측 둘레에서 상기 상악 형상부의 표면의 1/2~1/3의 부분에만 마련되고,
상기 제1 거상부와 상악 형상부 사이에는 혀의 몸통의 둘레 부분을 안착시키도록 착용자의 어금니 부분에 안착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돌출된 방사형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t is prepared individually for each wearer's maxilla and mandible,
main body,
A raised part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for securing a space for seating the peripheral part of the body of the tongue or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during sleep;
and a wrinkle formed inside the body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wearer's tongue is seated,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elevating portion provided only at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jaw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jaw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upper jaw,
The first elevation is provided only in a portion of 1/2 to 1/3 of the surface of the maxillary shap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xillary shape,
A seating space is provided in the molar portion of the wearer to se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dy of the tongue between the first raised portion and the maxillary shape,
The wrinkle portion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radial shap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ody
제1항에서,
착용자의 하악에 대응하는 하악 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악 형상부가 마련된 제1 본체 또는 상기 하악 형상부가 마련된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거상부는 상기 하악 형상부 상에 마련된 제2 거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andib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jaw of the wearer,
The main body includes a first body provided with the maxillary shape or a second body provided with the mandibular shape,
The elevator portion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evating portion provided on the mandibular shape.
제2항에서,
상기 거상부는 상기 하악 형상부에 각각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거상부는 상기 하악 형상부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2,
The raised portion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ndible shape,
The elevating portion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ly on the edge portion of the mandible.
제1항에서,
상기 거상부는 1~7㎜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1,
The elevating part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height of 1 ~ 7mm.
제2항에서,
상기 거상부와 하악 형상부의 사이에는 혀의 안착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2,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 tongue seating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elevating part and the mandibular shape part.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는 착용자의 윗니 또는 아랫니에 본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1,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for seating the body on the wearer's upper or lower teeth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돌기부는 입안의 천장을 이루는 구개에서 혀의 상부를 향해 평탄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dividually tailored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tongu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flat stat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tongue from the palate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mouth.
제7항에서,
상기 다수의 돌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중앙 부분에서 상악 형성부를 향한 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7,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individually tailored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tongu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formed to be lowered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toward the upper jaw.
제7항에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다수의 돌기부와 상악 형성부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7,
The wrinkle portion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the maxillary formation.
제9항에서,
상기 주름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돌출된 다수의 선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In claim 9,
The wrinkle portion is a personalized tongue strength enhanc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ar shapes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ody.
KR1020210000935A 2021-01-05 2021-01-05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KR102297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35A KR102297772B1 (en) 2021-01-05 2021-01-05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935A KR102297772B1 (en) 2021-01-05 2021-01-05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772B1 true KR102297772B1 (en) 2021-09-03

Family

ID=7778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935A KR102297772B1 (en) 2021-01-05 2021-01-05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77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66Y1 (en) 2003-11-11 2004-02-11 장성용 Promotive device of tongue-motion
KR20070018643A (en) * 2005-08-10 2007-02-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Preventing from Snoring
US20140090652A1 (en) * 2012-10-02 2014-04-03 Farhad Hakimi Intraoral device for treatment of snoring, sleep apnea and tmd
KR101505773B1 (en) * 2014-03-13 2015-03-26 김해바다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1944807B1 (en) * 2018-06-26 2019-02-01 김세훈 Oral insertion type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KR102008660B1 (en) 2019-03-04 2019-08-08 김세훈 Auxiliary instruments for breathing improv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01770A (en)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an actua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66Y1 (en) 2003-11-11 2004-02-11 장성용 Promotive device of tongue-motion
KR20070018643A (en) * 2005-08-10 2007-02-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Preventing from Snoring
US20140090652A1 (en) * 2012-10-02 2014-04-03 Farhad Hakimi Intraoral device for treatment of snoring, sleep apnea and tmd
KR101505773B1 (en) * 2014-03-13 2015-03-26 김해바다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KR101944807B1 (en) * 2018-06-26 2019-02-01 김세훈 Oral insertion type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KR20200001770A (en)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동운아나텍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an actuator
KR102008660B1 (en) 2019-03-04 2019-08-08 김세훈 Auxiliary instruments for breathing improv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7600B2 (en) Oral appliance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JP2023113919A (en) Oral training appliance
US8839795B2 (en) Face and mouth muscle stimulator
US20130263864A1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JP5361991B2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1361583B1 (en)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KR101782093B1 (en)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KR102029965B1 (en) 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KR20060012065A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US20130071801A1 (en) Intra-oral appliance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297772B1 (en)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EP3530230A1 (en) Oral device for myofunctional re-education
KR102559713B1 (en) Personalized Tongue Strengthening Device
EP2189131A1 (en) Face and mouth muscle stimulator
CN209530001U (en) Mouth facial muscle exercising device
CN209630534U (en) Mouth facial muscle exercising device
AU2017265041B2 (en) Oral appliance
KR101273449B1 (en) Nasal breath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818818B (en) Tongue depression auxiliary device
CN104758111B (en) Speech prosody controller
CN204839891U (en) Telescopic throat support
KR102377844B1 (en) Sleep breathing assist device
JP2014507238A (en) Oral appliance
JP2023085965A (en) Mouth 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