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13B1 -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813B1
KR102270813B1 KR1020190098776A KR20190098776A KR102270813B1 KR 102270813 B1 KR102270813 B1 KR 102270813B1 KR 1020190098776 A KR1020190098776 A KR 1020190098776A KR 20190098776 A KR20190098776 A KR 20190098776A KR 102270813 B1 KR102270813 B1 KR 10227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water
air
por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757A (ko
Inventor
김통일
Original Assignee
김통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통일 filed Critical 김통일
Priority to KR102019009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손잡이가 장착되는 바디 어셈블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본체,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호스, 연결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장관 및, 연장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에는 커버가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버에는 연결호스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집진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집진실에는 먼지 등의 오물을 수거하는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모터에 의한 흡입력으로 흡입공기와 함께 오물이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하고, 흡입되는 흡입공기 및 오물은 연장관 및 연결호스를 거쳐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며, 오물은 본체의 집진실에 수납된 필터에 수거되고, 흡입공기는 종이필터를 지나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먼지 및 오물들이 본체의 집진실에 수납된 하나의 필터에 모두 수거되기 때문에, 필터가 쉽게 오물들로 가득차게 되는데, 필터에 오물들이 가득차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저하될 뿐만아니라 모터의 과부하를 초래하므로, 필터를 자주 갈아 끼워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먼지 중 미세먼지는 필터를 통과하여 그대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고압의 공기와 함께 흡입되던 공기 중 일정크기 이상이 되는 먼지는 필터에 걸리게 되지만, 일정크기 이하의 미세먼지는 필터를 그대로 통과하여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기 중으로 배출된 미세먼지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상당시간 동안 공기 중을 떠돌아다니다가 결국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게 되는데, 최근의 연구결과를 보면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통하여 폐 속 깊숙이 침투하게 되고, 일단 몸속으로 들어온 미세먼지는 잘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큰 먼지보다 건강에 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편리한 진공청소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세번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6208호(공개일 2009.03.11.)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76057호(등록일 2012.08.16.) 등과 같이 사이클론 집진장치(원심분리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가 제안되었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체내의 입자를 분리하는 사이클론 진공청소기는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비교적 큰 입자의 오물을 청소기 본체의 종이필터로 유입되기 전에 1차적으로 걸러 수거함으로써, 필터로 수거되는 오물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필터를 보다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고, 필터가 쉽게 오물들로 가득 채워짐으로써 야기되는 흡입력의 저하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는 액체(예를 들어 바닥면의 물기)가 흡입구로 흡입되는 경우 진공모터의 고장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청소기 사용시 바닥면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액체 흡입시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흡입한 액체가 진공모터의 배기구로 배출되어 주변을 더렵혀 청소를 다시 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552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34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88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0641호 등 습식 또는 세척이 가능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되기도 하였으나, 종래에 개시된 습식 진공청소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을 통과시키면서 완전히 세척을 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과 세척효율에 있어서도 일부분의 공기가 물과 접촉하는 한계가 있으며, 물과 공기가 혼합되거나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진공모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물걸레를 자동세척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손잡이가 장착되는 바디 어셈블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혼합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와;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오염공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1투입구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와;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된 후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입구는 제2유도부로 투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제2유도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는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회수되도록 제1진공구와 가까워 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 내부의 상기 제1진공구와 진공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공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분분리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제1진공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2흡입구와;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와;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투입구와; 상기 제2진공구와 제2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투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통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는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분리통 내부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진공흡입관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 내부에 투입된 정화공기가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과정에서 정화공기중의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만 제2진공구로 흡입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통 내부에는 분리수의 수위 증가로 인해 내부의 물이 제2진공구를 통해 진공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한 제2진공구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 내부에는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의 전방에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물걸레가 마련되고,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급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물걸레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탱크 내부의 물을 물걸레에 공급하는 세척수 배관이 내장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물이 물걸레에 공급되면 물걸레가 젖어 바닥의 이물질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며,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도록 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장착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살균수가 생성되어, 상기 전해살균수를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하여 물걸레와 바닥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케이싱 내부에 채워진 물과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서 물과 직접 접촉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이물질, 먼지, 오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수분으로부터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에 마련되는 제2유도부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하여 오염공기와 물이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되는 면적과 시간을 증대시켜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기 내부에서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분이 제1진공구를 통해 진공모터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수분분리기로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분리수가 점차 모이면서 수분분리기 내부의 수위가 증가할 경우 제2진공구 차단부재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제2진공구를 차단하여 진공모터로 수분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수탱크의 물이 물걸레에 공급되면 물걸레가 젖어 바닥의 이물질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으며,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후 물걸레를 세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급수탱크 내부에 전기분해장치가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생성하여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함으로써, 물걸레와 바닥을 살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예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를 통해 오염공기가 정화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의 예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분리기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기와 수분분리기가 연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진공구 차단부재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물걸레 청소가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12 및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진공청소기라 함은 바디 어셈블리(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손잡이(20)와 진공모터(M)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30)가 구비되는 통상의 청소기를 말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 혼합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청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오염공기와 함께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하여 진공모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흡입된 오염공기가 물과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기(100)는 바디 어셈블리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싱(110)과,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와 제1진공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은 내부가 비어있으며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형태로서, 상기 진공모터(M)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진공흡입된 오염공기와 혼합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정화시키기 위한 물이 소정 높이까지 채워진다.
상기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는 상기 케이싱(110) 내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1유도부(120)는 상기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며, 상기 제2유도부(130)는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오염공기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제1투입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진공부(140)는 상기 제1투입구(131)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되면서 오염공기 중에 함유된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 후 정화되어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공간부로서, 제1진공구(111)와 제1투입구(13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혼합기(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오염공기 흡입부재(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정화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의 수분이 진공흡입될 경우 물에 혼합되면서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므로 수분으로부터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기(10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진공흡입력에 의해 제2유도부(130) 내부에 충전된 물과 오염공기 흡입부재(30)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제1투입구(131)를 통해 케이싱(110) 내부에 채워진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31)가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에 편심되게 형성되면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으로 선회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케이싱(110) 내부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발생시켜 물과 오염공기가 지속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 속에서 오염공기가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정화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염공기와 물의 지속적인 혼합교반에 의해 수중에서 발생된 기포를 자연스럽게 제거하여 수면에 기포가 부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발생시 오염공기의 투입과 흐름에 저항이 줄어 진공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만약, 상기 제1투입구(131)가 편심되게 형성되지 않으면 물 속에 오염공기를 단순히 투입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오염공기와 물의 혼합교반을 유도할 수 없으며, 물 속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체류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수중에 기포가 형성되면서 기포의 면적만큼 오염공기가 물과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정화 효율성이 저하되며, 정화공기가 물 밖으로 배출될 때 수면에 부유되는 기포에 의해 간섭이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4a 내지 4c는 오염공기가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면서 정화 효율성이 향상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와 같이 제1진공부(140), 제2유도부(130)의 내부에 동일 수위까지 물(W)이 채워져 제1투입구(131)가 물 속에 잠긴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혼합기(100) 내부에 진공모터(M)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제1진공부(140)가 진공이 형성되어 제2유도부(130) 내부의 물이 제1투입구(131)를 통해 배출되어 제1진공부(140) 내부에 채워진 물과 합쳐진다.
이후, 도 4c와 같이 오염공기 흡입부재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바닥면의 오염공기가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되어 제1유도부(120)와 제2유도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다음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1진공부 내부에 충전된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어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다.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는 제1진공부(140)를 거쳐 제1진공구(111)로 배출된다.
종래의 사이클론 방식의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의 오염공기를 흡입한 다음 원심분리를 통해 이물질, 먼지, 오물을 공기와 분리하는 방식으로서, 액체(수분)가 오염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경우 공기로부터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바닥면에 액체가 존재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액체(물, 음료수, 음식물)가 흡입될 경우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 막대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오염공기 중의 액체가 케이싱(110) 내부의 물과 혼합되면서 공기와 분리되므로 청소시 바닥면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액체 흡입으로 인한 진공모터의 수리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혼합기(1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110′)이 구비되며,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되고,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단에 제1투입구(131′)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130′)가 케이싱(110′)의 내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진공구(111′)와 제1투입구(131′) 사이에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이 제거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상기 제1진공구(111′)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부(14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130′)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오염공기에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기(100′)는 진공모터(M)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케이싱(110′) 내부에 채워진 물이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2유도부(130′) 내부로 투입된 후 제1흡입구(112′)를 통해 오염공기가 흡입된다. 흡입된 오염공기는 제1유도부(120′)를 통해 케이싱(110)′내부로 인입된 다음 제1투입구(131′)를 통해 제2유도부(130′) 내부로 흡입된다.
여기에서, 오염공기는 편심된 위치의 제1투입구(131′)를 통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면서 흡입(투입)되어 물과 활발하게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되며, 정화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는 제1진공구(111′)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2 내지 4c의 혼합기(100)는 케이싱(110)의 바닥면 중앙부에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형성되어 제1흡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케이싱의 내부 중앙부의 제1유도부와 제2유도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반하여 도 5의 혼합기(100′)는 제1흡입구(112′)와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에 마련되어 오염공기가 외부에서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후 물 속으로 투입되는데, 도 5와 같이 제1흡입구(112′)와 제1유도부(120′)가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청소기의 부피가 커지게 되고, 오염공기가 제2유도부(120′) 내부에 투입되는 시점부터 원심력이 발생되므로 효율성이 좋지 않다. 이에, 청소기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고,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시점부터 균일한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도 2 내지 4c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진공부(140)는 제1진공구(111)와 가까워 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기체, 액체)가 가진 운동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단면적이 차츰 넓게 형성되는 디퓨저(diffuser)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진공부(140)는 제1진공구(111)와 가까워 질수록 압력이 감소하여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111)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케이싱(110)의 바닥면으로 회수되고, 수분이 제거된 정화공기는 제1진공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진공부(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제1진공구(111)를 통과하는 정화공기 중에 잔존수분이 없도록 함으로써 진공모터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기(100,100′)의 상세한 설명이나 이해를 돕기 위한 도 2 내지 5에서는 케이싱의 상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케이싱의 상부에 제1진공구(111,111′)가 형성되고, 케이싱의 하부에 제1흡입구(112,112′)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케이싱의 하부에 제1진공구(111,111′)가 형성되고, 케이싱의 상부에 제1흡입구(112,1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혼합기(100)를 통해 정화된 공기 중에 함유된 잔존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200)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분리기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2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2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혼합기의 상부에는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도록 상기 제1진공구(111)와 연통되는 제2흡입구(212)가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유로(220)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분리통의 일측에는 제2투입구(2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진공구(211)와 제2투입구(213) 사이에는 제2흡입구(212)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230)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수분분리기(200)는 제2흡입구(212)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이송된 정화공기를 제2투입구(213)를 통해 분리통의 상부에서 하부로 투입시켜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도록 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F1은 분리수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분리통(210)의 상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분리통의 상부에 제2진공구(211)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12)가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통의 하부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분리통의 하부에 제2진공구(211)가 형성되고, 제2흡입구(212)가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분분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혼합기와 수분분리기가 연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도면부호 A 내지 E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공기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표시한 부호이며, 도면부호 F는 수분분리기를 통해 제1정화공기로부터 분리된 분리수를 표시한 부호이고, F1은 수분분리기의 바닥면에 모인 분리수를 표시한 부호이다.
도 7 및 8과 같이 상기 분리통(2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213)는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이하 "제1정화공기"라고 부르도록 함)가 나선방향의 선회력을 유지하면서 선회투입되도록 분리통의 상부에 편심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211)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213)보다 낮게 위치하는 진공흡입관(240)이 수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혼합기(100)와 수분분리기(200) 내부의 공기가 우선적으로 진공흡입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도면부호 A로부터 C와 같이 외부의 오염공기가 제1투입구(131)를 통해 물 속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흡입되어 케이싱 내부의 물과 혼합교반되면서 정화된다.
물 밖으로 배출된 제1정화공기는 제1진공부(140)를 거쳐 도면부호 D와 같이 제2투입구(213)를 통해 분리통(210) 내부로 투입되어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면서 수분(F1)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고, 수분이 제거된 제2정화공기는 도면부호 E와 같이 제2진공부(230)를 거쳐 제2진공구(211)로 흡입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수분분리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혼합기를 거친 제1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잔존수분이 진공모터로 흡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분리통 내부에서 수위 증가로 인해 수분이 제2진공구(2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를 포함한다.
만약, 다량의 액체와 이물질을 포함하는 오염공기가 지속적으로 흡입될 경우 혼합기(100)를 통해 정화된 제1정화공기 중의 수분 함량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분리통(210) 내부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수위가 되면 제2진공구를 차단하여 분리통 내부의 물이 제2진공구(211)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진공구 차단부재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는 분리통 내부에 채워진 물 위에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플로터(310)와, 상기 제2진공구(211)의 내주연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마개(320) 및 상기 플로터와 차단마개를 연결하는 연결편(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진공구 차단부재(300)는 분리통 내부의 물 위에 부유한 상태에서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플로터(310)를 통해 점차적으로 상승되고, 일정수위 이상으로 수분이 모이면 차단마개(320)가 부력에 의해 상승되어 제2진공구(211)를 차단함으로써 분리통 내부의 물이 진공모터로 흡입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단마개(320)를 통해 제2진공구(211)가 차단되면 작동흡입 소음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아 차리게 되어 전원을 차단(또는 자동차단)하고, 혼합기(100) 및 분리기(200) 내부의 물을 비우고 다시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최근들어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다양한 진공청소기가 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하는 원판형의 걸레에 소정시간동안 물을 직접분사하여 바닥면의 물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경우 오염공기를 진공흡입하는 동시에 물에 젖은 원판형의 걸레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의 액체가 먼지와 함께 흡입되는 경우 액체를 별도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진공모터의 고장으로 직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 없으므로 걸레에 분사되는 물의 양 또한 극소량이어서 물걸레질 청소효과가 현저히 낮으며, 청소 후 오염된 물걸레를 탈거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한 다음 물걸레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 바닥면을 닦는 동시에 진공모터의 흡입력이 작용하여 바닥면의 먼지와 세척수를 함께 흡입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버튼이 구비되어 있어서 조작버튼을 통해 우선적으로 바닥면에 세척수를 분사한 다음 물걸레로 바닥면을 닦아 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입된 세척수는 세척통으로 회수되지만 오염공기 중의 먼지, 이물질, 오물을 정화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대기 중에 먼지(특히 미세먼지)가 그대로 배출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진공청소기는 오염공기와 액체를 분리하는 기능만 제공할 뿐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청소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1은 상술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30) 내부에는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물걸레(400)가 마련되고,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41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급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물걸레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탱크 내부의 물을 물걸레에 공급하는 세척수 배관(420)이 내장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진공모터의 전원인가, 물걸레의 회전구동, 급수탱크에 저장된 물의 급수를 위한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물걸레(400)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물걸레(400)의 회전력과 진공모터의 흡입력을 통해 바닥면의 먼지흡입 진공청소를 할 수 있고, 물걸레(400)의 상부에 세척수가 급수되면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물걸레 청소시에는 회전중인 물걸레의 상부에서 충분한 양의 물이 급수되면서 물걸레가 흠뻑 젖은 상태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으며,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가 물걸레가 지나간 바닥면 위를 통과하면서 잔존수분을 제거하므로 우수한 청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이루어지면서 바닥면의 청소는 물론 물걸레의 자가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며, 물걸레의 후방에서 작용하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물걸레 내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스럽게 건조되므로 청소 후 물걸레를 탈거하여 세척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걸레(400)는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의 전방에 마련되고, 흡입구(31)의 전방에서 바닥면과 물걸레(400)가 교차되는 공간은 개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31′)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구(31)를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2과 같이 진공모터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31′)의 전방이 막혀 있으면 물걸레 내의 잔존수분을 진공흡입력을 통해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물걸레에 충분한 양의 세척수를 급수할 수 없으므로 바닥면의 청소 상태가 우수하지 못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물걸레 청소시 오염공기 흡입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걸레에 소량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바닥면을 청소한 다음 흡입구(31)가 그 위를 통과하면서 바닥면의 잔존 이물질이나 수분을 제거해야 하므로 동일한 바닥면을 반복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청소 후 물걸레를 탈거한 후 세척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반하여, 도 13과 같이 흡입구(31)의 전방이 개방형성되면 물걸레의 후방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므로 물걸레를 통해 제거되는 바닥면의 이물질이나 오염공기가 흡입구(31)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고, 물걸레 내의 수분을 진공흡입력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세척수를 물걸레에 급수하여 물걸레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동일한 바닥면을 반복해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 전해살균수가 저장되어 세척수 배관을 통해 전해살균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미도시)가 장착되어 급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를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하면 물걸레와 바닥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수돗물 또는 소금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는 티타늄(Ti)과 이리듐(Ir) 도금이 형성되거나 티타늄(Ti)과 플라티늄(Pt) 도금이 형성될 수 있다.
티타늄(Ti)과 이리듐(Ir) 도금을 한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구비되면 물(H20)과 소금(NaCl)과 같이 반응하여 차아염소산(HOCL) 혹은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형태의 전해살균수가 생성되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는 소독제 혹은 탈취제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티타늄(Ti)과 플라티늄(Pt) 도금을 한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구비되면 물(H20)과 탄산칼륨(K2CO3)과 반응하여 수산화 칼륨(KOH)와 탄산수소칼륨(KHCO3) 형태의 전해살균수가 생성되며, 이러한 전해살균수는 기름기 제거와 같은 세척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급수탱크 내부에 전기분해장치가 구비되어 전해살균수를 생성하여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함으로써 물걸레와 바닥을 살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바디 어셈블리 20 : 손잡이
30 : 오염공기 흡입부재 31 : 흡입구
100,100′ : 혼합기
110,110′ : 케이싱
111,111′ : 제1진공구 112,112′ : 제1흡입구
120,120′ : 제1유도부 121,121′ : 오염공기 투입구
130,130′ : 제2유도부 131,131′ : 제1투입구
140,140′ : 제1진공부
200 : 수분분리기
210 : 분리통
211 : 제2진공구 212 : 제2흡입구
213 : 제2투입구
220 : 안내유로
230 : 제2진공부
240 : 진공흡입관
300 : 제2진공구 차단부재
310 : 플로터 320 : 차단마개
330 : 연결편
400 : 물걸레 410 : 급수탱크
420 : 세척수 배관
M : 진공모터

Claims (9)

  1. 손잡이가 장착되는 바디 어셈블리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진공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포함한 오염공기를 흡입하는 오염공기 흡입부재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소정 높이의 물이 충전되어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투입되어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오염공기 중의 액체, 이물질, 먼지, 오물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혼합기(100)가 바디 어셈블리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혼합기(1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1진공구(1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1흡입구(112)가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 높이까지 물이 채워지는 케이싱(110)과;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오염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제1유도부(120)와;
    하부가 소정 높이까지 물 속에 잠겨 있으며, 상기 제1유도부를 통해 상부로 이송된 오염공기를 하부로 이송하여 물 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단에 오염공기 투입구(12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1투입구(131)가 형성되는 제2유도부(130)와;
    상기 제1투입구를 통해 오염공기가 물에 투입되도록 하여 정화된 후 제1진공구로 이송되도록, 제1진공구를 통해 형성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1진공구와 제1투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진공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입구(131)는 제2유도부로 투입된 오염공기가 물 속에 나선방향으로 선회 투입되어 물과 원활하게 혼합교반되도록 제2유도부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부(140)는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제1진공구(111) 측으로 이동할 때 감속되도록 하여 정화공기 중에 함유된 물이 중력에 의해 공기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되어 회수되도록 제1진공구와 가까워 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0) 내부의 상기 제1진공구(111)와 진공모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진공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정화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분분리기(2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수분분리기(200)는,
    상기 진공모터와 연통되는 제2진공구(211)가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는 분리통(210)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제1진공구(111)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혼합기를 통해 정화된 후 물 밖으로 배출되는 정화공기가 진공흡입되는 제2흡입구(212)와;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하는 안내유로(220)와;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이송된 정화공기를 분리통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투입구(213)와;
    상기 제2진공구(211)와 제2투입구(213) 사이에 형성되며, 투입된 정화공기가 상기 제2진공구로 흡입되도록 하는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제2진공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21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꼬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투입구(213)는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정화공기가 분리통 내부에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투입되도록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통의 상단 중앙에는 일측 단부가 제2진공구(211)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2투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진공흡입관(240)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분리통 내부에 투입된 정화공기가 원심력에 의해 나선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과정에서 정화공기중의 수분이 중량에 의해 분리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만 제2진공구로 흡입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내부에는 분리수의 수위 증가로 인해 내부의 물이 제2진공구를 통해 진공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력에 의해 상하로 유동 가능한 제2진공구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공기 흡입부재 내부에는 상기 진공모터의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의 전방에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물걸레가 마련되고,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일측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급수탱크와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물걸레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탱크 내부의 물을 물걸레에 공급하는 세척수 배관이 내장되어, 상기 급수탱크의 물이 물걸레에 공급되면 물걸레가 젖어 바닥의 이물질을 깨끗이 닦아낼 수 있도록 하며,
    흡입구의 방향이 바닥면과 물걸레를 동시에 향하도록 하여 바닥면의 이물질과 물걸레의 수분을 동시에 흡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물걸레 청소시에는 지속적으로 회전중인 물걸레에 급수가 충분히 이루어져 물걸레 청소와 물걸레의 세척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수 중단시에는 물걸레의 후방에서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물걸레의 잔존수분이 제거되면서 자연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 내부에는 양전극부 및 음전극부가 장착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살균수가 생성되어, 상기 전해살균수를 세척수 배관을 통해 물걸레에 공급하여 물걸레와 바닥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20190098776A 2019-08-13 2019-08-13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KR10227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76A KR102270813B1 (ko) 2019-08-13 2019-08-13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776A KR102270813B1 (ko) 2019-08-13 2019-08-13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57A KR20210019757A (ko) 2021-02-23
KR102270813B1 true KR102270813B1 (ko) 2021-06-29

Family

ID=746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76A KR102270813B1 (ko) 2019-08-13 2019-08-13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512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티제이씨 진공 청소기
KR20240053513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티제이씨 진공 청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231Y1 (ko) * 1998-11-13 2002-01-12 이충전 습, 건식 진공청소기
JP2002336631A (ja) * 2001-05-15 2002-11-26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56670Y1 (ko) * 2004-04-09 2004-07-21 순 택 임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360001B1 (ko) * 2006-02-10 2014-02-06 텐난트 컴파니 살포 장치를 갖는 이동식 표면 클리너, 및 이동식 표면 클리너 내에 살포되는 세정액을 생성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816A (ko) * 2012-05-22 2015-1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231Y1 (ko) * 1998-11-13 2002-01-12 이충전 습, 건식 진공청소기
JP2002336631A (ja) * 2001-05-15 2002-11-26 Gorin Sangyo:Kk 粉塵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56670Y1 (ko) * 2004-04-09 2004-07-21 순 택 임 진공청소기 흡입관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360001B1 (ko) * 2006-02-10 2014-02-06 텐난트 컴파니 살포 장치를 갖는 이동식 표면 클리너, 및 이동식 표면 클리너 내에 살포되는 세정액을 생성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3512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티제이씨 진공 청소기
KR20240053513A (ko) 2022-10-17 2024-04-24 주식회사 티제이씨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57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9348C2 (ru) Пылесос контейнерного типа
CN109805832B (zh) 污液回收组件以及表面清洁设备
CN210043932U (zh) 污液回收装置以及干湿两用吸尘设备
CN108378777B (zh) 回收桶及其吸尘器
CN100381090C (zh) 复合式清洁器
CN111802972A (zh) 吸尘器
CN100413446C (zh) 复合型吸尘器
CN100369572C (zh) 复合型清洁器
KR102270813B1 (ko)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CN209863666U (zh) 污液回收装置以及干湿两用吸尘器
KR100565262B1 (ko) 건습식 복합형 업라이트 청소기
CN113440071A (zh) 一种清洁设备用水箱及清洁设备
KR101651782B1 (ko) 습식 진공청소기
CN209808205U (zh) 污液回收组件以及表面清洁设备
KR200381912Y1 (ko) 로봇청소기
KR100595576B1 (ko) 습식 업라이트 청소기의 집수통
KR101065675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필터어셈블리
KR100842371B1 (ko) 청소기용 습식 흡입장치
CN213865838U (zh) 一种一体化mbr污水处理设备
CN216020849U (zh) 一种清洁设备用水箱及清洁设备
CN212307699U (zh) 一种具有水气分离结构的吸水刷
CN216147978U (zh) 一种低噪音表面清洁机
KR100539759B1 (ko) 복합 청소기
CN217471897U (zh) 一种布艺清洗机的污水***及布艺清洗机
KR200280967Y1 (ko) 먼지와 이물질 및 물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