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713B1 -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713B1
KR102266713B1 KR1020190012994A KR20190012994A KR102266713B1 KR 102266713 B1 KR102266713 B1 KR 102266713B1 KR 1020190012994 A KR1020190012994 A KR 1020190012994A KR 20190012994 A KR20190012994 A KR 20190012994A KR 102266713 B1 KR102266713 B1 KR 10226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driving
result
signal
recep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199A (ko
Inventor
고경석
최고
이성욱
이형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13B1/ko
Priority to EP19189646.3A priority patent/EP3603371B1/en
Priority to EP21193991.3A priority patent/EP3954189A1/en
Priority to AU2019210641A priority patent/AU2019210641B2/en
Priority to US16/531,222 priority patent/US11178811B2/en
Publication of KR2020001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25J9/167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92Calibration of manip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ensuring the processing of the whole working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 G05D1/028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generated in a local control ro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신호송출수단의 현재 위치를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LAWN MOVER ROBOT, SYSTEM OF LAWN MOVER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SYSTEM OF LAWN MOVER ROBOT}
본 발명은 주행 영역을 자율주행하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로봇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소정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자동으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동 로봇은 구역 내에 설치된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에 접근하거나 회피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 로봇은 영역을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은 물론 영역의 바닥면의 잔디를 깎는 잔디깎기 로봇이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잔디깎기 장치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사용자의 운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의 잔디를 깎거나 풀을 제초하는 승용형 장치와, 사용자가 수동으로 끌거나 밀어서 이동하면서 잔디를 깎는 워크비하인드타입 또는 핸드타입의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잔디깎이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이동하며 잔디를 깎는 것으로 사용자의 직접 장치를 작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로봇에 잔디를 깎을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이동 로봇형의 잔디깎기 장치, 즉 잔디깎기 로봇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잔디깎기 로봇의 경우 실내가 아닌 실외에도 동작하므로 이동할 영역을 사전에 설정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실외는 실내와는 달리 열린 공간이므로 영역의 지정이 미리 이루어져야하며, 또 잔디가 심어진 곳을 주행하도록 영역을 한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공개특허 10-2015-0125508(공개일자: 2015년11월09일)(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한다)에는, 잔디깎기 로봇이 이동할 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잔디가 심어진 곳에 와이어를 매설하여, 이동 로봇이 와이어의 내측 영역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면, 와이어에 의해 유도된 전압값에 근거하여 이동 로봇에 대한 경계가 설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방식 만으로는 주행 영역의 경계 부분에 대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이 용이해질뿐, 경계 부분 내의 넓은 주행 영역에 대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의 개선에는 한계가 따를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2017-0150676(공개일자:2017년06월01일)(이하, 선행문헌 2라 칭한다)에는, 주행 영역의 경계 부분에 복수의 비콘(Beacon)을 설치하여, 로봇이 경계를 따라 주행하는 동안 상기 비콘에서 송출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비콘과의 상대적 위치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저장하여 위치 판단에 활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선행문헌 2는 주행 영역의 경계 부분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비콘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수신 결과를 근거로 주행 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복수의 비콘과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주행 영역/위치 인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선행문헌 1의 한계인 위치 인식의 제한을 부분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선행문헌 2의 기술은 야외 환경의 특성으로 인해 비콘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테면 풍향 등의 영향으로 이동되거나, 지형의 영향, 또는 위치 인식 영역의 재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비콘의 설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비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비콘의 설치 위치를 근거로 생성된 영역 지도와 실제 변경된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위치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비콘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상기 비콘과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대적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영역 지도가 현재 영역 상태와 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위치 인식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는 곧, 로봇의 주행 자체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로봇의 주행 동작의 정확성, 안정성, 신뢰성 및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즉, 종래에는 위치 인식을 위한 수단의 위치 변경 문제가 따르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위치 인식을 위한 수단의 활용 및 효과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영역 상에 배치되는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 시,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 시 이를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른 정확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신호송출수단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제어가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근거로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이전 수신 이력에 따른 감지 결과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주행 제어의 근거가 되는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또는, 위치 판단의 근거가 되는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근거로 신호송출수단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현재 위치와 영역 지도 상의 배치 위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주행 제어의 근거가 되는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신호송출수단의 현재 위치를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것을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상에 배치되는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 시,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이동 로봇의 제어수단, 이동 로봇 시스템, 이동 로봇의 제어시스템,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이동 로봇의 송출기의 위치 변경 감지 방법, 이동 로봇의 영역 지도 갱신 방법, 잔디 깎기 로봇의 제어수단, 잔디 깎기 로봇, 잔디 깎기 로봇 시스템, 잔디 깎기 로봇의 제어 시스템, 잔디 깎기 로봇의 제어 방법, 잔디 깎기 로봇의 위치 변경 감지 방법, 또는 잔디 깎기 로봇의 영역 지도 갱신 방법 등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통신하여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은,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에서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통신하여,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부의 수신 결과 및 상기 통신부의 통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의 설치 위치가 지정된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통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현재 위치를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은,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및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주행 중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가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주행 중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근거로 위치 변경을 감지함으로써, 주행 영역 상에 배치되는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 시,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근거로 위치 변경을 감지함으로써, 변경된 위치에 따른 정확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제어가 정확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따른 영역 지도의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신호송출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근거로 위치 변경을 감지함으로써, 주행 영역 상에 배치되는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 시, 신호송출수단의 위치 변경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종래기술의 한계를 개선함은 물론, 신호송출수단을 활용/적용한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 기술 분야의 정확성, 신뢰성, 안정성, 적용성, 효율성, 효용성 및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a.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b.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c.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주행 영역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주행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위치 판단을 위한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변경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변경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변경 감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변경 감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2.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1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2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3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잔디 깎기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이하, 로봇이라 칭한다)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로봇은, 자율주행이 가능한 로봇, 잔디 깎기 이동 로봇, 잔디 깎기 로봇, 잔디 깎기 장치, 또는 잔디 깎기용 이동 로봇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며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의 잔디를 절삭한다.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1),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 및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10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10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봇(100)은, 외부의 통신 대상 수단과 통신하는 통신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상기 수신부(12)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되도록,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된다.
상기 로봇(100)은, 도 1c 및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서, 잔디를 절삭할 수 있는 상기 본체(10)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로봇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로봇(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100)의 주행 및 잔디 절삭 등의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킬 수 있는 상기 구동부(11)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부(11)는 복수 개의 회전 가능한 구동 바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바퀴는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본체(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11)는 적어도 하나의 주 구동 바퀴(11a)와, 보조 바퀴(1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는 두개의 주 구동 바퀴(11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 구동 바퀴는 상기 본체(10)의 후방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주행 중에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동작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의 잔디를 절삭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은 상기 로봇(100)의 주행 및 동작 대상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소정의 실외/야외 영역이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로봇(100)이 잔디를 절삭하기 위한 정원, 마당 등이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에는 상기 로봇(100)의 구동 전원이 충전되는 충전 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설치된 상기 충전 장치(500)에 도킹하여 구동 전원을 충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경계 영역(12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계 영역(12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과 외부 영역(1100)의 경계선에 해당되어, 상기 로봇(100)이 상기 경계 영역(1200) 내에서 상기 외부 영역(11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계 영역(1200)은 폐곡선 또는 폐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경계 영역(1200)은 폐곡선 또는 폐루프로 형성되는 와이어(12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200)는 임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로봇(100)은 설치된 와이어(1200)에 의해 형성되는 폐곡선의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영역(1000)에는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출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가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로봇(100)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발생 수단으로,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분산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거나,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수신부(12)가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서 상기 경계 영역(1200)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의 근방에 배치된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를 근거로 상기 경계 영역(1200)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에는,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검출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IMU센서는, 자이로, 가속도 및 고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IMU센서를 통해 현재의 배치 상태에 따른 자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변경에 따라 자세가 변경된 경우, 상기 IMU센서를 통해 위치 변경에 따른 자세의 변경을 센싱하게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며 잔디를 절삭하는 상기 로봇(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행 원리에 동작할 수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판단을 위한 장치 간의 신호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영역을 이동하는 단말(300)과 통신하며,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300)의 위치를 추종하며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주행하는 중에 수집되는 위치 정보를 근거로 소정 영역에 가상의 경계를 설정하고, 경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 및 상기 주행 영역(1000)이 설정되면, 상기 경계 영역(12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단말(300)은 상기 경계 영역(1200)을 설정하여 상기 로봇(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은 영역을 변경하거나 확장하는 경우, 변경된 정보를 상기 로봇(100)에 전송하여, 상기 로봇(100)이 새로운 영역에서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300)은 상기 로봇(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또는 상기 단말(300)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배치된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 또는 GPS위성(400)을 이용한 GPS신호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 수신 방향, 또는 수신 시간 등을 근거로 상기 로봇(100)과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서의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송출기(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송출기(200)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수신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로봇(100) 및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출기(200)에 구비된 GPS모듈에서 송신되는 GPS신호를 상기 GPS위성(400)에서 수신하여, 상기 GPS신호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하게 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상기 복수의 송출기(200) 각각의 위치를 통해 복수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 또한 판단함으로써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복수의 송출기(20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은, 바람직하게는 3개의 송출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의 어느 하나의 지점을 기준 위치로 설정한 후, 이동 중 위치를 좌표로 산출한다. 예를 들어 초기 시작 위치, 상기 충전 장치(5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100)은 매 동작 시, 초기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한 후, 주행하며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로봇(100)은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바퀴(11)의 회전수, 회전 속도, 상기 본체(10)의 회전 방향 등을 바탕으로 주행 거리를 연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서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GPS위성(400)을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는 경우라도, 어느 하나의 지점을 기준 위치로 하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GPS위성(400)에서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GPS 신호, 초음파 신호, 적외선 신호, 전자기 신호 또는 UWB(Ultra Wide Band) 신호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UWB(Ultra Wide Band)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UWB(Ultra Wide Band)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근거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또한, GPS모듈을 구비하여, GPS신호를 송신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GPS신호는, 상기 GPS위성(400)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위성(400)은,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한 수신 결과를 상기 로봇(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상기 로봇(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상기 수신부(12)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통신부(13), 데이터부(14), 입/출력부(15), 장애물 감지부(16), 제초부(17) 및 센싱부(18)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 바퀴로, 회전 구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구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로봇(100)이 주행하도록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좌륜을 회전시키는 좌륜 구동모터와 우륜을 회전시키는 우륜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구동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 모듈은, 상기 송출기(200)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송출기(200)가 초음파, UWB(Ultra Wide Band),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12)는, 그에 대응하여 초음파, UWB, 적외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센서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바람직하게는 UWB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UWB 무선기술은 무선 반송파(RF carrier)를 사용하지 않고, 기저역(Baseband)에서 수 GHz 이상의 매우 넓은 주파수 역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UWB 무선기술은 수 나노 혹은 수 피코 초의 매우 좁은 펄스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UWB 센서에서 방출되는 펄스는 수 나노 혹은 수 피코이므로, 관통성이 좋고, 그에 따라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다른 UWB 센서에서 방출하는 매우 짧은 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이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주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300)과 상기 로봇(100)은 각각 UWB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UWB 센서를 통해 상호 간에 UWB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은 구비되는 UWB 센서를 통해 UWB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로봇(100)은 UWB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UWB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300)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단말(300)을 추종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300)은 송신측, 상기 로봇(100)은 수신측으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송출기(200)가 UWB 센서를 구비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로봇(100) 또는 상기 단말(300)은 구비되는 UWB 센서를 통해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출기(200)의 신호 방식과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단말(300)의 신호 방식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복수의 UWB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에 두 개의 UWB 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를 비교하여 정확한 위치 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봇(100)과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단말(300)의 위치에 따라, 좌측의 센서와 우측의 센서에서 측정되는 거리가 상이한 경우, 이를 바탕으로 상기 로봇(100)과 상기 송출기(200) 또는 상기 단말(300)의 상대적 위치, 상기 로봇(100)의 방향을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신호의 수신 결과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로봇(100)의 통신 대상 통신기와 통신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송출기(200), 상기 단말(300) 및 상기 GPS위성(400)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소정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서버 또는 상기 로봇(100)을 제어하는 상기 단말(3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300)과 통신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13)는, 생성되는 지도를 상기 단말(300)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30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로봇(1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GPS위성(400)과 통신하는 상기 단말(300)을 통해 상기 GPS위성(400)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또한, 상기 GPS위성(400)으로부터 GPS신호를 송수신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GPS위성(4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상기 GPS위성(400)과 통신하는 경우, 상기 GPS위성(400)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3)에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GPS위성(400)과 통신하는 경우, 상기 GPS위성(400)으로부터 상기 GPS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통신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13)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1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부(14)에는, 수신되는 신호가 저장되고, 장애물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며, 감지된 장애물에 대한 장애물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부(14)에는 상기 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상기 로봇(1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데이터, 수집되는 위치 정보, 상기 주행 영역(1000) 및 그 경계(1200)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5)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과,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의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로봇(10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5)는,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15)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입/출력부(15)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주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한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레이저, 초음파, 적외선, 3D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즉 주행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또한, 상기 본체(10)의 배면에 설치되어 낭떠러지를 감지하는, 낭떠러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또한, 전방을 촬영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미지센서(미도시)와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 영상(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photo diode)가 집적된 칩으로 구성되며, 광 다이오드로는 픽셀(pixel)을 예로 들 수 있다. 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칩에 맺힌 영상에 의해 각각의 픽셀들에 전하가 축적되며, 픽셀에 축적된 전하들은 전기적 신호(예를들어, 전압)로 변환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부(DS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감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애물 감지부(16)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초부(17)는 주행 중, 바닥면의 잔디를 깎는다. 상기 제초부(17)는 잔디를 깎기 위한 브러쉬 또는 칼날이 구비되어 회전을 통해 바닥의 잔디를 깎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초부(17)는, 동작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초부(17)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초부(17)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8)는, 상기 본체(10)의 자세 및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8)는, 상기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및 상기 구동부(11)의 구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를 산출하여 상기 본체(10)의 자세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틸트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의 경우 자이로식, 관성식, 실리콘 반도체식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또한, 그 외에 상기 본체(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또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속도 센서는, 상기 구동부(11)에 구비된 구동 바퀴의 구동 속도를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속도 센서는, 상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여 구동 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8)는, 센싱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20)로부터 동작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센싱부(18)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부(18)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로봇(10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 상기 구동부(11), 상기 센싱부(12) 및 상기 수신부(12)를 통해 상기 주행 영역(1000)에서 상기 본체(10)의 주행이 제한되는 상기 특정 지점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부(14), 상기 입/출력부(15), 상기 장애물 감지부(16), 상기 제초부(17) 및 상기 통신부(18)를 통해 상기 로봇(100)의 기능/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설정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좌륜 구동모터와 우륜 구동모터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직진 또는 회전하여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근거로 판단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경계(1200)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주행 중 자체 수집한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경계(1200)를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설정되는 경계(1200)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중 어느 일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불연속적인 위치 정보를 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폐루프(closed loop) 형태로 경계(1200)를 설정하고, 내부 영역을 상기 주행 영역(10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및 그에 따른 경계(1200)가 설정되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서 주행하며 설정된 경계(1200)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장애물 감지부(16)에 의해 입력되는 장애물 정보에 따라, 장애물을 회피하여 주행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장애물 정보를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기저장된 영역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수정하게 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상기 통신부(13)의 통신 결과 및 상기 센싱부(18)의 센싱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한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상기 주행 영역(100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잔디를 절삭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동부(11)의 구동을 통해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구동부(11)가 구동하여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구동부(11)는, 구동 바퀴의 구동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는 상기 구동 바퀴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수신부(12)는, 주행 중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분산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가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송출기(200) 각각에서 송출된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부(12)는 복수의 송출기(200)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신호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2)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출하고, 상기 수신부(12)는 주행 중 상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주행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출기(200) 각각에서 송신되는 상기 신호는, 일정한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는, 상기 송출기(200)가 배치된 위치, 즉 고정된 위치에서 송신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가 달라지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는, 신호가 수신되는 위치에 따라서 수신 결과가 달라지게 될 수 있고, 상기 로봇(100)은, 이처럼 수신 위치에 따라 수신 결과가 달라지는 상기 신호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10)가 일 지점에서 타 지점까지 주행한 경우, 상기 본체(10)가 일 지점에서 타 지점까지 주행하는 동안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각각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한 거리를 근거로 상기 본체(10)가 일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이동한 것을 판단하게 되어,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주행 중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대한 지도로,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도 상에 지정되어 상기 로봇(10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데이터부(14)에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로봇(100)의 이전 주행 이력 및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 설정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기생성되어 상기 로봇(10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 및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한 거리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통신부(13)의 통신 결과 및 상기 센싱부(18)의 센싱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본체(10)가 주행한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한 거리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판단한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를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판단한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주행 중 위치가 상기 경계 영역(1200)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1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본체(10)가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의 위치 및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상에 배치된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하나(200#1)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송출기(200#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1)의 변경된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한 송출기(200#1)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한 결과를 근거로 위치가 변경된 송출기(200#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위치가 변경된 송출기(200#1)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한 위치에서의 현재 수신 결과 및 이전 수신 결과에 따른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전 감지 이력은,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수신 결과에 따른 감지 이력에 대한 정보로, 상기 로봇(10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12)가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P10)하면,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상기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21 내지 P40)하고,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50)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P21)하여, 분석 결과 및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1 내지 P40)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감도는,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 수신 시간, 수신 방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 수신 시간, 수신 방향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P21)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분석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1 내지 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에 대한 현재의 수신 감도를 이전의 수신 감도와 비교한 결과(P31)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P31)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상기 한 송출기(200#1)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거리가 a에서 a'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송출기(200#1)에서 송신된 신호의 수신 감도가 a에서 a'로 변경된 거리만큼 변경되므로, 현재의 수신 감도와 이전의 수신 감도의 차이로부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송출기(200#1)가 a 위치에서 신호를 송신한 결과에 따른 이전의 수신 감도와 a' 위치로 변경되어 신호를 송신한 결과에 따른 현재의 수신 감도가 a 위치에서 a' 위치로 변경된 거리에 따른 차이가 있게 되므로,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로 변경된 것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P31)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P7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P22)하여, 측정 결과 및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2 내지 P40)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는,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근거로 측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를 측정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P22)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측정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2 내지 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비교한 결과(P32)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P32)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상기 한 송출기(200#1) 간의 거리가 a에서 a'로 변경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 송출기(200#1)와 이웃하는 다른 송출기(200#2 및 200#3) 간의 거리가 a에서 a'로 변경된 거리만큼 변경(#1-#2: x => x', #1-#3: z => z')되므로,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의 차이로부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한 송출기(200#1)와 이웃하는 어느 한 송출기(200#2) 간의 거리가 x에서 x'로 변경되고, 상기 한 송출기(200#1)와 이웃하는 다른 송출기(200#3) 간의 거리가 z에서 z'로 변경되어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에 a 위치에서 a' 위치로 변경된 거리에 따른 차이가 있게 되므로,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로 변경된 것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P32)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P7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 및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3 내지 P40)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는, 상기 송출기(200)에 구비된 상기 IMU센서가 상기 송출기(200)의 기울기 등의 자세를 검출한 결과로, 상기 송출기(200)가 상기 신호를 송신할 시 상기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자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검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검출(P23)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검출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33 내지 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비교한 결과(P33)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P33)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P40)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송출기(200) 중 어느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으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자세 상태가 변경되므로,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의 차이로부터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로 변경됨으로써, 상기 한 송출기(200#1)의 기울기 등의 자세가 a 위치의 지형에 따른 자세에서 a' 위치의 지형에 따른 자세로 변경되어, 현재의 a' 위치에서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이전의 a 위치에서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차이가 있게 되므로, 상기 한 송출기(200#1)의 위치가 a에서 a'로 변경된 것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P33)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P70)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한 경우,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5)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한 후,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50)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 및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의 판단을 결정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결과, 즉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반영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한 경우에는, 상기 영역 지도를 유지(P80)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현재 위치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의 적정 여부 및 상기 송출기(200)의 적정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위치가 변경된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신 감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의 적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가 기설정된 세기 기준 미만인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부적정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신 세기가 상기 세기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위치가 변경된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수신 감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적정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신호의 수신 세기가 상기 세기 기준 이상이 되는 위치를 선정하여 상기 적정 위치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판단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로봇(100)의 외부로 표시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어, 상기 송출기(200)가 최적의 위치로 변경되도록 유도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부(12)가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신호를 수신(P100)하면,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를 비교(P300)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0 및 P500)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또한,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P300)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불일치(P400)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500)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상기 수신 결과에 따라 판단된 현재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500)한 후,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0)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P300)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치(P400)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0)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영역 지도를 미갱신하여 유지(P80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로봇(100)은,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반영된 영역 지도에 따라 정확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100)은, 다음과 같이 다른 실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13) 및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11),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통신기(400)와 통신하는 상기 통신부(13)의 통신 결과를 통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GPS신호이고, 상기 통신기(400)는, GPS위성(400)일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가 GPS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GPS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GPS위성(400)이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GPS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상기 통신부(13)에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GPS신호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한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GPS신호를 통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과정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통신기(400)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GPS신호를 수신(P100)하여 상기 통신부(13)에 수신 결과를 전달하면, 전달받은 상기 GPS신호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GPS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여, 판단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P300)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400 내지 P5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P300)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불일치(P400)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500)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P500)한 후,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P600)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P200)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P300)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치(P400)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P700)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영역 지도를 미갱신하여 유지(P80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100)은, 다음과 같이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들이 결합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12),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통신부(13)의 통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200)의 설치 위치가 지정된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11), 상기 수신부(12),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상기 로봇(100)에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통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현재 위치를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수신부(12)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기(400)와 통신한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되어 상기 수신부(12)에 수신되는 UWB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되어 상기 통신기(400)에 수신되는 GPS신호일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가 GPS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GPS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GPS위성(400)이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GPS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상기 통신부(13)에 전달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로봇(100)은, 상기 수신부(12)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GPS위성(400)을 통해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수신부(12)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수신 결과 및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한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로봇(100)의 실시 예들은, 하술할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이 상기 로봇(10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칭한다)을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영역(1000) 내의 잔디를 절삭하는 상기 로봇(100) 및 상기 로봇(100)과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10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로봇(100)일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의 잔디를 절삭하는 잔디 깎기 로봇의 주행/제어/동작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200),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400)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로봇(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는, 수신하는 위치에 따라 수신 결과가 달라지는 UWB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GPS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송출기(20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가 상기 주행 영역(1000)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UWB모듈 및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GPS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는, 상기 UWB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로봇(100)에 송신하고, 상기 GPS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통신기(4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송출기(200)는 또한, 자세 상태를 검출하는 IMU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통신기(400)는, GPS위성일 수 있다. 상기 통신기(400)는,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결과인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상기 로봇(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한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12),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수신부(12)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전 감지 이력은,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수신 결과에 따른 감지 이력에 대한 정보로, 상기 로봇(10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상기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분석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현재의 수신 감도를 이전의 수신 감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수신 감도가 이전의 수신 감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측정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와 이전의 송출기(200)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검출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미변경으로 인해 현재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와 이전의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후,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에 따른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 및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감도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의 판단을 결정하게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GPS신호의 수신 결과인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의 판단을 결정하게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결과, 즉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반영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영역 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역 지도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현재 위치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로부터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한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상기 로봇(100)은,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 판단을 결정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송출기(200)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상기 배치 위치에서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판단된 현재 위치로 변경된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으로 인해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후,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로봇(100)은,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봇(100)은, 상기 영역 지도를 미갱신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1)은, 상기 로봇(100)이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가 반영된 영역 지도에 따라 정확한 위치 인식 및 주행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1)은, 상술한 상기 로봇(100) 및 하술할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로봇(100)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이 상기 시스템(1)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하, 제어 방법이라 칭한다)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시스템(1)에서 도 1b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로봇(10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로봇(100) 및 상기 시스템(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시스템(1)에서 상기 로봇(100)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또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로봇(100)에 포함된 상기 제어부(20)에서 수행되는 제어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제어 방법 1, 제어 방법 2 및 제어 방법 3의 실시 예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제어 방법 1, 제어 방법 2 및 제어 방법 3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방법 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200) 및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로봇(10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1)의 제어 방법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단계(S11), 주행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2),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13),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S14) 및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주행하는 단계(S11), 상기 수신하는 단계(S12), 상기 판단하는 단계(S13), 상기 감지하는 단계(S14)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15) 순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12) 및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10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11)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12)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상기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13)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수신부(12)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13)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13)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14)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상기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14)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14)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15)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15)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15)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한 경우, 상기 영역 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 1은, UWB신호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배치 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11), 상기 수신하는 단계(S12), 상기 판단하는 단계(S13), 상기 감지하는 단계(S14)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방법 1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방법 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송출기(200) 및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상기 로봇(100)에 전달하는 상기 통신기(400) 및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로봇(10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1)의 제어 방법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단계(S21), 상기 통신기(400)가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2),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S23),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24),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S25) 및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S2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주행하는 단계(S21), 상기 수신하는 단계(S22), 상기 전달받는 단계(S23), 상기 판단하는 단계(S24), 상기 감지하는 단계(S25)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26) 순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송출기(10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21)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22)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상기 통신기(400)가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S22)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GPS신호를 GPS위성인 상기 통신기(400)가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달받는 단계(S23)는, 상기 통신부(13)가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신호의 상기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4)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통신부(13)를 통해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4)는, 상기 GPS신호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25)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상기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25)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25)는,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배치 위치가 일일치하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26)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26)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26)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한 경우, 상기 영역 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 2는, GPS신호의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배치 위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21), 상기 수신하는 단계(S22), 상기 전달받는 단계(S23), 상기 판단하는 단계(S24), 상기 감지하는 단계(S25)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26)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방법 2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방법 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영역(1000)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송출기(200),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상기 로봇(100)에 전달하는 상기 통신기(400) 및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200)의 배치 위치가 지정되어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로봇(100)을 포함하는 상기 시스템(1)의 제어 방법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S100), 주행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S200),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주행하는 단계(S100), 상기 전달받는 단계(S200),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500) 순으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봇(10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상기 본체(10)를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부(11),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12),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통신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상기 통신부(13) 및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송출기(200)의 설치 위치가 지정된 기저장된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11)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100)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주행을 제어하여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달받는 단계(S200)는, 상기 주행 영역(1000)을 주행하는 중 상기 송출기(200)에서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수신부(12)가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통신기(400)가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3)가 상기 통신기(400)로부터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분석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측정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또한,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자세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검출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또한,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상기 배치 위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배치 위치와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배치 위치와 차이가 없는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수신 결과에 따른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 상기 본체(10)와 상기 송출기(200) 간의 거리 및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신호의 수신 감도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송출기(200) 상호 간의 거리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또한, 상기 GPS신호의 수신 결과인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제1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와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근거로 판단한 결과를 취합하여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500)는,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변경된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50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반영하는 단계(S500)는,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미감지한 경우, 상기 영역 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 방법 3은, UWB신호의 수신 결과 및 GPS신호의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200)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송출기(2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변경된 위치에 따라 상기 영역 지도를 업데이트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주행하는 단계(S100), 상기 전달받는 단계(S200), 상기 감지하는 단계(S300),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반영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방법 3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동 로봇의 제어수단, 이동 로봇 시스템, 이동 로봇의 제어시스템,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이동 로봇의 영역 감시 방법 및 이동 로봇의 영역 감시 제어 방법 등에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잔디 깎기 로봇, 잔디 깎기 로봇의 제어 시스템, 잔디 깎기 로봇의 제어 방법, 잔디 깎기 로봇의 위치 변경 감지 방법, 잔디 깎기 로봇의 영역 지도 갱신 방법 등에 유용하게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이동 로봇, 이동 로봇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이동 로봇 시스템,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등에도 적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본체 11: 구동부
12: 수신부 13: 통신부
20: 제어부 100: 이동 로봇
200: 송출기 300: 단말기
400: 통신기(GPS위성) 1000: 주행 영역

Claims (20)

  1.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 및
    상기 수신부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중의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분석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 결과가 상기 분석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측정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상기 측정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에 포함된 상기 송출기의 자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송출기의 자세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상기 이전 감지 이력에 포함된 검출 이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결과가 상기 검출 이력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신호의 수신 감도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의 적정 여부 및 상기 송출기의 적정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3.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주행 영역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통신하여 상기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통신부;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 및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본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중의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와 비교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여 상기 영역 지도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14.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중의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위치 변경에 따른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수신하는 위치에 따라 수신 결과가 달라지는 UWB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는,
    GPS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된 위치에서의 이전 감지 이력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봇은,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와 상기 영역 지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18.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의 수신 결과 및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주행 중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설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수신 결과 및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가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를 상기 영역 지도 상에 지정된 배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주행 영역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송출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 결과를 이동 로봇에 전달하는 통신기; 및
    상기 송출기의 배치 위치가 지정된 상기 주행 영역의 영역 지도가 기저장된 데이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신호의 수신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영역 지도를 근거로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면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여 자율 주행을 수행하는 이동 로봇;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역 지도에 따라 상기 주행 영역을 주행하는 단계;
    주행 중 상기 송출기에서 송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기로부터 상기 제2 수신 결과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위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수신 결과 및 상기 제2 수신 결과 중 하나 이상을 근거로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송출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영역 지도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012994A 2018-08-03 2019-01-31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26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994A KR102266713B1 (ko) 2018-08-03 2019-01-31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EP19189646.3A EP3603371B1 (en) 2018-08-03 2019-08-01 Lawn mower robot, system of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lawn mower robot system
EP21193991.3A EP3954189A1 (en) 2018-08-03 2019-08-01 Lawn mower robot, system of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lawn mower robot system
AU2019210641A AU2019210641B2 (en) 2018-08-03 2019-08-02 Lawn mower robot, system of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lawn mower robot system
US16/531,222 US11178811B2 (en) 2018-08-03 2019-08-05 Lawn mower robot, system of lawn mow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lawn mower robo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4088P 2018-08-03 2018-08-03
US62/714,088 2018-08-03
US201862714746P 2018-08-05 2018-08-05
US62/714,746 2018-08-05
KR1020190012994A KR102266713B1 (ko) 2018-08-03 2019-01-31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199A KR20200018199A (ko) 2020-02-19
KR102266713B1 true KR102266713B1 (ko) 2021-06-21

Family

ID=6753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994A KR102266713B1 (ko) 2018-08-03 2019-01-31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78811B2 (ko)
EP (2) EP3603371B1 (ko)
KR (1) KR102266713B1 (ko)
AU (1) AU2019210641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267B1 (ko) 2018-08-03 2021-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의 충전대 이동 방법
KR102242714B1 (ko) 2018-08-03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이동 로봇 시스템
KR102242713B1 (ko) 2018-08-03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및 단말기
KR102238352B1 (ko) 2018-08-05 2021-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테이션 장치 및 이동 로봇 시스템
EP3829833A4 (en) 2018-08-05 2022-06-08 LG Electronics Inc. MOVAB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06388B1 (ko) * 2019-01-31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37539B2 (en) 2019-08-28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nsor fusion for localization and path planning
CN113495552A (zh) * 2020-03-19 2021-10-12 苏州科瓴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自动工作***、自动行走设备及其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21519B1 (ko) * 2020-05-26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JP2022076340A (ja) * 2020-11-09 2022-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および情報管理装置
US11950534B1 (en) 2020-11-10 2024-04-09 Louna Francois Solar powered robotic lawnmower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616B1 (ko) * 1999-07-12 2001-10-18 배종렬 무인 미장 로봇
KR100492590B1 (ko) 2003-03-14 200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의 자동충전 시스템 및 복귀방법
IL161706A0 (en) 2004-04-29 2004-09-27 Nulens Ltd Intraocular lens fixation device
KR100785783B1 (ko) 2005-12-08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에서 이동 로봇의 위치 파악 방법 및 장치
KR101241411B1 (ko) * 2006-05-12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로봇의 실내 지도 작성 장치 및 방법
KR100951775B1 (ko) 2007-07-26 2010-04-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기반 완전 자동 농지 경작 시스템
US8996171B2 (en) * 2010-02-02 2015-03-31 Deere & Company Pheromone for robotic boundary
WO2013008812A1 (ja) 2011-07-12 2013-01-17 ヤンマー株式会社 移動式電動作業機
KR101303911B1 (ko) 2011-07-29 2013-09-05 (주)라이트테크 추종 로봇
US10098277B2 (en) * 2011-08-11 2018-10-16 Chien Ouyang Robotic lawn mower with boundary stands
US9471063B2 (en) * 2011-08-11 2016-10-18 Chien Ouyang Robotic lawn mower with network sensors
CN103650753B (zh) 2012-08-31 2016-08-1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智能割草机及其控制方法
KR20140066850A (ko) 2012-11-22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67924B1 (ko) 2012-12-05 2017-08-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다중 목표물 위치 추정 시스템 및 방법
US8905175B2 (en) 2013-01-14 2014-12-09 Tung Thih Electronic Co., Ltd. Remote-controlled electric golf bag cart
US10136576B2 (en) 2013-11-12 2018-11-27 Husqvarna Ab Navigation for a robotic working tool
KR101659031B1 (ko) 2014-04-30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디 깎기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JP6688747B2 (ja) * 2014-06-19 2020-04-28 ハスクバーナ・アーベー 自動的なビーコン位置判定
KR102210701B1 (ko) * 2014-08-29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콘 관리 방법, 단말, 서버 및 저장 매체
US20160059875A1 (en) 2014-08-31 2016-03-03 Yosef Segman System of self-mobile carts with their own navigation system
CN105446350B (zh) * 2014-09-26 2018-05-29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自移动机器人移动界限划定方法
US9516806B2 (en) 2014-10-10 2016-12-13 Irobot Corporation Robotic lawn mowing boundary determination
US9510505B2 (en) 2014-10-10 2016-12-0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localization
US9788481B2 (en) * 2014-10-28 2017-10-17 Deere & Company Robotic mower navigation system
US9420741B2 (en) * 2014-12-15 2016-08-23 Irobot Corporation Robot lawnmower mapping
WO2016097900A1 (en) * 2014-12-17 2016-06-23 Husqvarna Ab Robotic vehicle learning site boundary
US9538702B2 (en) 2014-12-22 2017-01-10 Irobot Corporation Robotic mowing of separated lawn areas
WO2016103065A1 (en) * 2014-12-23 2016-06-30 Husqvarna Ab Robotic vehicle with adjustable operating area
JP5973610B1 (ja) 2015-03-27 2016-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人作業車の制御装置
US10571547B2 (en) * 2015-03-27 2020-02-25 Pcms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localization using beacons
KR102439184B1 (ko) 2015-04-28 2022-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36131A (ko) * 2015-05-19 2016-11-29 중소기업은행 Uwb 기반의 이동형 상대 측위 장치 및 이에 관한 방법
KR20160149562A (ko) * 2015-06-18 2016-12-28 (주)새로운교육 이동 로봇 주행 시스템, 자율 주행 로봇, 및 로봇 이동 제어 방법
US11115798B2 (en) * 2015-07-23 2021-09-07 Irobot Corporation Pairing a beacon with a mobile robot
FR3043304B1 (fr) * 2015-11-09 2018-04-20 Etesia Systeme de traitement automatique d'au moins une zone de terrain delimitee
WO2017092798A1 (en) * 2015-12-02 2017-06-08 Husqvarna Ab Improved navigation for a robotic work tool
KR102513379B1 (ko) 2015-12-18 2023-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350199B1 (ko) 2016-01-05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에서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2356954B1 (ko) 2016-01-05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1742913B1 (ko) 2016-06-09 2017-06-05 주식회사 토이스미스 객체의 위치를 추정하여 3차원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1147B1 (ko) * 2016-10-07 202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항용 로봇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8142070B (zh) 2016-12-06 2020-05-2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自动割草***及其控制方法
CN108226972B (zh) 2016-12-15 2020-11-1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基于差分定位技术的位置信息处理方法和移动站
KR101876809B1 (ko) 2016-12-15 2018-08-07 (주)더블유알티랩 이동 객체 탐지 시스템 및 방법
SE540436C2 (en) 2017-01-11 2018-09-18 Husqvarna Ab Improved collision detection for a robotic work tool
KR102235270B1 (ko) 2017-01-18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307767B (zh) 2018-01-12 2019-09-24 山东师范大学 适用于全自动除草机的障碍物检测避障***及方法
KR102242714B1 (ko) 2018-08-03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이동 로봇 시스템
KR102242713B1 (ko) 2018-08-03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및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37499A1 (en) 2020-02-06
AU2019210641A1 (en) 2020-02-20
EP3954189A1 (en) 2022-02-16
EP3603371A3 (en) 2020-05-27
EP3603371B1 (en) 2021-09-29
KR20200018199A (ko) 2020-02-19
US11178811B2 (en) 2021-11-23
EP3603371A2 (en) 2020-02-05
AU2019210641B2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713B1 (ko)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292267B1 (ko) 이동 로봇,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의 충전대 이동 방법
EP3491906B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495910B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66067B2 (en) Moving robot,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EP3919237A2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272161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04304B1 (ko)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78270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KR102421519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KR102385611B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이동 로봇 시스템의 경계 정보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