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36B1 - 자동캡 역립형 용기 - Google Patents

자동캡 역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36B1
KR102281936B1 KR1020210029944A KR20210029944A KR102281936B1 KR 102281936 B1 KR102281936 B1 KR 102281936B1 KR 1020210029944 A KR1020210029944 A KR 1020210029944A KR 20210029944 A KR20210029944 A KR 20210029944A KR 102281936 B1 KR102281936 B1 KR 10228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knob
container
discharge hole
contents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숙
서대식
Original Assignee
김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숙 filed Critical 김경숙
Priority to KR102021002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36B1/ko
Priority to PCT/KR2021/019251 priority patent/WO2022191387A1/ko
Priority to JP2023553474A priority patent/JP2024510134A/ja
Priority to CN202180095366.XA priority patent/CN117015504A/zh
Priority to DE112021007261.7T priority patent/DE112021007261T5/de
Priority to US18/548,426 priority patent/US2024014066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 노브를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캡 역립형 용기{INVERTED BOTTLE WITH AUTO CAP}
본 발명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작동 노브를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은 용기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적정량을 토출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용기는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구가 대부분 용기의 상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상기 용기는 소량의 내용물이 남을 경우, 용기의 하단부에 그 소량의 내용물이 잔류하기 때문에 소량의 내용물을 상단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기가 어려워서 내용물 전량을 전부 사용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수의 용기가 소량의 내용물이 남아 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내용물 일부가 낭비됨은 물론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된 용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지지 캡)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테이블 위에 세워지고, 상기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용기 마개를 돌리면 토출구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용기는 용기 마개의 평평한 바닥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토출구 둘레가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내용물에 이물질이 섞이게 되는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용기의 토출구가 하단에 있으므로 액상의 내용물은 용기 하측으로 쏠리기 때문에 토출구가 개방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내용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542590호 공보에는 "역립타입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채워지며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튜브타입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토출구(11)가 형성된 용기 몸체(10); 하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연통 되도록 용기 몸체(10)에 결합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 캡(2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의 둘레 또는 지지 캡(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단이 상기 지지 캡(2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하면 중앙에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공(32)이 형성된 작동 노브(30);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 사이에 구비되며, 하단이 상기 상승된 상태의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는 차단부재(40); 및 중앙에서 테두리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이며, 중앙에 상기 차단부재(40)가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차단부재(4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면서 상기 용기 몸체(10)의 토출구(11)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연통 및 연통 해제시키는 판막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작동 노브(30)를 하강시킴에 따라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이 차단부재(40)의 하단과 이격되면서 개방되고, 용기 몸체(10)를 누르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판막부재(50)의 형태가 변형되어 토출구(11)와 토출공(32)이 연통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며, 반면에 사용자가 누르던 용기 몸체(10)에서 손을 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면서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의해 판막부재(50)와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 사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작동 노브(30)의 내측 면에 승강돌기(31)가 돌출 형성되고, 그 승강돌기(31)는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승강홈(27) 안에 삽입되며, 그 승강홈(27)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용기 몸체(10)에서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서 작동 노브(30)를 돌려서 용기 몸체(10)로부터 하강시키는데, 이때 승강홈(27)을 따라 승강돌기(31)가 이동한다.
종래 역립타입 용기는, 사용자가 일차적으로 작동 노브(30)를 돌려 하강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용기 몸체(10)를 눌러주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판막부재(50)의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므로 판막부재(50)의 테두리가 처지면서 지지 캡(20)의 끼움단 관부(21)의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내용물이 그 틈새를 통해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으로 흘러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일차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개방한 후, 이차로 용기 몸체(10)를 눌러주어 용기 몸체(10)의 내부 압력을 증가함으로써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이므로,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판막부재(50)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역립타입 용기의 판막부재(50)가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의로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판막부재(50)에 의해서 내용물이 원활하게 토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많은 양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판막부재(50)가 오히려 장애가 되어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울 때), 우선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켜서 작동 노브(30)의 토출공(32)을 폐쇄하여야만 그 토출공(32)을 통해서 내용물이 용기 몸체(10) 외부로 토출되지 않게 되는바, 사용자는 작동 노브(30)를 반대방향으로 돌려서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드시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역립타입 용기에서는, 만약 작동 노브(30)를 사용 후 바로 상승시키지 않으면 판막부재(50)와 토출공(32) 사이에 잔류 내용물이 흘러나와 토출공(32) 주변이 오염되고 내용물이 말라서 굳을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357310호 공보에는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와 나사 결합하는 캡(20)과,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입구부 사이를 거쳐 용기(10)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0)로 이루어진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상기 캡(20)의 중앙홀(21)에 삽입되도록 하부측으로부터 상부면으로 돌설된 원통형 돌림부(31a)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하부에 더 넓은 직경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캡(20)의 하부 내주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부(31b)와,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내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한 쌍의 돌설판(31c)과, 상기 원통형 돌림부(31a)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액체 배출홀(31d)로 이루어진 회전 개폐부재(31)와;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 개폐부재(31)의 한 쌍의 돌설판(31c)이 삽입되어 회전 개폐부재(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부단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한 쌍씩 돌설된 두 개의 돌설대(32a)와, 상기 두 개의 돌설대(32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설되되, 하부단에 양측으로 돌설된 하부단 돌설대(32b)와, 하부측에 양측으로 돌설되어 그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원형판(32c)이 형성된 하부측 돌설대(32d)와, 상기 하부단 돌설대(32b)의 바로 상부에 형성된 원형 외주 홈(32e)으로 이루어진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와; 중앙에 형성된 상부홀(33a)을 통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상단이 삽입되고, 상기 캡(20)과 용기(10)의 사이에 삽입되는 원형부(33b)와, 상기 원형부(33b)의 하부 양측에 유자형으로 형성된 띠형부재(33c)와, 상기 띠형부재(33c)의 최하부면 중앙에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하부단 돌설대(32b)가 삽입되는 하부 슬릿홀(33d)과, 상기 띠형부재(33c)의 양측벽 내면에 내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상하 이동 막대부재(32)의 원형판(32c)이 서로 맞접촉하도록 내측 원형판(33e)이 형성된 내부측 돌설대(33f)로 이루어진 용기 내부부재(33)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에서는, 용기(10)를 누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 폐쇄하도록 하는 개폐부재(30)의 사이즈가 용기(10)의 입구보다 크기 때문에, 조립시 또는 내용물 리필(refill)시, 개폐부재(30)를 그 용기(10)의 입구 안으로 집어넣거가 빼내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다 사용하고, 다시 내용물을 리필하려고 할 때에, 내용물이 묻어있는 용기 내부부재(33)를 손으로 잡고 눌러 부피를 줄인 후, 용기(10)의 입구 속으로 삽입해야 하므로, 리필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동캡 개폐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으며, 조립이 까다로워서 조립성이 떨어지고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들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42590호(등록일: 2015년 07월 31일) 국내 등록특허 제10-1357310호(등록일: 2014년 01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구성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자동으로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의 센터(중심)에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가 형성된 튜브 타입의 용기 몸체(vessel body); 내부에 상기 제1 체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센터에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지지 캡(support cap); 상기 지지 캡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를 누를 때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을 통해서 상기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상기 제2 토출구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up and down knob); 상기 작동 노브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elastic member); 및 상기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 안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노브의 상승 시에는 상기 토출공을 폐쇄하고 상기 작동 노브의 하강 시에는 상기 토출공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close member);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노브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오픈 모드(하강 가능한 상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하강 불가능한 상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guide rail)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상기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down groove)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상기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모드란 하강 가능한 상태로서 언로킹 모드를 말하며, 내용물 토출을 위해서 작동 노브를 9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오픈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클로즈 모드란 하강 불가능한 상태로서 로킹 모드를 말하며, 작동 노브를 90°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으로 오픈될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이 잘못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지지 캡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 및 상기 작동 노브의 토출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 몸체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 노브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차단봉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차단 봉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이 형성된 노브 몸체;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노브 몸체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 상기 제2 토출구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노브 몸체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제2 토출구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노브 몸체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상기 노브 몸체를 반시계방향 90°도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 캡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공의 개폐 상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 캡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 상기 스프링 접촉부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 및 상기 로워 베이스와 상기 어퍼 베이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몸체와 상기 노브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 안에 신축공간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부;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지지 캡의 내부에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자동으로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역립타입 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액체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4는 종래 액체용기의 캡 부분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 작동 노브, 차단부재,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차단 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4 및 도 1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7은 용기 몸체를 눌러서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 노브의 토출공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6의 확대도
도 19는 도 17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 작동 노브, 차단부재, 탄성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지지 캡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작동 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차단 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에서, 탄성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 및 도 17은 용기 몸체를 눌러서 용기 몸체의 내부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작동 노브의 토출공 오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의 확대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확대도이다.
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113)의 센터(중심)에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115)가 형성된 탄성 재질의 용기 몸체(110); 내부에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되는 지지 캡(120);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130); 작동 노브(130)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0); 및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는 지지 캡(120)의 내부에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됨으로써,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open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close mode)로 전환하도록 하여서,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몸체(110)는 사용자가 눌러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탄성 용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내부에 액상의 화장품, 액상의 세제, 액상의 샴푸와 린스와 같은 바디용품, 간장이나 식초 등 액상 소스류와 같은 내용물이 채워지는 탄성 용기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 몸체(110)는 내부에 그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네크부)(113)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113)의 센터(중심)에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115)(도 7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캡(120)은 용기 몸체(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용기 몸체(110)를 테이블(미도시) 위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하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면이 용기 몸체(110)의 하면에 결합한다.
도 7,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캡(120)은 내부에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 노브(130)는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가 용기 몸체(110)를 잡고 누를 때, 용기 몸체(110)의 내부 압력 증가, 즉 내용물의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는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위치된다(도 18 및 도 19 참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 가능한 상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하강 불가능한 상태(close mod or 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의 내부에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는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는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는 작동 노브(13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된다. 즉, 작동노브(130)가 하강하여 노출공(132)을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경우에 그 토출압력에 의해서 탄성부재(140)는 하방으로 눌려지고(압축되고), 반대로 내용물 토출을 멈춘 상태에서는 탄성부재(140)는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4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탄성부재(140)는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141);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142); 및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차단 몸체(151)와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탄성부(145); 를 포함한다.
상기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워 베이스(141)는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접촉하고, 어퍼 베이스(142)는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145)는 차단 몸체(151)와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는데, 로워 베이스(141)와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되어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그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50)는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차단부재(15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차단부재(150)는 지지 캡(120)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121)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152)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151); 및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차단 몸체(151)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153); 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 리브(121)의 내주면과, 차단 몸체(151)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요철(157)이 형성되어 차단 몸체(151)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 봉(15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54)가 형성되어, 차단 봉(153) 자체의 내구성을 높이며, 차단 봉(153)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준다.
즉, 차단 봉(153)의 위치가 정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서 작동 노브(130)의 승하강 시, 토출공(131) 안에 정확하게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 몸체(151)의 상부에는 차단 봉(153)을 지지하는 십자형 차단봉 지지 바(155)가 형성되고, 그 차단봉 지지 바(155)에는 내용물 유입홀(156)이 형성된다. 상기 십자형 차단봉 지지 바(155)의 하부에 복수의 보강리브(154)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작동 노브(13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작동 노브(130)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 노브 몸체(132);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133);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 및 제2 토출구(125)(도 9 참조)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136); 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 몸체(132)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다. 토출공(131)의 내주면에는 경사면(131a)이 형성되어, 그 토출공(131) 안에 차단 봉(153)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는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편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에는 탄성부재(140)의 어퍼 베이스(142)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작동 노브(130)가 탄성부재(140)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작동 노브(130) 승하강 작동 시,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 안으로 차단 봉(153)의 위치가 정 위치에 놓이게 되어,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은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는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는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 위에 접촉한 상태로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136)는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노출된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며,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캡(120)의 저면에는 토출공(131)의 개폐 모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122)(도 9 참조)가 형성되는바, 우선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35)를 잡고 반시계 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 후,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내용물의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이때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도 19 참조).
반면에,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용기 몸체(110)가 탄성 복원되면서 용기 몸체(110) 내부 흡입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서 토출공(131)이 클로즈됨으로써(차단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된다(도 18 참조).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135)를 잡고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캡 역립형 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용기 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9에서와 같이 손잡이(135)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 노브(130)를 반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다(도 9 참조).
그 다음, 용기 몸체(110)를 잡고 누르면, 용기 몸체(110)의 내부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이때 탄성부재(140)는 하방으로 눌려지며(압축되며),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도 19 참조).
반면에,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용기 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용기 몸체(1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이때 용기 몸체(1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한다. 더 나아가,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때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서, 토출공(131)이 클로즈(차단)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된다(도 18 참조).
그 다음, 손잡이(135)를 잡고, 작동 노브(130)를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 모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도 9 참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2)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지지 캡의 내부에 제2 토출구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 작동 노브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이 형성되고, 개폐용 가이드 레일의 타측에 작동 노브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 노브를 90° 회전하여 오픈 모드로 전환하거나 또는 클로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픈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용기 몸체를 잡고 누르기만 해도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열려서 내용물의 토출이 매우 원활하고, 용기 몸체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토출공이 자동으로 닫혀서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클로즈 모드에서는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용기 몸체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용기 몸체를 누를 때 발생하는 압력 증가에 의해서, 용기 몸체 내의 내용물을 토출하도록 하되,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하강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용기 몸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의 토출공이 자동으로 오픈됨과 동시에 그 토출공을 통해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하며, 반대로 종래와는 달리 작동 노브를 돌려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작동 노브가 상승하면서 토출공을 자동으로 클로즈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 작동이 매우 용이하고, 종래의 판막부재 없이도 내용물이 임으로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세 번째, 종래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와는 달리, 내용물을 토출과 누출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물의 사이즈가 용기 몸체(110)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체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기 때문에 조립성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내용물 리필시, 리필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자동캡 역립형 용기
110: 용기 몸체
111: 공간
113: 제1 체결부(네크부)
115: 제1 토출구
120: 지지 캡
123: 제2 체결부
125: 제2 토출구
127: 플랜지
130: 작동 노브
131: 토출공
132: 노브 몸체
133: 스프링 접촉부
134: 내용물 누출 방지면
135: 개폐용 가이드 돌기
136: 손잡이
140: 탄성부재
142: 어퍼 베이스
141: 로워 베이스
143: 텐션리브
144: 신축공간
145: 탄성부재
150: 차단부재
151: 차단 몸체
152: 단턱
153: 차단 봉
154: 보강리브

Claims (4)

  1.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그 제1 체결부(113)의 센터(중심)에 상기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제1 토출구(115)가 형성된 용기 몸체(110);
    내부에 상기 제1 체결부(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2 체결부(123)가 형성되며, 센터에 상기 제1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제2 토출구(125)가 형성되고, 하부에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127)가 형성되는 지지 캡(120);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일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를 때 상기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센터에 형성된 토출공(131)을 통해서 상기 내용물울 토출하도록 상기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작동 노브(130);
    상기 작동 노브(130)를 상방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40); 및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 안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 노브(130)의 상승 시에는 상기 토출공(131)을 폐쇄하고 상기 작동 노브(130)의 하강 시에는 상기 토출공(131)을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차단부재(150);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 노브(13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하강 가능한 상태(unlocking mode)로 전환하거나 또는 하강 불가능한 상태(locking mode)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을 따라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일측에 상기 작동 노브(130)의 수직방향 하강을 위한 하강 홈(128)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의 타측에 상기 작동 노브(130)의 수평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50)는,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에 형성된 서포트 리브(121)에 거치하도록 외주면에 단턱(152)이 형성되는 환형의 차단 몸체(151); 및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1)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 몸체(151)의 센터에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 봉(153); 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노브(130)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차단 봉(153)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차단 봉(153)이 개폐하기 위한 토출공(131)이 형성된 노브 몸체(132);
    상기 탄성부재(140)에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노브 몸체(132)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접촉부(133);
    상기 제2 토출구(125)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중간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용물 누출 방지면(134);
    상기 개폐용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노브 몸체(132)의 외주면 양쪽에 형성되는 개폐용 가이드 돌기(135); 및
    상기 제2 토출구(125)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노브 몸체(132)의 하단 외주면 양쪽에 상기 노브 몸체(132)를 반시계방향 90° 또는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136); 를 포함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캡(120)의 저면에는 상기 토출공(131)의 개폐모드(open mode or close mode)를 표시하는 개폐 표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작동 노브(130)를 돌려 반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오픈 모드(open mode or unlocking mode)로 전환한 다음,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르면, 상기 용기 몸체(110)의 내부 토출압력 증가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공(131)을 개방하며, 그 토출공(131)을 통해서 내용물 토출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내용물 토출을 멈추고자 하는 경우(용기 세우거나 보관할 때), 상기 용기 몸체(110)를 누르는 힘을 멈추면, 상기 용기 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용기 몸체(110)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며, 상기 용기 몸체(1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하며, 더 나아가,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작동 노브(130)가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차단부재(150)의 차단 봉(153)에 의해, 상기 토출공(131)이 클로즈됨으로써,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며,
    그 다음, 상기 작동 노브(130)를 시계방향 90°로 회전시켜서 클로즈 모드(close mode or locking mode)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작동 노브(130)의 토출공(132)이 임의로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유통(流通) 중이거나 휴대 및 보관 중에, 상기 용기 몸체(110)가 잘못 눌려지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임의로 누출되지 않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지지 캡(120)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로워 베이스(141);
    상기 스프링 접촉부(133)에 접촉하는 환형의 어퍼 베이스(142); 및
    상기 로워 베이스(141)와 상기 어퍼 베이스(14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몸체(151)와 상기 노브 몸체(132)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리브(143)가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그 텐션리브(143) 안에 신축공간(144)이 형성된 단위 텐션셀이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위 텐션셀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탄성부(145); 를 포함하는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0210029944A 2021-03-08 2021-03-08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28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44A KR102281936B1 (ko) 2021-03-08 2021-03-08 자동캡 역립형 용기
PCT/KR2021/019251 WO2022191387A1 (ko) 2021-03-08 2021-12-17 자동캡 역립형 용기
JP2023553474A JP2024510134A (ja) 2021-03-08 2021-12-17 自動キャップ倒立型容器
CN202180095366.XA CN117015504A (zh) 2021-03-08 2021-12-17 自动倒盖容器
DE112021007261.7T DE112021007261T5 (de) 2021-03-08 2021-12-17 Umgekehrter behälter mit automatischem verschluss
US18/548,426 US20240140662A1 (en) 2021-03-08 2021-12-17 Inverted container with automatic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944A KR102281936B1 (ko) 2021-03-08 2021-03-08 자동캡 역립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936B1 true KR102281936B1 (ko) 2021-07-23

Family

ID=7715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944A KR102281936B1 (ko) 2021-03-08 2021-03-08 자동캡 역립형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40662A1 (ko)
JP (1) JP2024510134A (ko)
KR (1) KR102281936B1 (ko)
CN (1) CN117015504A (ko)
DE (1) DE112021007261T5 (ko)
WO (1) WO20221913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87A1 (ko) * 2021-03-08 2022-09-15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54687B1 (ko) 2022-05-11 2022-10-13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77145B1 (ko) 2022-07-28 2022-12-12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79B1 (ko) * 2012-04-06 2013-06-26 (주)연우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1357310B1 (ko) 2012-08-27 2014-02-03 김형섭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1542590B1 (ko) 2014-02-13 2015-08-06 (주)장업시스템 역립타입 용기
US20170029177A1 (en) * 2014-04-16 2017-02-02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Dosing Dispensing Closure
US20200239176A1 (en) * 2019-01-24 2020-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drip upside down bott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6183A (ja) * 2008-11-27 2010-06-10 Seaquist Closures Llc ライナ刺通捻りクロージャ
KR102281936B1 (ko) * 2021-03-08 2021-07-23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79B1 (ko) * 2012-04-06 2013-06-26 (주)연우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1357310B1 (ko) 2012-08-27 2014-02-03 김형섭 액체용기용 자동캡의 개폐장치
KR101542590B1 (ko) 2014-02-13 2015-08-06 (주)장업시스템 역립타입 용기
US20170029177A1 (en) * 2014-04-16 2017-02-02 Reckitt Benckiser (Brands) Limited Dosing Dispensing Closure
US20200239176A1 (en) * 2019-01-24 2020-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drip upside down bott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87A1 (ko) * 2021-03-08 2022-09-15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54687B1 (ko) 2022-05-11 2022-10-13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77145B1 (ko) 2022-07-28 2022-12-12 김경숙 자동캡 역립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0134A (ja) 2024-03-06
DE112021007261T5 (de) 2024-01-18
WO2022191387A1 (ko) 2022-09-15
CN117015504A (zh) 2023-11-07
US20240140662A1 (en)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936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0916719B1 (ko) 화장품용기
JP5229542B2 (ja) 吐出容器
KR101542590B1 (ko) 역립타입 용기
JP2005306489A (ja) 流体の分与装置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102280273B1 (ko) 이액용기
KR101861810B1 (ko) 액상 화장품 토출 장치
KR102454687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KR102477145B1 (ko) 자동캡 역립형 용기
JPH08198295A (ja) 泡状液体絞り出し容器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JP4043682B2 (ja) チューブ容器
JPH0617739Y2 (ja) 流動体注出容器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JP6363045B2 (ja) 二重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JP2500828Y2 (ja) 吸上げポンプ付き容器
JP3883162B2 (ja) 液体注出容器
KR20240002292A (ko) 자동 개폐 앰플 용기
JPH0743025Y2 (ja) 吹上げポンプ付き容器
JPH0725222Y2 (ja) 自動給液装置
JP7515291B2 (ja) 二重容器
JPS604931Y2 (ja) 液体注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