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08B1 -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08B1
KR102274808B1 KR1020200028927A KR20200028927A KR102274808B1 KR 102274808 B1 KR102274808 B1 KR 102274808B1 KR 1020200028927 A KR1020200028927 A KR 1020200028927A KR 20200028927 A KR20200028927 A KR 20200028927A KR 102274808 B1 KR102274808 B1 KR 10227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bacter pylori
korean
compound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민
정원민
신승미
길영숙
이동열
김상곤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2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제 보다 증진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생육저해 효능을 가지면서도 독성도 없어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및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인해 유발된 위장 질환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radicating Korean helicobacter pylori comprising compounds from fruits of Cudrania tricuspidata}
본 발명은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위에 기생하는 나선형 모양의 세균으로 인체에 만성, 급성위염, 위궤양 및 위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병원체이다. 한국인의 60% 이상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이 위장내 점막하층까지 퍼지게 되면 위궤양으로 발전하게 되고, 위암으로 바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감염되면 위암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3~5배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제균을 위해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이나 아목시실린(amoxicillin)과 같은 항생제가 병용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3중 치료법으로 2~3주 동안 치료를 요구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위궤양 및 소화성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타겟으로 하는 항생제의 사용을 허가하였지만, 헬리코박터를 비롯한 그램 음성균 전체를 타겟으로 하는 항생제의 장기적 복용은 유해균뿐 아니라 유익균의 공동 사멸,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장내미생물균총 교란 등 다양한 부작용을 유도하여 궁극적인 치료법이 되지 못하는 것이 실정이다.
한편 한국인의 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51(Helicobacter pylori 51)가 분리되었다. 이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주는 기존에 밝혀진 서양인의 위에서 분리된 균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26695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J99에서 나타나지 않는 특이적으로 유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항생제의 사용에 따른 내성균 출현 등의 부작용은 적으면서도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대체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4-0072913호 공개특허 10-2019-013289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특정 화합물이 놀랍게도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B.)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꾸지뽕나무 잎은 한방에서 습진, 유행성 이하선염, 당뇨, 만성요퇴통, 타박상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줄기는 주로 부인들의 붕중과 혈결의 치료에, 열매는 청열과 양혈을 다스리는 데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민간에서 열매는 강장, 중풍, 이뇨 및 진해 등의 치료약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꾸지뽕나무 열매의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에서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화합물 1)일 수 있다: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1
[화학식 1].
C25H26O6
또한 발명에서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화합물 2)일 수 있다: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2
[화학식 2].
C20H16O5
본 발명의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하기 화학식 3 ~ 화학식 6의 화합물들(화합물 3~6)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4
[화학식 4],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5
[화학식 5],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6
[화학식 6].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인 상기 화합물들은 꾸지뽕나무의 열매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추가로 비극성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을 얻은 후, 분획물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일례로서 꾸지뽕나무 열매를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감압농축한 조추출물을 메탄올에 현탁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순서로 용매 분획하여 감압농축하여 얻은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14개의 소분획물을 얻고, 9번째 소분획물에서 재결정, 또는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화합물 1~5를 분리할 수 있으며, 11번째 소분획물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화합물 6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합물 1~6은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생육저해)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1~6은 메트로니다졸(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제) 보다 우수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생육저해 효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화합물 1~4 및 6은 저농도 (25 μM)에서도 메트로니다졸에 비하여 2배 이상 증진된 제균 효능을 나타낸다 (도 2a, 도 2b).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제균 효과를 나타내는 농도 범위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다 (도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합물 3 ~ 화합물 6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기 화합물들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형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또는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 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성 식품은 화합물 3 ~ 화합물 6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들에 추가로 식품 제조시에 통상적으로 첨가가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단백질, 당류,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가 있다. 당류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사용될 수 있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은 정제, 환제, 분말, 액상차, 음료, 과자,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식품첨가제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종래 알려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제 보다 증진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생육저해 효능을 가지면서도 독성도 없어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및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인해 유발된 위장 질환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은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와 더불어 항염증 활성도 가져서 활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들의 분리 공정도의 일례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들의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능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들의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발명에 따른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들의 항염증 활성을 분석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꾸지뽕나무 열매로부터 화합물 1 ~ 화합물 6의 분리
산청 및 진주에서 재배되고 있는 꾸지뽕나무 열매를 수확하고 건조하여 7 kg의 건조중량을 얻었고 이 꾸지뽕나무 열매를 90% 메탄올 20 L를 이용하여 침지 추출을 3반복 실시한 후, 추출된 용액(추출액)을 No.2 종이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으며 대형회전감압농축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약 1.09 kg의 조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조추출물 300 g을 5% 메탄올 1 L에 현탁시킨 후 헥산, 크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물(H2O) 층으로 용매 분획을 반복 시행하여 분획물들을 모은 후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감압여과 및 농축 후 동결건조를 통해 활성물질 다수가 확인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5g을 ODS-25 (YMC-DispoPack AT) 40 g 칼럼을 이용한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으며, 시료는 한번에 1 g 씩 나눠서 주입하였고, 10% 메탄올부터 100% 메탄올로 기울기용리 조건으로 반복 시행하여 14개의 소분획물(분획물 E1 - E14)을 얻었다. 소분획물 E4로부터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CUF-1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소분획물 E8로부터 Kinetex 5μ Biphenyl 100 (250 × 21.2 ㎜) 칼럼을 이용한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으며, CUF-2 화합물, CUF-3 화합물, CUF-4 화합물를 분리하였다. 소분획물 E9의 재결정을 통해 CUF-7 화합물 (화합물 3)을 얻었다. 소분획물 E9로부터 Kinetex 5μ Biphenyl 100 (250 × 21.2 ㎜) 칼럼을 이용한 분취용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CUF-5 화합물 (화합물 2), CUF-6 화합물 (화합물 1), CUF-8 화합물 (화합물 4), CUF-9 화합물 (화합물 5), CUF-10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소분획물 E11부터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CUF-11 화합물 (화합물 6)을 분리하였다 (도 1).
분리된 각 화합물들을 HNMR과 Mass Spectrum을 통해 다음과 같이 구조식, 분자량 등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7
시험예 1: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능 분석
제조예 1에서 분리된 화합물들의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능을 분석하였다.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주로는 Helicobacter pylori strain 5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분리균주은행(HKTCC), 경상대학교 소재)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균주를 말 혈청(Gibco, New York, USA)이 10% 첨가된 브루셀라 한천배지(BD company, Sparks, MD, USA) 위에 떨어뜨린 후 일회용 플라스틱 접종자를 이용하여 표면에 고르게 도말한 후 37 ℃, 습도 100%, 10% CO2 배양기에서 2 ~ 3일간 배양하였으며, 24 시간마다 계대배양하였다. 브루셀라 한천배지에 배양한 균을 접종자로 긁은 다음 브루셀라 액체배지에 현탁하였다. 6-웰 플레이트에서 현탁한 균액의 광학밀도(OD 600)를 측정한 다음 그 값이 0.2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한 균액을 2% 함유한 브루셀라 한천배지를 준비하였다.
제조예 1에서 분리된 각각의 화합물을 25 μM, 100 μM이 되도록 8 mm 종이디스크(Advantec, Japan)에 흡수시킨 후, 각각의 종이디스크를 상기에 준비된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1시간 정도 실온에서 확산시킨 후, CO2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하면서 종이디스크 주위에 생성된 클리어 존(clear zone)의 지름을 측정하여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써 기존에 판매되고 있는 제균제인 메트로니다졸 (Metronidazole)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화합물 1 ~ 6은 25 μM 농도로 처리시에 모두 양성대조군인 메트로니다졸 보다 우수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화합물 1~4 및 6은 약 2배 이상 증진된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제균 효과를 나타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화합물 1 ~ 6은 100 μM 농도로 처리시에 거의 100%에 가까운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2: 세포독성 분석
제조예 1에서 분리된 각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분석하였다.
<마우스대식세포 독성>
마우스대식세포(Raw 264.7 세포, KCLB 40071)를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각각 100 unit/ml 첨가되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5%의 CO2하에 37℃로 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다. Raw 264.7 세포의 농도를 2x105 cells/ml으로 조정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화합물을 25 μM 및 50 μM로 처리한 다음 24시간을 배양시킨 후에 MTT 분석시약 (CellTiter 96® aqueous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 Promega,WI, USA)을 첨가하여 배양기(37℃, 5% CO2)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로 환산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50 μM 처리 결과를 도 3a에 나타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화합물들은 모두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CF-7 세포 독성>
MCF-7 세포를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이 각각 100 unit/ml 첨가되고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서 5%의 CO2하에 37℃로 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였다. 세포의 농도를 4x103 cells/ml으로 조정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각각의 화합물을 25 μM 및 50 μM 로 처리한 다음 24시간을 배양시킨 후에 MTT 분석시약 (CellTiter 96® aqueous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 Promega,WI, USA)을 첨가하여 배양기(37℃, 5% CO2)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 Molecular Devices, USA)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로 환산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50 μM 처리 결과를 도 3b에 나타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인 화합물들은 모두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항염증 활성 분석
제조예 1에서 분리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예 2에서와 같이 계대배양된 Raw 264.7 세포에 LPS (100 ng/ml)로 첨가하고 각각의 화합물을 50 μM 농도로 첨가한 후 배양기(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NO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배양 후 상층액 100 ㎕를 취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 (Griess Reagent System(Promega,WI, USA)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멀티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Max M5(Molecular Devices,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을 DMEM 배지에 용해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LPS를 처리한 대조군(control)과 LPS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normal)에서 생성된 아질산염의 양 차이를 기준으로 각 시료의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염증유발 물질인 LPS를 처리한 군에 비하여 2 내지 10배 이상의 염증 억제 효과를 보였다.

Claims (7)

  1.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조성물:
    Figure 112020024618311-pat00008
    [화학식 1].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하기 화학식 3 ~ 화학식 6의 화합물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Figure 112020024618311-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20024618311-pat00011
    [화학식 4],
    Figure 112020024618311-pat00012
    [화학식 5], 및
    Figure 112020024618311-pat00013
    [화학식 6].
  4. 삭제
  5.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Figure 112021501756135-pat00018
    [화학식 1].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하기 화학식 3 ~ 화학식 6의 화합물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Figure 112021501756135-pat00020
    [화학식 3],
    Figure 112021501756135-pat00021
    [화학식 4],
    Figure 112021501756135-pat00022
    [화학식 5], 및
    Figure 112021501756135-pat00023
    [화학식 6].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증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200028927A 2020-03-09 2020-03-09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KR10227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27A KR102274808B1 (ko) 2020-03-09 2020-03-09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927A KR102274808B1 (ko) 2020-03-09 2020-03-09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08B1 true KR102274808B1 (ko) 2021-07-07

Family

ID=7686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927A KR102274808B1 (ko) 2020-03-09 2020-03-09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913A (ko) 2003-02-11 2004-08-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인 유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51 균주의 신규 유전자
KR20190132891A (ko) 2018-05-21 2019-11-29 (주) 피러스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제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913A (ko) 2003-02-11 2004-08-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인 유래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51 균주의 신규 유전자
KR20190132891A (ko) 2018-05-21 2019-11-29 (주) 피러스 잣나무 부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 제균 효과를 갖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nzyme Inhibition and Medicinal Chemistry, 28(6) 1156-1161 (201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0734A1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ngh et al. Efficacy of Desmodium gangeticum extract and its fractions against experimental visceral leishmaniasis
Akkol et al. Isol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cherry laurel (Laurocerasus officinalis Roem.) leaves through bioassay-guided procedures
KR100898758B1 (ko)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패과식물의 추출물
KR101348729B1 (ko) 유데스만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74808B1 (ko) 꾸지뽕나무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KR101019733B1 (ko) 구절초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922551B2 (ja) 生理活性フェノール性化合物を強化してなるメープルシロップ
KR101811848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스테비오사이드 함유 복합체
KR101119410B1 (ko) 회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93558B1 (ko)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KR102293400B1 (ko)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101063A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관지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461B1 (ko) 백미 추출물의 디옥시퍼굴라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결핵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11003B1 (ko) 비수리의 초음파 추출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20170138307A (ko) 비수리의 초음파 추출물 및 이의 추출방법
KR101028864B1 (ko) 배무채로부터 설포라펜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100518360B1 (ko) 토대황에서 분리한 퀘르세틴-3-오-베타-디-글루쿠로니드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위염 및 역류성 식도염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35127A (ko) 곰피와 감태 추출물 유래의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억제용 조성물
KR20090121821A (ko) 벌개미취 추출물, 벌개미취 분획물, 이로부터 분리한짐나스테르코리아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암 예방용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028865B1 (ko) 무로부터 설포라펜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4182004A1 (ko) 까마귀쪽나무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4962A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