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72B1 - 근력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72B1
KR102270772B1 KR1020200076339A KR20200076339A KR102270772B1 KR 102270772 B1 KR102270772 B1 KR 102270772B1 KR 1020200076339 A KR1020200076339 A KR 1020200076339A KR 20200076339 A KR20200076339 A KR 20200076339A KR 102270772 B1 KR102270772 B1 KR 10227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tick
spring
hand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택
Original Assignee
김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택 filed Critical 김의택
Priority to KR102020007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72B1/ko
Priority to PCT/KR2021/007777 priority patent/WO2021261872A1/ko
Priority to CN202180045143.2A priority patent/CN115916356A/zh
Priority to US18/011,686 priority patent/US202302490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63B2023/03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수평상태의 크로스바에 착탈가능하게 걸리거나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력강화 운동기구 {PHYSICAL INSTRUMENT FOR STRENGTHENING MUSCLE}
본 발명은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매달리는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는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 시키고,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운동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매일 장시간씩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하여 어깨나 목 또는 등 등의 부위가 굽어지거나 경직되는 최근의 상황에서는 더욱 운동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주로 체육관이나 운동장 등에서 맨몸이나 기구를 이용한다.
최근, 운동의 필요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하거나 가정에서도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조된 가정용 운동기구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등록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용도 운동기구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 의한 다용도 운동기구는 다양한 웨이트용 기구나 회전판 및 철봉 등이 일체로 구비되어 다양한 운동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철봉에 일명 거꾸리(10)로 불리는 기구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거꾸로 매달릴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된 후 공개된 실용신안 공개 제2010-8471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함)의 경우, 철봉에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거꾸로 매달리거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양다리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거꾸리를 개시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후 공개된 특허 공개 제2009-42700호(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의 경우, 철봉에 손잡이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손잡이를 잡고 풀업 등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용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후 등록된 특허 등록 제1142216호(이하 '종래기술 4'라 함)의 경우, 철봉에 걸리는 밴드의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를 잡고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을 개시하고 있다.
게다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 등록 제401090호(이하 '종래기술 5'라 함)의 경우, 양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바(Bar)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다기능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 출원되어 공고된 공고 제10295호(이하 '종래기술 6'이라 함)의 경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수평바를 스프링 및 끈으로 연결하여 하부의 수평바를 발로 밟은 상태에서 상부의 수평바를 들어올려서 운동할 수 있는 건강지게 운동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1 및 종래기술 2는 거꾸리(10)를 구성하는 메인프레임이 전체적으로 철판의 절곡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접힘이 불가능하여 휴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리고, 종래기술 3 및 4는 휴대가 가능하지만 손잡이가 유동되므로 운동자세가 변동되어 근육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또, 종래기술 5 및 6은 바형태의 손잡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들어올리는 운동만 사실상 가능하고, 철봉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으며, 들어올리는 운동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1989-4447호(1989.07.05. 공고/ 이명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제2010-8471호(2010.08.26. 공개/ 손길홍)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42700호(2009.04.30. 공개/ 퍼펙트푸쉬업,엘엘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2216호(2012.04.25. 등록/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404090호(2005.11.04. 등록/ 최호성)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1995-10295호(1995.12.08. 공고/ 박진수, 최병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철봉과 같은 크로스바에 걸리는 걸림부재에 연결된 연결부재가 접힘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양손을 파지하는 손잡이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양손이 파지된 손잡이의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전술한 연결부재가 직물재로 구성되거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와 함께 돌돌 말아서 보관하거나 운동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전술한 연결부재가 전술한 직물재 및 탄성재로 혼합 구성되어 연결부재의 길이를 접힘가능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벽체나 기둥과 같은 구조물의 표면에 돌출상태로 설치된 걸고리에 걸릴 수도 있는 부재가 전술한 걸림부재에 함께 구비되거나, 웨이트 운동을 가능케하는 구성요소가 함께 구비된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전술한 걸림부재가 크로스바에 걸리도록 걸림부재에 크로스바를 제공하는 기구가 함께 구비된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상태의 크로스바에 착탈가능하게 걸리거나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의 양손이 양단부에 파지되고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스틱이나, 양손의 파지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환형의 파지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예컨대 상기 크로스바에 걸리도록 '∩'형태로 절곡된 금속재 강봉으로 이루어진 후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스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크의 하부가 끼워지는 상부 끼움공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상부 끼움공을 통해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틱이 수평상태로 끼워지는 하부 끼움공이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끼움공을 통해 상기 스틱이 고정되는 직물재 밴드 또는, 상기 후크의 하부 및 상기 스틱에 상단 및 하단이 제각기 연결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상기 스틱에 의해 신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손잡이는 상기 스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크나 상기 스틱이 일단부에 고정되는 직물재 밴드; 및 상기 직물재 밴드에 연결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상기 스틱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스틱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는 면상 구조물에 돌출상태로 설치된 걸고리에 걸리는 걸림고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걸고리에 걸림이 가능하게 "∩"형태나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쉬브; 상기 쉬브에 배선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그립;을 더 포함한다.
상기 쉬브는, 상기 웨이트가 일단부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가 상기 그립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바가 수평상태로 구비된 한쌍의 포스트를 갖는 행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 상기 크로스바가 수평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나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손잡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끈; 및 상기 연결끈에 고정되는 휘슬;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휘슬은 상기 고정부나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스틱에 부착되도록 마그네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밴드의 하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상기 손잡이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손잡이에 상기 밴드의 유동을 방지하는 칼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끼워져서 인출되는 인출관; 및 상기 인출관의 인출 길이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 및 인출관에 형성된 길이조절공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가 단부에 구비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버클링이 구비되어 버클링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밴드에 설치되고, 스마트폰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밴드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포켓; 및 상기 밴드에 링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포켓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에 패스너가 구비되어 패스너에 의해 원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링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는 운동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 음성 운동방법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음성 운동방법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기; 및 상기 음성변환기의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전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와이어는 상단이 상기 후크나 상기 밴드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스틱에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안전와이어는 상단이 상기 후크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스틱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도를 현시하는 각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기는, 상기 손잡이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원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도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포스트들의 상단이 수평상태로 절곡되고,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 상기 크로스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상기 행거는, 상기 포스트들이 사다리꼴로 경사절곡되고, 상기 크로스바가 상기 포스트들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의 하부에 고정되는 'U'형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행거를 구성하는 한쌍의 수직부 및 이러한 수직부들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스프링은 원통형 커버에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은 안전와이어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와이어는 상단이 상기 후크나 밴드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스틱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안전와이어는 상단이 상기 후크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스틱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크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원통형 커버; 상기 커버에 내장되는 판재; 상기 판재에 상단이 고정되어 상기 판재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밴드나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는 로드; 상기 로드에 설치되는 인장 스프링; 및 상기 원통형 커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장 스프링을 구속하는 하부캡;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손잡이가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스틱이나 양손의 파지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환형의 파지링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양손이 손잡이에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시 자세가 변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인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후크가 '∩'형태로 절곡된 강봉으로 구성되고, 연결부가 직물재 밴드로 구성되므로 무게를 경감시킬 수 있고, 연결부가 직물재 밴드로 구성될 경우 후크나 손잡이의 스틱을 연결부에 봉재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부가 스프링으로 구성될 경우 손잡이의 가압시 탄성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근육을 신속하게 이완 및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가 직물재 밴드나 스프링으로 구성되므로 연결부를 중심으로 손잡이와 후크를 접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이하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다.
또, 연결부가 직물재 밴드 및 스프링으로 혼합되어 구성될 경우 연결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좀더 용이하게 접을 수 있고, 연결부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연결부의 연장된 길이로 인하여 손잡이를 좀더 작은 힘으로 가압하여도 스프링을 신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에 걸림고리가 구비됨에 따라 벽체나 기둥과 같은 면상 구조물에 돌출설치된 걸고리에 걸림고리를 걸어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쉬브 및 와이어, 그리고 웨이트 및 그립이 구비될 경우 그립을 잡고 웨이트를 당길 수 있으므로 상체 및/또는 하체의 근육도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크로스바가 구비된 행거가 사다리 형태로 구성될 경우 원하는 높이에 고정부의 후크를 걸어서 운동할 수 있고, 이와 달리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크로스바가 구비될 경우 후크를 크로스바에 걸어서 매달릴 수 있으며, 이와 또 달리 크로스바를 갖는 행거가 사다리꼴로 구성될 경우 사용자의 키 높이나 원하는 높이에 후크를 걸어서 매달릴 수도 있다.
게다가, 연결끈을 통해 휘슬이 구비될 경우 비상시 휘슬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슬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고, 휘슬에 부착된 마그네트를 통해 휘슬을 후크나 스프링 또는 손잡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휘슬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손잡이의 스틱에 칼라를 구비할 경우 연결부의 밴드가 스틱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틱을 인출가능하도록 연결관과 인출관 및 스토퍼로 구성할 경우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스틱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할 수 잇으며, 직물재 밴드에 버클링이 마련될 경우 버클링을 통해 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밴드에 스마트폰 고정부가 구비될 경우 밴드에 스마트폰을 고정할 수 있고, 운동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안내장치가 구비될 경우 안내장치의 스피커에서 안내되는 음성에 따라 운동할 수 있으므로 설정된 방법으로 올바르게 운동할 수 있으며, 안전와이어가 구비될 경우 스프링의 절단시 안전와이어가 손잡이의 분리를 방지하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덧붙여, 각도기가 손잡이의 스틱에 구비될 경우 각도기를 통해 손잡이의 회전각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운동시 몸통의 뒤틀림과 같은 동작을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고정부가 전술한 후크가 아닌 비계용 클램프로 구성될 경우 고정부가 크로스바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스프링이 원통형 커버에 내장되므로 스프링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틈새로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후크의 하부에 원통형 커버가 하부캡과 함께 설치되고, 커버의 내부에 원판과 로드 및 인장 스프링이 설치될 경우, 손잡이의 스틱에 의한 로드의 하강시 인장된 스프링을 원판이 압축하여 손잡이에 탄성을 전달하므로 더욱 원활하게 탄성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후크를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손잡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손잡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2의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의 정면도;
도 12는 도 2의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길이조절식 손잡이의 정면도;
도 13은 도 2의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절곡식 손잡이의 정면도;
도 14는 도 6에 도시된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밴드의 배면도;
도 16는 도 14에 도시된 밴드의 측면도;
도 17은 도 6 및 도 14의 밴드에 설치되는 스마트폰 고정부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스마트폰 고정부의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안내장치가 적용된 손잡이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안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의 운동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23은 도 6의 후크에 쉬브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쉬브에 설치되는 와이어 및 웨이트의 개념도;
도 25는 도 6의 손잡이에 각도기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도 6의 크로스바가 설치된 행거의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행거의 측면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행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행거의 하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달리 구성된 행거의 사시도;
도 31은 도 26에 도시된 행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행거의 측면도;
도 33은 도 6의 후크에 걸림고리가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도;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후크의 측면도;
도 35는 도 6에 도시된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36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스프링의 하부에 밴드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배면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 밴드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배면도; 및
도 39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의 또 드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50)는 고정부, 연결부 및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부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의 크로스바(90)에 착탈가능하게 걸리거나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고정부는 예컨대, 도 2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로 절곡된 강봉으로 이루어진 후크(52)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52)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부(52a) 및 수직부(52a)에서 절곡된 한쌍의 절곡부(52b), 그리고 이러한 수직부(52a) 및 절곡부(52b)의 단부에 수평으로 밴딩되어 한쌍의 수직부(52a) 및 절곡부(52b)를 연결하는 수평부(52d)로 구성된다.
연결부는 예컨대, 접힘이 용이하도록 도 2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재 밴드(54)로 구성할 수 있다. 밴드(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장의 직물이 절곡에 의해 겹쳐져서 봉재됨에 따라 후크(52)의 수평부(52d)가 끼워지는 상부 끼움공이 상단부에 구비되고, 손잡이를 구성하는 스틱(56)이 수평상태로 끼워지는 하부 끼움공이 하단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밴드(54)는 상단부에 후크(52)의 하부가 연결되고, 하단부에 손잡이를 구성하는 스틱(56)이 연결된다.
손잡이는 예컨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틱(56)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틱(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손이 양단부에 파지되고,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수평상태의 바(Bar)로 구성되며, 양단부에 고무재 그립(GR)이 장착될 수 있다.
스틱(56)은 도 9에 실선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과,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스틱(5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될 경우 전술한 밴드(54)가 수평상태로 유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스틱(5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4)의 양측을 지지하여 밴드(54)의 유동을 방지하는 칼라(CL)가 구비될 수 있다.
스틱(56)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의 밴드(54)에 연결되는 연결관(56a) 및 연결관(56a)에 끼워져서 인출되는 인출관(56b)로 구성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인출관(56b)은 스토퍼에 의해 인출 길이가 제어된다. 이러한 스토퍼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56a)에 설치되고, 연결관(56a) 및 인출관(56b)에 형성된 길이조절공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56d)가 단부에 구비된 판스프링(56c)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틱(56)은 돌출돌기(56d)가 전술한 길이조절공으로 삽입되거나 돌출되는 것에 따라 인출관(56b)이 연결관(56a)에서 인출될 수 있으므로 길이가 가변된다.
손잡이는 양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양손에 파지되는 양단부가 절곡된 금속재 파이프로 이루어진 스틱(5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틱(56)은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양단부가 널링가공(NR)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손잡이는 양손이 용이하게 매달리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의 파지가 가능한 지름을 갖는 환형의 파지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파지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널링이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밴드(54)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통상의 버클링(BR)이 구비되어 버클링(BR)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밴드(5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버클링(BR)의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부분이 전술한 후크(52)의 수평부(52d)를 경유하면서 전술한 일단부측과 중첩된 후 버클링(BR)의 가로대에 걸린 다음, 타단부가 손잡이의 스틱(56)을 감싸는 상태에서 봉재로 고정된다. 이렇게 밴드(54)가 버클링(BR)에 걸리는 구조는 통상적인 구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밴드(54)는 버클링(BR)에 끼워진 부분이 조절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클링(BR)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높이로 스틱(5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밴드(54)는 스마트폰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폰 고정부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4)에 설치되고, 스마트폰(SP)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포켓(PK) 및 밴드(54)에 링형태로 설치되어 포켓(PK)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에 패스너(F)가 구비되어 패스너(F)에 의해 원형을 이루면서 스마트폰(SP)의 상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링 클램프(BD)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켓(PK)에 스마트폰(SP)의 하단부를 삽입한 후 상단을 링 클램프(BD)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운동시 스마트폰(SP)을 시청하거나 운동방법 등을 시청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연결부는 제조가 용이하도록 전술한 밴드(54) 대신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는 금속봉의 단부에 후크(52)가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의 후크(52)나 연결부의 밴드(54) 또는 손잡이의 스틱(5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끈(WR)이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끈(WR)에 휘슬(WH)이 고정될 수 있다. 휘슬(WH)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MG)가 구비된다. 휘슬(WH)은 평상시 마그네트(MG)에 의해 후크(52)나 스틱(56)과 같은 금속재에 부착되어 있으며, 비상시 금속재에서 분리되어 사용된다. 이때, 휘슬(WH)은 연결끈(WR)에 의해 망실되지 않는다.
또한, 후크(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나 마크가 표기되는 판상의 플레이트(51a) 및 이러한 플레이트(51a)의 양단부에 구비된 밴딩부(51b)를 갖는 표기판(51)이 구비된다. 표기판(51)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후크(52)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표기판(5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밴딩부(51b)가 후크(52)의 수직부(52a)에 끼움상태로 결합되어 후크(52)의 수직부(52a)에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운동방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안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안내장치는 예컨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6)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SW), 음성 운동방법이 저장된 메모리(75), 스위치(SW)에 의해 메모리(75)의 음성 운동방법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변환기(77) 및 음성변환기(77)의 음성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 그리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안내장치는 스위치(SW)의 조작시 메모리(75)에 기 저장된 운동방법을 음성변환기(77)가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SP)에서 안내되는 운동방법으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90)에 후크(52)를 걸은 후 양손으로 손잡이(56)를 잡은 다음 매달리거나 허리를 피면서 스트레칭아나 근력운동을 할 수 있고, 쪼그리거나 허리를 굽히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스트레칭을 하거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약화된 목이나 등 및 허리의 근육을 이완 및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술한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운동방법을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고, 이와 달리 밴드(54)에 고정된 스마트폰(SP)을 통해 운동방법을 안내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야간과 같이 위험한 상황일 경우 전술한 휘슬(WH)을 통해 경고음을 발산하여 주위에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밴드(54) 및 후술되는 스프링(6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밴드(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스틱(56)이 끼워져서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스프링(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단이 연결링(61)을 통해 후크(52)의 하부에 고정되고, 하단이 연결링(61)을 통해 밴드(54)의 상부에 연결된다. 스프링(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평행하게 밴드(54) 및 후크(52)에 연결된다. 스프링(62)은 소음차단 및 안전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커버(63)의 내부에 내장되어 차폐된다. 스프링(62)은 사용자에 의해 스틱(56)이 상하로 유동할 경우 신축되면서 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시 스프링(62)의 탄성에 의해 근육이 이완 및 수축되므로 운동효과가 배가된다.
밴드(54) 및 후크(52)에 각각 구비된 연결링(6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와이어(65)의 양단이 각각 고정된다. 안전와이어(65)는 밴드(54)를 통해 스틱(56)과 연결됨에 따라 후크(52) 및 스틱(56)을 연결한다. 안전와이어(65)는 반복 탄성에 의해 스프링(62)의 연결부위가 혹여 절단될 경우 긴장되면서 스틱(56)이 후크(52)나 밴드(54)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프링(62)이 절단되어도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술한 원통형 커버(63)는 스프링(62)을 수용하도록 스프링(62)의 수량에 대응하는 수량으로 구비된다. 원통형 커버(63)는 각각의 스프링(62)을 표시하도록 각각 상이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스프링(62)은 도시된 바와 달리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스프링(62)은 탄성력이 균형적으로 전이되도록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스트레칭 이외의 웨이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브(82), 와이어(88b), 웨이트(88c) 및 그립(88a)이 구비될 수 있다. 쉬브(82)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를 구성하는 후크(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쉬브(82)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2)의 양측에 설치된 브래킷(84)에 힌지(86)가 고정됨에 따라 후크(5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와이어(88b)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브(82)에 배선되어 밴딩상태로 와인딩된다. 와이어(8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웨이트(88c)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그립(88a)이 설치된다.
웨이트(88c)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물재 주머니로 구성된다. 이러한 웨이트(88c)는 하중이 제공되도록 주머니의 내부에 모레가 충전된다. 따라서, 웨이트(88c)는 모레가 충전됨에 따라 인체와 충돌하여도 부상의 위험이 없다.
그립(88a)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스틱(56)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립(88a)은 웨이트(88c)와 동일하게 와이어(88b)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링(61)에 통상의 비너(BN)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스틱(56)이나 그립(88a)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경우 회전각도를 알 수 있도록,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기(PR)가 부착될 수 있다. 각도기(PR)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56)이나 그립(88a)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원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이나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도(AG)가 표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스틱(56)을 사용자가 가압할 경우 스프링(62)이 탄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근육이 원활하게 이완되므로 근력이 강화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립(88a)을 잡고 웨이트(88c)의 모레 주머니를 들어올려서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와이어(88b)는 그립(88a)에 의해 당겨지면서 쉬브(8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와이어(88b)는 회전되는 쉬브(82)에 의해 원활하게 당겨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스틱(56)이나 그립(88a)이 회전될 경우, 사용자는 각도기(RP)를 통해 스틱(56)이나 그립(88a)의 회전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밴드(54)나 와이어(88b)를 기준으로 각도기(RP)의 각도(AG)를 읽어서 회전된 각도를 확인한다.
다른 한편, 후크(52)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고리(53)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고리(53)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HG)에 걸림이 가능하게 "∩"형태나 "∧"형태로 절곡형성된 걸림부(53a) 및 걸림부(53a)의 양단부에 원형으로 링형태로 밴딩되는 양단(53b)로 구성된다. 링형태 양단(5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2)에 회동가능하게 걸려서 고정되거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PN)에 의해 후크(52)의 브래킷(53c)에 고정됨에 따라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한 상태로 후크(52)에 고정된다.
걸림고리(53)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나 기둥과 같은 면상 구조물(W)에 돌출상태로 설치된 걸고리(HG)에 걸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로스바(90)가 없는 장소에서는 걸고리(HG)에 걸림고리(53)를 걸은 후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후크(52)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거(100)의 크로스바(90)에 걸린다. 행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격된 한쌍의 포스트(110)에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바(90)가 수평상태로 구비된다. 행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와 같은 면상 구조물(W)에 고정되도록 부착대(112a) 및 밀착판(112b)이 구비된다. 부착대(11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0)에 돌출상태로 부착되고, 단부에 밀착판(112b)이 일체로 구비된다. 행거(10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판(112b)이 볼팅으로 면상 구조물(W)에 고정됨에 따라 면상 구조물(W)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행거(100)의 크로스바(90)에 후크(52)를 걸은 후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행거(100)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0)들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상부 포스트(114a) 및 상부 포스트(114a)들 사이에 추가로 설치되는 상부 크로스바(11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행거(100)는 후크(52)가 상부에 설치되도록 상부 포스트(114a) 및 상부 크로스바(114b)를 제공하여 상부측 고정구간(114)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상부측 고정구간(114)의 상부 크로스바(114b)에 후크(52)를 걸어서 운동할 수도 있다.
한편, 행거(100)는 벽체와 같은 면상 구조물(W)이 없는 운동장과 같은 개활지에 설치될 경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된 기초대(BS)를 통해 개활지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행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0)의 하단에 플랜지(116)가 구비되고, 플랜지(116)가 앵커볼트에 의해 기초대(BS)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또 한편, 행거(100)는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부측 고정구간(114)이 경사상태로 포스트(110)의 상단에 길게 형성되고, 포스트(110)의 반대편에 한쌍의 수직 다리(115)가 구비되어 측면상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행거(100)는 상부측 고정구간(114)이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구성된 상부 크로스바(114b)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높이의 상부 크로스바(114b)에 후크(52)를 걸어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포스트(110) 및 수직 다리(115)는 하단에 전술한 플랜지(116)가 구비되어 플랜지(116)를 통해 기초대(BS)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행거(100)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판(121) 및 수직판(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 걸림턱(123)으로 구성된 분할식 포스트(120)로 구성될 수 있다. 분할식 포스트(120)는 수직판(121)이 볼트(B)에 의해 면상 구조물(W)에 고정된다. 그리고, 분할식 포스트(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태의 크로스바(90)가 걸림턱(123)에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할식 포스트(120)를 면상 구조물(W)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행거(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원하는 높이에 크로스바(90)를 설치한 후 크로스바(90)에 후크(52)를 걸어서 운동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고정부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비계용 클램프(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90)에 결합되는 전술한 클램프(55)가 구비되며, 이러한 클램프(55)의 하부에 전술한 후크(52)의 수직부(52a) 및 수평부(52d)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부(52d)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4)의 상단부가 고정되며, 밴드(54)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의 스틱(56)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클램프(55)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클램프(55)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가 삽입되는 절개홈(N)이 구비된 한쌍의 상단날개(55a) 및 상단날개(55a)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에 힌지(H)가 구비되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단날개(55a)가 구비된 상단부를 개폐하는 반원형 단면의 바디(55b)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힌지(H)를 통해 클램프(55)의 바디(55b)를 벌려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5b)의 내측에 크로스바(90)를 위치시킨 후, 다시 바디(55b)를 오므린 다음 상단날개(55a)의 절개홈(N)으로 볼트(B)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에 따라, 클램프(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90)에 고정되어 매달린다. 이때, 손잡이의 스틱(56)은 밴드(54)를 통해 클램프(55)에 연결됨에 따라 클램프(55)에 의해 크로스바(90)에 매달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틱(56)을 양손으로 파지한 후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후크(52)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쉬브(82)가 설치될 경우 한쌍의 수직부(52a) 사이에 보강대(52e)가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강대(52e)는 쉬브(82)의 작동시 한쌍의 수직부(52a)가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후크(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52d)에 구비된 연결링(61)을 통해 전술한 스프링(62)이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62)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연결링(61)을 통해 손잡이의 스틱(56)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비너(BN)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상단 및 하단이 각각 후크(52)의 연결링(61) 및 스틱(56)의 연결링(61)에 연결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후크(52) 및 스틱(56)에 스프링(62)에 사실상 직접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스틱(56)을 파지하여 운동할 경우 원활하게 스프링(62)이 신축되므로 탄성력을 스틱(56)에 직접적으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활하게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후크(52)는 전술한 보강대(52e)가 구비될 경우,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평부(52d)를 생략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직부(52a)의 하단에 전술한 연결링(61)을 직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너(BN)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후크(52)의 수직부(52a)에 곧바로 연결된다. 따라서, 후크(52)는 보강대(52e)가 구비될 경우 수평부(52d)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도 36의 근력강화 운동기구에 비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후크(52)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걸림고리(53)가 앞서 설명된 방법으로 수직부(52a)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8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후크(52)는 걸림고리(53)의 회동시 걸림고리(53)가 수직부(52a)에 중첩상태로 밀착된다. 따라서, 후크(52)는 걸림고리(53)가 구비되어도 보관이 용이하다.
또 한편, 전술한 스프링(61)은 전술한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56)에 사실상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54)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밴드(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61) 및 비너(BN)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스프링(61)이 상단에 고정되고, 하단에 스틱(56)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61)은 연결링(61) 및 비너(BN)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밴드(54)에 연결될 수 있고, 스틱(56)에 사실상 직접적으로 연결됨에 다라 탄성력을 스틱(56)에 직접적으로 전이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스프링(61)은 전술한 바와 달리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가 밴드(54)를 통해 후크(52) 및 손잡이의 스틱(5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밴드(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용 및 하부용으로 구성되어 2개가 1조를 이루며, 상부용의 경우 후크(52)의 수평부(52d)에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연결링(61)을 통해 스프링(62)의 상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밴드(54)는 하부용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연결링(61)을 통해 스프링(62)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단에 스틱(56)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연결부가 스프링(62) 및 한쌍의 밴드(54)로 구성되어 연결부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연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스틱(56)을 가압하여 유동시킬 경우 작은 가압력으로도 스프링(62)이 원활하게 신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스프링(61)은 비너(BN)가 없이 연결링(61)을 통해 곧바로 후크(52)의 수직부(52a)나 수평부(52d)에 상단이 연결될 수 있고, 연결링(61)을 통해 곧바로 스틱(5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비너(BN)와 같은 연결부재는 필요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52)의 수평부(52d)가 전술한 원통형 커버(63)에 관통설치되어 원통형 커버(63)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부(52d)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커버(63)의 측방을 관통하여 원통형 커버(63)에 고정되므로 원통형 커버(63)와 일체를 이룬다.
원통형 커버(63)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판(PT) 및 이러한 원판(PT)에 일체로 연결된 수직의 로드(RD)가 내장된다. 로드(R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62)이 끼워진 상태로 내장되며, 단부에 막대형의 엔딩프레임(ED)이 수평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62)은 전술한 스프링들과 달리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즉, 앞서 설명된 스프링(62)들은 압축스프링이고, 도시된 스프링(62)은 피치가 벌어져 있는 인장스프링이다.
원통형 커버(63)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하부캡(CP)이 체결된다. 하부캡(CP)은 로드(RD)가 관통되며, 원통형 커버(63)의 하부에서 스프링(62)의 이탈을 방지한다.
엔딩프레임(ED)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캡(CP)을 관통한 로드(RD)의 단부에 설치되며, 전술한 밴드(54)의 상단부에 봉재로 고정된다. 그리고, 밴드(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손잡이의 스틱(56)이 봉재에 의해 수평상태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근력강화 운동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인장된 스프링(62)에 의해 원판(PT)이 상승하여 후크(52)의 수평부(52d)에 밀착된다. 하지만, 원판(PT)은 손잡이의 스틱(56)이 사용자에 의해 하강할 경우, 스틱(56)과 함께 엔딩프레임(ED)이 하강하면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RD)도 하강시키므로 이러한 로드(RD)와 함께 하강한다. 이때, 원판(PT)은 인장된 스프링(62)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한다. 그리고, 원판(PT)은 스틱(56)의 하강력이 감소될 경우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승한다. 따라서, 스프링(62)은 이전의 스프링(62)들 보다 탄성력을 더욱 원활하게 제공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2: 후크 52a: 수직부
52b: 절곡부 52d: 수평부
53: 걸림고리 55: 클램프
54: 밴드 56: 스틱
56a: 연결관 56b: 인출관
56c: 판스프링 56d: 돌출돌기
61: 연결링 62: 스프링
65: 안전와이어 71: PCB기판
75: 메모리 77: 음성변환기
79: 배터리 82: 쉬브
88a: 그립 88b: 와이어
88c: 웨이트 90: 크로스바
100: 행거 110: 포스트

Claims (6)

  1. 수평상태의 크로스바(90)에 착탈가능하게 걸리거나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사용자의 양손이 양단부에 파지되고 수평으로 길이를 갖는 스틱(5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크로스바에 걸리도록 '∩'형태로 절곡된 후크(5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후크(52)나 상기 스틱(56)이 일단부에 고정되는 직물재 밴드(54); 및
    상기 직물재 밴드(54)에 연결되고,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상하로 유동되는 상기 스틱(56)에 의해 신축되면서 상기 스틱(5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면상 구조물(W)에 돌출상태로 설치된 걸고리(HG)에 걸리는 걸림고리(5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쉬브(82);
    상기 쉬브(82)에 배선되는 와이어(88b);
    상기 와이어(88b)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88c); 및
    상기 와이어(88b)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그립(88a);을 더 포함하며,
    상기 쉬브(82)는,
    상기 웨이트(88c)가 일단부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88b)가 상기 그립(88a)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후크(52)는, '∩'형태로 절곡된 강봉으로 구성됨에 따라, 수직을 이루는 한쌍의 수직부(52a)와, 상기 수직부(52a)의 단부에 절곡상태로 마련되는 한쌍의 절곡부(52b) 및 상기 수직부(52a)들과 상기 절곡부(52b)들을 연결하는 수평부(5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림고리(53)는,
    상기 걸고리(HG)에 걸림이 가능하게 "∩"형태나 "∧"형태로 절곡형성된 걸림부(53a); 및
    상기 걸림부(53a)의 양단부에 원형의 링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후크(5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형태의 양단(53b);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52)를 구성하는 상기 한쌍의 수직부(52a)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88b)가 당겨짐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쉬브(82)에 의해 상기 수직부(52a)들이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대(52e);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나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손잡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연결끈(WR); 및
    상기 연결끈(WR)에 고정되는 휘슬(WH);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휘슬(WH)은,
    상기 고정부나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스틱(56)에 부착되도록 마그네트(MG)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후크(52)의 상기 수직부(52a)에 끼움상태로 결합되는 밴딩부(51b)가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밴딩부(51b)를 통해 상기 후크(52)에 고정되고, 문자나 마크가 표기된 표기판(5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직물재 밴드(54)에 설치되고, 스마트폰(SP)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스마트폰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고정부는,
    상기 직물재 밴드(54)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폰(SP)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포켓(PK); 및
    상기 직물재 밴드(54)에 링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포켓(PK)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단부에 패스너(P)가 구비되어 상기 패스너(P)에 의해 원형을 이루면서 상기 스마트폰(SP)의 상부를 감싸서 고정하는 링 클램프(BD);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62)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프링(62)이 차폐되도록 상기 스프링(62)이 내장되는 원통형 커버(6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커버(63)에 내장된 상기 스프링(62)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전와이어(6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와이어(65)는,
    상기 스프링(62)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부의 상기 후크(52)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직물재 밴드(54)를 통해 상기 스틱(56)에 연결되어, 상기 후크(52) 및 상기 스틱(56)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90)가 수평상태로 구비된 한쌍의 포스트(110)를 갖는 행거(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행거(100)는,
    상기 포스트(110)들 사이에 상기 크로스바(90)가 수평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0200076339A 2020-06-23 2020-06-23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27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39A KR102270772B1 (ko) 2020-06-23 2020-06-23 근력강화 운동기구
PCT/KR2021/007777 WO2021261872A1 (ko) 2020-06-23 2021-06-22 근력강화 운동기구
CN202180045143.2A CN115916356A (zh) 2020-06-23 2021-06-22 肌肉力量强化运动器具
US18/011,686 US20230249023A1 (en) 2020-06-23 2021-06-22 Muscle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339A KR102270772B1 (ko) 2020-06-23 2020-06-23 근력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772B1 true KR102270772B1 (ko) 2021-06-28

Family

ID=7660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339A KR102270772B1 (ko) 2020-06-23 2020-06-23 근력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2155A (zh) * 2022-09-06 2022-11-25 南京林业大学 一种自动回弹式弹力绳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447A (ko) 1987-08-07 1989-04-22 미다 가쓰시게 초전도 재료 및 초전도박막의 제조방법
JPH0681553U (ja) * 1993-05-14 1994-11-2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上肢機能回復訓練具
KR950010295A (ko) 1993-09-25 1995-04-26 성기설 유도전동기의 동기운전 제어기
KR100404090B1 (ko) 2001-11-28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의 뷔오아이피 구현 장치 및 방법
US20030216220A1 (en) * 2002-05-20 2003-11-20 Rota James Eugene Integrated exercise and conditioning system for the human body
KR20100008471A (ko) 2008-07-16 2010-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및 그 조립방법
US8007413B1 (en) * 2011-01-07 2011-08-30 Ying-Ching Wu Exerciser with length-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20120100968A1 (en) * 2010-10-20 2012-04-26 James Tilton Abdominal exercise device
KR101142216B1 (ko) 2005-11-07 2012-05-04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KR101862794B1 (ko) * 2017-02-08 2018-05-30 김창호 근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447A (ko) 1987-08-07 1989-04-22 미다 가쓰시게 초전도 재료 및 초전도박막의 제조방법
JPH0681553U (ja) * 1993-05-14 1994-11-2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上肢機能回復訓練具
KR950010295A (ko) 1993-09-25 1995-04-26 성기설 유도전동기의 동기운전 제어기
KR100404090B1 (ko) 2001-11-28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게이트웨이의 뷔오아이피 구현 장치 및 방법
US20030216220A1 (en) * 2002-05-20 2003-11-20 Rota James Eugene Integrated exercise and conditioning system for the human body
KR101142216B1 (ko) 2005-11-07 2012-05-04 피트니스 애니웨어 인코포레이티드 운동 기구용 컴비네이션 그립
KR20100008471A (ko) 2008-07-16 2010-0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및 그 조립방법
US20120100968A1 (en) * 2010-10-20 2012-04-26 James Tilto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8007413B1 (en) * 2011-01-07 2011-08-30 Ying-Ching Wu Exerciser with length-adjustable inelastic straps
KR101862794B1 (ko) * 2017-02-08 2018-05-30 김창호 근력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2155A (zh) * 2022-09-06 2022-11-25 南京林业大学 一种自动回弹式弹力绳装置
CN115382155B (zh) * 2022-09-06 2024-03-12 南京林业大学 一种自动回弹式弹力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007B2 (en) Foldable trampoline
US7316636B1 (en) Impinged retention exercise assembly
US20200215373A1 (en) Multipurpose exercise training device
US8152703B1 (en) Exercise device providing variable lift assistance during pull-up and push-up exercises
US8876676B2 (en) Portable fitness chair
EP1945319B1 (en) Combination grip for an exercise device
US8088053B2 (en) Physical training and rehabilitative rope suspension system
US10561890B2 (en) Exercise apparatus, kit and method
US20140342883A1 (en) Full body resistance strength and cardiovascular mobile exercise device
US8827231B1 (en) Stanchion for anchoring exercise apparatus
US20140080687A1 (en) Resistance-based exercise device
US20170136330A1 (en) Martial arts training device
US9884220B2 (en) Potable cable resistance pulley exercise equipment and related methods
KR102270772B1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JP2007130368A (ja) 機能回復訓練装置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7192390B2 (e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KR200451767Y1 (ko)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CN214232622U (zh) 一种上肢牵引器
US20180250545A1 (en) Versa-Band
KR20060017936A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2455185B1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CN210251037U (zh) 便携式健身器材
KR20210034233A (ko) 도어 설치용 실내 운동기구
CN209464534U (zh) 一种体育体能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