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72B1 -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72B1
KR102267472B1 KR1020200116357A KR20200116357A KR102267472B1 KR 102267472 B1 KR102267472 B1 KR 102267472B1 KR 1020200116357 A KR1020200116357 A KR 1020200116357A KR 20200116357 A KR20200116357 A KR 20200116357A KR 102267472 B1 KR102267472 B1 KR 102267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ion
metabolic diseases
green tea
composition
eg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8399A (ko
Inventor
김영민
허주영
김해수
이하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2755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46418A/ko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1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23V2200/3324Low fat - reduced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대사성 질환의 개선,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reducing triglyceride containing green tea catechins,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녹차 카테킨을 포함함으로써 중성지방을 저감시키고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함으로써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는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영양의 과잉섭취, 운동부족과 같은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대사성 질환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생산성 감소와 막대한 의료비 지출은 사회경제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은 간, 지방 및 근육 조직의 인슐린 민감성 (sensitivity) 감소로서, 조직으로의 혈중 포도당 이동이 감소하고 간의 당 신생합성이 증가되어 고혈당증을 유도한다.
또한, 인슐린 저항성은 내당능장애, 이상지질혈증, 조직 내 비정상적 지방 침착을 유도하여 제2형 당뇨나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대사성 질환에서 공통적인 분자병리학적 요인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비알콜성 지방간과 인슐린저항성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여러 다양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 규명 및 인슐린 저항성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용 약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 치료 약물을 이용하여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시도하고 있으나, 약제로서의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비만 및 비만으로 유도되는 대사성 질환들의 유발 기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대사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기술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ECG),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EGCG) 및 갈산(gallic acid)이 지방 세포 분화에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에피갈로카테킨이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녹차 카테킨의 지방 세포 분화 억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의 대사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녹차 카테킨으로 인해 지방세포의 분화가 억제되고 에피갈로카테킨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카테킨(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ECG),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EGCG) 및 갈산(gal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상의 용어 "카테킨"은 단일물질로서의 카테킨을 의미하고, 에피갈로카테킨,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카테킨갈레이트 및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에 해당하는 구성 성분들을 의미하는 "카테킨류" 및 "녹차 카테킨"과는 구분하여 사용된다.
상기 중성지방 저감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 개선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 및 UCP1(uncoupling protein 1)의 발현 증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 개선은 FNDC5(fibronectin-type III domain-containing 5)의 발현 증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에피갈로카테킨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다.
상기 대사성 질환은 인슐린 저항성,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간지방증 및 비알콜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 개선은 아디포넥틴 및 UCP1의 발현 증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사성 질환 개선은 FNDC5의 발현 증가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녹차 카테킨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녹차 카테킨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100 내지 400 mg/k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대사성 질환의 개선, 예방 및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지방 세포 분화 정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및 에피갈로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지방분화 초기 4일 동안 처리하여 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b는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및 갈산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지방분화 초기 4일 동안 처리하여 지방 축적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는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아디포넥틴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UCP1(uncoupling protein 1)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지방 세포에 처리한 후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근육 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녹차 카테킨의 각 성분을 근육 세포에 처리한 후 FNDC5(fibronectin-type III domain-containing 5)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상에서 개별적으로 출처가 언급되지 않은 일반적인 시약은 모두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 수치는 mean ± SE으로 나타내었다. 수집된 결과는 statview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의 평균치간의 유의성은 α = 0.05 수준에서 analysis of various에 의해 분석하였다.
실시예 1: 지방세포에서의 세포독성 확인
카테킨(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 에피카테킨(epicatechin; EC), 에피카테킨갈레이트(epicatechingallate; ECG),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pigallocatechingallate; EGCG)(카테킨류 구매처: Aktin Chemicals Inc., Cheng-du, China),  및 갈산(gallic acid; GA)(Tokyo Chemical Industry Co., Chuo-ku, Tokyo)을 50, 100 및 200 uM의 농도로 지방세포 3T3-L1에 처리하여 24시간 경과 후 MTT 분석(assay)(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지방세포 모델인 3T3-L1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사용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페니실린(penicillin)-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트립신(Trypsin)-EDTA 등은 Gibco(Carlsbad, CA, USA),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은 HyClone(Australi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물질은 다이메틸설폭사이드(dimrthyl sulfoxide; DMSO)에 용해하여 -2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가 사용하였다. 세포에 처리한 DMSO의 농도는 최대 1%를 넘지 않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물질의 세포독성과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시험물질의 자극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50-60% 찬 세포에 여러 농도의 시험물질을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MTT 시약은 최종 0.5 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2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포르마잔을 DMSO를 넣어 용출한 뒤 ELISA 리더(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 및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GC와 GA의 경우 저농도에서부터 세포 독성이 관찰되었다. 카테킨과 ECG의 경우 저농도에서 오히려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EC와 EGCG의 경우 세포 증식과 독성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M 평균 오차
대조군 DMSO 100.159 2.642
카테킨 50 123.968 7.998
카테킨 100 128.413 5.834
카테킨 200 107.143 5.614
EC 50 112.381 6.067
EC 100 104.762 1.375
EC 200 109.206 5.776
EGC 50 30.317 2.464
EGC 100 28.889 0.794
EGC 200 31.111 1.951
ECG 50 143.492 6.180
ECG 100 121.429 3.061
ECG 200 93.968 3.028
EGCG 50 82.540 6.657
EGCG 100 76.984 1.356
EGCG 200 97.302 7.465
GA 50 42.698 7.641
GA 100 25.397 0.159
GA 200 28.413 0.317
실시예 2: 지방세포분화 억제능의 확인
지방세포 분화 시작(day 0)부터 이틀 간격으로 4일 동안(day 4) 카테킨, EGC, EC, ECG, EGCG 및 GA를 20, 50 및 100 uM의 농도로 지방전구세포 3T3-L1에 처리하였다. 지방분화 후 8일째(day8) oil red O(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염색법으로 세포 내 중성지방을 염색하여 490 nm 측정값으로 정량하였다.
구체적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는 DMEM 배지에 10% FBS, 100 units/mL 페니실린과 100 ug/mL 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세포 배양액을 사용하여 37℃ 습윤한 CO2 인큐베이터(5% CO2/95% air)에서 배양하였다. 지방세포의 분화는 세포가 100% 찬 이틀 후(post-confluence, day 0) 5 ug/ml 인슐린, 0.25 mM 덱사메타손, 0.5 mM 1-메틸-3-이소부틸크산틴이 첨가된 10% FBS DMEM으로 교체하고, 이틀 후 5 ug/ml 인슐린이 첨가된 10% FBS DMEM으로 교체하며, 이틀 후 다시 10% FBS DMEM으로 교체하여 총 10일 동안 분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지방분화에 대한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시험물질은 분화유도가 시작된 날부터 4일간 이틀 간격으로 처리하였다.
도 2, 도 3, 도 4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든 추출물에 의해 50 및 100 uM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대조군에 비해 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EGC의 경우 유일하게 20 uM의 농도에서도 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고, GA의 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나 이는 세포독성으로 유도된 세포사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있었다.
  uM 평균 오차
대조군 DMSO 100.093 4.675
카테킨 20 100.093 4.675
카테킨 50 80.860 9.463
카테킨 100 54.620 6.025
EC 20 97.107 1.995
EC 50 73.853 8.772
EC 100 49.953 4.103
EGC 20 77.403 17.700
EGC 50 44.913 0.673
EGC 100 38.563 0.893
ECG 20 107.657 6.307
ECG 50 76.567 8.620
ECG 100 43.607 1.317
EGCG 20 105.787 2.110
EGCG 50 61.253 4.324
EGCG 100 41.367 0.729
GA 20 89.823 8.816
GA 50 42.767 0.673
GA 100 28.477 0.093
Oil Red O에 의한 지방축적 정량 결과 카테킨, EC, EGC, ECG, EGCG 및 GA 모두에서 지방분화 억제능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지방세포 분화 후 대사조절 유전자의 분석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는 지방세포 유래 호르몬인 아디포넥틴(Adiponectin), 갈색 지방을 유도하는 미토콘드리아 효소인 UCP1(uncoupling protein 1), 지방분해효소인 ATGL(adipose triglyceride lipase), HSL(hormone-sensitive lipase)의 발현량을 확인하고자, 3T3-L1 세포에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카테킨, EGC, EC, ECG, EGCG 및 GA를 100 uM씩 처리하여 준비하였다.
3T3-L1 세포의 유전자 분석을 위해 분화한 지방세포로부터 Trizol 방법으로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는 TOPscript RT DryMIX(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mRNA 분석은 키트(TOPreal SYBR Green PCR kit, Enzynomics, Korea)를 이용하여 real-time PCR(Rotor-Gene Q, QIAGEN)로 분석하였다. 하우스키핑(Housekeeping) 유전자인 18S rRNA를 대조군(internal 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대조군을 1로 표시하여 기준값으로 설정하였다.
도 5a, 도 5b, 표 3 및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GCG는 분화된 지방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인해 제외되었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아디포카인(adipokine)인 아디포넥틴(adiponectin)과 갈색지방 유도의 바이오마커인 UCP1의 발현이 EGC 처리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아디포넥틴 평균 오차
대조군 1.003 0.058
카테킨 1.057 0.062
EC 0.986 0.348
EGC 2.582 0.132
ECG 0.472 0.115
GA 0.657 0.098
ucp1 평균 오차
대조군 1.027 0.166
카테킨 0.033 0.099
EC 1.046 0.141
EGC 25.029 3.691
ECG 0.456 0.102
GA 0.910 0.109
도 6a, 도 6b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효소인 HSL과 ATGL의 유전자 변화를 관찰한 결과, EGCG는 분화된 지방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인해 제외되었고, 지방 분해에 대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4: 근육세포에서의 세포독성 확인
실시예 1과 같이 근육세포 C2C12에 대하여 추출물 처리 후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7 및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방세포에서와 마찬가지로 EGC와 갈산의 경우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이 관찰되었다. 나머지 추출물은 세포독성보다 세포증식에 대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ECG의 경우 가장 유의하게 세포증식을 유도하였다.
  uM 평균 오차
대조군 DMSO 100.000 5.760
카테킨 50 113.949 0.959
카테킨 100 122.645 3.499
카테킨 200 120.652 1.438
EC 50 119.384 5.365
EC 100 121.558 2.376
EC 200 116.304 0.000
EGC 50 108.877 4.752
EGC 100 47.645 1.415
EGC 200 28.442 0.479
ECG 50 138.225 3.143
ECG 100 145.109 4.871
ECG 200 155.435 2.196
EGCG 50 133.152 1.660
EGCG 100 125.000 2.196
EGCG 200 92.391 3.184
GA 50 117.210 2.915
GA 100 96.014 6.119
GA 200 30.978 1.131
실시예 5: 근육세포에서의 이리신 전구체 유전자 발현 확인
분화된 근육세포에서 이리신(Irisin)의 전구체인 FNDC5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고자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8 및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FNDC5의 유전자 발현은 EGC의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3T3-L1 지방세포에서 UCP1와 아디포넥틴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fndc5 평균 오차
대조군 1.041 0.218
카테킨 0.846 0.127
EC 4.609 3.813
EGC 21.325 1.726
ECG 0.652 0.131
GA 0.792 0.107

Claims (6)

  1. 20, 50 및 100 uM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지방 저감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달성되는 것인,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3. 20, 50 및 100 uM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을 포함하는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20, 50 및 100 uM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EGC)을 포함하는 비만, 제2형 당뇨, 이상지질혈증, 간지방증(hepatic steatosis) 및 비알콜성 지방간(fatty liv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KR1020200116357A 2018-10-24 2020-09-10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6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357A KR102267472B1 (ko) 2018-10-24 2020-09-10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557A KR20200046418A (ko) 2018-10-24 2018-10-24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116357A KR102267472B1 (ko) 2018-10-24 2020-09-10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57A Division KR20200046418A (ko) 2018-10-24 2018-10-24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399A KR20200108399A (ko) 2020-09-18
KR102267472B1 true KR102267472B1 (ko) 2021-06-21

Family

ID=7267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357A KR102267472B1 (ko) 2018-10-24 2020-09-10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08B1 (ko) 2020-11-26 2021-07-07 (주)서울에프엔비 산사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레몬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중 중성지방 개선용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92B1 (ko) * 2003-08-30 2006-06-26 삼아약품 주식회사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염 예방 및 치료제
PL209905B1 (pl) * 2004-01-15 2011-11-30 Bringwell Internat Ab Preparat do leczenia otyłości i związanego z nią syndromu metabolicznego
JP4668553B2 (ja) * 2004-05-27 2011-04-1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リパーゼ阻害活性および/または抗酸化活性を有するエピガロカテキン二量体および三量体
JP6469015B2 (ja) * 2012-11-13 2019-02-13 ニューサート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ネルギー代謝を増大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399A (ko) 202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985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733261B1 (ko)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41138A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7472B1 (ko)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109698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atrophy comprising lycii radicis cortex
KR101168050B1 (ko)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20200046418A (ko)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중성지방 저감용 식품 조성물,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13828B1 (ko) 지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줄기세포로부터 근육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근력 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운동수행 능력 향상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20130081929A (ko) 디에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슐린 저항성 또는 고인슐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87651B1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32872B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sphingosine-1-phosphat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25456A (ko) 프로텍틴 dx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712450B1 (ko) 게니핀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WO2019131274A1 (ja) 緑茶抽出物由来の発酵物の製造方法及び緑茶抽出物由来の麹発酵物
KR102673520B1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타틴계 화합물에 의해 유도된 pcsk9 억제용 조성물
KR102623198B1 (ko)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력강화, 근육증강, 근육분화, 근육재생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4880B1 (ko) 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EP4248957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 receptor inhibitor
KR102599530B1 (ko) 벤조피렌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감소용 조성물
KR101727565B1 (ko) 죽력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