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312B1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312B1
KR102273312B1 KR1020200124764A KR20200124764A KR102273312B1 KR 102273312 B1 KR102273312 B1 KR 102273312B1 KR 1020200124764 A KR1020200124764 A KR 1020200124764A KR 20200124764 A KR20200124764 A KR 20200124764A KR 102273312 B1 KR102273312 B1 KR 10227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
disease
thermal imaging
biometr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프로
Priority to KR102020012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은 젖소의 이동통로에 위치하여 젖소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젖소 식별장치,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 젖소의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젖소를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 중 하나로 가이드하는 게이트를 개폐하는 가이드 장치, 및 상기 젖소 식별장치로부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수신하여, 해당 젖소의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Dairy cow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thermal camera}
본 발명은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젖소의 유방염과 발목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건강한 우유를 생산하고 젖소들의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젖소는 하루에 두 번씩 착유를 통해 우유를 생산한다. 우유를 생산하는 젖소의 유방은 서로 독립한 4개의 분방으로 되어있고 각각에 유두가 달려 있으며, 한분방에서 합성하는 우유는 다른분방으로 가지 못한다. 따라서, 각각의 유구에서 생성된 유즙은 옆의 다른 유구로 이행되지 않고 유구안에 있는 도관을 통해 독립적으로 분비 되며, 한유구가 유방염에 걸려도 그염증이 다른 유구에 전파되지않는다. 유방의 중량은 11 내지 27kg 이지만 착유전에는 약 30 내지 70kg에 달한다. 우유는 유방에 대량으로 보내어지는 혈약성분에 의해 유선상피세포에서 24시간 연속으로 만들어 진다. 1kg의 우유를 생산하게 위해서는 약500L의 혈액이 필요. 하루에 50kg우유를 생산하는 소에서는 약 25,000L의 혈액이 유방으로 보내져야 한다. 유선은 분비조직과 결합조직으로 되어 있다.
유방염은 유선조직의 염증을 의미한다. 유선조직에서 우유를 생산하는데, 우유를 생산하는 유선조직에 염증이 생기면 우리가 마시는 우유에 염증이 같이 섞여 마시게 되어, 건강에 악영향에 미칠 수 있다. 유방염에는 전염성 유방염, 환경성 유방염등으로 나눌수 있으며 유방염 예방으로 현재에는 전염성유방염인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유방염에 대해서 예방 접종을 하고 있는데 예방 접종을 통하여 유방염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다. 젖소는 오염된 환경에서 사육되고 있어 예방자체가 불가능하다. 번식기와 임신중에 있는 미경산우의 95%는 유방염 원인균에 감염되어 있고, 이들중 35%는 황색포도상구균이 발견된다. 미경산우가 유방염에 걸린확율은 첫 번째 산차에 22.8%, 2산차 비유기에는 25.6%, 3산차 비유기에는 34.7%로 높아진다. 즉, 유방염은 조기발견해서 치유를 해야 건강한 우유를 생산할 수 있다.
유방염에 걸린 소들은 국내의 경우, 항생제 주사후 15일 정도 치유하고, 국외의 경우, 축산 선진국인 뉴질랜드 30일 동안 치유한다. 즉, 항생제를 주사하면 최소 15일 정도, 길면 한달정도 우유 생산을 중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우유를 생산함에 있어서, 기존 시스템은 생산된 우유를 가지고 성분 조사를 하는데 사후 조사에 의해 유방염에 걸린 젖소들의 우유도 생산되어 지는 문제가 있다.
젖소가 유방염에 걸리면 사람의 눈으로 관찰하여 알기 어렵고, 사람의 눈으로 관찰이 될 때는 이미 유방염이 심하게 진행된 상태라서 그동암 유방염의 염증이 우유에 섞여졌다고 볼수 있다. 유방염에 걸리면 항생제 주사를 맞고 한달정도의 우유 생산을 못하게 하고 있는데, 유방염을 미리 확인하여 조기 치료가 가능하도록 유방염 등의 질병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젖소가 발목병에 걸려 걷지를 못하면 바로 도축으로 들어 가게 되는데, 발목병에 대해서도 미리 확인하여 조기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8227호(2015.10.13.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270689호(2013.06.04.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젖소의 유방염과 발목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건강한 우유를 생산하고 젖소들의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은 젖소의 이동통로에 위치하여 젖소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젖소 식별장치;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 젖소의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젖소를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 중 하나로 가이드하는 게이트를 개폐하는 가이드 장치; 및 상기 젖소 식별장치로부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수신하여, 해당 젖소의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젖소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는, 젖소의 귀에 장착되어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정보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이동통로 양측면에 위치하여 유방 및 발목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이동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유두 및 유방을 촬영하는 제3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로 가이드할 젖소의 접근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열화상을 이용하여 젖소의 발열여부 및 발열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젖소를 상기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로 가이드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가이드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방염 또는 발목병 등 질병에 걸린 젖소들을 미리 확인하여 착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건강한 우유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질병에 걸린 젖소들에 대한 조기 치료가 가능하여 폐사율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측정장치의 구현예인 귀 태그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은 젖소 식별장치(110),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120), 가이드 장치(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젖소 식별장치(110)는 젖소의 이동통로에 위치하여 젖소(200)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21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젖소 식별장치(110)는 젖소(200)가 초원 등 야외에서 활동하다 유축시간이 되서 착유소로 이동하는 이동통로에 위치할 수 있다. 젖소(200)가 이동통로로 진입하면, 젖소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210)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한다. 생체측정장치(210)로부터 수신하는 생체정보는 해당 젖소의 식별정보 및 젖소의 체온, 움직임정보, 혈압 등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젖소(200)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210)는 도 2와 같이, 생체정보 측정부(211) 및 통신부(212)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내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부(211)는 젖소(200)의 귀에 장착되어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부(211)는 젖소(200)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부(211)는 젖소(200)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센서, 젖소(200)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체온측정센서는 젖소(200)의 체온을 측정하는 센서로, 서미스터를 이용할 수 있다.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저항을 이용하여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을 온도로 환산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서미스터는 NTC 서미스터 및 PTC 서미스터로 구분되며, 체온측정센서는 이외에도 다양한 온도측정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젖소(200)의 체온 뿐만 아니라, 젖소(200)가 위치하는 환경의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맥박측정센서는 젖소(200)의 맥박을 측정하는 센서로, 혈관의 압력의 변화를 통해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젖소(200)의 피부에 광, 음파, 또는 전자기파 등을 송신 및 수신하고, 송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 젖소(200)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정보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젖소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방향, 이동속도, 행동분석을 통해 움직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젖소의 움직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212)는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생체측정장치(210)의 통신부(212)는 생체정보 및 젖소의 식별정보를 젖소 식별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12)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RFID, NFC,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생체정보의 종류나 생체정보 신호의 크기에 따라 이용하는 통신이 달라질 수 있으며, 큰 용량의 전송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생체측정장치(210)는 도 3과 같이 본체(214)와 고정부(213)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4)에는 통신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3)에는 생체정보 측정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3)는 젖소(200)의 귀를 관통하도록 첨예부가 형성되며, 젖소(200)의 체온 등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체온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열전도가 낮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면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2중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생체정보 측정부(211)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센서는 본체(214) 또는 고정부(213)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120)는 이동통로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통로에 위치하는 열화상 카메라(120)는 이동통로를 통과하는 젖소를 촬영하여 열화상을 생성한다. 열화상 카메라(120)에서 생성된 열화상은 젖소의 발열여부 및 발열위치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20)는 젖소의 유두 및 유선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20)는 IR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모두 포함하여, 열화상 및 일반 화상 이미지를 생서할 수 있다. 열화상은 젖소(200)의 체온을 측정하는데 이용되고, 일반화상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질병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120)는 이동통로 양측면에 위치하여 유방 및 발목을 촬영하는 제1 열화상 카메라(121)와 제2 열화상 카메라(122) 및 이동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유두 및 유방을 촬영하는 제3 열화상 카메라(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이동경로(500)의 양측면(410, 420)에 각각 제1 열화상 카메라(121) 및 제2 열화상 카메라(122)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열화상 카메라(121)는 젖소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1 방향(410)으로 설치되고, 제2 열화상 카메라(122)는 젖소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2 방향(420)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열화상 카메라(121)와 제2 열화상 카메라(122)는 유방 및 발목을 촬영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유방을 촬영시 유두와 유선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열화상 카메라(123)는 이동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제3 방향(430)으로 설치되어 아래에서 젖소(200)의 유두 및 유방을 촬영할 수 있다.
가이드 장치(130)는 젖소(200)의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젖소(200)를 착유소(300) 또는 질병치료소(400) 중 하나로 가이드하는 게이트를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장치(130)는 젖소(200)의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젖소(200)가 우유를 생산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젖소(200)를 착유소(300)로 가이드하고, 우유를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질병에 걸려 치료가 필요한 경우, 해당 젖소(200)를 질병치료소(400)로 가이드하도록 게이트를 개폐한다. 여기서, 게이트는 문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형태의 게이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이드 장치(130)는 도 5와 같이, 통신부(131), 개폐구동부(132) 및 게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1)는 제어부(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생체정보 및 열화상을 이용하여 젖소(200)의 질병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어부(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개폐구동부(132)는 상기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로 가이드할 젖소의 접근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게이트를 개폐한다. 개폐구동부(132)는 게이트를 개폐하는 장치로 가이드할 젖소(200)가 게이트에 접근하면, 게이트를 개폐하여 젖소(200)가 착유소(300) 또는 질병치료소(400)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게이트는 착유소 게이트(133)와 질병치료소 게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젖소(200)를 착유소(300)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유소 게이트(133)를 열고, 질병치료소 게이트(134)를 닫아 젖소(200)가 착유소(3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젖소(200)를 질병치료소(400)로 이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착유소 게이트(133)를 닫고, 질병치료소 게이트(134)를 열어 젖소(200)가 질병치료소(4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젖소 식별장치(110)로부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수신하여, 해당 젖소의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에 따라 가이드 장치(13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젖소의 생체정보 및 열화상을 이용하여 젖소의 질병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한다. 젖소(200)가 유방염에 걸리면 초기에 유방(유선)의 오도가 올라가고, 심해지면 몸 전체의 온도가 올라간다. 또한, 젖소의 3대 질병인 발목병에 걸리는 경우, 초기에 발목의 온도가 올라간다. 이와 같이, 온도의 상승을 측정하여 젖소의 질병 및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열화상을 이용하여 젖소의 발열여부 및 발열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정보에 포함된 젖소(200)의 체온과 열화상에서 측정되는 체온을 크로스 체크를 통해 젖소(200)의 발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일 때, 발열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발열부위에 따라 발열판단 기준치가 달라질 수 있다. 유방에 대한 발열판단 기준치가 발목에 대한 발열판단 기준치보다 높을 수 있다. 발열판단 기준치는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두 측정인자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합산 내지 평균을 이용하되, 두 측정인자 중 하나의 인자가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인자에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른 인자만으로 발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발열이 있는 경우, 어느 위치에 발열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몸 전체의 온도는 임계치 이하라 하더라도 유방 또는 발목 등 특정 위치의 온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어느 위치에 발열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젖소(200)의 유방은 4개의 분방으로 구분되는바, 유방에 발열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분방에 발열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동통로(500) 양측면에 위치하는 제1 열화상 카메라(121)와 제2 열화상 카메라(122), 바닦면에 위치하는 제3 열화상 카메라(123)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열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바,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120)의 열화상을 분석하여 유방 내지 각 분방의 발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젖소(200)의 4 발목의 발열여부 및 어느 발목에 발열이 있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된 결과에 따라 발열여부 및 발열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젖소를 상기 착유소(300) 또는 질병치료소(400)로 가이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우유를 생산하기에 적합한 젖소의 경우, 착유소(300)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우유를 생산하기에 부적합하거나 질병에 걸려 치료가 필요한 젖소의 경우에는 질병치료소(400)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가이드 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열화상 화소는 384 x 288 픽셀일 수 있고, 실화상 화소는 1280 x 720 픽셀일 수 있다. 체온 측정 범위는 0 내지 50도 일 수 있고, 이때 온도분해도(resolution)은 0.05도일 수 있다. 온도측정의 정확도는 ± 0.2 도 일 수 있고, 속도는 30 Hz(반응속도 0.3초)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110: 젖소 식별장치
120: 열화상 카메라 121: 제1 열화상 카메라
122: 제2 열화상 카메라 123: 제3 열화상 카메라
123: 위치 측정부 130: 가이드 장치
131: 통신부 132: 개폐구동부
133: 착유소 게이트 134: 질병치료소 게이트
140: 제어부 200: 젖소
300: 착유소 400: 질병치료소

Claims (5)

  1. 젖소의 귀에 장착되어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및 움직임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측정장치;
    젖소의 이동통로에 위치하여 상기 생체측정장치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신하는 젖소 식별장치;
    상기 이동통로에 위치하는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
    젖소의 질병 및 건강 상태에 따라 젖소를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 중 하나로 가이드하는 게이트를 개폐하는 가이드 장치; 및
    상기 젖소 식별장치로부터 생체정보 및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열화상을 수신하고, 상기 생체정보에 포함된 제1 체온 및 상기 열화상으로부터 도출되는 제2 체온을 이용하여 해당 젖소의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유방염 및 발목병 발생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이동통로 양측면에 위치하여 유방 및 발목을 촬영하는 제1 및 제2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이동통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유선 및 유두를 촬영하는 제3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소에 장착된 생체측정장치는,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 및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로 가이드할 젖소의 접근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게이트를 개폐하는 개폐구동부를 포함하는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젖소의 생체정보 및 열화상을 이용하여 젖소의 발열여부 및 발열부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젖소를 상기 착유소 또는 질병치료소로 가이드할지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가이드 장치로 송신하는 젖소의 질병관리 시스템.
KR1020200124764A 2020-09-25 2020-09-2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KR10227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64A KR102273312B1 (ko) 2020-09-25 2020-09-2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64A KR102273312B1 (ko) 2020-09-25 2020-09-2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312B1 true KR102273312B1 (ko) 2021-07-06

Family

ID=7686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64A KR102273312B1 (ko) 2020-09-25 2020-09-25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355A (ko) * 2021-08-06 2023-02-15 (주)애그리로보텍 동물 건강이상 판단장치 및 동물 건강이상 판단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125A (ko) * 2004-10-01 2007-06-11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의 자동 착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09094B1 (ko) * 2005-07-05 2008-03-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통합관리시스템
KR101270689B1 (ko) 2011-03-17 2013-06-04 대한민국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558227B1 (ko) 2014-06-20 2015-10-13 (주)야긴스텍 가축의 열화상을 이용한 가축의 유두부에 대한 질병 판독 시스템
KR101806521B1 (ko) * 2016-06-08 2017-12-07 (주)에코비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축의 방역 시스템
KR102152826B1 (ko) * 2018-07-30 2020-09-08 주식회사 웨어롬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125A (ko) * 2004-10-01 2007-06-11 드라발 홀딩 에이비 동물의 자동 착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09094B1 (ko) * 2005-07-05 2008-03-03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통합관리시스템
KR101270689B1 (ko) 2011-03-17 2013-06-04 대한민국 돈사 급이기용 돼지 선별기구
KR101558227B1 (ko) 2014-06-20 2015-10-13 (주)야긴스텍 가축의 열화상을 이용한 가축의 유두부에 대한 질병 판독 시스템
KR101806521B1 (ko) * 2016-06-08 2017-12-07 (주)에코비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는 가축의 방역 시스템
KR102152826B1 (ko) * 2018-07-30 2020-09-08 주식회사 웨어롬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355A (ko) * 2021-08-06 2023-02-15 (주)애그리로보텍 동물 건강이상 판단장치 및 동물 건강이상 판단방법
KR102603626B1 (ko) * 2021-08-06 2023-11-17 (주)애그리로보텍 동물 건강이상 판단장치 및 동물 건강이상 판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afferty et al. Challenges of measuring body temperatures of free-ranging birds and mammals
Hoffmann et al. Monitoring the body temperature of cows and calves using video recordings from an infrared thermography camera
US99222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the outcome of a state of a subject
US8789494B2 (en) Detection apparatus for the monitoring of milking animals
US5771837A (en) Implement for automatically milking animals
EP29431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oestrus attention signal for a cattle animal
KR102273312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젖소 질병관리 시스템
Džermeikaitė et al. Innovations in cattle farming: applica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and sensors in the diagnosis of diseases
EA010983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ояния молочного скота
KR102007076B1 (ko) 스마트콘돔을 이용한 성기능 검진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US10278675B2 (en) Implantable estrus det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3908219A (zh) 图像检测***及获取图像的方法
EP4135570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for improved detection of important biological states in animals
CN216052684U (zh) 一种用于养殖场区的洗澡间的管控***
KR102460829B1 (ko) 방광 모니터링 장치 및 방광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
NL2023104B1 (en) Ruminant animal monitoring system
WO20190574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BEGINNING OF BEGINNING
CN212180124U (zh) 自适应健康监控装置
Gayathri et al. Short milking tube thermogram analysis: an indicator of mastitis in Murrah buffaloes
Hunnam et al.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nd bovine fetal characteristics measured by transcutaneous ultrasound over the right flank of the dairy cow
Neijenhuis et al. The effects of machine milking on teat condition.
WO2020231250A1 (en) Ruminant animal monitoring system
KR102510561B1 (ko) 가축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태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변화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KR20230151702A (ko) Ai분석을 통한 가축 관리시스템
CN112484880A (zh) 自适应健康监控装置和健康监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