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54B1 -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54B1
KR102275454B1 KR1020200054455A KR20200054455A KR102275454B1 KR 102275454 B1 KR102275454 B1 KR 102275454B1 KR 1020200054455 A KR1020200054455 A KR 1020200054455A KR 20200054455 A KR20200054455 A KR 20200054455A KR 102275454 B1 KR102275454 B1 KR 10227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cells
mesenchymal stem
dise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쌍구
아브달아메드
이수빈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4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54B1/ko
Priority to PCT/KR2021/005767 priority patent/WO2021225420A1/ko
Priority to US17/997,988 priority patent/US20230277594A1/en
Priority to JP2022566733A priority patent/JP202352427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8Mesenchymal stem cells from other natural sou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45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5/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gravity, e.g. micro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4Collagen; Gela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7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 Adipose stromal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능성(pluripotent)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중간엽 줄기세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능성 줄기세포, 특히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를 출발세포로 하여 3차원 부유배양과 이를 통해 형성된 세포 응집체의 부착 배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유의 생물학적 활성이 보다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증식률을 가지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 및 연골로의 높은 분화 효율을 보이면서 우수한 염증 억제 활성을 가져, 골질환, 연골질환 또는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등의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A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본 발명은 미세중력 하의 3차원 배양 및 부착 배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 배아 줄기세포(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및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를 포함하는 인간 전능성 줄기세포(Human pluripotent stem cells, hPSCs)는 다양한 형태의 체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면서 무한정 증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들은 세포 치료 및 재생 의학에서 무제한적으로 세포 공급원을 제공함으로써 가치를 높이 평가받으며,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에 적합한 형태의 세포로 특이적으로 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분화 유도 방법, 분화된 세포의 분리 방법 및 미분화 세포의 제거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골수에서 처음 확인된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는 재생 의학에서 큰 잠재성을 가지는 전능성 세포이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세포, 연골세포, 지방세포, 근육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의 여러 유형의 중간엽 계통으로 분화될 수 있으며, 면역조절 활성을 가짐으로써 이식 촉진제, 태아 이식(fatal graft) 및 숙주 질환 등 다양한 자가면역, 염증성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제로 사용될 수 있다(Le Blanc K et al., Lancet, 363(9419):1439-1441, 2004; El-Badri N.S et al., Exp Hematol, 26(2):110-116, 1998).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 지방 조직, 제대혈, 말초혈, 신생아 조직, 태반 등의 다양한 인체 조직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나, 성인 조직에서 수득할 수 있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는 한계가 있고,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침습적인 절차가 요구되어, 공여자에게 예상하지 못한 위험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치료적 유효량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수득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재생 의학에서의 치료용 줄기세포 세포의 확보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출원 제10-2011-0107237호
본 발명자들은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임상적 유용성이 뛰어난 중간엽 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부유배양하여 수득한 배아체를 인위적으로 유도된 무중력 또는 미세중력 하의 3차원 배양기에서 배양함으로서 스페로이드를 형성하고, 이를 다시 점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배양 용기에서 부착 배양할 경우 조직 재생 및 면역조절 활성 등 고유의 약리효과가 보다 우수하면서 증식률도 뛰어난 중간엽 줄기세포를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능성(pluripotent)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중간엽 줄기세포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연골 질환,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전능성(pluripotent)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배아체(Embryoid Body, EB)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배아체를 미세중력(microgravity) 하의 생물반응기(bioreactor)에서 3차원 배양하여 스페로이드(spheroid)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페로이드를 배양 표면에 점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배양 용기에서 부착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본 발명자들은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임상적 유용성이 뛰어난 중간엽 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부유배양하여 수득한 배아체를 인위적으로 유도된 무중력 또는 미세중력 하의 3차원 배양기에서 배양함으로서 스페로이드를 형성하고, 이를 다시 점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배양 용기에서 부착 배양할 경우 조직 재생 및 면역조절 활성 등 고유의 약리효과가 보다 우수하면서 증식률도 뛰어난 중간엽 줄기세포를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줄기세포(stem cell)”는 조직을 구성하는 각 세포로 분화(differentiation)되기 전 단계의 미분화 세포로서, 특정 분화 자극(환경) 하에서 특정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세포들을 총칭한다. 줄기세포는 세포분열이 정지된 분화된 세포와는 달리 세포분열에 의해 자신과 동일한 세포를 생산(self-renewal)할 수 있고, 분화 자극이 가해지면 자극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분화의 유연성(plasticity)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줄기세포는 줄기세포의 특성, 즉 미분화, 무한정 증식 및 특정세포로의 분화능을 가져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으로 분화 유도가 가능한 세포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중간엽 줄기세포”는 지방세포, 골세포, 연골세포, 근육세포, 신경세포, 심근세포로의 분화가 가능한 다분화능(multipotency)을 가진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소용돌이 모양의 형태와 기본적인 세포표면 표식자 CD73(+), CD105(+), CD34(-), CD45(-)의 발현 정도를 통하여 식별될 수 있으며, 다분화능과 함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전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는 수정란보다 발생이 진행된 상태의 세포로서 내배엽, 중간엽 및 외배엽을 구성하는 세포로 모두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능성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 배아생식세포(Embryonic Germ Cell), 배아종양세포(Embryonic Carcinoma Cell) 또는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비-전분화능 세포(예를 들면, 체세포)에 미분화 또는 전분화능 표현형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를 삽입하여 인공적으로 유래된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하나이다.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줄기세포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염색체 메틸화, 배가시간(doubling time), 배아체 형성, 테라토마 형성, 생존성 키메라 형성, 교잡성 및 분화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천연의 전분화능 줄기세포와 동일한 표현형, 생리학적 특성 및 발생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간주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줄기세포의 분화”는 미분화 상태의 줄기세포에서 특정세포로 완전히 분화가 유도된 경우뿐만 아니라 줄기세포에서 특정세포로 완전 분화되기 전 중간 단계에서 형성되는 전구체(precursor) 세포의 형성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세포 배양액은 당, 아미노산, 각종 영양물질, 무기질 등과 같이 세포의 성장 및 증식에 필수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인 비트로에서 세포 성장 및 증식을 위한 혼합물이다. 세포 배양용 배지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성분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L-알라닌,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글루타민,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L-발린, L-아스파라긴-모노하이드레이트, L-아스파르트산, L-시스틴 2HCl, L-글루탐산, L-이소류신, L-류신, L-페닐알라닌, L-트립토판, L-티로신 디소듐염 디하이드레이트, i-이노시톨,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이아신아미드,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바이오틴, D-판토텐산칼슘, 엽산,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 염화나트륨(NaCl),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 황산동 펜타하이드레이트(CuSO4-5H2O), 황산제이철 헵타하이드레이트(FeSO4-7H2O), 염화마그네슘(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 황산아연 헵타하이드레이트(ZnSO4-7H2O),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소듐 피루베이트, 히포크산틴 Na, 리놀렌산, 리포산, 푸트레신 2HCl 및 티미딘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용 배지는 인위적으로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배양용 배지의 예는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α-MEM(Alpha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12(Nutrient Mixture F-12) 및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Nutrient Mixture F-1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는 상기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다중 웰(multi-well) 배양 용기에서 3차원 배양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3차원 배양(3-dimensional culture)”은 2차원 배양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배양대상 세포를 기질(substrate) 등에 고정시키지 않은 채로 배양액 내에서 부유(floating)하는 상태로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용어“3차원 배양”은“부유배양(suspension culture)”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부착(adhesion) 의존성인 줄기세포는 부유배양 시에 세포 응집을 일으키며, 이러한 응집에 포함되지 못하고 홀로 부유하는 세포는 세포사(apoptosis)를 유발하여 사멸하게 되므로 세포는 그 부착 특성에 맞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웰을 가지는 다중 웰에서 전능성 줄기세포를 부유배양 함으로써 웰 크기에 따른 직경의 전능성 줄기세포 응집체, 즉 배아체(Embryoid Body, EB)가 웰 수에 비례하여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단계 (a)에서는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규격화된 배아체를 대량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중 웰 배양 용기는 웰당 350um X 350um 내지 450um X 450um 크기를 가지는 마이크로웰 플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유배양은 상기 다중 웰 배양 용기 내 웰 당 0.5 x 105 - 1.5 x 105개의 세포를 분주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7 x 105 - 1.3 x 105개의 세포를, 가장 구체적으로는 0.9 x 105 - 1.1 x 105개의 세포를 분주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a)는 상기 부유 배양 시 원심 분리를 통해 세포 응집을 유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세포 응집(aggregation)”은 단일층(monolayer)이 아닌 3차원적 성장이 허용된 부유 배양 등의 환경에서 배양된 세포가 자가 조립(self aggregation)을 하면서 3차원 구조의 세포 응집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3차원 배양의 결과로 만들어진 세포 응집체는 줄기세포가 유래한 생체 내 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며, 크기 및 자가 조립된 세포의 수에 따라 구형(sphere)일 수도 있고 구형 이외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b)의 미세중력은 상기 생물반응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생물반응기에 가해지는 중력을 상쇄시키는 미세중력 모사장치에 의해 유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미세중력(microgravity)”은 중력이 존재하지 않거나, 측정 가능 수준 미만으로만 존재하거나, 또는 중력으로 인한 생물학적, 생리학적 영향이 관측되지 않는 정도로만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1 x 106g 이하의 환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미세중력”은“무중력”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미세중력 모사장치(microgravity simulator)는 정상 중력 환경 또는 유의한 중력이 존재하는 환경 내에서 인위적으로 중력을 상쇄시킴으로서 미세중력 환경을 유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미세중력 모사장치에는 예를 들어 클리노스탯(Clinostat), RPM(Random positioning machine), RWV(Rotating wall vessel)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한 외력의 부가를 통해 본 발명의 생물반응기 내의 배양환경에서 지정된 시간 만큼 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중력 모사장치는 클리노스탯(Clinostat)이다. 클리노스탯은 생물반응기와 같은 배양 용기에 결합되어 무작위적으로 혹은 지시(입력)된 패턴에 따라 계속적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회전하여 끊임없이 3차원 자세를 바꿈으로써 중력 방향의 계속적인 변동을 야기, 이를 통해 중력을 상쇄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b)는 상기 미세중력 모사장치를 40 내지 8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3 - 8일 간 배양함으로써 수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4-7일간, 가장 구체적으로는 5일간 배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계 (b)는 상기 미세중력 모사장치를 40 내지 60rpm에서 시작하여 매일 5rpm씩 증가시키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가장 구체적으로는 50rpm에서 시작하여 매일 5rpm씩 증가시키면서 5일간 배양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생물반응기(bioreactor)”는 생물학적인 활성을 가지는 배양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배양 공간과, 이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일련의 기계 장치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의 배양 장치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b)에서는 단계 (a)에서 생성된 배아체를 미세중력(micro-gravity) 하의 생물반응기에서 3차원 배양을 함으로써 스페로이드를 형성한다. 스페로이드(spheroid)는 구형의 세포 응집체를 의미하나, 기하학적으로 완전한 구형일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 (a) 및 단계 (b)에서 2차례에 걸친 3차원 부유배양을 진행한 뒤, 이를 통해 형성된 스페로이드를 점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배양 용기에 부착 배양함으로써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고분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단량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고분자에는 단독 중합체(한 종류의 단량체가 중합화된 중합체)와 적어도 2종의 상이한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혼성중합체를 포함되며, 혼성중합체에는 공중합체(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와 2종 초과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점착성 고분자”는 배양 표면과 세포 또는 그 응집체(예를 들어 스페로이드) 간의 공유 또는 비공유 결합을 통한 가교를 형성하여 세포 또는 그 응집체가 배양 용기의 바닥 또는 측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부착된 채 배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천연 또는 인공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ate), 헤파린(heparin), 후코이단(fucoidan), 셀룰로스(cellulose), 덱스트란(dextran), 키토산(chitosan), 알부민(albumin), 피브린(fibrin), 콜라겐(collagen) 및 젤라틴(gelati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젤라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또는 연골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는 (a)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발전의 억제; (b)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의 경감; 또는 (c) 질환, 질병 또는 증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 및 연골로 효율적으로 분화되어 골 또는 연골 조직의 비가역적인 양적 소실을 원인으로 한 다양한 골 또는 연골 질환의 증상의 발전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거나 또는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자체로 이들 질환 치료의 조성물이 될 수도 있고, 혹은 다른 약리성분과 함께 투여되어 상기 질환에 대한 치료 보조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용어“치료”또는“치료제”는“치료 보조”또는“치료 보조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투여”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의 체내에서 동일한 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이식”또는“주입”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식"은 수용자에게 이식된 세포의 기능적 완전성을 유지하려는 목적 하에 공여자로부터 수용자에게 생존 세포 또는 이를 수용하는 인공 지지체 등을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치료적 유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고자 하는 개체에게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함유된 조성물의 함량을 의미하며, 이에“예방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대상체”는 제한 없이 인간, 마우스, 래트, 기니아 피그,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원숭이, 침팬지, 비비 또는 붉은털 원숭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골질환"은 외상, 골절, 암세포의 골전이, 파골세포의 과다 활성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야기되는 골 조직의 손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골 질환은 예를 들어 골다공증, 골형성 부전증, 치주질환, 골절, 대사성 골염,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 연화증, 구루병, 고칼슘혈증, 다발성 골수종 및 파제트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연골 질환"은 퇴행성 관절염 등과 같이 연골 세포의 사멸 또는 연골 조직의 양적 소실로 인해 연골 조직이 원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는 LPS로 염증을 유발한 세포에서 염증 인자를 현저히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및 면역 조절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되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은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낭창, 다발성경화증, 특발성섬유성폐포염,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국한피부경화증, 전신피부경화증,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조르젠신드롬(Sjorgen's syndrome), 레이노현상(Raynaud's phenomenon), 베쳇병(Bechet's disease), 가와사키병(Kawasaki's disease), 원발성담즙성경화증(primary biliary sclerosis), 원발성경화성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olitis),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GVHD) 및 크론병(Crohn's disease)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 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투여에 적합한 단위 투여형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제형으로는 비경구투여 제제로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국소 투여용 제제로서 연고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형화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1회 투여량은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체중 1kg 당 약 1 ㎍ 내지 50 ㎎일 수 있고, 치료용 줄기세포의 투여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1일, 1 - 108 , 10 - 105, 102 - 103 개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1일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질병의 정도, 투여 경로뿐만 아니라 환자의 체중, 연령 및 성별 등과 같은 인자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전능성(pluripotent)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전능성 줄기세포, 특히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를 출발세포로 하여 3차원 부유배양과 이를 통해 형성된 세포 응집체의 부착 배양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유의 생물학적 활성이 보다 우수하면서도 뛰어난 증식률을 가지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된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 및 연골로의 높은 분화 효율을 보이면서 우수한 염증 억제 활성을 가져, 골질환, 연골질환 또는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 등의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iPSC로부터 MSC를 분화시키는 본 발명의 프로토콜을 요약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Aggrewell 상에서 형성된 배아체(EB)의 형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미세중력 생물배양기인 BAM(Bio Array Matrix) 장치를 통해서 형성된 스페로이드의 형태(상단)와 OCT4 및 DAPI 항체를 이용한 염색 결과(하단)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스페로이드에서 유래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외형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계대 후 방추(spindle) 형태를 띔을 확인하였다(우측).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MSC의 각 계대에서의 외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누적 세포 증식 곡선을 보여주는 그림으로, 각 계대별 CPD(Cummulative Population Doubling)(도 6a), 2배수 시간(Doubling time)(도 6b), 및 Log 세포 수(도 6c)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표면 마커 발현을 FACS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중간엽 줄기세포가 지방, 골 및 연골로 분화함을 Alizarin Red S, Oil Red O 및 Alcian Blue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9는 면역세포화학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유도만능 줄기세포가 전능성을 상실하고 중간엽 줄기세포의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로 분화되었음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0은 LPS를 이용한 염증 유도 세포에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분화된 줄기세포의 염증제어 효과를 확인한 실험 절차의 모식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1은 RT-PCR을 통해 염증 마커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단일 콜로니 배양
iPSC을 마트리젤(354234, corning, 미국)이 코팅된 96 웰-플레이트에 단일 세포로 부착시킨 iPSC 배지에서 일주일간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각 콜로니는 마트리젤이 코팅된 24 웰 디쉬, 6 웰 디쉬에 순서대로 계대 후 1 X 105 정도로 세포수가 늘어나면 스페로이드(spheroid) 실험에 사용하였다(도 1).
BAM 시스템을 이용한 스페로이드 생성
iPSC를 Aggrewell 플레이트(34460, stemcell, 캐나다)에 1 X 105 정도로 씨딩한 다음 300g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응집시킨 후, 5% CO2 배양기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아체(Embryoid Body, EB)를 생성하였다. 24시간 후 생성된 EB는 생물반응기(Bioreactor, CelVivo, Denmark) 안으로 조심스럽게 옮기고 생물반응기를 미세 중력장치인 BAM 시스템(CelVivo, Denmark)에 장착하여 5일간 회전하였다. 회전 시 처음에는 50rpm으로 시작하여 매일 5rpm씩 증가시켰다(도 1).
iPSC-MSC 생성
BAM 시스템에서 키운 스페로이드를 0.1% 젤라틴 코팅된 6-웰 배양접시로 옮기고 DMEM/F12에 10% FBS와 1% P/S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2-3일 마다 배지를 교체하였다. 코팅된 바닥에 붙은 스페로이드로부터 세포가 나와서, 70~80% 컨플루언시가 되면 Tryple을 사용하여 계대하였다. 첫 계대를 P0로 명명하고, 세포 모양이 균질화(homogenous)될 때까지 계대하였다.
면역세포화학(ICC) 염색을 이용한 만능성 및 중간엽 줄기 세포 확인
iPSC 단계에서 생성된 스페로이드는 생물반응기에서 일부 꺼내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PFA)로 고정하였다. iPSC의 스페로이드에서 만들어진 iPSC-MSC는 공초점 디쉬(101350, SPL, 한국)에 1 x 105의 농도로 씨딩 후 60~70% 컨플루언시에서 4% PFA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스페로이드 및 iPSC-MSC는 DPBS로 5분 간 3회 수세 후, 항체가 잘 투과할 수 있도록 0.3% Triton X-100으로 표면을 투과화하였다. 그 후 DPBS로 5분간 3회 수세하였다. 수세된 스페로이드는 블로킹을 위해 3% BSA/PBS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3% BSA/PSB를 제거한 후 1차 항체(1:200)인 Anti-OCT4, Anti-SSEA4, Anti-PDGFRβ를 넣고 냉장고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2시간 후 실온으로 꺼내고, DPBS 로 5분씩 3회 수세하였다. 수세 후 2차 항체(1:200)인 고트 항-마우스 488과 함께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 후 2차 항체를 제거하고 핵을 염색하는 DAPI 또는 Topro3로 20분 간 염색 후 DPBS로 5분씩 3회 수세하였다. 수세된 시료는 Antifade Mounting Medium(H-1000, VECTOR LABORATORY, 영국)을 사용하여 형광의 소실을 방지하였다.
iPSC-MSC 계대 및 세포 증식 곡선
iPSC-MSC 의 모양이 균질화된 계대부터 세포 형태를 기록하고 세포 수를 계산하여 증식곡선을 그렸다. P5부터 iPSC-MSC를 60mm 배양접시에 2 x 105의 세포수로 씨딩 후 5일간 배양하고 5일 동안 1회 배지를 교체하였다. 세포 증식은 3가지의 증식곡선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세포성장률(Cummulative Population Doubling level: CPD)의 세포 수는“CPD = log(나중 세포 수/처음 세포 수)/log(2)”로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세포가 두 배로 증식하는 시간인 Doubling time은 “Doubling Time = 배양일수 x log(2)/(log(나중 세포 수)-log(처음 세포 수))”로 계산하였다. 세 째, 계대시 세포 수를 계산하여 log를 취한 값인 세포 수는 “cell number= log (세포 수)”로 계산하였다. 계산된 수치는 선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 AD-MSC 및 hWJ-MSC를 사용하였다.
유세포 (FACS) 분석을 이용한 면역표현형 검사
배양 중인 세포를 TrypLE Express(10624013, gibco, 미국)를 이용하여 떼어내고, 1,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한 다음 FACS 완충액(2% FBS가 포함된 D-PBS)로 부유한 다음, 마우스 항-CD34, 마우스 항-CD45, 마우스 항-CD73, 쉽 항-CD90 로 1차 반응하였다. 이들 1차 항체는 1:500으로 희석하고 세포에 200μl씩 첨가하한 뒤 4℃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D-PBS로 세척 후 1,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 후 1:500으로 희석된 2차 항체인 래빗 항-마우스 488 또는 동키 항-쉽 PE를 200μl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염색된 세포는 FACS 완충액 500μL에 부유하여 유세포 분석기(FACS Calibur; Becton Dickinson, Heidelberg, Germany)로 유새포 분석을 수행하였고, Cell Quest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골 형성, 지방 및 연골 분화유도
3개 계열로의 분화 유도를 위해, 24-웰 용기에 세포를 2 x 104 /well로 부착시키고, 80%의 밀도에 도달하였을 때, 분화를 시작하였다.
골 형성 분화를 위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저 글루코스(Invitrogen, CA, USA)에 10% FBS,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100 nM 덱사메타손(Sigma-Aldrich, MO, USA), 50μg/ml 아스코르베이트-2-포스페이트(Sigma-Aldrich, MO, USA) 및 10 mM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Sigma-Aldrich, MO, USA)를 첨가하였다. 분화 배지는 2주 간 2일마다 교체하였다. 분화가 끝난 시점에 세포를 4% PFA로 15분 간 고정 후 멸균수로 수세하였다. 분화 검증은 Alizarin Red S 염색법을 사용하여 축적된 광물질 인산칼슘의 염색에 의해 수행하였다.
지방 분화를 위하여, DMEM-고 글루코스에 10% FBS, 1% P/S, 500μM 이소부틸메틸잔틴, 1μM 덱사메타손, 100μM 인도메타신, 그리고 10μg/ml 인슐린을 첨가하였다. 분화 배지는 2주 동안 3일마다 교체하였다. 분화가 끝난 시점에 세포는 4% PFA 로 15분간 고정 후 멸균수로 1차 수세 후, 60% 이소프로판올로 2차 수세하였다. 분화 검증은 이소프로판올(wt/vol)로 희석된 5% Oil Red O를 이용한 세포 내 축적된 지질 염색을 통해 수행하였다.
연골 분화를 위하여, DMEM-고 글루코스에 2% FBS, 1% P/S, 50μg/mL 아스코르베이트-2-포스페이트, 100 μg/mL 나트륨 피브루산염, 1% 인슐린-트랜스페린-셀레늄(ITS, Gibco), 100 nM 덱사메타손, 40μg/mL L-프롤린 및 10 ng/mL TGF-β3 (Prospec, East Brunswick, NJ, USA)를 첨가하였다. 분화 배지는 2주 동안, 2일마다 교체하였다. 분화가 끝난 시점에 세포는 4% PFA로 15분간 고정 후 멸균수로 수세하였다. 분화 검증을 위해 글리코사미노글리칸과 같은 산성 무코 다당류를 염색하는 Alcian blue로 염색하였다.
항염증 세포 모델
본 발명의 iPSC-MSC의 항염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염증 세포모델에 사용하는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다. Raw 264.7 세포는 10% FBS 및 1% P/S가 함유된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 배지에서 키웠다. 먼저, 배양 용기에서 iPSC-MSC를 48시간 배양 후, 컨디션 배지를 모은 다음, 0.20㎛ 주사기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후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웰 당 3.75 X 105로 6-웰 배양접시에 나눠서 접종하였다. 12시간 후 세포가 부착되면 준비된 컨디션 배지로 교체하였다. 다시 12시간 후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을 제외하고 컨디션 배지 군을 포함한 모든 군에 LPS(lipopolysaccharide, Sigma, 미국) 200ng/㎖를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LPS와 DEX(Dexamathasone, Peprotech, 미국)를 1uM로 처리하였다. 7시간 뒤 이미지 기록하고 총 RNA를 분리 후 염증 마커인 IL-6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한다.
총 RNA 분리, RT-PCR
Labo Pass Kit, TRIzol(Cosmogenetech, Seoul, Korea)을 사용하여 제조자의 매뉴얼에 따라 Raw264.7 세포의 총 RNA를 추출하였다. 전체 RNA의 농도는 Nanodrop (ND1000) 분광 광도계(Nanodrop Technologies Inc., Wilmington DE, USA)로 측정하였다. 총 RNA 2μg 및 M-MLV 역전사효소(Promeg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cDNA을 합성하였다. RT-PCR 반응은 끝난 후 2% 아가로스 젤에서 분석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표 1에 나열하였다:
RT-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
유전자 정방향 역방향
IL-6 GTC CTT CCT ACC CCA ATT TCC A TAA CGC ACT AGG TTT GCC GA
GAPDH CTC ACT CAA GAT TGT CAG CA GTC ATC ATA CTT GGC AGG TT
실험결과
BAM 시스템을 이용한 스페로이드 생성
Aggrewell 플레이트에 올려진 iPSC는 24시간 후 모양과 크기가 균질한 둥근 EB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도 2).
면역세포화학 염색을 통한 스페로이드의 만능성 세포 확인
스페로이드를 만능성 마커인 OCT4로 염색을 하였을 때, 녹색으로 염색이 되었으며, 핵을 염색하는 DAPI로 염색하였을 때, 특이적으로 핵 부위에 녹색과 파란색으로 염색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CT4가 핵에서 발현됨을 알 수 있으며 iPSC에서 유래한 스페로이드가 만능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도 3).
iPSC-MSC 생성
0.1% 젤라틴으로 코팅된 배양접시에서 스페로이드(검은색 화살표)가 바닥에 부착되었으며, 세포가 돌출하여 나오는 것(흰색 화살표)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돌출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70~80% 컨플루언시에서 계대하였다. 계대를 진행할수록 세포 모양이 방추형(흰색 점선 화살표)으로 균질화되었다(도 4).
iPSC-MSC 계대 및 세포 증식 곡선
iPSC-MSC는 P5부터 세포가 방추형태를 띄며 P13까지 계대할 수 있었다(도 5). 그 후 세포는 저장액을 만들어 LN2에 저장하였다. 세포 증식 곡선은 대조군인 hWJ-MSC, AD-MSC와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AD-MSC는 P9까지 세포 수가 늘어나다가 이후 감소하며, hWJ-MSC는 P13에서도 꾸준히 세포가 증식하였다. iPSC-MSC는 대조군보다 CPD 및 누적 세포 수가 월등히 높으며, 2배수 시간도 대조군보다 빨랐다(도 6).
유세포 분석(FACS)을 이용한 면역표현형 검사
FACS 분석결과 대조군인 AD-MSC와 비교하여 iPSC-MSC가 항-CD73, 항-CD90에 대해 양성이고 항-CD34, 항-CD45는 음성임을 확인하였다(도 7). 이를 통해, BAM 시스템을 통해 만들어진 iPSC-MSC가 중간엽 줄기세포의 명확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골 형성, 지방 및 연골 분화유도
AD-MSC와 iPSC-MSC를 이용하여 골 형성, 지방 및 연골 분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2주간 분화 후 각각 Alizarin Red S, Oil Red O, Alcian Blue로 염색한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AD-MSC와 유사하게 iPSC-MSC도 골, 지방 및 연골로 분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골 형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을 관찰하였다(도 8).
면역세포화학 염색을 통한 iPSC-MSC의 중간엽 줄기 세포 확인
iPSC-MSC 세포를 만능성 마커인 OCT4, SSEA4와 중간엽 줄기세포 마커인 PDGFRβ를 이용하여 ICC를 진행하였다. iPSC-MSC에서는 녹색으로 염색된 OCT4, SSEA4 마커에서는 녹색으로 염색된 세포가 적었으며, 녹색 PDFGRβ 마커에서는 녹색으로 염색된 세포가 많이 분포하였다. 이를 통해 iPSC-MSC가 전분화능을 상실하면서 중간엽 줄기세포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염증 세포 모델
염증 실험결과 LPS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는 둥근 세포가 관찰되며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한 세포에서는 커다란 다핵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양성 대조군인 LPS와 DEX를 처리한 군에서는 다핵세포가 관찰되지 않으며, iPSC-MSC의 컨디션 배지를 처리한 군에서도 커다란 다핵세포를 볼 수 없었다. RT-PCR을 통해서 IL-6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LPS를 처리한 군은 98%로 높았으며, LPS+DEX를 처리한 군에서 14%로 낮았고, iPSC-MSC 컨디션 배지를 처리한 군은 각각 65%가 발현되었다. 따라서, iPSC-MSC 컨디션 배지를 처리한 군이 LPS보다 낮은 수준으로 IL-6가 발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도 11)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A Method for 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from Pluripotent Stem Cell <130> HPC-9278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F primer <400> 1 gtccttccta ccccaatttc ca 22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6 R primer <400> 2 taacgcacta ggtttgccga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 primer <400> 3 ctcactcaag attgtcagc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 primer <400> 4 gtcatcatac ttggcaggtt 20

Claims (14)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전능성(pluripotent)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작하는 방법:
    (a) 대상체로부터 분리된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다중 웰(multi-well) 배양 용기에서 3차원 배양하여 배아체(Embryoid Body, EB)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배아체를 미세중력(microgravity) 하의 생물반응기(bioreactor)에서 3차원 배양하여 스페로이드(spheroid)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페로이드를 배양 표면에 점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배양 용기에서 부착 배양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C) 또는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3차원 배양 시 원심 분리를 통해 세포 응집을 유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미세중력은 상기 생물반응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생물반응기에 가해지는 중력을 상쇄시키는 미세중력 모사장치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미세중력 모사장치를 40 내지 8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3 - 8일 간 배양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미세중력 모사장치를 40 내지 60rpm에서 시작하여 매일 5rpm씩 증가시키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긴산(alginate), 헤파린(heparin), 후코이단(fucoidan), 셀룰로스(cellulose), 덱스트란(dextran), 키토산(chitosan), 알부민(albumin), 피브린(fibrin), 콜라겐(collagen) 및 젤라틴(gelati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젤라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작한 중간엽 줄기세포.
  12. 제 11 항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또는 연골 질환 치료용 조성물.
  13. 제 11 항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전신성 홍반성 낭창, 다발성경화증, 특발성섬유성폐포염,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국한피부경화증, 전신피부경화증, 대장염, 염증성 장질환, 조르젠신드롬(Sjorgen's syndrome), 레이노현상(Raynaud's phenomenon), 베쳇병(Bechet's disease), 가와사키병(Kawasaki's disease), 원발성담즙성경화증(primary biliary sclerosis), 원발성경화성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olitis),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 GVHD) 또는 크론병(Crohn's dise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00054455A 2020-05-07 2020-05-07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KR10227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5A KR102275454B1 (ko) 2020-05-07 2020-05-07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PCT/KR2021/005767 WO2021225420A1 (ko) 2020-05-07 2021-05-07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US17/997,988 US20230277594A1 (en) 2020-05-07 2021-05-07 Method for differentiating mesenchymal stem cell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JP2022566733A JP2023524276A (ja) 2020-05-07 2021-05-07 全能性幹細胞から間葉系幹細胞を分化させ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455A KR102275454B1 (ko) 2020-05-07 2020-05-07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54B1 true KR102275454B1 (ko) 2021-07-09

Family

ID=7686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455A KR102275454B1 (ko) 2020-05-07 2020-05-07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77594A1 (ko)
JP (1) JP2023524276A (ko)
KR (1) KR102275454B1 (ko)
WO (1) WO20212254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3712B (zh) * 2024-02-02 2024-05-10 深圳市北科生物科技有限公司 多能干细胞分化获得间充质干细胞的三维诱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237A (ko) 2010-03-24 2011-09-30 동아제약주식회사 에피루비신 염산염의 신규한 결정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0524D0 (en) * 2008-01-14 2008-02-20 Univ Brighton Cell culture system
CN101892195B (zh) * 2009-11-19 2012-05-16 浙江大学 提高骨髓间充质干细胞向成骨细胞分化能力的培养方法
WO2013130075A1 (en) * 2012-02-29 2013-09-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ulture system for stem cell propagation and neural and oligodendrocyte specification in microgravity
CN105734017B (zh) * 2014-12-09 2019-11-12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促进间充质干细胞向神经前体细胞定向分化、增殖的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237A (ko) 2010-03-24 2011-09-30 동아제약주식회사 에피루비신 염산염의 신규한 결정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vol.41, pp.15~25(201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4276A (ja) 2023-06-09
WO2021225420A1 (ko) 2021-11-11
US20230277594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4317B2 (ja) 生体組織から単離できる多能性幹細胞
Huang et al. Plasticity of stem cells derived from adult periodontal ligament
KR102108245B1 (ko) 중간엽 간질 세포 및 이에 관련된 용도
US20100105132A1 (en)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nd preparation thereof
JP4439396B2 (ja) 神経系細胞の製造方法
US9725697B2 (en) Chondrogenic progenitor cells, protocol for derivation of cells and uses thereof
AU2011236653A1 (en) Chondrogenic progenitor cells, protocol for derivation of cells and uses thereof
Cho et al. Tonsil-derived stem cells as a new source of adult stem cells
Tomokiyo et al. Generation of neural crest‐like cells from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deriv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Kim et al. Characterization of human fetal cartilage progenitor cells during long-term expansion in a xeno-free medium
KR102275454B1 (ko) 전능성 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KR20110095218A (ko) PI3K/AKT/GSK3 경로를 통해 성체줄기세포의 증식, 다분화능 및 재프로그래밍을 촉진하는 CD49f
de Matos et al. Pluripotent-derived mesenchymal stem/stromal cells: an overview of the derivation protocol efficacies and the differences among the derived cells
JP7157896B2 (ja) 筋肉由来の前駆細胞分化した細胞を取得する方法
JP2022189188A (ja) 間葉系幹細胞の製造方法
KR20140016841A (ko) 태아연골조직유래 줄기세포원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Zhang et al. Isol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muscle-derived stem cells from sheep skeletal muscle
KR102180733B1 (ko) 탈지우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리용 조성물
Higuchi et al. Stem Cell in Medicine
Rajput et al. Expansion of human umbilical cord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regenerative medicine
WO2023172225A1 (en) A method and culture medium formulation which can be used for the deriv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KR20230006683A (ko) 미분화 줄기세포 스페로이드를 포함하는 이식용 조성물
Pelekanos Derivation of mesenchymal stem/stromal cells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en et al. Cognizance of stem cells: A g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