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44B1 -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44B1
KR102281144B1 KR1020190107367A KR20190107367A KR102281144B1 KR 102281144 B1 KR102281144 B1 KR 102281144B1 KR 1020190107367 A KR1020190107367 A KR 1020190107367A KR 20190107367 A KR20190107367 A KR 20190107367A KR 102281144 B1 KR102281144 B1 KR 10228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terial
unit
lesion
sliding part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502A (ko
Inventor
박경택
위진홍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1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491Surgical glue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8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formed by fluidized, gelatinous or cellular remodelable materials, e.g. embolic liquids, foams or extracellular matr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0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Medical biomaterial unit and Applicator for attaching the mdical biomaterial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그 바이오소재를 병소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생체 적합성 바이오소재(biomaterials)중에서, 전 외과 영역에 많이 사용되는 hemostatic agent인 Tachosil®은 매우 강력한 지혈 및 조직 밀봉력이 있으나, 많은 외과 의사들, 특히 최소 침습적 외과 수술 집도의들은 Tachosil®(이하 '타코실'이라 함)을 부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즉, 수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소 침습적 수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최소 침습적 수술이란 복강경, 흉강경 또는 로봇의 도움으로 작은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함으로써 환자의 고통을 줄이고, 수술 후 빠른 회복을 도모하는 수술 방법이다.
최소 침습적 수술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hemostatic agents인 타코실은 출혈의 지혈, 봉합선의 보강, 이식 혈관의 밀봉, 부인과 수술의 장기 문합, 비뇨기과 수술의 요관 문합, 신장 부착 그리고 드러난 폐 표면, 폐 및 기관지 스테이플 선의 공기 누출 밀봉에 사용된다.
고식적인 개흉술과 개복술의 경우는 광범위 수술 절개 창을 통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집도의의 손 및 다양한 수술 기구를 이용할 수 있어서 Tachosil®을 도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최소 침습적 수술의 경우는 수술자의 손이 들어갈 수 없고 큰 기구는 통과할 수 없는 아주 작은 수술장을 통하여 수술이 이루어진다.
상기 타코실은 최소 침습적 수술 시 주로 그라스퍼 등의 수술용 집게로 집어서 이송하게 되는데, 약한 구조로 인하여 쉽게 부서지기도 한다. Tachosil®은 완전 부착이 이루어지기까지 3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여 중력에 거스르는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에, 기구로 전체 면을 고르게 눌러 펴 발라주듯이 붙여주어야 한다.
이 때, 타코실은, 집게에 수시로 들러 붙어 고르게 눌러주기가 힘들고, 집게 등을 회수할 때 일부분이 붙어 버려서 원치 않게 병소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은, 타코실의 성분명인 fibrin sealant patch에서 알 수 있듯이, 접착력이 우수하여 우수한 지혈 능력을 가지지만 기구에도 잘 달라 붙는 특성에 기인한다.
또한, 우리 몸의 흉강, 복강은 타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소 침습적 개흉술은 주로 측와위(decubitus)의 자세로 환자가 수술대에 눕혀지게 되며, 최소 침습적 개복술은 바로 눕거나 측와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수술 중에 발생하는 출혈 병소 또는 공기 누출 병소 등이 모두 바른 평면의 기저 위치라면 중력을 이용하여 병소 위에 biomaterials를 도포하고 완전 부착까지 기다리면 되겠으나, 대부분의 수술 상황에서는 굴곡진 부위나 장기에 가려진 좁은 부위, 중력을 거스르는 부위에 병소가 존재함으로 인하여 도포하기도 쉽지 않고, 어렵게 도포한 후에도 완전 부착이 되기까지 일정 시간 동안 골고루 펴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조작 중에 떨어져 버리거나 뭉쳐지는 등의 어려움이 항상 발생한다.
즉, 상기 타코실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병소에 완전히 부착되기 전까지 거즈(A)와 기구(B)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시술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누르기 위해 사용하는 거즈(A) 또는 기구(B)에 들러 붙는 성질 때문에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10-1937052호 발명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경우 바이오소재와 자석 유닛이 점착층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자석 유닛의 바이오소재에 대한 분리가 원활하지 않은 개선점이 있었고, 어플리케이터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자석 유닛을 흡착한 상태에서 그 흡입력을 제거한 후 자석의 척력으로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부착시키는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공기 흡입 구조 설계의 어려움 등이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876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3705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하여, 시술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바이오소재와 그 바이오소재를 병소까지 운반하여 주기 위한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하고 구조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 및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합사는 생체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성체를 수용시키기 위한 포켓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합사에 의해 상기 자성체에 봉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포셉(forceps)에 의한 파지를 원활하게 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작동바;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결정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작동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레버측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일측이 타측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회전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 및 상기 작동바를 자성체와 자석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지혈이나 밀봉시 사용되는 타코실과 같은 바이오소재에, 자성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이오소재를 자석(자성체와 인력 작용)이 탑재된 어플리케이터(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 측에 접근시킨 이후 상기 자성체와 자석 간의 인력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거쳐 병소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바이오소재가 바이오소재 운반수단(어플리케이터)에 들러 붙지 않고 신속ㆍ정확하게 병소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바이오소재의 손상 없이 지혈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시술자의 편리성 및 시술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자성체와 자석 간의 인력 작용 및 인력 해제를 통해, 바이오소재의 병소까지의 접근 및 바이오소재와 그 바이오소재의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바이오소재 부착 유닛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인 자성체와 필름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인 자성체와 필름을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것으로,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1)와 자성체(2)와 봉합사(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오소재(1)는, 외과적 수술 중 병소(A)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A)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작고 얇은 두께를 가진 패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이오소재(1)는, 예컨대 Tachosil®(이하 '타코실'이라 함)과 같이, 인체 내부의 조직이나 기관에 들러 붙을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2)는 외부 자석(400)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예컨대 플렉시블한 성질과 자성을 갖도록 고무 자석(400)이 채용될 수 있고, 봉합용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합용 구멍(21)은 봉합사(3)의 관통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바이오소재(1)와 자성체(2)를 봉합사(3)를 이용하여 결속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상기 봉합사(3)는 상기 자성체(2)와 바이오소재(1)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2)의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1)에 봉합됨으로써 자성체(2)와 바이오소재(1)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봉합사(3)는 시술 후 일정시간이 지나고 나면 인체 내에 잔류하지 않고 소멸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지혈이나 밀봉시 사용되는 타코실과 같은 바이오소재(1)에, 자성체(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이오소재(1)를 자석(400)(자성체(2)와 인력 작용)이 탑재된 어플리케이터(보조기구; 도 7 참조)를 이용하여 지혈이나 밀봉이 요구되는 병소 측에 접근시킨 이후 상기 자성체(2)와 자석(400) 간의 인력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거쳐 병소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바이오소재(1)가 바이오소재(1) 운반수단(어플리케이터)에 들러 붙지 않고 신속ㆍ정확하게 병소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바이오소재(1)의 손상 없이 지혈 등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과 같이 시술자의 편리성 및 시술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은, 자성체(2)와 자석(400) 간의 인력 작용 및 인력 해제를 통해, 바이오소재(1)의 병소까지의 접근 및 바이오소재(1)와 그 바이오소재(1)의 운반수단 간의 분리를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2)를 수용시키는 필름(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4)은, 상기 자성체(2)를 수용시키기 위한 포켓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합사(3)에 의해 상기 자성체(2)에 봉합되는 커버부(41)와 상기 커버부(4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포셉(forceps)에 의한 파지를 원활하게 하는 파지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4)은, 봉합사(3)를 이용한 자성체(2)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2)의 봉합용 구멍(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필름측 구멍(4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자성체(2)를 생체 적합성 소재인 필름(4)의 커버부(41)에 의해 폐쇄시켜서 그 자성체(2)의 생체 내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그 커버부(4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파지부(42)를 이용하여 자성체(2)를 바이오소재(1)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킨 후 부착시켜 주기 위한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도 4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와 작동바(200)와 위치결정핀(300)과 자석(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바(200)는, 상기 본체(100)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210)와,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딩부(210)에 연결되는 조작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210a)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22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10)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210)에 연결된다.
상기 위치결정핀(300)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걸림홈(210a)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310)에 의해 탄성 가압된다.
상기 자석(400)은, 앞에서 설명한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2)와 인력을 방생시키는 것으로, 그 자성체(2)와의 인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이러한 자석(400)은, 도 7의 (a) 및 (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2)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도 7 (b)의 점선으로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210)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수 있게 한다.
이후 일정시간 동안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를 병소 측으로 눌러 줌으로써 바이오소재를 병소에 완전 부착시킨 다음, 도 7의 (c)와 같이 본 실시예를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키게 과정을 거쳐, 바이오소재의 병소에 대한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7의 (c)와 같이 바이오소재 유닛이 병소에 부착된 이후에 도 7의 (d)와 같이 봉합사(3)를 커팅한 후 필름(4)의 파지부(42)를 기구로 잡아당기면, 바이오소재(1)만 병소에 잔류하게 되고, 자성체(2)는 필름(4)과 함께 제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1) 부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의료용 바이오 소재 유닛을 자력을 이용하여 미리 결합하여 제품화하거나 사용 직전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도 바이오소재(1)를 병소까지 원활하게 운반시킬 수 있게 하고, 바이오소재(1)의 병소에 대한 부착 시 젖은 거즈나 면봉 등의 추가 기구 및 술기가 요구되지 않게 하여, 수술 시야 확보 용이성 및 손상 없는 바이오소재(1)의 정확한 위치를 통해 요구되는 지혈 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를 한 손으로 조작하여 바이오소재의 운반을 가능한 것에 더하여 사용하고 있는 손을 이용하여 바이오소재를 원터치 방식으로 자성체와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원터치 분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원터치 분리수단은, 본체(5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레버(700)와 그 회전레버(700)의 일측을 타측에 대해 가압시키는 레버측 스프링(800)과, 작동바(600)를 자성체와 자석(65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500)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레버(700)의 일측은, 상기 작동바(600)의 슬라이딩부(610)에 마련된 걸림홈(610a)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710)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500)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레버(700)의 타측을 누르면, 회전레버(700)의 일측에 마련된 록킹편(710)의 슬라이딩부(610)의 걸림홈(610a)에 대한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본체측 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바(600)가 병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자석(650)과 자성체 간의 인력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한 바이오소재 유닛의 운반 및 운반 이후 바이오소재만을 잔류시키고 나머지 유닛은 바이소재로부터 분리시키는 행위를, 한 손만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바이오소재 2:자성체
21:봉합용 구멍 3:봉합사
4:필름 41:커버부
41a:필름측 구멍 42:파지부
100:본체 200:작동바
210:슬라이딩부 210a:걸림홈
220:조작부 300:위치결정핀
310:스프링 400:자석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바이오소재 유닛(여기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은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와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봉합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인가시켜 줄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작동바;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것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위치결정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5. 외과적 수술 중 병소의 지혈이나 밀봉을 위해 그 병소에 부착되는 바이오소재 유닛(여기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은 패치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이오소재와 외부 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바이오소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봉합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와 바이오소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의 봉합용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바이오소재에 봉합되는 봉합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병소 측까지 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관통공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작동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록킹편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레버측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일측이 타측에 대해 탄성 가압되는 회전레버;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과 마주하는 위치에 결합되어서,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의 자성체에 인력을 발생시켜 그 바이오소재 유닛을 병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이동 후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퇴 이동에 따른 인력 해제에 의해 상기 바이오소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는 자석; 및 상기 작동바를 자성체와 자석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본체측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KR1020190107367A 2019-08-30 2019-08-30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KR10228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ko) 2019-08-30 2019-08-30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ko) 2019-08-30 2019-08-30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02A KR20210026502A (ko) 2021-03-10
KR102281144B1 true KR102281144B1 (ko) 2021-07-22

Family

ID=7514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67A KR102281144B1 (ko) 2019-08-30 2019-08-30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1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ko)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2656T1 (de) * 2003-07-17 2010-10-15 Gunze Kk Nahtverstärkungsmaterial für ein automatisches nähgerät
KR20150054499A (ko) * 2013-11-12 2015-05-2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링거 걸이장치
KR101587627B1 (ko) 2014-07-01 2016-01-2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밴드
KR101801027B1 (ko) * 2015-11-20 2017-11-27 박익로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052B1 (ko) * 2017-09-29 2019-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02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505B2 (en) Applicator for surgical stapler buttress
US8197506B2 (en) Wound closing device
EP3508141B1 (en) Surgical stapler comprising a fluid penetrable buttress assembly
JP5043670B2 (ja) 管腔外シーラント塗布器
US109125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and positioning of surgical implants
US7696399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and method of application
US9549736B2 (en) Sutureless wound closure
EP3135215A1 (en) Surgical stapler buttress applicator with end effector actuated release mechanism
JP2001501102A (ja) 外科用把持装置
JP2008110210A (ja) 胃の陥入方法および装置
US20070219582A1 (en) Device for manipulation and placement of flexible implants
JP2002504832A (ja) 指先装着される低侵襲性外科手術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AU2006211147A1 (en) Surgical fastener buttress materials
JP2008504053A (ja) 解剖学的構造用の液密穿刺閉塞装置
JP2022078266A (ja) 外科用エンドエフェクタ補助材の取り付け
WO2018121170A1 (zh) 一种吻合口加固组合件及其使用方法
KR102281144B1 (ko)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WO2010092455A1 (en) Device for closing surgical wounds
EP2419028B1 (en) Surgical device
KR101937052B1 (ko) 의료용 바이오소재 유닛 및 바이오소재 부착용 어플리케이터
KR102383542B1 (ko)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장 실질 결속 기기, 신장 실질 결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어플라이어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신장 복원 키트
JP3949187B2 (ja) 内視鏡および腹腔鏡に使用される機器
US20190380821A1 (en) Cooling Tower
KR102441389B1 (ko) 내시경용 지혈클립
KR101937014B1 (ko) 수술용 생체 적합성 복합소재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