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163B1 -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163B1
KR102277163B1 KR1020210048354A KR20210048354A KR102277163B1 KR 102277163 B1 KR102277163 B1 KR 102277163B1 KR 1020210048354 A KR1020210048354 A KR 1020210048354A KR 20210048354 A KR20210048354 A KR 20210048354A KR 102277163 B1 KR102277163 B1 KR 10227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lip
input terminal
power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사용안전성 및 공간활용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측에 전원입력터미널이 구비되고 후측에 부하출력터미널이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와 상기 부하출력터미널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이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누전감지차단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하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단에 굴곡지게 형성된 제1클립부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제2클립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롱클립콘덕터; 및 상기 제2클립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부하출력터미널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이격되는 연장입력터미널을 포함하는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power-side and load-side integrated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using long clip conductor}
본 발명은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사용안전성 및 공간활용성이 개선된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설정값을 초과한 과전류가 흐르거나 회로 내에 누전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선로의 개폐조작을 신속하게 전환시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차단기는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구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과전류가 발생시 자동으로 전류가 단락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열팽창율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붙여 놓고 과전류로 인한 열이 가해질 경우 열팽창율이 작은 쪽으로 휘는 특성을 이용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통상 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면 저항이 발생하여 상기 바이메탈이 가열되고, 일정한 기준 이상의 과다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바이메탈이 휘어지면서 인접하여 닿아있는 트립부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의 하부에 결합된 접촉단자가 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동된다.
그러나, 종래의 바이메탈 방식의 차단기는 상기 바이메탈이 변형되는 시간이 발생됨으로 인해 전류를 즉각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고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전류가 차단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지연됨에 따라 차단기 내부의 구성부품뿐만 아니라 부하측에 연결된 전기제품 및 선로의 파손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과전류가 발생시 전송되는 신호를 통해 트립바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영상변류기 방식의 차단기는 영상변류기, 솔레노이드부,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차단기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단기(21)를 가로등점멸기(2) 내부와 같은 협소간 공간내에 배치시 일반적으로 차단기(21)의 전원측(21a) 및 부하측(21b) 중 어느 하나가 상측으로 배치되되 다른 하나가 하측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차단기(21)의 전원측(21a) 및 부하측(21b)에 각각 전선(3,4)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차단기(21)의 전원측(21a) 및 부하측(21b) 중 상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에 연결된 전선(3)은 차단기(21)의 하우징부(21c) 외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가로등점멸기(2)의 케이싱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단기(21)는 전원측(21a) 및 부하측(21b)이 상측 및 하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가로등점멸기(2) 내부와 같은 협소간 공간내에 배치시 전선(3,4)이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되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등점멸기(2) 내부와 같은 협소간 공간내에 배치된 차단기(21)의 전원측(21a) 및 부하측(21b)에 전선 연결 작업시 작업성이 저하되며, 요구되는 전선 길이가 증가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14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과전류의 발생시 신속하게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며 사용안전성 및 공간활용성이 개선된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측에 전원입력터미널이 구비되고 후측에 부하출력터미널이 상기 전원입력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과 상기 부하출력터미널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이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누전감지차단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하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단에 굴곡지게 형성된 제1클립부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제2클립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롱클립콘덕터; 및 상기 제2클립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부하출력터미널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이격되는 연장입력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후측에는 상기 부하출력터미널이 삽입되도록 부하측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부하측삽입홈보다 후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부하측삽입홈과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기 연장입력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연장측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원입력터미널 및 상기 연장입력터미널에는 전단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절곡지게 하향 연장되되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전원측통전부 및 연장측통전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중앙부는 상기 전원측통전부 및 상기 연장측통전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향 배치되되,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향하여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양측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벽면에 각각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중앙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되,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는 각 폭방향 중앙부와 더불어 각 폭방향 양측부가 상기 롱클립콘덕터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상호 이격 분리되며 각각 상향 연장되며, 각각 상향 연장되는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폭방향 중앙부 및 폭방향 양측부의 각 폭은 상호 동일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우징부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된 전원입력터미널과 연장입력터미널이 롱클립콘덕터를 매개로 전선 연결되어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전선의 삽입영역이 나란히 집중되며 삽입방향이 통일되므로 작업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하우징부의 후측에 부하출력터미널과 연장입력터미널이 여유단차를 두고 나란히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이격되어, 피복이 벗겨진 각 외부전선 간의 합선에 의한 안전사고가 구조적으로 예방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전원입력터미널 및 연장입력터미널의 각 전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전원측통전부 및 연장측통전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볼록하게 굴곡 형성된 롱클립콘덕터의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중앙부가 탄성 걸림 결합되는 간편한 조립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측으로 갈수록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각각 향하여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는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중앙부가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됨과 동시에,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양측부가 폭방향 중앙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하우징부의 내부 벽면에 각각 가압 지지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섯째, 롱클립콘덕터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하향 연장되는 각 지지돌기의 하단이 하우징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백커버부에 접촉 지지되므로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중앙부가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에 탄성 걸림 결합된 전기적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단기의 배선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커버부 및 하우징부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커버부 및 하우징부가 분리되어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에서 하우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와 차단기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300)는 하우징부(210), 가동스위칭부(20), 크로스바(30), 트립부(40), 래치부(50), 핸들부(60), 누전감지차단부(70), 롱클립콘덕터(280) 및 연장입력터미널(29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300)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219)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210)는 상기 차단기(300)의 구성부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절연성 및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우징부(210)의 내부에는 각 구성부품이 설치 및 조립되도록 구획격벽, 설치홈 또는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10)의 전측에는 전원측에 접속되는 전원입력터미널(211)이 구비되며 후측에는 부하측과 연결되는 부하출력터미널(212)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의 후측에는 고정접점부(2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과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스위칭부(20)는 연결판부(21)와 연장판부(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결판부(21)는 전단부가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인접하되 후방으로 연장된 자화대면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화대면부는 구리 등의 복수개의 얇은 금속판이 중첩된 상태에서 어느 일측이 상호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화대면부의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접점 연결되는 가동접점부(25)가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판부(21)는 상기 자화대면부 및 그의 전단측에 구비된 상기 가동접점부(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화대면부는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판부(22)는 후단부가 상기 연결판부(21)의 후단부에 접촉 연결되되 상기 연결판부(21)와 교차되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전단부에 연장대면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화대면부의 후단부와 상기 연장대면부의 후단부는 중첩되되 조정나사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2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연장판부(22)는 상기 자화대면부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통전전선(214)을 통해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접촉되며,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 상기 연결판부(21), 상기 연장판부(22), 상기 통전전선(214) 및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을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화대면부와 상기 연장대면부는 전도성을 가지면서도 전류를 통해 자화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대면부는 자화되면서도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상이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바이메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과전류를 통한 전류 저항열로 인해 상기 연장판부(22)의 온도가 상승되면 낮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후면측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30)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가압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자화대면부의 전단부가 가압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로스바(30)는 상측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33)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세히, 정상 상태에서 상기 탄성수단(33)의 탄발력보다 상기 크로스바(30)가 하측으로 가압되는 힘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바(30)가 하향 가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탄성수단(33)은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경유부(31)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상기 연결판부(21)의 전단부가 구부러지면서 하향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접점 연결된다. 이때,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상기 핸들부(6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는 힘이 상실되면 상기 탄성수단(33)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상기 크로스바(30)가 상향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판부(21)를 가압하던 가압력이 상실되므로 상기 자화대면부가 탄발복원력을 통해 펴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이격된다.
한편, 상기 트립부(40)는 상기 연장대면부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회동단부(40a)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트립부(40)의 전면부에는 경사단턱(41)이 전향 돌설된다. 또한, 상기 트립부(40)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가 걸림 연결되도록 걸림홈부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트립부(40)의 구조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는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30)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며 후단부가 상기 트립부(40)의 전면부와 마주보는 길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는 상기 경사단턱(41)과 접촉 또는 이와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210)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50)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동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213)가 접촉되도록 동작되는 접속방향과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213)가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차단방향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접속방향을 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차단방향을 후측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상세히,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래치부(50)의 중앙측에 형성된 승강연결부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50)가 연동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41)의 경사진 상면에 면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41)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하향 회동되면서 래치가압부(32)에 접촉 및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며, 상기 고정접점부(213)와 상기 가동접점부(25)가 접점 연결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60)는 상기 하우징부(210)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되,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되면 일측에 구비된 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차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복귀수단은 토션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60)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된 상기 가압부재가 상향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크로스바(30) 및 상기 트립부(4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전류가 다시 접속되도록 상기 핸들부(60)가 접속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면 상기 가압부재가 하향 이동되되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41)측으로 이동 및 그의 상면에 다시 접촉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이 계속 전달되면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래치가압부(32)에 상기 래치부(50)의 전단부가 접촉 및 하측으로의 가압력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연결판부(21)가 하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213)가 다시 접촉되도록 조작된다.
또한, 상기 회동단부(40a)측에도 상기 트립부(40)의 회전각도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4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후측방향으로 회동된 후 즉각적으로 상기 복귀수단을 통해 위치가 복귀된다.
한편,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통전전선(214)를 통해 상기 가동스위칭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경사단턱(41)과 이격되기 위해 상기 트립부(40)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상기 트립부(40)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72a)가 구비된 솔레노이드(7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가동스위칭부(20)와의 전기적 연결시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테스트버튼부(75)를 누르면 누전감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가동스위칭부(20)로부터 상호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테스트버튼부(75)를 눌러도 전원이 차단된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가 동작되지 않게됨과 더불어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 양단자간 접촉저항이 무한대가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통전전선(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누설전류를 검출 및 증폭하도록 구비되는 누전감지부(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함은 직접 전선 연결, 전자기유도 방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전감지부(71)는 통전중인 상기 통전전선(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테스트버튼부(75)가 눌러져 전기적으로 통전되어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누전감지부(71)는 상기 솔레노이드(72)에 전선 연결되어 누전 검출시 상기 플런저(72a)가 구동되도록 트립차단신호를 전달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누전감지부(71)를 영상변류기와 PCB회로장치가 구비된 전자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누전감지부(71)의 일측에 연결되는 테스트핀(7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핀(73)은 통전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점감지부(71)의 PCB회로장치 상부 중앙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는 상기 누전감지부(71)의 타측에 연결되되 상기 테스트핀(73)에 선택적으로 통전 접촉되도록 상기 테스트핀(73)으로부터 더 상측으로 대향 이격되는 테스트플레이트(7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는 통전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누점감지부(71)의 PCB회로장치 상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는 가압시 탄성 변형되도록 평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누전감지부(71)는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의 상측에 구비되는 테스트버튼부(7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버튼부(75)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219)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테스트홀에 관통 삽입되어 상단이 상측으로 노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테스트버튼부(75)가 하향 가압시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상기 테스트버튼부(75)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버튼부(75)의 하단은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의 상면 전단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테스트버튼부(75)를 하향 가압하면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의 상면이 상기 테스트버튼부(75)의 하단에 접촉되어 하측으로 연동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의 하면이 상기 테스트핀(73)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스위칭부(20)와 상기 누전감지부(71)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테스트버튼부(75)의 하향 가압에 의한 상기 테스트플레이트(74)와 상기 테스트핀(73) 간의 전기적 연결시 폐회로가된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가 후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는 상기 크로스바(30)를 가압하는 상기 래치부(50)가 상기 경사단턱(41)과 이격되기 위해 상기 트립부(40)를 연동 후퇴시키도록 상기 트립부(40)의 걸림홈부에 걸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는 전원 차단시 상기 솔레노이드(7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는 전원 공급시 상기 솔레노이드(72)의 내부로 수축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72a)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단턱은 상기 트립부(40)의 전면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립부(40)의 걸림홈부에 걸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72)의 플런저(72a)는 전원 공급시 상기 솔레노이드(72)의 내측으로 수축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플런저(72a)에 걸림 연결된 상기 트립부(40)가 순간적으로 후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50)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41)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래치부(50)를 가압 지지하던 구속력이 상실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로스바(30)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제거되며, 상기 자화대면부가 탄발 복원되어 펼쳐지면서 상기 가동접점부(25)와 상기 고정접점부(213)가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 전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에는 전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하향 연장되는 전원측통전부(21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21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전측에는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이 삽입되도록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내면 윤곽으로 전원측삽입홈(21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 후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후측에는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이 삽입되도록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내면 윤곽으로 부하측삽입홈(215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의 후측에는 부하측 외부전선(미도시)이 삽입되도록 부하측연통홀(219a)이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부하측연통홀(219a)에 대향되는 커버부(219)에도 개구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의 상측에 대향되는 커버부(219)에는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에 삽입된 부하측 외부전선(미도시)을 고정하는 나사가 관통 삽입되어 및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에 체결되도록 부하측나사삽입홀(219b)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은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에 형성되는 제2클립부(2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210)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에는 전단으로부터 일체로 절곡지게 하향 연장되는 연장측통전부(29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의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2관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에 형성되는 상기 제2관통공의 형상은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에 형성되는 상기 제1관통공(211b)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 및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은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 후측에 각각 배치되되 상호간 단차지게 구획 이격되어 상호간 전기적으로 단락 및 차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0)의 후단부에는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보다 후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과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이 삽입되도록 연장측삽입홈(215c)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의 후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과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의 상기 하우징부(210)의 후단부에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은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의 외면 윤곽에 대응되는 내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 및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은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전원측 외부전선(미도시) 및 부하측 외부전선(미도시)이 상호간 단락되기 위한 여유단차를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간 전후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호 인접하게 나란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이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보다 하측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이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보다 후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 및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부(210)의 후측이 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은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은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이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보다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에는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향 돌설되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부하측삽입홈(215b)이 상기 융기부의 상면으로부터 하향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의 후측에는 전원측 외부전선(미도시)이 삽입되도록 전원측연통홀(218a)이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219)의 후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하단이 상기 전원측연통홀(218a)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연통홀(218a)과 부하측연통홀(219a)이 상호간 상기 커버부(219)의 단차진 후측부에 의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의 상측에 대향되는 커버부(219)에는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에 삽입된 전원측 외부전선(미도시)을 고정하는 나사가 관통 삽입되어 및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에 체결되도록 전원측나사삽입홀(218b)이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연통홀(218a) 및 상기 부하측연통홀(219a)은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여유단차를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간 전후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호 인접하게 나란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측나사삽입홀(218b) 및 상기 부하측연통홀(219a)은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여유단차를 두고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간 전후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호 인접하게 나란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롱클립콘덕터(280)는 전도성 금속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 하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단에 굴곡지게 형성된 제1클립부(281)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상기 제2클립부(282)가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는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 및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에 인접한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단이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보다 더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제1클립부(281)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후단이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제2클립부(282)가 상향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는 폭방향 중앙부(281a,282a)와 더불어 폭방향 양측부(281b,281c,282b,282c)가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상호 이격 분리되며 각각 상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 상향 연장되는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의 폭방향 중앙부(281a,282a) 및 폭방향 양측부(281b,281c,282b,282c)의 각 폭은 상호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는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 및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관통공(211b)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향하여 볼록하게 굴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관통공(211b) 및 상기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클립부(281)의 폭방향 중앙부(281a)가 상기 전원측통전부(211a)의 전면에 대향되되, 상기 제1클립부(281)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관통공(211b)을 향하여 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관통공(211b)에 삽입되어 탄성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클립부(282)의 폭방향 중앙부(282a)가 상기 연장측통전부(291a)의 후면에 대향되되, 상기 제2클립부(282)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2관통공을 향하여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되어 탄성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양측부(281b,281c,282b,282c)는 상기 하우징부(210)의 내부 벽면에 각각 가압되어 지지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클립부(281) 및 상기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클립부(281)의 폭방향 양측부(281b,281c)가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클립부(282)의 폭방향 양측부(282b,282c)가 상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과 상기 부하출력터미널(212) 간의 간격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과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롱클립콘덕터(280)가 관통 삽입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삽입공간(215d)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롱클립콘덕터(280)가 상기 삽입공간(215d)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롱클립콘덕터(280)는 상기 가동스위칭부(20), 상기 크로스바(30), 상기 트립부(40) 및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의 각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된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롱클립콘덕터(280)는 상기 가동스위칭부(20), 상기 크로스바(30), 상기 트립부(40) 및 상기 누전감지차단부(70)와 전기적으로 단락 및 구획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5d)은 상기 전원측삽입홈(215a)과 상기 연장측삽입홈(215c)에 각각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롱클립콘덕터(280)는 상기 삽입공간(215d)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클립부(281)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클립부(282)가 상기 연장입력터미널(2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지지돌기(283)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하향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개구홀(283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지지돌기(283)는 각 상기 개구홀(283a)의 전후방향 일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일체로 하향 연장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210)는 하부가 개구되되, 하측으로 개구된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절연재질의 백커버부(217)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백커버부(217)는 상기 삽입공간(215d)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부(210)의 하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지지돌기(283)의 하단은 상기 백커버부(217)의 상면에 접촉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지지돌기(283)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롱클립콘덕터(280)의 전후방향 중앙부와 상기 백커버부(217)의 상면 간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300)는, 하우징부(21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된 전원입력터미널(211)과 연장입력터미널(290)이 롱클립콘덕터(280)를 매개로 전선 연결되어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전선(미도시)의 삽입영역이 하우징부(210)의 후방부에 상호간 인접하게 나란히 집중되며 삽입방향이 통일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전선(미도시)의 삽입방향이 같은 방향으로 통일되므로 가로등점멸기 내부와 같은 협소공간에 배치시에도 외부전선(미도시)이 차지하는 부피가 현저히 감소되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요구되는 전선 길이가 감소되어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210)의 후측에 부하출력터미널(212)과 연장입력터미널(290)이 여유단차를 두고 나란히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이격되어, 각 외부전선(미도시)이 노후화되어 피복이 벗겨진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각 외부전선(미도시) 간의 합선에 의한 안전사고가 구조적으로 예방되므로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부(210)의 후측에 형성되는 부하측삽입홈(215b)의 후측으로 배치되되 부하측삽입홈(215b)과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의 하우징부(210)의 후단부에 연장측삽입홈(215c)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하출력터미널(212)과 연장입력터미널(290)이 부하측삽입홈(215b)과 연장측삽입홈(215c)에 삽입되는 것만으로 안전한 전선삽입구조로 간편하게 조립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210)의 하부 내측에 전원측삽입홈(215a)과 연장측삽입홈(215c)에 연통되는 삽입공간(215d)에 롱클립콘덕터(280)가 배치되어 가동스위칭부(20), 크로스바(30), 트립부(40) 및 누전감지차단부와 전기적으로 구획되며 전원입력터미널(211)과 연장입력터미널(29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합선에 의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입력터미널(211) 및 연장입력터미널(290)의 각 전단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절곡지게 하향 연장되는 전원측통전부(211a) 및 연장측통전부(291a)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211b) 및 제2관통공에 볼록하게 굴곡 형성된 롱클립콘덕터(280)의 제1클립부(281) 및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가 탄성 걸림 결합되는 간편한 조립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갈수록 제1관통공(211b) 및 제2관통공을 각각 향하여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는 제1클립부(281) 및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가 제1관통공(211b) 및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됨과 동시에, 제1클립부(281) 및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양측부(281b,281c,282b,282c)가 폭방향 중앙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하우징부(210)의 내부 벽면에 각각 가압 지지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롱클립콘덕터(280)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지지돌기(283)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하향 연장되어, 각 지지돌기(283)의 하단이 하우징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백커버부(217)에 접촉 지지되므로 제1클립부(281) 및 제2클립부(282)의 각 폭방향 중앙부(281a,282a)가 제1관통공(211b) 및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된 전기적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측으로 개구된 하우징부(210)의 하부를 커버하는 절연재질의 백커버부(217)가 착탈식으로 하우징부(210)에 결합되어 롱클립콘덕터(280)의 노후화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00: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210: 하우징부 20: 가동스위칭부
30: 크로스바 40: 트립부
50: 래치부 60: 핸들부
70: 누전감지차단부 280: 롱클립콘덕터
290: 연장입력터미널

Claims (5)

  1. 전측에 전원입력터미널이 구비되고 후측에 부하출력터미널이 상기 전원입력터미널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과 상기 부하출력터미널 사이에 선택적인 전원 연결을 위해 배치되며, 전단부에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이 접점 연결되되 선택적으로 이격되도록 상측으로의 탄발복원력을 제공하는 연결판부가 구비된 가동스위칭부;
    일측에 상기 연결판부의 전단측이 가로지르도록 개구된 경유부가 형성되되 하단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통해 상측으로 탄발 지지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후면측에 대향 배치되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전후 회동되되 전면부에 경사단턱이 전향 돌설된 트립부;
    전단부가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 대면 배치되되 후단부가 상기 경사단턱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크로스바를 하향 가압하는 래치부;
    상기 하우징부에 전후 회동 조작되도록 결합되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부를 하향 가압하도록 승강 이동되는 가압부재가 하단부에 연결된 핸들부;
    상기 가동스위칭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트립부에 걸림 연결된 플런저가 구비된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누전감지차단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하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전단에 굴곡지게 형성된 제1클립부가 상기 전원입력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에 제2클립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롱클립콘덕터; 및
    상기 제2클립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후측에 배치되되 상기 부하출력터미널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이격되는 연장입력터미널을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후측에는 상기 부하출력터미널이 삽입되도록 부하측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부하측삽입홈보다 후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부하측삽입홈과 상하방향으로 단차진 위치에 상기 연장입력터미널이 삽입되도록 연장측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전원입력터미널 및 상기 연장입력터미널에는 전단으로부터 각각 일체로 절곡지게 하향 연장되되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전원측통전부 및 연장측통전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중앙부는 상기 전원측통전부 및 상기 연장측통전부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대향 배치되되,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에 각각 탄성 걸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을 향하여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고,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각 폭방향 양측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벽면에 각각 가압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방향 중앙부와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굴곡 형성되되,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는 각 폭방향 중앙부와 더불어 각 폭방향 양측부가 상기 롱클립콘덕터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상호 이격 분리되며 각각 상향 연장되며, 각각 상향 연장되는 상기 제1클립부 및 상기 제2클립부의 폭방향 중앙부 및 폭방향 양측부의 각 폭은 상호 동일하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롱클립콘덕터가 관통 삽입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삽입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하우징부의 전측에 함몰 형성된 전원측삽입홈과 상기 연장측삽입홈에 각각 연통되고,
    상기 롱클립콘덕터는 상기 삽입공간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가 개구되되, 하측으로 개구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를 커버하는 절연재질의 백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롱클립콘덕터의 전후방향 중앙부에는 지지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며 복수개소 하향 연장되고, 각 상기 지지돌기의 하단은 상기 백커버부의 상면에 접촉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20210048354A 2021-04-14 2021-04-14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227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54A KR102277163B1 (ko) 2021-04-14 2021-04-14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354A KR102277163B1 (ko) 2021-04-14 2021-04-14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163B1 true KR102277163B1 (ko) 2021-07-14

Family

ID=76863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354A KR102277163B1 (ko) 2021-04-14 2021-04-14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043B1 (ko) 2022-12-07 2024-06-10 이병현 누전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에 구비되는 pcb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JP2007123272A (ja) * 2005-10-24 2007-05-17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電気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10706A (ja) * 2015-06-19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17016790A (ja) * 2015-06-29 2017-01-19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切替開閉器
KR102088928B1 (ko) * 2019-11-12 2020-03-13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순시콘텍형 차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427Y1 (ko) 2003-11-18 2004-02-11 신동아전기(주) 누전차단기
JP2007123272A (ja) * 2005-10-24 2007-05-17 Tyco Electronics Austria Gmbh 電気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10706A (ja) * 2015-06-19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JP2017016790A (ja) * 2015-06-29 2017-01-19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切替開閉器
KR102088928B1 (ko) * 2019-11-12 2020-03-13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순시콘텍형 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043B1 (ko) 2022-12-07 2024-06-10 이병현 누전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에 구비되는 pcb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32319A (ja) 回路遮断器
KR102124797B1 (ko) 절곡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277163B1 (ko) 롱클립콘덕터를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2287486B1 (ko) 회로기판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KR102277161B1 (ko) 연장전선을 이용한 전원측 부하측 일체형 누전차단기
KR910008011B1 (ko) 회로차단기의 과전류 트립장치
US4816961A (en) Electrical switch, in particular for the control of cap outfits and fittings
KR102124799B1 (ko) 열팽창 스프링형 온도감지 차단기
EP0488203B1 (en) Electrical equipment to be coupled to printed circuit board
KR20220015240A (ko) Pcb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누전 차단기
JP4856518B2 (ja) 回路遮断器
JP4921931B2 (ja) 回路遮断器
KR102261866B1 (ko) 서클클립형 거꾸로 접속가능한 누전차단기
KR102135899B1 (ko) 트립부 가압형 온도감지 차단기
CN213752603U (zh) 一种漏电保护插座的脱扣装置
KR102124796B1 (ko) 평판형 온도감지 차단기
CN220234240U (zh) 具有充电输出功能的漏电保护装置
CN112768321A (zh) 一种漏电保护插座的脱扣装置
US2767281A (en) Thermal over-current circuit-breaker
CN217306339U (zh) 一种微动开关
CN111883393B (zh) 一种开关装置的附件组件
CN211654632U (zh) 具有过流保护功能的墙壁开关
KR100425188B1 (ko)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섭동구조
KR101102691B1 (ko) 회로 차단기
JP3357168B2 (ja) 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