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266B1 -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266B1
KR102270266B1 KR1020170162867A KR20170162867A KR102270266B1 KR 102270266 B1 KR102270266 B1 KR 102270266B1 KR 1020170162867 A KR1020170162867 A KR 1020170162867A KR 20170162867 A KR20170162867 A KR 20170162867A KR 102270266 B1 KR102270266 B1 KR 10227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insertion groove
electrode lead
connection bus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814A (ko
Inventor
진희준
서성원
이윤구
주은아
문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6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266B1/ko
Priority to US16/620,385 priority patent/US11289776B2/en
Priority to CN201880036534.6A priority patent/CN110692149B/zh
Priority to EP18884722.2A priority patent/EP3671902A4/en
Priority to PCT/KR2018/011967 priority patent/WO2019107735A1/ko
Priority to JP2019564425A priority patent/JP7045590B2/ja
Publication of KR20190063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 어셈블리와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가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가 상호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의 전극 리드 중 둘 이상이 접촉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극 리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된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에 결합되고 후면이 상기 접촉된 전극 리드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결합 버스바를 구비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Assembly}
본 발명은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 어셈블리와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 및 이러한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예를 들면, 전지 파우치 외장재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 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는 적층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파우치형 이차 전지가 많이 이용된다.
배터리 모듈 내부에서 이차 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전극 리드가 상호 연결되고, 그러한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부분이 용접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모듈은 이차 전지들 간의 병렬 및/또는 직렬의 전기적 연결을 가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전극 리드의 일단부는 각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촉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차 전지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접합 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즉, 복수의 이차 전지를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동일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 시키고, 직렬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를 서로 연결 접합 시킨다.
한편, 전극 리드는 취약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버스바와 전극 리드 간에 불량 접합 내지 오 접합 시, 이를 재작업하기 위해 결합된 전극 리드를 탈착 시키거나, 재접합하는 과정에서 전극 리드가 손상되기가 아주 쉬워 이러한 재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전극 리드를 버스바 상에 안착 시키기 위해 전극 리드를 절곡시키는 벤딩(bending) 공정을 수행한 경우, 절곡된 전극 리드가 스프링백(spring-back) 현상을 일으켜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밀착이 잘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전극 리드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을 수행해야 하므로, 용접성이 저하가 발생하기 쉬웠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접촉이 잘 유지되고, 버스바와 전극 리드 간에 불량 접합 내지 오 접합 시 재작업이 가능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버스바 어셈블리와 이차 전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킨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가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가 상호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셀 적층체의 전극 리드 중 둘 이상이 접촉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극 리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된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에 결합되고 후면이 상기 접촉된 전극 리드를 가압하도록 형성된 결합 버스바를 구비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결합 버스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이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만입된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만입된 깊이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삽입 방향의 전체 두께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의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전극 리드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버스바를 전면에 탑재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본체 전방과 상기 연결 버스바의 후방 사이에 위치된 버스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결합 버스바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결합 버스바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의 둥근봉이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삽입홈 중 일부는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좌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나머지는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우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좌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 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우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 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양극 리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의 깊이와 상기 음극 리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의 깊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 버스바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돌기가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둘 이상의 압착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융기면의 돌출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리드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전극 리드의 절곡된 단부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전극 리드의 절곡된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서로 적층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배터리 팩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를 연결 버스바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시킴으로써, 전극 리드를 결합 버스바로 효과적으로 압착 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전극 리드 간의 레이저 용접 등의 접합 공정 없이도, 높은 신뢰성의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모듈은,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버스바 프레임에 연결 버스바 및 결합 버스바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체결 부재가 결합 버스바를 압착하여 전극 리드가 삽입홈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체결 볼트의 머리와 너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결합 버스바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 버스바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전극 리드를 적절한 압착힘으로 가압하여, 전극 리드와 연결 버스바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오접합 내지 오조립으로 인해 버스바 어셈블리를 셀 적층체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도 버스바에 접촉된 전극 리드를 손쉽게 탈착 시킬 수 있고, 나아가, 분리된 연결 버스바와 전극 리드를 재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전극 리드의 손상으로 버스바 어셈블리의 재조립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극 리드의 커다란 손상 없이 이러한 재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압착돌기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삽입홈에 삽입된 전극 리드의 외면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어, 상기 결합 버스바와 상기 연결 버스바 간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극 리드 및 연결 버스바 간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대한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E-E'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F-F'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G-G'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일부 구성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300)은, 셀 적층체(310) 및 버스바 어셈블리들(200A, 200B)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적층체(310)는, 전극 리드(110)가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1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10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는, 전극 조립체, 전해액 및 파우치(1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120)는, 오목한 형태의 수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좌측 파우치와 우측 파우치의 2개의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15)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파우치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며, 파우치(120)의 테두리 부위에는 내부 접착층이 서로 유착됨으로써,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파우치(120)의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가 형성된 양단부 각각에 테라스부(S)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는, 전극과 분리막의 조립체로서,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에는 양극 탭이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양극 탭이 양극 리드(11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 리드(111)는, 일단이 상기 양극 탭에 연결되고 타단이 파우치(120)의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이차 전지(100)의 전극 단자, 예를 들면, 이차 전지(100)의 양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음극판에는 음극 탭이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음극 탭이 음극 리드(1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 리드(112)는, 일단이 상기 음극 탭에 연결되고 타단이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이차 전지(100)의 전극 단자, 예를 들면 이차 전지(100)의 음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양극 리드(111)와 상기 음극 리드(112)는, 이차 전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 리드(111)는 상기 이차 전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리드(112)는 이차 전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차 전지(100)는 양극 리드(111)와 음극 리드(112)가 전방과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이차 전지(100)에서, 양극 리드(111)와 음극 리드(112) 간의 간섭이 없게 되어, 전극 리드(110)의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리드(111) 및 상기 음극 리드(112)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극 리드(111) 및 상기 음극 리드(112)는, 넓은 면이 좌측과 우측을 향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차 전지(100)는, 배터리 모듈(300)에 복수개 포함되어, 적어도 일 방향으로 적층 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호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는, F 방향(도 1에 도시함)으로 바라봤을 때, 2개의 넓은 면이 좌우 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부와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실링부가 위치하도록 대략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이차 전지(100)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상하전후좌우 방향에 대하여, F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300)에는, 앞서 설명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100)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이차 전지(100)가 채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00A)는, 연결 버스바(210) 및 결합 버스바(220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버스바(210)는, 상기 셀 적층체(310)의 전극 리드(110) 중 둘 이상이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버스바(210)는 2개 이상의 이차 전지(100)를 전기적으로 서로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버스바(210)는, 전기 전도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전도성의 소재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니켈, 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봐와 같이, 7개의 연결 버스바(210)는 12개의 이차 전지(100)를 전기적으로 병렬 및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3개의 연결 버스바(210A)에는 4개의 양극 리드(111) 또는 4개의 음극 리드(112)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2개의 연결 버스바(210B)에는 2개의 양극 리드(111) 및 2개의 음극 리드(112)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2개의 연결 버스바(210B2) 각각에는 2개의 음극 리드(112)가 접촉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도 2의 A-A'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버스바(210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극 리드(1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12)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212)은, 상기 전극 리드(110)의 상기 연결 버스바(210A) 전면에 안착되는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거나 그보다 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12)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전면에서 일부위가 전단에서 후단으로 만입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2)의 만입된 깊이(D1)는,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110)의 삽입 방향의 전체 두께(T1)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212)의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110)의 외면은, 상기 삽입홈(212)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전단의 표면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거나, 전단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삽입홈(212)의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된 전극 리드(110)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버스바(220A)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A)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 버스바(220A)의 후면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삽입홈(212)에 접촉된 전극 리드(110)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버스바(220A)는, 전기 전도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전도성의 소재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리, 알루미늄, 니켈, 금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110)의 최전면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전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그보다 돌출되게 위치함으로써, 전극 리드(110)를 결합 버스바(220A)로 효과적으로 압착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버스바(210A)와 상기 전극 리드(110) 간의 레이저 용접 등의 접합 공정 없이도, 높은 신뢰성의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버스바(220A)에 압착에 의해 전극 리드(110)가 삽입홈(212)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는 거시적으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는 전면, 후면, 및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2)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00A)는, 버스바 프레임(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A)를 전면에 탑재하여 상기 연결 버스바(210A)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상기 셀 적층체(310)의 전극 리드(110)와 상기 연결 버스바(210A)가 적절한 위치에서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버스바(210A)를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전기 절연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절연성의 소재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상기 이차 전지(100)의 본체 전방과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후방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상기 셀 적층체(310)의 전극 리드(110)가 관통되는 관통구(H4)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극 리드(110)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의 측부를 지나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300)은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위치한 2개 버스바 프레임(23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방에 위치한 버스바 프레임(230)은 상기 셀 적층체(310)의 이차 전지(100)의 본체 전방과 상기 연결 버스바(210A)의 후방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 버스바(210A)를 전면에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연결 버스바(210A)와 상기 이차 전지(100) 간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 전면에 상기 연결 버스바(210A)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연결 버스바(210A)와 상기 전극 리드(110) 간의 전기적 접속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00A)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A)와 상기 결합 버스바(220A)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 부재(240)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 볼트(2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볼트(242)는, 머리(242b)와 둥근봉(242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둥근봉(242a)에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둥근봉(242a)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에는 상기 둥근봉(242a)의 일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홈(H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240)는, 상기 체결 볼트(242)의 둥근봉(242a)이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 너트(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너트(243)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 내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볼트(242)는, 상기 둥근봉(242a)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를 관통하고, 상기 둥근봉(242a)의 단부는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에 삽입된 너트(243)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00A)는 상기 체결 부재(240)를 사용하여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에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체결 볼트(242)의 머리(242b)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연결 버스바(210A) 및 상기 결합 버스바(220A)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 버스바(220A)가 상기 삽입홈(212)에 삽입된 전극 리드(110)를 적절한 압착힘으로 가압하여, 전극 리드(110)와 연결 버스바(210A)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홈(212)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삽입홈(212) 중 일부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좌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삽입홈(212) 중 나머지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우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좌측단(210a)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12)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 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1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우측단(210b)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212)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 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11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에는 2개의 삽입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삽입홈(212)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좌측단(210a)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삽입홈(212)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전면의 우측단(210b)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좌측단(210a)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삽입홈(212)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 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적층된 2개의 양극 리드(111)가 안착될 수 있다. 더욱이, 우측단(210b)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삽입홈(212)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 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적층된 2개의 양극 리드(111)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 리드(110)의 나머지 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을 가진 측면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의 삽입홈(212)에 안착되고, 상기 전극 리드(110)를 결합 버스바(220A) 후면으로 압착 시킴으로써, 레이저 용접 등의 버스바와 전극 리드(110) 간의 접합 공정 없이도, 높은 신뢰성의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상기 전극 리드(110)를 상기 삽입홈(212)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오접합 내지 오조립으로 인해 버스바 어셈블리(200A)를 셀 적층체(31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에도 버스바에 접촉된 전극 리드(110)를 손쉽게 탈착 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분리된 연결 버스바(210)와 전극 리드(110)를 재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종래기술에서는 전극 리드(110)의 손상으로 버스바 어셈블리(200A)의 재작업이 불가능하였으나, 전극 리드(110)의 커다란 손상 없이 이러한 재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6은, 도 3의 B-B'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대한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어셈블리(200B)는, 하나의 연결 버스바(210B)에 복수의 양극 리드(111) 및 복수의 음극 리드(112)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양극 리드(111) 및 상기 복수의 음극 리드(112)의 상기 삽입홈(212B)에 삽입되는 방향의 두께(T1)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버스바(210B)와 상기 결합 버스바(220A)가 전극 리드(110)를 효과적으로 압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홈(212B)에 삽입된 복수의 전극 리드(110)의 최전면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B)의 만입되지 않은 전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그 보다 돌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연결 버스바(210B)는, 상기 양극 리드(111)는 상기 음극 리드(112) 보다 얇은 두께(T1)를 가질 경우, 상기 양극 리드(111)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1)의 깊이(D1)와 상기 음극 리드(112)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2)의 깊이(D2)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양극 리드(111)의 전체 두께(T1)는 2개의 음극 리드(112)의 전체 두께(T2) 보다 얇으므로, 상기 양극 리드(111)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1)의 깊이(D1)가 상기 음극 리드(112)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2)의 깊이(D2) 보다 더 얕게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삽입홈(212B)의 접촉된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의 두께(T1)가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양극 리드(111)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의 깊이(D1)와 상기 음극 리드(112)가 삽입되는 삽입홈(212B)의 깊이(D1)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결합 버스바(220A)와 상기 연결 버스바(210B)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버스바 어셈블리의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에는 상기 삽입홈(212B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착돌기(225)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돌기(225)는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의 후면에서 상기 연결 버스바(210B)의 삽입홈(212B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압착돌기(225)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B)의 삽입홈(212B3)에 삽입된 전극 리드(110)의 외면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어,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와 상기 연결 버스바(210B) 간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전극 리드(110) 및 연결 버스바(210B) 간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에는 상기 압착돌기(225)가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삽입홈(212B3)에는 서로 극성이 다른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둘 이상의 압착돌기(225)는 상기 삽입홈(212B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융기면의 돌출 크기(L1)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212B3)에 삽입된 전극 리드(110)의 두께(T1)에 따라 상기 삽입홈(212B3)에 대응되는 위치의 압착돌기(225)의 돌출 크기(L1)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B)에는 2개의 삽입홈(212B3)이 형성되고, 각각에는 2개의 음극 리드(112) 및 2개의 양극 리드(111)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의 후면에는 상기 2개의 삽입홈(212B3)과 대응되는 위치에 2개의 압착돌기(22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 리드(112)를 압착하는 압착돌기(225)는 상기 양극 리드(111)를 압착하는 압착돌기(225) 보다 돌출된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 버스바(210B)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212B3)의 깊이(D1)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지 않아도, 상기 결합 버스바(220B2)에 형성된 서로 돌출 크기(L1)가 다른 압착돌기(225)를 이용하여 상기 삽입홈(212B3)에 삽입된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8의 E-E'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버스바 어셈블리(200C)는, 도 1의 버스바 어셈블리(200A)과 비교하여 연결 버스바(210C)의 구조적 차이가 있다.
즉,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200C)가 구비한 연결 버스바(210C)에 형성된 삽입홈(212C)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전면의 좌측단(210C1)에서 우측단(210C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삽입홈(212C)은,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전면에서 후방(내부 방향)으로 만입된 부위가 좌측단(210C1)에서 우측단(210C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전극 리드(110)의 절곡된 단부(111a)와,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전극 리드(110)의 절곡된 단부(111b)가, 상기 삽입홈(212C)에 서로 적층되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리드(110)에는 상기 체결 볼트(242)가 삽입되도록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 부재(240)가 상기 관통홀(H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 리드(110) 복수개와 상기 연결 버스바(210C)를 일체로 체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관통홀(H1)은 상기 전극 리드(110)의 적층된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양극 리드(111)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양극 리드(111)의 2개의 단부가 서로 적층되어 삽입홈(212C)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양극 리드(111)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양극 리드(111)의 2개의 단부가 서로 적층되어 삽입홈(212C)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양극 리드(111)의 단부와 2개의 양극 리드(111)의 단부는 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양극 리드(111)의 적층된 단부에는 상기 체결 볼트(242)가 삽입되도록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버스바(220C) 및 상기 연결 버스바(210C) 각각에 상기 체결 볼트(242)의 둥근봉(242a)이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홀(H2) 및 삽입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230)에 상기 체결 볼트(24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극 리드(110)에 상기 체결 볼트(242)를 삽입시킬 경우, 상기 체결 볼트(242)의 조임힘을 직접적으로 전극 리드(110)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 버스바(210C)와 상기 전극 리드(110)의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전기 접속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12C)의 만입된 깊이(D3)는 상기 삽입홈(212C)에 적층된 전극 리드(110)의 단부들의 삽입 방향의 전체 두께(T3)의 크기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2C)의 만입된 깊이(D3)는 상기 삽입홈(212C)에 적층된 전극 리드(110)의 단부들의 삽입 방향의 전체 두께(T3)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결합 버스바(220C)와 상기 전극 리드(110) 간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결합 버스바(220C)에 의해 상기 전극 리드(110)를 상기 연결 버스바(210C)의 삽입홈(212C)에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어,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9의 F-F'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9의 G-G'의 선을 따라 절단된 배터리 모듈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버스바 어셈블리(200D)는, 상기 음극 리드(112)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되어 삽입홈(212D)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리드(111)는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되어 삽입홈(212D)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극 리드(112)의 절곡된 단부와 상기 양극 리드(111)의 절곡된 단부가 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된 단부에는 상기 체결 볼트(242)가 삽입되도록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버스바(210D)와 상기 결합 버스바(220D)가 전극 리드(110)를 효과적으로 압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홈(212D)에 적층된 음극 리드(112) 및 양극 리드(111) 중 가장 상위에 위치한 전극 리드(110)의 최전면이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만입되지 않은 전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거나, 그 보다 돌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삽입홈(212D)에 만입된 깊이(D4)는 음극 리드(112)의 절곡된 단부와 양극 리드(111)의 절곡된 단부가 적층된 크기(T4)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얕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음극 리드(112)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되어 삽입홈(212D)에 삽입되고, 2개의 양극 리드(111)가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되어 삽입홈(212D)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음극 리드(112)의 단부와 2개의 양극 리드(111)의 단부는 서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버스바(210D)의 삽입홈(212D)의 만입된 깊이(D4)는, 2개의 음극 리드(112)의 절곡된 단부와 2개의 양극 리드(111)의 절곡된 단부가 서로 적층된 크기(T4)가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 버스바(220D)의 삽입홈(212D)은 음극 리드(112) 및 양극 리드(111)의 절곡된 단부가 서로 적층된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결합 버스바(220D)가 상기 삽입홈(212D)에 삽입된 전극 리드(110)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어,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상기 결합 버스바(220D)에 압착에 의해 전극 리드(110)가 삽입홈(212D)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바 어셈블리(200D)는, 상기 연결 버스바(220D)에 단 하나의 삽입홈만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 3의 버스바 어셈블리(200B)와 비교하여, 제조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00: 배터리 모듈 220: 결합 버스바
310: 셀 적층체 225: 압착돌기
100: 이차 전지 230: 버스바 프레임
110: 전극 리드 240: 체결 부재
H1: 관통홀 242: 체결 볼트
200: 버스바 어셈블리 245: 너트
210: 연결 버스바
212: 삽입홈

Claims (14)

  1. 전극 리드가 구비된 복수의 이차 전지가 상호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셀 적층체의 전극 리드 중 둘 이상이 접촉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전극 리드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이 복수개 구비된 연결 버스바, 및 상기 연결 버스바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버스바에 후면이 접촉된 전극 리드의 전면을 상기 연결 버스바를 향해 가압하도록 형성된 결합 버스바를 구비한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리드는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리드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의 두께가 서로 다르고,
    상기 양극 리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의 깊이와 상기 음극 리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의 깊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결합 버스바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이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만입된 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의 만입된 깊이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삽입 방향의 전체 두께의 크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상하 방향의 폭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전극 리드의 상하 방향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버스바를 전면에 탑재하고 상기 이차 전지의 본체 전방과 상기 연결 버스바의 후방 사이에 위치된 버스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버스바와 상기 결합 버스바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연결 버스바 및 상기 결합 버스바에 관통 삽입되는 체결 볼트, 및 상기 체결 볼트의 둥근봉이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 중 일부는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좌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나머지는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우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좌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 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 버스바의 전면의 우측단에서 중앙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삽입홈에는, 상기 연결 버스바 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 리드의 단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버스바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가 둘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둘 이상의 압착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융기면의 돌출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리드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70162867A 2017-11-30 2017-11-30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KR10227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67A KR102270266B1 (ko) 2017-11-30 2017-11-30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16/620,385 US11289776B2 (en) 2017-11-30 2018-10-11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ssembly
CN201880036534.6A CN110692149B (zh) 2017-11-30 2018-10-11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EP18884722.2A EP3671902A4 (en) 2017-11-30 2018-10-11 BATTERY MODULE INCLUDING AN OMNIBUS BAR ASSEMBLY
PCT/KR2018/011967 WO2019107735A1 (ko) 2017-11-30 2018-10-11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JP2019564425A JP7045590B2 (ja) 2017-11-30 2018-10-11 バスバーアセンブリーを備え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67A KR102270266B1 (ko) 2017-11-30 2017-11-30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814A KR20190063814A (ko) 2019-06-10
KR102270266B1 true KR102270266B1 (ko) 2021-06-28

Family

ID=6666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67A KR102270266B1 (ko) 2017-11-30 2017-11-30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89776B2 (ko)
EP (1) EP3671902A4 (ko)
JP (1) JP7045590B2 (ko)
KR (1) KR102270266B1 (ko)
CN (1) CN110692149B (ko)
WO (1) WO2019107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381B1 (ko) * 2018-12-26 2022-0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466503B1 (ko) * 2019-06-11 2022-11-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541537B1 (ko) * 2019-06-25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09824A (ko)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리드의 스프링 백 저지를 위한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133566A (ko) * 2020-04-29 2021-11-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11529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전극 리드 연결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1933848B (zh) * 2020-07-30 2022-09-20 国网甘肃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储能技术电池成组***
KR102461833B1 (ko) * 2020-12-09 2022-11-0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14649616A (zh) * 2020-12-17 2022-06-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以及用于动力电池的折叠连接片
KR102562858B1 (ko) * 2022-12-12 2023-08-02 주식회사 엠피에스티 고전류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집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2195A (ja) * 2012-07-18 2014-02-03 Toshiba Corp 組電池
JP2015056342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043428B2 (ja) * 2013-05-01 2016-12-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電池及び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5113C (zh) * 2004-10-26 2007-12-12 日产自动车株式会社 组合电池
JP2007265945A (ja) * 2006-03-30 2007-10-11 Tokyo R & D Co Ltd ラミネートセル集積型バッテリ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8057931B2 (en) * 2006-04-18 2011-11-15 Securaplane Technologies, Inc. Battery busing scheme
KR100888284B1 (ko) * 2006-07-24 2009-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탭-리드 결합부의 전극간 저항차를 최소화한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고 있는 전기화학 셀
US7531270B2 (en) * 2006-10-13 2009-05-12 Enerdel, Inc. Battery pack with integral cooling and bussing devices
CN101217190A (zh) * 2007-01-04 2008-07-09 统振股份有限公司 电池组装板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140449B1 (ko) * 2007-09-19 2012-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 모듈팩
JP2009187972A (ja) 2008-02-01 2009-08-20 Fdk Corp 蓄電モジュール
KR100993668B1 (ko) 2008-08-01 2010-11-10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배터리 셀의 전극 접속 구조
JP2011198660A (ja) 2010-03-20 2011-10-0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5615045B2 (ja) 2010-05-28 2014-10-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CN102064291B (zh) * 2010-12-14 2013-04-10 长丰集团有限责任公司 一体压紧叠加式电池模块
KR101370858B1 (ko) * 2011-04-26 2014-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돌기부를 포함하는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815876B1 (ko) * 2011-04-28 2018-01-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과전류 방지장치를 포함한 배터리 팩
US9472797B2 (en) * 2011-05-25 2016-10-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20136542A (ko) 2011-06-09 2012-12-20 인셀(주)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자 연결 구조
US8609276B2 (en) * 2011-06-23 2013-12-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30019697A (ko) * 2011-08-17 201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CN202282409U (zh) * 2011-09-29 2012-06-20 北京神州远望科技有限公司 新型动力锂电池单元模块化结构
JP2013084368A (ja) 2011-10-06 2013-05-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池モジュール
JP5916500B2 (ja) * 2012-04-27 2016-05-11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組電池
JP6176126B2 (ja) * 2014-01-21 2017-08-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US10396334B2 (en) 2014-03-31 2019-08-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WO2015152527A1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115250A (ko) * 2014-04-03 2015-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부 텐션-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786894B2 (en) * 2014-11-03 2017-10-10 Lg Chem, Ltd. Battery pack
KR102381777B1 (ko) * 2015-02-25 2022-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834506B1 (ko) 2015-03-27 201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EP3118910B1 (de) * 2015-07-15 2022-03-30 Carl Freudenberg KG Aufnahmeelement für pouch-zellen
KR102034208B1 (ko) * 2016-03-03 2019-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5900649U (zh) * 2016-08-03 2017-01-18 无锡丰晟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模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2195A (ja) * 2012-07-18 2014-02-03 Toshiba Corp 組電池
JP6043428B2 (ja) * 2013-05-01 2016-12-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角形電池及び組電池
JP2015056342A (ja) * 2013-09-13 2015-03-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1288A (ja) 2020-07-16
EP3671902A4 (en) 2020-10-21
CN110692149B (zh) 2022-11-18
US20200411832A1 (en) 2020-12-31
EP3671902A1 (en) 2020-06-24
US11289776B2 (en) 2022-03-29
JP7045590B2 (ja) 2022-04-01
KR20190063814A (ko) 2019-06-10
WO2019107735A1 (ko) 2019-06-06
CN110692149A (zh)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266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20200014016A1 (en) Flexible battery
US20200280040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nd battery pack
KR102270828B1 (ko) 버스바 어셈블리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US11398663B2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nd battery pack
EP3671937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sensing assembly and busbar assembly
KR101565115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EP3800689B1 (en)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and electric vehicle
KR102619201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모듈
US20080014499A1 (en) Prismatic Battery With Novel Intercell Connection
CN210120177U (zh) 电池模块、包含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含电池组的车辆
KR101578794B1 (ko) 우수한 결합력의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US8697265B2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6168167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80113814A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US20060040176A1 (en) Prismatic battery cells, batteries with prismatic battery cel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209401762U (zh) 二次电池和电池模组
KR20180020716A (ko)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로 결합된 전지셀 어셈블리
EP3792992A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housing
KR101890014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고용량 전지 모듈
US11984612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module housing
KR101802347B1 (ko) 아치형 탑 캡을 포함하는 각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83920B1 (ko) 케이블에 연결 가능한 전지 리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24034A (ko) 초음파 용접 장치 및 초음파 용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