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012B1 -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012B1
KR102283012B1 KR1020200057799A KR20200057799A KR102283012B1 KR 102283012 B1 KR102283012 B1 KR 102283012B1 KR 1020200057799 A KR1020200057799 A KR 1020200057799A KR 20200057799 A KR20200057799 A KR 20200057799A KR 102283012 B1 KR102283012 B1 KR 10228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raction
elaeagnus
macrophy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호
조성미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7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색소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Elaeagnus macrophylla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색은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melanin), 진피의 혈관 속에 함유된 헤모글로빈(hemoglobin), 피하조직에 존재하는 β-카로틴(β-carotene)과 같은 색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외관상의 피부색이 거의 결정된다(Kor. J. Soc. Cosmet. Sci. 2016, 42(1), 37-43). 멜라닌세포는 표피의 기저층에서 흑갈색의 멜라닌을 생성하는 나뭇잎모양의 수지상세포이다. 멜라닌은 인체 피부에서 자외선이나 외부 유해인자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잉 생성되어 피부에 축적될 경우 기미와 주근깨, 피부 반점 등을 유발하며 멜라닌 전구물질의 독성으로 인한 세포의 사멸 및 피부암과 같은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Kor. J. Aesthet. Cosmetol., 2014, 12(3), 403-408).
대표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로는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등의 페놀 유도체나, L-아스코르브산과 그 유도체 및 알부틴, 젖산, 글루코사민, 튜니카마이신 등이 개발되었으나, 피부자극성이나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사용량이 엄격히 제재되고 있다(Kor. J. Soc. Cosmet. Sci. 1999, 25(2), 77-127).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천연유래 미백제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17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색소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찾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보리밥나무 잎의 추출물과 분획물이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는 보리수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관목으로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사람 키 높이 정도로 자라며 약간 덩굴지고, 잎은 어긋나며 넓은 달걀형이다. 표면에 은백색 인모가 있으나 차츰 떨어진다. 뒷면에는 은백색 인모가 밀생하여 잎 뒷면이 은백색으로 보인다. 꽃은 10∼11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의 양성화가 1∼3개씩 모여 달린다. 열매는 이듬해 3∼4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표면에 은백색 인모가 밀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밥나무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보리밥나무의 잎, 줄기, 뿌리, 꽃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의 건조는 채취한 식물로부터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음지에서 자연건조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파쇄 또는 분쇄는 이후 추출과정에서 식물의 유용한 성분들이 충분하게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와 파쇄 또는 분쇄 공정은 필요에 따라서 순서를 뒤바꿔서 진행하거나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조 및 분쇄된 보리밥나무 잎 600g에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침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증류수 1L에 현탁시키고 비극성 용매부터 순차적으로 n-헥산, 에틸아세이트, n-부탄올, 증류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총 4개의 용매 분획층인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잔여 물층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리밥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이 세포독성 없이 세포주에서 α-MSH로 유발되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리밥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이 α-MSH로 유발되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 시키는 활성이 에탄올 추출물 및 다른 용매 분획물과 비교하여 가장 우수하며 100 μg/mL 농도로 처리시 멜라솔브(20 μM)보다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보리밥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의 경우, 멜라닌 생성 저해 활성이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하다.
또한 세포독성 분석결과, 보리밥나무 에탄올 추출물, 상기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높아 화장료로 활용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즉, 보리밥나무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헥산 분획물이 미백효과가 우수하며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보리밥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보리밥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에서 메틸리놀리네이트(methyl linolenate), 에틸리놀리에이트(ethyl linoleate),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 알파-아미린(α-amyrin), 베타-아미린(β-amyrin)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리밥나무 헥산 분획물은 메틸리놀리네이트(methyl linolenate), 에틸리놀리에이트(ethyl linoleate),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 알파-아미린(α-amyrin), 및 베타-아미린(β-amy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백”은 멜라닌 등의 색소의 과다로 인하여 명도가 감소된 피부의 명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피부의 명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법,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명도가 증가된 피부 등을 포괄하여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미백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로서 이해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생성이 저해됨에 따라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 예컨대 기미, 주근깨 개선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백 효과가 있다고 공지된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로서는 멀캅토숙신산, 멀캅토덱스트란, 테프레논, 디하이드록시-이소퀴놀린, 인도메타신, 3-하이드록시마뉼, 비타민 K, 티아졸리돈, 키누레닌, 레몬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디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제라늄(geranium)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은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중량 % 내지 99.99중량 %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미백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체적으로,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중량의 약 5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한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분획물, 미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미백용 식품 조성물은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으며,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등), 스테비아 추출물(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원료 조성물 중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 미백, 식품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세포에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멜라닌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엷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과다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색소침착 질환은 주근깨, 노인성 반점, 간반, 기미, 갈색 또는 흑점, 일광 색소반, 푸른 흑피증(cyanic melasma), 약물 사용 후의 과다색소침착, 임신성 갈색반(gravidic chloasma), 또는 찰상 및 화상을 비롯한 상처 또는 피부염으로 인한 염증 후 과다 색소침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분획물, 색소침착 질환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피부 색소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는 것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과다 색소침착된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피부에 이미 침착된 멜라닌을 제거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적,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외용제 제형으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 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통상 0.001 내지 150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분획물 및 미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헤어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분획물, 미백, 색소침착 질환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외용제"는 외용으로 제공되는 제제이고, 외용산제, 외용정제, 외용액제, 연고제, 경고제, 좌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특히 피부 외용에 작용하는 제제는 제한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 대비 유효성분을 0.0001 내지 30%(w/v)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0.0001%(w/v) 미만으로 포함되면, 피부의 미백,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실질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 반면, 30%(w/v)을 초과하며 포함할 경우에는 용제로의 용해성 등 조성물의 전체적인 가공성이 떨어져 제형 등 각종 용도로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피부 색소침착 질환을 예방 또는 완화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피부 색소침착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보리밥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별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보리밥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매별 분획물의 멜라닌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보리밥나무 잎의 n-헥산 분획물의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보리밥나무 잎의 n-헥산 분획물로부터 화합물들을 분리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보리밥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시료인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잎은 2019년 1월에 제주자원식물연구소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 및 분쇄된 보리밥나무 잎 600.0 g을 70%(v/v) 에탄올(EtOH) 12.0 L에 넣고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 여과 장치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은 40℃ 이하의 수욕 상에서 회전 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농축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118.4 g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70%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1 L에 현탁시키고, 분별 깔때기를 이용해 극성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n-헥산(n-hexane, n-Hex),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 n-부탄올(n-butanol, n-BuOH) 및 물(water, H2O) 순서로 총 4개의 용매 분획 층을 얻었다(도 1).
상기 생성된 분획물들은 각각 감압 농축하여 분말 형태의 보리밥나무 잎 분획물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 및 미백 효과 확인
실험방법 1: 세포독성 분석(MTT 분석)
쥐 유래 멜라닌 세포주인 B16F10 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로부터 분양받았으며, 보리밥나무 잎 추출물 및 분획물의 B16F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B16F10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6.0 × 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5% CO2,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예비 배양한 후 100 nM의 α-MSH가 포함된 배지로 교환한 뒤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500 μg/mL 농도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첨가하여 37℃ 조건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생긴 포르마잔(formazan) 침전물에 DMSO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수학식 1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20048851822-pat00001
Abscontrol : α-MSH를 첨가하고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흡광도
Abssample : α-MSH와 시료를 함께 첨가한 반응용액의 흡광도
실험방법 2: 멜라닌 생성 분석
B16F10 세포를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인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을 1% 첨가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i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고, 3~4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B16F10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6.0 × 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 배양시킨 세포의 배지를 100 nM α-MSH가 포함된 배지로 교환한 후,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trypsin-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는 1 N NaOH를 가하여 55℃에서 1시간 반응시켜 세포 내의 멜라닌을 녹였으며,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보리밥나무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α-MSH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멜라닌 생성 및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도 2는 멜라닌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에서 α-MSH 비처리를 (-)로 표기하였으며, 처리는 (+)로 표기하였다. α-MSH를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세포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대조군 100% 기준으로 α-MSH와 각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을 비교하여 시료 처리에 따른 멜라닌 생성율을 계산하였다.
또한, 멜라닌 억제능을 가지는 멜라솔브(melasolv, 20 μM)를 처리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도 2에서 세포에서 α-MSH 처리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보리밥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100 μg/mL 처리 시 멜라닌 생성량이 대조군과 대비하여 61.9 %, n-헥산 분획물 100 μg/mL 처리 시 22.0 %로 나타났고, 특히 보리밥나무 잎 n-헥산 분획물에서 멜라솔브보다 우수한 멜라닌 저해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은 멜라닌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멜란닌 저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세포독성에 의한 실험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분획물 중 멜라닌 저해효과가 우수한 n-헥산 분획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멜라닌 저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 3을 참고하면, 보리밥나무 잎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 12.5 μg/mL 처리 시 멜라닌 생성량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96.0%, 25 μg/mL 처리 시 74.8%, 50 μg/mL 처리 시 33.8%, 100 μg/mL 처리 시 20.9%로 나타났고, n-헥산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서 B16F10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보리밥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 및 n-헥산 분획물 100 μg/mL 처리 시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n-헥산 분획물의 12.5 내지 100 μg/mL 농도 범위에서도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리밥나무 잎 추출물의 n-헥산 분획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개발이 유용하리라 판단하였다.
<실시예3> 보리밥나무 잎 n-헥산(n-Hex) 분획물로부터 화합물 분리 및 구조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보리밥나무 잎 용매 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고 구조를 동정하기 위해, 상기 실험 결과를 토대로 미백활성이 우수한 n-헥산 분획물을 선택하고 이로부터 생리활성 화합물을 분리하고 구조를 동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n-헥산 분획물 5.0g을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세분화하기 위하여 순상 실리카 겔(silica gel)을 충진한 유리 컬럼(glass column)을 이용하여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vacuum liquid chromatography, VLC)를 수행하였다. 용매의 극성은 5%씩 n-Hex(n-헥산):EtOAc(에틸아세테이트)(0→50%)가 될 때까지 높였으며 그 후 100% EtOAc(에틸아세테이트)와 100% MeOH(메탄올)을 각각 300 mL씩 용출하여 총 13개의 분획물(fraction, Fr.)을 얻었다.
VLC 분획물 중 Fr.V7(524.0 mg)은 화합물 4와 화합물 1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확인되었고, Fr.V8(263.8 mg), Fr.V9(161.4 mg), Fr.V10(104.6 mg), Fr.V11 (75.5 mg), Fr.12 (92.4 mg)는 모두 화합물 1로 확인되었다.
또한, Fr.V4(266.2 mg)를 n-Hex(n-헥산):EtOAc(에틸아세테이트) = 10:1의 용매 조건으로 순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를 수행하여 화합물 3(36.3 mg) 및 화합물 1과 화합물 2가 혼합된 형태(5.3 mg)로 분리하였고, Fr.V6(577.8 mg)을 클로로포름(CHCl3) 100%의 용매 조건으로 순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를 수행하여 화합물 5와 화합물 6이 혼합된 형태(35.0 mg)로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n-헥산 분획물로부터 총 6개의 활성 화합물을 분리하여 1H-핵자기공명 스펙트럼(1H NMR spectrum) 및 13C-핵자기공명 스펙트럼(13C-NMR spectrum)을 측정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화합물 1은 메틸리놀리네이트(methyl linolenate)으로, 화합물 2는 에틸리놀리에이트(ethyl linoleate)으로, 화합물 3은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으로, 화합물 4는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으로, 화합물 5는 알파-아미린(α-amyrin)으로, 화합물 6은 베타-아미린(β-amyrin)으로 동정되었다(표 1).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메틸리놀리네이트(methyl linolenate)는 보리밥나무 잎 n-헥산 분획물에 다량함유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Figure 112020048851822-pat00002

Claims (11)

  1.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상기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인,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헥산을 이용하여 분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메틸리놀리네이트(methyl linolenate), 에틸리놀리에이트(ethyl linoleate), 알파-토코페롤(α-tocopherol),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 알파-아미린(α-amyrin), 및 베타-아미린(β-amy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7.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식품 조성물.
  8. 제7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성 식품.
  9.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약외품 조성물.
  11. 보리밥나무(Elaeagnus macrophyll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또는 색소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00057799A 2020-05-14 2020-05-14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8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99A KR102283012B1 (ko) 2020-05-14 2020-05-14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99A KR102283012B1 (ko) 2020-05-14 2020-05-14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012B1 true KR102283012B1 (ko) 2021-07-28

Family

ID=7712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99A KR102283012B1 (ko) 2020-05-14 2020-05-14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91B1 (ko) * 2023-06-02 2023-11-06 대한민국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733A (ko) 2010-10-25 2012-06-13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2935A (ko) * 2016-05-24 2017-12-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5488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아이썸 고목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733A (ko) 2010-10-25 2012-06-13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2935A (ko) * 2016-05-24 2017-12-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야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5488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아이썸 고목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문지영 외 4명. Screening of elast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EurAsian Journal of BioSciences, 2010 *
조성미. 등수국 잎 및 보리밥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성분 연구. 제주대학교 화학과 대학원 논문, 2019.12월*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791B1 (ko) * 2023-06-02 2023-11-06 대한민국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3621A (zh) 包含铁皮石斛花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835739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02537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283012B1 (ko) 보리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94949B1 (ko) 흑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7028803B2 (ja) 美白剤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2155246B1 (ko) 황칠나무 추출물-금속염 나노입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42086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5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72742B1 (ko) 서향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2631500B1 (ko) 헴프씨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KR102014685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64006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분해 촉진용 조성물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JP2018519336A (ja) ムレスズメ根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2152932B1 (ko) 카테킨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230068905A (ko) 흑생강(Kaempferia parviflor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