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827B1 -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 Google Patents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827B1
KR102283827B1 KR1020210033435A KR20210033435A KR102283827B1 KR 102283827 B1 KR102283827 B1 KR 102283827B1 KR 1020210033435 A KR1020210033435 A KR 1020210033435A KR 20210033435 A KR20210033435 A KR 20210033435A KR 102283827 B1 KR102283827 B1 KR 10228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nnecting beam
segment
underground storag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감
Original Assignee
박진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감 filed Critical 박진감
Priority to KR1020210033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8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827B1/en
Priority to CN202110930356.5A priority patent/CN115075291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04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with brick, concrete, stone, or similar build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12Accessories for making shaft linings, e.g. suspended cradles,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an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al vertical shaft. Provided is an underground storage installed inside a top-down precast segmental vertical shaft and consisting of an elevator installed to be rotatable. The underground storage comprises: multiple first pillars connected in multiple layers to be close to an inner arch surface of a segment and arranged at a certain angle; first connecting beams connecting the first neighboring pillars neighboring each other; second pillars connected in multiple layer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enter of the vertical shaft and arranged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pillars are arranged; second connecting beams connecting and fixing the second pillars neighboring each other; second connecting beam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labs supported by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eams; and a floor module installed on each of the slabs and having two or more floors.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storage is standardized.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및 시공 방법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본 발명은 수직구 굴착면에 프리캐스트된 아치 형상의 블록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를 삽입하고, 지반의 굴착 및 세그먼트의 적층을 반복하여 세그먼트를 하향 이동시켜 형성된 수직구 벽면에 승강기와 플로어를 설치하여 시공되는 지하 보관소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sphere formed by inserting a ring-shaped segmen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laterally to a vertical sphere excavation surface, and moving the segment downward by repeating excavation of the ground and stacking the segments.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orage that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n elevator and a floor on the wall.

보다 상세하게는 세그먼트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복수 층으로 연결되고 일정 각도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필러,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빔, 수직구의 중심 방향을 따라 제1 필러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층으로 연결되고 제1 필러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필러,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는 제2 연결빔,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와 제2 필러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빔, 제1 연결빔 및 제2 연결빔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슬래브, 각 슬래브에 설치되며, 2단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된 플로어 모듈로 지하 보관소를 구성하며, 지하 보관소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규격화 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irst pillars connec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e close to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segment, a first connecting beam connecting the adjacently arranged first pillars to each other,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A second pillar connected in a plurality of layer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disposition angle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connecting beam for connecting and fixing adjacent second pillars to each other, opposite A third connecting beam that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rranged in such a way that each other, a slab supported on upper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a floor module installed in each slab and having two or more floors It composes the underground storage with the help of the underground storage, and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storage relates to the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underground storage using the standardized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최근 자동차 보유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주차 시설의 확충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건물과 주차 공간의 접근성 향상 및 주차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지하 주차장 건축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automobiles has rapidly increased, the expansion of parking facilities has become important, and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buildings and parking spaces and to efficiently utilize parking spaces.

그러나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달리, 도심지의 경우 높은 지가가 형성됨에 따라 건물의 고층화 및 밀집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하 주차장을 건축하기 위한 공간이 한정되어 있다. However, unlike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in the case of downtown areas, high land prices are formed and buildings are becoming taller and more densely populated. Accordingly, the spa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is limited.

기존의 지하 주차장의 경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 플로어 공간 외에 차량이 지하 주차장으로 진입하거나 지하 주차장으로부터 이탈하기 위한 진출입로가 형성되어야 하고, 지하 주차장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졌을 때 각 층의 주차 플로어로 이동하기 위한 승하강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지하 주차장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ase of the existing underground parking lot, in addition to the parking floor spac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an entrance and exit for vehicles to enter or leav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must be form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pace usability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as lowered because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for hoisting and lowering to move to the underground parking lot.

따라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8499호(2001.06.15.공개)에 게시된 원형입체주차장과 같이, 한정된 공간 내에 주차되는 자동차의 수량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원형의 수직구 내부에 수직구 벽면을 따라 방사형으로 복수의 주차 플로어를 형성하고, 수직구 중앙부에 승강기를 설치하여 지하 주차 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킨 지하 주차장 시공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Therefore, as in the circular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publish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48499 (published on June 15, 2001), in order to maximize the number of cars parked in a limited space, the wall of the vertical sphere is installed inside the circular vertical sphere. Accordingl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is gradually expanding, which has improved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 by forming a plurality of parking floors in a radial shape and installing an elevator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opening.

위와 같은 지하 주차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직구 시공시, 수직구의 내벽 형성을 위한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아치(arch) 형상의 프리캐스트(precast) 블록을 미리 제작하고, 지하 주차장 시공 현장에서 수직구 굴착면에 복수개의 프리캐스트된 블록을 측방향으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블록 결합체로 이루어진 세그먼트를 삽입 및 적층함으로써, 수직구의 내벽을 형성하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법을 적용하게 된다.When constructing a vertical sphere to form an underground parking lot as above, in order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a formwork for forming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here and the time required for concrete curing, an arch-shaped precast block is prepared in advance, A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that forms the inner wall of a vertical sphere by inserting and laminating segments made of a ring-shaped block assembly formed by later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blocks to the excavation surface of a vertical sphere at an underground parking construction site will apply

세그먼트 적층을 위한 하양 과정에서 굴착 지반을 구성하는 토질의 차이에 의해 세그먼트 적층체의 불균등한 하강에 따른 경사 침하가 이루어지면서 수직구 벽면의 기울어짐이나 세그먼트 적층 연결부간 미세한 벌어짐 또는 어긋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지하 주차장의 내진 성능 및 세그먼트 연결부간 기밀성을 저하시켜, 지하 주차장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연결부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시공상 하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법에 따른 지하 주차장의 벽면 시공 완료 후, 세그먼트 적층체 내벽을 따라 주차 플로어를 형성시, 지하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을 함께 시공하게 된다In the whitening process for segment lamin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oil quality constituting the excavated ground, the slope subsidence due to uneven descent of the segment lamination body is made. , this lowers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gment connections, impai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may cause construction defects in which water leakage occurs through the connection. After completing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parking lot, when the parking floor i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gment laminate,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ill be constructed together.

지하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4779호(2021.02.04.등록)의 프리캐스트 수직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과 같이, 지하 주차장의 벽면 지지 구조물은 주차 플로어를 지하 주차장 최하층으로부터 상층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할 때, 시공 중인 주차 플로어의 층 높이에 맞춰 지하 주차장 중앙부에 수직구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각 층의 주차 플로어를 지지하고, 내부에 각종 지하 설치 시설물이 병설될 수 있는 격벽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like the precast vertical co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14779 (registration of 201.02.04.), the wall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moves the parking floor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 floor. When forming sequentially along the direction, it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from the bottom of the vertical hole to the top according to the floor height of the parking floor under construction, supporting the parking floor of each floor, and various underground install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side It is made in the form of a bulkhead that can be

또한,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22196335호(2021.01.08.공개)의 원형 지하 주차장 건설 방법과 같이, 세그먼트 적층체 중앙부에 수직구 높이 방향을 따라 기둥을 설치하고, 각 기둥을 강재보로 고정하는 지하 주차장의 지지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ircular underground parking lot in China Patent Publication No. 1122196335 (published on Aug. 1, 2021), a column is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sphere height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gment stack, and each column is fixed with a steel beam.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is presented.

그러나, 격벽 형태의 지지 구조물은 지하 주차장의 최하층으로부터 상부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 층의 주차 플로어의 시공과 함께 지지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 지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구 중앙부에 설치된 기둥과 강재보를 통한 지지 구조물은 지하 주차장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기둥 설치가 어려워지고,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와 탑재되는 자동차의 하중에 의해 기둥의 좌굴이 발생하기 용이해지므로, 시공 효율성 및 지하 주차장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 주차장의 벽면 지지 구조물의 개선을 이룰 필요가 있었다.However, the bulkhead-shaped support structure may be delay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upport structure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parking floor of each floor sequentially from the lowest floor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o the upper direction, and the columns and steel material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phere As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creases, the support structure through beams makes it more difficult to install the pillars, and the buckling of the pillars becomes easy due to the load of the slab supported by the pillars and the mounted car. It was necessary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the wall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which can further improve the stability.

또한, 물류의 운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요 지역마다 허브(hub)를 형성하고, 허브의 물류 창고내에 임시 보관한 뒤 목적지로 개별적 수송이 이루어지며, 해상 또는 육상에서의 물류의 대량 운송은 규격화된 컨테이너를 통해 주로 이루어지게 되며, 출발지 또는 도착지에 임시 보관되는 물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터미널에 보관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logistics, a hub is formed for each major region, and after temporary storage in the warehouse of the hub, individual transport is made to the destination. This is mainly done through containers, and logistics containers temporarily stored at the departure or destination are stored in the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이나 일반 물류 창고는 선박이나 수송 차량 등에 물류 컨테이너나 화물 등를 싣거나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의 하역 장비가 갖추어지며, 하역 장비를 통해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보관 공간의 활용 효율성을 높이게 되는데, 적층된 화물의 하중에 의한 컨테이너나 물품 보호용 포장물의 파손이나 붕괴 발생에 의한 금전적 손해 또는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등 화물의 적층 높이가 제한되므로, 화물의 보관 공간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Container terminals or general logistics warehouses are equipped with unloading equipment such as cranes and forklifts that can load or unload logistics containers or cargo on ships or transport vehicles. The efficiency of the use of space is increased, and the stacking height of cargo such as containers is limited in order to prevent financial damage or safety accidents caused by damage or collapse of containers or product protection packages due to the load of stacked cargo. There was a limit to securing space.

특히, 컨테이너 터미널이나 물류 창고에서 기존의 방식에 따라 물류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보관하는 경우, 상부에 적층된 다른 화물의 하부에 위치하는 특정 화물을 선별하여 운송하기 위해서는, 해당 화물의 상부에 적층된 모든 화물 등을 이동시켜야 하여, 물류의 선별적 보관 및 이송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물류 컨테이너 등의 화물 보관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화물의 선별적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물류 창고를 제공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In particular, when cargo such as logistics containers are stored in a container terminal or logistics warehouse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 in order to select and transport specific cargo located below other cargo stacked on top, the cargo stacked on top of the cargo Because it was difficult to selectively store and transport logistics because all cargo had to be mov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cargo storage space such as logistics containers and provide a logistics warehouse that can selectively store and transport cargo. The need is gradually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8499호 (2001.06.1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48499 (published on June 15, 2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4779호 (2021.02.04.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214779 (Registered on Feb. 4, 2021) 중국 공개특허공보 제1122196335호 (2021.01.08. 공개)Chi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122196335 (published on Aug. 8, 2021)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자동차 또는 물류 창고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주차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거나, 물류 창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ehicle or a distribution warehouse using a vertical sphere of a top-down precast seg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securing a parking space for a vehicle or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istribution warehou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 시공법에 따라 지하 보관소의 벽면을 형성할 때, 각 플로어를 지지하기 위한 격벽 형태의 벽면 지지 구조물을 대체하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여, 지하 보관소의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지하 보관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is formed according to the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onstruction method, a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to replace the wall support structure in the form of a bulkhead for supporting each floor, so that the construction efficiency of the underground storage is provided. It aims to further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orage while improving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지하 보관소의 중앙부 지지를 위한 기둥 설치시, 지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지지 기둥의 좌굴 발생을 방지하여 지하 보관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orag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uckling of the supporting pillar due to the load acting on the supporting structure when the pillar for supporting the central part of the underground storage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원형의 보관 공간에 승강기를 이용한 물류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선별적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물류 창고를 제공함으로써, 물류 창고의 하역 작업의 효율성 및 물류 창고의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ogistics warehouse capable of selectively storing and transporting cargo such as a logistics container using an elevator in a circular storage space using a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the efficiency and logistics of unloading work in the logistics warehouse It aims to further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warehou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구 굴착면에 프리캐스트된 아치 형상의 블록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를 삽입하고, 지반의 굴착 및 세그먼트의 적층을 반복하여 세그먼트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수직구의 벽면을 형성하며, 수직구 중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와, 플로어가 수직구의 내벽 내주면에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어 지하 보관소를 시공하되, 세그먼트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수직구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세그먼트의 내벽을 따라 일정 각도로 배치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필러,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빔, 수직구의 중심 방향을 따라 제1 필러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구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제1 필러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제2 필러,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빔, 각 층별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와 제2 필러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빔, 각 층별 제1 연결빔 및 제2 연결빔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수직구의 중심 방향을 따라 승강기가 설치되는 승강구가 형성된 복수의 슬래브, 각 층의 슬래브에 배치된 제1 필러 및 제2 필러 사이 공간마다 설치되며, 2단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된 복수의 플로어 모듈로 지하 보관소가 구성되며, 지하 보관소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규격화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segment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laterally to a vertical sphere excavation surface is inserted, and the segment is moved downward by repeating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and lamination of the segments. An elevator that is installed rotatably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phere and a floor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here to form the wall of the vertical sphere by A plurality of first fillers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direction,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gment, and made of a tube of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inside is filled with concrete, first filler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The first connecting beams installed to connec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and the same angle as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rst pillar A second pillar consisting of a tube having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therein, a second connecting beam installed to connect and fix the second pillar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floor, and oppositely arranged for each floor A plurality of third connecting beam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hoisting hole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eams for each floor, and in which the elevator is installed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are formed is installed in each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rranged on the slab of each floor, and the underground stor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loor modules having two or more floors, and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storage is standardized.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필러와 제2 필러의 상하 끝단 연결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1 체결리브와 제2 체결리브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제1 체결리브와 제2 체결리브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연결된 제1 필러 및 제2 필러의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되어, 제1 필러 및 제2 필러의 연결부간 결속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astening rib and a second fastening rib protruding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 connec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nd each of the first fastening rib and the second fastening rib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opposit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connected up and down to form a bon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제1 필러의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 연결부에는 제1 브라켓이 형성되고, 각 제1 브라켓 끝단에는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의 제1 커플러가 형성되며, 각 제2 필러의 제2 연결빔 및 제3 연결빔 연결부에는 제2 브라켓이 형성되고, 각 제2 브라켓 끝단에는 제2 연결빔 및 제3 연결빔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의 제2 커플러가 형성되되,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racket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of each first pillar, and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first bracket in the cross-sectional shape. A first coupler of a complementary shape is form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 second bracket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of each of the second pillars, and a second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are formed at the end of each second bracket. A second coupler of a complementary shape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각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과 제1 커플러간 결합부, 그리고 제2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과 제2 커플러간 결합부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각 빔과 커플러간 결속이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and the coupling part between the first coupler,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or the coupling part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beam and the second coupler. As each fastening member is connected, the coupling between each beam and the coupler is ma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층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빔 및 제2 연결빔의 각 중앙부를 연결하는 보조 빔이 설치되고, 보조 빔의 일측 끝단은 수직구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되, 돌출된 각 보조 빔의 끝단에 링 형상을 이루는 링 빔의 외주면이 연결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eam connecting each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each floor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beam is provi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Doedo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beam forming a ring sha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protruding auxiliary bea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필러의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 연결부 외주면에는 댐퍼 서포트바가 장착되어, 댐퍼 서포트바 상부면에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이 연결되며, 댐퍼 서포트바와 연결되는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 끝단은 제1 필러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지하 보관소에 외력 작용시 제1 필러와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간 유동에 의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mper support bar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illar,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support bar, and the damper suppor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the ba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derground storage, a damping action is made by the flow between the first pillar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댐퍼 서포트바의 상부에는, 표면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며, 오목홈의 최저점이 제1 필러의 외주면과 동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댐퍼 가이드가 장착되고, 댐퍼 서포트바와 연결되는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 끝단 하부에는 각각 제1 댐퍼 또는 제2 댐퍼이 돌출되어, 댐퍼 가이드와 제1 댐퍼 또는 제2 댐퍼간 접촉이 이루어지되, 제1 필러와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간 유동 발생시 제1 댐퍼 또는 제2 댐퍼가 댐퍼 가이드의 오목홈 최저점 위치로 복귀하면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mper guide formed so as to form a parabolic concave groove with a convex surface downward,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being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amper support bar, , A first damper or a second damper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respectively, so that contact between the damper guide and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is made, but the first pillar and the second damper When the flow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occurs, the first damper or the second damper returns to the lowest point position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damper guide, thereby performing a damping a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하 보관소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 필러 및 제2 필러 상부 끝단에는 지하 보관소의 상부 덮개 구조를 이루는 상부 슬래브가 설치되고, 상부 슬래브의 외주면 직경은 세그먼트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부 슬래브의 하부면에는 세그먼트의 최상단 끝단을 고정하는 세그먼트 고정빔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세그먼트 고정빔은 세그먼트의 상부 끝단 내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내측 고정빔과, 세그먼트의 상부 끝단 외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외측 고정빔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lab forming the upper cover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and the second pillar disposed at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and the out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upper slab is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al diameter of the segment The segment fixed beam for fixing the uppermost end of the segmen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ab, and the segment fixed beam includes a ring-shaped inner fixed beam for fix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It consists of a ring-shaped outer fixing beam for fixing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제1 필러와 제2 필러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가 형성되되, 통로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연결빔은 제1 필러 연결 방향 끝단이 2갈래로 분지된 형태를 이루어, 분지된 제3 연결빔의 각 끝단이 제1 필러의 양측으로 연결된 제1 연결빔에 연결되며, 제3 연결빔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llar and the second pillar facing each other,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assage is formed has two 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illar is connected. Each end of the branched third connecting beam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illar, and a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빔을 통해 제1,2 필러를 서로 연결하여 골조 구조를 이루는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시공된 지하 보관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ng beam to form a pillar and a beam module structure constituting a fram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nstructed underground stor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하 보관소의 벽면을 구성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적층체와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을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외력 작용시,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이 지하 보관소의 벽면을 이루는 세그먼트와 별개의 거동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보관물 하중의 세그먼트에 직접 작용을 방지하여, 지하 보관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ast segment laminate and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ue to an earthquake,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ar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By making it behave separately from the segment constituting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irect action on the segment of the storage load,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or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구의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필러 기둥체연결빔간 결합 구조를 통해, 기존의 격벽 형태의 벽면 지지 구조물 시공 대비 지지 구조물 설치 공사에 소요되는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시공 과정에서 격벽 구조물 형성을 생략 함으로써, 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pillar connecting beams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the construction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structur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upport structure of the existing bulkhead type, an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By omitting the formation of the bulkhead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str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하 보관소의 필러 및 빔의 모듈 구조물 및 슬래브를 설치한 후, 각 슬래브 상부에 2층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된 플로어 모듈을 설치하여 여러 층의 플로어를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지하 보관소의 시공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the module structure and slab of the pillar and beam of the underground storage, a floor module having two or more floors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each slab to form floors of several floors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grea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공 구조의 튜브 형태를 이루는 필러 기둥체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CFT(Concrete Filled Tube)구조를 형성하여, 필러 기둥체가 지하 보관소의 보강 골조 구조 뿐만 아니라 지하 보관소 상부에 시공되는 상부 구조물의 기초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부 구조물의 기초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FT (Concrete Filled Tube) structure is formed by filling concrete inside a filler column forming a tube shape of a hollow structure, and the filler column is constructed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ground storage as well as the reinforcement fram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By making it act as the foundation of the upper struct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cost of foundation con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두께 대비 긴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을 이루는 필러 기둥체를 복수의 부재로 분할하여 상하로 연결하고, 각 필러 기둥체는 연결빔으로 서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필러 기둥체의 좌굴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llar pillar having a pillar shape having a long length compared to the thickness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and connected vertically, and each pillar pillar is connected and fixed with a connecting beam.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ucklin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두께 대비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필러 기둥체를 경량화된 중공 구조 및 분할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필러 기둥체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the pillar pillar body by forming the pillar pillar body, which is easily deformed and damaged due to its long length compared to the thickness, into a lightweight hollow structure and a divided structure is obtained.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필러와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이 서로 이격되고, 제1 필러에 장착된 댐퍼 서포트바 상부에 제1 연결빔 또는 제3 연결빔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댐핑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모듈 구조물의 진동 및 충격의 효율적인 분산에 의한지하 보관소의 내진 성능 및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llar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is movably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mounted on the first pillar. As the damping action is ma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orage by the efficient dispersion of vibration and shock of the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댐퍼 서포트바에 장착된 댐퍼 가이드의 오목홈 형상을 통해,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외력 작용시, 슬래브와 플로어 모듈 및 적재된 보관물의 하중이 복원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지하 보관소의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cave groove shape of the damper guide mounted on the damper support ba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ue to an earthquake, the load of the slab, the floor module, and the loaded storage acts as a restoring forc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eam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슬래브의 층간 이동을 위한 통로 형성시, 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빔을 2갈래로 분지된 형태로 형성하고, 연결빔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를 형성하여, 연결빔이 통로의 골조를 형성함으로써, 통로 시공을 위한 별도의 골조 구조 설치 과정 생략에 따라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ing a passage for interlayer movement of each slab, the connecting beam on which the passage is formed is formed in a branched form, and a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connecting beam, so that the connecting beam is By forming the frame of the passag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y omitting a separate frame structure installation process for the passage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 보관소 구조에서 지하 보관소의 외벽을 이루는 세그먼트의 블록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 보관소의 수직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 형상의 빔이 적용된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 형상의 빔이 적용된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필러간 상하방향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필러간 상하방향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필러와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필러와 제2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필러와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필러와 제2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빔이 장착된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에서, 제1 필러에 장착된 댐퍼 서포트바와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치 형상의 빔이 적용된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에서, 제1 필러에 장착된 댐퍼 서포트바와 제1 연결빔 및 제3 연결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퍼 가이드와 댐퍼간 접촉부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에서, 댐퍼 가이드 표면에 형성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을 따라 댐퍼가 이동 및 복귀하면서 지하 보관소에 작용하는 외력을 감쇠(damping)시키는 매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빔 및 링 빔이 적용된 지하 보관소의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슬래브의 단면 형상 및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지된 형태의 제3 연결빔을 적용하여 지하 보관소의 통로를 형성하는 모듈화된 필러 및 빔간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lock structure of segments constituting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storage in an underground storag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modular pillar and a beam of an underground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between the modular pillar and beams of the underground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dular pillar and a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to which an arch-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dular pillar and a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to which an arch-shap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vert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econd pilla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irst pillar and a first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econd pillar and a second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first pillar and a first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econd pillar and a second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odular filler and a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equipped with an auxiliary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mper support bar mounted on the first pillar and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in the modular structure of the pillar and the inter-beam connec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damper support bar mounted on a first pillar and a first connecting beam and a third connecting beam in a modular pillar and inter-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to which an arch-shaped beam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at view.
16 is a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tact part between a damper guide and a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mechanism for damping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underground storage while the damper moves and returns along the parabolic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damper guide surface in the modularized filler and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1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dularized filler and a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to which an auxiliary beam and a ring beam are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hape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upper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odularized filler and a beam-to-beam connection structure for forming a passage of an underground storage by applying a branched third connecting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components of the same name according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given even though they are different drawings.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n this case, it does not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have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at they have the same functio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s the corresponding embodiment. It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meaning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보관소(2)는 지하 물류 창고나 지하 주차장 등으로 활용되며,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표면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굴착되어 형성된 수직구(1)의 굴착면에 세그먼트(10)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지하 보관소(2)의 내벽을 형성한다.The underground storag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as an underground logistics warehouse 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s shown in FIG. 2 , the segment 10 is located on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formed by excavat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ground surface. It is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to form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세그먼트(10)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precast)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연결한 링 형상의 블록(100) 결합체로 이루어지며, 시공하고자 하는 지하 보관소(2)의 높이에 이를때까지 세그먼트(10)의 상단 적층과 수직구 바닥면의 굴착을 반복 수행하면, 세그먼트(10) 적층체의 자중 또는 압입기로부터 작용하는 압입력에 의해 세그먼트(10) 적층체가 수직구(1) 굴착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지하 보관소(2)의 내벽이 형성된다.The segment 10 is made of a ring-shaped block 100 assembly in which a precast arch-shaped block 100 is later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1, and the underground storage 2 to be constructed ), if the stacking of the top of the segment 10 and the excav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formed while moving downward along the excavation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세그먼트(10)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지하 보관소(2)의 벽면 내부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구조가 적용되며,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구(1)의 바닥 콘크리트(ground concrete)상에 적층된 세그먼트(10)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복수의 제1 필러(200)가 세그먼트(10)의 내벽을 따라 수직구(1) 단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The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formed by the lamination of the segments 10, and the floor concrete of the vertical sphere 1 as shown in FIGS. 2 to 4 (ground concrete) The plurality of first pillars 200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gment 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ross-sectio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segment 10 stacked thereon.

제1 필러(200)는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지는데,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필러(200)의 상하부 끝단이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radial shape)으로 돌출된 제1 체결리브(210)가 형성되며, 제1 체결리브(210)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의 체결홀(fastening hole)이 형성된다.The first pillar 200 is made of a tube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as shown in FIG. 7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pillar 200 protrude in a radi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rib 210 .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rib 2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세그먼트(10)의 내벽을 따라 일정 각도로 배치된 각 제1 필러(200)는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되어 층상 구조(layer structure)를 이루는 하나의 기둥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하로 연결된 제1 필러(200)간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fastener)가 연결되면서 제1 필러(200) 기둥체의 연결부간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Each of the first pillars 20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gment 10 is connected in a plurality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to form a single column body forming a layer structure. As the fasten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connected up and down,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pillars 200 is made.

또한, 제2 필러(300)가 제1 필러(200)로부터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구(1)의 바닥 콘크리트(ground concrete)상에 설치되어, 제2 필러(300)간 배치 각도가 제1 필러(200)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게 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직선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지하 보관소(2)의 중심축을 통과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iller 3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concrete of the vertical sphere (1) so as to b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from the first filler (200), the second The arrangement angle between the pillars 300 forms the same angle as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rst pillars 200 , and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irst pillars 200 and the second pillars 30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t will pas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made of this circular shape.

제2 필러(300) 또한 제1 필러(200)와 마찬가지로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지며,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필러(300)의 상하부 끝단이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2 체결리브(310)가 형성되며, 제2 체결리브(310)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된다.The second filler 300 is also made of a tube having a hollow structure like the first filler 200 , and as shown in FIG. 8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filler 300 radially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rib 310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fastening rib 3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제1 필러(200)의 설치 위치에 대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배치된 각 제2 필러(300)는 수직구(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되어 층상 구조를 이루는 하나의 기둥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하로 연결된 제2 필러(300)간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되면서 제2 필러(300) 기둥체의 연결부간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Each of the second pillars 30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a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pillar 200 is connected in a plurality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to form a single column body forming a layered structure. In addition, as the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opposite to each other between the second pillars 300 connected up and down,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second pillars 300 is made.

연결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기둥체 연결부를 결속하는 결속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connected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to the column body connection part is composed of a bolt and a nut.

복수개의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가 형성한 각 기둥체의 중공부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의 각 기둥체가 CFT(Concrete Filled Tube)구조를 이루며, 지하 보관소(2)의 모듈화를 이룰 수 있도록 상하로 연결되는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는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ncrete is filled inside the hollow part of each column formed by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fillers 200 and 300, so that each column of the first and second fillers 200 and 300 is CFT ( Concrete Filled Tub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connected up and down to achieve modularization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re formed in the same standard.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 상부 측면에는 제1 연결빔(220)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제1 필러(200)가 서로 연결되고,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300) 상부 측면에는 제2 연결빔(310)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제1 필러(200)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한다.A first connecting beam 2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illar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so that the adjacent first pillar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pilla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 300) A second connecting beam 3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o connect and fix the adjacent first pillars 200 to each other.

상기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은 완공된 지하 보관소(2)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H형상 또는 I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강재 빔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은 세그먼트(10)와 동심(homocentricity)을 이루는 호(arc)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층별로 연결된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이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are preferably a steel beam forming an H-shaped or I-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completed underground storage 2, as shown in FIG. 5 and 6,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has an arc shape that is concentric with the segment 10,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may form a ring shape.

각 층별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는 제3 연결빔(40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및 제1 필러(200)와 제3 연결빔(400)간 연결부에는 제1 브라켓(201)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1 브라켓(201) 끝단에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이 결속되는 제1 커플러(202)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connecting beam 400. As shown in FIGS. 9 and 11, each of the first pillars (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a first bracket 201 is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a first bracket 201 is formed at an end of each of the first brackets 201. The first coupler 202 to which the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bound may be formed.

제1 커플러(202)는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며, 각 제1 필러(20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1 커플러(202)간 결합부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연결된 제1 필러(20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1 커플러(202)의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각 빔과 커플러간 결속이 이루지게 된다.The first coupler 202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end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and each of the first pillar 20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ers 202 , and fastening member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coupling holes of the connected first pillar 20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coupler 202 opposite to each other. is connected, a bond is formed between each beam and the coupler.

또한, 도 10 및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필러(300)와 제2 연결빔(320) 및 제2 필러(300)와 제3 연결빔(400)간 연결부에는 제2 브라켓(301)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2 브라켓(301) 끝단에는 제2 연결빔(320) 또는 제3 연결빔(400)이 결속되는 제2 커플러(30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2 , a second bracket 301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econd pillar 30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and the second pillar 30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respectively. ) is formed, and a second coupler 302 to which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boun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each of the second brackets 301 .

제2 커플러(302)는 제2 연결빔(320) 및 제3 연결빔(400)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이루며, 각 제2 연결빔(32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2 커플러(302)간 결합부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데, 연결된 제2 연결빔(32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2 커플러(302)의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각 빔과 커플러간 결속이 이루지게 된다.The second coupler 302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and each second connecting beam 3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coupler 302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or in the opposite fastening holes of the connected second connecting beam 3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second coupler 302, respectively. By connecting the fastening member, the bond between each beam and the coupler is achieved.

각 층별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20)의 상부면에는 슬래브(500)가 설치되는데, 각 층에 설치되는 슬래브(500)는 설치의 편의성을 위하여 동일 규격을 이루는 복수의 모듈로 나누어져 구성되며, 슬래브(500)에는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승강기(20)가 설치되는 승강구(510)가 형성되어, 각 슬래브(500) 모듈은 외측과 내측에 2개의 호(arc)가 형성된 부채꼴 형상을 이루게 된다.A slab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for each floor, and the slab 500 installed on each floor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the same standard for convenience of installation. It is divided into modules, and the hoistway 510 in which the elevator 20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slab 500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each slab 500 module has two modules 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An arc is formed to form a sector shape.

각 슬래브(500)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데, Each slab 500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각 층의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에 설치되는 제1 연결빔(220)과 제2 연결빔(310) 및 제3 연결빔(400)의 상부면이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슬래브(5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웃하는 슬래브(500)간 연결부가 제3 연결빔(4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설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nstalled i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of each layer are on the same height. By installing the slab 500 to on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lab 500 from being inclined to one side, and to allow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neighboring slabs 500 to be supported by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thereby forming a more stable installation structure.

각 층의 슬래브(500) 상부에는 복수의 플로어 모듈(40)이 각 슬래브(500) 모듈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2단 이상의 플로어(floor)가 형성된 플로어 모듈(40)은 플로어 모듈(40)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슬래브(500)에 설치되거나, 미조립 상태의 플로어 모듈(40)을 각 슬래브(500)에 이송한 후 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A plurality of floor modules 40 are installed on the slab 500 of each floor to be disposed on each slab 500 module, and the floor module 40 in which two or more floors are formed is a floor module 40 It is installed in the slab 500 in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completed, or the floor module 40 in an unassembled state is transferred to each slab 500 and then assembled and installed.

이때, 기존의 방식에 따라 세그먼트(10)의 하향식 건축 방식을 통해 지하 보관소(2)를 건축하는 경우, 지하 보관소(2) 최하층으로부터 상층 방향을 따라 플로어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게 되며, 플로어 시공 과정에서 플로어를 지지하고, 각종 지하 설치 시설물을 병설하기 위하여, 시공중인 플로어의 층 높이에 맞춰 지하 보관소(2) 중앙부에는 수직구(1)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을 따라 격벽으로 이루어진 지지 구조물을 함께 시공하게 되는데, 격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하 보관소(2)의 시공 기간이 증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built through the top-down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gment 10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 the floors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lowest floor to the upper floor of the basement storage 2, and in the floor construction process In order to support the floor and install various underground installation facilities in parallel, a support structure consisting of bulkheads is construc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n accordance with the floor height of the floor under construction along the upper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opening (1). ,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bulkhead structure.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세그먼트(10) 적층체를 지지하는 모듈화된 각 필러와 빔 및 슬래브의 설치를 통해, 기존 방식에 따른 지하 보관소(2)의 플로어와 이를 지지하는 격벽 구조물 시공 과정을 단순화하고, 하나의 플로어 모듈(40) 설치에 의해 여러 층의 플로어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시공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floor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the bulkhead structure supporting it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 is simplifi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each modular pillar, beam, and slab supporting the segment 10 stack. By installing the floor module 40 of

지하 보관소(2)의 중심부에는 각 층의 슬래브(5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승강구(510)를 통과하도록 승강기(20)가 설치되며, 승강기(20)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e center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the elevator 20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hoistway 510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lab 500 of each floor, and the elevator 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승강기(20)는 지하 보관소(2)에 적재하고자 하는 지상의 차량이나 물류 컨테이너나 기타 화물 등을 지하 보관소(2) 내부로 하강 및 회전시켜 플로어 모듈(40)의 빈 플로어 입구로 위치시킨 후 플로어 상부에 적재하거나, 지하 보관소(2)에 적재된 차량이나 물류 컨테이너 등의 화물이 위치하는 플로어 입구로 승강 및 회전하여, 보관된 적재물을 승강기(20)에 탑재한 다음 지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elevator 20 lowers and rotates a vehicle, logistics container, or other cargo on the ground to be load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2 into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places it as an empty floor entrance of the floor module 40. It is loaded on the upper part or lifted and rotated to the floor entrance where the cargo such as a vehicle or a logistics container load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located, and the stored load is mounted on the elevator 20 and then moved to the ground.

또한,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층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각 중앙부에 보조 빔(410)이 설치되어,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보조 빔(410)은 이웃하는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사이의 모든 공간에 각각 설치되거나, 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사이의 일부 공간에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 an auxiliary beam 410 is installed in each center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for each floor,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beam 410 may be installed in all spaces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 respectively, or the first pillar 200 . It may be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n some space between and the second pillar (300).

보조 빔(410) 일측 끝단은 수직구(1)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며, 돌출된 각 보조 빔(410)의 끝단에 링(ring) 형상을 이루는 링 빔(420)이 연결된다. One end of the auxiliary beam 410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 and a ring beam 420 forming a ring sha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protruding auxiliary beam 410 .

보조 빔(410)은 제1 연결빔(220)과 제2 연결빔(310)을 서로 고정하여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하 보관소(2)의 모듈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슬래브(500) 상부에 적재되는 보관물의 최대 하중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링 빔(420)은 지하 보관소(2) 중앙에 설치되는 승강기(20)의 측부를 지지하여,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고 있어 좌굴이 발생하기 쉬운 승강기(20) 구조물의 변형이나 파손 발생을 방지하고, 고하중의 보관물 이송시 승강기(20) 구조물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승강기(20) 운행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uxiliary beam 410 by fixing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to each other to form a more robust and stable modular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the storage loaded on the slab 500 To increase the size of the maximum load of water, the ring beam 420 supports the side of the elevator 20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compared to the height, so buckling occurs It prevents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20, which is easy to operate, and prevents shaking of the structure of the elevator 20 when transporting high-load storage, so that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elevator 20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층별 제1 필러(200)의 제1 연결빔(220) 연결부 또는 제3 연결빔(400) 연결부 외주면에는 댐퍼 서포트바(230)가 장착될 수 있는데, 댐퍼 서포트바(23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은 제1 필러(200)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면에 배치되면서, 제1 필러(200)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되어,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4 and 15 , a damper support bar 23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connecting portion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pillar 200 for each layer. There,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23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200 in a non-fixed state, a flow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may be achieved.

이때,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외력 작용시, 지하 보관소(2)의 벽면을 이루는 세그먼트(10) 적층체와 제1 필러(200)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필러 및 빔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모듈 구조물이 세그먼트(10)와 별개의 거동을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the segment 10 stack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odule structur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pillars and the beams is a segment (10) and a different behavior are achieved.

이를 통해 모듈 구조물 및 각 슬래브(500)에 적재된 보관물의 하중이 세그먼트(10)에 직접 작용하지 않음으로써,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간 연결부 이탈이나 세그먼트(10) 적측면간 기울어짐 또는 어긋남 발생을 방지하여 지하 보관소(2)의 세그먼트(10) 적층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load of the stored material loaded on the module structure and each slab 500 does not directly act on the segment 10,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blocks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is separated or the segment 10 is placed between the stacking surfac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egment 10 stack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ilting or misalignment.

특히,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에 의해 모듈 구조물이 제1 필러(200) 및 제1 연결빔(220)의 연결체와, 제2 필러(300) 및 제2 연결빔(320)의 연결체의 두 구조체간 별개의 거동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지진 발생 등의 외력 작용시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에 의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particular, by the flow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the module structure is formed with the connecting body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The second pillar 30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enable separate behavior between the two structures of the connecting body, and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earthquake occurs,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re applied. ) or a damping action by the flow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beams 400 is made.

댐퍼 서포트바(230)에 의한 댐퍼 구조가 적용된 모듈 구조물은, 제1,2 필러(200,300)가 제1,2,3 연결빔(220,320,400)과 서로 고정 설치된 일체형 모듈 구조물에 비해, 전체 모듈 구조물의 흔들림 폭을 절감시켜 모듈 구조물 작용하는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듈 구조물의 진동 및 충격 분산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하 보관소(2)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module structure to which the damper structure by the damper support bar 230 is applied is compared to the integrated modul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are fixed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beams 220, 320 and 4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bration and shock acting on the module structure by reducing the swing width, thereby making it easier to distribute the vibration and shock of the module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do it

또한, 댐퍼 서포트바(230)의 댐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1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에 댐퍼 가이드(231)를 장착하고,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 하부에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각각 형성되어,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와 댐퍼 가이드(231) 상부면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 as shown in FIG. 16 , a damper guide 231 is mounted on the damper support bar 230 a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 A first damper 221 or a second damper 403 is respective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and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and The damper guide 231 may be configured to make contact between upper surfaces.

이때, 댐퍼 가이드(231)의 상부면 표면에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고, 오목홈의 최저점이 제1 필러(200)의 외주면과 동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며,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의 하부면에 볼록면이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concave groove of a convex parabolic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guide 231 ,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is formed to be concentric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 and the first damper 221 . ) or a protrusion having a convex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amper 403 .

이에 따라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 작용에 의한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 발생시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의 볼록면 최저점이 댐퍼 가이드(231)의 오목홈 최저점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슬래브(500) 및 적재된 보관물의 하중에 의해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의 볼록면 최저점이 댐퍼 가이드(231)의 오목홈 최저점 위치로 다시 복귀하면서 댐핑 작용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7 , when a flow occurs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due to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 ) is separated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damper guide 231,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onvex surface of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by the load of the slab 500 and the loaded storage. The damper guide 231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damping action is performed more rapidly while returning to the lowest point position of the concave groove.

모듈 구조물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이 제1 필러(200) 외주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유동 거리가 제한되며, 제1 필러(200)가 스토퍼로 작용함으로써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댐퍼 가이드(23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an excessiv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dule structure,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to limit the flow distance, and the first pillar 200 ) act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amper guide 231 .

특히, 내진 설계가 반영된 구조물의 경우, 필러와 빔 등의 구조재 연결부간 변형 또는 이탈 발생시 구조물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보관소(2)의 모듈 구조물에서는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외력 작용시,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에 의하여 각 필러와 빔간 연결부 변형 발생을 방지하고, 댐퍼 가이드(231)를 통해 유동되었던 모듈 구조물의 연결부를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내진 성능 및 내구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is reflected,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may be greatly reduced when deformation or separation occurs between structural material connections such as pillars and beams. During operatio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prevents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illars and the beam by the flow between the beams, and the module that has flowed through the damper guide 231 By allow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structure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the seismic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지하 보관소(2)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상부 끝단에는 지하 보관소(2)의 상부 덮개 구조를 이루는 상부 슬래브(5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 슬래브(520)의 외주면 직경은 세그먼트(10)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upper slab 520 constituting the upper cover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upper slab 520 is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gment 10 .

상부 슬래브(520)의 하부면에는 세그먼트(10)의 최상단 끝단을 고정하는 세그먼트 고정빔(521)이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세그먼트 고정빔(521)은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내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내측 고정빔(522)과,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외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외측 고정빔(523)으로 이루어져, 세그먼트(10) 상부 끝단에 배치된 블록(100)간 벌어짐 또는 연결부 이탈 발생을 방지하여 시공된 지하 보관소(2)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ab 520 , a segment fixed beam 521 for fixing the uppermost end of the segment 10 may protrude in a ring shape, and the segment fixed beam 521 is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10 . A block 100 arranged at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10, consisting of a ring-shaped inner fixed beam 522 for fix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ing-shaped outer fixed beam 523 for fix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10. )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gapping or separation of the connection part,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nstructed underground storage (2).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통로(30)에는 각 플로어의 층간 이동을 위한 비상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passage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facing each other, and the passage 30 has an emergency staircase or escalator for interfloor movement of each floor. Alternatively, an elevator may be installed.

도 2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30)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연결빔(400)은 제1 필러(200)와의 연결부 끝단이 2갈래로 분지(branching)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3 연결빔(400)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30)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assage 30 is formed may have a form in which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with the first pillar 200 is branched into two, The passage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분지된 형태의 제3 연결빔(400)은 비상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통로(30)의 골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통로(30)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branched third connecting beam 400 forms the frame of the passage 30 for installing an emergency staircase, escalator or elevator,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passage 30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can be shorten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향식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주차장 시공 방법은, 지하 보관소(2)의 벽면을 형성하는 제1 단계(S10), 최하단 필러 및 빔 모듈을 설치하는 제2 단계(S20), 필러 및 빔 모듈을 추가 설치하여 복수 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 필러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제4 단계(S40), 슬래브(500)를 설치하는 제5 단계(S50), 그리고 모듈(40)을 설치하는 제6 단계(S60)로 이루어진다.The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op-down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irst step (S10) of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the lowermost pillar and beam module. A second step (S20), a third step (S30) of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filler and a beam module, a fourth step (S40) of filling concrete in the filler inner space, a first step of installing the slab 500 It consists of a fifth step (S50) and a sixth step (S60) of installing the module 40 .

제1 단계(S10)에서는 수직구(1) 위치에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면 보호를 위한 링 형상의 슈(shoe)를 배치하고, 슈 상부에 프리캐스트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최하단 세그먼트(10)를 결합한다(S11).In the first step (S10), a ring-shaped shoe for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most segment 10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arch-shaped block 100 precast on the shoe upper part is measured. The ring-shaped lowermost segmen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in the direction is combined (S11).

슈와 최하단 세그먼트(10)간 결합 및 배치가 완료되면 슈가 배치된 수직구(1) 바닥면을 굴착하여 슈와 세그먼트(10)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며(S12), 수직구(1) 바닥면 굴착시 슈와 세그먼트(10)의 자중에 의해 슈와 세그먼트(10)가 동시에 하향 이동하게 된다.When the coupling and arrangement between the shoe and the lowermost segment 10 are completed,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where the shoe is disposed is excavated to move the shoe and the segment 10 downward (S1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is excavated. The shoe and the segment 10 move downward at the same time by the weight of the sea shoe and the segment 10 .

이후 수직구(1) 바닥면 굴착에 따른 세그먼트(10) 적층 구조물의 하향 이동 및 세그먼트(10) 추가 적층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지하 보관소(2)의 벽면 형성을 완료하게 된다(S13).Thereafter,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gment 10 stack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process of additionally stacking the segments 10 are repeated to complete the forma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S13) .

이때, 수직구(1) 측면 굴착면과 세그먼트(10)간 마찰에 의해 세그먼트(10) 적층체의 원활한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반을 이루는 토질의 차이에 의해 세그먼트(10) 적층체의 불균등한 하강에 따른 경사 침하가 발생하는 경우, 수직구(1) 입구에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압입기를 통해 최상단 세그먼트(10) 상부를 가압하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세그먼트(10) 적층체의 균등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mooth downward movement of the stacked body of the segment 10 is not mad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side excavation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he segment 10, or unevenness of the stack of segments 10 due to the difference in soil quality constituting the ground When an inclined subsidence according to one descent occurs, by adjusting the force to press the uppermost segment 10 through a plurality of indenters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entrance of the vertical sphere 1, the segment 10 stack of Make sure there is an even descent.

상기 세그먼트(10) 또는 블록(100)의 규격은 지하 보관소(2)에 보관되는 보관품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지하 보관소(2)가 형성되는 지반의 토질 조건이나, 각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의 수량은 블록(100)간 연결 또는 체결 방식에 따른 형상 변화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다.The specification of the segment 10 or block 100 changes according to the size or type of storage items stored in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the soil condition of the ground in which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formed, or each segment 10 ), the number of blocks 100 constituting the block 100 may change according to a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r fastening method between the blocks 100 .

지하 보관소(2)를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인 지하 입체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경우, 주차장의 각 주차 플로어당 주차 가능한 차량 수에 따른 블록(100) 및 세그먼트(10)의 규격 및 연결 수량은 아래의 표와 같이 형성된다.When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used as an underground multi-story parking lot, which is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s and connection quantities of the blocks 100 and segments 10 according to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per each parking floor of the parking lot are as follows. is formed as shown in the table of

주차 차량수number of parking vehicles 세그먼트segment 블록block 블록 수number of blocks 내경(m)Inner diameter (m) 외경(m)Outer diameter (m) 높이(m)height (m) 길이(m)Length (m) 중량(ton)Weight (ton) 1212 22.0022.00 23.2023.20 1.51.5 3.93.9 8.58.5 1818 1010 20.5020.50 21.6021.60 1.51.5 4.14.1 8.28.2 1616 88 19.0019.00 20.0020.00 1.51.5 4.44.4 7.97.9 1414

또한, 수직구(1) 바닥면으로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바닥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지하 보관소(2) 내측 바닥면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집수구를 형성하고, 지하 보관소(2)의 벽면 외측에는 세그먼트(10)의 바닥면 외주면을 따라 유공관(perforated drainpipe)을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floor concrete is pour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hole (1), and one or more water catchments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basement storage (2) where the floor concrete is poured, and segments ( 10) A perforated drainpipe can be instal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집수구와 유공관은 집수관을 통해 집수정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집수구와 유공관을 통해 지하 보관소(2)의 바닥면 내외부로 유입된 빗물을 모아 집수정으로 수집한 후, 펌프를 통해 집수정에 수집된 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침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catchment and perforated pipe can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well through the collecting pipe, and the rainwater flowing into and ou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through the catchment and the perforated pipe is collected into the collecting well and then collected through the pump. By discharging the collected water to the sewer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flooding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from occurring.

시공 제2 단계(S20)에서는 수직구(1) 바닥의 바닥 콘크리트 상부에 최하단 필러 및 빔 모듈을 설치하게 되는데,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필러(200)를 적층된 세그먼트(10)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일정 각도로 배치하여 설치하고(S21), 마찬가지로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2 필러(300)를 제1 필러(200)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제1 필러(200)로부터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한다(S22).In the second construction step (S20), the lowest pillar and the beam module are installed on the floor concrete of the floor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a plurality of first pillars 200 made of a hollow tube are stacked segments (1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S21), and similarly, a plurality of second pillars 300 made of a hollow tube are arranged at the same angle as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rst pillar 200. It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illar 20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S22).

바닥 콘크리트에 설치된 제1 필러(200)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이 제1 연결빔(2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S23), 제2 필러(300)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이 제2 연결빔(320)으로 연결되고(S24), 동일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면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이웃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200)의 상부는 제3 연결빔(400)으로 서로 연결된다(S25).The first pillar 200 installed on the concrete floor has upper side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S23), and the second pillar 300 The upper side surfaces of the second pillars 200 disposed nex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S24), and the adjacent first pillars 20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installed to form the same angl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lla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ird connecting beam 400 (S25).

시공 제3 단계(S30)에서는 바닥 콘크리트면에 설치된 제1 필러(200) 상부에, 수직구(1)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필러(200)를 복수의 층으로 추가 연결하여 제1 필러(200) 기둥체를 형성하고(S31), 제1 필러(200) 기둥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바닥 콘크리트면에 설치된 제2 필러(300) 상부에, 수직구(1) 높이 방향을 따라 제2 필러(300)를 복수의 층으로 추가 연결하여 제2 필러(300) 기둥체를 형성하게 된다(S32).In the third step of construction (S30), the first filler 200 is additionally connec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on the first pillar 200 installed on the concrete floor surface to connect the first filler 200 ) to form a column (S31), and to achieve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illar (200) of the colum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ler (300) installed on the concrete floor, the second fill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The second pillar 300 is formed by additionally connecting 300 to a plurality of layers (S32).

추가 설치된 제1 필러(200)의 각 층마다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간 상부 측면은 제1 연결빔(220)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S33), 추가 설치된 제2 필러(300)의 각 층마다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300)간 상부 측면은 제2 연결빔(3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S34), 동일 각도를 이루도록 추가 설치되면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이웃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200)의 상부는 각각 제3 연결빔(40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S35).The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of the additionally installed first pillar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beams 220 (S33), and the additionally installed second pillar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33). The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second pillars 3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S34), and the adjacent first pillars are additionally installed to form the same angle and disposed oppositely. ( 200 )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second pillar 20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S35 ).

제1,2 필러(200,300) 및 제1,2,3 연결빔(220,320,400)의 설치 공정(S21~S25)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병행되어 진행될 수 있고, 제1,2필러(200,300) 및 제1,2,3 연결빔(220,320,400)을 추가 설치하는 공정(S31~35) 또한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병행되어 진행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beams 220, 320, and 400 installation processes (S21 to S25)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or in parallel. , 2, 3 The process of additionally installing the connecting beams 220, 320, 400 (S31 to 35) may also proceed sequentially or in parallel.

이때, 제1,2 필러(200,300) 및 제1,2,3 연결빔(220,320,400)의 모듈화가 가능하도록 각 부재가 규격화 되는데, 시공 제2 단계(S20) 또는 시공 제3 단계(S30) 수행시 모듈화된 제1,2 필러(200,300) 및 제1,2,3 연결빔(220,320,400)의 일부 연결부를 수직구(1) 외부에서 미리 조립 연결한 후, 수직구(1) 내부로 이동시켜 각 모듈의 연결부를 결속함으로써, 필러 및 빔 설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member is standardized to enable modulariz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beams 220, 320, and 400. When performing the second construction step (S20) or the third construction step (S30) After assembling and connecting some of the modularized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necting beams 220, 320, and 400 from the outside of the vertical sphere (1) in advance, move them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sphere (1) for each module By bundling the connection part of the ,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pillar and beam installation process.

또한, 상기 제3 단계(S30)에서는 형성된 필러 및 빔 구조물에 보조 빔(410)을 설치하는 공정(S36)과 링 빔(420)을 설치하는 공정(S37)이 각각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step ( S30 ), a process ( S36 ) of installing the auxiliary beam 410 and a process ( S37 ) of installing the ring beam 420 on the formed pillar and beam structures may be added, respectively.

또한,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을 제1 필러(200)에 연결(S33,S35)하기 전, 제1 필러(200)의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연결부 외주면에 댐퍼 서포트바(230)를 장착할 수 있다(S31a).In addition, before connecting (S33, S35)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to the first pillar 200,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first connecting beam of the first pillar 200 3 The damper support bar 23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art of the connecting beam 400 (S31a).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을 제1 필러(200)에 연결시(S33,S35),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이 제1 필러(200)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면에 설치되어,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외력 작용시 제1 필러(200)와 유동하는 각 연결빔에 고정된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이 개별적으로 거동하면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pillar 200 ( S33 and S35 ),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the first The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xed to each connecting beam flowing with the first pillar 2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ue to an earthquake, etc. As they behave individually, a damping action is achieved.

이때, 제1 연결빔(220)과 제1 필러(200)가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가 이격되어 제3 연결빔(400) 및 제1 필러(200) 사이에서만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가 서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연결빔(220)과 제1 필러(200)가 이격되어 제1 연결빔(220) 및 제1 필러(200) 사이에서만 유동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이 제1 필러(200)로부터 이격되어 제1 연결빔(220)과 제3 연결빔(400) 및 제1 필러(200) 사이에서 동시에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fixed to each othe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fixed to each other. The flow is generated only between the 200 , or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 flow is generated only between the connecting beam 220 and the first pillar 200 , or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200 to form the first connecting beam It can be selectively constructed so as to simultaneously generate a flow between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

제3 연결빔(400) 및 제1 필러(200) 사이에서만 유동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 필러(200) 및 제1 필러(200)를 고정하는 제1 연결빔(220)이 외측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을 형성하고, 제2 필러(300) 및 제2 필러(300)를 고정하는 제2 연결빔(320)이 내측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외측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과 내측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간 개별적 거동에 따른 댐핑이 이루어진다.When the flow is configured to occur only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for fixing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pillar 200 is the outer pill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for forming the beam module structure and fixing the second pillar 300 and the second pillar 300 forms the inner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so that the outer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and the inner side Damping is mad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ehavior between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제1 연결빔(220) 및 제1 필러(200) 사이에서만 유동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2 필러(200,300) 및 제1,2 필러(200,300)를 고정하는 제2,3 연결빔(320,400)이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을 형성하고, 외력 작용에 의한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변형이나 기울어짐 발생시, 서로 이웃하는 제1 필러(200)간 접근 또는 이격되는 거동에 대응하여 제1 필러(200)의 유동이 발생하면서 댐핑이 이루어진다. When the flow is configured to occur only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first pillar 200 , the second and third connecting beam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and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 (320,400) form the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and when deformation or inclination of the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due to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occurs, the first pillar in response to the behavior of approaching or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Damping is made while the flow of 200 occurs.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간 유동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상기 두 가지 유형의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거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댐핑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flow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is configured to occur at the same time, the behavior of the two types of pillars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is compounded while damping. this will be done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간 이격에 따른 댐핑 구조에 의하여 지하 보관소(2)의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지진 발생 등의 외력 작용시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적게 발생하는 하측 필러 기둥체의 제1 필러(200)에는 상기 댐퍼 서포트바(230)를 이용한 댐핑 구조를 적용하지 않고, 상측 또는 중앙부 필러 기둥체의 제1 필러(200)에만 댐퍼 서포트바(230)를 이용한 댐핑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o preven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damp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For this purpose, the damping structure using the damper support bar 230 is not applied to the first pillar 200 of the lower pillar column body fixed to the floor concrete and having relatively little shaking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earthquake is applied, The damping structure using the damper support bar 230 may be applied only to the first pillar 200 of the upper or central pillar body.

특히,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간 복합적 댐핑 작용에 의해 유동 거리가 지나치게 증가하면서 지하 보관소(2)의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2 연결빔(220,320)의 중앙부를 제3 연결빔(400)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while the flow distance is excessively increased due to the complex damping a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 In order to prevent this deterioration, as shown in FIG. 18 ,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eams 220 and 32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with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댐퍼 서포트바(230)에 장착된 댐퍼 가이드(231)의 상부면에 형성된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은 최저점이 제1 필러(200)의 외주면과 동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간 유동에 따른 접근이나 이격 거동 작용시,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오목홈의 최저점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의 연결 위치를 높이게 된다.The downward convex parabolic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guide 231 mounted on the damper support bar 230 is formed such that the lowest point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When the approach or s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flow between the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acts,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moves away from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while increasing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의 상부에 설치된 슬래브(500)와 플로어 모듈(40) 및 적재된 보관물의 하중은, 댐핑 작용에 의해 연결 위치가 높아진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의 하방으로 가하는 힘으로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복원력에 의해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댐퍼 가이드(231)의 곡면을 따라 오목홈 최저점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과 제1 필러(200)간 이격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load of the slab 500, the floor module 40, and the loaded storage installed o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the first connecting beam ( 220) or a force applied downward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cts as a restoring force, and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is concave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damper guide 231 by the restoring force. By moving to the groove lowest point pos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first pillar 200 .

또한, 각 층간 이동을 위한 비상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통로(30)가 서로 대향하는 보강 필러(200)와 센터 필러(3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데, 지하 보관소(2)를 지하 입체 주차장 또는 물류 컨테이너 등의 화물 보관 창고로 활용시 보관 공간의 확보 및 승강기(20)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 또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길이 방향이 승강기(20)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하게 된다.In addition, a passage 30 in which an emergency staircase or escalator or elevator is installed for moving between floors may be formed between the reinforcing pillar 200 and the center pillar 300 facing each other, and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a three-dimensional underground space. In order to secure a storage space and facilitate the use of the elevator 20 when used as a cargo storage warehouse such as a parking lot or logistics contain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cargo such as a vehicle or container is radially disposed from the elevator 20 .

이에 따라 원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지하 보관소(2)의 세그먼트(10) 내벽 방향 외측에 차량 또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이 보관되지 않는 공간이 형성되며, 차량 또는 화물이 보관되지 않는 공간으로 통로(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a space in which cargo such as a vehicle or container is not stored is formed outside the inner wall direction of the segment 10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the passage 30 is a space in which the vehicle or cargo is not stored. It is preferable to form

통로(30) 형성을 위하여 제2 단계(S20) 또는 제3 단계(S30)에 따른 제3 연결빔(400)의 연결 수행시(S25,S35), 통로(30)가 형성되는 부위에 제1 필러(200)와 연결되는 방향의 끝단이 2갈래로 분지(branching)된 형태의 제3 연결빔(400b)을 적용할 수 있다.When performing the connection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ccording to the second step (S20) or the third step (S30) to form the passage 30 (S25 and S35), the first passage 30 is formed in the region. A third connecting beam 400b in which an end in a direction connected to the filler 200 is branched into two may be applied.

제3 연결빔(400b)의 분지된 각 끝단은 제1 필러(200)의 양측으로 연결된 제1 연결빔(220)에 각각 연결되어, 제3 연결빔(400b)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30)를 형성하게 되는데, 분지된 형태의 제3 연결빔(400b)은 통로(30)의 골조를 형성하여, 통로(30) 시공을 위한 별도의 골조 구조 설치 과정을 생략하도록 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통로(30)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Each branched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b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a passage 30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b. ), the branched third connecting beam 400b forms the frame of the passage 30, thereby omitting a separate frame structure installation process for the passage 30 construction, so that the underground storage (2) )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passage 30 .

시공 제4 단계(S40)에서는 제1 필러(200)의 기둥체와 제2 필러(300)의 기둥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게 되며, 내부 중공부에 충전된 콘크리트를 통해 제1,2 필러(200,300) 기둥체가 CFT(Concrete Filled Tube)구조를 형성하게 된다.In the fourth construction step (S40), concrete is filled in the space formed inside the column body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column body of the second pillar 300, and the first, The two pillars 200 and 300 form a CFT (Concrete Filled Tube) structure.

이를 통해 제1,2 필러(200,300) 지하 보관소(2)의 모듈화 골조 구조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하 보관소(2) 상부에 시공되는 건물 둥의 상부 구조물(3)의 기초로 활용되어, 상부 구조물(3)의 기초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CFT구조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2 필러(200,300)는 통상 500~1200mm의 지름을 가지는 강관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상부 구조물(3)의 하중에 따라 제1,2 필러(200,300)에 지름은 위의 규격과 달리 적용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not only act as a modular frame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but also serve as the basis of the upper structure 3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on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the upper structure ( 3), and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CFT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can be usually made of steel pipes having a diameter of 500 to 1200 mm. Depending on the load, the diameter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may be appli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specifications.

특히, 지하 보관소(2)의 깊이가 증가하게 되면 수직구(1) 높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2 필러(200,300) 기둥체는 두께 대비 긴 길이를 가지는 기둥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좌굴(buckling) 발생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ncreases,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formed by being conn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form a column shape having a long length compared to the thickness, so buckling (buckling) ) has a structure that is vulnerable to occurrence.

따라서 본 발명의 시공 방법에서는, 이웃하는 제1 필러(200) 기둥체를 제1 연결빔(220)을 통해 서로 고정하고, 이웃하는 제2 필러(300) 기둥체를 제2 연결빔(320)을 통해 서로 고정한 다음,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 기둥체와 제2 필러(300) 기둥체를 제3 연결빔(400)을 통해 서로 고정하여, 각 필러 가둥체의 필러간 연결부 수평방향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필러 기둥체의 좌굴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ighboring first pillar 200 pillars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 and the neighboring second pillar 300 pillar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 After fix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third connecting beam 400,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illars of each pillar is horizontal. By suppressing the directional deformation, the occurrence of buckling of the pillar column is prevented.

그리고 필러 기둥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1,2 필러(200,300)를 복수의 층으로 연결하고, 제1,2 필러(200,300)의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충전한 CFT구조를 형성하여, 일체화된 제1,2 필러(200,300) 기둥체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의 깊이에 대응하는 제1,2 필러(200,300) 기둥체의 길이를 쉽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각 제1,2 필러(200,300)의 경량화된 중공 구조 및 분할 구조를 통해 두께 대비 긴 길이를 가지고 있어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필러 기둥체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And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pillar body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forming a CFT structure filled with concrete in the hollow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By forming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pillars (200,300) pillars,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300)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can be easily secured, and each first, The two pillars 200 and 300 have a long length compared to their thickness through a lightweight hollow structure and a divided struc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install the pillar body, which is easily deformed and damaged.

제5 단계(S50)에서는 제4 단계(S40)에서 형성된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각 층별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상부면에 슬래브(500)를 설치하게 되며, 설치된 각 슬래브(500)의 수직구(1)의 중심 방향에 형성된 승강구(510)에 의해 승강기(20) 설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In the fifth step (S50), the slab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for each layer of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formed in the fourth step (S40). , the elevator 20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by the elevator opening 510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opening 1 of each installed slab 500 .

또한, 제5 단계(S50) 수행시 지하 보관소(2)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상부 끝단에 지하 보관소(2)의 상부 덮개 구조를 이루는 상부 슬래브(520)를 설치하는 공정(S51)을 부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erforming the fifth step (S50), the upper slab ( A step (S51) of installing the 520 may be added.

상부 슬래브(520)는 지하 보관소(2)의 상부 덮개를 이루는 동시에 지하 보관소(2) 상부에 건축되는 상부 구조물(3)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며, 지하 보관소(2)의 각 필러 기둥체와 상부 슬래브(520)가 상부 구조물(3)의 골조 구조로 작용하면서 상부 구조물의 골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slab 520 forms the upper cover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at the same time forms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3 built on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each pillar body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While the upper slab 520 acts as a frame structure of the upper structure 3,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ame construction cost of the upper structure.

이때, 상부 구조물(3)의 각 층을 구성하는 상부 슬래브(3c)를 지지하기 위하여 각 층의 상부 스래브(3c) 사이에 상부 빔(3b)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부 구조물(3)을 지지하는 골조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부 빔(3b)을 지하 보관소(2)의 제1 필러(200) 기둥체 또는 제2 필러(300) 기둥체의 상부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n upper beam 3b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labs 3c of each floor in order to support the upper slab 3c constituting each layer of the upper structure 3,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ing frame structure, installing the upper beam 3b to be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pillar 200 or the second pillar 300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desirable.

상부 슬래브(520)의 하부에 형성된 세그먼트 고정빔(521)은 내측 고정빔(522)과 외측 고정빔(523)을 통해 지하 보관소(2)의 벽면을 구성하는 최상단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내외주면을 각각 고정하여, 세그먼트(10)를 구성하는 블록(100)간 벌어짐 또는 이탈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지하 보관소(2) 벽면 구조의 안정성 및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segment fixed beam 521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lab 520 is inside and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segment 10 constituting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through the inner fixed beam 522 and the outer fixed beam 523 . By fixing the main surface, respectively, to prevent the occurrence or separation between the blocks 100 constituting the segment 10, the stability and seismic performance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improved.

제6 단계(S60)에서는 제5 단계(S50)에서 설치된 각 층의 슬래브(500) 상부에 플로어 모듈(40)을 설치하게 되는데, 플로어 모듈(40)은 각 층마다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사이 공간마다 배치된다.In the sixth step (S60), the floor module 40 is installed on the slab 500 of each floor installed in the fifth step (S50), and the floor module 40 is a first pillar 200 disposed on each floor. ) and the second pillar 300 is disposed for each space.

각 플로어 모듈(40)은 2단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되어, 하나의 플로어 모듈(40) 설치에 의해 여러 층의 플로어를 동시에 형성하며, 이를 통해 지하 보관소(2)의 시공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Each floor module 40 has two or more floors, so that multiple floors are formed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one floor module 40,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do.

승강기(20)의 설치는 제4 단계(S40)에 따른 지하 보관소(2)의 내부의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 형성이 완료 후, 제5 단계(S50) 또는 제6 단계(S60) 수행시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20 is to be performed together when the fifth step (S50) or the sixth step (S60) is perform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pillar and beam module structures inside the underground storage 2 according to the fourth step (S40) is completed. can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meaning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its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직구 2: 지하 보관소
3: 상부 구조물 3a: 상부 필러
3b: 상부 빔 3c: 상부 슬래브
10: 세그먼트 20: 승강기
30: 통로 40: 플로어 모듈
100: 블록 200: 제1 필러
201: 제1 브라켓 202: 제1 커플러
210: 제1 체결리브 220: 제1 연결빔
221: 제1 댐퍼 230: 댐퍼 서포트바
231: 댐퍼 가이드 300: 제2 필러
301: 제2 브라켓 302: 제2 커플러
310: 제2 체결리브 320: 제2 연결빔
400: 제3 연결빔 401: 제3 브라켓
402: 제3 커플러 403: 제2 댐퍼
410: 보조 빔 420: 링 빔
500: 슬래브 510: 승강구
520: 상부 슬래브 521: 세그먼트 고정빔
522: 내측 고정빔 523: 외측 고정빔
1: vertical hole 2: underground storage
3: upper structure 3a: upper pillar
3b: upper beam 3c: upper slab
10: Segment 20: Elevator
30: aisle 40: floor module
100: block 200: first pillar
201: first bracket 202: first coupler
210: first fastening rib 220: first connecting beam
221: first damper 230: damper support bar
231: damper guide 300: second pillar
301: second bracket 302: second coupler
310: second fastening rib 320: second connecting beam
400: third connecting beam 401: third bracket
402: third coupler 403: second damper
410: auxiliary beam 420: ring beam
500: slab 510: hatch
520: upper slab 521: segment fixed beam
522: inner fixed beam 523: outer fixed beam

Claims (14)

수직구(1) 굴착면에 프리캐스트(precast)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된 링 형상의 세그먼트(10)를 삽입하고, 지반의 굴착 및 세그먼트(10)의 적층을 반복하여 세그먼트(10)를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수직구(1)의 벽면을 형성하며, 수직구(1) 중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기(20)와, 플로어가 수직구(1)의 내벽 내주면에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어 지하 보관소(2)를 시공하되,
세그먼트(10)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수직구(1)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세그먼트(10)의 내벽을 따라 수직구(1) 단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필러(200);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1 연결빔(220);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제1 필러(2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수직구(1)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연결되어 설치되고, 제1 필러(200)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제2 필러(300);
각 층별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300)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제2 연결빔(310);
각 층별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빔(400);
각 층별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상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승강기(20)가 설치되는 승강구(510)가 형성된 복수의 슬래브(500);
각 층의 슬래브(500)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사이 공간마다 설치되며, 2단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된 복수의 플로어 모듈(40);
로 지하 보관소(2)가 구성되며, 지하 보관소(2)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규격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Inserting a ring-shaped segment 10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to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excavation of the ground and the segment 10 By repeatedly stacking and moving the segment 10 downward, the wall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is formed, and the elevator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sphere 1 , and the floor is the inner wall of the vertical sphere 1 . Installed in multiple layer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nstruct an underground storage (2),
The vertical sphere 1 is connected in multiple layers along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segment 10, and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segment 10 to form a certain angle in the vertical sphere 1 cross-sectional direction. , A plurality of first fillers 200 made of a tube of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therein;
a first connecting beam 220 installed to connect the first pilla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floor;
A plurality of lay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 and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first pillar 2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vertical sphere 1 . The second filler 300 is arranged to form an angle, and made of a tube of a hollow structure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therein;
a second connecting beam 310 installed to connect and fix the second pillars 30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floor;
a third connecting beam 400 for connecting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opposite to each other for each layer;
It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for each floor, and a plurality of elevators 510 in which the elevator 20 is installed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hole 1 are formed. of slab 500;
a plurality of floor modules 40 installed in each space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and the second pillars 300 disposed in the slab 500 of each floor and having two or more levels of floors;
As an underground storage (2) is configured,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a modular structure of an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andardized.
제1항에 있어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의 상하 끝단 연결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radial shape)으로 돌출된 제1 체결리브(210)와 제2 체결리브(310)가 각각 형성되고, 각 제1 체결리브(210)와 제2 체결리브(310)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연결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의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되어,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의 연결부간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astening rib 210 and a second fastening rib 310 protruding in a radi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 connection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and ea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rib 210 and the second fastening rib 310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200 and 300 connected up and down are opposite to each other. A modular structure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fastening members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on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제1항에 있어서,
각 제1 필러(200)의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 연결부에는 제1 브라켓(201)이 형성되고, 각 제1 브라켓(201) 끝단에는 제1 연결빔(220) 및 제3 연결빔(400)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의 제1 커플러(202)가 형성되며,
각 제2 필러(300)의 제2 연결빔(310) 및 제3 연결빔(400) 연결부에는 제2 브라켓(301)이 형성되고, 각 제2 브라켓(301) 끝단에는 제2 연결빔(310) 및 제3 연결빔(400)의 끝단 단면 형상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의 제2 커플러(202)가 형성되되,
각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1 커플러(202)간 결합부, 그리고 제2 연결빔(310) 또는 제3 연결빔(400)과 제2 커플러(202)간 결합부에는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체결홀에 각각 체결부재가 연결됨으로써 각 빔과 커플러간 결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bracket 201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of each first pillar 200 ,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first bracket 201 . ) and a first coupler 202 of a complementary shape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formed,
A second bracket 301 is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of each second pillar 300 ,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is formed at the end of each second bracket 301 . ) and a second coupler 202 of a complementary shape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formed,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er 202,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and the second coupler 202 A modular structure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and the coupling members ar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each beam and the coupler is made.
제1항에 있어서,
각 층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각 중앙부를 연결하는 보조 빔(410)이 설치되고, 보조 빔(410)의 일측 끝단은 수직구(1)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되,
돌출된 각 보조 빔(410)의 끝단에 링(ring) 형상을 이루는 링 빔(42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n auxiliary beam 410 connecting respectiv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each floor is installed,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beam 410 has a vertical sphere (1). ) protruding by a certain length along the central direction,
An underground storage modular structur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a ring beam 420 forming a ring sha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protruding auxiliary beam 410 .
제1항에 있어서,
제1 필러(200)의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연결부 외주면에는 댐퍼 서포트바(230)가 장착되어,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면에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이 연결되며, 댐퍼 서포트바(23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은 제1 필러(200)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지하 보관소(2)에 외력 작용시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에 의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damper support bar 230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of the first pillar 200 ,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 )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connected, and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being, the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ping action is made by the flow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nderground storage 2 Modular structure of underground storage u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서포트바(230)의 상부에는,
표면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며, 오목홈의 최저점이 제1 필러(200)의 외주면과 동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댐퍼 가이드(231)가 장착되고,
댐퍼 서포트바(23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 하부에는 각각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이 돌출되어, 댐퍼 가이드(231)와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간 접촉이 이루어지되,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 발생시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댐퍼 가이드(231)의 오목홈 최저점 위치로 복귀하면서 댐핑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A damper guide 231 formed so as to form a parabolic concave groove whose surface is convex downward,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is mounted,
A first damper 221 or a second damper 403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230, respectively, and the damper guide 231 and contact between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is made,
When a flow occurs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moves to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damper guide 231 . A modular structure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ping action is made while returning.
제1항에 있어서,
지하 보관소(2)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상부 끝단에는 지하 보관소(2)의 상부 덮개 구조를 이루는 상부 슬래브(520)가 설치되고, 상부 슬래브(520)의 외주면 직경은 세그먼트(10)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부 슬래브(520)의 하부면에는 세그먼트(10)의 최상단 끝단을 고정하는 세그먼트 고정빔(521)이 돌출되어 형성되되,
세그먼트 고정빔(521)은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내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내측 고정빔(522)과,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외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외측 고정빔(5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lab 520 constituting the upper cover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nd the upper slab 520 )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gment 10, and a segment fixing beam 521 for fixing the uppermost end of the segment 1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ab 520,
The segment fixed beam 521 includes a ring-shaped inner fixed beam 522 for fix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10, and an outer fixed beam 523 having a ring shape for fixing the upp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gment 10. A modular structure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통로(30)가 형성되되,
통로(30)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3 연결빔(400)은 제1 필러(200) 연결 방향 끝단이 2갈래로 분지(branching)된 형태를 이루어, 분지된 제3 연결빔(400)의 각 끝단이 제1 필러(200)의 양측으로 연결된 제1 연결빔(220)에 연결되며, 제3 연결빔(400)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구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passage 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facing each othe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assage 30 is formed has a form in which the 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illar 200 is connected is branched into two, and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branched. Each end of the precas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illar 200 , and a passage 30 is formed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Modular structure of underground storage using segmented vertical spheres.
프리캐스트된 아치 형상의 블록(100)을 측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여 링 형상의 세그먼트(10)를 형성하되,
세그먼트(10)를 적층하여 지하 보관소(2)의 벽면을 형성하는 제1 단계(S10);는,
수직구(1) 위치에 최하단 세그먼트(10) 하부면 보호를 위한 링 형상의 슈(shoe)를 배치하고, 슈 상부에 최하단 세그먼트(10)를 결합하는 공정(S11)
수직구(1) 바닥면을 굴착하여 슈와 세그먼트(10)를 하향 이동시키는 공정(S12)
수직구(1) 바닥면 굴착에 따른 세그먼트(10) 적층 구조물의 하향 이동 및 세그먼트(10) 추가 적층을 반복 수행하여 지하 보관소(2)의 벽면을 형성하는 공정(S13)
으로 이루어지고,
수직구(1) 바닥면에 최하단 필러 및 빔 모듈을 설치하는 제2 단계(S20);는
적층된 세그먼트(10)의 내측 아치면에 근접하도록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필러(200)를 수직구(1) 바닥면에 일정 각도로 배치하여 설치하는 공정(S21)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제1 필러(20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제1 필러(200)의 배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도록 수직구(1) 바닥면에 중공 구조의 튜브로 이루어진 제2 필러(300)를 설치하는 공정(S22)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을 제1 연결빔(220)으로 연결하는 공정(S23)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2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을 제2 연결빔(320)으로 연결하는 공정(S24)
대향하게 배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200)의 상부를 제3 연결빔(400)으로 연결하는 공정(S25)
이 순차적 또는 병행되어 진행되고,
수직구(1) 높이 방향을 따라 필러 및 빔 모듈을 추가 설치하여 복수 층을 형성하는 제3 단계(S30);는
설치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 상부 끝단에 각각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300)를 추가 연결하는 공정(S31)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추가 연결된 제1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을 제1 연결빔(220)으로 연결하는 공정(S33)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추가 연결된 제2 필러(200)간 대향하는 상부 측면을 제2 연결빔(320)으로 연결하는 공정(S34)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추가 연결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200)의 상부를 제3 연결빔(400)으로 연결하는 공정(S35)
이 순차적 또는 병행되어 반복 진행되며,
연결된 제1 필러(200)와 제2 필러(200)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제4 단계(S40);
필러 및 빔 모듈 구조물의 각 층별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상부면에, 수직구(1)의 중심 방향을 따라 승강기(20)가 설치되는 승강구(510)가 형성된 복수의 슬래브(500)를 설치하는 제5 단계(S50);
각 층의 슬래브(500)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사이 공간마다 2단 이상의 플로어가 형성된 복수의 플로어 모듈(40)을 설치하는 제6 단계(S60);
에 의해 지하 보관소(2)를 시공하며, 시공된 지하 보관소(2)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규격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A plurality of precast arch-shaped blocks 100 are laterally connected to form a ring-shaped segment 10,
A first step (S10) of stacking the segments 10 to form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S10);
A process (S11) of placing a ring-shaped shoe (shoe) for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most segment (10) 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coupling the lowermost segment (10) to the upper part of the shoe (S11)
Step (S12) of excava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to move the shoe and the segment 10 downward (S12)
Process of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egment 10 stacked structure and the additional stacking of the segment 10 according to the excava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bottom surface (S13)
is made of,
A second step (S20) of installing the lowermost pillar and beam modu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Step (S21)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first pillars 200 made of hollow tubes so as to be close to the inner arch surface of the stacked segments 10,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S21)
A hollow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sphere 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lar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phere 1 and to be disposed at the same angle as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rst pillar 200 Step of installing the second filler 300 made of a tube (S22)
A process (S23) of connecting opposing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S23)
A process of connecting the opposing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second pillar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S24)
A process of 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20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S25 )
This is done sequentially or in parallel,
A third step (S30) of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pillar and a beam module along the vertical sphere (1) height direction (S30);
A process of additionally connecting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to the upper ends of the installed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respectively (S31)
A process (S33) of connecting opposing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first pillars 200 additionally connect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S33)
A process of connecting the opposing upper side surfaces between the second pillars 200 additionally connect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connecting beam 320 (S34)
A process (S35) of 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200 that are additionally connect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S35)
This is repeated sequentially or in parallel,
a fourth step (S40) of fill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nected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200 with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for each floor of the pillar and the beam module structure, the elevator 20 is installed along the center direction of the vertical hole 1 ; a fifth step of installing the formed plurality of slabs 500 (S50);
A sixth step (S60)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floor modules 40 in which two or more floors are formed for each space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in the slab 500 of each floor (S60);
The underground storage (2) is constructed by the, and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constructed underground storage (2) is standardized.
제9항에 있어서,
제3 단계(S30)에서는, 보조 빔(410)을 설치하는 공정(S36)과 링 빔(420)을 설치하는 공정(S37)이 각각 부가되되,
보조 빔(410)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연결빔(220) 및 제2 연결빔(310)의 각 중앙부를 연결하고, 설치된 보조 빔(410)의 일측 끝단은 수직구(1) 중심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며, 링(ring) 형상을 이루는 링 빔(420)이 돌출된 각 보조 빔(410)의 끝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third step (S30), the step (S36) of installing the auxiliary beam 410 and the step (S37) of installing the ring beam 420 are respectively added,
The auxiliary beam 410 connects the respectiv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and the second connecting beam 310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one end of the installed auxiliary beam 410 is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vertical sphere 1 . A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a ring beam 420 protruding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ming a ring shape is connected to the end of each protruding auxiliary beam 410 .
제9항에 있어서,
제3 단계(S30)에는 제1 필러(200)의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연결부 외주면에 댐퍼 서포트바(230)를 장착하는 공정(S31a)이 부가되되,
제1 연결빔(220)으로 연결하는 공정(S33) 또는 제3 연결빔(400)으로 연결하는 공정(S35)에서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이 제1 필러(200)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댐퍼 서포트바(230) 상부면에 설치되어, 제1 필러(200)와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간 유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third step (S30), a process (S31a) of mounting the damper support bar 23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of the first pillar 200 is add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 S33 ) or connecting to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 S35 ),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the firs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low between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possible. A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제11항에 있어서,
댐퍼 서포트바(230)의 상부에는 표면이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 형상의 오목홈을 이루며, 오목홈의 최저점이 제1 필러(200)의 외주면과 동심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 댐퍼 가이드(231)가 장착되고, 댐퍼 서포트바(23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 끝단 하부에는 각각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이 돌출되어, 댐퍼 가이드(231)와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간 접촉이 이루어지되,
제3 단계(S30)의 제1 연결빔(220)으로 연결하는 공정(S33) 또는 제3 연결빔(400)으로 연결하는 공정(S35) 수행시, 제1 댐퍼(221) 또는 제2 댐퍼(403)가 댐퍼 가이드(231)의 오목홈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 연결빔(220) 또는 제3 연결빔(4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 damper guide 23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amper support bar 230 to form a parabolic concave groove with a convex surface downward, and the lowest point of the concave groove is concentric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illar 200. , a first damper 221 or a second damper 403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connected to the damper support bar 230, respectively, and the damper guide 231 ) and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403 is not in contact,
When the process (S33) of connecting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in the third step (S30) or the process (S35) of connecting to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performed, the first damper 221 or the second damper ( The underground storag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or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is installed so that the 403)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ave groove of the damper guide 231.
제9항에 있어서,
제5 단계(S50) 수행시, 지하 보관소(2)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1 필러(200) 및 제2 필러(300) 상부 끝단에 지하 보관소(2)의 상부 덮개 구조를 이루는 상부 슬래브(520)를 설치하는 공정(S51)이 부가되되,
상부 슬래브(520)의 외주면 직경은 세그먼트(10)의 외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부 슬래브(520)의 하부면에는 세그먼트(10)의 최상단 끝단을 고정하는 세그먼트 고정빔(521)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세그먼트 고정빔(521)은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내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내측 고정빔(522)과, 세그먼트(10)의 상부 끝단 외주면을 고정하는 링 형상의 외측 고정빔(5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performing the fifth step (S50), the upper slab 520 forming the upper cover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a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illar 200 and the second pillar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underground storage 2 . ) is added a process (S51) of instal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upper slab 5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segment 10, and the segment fixing beam 521 for fixing the uppermost end of the segment 10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ab 520. becomes,
The segment fixed beam 521 includes a ring-shaped inner fixed beam 522 for fix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egment 10, and an outer fixed beam 523 having a ring shape for fixing the upp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gment 10. A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orage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9항에 있어서,
제2,3 단계(S20,S30)의 제3 연결빔(400)을 연결하는 공정(S25,S35) 수행시, 제1 필러(200)와의 연결 방향 끝단이 2갈래로 분지(branching)된 형태의 제3 연결빔(400b)을 적용하되,
제3 연결빔(400b)의 분지된 각 끝단을 제1 필러(200)의 양측으로 연결된 제1 연결빔(220)에 연결하여, 제3 연결빔(400b)의 분지된 공간 사이로 통로(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수직구를 이용한 지하 보관소 모듈화 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the process (S25, S35) of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 of the second and third steps (S20, S30) is performed, the end in the direction of connection with the first pillar 200 is branched into two But applying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b) of,
By connecting each branched end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b to the first connecting beam 2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pillar 200, a passage 30 between the branched spaces of the third connecting beam 400b. Underground storag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cast segment vertical spher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KR1020210033435A 2021-03-15 2021-03-15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KR102283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35A KR102283827B1 (en) 2021-03-15 2021-03-15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CN202110930356.5A CN115075291B (en) 2021-03-15 2021-08-13 Underground warehouse modularized structure utilizing prefabricated segment vertical holes and constru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435A KR102283827B1 (en) 2021-03-15 2021-03-15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827B1 true KR102283827B1 (en) 2021-07-29

Family

ID=7712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435A KR102283827B1 (en) 2021-03-15 2021-03-15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3827B1 (en)
CN (1) CN115075291B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034A (en) * 1988-10-14 1990-08-21 Trigon Geoducts Limited Shaft excavation method
KR20010048499A (en) 1999-11-26 2001-06-15 이와미 겡이찌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with a parking lot-in the round and circling cubic parking lot together with circling lift equipment
KR102068442B1 (en) * 2019-07-17 2020-01-20 박상원 Segment Connector for Solid Structure Parking Lot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lid Structure Parking Lot Using the Same
CN112196335A (en) * 2020-09-29 2021-01-08 南京理工大学紫金学院 Annular underground gar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14779B1 (en) 2019-08-19 2021-02-10 (주)이안텍 Precast vertical core structure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1433B (en) * 1990-03-09 1994-01-17 Soilmec Spa CIRCULAR OR VARIABLE RADIUS UNDERGROUND PARKING.
CN2634020Y (en) * 2003-01-10 2004-08-18 北京合众兴业科技投资有限公司 Improved single layer lifting transversely moving stereo parking device
JP4620989B2 (en) * 2004-09-13 2011-01-26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US7909558B2 (en) * 2006-09-25 2011-03-22 Bec Companies, Inc. Overhead vehicle storage system
DE102009020517B3 (en) * 2009-05-08 2010-10-21 Herrenknecht Ag Method of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CN203420504U (en) * 2013-05-23 2014-02-05 胡新宜 Multilayer round contraposition moving-parking-disk automatic storage-taking garage and warehouse combined device
CN104074380B (en) * 2014-06-26 2016-05-04 黄竟强 Module combined type underground three-dimensional gar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6545029A (en) * 2016-01-03 2017-03-29 江西中恒地下空间科技有限公司 A kind of underground space safely and fast construction method
CN105862910B (en) * 2016-04-19 2017-11-28 江苏东合南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the inverse of assembled stereoscopic underground garage makees formula method of construction
JP6757179B2 (en) * 2016-05-24 2020-09-16 構法開発株式会社 How to build a building
CN106958366A (en) * 2017-05-16 2017-07-18 江苏现代照明集团有限公司 A kind of circulation type stereoscopic garage
CN206785045U (en) * 2017-05-26 2017-12-22 北京中岩大地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well shaft type underground three-dimensional garage combined with construction temporary shaft
CN107313628A (en) * 2017-08-24 2017-11-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A kind of basic digging-free assembled tower-type space gara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7513273U (en) * 2017-11-21 2018-06-19 中交路桥(北京)科技有限公司 The embedded underground garage of prestressed structure
JP2019127802A (en) * 2018-01-26 2019-08-01 株式会社技研製作所 Underground parking lo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08363752U (en) * 2018-04-23 2019-01-11 宜春学院 A kind of automobile and bicycle hybrid underground three-dimensional garage
CN208416060U (en) * 2018-06-29 2019-01-22 广西冠涛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novel intelligent parking stall
CN109372018A (en) * 2018-11-28 2019-02-22 江西万和建筑科技有限公司 Soft base Self-sinking type underground space structur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technology
CN110080247B (en) * 2019-05-20 2020-11-10 温州中顺建筑工程有限公司 Basement structure of narrow conflict area of foundation pit supporting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CN110578339B (en) * 2019-09-11 2021-01-22 北京中岩智泊科技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shaft type underground stereo garage
CN111827752A (en) * 2020-07-27 2020-10-27 黎进 Ultra-deep pit micro stereo garage constructed by plate type layer fram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2227416A (en) * 2020-10-28 2021-01-15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assembled steel pipe support and distribution beam combined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034A (en) * 1988-10-14 1990-08-21 Trigon Geoducts Limited Shaft excavation method
KR20010048499A (en) 1999-11-26 2001-06-15 이와미 겡이찌 Three-dimensional parking lot with a parking lot-in the round and circling cubic parking lot together with circling lift equipment
KR102068442B1 (en) * 2019-07-17 2020-01-20 박상원 Segment Connector for Solid Structure Parking Lot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lid Structure Parking Lot Using the Same
KR102214779B1 (en) 2019-08-19 2021-02-10 (주)이안텍 Precast vertical core structureand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CN112196335A (en) * 2020-09-29 2021-01-08 南京理工大学紫金学院 Annular underground gar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075291A (en) 2022-09-20
CN115075291B (en)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7718B (en) Steel beam
CN113795438A (en) Storage system
KR102283827B1 (en)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orage with Vertical Hole by Top-Down Precast Segment
CN102733619B (en) Strengthening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CN214399425U (en) Newly-increased double-elevator supporting structure for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project
CN105821903A (en) Synthesized pipe rack with frame composite structure
CN101892709A (en) Pedestal capable of simultaneously resisting compression and resisting pulling
CN113027479B (en) Originating steel platform for jacking pipe method overlapping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756000B2 (en) Spiral staircase mounting structure
CN115323833A (en) Design method of seamless cover plate layer structure of vehicle base belt development project
GB2199071A (en) Strengthening load bearing walls
CN211285316U (en) Adopt hybrid elevated station structure of bridge construction of energy dissipation shock attenuation connection
CN211113725U (en) Construction elevator foundation based on basement structure
CN211057803U (en) Upright post reinforcing structure
JP4795838B2 (en) Variable floor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2012046950A (e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under construction
US11866939B2 (en) Support module for a structure
JP7130563B2 (en) Seismic isolation structure
KR101736009B1 (en)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CN218579463U (en) Device is extended to whole portable space
CN217000177U (en) Modular building
CN114658031B (en) Basement roof returning supporting structure of overweight steel structure truss and construction method
CN115162746B (en) Rectifying equipment of inverse Shi Louban and rectifying method of inverse floor slab
CN217949676U (en) Be used for a string truss structure to slide construction interim assembled bed-jig
CN214996287U (en) Assembled frame construction elevator w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