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062B1 - 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062B1
KR102276062B1 KR1020190162603A KR20190162603A KR102276062B1 KR 102276062 B1 KR102276062 B1 KR 102276062B1 KR 1020190162603 A KR1020190162603 A KR 1020190162603A KR 20190162603 A KR20190162603 A KR 20190162603A KR 102276062 B1 KR102276062 B1 KR 10227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io
touch sensing
touch
driving curren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2778A (en
Inventor
박정민
염규태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ublication of KR2021004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an array of force sens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감지패널,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는 터치감지회로부,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가장자리의 바깥쪽에 배치된 베젤,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복수 개의 터치감지노드들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기초로, 상기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베젤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를 공개한다.`A touch sensing panel,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a bezel disposed along an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outside of the edge, and the touch sensing panel Discloses a user device including a bezel touch sens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touch input exists on the bezel based on the strength of a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 plurality of touch sensing nodes defined at the edge of the .

Description

저소비전력으로 프록시미티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용량식 터치감지기술을 이용하여 프록시미티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기술 및 이러한 기능을 저소비전력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detecting a user input to a user device, and includes a technique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using a capacitive touch sensing technique and a technique for providing such a func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도 1은 프록시미티(Proximity)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ximity phenomen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본 발명에서는, 전기장(Electric field)를 이용한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한다. 정전용량 터치스크린의 표면과 일정 거리(d) 안에 도달한 손가락 또는 도전물질을 터치 IC가 인식하는 현상을 프록시미티라 한다. 터치 IC는 프록시미티 현상을 얻기 위해 감지 채널에 더 큰 파워를 갖는 신호를 송/수신하고, 터치 인식 THD(임계값, threshold)와 별개의 프록시미티 THD를 사용하여 프록시미티 현상을 구분할 수 있다. 즉, SNR을 높이고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감지 채널에 제공하는 구동 에너지 신호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oximity phenomenon using an electric field is used. A phenomenon in which the touch IC recognizes a finger or a conductive material that has reached the surface of the capacitive touch screen within a certain distance (d) is called proximity. The touch IC transmits/receives a signal having greater power to a sensing channel to obtain the proximity phenomenon, and can distinguish the proximity phenomenon by using a touch recognition THD (threshold) and a separate proximity THD. That is, in order to increase the SNR and increase the sensitivity, the level of the driving energy signal provided to the sensing channel may be increased.

프록시미티 현상은, 터치입력기구(손가락)가 평면형의 터치입력패널의 표면에서 패널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터치입력패널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베젤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하, 터치입력기구가 터치입력패널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발생하는 프록시미티 현상에 의한 입력을 '호버 터치(hover touch)' 또는 '호버 입력'이라고 지칭하고, 터치입력패널의 가장자리에 제공된 베젤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프록시미티 현상에 의한 터치입력을 '베젤 터치'라고 지칭할 수 있다. 프록시미티 현상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프록시미티 터치입력', '프록시미티 터치' 또는 '프록시미티 입력'으로 지칭할 수 있다.The proximity phenomenon occurs not only when the touch input device (fing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flat touch input pan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nel plane, but also when the bezel provided on the edge of the touch input panel is touched. can occur Hereinafter, an input caused by a proximity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touch input device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touch input panel is referred to as 'hover touch' or 'hover input', and touch input A touch input caused by a proximity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 bezel provided on the edge of the panel is touched may be referred to as a 'bezel touch'. The user input caused by the proximity phenomenon may be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input', 'proximity touch', or 'proximity input'.

상기 베젤 터치와 관련하여,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갖는 스마트 왓치, 원형이 아닌 외곽 형상을 갖는 스마트 왓치, 태블릿, 및 노트북 패드 등의 사용자기기에, 기계식 이동 또는 회전이 가능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으며, 터치감지를 위한 별도의 터치감지용 회로패턴이 설치되지 않은 베젤인 더미 베젤(dummy bezel)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더미 베젤은 단순히 금속으로 된 테두리, 합성수지로 된 테두리, 복수 개의 층들이 결합된 복합소재 테두리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미 베젤은 사용자 입력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서, 단순히 터치패널 외곽을 둘러싼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더미 베젤의 표면에 터치가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하여 그 터치 발생 사실 및 터치 위치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의 제공시에 상기 사용자기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의 제공도 요구된다. In relation to the bezel touch, the smart watch having a circular outer shape, the smart watch having a non-circular outer shape, a smart watch having a non-circular outer shape, a tablet, and a notebook pad are not mechanically movable or rotated, but are fixed, and the touch A dummy bezel that is a bezel in which a separate touch sensing circuit pattern for sensing is not installed may be provided. The dummy bezel may be provided as a simple metal edge, a synthetic resin edge, or a composite material edge in which a plurality of layers are combined. The dummy bezel does not provide a user input function and may simply be a portio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Even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generating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touch occurrence fact and the touch location using the proximity phenomenon in a situation where a touch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dummy bezel. In addition,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user equipment when providing such a technology.

상기 호버 터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들이 예상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한 쪽 긴 변을 엄지손가락으로 파지하고, 다른 쪽 긴 변을 나머지 네 개 손가락으로 단순히 쥔(grip)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터치감지패널을 얼굴에서 약간 떨어트려 통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이 경우 얼굴이 터치감지패널에 접근한 사실을 알아내기 위해서 상술한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할 수 있다.Various usage scenarios may be expected in relation to the hover touch. For example, it is used to indicate a state of making a call by holding the long side of the smartphone with your thumb and simply gripping the other long side with the remaining four fingers, and moving the touch sensing panel of the smartphone slightly away from your face. scenario is possible. In this case, the aforementioned proximity phenomenon may be used to detect the fact that the face approaches the touch sensing panel.

상기 베젤 터치 및 호버 터치를 포함하는 프록시미티 터치가 발생한 상황에서 그 터치 발생 사실 및 이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감지패널에 제공된 전극들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파워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프록시미티 터치의 감지를 위하여 구동전류 파워를 항상 증가된 상태로 구동함으로써, 프록시미티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증가했다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generating the fact of touch occurrence and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hereto in a situation where proximity touch including the bezel touch and hover touch occurs, electrodes provided in the capacitive touch sensing panel are provide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wer of the driving current.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proximity touch is not sensed by driving the driving current power in an always increased state to detect the proximity touch.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발명자가 이미 알고 있는 기술을 설명한 것으로서, 상술한 내용 모두가 반드시 본 특허출원 시에 불특정 다수인에게 공개된 것이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The above description describes the technology already known by the invento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not be concluded that all of the above information is necessarily disclosed to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persons at the time of filing this patent application.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검출할 때에, 검출 신뢰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이로 인한 전력소모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minimizing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e to an increase in detection reliability when detecting a touch input using the proximity phenomenon described above.

특히, 태블릿 또는 노트북 패드와 같이 소비전력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게 여겨지는 사용자기기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기기의 터치감지패널의 외곽에 고정식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터치입력감지를 위한 별도의 전극패턴이 제공되지 않은 베젤(가상의 베젤감지영역/더미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인식을 위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for a user device in which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is important, such as a tablet or laptop pad, it is fixedly provided outside the touch sensing panel of the user device, and a separate electrode pattern for sensing touch input is not provid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for touch input recognition for non-bezel (virtual bezel sensing area/dummy bezel).

본 발명이 일 관점에 따라,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으로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②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panel (2)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area and a predefined outer area;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may be provided.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for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trolled boost mod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①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inner region, the normal mode is performed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period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first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second ratio and ②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he second predetermined period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third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fourth ratio control as much as possible. In this case,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and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은,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내부에 정의된 제1영역,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외곽부에 정의된 제3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정의된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defined inside the touch sensing panel, a third region defin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a third region defi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It can include two areas.

이때,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2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100%보다 작고, 상기 제4비율은 0%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second region,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the second ratio is less than 100%, and the second ratio is less than 100%. The 4 ratio may be greater than 0%.

또는,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0%보다 크고, 상기 제3비율은 100%보다 작으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일 수 있다.or, the inner region is the second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hird region, wherein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0%, the third ratio is less than 100%, and the second ratio is 0%, The fourth ratio may be 100%.

또는,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hird region, wherein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the second ratio is 0%, and the fourth ratio is 0%. The ratio may be 100%.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an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witch unit configured to control charges to move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and to control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① 상기 노멀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1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상기 부스트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2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속시간은 상기 제1지속시간보다 길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① in the normal mode, provides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for a first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a duration, and to detect the strength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an amount of electric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② in the boost mode, one touch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second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and during the second duration The intensity of the single touch input signal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 this case, the second durat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제3영역을 포함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uch sensing panel 2 includ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defined outside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defined outside the second area;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a second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higher than the first level.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boost mode that controls the level.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②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며, ③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5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6비율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으며, 상기 제3비율은 상기 제5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4비율은 상기 제6비율보다 작다.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includes: ①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first region, the normal during a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mode becomes a first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the second control so that the ratio is 2, ②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second region, the normal during a predetermined second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mode becomes a third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the second control so that the ratio is 4, and ③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third region, the normal during a predetermined third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mode becomes a fifth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thir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the second Control it so that it becomes a ratio of 6. In this case,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the second ratio is less than the fourth ratio, the third ratio is greater than the fifth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smaller than the sixth ratio .

이때,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5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6비율은 10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atio may be 100%, the fifth ratio may be 0%, the second ratio may be 0%, and the sixth ratio may be 100%.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① 상기 노멀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1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② 상기 부스트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2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지속시간은 상기 제1지속시간보다 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an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witch unit configured to control charges to move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and to control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① in the normal mode, provides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for a first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a duration, and to detect the strength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an amount of electric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② in the boost mode, one touch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second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and during the second duration The intensity of the single touch input signal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 this case, the second durat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터치감지IC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②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다. An operational ampl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witch unit that controls the electric charge to move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region and a predefined outer region, and controls the electric charge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A touch sensing IC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to detec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and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t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first level or a boost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and ①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inner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se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provided is a first ratio, and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e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e current is a second ratio and ②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period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third ratio,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time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o be a fourth ratio has been In this case,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and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터치감지패널(2);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는 터치감지회로부(4);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가장자리의 바깥쪽에 배치된 베젤(3);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복수 개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기초로, 상기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베젤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1)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panel (2);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a bezel (3)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edge along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a bezel touch sensing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touch input exists on the bezel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touch sensing nodes 13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device (1).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노드들 중 어느 하나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고 제2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베젤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임계값은 제2임계값보다 크다. 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is configured to: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ouch sensing node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d determine that a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In this case,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에 대하여 측정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1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만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에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a touch input made by contacting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adapted to determine what has been provided.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베젤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제공하는 구동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includes a driving signal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to detec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It may be designed to increase energy.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베젤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터치감지노드들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들의 크기를 서로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인 베젤터치입력이 제공된 상기 베젤 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ezel is provided with a touch input,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compares the magnitudes of the intensities of the touch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touch sensing node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Based on , information on a position on the bezel to which a bezel touch input, which is a touch input for the bezel, is provided may be generated.

이때, 상기 사용자기기에는 기준점 및 상기 기준점을 통과하는 기준직선이 정의되어 있고, 상기 베젤 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준점과 상기 베젤 상의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상기 기준직선 간의 사이각의 크기에 관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reference point and a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int are defined in the user device, and th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n the bezel is the size of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straight line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 on the bezel. It may contain values related to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는 원형이고, 상기 베젤은 원형이며, 상기 기준점은 상기 베젤이 둘러싼 영역의 중심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may have a circular shape, the bezel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reference point may be a center point of an area surrounding the bezel.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은 복수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각각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값을 기초로 상기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젤은 상기 사용자기기의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easures a value of a capacitance formed by each electrode, an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trength of , and the bezel may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user device.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1전극들; 및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xtending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은, 동심을 가지며 원형의 형상을 갖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제1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들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concentric and having different radii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xtending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이때, 상기 사용자기기는, 노멀모드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제공하는 구동신호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부스트모드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제공하는 구동신호의 에너지를 제2수준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제2수준>제1수준),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 상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normal mode, the user device controls the energy of the driving signal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to the first level in order to detec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In the boost mode, the energy of the driving signal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is controlled to a second level in order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second level) 2nd level > first level),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directly contacted on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is provided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to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made to do.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을 검출할 때에, 검출 신뢰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이로 인한 전력소모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cting a touch input using the above-described proximity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ique for increasing detection reliability while minimizing an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due to this.

특히, 사용자기기의 터치감지패널의 외곽에 고정식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터치입력감지를 위한 별도의 전극패턴이 제공되지 않은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인식을 위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recognizing a touch input for a bezel that is fixedly provided on the periphery of the touch sensing panel of the user device and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electrode pattern for sensing the touch input.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은 스마트 왓치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태블릿 또는 노트북과 같은 다른 형태의 사용자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technology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mart watch, but also to other types of user devices such as tablets or laptops.

도 1은 프록시미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된 터치감지노드(10)의 정의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 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패널과 베젤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기기가 제공하는 노멀모드와 부스트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1모드, 제2모드 및 제3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소위 자기용량방식의 터치감지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소위 상호용량방식의 터치감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ximity phenomenon.
2A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user equipment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defining the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shown in FIG. 2A.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n a bez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the shapes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using data of a sensing channel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sensing channel data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using the sensing channel data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rmal mode and a boost mode provided by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A shows a so-called self-capacitance touch sensing circuit, and FIG. 10B shows a so-called mutual capacitive touch sensing circui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ingular forms used hereinafter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실시예 -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한 베젤 터치의 검출 및 보고><Example - Detection and Reporting of Bezel Touch Using Proximity Phenomen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2A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user equipment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기기(1)는 터치스크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모듈에는 터치감지패널(2) 및 베젤(3)이 포함될 수 있다.The user device 1 may include a touch screen module. The touch screen module may include a touch sensing panel 2 and a bezel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1)는, 터치감지패널(2),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는 터치감지회로부(4),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가장자리의 바깥쪽에 배치된 베젤(3),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기초로 상기 베젤(3)에 대한 터치입력의 존재여부를 결정하는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ing panel 2 and a touch sensing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to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A circuit part 4, a bezel 3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and disposed outside the edge, and a plurality of third groups of touch sensing node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t may include a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touch input is applied to the bezel 3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devices 13 .

터치감지회로부(4) 및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하나의 칩 내에 포함된 기능모듈일 수 있다. 터치감지회로부(4) 및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서로 구분되는 개념으로 간주될 수도 있으나, 일체형의 단일 기능모듈로 간주될 수도 있다.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and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be functional modules included in one chip.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and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be regarded as separate concepts from each other, but may also be regarded as a single integrated function module.

사용자기기(1)는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장치(AP, CPU)를 더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처리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기기(1)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사용자기기(1)는 다른 컴퓨팅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user device 1 may be a device that further includes a processing unit (AP, CPU) for executing an operating system program and an application program, or may be a display device that does not include the processing unit. When the user device 1 is a display device, the user device 1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는, 해당 터치감지노드에 의해 형성된 정전용량값이, 터치입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의 정전용량값을 기준으로 변화한 정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감지노드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클수록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더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strength of the touch input signal may be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the capacitance value formed by the touch sensing node is changed based on the capacitance value when no touch input is made. For example,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greater the change amount of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ing node,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노드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없다면,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는 0(영)인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if there is no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ing nod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may be set to 0 (zero).

터치감지노드(10)들은, 가장 안쪽에 배치된 제1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1), 가장 바깥쪽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 그 사이에 배치된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로 구분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nodes 10 include a first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1 disposed at the innermost side, a thir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3 disposed at the outermost edge, and a third group disposed therebetween. It may b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ouch sensing nodes 12 .

제1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1)로 이루어진 영역을 제1영역이라고 지칭하고,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로 이루어진 영역을 제3영역이라고 지칭하고,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로 이루어진 영역을 제2영역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The area composed of the first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1 is referred to as a first area, the area composed of the thir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3 is referred to as a third area, and the secon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is referred to as a third area. A region composed of the nodes 12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region.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은 각각 내부영역, 중간영역, 및 외부영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region, an intermediate region, and an outer region, respectively.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터치감지 노드들(13)은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속한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touch sensing nodes 13 may belong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

상기 베젤(3)은 상술한 '베젤감지영역' 또는 '더미 베젤' 또는 '베젤 영역(Bezel Area)'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The bezel 3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above-described 'bezel sensing area' or 'dummy bezel' or 'bezel area'.

상기 베젤(3)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전극 패턴 또는 감지 채널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The bezel 3 may be a region in which an electrode pattern or a sensing channel, which must be provided to execute a capacitive touch input, is not provided.

상기 터치감지패널(2)은 '가시 영역(View Area)'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시 영역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입력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전극 패턴 또는 감지 채널이 제공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referred to as a 'view area', and the visible area may be defined as an area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ttern or sensing channel to be provided in order to execute a capacitive touch input.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configured to: When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n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h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a touch input in direct contact with any touch sensing node 10 is provided. And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he touch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at no input has been provided.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 즉, 상기 터치입력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이루어진 터치입력을, 상술한 프록시미티 입력과 구분하기 위하여, '패널접촉 터치입력'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In order to distinguish a touch input in direct contact with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 that is, a touch input mad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panel 2 , from the proximity input described above, 'panel contact touch It may also be referred to as 'input'.

프록시미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호버 터치(호버 입력) 및 베젤 터치뿐만 아니라 패널접촉 터치입력도 검출할 수 있지만, 상기 호버 터치 및 베젤 터치의 검출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패널접촉 터치입력에 대하여 최적화되지 않을 수 도 있다. 패널접촉 터치입력만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감지회로부는 프록시미티 입력에 대한 검출을 시도하더라도 그 신뢰성이 매우 낮을 수 있지만, 낮은 수준의 전력소모량을 유지할 수 있으며 패널접촉 터치입력에 대하여 최적화되어 있을 수 있다.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capable of detecting the proximity input may detect not only the hover touch (hover input) and the bezel touch but also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but unnecessary power in a situation where detection of the hover touch and the bezel touch is not required. Consumption may occur and may not be optimized for panel contact touch input.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capable of detecting only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may have very low reliability even when a proximity input is attempted, but it may maintain a low level of power consumption and may be optimized for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

이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 중 어느 하나의 터치감지노드(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1임계값보다 작고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베젤(3)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임계값은 제2임계값보다 크다 (제2임계값 < 제1임계값).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ncludes any one of the touch sensing nodes 13 of the plurality of third group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in 13)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greater tha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3 . In this case, the first threshold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second threshold < first threshold).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 중 어느 하나의 터치감지노드(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2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터치감지노드(13)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젤(3)에도 터치입력이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ny one of the touch sensing nodes 13 of the plurality of third group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the second If it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ouch input directly contacting the one of the touch sensing nodes 13 is not provided, as well as determining that a touch input is not provided to the bezel 3 as well. have.

이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속한 터치감지노드들(10) 중 상기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을 제외한 노드집합(11 + 12)에서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터치감지노드(11 또는 12)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1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비록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크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상기 베젤(3)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ncludes the plurality of third groups of touch sensing nodes defined at the edge among the touch sensing nodes 10 belonging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ny one touch sensing node 11 or 12 arbitrarily selected from the node set 11 + 12 excluding 13) is less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Even if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it may not necessarily be determined that a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3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베젤(3)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상기 터치감지패널 상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이격된 상태에서 입력이 시도되는 경우에도 입력이 이루어진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된다. 즉, 프록시미티 터치입력, 또는 다른 말로 호버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detects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3 . In order to detect the strength of one touch input signal, the energy of the driving signal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increased. When the energy of the driving signal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at input is made not only when direct contact is made on the touch sensing panel, but also when input is attempted while being spaced apar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s provided That is, a proximity touch input or, in other words, a hover touch input is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베젤(3)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들을 기초로, 상기 베젤(3)에 대한 터치입력인 베젤터치입력이 제공된 상기 베젤(3) 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bezel 3 ,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ncludes the plurality of third groups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Based on the strengths of the touch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nodes 13, the bezel touch input, which is the touch input for the bezel 3,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on the bezel 3 provided. have.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에 정의된 상기 복수 개의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들의 크기들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한 개의 터치감지노드(13)를 결정하고, 베젤(3) 중 상기 결정된 한 개의 터치감지노드(13)에서 가장 인접한 부분을 베젤터치입력이 이루어진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touch sensing node hav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magnitudes of the intensities of the touch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third groups of touch sensing nodes 13 defined at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13) may be determined, and the closest part of the determined one touch sensing node 13 among the bezel 3 may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where the bezel touch input is made.

상기 베젤(3) 상의 터치입력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베젤 터치의 이벤트 종류를, 예컨대, 베젤 터치-다운 이벤트(Bezel Touch Down Event), 베젤 터치-업 이벤트(Bezel Touch Up Event), 베젤 터치-무드 이벤트(Bezel Touch Move Event), 베젤 터치 이동 거리, 및 베젤 터치 이동 방향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bezel 3, the bezel touch event type, for example, a bezel touch-down event, a bezel touch-up event, and a bezel A touch-mood event (Bezel Touch Move Event), a bezel touch movement distance, and a bezel touch movement direction may be classified.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된 터치감지노드(10)의 정의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2B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defining the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shown in FIG. 2A.

도 2b의 (a)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일 군의 전극들을 제1층에 배치하고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일군의 전극들을 제2층에 배치하되,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 간에 절연층을 배치함으로써, 도 2b의 (b)와 같이 겹친 형태의 전극들을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2B , a group of electrode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disposed on the first layer and a group of electrod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disposed on the second layer, but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By disposing the insul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provide electrodes having an overlapping shape as shown in (b) of FIG. 2B .

이제, 도 2b의 (b)에서 서로 교차하는 전극들의 영역 각각을 도 2b의 (c)와 같이 하나의 터치감지노드로 개념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Now, each region of the electrodes crossing each other in (b) of FIG. 2B can be conceptually defined as one touch sensing node as shown in (c) of FIG. 2B.

또는 각각의 전극의 형상이 일방향으로 긴 것이 아니라, 도 2b의 (d)와 같이 작은 정사각형의 또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제공하고, 이들을 한 개의 제1층에 배치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전극을 상술한 각각의 터치감지노드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b의 (d)와 같이 제공된 전극은 소위 자기용량방식의 정전용량식 터치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터치입력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자기용량방식의 터치감지 기술 및 전극의 배치 예는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20107298 및 KR1020140086784 등과 같은 다양한 문헌에 공개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lternatively, the shape of each electrode is not long in one direction, but a small square or rectangular shape close to a square as shown in (d) of FIG. 2B is provided, and a method of arranging them in one first layer may be selected. In addition, each electrode may be regarded as each of the above-described touch sensing nodes. In this case, the electrode provided as shown in (d) of FIG. 2B may detect whether a touch is input using a so-called self-capacitance type capacitive touch sensing technology. Examples of self-capacitance touch sensing technology and electrode arrangement are disclosed in various documents such as,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KR10201007298 and KR1020140086784,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 상에 입력된 터치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a touch input on a bez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기기(1)의 터치감지회로부(4) 및/또는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에는 터치감지패널(2) 표면 상의 터치입력위치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채택된 좌표계가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터치감지회로부(4) 및/또는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에는 상기 좌표계의 원점인 기준점(21) 및 상기 기준점(21)을 통과하는 기준직선(22)이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준점(21)은 예컨대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 자리 바운더리 내측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상기 기준직선(22)은 상기 기준점(21)을 통과하는 미리 정의된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좌표계는 직교좌표(cartesian coordinate)계이거나 또는 극좌표(polar coordinate)계일 수 있다.I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and/or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of the user device 1, a coordinate system adopted for distinguishing touch input position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from each other may be defined. . In addition, a reference point 21 that is the origin of the coordinate system and a reference line 22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int 21 may b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and/or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 The reference point 21 may be, for example, located inside the edge boundary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And, for example, the reference line 22 may be a predefined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reference point 21 . The coordinate system may be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or a polar coordinate system.

상기 베젤(3) 상에 이루어진 터치입력의 위치인 제1위치(31)에 관한 정보는, 상기 기준점(21)과 상기 베젤(3) 상의 제1위치(31)를 연결하는 직선인 제1직선(32)과 상기 기준직선(22) 간의 사이각(θ°)의 크기에 관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위치(31)에 관한 정보는 극좌표 형식 중 사이각(θ°)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osition 31 ,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made on the bezel 3 , is a first straight line that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reference point 21 and the first position 31 on the bezel 3 . (32) and the reference line 22 may include a value related to the size of the angle (θ°) between the line (22). That is,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position 31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only the angle between the polar coordinates (θ°).

또는, 상기 베젤(3) 상에 이루어진 터치입력의 위치인 제1위치(31)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위치(31)의 직교좌표(x,y)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젤(3) 상의 제1위치(31)의 직교좌표(x,y)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 및 그 내부의 범위로 한정되는 직교좌표의 영역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이다.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position 31 ,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made on the bezel 3 , may include the Cartesian coordinates (x,y) of the first position 31 . At this time, the rectangular coordinates (x, y) of the first position 31 on the bezel 3 are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rectangular coordinate area limited to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and the range inside it.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감지패널과 베젤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4 shows the shapes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형의 형상을 갖는 종래의 스마트 왓치는 베젤이 달린 전통적인 손목시계의 둥근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 기계식의 회전형 베젤을 모사하였다. 즉, 종래의 스마트 왓치에는 원형의 감지 영역을 갖는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외곽에 설치된 링 형태의 기계식 회전형 베젤로서, 상기 스마트 왓치의 본체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베젤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젤은 기계식 구성요소이며, 상기 스마트 왓치는 상기 베젤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검출된 회전각도를 기초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The conventional smart watch having a circular shape imitates a mechanical rotating bezel installed on the round edge of a traditional wrist watch with a bezel. That is, in the conventional smart watch, a touch panel having a circular sensing area and a ring-shaped mechanical rotating bezel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touch panel, the bezel being rotatabl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of the smart watch, may be provided. The bezel is a mechanical component, and the smart watch is configured to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bezel,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based on the detected rotation angle.

상기 스마트 왓치에 설치된 종래의 기계식 회전 베젤로 인하여 스마트 왓치의 구성이 기계적 또는 기구적으로 더 단순화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지만, 상기 기계식 회전 베젤이 제공하는 사용자 편의성 덕분에, 상기 기계식 회전 베젤을 스마트 왓치에 포함시켜 제공하고자 하는 시장의 요구가 지속되어 왔다.Althou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watch cannot be further simplified mechanically or mechanically due to the conventional mechanical rotating bezel installed in the smart watch, thanks to the user convenience provided by the mechanical rotating bezel, the mechanical rotating bezel is replaced with a smart watch There has been a continuous demand from the market to include it in the

한편,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되 기계식 회전 베젤을 제거하고자 한다면, 종래 기계식 회전 베젤이 배치된 자리에 예컨대 정전용량식 터치감지를 위한 도넛 형태의 전극패턴을 제공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도넛 형태의 전극패턴을 제공하는 경우, 스마트 왓치 본체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원형 형상의 전극패턴에 추가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스마트 왓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도넛 형태의 전극패턴이 스마트 왓치의 최외곽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민감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도넛 형태의 전극패턴의 내구성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sired to remove the mechanical rotating bezel in response to the market demand, a method of providing, for example, a donut-shaped electrode pattern for capacitive touch sensing at a place where the conventional mechanical rotating bezel is disposed may also be considered. However, when the donut-shaped electrode pattern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circular-shaped electrode pattern basically provided in the smart watch body, and consequently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smart watch. In addition, since the donut-shaped electrode pattern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smart watch, it may be sensitive to external shocks, so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durability of the donut-shaped electrode pattern.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는 원형이고, 상기 베젤(3)은 도넛 형상이며, 상기 기준점(21)은 상기 베젤(3)이 둘러싼 영역의 중심점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circular, the bezel 3 may have a donut shape, and the reference point 21 may be a center point of an area surrounded by the bezel 3 .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2)은 복수 개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각각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값을 기초로 상기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panel 2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has a capacitance value formed by each electrode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to each of the touch sensing nodes based on the measured value.

도 3에 나타낸 직사각형 형상의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된 터치감지노드들은 행과 열이 직교하는 형태의 행렬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은 도 2a를 참조하여 예시하였다.The point that the touch sensing nodes defined in the rectangular touch sensing panel 2 shown in FIG. 3 may have a matrix shape in which rows and colum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s exemplified with reference to FIG. 2A .

이와 비교하여, 도 4에 나타낸 원형 형상의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된 터치감지노드들 역시 행과 열이 직교하는 형태의 행렬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도 4에 나타낸 원형 형상의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된 터치감지노드들은 복수 개의 동심원들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정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In comparison, the touch sensing nodes defined in the circular touch sensing panel 2 shown in FIG. 4 may also have a matrix shape in which rows and colum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lterna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ouch sensing nodes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of the circular shape shown in FIG. 4 may be defined by being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터치감지회로부(4)의 구성의 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00095041, KR1020140073021, KR1020150079768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xample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are exemplifi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s. KR1020100095041, KR1020140073021, and KR1020150079768,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상기 베젤(2)은 상기 사용자기기(1)의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2)은 상기 사용자기기(1)의 본체에 대한 기계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2)에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전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The bezel 2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user device 1 . Also, the bezel 2 may not include a component that enables mechanical rotation of the user device 1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lso, the bezel 2 may not include an electrode that enables capacitive touch sensing.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1전극들; 및 상기 제1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특허출원번호 KR1020100095041에 예시되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xtending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s exemplified i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000950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는,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은, 동심을 가지며 원형의 형상을 갖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복수 개의 제1전극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들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 개의 제2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electrod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having concentricity and different radii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extending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using data of a sensing channel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0)에서, 터치감지회로부(4)는 터치감지패널(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전류인 구동전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하여 터치감지패널(2) 상에 정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감지노드들 또는 감지채널들에 연관되어 있는 정전용량성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In step S10 ,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dynamically controls the flow of a driving current that is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be defin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capacitance component associated with the plurality of sensing nodes or sensing channels.

상기 각 감지노드는 터치감지패널(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전극들 중 서로 교차하는 임의의 두 개의 전극들의 교차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sensing nodes may mean an intersection area of any two electrodes that cross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상기 각 감지채널은 상기 각 감지노드를 의미할 수도 있다. Each of the sensing channels may mean each of the sensing nodes.

또는 상기 각 감지채널은 터치감지패널(2)에 포함된 각각의 전극을 의미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each of the sensing channels may mean each electrode includ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복수 개의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노멀모드 및 부스트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스트모드는 상기 노멀모드에 비하여 상기 동적으로 제어되는 구동전류의 파워가 증가한 상태의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In order to dynamically control the flow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 normal mode and a boost mode may be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boost mode may mean a mode in which the power of the dynamically controlled driving curre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mode.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계(S10)에서는 상기 부트스모드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step S10, the flow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boots mode may be dynamically controlled.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10)에서는 상기 노멀모드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in step S10, the flow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 the normal mode may be dynamically controlled.

사용자기기(1)를 상기 부스트모드 및 상기 노멀모드 중 어느 모드로 동작시키더라도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는 동일한 기준으로 환산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스트모드 및 상기 노멀모드 중 어느 모드에 의해 동작시키는지에 따라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지만, 결국 동일한 수준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특정 터치감지노드에 형성되거나 변화되는 커패시턴스의 값이 상기 모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는 결국 터치감지노드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Even when the user device 1 is operated in any of the boost mode and the normal mod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may be converted based on the same reference. That is, although the level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s may vary depending on which mode of the boost mode and the normal mode is operated, the capacitance formed or changed in a specific touch sensing node by the same level of touch input. This is because the value does not vary depending on the mode. And this is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can be ultimately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ing node.

다만, 상기 노멀모드에서 상기 동적으로 제어되는 구동전류를 통해 공급되는 파워가 충분하지 않다면, 상기 노멀모드에서는 프록시미티 현상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프록시미티 터치입력의 검출은 어려울 수 있으며, 단지 터치감지패널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만이 신뢰성 있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in the normal mode, i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dynamically controlled driving current is not suffici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a reliable proximity touch input using the proximity phenomenon in the normal mode, and only the touch sensing panel Only a touch input in direct contact can be reliably sensed.

도 5는 베젤(3)에서 터치입력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즉, 프록시키티 입력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멀모드가 아니라 상기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5 i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 touch input has been made on the bezel 3, that i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 proxy kitty input has occurred. It is assumed that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boost mode rather than the mode.

그러나 종래의 실시예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기기(1)가 노멀모드와 부스트모드를 서로 구분하여 제공하지 않고, 언제나 상기 부스트모드에 해당하는 충분히 큰 전력을 제공하는 모드로만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However, as in the conventional embodimen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user device 1 does not separately provide the normal mode and the boost mode, but may always operate only in a mode that provides a sufficiently large power corresponding to the boost mode. There will be.

단계(S20)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상기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를 모두 측정하여, 이 중 터치입력신호가 가장 강한 터치감지노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터치입력신호가 가장 강한 터치감지노드를 '제3터치감지노드(131)'라고 지칭할 수 있다. In step S20,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easures all the touch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nodes 13 of the third group, and selects the touch sensing node having the strongest touch input signal among them. can decide Hereinafter, the touch sensing node having the strongest touch input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단계(S21)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과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 사이의 값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21 , the proximity input detection unit 5 determines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detection node 131 is betwee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can do.

이때,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터치감지패널(2) 상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touch is made by a finger or the like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

예컨대 만일 제3터치감지노드(131)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제1임계값보다 크다면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it may be considered that a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exists. .

그리고 제3터치감지노드(131)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제1임계값보다 작고 제2임계값보다 크다면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제3터치감지노드(131) 근처의 베젤 부위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And if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small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re is no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Howeve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touch input has been made in the bezel portion near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만일, 제3터치감지노드(131)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2임계값보다도 작다면,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존재하지는 않을 뿐만 아니라, 제3터치감지노드(131) 근처의 베젤 부위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less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re is no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and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a touch input has been made to the bezel portion near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과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 사이의 값인 것으로 결정되었다면 단계(S22)로 진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between the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e first predetermined threshold,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22 .

단계(S22)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22 , the proximity input detection unit 5 determines tha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other surrounding touch sensing nodes 10 existing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determined. In all case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uch input signal.

특히,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nodes 12 of the second group existing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the intensity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uch input signal.

만일 상기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다면,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발생이 베젤(3)에 대한 터치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If the strengths of the touch input signals detected by the neighboring touch sensing nodes 10 are all smaller than the strengths of the touch input signals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the touch input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It can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generation of the signal is caused by a touch to the bezel 3 .

이와 달리, 만일 상기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 중 어느 하나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크다면,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발생이 베젤(3)에 대한 터치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터치감지패널(2) 중 제3터치감지노드(131)보다 더 내부에 있는 다른 터치감지노드의 표면을 직접 터치하여 발생한 터치입력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any one of the peripheral touch sensing nodes 10 is greater tha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 131) is not generated by a touch on the bezel 3, but directly touches the surface of another touch sensing node inside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caused by a touch input generated by a touch.

단계(S23)에서,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터치감지패널(2)의 외부에 터치입력이 발생한 것(즉, 프록시미티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감지패널(2)의 외부는 베젤(3)의 일 지점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In step S23 ,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other neighboring touch sensing nodes 10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all measured by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is smaller tha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determine that the touch input has occurred outside the touch sensing panel 2 (that is, the proximity input has occurred). . In this case, the outsid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regarded as a point of the bezel 3 .

베젤(3)에 터치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계속하여 베젤(3)의 다른 위치에도 터치입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때 베젤(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입력을 더 잘 검출하기 위하여, 만일 단계(S10) 내지 단계(S23)에서 사용자기기(1)가 상기 노멀모드로 동작하였다면, 단계(S23) 이후 사용자기기(1)는 상기 노멀모드로부터 상기 부스트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계(S10) 내지 단계(S23)에서 상기 부스트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touch input has occurred on the bezel 3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touch input will continue to occur in other positions of the bezel 3 . At this time, in order to better detect the touch input generated on the bezel 3, if the user device 1 operates in the normal mode in steps S10 to S23, after step S23, the user device ( 1) may switch from the normal mode to the boost mode. Howe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ost mode may be operated in steps S10 to S23.

단계(S24)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와 상기 기준점(21)을 연결한 제1직선(32)과 상기 기준직선(22) 간의 사이각인 제1사이각(θ°)을 계산할 수 있다. In step S24,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is configured to be a second angle between the first straight line 32 connect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and the reference point 21 and the reference straight line 22. The angle between 1 can be calculated (θ°).

상기 제1사이각(θ°)은 상기 베젤에 이루어진 터치입력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first angle (θ°) may be regarded as a value indicating a position of a touch input made on the bezel.

단계(S25)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베젤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보고 신호와 함께 상기 제1사이각(θ°)을 다른 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비록 도넛 형태 또는 임의의 형상의 링 형태를 갖는 상기 베젤(3)에 일정 면적이 존재하기 때문에 베젤(3)의 표면 상에서도 직교좌표에 따른 (x, y)좌표 또는 극 좌표에 따른 (r, θ°)를 정의할 수 있겠지만, 이 중 베젤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이 중 θ° 만을 입력 파라미터로 간주해도 충분한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In step S25 ,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transmit the first intervening angle θ° to another IC together with a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bezel touch has been made.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hat even on the surface of the bezel 3, since a certain area exists in the bezel 3 having a donut shape or a ring shape of any shape, (x, y) coordinates or polar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Cartesian coordinates (r, θ°) can be defined, but among them, for the bezel touch input, it is because there are enough applications to consider only θ° as an input parameter.

상기 다른 IC는 사용자기기(1)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다른 IC는 사용자기기(1)와 별도로 제공되는 다른 컴퓨팅장치에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The other IC may be included in the user device 1 . Alternatively, the other IC may be provid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ser device 1 .

그러나, 변형된 실시예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상기 제1사이각(θ°)과 함께 극좌표계에 따라 제공되어야 하는 제1반경(r)에 관한 정보도 함께 상기 다른 IC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반경(r)과 상기 제1사이각(θ°)의 조합에 의해 지시되는 터치입력좌표는 터치입력패널(2)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However, in a modified embodiment,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provides the other IC with information about the first radius r to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polar coordinate system together with the first angle θ°. can do. In this case, the touch input coordinates indic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radius r and the first angle θ° may exist outside the touch input panel 2 .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상기 제1반경과 상기 제1사이각(θ°)의 조합에 따른 위치를 직교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다른 IC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another modified embodiment,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convert a posi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first radius and the first angle (θ°) into Cartesian coordinates and provide it to the other IC.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by using the sensing channel data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0)에서, 터치감지회로부(4)는 터치감지패널(2)에 포함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통해 흐르는 구동전류의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하여 터치감지패널(2) 상에 정의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감지노드들 또는 감지채널들에 연관되어 있는 정전용량성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In step S10 ,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dynamically controls the flow of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includ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provide a plurality of defin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capacitive component associated with the sensing nodes or sensing channels.

단계(S30)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그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미리 결정된 제2임계값과 미리 결정된 제1임계값 사이의 값을 갖는 터치감지노드로서 상기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 속한 것인 하나의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선택할 수 있다. In step S30,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is a touch sensing node having a value betwee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valu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being the third group of touch On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belonging to the sensing nodes 13 may be selected.

이때,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제2임계값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터치감지패널(2) 상에 손가락 등이 접촉하여 터치가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hreshold value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In addition,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touch is made by a finger or the like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

단계(S32)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32 ,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determines tha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other neighboring touch sensing nodes 10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In all case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ouch input signal.

특히,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econ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2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and the thir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3 present in the predetermined area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ll the detected strengths of the touch input signals are less than the strengths of the touch input signals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단계(S33)에서,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주변 터치감지노드들(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모두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터치감지패널(2)의 외부에 터치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터치감지패널(2)의 외부는 베젤(3)의 일 지점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In step S33 ,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other neighboring touch sensing nodes 10 existing in the predetermined area includ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is all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is smaller tha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determine that the touch input has occurred outside the touch sensing panel 2 . In this case, the outsid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regarded as a point of the bezel 3 .

단계(S34)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와 상기 기준점(21)을 연결한 제1직선(32)과 상기 기준직선(22) 간의 사이각인 제1사이각(θ°)을 계산할 수 있다. In step S34 , the proximity input detection unit 5 generates a second angle between the first straight line 32 connecting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and the reference point 21 and the reference straight line 22 . The angle between 1 can be calculated (θ°).

단계(S35)에서, 프록시미티 입력 감지부(5)는 베젤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보고 신호와 함께 상기 제1사이각(θ°)을 다른 IC에게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5 , the proximity input sensing unit 5 may transmit the first angle θ° to another IC together with a report signal indicating that the bezel touch has been mad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베젤 터치 발생여부를 인식하고 베젤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gnizing whether a bezel touch has occurred and calculating information using the sensing channel data closest to th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41)에서 가시 영역에 프록시미티 현상이 발생하도록 더 많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상태로 둘 수 있다. 즉, 상술한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사용자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41, more signals may be transmitted/received so that the proximity phenomenon occurs in the visible reg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device to operate in the boost mode described above.

단계(S42)에서, 터치감지패널(2) 중 터치입력이 감지된 위치가 일정 영역 바깥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42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osition where a touch input is sensed among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outside a predetermined area.

상기 일정 영역 밖에 존재한다면 단계(S43)으로 진행하고, 상기 일정 영역 바깥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S45)로 진행할 수 있다.If it exists outside the predetermined area,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43, and if it does not exist outside the predetermined area, it may proceed to step S45.

단계(S43)에서, 사용자기기(1)는 터치감지패널(2) 중 베젤(3)의 영역에 가장 가까운 감치 채널들의 데이터 중 최대값(K)을 산출할 수 있다. In step S43 , the user device 1 may calculate the maximum value K among data of the gamut channels closest to the area of the bezel 3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예컨대, 도 5의 단계(S20)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를 측정하여, 이 중 터치입력신호가 가장 강한 제3터치감지노드(131)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터치감지노드(131)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최대값(K)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step S20 of FIG. 5 , by measuring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nodes 13 of the third group,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having the strongest touch input signal ( 131)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of the third touch sensing node 131 may be the maximum value (K).

단계(S44)에서, 상기 최대값(K)이 미리 결정된 값인 A보다 크고 미리 결정된 값인 B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In step S44,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aximum value K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and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B.

상기 A와 B는 각각 도 5의 단계(S21)에서 설명한 상기 제2임계값 및 제1임계값일 수 있다.A and B may be the second threshold value and the first threshold value described in step S21 of FIG. 5 , respectively.

만일 상기 최대값(K)이 미리 결정된 값인 A보다 크고 미리 결정된 값인 B보다 작다면 단계(S4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종료할 수 있다.If the maximum value K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A and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B,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6, otherwise the process may be terminated.

단계(S46)에서, 베젤(3)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하고 그리고 베젤(3)에 가장 가까운 감지채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베젤 터치입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6 , it is recognized that the bezel 3 has been touched, and information about the bezel touch input may be generated using the sensing channel data closest to the bezel 3 .

단계(S45)에서는, 단계(S21)에서 2D 좌표가 일정 영역 안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므로 베젤 터치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종료할 수 있다.In step S45, si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2D coordinates exist in a predetermined area in step S21, it is determined that the bezel touch has not occurred and the process can be end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에 설치된 터치감지패널의 가장자리의 바깥쪽에 가상의 베젤감지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가상의 베젤감지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입력 여부 및 터치입력의 위치를 상기 터치감지패널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bezel sensing area is set outside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installed in the user device, and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virtual bezel sensing area and the touch inp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anel using the touch sensing panel.

<실시예 -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을 위한 전력관리><Example - Power management for proximity input detec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기기가 제공하는 노멀모드와 부스트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감지회로부(4)가 상기 노멀모드로 작동하는 구간을 노멀구간(TN)이라고 지칭하고, 터치감지회로부(4)가 상기 부스트모드로 작동하는 구간을 부스트구간(TB)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ormal mode and a boost mode provided by a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tion in which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operates in the normal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normal section TN, and a section in which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operates in the boost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boost section TB.

도 8에는 상기 노멀구간(TN)과 상기 부스트구간(TB)이 서로 교대로 발생하는 예를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멀구간(TN)과 상기 부스트구간(TB)의 발생 비율, 발생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규칙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normal section TN and the boost section TB alternately occur,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rmal section TN and the boost section TB are generated The rate and the form of occurrence may be controlled by a predetermined ru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노멀구간(TN)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ncludes, in the normal section T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In order to detect ,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controlled to a first level. At this time,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e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10 is provided may be set to be determined.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부스트구간(TB)에서,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2수준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수준은 상기 제1수준보다 크다. 이때,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임의의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가 상기 제1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임의의 터치감지노드에 터치입력이 제공된 것으로 결정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n the boost period TB,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In order to detect the intensity,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may be controlled to a second level. In this case, the second level is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s provided to the arbitrary touch sensing node only when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touch sensing node 10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re may be

상기 노멀모드(노멀구간)에서, 상기 제1수준의 에너지는 터치감지패널(2)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기에는 충분하지만, 터치입력기구가 터치감지패널(2)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프록시미티 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기에는 부족한 정도의 수준일 수 있다.In the normal mode (normal section), the first level of energy is sufficient to detect a touch input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uch sensing panel 2 , but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touch sensing panel 2 . It may be at a level that is insufficient to reliably detect a proximity input representing .

상기 부스트모드(부스트구간)에서, 상기 제2수준의 에너지는 터치입력기구가 터치감지패널(2)에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프록시미티 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기에 충분한 수준일 수 있지만, 터치감지패널(2)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최적화된 수준은 아닐 수도 있다.In the boost mode (boost period), the second level of energy may be at a level sufficient to reliably detect a proximity input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touch sensing panel 2 , but the touch It may not be at a level optimized for detecting a touch inpu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ensing panel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을 위한 전력관리 기술은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감지패널(2)을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의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 the power management technology for detecting proximity input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ouch sensing panel 2 in three areas: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It is assumed to be separated by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터치감지패널(2)은 중심점(21)을 포함하는 제1영역,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3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의 제2영역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a에서 상기 제1영역은 제1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1)로 구성된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로 구성된 영역이고, 그리고 상기 제3영역은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로 구성된 영역이다. Referring back to FIG. 2A , the touch sensing panel 2 includes a first region including a central point 21 , a third region including an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t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including the second region between the three regions. In FIG. 2A , the first area is an area composed of a first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1 , the second area is an area composed of a secon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2 , and the third area is is an area composed of the thir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3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제1모드, 제2모드 및 제3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mode, a second mode, and a third mode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은 터치감지회로부(4)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노멀구간과 부스트구간의 발생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상기 제1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노멀구간(TN)만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제1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2수준보다 낮은 상기 제1수준으로 제어하면서도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술한 프록시미티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갖는 구동전류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의 경우 사용자기기의 소모전류를 최소화 하면서도, 터치입력패널(2)에 직접 접촉한 터치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Fig. 9(a) shows the generation pattern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boost section whe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operates in the first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present in the first reg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may only use the normal section TN. It can operate in the first mode for continuously generating. In the first mode, while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the first level lower than the second level, the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cted. It is possible to secure performance for That is, in the first mode, only a driving current having energy lower than a level required to detect the above-described proximity input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the first mode, the touch inpu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touch input panel 2 can be reliably detected while minimizing the consumption current of the user device.

도 9의 (b)는 터치감지회로부(4)가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노멀구간과 부스트구간의 발생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상기 제2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노멀구간(TN)과 상기 부스트구간(TB)을 교대로 발생시키는 제2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드에서는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상에 접촉한 터치입력 뿐만 아니라 상술한 프록시미티 입력(베젤 터치 및 호버 터치를 포함하는 개념)을 모두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노멀구간에서는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상에 접촉한 터치입력(패널접촉 터치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부스트구간에서는 프록시미티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9(b) shows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boost section whe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operates in the secon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second reg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separates the normal section TN and the boost section TB. It can operate in a second mode of generating alternately. In the second mod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ct both the above-described proximity input (concept including the bezel touch and the hover touch) as well as the touch input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That is, in the normal section, a touch input (panel contact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can be detected, and in the boost section, a proximity input can be detected.

다만,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패널접촉 터치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기 위한 상기 노멀모드와 상기 프록시미티 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기 위한 상기 부스트모드를 번갈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에 대한 시간 해상도가 감소할 수는 있다.However, in the second mode, since the normal mode for reliably detecting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and the boost mode for reliably detecting the proximity input are alternately used, the temporal resolution of the user input is reduced. You can.

상기 호버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호버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 터치감지패널(2)의 (x1, y1) 지점에 존재하는 하나의 터치감지노드(10)에서 검출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의 값에 따라 상기 호버 터치가 (x1, y1) 지점에서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z1)을 결정할 수도 있다. In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hover touch, the value of the intensity of the touch input signal detected by one touch sensing node 10 existing at the (x1, y1) point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hover touch has been made. Accordingly, a value z1 indicating how far away the hover touch is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at the point (x1, y1) may be determined.

도 9의 (c)는 터치감지회로부(4)가 제3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노멀구간과 부스트구간의 발생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상기 제3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부스트구간(TB)만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제3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FIG. 9C shows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normal section and the boost section whe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operates in the third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third region, 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third mode in which only the boost period TB is continuously generated.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별(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로 가변적인 터치 구동이 가능하고, 제2영역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노멀모드와 부스트모드가 번갈아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노멀모드로만 구동이 되며, 상기 제3영역에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부스트모드로만 구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variable touch driving is possible for each region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nd when a touch input is made to the second region, the normal mode and the boost mode are alternately driven. In addition, when a touch input is made to the first region, it may be driven only in the normal mode, and if a touch input is made to the third region, it may be driven only in the boost mode.

여기서 상기 노멀모드를 '2D 터치입력 검출모드' 또는 '패널접촉 터치입력 검출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트모드를 '호버 터치입력 검출모드' 또는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모드'라고 지칭할 수 있다. Here, the normal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2D touch input detection mode' or a 'panel contact touch input detection mode'. In addition, the boost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hover touch input detection mode' or a 'proximity input detection mode'.

상기 노멀모드에서는 터치감지패널(2)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이루어진 터치감지패널(2) 평면 상의 (x, y) 좌표를 신뢰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멀모드에서도 터치입력기구가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그 근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터치입력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프록시미티 입력 좌표 (x, y, z)에 관련된 좌표를 검출할 수는 있지만 상기 구동전류의 파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그 신뢰성이 떨어진다.In the normal mode, it is possible to reliably determine (x, y) coordinates on the plan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on which a touch input is made in contact with the touch sensing panel 2 . In addition, even in the normal mode, the proximity input coordinates (x, y, z)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in a state where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and exists near it Although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related coordinates, the power of the driving current is not sufficient, so the reliability thereof is reduced.

상기 부스트모드에서는 터치입력기구가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고 그 근처에 존재하는 상태에서의 상기 터치입력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프록시미티 입력 좌표 (x, y, z)에 관련된 좌표를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부스트모드에서도 터치감지패널(2)에 접촉한 터치입력에 대하여 터치감지패널(2) 평면 상의 (x, y) 좌표를 검출할 수 있지만, 상기 부스트모드가 이러한 패널접촉 터치입력을 위해 최적화된 것은 아닐 수 있다. In the boost mode, coordinates related to proximity input coordinates (x, y, z)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touch input devic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and is present near it. can be reliably detected. Even in the boost mode, (x, y) coordinates on the plan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can be detected with respect to a touch input in contact with the touch sensing panel 2, but the boost mode is optimized for such panel contact touch input. it may not be

사용자기기(1)의 소모전류의 크기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특히 터치감지회로부(4)의 소모전류의 크기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제1모드가 가장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으며, 상기 제3모드가 가장 에너지 절약 성능이 낮다.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mount of current consumption of the user device 1, in particula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mount of current consumption of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the first mode has the highest energy saving performance, and the third mode has the lowest energy saving performance.

만일 사용자기기(1)를 언제나 상기 노멀모드로만 동작시킨다면 에너지는 절약되겠지만,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 시 SNR이 감소하여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의 신뢰성이 떨어질 것이다.If the user equipment 1 is always operated only in the normal mode, energy will be saved, but the SNR will decrease when the proximity input is detect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proximity input detection will be reduced.

만일 사용자기기(1)를 언제나 상기 부스트모드로만 동작시킨다면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 시 SNR이 증가하여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의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지만,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며, 상기 패널접촉 터치입력을 위해 최적화되지 않을 수 있다.If the user device 1 is always operated only in the boost mode, the SNR increases when detecting the proximity input,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ximity input detection, but consumes a lot of energy and may not be optimized for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have.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기기(1)의 전반적인 소모전류 감소 및 베젤 터치 검출 시의 오동작 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오동작 없는 그립 터치(Grip touch), 베젤 영역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스쳐, 그리고 프록시미티 터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current consumption of the user device 1 and prevent a malfunction when detecting a bezel touc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grip touch without malfunction, a gesture according to a user input in the bezel area, and a proximity touch.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How to control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터치감지회로부(4)가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00095041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감지회로부(4)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00095041에 제시된 적분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위 선행특허문헌에서는 한 개의 상기 터치입력신호의 강도에 관한 값을 검출하기 위하여 소위 '적분사이클'을 1회 수행한다. 상기 1회의 적분사이클은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구비된 커패시터에 터치감지패널의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를 충전하는 적분 시구간들로 이루어진다. 적분사이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SNR이 높아지게 된다. 적분사이클의 길이가 더 길어지면 상기 적분사이클 동안 터치감지회로부(4)가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가 더 커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can be understood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00095041.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tegration circuit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00095041.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a so-called 'integration cycle' is performed once to detect a value related to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he one integration cycle consists of integration time periods in which the capacitor provid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is charged with electric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of the touch sensing panel. As the length of the integration cycle increases, the SNR increas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during the integration cycle increases as the length of the integration cycle becomes longer.

상술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00095041가 소위 상호정전용량방식의 기술이라면,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40086784는 소위 자기정전용량방식의 기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감지회로부(4)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40086784에 공개된 터치입력 검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KR1020140086784에 공개한 기술에서도 터치감지회로부(4)가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증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분사이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While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00095041 is a technology of a so-called mutual capacitance metho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40086784 is a technology of a so-called self-capacitance method.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provid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uch input detecting circuit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40086784.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KR1020140086784, the length of the integration cycle may be adjusted in ord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by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 또는 상기 제2수준으로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이미 선행기술들에 의해 자세히 공개되어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understood that a specific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the first level or the second level has already been disclosed in detail by the prior art.

<시나리오 -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을 위한 전력관리><Scenario - Power management for proximity input detection>

상술한 프록시미티 입력 검출을 위한 전력관리를 위한 실시예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사용 시나리오들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power management for proximity input detection can work effectively in, for example, the following usage scenarios.

제1 시나리오: 사용자기기(스마트폰)(1)의 한 쪽 긴 변을 엄지손가락으로 파지하고, 다른 쪽 긴 변을 나머지 네 개 손가락으로 단순히 쥔(grip) 상태를 나타내는 시나리오로서, 예컨대, 사용자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쥐고 걸어다니는 상태 .First scenario: A scenario in which one long side of the user device (smartphone) 1 is gripped with a thumb and the other long side is simply gripped with the remaining four fingers, for example, the user device The state of simply holding and walking without using .

제2 시나리오: 사용자기기(1)를 제1 시나리오와 같이 쥔 상태에서 사용자기기(1)의 터치감지패널(2)을 얼굴에 접촉시켜 통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시나리오.Second scenario: A scenario in which the user device 1 is held as in the first scenario and the touch sensing panel 2 of the user device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ace to indicate a state of making a call.

제3 시나리오: 사용자기기(1)를 제1 시나리오와 같이 그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기기(1)의 터치감지패널(2)을 얼굴에서 약간 떨어트려 통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시나리오로서, 상기 얼굴과 터치감지패널 간의 거리가 프록시미티 현상을 검출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 이내인 상황.Third scenario: A scenario in which the user device 1 is gripped as in the first scenario and the touch sensing panel 2 of the user device 1 is slightly moved away from the face to make a call, wherein the face and touch are detected A situa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panels is within a distance that can detect the proximity phenomenon.

상기 제2 시나리오에서 패널접촉 터치입력의 검출만으로 충분하므로(즉, 터치감지패널이 얼굴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굳이 호버 터치(부스트모드)를 수행하여 전력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제2 시나리오에 따르면 터치감지패널(2)의 중심부, 즉 상기 제1영역 상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된 상태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술한 제1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노멀모드로만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가 적다. In the second scenario, it is not necessary to waste power by performing a hover touch (boost mode) because only the detection of the panel contact touch input is sufficient (ie, the touch sensing panel is in contact with the face). According to the second scenario, since a touch input in contact is provided on the center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that is, on the first reg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in the first mode using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hen operating in the first mode, power consumption is low because only the normal mode is operated.

한편, 사용자기기(1) 입장에서는 현재의 상황이 제3 시나리오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제1 시나리오에 해당하는지를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기기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화 중인 상황(제3 시나리오)인지, 아니면 손에 들고 사용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단순히 걸어 다니고만 있는 상황(제1 시나리오)인지를 서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 따라 사용자기기(1)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동작방식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anwhile, from the standpoint of the user device 1 ,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whether the current situation corresponds to the third scenario or the first scenario. That i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making a call while holding the user device by hand (scenario 3) or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is holding the user device and simply walking without using the device (scenario 1).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program driven in the user device 1 can be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se two different scenarios.

이를 위해서는 터치감지패널(2)에 접촉하고 있지는 않지만,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서 약간 떨어진 상태의 프록시미티 입력(예컨대 제3 시나리오와 같이 얼굴이 터치감지패널(2)에 접촉하지 않고 근처에 존재하는 상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For this purpose, although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ensing panel 2, proximity input in a state slightly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for example, a face near the touch sensing panel 2 without contacting it as in the third scenario)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state that exists in

이러한 프록시미티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부스트모드로 동작할 필요가 있다. 제1 시나리오와 제3 시나리오의 경우, 터치감지패널(2)의 중심부, 즉 상기 제1영역 상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술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로 동작할 것이다. 상술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부스트모드가 제공되기 때문에 프록시미티 입력을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다.In order to reliably determine whether such a proximity input exists, it is necessary to operate in the above-described boost mode. In the case of the first scenario and the third scenario, since the touch input contacted on the center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 that is, the first region is not provided, the second mode or the third mode will be operated. When operating in the above-described second mode or third mode, since the boost mode is provided, the proximity input can be reliably detected.

이때, 상술한 호버 터치 인식을 수행하면 제3 시나리오와 제1 시나리오 중 어떤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호버 터치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한 부스트모드에 의해 인식된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bove-described hover touch recognition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situation is the third scenario and the first scenario. Here, the hover touch may mean a touch recognized by the boost mode presented herein.

종래에는 모든 시나리오에서 호버 터치(부스트 모드) 인식만을 수행해서 전력낭비가 계속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상기 제2 시나리오의 상황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onventionally, power consumption continues by performing only hover touch (boost mode) recognition in all scenarios.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t least while the situation of the second scenario occurs.

<시나리오 -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을 위한 전력관리><Scenario - Power management for touch input to the bezel>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접촉한 터치입력이 터치감지패널(2)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 쪽으로 이동할수록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이 의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추정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제1모드, 제2모드, 및 제3모드와 같이 동작방식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면, 이러한 추정에 대응할 수 있다.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이 의도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증가한다면, 베젤에 대한 터치입력을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하여,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더 증가시키는 부스트구간의 발생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모드에서는 부스트구간의 발생비율이 가장 낮고, 제3모드에서는 부스트구간의 발생비율이 가장 높으며, 제2구간에서는 그 사이의 발생비율을 갖는다. As the touch input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mov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possibility that the touch input to the bezel is intentionally made increases. If the operation methods are set differently as in the above-described first mode, second mode, and third mode, this estimation can be responded to. If the possibility that the touch input to the bezel is intentionally made increases, in order to reliably perform the touch input to the bezel,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boost period that further increases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Accordingly, in the first mode,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boost section is the lowest, in the third mode, the rate of occurrence of the boost section is the highest, and in the second section, the occurrence rate therebetween.

터치감지패널(2)에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더 증가할수록 프록시미티 현상에 의해 검출되는 미세한 터치입력의 SNR을 증가시켜 터치입력 검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s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further increased, the SNR of the fine touch input detected by the proximity phenomenon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touch input detection.

<실시예><Example>

이하, 도 2a,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8, and 9 together.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panel 2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area and a predefined outer area;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4); a user device including; may be provided.

상기 내부영역 및 외부영역은 각각, 상술한 제1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1)로 이루어진 제1영역 및 제2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2)로 이루어진 제2영역, 또는 상기 제1영역 및 제3그룹의 터치감지노드들(13)로 이루어진 제3영역, 또는 상기 제2영역 및 상기 제3영역일 수 있다.The inner region and the outer region are, respectively, a first region composed of the first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1 and a second region composed of the secon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2, or the first region. and a third region including the third group of touch sensing nodes 13 , or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may include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a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first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boost mode that controls two levels.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①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mprises a first predetermined first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inner region. A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duri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to a first ratio during the time period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is the second ratio.

상기 소정의 제1시간은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제1시각으로부터, 그 이후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제2시각 사이의 시구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is, for example, from the first time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inner region, and thereafter, the touch sensing panel 2 It may be a time period between the second time poi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②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한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configured to: ② provide a second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ime becomes a third ratio, and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duri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he ratio of is controlled to be the fourth ratio.

상기 소정의 제1시간은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제3시각으로부터, 그 이후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제4시각 사이의 시구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is, for example, from the third time point at which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external region, and thereafter, the touch sensing panel 2 It may be a time period between the fourth time points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input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inner region.

이때,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다. In this case,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and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즉,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내부로부터 외곽쪽으로 이동할수록 상기 노멀모드가 발생하는 빈도가 점점 줄어들고, 상기 부스트모드가 발생하는 빈도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That is, as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mov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normal mode gradually decrease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boost mode gradually increases. have.

이때, 상기 내부영역이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2영역인 경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100%보다 작고, 상기 제4비율은 0%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the second region, in an embodiment,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and the second ratio is 100 %, and the fourth ratio may be greater than 0%.

또는,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인 경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율은 0%보다 크고, 상기 제3비율은 100%보다 작으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inner region is the second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the third region, in an embodiment,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0%, the third ratio is less than 100%, and the second The ratio may be 0%, and the fourth ratio may be 100%.

또는,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인 경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일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hird region, in an embodiment,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and the second ratio is 0 %, and the fourth ratio may be 100%.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도 10a는 소위 자기용량방식의 터치감지회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소위 상호용량방식의 터치감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FIG. 10A shows a so-called self-capacitance touch sensing circuit, and FIG. 10B shows a so-called mutual capacitive touch sensing circuit.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trols an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electrode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control the charge to move, and a switch unit configured to control charge moving through the electrode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도 10a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참조번호 110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증폭기는 참조부호 OA1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는 참조부호 VOUT1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커패시터는 참조부호 CS1 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은 참조번호 101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부는 참조번호 410로 표시되어 있다. In FIG. 10A ,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10 . And the operational amplifier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OA1, the output terminal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VOUT1, the capacitor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C S1 , and the electrode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101 , and the switch unit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410 .

도 10b에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참조부호 P1, P2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증폭기는 참조부호 OA1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출력단자는 참조부호 o1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커패시터는 참조부호 Cfb1 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은 참조부호 Cij (-)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부는 참조부호, S1, S2, S1', S2'로 표시되어 있다. In Fig. 10B,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P1 and P2. And the operational amplifier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OA1, the output terminal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o1, the capacitor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C fb1 , and the electrode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 C ij (-), and the switch unit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S1, S2, S1', S2'.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① 상기 노멀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1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를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provides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for a first duration in the normal mode, so as to reduce the charge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de. and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to detect the strength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② 상기 부스트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2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를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And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② in the boost mode, provides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for a second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t may be configured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a second dur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may be detec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during the second duration.

이때 상기 제2지속시간은 상기 제1지속시간보다 길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duration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상기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상기 제3영역을 포함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2)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10)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ing panel (2) including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defined outside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defined outside the second area ,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2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10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2 . A user device including (4)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trols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sets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first level. It is intended to operate in a boost mode that controls a high second level.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①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configured to (1) provide a predetermined driving current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first region. Controlled so that a ratio of a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first time to be a first ratio, and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duri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to be performed becomes the second ratio.

이때, 상기 소정의 제1시간은,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으로부터,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 사이의 시구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period is, for example, from the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first area, the It may be a time period between times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is determined to exist in a region other than the first region.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②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riving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exists in the second region. Controlled so that a ratio of a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second time to be a third ratio, and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duri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ratio of the time to be performed to be the fourth ratio.

이때, 상기 소정의 제2시간은,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으로부터,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 사이의 시구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period is, for example, from the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second area, the It may be a time period between times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is determined to exist in a region other than the second region.

그리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4)는, ③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5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6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driving cur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located in the third region. Controlled so that a ratio of a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third time to be a fifth ratio, and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during the predetermined thir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ratio of the time to be performed to be the sixth ratio.

이때, 상기 소정의 제3시간은, 예컨대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으로부터, 상기 터치감지패널(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시각 사이의 시구간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hird time period is, for example, from the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2 is determined to exist in the third area, It may be a time period between times when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is determined to exist in an area other than the third area.

이때,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으며, 상기 제3비율은 상기 제5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4비율은 상기 제6비율보다 작다.In this case,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the second ratio is less than the fourth ratio, the third ratio is greater than the fifth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smaller than the sixth ratio .

이때,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5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6비율은 100%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atio may be 100%, the fifth ratio may be 0%, the second ratio may be 0%, and the sixth ratio may be 100%.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상기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2)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터치감지IC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IC 또는 다른 말로 터치감지칩은, 상기 터치감지회로부 및/또는 프록시미티 감지부를 포함하는 회로를 패키징하여 제공한 것으로서, 독립적인 거래 대상이 되는 칩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mplifier, the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 touch sensing panel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region and a predefined outer region ( A touch sensing IC including a switch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charges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in 2) and controlling the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may be provided. The touch sensing IC, or in other words, the touch sensing chip, is provided by packaging the circuit including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and/or the proximity sensing unit, and may be a chip that is an independent transaction targe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By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each claim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with other claims without reference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is specification.

Claims (9)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으로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은,
사용자기기.
a touch sensing panel 2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region and a predefined outer region;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for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trolled boost mod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inner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ime becomes a first ratio, and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becomes a second rati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ing the ratio of time to be a third ratio,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o a fourth ratio,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패널은,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내부에 정의된 제1영역,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외곽부에 정의된 제3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정의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2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100%보다 작고, 상기 제4비율은 0%보다 큰,
사용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defined inside the touch sensing panel, a third region defin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a second region defi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second region;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the second ratio is less than 100%, and the fourth ratio is greater than 0%,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패널은,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내부에 정의된 제1영역,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외곽부에 정의된 제3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정의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2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0%보다 크고, 상기 제3비율은 100%보다 작으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인,
사용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defined inside the touch sensing panel, a third region defin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a second region defi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the inner region is the second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hird region;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0%, the third ratio is less than 100%,
The second ratio is 0%, the fourth ratio is 100%,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패널은,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내부에 정의된 제1영역,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외곽부에 정의된 제3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3영역 사이에 정의된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영역은 상기 제1영역이고 상기 외부영역은 제3영역이며,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3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4비율은 100%인,
사용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a first region defined inside the touch sensing panel, a third region defin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touch sensing panel, and a second region defined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third region. includes,
the inner region is the first region and the outer region is a third region;
The first ratio is 100%, the third ratio is 0%,
The second ratio is 0%, the fourth ratio is 100%,
us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노멀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1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부스트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2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은 상기 제1지속시간보다 긴,
사용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 switch unit controlling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s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cludes,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In the normal mode,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first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In the boost mode,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second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and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The second duration is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user device.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의 바깥에 정의된 제3영역을 포함하는 터치감지패널(2); 및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는 터치감지회로부(4);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1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2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제3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5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3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6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으며,
상기 제3비율은 상기 제5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4비율은 상기 제6비율보다 작은,
사용자기기.
a touch sensing panel (2) including a first area, a second area defined outside the first area, and a third area defined outside the second area; and
a touch sensing circuit unit (4)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includes,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may include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strength of one touch input signal to a first level or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for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It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trolled boost mode,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first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first ratio, and control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becomes a second rati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second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period of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third ratio,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o a fourth rati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third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predetermined third time period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Controlled so that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a fifth ratio,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thir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o a sixth ratio,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The third ratio is greater than the fifth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smaller than the sixth ratio,
user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율은 100%이고, 상기 제5비율은 0%이며,
상기 제2비율은 0%이고, 상기 제6비율은 100%인,
사용자기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ratio is 100%, the fifth ratio is 0%,
The second ratio is 0%, the sixth ratio is 100%,
user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감지회로부는,
상기 노멀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1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부스트모드에서,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2지속시간 동안 제공하여,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한 전하가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 동안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하량을 기초로 상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지속시간은 상기 제1지속시간보다 긴,
사용자기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 switch unit controlling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s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cludes,
The touch sensing circuit unit,
In the normal mode,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first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mov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first duration, and
In the boost mode, the driving current provided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s provided for a second duration, so that the electric charge transferred through the electrode is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and detecting the strength of the one touch input signal based on the amount of charg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for the second duration,
The second duration is longer than the first duration,
user device.
연산증폭기;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자 및 상기 연산증폭기의 반전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 및
미리 정의된 내부영역 및 미리 정의된 외부영역으로 구분되는 터치감지패널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전하가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극을 통해 이동하는 전하가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에 구동전류를 제공하여 상기 터치감지패널에 정의되는 각 터치감지노드에 대한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 개의 터치입력신호의 강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제1수준으로 제어하는 노멀모드 또는 상기 구동전류의 에너지를 상기 제1수준보다 높은 제2수준을 제어하는 부스트모드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1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1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2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패널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제공된 터치입력의 위치가 상기 외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노멀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3비율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제2시간 중 상기 부스트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전류를 제공하는 시간의 비율이 제4비율이 되도록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비율은 상기 제3비율보다 크고, 상기 제2비율은 상기 제4비율보다 작은,
터치감지IC.

operational amplifier;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and
a switch unit for controlling electric charges to move through the electrodes formed on the touch sensing panel divided into a predefined inner region and a predefined outer region, and controlling the electric charges moving through the electrodes to be accumulated in the capacitor;
includes,
A driving current is provided to the electrode to detect the intensity of a touch input signal for each touch sensing node defined in the touch sensing panel,
In order to detect the intensity of one touch input signal, it operates in a normal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first level or a boost mode for controlling the energy of the driving current to a second level higher than the first level is to be do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inner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he ratio of time is controlled to be a first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first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controlled to be a second rati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provided by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ing panel exists in the external region, the driving curr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ormal mode during a second predetermine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The ratio of time is controlled to be a third ratio, and the ratio of the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the boost mode among the predetermined second time for providing the driving current is controlled to be a fourth ratio,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third ratio, the second ratio is smaller than the fourth ratio,
Touch sensing IC.

KR1020190162603A 2019-10-10 2019-12-09 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KR1022760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733 2019-10-10
KR20190125733 2019-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78A KR20210042778A (en) 2021-04-20
KR102276062B1 true KR102276062B1 (en) 2021-07-12

Family

ID=7574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03A KR102276062B1 (en) 2019-10-10 2019-12-09 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62B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33B1 (en) * 2008-08-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tent play method using the same
US8427450B2 (en) * 2009-01-12 2013-04-23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Capacitive touch sensing and light emitting diode drive matrix
DE102011015806A1 (en) * 2011-04-01 2012-10-04 Ident Technology Ag display device
KR101925485B1 (en) * 2012-06-15 201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touch sensing
KR102140791B1 (en) * 2013-10-11 2020-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Touch Controller,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Controller, and Method for Touch Sensing
KR102239861B1 (en)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60105245A (en) *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for Sensing Input on Touch Panel and Method thereof
KR102380939B1 (en) * 2017-11-27 2022-04-01 주식회사 지2터치 Touch screen for detecting touch coordinate of long distance hov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778A (en)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3827B2 (en) Predictive touch surface scanning
TWI690835B (en) Touch sensitive keyboard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970549B2 (en)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3218075B (en) The touch-control monitoring method of a kind of Touch Screen and terminal
US9705495B2 (en) Asymmetric sensor pattern
US20120249446A1 (en) Touch-sensing apparatus
US20130088448A1 (en) Touch screen panel
JP2016540324A (en)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ouches of different sized conductive objects on capacitive buttons
US8823664B2 (en) Close touch detection and tracking
CN103294319A (en) Capacitive touch screen
EP2955619A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30106702A1 (en) Proximity sensing device with keyboard function
CN104375733A (en) Touch display screen driving circuit and method
CN104881174A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adjusting sensitivity of touch screen
TW201426476A (en) Touch sensing circuit, apparatus, an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076962A (en) State control method and state control device of touch input device
US10088922B2 (en) Smart resonating pen
KR102276062B1 (en) Method for detecting a proximity touch inpu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device for the same
CN110192170B (en) Touch controller, device, terminal and touch method
CN111625174B (en)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TWI588706B (en) Touch control module for touch device and related touch control method
CN205121587U (en) Fingerprint sensing device and terminal equipment
CN106020578B (en) Single receiver super inactive mode
US20200089373A1 (en) Touch component, touch apparatus, and touch-control method
CN104750292A (en) Touch device and touch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