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718B1 -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 Google Patents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718B1
KR102271718B1 KR1020190117736A KR20190117736A KR102271718B1 KR 102271718 B1 KR102271718 B1 KR 102271718B1 KR 1020190117736 A KR1020190117736 A KR 1020190117736A KR 20190117736 A KR20190117736 A KR 20190117736A KR 102271718 B1 KR102271718 B1 KR 102271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ck
film
water
bath agent
solu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661A (ko
Inventor
유숙영
Original Assignee
유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숙영 filed Critical 유숙영
Priority to KR102019011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7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욕제를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으로서, 상기 필름팩에서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2.0 mm이며, 상기 필름팩의 성분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과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검화도가 75 내지 95몰% 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이며, 상기 필름팩의 필름은 상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진 2중층이며, 상기 상층 및 하층 사이에, 입욕제용 향(fragrance) 성분 및 상기 향 성분을 담지하는 전분, 셀룰로오스류, 가교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단당류, 올리고당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선택된 향 성분 담지체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물에 노출되기 전에는 내용물의 방출되지 않아 분말 형태의 입욕제 때문에 발생되는 가루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 WATER SOLUBLE POLYMER FILM PACK FOR BATH ADDITIVE }
본 발명은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노출되기 전에는 내용물이 밀봉된 상태이지만 물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쉽게 녹아 용해되는 애완동물용 입욕제를 포함하는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애완동물용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동물의 피부는 긴 털로 덮여 있고, 땀구멍이 없으며, 진피가 사람과 달리 4 ~ 5겹으로 얇게 구성되어 있고, 피부의 pH는 8 ~ 9의 약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동물은 긴 털이 조밀하게 덮여 있어, 습도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관계로 해서 진드기, 모낭충, 곰팡이 및 천공 개선충을 비롯한 많은 종류의 해충과 미생물에 감염되기 쉽기 때문에 항상 이에 대비해야 한다.
이러한 동물 피부질환은 발생이 매우 높은 질환으로서, 진균성 피부질환, 농피증, 습진, 지루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및 모낭선염과 같은 세균성 질환이 주를 이루며, 이러한 애완동물의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한 방법으로 샴푸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동물의 모발 및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여 청결을 유지는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샴푸나 입욕제가 많이 사용된다. 샴푸의 사용목적은 세제를 사용하여 두피 및 모발에 붙어 있는 땀, 피지 및 먼지와 같은 노폐물을 씻어낸다. 두피나 모발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두피에 생길 수 있는 병의 감염을 예방하며 모발에 윤기를 주는 동시에 두피의 혈행을 도와서 생리기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샴푸에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합성계면활성제로서 강한 세정력과 침투력을 발휘하여 피부장벽인 피지막과 각질층 및 과립충을 파괴하여 피부 속 수분이 증발하여 피부 건조, 주름생성으로 인한 노화가 촉진하게 된다.
특히,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소듐라우세레스설페이트(SLES)와 같은 석유계 합성 계면활성제는 다른화학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잠재성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으로 전이 되거나 피부를 통해 침투하여 심장, 간, 폐, 뇌에 그 독성을 최소 5일 이상 남기는 것으로 미국의 독성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샴푸 이외에도 입욕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입욕제가 벌크형(통에 스푼으로 덜어서 쓰는 용도)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어서, 고객들이 용량의 정량 사용에 대한 불편함이 존재하며, 오래 사용하면 공기와 수분에 노출되어, 그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간단히 1회용으로 사용되기 용이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8775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에 노출되기 전에는 수용된 내용물을 밀봉된 채 보관할 수 있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물에 노출되면 용이하게 용해되어 수용된 내용물이 물에 용해되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입욕제를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으로서, 상기 필름팩에서 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2.0 mm이며, 상기 필름팩의 성분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과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검화도가 75 내지 95몰% 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이며, 상기 필름팩의 필름은 상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진 2중층이며, 상기 상층 및 하층 사이에, 입욕제용 향(fragrance) 성분 및 상기 향 성분을 담지하는 전분, 셀룰로오스류, 가교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단당류, 올리고당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선택된 향 성분 담지체가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어성초 및 숯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폴리비닐알콜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욕제는 애완동물용 입욕제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향 성분은 애완동물 입욕제용 향 성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포장제로서, 전술한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용 입욕제; 상기 내포장제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외포장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에 노출되기 전에는 내용물의 방출되지 않아 분말 형태의 입욕제 때문에 발생되는 가루 날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에 노출되면 쉽게 용해되어, 내용물이 용이하게 물에 용해되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온도의 물에서 용해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자체에 첨가제를 포함시켜, 입욕제 이외에 추가적인 기능성 물질을 제공하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을 이중층으로 형성하여, 이중층 사이에 추가적인 물질을 인입하여 입욕제 사용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입욕제가 벌크형으로 판매되는데 반하여, 소규모로 포장하여 제공하여, 1회용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동물을 위한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팩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팩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포장제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를 포함한 외포장제의 투과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를 포함한 외포장제의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팩에 대한 안전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대한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순히, 후술되는 부분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일 뿐, 후술하는 부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실시예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및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팩의 이미지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팩(10)의 필름(11)은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며, 입욕제(15)를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부(13)를 구비한다.
여기서, 필름(film)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층을 의미한다. 또한, 필름팩은 필름(film)으로 이루어진 모든 모서리가 밀봉된 봉투형상의 포장품(package)을 의미한다.
필름팩에서 필름의 두께 10 ㎛ 내지 2.0 mm의 필름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mm 내지 0.5 mm이다. 두께가 10 ㎛ 미만의 경우 인장강도가 낮아지게 되어 필름팩으로서의 제품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2.0 mm를 초과하는 경우 필름팩의 용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필름팩의 강도는 5.0~100.0 N/mm2, 바람직하게는 30.0~50.0N/mm2이며, 필름팩의 용해성과 입욕제의 보관성과 사용 편리성면에서 바람직하다.
필름팩의 성분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과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폴리비닐알콜은 PVA 또는 PVOH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용제에는 녹지 않으나 물에 녹는 독특한 플라스틱 수지로서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탁월한 접착성능, 필름형성능력, 무독성 및 화학안정성이 우수하여 접착, 코팅, 제지, 섬유, 도료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검화도 및 중합도의 차이에 의해 제품의 용해도와 특성이 달라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필름 형성 수용성 고분자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PVA)이 있으며, PVA의 용해성 확보를 위해 검화도가 75 내지 95몰% 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검화도가 75몰% 미만이거나, 95몰% 초과인 경우 용해도가 낮아 물에 잘 안 녹는다. 또한, 평균 중합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낮아 필름형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필름의 인장강도 등 물성이 좋지 않다. 평균 중합도가 3000 초과인 경우에는 분자량이 너무 높아, 물에 녹이기 힘들고, 녹이더라도 점도가 너무 높아 필름 제형화하기 어렵다.
첨가제는 어성초 및 숯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폴리비닐알콜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성초란 식물분류학에 따르면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ynia Cordata라고 하며,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남부지방의 산 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 모양은 고구마 잎을 닮았고 줄기는 붉고 초 여름철에 줄기 끝에서 네 개의 흰 꽃받이가 있는 노란 꽃이 하나씩 피며, 잎과 줄기에서 고기 비린내를 닮은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부르고 우리말로는 약모밀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중약초, 즙채, 십약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어성초의 주성분은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Decanoyl-Acetaldehyde)이며 그밖에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미루세네, 라우릴-알데히드, 메틸-엔-닐케톤, 카르릭-에시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항암, 이뇨, 강심, 해독, 정장, 거담, 진통, 지혈, 조직재생, 피부미용, 미발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설파민의 4만배에 이르는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 지구상에 있는 모든 식물 가운데서 항균작용이 가장 강력한 식물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항균작용은 유효성분인 decanoyl acetaldehyde이 in vitro 실험에서 Katarrh성 구균, Influenza간균, 폐염구균, 황색 포도상구균 등에 대하여 확실한 억제작용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숯의 일반적인 구성성분은 탄소가 85%, 수분이 10%, 미네랄이 4%, 휘발분이 2%이며 숯이 까만 색인 것은 숯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탄소성분 때문이다. 숯은 탄소,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는 다공성 구조로서, 흡착력이 강해 유해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고 음이온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을 제공한다.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숯은 단순한 연료를 뛰어넘어 훌륭한 의약 자원으로 상용화하고 있다. 숯의 구조와 효과 숯이란 "신선한 힘"이란 뜻을 지닌 우리말로서 목재를 600∼900℃의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탄화시킨 것이다. 숯의 주요 구성성분은 탄소가 85%이고 수분이 10%이며 미네랄이 3%이고 휘발 성분이 2%이다. 숯을 탄화시킬 때 내부에 작은 구멍들(기공)이 생기게 되는데, 의약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시 600∼900℃의 온도에서 같은 공정을 한 번 더 거치게 된다. 이를 활성화 공정이라고 한다. 흡착 효과는 숯의 제조 과정에서 형성된 아주 작고 수많은 구멍으로 되어 있고 넓은 표면적(1,200㎡/g)을 가지고 있다. 이 작은 구멍은 크기가 다양하고 이것은 액체상태로 된 여러 가지 물질을 흡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장소(binding site)를 제공하게 되므로 숯이 흡착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음이온 방출 효과(부패 방지 효과)는 숯의 구성 성분인 탄소는 원자핵속의 양성자수는 6개이고, 전자수 6개, 최외각 전자수가 4개인인 원자이다. 그러나 다이아몬드와 같은 강한 공유 결합 구조가 아니라, 많은 자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자장을 형성하여 음이온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숯은 음이온을 방출하여 물질의 부패(=산화: 전자잃는 현상)를 억제시킨다. 그리고, 미네랄 방출 효과는 목재 속의 0.3%∼0.6% 정도의 미네랄 성분은 숯을 제조할 때 4∼5배로 농축된다. 숯에는 칼슘, 칼륨, 철, 인, 나트륨, 등 5대 미네랄 외에 구리, 아연, 망간, 마그네슘, 크롬, 몰리부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미네랄 성분이 노화 방지 작용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숯 자체에서 발생되는 음이온은 산소가 풍부하여 공기를 맑게 하고 모든 생명활동을 돕는 작용을 한다. 냉장고의 심한 악취는 냉장고내의 산소가 부족할 때, 산소를 싫어하는 미생물이 많이 번식하여 가스를 발산하기 때문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자연히 양(+) 이온이 많이 존재하고 음이온은 매우 적어진다. 이럴 때 숯이 있으면 숯에 기생하는 미생물과 숯이 내뿜는 음이온의 효과로 환경을 180도로 바꿀 수 있으며, 따라서 냄새도 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온이란 말은 어떤 원소가 전기를 가진 상태를 의미하는 말로 지구상의 모든 원소 예를 들면 수소 질소 탄소 미네랄류 등은 모두 전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숯에는 나무가 토양에서 빨아올린 천연미네랄이 균형 있게 들어 있으며 숯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농축되어 진다. 미네랄은 생명체의 전기(電氣)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작용과 영양소 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함은 물론 몸의 자연 치유능력을 부여하는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나무 속에는 중량비로 보아 0.3~0.6% 정도 미네랄류가 함유되어 있다. 그런데 나무를 숯으로 구우면 미네랄 성분이 약 4~5배로 농축되어 회분으로서 숯 속에 남며, 숯에 함유된 미네랄은 칼슘(Ca), 나트륨(Na). 철(Fe), 마그네슘(Mg), 칼륨(K). 인(P) 이다. 목욕물에 목욕용 활성숯을 30분 정도 담가 놓으면 미네랄이 녹아 알카리성이 되어 이 목욕물에 목욕하면 축적된 노폐물의 정화, 피로회복, 에너지 충전, 어깨결림, 요통, 냉증, 신경통, 무좀, 각종 피부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고, 또 목욕용 활성숯을 넣고 목욕을 하면 온천욕을 한것처럼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목욕물의 PH가 9~10 사이의 알카리수가 되어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다.
입욕제 포장제에 포함된 이러한 첨가제 성분 역시 필름팩이 물에 용해되면서, 물에 제공되어, 입욕 대상자가 이러한 첨가제 성분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향 성분을 추가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향료의 경우 필름팩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액에 포함하여, 필름팩을 제조할 수도 있고, 상기 배합액에 포함하지 않고 건조된 필름팩 위에 향료를 후처리 할 수도 있다. 향료를 배합액에 포함하여, 필름팩을 건조할 경우, 건조 과정에서 향의 손실이 많다. 향을 후처리 하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팩 위에 향을 직접 부여할 수도 있고, 향을 포함하는 담지체를 본 발명에 따른 필름팩의 필름 사이에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팩 위에 향을 직접 부여할 경우, 오일성분의 향이 충분히 시트에 고착화되지 못하고 베어나올 경우가 있어, 향의 고형화 및 필름팩의 고착화를 위해, 향과 고형화제를 함께 필름팩 위에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향의 손실이 많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향 성분을 필름 사이에 적층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여기서, 필름은 상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진 2중층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단면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 상층(111) 및 필름 하층(115) 사이에, 입욕제용 향(fragrance) 성분과 향 성분 담지체(113)가 위치된다.
필름 상층과 필름 하층의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얇은 경우에는 강도가 적어서 파열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필름 상층과 필름 하층사이의 갭의 두께 역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갭에는 향 성분을 담지한 담지체가 위치한다.
향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애완동물이 흥분하거나 높아진 텐션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제제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가능하고 아로마 향이 포함될 수도 있다.
향 성분 담지체는 분, 셀룰로오스류, 가교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단당류, 올리고당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선택된다. 이러한 입욕제는 애완동물용 입욕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향 성분은 애완동물 입욕제용 향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입욕제가 포함된 포장제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포장제의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를 포함한 외포장제의 투과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포장제를 포함한 외포장제의 이미지이다.
일 실시예에서, 내포장제(200)로서,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용 입욕제; 상기 내포장제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외포장제(300)를 포함한다.
외포장제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종이를 사용하여 제작가능하다.
이러한 형태로 제공시, 사용자는 소형의 1회용 입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을 제조하고자, 폴리비닐알콜 100 중량부 대비 숯 10 중량부를 혼합한 필름을 두께 1 mm로 제작하였다. 필름은 이중층으로 제작하였으며, 각각의 두께는 0.5 mm 였으며, 그 사이에 아로마 향 성분 담지체를 추가하였다.
제작한 필름에 대한 안전도 검사를 의뢰하여,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뮴, 납, 크롬, 수은, 산도에서 인체 또는 견체(반려견)에 안전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10: 필름팩 11: 필름
13: 내부 공간부 15: 입욕제
111: 필름 상층 113: 향 담지체층
115: 필름 하층 200: 내포장제
300: 외포장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포장제로서,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애완동물용 입욕제; 및
    상기 내포장제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외포장제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팩은 입욕제를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부를 구비한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으로서, 상기 필름팩에서 필름의 두께는 0.01 mm 내지 0.5 mm이며, 필름팩의 인장강도는 30.0~50.0 N/mm2이고, 상기 필름팩의 성분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과 첨가제로 이루어지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검화도가 75 내지 95몰% 이고, 평균 중합도 100 내지 3000이며, 상기 필름팩의 필름은 상층 및 하층으로 이루어진 2중층이며, 상기 상층 및 하층 사이에, 입욕제용 향(fragrance) 성분 및 상기 향 성분을 담지하는 전분, 셀룰로오스류, 가교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펜타에리스리톨, 단당류, 올리고당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적어도 하나로 선택된 향 성분 담지체를 직접 적층함으로써, 향 성분 및 향성분 담지체가 상기 필름팩의 상층 및 하층 사이에 위치되면서, 필름팩에도 포함되며, 상기 첨가제는 어성초 및 숯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폴리비닐알콜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포장제품.
KR1020190117736A 2019-09-24 2019-09-24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KR102271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36A KR102271718B1 (ko) 2019-09-24 2019-09-24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736A KR102271718B1 (ko) 2019-09-24 2019-09-24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661A KR20210035661A (ko) 2021-04-01
KR102271718B1 true KR102271718B1 (ko) 2021-06-30

Family

ID=7544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736A KR102271718B1 (ko) 2019-09-24 2019-09-24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02B1 (ko) 2021-09-07 2022-07-22 황재호 미네랄 파우더가 함유된 수용성 필름 분말형 입욕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405B1 (ko) * 2022-07-11 2022-11-17 (주)에스에스메디컬 수용성 일회용 세정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124A (ja) * 2000-02-29 2001-09-04 Lion Corp 入浴剤個装体
JP7094375B2 (ja) * 2018-02-09 2022-07-01 パウル・シェラー・インスティトゥート 陽子アークビーム照射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26U (ja) * 1991-08-14 1993-03-09 侃 藤井 袋詰め入浴剤
KR100460775B1 (ko) * 2002-05-16 2004-12-14 이상용 입욕제팩
KR102064604B1 (ko) 2018-01-17 2020-01-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천연샴푸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124A (ja) * 2000-02-29 2001-09-04 Lion Corp 入浴剤個装体
JP7094375B2 (ja) * 2018-02-09 2022-07-01 パウル・シェラー・インスティトゥート 陽子アークビーム照射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502B1 (ko) 2021-09-07 2022-07-22 황재호 미네랄 파우더가 함유된 수용성 필름 분말형 입욕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661A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718B1 (ko) 입욕제용 수용성 고분자 필름팩
CN103230354B (zh) 一种止汗祛臭组合物
CN103147310B (zh) 一种植物精油喷涂整理棉织物的方法
CN102014886A (zh) 手消毒贴剂
CN105401242A (zh) 具有抗菌消炎功效的医用无纺布及制备方法
KR101609357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CN102251438B (zh) 一种抗菌消毒清香擦手纸及其制造方法
KR101596919B1 (ko) 해충 방지용 천연 물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KR20180015975A (ko) 해조류 섬유 및 천연 항균제를 이용한 항균 물티슈
KR100348133B1 (ko) 건강증진용 혼합물 제조방법 및 그 혼합물이 부착된 침구커버
KR20170001311A (ko) 농업용 다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567B1 (ko) 다용도 사용이 가능한 물티슈 및 그 물티슈의 제조방법
CN102995492A (zh) 驱蚊纸巾制造方法
CN104985963A (zh) 一种电气石与活性炭复配的新型文具收纳装置
KR20160054915A (ko) 티트리, 명반, 쑥, 당귀, 천궁, 박하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한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6074343A (zh) 一种百里酚纳米粒子免洗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6245133B (zh) 一种能改善睡眠质量的纳米熏香的多功能面料及其制备
CN105500779A (zh) 负离子抑菌除味汽车顶棚内饰板及装置该内饰板的汽车
KR102218296B1 (ko) 항균 탈취 기능 강화 위생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8050B1 (ko) 편백나무입자를 가지는 항균 탈취용 시트주머니
KR101502083B1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기저귀 제조방법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101654285B1 (ko) 피톤치드가 함침된 위생용 패드
KR20190120679A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