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30B1 -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 Google Patents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230B1
KR102267230B1 KR1020200032449A KR20200032449A KR102267230B1 KR 102267230 B1 KR102267230 B1 KR 102267230B1 KR 1020200032449 A KR1020200032449 A KR 1020200032449A KR 20200032449 A KR20200032449 A KR 20200032449A KR 102267230 B1 KR102267230 B1 KR 10226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blade
backpack
movable
movabl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숙
백란희
백지혜
손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200032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230B1/ko
Priority to US17/195,028 priority patent/US11330871B2/en
Priority to EP21161786.5A priority patent/EP3881712B1/en
Priority to CN202110268959.3A priority patent/CN11339729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6/00Retainers or tethers for neckties, cravats, neckerchiefs, or the like, e.g. tie-clips, spring clips with attached tie-tethers, woggles, pins with associated sheathing members tetherable to clot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45C2013/306Straps; Bands for attaching auxiliary articles to luggage, e.g. piggyba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길게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그 자유단의 내측면이 블레이드면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클립부; 기부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이 상기 클립부의 양 측에서 클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아암의 선단부에 블레이드면을 향하는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클립; 및 상기 가동클립이 블레이드면 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에 접근하게 되고,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Clip for attachment accessories of backpack}
본 발명은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의 외면에 추가적인 주머니나 소품 등의 부속들을 부착하기 위한 몰리(Molle) 시스템이 적용된 배낭에서 용이하게 부속의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배낭은 등산이나 여행을 할 때, 옷이나 음식 또는 각종 필요한 소품들을 넣어서 간편하게 메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낭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군용 배낭은 군인이 장시간의 작전을 수행할 경우, 보다 많은 장비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낭의 외면에 다수의 스트랩을 가로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일정 간격으로 봉제함으로써 일정 간격의 스트랩고리를 형성하고, 이 스트랩고리에 다른 주머니나 장비 및 소품들을 연결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소위 몰리(Molle) 시스템이 적용된 배낭(이하 '몰리 배낭'이라 함)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배낭의 외면과 이 배낭에 부착하고자 하는 다른 주머니의 외면에도 스트랩고리를 형성하고 서로의 스트랩고리를 별도의 스트랩으로 연결하여 묶어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배낭은 확장성이 뛰어나서 근래에는 일반 등산이나 여행가들에게도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몰리 배낭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몰리 배낭은 배낭의 스트랩고리에 다른 주머니를 연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스트랩을 각 고리에 끼운 다음 묶어서 고정하여 부착하였고,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묶은 스트랩을 일일이 풀어야 하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특허등록 제10-0985455호(2010.09.29.)
본 발명은 몰리 배낭에 다른 주머니나 소품 등의 부속을 매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된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낭과 부속의 착탈을 위한 클립의 조작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배낭과 부속물의 결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형으로 길게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그 자유단의 내측면이 블레이드면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지는 클립부; 기부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이 상기 클립부의 양 측에서 클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아암의 선단부에 블레이드면을 향하는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클립; 및 상기 가동클립이 블레이드면 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에 접근하게 되고,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원 클립은 배낭의 스트랩고리와 부속물의 스트랩고리를 엇갈리게 접촉시킨 후 상기 블레이드를 배낭과 부속물의 스트랩고리에 연속으로 삽입하여 스트랩고리를 형성하는 한 부위가 클립부 내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동클립을 밀면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훅크부의 선단이 스트랩에 맞물려서 고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부속물은 배낭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부의 단부는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블레이드면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접근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클립부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클립의 각 아암의 선단 내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끼워짐으로써 안내홈의 구간 내에서 가동클립이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안내홈과 여기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는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헐겁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각 훅크부의 선단부는 블레이드면에 접촉되며, 훅크부가 접촉되는 블레이드면에는 훅크부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킹수단의 한 특징은, 클립부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클립의 각 아암의 선단 내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끼워짐으로써 안내홈의 구간 내에서 가동클립이 이동하도록 되며, 각 아암의 후방 내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할 때 최종적으로 상기 스토퍼가 클립부의 걸림턱에 접촉되면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안내홈으로 진입하게 되고, 진입된 후에는 역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킹수단의 다른 특징은, 클립부의 후방 단부에서 돌출되어 그 단부가 가동클립쪽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와,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가동클립의 기부 일단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되는 제2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상호 결합을 위해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각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동클립의 후방 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블레이드는 양 면의 중앙부분이 두터운 단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블레이드의 뒷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클립부에서 가동클립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배낭과 부속물의 스트랩고리에 블레이드를 꽂은 후 블레이드를 꽂는 방향으로 가동클립을 눌러주는 것에 의해 부속물의 부착이 완료되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할 경우에도 가동클립의 고리부에 설치되는 끈을 당기는 것만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배낭과 부속물의 착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동클립의 훅크부가 클립부에 끼워지는 스트랩에 맞물리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락킹수단이 마련됨으로써 부속물이 배낭에 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상의 가동클립이 후퇴한 상태의 클립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의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3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분리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원 클립이 배낭의 스트랩고리에 끼워진 상태도.
도 10은 배낭에 부속물이 부착된 예시도.
도 11은 본원 클립에 스트랩고리가 끼워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12는 스트랩고리에 가동클립이 맞물린 상태의 측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은 대별하여 블레이드(10)와, 클립부(20) 및 가동클립(30)으로 이루어진다.
블레이드(10)는 판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선단부는 좁게 형성되고, 앞면과 뒷면의 중앙부는 볼록한 단면을 이룸으로써 스트랩고리 등에 끼우기 쉬우면서 슬라이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10)의 뒷면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리브(11)가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배낭 등의 접촉면에 대해서 원활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클립부(20)는 블레이드(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블레이드(10)의 후방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그 자유단의 내측면이 블레이드(10)면에 근접하도록 된다.
클립부(20)는 후방으로부터 선단부가 점차 블레이드(10)면에 접근하도록 블레이드(10)에 대해 경사진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측의 선단부는 재차 블레이드(10)로부터 외향 경사각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랩 등이 끼워질 때 쉽게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클립부(20)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이 안내홈(21)에 가동클립(30)이 결합된다.
가동클립(30)은 기부(31)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32)이 상기 클립부(20)의 양 외측에서 클립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아암(32)의 선단부에 블레이드(10)면을 향하는 훅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32)의 선단 내측면에는 안내홈(21)에 결합되는 안내돌기(34)가 돌출 형성되어 이 안내돌기(34)가 안내홈(21)의 행정거리 내에서 이동하도록 된다.
안내홈(21)과 안내돌기(34)는 약간 헐거운 정도의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내돌기(34)는 어떤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가동클립(30)이 자유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각형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클립(30)의 후단부에는 끈(40)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부(35)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동클립(30)의 훅크부(33)가 클립부(20)의 양 외측에서 블레이드(10)면에 마주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클립부(20)는 그 폭이 블레이드(1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클립부(20)와 가동클립(30)의 양 아암(32)을 포함하는 폭이 블레이드(10)의 폭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립부(20)에 결합된 가동클립(30)은 안내홈(21)에 안내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클립부(20)가 블레이드(10)에 대해 경사되어 있으므로,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선단 쪽으로 이동하면 훅크부(33)는 블레이드(10)에 접근하여 접촉되고,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훅크부(33)는 블레이드(10)로부터 이격된다.
여기서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선단 쪽으로 이동하여 훅크부(33)가 접촉하는 블레이드(10) 면에는 훅크부(33)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요홈(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요홈(12)에 훅크부(33)가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그 사이에 끼워지는 스트랩 등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1)에는 가동클립(30)이 전진하여 훅크부(33)가 블레이드(10)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락킹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락킹수단은, 클립부(20)의 후방 단부에서 돌출되어 그 단부가 가동클립(30)쪽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22)와,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가동클립(30)의 기부(31) 일단이 상기 제1걸림부(22)에 걸리도록 되는 제2걸림부(3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면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분리할 때에는 가동클립(30)을 약간 움직여서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면서 가동클립(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가동클립(30)의 안내돌기(34)와 클립부(20)의 안내홈(21)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간의 유격을 갖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의 분리시에 그 유격을 이용하여 약간의 움직임에 의해 서로 분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는 서로의 접촉 및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 외측모서리에 경사면 또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또 다른 락킹수단이 포함되어 있는데, 도 7 및 도 8에서 클립부(20)의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있고, 가동클립(30)의 각 아암(32)의 선단 내측면에는 안내돌기(34)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21)에 끼워짐으로써 안내홈의 구간 내에서 가동클립(30)이 이동하도록 되며, 각 아암(32)의 후방 내측면에는 스토퍼(37)가 돌출 형성되어,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의 선단 측으로 이동할 때 최종적으로 상기 스토퍼(37)가 클립부(20)의 외벽에 해당하는 걸림턱(23)에 접촉되면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안내홈(21)으로 진입하게 되고, 진입된 후에는 역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37)의 안내홈(21) 진입에 따른 걸림턱(23)과의 접촉이 락킹수단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토퍼(37)가 걸림턱(23)에 보다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걸림턱(23)의 외측에 유도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원 클립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원 클립이 배낭의 스트랩고리에 끼워진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배낭에 작은 주머니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원 클립에 스트랩고리가 끼워진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스트랩고리에 가동클립이 맞물린 상태의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배낭(50)과 주머니(60)의 각 외면에 설치된 스트랩고리(51)를 서로 어긋나게 마주한 다음, 본원 클립(1)의 블레이드(10)를 서로의 스트랩고리(51)에 연속적으로 끼워서 주머니(60)가 배낭(50)의 외면에 부착된 상태로 되게 한다.
이 상태만으로도 주머니(60)는 배낭(50)의 외면에 부착된 상태로 되며, 클립(1)이 스트랩고리(51)에서 빠져나가지 않으면 주머니(60)는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클립(1)의 블레이드(10)와 클립부(20) 사이에는 스트랩고리(51)가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동클립(30)을 하방으로 눌러서 이동시키면 가동클립(30)의 훅크부(33)가 블레이드(10)와 맞물리면서 스트랩고리(51)를 압박하게 되며, 락킹수단으로서의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가 맞물리고, 스토퍼(37)가 걸림턱(23)을 넘어서 안내홈(21)으로 진입되면서 훅크부(33)가 스트랩고리(51)를 압박하는 상태가 고정된다.
즉, 클립(1)을 스트랩고리(51)에 상측으로부터 끼워넣음과 동시에 가동클립(30)을 눌러서 훅크부(33)가 스트랩고리(51)에 맞물리는 과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블레이드(10)를 스트랩고리(51)에 끼워넣을 때 블레이드(10)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11)는 배낭과의 마찰면적을 줄여서 슬라이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립이 스트랩고리(51)에 맞물려서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클립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클립(1)의 상단 고리부(35)에 연결한 끈(40)을 상측으로 당기게 되면, 가동클립(30)이 클립부(20)와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안내홈(21)과 안내돌기(34)가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으므로, 끈(40)을 당기는 조작에 의해 제1걸림부(22)와 제2걸림부(36)의 결합이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스토퍼(37)가 안내홈(2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가동클립(30) 및 훅크부(33)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스트랩고리(51)로부터 이격되고, 클립(1)을 스트랩고리(5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클립(1)을 분리하면 주머니(60)는 배낭(5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과정은 끈(40)을 상측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스트랩고리(51)와 훅크부(33)와의 이격과, 스트랩고리(51)로부터 클립(1)의 인출 등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주머니(60)를 배낭(50)으로부터 분리할 시에는 끈(40)을 상측으로 당기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간편하게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클립부, 가동클립, 걸림부, 스토퍼 등의 형상이나 세부적인 결합 상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 ; 클립
10 ; 블레이드
11 ; 리브 12 ; 요홈
20 ; 클립부
21 ; 안내홈 22 ; 제1걸림부
23 ; 걸림턱 24 ; 유도홈
30 ; 가동클립
31 ; 기부 32 ; 아암
33 ; 훅크부 34 ; 안내돌기
35 ; 고리부 36 ; 제2걸림부
37 ; 스토퍼 40 ; 끈
50 ; 배낭 51 ; 스트랩고리부
60 ; 주머니

Claims (11)

  1. 판형으로 길게 형성된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그 자유단의 내측면이 블레이드면에 근접하도록 이루어지고, 양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부;
    기부의 양 측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아암이 상기 클립부의 양 측에서 클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각 아암의 선단 내측면에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홈에 끼워짐으로써 안내홈의 구간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각 아암의 선단부에 블레이드면을 향하는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클립; 및
    상기 각 아암의 후방 내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할 때 최종적으로 상기 스토퍼가 클립부의 걸림턱에 접촉되면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안내홈으로 진입함으로써 이동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진입된 후에는 역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된 락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에 접근하게 되고,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훅크부가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단부는 블레이드의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블레이드면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접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각 훅크부의 선단부는 블레이드면에 접촉되며, 훅크부가 접촉되는 블레이드면에는 훅크부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과 여기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는 약간의 유격을 갖도록 헐겁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7. 제 1 항에서 상기 락킹수단이,
    클립부의 후방 단부에서 돌출되어 그 단부가 가동클립쪽으로 절곡 형성된 제1걸림부와, 가동클립이 클립부의 선단 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가동클립의 기부 일단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되는 제2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상호 결합을 위해 접촉되는 모서리는 각각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클립의 후방 단부에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양 면의 중앙부분이 두터운 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뒷면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KR1020200032449A 2020-03-17 2020-03-17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KR10226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49A KR102267230B1 (ko) 2020-03-17 2020-03-17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US17/195,028 US11330871B2 (en) 2020-03-17 2021-03-08 Clip for attachment accessories of backpack
EP21161786.5A EP3881712B1 (en) 2020-03-17 2021-03-10 Clip for attachment accessories of backpack
CN202110268959.3A CN113397297B (zh) 2020-03-17 2021-03-12 用于连接背包配件的夹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449A KR102267230B1 (ko) 2020-03-17 2020-03-17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230B1 true KR102267230B1 (ko) 2021-06-21

Family

ID=7487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449A KR102267230B1 (ko) 2020-03-17 2020-03-17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30871B2 (ko)
EP (1) EP3881712B1 (ko)
KR (1) KR102267230B1 (ko)
CN (1) CN113397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6540A1 (en) * 2020-05-08 2021-11-11 The Boeing Company Portable sanitizing system having a backpack assembly coupled to a wand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673A (en) * 1992-06-18 1994-03-15 Yoshida Kogyo K. K. Strap fastener
US5983686A (en) * 1996-07-03 1999-11-16 Lee; Geon W. Belt attachment and key ring/key holder
US6032337A (en) * 1998-03-02 2000-03-07 Motorola, Inc. Spring loaded belt clip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0985455B1 (ko) 2010-03-19 2010-10-06 김연준 군용제품 주머니 탈부착 장치
US20150122855A1 (en) * 2013-11-05 2015-05-07 Kevin Parsons Carrying case for police or military bat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8642A (en) * 1972-12-22 1974-05-07 Motorola Inc Locking clip for fastening an article to a belt or the like
US5533656A (en) * 1994-09-27 1996-07-09 Bonaldi; Jeffrey P. Combination wallet with removeable clip
AT502863B1 (de) * 2002-09-11 2008-03-15 Bamed Ag Schnullerband-klammer
US7080430B2 (en) * 2003-07-24 2006-07-25 Best Made Designs, L.L.C. Quick-mount interlocking attaching system
US8595903B2 (en) 2009-06-05 2013-12-03 Nite Ize, Inc. Self-locking clip
US20110289733A1 (en) * 2010-05-25 2011-12-01 Playtex Products, Llc. Teether/pacifier securing device
US8713764B1 (en) 2012-02-16 2014-05-06 James Rittenhouse Connector structure
CN204146472U (zh) * 2014-10-14 2015-02-11 富川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夹持功能的扣具组件
US10299574B1 (en) 2017-11-06 2019-05-28 Shin Fang Plastic Industrial Co., Ltd. Plugging rod connector
CN209594879U (zh) * 2018-08-29 2019-11-08 王炜 夹板扣式皮带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3673A (en) * 1992-06-18 1994-03-15 Yoshida Kogyo K. K. Strap fastener
US5983686A (en) * 1996-07-03 1999-11-16 Lee; Geon W. Belt attachment and key ring/key holder
US6032337A (en) * 1998-03-02 2000-03-07 Motorola, Inc. Spring loaded belt clip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KR100985455B1 (ko) 2010-03-19 2010-10-06 김연준 군용제품 주머니 탈부착 장치
US20150122855A1 (en) * 2013-11-05 2015-05-07 Kevin Parsons Carrying case for police or military ba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97297A (zh) 2021-09-17
EP3881712B1 (en) 2022-12-14
EP3881712A1 (en) 2021-09-22
US20210289890A1 (en) 2021-09-23
US11330871B2 (en) 2022-05-17
CN113397297B (zh)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109B1 (ko) 버클
US6283348B1 (en) Cellular telephone clip
KR102177493B1 (ko) 버클
KR20170053184A (ko) 버클
US6615460B1 (en) Optionally manual or automatic breakaway lanyard buckle
KR100639863B1 (ko) 클립
KR102267230B1 (ko) 배낭의 부속연결용 클립
US20090094809A1 (en) Buckle
KR101064014B1 (ko) 스트랩 및 부속물의 연결장치
RU28462U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удлинителя рукоятки инструмента
JP2019000149A (ja) 樹脂製固定具
US20090260191A1 (en) Belt loop secur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09380820B (zh) 拉链头组合结构及其弹性件
TW201808144A (zh) 繩索鎖定具
CN110013084B (zh) 拉链头组合结构及其弹性件
CN210930108U (zh) 随身物品的连接装置
JP5103332B2 (ja) バックル
EP3488727A1 (en) Suitcase with a detachable portion
CN112823088A (zh) 剃须刀用的互联构件及手柄
JP3390636B2 (ja) 旅行鞄
CN212036317U (zh) 拉链头组合结构及其帽盖组件
AU2021454211B2 (en) Controll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313157A1 (en) Portable cable carrier system and method
JP2020025728A (ja) クリップ
CN110013082B (zh) 一种可存放sim卡的拉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