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971B1 - 탈취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971B1
KR102285971B1 KR1020190034510A KR20190034510A KR102285971B1 KR 102285971 B1 KR102285971 B1 KR 102285971B1 KR 1020190034510 A KR1020190034510 A KR 1020190034510A KR 20190034510 A KR20190034510 A KR 20190034510A KR 102285971 B1 KR102285971 B1 KR 10228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ed water
space
water
deodoriz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798A (ko
Inventor
여옥규
Original Assignee
(주)큰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큰나무 filed Critical (주)큰나무
Priority to KR102019003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97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4Controlling the feed distribution;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유해공기를 탈취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탈취수를 여과하여 회수 후 순환되게 하는 탈취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120) 및 배출구(미도시)에 의해 탈취수가 유입 후 배출되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안쪽에 이중 관 형태로 여과통체(210)가 결합되면서 상기 여과통체(210)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120)의 유입 측 제1공간(111)과 드레인관(150)의 배출 측 제2공간(112)으로 서로 나누며, 상기 여과통체(210)에는 제1공간(111)에서 제2공간(112)으로 탈취수를 이동되게 하는 여과구멍(211)이 형성되어 이 여과구멍(211)을 이용한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는 여과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탈취수 여과장치 {Filtration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배출되는 유해공기를 탈취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탈취수를 여과하여 회수 후 순환되게 하는 탈취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 음식물처리장, 소각장, 철강산업, 비료제조업 등의 각종 산업분야에서는 제조공정 및 연소 또는 소각에 의해 배출되는 유해공기는 각종 화합물에 의해 악취 및 환경에 유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 유해공기는 대기오염 및 인체에 유해하여 유해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를 광범위하게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탈취는 액상 촉매를 이용한 산화환원법,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방법, 알칼리 용액에 의한 세정법과 같이 다양한 탈취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데, 보통 탈취에는 탈취를 위한 탈취수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33871호를 살펴보면, 유해가스 제거 장치용 반응기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상태에서 상,하측에 가스가 유입/배출되는 유입관 및 배출관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중앙 측에는 산화제 또는 환원제를 하향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반응기본체와; 상기 반응기본체의 하단에서 내부공간이 연결되게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분사노즐이 일측에 관 연결되며, 용수와 함께 수용된 산화제 또는 환원제를 상기 분사노즐에 공급한 후, 분사된 산화제 또는 환원제가 다시 유입되는 본체탱크와; 상기 반응기본체의 내부 상측에 하향 경사지는 틀 구조로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가스에 잔류한 수분을 필터링 하기 위한 데미스터를 중앙에 마련된 유입공간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중앙 집중되는 구조로 고정결합되게 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탈취 과정에서 유해공기와 탈취수의 화학 반응에 의한 침전물이 발생하고, 유해공기 중에는 이물질이 포함되기 때문에 탈취 중 탈취수에 침전물, 이물질 등이 함유되면서 탈취수와 함께 이동하며, 탈취수의 침전물과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탈취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탈취를 위한 공기통로를 막아 탈취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관, 노즐 등을 막아 탈취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33871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취수에 대한 여과기능을 통해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 등을 제거 후 순환 관리되게 하여 침전물, 이물질 등에 의한 막힘으로 탈취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입구 및 배출구에 의해 탈취수가 유입 후 배출되는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안쪽에 이중 관 형태로 여과통체가 결합되면서 상기 여과통체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의 유입 측 제1공간과 드레인관의 배출 측 제2공간으로 서로 나누며, 상기 여과통체에는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탈취수를 이동되게 하는 여과구멍이 형성되어 이 여과구멍을 이용한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는 여과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수 여과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 등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고, 탈취수의 여과에 따라 침전물, 이물질에 의한 막힘이 방지되어 탈취 효율이 향상되고, 탈취 기능 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취수 여과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수 여과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수 여과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탈취수 여과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여과장치의 측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따른 탈취수 여과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탈취수가 이동하는 본체 부재(100);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는 여과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탈취수 여과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유입구(120) 및 배출구(미도시)에 의해 탈취수가 유입 후 배출되면서 탈취수의 여과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100)는; 탈취수가 유동하면서 여과 작용을 유도하는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여과탱크(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탱크(110)는 밀폐된 탱크 형태의 구조물로 제작되며, 이 여과탱크(110)의 하부 일측방으로 유입구(120)가 여과탱크(110)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마련되고, 여과탱크(110)의 상방으로 드레인관(150)이 여과탱크(110)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마련되며, 여과탱크(110) 측면에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탈취수의 수위 조절을 위해 상기 여과통체(210)의 수위가 드레인관(150) 흡입구 보다 높을 경우 드레인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여과탱크(110) 내의 전체적인 탈취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유지시킨다.
상기 여과탱크(110)는 별도의 탈취 장치(미도시)에 설치되는데, 이 탈취 장치로부터 탈취수가 원활하게 공급되기 위해 상기 탈취 장치의 설치 위치보다 낮게 여과탱크(11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여과탱크(110)에 탈취수를 공급하는 유입구(120) 및 별도의 탈취 장치측 유입구(미도시)와 탈취수 순환펌프(미도시)를 통해 연결되는 배출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120)는 관체로 제작되며, 여과탱크(110)의 하부 일측방으로 관통되면서 결합되고, 이 유입구(120)의 외측단은 별도 탈취 장치에 관 이음으로 연결되어 탈취를 수행한 탈취수가 여과탱크(110) 내부로 공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유입구(120)는 여과 부재(200)에 의해 나뉜 여과탱크(110)의 제1공간(111) 측으로 탈취수를 유입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하부에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이 침전되어 모이는 하향 경사 공간을 제공하는 침전조(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침전조(130)는 여과탱크(110)의 내측 저부에 하향 경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탈취수에서 침전물, 이물질 등을 침전 작용에 의해 침전시켜 모이게 한다.
더불어 상기 침전조(130)는 침전된 침전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는 토출구(13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토출구(131)는 침전조(130)의 저부 일측에 밸브를 갖는 관체로 구비되는데, 이 토출구(131)의 개폐 작용으로 침전물, 이물질을 탈취수와 함께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간편하게 제거되게 한다.
이때, 상기 침전조(130)의 상단 측에는 여과 부재(200)를 여과탱크(110)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중공의 격판(1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유입구(120)에 연결되면서 제1공간(111) 측으로 유입되는 탈취수를 본체 부재(100)의 하부 둘레방향으로 회전되게 유도하면서 상승 기류에 의한 와류를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관(140)은 여과탱크(110)의 하부 둘레에 유입구(120) 측으로 연장되는 나선형 관로로 형성되며, 이 유도관(140)의 나선 구조에 의해 상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탈취수가 유도관(140)에 의해 여과탱크(110)의 저부 둘레를 돌면서 유도되어 상승 기류에 의한 와류를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유도관(140)에 의한 와류로 유입구(120)를 통해 최초 유입되는 탈취수는 침전조(130)의 둘레를 따라 하향 이동 후 침전조(130)의 바닥까지 이동 후 상승 기류로 전환되어 와류를 형성시킨다.
이 과정에서 와류에 의한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비교적 비중이 큰 침전물, 이물질은 침전조(130) 바닥에 침전되고, 비교적 비중이 작은 침전물, 이물질은 와류에 의한 상승 기류를 타고 여과 부재(200)에 이동시켜 여과효율을 향상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제2공간(112) 측으로 여과 완료된 탈취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고, 고정관(151)이 "L"자 형태로 꺾여 형성되는데, 이 고정관(151)에 연장되면서 고정관(151) 내부로 유입된 탈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관(150)은 관체로 제작되며, 여과탱크(110)의 측방으로 여과 부재(200)에 의해 나뉜 제2공간(112)과 통하도록 결합되고, 이 드레인관(150)은 여과탱크(110)의 제2공간(112)과 통하는 부분이 상방으로 꺾여 고정관(15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관(150)은; 고정관(151) 상단부 내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이 상하 이동에 따른 탈취수의 유입 지점 가변에 의해 탈취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변관(15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변관(152)은 고정관(151)의 상부 내측으로 끼워 결합되는 관체이며, 상기 고정관(151)과 가변관(152) 사이에는 가변관(152)을 고정관(151)에 지지하면서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패킹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관(152)의 상단부는 탈취수의 수면 측에서 탈취수를 유입시킴으로 이 가변관(152)의 상하 이동에 따라 탈취수의 전체 수위가 임의 조절된다.
이때, 상기 가변관(152)은 상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가변관(152)에 연결된 조작막대(152a)를 여과탱크(110)의 상단으로 일부 노출시켜 마련할 수 있고, 상기 가변관(152)의 조작막대(152a)는 기본적으로 수동 조작이 가능하고, 별도 장치에 의한 자동 조작 역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변관(152)을 자동 조작하는 경우 탈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60)의 감지신호를 실시간 제공 받아 이를 기반으로 탈취수의 수위를 자동 조절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탈취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 감지한 신호를 실시간 제공하는 수위센서(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위센서(160)는 부유센서의 일종이며, 부유 위치를 실시간 감지하여 탈취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 감지한 신호를 제공하여 여과탱크(110)의 내부 탈취수의 수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 부재(2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안쪽에 이중 관 형태로 여과통체(210)가 결합되면서 상기 여과통체(210)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120)의 유입 측 제1공간(111)과 드레인관(150)의 배출 측 제2공간(112)으로 서로 나누며, 상기 여과통체(210)에는 제1공간(111)에서 제2공간(112)으로 탈취수를 이동되게 하는 여과구멍(211)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구멍(211)을 이용한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여과 부재(200)는; 본체 부재(100)의 내부를 유입구(120)의 유입 측 제1공간(111)과 드레인관(150)의 배출 측 제2공간(112)을 각각 나눠 결합되며, 다수의 여과구멍(211)에 탈취수가 통과하는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는 여과통체(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여과통체(210)는 여과탱크(110)의 내부공간에 대응한 관체로 제작되며, 이 여과통체(210)의 상단은 여과탱크(110)의 상단 내측에 결합되고, 여과통체(210)의 하단은 여과탱크(110)의 격판(132) 상단에 안착 결합되면서 유입구(120)의 유입 측 제1공간(111)과 드레인관(150)의 배출 측 제2공간(112)이 각각 구획되어 나뉘게 된다.
이때, 상기 여과통체(210)는 측방면으로 다수의 여과구멍(211)을 갖는 망체로 이루어지며, 이 여과구멍(211)은 탈취 장치에서 사용하는 노즐, 관체 등에 비례하여 최대한 작게 형성되어 노즐, 관체를 막을 만한 크기의 침전물, 이물질은 제1공간(111) 측으로 유입되는 면에 모두 걸러 여과되게 하고, 상기 여과통체(210)를 통과한 탈취수는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측에 연결된 탈취수 순환펌프(미도시)의 작동을 통해 별도의 탈취 장치의 유입구(미도시)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 부재(200)는; 제1공간(111) 안쪽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되는데, 외부에서 공급되는 탈취수를 여과통체(210)의 안쪽으로 고압으로 선택적 분사시켜 여과통체(210)에 잔류한 침전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구(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분사구(220)는 공급되는 탈취수를 고속으로 분사할 수 있는 관형 노즐로 제작되며, 이 분사구(220)가 제1공간(111)에 위치되게 수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여과탱크(110) 상단부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여과통체(210)를 통해 여과 완료된 탈취수는 순환펌프(P)의 작동을 통해 분사구(220) 내로 제공급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2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취수를 분사할 수 있고, 이 분사구(220)는 순환펌프(P) 구동에 의한 분사유로(221)를 통해 재공급되는 탈취수를 여과통체(210)의 안쪽 여과면으로 고속으로 분사함으로써 여과통체(210)에 여과된 침전물, 이물질 등이 분사 압력에 의해 제거되면서 침전조(130)에 모이게 하고, 상기 분사구(220)의 분사작용에 의해 여과통체(210)를 제거하지 않고 매우 간편하게 여과통체(210)의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상태의 실시 예로서, 탈취수 여과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2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여과 작동 상태의 흐름도이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장치(1)는; 유입구(120)는 별도 탈취 장치의 탈취수 배출 측에 연결되어 탈취수가 공급되게 하고, 여과 부재(200)를 통해 여과가 완료된 탈취수는 배출구(미도시)에 연결된 탈취수 순환펌프(미도시)의 작동을 통해 상기 별도 탈취 장치의 유입구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여과장치(1)의 유입구(120)를 통해 공급된 탈취수 중 일부는 여과탱크(110) 내에 설치된 여과통체(210)의 수위 조절을 위해 상기 여과통체(210)의 수위가 드레인관(150) 흡입구 보다 높을 경우 상기 드레인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여과탱크(110) 내의 전체적인 탈취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된 탈취수는 유도관(140)에 의해 유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 등을 침전조(130) 저부에 침전되게 하고, 와류에 의한 상승 기류로 탈취수가 여과 부재(200) 측에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여과 부재(200) 측으로 이동되는 탈취수는 여과통체(210)의 안쪽 제1공간(111)에서 바깥쪽 제2공간(112)으로 이동하여 통과하는데, 이 여과통체(210)의 무수히 많은 여과구멍(211)을 탈취수가 통과하면서 여과작용이 유도되어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 등을 여과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여과 장치 100; 본체 부재
110; 여과 탱크 120; 유입구
130; 침전조 140; 유도관
150; 드레인관 200; 여과 부재
210; 여과통체 220; 분사구

Claims (6)

  1. 유입구(120) 및 배출구(미도시)에 의해 탈취수가 유입 후 배출되는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안쪽에 이중 관 형태로 여과통체(210)가 결합되면서 상기 여과통체(210)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120)의 유입 측 제1공간(111)과 드레인관(150)의 배출 측 제2공간(112)으로 서로 나누며, 상기 여과통체(210)에는 제1공간(111)에서 제2공간(112)으로 탈취수를 이동되게 하는 여과구멍(211)이 형성되어 이 여과구멍(211)을 이용한 여과작용으로 탈취수를 여과하는 여과 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 부재(100)는 제2공간(112) 측으로 여과 완료된 탈취수가 유입되는 고정관(151)이 상방으로 꺾여 형성되는데, 이 고정관(151)에 연장되면서 외부로 고정관(151)에 유입된 탈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관(150)은 고정관(151) 상단부 내측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이 상하 이동에 따른 탈취수의 유입 지점 가변에 의해 탈취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변관(152)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관(152)은 상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가변관(152)에 연결된 조작막대(152a)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100)는 유입구(120)에 연결되면서 제1공간(111) 측으로 유입되는 탈취수를 본체 부재(100)의 하부 둘레방향으로 회전되게 유도하면서 상승 기류에 의한 와류를 형성되게 하는 유도관(1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재(100)는 하부에 탈취수에 포함된 침전물, 이물질이 침전되어 모이는 하향 경사 공간을 제공하는 침전조(130)가 마련되고, 상기 침전조(130)에 침전된 침전물,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하는 토출구(1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 부재(200)는 제1공간(111) 안쪽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되는데, 외부에서 공급되는 탈취수를 여과통체(210)의 안쪽으로 고압으로 선택적 분사시켜 여과통체(210)에 잔류한 침전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구(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 부재(100)는 탈취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 감지한 신호를 실시간 제공하는 수위센서(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관(152)은 탈취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60)의 감지신호를 실시간 제공 받아 이를 기반으로 탈취수의 수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사구(220)는 여과통체(210)를 통해 여과 완료된 탈취수가 순환펌프(P)의 작동을 통해 분사구(220) 내로 재공급되는 것을 더 포함한 탈취수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34510A 2019-03-26 2019-03-26 탈취수 여과장치 KR10228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10A KR102285971B1 (ko) 2019-03-26 2019-03-26 탈취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510A KR102285971B1 (ko) 2019-03-26 2019-03-26 탈취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8A KR20200113798A (ko) 2020-10-07
KR102285971B1 true KR102285971B1 (ko) 2021-08-04

Family

ID=7288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510A KR102285971B1 (ko) 2019-03-26 2019-03-26 탈취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9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ko)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0871352B1 (ko) * 2008-05-23 2008-12-02 (주)탑스엔지니어링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087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에싸 여과장치
KR20110073696A (ko) * 2009-12-24 2011-06-30 이규정 여과처리장치
KR101187708B1 (ko) * 2010-09-30 2012-10-10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 여과 장치
KR101433871B1 (ko) 2014-03-07 2014-08-29 (주)덕성그린텍 유해가스제거장치용 반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011Y1 (ko) * 2006-02-23 2006-05-23 주식회사 엔지텍 비점 오염원 처리장치의 내부 침전조
KR100871352B1 (ko) * 2008-05-23 2008-12-02 (주)탑스엔지니어링 나노기포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8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130521B1 (ko) 다량의 유동 액체로부터 유기체와 입자를 분리하고 여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85300B1 (ko) 가로봉 지지식 공극제어형 섬유여재 필터 및 가로봉 지지식 섬유여과장치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2183775B1 (ko) 수막판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CN102329025B (zh) 一种原水处理***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RU2316482C2 (ru) Способ сепарирования суспензии,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180131723A (ko) 오염 가스 집진장치
KR102382837B1 (ko) 오폐수용 사이클론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 수질 감시장치
KR102285971B1 (ko) 탈취수 여과장치
KR100681715B1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KR101155562B1 (ko) U자형 고압 스크러버 시스템
CN210559684U (zh) 一种离子气浮三合一净化器
KR102532113B1 (ko) 물놀이장, 바닥분수, 계류에 적용되는 수처리용 정화시스템
KR102082938B1 (ko) 탈취효율이 향상된 바이오 탈취장치
RU2453354C1 (ru) Фильтр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KR102345774B1 (ko)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KR101692317B1 (ko) 복합처리 방식의 탈취장치 및 방법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CN107915357A (zh) 一种化学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