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07B1 -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 Google Patents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07B1
KR102295707B1 KR1020190041640A KR20190041640A KR102295707B1 KR 102295707 B1 KR102295707 B1 KR 102295707B1 KR 1020190041640 A KR1020190041640 A KR 1020190041640A KR 20190041640 A KR20190041640 A KR 20190041640A KR 102295707 B1 KR102295707 B1 KR 10229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operation start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9162A (en
Inventor
기예지
김주현
유가희
이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04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07B1/en
Publication of KR2020011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user terminal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based on a first user's input, and a server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a second user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APPLICATION CONTROL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아래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a server, and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통신망을 통해 타 사용자와 함께 참여하여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게임이다.Various types of services that can be enjoyed by participating with other users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re provided, and one of them is a game.

롤플레잉 게임(role-playing game)은 게임 이용자가 게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한 인물의 역할을 맡아 직접 수행하는 형식으로 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롤플레잉 게임 플레이어는 게임 관리자가 정해 놓은 규칙에 따라 모험과 상상의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므로 마치 게임 속의 주인공이 된 듯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A role-playing game is a computer game in which the game user assumes the role of a character in a game program and performs directly. Traveling in the world and performing various missions, you can feel the interest as if you were the main character in the game.

온라인게임은 컴퓨터 게임이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게임으로서, 온라인 게임 플레이어는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타인과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The online game is a computer game implemented so that the computer game can be operated i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an online game player can play a game with another person in a remote plac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참여하여 가상공간에 구현된 게임 맵에서 여러 가지 임무(퀘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유형의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다.In particular, MMORPG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type games, in which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participate and perform various missions (quests) on a game map implemented in a virtual space, are gaining popularity.

게임 진행과정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어는 온라인으로 연결된 다른 플레이어들과 소통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연결된 다른 플레이어와의 소통을 위한 기술은 다양한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the course of a game, a game player may have to communicate with other players connected online, and technologie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players connected online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recogni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quest an operation start for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first user's inpu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s inpu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start of oper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행위를 제2 사용자와 공유하여 제1 사용자는 상기 행위와 관련된 감정을 상기 제2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ction of the first user is shared with the second user so that the first user can feel the emotion related to the action. It can be shared with a second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user terminal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based on a first user's input, and a server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a second user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Also, the first user terminal may share a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first user terminal may obtai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rt request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the server may generate the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a most recent operation start request amo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하여 상기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rver,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es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n operation start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module,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start reques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operation start command to a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ser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a first user's input, and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request,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할 수 있다.Also, the first user terminal may share a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Also, the first user terminal may obtai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또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Also,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rt request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the server may generate the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a most recent operation start request amo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request an operation start for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제2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동작 시작을 요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first user's input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requesting to start oper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에서 획득하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의 행위를 제2 사용자와 공유하여 제1 사용자는 상기 행위와 관련된 감정을 상기 제2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ction of the first user is shared with the second user, so that the first user can share the emotion related to the action with the second user.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is operated based on an input of a first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is operated based on an input of a first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fo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s mean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well-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may be used as the same meaning. The above three terms refer to a wired/wireless short-distance and wide-area data transmission/reception network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es between a user terminal, terminals of other users, and a download serv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서버(200) 및 제2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 a first user terminal 10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 server 200 and a second user terminal 200 .

제1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TV(Smart TV),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user terminal 1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nd a navigation system. It may be a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TV,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단말로 게임 서비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provide various services including game service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서버(200)는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게임 플레이 데이터 -게임 소프트웨어 자체의 데이터 및 타 게이머들의 게임 플레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 를 제공한다.The server 200 provides game play data for playing the game, including data of the game software itself and data regarding game play of other gamers.

서버(200)는 제어요청을 획득하고 제어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obtain a control request and output a control command.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server' refers to a logical structural unit,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 physically separate componen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모듈(120), 입출력모듈(13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1 and 2 , the first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processor 110 ,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 an input/output module 130 , and a first database 140 .

제1 사용자 단말(100)을 구성하는 제1 프로세서(110), 제1 통신모듈(120), 입출력모듈(13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processor 110 ,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 the input/output module 130 , and the first database 140 constituting the first user terminal 100 are interconnected,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to each other. do.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included memory (not shown).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be connected to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connected memory (not shown).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operation program (eg, OS) for operating the first user terminal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1 프로세서(110)는 제1 통신모듈(1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output module 130 .

ⅰ) 동작 시작 요청 생성i) Create an action start request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obtai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이때, 제2 사용자의 계정은 제2 사용자임을 증명 또는 제2 사용자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 대화명, ID(identity 또는 identification) 또는 별명 등일 수 있으나,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is to prove that the user is the second user or to indicate that the user is the second user, and may be a character, a nickname, an ID (identity or identification), or a nickname, but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is not limited thereto. .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한다.The first processor 110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includ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sharing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 have.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포함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sharing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nclud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have.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s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grouping,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vertical drag, voice, sound, and horizontal drag, bu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sharing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user's input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have.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two of grouping, formation of a closed surface, vertical drag, voice, sound, or horizontal drag, bu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not limited thereto.

ⅱ) 동작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요청 생성ii) Create motion start request including motion position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 또는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including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based on the input/output module 130 obtained by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r the combination of the obtained input of the first user. can

제1 프로세서(11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 또는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포함된 동작 시작 제어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displays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input/output module 130's acquired first user's input or the acquired first user's input combination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An operation start control request including the operation location of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for sharing may be generated.

이때,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irst user's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grouping,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vertical drag, voice, sound, and horizontal drag, bu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two of grouping, formation of a closed surface, vertical drag, voice, sound, or horizontal drag, but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와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location of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제1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제1 사용자의 입력 후 1분)이 지나면 동작 시작 요청이 소멸되도록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The first processor 1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so that the operation start request disappears when a preset time period (eg, one minute after the input of the first user) passes.

제1 프로세서(110)는 The first processor 110 is

제1 통신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제1 통신모듈(120)은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transmits the operation start request generated by the first processor 110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network.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통신모듈(1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한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receives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통신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제1 통신모듈(1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1 통신모듈(1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receiv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1 통신모듈(120)은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the operation start request generated by the first processor 110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동작 시작 권한을 얻은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obtai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first user obtains the right to start the operation from other preset users.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인 제2 사용자로부터 동작 시작 권한(예컨대, 동작 시작 수락 신호)을 얻은 경우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operation start authority (eg,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user who is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모듈(130)은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아이템 강화 시간) 동안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for a preset time (eg, item enhancement time).

입출력모듈(130)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t preset time intervals.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동작되는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display a game screen operat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을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display a button for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creen.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에 평소와는 다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input of the first user, 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provide a different effect than usual to the button for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입출력모듈(130)은 그래픽 요소 이외에도 텍스트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입출력모듈(130)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입력되고 있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display tha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being input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input/output module 130 by using text in addition to the graphic element.

일례로,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획득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을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remove a button for recogniz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from the screen displayed to inform tha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being acquired.

다른 예로,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획득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입력 중” 이라는 글자를 표시)를 화면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display, 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screen, a display for notifying tha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being obtained (eg, displaying the word “inputting”).

다만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입출력모듈(130)은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알리기 위한 표시(예컨대, “동작 시작 거부” 라는 글자를 표시)를 화면 내의 적어도 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display, on at least one part of the screen, a display for notifying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eg, display the word “operation start rejection”).

입출력모듈(130)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two screens.

입출력모듈(130)이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은 하나의 화면이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The at least two screens included in 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a screen configured by dividing one screen into two.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면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2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creen existing outside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o configure at least two screens.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acquire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second user is present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모듈(130)은 제2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second user is present on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screens.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발생한 이벤트에 의해 제1 사용자의 입력의 시작을 인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recognize the start of the first user's input by an event occurring in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이때, 상기 이벤트는 화면 상의 버튼 터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ent may be a button touch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이벤트는 음성(예컨대, 제1 사용자가 “입력”이라고 말함)일 수 있다.Also, the event may be a voice (eg, the first user says “input”).

또한, 상기 이벤트는 텍스트(예컨대, 제1 사용자가 채팅창에 “입력”이라고 타이핑함)일 수 있다.Also, the event may be text (eg, the first user types “input” in the chat window).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의 시작을 인식한 후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the first user's input after recognizing the start of the first user's input.

입출력모듈(130)은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한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obtain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related to the event.

입출력모듈(130)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acquire at least one of grouping,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vertical drag, voice, sound, and horizontal drag a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bu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limited thereto. no.

입출력모듈(130)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을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으로 획득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obtain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two of grouping,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vertical drag, voice, sound, or horizontal drag as a combination of the first user's input, but Bonding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그룹핑(grouping)은 복수의 객체 중 일부가 선택되어지는 동작(예컨대, 하나의 선으로 객체들을 연결)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grouping may be an operation in which some of a plurality of objects are selected (eg, objects are connected with a single line).

또한, 상기 폐곡면은 화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는 동작일 수 있다.Also, the closed curved surface may be an operation of selecting at least one object by being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screen.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화면의 전부를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Also, the vertical drag may be dragged across the entire screen.

또한, 상기 수평 드래그는 화면의 전부를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Also, the horizontal drag may be dragged across the entire screen.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그룹핑(grouping)이 수행된 화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다른 화면을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Also, the vertical drag may be dragged across another screen vertically connected to a screen on which grouping is performed.

또한, 상기 수직 드래그는 폐곡면을 형성한 화면과 수직으로 연결된 다른 화면을 가로지르며 드래그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drag may be dragged across the screen on which the closed curved surface is formed and another scree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screen.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a separate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모듈(1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일 수 있으나, 입출력모듈(1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a touch screen, a mouse, an electronic pen, a microphone, a keyboard, or a touch pad, but the input/output module 130 is not limited thereto.

입출력모듈(1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일 수 있으나, 입출력모듈(1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module 130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a touch screen, a mouse, an electronic pen, a microphone, a keyboard, or a touch pad, but the input/output module 130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a program necessary for the game to be executed.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입출력모듈(130)이 획득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btained by the input/output module 13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1 프로세서(1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quest generated by the first processor 11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1 데이터베이스(14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database 1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모듈(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을 포함한다.1 and 3 , the server 200 includes a second processor 210 ,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and a second database 230 .

서버(200)를 구성하는 제2 프로세서(210), 제2 통신모듈(2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 processor 210 ,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and the second database 230 constituting the server 200 are interconnected, and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to each other.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에 대한 정보나 서버(200)의 동작을 관리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server 200 or an operation of the server 200 .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included memory (not shown).

제2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be connected to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2 프로세서(2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connected memory (not shown).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서버(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operation program (eg, OS) for operating the server 2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server 200 .

제2 프로세서(210)는 서버(2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200 .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모듈(2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ⅰ) 동작 시작 요청 선택ⅰ) Select mo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통신모듈(220)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을 획득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obtains an operation start request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중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selects an operation start request capable of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command from amo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s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복수개인 경우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select the most recent operation start reques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rt requests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복수개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첫 번째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select the first operation start request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rt requests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요청 중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없는 동작 시작 명령은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not select an operation start command that cannot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amo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 transmitt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ⅱ) 동작 시작 요청 분석ii) Analysis of mo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선택한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analyzes the selected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analyz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for representing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by the input of the first user.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for displaying other screen(s) that are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first user (eg, the screen at the location where the dragging ends).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 및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기 위한 분석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includes analysis information for representing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by the first user's input and other screen(s) connected to the first user's input (eg, the screen at the end of dragging). New analysis information can be created by combining analysis information to indicate

ⅲ) 동작 시작 명령 생성iii) Create an ac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When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동작 시작 수락 신호가 전송된 경우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When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제2 프로세서(210)는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필요한 시간)이 지나면 동작 시작 명령이 소멸하도록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so that the operation start command disappears when a preset time period (eg, a time required for an application operation) passes.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second user.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와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여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for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location of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됨을 알리기 위한 신호(예컨대, 화면에 “동작 시작”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가 포함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including a signal for notifying that the second user's application is started (eg, a signal for displaying “operation start” on the screen).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 순서에 따라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operation start request is analyzed.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controls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eg, display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operation (eg, starts a chatting application) information) may generate a combined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와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순차적으로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controls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eg, display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operation (eg, starts a chatting application) information)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sequentially combined.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 또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controls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eg, display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eg, starts a chatting application) information) may generate a combined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제어(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표시),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관한 정보(예컨대, 채팅 어플리케이션 시작에 관한 정보)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300) 화면의 우측 하단)가 조합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controls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eg, display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on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operation (eg, starts a chatting application) information) or an operation location of the application (eg,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may be combined to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한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y matching the analysis information analyzed by the first user's input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with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y matching analysis information representing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by the first user's input with information about an application.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y matching the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other screen(s) connected to the input of the first user (eg, the screen at the location where the dragging ends) and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have.

제2 프로세서(210)는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선택되어지는 복수의 객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 제1 사용자의 입력으로 연결(예컨대, 드래그가 끝나는 위치의 화면)되어지는 다른 화면(들)을 나타내는 분석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displays analysis information representing a plurality of objects selected by the first user's input, and other screen(s) connected to the first user's input (eg, the screen at the end of dragging). An operation start command can be generated by matching the analysis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기 위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for sharing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ⅳ) 동작 시작 명령 확인ⅳ) Check the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확인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confirms an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의 대상(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을 확인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checks the target of the operation start command (eg, the second user terminal).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의 실현 가능 여부(예컨대, 특수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여부)를 확인한다.The second processor 210 checks whether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s feasible (eg, whether a special application is use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or 210 may modify the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프로세서(210)는 동작 시작 명령이 수정 불가능한 경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무효화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start command cannot be modified, the second processor 210 may invalidate the operation start command.

제2 통신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hrough a network.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ransmits the operation start command generated by the second processor 210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통신모듈(220)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전송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통신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receiv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receiv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2 통신모듈(220)은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transmit the operation start command generated by the second processor 210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a program necessary to execute the game.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통신모듈(220)이 획득한 동작 시작 요청을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quest obtain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20 .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프로세서(210)가 생성한 분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cond processor 210 .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2 데이터베이스(23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database 23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모듈(320),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40)을 포함한다.1 and 4 ,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cludes a third processor 310 , a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 an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 and a third database 340 .

제2 사용자 단말(300)을 구성하는 제3 프로세서(310), 제3 통신모듈(320),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hird processor 310 ,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and the third database 340 constituting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re interconnected, and mutual data transmission is possible.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포함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included memory (not shown).

제3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be connected to a memory (not shown) in which programs are stored.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연결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programs stored in the connected memory (not shown).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제3 사용자 단말(3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operation program (eg, OS) for operating the third user terminal 3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third user terminal 300 .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user terminal 300 .

제3 프로세서(310)는 제3 통신모듈(32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

제3 프로세서(310)는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a program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의 시작을 제어한다.The third processor 310 obtains an operation start command, and controls the start of an application based on the obtained operation start command.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한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시작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obtain an operation start command and display an application to be started based on the acquired operation start command.

제3 프로세서(310)는 동작 시작 명령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generate an interface for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an application based on an operation start command.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수락한 경우에만 제어명령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시작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start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nly when the application operation start is accepted by the interface.

제3 프로세서(310)는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display the generated interface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

제3 프로세서(3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거부한 경우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when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fuses to start an application operation in the interface created above.

제3 프로세서(31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상기 생성한 인터페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을 수락한 경우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when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cepts the application operation start in the created interface.

제3 프로세서(310)는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 여부를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동작 시작” 이라는 글자를 표시) 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display (eg, display the word “application operation start”)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whether or not the application operation is started.

제3 프로세서(310)는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을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 동작 제어명령을 수신한 동작 시작 명령보다 우선하여 실행할 수 있다.The third processor 310 may execute the application operation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in preference to the received operation start command.

제3 통신모듈(3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결된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제3 통신모듈(320)은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수신한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receives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o the server 200 .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o the server 200 .

제3 통신모듈(3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hrough a network.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transmit an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3 통신모듈(320)은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hird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transmit an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provides a control interface to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게임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provide a game control interface to the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2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적으로 연결된 별로의 장치일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a separate devic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일 수 있으나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a touch screen, a mouse, an electronic pen, a microphone, a keyboard, or a touch pad, but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is not limited thereto.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마이크로폰,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결합일 수 있으나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f a touch screen, a mouse, an electronic pen, a microphone, a keyboard, or a touch pad, but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is not limited thereto.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include at least two screens.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이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은 하나의 화면이 2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화면일 수 있다.The at least two screens included in 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a screen configured by dividing one screen into two.

입출력인터페이스모듈(330)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외부에 존재하는 적어도 한 개의 화면과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2개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 module 330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creen existing outside the first user terminal 100 to configure at least two screens.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게임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a program necessary for the game to be executed.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가 전송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20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interfaces generated by the third processor 31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processor 31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3 프로세서(310)가 생성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generated by the third processor 31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서버(2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거부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rejec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제3 데이터베이스(340)는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동작 시작 수락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The third database 340 may store the operation start acceptance signal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100 .

여기서 사용된 '장치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device or module' refers to a logical structural unit,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a physically separate compon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한다(400).Referring to FIG. 5 , in the applic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request ( 400 ).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request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의 계정은 제2 사용자임을 증명 또는 제2 사용자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캐릭터, 대화명, ID(identity 또는 identification) 또는 별명 등일 수 있으나,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can obtai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00, and proves that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is the second user or This is to indicate that the second user is a user, and may be a character, a nickname, an ID (identity or identification), or a nickname, but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so, the first user's input may be at least one of grouping,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vertical drag, voice, sound, and horizontal drag, bu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은 그룹핑(grouping), 폐곡면 형성, 수직 드래그, 음성, 소리 또는 수평 드래그 중 적어도 어느 두개의 결합일 수 있으나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의 결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may be a combination of at least any two of grouping, formation of a closed surface, vertical drag, voice, sound, or horizontal drag, but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전송한다(41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request ( 410 ).

이때, 상기 동작 시작 요청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start request may includ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한다(42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selects an operation start request ( 420 ).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eration start request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select the most recent operation start request among the operation start requests.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요청을 분석한다(43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analyzes the operation start request (43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 시작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analyze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ncluded i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한다(44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44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분석정보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매칭시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generate an operation start command by matching the analysis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확인한다(45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confirms the operation start command ( 450 ).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 시작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modify the operation start command.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동작 시작 명령을 전송한다(46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transmits an operation start command (460).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시작한다(470).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starts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470).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은 동작이 시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may display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operation is started.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is operated based on an input of a first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 (a)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그룹핑(grouping)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b)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 (c)는 제2 사용자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6 , FIG. 6 (a) is a diagram illustrating grouping among inputs of a first user, FIG. 6 (b) is a diagram illustrating vertical drag among inputs of a first user, and FIG. 6 (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pplication starts.

도 6 (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은 내부에 2 개의 화면(501, 5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A ,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ncludes two screens 501 and 502 therein.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위 화면(50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아래 화면(502)은 비활성화 되어 있다.A game played by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501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lower screen 502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activated .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위 화면(501)의 일부분을 상세히 디스플레이 하고 있다.The middle screen 510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displays a part of the upper screen 501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n detail.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511),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그룹핑(grouping)을 나타내는 영문 N자 형태의 연속된 선(512) 및 상기 그룹핑(grouping)에 의해 선택된 게임 캐릭터를 나타내는 숫자가 1, 2, 3(513, 514, 515)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On the middle screen 510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user's hand 511 indica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nd an English letter N indicating grouping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re continuous. 1, 2, and 3 (513, 514, 515) are displayed as a line 512 and numbers representing game characters selected by the grouping.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인 그룹핑(grouping)은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00) 중 중간 화면(510)에 표시된 영문 N자 형태의 연속된 선(512) 이외에, 기 설정된 시간 내에 게임 캐릭터(들) 터치, 게임 캐릭터(들) 명칭 드래그 또는 게임 캐릭터(들) 명칭 터치 등을 이용하여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으나, 그룹핑(grouping)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grouping, which i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a method for selecting an object in the screen, and a continuous line 512 of an English letter N is displayed on the middle screen 510 of the screen 5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 an object in the screen may be selected using a game character(s) touch, a game character(s) name dragging, or a game character(s) name touch within a preset time, but the grouping method is limited thereto it is not

도 6 (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은 비활성화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b), a game played by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521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mong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game is displayed. The lower screen 522 is inactive.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530)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가 표시되어 있다.The first user's hand 530 indica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s hand 530 is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 arrow 531 indicating vertical drag during input is displayed.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위 화면(5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에서 끝나는 것을 나타낸다.An arrow 531 indicating vertical drag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starts from the upper screen 521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creen 522 of the screens 520 of the terminal, which means that vertical drag among the first user's input starts from the upper screen 521 of the screens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It indicates that the screen 520 ends at the lower screen 522 .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531)는 도 6 (a)에 디스플레이 된 그룹핑(grouping)(512) 된 게임 캐릭터들(513, 514, 515)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그룹핑(grouping)(512) 된 게임 캐릭터들(513, 514, 515)의 사용자들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20) 중 아래 화면(522)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The arrow 531 indicating vertical drag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the grouping 512 displayed in FIG. 6 (a) of the game characters 513 , 514 and 515 are connected to the lower screen 522 of the screen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which is a grouping 512 of the game characters 513 , 514 and 515 . It represents moving to the lower screen 522 of the screens 5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도 6 (c)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위 화면(54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아래 화면(522)에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인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6C , a game played by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541 of the screen 54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mong the screen 54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 game is displayed. On the lower screen 522, the chatting application that is the activated application is displayed.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540) 중 아래 화면(542)에 디스플레이 된 활성화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는 채팅방의 제목(550)이 표시되며, 상기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명칭(551)이 표시된다.In the activated chatting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lower screen 542 of the screen 540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title 550 of the chat room is displayed, and the names 551 of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are displayed.

이때, 사용자의 입력(그룹핑(grouping) 및 수직 드래그)을 기초로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based on the user's input (grouping and vertical drag),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chat application included in the terminal of the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상기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ction start comm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action start request, and in response to the action start command, a chatting application included in the terminals of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is activated. Included in the terminals of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The operation of the chatting application can be controlled.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is operated based on an input of a first us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 7 (a)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b)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c)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시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7 , FIG. 7 (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ormation of a closed curved surface during input by the first user, FIG. 7 (b) is a diagram illustrating vertical drag during input by the first user, and FIG. 7 (c) )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applic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starts.

도 7 (a)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은 내부에 2 개의 화면(601, 60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A , the screen 6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ncludes two screens 601 and 602 therein.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위 화면(60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아래 화면(602)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다.On the upper screen 601 of the screens 6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ppearance that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strengthens the game item is displayed, and the lower screen 602 of the screens 6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The chat application is active.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00) 중 위 화면(601)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610),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On the upper screen 601 of the screen 600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first user's hand 610 indica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nd the arrow 611 indicating the formation of the closed curved surface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re displayed. have.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인 폐곡면 형성은 화면 내의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형성된 폐곡면 내부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형성된 폐곡 면 내부의 객체를 선택할 수도 있으나, 폐곡면 형성을 이용한 화면내의 객체의 선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which i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a method for selecting an object in the screen, and an object inside the formed closed curved surface can be selected, and an object inside the formed closed curved surface can be selected, but the closed curved surface formation is not performed. The selection of an object in the used scree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 (b)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b), the screen 621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shows that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strengthens the game item, and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 In the lower screen 622 of 620), a chatting application is activated.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제1 사용자의 손(630)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s hand 630 represen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s hand 630 is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 arrow 632 indicating vertical drag during user input is displayed.

또한,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끝나는 지점인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하는 모습이 작은 화면(633)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In addition, at the lower right of the lower screen 622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t which the arrow 632 indicating the vertical drag ends, it is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621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figure in which a user of one user terminal strengthens a game item is displayed on a small screen 633 .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위 화면(621)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에서 끝나는 것을 나타낸다.An arrow 632 indicating vertical drag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starts from the upper screen 621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first user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screen 622 of the screens 620 of the terminal, which is that vertical drag among the first user's input starts from the upper screen 621 of the screens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t indicates that the screen 620 ends at the lower screen 622 .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의 중앙 우측에 표시된 제1 사용자의 입력 중 수직 드래그를 나타내는 화살표(632)는 도 7 (a)에 디스플레이 된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에 의해 형성된 폐곡면에서 시작되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폐곡면 형성을 나타내는 화살표(611)에 의해 형성된 폐곡면의 내부에서 선택된 객체가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20) 중 아래 화면(622)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The arrow 632 indicating vertical drag amo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displayed on the right center of the screen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the lung formed by the arrow 611 indicating the formation of a closed curved surface displayed in FIG. 7 (a). It starts from the curved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creen 622 of the screens 620 of the first user terminal, which indicates that the object selected inside the closed curved surface formed by the arrow 611 indicating the closed curved surface is display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It indicates moving to the lower screen 622 of the screens 620 .

도 7 (c)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위 화면(641)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아래 화면(642)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어 있고, 좌측 하단에는 사용자들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성한 채팅 내용(642)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며, 우측 하단에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640) 중 위 화면(641)에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작은 화면(651)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 c ), on the upper screen 641 of the screens 640 of the first user terminal, a state 650 of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successfully enhancing the game item is displayed, and the first user The chatting application is activated on the lower screen 642 of the screen 640 of the terminal, the chatting content 642 written by users using the chatting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lower left corner, and the screen 640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corner. ) of the first user terminal displayed on the upper screen 641 of the successful reinforcement of the game item 650 is displayed on the small screen (651).

이때, 제1 사용자의 입력(폐곡면 형성 및 수직 드래그)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을 강화를 성공한 모습(650)이 사용자들이 활성화시킨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formation of the closed surface and vertical drag), the appearance 650 of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successfully strengthening the game item is displayed overlaid on the chatting application activated by the users.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the display application included in the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위치에 관한 동작 시작 요청이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ration start request regarding a position in which the display application is operated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람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peration start comm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the display application included in the terminals of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is activated. An operation of the displayed display application and an operation position of the display application may be controlled.

또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의 단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1개의 화면을 채팅방에 초대된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application included in the terminals of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may be shared with the users invited to the chat roo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at least one.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of the combined component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so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제1 사용자 단말 200...서버
300...제2 사용자 단말
100...First user terminal 200...Server
300...second user terminal

Claims (13)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서버;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 중 어느 한 곳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 first user terminal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 server that generates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A second user terminal that performs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clud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e at least two screens,
The first user terminal acquire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character of the second user is present in any one of the at least two scree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for sharing a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for obtain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s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s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tion start request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the application control system generates the motion start command based on a most recent motion start request among the motion start requests.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과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작 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생성한 동작 시작 명령을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 중 어느 한 곳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서버.
in the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processor operatively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ing an operation start reques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received operation start request,
Transmitting the generated operation start command to a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e at least two screens,
The first user terminal is a server for obtain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character of the second user is present in any one of the at least two screens.
제1 사용자 단말, 서버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2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동작 시작 요청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동작 시작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수행하는 동작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2개의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제2 사용자의 캐릭터가 상기 적어도 2개의 화면 중 어느 한 곳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n applic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a first user terminal, a server, and a second user terminal,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request for an application of a second user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generating an operation start command based on the operation start request; and
performing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ncluding,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include at least two screens,
The first user terminal acquires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character of the second user is present on any one of the at least two scree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for sharing a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on which an application is displayed based on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 사용자의 계정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user terminal,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for obtain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when the account of the second user exists on the screen of the first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상기 제2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s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cond us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적어도 한 개의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eration start command is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includ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 of an appl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내에 상기 동작 시작 요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작 시작 요청 중 가장 최신의 동작 시작 요청을 기초로 상기 동작 시작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rver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otion start requests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an application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the motion start command based on a most recent motion start request among the motion start requests.
KR1020190041640A 2019-04-09 2019-04-09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KR102295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en) 2019-04-09 2019-04-09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en) 2019-04-09 2019-04-09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62A KR20200119162A (en) 2020-10-19
KR102295707B1 true KR102295707B1 (en) 2021-08-30

Family

ID=7304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640A KR102295707B1 (en) 2019-04-09 2019-04-09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7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12A (en) 2004-08-30 2006-03-09 Square Enix Co Ltd Artificial network game system, server device, game device, game advancing method, and program
JP2009512239A (en) * 2005-08-19 2009-03-19 任天堂株式会社 Wireless User Network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KR101963858B1 (en) * 2018-07-18 2019-04-01 넷마블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operating game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12A (en) 2004-08-30 2006-03-09 Square Enix Co Ltd Artificial network game system, server device, game device, game advancing method, and program
JP2009512239A (en) * 2005-08-19 2009-03-19 任天堂株式会社 Wireless User Network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KR101963858B1 (en) * 2018-07-18 2019-04-01 넷마블 주식회사 Method and server for operating game ser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2018.05.25)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162A (en)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753B2 (en) Game control de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game control method, game control system
US10245516B2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US9878247B2 (en) Comment display-capable game system, commen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365201B1 (en) System,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character motion guide information
KR102295707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KR102146166B1 (en) Serv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pvp broadcasting contents
KR102319298B1 (en) System, sever and method for contrllling game character
KR102383973B1 (en) Appar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CN110882541A (en) Game character control system, server, and game character control method
JP6768112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JP6775060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KR102271323B1 (en) Broadcasting effect offering device and method
KR102557808B1 (en) G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mo therein
JP6724209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JP2021020107A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KR20200029852A (en) System, 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character motion guide information
KR20200130225A (en) Output system, sever and output method for game effect sound
KR102302795B1 (e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KR102210552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 play data
KR20200048899A (en) Output system, sever and output method for game effect sound
KR102329749B1 (en) Sev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game character
JP6781796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JP6786660B2 (en) Game system and game program
KR102668175B1 (en) Method for registering user rankings of offline game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KR20200034202A (en) System, sever and method for contrllling game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