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378B1 -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378B1
KR102266378B1 KR1020190162501A KR20190162501A KR102266378B1 KR 102266378 B1 KR102266378 B1 KR 102266378B1 KR 1020190162501 A KR1020190162501 A KR 1020190162501A KR 20190162501 A KR20190162501 A KR 20190162501A KR 102266378 B1 KR102266378 B1 KR 10226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accommodating
attached
accommodating pa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욱
Original Assignee
김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욱 filed Critical 김정욱
Priority to KR102019016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건물 실내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와, 그 일부가 제2 벽면과 부착 결합되고 그 일부가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데크 회동부와,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데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건물 실내 공간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복층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소용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DOUBLE FLOOR STRUCTURE IN A ROOM}
본 발명은 건물 실내에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가능하고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형 주거공간이 다양화되어 가고, 종전 대규모 가족단위의 주거공간보다, 직장이나 학교 등에 근접한 소규모 주거형태나 핵가족화에 따른 소수 인원만이 거주하는 생활 형태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된 도시형 생활 주택예컨대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곳은 비교적 좁은 실내 공간을 보유함에 따라, 어떻게 실내 공간을 활용하여 거주자의 생활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가에 대한 많은 논의와 고민이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 중, 건물 실내 공간에서의 복층형 구조는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여 실내 공간을 구획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통상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한다. 하층에는 거주자가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하고 상층은 거주자가 휴식 또는 취침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복층 구조는 상층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하층 바닥면으로 이어져 하층의 실내 공간의 활용 면적을 좁게 만들고, 또한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하기 위한 계단도 설치되어야 하므로 활용할 수 있는 하층의 실내 공간은 더욱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실내 여러 구조물이 번잡하게 구획되어 실내 공간을 실 면적보다 좁아 보이게 만들며, 깔끔하고 단정한 인상을 주지 못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하층의 실내 공간을 활용하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층으로의 연결 수단을 수납부 내에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단순화하여 미관상으로도 단정하고 깔끔하며, 상하층 실내 공간 활용 측면에서도 용이한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하층의 수납부 공간을 실내 공간에 맞게 다양하게 배치하여도 상층의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데크 일 측면에 회동가능한 난간대를 설치하여 거주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테크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난간대를 설치할 필요없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상층 데크 위에 매트리스를 부착하여 상층에서의 거주 편의성을 높이는 복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은, 실내 바닥면과 이격되어 일 벽면에 부착된 데크와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데크 회동부, 데크의 일부를 지지하는 데크 받침대, 그리고 데크의 일부를 지지하는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건물 실내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와, 그 일부가 제2 벽면에 부착 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데크 회동부와,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데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개폐부는 개폐부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는,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도 있다.
또한 데크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난간대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데크와, 일부가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와,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고 일 측면이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는 제3 수납부와, 그 일부가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부는,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크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난간대는,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 복층 구조물은,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와,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와,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며,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3 수납부와,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와, 그 일부가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데크는, 개방된 제3 수납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데크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구비하고, 데크 회동부에 의해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데크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일 벽면에 부착 결합하게 되어 있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층 구조물로 인해 복층 아래 실내 공간 활용도 자유로워 지며, 활용가능한 실내가 넓어진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복층으로서의 연결수단인 계단부가 수납부 안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미관상으로 단정하고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납부 상단면이 개폐됨으로써 복층으로의 이동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층의 수납부를 실내 공간에 맞추어 다양하게 배치하더라도 상층의 데크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데크의 일 측면에 난간대를 부착함으로써 복층에서의 생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데크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통해 난간대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난간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데크 위에 매트리스를 부착함으로써 복층에서의 생활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벽면에 제1 수납부가 설치되고, 제2 벽면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1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개폐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1의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4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난간대가 수직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 위에 데크가 설치되고, 데크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6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 제2 수납부와 제3 수납부가 설치되고, 데크가 제2 수납부 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8의 데크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데크 위에 매트리스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8의 데크가 데크 연장부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의 건물 실내 구조는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방 구조인 직육면체 형태의 실내 구조를 상정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본 실내 구조로 제한하거나 한정하고 있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벽면 내지 제3 벽면을 직선 또는 점선으로 표현한 것은 도시된 내용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내 구조로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어느 한 벽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층 구조물을 설명하는 것은 본 발명의 설명에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그 특정 벽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벽면을 중심으로 얼마든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복층 구조물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 구조의 제1 벽면(10)에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부(100)의 가로 세로 높이 길이는 제한되지 않으며 실내 구조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 내부에는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납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어느 일 부분의 수납공간에는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부(110)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보이지 않으나(도1 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일부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부에는 개폐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면(10)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20)에 데크(40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400)는 건물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제1 수납부(100)의 높이보다 높게 이격되어 제2 벽면(20)에 설치될 수 있다. 데크(400)의 장축방향 길이는 데크(400)가 부착되는 제2 벽면(20)의 가로 길이보다 짧을 수 있으며, 단축방향 길이는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으로부터 천정면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는 그 일부가 제2 벽면(20)에 견고하게 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데크 회동부(420)는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된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30)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룬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수납부(1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므로 그 내부에 설치된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계단부(110)의 내부 공간은 서랍 형태의 별도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는 개폐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렇게 개방된 상태에서 거주자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과 하층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부(120)에 의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데크(400)는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일부는 제2 벽면(20)에 부착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회동부(420)는, 실내 바닥면을 기준으로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와 수평한 상태 사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 회동부(420)의 회전력은, 데크 회동부(420) 내에 전기 모터가 설치되어, 전기 모터의 힘으로 데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스트링 방식 즉 데크 회동부(420)와 데크(400)간에 하나 이상의 줄이 연결되어, 줄을 잡아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의 일부분이 데크 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며, 또 데크(400)의 다른 일부분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즉, 데크 받침부(410)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가 데크(400)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침으로써 데크(400) 위로 사람이 생활하거나 사물이 적재되더라도 그 하중에 의해 데크(400)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크(400)의 두께와 재질은 사람 또는 물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두께와 재질을 가져야만 한다.
데크 받침부(410)는 도 2에서는 가로 세로 높이 길이가 거의 유사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건물 실내 공간 구조에 따라서는 가로 방향이 긴 레일(rail) 형태의 데크 받침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데크 받침부(410)의 형상이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데크 받침부(410)는 데크 위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면이 제3 벽면(30)에 앵커 볼트결합 등을 통해 단단히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개폐부(1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개폐부(120)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수납장의 상단면의 하단 아래로(또는 상단 위로) 슬라이딩 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적어도 그 일부가 복수의 주름판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주름판이 수평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제1 수납장의 상단면을 개폐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데크(400)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430)를 포함하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난간대(430)와 난간대 회동부(440)를 제외하고는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난간대(430)는 데크(400)의 장축 방향 일 측면에 난간대 회동부(440)를 통해 연결 부착될 수 있다.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와 데크(400)를 연결 결합시키고 난간대(43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도 4의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루고, 난간대(430)가 수직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수평상태를 이룰 때 데크(400)의 일부분이 데크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되며, 또 다른 데크(400)의 일부분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 진다. 난간대(430)는 난간대 회동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이러한 난간대(430)는 데크(400) 위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데크(400) 위에서 사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난간대 회동부(440)의 회전력은, 난간대 회동부(44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난간대(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절한 회전 각도에 해당할 경우 걸림턱이나 고정핀,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난간대(430) 회전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벽면(10)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100) 상단면에 데크(400)가 설치되고, 데크(400)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로 데크(400)의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 상단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데크(400)의 두께는 대략 제1 수납부(100)의 폭(단축방향 길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그 일부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견고하게 고정부착결합되고 또 다른 일부가 데크(400)의 하단부에 고정부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구동 방식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전기 모터 구동 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며, 데크 일 측면과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데크 회동부(420)에 하나 이상의 줄로 연결하여 줄을 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스트링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제1 벽면(10)과 대향하는 제3 벽면(30)에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받침부(410)는 실시 예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건물 실내 공간에 따라 그 형상 또는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6의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410) 대신에 제1 수납부(100)와 같은 수납부가 제3 벽면에 설치되어 데크(400)의 일부가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또 데크(400)의 일부가 제3 벽면에 설치된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받쳐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펼쳐져 수평상태를 이루면, 데크(400)의 일부는 데크 받침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고, 데크(400)의 또 다른 일부는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이 경우 수직상태에서의 데크(400)의 바닥면도 회전하게 되어, 데크(400) 바닥면이 커버하고 있었던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이 개방상태가 된다. 이 개방된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은 제1 수납부(100) 내 설치된 계단부(110)와 연결되게 되고, 거주자는 상하층 자유롭게 이 계단부(11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제1 수납부(100)뿐만 아니라 제2 수납부(200)와 제3 수납부(3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내 구조의 제1 벽면(10)에 제1 수납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부(100) 내부에는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수납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어느 일 부분의 수납공간에는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단부(110)는 도어가 닫혀 있을 때는 보이지 않지만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도 9 참조).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 일부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 일부에는 개폐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면(20)에 제2 수납부(200)가 설치되고 그 상단면에 제3 수납부(300)와 데크(400)가 설치된다. 제2 수납부(200)의 높이는 제1 수납부(100)의 높이와 동일하다. 제2 수납부(200)는 제1 수납부(10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 공간에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제3 수납부(300)의 일 측면은 제2 벽면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제3 수납부(300)의 폭은 제2 수납부(200)의 폭보다 작다. 제3 수납부(300)는 데크(400) 일 측면 예컨대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9 참조)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다. 따라서, 제3 수납부(300)의 폭은 매트리스(500)를 수납하기 위한 폭으로 충분하다.
제2 수납부(200) 상단면에는 제3 수납부(300)와 동일한 크기로 연이어 데크(400)(수직상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데크(400)가 제3 수납부(300)와 연이어 붙어 설치됨으로써 데크(400)가 수직상태인 경우 데크(400)의 일 측면은 자연스럽게 제3 수납부(300)의 일 측면의 덮개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400)의 하단부에는 데크 회동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데크 회동부(420)는 그 일부가 제3 수납부(300)의 하단부에 견고하게 부착결합되고 또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데크(400)의 일 측면에는 난간대(430)가 부착된다. 난간대(430)는 데크(400)의 장축 방향 일 측면에 난간대 회동부(440)를 통해 연결 부착된다.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와 데크(400)를 연결 결합시키고 난간대(43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도 9는 도 8의 데크(400)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루고, 데크(400) 위에 매트리스(500)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수납부(100)의 도어가 열린 상태이므로 그 내부에 설치된 계단부(110)를 볼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계단부(110)의 내부 공간은 서랍 형태의 별도의 수납공간을 설치하여 공간활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의 일부는 개폐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120)는 그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렇게 개방된 상태에서 거주자는 계단부(110)를 통해 상층과 하층을 자유로이 왕래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부(120)에 의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20)의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는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 데크 회동부(420)의 일부는 제3 수납부(300)에 부착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데크(400)에 부착결합되어 데크(400)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데크 회동부(420)는, 실내 바닥면을 기준으로 데크(400)가 수직인 상태와 수평인 상태 사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데크 회동부(420)의 회전력은, 데크 회동부(42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데크(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스트링 방식 즉 데크 회동부(420)와 데크(400), 제3 수납부(300)간에 하나 이상의 줄이 연결되어, 줄을 잡아당기거나 풀어 데크(4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하여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의 일부 바닥면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며, 또한 데크(400)의 다른 일부 바닥면은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받쳐지게 된다. 즉,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과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이 데크(400)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면적에 따라 지지력은 상승하게 된다. 특히 데크(400)의 단축방향 폭 길이를 1이라고 한다면 제2 수납부(200)의 단축방향 폭 길이는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수납부(100)의 상단면과 제2 수납부(200)의 상단면이 데크(400) 바닥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침으로써 데크(400) 위로 사람이 생활하거나 사물이 적재되더라도 그 하중에 의해 데크(400)가 더 이상 하방으로 회전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데크(400)의 두께와 재질은 사람 또는 물건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만큼의 두께와 재질을 가져야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2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수평상태를 이루게 된다. 매트리스(500)는 데크(400)의 상단면에 고정 또는 착탈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데크(400)가 데크 회동부(430)에 의해 회전되어 수직상태를 이룰 경우, 데크(400) 상단면에 부착된 매트리스(500)도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고, 매트리스(500)는 제3 수납부(300) 내로 수납되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데크(400)의 일 측면에 부착된 난간대(430)는 난간대 회동부(4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되어 진다. 이러한 난간대(430)는 데크(400) 위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경우를 방지하거나 데크(400) 위에서 사물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난간대 회동부(440)의 회전력은, 난간대 회동부(440) 내에 전기모터가 설치되어, 전기모터의 힘으로 난간대(4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난간대 회동부(440)는 난간대(430)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적절한 회전 각도에 해당할 경우 걸림턱이나 고정핀, 스토퍼 등을 이용하여 난간대(430) 회전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4 실시 예)
도 10은 도 8의 데크(400)가 데크 연장부(450)를 구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의 난간대(430)와 난간대 회동부(440)가 제외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도 10의 제1 수납부(100), 계단부(110), 개폐부(120), 제2 수납부(200), 제3 수납부(300), 데크(400), 데크 회동부(420), 매트리스(500)의 구성은 도 8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데크(400)가 수직상태로 있을 경우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은 개방 상태로 그 면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의 역할 즉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을 커버하는 것은 데크(400)의 일 측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된 데크 연장부(450)가 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데크 연장부(450)는 데크(400)가 수직상태에서는 제3 수납부(300)의 상단면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고, 데크(400)가 수평상태에서는 데크(400)의 난간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데크(400)에 난간대나 난간대 회동부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몇 가지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 명세서에 기재된 몇 가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를 조합하여 변형된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된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벽면 20: 제2 벽면
30: 제3 벽면 100: 제1 수납부
110: 계단부 120: 개폐부
200: 제2 수납부 300: 제3 수납부
400: 데크 410: 데크 받침부 420: 데크 회동부 430: 난간대 440: 난간대 회동부 450: 데크 연장부
500: 매트리스

Claims (12)

  1.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로서,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건물 실내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데크(deck);
    일부가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 및
    상기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하여 개폐되는,
    복층 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폐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복층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는,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결합되고 상기 난간대를 회전시키는 난간대 회동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7.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로서,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데크(deck);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 및
    상기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제3 벽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데크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데크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수납부의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복층 구조물.
  8.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로서,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는 제3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deck); 및
    일부가 상기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납부는,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폐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복층 구조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일 측면에 부착되는 난간대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
  11.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로서,
    건물 실내 제1 벽면에 설치되는 제1 수납부;
    상기 제1 수납부 내에 설치되는 계단부;
    상기 제1 벽면과 측면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 벽면에 설치되는 제2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며, 일 측면이 상기 제2 벽면에 부착결합되며, 상단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3 수납부;
    상기 제2 수납부 상단면에 설치되는 데크(deck); 및
    일부가 상기 제3 수납부 하단부에 부착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데크에 부착결합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데크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는, 개방된 상기 제3 수납부의 상단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데크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데크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크 회동부에 의해 상기 데크가 가로 방향으로 수평상태를 이룰 때,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수납부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데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납부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는,
    복층 구조물.
  12. 제 8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테크 일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3 수납부에 수납되는 매트리스를 더 포함하는,
    복층 구조물.
KR1020190162501A 2019-12-09 2019-12-09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KR10226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ko) 2019-12-09 2019-12-09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ko) 2019-12-09 2019-12-09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378B1 true KR102266378B1 (ko) 2021-06-16

Family

ID=7660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01A KR102266378B1 (ko) 2019-12-09 2019-12-09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3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74Y1 (ko) * 2003-04-30 2003-08-14 김광산 침실의 복층구조
KR20100000637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복합 가구형 침대
KR101870674B1 (ko) * 2016-09-13 2018-06-25 에코힐링 주식회사 힐링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이 형성된 방을 구비하는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74Y1 (ko) * 2003-04-30 2003-08-14 김광산 침실의 복층구조
KR20100000637A (ko) * 2008-06-25 2010-01-06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복합 가구형 침대
KR101870674B1 (ko) * 2016-09-13 2018-06-25 에코힐링 주식회사 힐링을 위한 독립적인 공간이 형성된 방을 구비하는 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0994B1 (en) Removable ceil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1534004B2 (en) Bunk bed
KR102266378B1 (ko) 건물 실내 복층 구조물
JP2023051007A (ja) 住宅構造
KR100554527B1 (ko) 발코니용 방음난간 구조
JP4150707B2 (ja) 建物
JP6574123B2 (ja) 収納家具
US20090139166A1 (en) Arrangement of a store room for residential buildings comprising stacked apartments
JP2022073164A (ja) 住宅
JP6254001B2 (ja) 可動間仕切り
KR20070073301A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JP4861757B2 (ja) 採光収納構造部分を備える建物
JP3230398U (ja) 住宅
KR200267694Y1 (ko) 공동주택의 저층세대 복층구조
JP2015083753A (ja) 建物
JP3116441U (ja) リビングバルコニー
JP3562776B2 (ja) 折り畳み式簡易住宅モジュール
JP7511340B2 (ja) 個室
JP3234989U (ja) 床下収納型建築構造物
JP6723699B2 (ja) 二世帯住宅
JP2023103521A (ja) 階段下ワークスペース
JPH02282545A (ja) 室内空間二重利用システム
JP2017150229A (ja) 建物
JP2006283466A (ja) 部屋構造
JP2024024641A (ja) 床下収納型建築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