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830B1 -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 Google Patents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830B1
KR102286830B1 KR1020190144931A KR20190144931A KR102286830B1 KR 102286830 B1 KR102286830 B1 KR 102286830B1 KR 1020190144931 A KR1020190144931 A KR 1020190144931A KR 20190144931 A KR20190144931 A KR 20190144931A KR 102286830 B1 KR102286830 B1 KR 10228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layer
paint
container body
as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8026A (en
Inventor
김태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102019014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830B1/en
Publication of KR2021005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8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05Skin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B32B2439/06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페인트 포장캔 내부에 삽입되어 페인트 포장캔 내벽에 페인트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paint packaging can and serves to prevent the paint from remaining on the inner wall of the paint packaging can.

Description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Resin container body for paint packaging cans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본 발명은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페인트 포장캔 내벽에 페인트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페인트 포장캔 내부에 삽입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한 것이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that is inserted into the paint packaging can to prevent the paint from remaining on the inner wall of the paint packaging can.

페인트(Paint, 도료)는 유동성의 물질로 물체의 표면에 넓게 도포되어 얇은 피막 층을 형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건조 경화됨으로써 물체의 표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미감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Paint (Paint) is a fluid material that is widely applied to the surface of an object to form a thin film layer, and by drying and curing over time, has the function of not only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but also enhancing the aesthetics.

이러한 페인트는 특히 건축물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에 도포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 아니라, 부식 등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이 이용된다.In particular, such paint is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structure beautiful, and is often used to improve durability by preventing damage such as corrosion.

이러한 페인트는 수성 페인트 및 유성 페인트로 구분되고, 각 페인트는 소정 규격의 캔에 보관되어 유통 및 판매된다.These paints are divided into water-based paints and oil-based paints, and each paint is stored in a can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distributed and sold.

일반적으로 페인트는 포장캔으로 일컬어지는 원통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철제통에 봉입되어 유통 및 판매되고, 그에 따라 페인트를 모두 소진하더라도 포장캔 내벽에 페인트가 잔존하거나 묻은 후 굳게 되며, 이는 포장캔을 사후 처리함에 있어 상당한 곤란성을 야기한다.In general, paint is distributed and sold enclosed in a cylindrical, rectangular, or square iron container called a packaging can. Accordingly, even if all the paint is exhausted, the paint remains on the inner wall of the packaging can or hardens after being smeared. It causes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processing.

이에, 페인트 포장캔 내벽에 별도의 시트 형상의 파우치를 내삽하여 포장캔에 페인트가 묻는 것을 예방하는 방식 등을 통한 문제 해결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현재까지 페인트가 파우치 시트에 묻은 후 세척되거나 분리되지 아니하는 문제를 미리 예방할 수 있고, 포장캔 유통과정에서 파우치가 파단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캔 전용 파우치에 대한 개발은 전무한 실정이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ider solving the problem by inserting a separate sheet-shaped pouch into the inner wall of the paint packaging can to prevent paint from sticking to the packaging can. There has been no development of a packaging can-only pouch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not having to do so in advance and can prevent the pouch from breaking during the packaging can distribution process.

미국 등록특허 공보 US 9375701 B2US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US 9375701 B2

본 발명은 페인트 페인트가 봉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포장캔 내벽에 페인트가 잔존하거나 굳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 차단할 수 있는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n container body for packaging cans, which is designed so that the paint can be encapsulated and can prevent problems occurring as the paint remains or hardens on the inner wall of the packaging can.

본 발명은 또한, 페인트 포장캔의 유통 및 장기간 보관에 따라 페인트가 용기체 외부로 유출되거나 용기체가 파단되어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sin container body for packaging cans designed to prevent problems caused by the paint leaking out of the container body or breaking the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and long-term storage of the paint packaging can.

본 발명은 더욱이, 수지 유연성이 뛰어나고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가지는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resin container body for packaging cans having excellent resin flexibility and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한 것이다.This invention is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Comprising: It is related with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paint packaging cans.

상기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지수(Melt Index)가 0.5 g/10min 내지 3 g/10min의 범위 내에 있으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시 인장 강도가 150 kg/cm2 내지 200 kg/cm2의 범위 내에 있는 제 1 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평균 입경이 1 ㎛ 내지 10 ㎛의 범위 내에 있는 무기 미립자 0.01 내지 0.20 중량%를 포함하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이 5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수지층을 포함하고, 페인트를 봉입할 수 있도록 페인트 포장캔에 내삽되는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 및 상기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의 어느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페인트의 유입 및 반출을 제어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캡;을 포함한다.The resin container body for the paint packaging can is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a low-density polyethylene and an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and has a melt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of 0.5 g/10 min to a first resin layer in the range of 3 g/10min and having a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150 kg/cm 2 to 200 kg/cm 2 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nd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and 0.01 to 0.20% by weight of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μm to 10 μm, and having a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of 50 to A resin pouch for a paint encapsulation that includes a second resin layer within a range of 60%, and is inserted into a paint packaging can to encapsulate the paint; and a sealing cap mad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which is coupled to any part of the resin pouch for encapsulating the paint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paint.

하나의 예시에서, 제 1수지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70 내지 95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 내지 5 중량% 및 분자량 분포(PDI)가 0.5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고 점도가 10,000cP 내지 30,000cP의 범위 내에 있으며 탄소원자 1000개당 비닐 함량이 0.5개 미만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has 70 to 95% by weight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1 to 5%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within the range of 0.5 to 1.5 and a viscosity within the range of 10,000cP to 30,000cP. and may be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 to 5% by weight of an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having a vinyl content of less than 0.5 per 1000 carbon atoms.

하나의 예시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C4 내지 C6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may be a copolymer of C4 to C6 alphaolefin and ethylen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알파-올레핀은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에이코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lpha-olefin included in the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is 1-heptene, 1-octene, 1-decene, 1-un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and 1-hexadecene. And it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1-eicosene.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수식 1][Formula 1]

EBTD>EBMD EB TD >EB MD

상기 수식 1에서 EBTD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하고, EBMD는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EB TD is Means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882, and EB MD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882. It means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TD)이 750 내지 8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MD)이 650 내지 8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has a TD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TD ) in the range of 750 to 850%,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MD ) in one longitudinal direction (MD) may be in the range of 650 to 800%.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ASTM D1709에 의거하여 측정한 다트 낙하 충격 시험(Dart Impact Strength) 결과값이 70G 내지 150G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may have a dart drop impact test (Dart Impact Strength) resul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709 in the range of 70G to 150G.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may satisfy Equation 2 below.

[수식 2][Formula 2]

TSTD>TSMD TS TD >TS MD

상기 수식 2에서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하고,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한다.In Equation 2, TS TD is It means the width direction (TD) tear strength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004, and TS TD is It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ear strength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TD)가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MD)가 120 내지 1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has a width direction (TD) tear strength (TS TD ) in a range of 130 to 150%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MD) Tear Strength (TS MD ) may be in the range of 120 to 140%.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은 10 ㎛ 내지 50 ㎛의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may have a thickness range of 10 μm to 50 μm.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로서 나일론 6 수지를 함유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may contain nylon 6 resin as polyamide and silica particles as inorganic fine particles.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수지층은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 시험(IZOD Notched Impact)값이 0.5 ft-lb/in 내지 1 ft-lb/in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may have an IZOD Notched Impac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D256 in the range of 0.5 ft-lb/in to 1 ft-lb/in.

하나의 예시에서,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는,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사이에 존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resin pouch for encapsulating pain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present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to adhere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하나의 예시에서, 접착제층은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polyacrylic-based, polyester-based, polyolefin-based, polyimide-based, or polyacrylonitrile-based resin.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또한,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의 측면 가장자리 전체 영역을 밀봉하는 실란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ant area for sealing the entire area of the side edge of the resin pouch for encapsulating pain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페인트 봉입 및 밀봉 능력이 우수하고, 또한 내핀홀성이나 수지 유연성이 뛰어나며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용기체가 파단 되거나 터지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페인트를 봉입할 수 있다.The resin container body for packaging c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aint encapsulation and sealing ability, excellent pinhole resistance and resin flexibility, and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Therefore,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packaging c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 advance the problem of the container body breaking or bursting, and can stably encapsulate the paint for a long period of time.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Of cours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가 페인트 포장캔 안에 위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도면이다.
1 to 3 are exemplary views of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paint packaging ca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more concrete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본 발명은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main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ing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지다 혹은 이루어지는"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만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consisting of or consisting of" is intended to clarify that only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페인트 포장캔 내부에 수치 파우치를 내삽시키고 또한 페인트의 유입 및 반출을 제어하는 봉지캡을 필수 구성으로 채택함으로써 포장캔 내벽에 페인트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paint from remaining on the inner wall of the packaging can by inserting a numerical pouch inside the paint packaging can and adopting a sealing cap for controll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paint as an essential componen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봉지용 수지 파우치를 구성하는 수지의 물성을 페인트 봉입용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수지 유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파단 저항성 및 장기 내구성이 우수하다.In particular,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encapsulating resin pouch to be suitable for encapsulating paint, thereby providing excellent resin flexibility and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and long-term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 및 봉지캡(200)을 포함한다.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resin pouch 100 for a paint bag; and an encapsulation cap 200 .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는 제 1 수지층(101) 및 제 2 수지층(102)을 포함한다. 수지 파우치(100)는 제 1 수지층(101) 및 제 2 수지층(102)을 포함하는 시트로 인해 외부 영역과 공간적 격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공간적 격리는, 예를 들면 제 1 수지층(101) 및 제 2 수지층(102)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갠 상태에서 측면부를 밀봉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resin pouch 100 for encapsulating paint includes a first resin layer 101 and a second resin layer 102 . The resin pouch 100 is spatially isolated from the external area by the sheet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the second resin layer 102 . The spatial isolation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sealing the side portions in a state in which sheets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the second resin layer 102 are stacked.

제 1 수지층(101)은 페인트와 직접 접하는 층으로써,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지수(Melt Index)가 0.5 g/10min 내지 3 g/10min의 범위 내에 있으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시 인장 강도가 150 kg/cm2 내지 200 kg/cm2의 범위 내에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is a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paint, is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ow-density polyethylene, and an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and is a melt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 is in the range of 0.5 g/10min to 3 g/10min, and the tensile strength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is in the range of 150 kg/cm 2 to 200 kg/cm 2 .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제 1 수지층(101) 형성에 이용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종류 및 물성과 각 함량을 조절하여 파단 시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적절한 용융 지수를 가져 수지 유연성이 뛰어나며, 특히 장기 내구성이 우수한 제 1 수지층(101) 및 이를 포함하는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를 형성하는 것을 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types, properties, and contents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ow-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s included in the blended resin composition used to form the first resin layer 101 One technical feature is to form the first resin layer 101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t break, excellent resin flexibility by having an appropriate melt index, and particularly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and a resin pouch 100 for paint encapsulation including the same. do it with

제 1 수지층(101)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The first resin layer 101 is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an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구체적으로, 제 1 수지층(101)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60 내지 8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25 중량% 및 분자량 분포(PDI)가 0.5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고 점도가 10,000cP 내지 30,000cP의 범위 내에 있으며 탄소원자 1000개당 비닐 함량이 0.5개 미만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60 to 80% by weight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15 to 25%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in the range of 0.5 to 1.5 and a viscosity in the range of 10,000cP to 30,000cP and may be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 to 10 weight percent of an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having a vinyl content of less than 0.5 per 1000 carbon atoms.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일 수 있고, 특히 본 발명의 제 1 수지층(101) 형성에 이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C4 내지 C6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C4 내지 C6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용하는 경우 양호한 사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수지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적절한 인장강도와 파단 저항성을 확보하면서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ncluded in the blended resin composition may be a copolymer of ethylene and alpha olefin, and in particular,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used to form the first resin layer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4 to C6 alpha olefin and a copolymer of ethylene. may be synthetic. When a copolymer of C4 to C6 alpha olefin and ethylene is used as a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good injection moldability can be secured, resin flexibility can be improved, and long-term durability can be improved while ensuring proper tensile strength and fracture resistance. can do it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합체 사슬의 탄소 원자 100개당 0.001 내지 10 개의 3급(tertiary)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이거나, 또는중합체 사슬의 탄소 원자 100개당 0.8 내지 5개의 3급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3급 탄소 원자 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수지 유연성 개선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인장강도와 파단 저항성을 확보하면서 우수한 장기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a polymer comprising from 0.001 to 10 tertiary carbon atoms per 100 carbon atoms of the polymer chain, or from 0.8 to 5 tertiary carbon atoms per 100 carbon atoms of the polymer chain It may be a polymer comprising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long-term durability while improving resin flexibility within the range of the tertiary carbon atom content as described above, while ensuring appropriate tensile strength and fracture resistance.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0.89 g/cm3, 0.90 g/cm3, 0.905 g/cm3 내지 0.97 g/cm3, 또는 0.93 g/cm3 내지 0.95 g/cm3의 밀도를 가지는 것 일 수 있다.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s, for example, 0.89 g/cm 3 , 0.90 g/cm 3 , 0.905 g/cm 3 to 0.97 g/cm 3 , or 0.93 g/cm 3 to 0.95 g/cm 3 Having a density of can be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또한, 2.8 미만,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5의 범위 내,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3의 범위 내의 분자량 분포(PDI)를 가지는 것 일 수 있다.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may also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of less than 2.8,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9 to 2.5,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2.0 to 2.3.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또한, ASTM D 1238에 의거하여 190 ℃/2.16 kg에 따라 측정하고 10 분당 용출된 g으로 산출한 용융 지수(I2)가 4.0 g/10 분 내지 25 g/10 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 일 수 있다.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lso has a melt index (I2) in the range of 4.0 g/10 min to 25 g/10 min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38 at 190° C./2.16 kg and calculated as g eluted per 10 min. there may be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또한, 45 내지 400, 50 내지 400, 150 내지 400 또는 200 내지 400의 범위 내의 공단량체 분포 상수를 가지는 것 일 수 있다.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may also have a comonomer distribution constant within the range of 45 to 400, 50 to 400, 150 to 400, or 200 to 400.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또한, 1000 탄소 원자당 0.02 내지 3 긴 사슬 분지, 0.02 내지 1, 또는 0.02 내지 0.5 긴 사슬 분지의 긴 사슬 분지 빈도수(LCBf)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긴 사슬 분지 빈도수(Long Chain Branching frequency, LCBf)나 공단량체 분포 상수(CDC)는, 예를 들면 제WO/2011/002868호 및 특히 제PCT/US11/057780호에서 언급된 방식에 의해 측정된 것 일 수 있다.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may also have a long chain branching frequency (LCBf) of 0.02 to 3 long chain branches, 0.02 to 1, or 0.02 to 0.5 long chain branches per 1000 carbon atoms. The Long Chain Branching frequency (LCBf) or the comonomer distribution constant (CDC) is determined by the method mentioned, for example, in WO/2011/002868 and in particular PCT/US11/057780. can be one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은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60 내지 80 중량%, 65 내지 80 중량% 또는 70 내지 80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조성물 내 함량이 60 중량%에 미치지 못하거나,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지 유연성, 파단 저항성 및 장기 내구성의 우수성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The blended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n an amount of 60 to 80% by weight, 65 to 80% by weight, or 70 to 80%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n the composition is less than 60% by weight or exceeds 80% by weigh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superiority in resin flexibility, fracture resistance and long-term durability may not be secured.

제 1 수지층(101)은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also be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15 to 25%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0.89 g/cc 내지 0.97 g/cc의 범위 내의 밀도, 2.8 미만의 분자량 분포(PDI) 또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의 공단량체 분포 상수를 가지는 것 일 수 있다.The low-density polyethylene may have, for example, a density within the range of 0.89 g/cc to 0.97 g/cc,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less than 2.8, or a comonomer distribution constant within the range of 45 to 400.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제 1 수지층(101)에 적절한 기계적 물성과 성형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조성물 내 15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되거나 25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 및 수지 성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low-density polyethylene serves to provide appropriate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to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is inclu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15% by weight or exceeding 25% by weight in the composition. In this cas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desired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n moldability cannot be secured.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조성물 내 17 내지 25 중량%, 18 내지 25 중량% 또는 20 내지 2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low density polyethylene may be included in the range of 17 to 25% by weight, 18 to 25% by weight, or 20 to 25% by weight in the composition.

제 1 수지층(101)은 분자량 분포(PDI)가 0.5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고 점도가 10,000cP 내지 30,000cP의 범위 내에 있으며 탄소원자 1000개당 비닐 함량이 0.5개 미만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in a range of 0.5 to 1.5, a viscosity in a range of 10,000 cP to 30,000 cP, and an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1 to having a vinyl content of less than 0.5 per 1000 carbon atoms. It may be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0% by weight.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제 1 수지층(101)의 기계적 물성과 수지 유연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장기 물성 우수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일 수 있다.The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included in the blended resin composition may serve to provide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n flexibility of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in particular, may be of a configuration that helps to secure superiority in long-term physical properties.

본 발명의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좁은 분자량 분포(PDI)를 가지고, 낮은 점도 및 비닐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써, 장기 물성 우수성 확보에 최적화된 것 일 수 있다.The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included in the blended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has a low viscosity and a vinyl content, and thus may be optimized for securing excellent long-term physical properties.

하나의 예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분자량 분포(PDI)가 0.5 내지 1.5, 0.7 내지 1.3 또는 1.0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분자량 분포(PDI)는 예를 들면 겔 투과형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분석되는 폴리스티렌 환산 분자량으로부터 중량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을 각각 수득한 후, 그 비(Mw/Mn)를 계산하여 도출된 것 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may have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in the range of 0.5 to 1.5, 0.7 to 1.3, or 1.0 to 1.2.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is, for example, after obtain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from the polystyrene equivalent molecular weight analyz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he ratio ( Mw/Mn) may be calculated and derived.

하나의 예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점도가 10,000cP 내지 30,000cP, 15,000cP 내지 25,000cP 또는 17,000cP 내지 23,000cP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예를 들면 Brookfield RVDV3T 점도계를 이용하여 180℃ 온도 조건에서 측정한 값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may have a viscosity in the range of 10,000 cP to 30,000 cP, 15,000 cP to 25,000 cP, or 17,000 cP to 23,000 cP. The viscosity may be, for example, a value measured at 180°C using a Brookfield RVDV3T viscometer.

하나의 예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탄소원자 1000개당 비닐 함량이 0.5개 미만, 0.45개 미만, 0.4개 미만, 0.35개 미만, 0.3개 미만 또는 0.2개 미만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낮은 비닐 함량을 가지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를 제 1 수지층(101)을 형성하는 조성물 내에 적정 함량 포함시키는 경우, 페인트 포장캔 내에 장기간 보관되어 있는 페인트의 무게나 유통에 따른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시트 파단이나 시트 핀홀 형성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적절한 시트 유연성을 가지면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페인트를 봉입할 수 있는 제 1 수지층(101) 및 수지 파우치(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닐 함량은, 예를 들면 수지의 NMR 분석 결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may have a vinyl content of less than 0.5, less than 0.45, less than 0.4, less than 0.35, less than 0.3, or less than 0.2 vinyl per 1000 carbon atoms. 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having a low vinyl content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ming the first resin layer 101, when moving according to the weight or distribution of the paint stored for a long time in the paint packaging ca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eet breakage or sheet pinhole formation that may occur in advance, and to form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the resin pouch 100 that can reliably encapsulate paint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having adequate sheet flexibility. there is. The vinyl content may be calculated, for example, from the results of NMR analysis of the resin.

상기 에틸렌-알파올렌핀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C3 내지 C2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ethylene-alpha olene fin copolymer may include, for example, C3 to C20 alpha-olefi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알파-올레핀은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에이코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알파-올레핀은 1-옥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시에서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상기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목적하는 장기 안정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lpha-olefin included in the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is 1-heptene, 1-octene, 1-decene, 1-un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and 1-hexadecene. and 1-eicosene, in particular, the alpha-olefin may include 1-octene, and in one embodiment, the purpose of including the alpha-olefin in the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is It may be preferable in terms of securing long-term stability.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은 1 내지 10 중량%, 1 내지 9 중량%, 1 내지 8 중량% 또는 1 내지 7 중량%의 범위 내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알파올레핀이 1 중량%에 미치지 못하거나 10 중량%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계적 물성과 수지 유연성을 확보하는 측면에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특히 장기 물성 우수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ethylene-alpha olefin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the range of 1 to 10% by weight, 1 to 9% by weight, 1 to 8% by weight, or 1 to 7% by weight. When the ethylene-alpha olefin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less than 1% by weight or exceeding 10% by weight, it is undesirable in terms of secur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n flexibility, and in particular,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securing superiority in long-term physical properties. may not be preferable.

제 1 수지층(101)은 전술한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파단 저항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수지 유연성을 가진다.The first resin layer 101 is formed from the above-described blended resin composition to have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and appropriate resin flexibility.

구체적으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지수(Melt Index)가 0.5 g/10min 내지 3 g/10min의 범위 내에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지수(Melt Index)가 0.6 g/10min 내지 2.9 g/10min, 0.7 g/10min 내지 2.8 g/10min, 0.8 g/10min 내지 2.7 g/10min, 0.9 g/10min 내지 2.6 g/10min 또는 1.0 g/10min 내지 2.5 g/10mi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melt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in the range of 0.5 g/10min to 3 g/10min.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melt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of 0.6 g/10min to 2.9 g/10min, 0.7 g/10min to 2.8 g/10min, 0.8 g/10min to 2.7 g/10min, 0.9 g/10min to 2.6 g/10min, or 1.0 g/10min to 2.5 g/10min.

제 1 수지층(101)은, 또한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시 인장 강도가 150 kg/cm2 내지 200 kg/cm2의 범위 내에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시 인장 강도가 170 kg/cm2 내지 200 kg/cm2, 180 kg/cm2 내지 200 kg/cm2, 또는 190 kg/cm2 내지 200 kg/cm2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also has a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150 kg/cm 2 to 200 kg/cm 2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170 kg/cm 2 to 200 kg/cm 2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180 kg/cm 2 to 200 kg/cm 2 , or It may be in the range of 190 kg/cm 2 to 200 kg/cm 2 .

제 1 수지층(101)은 또한, 소정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의 파단 신율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also have predetermined elongation at break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TD)이 750 내지 8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MD)이 650 내지 8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transverse direction (TD) elongation at break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TD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in the range of 750 to 850%, and according to ASTM D882.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MD ) measured based on the MD may be in the range of 650 to 800%.

특히, 제 1 수지층(101)은 폭 방향의 파단 신율이 길이 방향의 파단 신율 보다 우수한 것 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first resin layer 101, the elongation at break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superior to the elongation at brea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satisfy Equation 1 below.

[수식 1][Formula 1]

EBTD>EBMD EB TD >EB MD

상기 수식 1에서 EBTD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하고, EBMD는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EB TD is Means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EB MD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It means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제 1 수지층(101)은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파단되는 것을 저항하는 파단 저항성이 우수할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also have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for resisting fracture by external impact.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1709에 의거하여 측정한 다트 낙하 충격 시험(Dart Impact Strength) 결과값이 70G 내지 150G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1709에 의거하여 측정한 다트 낙하 충격 시험(Dart Impact Strength) 결과값이 100G 내지 150G 또는 120G 내지 150G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수지층의 다트 낙하 충격 시험 값이 50G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제 1 수지층(101)은 우수한 파단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페인트 보관 용이성 및 포장캔 내부에서의 파단 가능성 사전 차단 측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have a dart drop impact test (Dart Impact Strength) resul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709 in the range of 70G to 150G. In another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have a dart drop impact test (Dart Impact Strength) resul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709 in the range of 100G to 150G or 120G to 150G. Considering that it is common that the dart drop impact test value of the resin layer does not reach 50G, the first resin layer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ease of storage of paint, and It can be seen that it is excellent in terms of pre-blocking the possibility of breakage.

제 1 수지층(101)은 또한, 소정의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also have predetermined tear strength in the width and length directions.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TD)가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MD)가 120 내지 1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has a width direction (TD) tear strength (TS TD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in the range of 130 to 150%,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One longitudinal (MD) tear strength (TS MD ) may be in the range of 120 to 140%.

특히, 제 1 수지층(101)은 폭 방향의 인열 강도가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 보다 우수한 것 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시에서, 제 1 수지층(101)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have a tear strength in the width direction superior to that in the length direction, and in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satisfy Equation 2 below.

[수식 2][Formula 2]

TSTD>TSMD TS TD >TS MD

상기 수식 2에서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하고,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한다.In Equation 2, TS TD is It means the width direction (TD) tear strength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004, and TS TD is It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tear strength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상기 언급한 물성을 만족하는 제 1 수지층(101)은 수지 파우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용기체가 우수한 파단 저항성, 수지 유연성 및 장기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physical properties may help to secure the resin pouch 100 and the resin container body including the same in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resin flexibility, and long-term durability.

제 1 수지층(10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하나의 예시에서 10 ㎛ 내지 50 ㎛의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 ㎛ 내지 45 ㎛ 또는 20 ㎛ 내지 40 ㎛의 두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 one example may have a thickness range of 10 μm to 50 μm, specifically, a thickness range of 15 μm to 45 μm or 20 μm to 40 μm. can have

제 1 수지층(101)은, 예를 들면 전술한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압출 공정, 특히 후술하는 제 2 수지층(102)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함께 수행하는 공압출 공정에 의해 제 2 수지층(102)과 함께 적층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resin layer 101 is, for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by an extrusion process using the above-described blended resin composition, in particular, a co-extrusion process performed with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econd resin layer 102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manufactured in a laminated state with 1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지 파우치(100)는 또한 제 2 수지층(102)를 포함한다. 제 2 수지층(102)은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평균 입경이 1 ㎛ 내지 10 ㎛의 범위 내에 있는 무기 미립자 0.01 내지 0.20 중량%를 포함하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이 5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다.The resin pouch 100 also includes a second resin layer 102 . The second resin layer 102 contains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and contains 0.01 to 0.20 wt% of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μm to 10 μm, and has a tensil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t Break*?* is in the range of 50 to 60%.

본 발명에 따른 제 2 수지층(102)은 페인트 포장캔의 내벽과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소정 입경을 가지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여 적정 파단 신율을 가지면서 제 1 수지층(101)과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aint packaging can, and while containing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it contains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and has an appropriate elongation at break while the first resin layer ( 101) and may be stably stacked.

제 2 수지층(102)은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1 ㎛ 내지 10 ㎛의 범위 내에 있는 무기 미립자 0.01 내지 0.20 중량%를 포함한다. The second resin layer 102 contains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and also contains 0.01 to 0.20 wt% of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µm to 10 µm.

상기에서 용어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한다」는 것은, 제 2 수지층(102)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중 가장 많은 비율로 폴리아마이드를 함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term "contains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as used above means that polyamide is contained in the largest proportion amo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econd resin layer 102 .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수지층(102)은 폴리아마이드를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 함유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contain 70% by weight or more, 80% by weight or more, or 90% by weight or more of polyamide.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예를 들면 소위 나일론 6라 불리우는 폴리카프로락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미립자는, 예를 들면 실리카 입자 일 수 있다.The polyamide may include polycaprolactam, so-called nylon 6, for example. In addition,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silica particles.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수지층(102)은 폴리아마이드로서 나일론 6 수지를 함유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contain nylon 6 resin as polyamide and silica particles as inorganic fine particles.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제 2 수지층(102)은 무기 미립자로서 평균 입경이 3 ㎛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실리카 입자 0.10 내지 0.20 중량%를 포함하고, 제 2 수지층(102)의 전체중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나일론 6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In a more specific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102 includes 0.10 to 0.20 wt% of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3 μm to 10 μm as inorganic fine particles, and the total weight of the second resin layer 102 is It may contain nylon 6 resin so that it becomes 100 weight%.

제 2 수지층(102)은, 폴리아마이드 및 무기 미립자 이외에 흡습제, 코팅 첨가제, 점착부여제, 충진제 또는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such as a moisture absorbent, a coating additive, a tackifier, a filler, or a plasticizer in addition to polyamide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제 2 수지층(102)은, 전술한 구성들에 의해 소정의 파단 신율을 가진다.The second resin layer 102 has a predetermined elongation at break due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구체적으로, 제 2 수지층(102)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이 5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파단 신율을 가지는 제 2 수지층(102)을 이용하는 경우, 제 1 수지층(101)과의 안정적 적층 구조를 형성하면서 외력에 의해 수지 파우치가 파단되거나 핀홀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페인트 장기 보관성의 우수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resin layer 102 has a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638 in a range of 50 to 60%. When the second resin layer 102 having an elongation at break within the above range is used, a stable laminated structure with the first resin layer 101 is formed, and problems such as breakage of the resin pouch or the occurrence of pinholes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and excellent long-term storage of paint can also be secured.

제 2 수지층(102)은 또한, 외부 충격에 우수한 내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also have excellent resistance to external impact.

하나의 예시에서, 제 2 수지층(102)은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 시험(IZOD Notched Impact)값이 0.5 ft-lb/in 내지 1 ft-lb/in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have an IZOD Notched Impac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D256 in the range of 0.5 ft-lb/in to 1 ft-lb/in.

제 2 수지층(102)은 제 1 수지층(101)과 함께 혹은 개별적인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resin layer 101 or by a separate extrusion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 1 수지층(101)은 제 2 수지층(102)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소정의 접착제층(103)을 매개로 상호 접착된 상태로 수지 파우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the second resin layer 102 may be included in the resin pouch 100 in a state where they are bonded to each other via a predetermined adhesive layer 103 as shown in FIG. 2 . there is.

하나의 예시에서,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는 제 1 수지층(101) 및 제 2 수지층(102) 사이에 존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층(101,102)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resin pouch 100 for encapsulating the paint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101 and the second resin layer 102 to bond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101 and 102 to the adhesive layer ( 103) may be further included.

접착제층(103)의 종류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ype of the adhesive layer 103 may be, for example, polyacrylic, polyester, polyolefin, polyimide, or polyacrylonitrile-based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는, 예를 들면 원통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파우치 타입의 봉지 시트로써 그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페인트 포장캔의 형상이나 규격에 따라 제한 없이 설계 변경될 수 있다.The resin pouch 100 for encapsulating pa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 pouch-type encapsulation sheet having a shape such as a cylinder, a rectangle or a square, and the shape or siz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shape or standard of a paint packaging can design can be changed without limitation.

상기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의 어느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페인트의 유입 및 반출을 제어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캡(200)을 포함한다. It is coupled to any part of the resin pouch for encapsulating the paint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paint, and includes an encapsulation cap 200 mad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상기 봉지캡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수지 파우치(100)의 상단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이며 상기 봉지캡의 위치는 수지 파우치(100)의 좌측면부, 우측면부, 하단부 또는 수지 파우치(100)의 두께 영역을 관통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The encapsulation cap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esin pouch 100, as shown in FIGS. It may be positioned to penetrate the left side, right side, lower end, or thickness region of the resin pouch 100 of the .

상기 봉지캡은 또한, 소정의 요홈을 구비한 가이드부(미도시)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후드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지캡을 이루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봉지마개를 형성하기 위한 공지의 HDPE 성분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The encapsulation cap may als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guide part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recess and a hood part (not shown) coupled to the guide p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yp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constituting the encapsulation ca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HDPE component for forming the encapsula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100)의 측면 가장자리 전체 영역을 밀봉하는 실란트 영역(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lant area 300 for sealing the entire area of the side edge of the resin pouch 100 for encapsulating paint, as shown in FIG. 3 .

실란트 영역(300)은 수지 파우치(100)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거나 핀홀이 발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장기 내구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기 위해 채택된 구성일 수 있다.The sealant region 30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resin pouch 100 from being broken by an external force or a pinhole from leaking, and to further improve long-term durability.

실란트 영역(300)은, 예를 들면 제 2 수지층(102)의 열융착 실링 처리의 결과물 일 수 있다. 즉, 실란트 영역(300)은 제 2 수지층(102)과 마찬가지로 폴리아마이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면서, 평균 입경이 1 내지 20㎛의 범위 내에 있는 무기 미립자, 구체적으로 실리카 입자를를 1 내지 5 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제 2 수지층(102)의 열융착 실링 처리물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란트 영역(300)은, 예를 들면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이 8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The sealant region 300 may be, for example, a result of a thermal fusion sealing treatment of the second resin layer 102 . That is, the sealant region 300 contains polyamide as a main component,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specifically silica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20 μm, in an amount of 1 to 5 wt %, similar to the second resin layer 102 . It may be a heat-sealing product of the second resin layer 102 formed by the composition included within the range. The sealant region 30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for example, a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in a range of 80 to 90%.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페인트 포장캔 내부에 수지 파우치(100)가 내삽되고 봉지캡(200)이 외부로 노출되어 포장캔의 페인트 주입구와 맞물려 위치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In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 the resin pouch 100 is interpolated inside the paint packaging can and the encapsulation cap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engage with the paint inlet of the packaging can. may exis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예시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지 아니함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실험 방법][Test method]

- 용융 지수 실험 : Hanatek MFI 시험기를 이용하여 ASTM D1238 기준 측정(Part A)- Melt index tes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using Hanatek MFI tester (Part A)

- 파단 시 인장 강도 : ASTM D638에 의거 상온에서 시편이 파손(항복 또는 파단)될 때까지 1~500 mm/분 범위의 인장 속도로 수행- Tensile strength at break: According to ASTM D638, it is performed at a tensile rate in the range of 1 to 500 mm/min until the specimen breaks (yield or fractures) at room temperature.

- 제 1수지층의 파단 신율(TD,MD) : ASTM D882에 의거하여 척 간 5㎝, 인장 속도 300㎜/분으로 인장했을 때의 파단 신율을 하기 수식 3에 의해 계산- Elongation at break of the first resin layer (TD, MD): Based on ASTM D882, the elongation at break when pulled at 5 cm between chucks and a tensile rate of 300 mm/min is calculated by Equation 3 below

[수식 3][Equation 3]

파단 신율 (%) = (파단 후 표점거리 - 파단 전 표점거리) / 파단 전 표점거리 x 100Elongation at break (%) = (gage distance after break - gage distance before break) / gage distance before break x 100

- 제 2 수지층의 파단 신율 : ASTM D638에 의거 상기 수식 3에 의해 계산- Elongation at break of the second resin layer: calculated by Equation 3 based on ASTM D638

- 다트 낙하 충격 시험 : 다트 낙하 충격 시험기(TO-300DA)를 이용하여 ASTM D1709에 의거하여 측정(A법 사용)- Dart drop impact test: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709 using a dart drop impact tester (TO-300DA) (using method A)

- 인열 강도 : 7.6 ㎝의 그립 거리에서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 Tear strength: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at a grip distance of 7.6 cm

- 아이조드 충격 시험값 : QC-639F 디지털 충격 시험기를 이용하여 D256에 의거하여 측정- Izod impact tes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D256 using QC-639F digital impact tester

- Mn, Mw : 겔 투과 크로마토 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측정- Mn, Mw: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 점도 : Brookfield RVDV3T 점도계를 이용하여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수지 13ml를 시료챔버에 넣고, Brookfield Thermosel을 이용하여 180℃로 가열한 후, 시료가 완전히 녹으면 점도계 장치를 내려 스핀들을 시료 챔버에 고정시키고, 스핀들(SC-29 고온-용융 스핀들)의 회전속도를 20rpm으로 고정한 후 20분 이상 또는 값이 안정화될 때까지 판독하고 최종 값을 기록)- Viscosity: Measure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using a Brookfield RVDV3T viscometer (put 13 ml of resin into the sample chamber, heat it to 180°C using a Brookfield Thermosel, and when the sample is completely melted, lower the viscometer and fix the spindle to the sample chamber. After fix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pindle (SC-29 hot-melting spindle) to 20 rpm, read it for at least 20 minutes or until the value is stabilized and record the final value)

-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비닐 함량 : 공중합체를 클로로포름-d(w/TMS) 용액에 용해시킨 후 Agilent 500MHz NMR 장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2초의 습득시간, 45°의 펄스 각도로 16회 측정하고, 1H NMR에서 TMS 피크를 0 ppm 으로 보정하고, 0.88 ppm에서 1-octene의 CH3 관련 피크(triplet)를, 그리고 1.26 ppm에서 ethylene의 CH2 관련피크(broad singlet)를 각각 확인하고, CH3 피크 적분 값을 3으로 보정하여 함량을 계산하고, 또, 4.5 내지 6.0 ppm 영역의 이중결합의 적분값을 기준으로 이중 결합 개수를 계산-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vinyl content: After dissolving the copolymer in a chloroform-d (w/TMS) solution, using an Agilent 500 MHz NMR equipment, the acquisition time was 2 second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16 times at a pulse angle of 45°. , correct the TMS peak to 0 ppm in 1H NMR, check the CH3-related peak (triplet) of 1-octene at 0.88 ppm, and the CH2-related peak (broad singlet) of ethylene at 1.26 ppm, respectively, CH3 peak integral value to calculate the content by correcting to 3, and calculate the number of double bonds based on the integral value of the double bonds in the 4.5 to 6.0 ppm region

[제조예 1] [Production Example 1]

LLDPE(에틸렌-C4 공중합체, HANWHA Chem.) 80 중량%에 LDPE 15 중량% 및 아래 표 1과 같은 물성을 가지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LG Chem.) 5 중량%를 혼합하여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LLDPE (ethylene-C4 copolymer, HANWHA Chem.) 80% by weight, LDPE 15% by weight and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ethylene-1-octene copolymer, LG Chem.) having physical properties as shown in Table 1 below 5 weight % was mixed to prepare a blended resin composition.

대상Target 분자량 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점도viscosity 비닐 함량vinyl content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1.21.2 13,00013,000 0.420.42

[제조예 2] [Production Example 2]

나일론 6 수지(99.8 중량%)에 평균 입경 4㎛인 실리카 입자(0.2 중량%)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제 2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Silica particles (0.2 wt%)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 μm were added to nylon 6 resin (99.8 wt%) and stirr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second resin layer.

[비교 제조예 1]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1]

LLDPE(에틸렌-C4 공중합체, HANWHA Chem.) 85 중량%에 LDPE 15 중량%를 투입하여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A blended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by adding 15 wt% of LDPE to 85 wt% of LLDPE (ethylene-C4 copolymer, HANWHA Chem.).

[비교 제조예 2]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LLDPE(에틸렌-C4 공중합체, HANWHA Chem.) 대신에 LLDPE(에틸렌-1-도데센 공중합체, HANWHA Chem.)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A blended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LLDPE (ethylene-1-dodecene copolymer, HANWHA Chem.) was used instead of LLDPE (ethylene-C4 copolymer, HANWHA Chem.).

[비교 제조예 3]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3]

하기 표 2의 물성을 가지는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LG Chem.) 5 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blended resin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5% by weight of an 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ethylene-1-butene copolymer, LG Chem.) having the physical properties shown in Table 2 was mixed.

대상Target 분자량 분포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점도viscosity 비닐 함량vinyl content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Ethylene-alpha olefin copolymer 5.75.7 50,00050,000 3.13.1

[비교 제조예 4] - 제 2 수지층 형성 조성물 중 무기 미립자 제외[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4] - Excluding inorganic fine particles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econd resin layer

나일론 6 수지 99.99%에 슬립제 0.01%를 투입하여 제 2 수지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composition for forming a second resin layer was prepared by adding 0.01% of a slip agent to 99.99% of nylon 6 resin.

[실시예 1] [Example 1]

제조예 1에 따른 조성물과 제조예 2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제 1 수지층(35㎛) 및 제 2 수지층(30㎛)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시트의 일면을 펀치홀로 개구시킨 후 HDPE 재질의 봉지캡을 결합시켰다. 그 후, 동일하게 제조된 시트를 포갠 후 두 시트의 4면을 열융착 실링 처리하여 도 3과 같은 구조의 수지 용기체를 제조 하였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were co-extruded to prepare a sheet including a first resin layer (35 μm) and a second resin layer (30 μm), and one surface of the sheet was opened with a punch hole. After that, a sealing cap made of HDPE was attached. After that, after stacking the sheet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four sides of the two sheets were heat-sealed and sealed to prepare a resin container body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비교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지 용기체를 제조하였다.A resin container bod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s according to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s 1 and 2 were co-extruded to prepare a sheet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비교 제조예 2 및 제조예 2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지 용기체를 제조하였다.A resin container bod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2 and Preparation Example 2 was co-extruded to prepare a sheet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비교예 3] [Comparative Example 3]

비교 제조예 3 및 제조예 2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지 용기체를 제조하였다.A resin container bod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3 and Preparation Example 2 was co-extruded to prepare a sheet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비교예 4] [Comparative Example 4]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4에 따른 조성물을 공압출하여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시트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수지 용기체를 제조하였다.A resin container bod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and Comparative Preparation Example 4 was co-extruded to prepare a sheet including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실험예 1] - 수지층 물성 측정 결과[Experimental Example 1] - Measurement result of resin layer physical properties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의 물성을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각 수지층의 물성은 단일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된 두께 20 ㎛를 가지는 1층 시트를 샘플로 하여 측정하였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respectively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resin layer were measured using a single-layer sheet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prepared through a single extrusion process as a sample.

물성Properties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제 1 수지층first resin layer 제 2 수지층2nd resin layer 제 1 수지층first resin layer 제 2 수지층2nd resin layer 제 1 수지층first resin layer 제 2 수지층2nd resin layer 제 1 수지층first resin layer 제 2 수지층2nd resin layer 제 1 수지층first resin layer 제 2 수지층2nd resin layer 용융지수(g/10min)Melt index (g/10min) 1.51.5 -- 2.92.9 -- 0.20.2 -- 1.51.5 -- -- -- 파단 시 인장 강도(kg/cm2)Tensile strength at break (kg/cm 2 ) 180180 -- 125125 -- 195195 -- 145145 -- -- -- EBTD (%)EB TD (%) 820820 -- 690690 -- 720720 -- 725725 -- -- -- EBMD (%)EB MD (%) 710710 -- 620620 -- 640640 -- 640640 -- -- -- 다트 낙하 충격시험값(G)Dart drop impact test value (G) 120120 -- 5050 -- 6565 -- 6767 -- -- -- TSTD (%)TS TD (%) 135135 -- 105105 -- 110110 -- 125125 -- -- -- TSMD (%)TS MD (%) 130130 -- 102102 -- 105105 -- 120120 -- -- -- 파단 신율(%)Elongation at break (%) -- 5656 -- -- -- -- -- -- -- 3737 아이조드 충격시험값 (ft-lb/in)Izod Impact Test Value (ft-lb/in) -- 0.750.75 -- -- -- -- -- -- -- 0.270.27

[실험예 2] - 시트 성형성 및 수지 유연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 Evaluation of sheet formability and resin flexibility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수지 용기체의 시트 성형성 및 수지 유연성 평가를 육안 관찰을 통해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The sheet formability and resin flexibility evaluation of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evaluated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평가 항목evaluation items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시트 성형성sheet formability 55 44 22 44 44 수지 유연성Resin Flexibility 55 44 33 44 44

5 : 매우 양호, 4 : 양호, 3 : 보통, 2 : 불량, 1 : 매우 불량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수지 용기체 대비 외력에 대한 우수한 시트 성형성 및 수지 유연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Very good, 4: Good, 3: Normal, 2: Poor, 1: Very poor As shown in Table 4 above,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Example 1 has an external force compared to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4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et had excellent sheet formability and resin flexibility.

[실험예 3] - 내구성 실험[Experimental Example 3] - Durability test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수지 용기체의 내구성 실험을 위해, 각 수지 용기체의 봉지캡을 통해 페인트를 유입하여 수지 용기체 내부 부피의 90% 이상을 페인트로 채운 후, 소정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킴으로써 수지 용기체의 파단이 발생하는지를 기준으로 내구성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For the durability test of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paint was introduced through the encapsulation cap of each resin container body to fill 90% or more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resin container body with paint, and then to a predetermined height A durability test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whether breakage of the resin container body occurred by free falling from the surfac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자유낙하 높이free fall height 파단 여부 (O,X)Whether to break (O,X) 실시예 1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5m0.5m XX XX XX XX XX 1m1m XX XX XX XX XX 1.5m1.5m XX OO XX OO XX 2m2m XX OO XX OO XX 2.5m2.5m XX OO XX OO XX 3m3m XX OO OO OO OO

상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수지 용기체는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수지 용기체 대비 외력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Example 1 had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compared to the resin container body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4.

100 : 수지 파우치
101 : 제 1 수지층
102 : 제 2 수지층
103 : 접착제층
200 : 봉지캡
300 : 실란트 영역
100: resin pouch
101: first resin layer
102: second resin layer
103: adhesive layer
200: bag cap
300: sealant area

Claims (15)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60 내지 80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15 내지 25 중량% 및 분자량 분포(PDI)가 0.5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고 점도가 10,000cP 내지 30,000cP의 범위 내에 있으며 탄소원자 1000개당 비닐 함량이 0.5개 미만인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디드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한 용융 지수(Melt Index)가 0.5 g/10min 내지 3 g/10min의 범위 내에 있으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시 인장 강도가 150 kg/cm2 내지 200 kg/cm2의 범위 내에 있는 제 1 수지층; 및 폴리아마이드를 70중량% 이상 함유하고, 평균 입경이 1 ㎛ 내지 10 ㎛의 범위 내에 있는 무기 미립자 0.01 내지 0.20 중량%를 포함하며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한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이 5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는 제 2 수지층을 포함하고, 페인트를 봉입할 수 있도록 페인트 포장캔에 내삽되는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 및
상기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의 어느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페인트의 유입 및 반출을 제어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봉지캡;을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60 to 80% by weight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15 to 25% by weight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PDI) in the range of 0.5 to 1.5 and a viscosity in the range of 10,000 cP to 30,000 cP and a vinyl content of 0.5 per 1000 carbon atoms It is formed from a blende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1 to 10% by weight of an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that is less than, and has a Melt Index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238 in the range of 0.5 g/10min to 3 g/10min, a first resin layer having a tensile strength at break of 150 kg/cm 2 to 200 kg/cm 2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nd 70% by weight or more of polyamide, 0.01 to 0.20% by weight of inorganic fine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μm to 10 μm, and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638 A resin pouch for a paint encapsulation that includes a second resin layer in the range of 50 to 60%, and is inserted into a paint packaging can to encapsulate the paint; and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comprising a; it is coupled to any part of the resin pouch for the paint packaging to control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paint, and a sealing cap made of high-density polyethylene.
제 1항에 있어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C4 내지 C6의 알파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인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 resin container body for paint packaging cans, which is a copolymer of C4 to C6 alpha olefin and ethyle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알파-올레핀은,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에이코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alpha-olefin included in the ethylene-alpha-olefin copolymer is,
A resin container for a paint packaging can comprising at least one of 1-heptene, 1-octene, 1-decene, 1-undecene, 1-dodecene, 1-tetradecene, 1-hexadecene, and 1-eicosene.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수식 1]
EBTD>EBMD
상기 수식 1에서 EBTD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하고, EBMD는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을 의미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satisfying Equation 1 below:
[Formula 1]
EB TD >EB MD
In Equation 1, EB TD is Means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and EB MD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Resin container body for paint packaging cans, which means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TD)이 750 내지 8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882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파단 신율(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MD)이 650 내지 800%의 범위 내에 있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TD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is in the range of 750 to 850%, and Tensile elongation at break (MD) measured according to ASTM D882 (Tensile). Elongation at Break point, EB MD ) is in the range of 650 to 800% of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ASTM D1709에 의거하여 측정한 다트 낙하 충격 시험(Dart Impact Strength) 결과값이 70G 내지 150G의 범위 내에 있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having a Dart Impact Strength result value in the range of 70G to 150G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709.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수식 2]
TSTD>TSMD
상기 수식 2에서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하고, TSTD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제 1 수지층의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를 의미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satisfying Equation 2:
[Formula 2]
TS TD >TS MD
In Equation 2, TS TD is Means the width direction (TD) tear strength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1004, TS TD is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which means the tear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of the first resin layer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폭 방향(T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TD)가 130 내지 150%의 범위 내에 있고, ASTM D1004에 의거하여 측정한 길이 방향(MD) 인열 강도(tear Strength, TSMD)가 120 내지 140%의 범위 내에 있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A transverse direction (TD) tear strength (TS TD )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is in the range of 130 to 150%,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MD) tear strength (T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1004. MD ) of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in the range of 120 to 140%.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10 ㎛ 내지 50 ㎛의 두께 범위를 가지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having a thickness range of 10 μm to 50 μm.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은,
폴리아마이드로서 나일론 6 수지를 함유하고, 무기 미립자로서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comprising nylon 6 resin as polyamide and silica particles as inorganic fine particles.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은,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 시험(IZOD Notched Impact)값이 0.5 ft-lb/in 내지 1 ft-lb/in 의 범위 내에 있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esin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having an IZOD Notched Impact valu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D256 within the range of 0.5 ft-lb/in to 1 ft-lb/in.
제 1항에 있어서,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는,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사이에 존재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pouch for the paint bag,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that exists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and the second resin layer to adhere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제 12항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이미드계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dhesive layer,
A resin container body for a paint packaging can comprising a polyacrylic, polyester, polyolefin, polyimide, or polyacrylonitrile resin.
제 1항에 있어서,
페인트 봉지용 수지 파우치의 측면 가장자리 전체 영역을 밀봉하는 실란트 영역을 더 포함하는 페인트 포장캔용 수지 용기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resin container body for paint packaging cans further comprising a sealant area for sealing the entire area of the side edge of the resin pouch for paint encapsulation.

삭제delete
KR1020190144931A 2019-11-13 2019-11-13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KR1022868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31A KR102286830B1 (en) 2019-11-13 2019-11-13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31A KR102286830B1 (en) 2019-11-13 2019-11-13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26A KR20210058026A (en) 2021-05-24
KR102286830B1 true KR102286830B1 (en) 2021-08-06

Family

ID=7615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31A KR102286830B1 (en) 2019-11-13 2019-11-13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83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852A (en) * 1998-11-20 2000-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Liquid pouch with upper and lower gussets
JP2006168003A (en) * 2004-12-14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sealable multilayered laminated film, laminate using it, packaging bag and packaged product
JP2009544505A (en) * 2006-07-31 2009-12-1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LAMINATED FILM COMPOSITION, PACKAGE PRODUCT MADE FROM THEM, AND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92310T1 (en) * 2000-08-22 2008-05-15 Toyo Boseki LAMINATED BIAXIAL ORIENTED POLYAMIDE FILM AND PRODUCTION METHOD
US9375701B2 (en) 2014-06-03 2016-06-28 United States Gypsum Corporation Waste paint solidifi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3852A (en) * 1998-11-20 2000-06-06 Dainippon Printing Co Ltd Liquid pouch with upper and lower gussets
JP2006168003A (en) * 2004-12-14 2006-06-29 Dainippon Printing Co Ltd Heat-sealable multilayered laminated film, laminate using it, packaging bag and packaged product
JP2009544505A (en) * 2006-07-31 2009-12-17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LAMINATED FILM COMPOSITION, PACKAGE PRODUCT MADE FROM THEM,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26A (en)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3809B2 (en) Lap sealable film with a peel layer
JP4855447B2 (en)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and container obtained therefrom
US20040241477A1 (en) Laminate film, sealant film and package
TW200402461A (en) Sealant, a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a sealant film, laminate film and the container thereof
EP1323803A1 (en) Seal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films and use thereof
EP2204409A1 (en) Polyolefin based peelable seals
JP6385364B2 (en) Multilayer film containing functional ethylene-based polymer composition
US6794029B2 (en) Layered film and packaging product thereof
EP3490791B1 (en) Multilayer structures, multilayer films, and packages formed therefrom
US5576038A (en) Liquid packaging film
JP2019530616A (en) Flexible appendages for flexible containers
KR102286830B1 (en) Resin container using paint packaging can
EP2796289A1 (en) Film
EP3209496B1 (en) A multilayer structure, a film made therefrom and a package formed therefrom
ES2954059T3 (en) Universal thermoplastic adhesives for multilayer films
TWI795471B (en) Polyolefin based films with matte surface and improved sealing performance
KR102538608B1 (en) Packaging sheet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y
ES2947413T3 (en) Multilayer films incorporating universal thermoplastic adhesives
JP7316819B2 (en) Packaging materials and packages
EP1311391A1 (en) Heat sealing polyolefins
JPH0686109B2 (en) Composite film laminate for retort sterilization packaging materials
JP2003072001A (en) Laminated film and package using the same
JP2004066603A (en) Sealant film and its application
JP7331473B2 (en) Resin composition for forming sealant layer, and sealant film, laminated film and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2004352255A (en) Moisture absorb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