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233B1 -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233B1
KR102276233B1 KR1020190153369A KR20190153369A KR102276233B1 KR 102276233 B1 KR102276233 B1 KR 102276233B1 KR 1020190153369 A KR1020190153369 A KR 1020190153369A KR 20190153369 A KR20190153369 A KR 20190153369A KR 102276233 B1 KR102276233 B1 KR 102276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rrosion
less
copp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198A (ko
Inventor
이병호
조민호
홍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PCT/KR2019/01649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11782A1/ko
Priority to CN201980079007.8A priority patent/CN113166889A/zh
Priority to JP2021531263A priority patent/JP7324844B2/ja
Publication of KR2020006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되, 텅스텐(W)을 단독으로 0.45%이하(0%를 제외함)로 포함하거나,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강판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A STEEL SHEET HAVING CORROSION RESISTANCE IN A LOW CONCENTRATION SULFURIC/HYDROCHLORIC ACID CONDENSATION ATMOSPHE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석연료 연소 후 배가스에 존재하는 SOx, Cl 등이 배가스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하락함에 따라 발생하는 저농도의 황산/염산 복합 응축수로 인해 강판이 부식되는 현상에 대한 부식 저항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에는 S, Cl 등 다양한 불순 원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를 하고 연소 가스가 지나가는 통로인 배관 및 설비에는 부식으로 인해 열화되는 문제가 항상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부식 현상을 응축수 부식이라고 부르는데, 대표적인 사용처가 화력발전소 배가스 배관 및 환경설비, 자동차 배기계 등이다. 응축 부식의 종류로는 배가스에 포함된 S가 연소됨에 따라 SOx가 형성되게 되고, 특히 SO3가 배가스 중 수분과 만나 황산을 형성하는 황산 응축, 또한 배가스 내 혹은 산업용수에 포함된 염소가 다양한 반응을 통해 염산이 생성되는 염산 응축, 이러한 황산과 염산이 복합적으로 섞여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황산/염산 복합 응축 등이 있다. 이러한 산 응축의 시작 온도는 배가스 내 SOx, Cl의 함량과 수증기 함량과 관계가 있다.
최근 발전소 등의 사용처에서 발전 효율 또는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활용하고자 하여 배가스 온도를 낮추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황산이 응축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배가스 온도가 하락하게 되면 배가스 중 형성된 황산 가스가 액화되어 강재 표면에 응축되어 부식을 일으키는 양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염산이 응축될 수 있는 온도로 배가스 온도가 하락하게 되면 황산과 염산이 복합적으로 응축되는 복합 부식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나 배가스 온도가 물의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강재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의 농도가 기존 수십%에서 수% 이하로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의 일례로, Duplex계 STS강 등의 고합금계 고내식강을 이용한다거나 배가스 온도를 상승하는 방법이 있겠지만, 이는 설비의 고비용화와 발전 효율의 하락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내황산응축부식강 이라고 알려진 Cu첨가 내식강을 사용하게 되면 고농도의 황산 혹은 황산/염산 복합 응축이 형성되는 환경에서는 강 표면에 생성된 Cu 농화층이 이러한 산 응축에 대한 내식성을 발휘하여 부식을 억제하는 부식 억제층을 형성하게 되며, 일반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설비 수명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배가스가 물의 이슬점 이하로 저온화하고 부식 환경이 복잡해질수록 기존 내황산응축부식강의 내식 특성을 저하시켜 보다 성능이 뛰어난 내식강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며, 기존 내황산강이나 고합금 STS강으로는 복합적이고, 가혹한 내식 환경에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석연료 연소 후 배가스에 존재하는 SOx, Cl 등이 배가스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하락함에 따라 발생하는 저농도의 황산/염산 복합 응축수로 인해 강판이 부식되는 현상에 대한 부식 저항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 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강판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강판은, 크롬(Cr): 8 중량% 이하, 실리콘(Si): 0.5% 이하, 알루미늄(Al): 0.05% 이하 및 니켈(Ni): 0.3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 에서 80℃, 6시간 침지할 시, 강판의 표면에 농화층 및 부식층이 생성될 수 있다.
농화층 내부에는 Cu, Sb, Sn, W, C 등의 원소가 하나 이상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각 원소별로는, 중량%로, C: 10.0% 이하, Sb: 1.0 내지 20.0%, Sn: 1.0 내지 20.0%를 포함하고, W 및 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2.0 내지 10.0% 포함할 수 있다.
농화층은 10nm내지 500n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식층은 O를 5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식층은 0.01㎛ 내지 1㎛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강판은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2]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5.3
이 때,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낸다.
강판은,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100
이 때,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28.5 중량%의 황산 및 0.52중량%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6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내고,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낸다.
강판은, 강판의 모서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평균길이가 5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 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1,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슬라브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슬라브는 크롬(Cr): 8 중량% 이하, 실리콘(Si): 0.5% 이하, 알루미늄(Al): 0.05% 이하 및 니켈(Ni): 0.3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는 1,000 내지 1,30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마무리 압연 온도는 750℃ 이상일 수 있다.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는 550 내지 7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 이후, 권취된 열연 강판을 산세하는 단계; 산세된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냉연 강판을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연 강판은 두께가 3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화석 연료의 연소 후 배가스가 지나가는 배관, 화석연료 연소 설비용 열간 압연 제품류 및 냉간 압연 제품류의 원소재로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발명예 7에서 고농도 황산/염산 복합환경에서 침지한 이후 원소 분포를 두께 방향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2는 발명예 7에서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환경에서 침지한 이후 원소 분포를 두께 방향으로 관찰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는 중량%를 의미하며, 1ppm 은 0.0001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추가 원소를 더 포함하는 것의 의미는 추가 원소의 추가량 만큼 잔부인 철(Fe)을 대체하여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판이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부식환경에 처했을 경우 강중 함유된 원소의 종류와 함량, 그리고 복합 관계에 따라 생성되는 부식 생성물에 의해 추가적인 부식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이 때, 강 중에 Sb, Sn, W, Cu, Mo 등의 원소를 적정량 첨가하게 되면, 특히 저농도 응축수 부식 환경에서의 내식성을 동시에 크게 향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응축수 부식 환경에서 설비의 내부식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저탄소 강판이 황산 혹은 황산/염산 복합 응축환경에 놓이게 되면 강 중의 Fe가 Fe이온으로 용해되고, 수용액 내에서 해리된 후 다시 강 표면이 SO4 2-, Cl-등과 만나 용해되는 지속적인 반응에 의해 강판이 부식되어 두께 및 무게 감량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Fe보다 반응성이 낮은 금속인 Cu, Sb, Sn, W, Mo 등을 적정량 포함하면 침지 부식 이후 강판 표면에 산 수용액에서도 안정한 부식 생성물을 형성하게 되어 추가적인 부식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다.
다만, 각각 1wt% 이하의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수 부식 환경에 처하는 경우에는 강중 특정 원소인 Cu, Mo 등은 표면에 생성된 부식 생성물이 쉽게 응축 환경에서 소실되는 특성이 있어 오히려 내식 특성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Cu, Mo 등의 내식 원소를 활용하기 보다는 강 표면에 농화되는 Sb, Sn, W 과 같은 원소를 적절히 활용하면 오히려 강산 환경과 저농도 복합산 환경에서 동시에 내식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저탄소 강판에 부식 반응 시 특정 원소를 첨가하게 되면 강재와 부식 생성물의 사이에 생성되는 내식원소 함유 내식층을 치밀하게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조된 강판이 특히 황산/염산이 각각 1wt% 이하가 되는 저농도의 복합산 침지 부식 환경에서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 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강판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먼저, 강판의 성분을 한정한 이유를 설명한다.
탄소(C): 0.15 중량% 이하
저탄소 강판의 탄소 함량은 0.1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강 중 탄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강 내에 국부적인 부식을 일으키는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등의 탄화물을 포함하는 상이 형성되어 내식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0.10 중량%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0.05 내지 0.08 중량%일 수 있다.
망간(Mn): 0.5 내지 1.5 중량%
Mn은 고용강화에 의한 강의 강도 향상과 경화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다만 너무 많이 첨가될 경우, 중심 편석 혹은 미소 편석 등의 편석이 심해지게 되고 제품의 산화물의 형성으로 제품 표면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Mn을 너무 적게 포함하게 되면, 고용 강화 효과가 저하되어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1.2 중량%일 수 있다.
안티몬(Sb): 0.05 내지 0.20 중량%
Sb은 표면에 안정한 농화층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한다. Sb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농화층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너무 많을 경우에는 표면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15 중량%일 수 있다.
주석(Sn): 0.03 내지 0.45 중량%
Sn은 부식 후 강재 표면과 부식 생성물 사이에 농화층을 형성하는 원소이다. 또한 더 나아가 부식 생성물의 극 표면에 형성되어 추가적인 부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Sn이 너무 적게 포함될 경우, 충분한 농화층을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Sn이 너무 많이 첨가될 경우에는 제조 시 슬라브 크랙을 유발하고, 열간 압연 시 엣지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5 내지 0.2 중량%일 수 있다.
텅스텐(W) 및 구리(Cu) 중 1종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원소 외에 내식 특성에 도움을 주는 텅스텐(W) 및 구리(Cu)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Cu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W 및 Cu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W 및 Cu의 함량으로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 나머지 원소는 불순물 수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텅스텐(W): 0.45 중량% 이하
W은 부식 시 강재 표면과 부식 생성물 사이에 매우 작은 농도로 농화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형성된 비정질층과 부식생성물의 치밀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W의 함량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W에 의한 WC의 형성으로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5 내지 0.3 중량% 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0.07 내지 0.15 중량%일 수 있다.
구리(Cu): 단독 포함 시, 0.005 내지 0.05 중량%
Cu는 산 침지 환경에서 부식될 경우, 강재 표면과 부식 생성물 사이에 농화되어 추가적인 부식을 막아주는 원소이다. 또한, Cu는 황산/염산 복합 환경에서 강재 표면과 부식 생성물 사이에 농화층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부식을 막아주는 원소이다. Cu가 너무 많이 첨가될 경우 Cu의 낮은 융점으로 인해 제조 시 크랙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너무 많이 첨가될 경우 저농도 내식성을 획기적으로 떨어트리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05 내지 0.02 중량%일 수 있다.
W 및 Cu 동시 포함 시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중량%
전술하였듯이, W 및 Cu는 강재 표면과 부식 생성물 사이에 농화되는 원소로서 이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이 둘을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W 및 Cu가 너무 적게 포함될 경우, 내식성 효과를 적절히 얻지 못할 수 있다. 반대로 W 및 Cu가 너무 많이 포함될 경우, 결함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W 및 Cu 동시 포함 시 그 합량으로 0.01 내지 0.35 중량%일 수 있다.
강판은, 크롬(Cr): 8 중량% 이하, 실리콘(Si): 0.5% 이하, 알루미늄(Al): 0.05% 이하 및 니켈(Ni): 0.3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롬(Cr): 8 중량% 이하
Cr은 일반 스테인리스 강에서는 많은 함량이 필요하나, 강산 환경 침지에서는 피막 에서 Cr2+로 산화되기 때문에, 오히려 내식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5 중량%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0.001 내지 1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Si) : 0.5 중량% 이하
Si은 Si산화물의 형성으로 인해 적Scale 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인한 표면 결함을 형성할 수 있어 0.5 중량%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알루미늄(Al) : 0.05 중량% 이하
Al도 탈산을 위한 중요한 원소이지만, Al산화물을 형성하여 표면 특성을 열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0.05 중량% 이하로 한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0.0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니켈(Ni) : 0.3 중량% 이하
Ni은 Cu의 LME 우려로 첨가로 인해 0.3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0.005 내지 0.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불가피한 불순물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성분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첨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경우, 잔부인 Fe를 대체하여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강판은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강판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식 1 즉, Sn, Sb, W의 첨가량에 비해 Cu가 다량 첨가될 경우, 저농도 환경에서는 Cu가 표면에 지속 농화되어 농도가 증가하여 내식성을 부가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오히려 일정 농도 이상에서는 지속적으로 용출되어 내식성을 저하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어,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부식환경에서의 내식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식 1의 좌변은 0.70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Sb, Sn, W, Cu 등은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부식환경에서 농화층을 형성하며, 이는 추가적인 부식을 억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 에서 80℃, 6시간 침지할 시, 강판의 표면에 농화층 및 부식층이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재가 산에 침지할 시, Fe가 이온화되어 수용액 중에 해리되는데 반해 산용액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원소인 Cu, Sb, Sn, W 등은 이온화되지 않고 표면부에 농화되어 상대적인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형성되며, 이것을 농화층이라고 부른다.
농화층은 중량%로, C: 10.0% 이하, Sb: 1.0 내지 20.0%, Sn: 1.0 내지 20.0%를 포함하고, W 및 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C: 10.0% 이하, Sb: 2.0 내지 15.0%, Sn: 2.0 내지 10.0%를 포함하고, W 및 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2.0 내지 7.0%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농화층이 강판 기재에 비해 높은 농도의 Sb, Sn, W, Cu가 포함되고, 이들은 Fe 등에 비해 산 환경에서의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쉽게 이온화되지 않아, 산 환경에서 강의 해리를 방지하여 부식을 지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농화층의 합금 조성은 농화층 전체 두께에 대한 평균 합금 조성을 의미한다.
농화층은 10 내지 500n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농화층의 두께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 에서 80℃, 6시간 침지 반응 후 표면을 GDS 측정하여 두께 방향으로의 원소 구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Fe 및 O의 함량이 동일한 부분에서부터 Sb, Sn, W, Cu의 합이 3중량% 이상인 경우를 농화층이라고 정의한다.
농화층이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전술한 부식 방지 역할을 하기 어렵다. 농화층이 너무 두껍게 형성될 경우, 농화층 내부의 원소들이 조대한 결정화되어 농화층 내부에 결함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농화층은 10 내지 30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식층은 이러한 농화층과 함께 Fe산화물을 다량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Fe산화물은 FexOy의 일반 산화물과 함께 FeO(OH)의 수산화물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부식층은 강판 표면에서부터 O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부식층은 농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부식층은 0.01 내지 1㎛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식층은 강판이 부식 환경에 처했을 경우, 강 표면부에 형성되는 부식 현상의 결과물을 일컫는다. 부식생성물 중에 강판의 계면에 바로 형성되는 것들을 농화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Fe보다 귀한 (Noble) 원소들이 비정질, Nano Crystal, 결정화 하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부식층은 표면에서부터 O의 함량이 5중량% 이상인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전술한 합금 성분에 의해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식 2]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5.3
이 때,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전술한 합금 성분에 의해 고농도 및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100
이 때,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28.5중량%의 황산 및 0.52 중량%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6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내고,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식 3의 상한 값은 6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은, 전술한 합금 성분에 의해 생산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강판의 모서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평균 길이가 5mm 이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크랙의 평균 길이가 3 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식성 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되, 텅스텐(W)을 단독으로 0.45%이하로 포함하거나,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슬라브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조성을 만족하는 슬라브를 가열한다. 슬라브 내의 각 조성의 첨가 비율을 한정한 이유는 전술한 강판의 조성 한정 이유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할 열간압연, 권취, 산세, 냉간압연, 소둔 등의 제조 과정에서 슬라브의 조성은 실질적으로 변동되지 아니하므로, 슬라브의 조성과 최종 제조된 내식성 강판의 조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슬라브를 가열함으로써 후속되는 열간압연 공정을 원활히 수행하고, 슬라브를 균질화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은 재가열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슬라브 가열 온도는 1,000 내지 1,300 ℃일 수 있다. 슬라브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석출물이 재용해되어 열간압연 이후 미세하게 석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는, 1,100 내지 1,250 ℃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한다. 열간 압연의 마무리 압연 온도는 750℃ 이상일 수 있다. 마무리 압연 온도가 너무 낮으면 압연 중 조직의 상이 오스테나이트와 페라이트가 공존하는 이상역에서 압연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위치별로 상이한 압연 하중으로 인해 열간압연재의 crack을 야기할 수 있다. 열연판 두께는 1.5 내지 20.0 mm일 수 있다.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는, 550 내지 750 ℃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권취 온도가 너무 낮으면 강재의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추후 가공이나 냉간압연이 어려울 수 있으며, 너무 높으면 열연 권취 후 코일의 좌굴 등 문제가 일어날 수 있어 권취 온도는 상기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 제품의 결정립 크기를 제어함에 따라 다양한 레벨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후, 권취된 열연 강판을 산세하는 단계; 산세된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냉연 강판을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연판을 산세하고 소정의 판두께가 되도록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한다. 열연 강판 두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나, 70 내지 95%의 압하율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냉연 강판은 두께가 3mm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정리된 합금 성분 및 잔부로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제조하였다. 강의 제조 조건은 슬라브를 1250℃ 에서 60분간 가열한 뒤 2.0mm 두께로 열간 압연하여, 열연판을 제조하였다. 마무리 압연 온도는 900℃이고, 권취는 650℃에서 수행하였다.
(중량%) C Mn Sb Sn W Cu 식 1
발명예 1 0.07 1 0.1 0.1 - 0.011 0.778
발명예 2 0.15 1 0.1 0.1 - 0.011 0.778
발명예 4 0.07 0.58 0.1 0.1 - 0.011 0.778
발명예 5 0.07 1.3 0.1 0.1 - 0.011 0.778
발명예 6 0.07 1 0.07 0.15 - 0.011 0.778
발명예 7 0.07 1 0.18 0.1 - 0.011 1.178
발명예 8 0.07 1 0.1 0.4 - 0.011 1.678
발명예 9 0.07 1 0.12 0.07 - 0.011 0.788
발명예 10 0.07 1 0.1 0.1 0.42 0.011 0.778
발명예 11 0.07 1 0.1 0.1 - 0.045 0.71
발명예 12 0.07 1 0.1 0.1 0.3 0.011 0.778
비교예 1 0.16 1 0.1 0.1 0.05 0.01 0.78
비교예 3 0.07 1.6 0.1 0.1 0.1 0.01 0.78
비교예 4 0.07 1 0.04 0.05 0.1 0.01 0.33
비교예 5 0.07 1 0.22 0.05 0.1 0.01 1.23
비교예 6 0.07 1 0.1 0.02 - 0.011 0.538
비교예 7 0.07 1 0.1 0.5 - 0.011 1.978
비교예 8 0.07 1 0.1 0.1 0.5 0.011 0.778
비교예 9 0.07 1 0.1 0.1 - 0.06 0.68
비교예 10 0.07 1 0.1 0.1 0.21 0.31 0.18
비교예 11 0.07 1 0.07 0.1 - 0.011 0.628
제조한 열연 강판에 대하여 ASTM G31에 기재된 방법으로 침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침지 용액으로는 한국형 화력발전소의 저온 응축 용액을 모사하여, 28.5 중량% 황산 및 0.52중량% 염산을 포함하는 복합 수용액에서 60℃, 6시간 침지하는 방법(고농도 복합산 침지) 및 8,500 ppm 황산 및 2,400ppm 염산으로 혼합한 수용액을 제조하여 80℃에서 6시간 침지하는 방법(저농도 복합산 침지)으로 수행하였다. 침지 후 ASTM G1의 시험편 표면 세척 방법을 통해 세척 후 무게 감량을 측정하여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하였다.
제조한 강판에 대하여, 산 침지 전에 표면 결함 및 크랙 여부를 확인하였다.
강판 전체 길이 방향으로 발생한 전체 크랙에 대하여 TD방향으로 크랙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계 고농도 복합산 침지 후 무게 감량 저농도 복합산 침지 후 무게 감량 식 3 표면 결함 발생여부 크랙 평균 길이(mm)
(mg/(cm2×hr.)) (mg/(cm2×hr.))
발명예 1 17.2 3.3 56.76 X 0
발명예 2 20.3 3.5 71.05 X 0
발명예 4 18 3.9 70.2 X 0
발명예 5 19.2 3.8 72.96 X 0
발명예 6 22 4 88 X 0
발명예 7 15.4 3 46.2 X 0
발명예 8 20 2.5 50 O 3
발명예 9 22.5 4 90 X 0
발명예 10 19.5 1.2 23.4 O 3
발명예 11 18.3 5.3 96.99 X 0
발명예 12 20 2.6 52 X 0
비교예 1 24.5 5.5 134.75 O 7
비교예 3 20.5 3.6 73.8 O 8
비교예 4 54.5 25 1362.5 X 0
비교예 5 18 3 54 O 10
비교예 6 48.5 8.5 412.25 X 0
비교예 7 19 4 76 O 12
비교예 8 22 5 110 O 11
비교예 9 25 22 550 O 10
비교예 10 18 45 810 O 10
비교예 11 25 5 125 X 0
표 2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금 조성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는 고농도 복합산 및 저농도 복합산 환경에서 모두 내식성이 우수하고, 아울러 크랙이 적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3, 4, 6 내지 10은 내식성, 특히 저농도 복합산 환경에서의 내식성이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 및 5는 내식성이 발명예와 대등한 수준이나, 비교예 2는 Sn이 다량 포함되어, 비교예 5는 W 및 Cu가 다량 포함되어 표면 결함 및 크랙이 발생하였다.
저농도 복합산 침지 이후, 강판 표면에 형성된 농화층 및 부식층을 분석하였다. 농화층은 Fe 및 O의 함량이 동일한 부분에서부터 Sb, Cu, W, Sn 등의 내식원소가 총 합의 3 중량% 이상을 기준으로, 부식층은 표면에서부터 산소의 농도가 5 중량% 이상인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소재 농화층 내 Sb
(중량%)
농화층 내 Sn(중량%) 농화층 내 W(중량%) 농화층 내 Cu(중량%) 농화층 두께(nm) 부식층 두께(㎛)
발명예 1 4 2 - 0.55 52.4 0.873
발명예 2 4.1 2 - 0.55 53.2 0.887
발명예 4 4.3 2 - 0.55 54.8 0.913
발명예 5 4.4 2 - 0.55 55.6 0.927
발명예 6 2.8 3 - 0.55 50.8 0.847
발명예 7 11 2 - 0.55 108.4 0.903
발명예 8 4.2 8 - 0.55 102 0.850
발명예 9 6 1.4 - 0.55 63.6 0.578
발명예 10 4 2 4.2 0.55 86 0.717
발명예 11 4 2 - 2.25 66 0.600
발명예 12 4 2 3 0.55 76.4 0.695
비교예 1 4 2 0.5 0.5 56 0.933
비교예 3 4 2 1 0.5 60 1.034
비교예 4 1 1 1 0.5 28 0.467
비교예 5 12.5 1 1 0.5 120 2.000
비교예 6 4.2 0.4 - 0.55 41.2 0.687
비교예 7 4.2 10 - 0.55 118 1.967
비교예 8 4.2 2 5 0.55 94 1.567
비교예 9 4.2 2 - 3 73.6 1.227
비교예 10 4.3 2 2.1 15.5 191.2 3.187
비교예 11 2.9 2 - 0.55 43.6 0.727
표 3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금 조성을 만족하는 발명에는 농화층이 적절히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농화층의 형성에 있어, 강 중 Cu, W 등은 고농도 복합산 침지 환경에서도 농화층을 형성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보이지만, Cu의 경우, 저농도 복합산 분위기에 처해질수록 오히려 내식성을 저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는 저농도 황산에서도 일부 부식 생성물층을 치밀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내식성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원소로 확인된다.
도 1 및 도 2는 발명예 7을 이용하여 고농도 황산/염산 복합산과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산 침지 후 24 시간이 지난 후 표면의 원소 분포를 GDS로 측정한 것이다. 농도가 높을수록 Cu의 농화층이 증가하나, 이는 저농도 산에서는 내식성을 열위시키는 요인이 되며, 저농도 산에서 Cu 농화층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를 보면 Fe산화물의 형성으로 산소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계면부로부터 내식 원소들이 농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Cu, Sb, W 등의 원소는 그 농화량이 Fe와 O의 절대 농도가 같아지는 두께 부근에서 최대치를 보이는 데 반해 Sn은 극표면부에 농화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내식성 강판.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강판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크롬(Cr): 8 중량% 이하, 실리콘(Si): 0.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5 중량% 이하 및 니켈(Ni): 0.3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
  3. 제1항에 있어서,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 에서 80℃, 6시간 침지할 시, 강판의 표면에 농화층 및 부식층이 생성되는 내식성 강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화층은 중량%로, C: 10.0% 이하, Sb: 1.0 내지 20.0% Sn: 1.0 내지 20.0%를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2.0 내지 10.0%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화층은 두께가 10nm 내지 500nm 인 내식성 강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층은 O를 5 중량% 이상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층은 두께가 0.01 내지 1㎛ 인 내식성 강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내식성 강판.
    [식 2]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5.3
    (이 때,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용액과 2,400ppm의 염산 용액을 혼합한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Хhr.))을 나타낸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내식성 강판.
    [식 3]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 ≤ 100
    (이 때, 고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28.5 중량%의 황산 및 0.52중량%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6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내고, 저농도 복합산 부식감량비는, 강판을 8,500ppm의 황산 및 2,400ppm의 염산을 포함하는 용액에서 80℃, 6시간 침지한 후, 단위 시간 당, 단위 표면적 당 무게 감량을 측정한 값(mg/(cm2×hr.))을 나타낸다.)
  10. 제1항에 있어서,
    강판의 모서리 부위에서 발생하는 크랙의 평균길이가 5mm 이하인 내식성 강판.
  11. 중량%로, 탄소(C): 0.15% 이하(0%를 제외함), 망간(Mn): 0.5 내지 1.5%, 안티몬(Sb): 0.05 내지 0.2% 및 주석(Sn): 0.03 내지 0.45% 을 포함하고, 텅스텐(W) 및 구리(Cu) 중, 구리(Cu)를 단독으로 0.005 내지 0.05% 포함하거나, 텅스텐(W) 및 구리(Cu)를 그 합량으로 0.005 내지 0.5% 포함하고,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식 1]
    5×[Sb] + 3×[Sn] + [W] - 2×[Cu] ≥ 0.70
    (식 1에서, [Sb], [Sn], [W] 및 [Cu]는 각각 슬라브 내의 Sb, Sn, W 및 Cu의 함량(중량%)을 나타낸다. 단, W 또는 Cu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W] 또는 [Cu]는 0을 나타낸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는 크롬(Cr): 8 중량% 이하, 실리콘(Si): 0.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05 중량% 이하, 및 니켈(Ni): 0.3 중량% 이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를 가열하는 단계는 1,000 내지 1,300℃에서 이루어지는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열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마무리 압연 온도는 750℃ 이상인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는 550 내지 750℃에서 이루어지는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강판을 권취하는 단계 이후,
    권취된 열연 강판을 산세하는 단계; 산세된 열연 강판을 냉간 압연하여 냉연 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냉연 강판을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냉연 강판은 두께가 3mm 이하인 내식성 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90153369A 2018-11-30 2019-11-26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76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6491 WO2020111782A1 (ko) 2018-11-30 2019-11-27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201980079007.8A CN113166889A (zh) 2018-11-30 2019-11-27 在低浓度硫酸/盐酸复合冷凝气氛下具有耐腐蚀性的钢板及其制备方法
JP2021531263A JP7324844B2 (ja) 2018-11-30 2019-11-27 低濃度硫酸/塩酸複合凝縮雰囲気で耐食性を有す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2981 2018-11-30
KR1020180152981 201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198A KR20200066198A (ko) 2020-06-09
KR102276233B1 true KR102276233B1 (ko) 2021-07-12

Family

ID=7108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69A KR102276233B1 (ko) 2018-11-30 2019-11-26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6233B1 (ko)
CN (1) CN11316688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235A (ja) 2003-02-28 2004-09-24 Nippon Steel Corp 空気予熱器伝熱エレメント用の耐硫酸露点腐食鋼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4377A (ja) 2006-02-24 2007-09-06 Jfe Steel Kk 耐酸腐食性に優れる鋼材
JP2007262558A (ja) 2006-03-30 2007-10-11 Jfe Steel Kk 耐塩酸性に優れる耐硫酸露点腐食鋼
JP2010150620A (ja) 2008-12-26 2010-07-08 Jfe Steel Corp 防食被覆鋼材
JP2018150602A (ja) * 2017-03-14 2018-09-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0847B2 (ja) * 2009-06-26 2015-07-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235A (ja) 2003-02-28 2004-09-24 Nippon Steel Corp 空気予熱器伝熱エレメント用の耐硫酸露点腐食鋼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24377A (ja) 2006-02-24 2007-09-06 Jfe Steel Kk 耐酸腐食性に優れる鋼材
JP2007262558A (ja) 2006-03-30 2007-10-11 Jfe Steel Kk 耐塩酸性に優れる耐硫酸露点腐食鋼
JP2010150620A (ja) 2008-12-26 2010-07-08 Jfe Steel Corp 防食被覆鋼材
JP2018150602A (ja) * 2017-03-14 2018-09-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6889A (zh) 2021-07-23
KR20200066198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6827B (zh) 耐酸露点腐蚀性得到改善的钢板及制造方法以及排气流路构成部件
JP4997808B2 (ja) 耐塩酸性に優れる耐硫酸露点腐食鋼
KR102254006B1 (ko) 황산 및 황산/염산 복합 응축 환경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7239095A (ja) 耐酸腐食鋼
KR20120112851A (ko) 탄화수소 연소 배기 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 환경에 있어서의 내식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KR20180027534A (ko) 황산 및 염산 복합내식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874A (ko) 황산 및 염산 복합내식성 및 용접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324844B2 (ja) 低濃度硫酸/塩酸複合凝縮雰囲気で耐食性を有す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33399B2 (ja) 硫酸および硫酸/塩酸の複合凝縮環境で耐食性を有する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7282B1 (ko) 응축수 부식 저항성을 갖는 내식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7815A (ko) 황산 및 염산 복합내식용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233B1 (ko) 저농도 황산/염산 복합 응축 분위기에서 내식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853B1 (ko)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9814B1 (ko) 내마모성과 복합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362B1 (ko) 내마모성과 복합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26323B1 (ko) 내마모성과 복합내식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708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연성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42807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저합금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507B1 (ko) 내황산 부식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KR101304637B1 (ko) 내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연성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87283B1 (ko) 응축수 부식 저항성을 갖는 내식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0544506B1 (ko) 내황산 부식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2178809B1 (ko) 내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2887A (ko) 내식성이 우수한 저합금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63154A (ko) 고내식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