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65B1 -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 Google Patents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65B1
KR102291165B1 KR1020200160368A KR20200160368A KR102291165B1 KR 102291165 B1 KR102291165 B1 KR 102291165B1 KR 1020200160368 A KR1020200160368 A KR 1020200160368A KR 20200160368 A KR20200160368 A KR 20200160368A KR 102291165 B1 KR102291165 B1 KR 102291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lever
toile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김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헌 filed Critical 김정헌
Priority to KR1020200160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65B1/ko
Priority to PCT/KR2021/017476 priority patent/WO20221148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세정수를 저장하며 칸막이가 구비된 수조를 후방측 상부로 형성하고, 상기 수조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배수하고 상단에는 착좌할 수 있도록 착좌부가 마련되는 담수부를 전방측으로 형성하며,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어 오물과 세정수가 혼합된 오염물을 배출하되 악취 및 역류 방지를 위한 통 트랩이 장착되는 배출공간을 후방측 하부로 형성하는 변기본체 및 상기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세정수 배출레버가 결합되어 회전하고, 상기 수조와 담수부의 연결구를 개폐하는 세정수 배출템버 및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는 통 트랩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 및 오염물 배출템버를 동시에 개폐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 트랩은, 상기 유입구의 타측으로 배출구를 형성하여 벽에 매립된 배관과 연결되어 하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를 신속하고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초미량의 물을 사용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Maximized water-saving toilet bowl for wall piping}
본 발명은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초 미량의 물을 사용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벽 배관용 양변기라 함은 앉아서 대·소변을 보기 위한 서양식 변기로서 벽에 부착하도록 설치하여 사용하는 변기이며, 일반적인 양변기와 같이 변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다가 작동버튼을 누르면 수조로부터 물이 담수부로 공급되어 담수부에 있는 오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벽 배관용 양변기의 예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7747호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52173호 등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벽 배관용 양변기는 청소 등의 관리가 쉽고, 공간활용 및 디자인 등의 심미성이 좋아 현재 유럽시장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선호하는 추세이고, 우리나라도 고급건축물 또는 고급아파트 등에서는 일부 사용되고 있으며, LH 주택공사 등을 중심으로 신규 건축물에서 사용계획이 수립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벽 배관용 양변기는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7747호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52173호 등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벽에 설치하기 때문에 수압이 낮아 물의 압력을 더 받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조를 따로 분리하여 변기본체보다 높이 설치해야 되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양변기와 같이 배출부에 S, n 또는 V 트랩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양변기보다 더 많은 1회당 약 12L 내지 20L의 물을 사용하여 물의 낭비가 심하고, 또한 벽 배관용 양변기의 설치에 있어 벽 배관에 맞추기 위하여 변기본체의 높낮이를 맞추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쉽지 않아 시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수반하고 전문적인 설치 기사가 필요하며, 설치 후 누수 등에 의한 A/S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본체를 일반 양변기와 같은 수조일체형으로 만들어 수조의 높이를 낮추고, S, n 또는 V 트랩 방식의 트랩이 아닌 자연배수방식의 통 트랩을 장착하여 악취나 오물의 역류를 신속하고 완벽히 차단하며, 1회 물 사용을 약 3.5L 내지 4L의 초 미량의 물만을 사용하여 기존 양변기 대비 70% 내지 80%의 물을 절수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세정수를 저장하며 칸막이가 구비된 수조를 후방측 상부로 형성하고, 상기 수조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배수하고 상단에는 착좌할 수 있도록 착좌부가 마련되는 담수부를 전방측으로 형성하며,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어 오염물을 배출하되 악취 및 역류 방지를 위한 통 트랩이 장착되는 배출공간을 후방측 하부로 형성하는 변기본체 및 상기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세정수 배출레버가 결합되어 눌릴시 회전하고, 상기 수조와 담수부의 연결구를 개폐하는 세정수 배출템버 및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는 통 트랩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 및 오염물 배출템버를 동시에 개폐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 트랩은, 상기 유입구의 타측으로 배출구를 형성하여 벽에 매립된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수조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세정수 배출레버와 결합되며, 타단부가 단차를 형성하는 레버축; 상기 레버축 첫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상기 오염물 배출템버와 연결되는 제1 레버; 상기 레버축 둘째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와 연결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레버축 타단부에 구비되며, 일측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면에 세정수의 인입 및 배출이 가능한 유동구를 형성하여,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와 오염물 배출템버의 개폐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은, 상기 유동구와 상응하는 형태의 개폐조절구를 마련하여 유동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며, 세정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구는 상기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2개씩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수부 내벽은 70 내지 80°의 경사각(α)을 형성하며, 상기 담수부 내벽으로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담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분출구는,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배출각(β)이 35°내지 45°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물 배출템버는 상기 통 트랩의 유입구 상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연장바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자성으로 오염물 배출템버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본체는, 통 트랩 장착 공간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점검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는, 상기 수조와 담수부의 연결구의 일측에서 직립하거나 일부 경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오버플로우관에는 레버부와 연결되는 연결체가 장착되고, 장착된 연결체는 고정클램프에 의해 레버부에 결속되어, 오버플로우관과 레버부가 서로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하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를 신속하고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기존 양변기 대비 70 내지 80%의 초 미량의 물 만을 사용하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다.
도 3a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세정수 분사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b의 (a) 및 (b)는 담수부 내벽 경사각(α)과 세정수의 배출각(β)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수조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레버부와, 레버부에 연결되는 부분들의 구성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레버부의 일 구성인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을 도시한 도면이며, (b)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에 탈부착 가능한 개폐조절장치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세정수 배출템버와 연결된 연결체 및 고정클램프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커버를 분리하여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통 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통 트랩의 몸체 구성도이다.
도 1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석이 부착된 통 트랩을 커버를 제거하여 바라본 상세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석의 높이 조절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통 트랩의 일 구성인 통트랩 레버축을 통한 오염물 배출템버 개폐작동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오염물 배출템버 폐쇄상태를 통 트랩을 절개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일부재를 분리하여 바라본 통트랩 레버축의 상세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삽입부재의 후측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걸고리를 보강플랜지에 결합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배출구가 하측방향으로 마련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 트랩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고, 도 3a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세정수 분사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b의 (a) 및 (b)는 담수부 내벽 경사각(α)과 세정수의 배출각(β)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벽으로 배관을 형성하는 건물에 설치되는 양변기로서, 종래 벽 배관용 양변기 대비 약 70 내지 80% 정도의 적은 양의 용수로도 오물을 배출하되, 저소음으로 처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오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역류, 누수 등을 방지하며, 설치(시공)도 쉬운 양변기이다.
이러한 효과를 지닌 본 발명의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조(200)와 착좌부(140) 및 담수부(130)를 형성하며 통 트랩(500)이 장착되는 변기본체(100)와, 수조(200)에 마련되는 레버부(도 1 내지 3에 미도시, 300)를 포함하여 벽에 매립된 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변기본체(100)는 후방측 상부에 세정수를 저장하며 칸막이(도 4에 도시됨, 210)에 의해 양측방에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는 수조(200)를 마련할 수 있고, 전방측에는 수조(200)와 연결되어 오물을 수용하되 저장된 세정수를 공급받아 분사하며 상단으로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착좌부(140)를 형성하는 담수부(130)가 마련되고, 후방측 하부로는 수조(200) 및 담수부(130)와 일 몸체를 형성하면서 내부는 담수부(130)와 연결되는 통 트랩(500)이 장착되는 배출공간(150)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통 트랩(500)은 담수부(130)와 배출공간(150)을 경계하는 개수구(155)에, 유입구(512)가 연결되고 배출구(514)는 타측으로 형성하여 벽에 매립된 배관과 연결되도록 장착됨으로써, 오물이 수용된 담수부(130)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될 때에 오물과 세정수가 혼합된 오염물을 통과시켜 배출구(514)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통 트랩(500)의 유입구(512)에는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구비되어 세정수의 분사와 동시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세정수가 담수부(130)에 도달하기 전 오염물을 먼저 신속히 배출할 수 있고 시간차로 세정수가 담수부를 깨끗이 세척한 후 배출되도록 하며, 세정수까지 배출 후에는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폐쇄되도록 형성되어 누수, 악취 및 역류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폐쇄는 후술하겠지만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레버축인 연장바(524)에 매립된 자석(526)의 자력에 의하여 누수, 악취 및 역류 등이 강하게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레버부(300)와 연결되어 레버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세정수 배출레버(350)의 작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는데, 여기서 레버부(300)는 수조(200)와 담수부(130)의 연결구(452, 도 1 내지 3에 미도시)를 개폐하는 세정수 배출템버(450)와도 연결되어,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를 동시에 개폐함으로써 세정수의 분사와 동시에 오염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부(130)는 소량의 세정수로도 세정력을 향상시키도록 담수부(130) 내벽을 70° 내지 80°의 경사각(α)을 형성하여 세정수의 수압을 상승하도록 하며, 담수부(130)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분출구(135)를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세정수의 배출각(β)을 수평 배출 방향 기준 약 35°내지 45°로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세정수의 배출각(β)이 35°내지 45°로 형성될 시에는 세정수 배수시에 회전수류가 발생되어 소량(대략 3.5 내지 4.0L)의 세정수로도 담수부(130) 내부를 골고루 빈틈없이 보다 강하게 세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배출각(β)은 이해를 돕고자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를 평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직각을 이루는 착좌부(140)의 시작점만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분출구(135)는 착좌부(140)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복수로 마련되므로, 각 분출구(135)를 기준으로 배출각(β)이 도 3b의 (b)와 같이 형성됨으로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분출구(135)가 담수부(130) 내벽으로 분사할 시에 수평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수직(Z축)과 수평(X축 또는 Y축) 사이의 각도 내에서 분사 방향을 설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X축과 Y축으로 관계되는 배출각(β)만 상기와 같은 35°내지 45°각도의 배출각(β)을 형성하면 무관하다.
즉, 수조(200) 상단에 설치된 레버부(300)의 세정수 배출레버(350)를 작동시키면 레버부(300)에 연결된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동시에 개방되어, 먼저는 담수부(130)에 담겨진 오물이 자중과 압력차 등에 의해 통 트랩(500) 측으로 배출되면서 곧 바로 수조(200)에 저장된 세정수가 35°내지 45°의 각도(β)의 복수의 분출구(135)를 통해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며 빈틈 없이 담수부(130)로 배출되어 70° 내지 80°의 경사각(α)의 담수부 내벽을 따라 흐르고, 이로 인해 담수부(130) 내부를 신속하고 강하며, 꼼꼼한 세정하여 오물 등을 깨끗이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복수의 분출구(135)는 일 예로 36개 내지 38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변기의 크기, 담수부(130)의 면적 또는 수압 조절 등에 따라 개수는 달리 될 수 있다.
아울러, 통 트랩(500)이 장착되는 변기본체(100)의 배출공간(150)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점검구(160)를 형성하여 변기본체(100) 외측에서도 통 트랩(500)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점검구(160)에는 덮개(165)를 마련하여 미사용 시에는 점검구(160)를 폐쇄하여 통 트랩(5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미관상 깔끔하게 할 수 있고, 변기본체(100) 내부로 이물질이나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레버부(300)에 시간을 지연하도록 형성되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을 구비하여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개폐 작동시간을 지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오물 및 세정수의 배출시간을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수조 내의 세부 구성을 설명할 때에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수조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레버부와, 레버부에 연결되는 부분들의 구성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의 레버부의 일 구성인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을 도시한 도면이며, (b)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에 탈부착 가능한 개폐조절장치를 분리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세정수 배출템버와 연결된 연결체 및 고정클램프의 분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수조(200)는 칸막이(210)에 의해 양측으로 2개의 공간(205a, 205b)을 형성하며, 하나의 공간(205b)에는 세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며, 나머지 하나의 공간(205a)은 칸막이(210)에 의해 세정수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세정수가 유입되는 세정수 저장 공간(205b)에는 통상적인 양변기와 같이 세정수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세정수가 공급되고, 세정수양에 따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 볼탑(22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조 상단에는 칸막이(210) 상측으로, 일단에 세정수 배출레버(350)가 결합된 레버부(300)가 수조(200)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세정수 배출레버(350)는 수조(200) 외측벽에서 회전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수 배출레버(350)의 회전 작동에 따라 레버부(300)에 연결된 세정수 배출템버(450) 및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동시에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부(300)는 수조(200)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일단부가 수조(200)의 일측면을 관통하며 타단부가 단차를 형성하는 레버축(310)과, 레버축(310) 첫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W1)으로 오염물 배출템버(530)와 연결되는 제1 레버(320)와, 레버축(310) 둘째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W2)으로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연결되는 제2 레버(330)와, 단차가 형성된 레버축(310) 타단부에 구비되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조(20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레버축(310)은 상술하였듯이 세정수 배출레버(350)와 결합될 수 있는데, 세정수 배출레버(350)는 일정 회전 범위를 갖도록 세정수 배출레버(350)의 회전반경 일측부와 타측부로 돌출되는 스토퍼(350a)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350a)로 인해 회전반경이 결정되는 세정수 배출레버(350)는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며, 레버축(310)과 연결되는 구성들이 수조(200) 내벽 등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여 부품들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버(320)는 세정수가 유입되지 않는 수조(200)의 공간(205a) 상측으로 형성되는 레버축(310)의 첫단에 연접되며, 말단부에 결착구(325)를 형성하여 와이어 또는 체인(W1)으로 통 트랩(500)을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530)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레버(330)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수조의 공간(205b) 상측으로 형성되는 레버축(310)의 둘째단에 연접되며, 말단부에 결착구(335)를 형성하여 와이어 또는 체인(W2)으로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세정수 배출템버(450)는 중앙 볼탑(450a)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는 제2 레버(330)는 세정수 배출템버(450)의 중앙 볼탑(450a)에 연결되어 세정수 배출템버(45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은 레버축(310)의 단차부에 구비되어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개폐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은 상부는 개방되고 그 내부에는 세정수를 담아 배출할 수 있는 원형 내지 타원형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축(310)과의 연결을 위해 좌/우측으로 걸고리(341)를 형성하고 걸고리(341) 내부에는 걸고리중심축(342)을 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며, 걸고리중심축(342)의 중심으로는 상방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단부에는 레버축(310)의 축심을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부(343a)를 마련하는 연결고리(343)를 통해 레버축(31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은 레버축(310)의 회전 작동에 따라 세정수를 인입 및 배출하기 위하여 측면과 하면에 각각 2개씩의 유동구(340a)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유동구(340a)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조절장치(345)를 포함하여, 세정수 배출템버(450) 및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개폐 작동을 지연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은 기본적으로 약 4 내지 6초의 지연시간을 형성하되, 개폐조절장치(345)의 조절을 통해 유동구(340a)의 지연시간을 임계치에서 각각 가감하여 3 내지 30초 동안 지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조절장치(345)는 유동구(340a)의 개폐 정도 조절을 위해 유동구(340a)와 상응하는 형태인 개폐조절구(345a)를 형성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태는 변형될 수 있고, 측면 유동구(340a)와 하면 유동구(340a) 각각에 대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레버부(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용수가 담겨진 상태의 담수부(130)에 사용자가 오물을 투하 후 오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세정수 배출레버(350)를 회전시키면, 레버축(310)의 각 단에 연결된 세정수 배출템버(450) 및 통 트랩(500)의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동시에 개방되고 이로 인해 오물이 먼저 배출되면서 이후 세정수가 담수부(130)로 분사되어 나머지 오물과 함께 충분히 빠져나가는데, 레버축(310)의 단차부에 연결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은 세정수 배출레버(350) 작동 전에 회전부(343a)에 의해 수조(200) 내부에 채워진 세정수 속에 잠겨 각 유동구(340a)를 통해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 내부로 세정수를 유입시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 내부로 세정수가 가득찬 상태로 있으며, 세정수 배출레버(350)의 작동 후에는 수조 바닥의 수직 위치에 근접할 때까지 정지해 있다가, 세정수 배출에 의해 수조(200)의 수위가 하강하여 유동구(340a)까지 근접하게 되면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 내부의 세정수의 누수가 시작되면서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개방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지연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3 내지 30초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폐조절장치(345)의 조절에 따라 지연시간은 가감될 수 있다.
시간지연을 시작한 후에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의 물의 무게의 감소로 인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의 상승에 따라 세정수 배출레버(350)의 복귀와 함께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닫히게 되며, 이때 자력으로 누수, 역류 및 악취 등을 차단하며,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닫힌 후에는 수조(200) 내부에 다시 수위가 상승하면서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도 유동구(340a)로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고, 세정수가 가득 채워져 차후 레버축(310)의 회전에 의한 시간지연 작업을 다시 준비할 수 있다.
한편,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폐쇄는 통 트랩(50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자석(516, 526)에 의해 폐쇄되어 보다 신속하면서도 강한 고정력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도 9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통 트랩(500)을 설명할 때에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세정수 배출템버(450)는 세정수 유입공간(205b)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버플로우관(415)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세정수 배출템버(450)의 회전 축심을 형성하는 결합돌기(451-1)가 돌출될 수 있고, 세정수 배출템버(450)는 돌출된 결합돌기(451-1)에 결합되어 일정 반경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수 배출템버(450)는 결합돌기(451-1)에 대해 원터치식 결합할 수 있어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관(451)은 수조(200)와 담수부(130)의 연결구(452)의 일측에서 직립하거나 일부 경사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오버플로우관(451)과 연결구(452)는 일 몸체를 이루도록 제조되거나, 각기 따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연결구(452)는 일측의 높이가 더 낮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담수부(130)로의 세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며 세정수 배출템버(450)의 자중으로 인한 연결구(452)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구(452)의 하단에는 세정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453)을 마련할 수도 있으며, 그 하단 중심으로는 조임볼트(454)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정수 유입공간(205b)에서 담수부(130)로 배출되는 세정수는 연결구(452)를 통해 조임볼트(454) 측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는데, 여기서 조임볼트(454)를 조절하여 세정수의 배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오버플로우관(451)에는 레버부(300)와 연결되는 연결체(455)가 장착되고, 장착된 연결체(455)를 레버축(310)과 함께 고정클램프(456)로 결속시켜, 오버플로우관(451)과 레버부(300)가 서로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체(455)는 오버플로우관(451)보다 작거나 큰 직경을 형성하여 오버플로우관(451)에 삽입되거나, 오버플로우관(451)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관(455a)과, 삽입관(455a)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바(45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연결체(455)가 오버플로우관(451)에 장착될 경우에는 연결바(455b)는 레버축(310)과 수직하게 되고, 평행한 연결바(455b)와 레버축(310)을 고정클램프(456)로 결속시켜, 오버플로우관(451)과 레버부(300)가 서로 결속되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클램프(456)는 일례로써 수직한 레버축(310)과 연결바(455b)를 n자형으로 감싸면서 양끝 단부에는 체결공(456a)이 마련되어 나비 볼트 등의 조임부재(456b)를 통해 조여져 레버축(310)과 연결바(455b)를 결속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예로써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버축(310)과 연결바(455b)를 결속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고정클램프(456)의 형태는 상기 예시외에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레버부(300)는 수조(200) 일측에 지지되고, 오버플로우관(451)은 연결구(452)에 의해 지지되면서, 레버부(300)와 오버플로우관(451)은 서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레버부(300)의 미작동 시는 물론 레버부(300)의 회전작동에 따른 반력에도 보다 견고한 지지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통 트랩(5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커버를 분리하여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의 통 트랩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통 트랩의 몸체 구성도이고, 도 1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석이 부착된 통 트랩을 커버를 제거하여 바라본 상세도이다.
또한,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석의 높이 조절 예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통 트랩의 일 구성인 통트랩 레버축을 통한 오염물 배출템버 개폐작동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오염물 배출템버 폐쇄상태를 통 트랩을 절개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일부재를 분리하여 바라본 통트랩 레버축의 상세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삽입부재의 후측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걸고리를 보강플랜지에 결합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0은 배출구가 하측방향으로 마련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 트랩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통 트랩(500)은 양변기의 담수부(130)와 연결되도록 배출공간(150)에 장착되며 후방 벽측으로 배출구(514)를 형성하여 벽 배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 트랩(500)은 수조(200)를 통하여 용수가 담수부(130)에 담겨진 상태에서 오물을 투하하면, 세정 시 오염물 배출템버(530)와 세정수 배출템버(450)가 동시에 개방되어 오물이 오염물 배출템버(530)를 통해 배출구(514) 측으로 먼저 배출됨과 동시에 수조(200)에서는 세정수를 담수부(130)를 분사하여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고 배출구(514)로 오염물이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악취 발생 또는 역류를 차단할 수 있고, 소량의 물만을 사용하여 세정함으로써 초 절수(1회 세정당 3.5L 내지 4.0L의 물 사용) 세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 트랩(500)은 변기본체(100)의 후방측 하부로 형성되는 배출공간(150)에 설치되고,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담수부(130)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세정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510-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개구부(510-2)를 형성하며, 정면과 후면은 수직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한 벽면(510a, 510b)을 형성하되, 일측에는 통트랩 레버축(520)을 안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통트랩 레버축(520)이 안착된 공간의 하단 벽면(510a)에는 오염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유입구(512)가 형성되며, 후면에는 배출구(514)가 형성되어 일측으로 집중된 오염물을 배수하는 통트랩 몸체(510) 및 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는 통트랩 몸체(510)와 연결하는 걸고리(575)가 형성되어 상기 통트랩 몸체(510)의 개구부(510-2)에 안착되어 통트랩 몸체(510)를 덮는 커버(5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통트랩 몸체(510)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담수부(130)를 통하여 담수된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을 공급받아 신속하게 배출하는 공간(510-1)이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개구부(510-2)를 형성하고 있어 개구부(510-2)를 덮기 위한 커버(570)가 안착되고, 정면과 후면은 수직면 또는 경사면을 형성한 벽면(510a, 510b)을 형성하되, 그 벽면들(510a, 510b) 중 일측에는 돌출된 단부(510c)를 형성하여 통트랩 레버축(520)을 안착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며, 통트랩 레버축(520)이 안착된 공간의 하단 측벽(510a)에는 담수부(130)에서 공급되는 오염물이 유입되는 유입구(512)가 형성되며, 유입구(512)가 형성된 타측벽(510b)으로는 통트랩 몸체(510)를 통과하는 오염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4)를 마련하여 오염물을 집중시켜 배수할 수 있으며, 통트랩 몸체(510) 상부의 개구부(510-2)에는 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는 통트랩 몸체(510)와 연결하기 위한 걸고리(575)를 형성하는 커버(570)로 덮어 개구부(510-2)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통트랩 몸체(510)의 상부 외측에는 커버(570)의 측면 걸고리(575)와 상호 결착하도록 돌부(515)가 형성되어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이는, 수조(200)의 세정수 배출레버(350) 조작에 의하여 세정수가 담수부(130)를 거쳐 배출구(514) 측으로 오염물이 통과할 때 유입구(512)와 유동로(流動路) 등에 잔재물이 누적 내지 적체된 경우에도 커버(570)를 개폐하여 수시로 확인 점검이 가능함과 동시에 보수가 가능하고, 커버(570)의 개폐가 용이함으로써 일반인도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변기본체(100)의 통 트랩 장착 공간인 배출공간(150)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점검구(160)를 통해 통 트랩(500)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는 유지보수 측면에서 종래 양변기 대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출구(514)의 경우 직선 방향으로 돌출되어도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벽 방향으로 타공하여 70° 내지 80°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오염물의 배출효과를 높이고자 함으로 하향 경사지는 배출구(514)를 따라 오염물은 자중과 압력 등의 작용으로 인해 배출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구(514)의 각도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 반드시 상기의 경사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0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통트랩 몸체(510)의 유입구(512)는 기밀성 등을 높이기 위해 시일부재(540)와 보강삽입부재(550) 및 보강플랜지(560) 등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정면과 후면 중 일측벽에 돌출된 단부(510c) 공간에 안착되는 통트랩 레버축(520)은 회전축(522)과 연장바(524) 및 제1 자석(5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레버부(300)와 와이어 또는 체인(W1) 등으로 연결되어 레버부(30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통트랩 레버축(520)에는 통 트랩(500)의 유입구(512)를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레버부(300)의 회전에 따라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트랩 레버축(520)은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을 갖는 회전축(522)이 통 트랩(500)의 유입구(512)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회전축(522)의 양단에는 통트랩 몸체(510)의 측벽(510a) 상단에 천공된 구멍(511)에 삽입하고 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2개의 고정부재(523)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고정부재(523) 중 하나를 통해 회전축(522)의 일단부에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는 연장바(524)가 결합되어 회전축(522)과 일체화할 수 있고, 연장바(524)의 단부에는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밀폐되는 자석 하우징(525)을 마련하여 제1 자석(526)을 내재하며, 자석 하우징(525)이 인접한 연장바(524) 단부로는 레버부(300)와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또는 체인(W1)을 결속시키는 연결부(527)가 구비되어 레버부(300)의 작동에 따라 통트랩 레버축(520)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장바(524)가 결합되는 통트랩 몸체(510)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제1 자석(526)에 대응하는 제2 자석(516)을 내재하는 자석 안착부(516a)를 체결하여 제1 자석(526)과 제2 자석(516)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레버부(300)의 작동을 제외하고는 연장바(52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자석(526)과 제2 자석(516)의 인력 작용은 강하게 작용되어 누수, 역류 및 악취 등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으며, 통트랩 몸체(510) 외부에서 자성을 가지므로 통트랩 몸체(510) 내부로 쇠조각 등이 유입되어도 제1 자석(526) 또는 제2 자석(516)에 걸릴 여지가 없다.
한편,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자석(526)이 자석 하우징(525)에 단순 내재되는 것만으로 설명되었으나, 제1 자석(526)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자석 하우징(525)이 위치하던 연장바(524)의 단부에는 내부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하우징 연결부(525b)가 마련되고, 자석 하우징(525)은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나사 타입(525a)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연결부(525b)의 나사산과 상응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자석 하우징(525)은 그 단면이 '凸'형태로 형성되어 하단 수평면(525a-1)에는 제1 자석(526)이 구비되며, 수직면(525a-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 연결부(525b)의 하부에서 삽입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회전 시 하우징 연결부(525b)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하면서 높이가 조절되어 구비된 제1 자석(526)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하우징 연결부(525b)를 역으로 관통하는 나사 타입 자석 하우징(525a)의 단부에는 하우징 연결부(525b)의 상측으로 이탈 방지 또는 높이 결정을 위한 회전 스토퍼(525c)가 마련될 수 있으며, 회전 스토퍼(525c)는 파지의 용이를 위해 스프로킷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트랩 레버축(520)의 회전축(522)에는 오염물 배출템버(530)가 결합되어 통트랩 레버축(520)의 회전에 따라 오염물 배출템버(530)도 같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데,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통트랩 레버축(520)의 안착부의 형성으로 인해 통트랩 몸체(510)에 형성되는 단턱(510d)에 상응하도록 'ㄱ'자 형으로 절곡되되, 그 상부면에는 강도 증가와 무게 감축을 위한 리브(535a)를 마련하는 연결부재(535)에 의해 통트랩 레버축(5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부(300)의 회전에 따라 세정수 배출템버(450)와 함께 동작되는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자성의 힘으로 유입구(512)를 폐쇄하여 누수 및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34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개방 지연되어 오염물을 충분히 배출하고 난 뒤에는 유입구(512)를 신속히 폐쇄하여 누수 및 악취의 차단은 물론 물을 적당량만 사용하도록 하여 초 절수 실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입구(512)를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유입구(512)에 상응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의 중앙에는 단턱을 가진 원기둥을 형성하고, 그 단턱 둘레 내부에는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의 돌부(537)를 형성함으로써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유입구 폐쇄시 돌부(537)가 유입구(512)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상술하였듯이 연결부재(535)에 의해 레버부(300)와 연결되는 통트랩 레버축(520)과 결합하여 회전 작동할 수 있는데, 여기서 연결부재(535)는 'ㄱ'자형의 하부면을 형성하여 통트랩 레버축(520) 결합을 위한 단부의 형성으로 마련되는 통트랩 몸체(510)의 단턱에 안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오염물 배출템버(530) 개방시에는 걸림이 방지되되 폐쇄시에는 회전축(52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단턱과 무관한 상부면은 복수의 리브(535a)를 형성하여 강도 증가 및 무게 감축을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35)는 단부가 개방되어 회전축(52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때 연결부재(535)와 결합되는 회전축(522)의 중앙부에는 연결부재(535)의 개방된 단부와 상응하는 길이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결합시 연결부재(535)의 단부 상부가 함몰부(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염물 배출템버(530)는 회전축(522)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시에는 연결부재(535) 좌/우측으로 단턱(528)이 형성되어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가 있다.
한편,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 위로 단턱 둘레의 내부에 형성되는 버섯형의 볼록한 원호 돌부(537) 사이에는 오염물 배출템버 홈부(미도시)를 마련하여 시일부재(54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이는 오염물 배출템버(530)의 유입구(512) 밀착시 정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비틀림 변형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으로, 시일부재(540)는 링 형상의 시일몸체(542)와, 시일몸체(542)의 외측으로 단차를 가진 결합부(544)로 구성되고, 결합부(544)의 내측과 외측에는 보강리브(546)를 형성하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시일부재(540)는 유연성이 있고, 탄성이 우수하며, 인성이 길게 유지되고, 용수와 오물이 혼합된 오염물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는 재질 즉, 예컨대 실리콘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접착재를 사용하여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통트랩 몸체(510)의 원통형 유입구(512)에는 내측에는 유입구 홈부(512a)를 형성하여 보강삽입부재(550)를 삽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삽입부재(550)는 유입구(512)에 상응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벽면의 형태에 따라 수직되거나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유입구(512)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하여 유입구(512)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몸체(552)와, 삽입몸체(552) 외측으로 유입구 홈부(512a)와 상응하도록 돌출되어 삽입몸체(552)를 고정시키는 돌기부(554)와, 삽입몸체(552)의 타단부에 삽입몸체(552)보다 더 큰 직경을 형성하여 유입구(512)와 경계를 이루는 걸림부(5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부(554)가 유입구 홈부(512a)에 견고하게 결착되도록 유입구(512)에 장착되어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오염물 배출템버(530)에 연결된 시일부재(540)와도 견고하면서도 밀접하게 접속 고정되어 악취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512)의 입구인 인입부와 양변기의 담수부(130) 출구 사이에는 관로의 중간매개체로써 활용되는 보강플랜지(560)가 상호 결합되어 담수부(130)에 담겨진 용수와 오물의 오염물이 틈으로 새지 않고 통 트랩(500)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플랜지(560)는 전방(담수부 측)에는 입구홀(561)을 형성하고 그 중앙에는 플랜지(562)가 형성되며, 후방(유입구 측)으로는 출구홀(56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구홀(561)의 개방된 단부에는 단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양변기의 담수부(130)의 출구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출구홀(563)은 유입구(512)의 인입부로 삽입되는 보강삽입부재(550)의 걸림부(556) 단부에 접속되고, 출구홀(563)의 내측에는 출구홀 홈부(미도시)를 마련하는 단턱부(564)가 형성되고, 출구홀 홈부에는 실(seal)을 삽입하여 보강플랜지(560)가 이동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유입구(512)와 견고하게 밀착 고정하므로 악취가 용이하게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플랜지(560)는 둘레를 따라 플랜지 리브(565)를 설치함으로써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플랜지(560)는 유입구(512)의 외측에 대향의 지지대(517)를 좌우로 설치하고, 지지대(517)의 일측에 천공된 구멍에 핀(518)을 사용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사용되는 원터치걸고리(519)를 설치하고, 원터치걸고리(519)를 보강삽입부재(550)의 걸림부(556) 단부에 결착되도록 함으로써, 보강플랜지(560)를 단시간에 일체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내지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용이하게 처리가 가능하여, 비숙련된 작업자의 경우에도 결합 내지 해체 또는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원터치걸고리(51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과 하측에 각 1개씩 총 3개가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개수와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배출구(514)가 통 트랩(500)의 후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사용되는 곳에 따라서 배출구(514)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변기본체
130 : 담수부
140 : 착좌부
150 : 배출공간
200 : 수조
300 : 레버부
310 : 레버축
320 : 제1 레버
330 : 제2 레버
340 :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
345 : 개폐조절장치
450 : 세정수 배출템버
455 : 연결체
500 : 통 트랩
510 : 통트랩 몸체
520 : 통트랩 레버축
530 : 오염물 배출템버
W : 와이어 또는 체인

Claims (10)

  1. 세정수를 저장하며 칸막이가 구비된 수조를 후방측 상부로 형성하고, 상기 수조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배수하고 상단에는 착좌할 수 있도록 착좌부가 마련되는 담수부를 전방측으로 형성하며,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어 오염물을 배출하되 악취 및 역류 방지를 위한 통 트랩이 장착되는 배출공간을 후방측 하부로 형성하는 변기본체 및
    상기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세정수 배출레버가 결합되어 눌릴시 회전하고, 상기 수조와 담수부의 연결구를 개폐하는 세정수 배출템버 및 상기 담수부와 연결되는 통 트랩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오염물 배출템버와 연결되어, 회전 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 및 오염물 배출템버를 동시에 개폐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 배출템버는,
    상기 통 트랩의 유입구 상측을 가로지르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는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연장바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바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자성으로 오염물 배출템버를 개폐하고,
    상기 통 트랩은,
    상기 유입구의 타측으로 배출구를 형성하여 벽에 매립된 배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수조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수조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세정수 배출레버와 결합되며, 타단부가 단차를 형성하는 레버축;
    상기 레버축 첫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상기 오염물 배출템버와 연결되는 제1 레버;
    상기 레버축 둘째단에 연접되며, 단부가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와 연결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레버축 타단부에 구비되며, 일측면과 하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면에 세정수의 인입 및 배출이 가능한 유동구를 형성하여,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와 오염물 배출템버의 개폐 작동시간을 동시에 지연하는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을 포함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은,
    상기 유동구와 상응하는 형태의 개폐조절구를 마련하여 유동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며, 세정수의 인입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개폐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구는, 상기 시간 및 잔수조절 두레박의 측면과 하면에 각각 2개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 내벽은 70 내지 80°의 경사각(α)을 형성하며,
    상기 담수부 내벽으로 세정수를 배수하도록 담수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분출구는,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배출각(β)이 35°내지 45°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통 트랩 장착 공간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점검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배출템버는,
    상기 수조와 담수부의 연결구의 일측에서 직립하거나 일부 경사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오버플로우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오버플로우관에는 레버부와 연결되는 연결체가 장착되고, 장착된 연결체는 고정클램프에 의해 레버부에 결속되어, 오버플로우관과 레버부가 서로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10. 삭제
KR1020200160368A 2020-11-25 2020-11-25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KR102291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68A KR102291165B1 (ko) 2020-11-25 2020-11-25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PCT/KR2021/017476 WO2022114804A1 (ko) 2020-11-25 2021-11-25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68A KR102291165B1 (ko) 2020-11-25 2020-11-25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165B1 true KR102291165B1 (ko) 2021-08-17

Family

ID=7746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368A KR102291165B1 (ko) 2020-11-25 2020-11-25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1165B1 (ko)
WO (1) WO20221148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04A1 (ko) * 2020-11-25 2022-06-02 김정헌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KR102648361B1 (ko) * 2023-08-03 2024-03-15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초절수 회오리 수압 직하 자연배수방식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732A (ko) * 2001-03-03 2002-09-11 정종명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JP2003041645A (ja) * 2001-07-27 2003-02-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JP2016125251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KR20170073263A (ko) * 2015-12-18 2017-06-28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초절수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494A (ko) * 2012-12-26 2014-07-04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2291165B1 (ko) * 2020-11-25 2021-08-17 김정헌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732A (ko) * 2001-03-03 2002-09-11 정종명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JP2003041645A (ja) * 2001-07-27 2003-02-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JP2016125251A (ja) *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Lixil 便器装置
KR20170073263A (ko) * 2015-12-18 2017-06-28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초절수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804A1 (ko) * 2020-11-25 2022-06-02 김정헌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KR102648361B1 (ko) * 2023-08-03 2024-03-15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초절수 회오리 수압 직하 자연배수방식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804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165B1 (ko) 초 절수 벽 배관용 양변기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448852Y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KR101867276B1 (ko) 오수받이용 봉수트랩
KR100784857B1 (ko) 유티 오수받이
KR101760682B1 (ko) 초절수 양변기
KR20090036555A (ko) 배수트랩용 장착부재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102648361B1 (ko) 초절수 회오리 수압 직하 자연배수방식 양변기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KR102190516B1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JP200427029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20140083494A (ko) 초 초절수 탈취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20220005373A (ko) 초절수 양변기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356290Y1 (ko) 세면수를 재활용하는 절수형 변기 물 저장탱크
KR20110112201A (ko) 타원형상의 힌지구조를 갖는 배수구 악취 차단용 마개
KR20120052493A (ko) 오수받이장치
KR20220002682U (ko)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51193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