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39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393B1
KR102279393B1 KR1020140109445A KR20140109445A KR102279393B1 KR 102279393 B1 KR102279393 B1 KR 102279393B1 KR 1020140109445 A KR1020140109445 A KR 1020140109445A KR 20140109445 A KR20140109445 A KR 20140109445A KR 102279393 B1 KR102279393 B1 KR 102279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ull
bucket
cold ai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282A (ko
Inventor
정진
손봉수
장도윤
조연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393B1/ko
Priority to US14/813,539 priority patent/US10495366B2/en
Priority to EP18186038.8A priority patent/EP3410044B1/en
Priority to EP15181722.8A priority patent/EP2988079B1/en
Priority to CN201510520936.1A priority patent/CN105371551B/zh
Publication of KR2016002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82A/ko
Priority to US16/658,730 priority patent/US113783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2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along the inside of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포함하고, 아이스 버킷은 아이스 버킷 몸체와, 아이스 버킷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 공간과, 냉기의 유로를 확보하도록 얼음을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얼음 저장 공간 측으로 이격시키는 얼음 이격 부재를 포함하여 아이스 버킷 내부에서 냉기가 원활히 유동할 수 있다. 광신호를 발산하는 이미터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를 갖는 만빙 감지 센서가 아이스 버킷이 장착되는 저빙실에 마련됨으로써 만빙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만빙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광신호의 출력값을 전달받아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는 1 차 만빙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바로 제빙 사이클을 종료하지 않고 소정 시간 대기한 후에 다시 2 차 만빙 판단 과정을 진행하여 2 차 만빙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에 최종적으로 제빙 사이클을 종료하므로 만빙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제빙기와 아이스 버킷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아이스 버킷의 냉기 유로 구조와 아이스 버킷의 만빙 감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저장실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버킷이 구비되기도 한다.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은 사용자가 원할 시에 도어의 디스펜서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하기 전에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이 녹는 것을 방지하도록 아이스 버킷에는 냉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급수, 제빙, 이빙의 제빙 사이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제빙 장치에 있어서, 자동 제빙 장치는 아이스 버킷에 얼음이 만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빙 사이클의 반복 또는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냉장고에는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와, 만빙 감지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냉각하도록 아이스 버킷에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와, 아이스 버킷에서 냉기가 원활히 순환할 수 있는 아이스 버킷의 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만빙 감지 센서로서 광 센서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만빙 감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광 센서의 장착 구조와, 만빙 감지 알고리즘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은, 아이스 버킷 몸체;와,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 공간; 및 냉기의 유로를 확보하도록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상기 얼음 저장 공간 측으로 이격시키는 얼음 이격 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와 일체이며,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상기 얼음 저장 공간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의 양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 중에 상호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냉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냉기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의 내측에 연장 형성되는 구획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냉기가 유통하도록 냉기 유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의 바닥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은 냉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의 상부벽에 각각 형성되는 냉기 인렛과, 냉기 아웃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인렛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일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은 상기 아이스 버킷의 반대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얼음을 생성하도록 상기 저장실의 천장에 배치되는 제빙기;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저빙실;과,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빙실에 장착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아이스 버킷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광신호를 발산하는 이미터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를 갖고, 상기 아이스 버킷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저빙실에 마련되는 만빙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저빙실은 좌측벽과, 우측벽과, 후벽과, 바닥을 포함하는 저빙실 몸체와, 상기 저빙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아이스 버킷 장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센서는 상기 저빙실 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터와 상기 리시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빙실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저빙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터와 상기 리시버 사이의 광 경로는 대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은 아이스 버킷 몸체와,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가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를 관통하도록 광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와,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 이빙시키는 이빙 장치;와, 상기 아이스 버킷의 내부로 광신호를 발산하는 이미터와, 상기 이미터에서 발산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리시버를 갖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여 1 차로 만빙 여부 판단하고,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 결과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만빙 감지 센서를 off 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여 2 차로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종료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진행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진행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가열하는 센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가열하도록 상기 센서 히터를 on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센서 히터를 off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아이스 버킷 내부의 냉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광신호를 발신하는 이미터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를 갖는 만빙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만빙 감지 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천장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의 아이스 버킷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에서 아이스 버킷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아이스 버킷의 내부 투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아이스 버킷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의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천장을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의 아이스 버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21,22)과, 냉기를 생성하는 냉기 공급 장치(23)와, 저장실(21,22)을 개폐하는 도어(30,40,41)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지고, 내상(11)과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실(21,22)을 형성할 수 있다. 외상(12)은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는 저장실(21,22)을 단열하기 위한 발포 단열재(13)가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체(10)는 상부벽(14)과, 바닥(15)과, 후벽(16)과, 좌측벽(17)과, 우측벽(18)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1,22)은 중간 격벽(29)에 의해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2)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하부 저장실(22)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도 있고, 반대로 상부 저장실(21)이 냉동실로 사용되고 하부 저장실(22)이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냉장고는 BMF(Bottom Mounted Freezer) 형이거나 또는 TMF(Top Mounted Freezer) 형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냉장고의 저장실은 수직 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될 수도 있다. 즉, 냉장고는 SBS(Side By Side) 형일 수도 있다. 또는, 냉장고는 별도의 격벽이 없이 하나의 저장실만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장실(21,22)은 식품을 출납하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전면은 도어(30,40,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은 회전하는 복수의 도어(30,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2)은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는 드로어형 도어(4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21)에는 식품을 지지할 수 있는 선반(27)과 식품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밀폐 용기(28)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3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에는 제빙기(80)에서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 버킷(110)과, 아이스 버킷(110)이 장착되는 저빙실(90)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에는 도어(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축(미도시)이 결합되는 회전축공(31)과, 도어(30,4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30)와 도어(40) 사이를 밀폐하여 저장실(21)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러 부재(3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에는 사용자가 도어(30,40)를 개방하지 않고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4)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34)는 컵 등의 용기를 집어 넣어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도어(30)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디스펜싱 공간(35)과, 아이스 버킷(110)의 토출구(121)와 디스펜서(34)의 디스펜싱 공간(35)을 연결하는 슈트(36)와, 슈트(36)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37)와, 개폐 부재(37)를 동작시키는 디스펜싱 스위치(3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싱 스위치(38)를 동작시켜 개폐 부재(37)를 개방하면 아이스 버킷(110)에 저장된 얼음이 슈트(36)를 통해 디스펜싱 공간(35)으로 낙하하여 사용자가 도어(30,4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23)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시켜 냉기를 형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1,22)에 공급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23)는 압축기(25)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 장치(미도시)와, 증발기(45,70) 등의 냉동 사이클 장치와, 각 냉동 사이클 장치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관(미도시)과, 증발기(45,7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1,22)에 공급하도록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61)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25)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계실(24)에 배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23)는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2)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키도록 복수의 증발기(45,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증발기(70)는 상부 저장실(21)을 냉각시킬 수 있고, 하부 증발기(45)는 하부 저장실(2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후에 상술하겠지만, 상부 증발기(70)는 도어(30)에 마련된 아이스 버킷(1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증발기로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2)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도 있다.
하부 증발기(45)는 커버(46)에 의해 별도로 구획된 하부 냉각 공간(47)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증발기(45)에서 생성된 냉기는 커버(46)에 형성된 공급홀(48)을 통해 하부 저장실(22)로 공급되어 하부 저장실(22)을 순환한 후에 커버(46)에 형성된 회수홀(49)을 통해 하부 냉각 공간(47)으로 회수될 수 있다. 공급홀(48) 또는 회수홀(49)에는 냉기 강제 유동을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증발기(70)는 상부 저장실(21)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증발기(70)는 상부 저장실(21)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증발기(70)를 단순히 증발기(70)라고 하고, 상부 저장실(21)을 단순히 저장실(21)이라고 하기로 한다.
증발기(70)는 저장실(21)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50)와, 본체(10)의 상부벽(14)의 사이에 형성되는 냉각 공간(60)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 공간(60)은 커버 플레이트(50)에 의해서 냉각 공간(60)을 제외한 저장실(21)의 나머지 영역과 상호 구획될 수 있다. 냉각 공간(60) 내부에는 증발기(70)가 배치되므로, 냉각 공간(60)의 내부는 별도의 덕트 구조 없이도 증발기(70)에서 생성되는 냉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냉각 공간(60)에는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증발기(70)의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키고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61)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61)은 증발기(7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61)은 증발기(70)의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증발기(70)를 통과시켜 열교환시키며, 증발기(70)를 거쳐 냉각된 공기를 증발기(70)의 전방 측으로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냉장고(1)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80)는 물을 수용하고 얼음을 생성하는 대략 반원형의 제빙셀과, 제빙셀에서 생성된 얼음을 제빙셀에서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크레이퍼와,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빙 장치(81)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제빙셀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도어에 마련된 아이스 버킷(110)으로 낙하시키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기(80)는 증발기(7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70)에서 생성된 냉기가 송풍팬(61)에 의해 제빙기(80) 측으로 유동하고, 이 냉기에 의해 제빙기(80)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빙기(80)는 냉매관(26)이 직접 접촉하여 냉각 에너지를 전달받는 직냉식 제빙기일 수도 있다.
제빙기(80)의 높이가 냉각 공간(6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없을 정도로 큰 경우에 제빙기(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본체 상부벽(14)은 일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부분에는 상부 커버(19,도 2)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본체 상부벽(14)은 다소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커버 플레이트(50)는 냉각 공간(60)과, 냉각 공간(60)을 제외한 저장실(21)의 나머지 영역을 구획하고, 냉각 공간(60)에 배치되는 부속품들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플레이트(50)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0)는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0)는 바디부(51)와, 바디부(51)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 경사부(61)와, 전방 경사부(61)의 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냉각 공간(60)이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면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69)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부(51)는 대략 수평하게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디부(51) 역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부(51)에는 냉각 공간(60)의 냉기를 저장실(21)에 공급하는 냉기 공급홀(52)과, 저장실(21)에서 덥혀진 냉기를 냉각 공간(60)으로 회수하는 냉기 회수홀(53)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공급홀(52)과 냉기 회수홀(53)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홀(52)은 증발기(70)의 전방에 마련되고, 냉기 회수홀(53)은 증발기(7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회수홀(53)을 통해 저장실(21)에서 냉각 공간(60)으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70)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에 증발기(70) 전방의 냉기 공급홀(52)을 통해 저장실(21)에 공급될 수 있다.
전방 경사부(61)에는 제빙기(80)의 얼음이 아이스 버킷(110)으로 낙하하는 얼음 통과구(64)와, 냉각 공간(60)의 냉기를 아이스 버킷(110)으로 공급하는 아이스 버킷 냉기 공급홀(62)과, 아이스 버킷(110)에서 덥혀진 냉기를 냉각 공간(60)으로 회수하는 아이스 버킷 냉기 회수홀(63)과, 아이스 버킷(110)의 스터러(122)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커플러 장치(123,124)가 결합되는 커플러 결합공(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50)는 증발기(70)와 송풍팬(61) 등의 부속품이 본체 상부벽(14)에 결합된 후에 최종적으로 저장실(21)의 내측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증발기(70)와 송풍팬(61) 등의 부속품은 걸림 구조, 끼움 구조, 나사 체결 구조 등의 각종 결합 구조를 통해 냉장고 본체(10)의 상부벽(14)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0) 역시 걸림 구조, 끼움 구조, 나사 체결 구조 등의 각종 결합 구조를 통해 저장실(21)의 내측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와는 달리 증발기(70)와 송풍팬(61) 등의 부속품이 커버 플레이트(50)의 상면에 조립된 후에 조립된 커버 플레이트(50)가 저장실(21)의 내측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냉각 공간(60)의 높이 즉, 커버 플레이트(50)와 본체 상부벽(14) 사이의 높이가 크지 않으므로 증발기(70)는 눕혀진 상태로 냉각 공간(6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에서 아이스 버킷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저빙실(90)은 도어(30)의 배면에 마련되고, 저빙실(90)에는 아이스 버킷(110)이 장착될 수 있다. 저빙실(90)은 아이스 버킷(110)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 공간(100)을 포함한다. 저빙실(90)은 아이스 버킷(110)을 장착 공간(110)에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저빙실(90)은 개방된 전면은 저빙실 커버(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빙실 커버(140)는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저빙실 커버(140)는 락킹 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락킹 장치가 잠금홀(142)에 걸림으로써 저빙실 커버(140)가 잠길 수 있다.
저빙실(9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갖고, 상부벽(91)과, 좌측벽(92)과, 우측벽(93)과, 바닥(94)과, 후벽(95)을 가질 수 있다. 저빙실(90) 및 저빙실 커버(140)는 아이스 버킷(110)을 단열하도록 단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빙실(90)의 상부벽(91)에는 아이스 버킷(110)으로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인렛(97)과,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가 유출되는 냉기 아웃렛(98)과, 아이스 버킷(110)으로 얼음이 유입되는 얼음 유입구(9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기 인렛(97)과, 얼음 유입구(99)는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저빙실(90)의 상부벽(91)에는 아이스 버킷(110)의 피동 커플러(124)가 통과하는 커플러 통과구(106)가 형성될 수 있다.
저빙실(90)의 상부벽(91)에는 냉기 인렛(97)과 냉기 아웃렛(98)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 부재(104)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104)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104)는 냉기 인렛(97)과 냉기 아웃렛(98)의 주변에 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히면 실링 부재(104)는 본체(10)의 커버 플레이트(50)의 전방 커버부(61)에 밀착되어 냉기 인렛(97)과 냉기 아웃렛(98)을 밀폐할 수 있다.
저빙실(90)의 바닥(94)에는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이 디스펜서(34)로 토출되는 얼음 토출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은 아이스 버킷 몸체와, 아이스 버킷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 공간(101)을 포함한다. 아이스 버킷 몸체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갖고, 상부벽(102)과, 바닥(103)과, 전벽(104)과, 우측벽(105)과, 후벽(106)과, 좌측벽(107)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상부벽(102)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인렛(117)과, 냉기가 유출되는 냉기 아웃렛(118)과, 얼음이 유입되는 얼음 유입구(119)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기 인렛(117)과, 얼음 유입구(119)는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과, 저빙실(90)의 냉기 인렛(97)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아웃렛(118)과, 저빙실(90)의 냉기 아웃렛(98)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유입구(119)와, 저빙실(90)의 얼음 유입구(99)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은 아이스 버킷(110)의 우측벽(113)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아웃렛(118)은 아이스 버킷(110)의 좌측벽(113) 측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 위치가 바뀌어도 무관하다.
아이스 버킷(110)의 상부벽(111)에는 아이스 버킷(110)의 피동 커플러(124)가 위치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바닥(114)에는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이 디스펜서(34)로 토출되는 얼음 토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토출구(121)과, 저빙실(90)의 얼음 토출구(101)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저장 공간(120)에는 얼음 저장 공간(120)에 저장된 얼음을 휘저어 얼음이 얼음 토출구(121)를 용이하게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한 스터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터러(122)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본체(10)에 마련된 스터링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스터링 모터의 회전력은 본체(10)에 마련된 구동 커플러(123)과, 스터러(122)의 상단에 마련된 피동 커플러(124)를 통해 스터러(122)에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커플러(120)와 피동 커플러(124)은 도어(30)가 열리면 상호 분리되고, 도어(30)가 닫히면 상호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체(10)의 냉각 공간(60)의 냉기가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을 통해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저장 공간(120)으로 유입되고, 얼음 저장 공간(120)에 저장된 얼음을 냉각시킨 후에 덥혀진 냉기는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아웃렛(118)을 통해 본체(10)의 냉각 공간(60)으로 회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50은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만빙 감지 센서이고, 미설명 부호 125는 만빙 감지 센서에서 송수신되는 광신호가 통과하도록 아이스 버킷(110)에 형성되는 광 홀이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히 상술한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아이스 버킷의 내부 투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아이스 버킷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아이스 버킷(110)은 냉기 인렛(117)을 통해 얼음 저장 공간(120)으로 유입되어 냉기 아웃렛(118)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격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 부재(130)는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저장 공간(120)에 저장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얼음 저장 공간(120) 측으로 이격시켜서 얼음과 아이스 버킷 몸체 사이에 냉기의 유로를 확보함으로써 냉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격 부재(130)는 얼음과의 충돌로 인해 깨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이격 부재(130)는 아이스 버킷(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부재(130)는 아이스 버킷(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부재(130)는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과 냉기 아웃렛(118)에 각각 인접한 아이스 버킷(110)의 우측벽(113) 및 좌측벽(112)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1)는 얼음을 우측벽(113) 및 좌측벽(112)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기 인렛(117)을 통해 얼음 저장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아래 방향으로 안내하고, 냉기 아웃렛(118)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냉기를 윗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131) 중에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131)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131)의 사이에 냉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31)는 막대 형상을 갖고 있으나, 가이드 리브(131)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절곡된 형상이나 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리브(131)는 대략 수직하게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가이드 리브(131)가 다소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과, 냉기 아웃렛(118)이 각각 아이스 버킷(110)의 우측벽(113)과, 좌측벽(114)에 인접하게 형성되므로,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131) 역시 아이스 버킷(110)의 우측벽(113)과 좌측벽(114)에 마련되었으나,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과, 냉기 아웃렛(118)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131)의 위치 역시 바뀔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는 만빙 감지 센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만빙 감지 센서(150)는 적외선 등을 포함하는 광신호를 발신하는 이미터와, 이미터에서 발신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광 센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 만빙 감지 센서(150)라는 용어는 이미터와 리시버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거나, 또는 둘 중에 어느 하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이미터와 리시버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냉장고는 제빙기(80)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 단계와, 제빙기(80)를 냉각시키는 제빙 단계와, 제빙기(80)에서 생성된 얼음을 아이스 버킷(110)으로 이빙시키는 이빙 단계와,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만빙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 사이클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도 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출력된 값이 소정의 기준 값 보다 작으면 아이스 버킷(110)에 얼음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된 값이 1 V 보다 작으면 아이스 버킷(110)에 얼음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만빙 판단 단계에서 아이스 버킷(110)이 만빙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종료하고, 아이스 버킷(110)이 미만빙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반복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200)의 만빙 판단 방법에 대하여는 후에 다시 상술한다.
만빙 감지 센서(150)는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를 감지하도록 저빙실(9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빙실(90)의 좌측벽(93)과, 후벽(95)에 만빙 감지 센서(150)가 매설될 수 있다. 만빙 감지 센서(150)는 아이스 버킷(11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110)을 저빙실(90)에 장착 또는 탈거 시에 아이스 버킷(110)과 만빙 감지 센서(150)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저빙실(90)의 좌측벽(93)과, 후벽(95)에는 각각 만빙 감지 센서(150)가 장착되는 장착 홈(105)이 형성되고, 만빙 감지 센서(150)는 장착 홈(105)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터와 리시버 사이의 광 경로는 대각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터와 리시버 사이의 광 경로가 대각 경로이므로 만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광 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만빙 감지 센서(150)는 저빙실(90)의 좌측벽(93)과 우측벽(92)에 각각 마련되거나, 우측벽(92)과 후벽(95)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아이스 버킷(110)에는 저빙실(90)에 마련된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송수신되는 광신호가 아이스 버킷(110) 내부를 통과하도록 광 홀(12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 홀(125)은 만빙 감지 센서(15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아이스 버킷(110)의 우측벽(113)과, 후벽(11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아이스 버킷(11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만빙 감지 센서(150)가 설치되고, 아이스 버킷(110)의 장착 및 분리에도 만빙 감지 센서(1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서, 만빙 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만빙 감지 센서(15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60은 만빙 감지 센서(150)에 성에가 낄 때 이를 제상하도록 열을 발산하는 센서 히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격 부재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싱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부재(132)는 아이스 버킷(110)의 냉기 인렛(117)과 냉기 아웃렛(118)에 각각 인접한 아이스 버킷(110)의 양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133)와, 복수의 가이드 리브(133)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획벽(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3)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110)의 양 측벽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기 인렛(117)을 통해 얼음 저장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아래 방향으로 안내하고, 냉기 아웃렛(118)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냉기를 윗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133) 중에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133)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133)의 사이에 냉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획벽(134)은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 저장 공간(120)을 외측의 냉기 유로 영역과, 내측의 얼음 저장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획벽(134)은 판 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134)은 가이드 리브(133)에 직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획벽(134)에는 구획벽(134)을 관통하여 냉기가 유통하도록 냉기 유통공(13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3)와, 구획벽(134)은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부재(136)는 아이스 버킷(110)의 바닥(114)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7)는 아이스 버킷(110)의 인렛(117)에서 아이스 버킷(110)의 아웃렛(188)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137)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110)의 바닥(114)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아이스 버킷(110)의 인렛(117)으로 유입된 냉기를 아이스 버킷(110)의 아웃렛(118)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137) 중에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137)는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137)의 사이에 냉기 유로가 확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만빙 감지의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및 만빙 감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수신된 광신호의 출력값을 전달 받아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를 판단하고, 아이스 버킷(110)의 만빙 여부에 따라 급수, 제빙, 이빙, 만빙 감지를 포함하는 제빙 사이클의 진행 및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디스펜서(34)의 디스펜싱 스위치(38)의 동작에 따라 아이스 버킷(110)의 얼음이 방출됨을 파악하고, 제빙 사이클의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급수 장치(170)를 제어하여 제빙기(80)에 물을 급수하고, 냉기 공급 장치(23)를 제어하여 제빙기(80)를 냉각하고, 이빙 장치(81)를 제어하여 스크레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제빙기(80)에서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 히터(160)를 제어하여 만빙 감지 센서(150)를 가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아이스 버킷(110)의 1 차 만빙 여부 판단(220) 후에 소정 대기시간(T)을 대기하고, 다시 2 차 만빙 여부 판단(270)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고(210), 1 차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220). 1 차 만빙 여부 판단은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출력된 광신호 값과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례로,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출력된 광신호 값이 소정의 기준 값 보다 크면 미만빙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 값 보다 작으면 만빙으로 판단할 수 있다.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급수, 제빙, 이빙, 만빙 감지를 포함하는 제빙 사이클을 다시 진행하여 아이스 버킷(110)에 얼음을 저장한 후에(230), 다시 1 차 만빙 여부 판단 과정을 진행한다.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를 off 하고(240), 소정의 대기시간(T) 동안 제빙 사이클을 대기시킨다. 즉, 제어부(200)는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었다고 하더라도 즉시 제빙 사이클을 종료시키지 아니하고, 소정의 대기시간(T) 동안 대기한다(250).
이는 실제 아이스 버킷(110)이 실제 미만빙 상태인데도 만빙으로 오판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얼음이 아이스 버킷(110)의 아래에서부터 차곡차곡 적층되지 않고 불균일하게 적층된 경우에는 아직 얼음이 더 저장될 수 있으므로 실제로는 미만빙 상태인데, 순간적으로 최상층의 얼음이 광신호를 방해하여 만빙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소정의 대기시간(T)이 경과하면, 다시 만빙 감지 센서(150)를 on 하여(260), 2 차로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270).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다시 진행한 후에(280), 다시 1 차 만빙 여부 판단 과정을 진행한다(220).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종료한다(290).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아이스 버킷(110)의 1 차 만빙 여부 판단(320) 후에 소정 대기시간(T)을 대기하고, 다시 2 차 만빙 여부 판단(390)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 1 차 만빙 여부 판단(320)과 2 차 만빙 여부 판단(390)의 사이에 센서 히터(160,도 7)를 on/off 하여 만빙 감지 센서(150)에 발생한 성에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고(310), 1 차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320). 1 차 만빙 여부 판단은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출력된 광신호 값과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례로, 만빙 감지 센서(150)에서 출력된 광신호 값이 소정의 기준 값 보다 크면 미만빙으로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 값 보다 작으면 만빙으로 판단할 수 있다.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급수, 제빙, 이빙, 만빙 감지를 포함하는 제빙 사이클을 다시 진행하여 아이스 버킷(110)에 얼음을 저장한 후에(330), 다시 1 차 만빙 여부 판단 과정을 진행한다.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만빙 감지 센서를 off 하고(340), 센서 히터(160)를 on 하고(350), 소정의 대기시간(T) 동안 제빙 사이클을 대기시킨다(360). 즉, 제어부(200)는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었다고 하더라도 즉시 제빙 사이클을 종료시키지 아니하고, 소정의 대기시간(T) 동안 대기한다.
이때 센서 히터(160)를 작동시켜서 만빙 감지 센서(150)를 가열시키는 이유는 만빙 감지 센서(150)에 형성된 성에에 의해 만빙 감지의 오류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제어부(200)는 소정의 대기시간(T)이 경과하면, 센서 히터(160)를 off 하고(370), 다시 만빙 감지 센서(150)를 on 하여(380), 2 차로 만빙 여부를 판단한다(390).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다시 진행한 후에(400), 다시 1 차 만빙 여부 판단 과정을 진행한다(320).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되면, 제빙 사이클을 종료한다(410).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4 : 상부벽 21 : 저장실
50 : 커버 플레이트 60 : 냉각 공간
61 : 송풍팬 70 : 증발기
80 : 제빙기 90 : 저빙실
110 : 아이스 버킷 130 : 이격 부재
150 : 만빙 감지 센서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은,
    상부벽, 바닥, 전벽, 우측벽, 후벽, 좌측벽을 포함하는 아이스 버킷 몸체;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얼음 저장 공간;
    냉기의 유로를 확보하도록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상기 얼음 저장 공간 측으로 이격시키는 얼음 이격 부재; 및
    냉기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의 상기 상부벽에 각각 형성되는 냉기 인렛과 냉기 아웃렛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서 상기 얼음 저장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 중에 상호 인접하는 가이드 리브들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냉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양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냉기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들의 내측에 연장 형성되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에는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냉기가 유통하도록 냉기 유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의 바닥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바닥 리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인렛은 상기 아이스 버킷의 일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은 상기 아이스 버킷의 반대 측벽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저빙실; 및
    상기 아이스 버킷의 만빙을 감지하도록 광신호를 발산하는 이미터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리시버를 갖고, 상기 아이스 버킷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저빙실에 마련되는 만빙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빙실은 좌측벽과, 우측벽과, 후벽과, 바닥을 포함하는 저빙실 몸체와, 상기 저빙실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아이스 버킷 장착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는 상기 저빙실 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와 상기 리시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빙실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저빙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미터와 상기 리시버 사이의 광 경로는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에는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통해 송수신되는 광신호가 상기 아이스 버킷 몸체를 관통하도록 광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 이빙시키는 이빙 장치;
    상기 아이스 버킷의 내부로 광신호를 발산하는 이미터와, 상기 이미터에서 발산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그 값을 출력하는 리시버를 갖는 만빙 감지 센서; 및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여 1 차로 만빙 여부 판단하고,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 결과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만빙 감지 센서를 off 하고,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on 하여 2 차로 만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종료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진행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미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급수, 제빙, 이빙 등의 제빙 사이클을 진행하도록 상기 이빙 장치와 상기 급수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가열하는 센서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 차 만빙 여부 판단에서 만빙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만빙 감지 센서를 가열하도록 상기 센서 히터를 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센서 히터를 off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109445A 2014-08-22 2014-08-22 냉장고 KR10227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45A KR102279393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US14/813,539 US10495366B2 (en) 2014-08-22 2015-07-30 Ic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P18186038.8A EP3410044B1 (en) 2014-08-22 2015-08-20 Refrigerator
EP15181722.8A EP2988079B1 (en) 2014-08-22 2015-08-20 Refrigerator
CN201510520936.1A CN105371551B (zh) 2014-08-22 2015-08-21 冰箱
US16/658,730 US11378322B2 (en) 2014-08-22 2019-10-21 Ic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445A KR102279393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82A KR20160023282A (ko) 2016-03-03
KR102279393B1 true KR102279393B1 (ko) 2021-07-21

Family

ID=5401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445A KR102279393B1 (ko) 2014-08-22 2014-08-22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95366B2 (ko)
EP (2) EP3410044B1 (ko)
KR (1) KR102279393B1 (ko)
CN (1) CN105371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927B2 (en) 2011-06-29 2022-01-11 Minesense Technologies Ltd. Sorting materials using pattern recognition, such as upgrading nickel laterite ores through electromagnetic sensor-based methods
EP3698889A1 (en) 2011-06-29 2020-08-26 Minesense Technologies Ltd. Extracting mined ore, minerals or other materials using sensor-based sorting
DK2844403T3 (en) 2012-05-01 2018-09-17 Minesense Tech Ltd High capacity cascade mineral sorting machine
EP3171989B1 (en) 2014-07-21 2023-10-11 Minesense Technologies Ltd. High capacity separation of coarse ore minerals from waste minerals
CN107002388B (zh) * 2014-07-21 2020-12-08 感矿科技有限公司 来自废物矿物的粗矿石矿物的高容量分离
CN106679256B (zh) * 2016-12-21 2019-08-2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冰机及具有其的冰箱
KR20180075124A (ko) * 2016-12-26 2018-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 방법
KR102338471B1 (ko) * 2016-12-29 2021-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775088B2 (en) * 2018-02-16 2020-09-1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ing assembly coupling
US11525621B2 (en) 2018-03-12 2022-12-13 Whirlpool Corporation Anti-rolling icebox gasket for refrigerator swing doors
KR102496329B1 (ko) 2018-03-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653975B1 (en) * 2018-11-16 2023-09-2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with an ice maker
TR201913340A2 (tr) * 2019-09-04 2021-03-22 Bsh Ev Aletleri San Ve Tic As Hava-yönlendi̇rme kanalina sahi̇p bi̇r ev ci̇hazi kapisi
US20210123652A1 (en) * 2019-10-28 2021-04-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ensor assembly for detecting the level of ice within an ice making appliance
US11802727B2 (en) 2020-01-18 2023-10-31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913699B2 (en) 2020-01-18 2024-02-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255589B2 (en) 2020-01-18 2022-02-22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391500B2 (en) 2020-01-18 2022-07-19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56017B2 (en) 2020-01-18 2023-05-2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578905B2 (en) 2020-01-18 2023-02-14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ice disp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deploying ice maker
US11602059B2 (en) 2020-01-18 2023-03-07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detachable electronics module
US11519652B2 (en) 2020-03-18 2022-12-06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74731B2 (en) 2021-01-13 2023-06-13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US11686519B2 (en) 2021-07-19 2023-06-27 True Manufacturing Co., Inc. Ice maker with pulsed fill rout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73B1 (ko) * 2004-04-06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4171U (ko) * 1977-08-10 1979-03-06
JPS5434171A (en) 1977-08-23 1979-03-13 Fuji Electric Co Ltd Flat type freezing and refrigerating open show case
US4344295A (en) * 1981-01-22 1982-08-17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for timed operation of ice maker
DE3373778D1 (en) 1982-01-19 1987-10-29 Invicta Plastics Ltd Ice bucket
US4475357A (en) * 1982-09-27 1984-10-09 Whirlpool Corporation Ice production rate selector for ice maker
US4424683A (en) * 1982-09-27 1984-01-10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er control
US4774814A (en) * 1986-09-05 1988-10-04 Mile High Equipment Company Ice making machine
US5056325A (en) * 1986-12-04 1991-10-15 The Cornelius Company Ice cube maker with new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4938030A (en) * 1986-12-04 1990-07-03 Schneider Metal Manufacturing Co. Ice cube maker with new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4733539A (en) * 1986-12-04 1988-03-29 Schneider Metal Manufacturing Co. Ice cube maker with new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4756165A (en) * 1987-08-03 1988-07-12 Whirlpool Corporation Single revolution ice maker
US4799362A (en) * 1987-12-21 1989-01-24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home ice maker test apparatus
US4872317A (en) * 1988-10-24 1989-10-10 U-Line Corporation Unitary ice maker with fresh food compartment and control system therefor
US4947653A (en) * 1989-06-26 1990-08-14 Hussmann Corporation Ice making machine with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5129237A (en) * 1989-06-26 1992-07-14 Servend International, Inc. Ice making machine with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5042263A (en) * 1990-08-13 1991-08-27 Servend International, Inc. Ice making machine with freeze and harvest control
US5297394A (en) * 1991-12-31 1994-03-2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cube ice maker
US5187948A (en) * 1991-12-31 1993-02-23 Whirlpool Corporation Clear cube ice maker
US5261248A (en) * 1992-02-24 1993-11-16 Whirlpool Corporation Fill cup sleeve for a recoverable domestic icemaker
US5160094A (en) * 1992-02-24 1992-11-03 Whirlpool Corporation Recoverable domestic ice maker
US5477694A (en) * 1994-05-18 1995-12-26 Scotsman Group,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machine and apparatus therefor
JPH08100977A (ja) * 1994-09-30 1996-04-16 Toshiba Corp 冷蔵庫
US6282909B1 (en) * 1995-09-01 2001-09-04 Nartron Corporation Ice making system, method, and component apparatus
US5931003A (en) * 1995-09-01 1999-08-03 Natr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 formation of ice within a closed loop water circulating unit
US5653114A (en) * 1995-09-01 1997-08-05 Nartr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ally controlling the location of the formation of ice within a closed loop water circulating unit
KR0177738B1 (ko) * 1996-06-10 1999-04-15 윤종용 자동제빙기의 이빙모드 제어방법
US5829257A (en) * 1997-03-31 1998-11-03 Narto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harvesting ice in an ice making apparatus
US5878583A (en) * 1997-04-01 1999-03-09 Manitowoc Foodservice Group, Inc. Ice mak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e
KR20000009946U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냉장고용 제빙가이드
US6286324B1 (en) * 1998-12-28 2001-09-11 Whirlpool Corporation Ice level sensing system for an ice maker
US6425259B2 (en) * 1998-12-28 2002-07-30 Whirlpool Corporation Removable ice bucket for an ice maker
US6314745B1 (en) * 1998-12-28 2001-11-1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US6490873B2 (en) * 1999-04-02 2002-12-10 Dekko Heating Technologies, Inc. Ice maker and method of making ice
US6526763B2 (en) * 1999-04-02 2003-03-04 Dekko Heating Technologies, Inc. Ice maker and method of making ice
US6257465B1 (en) * 1999-11-05 2001-07-10 Paul Treadwell Ice dispenser
US6581391B2 (en) * 2000-05-01 2003-06-24 Technology Licensing Corporation Ice thickness control system and sensor probe
US6351955B1 (en) * 2000-07-31 2002-03-0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ice production
US6405546B1 (en) * 2000-08-16 2002-06-18 Gregory M. Billma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US6463746B1 (en) * 2000-09-27 2002-10-15 Scotsman Ice Systems Ice producing machine and method with gear motor monitoring
US6574974B1 (en) * 2000-10-02 2003-06-1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electronic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6637217B2 (en) * 2000-12-30 2003-10-2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437388B1 (ko) * 2001-08-14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 및 검사방법
KR100412948B1 (ko) * 2001-11-20 2003-12-3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수량 표시장치 및 방법
US6581392B1 (en) * 2002-02-01 2003-06-24 Scotsman Ice Systems Ice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6612118B2 (en) * 2002-02-06 2003-09-02 Imi Cornelius Inc. Ice maker control
RU2005114363A (ru) * 2002-10-10 2005-10-10 Майл Хай Эквипмент Ко. (Us) Машин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ьда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мониторингом
WO2004081470A1 (ja) * 2003-03-11 2004-09-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製氷装置
WO2004083971A2 (en) * 2003-03-13 2004-09-30 Imi Cornelius Inc. Icemaker control system
US6679073B1 (en) * 2003-03-14 2004-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US7062936B2 (en) * 2003-11-21 2006-06-20 U-Line Corporation Clear ice making refrigerator
US6952936B2 (en) * 2003-12-22 2005-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aratus
JP2005188761A (ja) * 2003-12-24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製氷装置
JP4231826B2 (ja) 2004-08-20 2009-03-04 ヤンマー株式会社 冷凍コンテナ
US7131280B2 (en) * 2004-10-26 2006-11-0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ice in a compact ice maker
US7185508B2 (en) * 2004-10-26 2007-03-06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maker
KR100642362B1 (ko) * 2004-11-02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의 급수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EP2642225B1 (en) * 2005-02-01 2019-01-16 LG Electronics Inc. -1- Refrigerator
US7143588B2 (en) * 2005-03-14 2006-12-05 Emerson Electric C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 tray fill in an ice maker
US7216491B2 (en) * 2005-04-29 2007-05-15 Emerson Electric Co Ice maker with adaptive fill
US20060276932A1 (en) * 2005-05-19 2006-12-07 Scotsman Ice Systems Ice-making machinery with lockout and method
US7281386B2 (en) * 2005-06-14 2007-10-16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Residential ice machine
KR20070042020A (ko) * 2005-10-17 2007-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55404B1 (ko) * 2006-08-11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US20080034780A1 (en) * 2006-08-11 200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08030023A1 (en) * 2006-09-04 2008-03-13 Lg Electronics Inc. Control apparatus for taking out ice of refrigerator and method thereof
US20080072610A1 (en) * 2006-09-26 2008-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cemaker
US20080092567A1 (en) * 2006-10-20 2008-04-24 Doberstein Andrew J Ice maker with ice bin level control
US20080092574A1 (en) * 2006-10-20 2008-04-24 Doberstein Andrew J Cooler with multi-parameter cube ice maker control
US8820100B2 (en) * 2006-12-29 2014-09-02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urning off an actuator in a refrigeration device upon detection of an unwanted condition
US7743801B2 (en) * 2006-12-29 2010-06-2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ice and/or a liquid
DE202007004580U1 (de) 2007-03-26 2007-06-14 Zippy Technology Corp. Eiswürfelmaschine mit einem Konvektionslüfter
KR100809749B1 (ko) * 2007-03-28 2008-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어셈블리
KR101406187B1 (ko) * 2007-06-04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1849150B (zh) * 2007-11-05 2012-04-25 Lg电子株式会社 冰箱的控制方法
WO2009078996A1 (en) * 2007-12-17 2009-06-25 Mile High Equipment Llc Ice-making machine with water flow sensor
US7841192B2 (en) * 2007-12-27 2010-11-30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in bucket detection for an icemaker
US8522571B2 (en) 2008-02-19 2013-09-03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capacity ice storage assembly
US8109112B2 (en) * 2008-02-25 2012-02-07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ice storage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00139299A1 (en) * 2008-04-15 2010-06-10 Dong-Hoon Lee Refrigerator and full ice level sensing apparatus thereof
KR101451659B1 (ko) * 2008-04-15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56572B1 (ko) * 2008-05-27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451658B1 (ko) 2008-04-15 2014-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74439B1 (ko) * 2008-05-27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456571B1 (ko) * 2008-05-0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US20090308085A1 (en) * 2008-06-12 2009-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ting icemaker assembly
US20110023510A1 (en) * 2008-08-04 2011-02-03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00040160A (ko) * 2008-10-09 2010-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595B1 (ko) * 2008-11-19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JP2010169322A (ja) * 2009-01-23 2010-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ャーベット氷製造システム、シャーベット氷の氷量測定装置及びシャーベット氷の氷量測定方法
US8978406B2 (en) * 2009-02-28 2015-03-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ion apparatus for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of minimizing frost accumulation
ES2373508B1 (es) 2009-03-30 2012-12-21 Fagor, S. Coop Contenedor para un aparato frigorífico
KR101658667B1 (ko) * 2009-04-13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33155A (ko) * 2009-06-11 201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US8424323B2 (en) * 2009-11-13 2013-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level sensing system
KR101639440B1 (ko) 2009-12-22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769981B2 (en) * 2009-12-22 2014-07-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ce maker and ice level sensor
KR20110096672A (ko) * 2010-02-23 2011-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464543B2 (en) * 2010-03-08 2013-06-18 Whirlpool Corporation Door mounted ice level detection device
KR101718019B1 (ko) * 2010-07-01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CN102346448B (zh) * 2010-08-03 2014-11-12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用于通知制冰周期启动时延的低压控制
EP2601461A1 (en) * 2010-08-06 2013-06-12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Control system for an ice maker
US20120036872A1 (en) * 2010-08-10 2012-02-16 Brent Alden Junge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an ice maker system
KR101821813B1 (ko) * 2010-09-20 2018-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091473B2 (en) * 2010-11-09 2015-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Float-type ice making assembly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9664430B2 (en) * 2010-11-17 2017-05-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Ice maker for dispensing soft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20120125018A1 (en) * 2010-11-19 2012-05-2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system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refrigeration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ice
WO2012074323A2 (ko) 2010-12-02 2012-06-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저장고
KR101775403B1 (ko) * 2011-01-10 2017-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3403478A (zh) * 2011-01-31 2013-11-20 曼尼托沃食品服务有限公司 制冰机安全模式下冷冻和收获的控制和方法
US20120204592A1 (en) * 2011-02-11 2012-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dispenser for dispensing cubed and crushed ice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9316427B2 (en) * 2011-03-02 2016-04-19 Whirlpool Corporation Direct contact icemaker with chambered air cooling system
US8640488B2 (en) * 2011-05-31 2014-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bin assembly
US8813509B2 (en) * 2011-06-02 2014-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ing assembly with optimized harvesting and related refrigeration appliance
US8844314B2 (en) * 2011-06-22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making system and method
US9004115B2 (en) * 2011-06-30 2015-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ice and/or a liquid
KR101913423B1 (ko) 2011-09-09 2018-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92927B1 (ko) * 2011-10-17 2014-05-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얼음엉김 해제기능을 갖는 아이스버킷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07166B1 (ko)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8530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8531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7793B1 (ko) * 2012-01-03 2019-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80540B1 (ko) * 2012-01-06 201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13876B1 (ko) * 2012-01-06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07167B1 (ko) 2012-04-10 2018-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119742B2 (en) * 2012-05-18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Flat top modular cooling system ice and air delivery
WO2013183890A1 (en) * 2012-06-07 201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8857198B2 (en) * 2012-06-08 2014-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Icemaker shut off method for premature harvest reduction
KR101376873B1 (ko) * 2012-07-10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40196478A1 (en) * 2013-01-14 2014-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operating a refrigerator appliance ice maker
US9644879B2 (en) * 2013-01-29 2017-05-09 True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ice thickness and detecting failure modes of an ice ma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273B1 (ko) * 2004-04-06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제빙실의 냉기 유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5366B2 (en) 2019-12-03
US20160054044A1 (en) 2016-02-25
EP3410044A2 (en) 2018-12-05
KR20160023282A (ko) 2016-03-03
CN105371551B (zh) 2018-08-28
CN105371551A (zh) 2016-03-02
EP2988079B1 (en) 2018-10-03
EP3410044B1 (en) 2019-12-18
EP2988079A2 (en) 2016-02-24
US20200049396A1 (en) 2020-02-13
EP3410044A3 (en) 2019-01-23
EP2988079A3 (en) 2016-06-01
US11378322B2 (en)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393B1 (ko) 냉장고
US10072888B2 (en) Refrigerator
KR101658667B1 (ko) 냉장고
KR101523251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26614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9188377B2 (en)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718995B1 (ko) 냉장고
US20200284493A1 (en) Refrigerator
KR20100133155A (ko)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49055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201202274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26668B1 (ko) 냉장고
JP6568708B2 (ja) 冷蔵庫
KR101639440B1 (ko) 냉장고
KR20170010305A (ko) 냉장고
JP6796915B2 (ja) 冷蔵庫
KR2021007266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136807A1 (ja) 冷蔵庫
KR20160050016A (ko) 냉장고
KR2021000353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