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15B1 -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15B1
KR102272615B1 KR1020200158671A KR20200158671A KR102272615B1 KR 102272615 B1 KR102272615 B1 KR 102272615B1 KR 1020200158671 A KR1020200158671 A KR 1020200158671A KR 20200158671 A KR20200158671 A KR 20200158671A KR 102272615 B1 KR102272615 B1 KR 10227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sing
generator
vibr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우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우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우이즈
Priority to KR102020015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초음파와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 및 모공 내부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클렌징 디바이스는 초음파 또는 진동을 피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 클렌징, 모공 내부 클렌징 또는 이들의 복합 클렌징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composite cleansing}
본 발명은 피부를 클렌징할 수 있는 클렌징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음파와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 및 모공 내부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신체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신체의 아름다움 중에서도 특히 다른 사람이 가장 먼저 식별하게 되는 피부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게 된다.
피부 관리는 잡티가 없고 청결하며 부드러운 피부의 유지를 목표로 하며, 특히 신체 부위 중 얼굴의 피부 관리에 대하여 가장 많은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얼굴의 피부 관리를 위해 마사지를 받거나, 피부를 아름답게 보여주는 기능성 화장 제품을 바르거나 또는 각종 세정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
그 중 피부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세정을 위해서 사람들은 액상의 클렌징 제품 등과 같은 세정 제품을 얼굴에 바른 후 씻어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손을 이용하여 세안을 하는 경우, 세정 제품이 피부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할 수 있고, 손에 의한 세균 감염이 이루어질 수도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세정 제품을 얼굴에 바르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술된 도구 중에서, 브러시를 포함하며 진동을 일으키거나 회전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널리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브러시를 이용한 세정을 하는 방법은 피부 표면의 각질 등을 제거하는 데 그치고 있어 피부 내부, 즉 모공 내부의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초음파와 진동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 및 모공 내부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가 일단에 결합된 중공형의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몸체유닛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초음파를 전달하는 초음파발생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를 통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클렌징 모드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 및 진동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버 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초음파 및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전달된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클렌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은, 피부에 대한 표면 클렌징모드, 모공 클렌징모드 및 복합 클렌징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클렌징모드에 따라 초음파발생부 또는 진동발생부에 출력되는 초음파 또는 진동의 세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초음파발생부 또는 진동발생부에서 발생된 초음파 또는 진동을 클렌징유닛을 통해 피부로 인가하여 피부 클렌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클렌징모드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 또는 진동발생부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를 가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는 클렌징유닛이 자석 결합방식을 통해 몸체유닛과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클렌징유닛의 사용시간, 사용빈도, 오염정도 등에 따라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또는 진동을 피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 클렌징, 모공 내부 클렌징 또는 이들의 복합 클렌징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음파 및 진동의 세기를 가변하여 피부에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과 모공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몸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렌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을 위한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몸체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클렌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10)는 몸체유닛(200), 상기 몸체유닛(2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클렌징유닛(100) 및 상기 몸체유닛(2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충전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유닛(200)은 중공형의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 본 발명의 클렌징 디바이스(10)의 각종 구성들, 예컨대 초음파발생부(220), 진동발생부(230), 제어부(265), 베터리(270) 등의 구성요소들을 수납할 수 있다.
몸체유닛(200)은 상단 커버(210), 제1하우징(250) 및 제2하우징(28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그 내부에 초음파발생부(220), 진동발생부(230), 제어부(265) 및 배터리(270)가 수납될 수 있다.
상단 커버(210)는 몸체유닛(200)의 일단에 결합된다. 상단 커버(210)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1)에는 후술될 초음파발생부(22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몸체유닛(200)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는 상단 커버(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그 일부가 상단 커버(210)의 개구부(211)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는 제어부(265)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의 신호, 예컨대 임펄스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세기의 초음파, 예컨대 대략 20kHz 이상의 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는 펄스 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압전 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230)는 초음파발생부(2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어부(265)를 통해 인가되는 소정의 신호, 예컨대 모터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부(230)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31)와 상기 모터(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편심부(233)로 구성될 수 있다. 편심부(233)는 회전축의 끝단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무게가 일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이에, 진동발생부(230)는 모터(231)의 동작에 의해 회전축이 일 방향 회전되면서 편심부(233)가 편심 회전함에 따라 소정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발생부(230)의 모터(231) 및 편심부(233)는 모터 케이스(24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발생부(220)는 모터 케이스(24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는 제1하우징(250)의 내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상단 커버(210)가 제1하우징(25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됨으로써,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음파발생부(220)는 상단 커버(210)의 개구부(211)를 통해 돌출되므로, 클렌징유닛(100)의 하부에 직접 초음파를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는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세정액,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클렌징 폼 등으로 인가될 수 있다. 세정액은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액체 기화 또는 액체 내 녹아있던 기체의 방출로 인한 초미세버블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초미세버블이 피부의 모공 내부로 침투되어 모공 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발생부(220)에서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버블은 20~50um 크기의 모공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초미세버블은 모공으로 침투되고, 모공 내부에서 파열됨에 따라 발생되는 순간적인 고온고압에 의해 모공 내 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캐비테이션 효과(cavitation effect)라 한다.
진동발생부(230)는 상단 커버(210)를 통해 클렌징유닛(100)에 소정 세기의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진동발생부(230)에서 클렌징유닛(100)에 인가된 진동은 상기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세정액은 진동에 의해 거품 발생량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피부 표면의 각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제1하우징(25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버튼부(201)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부(261) 및 상기 입력부(261)에 연결되어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5)가 구성된 소정의 구동회로기판(260)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260)은 진동발생부(230)가 삽입된 모터 케이스(2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케이스(240)와 구동회로기판(260) 사이에는 진동발생부(230)의 진동이 구동회로기판(26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흡입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61)는 제1하우징(250)의 외부로 노출된 버튼부(201)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부(261)는 사용자의 입력을 제어부(26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6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65)는 초음파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크기, 즉 세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5)는 진동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크기, 즉 세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265)는 모드선택부(266), 동작제어부(267) 및 신호발생부(26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5)는 입력부(261)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초음파발생부(220) 또는 진동발생부(230)에서는 크기가 가변되는 초음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는 사용자의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라 동작제어부(267)로 선택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는 표면 클렌징모드, 모공 클렌징모드 및 복합 클렌징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입력부(261)를 통해 사용자의 클렌징모드 선택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는 사용자의 선택결과에 기초한 선택신호를 동작제어부(267)로 전달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가 사용자에게 다수의 클렌징모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몸체유닛(200)에는 사용자에게 클렌징모드 안내를 위한 음성 또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 또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261)를 통해 클렌징모드 선택과 함께 그 단계, 예컨대 클렌징 세기를 입력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는 사용자의 클렌징모드 선택 및 단계 선택 결과에 기초한 선택신호를 동작제어부(267)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267)는 모드선택부(266)에서 제공된 선택신호에 따라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신호발생부(268)는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 각각으로 출력되는 신호, 예컨대 임펄스신호 또는 모터구동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드선택부(266)에서 표면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가 진동발생부(23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진동발생부(230)는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의 세기를 가변시켜 발생하고, 이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표면 클렌징모드에서 크기가 일정한 임펄스신호가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초음파발생부(220)는 세기가 일정한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제어부(267)는 모터구동신호와 임펄스신호가 서로 중복되지 않게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임펄스신호는 1주기 동안 1~20%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모터구동신호는 1주기 동안 임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에서 신호발생부(268)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면 클렌징모드에서 동작제어부(267)는 신호발생부(268)로부터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신호발생부(268)에서 출력되는 모터구동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모드선택부(266)에서 모공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가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는 신호발생부(268)에서 출력된 임펄스신호에 따라 초음파의 세기를 가변하여 발생시키고, 이러한 초음파를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일정한 크기의 모터구동신호가 진동발생부(23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진동발생부(230)는 신호발생부(268)에서 출력된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일정한 세기의 진동을 발생시켜 클렌징유닛(100)에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제어부(267)는 1~20%의 듀티비를 갖는 임펄스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동작제어부(267)는 듀티비를 가변시킴으로써,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임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구간에서 모터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제어부(267)는 모터구동신호와 임펄스신호가 서로 중복되지 않게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공 클렌징모드에서 동작제어부(267)는 신호발생부(268)에서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드선택부(266)에서 복합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가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는 신호발생부(268)에서 출력된 임펄스신호에 따라 초음파의 세기를 가변하여 발생시키고, 이러한 초음파를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가 진동발생부(230)로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진동발생부(230)는 신호발생부(268)에서 출력된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진동의 세기를 가변하여 발생시키고, 이러한 진동을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표면 클렌징모드 및 모공 클렌징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제어부(267)는 모터구동신호와 임펄스신호가 서로 중복되지 않게 출력되도록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부 개구에 상단 커버(210)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초음파발생부(220), 진동발생부(230) 및 구동회로기판(260)이 수납된 제1하우징(250)은, 그 하부로부터 제2하우징(280)이 결합됨으로써, 몸체유닛(2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280)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270)가 수납될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 진동발생부(230) 및 구동회로기판(260)은 배터리(270)로부터 제공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제2하우징(280)의 배면에는 후술될 충전유닛(300)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충전단자부(290)가 결합될 수 있다. 충전단자부(290)는 제2하우징(280) 내부의 배터리(270)와 충전유닛(300) 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충전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외부전원에 의해 배터리(270)가 충전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몸체유닛(200)의 상부, 즉 상단 커버(210)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사용자의 안면 등의 피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클렌징유닛(100)은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초음파 및 진동을 사용자의 피부로 인가하여 피부 표면 또는 모공 내부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클렌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렌징유닛(100)은 몸체유닛(200)의 상단 커버(210)에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120), 상기 유닛 하우징(120)의 상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브러시부(110) 및 상기 유닛 하우징(120)의 하부에 배치된 패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은 상단 커버(210)와 동일한 형상, 즉 중앙부에 개구부(121)가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의 개구부(121)에는 상단 커버(210)로부터 노출되는 초음파발생부(220)의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유닛 하우징(120)이 상기 돌출부의 외주를 둘러쌀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은 상단 커버(210)의 상부면에 자석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닛 하우징(120)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상단 커버(210)에는 상기 유닛 하우징(120)에 배치된 자석과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미도시)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클렌징유닛(100)과 몸체유닛(200), 즉 유닛 하우징(120)과 상단 커버(210)는 이들 각각에 배치된 자석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클렌징유닛(100)은 사용시간, 사용빈도, 오염정도 등에 따라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브러시부(110)에는 유닛 하우징(120)의 개구부(121)에 대응되는 개구(111)가 형성되고, 상면에 다수의 돌기(115)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돌기(115)는 클렌징유닛(100)의 피부 접촉시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 각각에서 인가되는 초음파 및 진동이 인가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클렌징유닛(100)의 피부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수의 돌기(115)는 피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연성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수의 돌기(115)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천연섬유나 인조섬유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돌기(115)는 각각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돌기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돌기(115)는 브러시부(110)의 내측, 예컨대 중앙의 개구부에서 외측, 예컨대 테두리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30)는 유닛 하우징(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닛 하우징(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패드부(130)는 상면이 유닛 하우징(120)의 개구부(121) 및 브러시부(110)의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30)는 배면이 몸체유닛(200)의 상단 커버(210)의 개구부(211)를 통해 노출된 초음파발생부(2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패드부(130)는 초음파발생부(220)에서 발생되는 소정 세기의 초음파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130)는 세정액, 예컨대 화장수 또는 에센스 등이 함유되어 있는 화장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클렌징유닛(100)의 브러시부(110) 및 패드부(130)는 유닛 하우징(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표면 클렌징모드에서 클렌징유닛(100)은 유닛 하우징(120)에 브러시부(110)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렌징유닛(100)은 모공 클렌징모드에서 유닛 하우징(120)에 패드부(130)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복합 클렌징모드에서 유닛 하우징(120)에 브러시부(110) 및 패드부(130)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부(110)의 단부, 즉 다수의 돌기(115)의 끝단은 패드부(130)의 단부, 즉 패드부(130)의 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에 브러시부(110)와 패드부(130)가 함께 접촉되어 클렌징유닛(100)에 의한 피부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렌징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클렌징유닛(101)은 몸체유닛(200)의 상단 커버(210)에 결합되는 유닛 하우징(120'), 상기 유닛 하우징(120')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140), 상기 하우징 커버(140) 상에 결합되는 브러시부(110) 및 상기 유닛 하우징(120')과 하우징 커버(1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140)에 의해 고정되는 패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의 중앙부에는 초음파발생부(220)의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개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유닛 하우징(120')은 초음파발생부(220)의 돌출부 외주를 둘러싸며 상단 커버(2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닛 하우징(120')과 상단 커버(210)는 전술된 자석 결합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에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25)에는 하우징 커버(14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홈(125)의 높이는 하우징 커버(140)의 수직 단면길이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유닛 하우징(120')의 홈(125)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홈(125)에 삽입되는 하우징 커버(140)에는 홈(125)에 배치된 자석과 반대 극성의 자석이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유닛 하우징(120')과 하우징 커버(140)는 자석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4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자석은 유닛 하우징(120')의 홈(125)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브러시부(110)는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부(131)는 유닛 하우징(120')과 하우징 커버(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131)는 하우징 커버(140)가 유닛 하우징(120')에 결합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패드부(131)는 세정액이 함유된 화장티슈일 수 있다. 이러한 패드부(131)는 하우징 커버(140)에 의해 일부분이 유닛 하우징(120')의 홈(125)에 함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클렌징유닛(101)은 패드부(131)가 클렌징유닛(100)보다 큰 크기를 가지더라도 하우징 커버(140)에 의해 유닛 하우징(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패드부(131)의 크기 조절을 위해 접거나 자르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충전유닛(300)은 몸체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충전유닛(300)은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외부전원 접속부(310) 및 몸체유닛(200)의 충전단자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단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전원 접속부(310)는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미도시)이 삽입되는 커넥터의 형태일 수 있다. 외부전원 접속부(310)는 접촉단자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단자부(320)는 충전유닛(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단자부(320)는 몸체유닛(200)이 충전유닛(300)과 결합될 때 몸체유닛(200)의 배면에 배치된 충전단자부(2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충전유닛(300)은 외부전원 접속부(310) 및 접촉단자부(320)를 통해 몸체유닛(200)의 충전단자부(290)에 외부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충전단자부(290)와 연결된 배터리(270)가 외부전원으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을 위한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과 함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피부 클렌징을 위한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렌징 디바이스(10)의 전원이 온(on)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에 대한 클렌징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0).
클렌징 디바이스(10)의 제어부(265)는 모드선택부(266)를 통해 복수의 클렌징모드, 즉 표면 클렌징모드, 모공 클렌징모드 및 복합 클렌징모드의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입력부(261)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렌징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클렌징모드의 선택과 함께 클렌징의 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모드선택부(266)는 입력부(261)를 통해 입력된 선택 결과로부터 선택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작제어부(267)로 출력할 수 있다. 동작제어부(267)는 선택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발생부(268)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신호발생부(268)는 출력되는 신호, 즉 임펄스신호 또는 모터구동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S20).
신호발생부(268)는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를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하고,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를 진동발생부(2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초음파발생부(220)는 상기 임펄스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초음파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고, 진동발생부(230)는 상기 모터구동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를 가변시킬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220) 및 진동발생부(230)는 이들 각각에서 발생되는 초음파 및 진동을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전달된 초음파 및 진동을 사용자의 피부로 인가하여 선택된 클렌징모드에 따라 피부를 클렌징할 수 있다(S30, S40, S50).
예컨대, 모드선택부(266)에서 표면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가 진동발생부(2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발생부(230)는 세기가 가변되는 진동을 발생시켜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일정한 임펄스신호가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피부에 접촉되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부(23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브러시부(110) 또는 패드부(130)를 통해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에는 세정액이 도포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세정액은 피부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거품 발생량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브러시부(110) 또는 패드부(130)를 통한 피부 표면의 각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세정하는 피부 표면 클렌징을 수행할 수 있다(S3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클렌징모드의 선택에 따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세기가 가변되는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각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진동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266)에서 모공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가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부(220)는 세기가 가변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일정한 모터구동신호가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피부에 접촉되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발생부(220)에서 전달되는 초음파를 브러시부(110) 또는 패드부(130)를 통해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피부에 세정액이 도포되거나 또는 클렌징유닛(100)의 패드부(130)에는 세정액이 함유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세정액은 피부에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초미세버블로 생성되고, 이러한 초미세버블이 모공 내부로 침투되어 모공 내 이물질을 세정하는 모공 클렌징을 수행할 수 있다(S40). 이때, 모공 내부의 이물질은 패드부(130)에 흡수되어 제거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공 클렌징모드의 선택에 따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세기가 가변되는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세정액의 초미세버블 생성을 활성화시켜 모공 내부의 이물질 등이 초미세버블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드선택부(266)에서 복합 클렌징모드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가 동작제어부(267)로 제공되면, 동작제어부(267)는 크기가 가변되는 임펄스신호가 초음파발생부(220)로 출력되고, 크기가 가변되는 모터구동신호가 진동발생부(23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발생부(220)는 세기가 가변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하고, 진동발생부(230)는 세기가 가변되는 진동을 발생시켜 클렌징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클렌징유닛(100)은 피부에 접촉되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초음파발생부(220)에서 전달되는 초음파 및 진동발생부(230)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브러시부(110) 또는 패드부(130)를 통해 피부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액은 피부에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초미세버블로 생성되고, 이러한 초미세버블이 모공 내부로 침투되어 모공 내 이물질을 세정하는 모공 클렌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세정액은 피부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많은 거품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거품에 의해 피부 표면의 각질 등의 이물질을 세정하는 피부 표면 클렌징을 수행할 수 있다(S50).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 클렌징모드의 선택에 따라 클렌징유닛(10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세기가 가변되는 초음파를 인가함과 함께 세기가 가변되는 진동을 인가함으로써, 초음파에 의해 세정액의 초미세버블 생성을 활성화시켜 모공 내부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진동에 의해 표면의 각질 등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피부 클렌징 방법은, 클렌징모드의 선택에 따라 초음파 또는 진동을 사용자의 피부에 선택적으로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 모공 내부 또는 피부 표면과 모공 내부 전체에 대한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피부 클렌징 방법은, 초음파 및 진동의 세기를 가변하여 피부에 인가함으로써 피부 표면과 모공 내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100: 클렌징유닛
110: 브러시부 120: 유닛 하우징
130: 패드부 200: 몸체유닛
210: 상단 커버 220: 초음파발생부
230: 진동발생부 250: 제1하우징
265: 제어부 270: 배터리
280: 제2하우징 290: 충전단자부
300: 충전유닛 320: 접촉단자부

Claims (12)

  1.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가 일단에 결합된 중공형의 몸체유닛;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몸체유닛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초음파를 전달하는 초음파발생부;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를 통해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발생부;
    클렌징 모드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 및 진동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버 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초음파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초음파 및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전달된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피부에 인가하는 클렌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클렌징유닛은,
    상기 커버 상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 상기 초음파발생부의 돌출부 외주를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중앙부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브러시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배면이 상기 초음파발생부의 돌출부 상면에 접촉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부의 단부와 상기 패드부의 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 모드는, 표면 클렌징 모드, 모공 클렌징 모드 및 복합 클렌징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클렌징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발생부에서 가변되는 크기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공 클렌징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생부에서 가변되는 크기의 초음파가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클렌징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생부 및 진동발생부 각각에서 가변되는 크기의 초음파 및 진동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생부에 임펄스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진동발생부에 모터구동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클렌징모드에 따라 상기 임펄스신호 및 상기 모터구동신호의 크기를 가변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클렌징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통해 자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및
    상기 몸체유닛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배터리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렌징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하우징 커버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58671A 2020-11-24 2020-11-24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27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71A KR102272615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71A KR102272615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615B1 true KR102272615B1 (ko) 2021-07-05

Family

ID=7689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71A KR102272615B1 (ko) 2020-11-24 2020-11-24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6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7034A1 (en) * 2015-04-03 2016-10-06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and massaging system
KR20190062642A (ko) * 2017-11-27 2019-06-07 박달원 각질 및 피지 제거용 클렌징 겸용 피부미용 관리기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7034A1 (en) * 2015-04-03 2016-10-06 Water Pik, Inc. Skin cleansing and massaging system
KR20190062642A (ko) * 2017-11-27 2019-06-07 박달원 각질 및 피지 제거용 클렌징 겸용 피부미용 관리기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2631A1 (en) Skin Cleaner
EP150911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s skin
US20140336540A1 (en) Cleaning and massaging system
CN108471870B (zh) 使用海绵或泡沫元件的刷
KR100752432B1 (ko) 복합기능 피부 마사지기
WO2006090998A1 (en) Apparatus for caring skin
US20160250457A1 (en) Ultrasonic Method and Device for Cosmetic Applications
JP6112643B1 (ja) 歯ブラシ兼用美顔器
KR102545268B1 (ko) 진동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미용 기기
KR101817973B1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안구 세척기 및 이를 통한 안구 세척방법
KR20130068331A (ko) 휴대폰 결합형 피부 미용 보조 기기
KR101747949B1 (ko) 마사지용 피부 미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72615B1 (ko) 복합 클렌징 디바이스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404071B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진동과 광음향을 이용한 골전도 음향을 제공하는 인체자극시스템
JP4592329B2 (ja) イオン導入器
KR102053114B1 (ko) 음파 진동 세안기
CN202961101U (zh) 面部去糙研磨仪
KR20080048817A (ko) 복합 진동 발생장치
KR200353660Y1 (ko) 핸드 지방 제거기
KR200372847Y1 (ko) 휴대용 초음파 피부미용기
KR102545269B1 (ko) 전기 세정 기능을 가지는 가정용 피부 클렌저
KR20020091565A (ko) 음파진동 치료 및 미용기
KR200318262Y1 (ko) 피부 관리장치
KR20240059024A (ko) 초음파와 일회용 화장품이 결합된 홈케어 피부관리기
JP3082873U (ja) 皮膚活性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