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222B1 - Ventilator - Google Patents

Venti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222B1
KR102266222B1 KR1020190134843A KR20190134843A KR102266222B1 KR 102266222 B1 KR102266222 B1 KR 102266222B1 KR 1020190134843 A KR1020190134843 A KR 1020190134843A KR 20190134843 A KR20190134843 A KR 20190134843A KR 102266222 B1 KR102266222 B1 KR 10226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flow fan
intake
flow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6222B9 (en
KR20210050347A (en
Inventor
이우헌
Original Assignee
클레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레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레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222B1/en
Publication of KR2021005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22B1/en
Publication of KR10226622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222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 상기 제1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1 횡류팬;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며, 상기 제2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횡류팬; 및 상기 제1 횡류팬으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용 유로와, 상기 제2 횡류팬으로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용 유로를 구비하는 흡배기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류팬, 상기 흡배기 유로부 및 상기 제2 횡류팬은 일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first outle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outlet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cross-flow fan disposed to face the first outlet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a second cross-flow fan for suck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facing the second outlet; and an intake/exhaust flow passage including an exhaust passage for introducing indoor air to the first cross-flow fan and an intake and exhaust passage for introducing outdoor air to the second cross-flow fan, wherei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intake/exhaust passage include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intake/exhaust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OR}ventilator {VENTILATOR}

본 발명은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교환될 수 있게 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that enables exchange of indoor air and outdoor air.

환기장치는 건물 공조 시스템의 일부로 사용되는 것으로, 환기를 위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실내의 대기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가리킨다.A ventilation device is used as a part of a building air conditioning system, and refers to a device configured to discharge indoor air to the outdoors for ventilation and to suck outdoor air into the room to maintain a pleasant indoor air environment.

이러한 환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6306호(2007.07.2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급기유닛과 배기유닛이 서로 교차하며, 열교환소자에 의해 실내공기와 실외공기가 서로 열교환되고, 풍량조절부재에 의해 바람이 고르게 분배된다. 위 특허문헌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풍량 편중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구성을 비롯한 종래 기술의 환기 장치는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해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설치가 어려우며 범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ventilation device,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7-0076306 (July 24, 2007),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cross each other, and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exchange heat with each other by the heat exchange element. and the wind is evenly distributed by the air volume control member.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document, it is mentioned tha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air volume bias by the above configuration. However,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ior art, including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has a large volume, and thus installation is difficult if a sufficient space is not secu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lacks versatility.

환기장치의 다른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1145호(2005.11.2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창틀의 상측에 배기용 횡류팬이 설치되고, 창틀의 하측에 흡기용 횡류팬이 설치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환기장치라는 점에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6306호에 비해 장점이 있지만, 복수의 바디로 구성되어 제조비 및 설치비가 증가하고, 창호 시공 후에 별도로 창호에 결합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ventilation device, i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111145 (November 24, 2005), a cross-flow fan for exhaus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ow frame, and a cross-flow fan for intake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ow frame. ha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there is an advantage over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6306 in that it is a ventilation device that occupies a small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attach to the window.

본 발명은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환기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new type of ventila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large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은 창틀이나, 벽, 천장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한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that is universally applicable to a window frame, wall, ceiling, or the like.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 열교환이 가능하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쉬운 환기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that allows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and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환기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 상기 제1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1 횡류팬;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며, 상기 제2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횡류팬; 및 상기 제1 횡류팬으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용 유로와, 상기 제2 횡류팬으로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용 유로를 구비하는 흡배기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류팬, 상기 흡배기 유로부 및 상기 제2 횡류팬은 일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The ventil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first outle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outlet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cross-flow fan disposed to face the first outlet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a second cross-flow fan for suck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facing the second outlet; and an intake/exhaust flow passage including an exhaust passage for introducing indoor air to the first cross-flow fan and an intake and exhaust passage for introducing outdoor air to the second cross-flow fan, wherei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intake/exhaust passage include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intake/exhaust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one direction.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상기 배기용 유로와 상기 흡기용 유로를 서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향해 경사져 있다.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part include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exhaust flow passage and the intake flow passage from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wall includes the first It is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and the said 2nd discharge port.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상기 흡배기 유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실내에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실내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to receiv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and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the room or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into the room. is formed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상기 흡배기 유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실내에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실내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housing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to receiv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and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in the room or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into the room. is formed

상기 흡기용 유로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는 상기 흡기용 유로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A filter for purifying air is installed in the intake passage, and the filter is formed to be withdrawn from the intake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intake and exhaust passage is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has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상기 제1 횡류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제2 횡류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은,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실외에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한다.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ross-flow fan extends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cross-flow fan extends intersects a direction from indoors to outdoors or a direction from outdoors to indoors.

상기 제1 토출구에는 상기 배기용 유로를 통해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가 설치된다.A mesh for preventing pests from entering through the exhaust passage is installed in the first outlet.

상기 제2 토출구에는 상기 흡기용 유로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바람의 풍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바람 날개가 설치되고,A plurality of wind blades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intake flow path into the room are installed in the second outlet,

상기 다수의 바람 날개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wind blades ar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또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격벽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는 흡기용 유로와 배기용 유로; 상기 흡기용 유로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배기용 유로와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1 횡류팬; 및 상기 흡기용 유로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제2 횡류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은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ake flow path and an exhaust flow path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a filter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to purify air; a first cross-flow fan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and a second cross-flow fan connected to the intake flow path to intake outdoor air into the room, wherei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 comprises the one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n the direction.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횡류팬에 가까워질수록 실외를 향하고 상기 제2 횡류팬에 가까워질수록 실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artition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doors as it approaches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oward the interior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ross-flow fan.

상기 흡기용 유로에는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A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lter is formed in the intake passage.

상기 배기용 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흡기용 유로의 유입구는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서로 반대쪽을 향해 개구된다.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intake passage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s or from the outdoors to the indoor, and open toward opposite sides.

상기 흡기용 유로의 유입구와 상기 배기용 유로의 유입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inlet of the intake passage and the inlet of the exhaust passage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n the one direction.

상기 격벽에 열교환장치가 설치되거나,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소재로 형성된다.A heat exchange device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상기 격벽은 상기 배기용 유로와 상기 흡기용 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격벽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e barrier rib ha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assage and the intake passage, and the protrusion extends along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barrier rib.

상기 제2 횡류팬은 상기 제1 횡류팬보다 큰 풍량의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ross-flow fan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with a larger air volume than the first cross-flow fan.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횡류팬과 제2 횡류팬의 사이에 흡배기 유로부가 배치되는 컴팩트한 구조에 의해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기장치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제공하면서도 소형화 가능하여 설치 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컴팩트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 열교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not required due to the compact structure in which the intake and exhaust flow passag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it while providing all th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ventilation system, so that it can be applied universally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In addition, although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structur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heat exchange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흡배기 유로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고, 필터가 흡배기 유로부로부터 인출 가능하므로 환기장치의 유지 및 보수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는 하우징 단위로 모듈화가 가능하여, 범용성이 확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is withdrawable from the housing and the filter is withdrawable from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it is very advantageo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ventilation device. 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ularized in units of housing, so that versatility can be expanded.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에 메쉬가 설치되어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에 바람 날개가 설치되어 환기장치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h is installed at the outlet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prevent the inflow of pests. In addition, wind blades are installed at the outle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so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ventilation device to the room can be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횡류팬과 제2 횡류팬의 용량을 다르게 설정하여 환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system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capacities of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differently.

본 발명에 의하면 배기용 유로와 흡기용 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에 돌출부 등 열교환 면적을 확장시키는 구조가 적용되어 열교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expanding a heat exchange area such as a protrusion is applied to a partition wall dividing an exhaust flow passage and an intake air passage,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환기장치의 설치 예를 보인 사시도다.
도 2는 환기장치를 실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환기장치를 실외에서 바라본 사시도다.
도 4는 도 3에서 C-C'에 해당하는 환기장치의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환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ventil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viewed from the insid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viewed from the out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corresponding to C-C'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환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venti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to be understood as not precluding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환기장치(100)의 설치 예를 보인 사시도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는 하우징(110, 도 2 - 도 4 참조) 내에 구성요소가 모두 구비되어, 하우징(110, 도 2 - 도 4 참조)의 단위로 모듈화가 가능하다. 하우징(110, 도 2 - 도 4 참조) 단위로 모듈화가 가능함에 따라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는 건물(10)의 창틀(11), 벽(12), 그 밖에 천장 등에 범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흔히 비올라창이라고 명명된 미세먼지 차단막(11a)을 가진 기능성 창에도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가 적용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ll components in the housing 110 (see FIGS. 2 - 4), so that it can be modularized in units of the housing (110, see FIGS. 2 - 4). As the housing 110 (see FIGS. 2 - 4) can be modularized as a unit,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iversally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11, wall 12, and other ceilings of the building 10. can be Also,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functional window having a fine dust blocking film 11a, which is often called a viola window.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환기장치(100)의 세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structure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도 2는 환기장치(100)를 실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viewed from the inside.

도 3은 환기장치(100)를 실외에서 바라본 사시도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viewed from the outside.

도 4는 도 3에서 C-C'에 해당하는 환기장치(100)의 단면도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corresponding to C-C' in FIG.

환기장치(100)는 하우징(110), 횡류팬(121, 122), 흡배기 유로부(130), 필터(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The ventilation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 cross-flow fans 121 and 122 , an intake/exhaust flow path unit 130 , and a filter 140 .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하우징(110)은 환기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육면체 혹은 육면체에 준하는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횡류팬(121, 122), 흡배기 유로부(130) 등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e housing 110 forms the exterior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 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 shape of a hexahedron or a polygonal prism corresponding to a hexahedron. A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110 to accommodate the cross flow fans 121 and 122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like.

하우징(110)은 일 방향을 따라 세 개의 영역(구역,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이란 후술하게 될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이 차례대로 배치되는 방향과 일치한다. 예컨대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은 상하 방향에 해당한다. 여기서의 일 방향과 다른 일 방향을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일 방향을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이라고 이름한다.The housing 110 may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zones, parts) along one direction. Here, the one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ross-flow fan 121,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equentially arranged. For example,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on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in order to distinguish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on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상기 세 개의 영역(Ⅰ, Ⅱ, Ⅲ)은 각각 제1 횡류팬 영역(Ⅰ), 흡배기 유로부 영역(Ⅱ) 제2 횡류팬 영역(Ⅲ)으로 이름할 수 있다. 각 영역에 어떠한 대상이 수용되는지는 각 영역의 이름에서 알 수 있다.The three regions I, II, and III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ross-flow fan region (I), an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gion (II), and a second cross-flow fan region (III), respectively. What objects are accommodated in each area can be known from the name of each area.

먼저 제1 횡류팬 영역(Ⅰ)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 한쪽 끝에 위치한다. 상기 제1 횡류팬 영역(Ⅰ)의 내부에는 제1 횡류팬 수용부(1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횡류팬 수용부(111a)에는 제1 횡류팬(121)이 설치된다.First, the first cross-flow fan region (I) is located at one en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 first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art 111a is formed in the first cross-flow fan region I, and a first cross-flow fan 121 is installed in the first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art 111a.

제2 횡류팬 영역(Ⅱ)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 제1 횡류팬 영역(Ⅰ)의 반대쪽 끝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횡류팬 영역(Ⅱ)의 내부에는 제2횡류팬 수용부(111b)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횡류팬 수용부(111b)에는 제2 횡류팬(122)이 설치된다.The second cross-flow fan region (II) is locat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cross-flow fan region (I)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 second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art 111b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ross-flow fan region II, and a second cross-flow fan 122 is installed in the second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art 111b.

흡배기 유로부 영역(Ⅲ)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 제1 횡류팬 영역(Ⅰ)과 제2 횡류팬 영역(Ⅱ)의 사이에 위치한다. 흡배기 유로부 영역(Ⅲ)에는 후술하게 될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가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에는 흡배기 유로부(1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gion III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region I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region II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ceiving part 111c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gion III, and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ceiving portion 111c.

하우징(110)에는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가 형성된다.A first outlet 113a and a second outlet 113b are formed in the housing 110 .

제1 토출구(113a)는 하우징(110)의 일 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일 면이란 실외를 향하는 방향의 면을 가리킨다. 제1 토출구(113a)는 실내 공기가 환기장치(100)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구멍에 해당한다.The first outlet 113a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 Here,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refers to a surface facing the outdoors. The first outlet 113a corresponds to a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exhaust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

제2 토출구(113b)는 하우징(110)의 타 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타 면이란 실내를 향하는 방향의 면을 가리킨다. 제2 토출구(113b)는 실외 공기가 환기장치(100)를 통해 실내로 흡기되는 구멍에 해당한다.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Here,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refers to a surfa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oom. The second outlet 113b corresponds to a hole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room through the ventilation device 100 .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 면과 타 면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개구된다.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face opposite directions in a direction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s or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Accordingly, the first outlet 113a and the second outlet 113b are opened toward opposite sides in the direction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s or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배열 방향이란 도 2와 도 3에서 상하 방향에 해당하므로,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의 이격 방향은 상하 방향이라는 절대 방향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하우징(110)의 세 영역(Ⅰ, Ⅱ, Ⅲ)이 차례대로 배치되는 방향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따라서 하우징(110)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옆으로 뉘여져 있다면,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는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The first outlet 113a and the second outlet 113b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Since the arrangement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S. 2 and 3 ,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discharge port 113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separation direction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ort 113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is not determined in an absolute direction of the up-down direction, bu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ee regions I, II, and III of the housing 110 are sequentially arranged.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refore, if the housing 110 is laid a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first outlet 113a and the second outlet 113b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하우징(110)에는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가 형성된다.A first inlet 112a and a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in the housing 110 .

제1 유입구(112a)는 제1 토출구(113a)에 대응되는 구멍으로 하우징(110)의 타면에 배치된다. 하우징(110)의 타 면이란 제2 토출구(113b)가 형성되는 면이다. 제1 유입구(112a)는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기 위해 환기장치(100)로 유입되는 구멍에 해당한다. 실내 공기는 제1 유입구(112a)를 통해 흡배기 유로부(130)로 유입되므로, 흡배기 유로부(130)에도 제1 유입구(112a)를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The first inlet 112a i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let 113a and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is formed. The first inlet 112a corresponds to a hol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ntilator 100 to be exhausted to the outdoors. Since indoor air flows into the intake/exhaust passage unit 130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a hole facing the first inlet 112a should also be formed in the intake/exhaust passage unit 130 .

제2 유입구(112b)는 제2 토출구(113b)에 대응되는 구멍으로 하우징(110)의 일 면에 배치된다. 하우징(110)의 일 면이란 제1 토출구(113a)가 형성되는 면이다. 제2 유입구(112b)는 실외 공기가 실내로 흡기되기 위해 환기장치(100)로 유입되는 구멍에 해당한다. 실외 공기는 제2 유입구(112b)를 통해 흡배기 유로부(130)로 유입되므로, 흡배기 유로부(130)에도 제2 유입구(112b)를 마주보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The second inlet 112b is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utlet 113b and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 One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a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charge port 113a is formed. The second inlet 112b corresponds to a hole through whic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ntilator 100 to be sucked into the room. Sinc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ake/exhaust flow path unit 130 through the second inlet 112b, a hole facing the second inlet 112b should also be form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th unit 130 .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는 서로 반대쪽을 향해 개구된다. 또한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서 상기 제1 유입구(112a)와 상기 제2 유입구(112b)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서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과 달리,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지 않다.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opened toward opposite sides in the direction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or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In addition,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in a direction from indoors to outdoors or from outdoors to indoors. Therefore, unlik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the first outlet 113a and the second outlet 11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no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는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서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흡기되는 실외 공기는 모두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서 환기장치(100)로 유입된다.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It is located between the cross flow fans 122 . Accordingly, both the indoor air exhaust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and the outdoor air intake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are introduced into the ventilator 100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에는 구조적 건전성 유지를 위한 프레임(115, 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는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를 가로지르는 십자 형상의 프레임(115, 135)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15, 135)은 하우징(110) 및/또는 흡배기 유로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5, 135)의 수와 크기는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를 통한 유동에 크게 저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rames 115 and 135 for maintaining structural integrity may be formed at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2 and 3 show that the cross-shaped frames 115 and 135 crossing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are formed. The frames 115 and 135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110 and/or the intake/exhaust passage unit 130 . The number and size of the frames 115 and 135 are preferably form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significantly resist the flow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second inlet 112b.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횡류팬(121)은 제1 토출구(113a)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횡류팬(122)은 제2 토출구(113b)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cross-flow fan 121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outlet 113a. Referring to FIG. 2 ,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outlet 113b.

횡류팬(cross-flow fan, tangential fan)이란 축류팬과 구분되는 개념이다. 축류팬은 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인 축방향을 따라 바람을 일으키는 반면, 횡류팬은 축방향에서 흡입류가 없다. 횡류팬은 회전 방향으로 만곡한 다수의 날개로 된 날개차를 가지며, 날개차의 축에 수직인 평면 안에서 바람을 일으킨다. 횡류팬을 원기둥 형상으로 단순화한다면 축방향은 원기둥의 높이 방향에 해당하고, 바람은 회전축의 방사 방향으로 일어난다.A cross-flow fan (tangential fan) is a concept distinct from an axial fan. An axial fan generates wind along the axi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al shaft of the fan extends, whereas a cross-flow fan has no suction flow in the axial direction. A cross-flow fan has an impeller with a number of blades curv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generates win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impeller. If the cross-flow fan is simplified to a cylindrical shape, the axial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ylinder, and the wind occur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제1 횡류팬(121)은 하우징(110)의 제1 횡류팬 수용부(111a)에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횡류팬(121)은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그리고 제2 횡류팬(122)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된다.The first cross-flow fan 121 is installed in the first cross-flow fan receiving portion 111a of the housing 110 .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first cross-flow fan 121 is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mong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1 횡류팬(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뉘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횡류팬(121)은 그 회전축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도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횡류팬(121)은 그 회전축이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cross-flow fan 121 may be arranged to lie sideways as shown in FIG. 3 . Specifically, the first cross-flow fan 121 is installed so that its rotational axis intersects in a direction from indoors to outdoors or from outdoors to indoors. In additio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may be installed so that its rotation axis cross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1 횡류팬(121)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횡류팬(121)은 제1 유입구(112a)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 공기를 제1 토출구(113a)를 통해 실외로 배기한다.The first cross-flow fan 121 rotates in a direction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The first cross-flow fan 121 sucks in indoor air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and exhausts the sucked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utlet 113a.

제2 횡류팬(122)은 하우징(110)의 제2횡류팬 수용부(111b)에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2 횡류팬(122)은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그리고 제2 횡류팬(122)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된다.The second cross-flow fan 122 is installed in the second cross-flow fan receiving portion 111b of the housing 110 .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is disposed at the lowermost side among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2 횡류팬(122)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뉘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횡류팬(121)과 마찬가지로 제2 횡류팬(122)도 그 회전축이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혹은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도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횡류팬(122)은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cross-flow fan 122 may also be arranged to lie sideways as shown in FIG. 2 . Like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is also installed so that its rotational axis intersects in a direction from indoors to outdoors or from outdoors to indoors. In addition,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may be installed to cros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2 횡류팬(122)은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횡류팬(122)은 제2 유입구(112b)를 통해 실외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외 공기를 제2 토출구(113b)를 통해 실내로 토출한다.The second cross-flow fan 122 rotates in a direction to suck outdoor air into the room.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sucks in outdoor air through the second inlet 112b and discharges the sucked outdoor air in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outlet 113b.

한편, 흡배기 유로부(130)는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횡류팬(121), 상기 흡배기 유로부(130) 및 상기 제2 횡류팬(122)은 일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흡배기 유로부(130)는 제1 횡류팬(121)으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용 유로(132a)와, 제2 횡류팬(122)으로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용 유로(132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흡배기 유로부(130) 내에 배기용 유로(132a)와 흡기용 유로(132b)가 모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Meanwhil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uni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Accordingly,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are sequentially disposed along one direction. The intake/exhaust passage unit 130 includes an exhaust passage 132a for introducing indoor air to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an intake passage 132b for introducing outdoor air to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As a configu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exhaust flow path 132a and the intake air flow path 132b are provided in on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

상기 배기용 유로(132a)와 흡기용 유로(132b)는 하우징(110)과 흡배기 유로부(130)에 의해 형성된다. 흡배기 유로부(130)는 격벽(131)을 구비하고, 격벽(131)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을 구획한다. 두 개의 공간 중 하나가 배기용 유로(132a)에 해당하고, 나머지 하나가 흡기용 유로(132b)에 해당한다.The exhaust flow path 132a and the intake air flow path 132b are formed by the housing 110 and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includes a partition wall 131 , and the partition wall 131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into two spaces. One of the two spaces corresponds to the exhaust passage 132a, and the other one corresponds to the intake passage 132b.

격벽(131)은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컨대 격벽(131)은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를 향해 경사져 있다. 또한 격벽(131)은 제1 횡류팬(121)에 가까워질수록 실외를 향하고 제2 횡류팬(122)에 가까워질수록 실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The partition wall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For example, the partition wall 131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discharge port 113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131 is inclined toward the outdoors as it approaches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oward the interior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서 제1 유입구(112a)와 제1 토출구(113a)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제2 유입구(112b)와 제2 토출구(113b)도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유입구(112a)로 유입된 실내 공기와 제2 유입구(112b)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각각 제1 토출구(113a)와 제2 토출구(113b)를 통해 토출되기 위해서는 유동의 방향이 변화되어야 한다. 이때 격벽(131)의 경사는 유동의 자연스러운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The first inlet 112a and the first outlet 113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and the second inlet 112b )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fore, in order for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112a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112b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3a and the second outlet 113b, respectively, the flow direction must be changed. do.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of the partition wall 131 induces a natural change in flow.

격벽(131)은 배기용 유로(132a)와 흡기용 유로(132b)를 구획하므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격벽(13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격벽(131)에 열교환장치(미도시)가 설치되거나, 격벽(131)의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소재(131a)로 형성되면 배기용 유로(132a)와 흡기용 유로(132b)를 흐르는 유체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열교환장치의 예로는 열전소자와 히트싱크 등이 있을 수 있다.Since the partition wall 131 divides the exhaust flow path 132a and the intake air flow path 132b, indoor air and outdoor air flow in opposite directions with the partition wall 131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fore, when a heat exchange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31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31 is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131a, between the exhaust flow passage 132a and the intake flow passage 132b. Heat exchange may take place. Examples of the heat exchange device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sink.

횡류팬은 그 구조적 특성 상 축류팬에 비해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경사진 격벽(131)을 구비하는 흡배기 유로부(130)가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에서 발생하는 유동을 제외한 나머지 유동이 모두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 사이에 있는 흡배기 유로부(130)에서 형성된다.A cross flow fan does not occupy a large volume compared to an axial fan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s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130 having the inclined partition wall 13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ll flows other than the flow generated at 122 are form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따라서, 경사진 격벽(131)을 구비하는 흡배기 유로부(130)가 뉘여지게 배치되는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는 보다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컴팩트한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환기장치(100)는 창틀, 벽, 천장 등 위치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설치 가능하다.Accordingly, as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130 having the inclined partition wall 13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which are arranged to be laid down,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can be configured more compactly. In addition, based on the compact configuration, the venti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window frame, wall, ceiling, etc.

흡배기 유로부(130)는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의 사이에서 하우징(110)의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에 설치된다. 흡배기 유로부(130)는 실내에서 위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에 삽입되거나,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로부터 실내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130 is install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ceiving portion 111c of the housing 110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13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ceiving portion 111c in the room or to be drawn out from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receiving portion 111c into the room.

흡배기 유로부(13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은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로부터 흡배기 유로부(130)가 실내를 향해 인출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is inserted or withdrawn is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 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part 130 , and the second cross flow fan 122 . Referring to FIG. 3 ,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ake/exhaust passage portion 130 is drawn out from the intake and exhaust passage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1c is illustrated.

흡배기 유로부(130)의 삽입 또는 인출이 필요한 이유는 환기장치(100)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서다. 특히 흡배기 유로부(130)의 흡기용 유로(132b)에는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40)가 설치되는데, 필터(140)의 성능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감소되므로 정기적인 청소나 교체가 필요하다.The reason that insertion or withdrawal of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is necessary i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ventilation device 100 . In particular, a filter 140 for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outdoors is installed in the intake flow path 132b of the intake/exhaust flow path unit 130,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140 decreases over time, so regular cleaning i need a replacement

이를 위해 흡배기 유로부(130)가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필터(140)가 흡배기 유로부(130)의 흡기용 유로(132b)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흡배기 유로부(130)로부터 인출된 필터(140)가 도시되어 있다.To this end, the filter 140 is formed to be withdrawn from the intake flow path 132b of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whil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is drawn out from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receiving part 111c. Referring to FIG. 2 , the filter 140 drawn out from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is illustrated.

흡배기 유로부(130)에는 필터 수용부(133a, 133b)가 형성된다. 필터 수용부(133a)는 제2 유입구(112b)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흡기용 유로(132b)에는 필터(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걸림턱은 제2 유입구(112b)의 테두리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필터 수용부(133a, 133b)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Filter accommodating parts 133a and 133b are formed in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130 .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133a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inlet 112b. At least one stopp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lter 140 is formed in the intake passage 132b.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edge of the second inlet 112b,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receiving portions 133a and 133b.

이에 따라 제2 유입구(112b)의 테두리와 걸림턱의 사이에 필터 수용부(133a)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수용부(133a)에 삽입되는 필터(140)는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3a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second inlet 112b and the engaging protrusion, and the filter 140 inserted into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3a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필터 수용부(133b)와 걸림턱(134a, 134b)은 배기용 유로(132a)에도 형성될 수 있다. 흡배기 유로부(130)는 격벽(13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흡배기 유로부(130)를 뒤집어 하우징(110)에 삽입할 경우 배기용 유로(132a)와 흡기용 유로(132b)의 용도는 서로 전환된다. 따라서 필터 수용부(133b)와 걸림턱(134a, 134b)이 배기용 유로(132a)에 형성되면, 용도 전환에 따라 필터(140)가 실외 공기를 여과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filter receiving portion 133b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134a and 134b may also be formed in the exhaust passage 132a. Since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131, whe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is inverted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the exhaust passage 132a and the intake passage ( The uses of 132b) are interchanged. Accordingly, whe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3b and the engaging protrusions 134a and 134b are formed in the exhaust flow path 132a, the filter 140 may be used for filtering outdoor air according to a change in use.

한편, 하우징(110)에는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와 제2횡류팬 수용부(111b)의 경계에 지지부(114a, 114b)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4a, 114b)는 실외 공기가 제2 횡류팬(122)으로 흡배기 유로부 수용부(111c)에서 제2횡류팬 수용부(111b)로 유입되는 구멍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지지부(114a, 114b)는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흡배기 유로부(130)의 하면을 중력 방향에서 지지한다.Meanwhile, in the housing 110 , support parts 114a and 114b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art accommodating part 111c and the second cross flow fan accommodating part 111b. The support portions 114a and 114b are formed along the rim of a hole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from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111c to the second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ortion 111b through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The support parts 114a and 114b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3을 참조하면, 제1 토출구(113a)에는 배기용 유로(132a)를 통해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151)가 설치될 수 있다. 메쉬(151)는 제1 토출구(113a)를 덮도록 형성되며, 해충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들이 메쉬(151)에 형성되어 해충은 차단하되 공기의 유동은 허용한다.Referring to FIG. 3 , a mesh 151 for preventing pests from entering through the exhaust passage 132a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outlet 113a. The mesh 151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outlet 113a, and hol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pests are formed in the mesh 151 to block the pests but allow the flow of air.

제1 토출구(113a)로 실내 공기가 배기되는 경우 배기되는 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해충의 유입은 자연스럽게 차단될 수 있으나, 환기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토출구(113a)로 해충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메쉬(151)가 설치되면 환기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충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반면, 제2 유입구(112b)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140)가 설치되므로 별도의 메쉬(151)가 불필요하다.When indoor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3a, the inflow of pests may be naturally blocked due to the flow of the exhausted air, but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does not operate, pests enter the first outlet 113a. can be imported. Therefore, when the mesh 151 is installed, even when the ventilation device 100 does not operate, the inflow of pests can be preven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lter 140 for filtering fine dust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let 112b, a separate mesh 151 is unnecessary.

한편, 제2 토출구(113b)에는 흡기용 유로(132b)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바람의 풍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바람 날개(152)가 설치된다. 다수의 바람 날개(152)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바람 날개(152)의 축은 제1 횡류팬(121)과 제2 횡류팬(1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횡류팬(121), 흡배기 유로부(130), 제2 횡류팬(122)의 배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바람 날개(152)가 배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wind blades 152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wind discharged into the room from the intake passage 132b is installed in the second discharge port 113b. A plurality of wind blades 152 ar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The axis of the wind vane 152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rst cross-flow fan 121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In addition, a plurality of wind blades 152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121 ,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130 ,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122 .

바람 날개(152)가 없다면 제2 토출구(113b)로 토출된 실외 공기가 다시 제1 유입구(112a)를 통해 즉시 배기될 가능성이 있으나, 바람 날개(152)가 풍향을 제1 유입구(112a)로부터 먼 쪽으로 유도하게 되면, 이와 같은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If the wind blade 152 is not pres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utdoor air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13b is immediately exhausted through the first inlet 112a again, but the wind vane 152 changes the wind direction from the first inlet 112a. By guiding it further away, this possibility is lower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환기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device 2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흡기용 유로(232b)를 따라 흡기되는 실외 공기와 배기용 유로(232a)를 따라 배기되는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격벽(231)에 열교환장치(미도시)가 설치되거나, 격벽(231)의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성 소재(231a)로 형성될 수 있다.A heat exchange devic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231 or the partition wall 231 to promote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that is taken in along the intake flow passage 232b and the indoor air that is exhausted along the exhaust flow passage 232a. At least a part of it may be form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231a.

한편, 격벽(231)은 배기용 유로(232a)와 흡기용 유로(232b)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32) 또는 상기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구비한다. 도 5에는 돌출부(23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다수의 돌출부(232)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면, 돌출부(232)들 사이마다 자연스럽게 함몰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돌출부(232)와 함몰부는 서로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Meanwhile, the partition wall 231 includes a protrusion 232 protruding toward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assage 232a and the intake passage 232b or a depres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sion direction. 5 shows that the protrusion 232 is formed. However, 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2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s 232 and the depressions may have a similar configuration to each other in that depressions are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232 .

돌출부는 격벽(231)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돌출부(23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돌출부(232)는 제1 횡류팬(221) 또는 제2 횡류팬(222)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extends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231 . A plurality of protrusions 232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32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rst cross-flow fan 221 or the second cross-flow fan 222 . have.

이와 같은 돌출부(232)의 구조는 격벽(231)을 통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2)가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므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structure of the protrusion 232 may improve the heat exchange area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rough the partition wall 231 .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232 extends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the flow of air is not obstructed.

한편, 제2 횡류팬(222)은 제1 횡류팬(221)보다 큰 풍량의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기장치(200)의 효율과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기 위해서는 흡기량이 배기량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제2 횡류팬(222)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유동의 풍량이 제1 횡류팬(221)에 의해 생성되는 그것보다 크다면 환기장치(200)의 효율과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 간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ross-flow fan 222 may be formed to generate an air flow of a larger air volume than the first cross-flow fan 221 .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device 200, the intake air amount must be greater than the exhaust amount. Therefore, if the amount of air flow generated by the second cross-flow fan 222 is greater than that generated by the first cross-flow fan 221 , the efficiency of the ventilation device 200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indoor air and outdoor air are improved. can be

횡류팬에 의해 생성되는 풍량은 횡류팬의 크기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제1 횡류팬(221)이 제2 횡류팬(222)에 비해 작아지면 제1 횡류팬(221)에 의해 생성되는 풍량 또한 제2 횡류팬(222)에 의해 생성되는 풍량보다 작아지게 된다.The air volume generated by the cross-flow fan is related to the size of the cross-flow fan. Therefore, when the first cross-flow fan 221 is smaller than the second cross-flow fan 222 , the air volume generated by the first cross-flow fan 221 is also smaller than the air volume generated by the second cross-flow fan 222 .

제1 횡류팬(221)이 작아지면 하우징(210) 내에서 제1 횡류팬 수용부(211a)에 여유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 여유 공간에 두 횡류팬과 바람 날개(252)의 방향 등 환기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260) 등이 설치되어 공간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first cross-flow fan 221 becomes smaller, a free space is generated in the first cross-flow fan accommodating part 211a in the housing 210 . A printed circuit board 2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200, such as the direction of the two cross-flow fans and the wind blades 252, is installed in this free space, so it is also possible to utilize the space.

이상에서 설명된 환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ventilat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토출구;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토출구;
상기 제1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1 횡류팬;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며, 상기 제2 토출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횡류팬; 및
상기 제1 횡류팬으로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배기용 유로와, 상기 제2 횡류팬으로 실외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용 유로를 구비하는 흡배기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류팬, 상기 흡배기 유로부 및 상기 제2 횡류팬은 일 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상기 배기용 유로와 상기 흡기용 유로를 서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흡기되는 실외 공기를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서 유입되게 하도록, 상기 배기용 유로에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흡기용 유로에 연결되는 제2 유입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반대쪽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1 횡류팬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횡류팬의 회전축은 상기 일 방향과, 상기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housing;
a first outle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 second outlet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cross-flow fan disposed to face the first outlet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a second cross-flow fan for suck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nd facing the second outlet; and
and an intake/exhaust passage portion having an exhaust passage for introducing indoor air to the first cross-flow fan and an intake passage for introducing outdoor air to the second cross-flow fan,
The first cross-flow fa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portio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re sequentially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ne direction,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includes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exhaust passage and the intake passage from each other,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 first inlet connected to the exhaust flow path and the intake air so that indoor air exhaust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s and outdoor air taken in from the outdoors into the room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 second in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in a direction from indoor to outdoor or from indoor to outdoor. open toward opposite sides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cross-flow fan are installed to cross the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상기 흡배기 유로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는 실내에서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부로부터 실내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to receive the intake/exhaust flow path portion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exhaust flow passage par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in the room or formed to be withdrawn from the accommodating part into the room.
제3항에 있어서,
실내로 흡기되는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횡류팬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흡기용 유로에는 상기 흡기용 유로의 유입구를 마주하는 위치에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설치되고,
상기 흡배기 유로부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는 상기 흡기용 유로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filter for purifying air is installed in the intake flow path at a position facing the inlet of the intake flow path so as to be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econd cross-flow fan based on the flow of air intake into the room,
In a state in which the intake/exhaust passage portion is drawn out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the filter is formed to be withdrawn from the intake passage along the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류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제2 횡류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은,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실외에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ross-flow fan ext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cross-flow fan is extended intersects a direction from indoors to outdoors or a direction from outside to indoors.
격벽에 의하여 서로 구획되는 흡기용 유로와 배기용 유로;
상기 흡기용 유로에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상기 배기용 유로와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제1 횡류팬; 및
상기 흡기용 유로와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제2 횡류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은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횡류팬에 의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는 상기 제1 횡류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횡류팬에 의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는 상기 제2 횡류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횡류팬에 가까워질수록 실외를 향하고 상기 제2 횡류팬에 가까워질수록 실내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에서 실내로 흡기되는 실외 공기를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서 유입되게 하도록, 상기 배기용 유로에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흡기용 유로에 연결되는 제2 유입구는 상기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횡류팬과 상기 제2 횡류팬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실내에서 실외를 향하는 방향 또는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서 서로 반대쪽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제1 횡류팬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횡류팬의 회전축은 상기 일 방향과, 상기 실외에서 실내를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an intake flow path and an exhaust flow path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a filter disposed in the intake passage to purify air;
a first cross-flow fan connected to the exhaust passage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doors; and
and a second cross-flow fan connected to the intake flow path to intake outdoor air into the room;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direction, and the partition wall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n the one direction,
A first outlet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doors by the first cross-flow fan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cross-flow fan,
A second outlet for discharg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by the second cross-flow fan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cross-flow fan,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one directio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doors as it approaches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oward the interior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ross-flow fan,
A first inlet connected to the exhaust flow path and the intake air so that indoor air exhaust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s and outdoor air taken in from the outdoors into the room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A second in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cross-flow fan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in a direction from indoor to outdoor or from indoor to outdoor. open toward opposite sides at positions overlapping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ventil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shaft of the first cross-flow fan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cross-flow fan are installed to cross the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from the outdoor to the indoor.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용 유로에는 상기 필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ventil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passage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lter.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류팬은 상기 제1 횡류팬보다 큰 풍량의 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1 or 6,
The second cross-flow fan is formed to generate an air flow of a larger air volume than the first cross-flow fan.
KR1020190134843A 2019-10-28 2019-10-28 Ventilator KR102266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43A KR102266222B1 (en) 2019-10-28 2019-10-28 Venti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843A KR102266222B1 (en) 2019-10-28 2019-10-28 Ventilator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47A KR20210050347A (en) 2021-05-07
KR102266222B1 true KR102266222B1 (en) 2021-06-17
KR102266222B9 KR102266222B9 (en) 2022-04-15

Family

ID=759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843A KR102266222B1 (en) 2019-10-28 2019-10-28 Venti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22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48A (en) * 2003-06-12 2005-01-06 Lidartech Co Ltd Window having ventilation equipment
KR101146332B1 (en) 2011-09-30 2012-05-21 전영길 Window having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506A (en) * 2002-03-12 2003-09-19 (주)거산하이테크 Heat exchanging apparatus for a ventilator
KR100577208B1 (en) * 2004-05-24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entilating system
KR100622111B1 (en) * 2004-11-10 2006-09-19 주식회사 경남알미늄 Ventilation device with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 window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3348A (en) * 2003-06-12 2005-01-06 Lidartech Co Ltd Window having ventilation equipment
KR101146332B1 (en) 2011-09-30 2012-05-21 전영길 Window having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222B9 (en) 2022-04-15
KR20210050347A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8178B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0423116B1 (en) Air intake and blowing device
JP6488409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89269B2 (en) Dehumidifier
EP1621824B1 (en) Ventilating system
KR102219254B1 (en) Total Heat Exchanger
KR20150067918A (en) Dehumidifier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KR100474045B1 (en) Air Conditioner
KR102266222B1 (en) Ventilator
JP5079136B2 (en) Simultaneous exhaust / exhaust fan
JP2021008987A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KR20170035824A (en)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KR100382522B1 (en)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KR100325257B1 (en) A blower for suction-exhaust air
KR20230096515A (en) Air Conditioner
KR20240057085A (en) Ventilation apparatus
KR20170095785A (en) By-pass apparatus for ventilation system
KR200375779Y1 (en) Pile Type Ventilation Withdrawal Rate Adjustment Waste Heat Withdrawal Combined Cold and Heat Air Conditioner
KR20040017687A (en) Drain pan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JP2011075116A (en) Outside air treating air conditioner
JP201817938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50082476A (en) Oil separator for air conditioner
KR100633614B1 (en) Heat-exchanger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JPH0420733A (en) Ventilation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