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88B1 -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88B1
KR102267488B1 KR1020190076245A KR20190076245A KR102267488B1 KR 102267488 B1 KR102267488 B1 KR 102267488B1 KR 1020190076245 A KR1020190076245 A KR 1020190076245A KR 20190076245 A KR20190076245 A KR 20190076245A KR 102267488 B1 KR102267488 B1 KR 102267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tching
tooth
nth
feature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42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07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정합부와,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와, 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영상 생성부와,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영상 정합부를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ntal Image Registration}
본 발명은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합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영상을 정합할 수 있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비전에서 하나의 장면이나 대상을 다른 시간이나 관점에서 촬영할 경우, 서로 다른 좌표계에 따른 영상이 얻어지게 된다. 영상 정합은 이와 같은 서로 다른 영상을 변형하여 하나의 좌표계에 나타내기 위한 처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영상 정합을 통하여 서로 다른 측정 방식을 통해 얻은 영상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치과용 수술 가이드(surgical guide) 소프트웨어에서는 임플란트(dental implant) 계획 단계로 진입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CT(Computed Tomography) 영상 데이터와 구강 스캔(Oral Scan) 영상 데이터 간의 영상 정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영상 정합 과정을 거쳐 정합된 영상은 골조직과 신경관 위치 등을 파악하여 안전하고 최적의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임플란트 계획 작업의 기초가 되므로 영상 정합의 정확성은 그 이후 절차 진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종래의 의료용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영상 정합 방법은 사용자가 영상 정합의 기준이 되는 포인트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이를 기초로 영상 정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영상 정합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눈으로 대략 판단하여 기준 포인트를 선택하므로 그 결과가 매우 부정확하여 영상 정합 후 사용자의 수동 조작 과정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즉, 사용자는 포인트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포인트를 재선택하여 정합 결과를 수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정합 및 수정의 계속되는 반복 과정으로 인하여 영상 정합에 사용자가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며, 소비된 시간만큼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서, 구강 내 정합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한 마커가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고, 영상 내의 마커를 기준으로 이종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정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나, 이는 영상 획득시 환자의 구강 내에 정합을 위한 마킹을 수행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환자에게도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들은 영상에 포함되는 모든 버텍스들 간 거리를 비교하여 영상을 정합하기 때문에 영상 정합 속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버텍스들 간 거리를 비교하기 위한 시스템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마커의 이용이나 수동 조작의 번거로움 없이 빠른 속도 및 높은 정확도로 영상 정합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높은 정확도로 영상 정합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임플란트 계획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임플란트 계획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정합부와,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와, 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영상 생성부와,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영상 정합부를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영상 정합부는 기준횟수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상기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 정합부는 정합 오차값의 합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상기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영상 생성부는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의 위치를 정합 오차값만큼 이동시켜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영상 정합 장치는, 제1 치아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을 추출하고, 제2 치아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정합부는 복수의 제1 특징점 및 제2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제1 치아 영상 및 상기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영상 정합 장치는,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3 특징점을 추출하고, 가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3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4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 정합부는 복수의 제3 특징점 및 제4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n차 정합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영상 정합 장치는,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상기 정합 오차값을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으로서 각각 CT 영상, 구강 스캔 영상 및 자기 공명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정확도로 영상 정합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임플란트 계획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임플란트 계획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정합부가 영상 정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정합부가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 산출부가 산출한 정합 오차값을 표시부에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생성부가 생성한 가상 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정합부(154)에 의해 생성된 정합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및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 회로, 집적 회로 및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영상 획득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치아 영상 데이터를 전송 하거나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5G(5th generation communic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 통신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키보드(key board),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널(touch panel), 터치 키(touch key), 마우스(mouse), 메뉴 버튼(menu butt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의 동작에 따른 치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40)는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과 같은 영상 정합 관련 알고리즘과,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등가면(isosurface)을 추출하기 위한 마칭 큐브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영상 획득 장치 등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치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치아 영상을 정합하는 일련의 동작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정합부가 영상 정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제1 영상 정합부(151), 오차 산출부(152), 가상 영상 생성부(153) 및 제2 영상 정합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영상 정합부(151)는 제1 치아 영상(a) 및 제2 치아 영상(b)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c)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은, 서로 다른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획득되거나, 서로 다른 시점에서 획득되는 등의 원인으로 말미암아 서로 다른 좌표계 또는 해상도를 가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3차원 영상으로서 각각 CT(Computed Tomography) 영상, 구강 스캔(Oral Scan) 영상 및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3에는 제1 치아 영상(a)을 구강 스캔 영상으로 도시하였고, 제2 치아 영상(b)을 CT 영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CT 영상(b)은 구강 내의 치주 조직 중 치관(잇몸 외부로 나타난 치아 상부측), 치근(치조골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잇몸 내부로 가려진 치아 하부측) 및 치조골 등의 내부 조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즉, CT 영상(b)은 치아와 치조골에 대한 정보는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잇몸에 대한 정보는 정확하게 나타나지 못한다.
반면, 구강 스캔 영상(a)은 구강 내의 치주 조직 중 치관의 형상과 CT 영상(b)에서 명확히 나타나지 않은 치근 주변의 잇몸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즉, 구강 스캔 영상(b)은 치아의 치관 및 잇몸 등에 대한 정보는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잇몸 내측의 치근과 치조골에 대한 정보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못한다.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의 골량, 골밀도 및 분포 등에 따른 치조골과 픽스츄어 간 배치 및 결합, 각 치아 사이 공간과 크라운(인공 치아)의 외형 및 배치 각도 등 내부적인 조건과 외부적인 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CT 영상(b)이나 구강 스캔 영상(a)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이들 영상을 정합하여 사용할 때 더욱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시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치근 주변의 잇몸의 형상과 함께 그 내부의 치근과 치조골에 대한 형상 정보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는 방향 정렬부(미도시) 및 전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정렬부(미도시)는 영상 정합에 앞서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렬한다.
그리고, 전처리부(미도시)는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의 볼륨 공간에서 물체를 표현하는 단위 거리를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의 해상도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마칭 큐브 알고리즘(Marching Cube Algorithm)을 이용하여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의 복셀(Voxel) 정보를 버텍스(Vertex) 정보로 변환한다.
여기서, 마칭 큐브 알고리즘은 3차원 영상 데이터에서 등가면(isosurface)을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해당 영상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정합부(151)는 메모리(140)에 저장된IC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정합 장치(100)는, 제1 치아 영상(a)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을 추출하고, 제2 치아 영상(b)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특징점들은 치아를 구성하는 버텍스들일 수 있다.
제1 영상 정합부(151)는, 제1 및 제2 치아 영상 데이터를 오버랩(over lap) 시킨 후, 특징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복수의 제1 특징점 및 제2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제1 치아 영상(a) 및 제2 치아 영상(b)을 정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상 정합부(151)는 복수의 제1 특징점 및 제2 특징점 간 모든 거리의 합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제1 치아 영상(a) 및 제2 치아 영상(b)의 정합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가 높을수록 기준 값은 작아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상 정합부가 ICP(Iterative Closest Poin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합 과정이 반복되어 제1 특징점들(s1, s2, s3) 및 제2 특징점들(d1, d2, d3)간 거리가 충분히 작아지면, 제2 특징점들(d1, d2, d3)에 접한 평면에서 제1 특징점들(s1, s2, s3)까지 연장되는 연장선의 거리(l1, l2, l3)와, 상기 연장선 및 제2 특징점들(d1, d2, d3)의 수직 벡터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정합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는, 제1 및 제2 치아 영상의 특징점들 간 거리만 비교하여 영상을 정합하기 때문에,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에 포함된 모든 버텍스들 간 거리를 비교하여 영상을 정합하는 것 대비 영상 정합 속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모든 버텍스들 간 거리를 비교하기 위한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오차 산출부(152)는,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고, 이를 디퍼런스 맵(Difference Map)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 산출부가 산출한 정합 오차값을 표시부에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디퍼런스 맵을 이용하여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합 오차값의 절대값이 낮을수록 제1 및 제2 치아 영상에 포함된 버텍스들간 서로 중첩이 잘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며 정합도가 높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합 오차값의 절대값이 높을수록 1 및 제2 치아 영상에 포함된 버텍스들간 서로 어긋나게 중첩된 것을 의미하며 중첩도가 낮다고 표현할 수 있다.
즉, 정합 오차값이 0인 경우 중첩도는 가장 높으며, 중첩 오차값의 절대값 크기에 비례해 중첩도가 낮아진다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도는 제1 및 제2 치아 영상을 중첩하였을 때, 이들 영상 중 어느 일측 영상의 표면으로부터 타측 영상의 표면이 돌출되고 함몰된 정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일측 영상의 표면보다 타측 영상의 표면이 돌출된 경우 중첩 오차값은 양수 값을 가지며, 일측 영상의 표면보다 타측 영상의 표면이 함몰될 경우 중첩 오차값은 음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중첩 오차값은 색상으로 표시되어 시술자가 영상 정합 과정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 정합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 오차값 별 색상 테이블(도 5의 우측 테이블)을 참조하면, 구강 스캔 영상(a)의 표면이 CT 영상(b)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중첩 오차값이 음수 값을 가져 붉은색으로 표시되고, 구강 스캔 영상(a)의 표면이 CT 영상(b)의 표면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은 중첩 오차값이 양수 값을 가져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서로 정합이 잘 이루어진 부분은 중첩 오차값이 0으로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가상 영상 생성부(153)는, 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영상 생성부가 생성한 가상 영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가상 영상 생성부(153)는,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의 위치를 정합 오차값만큼 이동시켜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이 0.041인 경우 이 버텍스의 위치를 0.041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다른 버텍스들도 이와 마찬가지로 정합 오차값만큼 위치를 각각 이동시켜 가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영상 정합부(154)는,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특징 추출부(미도시)는,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3 특징점을 추출하고, 가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3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4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영상 정합부(154)는 복수의 제3 특징점 및 제4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즉, 제2 영상 정합부(154)도 제1 영상 정합부(151)와 마찬가지로 IC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할 수 있다.
제2 영상 정합부(154)는 기준횟수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영상 정합 횟수가 반복될수록 영상 정합 정확도는 향상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가 높을수록 기준 횟수는 커지게 된다. 다만, 기준횟수를 너무 적게 설정하면 영상 정합 횟수가 증가되어 시스템 처리 속도가 늦어짐을 유의해야 한다.
이와 달리, 제2 영상 정합부(154)는 각 버텍스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의 합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기준값이 0에 가까울수록 영상 정합 정확도는 향상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영상 정합 정확도가 높을수록 기준값은 커지게 된다. 다만, 기준값을 너무 작게 설정하면 영상 정합 횟수가 증가되어 시스템 처리 속도가 늦어짐을 유의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영상 정합부(154)에 의해 생성된 정합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7을 비교해 보면, 제1 영상 정합부(151)에 의해 생성된 정합 영상(도 5 참조) 보다 제2 영상 정합부(154)에 의해 생성된 정합 영상(도 7 참조)이 더 정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정합도가 비교적 높음을 나타내는 초록색 부분이 도 5의 정합 영상 보다 도 7의 정합 영상에 더 많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장치(100)는, 높은 정확도로 영상 정합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임플란트 계획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임플란트 계획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을 설명하되 전술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겠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은, 먼저,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한다. 다음,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한다. 다음, n차 정합 영상에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한다. 다음, n차 정합 영상 및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정합 과정을 기준횟수까지 반복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정합 과정을 각 버텍스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의 합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영상 정합 방법은, 높은 정확도로 영상 정합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이에 수반하여 임플란트 계획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임플란트 계획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치아 영상 정합 장치 151: 제1 영상 정합부
110: 통신부 152: 오차 산출부
120: 입력부 153: 가상 영상 생성부
130: 표시부 154: 제2 영상 정합부
140: 메모리
150: 제어부

Claims (11)

  1.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1 영상 정합부;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는 오차 산출부;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상기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가상 영상 생성부; 및
    상기 n차 정합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영상 정합부
    를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정합부는
    기준횟수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상기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정합부는
    상기 정합 오차값의 합이 기준값 이하가 될 때까지 정합을 반복하여 상기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상 생성부는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의 위치를 상기 정합 오차값만큼 이동시켜 상기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제2 치아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1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정합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특징점 및 제2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치아 영상 및 상기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복수의 제3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가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 중 상기 복수의 제3 특징점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4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정합부는
    상기 복수의 제3 특징점 및 제4 특징점 간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n차 정합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을 정합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상기 정합 오차값을 색상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영상으로서 각각 CT 영상, 구강 스캔 영상 및 자기 공명 영상 중 어느 하나인
    치아 영상 정합 장치.
  11. 제1 영상 정합부가 제1 치아 영상 및 제2 치아 영상을 정합하여 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오차 산출부가 n(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차 정합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버텍스에 대한 정합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가상 영상 생성부가 상기 n차 정합 영상에 상기 정합 오차값을 적용하여 가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영상 정합부가 상기 n차 정합 영상 및 상기 가상 영상을 정합하여 (n+1)차 정합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 영상 정합 방법.

















KR1020190076245A 2019-06-26 2019-06-26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267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45A KR102267488B1 (ko) 2019-06-26 2019-06-26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45A KR102267488B1 (ko) 2019-06-26 2019-06-26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42A KR20210000942A (ko) 2021-01-06
KR102267488B1 true KR102267488B1 (ko) 2021-06-21

Family

ID=7412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45A KR102267488B1 (ko) 2019-06-26 2019-06-26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662B1 (ko) * 2021-01-18 2021-10-12 주식회사 에이치디엑스윌 딥러닝 기반 3d 특징점 탐지를 통한 3차원 구강 스캔 데이터 정합 방법 및 장치
CN114748186A (zh) * 2022-03-04 2022-07-15 杭州隐捷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力学的骨性ⅲ类错颌的数字化诊断方法及***
KR102463626B1 (ko) * 2022-05-19 2022-11-04 주식회사 쓰리디오엔에스 상이한 차원의 복수의 이미지 간에 정합을 수행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11924A (ko) * 2022-07-19 2024-01-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 위치 비교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159B1 (ko) 2014-12-31 2016-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자동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913586B1 (ko) 2017-05-24 2018-11-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480B1 (ko) * 2013-01-04 2016-02-1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영상강도 최소화를 통한 자기공명 확산텐서 영상정합 및 왜곡보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78467B1 (ko) * 2016-11-01 2018-07-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차원 치아 영상 데이터와 광학식 스캔 치아 모델의 선택적 정합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159B1 (ko) 2014-12-31 2016-04-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자동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913586B1 (ko) 2017-05-24 2018-11-0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42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488B1 (ko)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1913586B1 (ko) 치아 영상 정합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2009523552A (ja) 三次元データ取得の視覚化
CN109700550A (zh) 一种用于牙科手术的增强现实方法及装置
KR20190101694A (ko) Ct 데이터와 광학 데이터의 정합성능 향상 방법 및 그 장치
Mamone et al. Monitoring wound healing with contactless measurements and augmented reality
KR20210066170A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JP2014064722A (ja) 仮想内視鏡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322634B1 (ko) 치아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합 방법 및 장치
KR20200120035A (ko) 오랄 스캔 영상에서의 치아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장치
US20220164954A1 (en) Dental object detection method, and image matching method and device using dental object
US20230215027A1 (en) Oral image marker detection method, and oral image matching device and method using same
KR102383544B1 (ko) 구강 영상의 마커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US11869203B2 (en) Dental image registration device and method
KR102270279B1 (ko)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205427B1 (ko) 신경 위치 보정 방법 및 장치
US20220198686A1 (en) Apparatus for preprocessing image data
KR102234425B1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US20220240852A1 (en) Nerv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102383546B1 (ko) 구강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267449B1 (ko) 치아 영상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2633419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475962B1 (ko) 임상 영상의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277022B1 (ko) 구강 ct 영상 및 구강 스캔 영상의 정합 방법 및 장치
KR20220087874A (ko)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