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867B1 -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867B1
KR102295867B1 KR1020210032959A KR20210032959A KR102295867B1 KR 102295867 B1 KR102295867 B1 KR 102295867B1 KR 1020210032959 A KR1020210032959 A KR 1020210032959A KR 20210032959 A KR20210032959 A KR 20210032959A KR 102295867 B1 KR102295867 B1 KR 102295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astening
bar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48933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9586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지오토모빌
Priority to KR102021007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97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내 후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차량에서, 적재공간에 추가로 장착되는 좌석; 적재공간의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앞쪽과 뒤쪽에 다수 가공된 체결구멍과, 앞쪽 체결구멍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2체결바와, 뒤쪽 체결구멍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1체결바를 구비한 판 형상의 베이스; 좌석의 앞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2체결바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수단;과, 좌석의 뒤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1체결바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적재 공간에 짐을 실을 수 있고, 필요시 추가 좌석을 장착하여 더 많은 인원을 탑승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Vechicle seat extens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저 차량 또는 SUV차량의 후부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에 추가 좌석을 탈착하여 탑승 인원수를 늘릴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저 차량(RV :Recreation Vehicle) 차량은 일반 승용차와 같이 주로 출퇴근 등의 탑승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기보다는 사람의 탑승은 물론이고 필요 시 화물의 적재 및 주말이나 휴일 등에 야외로 나가서 야영까지 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갖춘 차량의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여 제작된 다목적 차량이다. 이를 위해 레저 차량은 통상적인 세단과 달리 별도의 트렁크(trunk) 없이 차량의 후미까지 루프(roof)가 연장되어 넓은 실내공간을 갖는 왜건(wagon) 형태로 구성되고, 연장된 실내공간에 좌석이 1열 이상 추가 설치되고,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되며, 트렁크 리드 대신 백도어(back door)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의 앞부분 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운전자 등)은 프런트 도어를 통하여 승하차하게 되며,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리어 도어(승합차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하게 된다.
이처럼, 레저 차량 또는 SUV 차량은 승용차에 비해 후부의 실내공간에 탑승 인원수를 늘리기 위해 좌석이 추가되고, 많은 물품을 실을 수 있도록 적재공간이 확장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최후열의 좌석을 접어 적재공간을 늘릴 수도 있고, 탑승 인원이 많으면 최후열의 좌석을 펼쳐 좌석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재공간의 활용보다는 탑승 인원수를 늘리기 위해 기존의 적재공간에 좌석을 추가로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기를 원하는 요구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6126(2004.12.17. 공개)
상기된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저 차량의 적재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1열의 좌석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추가 설치하여 탑승 인원수를 늘리거나 분리하여 적재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는 차내 후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차량에서, 적재공간에 추가로 장착되는 좌석; 적재공간의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앞쪽과 뒤쪽에 다수 가공된 체결구멍과, 앞쪽 체결구멍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2체결바와, 뒤쪽 체결구멍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1체결바를 구비한 판 형상의 베이스; 좌석의 앞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2체결바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수단;과, 좌석의 뒤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1체결바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수단이 제2체결바에 체결되고, 제1체결수단이 제1체결바에 체결되어 좌석이 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체결수단은 좌석의 앞쪽 하부에 고정되고 제2체결바가 끼워지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가공된 제2고정브라켓과, 이 제2고정브라켓에 장착되고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축회전하는 제2회전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체결바는 'ㅁ'자 형상으로, 전방바와 후방바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체결수단은 좌석의 뒤쪽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레버, 이 제2레버의 일단부가 고정된 제1견인줄, 이 제1견인줄의 타단부가 고정되면서 제1견인줄이 당기거나 놓으면 전후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중간바, 이 중간바에 일단부가 고정된 제2견인줄, 제2견인줄의 타단부가 고정된 체결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체결모듈은 좌석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후부에 일부위가 개방되어 후방바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제1파지부 및, 전부에 일부위가 개방되어 전방바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제2파지부를 구비한 제2고정브라켓, 이 제2고정브라켓에 장착되면서 제2견인줄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제2견인줄이 당기면 축회전하면서 제2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갈고리부가 선단부에 가공된 제2회전브라켓과, 일단부가 제2회전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축회전한 제2회전브라켓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수단은 좌석의 뒤쪽 하부에 고정되고 제1체결바가 끼워지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가공된 제1고정브라켓과, 이 제1고정브라켓에 장착되고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제1회전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바는 일자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체결수단은 좌석의 뒤쪽 하부에 장착된 제1레버, 좌석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일부위가 개방되어 제1체결바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를 구비한 제1고정브라켓, 이 제1고정브라켓에 장착되면서 제1레버의 동작에 의해 당겨지면 축회전하면서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갈고리부가 선단부에 가공된 제1회전브라켓과, 일단부가 제1회전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고정브라켓에 고정되어 축회전한 제1회전브라켓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내의 적재공간의 바닥에 베이스가 고정되고, 이 베이스 위에 체1체결수단 및 제2체결수단에 의해 추가 좌석이 더 장착됨으로써, 더 많은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추가 좌석이 착탈됨으로써, 인원이 많은 경우 추가 좌석을 설치하고, 짐이 많은 경우 추가 좌석을 탈거하여 상황에 따라 최상의 활용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가 차량에서 분리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추가 좌석이 차량 내부에 직접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도 3의 추가 설치된 좌석의 하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도 3의 좌석의 뒤쪽 하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6은 도 2에서 베이스와 좌석을 별도 공간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베이스에 체결되는 제2체결수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좌석의 하부에 장착된 제2체결수단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2체결수단이 확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제2체결수단과 동작이 비교 도시된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2체결수단과 베이스의 제2체결바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2는 도 2에서 추가 설치된 좌석이 후방을 향해 설치된 실시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추가 설치된 4열 좌석 및 좌석안전띠의 안전성을 위한 강도시험을 하는 위한 사진이다.
도 14는 도 13의 시험에서 4열 좌석에 대한 강도시험의 결과인 시간-하중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13의 시험에서 4열 좌석의 좌측 좌석에 대한 강도시험의 결과인 시간-하중 그래프이다.
도 16은 도 13의 시험에서 4열 좌석의 좌측 좌석의 골반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 결과인 시간-하중 그래프이다.
도 17은 도 13의 시험에서 4열 좌석의 우측 좌석에 대한 강도시험의 결과인 시간-하중 그래프이다.
도 18은 5의 시험에서 4열 좌석의 우측 좌석의 골반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 결과인 시간-하중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는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평판의 베이스(100), 제1체결수단(200), 제2체결수단(300) 및 좌석(S)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좌석(S)은 추가되는 좌석이다. 보통 SUV 차량이 운전석의 1열, 후부의 2열 및 3열의 좌석으로 구성되고, 추가되는 좌석에 대해 필요에 따라 '4열 좌석(S)' 또는 '추가 좌석(S)'이라고 지칭하거나, 그냥 '좌석(S)'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좌석(S)은 2명이 앉을 수 있도록 좌우로 1개씩,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필요 시 '좌측 좌석' 또는 '우측 좌석'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 '당기다'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의미이고, '놓아주다'는 당긴 외력이 제거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의미이다.
먼저, 베이스(100)는 도 1에서 보듯이, 차량(C) 후부의 적재공간의 바닥프레임(F)에 장착되고, 상면에 좌석(S)이 고정될 수 있다. 이 베이스(100)는 상면이 평평하고, 견고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바닥프레임(F)에 볼팅 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견고히 고정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
또, 베이스(10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듯이, 좌석(S)의 앞부분이 위치하는 앞쪽과 반대측 뒤쪽에 다수 가공된 체결구멍(110, 도 4 참조)과, 앞쪽 체결구멍(110)을 가로질러 고정된 제1체결바(120)와, 뒤쪽 체결구멍(110)을 가로질러 고정된 제2체결바(1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구멍(110)은 제1체결수단(200) 또는 제2체결수단(300)이 제1체결바(120) 또는 제2체결바(130)를 파지하여 체결될 때 베이스(100)의 상면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공될 수 있다. 이 체결구멍(110)은 일례로 앞쪽에 3개, 뒤쪽에 4개가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앞쪽 중앙의 체결구멍(110)은 좀 더 길게 가공됨으로써, 좌석(S)의 앞쪽 하부에 장착된 4개의 제2체결수단(300) 중 가운데 2개의 이웃한 제2체결수단(300)이 한꺼번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외에 체결구멍(110)은 앞뒤쪽에 4개씩 가공될 수도 있다.
또, 제1체결바(120)는 평면상 일자형이고, 제2체결바(130)는 평면상 대략 'ㅁ'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들 제1,2체결바(120,130)는 체결구멍(110)을 횡으로 가로질러 양측부가 볼팅 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 또는 탈부착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일자형인 제1체결바(120, 도 4 참조)는 베이스(100)의 뒤쪽 체결구멍(110)에 고정되고, 전방바(131)와 후방바(132)를 구비한 'ㅁ'자형인 제2체결바(130, 도 8 참조)는 베이스(100)의 앞쪽 체결구멍(110)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에서 보듯이. 제1,2체결바(120,130)는 베이스(100)에 고정된 양측부보다 체결구멍(110)을 가로지르는 가운데 부위가 볼록한 형태일 수 있고, 이는 제1체결수단(200) 또는 제2체결수단(300)이 제1체결바(120) 또는 제2체결바(130)를 파지하는 방식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제1체결바(120) 및 제1체결수단(200)의 체결부위와, 제2체결바(130) 및 제2체결수단(300)의 체결 부위가 베이스(100)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제1체결바(120) 또는 제2체결바(130)의 가운데 부위의 볼록한 정도를 조정하면 체결구멍(110)이 배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체결수단(200)은 도 4와 도 5에서 보듯이, 좌석(S)의 뒤쪽 하부에 설치되고, 베이스(100) 뒤쪽의 제1체결바(120)를 파지하여 체결됨으로써, 좌석(S)의 뒤쪽이 베이스(100)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제1체결수단(200)은 제1고정브라켓(210), 제1회전브라켓(220)과 제1레버(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브라켓(210)은 일부위가 개방된 고리형상의 파지부를 구비하고, 좌석(S)의 하부에 내장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는 후술된 제2파지부(351b)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브라켓(220)은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의 개방부위를 개폐하기 위해 제1고정브라켓(210)의 측면에 장착되어 축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회전브라켓(220)의 선단부에는 후술된 제2회전브라켓(352)의 선단부처럼 갈고리 형상의 갈고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갈고리부는 후술된 제2회전브라켓(352)의 갈고리부(352a)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버(230)를 잡아당기면 제1회전브라켓(220)가 축회전하여 갈고리부가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의 개방부위를 개방시키고, 제1레버(230)을 놓으면 제1회전브라켓(220)이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갈고리부가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의 개방부위가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고정브라켓(210) 및 제1회전브라켓(220)은 후술된 제2체결수단(300)의 제2고정브라켓(351) 및 제2회전브라켓(352)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들의 구체적인 형상, 기능, 동작에 대한 설명이 후술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제1레버(230)는 제1회전브라켓(220)읜 축회전을 유도하기 위해 제1회전브라켓(220)의 일부위를 잡아당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레버(230)는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좌석(S)의 뒤쪽 하부에 돌출되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제1레버(230)를 당겨 일측으로 이동하면 제1회전브라켓(220)이 당겨져 축회전하게 되고, 제1레버(230)을 놓으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하게 되고, 제1회전브라켓(220) 역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버(230)는 일측으로 이동된 후 걸림 고정되고, 걸림 고정이 해제되면 스프링에 의해 복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레버(230)를 당겨 제1회전브라켓(220)을 회전시킨 후 제1고정브라켓(210)의 개방부위를 통해 일자형인 제1체결바(120)를 끼운 다음, 제1레버(230)를 놓아 제1회전브라켓(220)을 복귀시켜 제1고정브라켓(210)의 개방부위를 폐쇄하면서 제1체결바(120)를 단단히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좌석(S)의 뒤쪽에 장착된 제1체결수단(200)이 제1체결바(120)를 단단히 파지하여 베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체결수단(300)은 도 1에서처럼, 좌석(S)의 앞쪽을 베이스(10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제2체결수단(300)은 도 1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에 장착되고, 도 11에서 보듯이 베이스(100)의 'ㅁ'자형인 제2체결바(130)에 전방바(131)와 후방바(132)의 2개소에서 체결됨으로써, 좌석(S)의 앞쪽이 베이스(10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수단(300)은 개략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버(310), 제1견인줄(320), 중간바(330), 제2견인줄(340), 체결모듈(350)과 연결축(360)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제2레버(310)는 제1견인줄(320)을 당겨 최종적으로 체결모듈(3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체결모듈(350)이 제2체결바(130)에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레버(310)는 도 6에서 보듯이 좌석(S)의 뒤쪽 하부에 배치되고, 도 7에서 보듯이 체결축(311)을 중심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축회전하도록 좌석(S)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제1견인줄(32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견인줄(320)은 도7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제2레버(310)의 선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부가 중간바(3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레버(310)의 선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축회전게 되면 제1견인줄(3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중간바(33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당기거나 놓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바(330)는 도 7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되고, 제1견인줄(32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제2견인줄(340)의 일측부가 고정되며, 제1견인줄(320)이 전방으로 당기거나 놓아주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중간바(330)는 제1견인줄(320)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제2견인줄(340)을 당기거나 놓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견인줄(340)은 도 7에서 보듯이 좌석(S)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중간바(330)에 고정되고, 도 9에서 보듯이 타단부가 체결모듈(350)의 제2회전브라켓(35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견인줄(340)은 중간바(330)가 왕복 이동하면서 제2회전브라켓(352)가 축회전하도록 당기거나 놓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모듈(350)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듯이, 좌석(S)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2체결바(130)에 체결되도록 설치되고, 제2고정브라켓(351), 제2회전브라켓(352), 제1스프링(353)과 제2스프링(354)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고정브라켓(351)은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되고, 도 11에서처럼 일부위가 개방된 고리형상이면서 제2체결바(130)의 후방바(132)가 끼워져 파지되는 제1파지부(351a)와, 이 제1파지부(351a)의 후방에 일부위가 개방된 고리형상이면서 전방바(131)가 끼워져 파지되는 제2파지부(351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제2고정브라켓(351)에는 도 9에서처럼 제2회전브라켓(352)이 제2파지부(351b)의 개방부위를 폐쇄하도록 제2회전브라켓(352)이 축회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 제2회전브라켓(352)은 가운데 부위가 제2고정브라켓(351)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되고, 갈고리부(352a)가 가공된 일측부에 제2견인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며, 타단부에 코일형상인 제1스프링(353)의 일측부가 고정될 수 있다. 이 제2회전브라켓(352)은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제2고정브라켓(35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고정브라켓(351)의 일측면의 제2회전브라켓(352)은 제1스프링(353)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되고, 타측면의 제2회전브라켓(352)은 중간부위가 감기면서 양측부에 탄성이 제공되는 형상의 제2스프링(354)에 의해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제1스프링(353)은 일례로 코일 스프링으로, 타단부가 제2고정브라켓(351) 또는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됨으로써, 제2회전브라켓(352)이 축회전하면 늘어나거나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견인줄(340)이 당겨져 제2회전브라켓(352)이 축회전하면 갈고리부(352a)가 제2파지부(351b)의 개방 부위를 개방하게 되면서 제1스프링(353)이 늘어나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2파지부(351b)에 전방바(131)가 끼워지게 된다. 이후, 제2견인줄(340)이 놓아지면 제1스프링(353)의 복원력에 의해 제2회전브라켓(352)이 원위치로 축회전하게 되고, 갈고리부(352a)가 제2파지부(351b)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갈고리부(352a)와 제2파지부(351b)에 의해 전방바(131)가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또, 제2스프링(354)은 도 8에서 보듯이 일례로 중앙부위가 제2회전브라켓(352)의 축회전에 감기고, 일단부가 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부가 제2회전브라켓(352)의 갈고리부(352a)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견인줄(340)이 당겨져 제2회전브라켓(352)이 축회전하면 갈고리부(352a)가 제2파지부(351b)의 개방 부위를 개방하게 되면서 제2스프링(354)이 오므라들어 복원력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제2파지부(351b)에 전방바(131)가 끼워지게 된다. 이후, 제2견인줄(340)이 놓아지면 제2스프링(354)의 복원력에 의해 제2회전브라켓(352)이 원위치로 축회전하게 되고, 갈고리부(352a)가 제2파지부(351b)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게 됨으로써, 갈고리부(352a)와 제2파지부(351b)에 의해 전방바(131)가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스프링(353)과 제2스프링(354)은 상호 대체되거나, 둘 중 1갸지 형태일 수 있고, 이외의 통상의 탄성체 중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회전브라켓(352)은 제2고정브라켓(351)의 양측면에 각각 축회전하도록 배치되고, 일측의 제2회전브라켓(352)이 제1스프링(353)에 의해 복원되고, 타측의 제2회전브라켓(352)이 제2스프링(354)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물론, 1쌍의 제2회전브라켓(352)은 제2고정브라켓(351)을 관통하는 1개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동일한 축회전 각도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360)은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좌석(S)의 좌우측에 설치된 체결모듈(350)의 제2고정브라켓(351)을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축(360)은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된 체결모듈(350)들의 상, 하, 전, 후, 좌, 우의 고정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수단(200)의 제1고정브라켓(210)과 제1회전브라켓(220)의 형상 및 설치 구조는 제2파지부(351b)를갖는 제2고정브라켓(351)과 갈고리부(352a)를 갖는 제2회전브라켓(352)의 형상 및 설치구조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회전브라켓(220)은 제1레버(230)에 의해 축회전하게 되고, 제2회전브라켓(352)은 제2견인줄(340)에 의해 축회전하게 되는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수단(300)은 제2레버(310)가 좌석(S)의 앞쪽에 위치되고, 제1체결수단(200)의 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끝으로, 좌석(S)은 도 1에서 보듯이, 일반 차량용 좌석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하부프레임에 얹혀지는 엉덩이받이부(S1), 등받이부(S2) 및 좌석안전띠(S3)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좌석(S)은 좌측 좌석 및 우측 좌석을 구비한 1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좌우측 좌석(S)은 각각 측면에 리클라이너 레버(S4, 도 6 참조)가 장착되고, 이 레버를 당기면 등받이부(S2)가 전방으로 접혀 엉덩이받이부(S1)와 밀착되어 접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베이스(100)에 좌석(S)을 장착하기 위한 작동, 즉 베이스(100)의 제1체결바(120)와 제2체결바(130)에 제1체결수단(200)과 제2체결수단(300)이 체결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의 편의상 제2체결바(130)에 제2체결수단(300)이 체결되고, 이후 제1체결바(120)에 제1체결수단(200)이 체결되는 순서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차량(C)의 바닥프레임(F)에 베이스(100)가 고정된 상태이다.
먼저, 좌석(S) 앞쪽의 제2체결수단(300)과 뒤쪽의 제1체결수단(200)을 동작시켜 제2체결바(130)와 제1체결바(12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파지부의 개방부위를 개방시킨다(S10).
도 6 및 도 7을 보면, 제2레버(310)를 당겨 제2레버(310)를 축회전시키면 제1견인줄(320), 중간바(330)와 제2견인줄(340)이 당겨질 수 있다. 이후, 도 9에서처럼 당겨진 제2견인줄(340)에 의해 제2회전브라켓(352)을 회전하면서 제2파지부(351b)의 개방부위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브라켓(352)의 회전에 의해 제1스프링(353)과 제2스프링(354)이 긴장되면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보면, 제1레버(230)를 당겨 제1회전브라켓(220)이 축회전시키면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의 개방부위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브라켓(220)의 회전에 의해 적어도 1개의 스프링이 긴장되면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제1레버(230) 및 제1체결수단의 동작은 후술된 단계(S20)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체결수단(300)에 제2체결바(130)를 고정시켜 좌석(S)의 앞쪽을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S20). 도 4에서처럼 좌석(S)의 뒤쪽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도 9 및 도 11에서처럼 제2체결수단(300)의 제1파지부(351a)에 후방바(132)를 끼우고, 제2파지부(351b)에 전방바(131)를 끼울 수 있다. 이후, 제2레버(310)의 외력이 제거되면 제1스프링(353)과 제2스프링(354)의 복원력에 의해 제2회전브라켓(352)이 원위치되고, 제2견인줄(340), 중간바(330)와 제1견인줄(320) 및 제2레버(31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제2회전브라켓(352)의 갈고리부(352a)가 제2파지부(351b)의 개방부위를 폐쇄하고, 제2파지부(351b)에 끼워진 전방바(131)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제1체결수단(200)에 제1체결바(120)를 고정시켜 좌석(S)의 뒤쪽을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S30). 도 4에서처럼 좌석(S)의 앞쪽이 체결된 상태에서 도 6에서처럼 좌석(S)의 뒤쪽을 내리고,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에 제1체결바(120)를 끼운 다음, 당겼던 제1레버(230)를 놓아주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1회전브라켓(220)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회전브라켓(220)의 갈고리부가 제1고정브라켓(210)의 파지부의 개방부위를 폐쇄하고, 이 파지부에 끼워진 제1체결바(120)를 견고히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좌석(S)의 앞쪽 하부의 제2체결수단(300)에 베이스(100)의 제2체결바(130)를 체결시키고, 좌석(S)의 뒤쪽 하부의 제1체결수단(200)에 베이스(100)의 제1체결바(120)를 체결시킴으로써, 좌석(S)을 베이스(100)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석(S)을 베이스(100)로부터 분리할 때는 상술된 작동 순서와 반대로, 제1체결수단(200)과 제1체결바(120)의 체결을 해제하고, 좌석(S)의 뒤쪽을 들어올린 후 제2체결수단(300)과 제2체결바(130)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 보듯이, 베이스(100)와 좌석(S)의 배치 방향을 바꾸면, 좌석(S)이 차량(C)의 후방을 보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안전 시험>
이하에서는 제1체결수단(200)과 제2체결수단(300)을 매개로 베이스(100)에 고정된 좌석(S)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차체 강도시험을 실행한 결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안전 시험은 "한국교통안전공단(TS : Korea Transportation Safetr Authority)"에 의뢰하여 2020년 11월 30일에 수행하였다.
[시험 방법]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 시행세측 [별표1] 06, 18에 따른 시험 기준을 적용하였다.
적용기준 평가기준
좌석 및 그 잠금장치(6) 좌석 무게의 20배의 하중을 5초 이상 가했을 대, 견딜 수 있을 것
좌석안전띠 부착장차강도(18) 어깨 및 골반에 각각 1,360kg 하중을 10이상 가할 때 견딜 수 있을 것(3점식)
이와 관련하여 좌석(S) 및 좌석안전띠(S3)에 시험 과정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시험 결과]
06. 좌석 및 그 잠금장치 시험 및 시험결과
1) 자동차 안전 기준에 관한 규칙 제7호 기준 적합
2) 시험 결과 기록표


좌석위치
해당좌석무게(Kg)

하중방향
시험 기준 및 적용 하중

판정
좌석 강도
시험품상태
좌석형식 하중(Kg) 유지시간(sec)
기준 적용 기준 적용
LH, RH 46 전방 연결 920 920 5 10 정상 적합
이에 대한 시험 결과 그래프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좌석의 강도시험이 시간-하중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18. 좌석안전띠 부착장치 등 강도시험 및 시험결과
1) 자동차 안전 기준에 관한 규칙 103조 기준 적합
2) 시험 결과 기록표


좌석위치
안전띠
형식 및 위치
시험 기준 및 적용 하중

판정
정하중 시험
형식 위치 하중(Kg) 유지시간(sec)
기준 적용 기준 적용
LH 3점식 어깨,골반 각 1,360 각 1,370 10 10 적합
RH 3점식 어깨,골반 각 1,360 각 1,370 10 10 적합
이에 대한 시험 결과 그래프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좌측 좌석(LH)의 어깨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이 시간-하중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6은 좌측 좌석(LH)의 골반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이 시간-하중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우측 좌석(RH)의 어깨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이 시간-하중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은 우측 좌석(RH)의 골반 좌석안전띠에 대한 강도시험이 시간-하중의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위의 시험 결과 기록표와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차량(C)의 바닥프레임(F)에 베이스(100)가 고정되고, 베이스(100)에 제1체결수단(200)가 제2체결수단(300)을 매개로 좌석(S)이 고정된 경우, 적합 판정을 받기 위한 최소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베이스
110:체결구멍 120:제1체결바
130:제2체결바 131:전방바
132:후방바.
200:제1체결수단
210:제1고정브라켓 220:제1회전브라켓
230:제1레버 .
300:제2체결수단
310:제2레버 311:체결축
320:제1견인줄 330:중간바
340:제2견인줄 350:체결모듈
351:제2고정브라켓 351a:제1파지부
351b:제2파지부 352:제2회전브라켓
352a:갈고리부 353:제1스프링
354:제2스프링 360:연결축.
C:차량 F:바닥프레임
S:좌석 S1:엉덩이받이부
S2:등받이부 S3:좌석안전띠
S4:리클라이너 레버.

Claims (5)

  1. 차내 후부에 적재공간이 마련된 차량에서,
    상기 적재공간에 추가로 장착되는 좌석(S);
    상기 적재공간의 바닥프레임(F)에 고정되면서 앞쪽과 뒤쪽에 다수 가공된 체결구멍(110)과, 앞쪽 체결구멍(110)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2체결바(130)와, 뒤쪽 체결구멍(110)마다 가로질러 고정된 제1체결바(120)를 구비한 판 형상의 베이스(100);
    상기 좌석(S)의 앞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2체결바(13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수단(300);과
    상기 좌석(S)의 뒤쪽 하부에 장착되고, 제1체결바(12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수단(300)은 제2체결바(130)에 체결되고, 제1체결수단(200)이 제1체결바(120)에 체결되어 좌석(S)이 베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체결수단(300)은 좌석(S)의 앞쪽 하부에 고정되고 제2체결바(130)가 끼워지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가공된 제2고정브라켓(351)과, 상기 제2고정브라켓(351)에 장착되고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축회전하는 제2회전브라켓(352)을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바(130)는 'ㅁ'자 형상으로, 전방바(131)와 후방바(132)를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수단(300)은 좌석(S)의 뒤쪽 하부에 축회전하도록 장착된 제2레버(310), 상기 제2레버(310)의 일단부가 고정된 제1견인줄(320), 상기 제1견인줄(320)의 타단부가 고정되면서 제1견인줄(320)이 당기거나 놓으면 전후 왕복 이동하도록 장착된 중간바(330), 상기 중간바(330)에 일단부가 고정된 제2견인줄(340), 제2견인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된 체결모듈(350)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모듈(350)은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후부에 일부위가 개방되어 후방바(132)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제1파지부(351a) 및, 전부에 일부위가 개방되어 전방바(131)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제2파지부(351b)를 구비한 제2고정브라켓(351), 상기 제2고정브라켓(351)에 장착되면서 제2견인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제2견인줄(340)이 당기면 축회전하면서 제2파지부(351b)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갈고리부(352a)가 선단부에 가공된 제2회전브라켓(352)과, 일단부가 제2회전브라켓(352)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고정브라켓(351)에 고정되어 축회전한 제2회전브라켓(352)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체결수단(200)은 좌석(S)의 뒤쪽 하부에 고정되고 제1체결바(120)가 끼워지도록 일부위가 개방되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가 가공된 제1고정브라켓(210)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에 장착되고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제1회전브라켓(2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체결바(120)는 일자 형상이고,
    상기 제1체결수단(200)은 좌석(S)의 뒤쪽 하부에 장착된 제1레버(230), 좌석(S)의 하부에 고정되면서 일부위가 개방되어 제1체결바(120)가 끼워지는 고리 형상의 파지부를 구비한 제1고정브라켓(210), 상기 제1고정브라켓(210)에 장착되면서 제1레버(230)의 동작에 의해 당겨지면 축회전하면서 파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갈고리부(352a)가 선단부에 가공된 제1회전브라켓(220)과, 일단부가 제1회전브라켓(22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1고정브라켓(210)에 고정되어 축회전한 제1회전브라켓(220)을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KR1020210032959A 2020-09-23 2021-03-12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KR102295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903A KR20220128241A (ko) 2020-09-23 2021-06-21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2990 2020-09-23
KR1020200122990 2020-09-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03A Division KR20220128241A (ko) 2020-09-23 2021-06-21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867B1 true KR102295867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59A KR102295867B1 (ko) 2020-09-23 2021-03-12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KR1020210079903A KR20220128241A (ko) 2020-09-23 2021-06-21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903A KR20220128241A (ko) 2020-09-23 2021-06-21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58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128U (ko) * 1988-01-26 1989-07-27
KR19990041618U (ko) * 1998-05-22 1999-12-15 홍종만 자동차의 뒷좌석 확장 장치
JP2001130306A (ja) * 1999-11-05 2001-05-15 Tominaga Nobuki 自動車の座席面の拡張装置
US6830295B2 (en) * 2002-04-11 2004-12-1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Fixing device for fixing a seat to a vehicle floor, and a seat equipped with such a fixing device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128U (ko) * 1988-01-26 1989-07-27
KR19990041618U (ko) * 1998-05-22 1999-12-15 홍종만 자동차의 뒷좌석 확장 장치
JP2001130306A (ja) * 1999-11-05 2001-05-15 Tominaga Nobuki 自動車の座席面の拡張装置
US6830295B2 (en) * 2002-04-11 2004-12-1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Fixing device for fixing a seat to a vehicle floor, and a seat equipped with such a fixing device
KR20040106126A (ko) 2003-06-11 2004-1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의 확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41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986A (en) Easily handled 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US6883854B2 (en) Stowable rear seat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s
US10710487B2 (en) Seating cargo retention and lounging system
US8430443B2 (en) Stowable child seat for automotive vehicles
US7290822B2 (en) Occupant seat system
EP0881970B1 (en) Seat back automatic height adjuster and recliner mechanism
US7510227B2 (en) Vehicle rear seat
US8360496B2 (en) Folding seat system
US6874840B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GB2426699A (en)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with motor driven latches
US5056849A (en) Limousine construction
US6224132B1 (en) Easily handled 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US6669261B2 (en) Stowable rear vehicle seats
US20070182227A1 (en) Remote Release Seat Cushion Lock With One Hand Operation
US6959960B2 (en) Seating and cargo system for a vehicle
KR102295867B1 (ko) 차량용 좌석 확장 장치
WO2006092210A3 (de) Kraftfahrzeug
US6758527B2 (en) Headrest retractable against motor vehicle headliner
KR102443869B1 (ko) 차량 좌석용 고정장치
JP2005507826A (ja) 車両用の座席と荷台のシステム
US11554695B2 (en) Vehicle seat storage system
US20240157859A1 (en) Vehicle seat with fold-flat position
JPS6030105Y2 (ja) バン型自動車に設けた横向き座席装置
JP6494464B2 (ja) 車両
KR200226544Y1 (ko) 다인승차량의시트폴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49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222

Effective date: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