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10B1 -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10B1
KR102265610B1 KR1020140130452A KR20140130452A KR102265610B1 KR 102265610 B1 KR102265610 B1 KR 102265610B1 KR 1020140130452 A KR1020140130452 A KR 1020140130452A KR 20140130452 A KR20140130452 A KR 20140130452A KR 102265610 B1 KR102265610 B1 KR 102265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atio
pixel
array element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38182A (en
Inventor
황예진
최승규
유준석
고호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3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발광 방식으로 구동하면서도 시야각 변화에 따른 레디쉬(reddish) 또는 그린니쉬(greenish) 현상을 억제함으로서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3가지 색을 각각 발광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을 갖는 화소영역이 다수 구비된 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과 중첩하며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상기 어레이 소자 상부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에 순차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 내부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은 서로 이격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과 상기 제 3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은 직교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제 1 및 제 2 발광영역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일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타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by suppressing a reddish or greenish phenomenon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while driving in a top emission mode, and emitting light of three colors, respectively A substrate having a display area having a plurality of pixel areas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light-emitting areas, each pixel area on the substrate overlaps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emitting areas.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on the array element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plurality of pixels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each region, and the long axis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nd the long axis directions of the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display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the region are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re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first rati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2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device.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해상 및 고개구율 구현이 가능한 발광영역의 배열 구조를 가지며, 시야각 변화에 따른 색감 변화가 해소되어 우수한 표시품질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in particula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region capable of realizing high resolution and high aperture ratio, and having excellent display quality by eliminating color change due to change in viewing angle It's about the little ones.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중 하나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one of flat panel displays (FPDs), has high luminance and low operating voltage characteristics.

또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a self-luminous type that emits light by itself, the contrast ratio is larg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ultra-thin display, and it is easy to implement a moving image with a response time of several microseconds (㎲), and the viewing angle is limited. It is stable even at low temperature and is driven by a low voltage of 5 to 15V of DC,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esign a driving circuit.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최근에는 TV, 모니터, 핸드폰 등 다양한 IT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Accordingly,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has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IT devices such as TVs, monitors, and mobile phones.

이하, 유기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of the organic EL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크게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지고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largely composed of an array elemen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어레이 소자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와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는 순차 적층된 형태로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있다.The array element includes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a gate and a data line,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sequentially stacked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element. It consists of a light emitting layer and a 2nd electrod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상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을 향해 출사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근래들어 각 화소영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큰 발광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제 2 전극을 향해 출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displays an image by e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ward the first electrode or the second electrode. In recent years, such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have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relatively large light emitting area within each pixel area and are manufactured in a top light emission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light emitted toward the second electrode.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각 화소영역 내의 발광영역에는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 하부로 전체 또는 일부에 있어 상기 어레이 소자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소정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rray device are disposed in whole or in part und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 the light emitting area within each pixel area, so that a predetermined step portion is formed.

이에 의해 종래의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유기 발광층이 기판면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표시영역을 바라보는 시야각 변화에 따라 특히 표시영역 전체적으로 레디쉬(reddish) 또는 그린니쉬(greenish) 한 컬러를 띄게 되어 표시품질 저하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surface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or both directions. Reddish) or greenish (greenish) color is displayed, the display qua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 발광 방식으로 구동하면서도 시야각 변화에 따른 레디쉬(reddish) 또는 그린니쉬(greenish)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by suppressing a reddish or greenish phenomenon due to a change in viewing angle while driving in a top emission mode. for that purpose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3가지 색을 각각 발광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을 갖는 화소영역이 다수 구비된 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과 중첩하며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상기 어레이 소자 상부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에 순차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 내부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은 서로 이격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과 상기 제 3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은 직교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제 1 발광영역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일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타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제 2 발광영역 중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일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타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areas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mitting three colors is defined. a substrate, an array element formed to overlap each pixel area on the substrate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emitting area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emitting area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array element.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mpris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areas, and The major axis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nd the long axis directions of the third light emitting region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is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overlap with the array element,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excluding the first ratio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and i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is configured so that one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except for the third rati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이때,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은 각각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의 차이의 절대값은 0 내지 0.2인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 1 비율과 제 2 비율 중 제 1 비율이 제 2 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제 3 비율과 제 4 비율 중 제 3 비율이 제 4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have a valu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respectively,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is 0 to 0.2, and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ratio When the first ratio among the two ratios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tio,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ratio among the third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larger than the fourth ratio.

상기 제 1 발광영역에는 적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발광영역에는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red ligh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mission region, 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green light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emission region, and 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blue light may be provided in the third emission region.

또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대응하여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더불어 적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더불어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ligh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is provide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light together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light is provided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and blue light emitting area is provid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green ligh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한편, 상기 화소영역은 3개의 부 화소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어레이 소자는 각 화소영역 내에서 각 부 화소영역 별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이 구비된 모든 제 1 및 제 2 발광영역 중 상기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과 상기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상기 제 1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며, 상기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과 상기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상기 제 2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는 것이 특징이다.Meanwhile, the pixel area is divided into three sub-pixel areas, and the array element is formed for each sub-pixel area within each pixel area, and the first ratio of all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including the display area is The corresponding first emission region and the second emiss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overlap the array elements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region, and the first emiss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and the third ratio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verlaps the array element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region.

이때, 상기 각 화소영역 내에서 각 부 화소영역 별로 구비된 어레이 소자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동일하게 고정되며, 각 화소영역 별로 상기 어레이 소자와 일측 또는 타측이 중첩하도록 구성됨에 의해 상기 1 및 제 2 발광영역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달리하는 것이 특징이다.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array elements provided for each sub-pixel region within each pixel region are fixed equally for each pixel region, and one side or the other side overlaps with the array element for each pixel region.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is different for each pixel area.

상기 화소영역은 3개의 부 화소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어레이 소자는 각 화소영역 내부에서 이격하는 3개의 제 1, 제 2 및 제 3 어레이 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어레이 소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3 어레이 소자는 상기 제 3 부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pixel region is divided into three sub-pixel regions, and the array element includes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array elem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each pixel region, and the first and second array elements are each I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 regions, and the third array elemen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ub-pixel region.

이때, 상기 각 화소영역 별로 각 화소영역에 구비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의 위치가 동일하게 고정되고, 각 화소영역 별로 상기 1 및 제 2 발광영역과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어레이 소자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달리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each pixel region for each pixel region are identically fixed,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regions for each pixel region are identically fix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array element is different for each pixel area.

상기 어레이 소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 상에는,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며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구비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과 이격하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전원배선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어레이 소자를 덮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일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평탄화층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층 상부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일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 내에서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되는 부분을 상방으로 하고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하방으로 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The array element includes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on the substrate, a gate line and a data line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intersecting each other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the data lin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Power wiring is provided. In addition, a planarization layer covering the array element and having a drain contact hole exposing on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provided, and the planarization layer is in contact with on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on the planarization layer. A first electrode is provided, and the planarization layer forms an inclined surface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with a portion overlapping the array element as an upper portion and a por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array element as a lower portion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상부 발광 방식으로 구현됨으로써 3개의 부 화소영역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화소영역 내에 발광영역의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개구율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시야각에 변화에 따른 그린니쉬 또는 레디쉬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표시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top emission method, so that the aperture ratio is maintained through efficient arrangement of the emission region in one pixel region composed of three sub-pixel regions, and the green nish or redish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is maintain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isplay quality by eliminating the phenomenon.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한 화소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를 절단선 Ⅲ-Ⅲ을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를 절단선 Ⅳ-Ⅳ를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4개의 화소영역 내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모든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각 제 1 및 제 2 발광영역과 중첩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평탄화층 및 유기 발광층만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6b 내지 도 12b는 도 6a 내지 도 12b에 각각 도시된 4개의 화소영역 내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모든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각 제 1 및 제 2 발광영역과 중첩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평탄화층 및 유기 발광층만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of a gener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showing only the emission region and the region in which the array element is form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line III-III;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V-IV;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our pixel regions shown in FIG. 2 . All components are omitted, and an array element and a planarization layer overlapp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nd a diagram briefly showing on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6A to 12A are schematic plan views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second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ing shown.
6B to 1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pixel regions shown in FIGS. 6A to 12B respectively, and all components are omitted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nd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ly the overlapped array element,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3 to 20 are schematic plan views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mission region and the array element are formed. A schematic diagram of the ba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간단히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부 화소영역에 대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ne sub-pixel reg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부 화소영역 대한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sub-pixel region of a typic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각 부 화소영역(SP)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 그리고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가 구비되고 있다. As shown, in each sub-pixel region SP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 storage capacitor StgC,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re provided. is becoming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부 화소영역(SP)을 정의하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이격하며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PL)이 형성되어 있다. A gate line GL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 data line DL is formed to define a sub-pixel area SP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ata line DL A power supply line PL for a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is form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부 화소영역(SP) 내부에는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data line DL and the gate line GL intersect,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are electrically formed in each of the sub-pixel regions SP. A connecte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즉,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의 일측 단자인 제 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인 제 2 전극은 전원배선(PL)과 연결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원배선(PL)은 전원전압을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로 전달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That is, the first electrode, which is one termin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second electrode, which is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wiring PL transfers the power supply voltag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가 형성되고 있다. Also, a storage capacitor StgC is form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을 통해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온(on) 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을 통해 데이터 신호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 되므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통해 빛이 출력된다. Accordingl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a gate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gate line GL,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n, and a dat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DL to the driving thin film. The light is output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because it is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DTr)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turned on (on).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온(on) 상태가 되면, 전원배선(PL)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정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오프(off) 상태가 되더라도 다음 프레임(frame)까지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in an on state, the level of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wiring P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determined, and thu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gray scale, and the storage capacitor StgC serves to constantly maintain the gate voltag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wh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ff. By doing so, even i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STr is turned off, the leve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until the next frame.

한편, 도 1에 있어서는 부 화소영역(SP) 내부에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지만, 상부 발광 방식으로 구동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부 화소영역(SP)과 발광영역을 이원화 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는 부 화소영역(SP) 내부에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이웃하는 부 화소영역(미도시)까지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1 shows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provided inside the sub pixel area SP,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en in the top light emitting method is divided into the sub pixel area SP and the light emitting area.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in the sub-pixel region SP, an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to a neighboring sub-pixel region (not show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를 절단선 Ⅲ-Ⅲ을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를 절단선 Ⅳ-Ⅳ를 따라 절단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4개의 화소영역 내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모든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각 제 1 및 제 2 발광영역과 중첩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평탄화층 및 유기 발광층만을 간략히 나타내었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을 경사 방향 화살표로 함께 도시하였다.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ally showing only the emission region and the region in which the array element is form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ut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ut along the cutting line IV-IV of FIG. 2, and FIG. 5 is the 4 shown in FIG. A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each of the pixel regions, all components are omitted and only the array element, the planarization lay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verlapp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re briefly show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shown together with oblique arrows.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각 화소영역(P(P1, P2, P3, P4))은 3개의 부 화소영역(SP1, SP2, SP3)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부 화소영역(SP1, SP2, SP3)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데이터 배선(미도시)에 의해 포획되는 영역이라 정의하고,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에 배치된 화소영역을 세로 화소라인(PL1, PL2)이라 정의하고, 제 1 방향으로 동일한 라인에 배치된 화소영역을 가로 화소라인(SPL1, SPL2)이라 정의한다.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each of the pixel areas P(P1, P2, P3, P4) consists of three sub-pixel areas SP1, SP2, and SP3, and each of the sub-pixel areas SP1, SP2, SP3) is defined as an area captured by a gate line (not shown) and a data line (not shown) crossing each other, and pixel areas arranged on the same line in the second direction are defined as vertical pixel lines PL1 and PL2. and pixel regions arranged on the same line in the first direction are defined as horizontal pixel lines SPL1 and SPL2.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3개의 부 화소영역(SP1, SP2, SP3)이 구비된 각 화소영역(P1, P2, P3, P4) 내에서 적 및 녹색을 발광하는 발광영역과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의 배치가 이원화되고 있는 것이 일 특징이 되고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색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제 1 발광영역(EA1), 녹색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제 2 발광영역(EA2),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영역을 제 3 발광영역(EA3)이라 정의한다.2 and 5, as show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pixel region (SP1, SP2, SP3) provided with three sub-pixel regions (SP1, SP2, SP3). One feature is that in P1, P2, P3, and P4),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ing regions and the blue light emitting regions are arranged dually. 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d emission region is the first emission region EA1, the green emission region is the second emission region EA2, and the blue emission region is the third emission region EA3. ) is defined as

즉, 적색 및 녹색을 발광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은 그 장축이 제 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교대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있으며, 청색을 발광하는 제 3 발광영역(EA3)은 그 장축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교대하며 배치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emitting red and green light are arranged in a form in which their long axes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lternately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EA3 emitting blue light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long axis is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lternately wit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in the first direction. .

이때, 상기 청색을 발광하는 제 3 발광영역(EA3)은 제 3 부 화소영역(SP3) 내부에 위치하는 반면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은 제 1 부 화소영역(SP1)과 제 2 부 화소영역(SP2)의 경계를 포함하여 이들 2개의 부 화소영역(SP1, SP2) 양측에 걸쳐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the third light-emitting area EA3 emitting blue light is located inside the third sub-pixel area SP3, while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EA1 and EA2 are the first sub-pixel area SP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ver both sides of the two sub-pixel areas SP1 and SP2, includi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sub-pixel area SP2 and the second sub-pixel area SP2.

이렇게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제 3 발광영역(EA3)을 이원화하여 배치한 것은 고해상도를 구현하면서 각 발광영역에 구비되는 적, 녹, 청색을 각각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의 효율 및 수명을 고려하는 동시에 이들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금속 마스크의 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함이다.The dual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EA3 as described above realizes high resolu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provided in each light emitting area, respectively. and to consider the resolution of the metal mask used to form thes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while considering the lifetime.

상기 유기 발광층의 증착에 이용되는 메탈 마스크의 경우, 일반적으로 에칭방법에 의해 제작되며 유기 발광 물질을 이용한 증착 공정 진행 시의 쉐도우 효과(shadow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광영역에 대응되는 개구의 측면은 테이퍼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메탈 마스크에 있어 유기 발광층이 증착되는 기판과 마주하는 면의 개구 크기와 증착 방향의 개구 크기가 다르게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metal mask used for the deposi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side of the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an etching method and in order to minimize a shadow effect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u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t is formed to have a tapered shape. Accordingly, in the metal mask, the size of the opening in the surface facing the substrate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eposited is different from the size of the opening in the deposition direction.

이러한 개구 구조를 갖는 메탈 마스크는 고해상도 예를들면 300ppi 이상의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없다. 이는 상기 메탈 마스크의 개구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면적과, 개구간 간 거리가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개구가 너무 좁으면 원하는 형상 구현이 어려우며, 이웃한 개구가 서로 붙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개구간 거리 즉, 립 폭이 너무 좁으면 전체 식각 비율이 커지므로 메탈 마스크 자체의 기계적인 강도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A metal mask having such an aperture structure cannot achieve high resolution, for example, higher than 300 ppi. This is because the minimum area required for forming the opening of the metal mask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s are limited. If the opening is too narrow,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desired shape, and the adjacent openings stick together. If the opening distance, that is, the lip width, is too narrow, the overall etching rate in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metal mask itself. because it does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제 3 발광영역(EA3)의 이원화된 배치 구조가 제안된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ual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EA3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발광영역(EA1, EA2, EA3)의 배치 구조를 이루는 경우 메탈 마스크는 스트라이트 타입이 아닌 슬롯 타입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스트라이프 타입 메탈 마스크 대비 개구 배치 특성에 의해 립 폭 등에 있어 여유가 있으므로 강성 등이 강화됨으로서 최종적으로 300ppi 이상의 고해상도 갖는 유기 발광층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When form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areas EA1, EA2, and EA3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mask may use a slot type rather than a straight type, and it is relatively in the opening arrangem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stripe type metal mask. This is becaus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having a high resolution of 300 ppi or higher can be finally formed by strengthening the rigidity and the like because there is a margin in the lip width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배치를 제 3 발광영역(EA3)과 이원화하여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SP1, SP2)의 경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상부 발광 방식 구조를 이루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is dualized with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EA3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3. The reason why the boundary of the sub-pixel regions SP1 and SP2 can be included is because the top emission type structure is formed.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그 내부에 어레이 소자(A1, A2, A3)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이 필요한데, 하부 발광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된 기판면으로 빛이 방출됨으로서 어레이 소자에 의해 가려진 부분은 빛이 차단되므로 발광 영역에는 어레이 소자가 중첩하여 배치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어레이 소자의 설계에 있어 자유도가 떨어지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지 않도록 발광영역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개구율이 저감되고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s array elements A1, A2, and A3 therein, and requires a region to form it. In the case of a bottom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s light is emitt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array element is formed, light is blocked in a portion covered by the array element, so that the array element cannot be overlapped in the light emitting area. Therefor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bottom light emitting method has a low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the array device, and the light emitting area must be secured so as not to overlap the array device, so the aperture ratio is reduced.

하지만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을 향해 방출되므로 발광영역에 대해 어레이 소자가 중첩 배치되거나 혹은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거나에 관계없기 때문에 어레이 소자의 배치에 자유도를 가지며 이러한 어레이 소자와 별도로 발광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emitted toward the second electrode, the arrangement of the array device is not related to whether the array device is overlapped or not overlapped with respect to the light emitting area. It has a degree of freedom and a light emitting region may be defined separately from such an array el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하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 대비 상대적으로 넓은 발광영역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개구율 향상 측면에 있어서도 우수하다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s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relatively wide light emitting area compared to th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o it is excellent in terms of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something to do.

이러한 상부 발광 방식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는 어레이 소자(A1, A2, A3)와 배치와 상관없이 발광영역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같은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제 3 발광영역(EA3)의 이원화된 배치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op light emitting metho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region can be disposed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of the array devices A1, A2, and A3. The dual arrangement of the sam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 EA3 is possible.

한편, 이러한 각 발광영역의 배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또 다른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 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제 1 화소영역(및 제 3 화소영역) 내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배치와 제 2 화소영역(및 제 4 화소영역) 내에서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배치를 달리하는 것이다. Meanwhile,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of each light emitting region, as another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first pixel regions (and third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in the interior is different from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ssion areas EA1 and EA2 in the second pixel area (and the fourth pixel area).

즉, 상기 각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SP1, SP2)에 구비되는 어레이 소자(A1, A2) 더욱 정확히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과의 중첩 영역의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That is,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 areas SP1 and SP2 are more precisely source or drain electrodes of the driving T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of the overlapping region of the phyllotaxis is different.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해서는 서로 교대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좌측 영역이 어레이 소자(A1, A2)와 중첩하고 우측영역은 중첩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해서는 서로 교대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우측 영역이 어레이 소자(A1,A2)와 중첩하고 좌측영역은 중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For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 the left area of the alternating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verlaps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nd the right area does not overlap, and the even vertical pixel With respect to the line PL2 , the right area of the alternating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verlaps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nd the left area does not overlap with each other.

이렇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같이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어레이 소자(A1,A2)와의 중첩 영역의 위치를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과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별로 다르게 구성한 것은 시야각 변화에 따른 레디쉬 또는 그린니쉬 현상을 해소시키기 위함이다. In this way, lik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s of the overlapping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re aligned with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and The reason why the even-numbered vertical pixel lines PL2 are configured differently is to solve the redish or greenish phenomenon caused by 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일반적인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발광영역이 어레이 소자와 중첩되는 부분과 중첩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레이 소자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은 상기 어레이 소자가 형성됨에 의해 단차가 발생되며 이에 의해 이러한 단차를 평탄화하기 위해 상기 어레이 소자 상부에 평탄화층을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평탄화층의 두께를 한없이 두껍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어레이 소자에 기인하는 단차를 완전히 극복할 수 없다. 이에 의해 발광영역은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된 부분에서 중첩하지 않는 부분으로 평탄화층 표면에 경사가 발생된다.In the case of a general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por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reg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and a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may exist. In this case, a step is generated in the portion overlapping the array element reg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array element,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planarization layer is infinitely thick even if a planarization layer is provided on the array element to flatten the step. Therefore, the step difference due to the array element cannot be completely overcome. As a result,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inclined from the overlapping portion to the non-overlapping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따라서 평탄화층에 발생된 소정의 경사에 의해 발광영역에 구비되는 유기 발광층 또한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며, 더욱이 일반적인 상부 발광 방식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설계 특성 상 모든 각각의 화소영역 내에서의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영역의 배치는 각 화소영역 별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rovided in the light emitting region is also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due to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generat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array element region is the same for each pixel region.

다시 말해, 적색의 발광하는 모든 제 1 발광영역은 제 1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고 녹색을 발광하는 모든 제 2 발광영역은 제 2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에 의해 사용자가 표시영역을 바라보는 시야각 각도 변화에 따라 레디쉬 또는 그린니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all the first light-emitting regions emitting red light overlap the array elements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and all second light-emitting areas emitting green light are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s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Accordingly, a redish or greenish phenomenon occur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viewing angle angle at which the user views the display area.

즉, 표시영역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우측에서 바라보면 레디쉬(reddish) 현상이 좌측에서 바라보면 그린니쉬(greenish)한 현상이 발생되어 표시품질의 저하가 발생되고 있다.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 reddish phenomenon occurs, and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a greenish phenomenon occurs,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display quality.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의 경우,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과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 별로 즉, 서로 좌우로 이웃하는 세로 화소라인(PL1, PL2)별로 제 1 발광영역(EA1) 및 제 2 발광영역(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영역이 달리함으로써 시야각 변화에 따른 레디쉬 또는 그린니쉬 현상이 해소되어 되어 표시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dd vertical pixel line PL1 and even vertical pixel line PL2, that is, vertical pixel lines PL1 adjacent to each other left and right. The overlapping area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re different for each PL2), so that the redish or greenish phenomenon caused by the change in the viewing angle is eliminated and the display quality is improved. effect will be realized.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의 경우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배치된 각 화소영역(P1, P3) 내에서 적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녹색을 발광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의 좌측부분 즉,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위치하는 부분이 어레이 소자(A1)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있는 반면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배치된 각 화소영역(P2, P4) 내에서 적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녹색을 발광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의 우측부분 즉,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위치하는 부분이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도록 형성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mitting device that emits red light in each of the pixel regions P1 and P3 disposed on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is The left sid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which emits green light, that is, the portion locat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is form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A1, while the even vertical In each of the pixel areas P2 and P4 arranged on the pixel line PL2 , the right sid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emitting red ligh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emitting green light, that is, the second sub-pixel A portion positioned in the region SP2 is form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A2 .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의 경우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1 발광영역(EA1)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그 좌측부분이 어레이 소자(A1)와 중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에서는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쳐 적색이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비율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비율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에 대해서는 그 우측부분이 어레이 소자(A2)와 중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에서는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쳐 적색이 방출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par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is the array element. By being configured to overlap with (A1),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se first ratios is inclined from left to right. Accordingly,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red is emit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area.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which is the remaining ratio except for the first ratio, the right side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A2, so that the first light emitting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is formed. The area EA1 is inclined from right to left. Accordingly,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red is emit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area.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의 경우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2 발광영역(EA2) 중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그 좌측부분이 어레이 소자(A1)와 중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에서는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쳐 녹색이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비율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비율인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에 대해서는 그 우측부분이 어레이 소자(A2)와 중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에서는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쳐 녹색이 방출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par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is an array. By being configured to overlap the device A1,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is inclin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Accordingly,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green is emit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area.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which is the remaining ratio except for the third ratio, a right portion thereof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A2, and thus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is configured to overlap with the array element A2. ) is inclined from right to left. Accordingly,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green is emit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area.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비율 및 제 3 비율은 각각 1/2이 되고 상기 제 2 비율 및 제 4 비율 또한 각각 1/2이 되고 있는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상기 제 1 비율과 제 2 비율은 '제 1 비율 + 제 2 비율 =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비율과 제 4 비율 또한 '제 3 비율 + 제 4 비율 = 1' 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are each 1/2, and the second ratio and the fourth ratio are also 1/2 respectively, as an example, but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ratio are ' The first ratio + second ratio = 1'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and the third ratio and the fourth ratio may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ird ratio + fourth ratio = 1'. have.

이때, 시야각 변화에 따른 레디쉬 및 그린니쉬 현상 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 차이의 절대값 즉 '제 1 비율 - 제 3 비율' 혹은 '제 3 비율 - 제 1 비율' 의 절대값이 0.2 이하인 경우에도 비록 미세하게 레디쉬 및 그린니쉬 현상이 발생되지만, 사용자는 시야각 변화에 따라 거의 레디쉬 또는 그린니쉬 현상을 느끼지 못하는 수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은 반드시 동일한 값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그 차이의 절대값이 0 내지 0.2인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비율과 제 2 비율 중 제 1 비율이 제 2 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제 3 비율과 제 4 비율 중 제 3 비율이 제 4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redish and greenish phenomen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have the same value, but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that is, the 'first ratio - the third ratio' Alternatively, even if the absolute value of the 'third ratio - the first ratio' is 0.2 or less, although the redish and greenish phenomena are minutely generated, the user hardly feels the redish or greennish phenomen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iewing angle. Could know. Accordingly,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do not necessarily have the same valu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may be freely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 to 0.2. In this case, when the first ratio among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ratio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tio,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ratio among the third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larger than the fourth ratio.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1 발광영역(EA1) 중 상기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은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쳐 적색을 방출하게 되며,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2 발광영역(EA2) 중 상기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치우쳐 녹색을 방출하게 되며, 또한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1 발광영역(EA1) 중 상기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은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치우쳐 적색을 방출하게 되며,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2 발광영역(EA2) 중 상기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각각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치우쳐 녹색을 방출하게 됨으로써 표시영역의 중앙부의 법선 방향을 기준으로 이의 우측 및 좌측에서 각각 표시영역을 바라보더라도 실질적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치우쳐 방출되는 적색 및 녹색 빛이 동일하거나 또는 0.2 이하의 비율 차이를 가지며 우측 및 좌측으로 치우쳐 방출된다. 더욱이 상기 제 1 비율이 제 2 비율보다 큰 경우 상기 제 3 비율이 제 4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 제 1 비율로 우측으로 치우쳐 발광되는 적색은 제 3 비율로 우측으로 치우쳐 발광되는 녹색에 의해 보상되고, 제 2 비율로 좌측으로 치우쳐 발광되는 적색은 제 4 비율로 좌측으로 치우쳐 발광되는 녹색에 의해 보상됨으로써 레디쉬 및 그린니쉬 현상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is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Red is emitted with a bias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normal direction, and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is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Green is emitted with a bias to the left based on ,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corresponds to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Red is emitted with a bias to the right as a referenc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is based o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area. As a result, green light is emitt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area, so that even when the display area is viewed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display area based o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central part of the display area, the red and green light emitted by the left and right sides is substantially the same or less than or equal to 0.2. It has a ratio difference and is emitted biased to the right and left. Moreover, when the first ratio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tio, the third ratio is larger than the fourth ratio. Accordingly, the red emitted with a right bias at the first ratio is compensated for by the green emitted with a right bias with the third ratio, and the red emitted with a left bias with the second ratio is green emitted with a left bias with the fourth ratio. By being compensated by , the redish and greennish phenomenon can be resolved.

이러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위치는 도 2에 제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제시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overlapp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may be variously modified other than those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

도 6a 내지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도 6b 내지 도 12b는 도 6a 내지 도 12b에 각각 도시된 4개의 화소영역 내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모든 구성요소는 생략하고 각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중첩 형성된 어레이 소자(A1, A2)와 평탄화층(140) 및 유기 발광층(155)만을 간략히 나타내었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155)을 경사 방향을 화살표로 함께 도시하였다. 6A to 12A are schematic plan views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second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B to 12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our pixel areas shown in FIGS. 6A to 12B, and all components are omitted and each Only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the planarization layer 14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overlapped wit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re briefly shown,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is indicated by an arrow pointing in an oblique direction. shown together.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1 발광영역(EA1)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에 배치된 제 2 발광영역(EA2)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6A and 6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and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of SPL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mong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disposed on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the odd number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ixel line PL1 overlaps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 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right and left, and the even vertical pixel line PL2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corresponding to , overlaps with the irradiation of the array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so that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200)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100)와 동일하게 표시영역 전체적으로 보면,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1 발광영역(EA1)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모든 제 2 발광영역(EA2) 중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좌상우하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상기 제 3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우상좌하의 경사면을 가지므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100)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the same a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in FIG. 2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as a whole, the display area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formed in the entirety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are the upper left. A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having a lower right slanted surface and corresponding to a second ratio remaining except for the first ratio and a second light emission area EA2 corresponding to a fourth ratio remaining except for the third ratio are Since it has an inclined surface on the upper right and lower left,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in FIG. 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ealized.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300)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2 발광영역(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에 배치된 제 1 발광영역(EA1)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1 발광영역(EA1)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1 발광영역(EA1)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7A and 7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EA1 and EA2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and the even number The arrangement of the horizontal pixel line SPL2 overlapping the second emission area EA2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emission area EA1 disposed in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overlaps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 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right and left, and the even vertical pixel line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PL2 overlaps with the array irradiation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so that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400)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8A and 8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and the array The overlapping arrangement with the elements A1 and A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corresponds to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amo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rranged on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verlap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 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right and lower left, and correspond to the even vertical pixel line PL2.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verlap with the array irradiation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so that the inclined surfaces on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are formed.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500)의 경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발광영역(EA1)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에 배치된 제 2 발광영역(EA2)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9A and 9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and the odd number The horizontal pixel line SPL1 overlaps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is disposed on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overlaps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 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bottom right and left, and the even vertical pixel line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PL2 overlaps with the array irradiation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area SP1 , so that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발광영역(EA1)과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2 발광영역(EA2)과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에 배치된 제 2 발광영역(EA2)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으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에 배치된 제 1 발광영역(EA1) 중 홀수 세로 화소라인(PL1)에 대응되는 제 1 발광영역(EA1)이 제 2 부 화소영역(SP2)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A2)와 중첩되어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짝수 세로 화소라인(PL2)에 대응되는 제 1 발광영역(EA1)이 제 1 부 화소영역(SP1)에 구비된 어레이 조사와 중첩됨으로서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10A and 10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of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are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and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mong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disposed on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the odd vertical pixel line PL1 ) overlaps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in the lower right-left corner, and a second light-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even-numbered vertical pixel line PL2 is formed. As the light emitting area EA2 overlaps with the array irradiation provided in the first sub pixel area SP1 , inclined surfaces on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are formed, and among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disposed on the even horizontal pixel line SPL2 , odd numbers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ixel line PL1 overlaps the array element A2 provided in the second sub pixel area SP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lower right and left, and the even vertical pixel line PL2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 overlaps with the array irradiation provided in the first sub pixel area SP1 , so that the left, top, right and bottom inclined surfaces are formed.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7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11A and 11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y element A1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is , A2) is the same as the fifth embodiment,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even-numbered horizontal pixel line SPL2 overlap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in the seventh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ample.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홀수 가로 화소라인(SPL1)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며, 짝수 가로 화소라인(SPL2)의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배치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12A and 12B ,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y element A1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1 is , A2)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fth embodiment, and the overlapping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of the even-numbered horizontal pixel line SPL2 wit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ampl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역시 본원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100)와 동일하게 표시영역 전체적으로 보면 표시영역 전체에 형성된 모든 제 1 발광영역(EA1)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모든 제 2 발광영역(EA2) 중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좌상우하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상기 제 3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은 우상좌하의 경사면을 가지므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100)와 동일한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formed in the entire display area in the same way a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in FIG. 2 ).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2 are inclined surfaces of upper left, lower right and lower left.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remaining except for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light emission area EA2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remaining except for the third ratio are inclined surfaces of the lower right and left.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100 in FIG. 2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ealized.

한편, 이러한 본원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각 화소영역(P1, P2, P3, P4) 내에 구비되는 어레이 소자(A1, A2, A3)는 평면도 상으로 각 부 화소영역(SP1, SP2, SP3)별로 형성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서 적색을 발광하는 제 1 발광영역(EA1)과 녹색을 발광하는 제 2 발광영역(EA2)이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SP1, SP2) 중 어느 부분에 위치하는 어레이 소자(A1, A2, A3)와 중첩 형성되느냐에 따라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 자체의 각 화소영역(P1, P2, P3, P4) 내에서의 위치가 변경됨을 보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rray elements A1 , A2 , A3 provided in each pixel region P1 , P2 , P3 , P4 are each part in a plan view. It has a configuration formed for each pixel area SP1, SP2, and SP3, so that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emitting red ligh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emitting green light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b pixel areas SP1. , SP2), each pixel area P1, P2, P3, P4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itself, depending on whether they overlap with the array elements A1, A2, A3 located in which part. It shows that the position within the

하지만, 이러한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경우, 그 각각의 변형예로서 각 화소영역(P1, P2, P3, P4) 내에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형성 위치는 동일하게 배치하고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중첩되는 어레이 소자(A1, A2)의 배치를 달리함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EA1 and EA2 in each pixel region P1 , P2 , P3 , and P4 as respective modifications thereof. ), the same effect may be realized by disposing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overlapping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while being identically disposed.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실시예 각각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서로 상하좌우로 이웃하는 4개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발광영역과 어레이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만을 간략히 도시한 하였다.13 to 20 are schematic plan views of four pixel regions adjacent to each other vertically, horizontally,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modified examples of each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region and the array element are formed. Only the area to be covered is shown briefly.

도시한 바와같이, 각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 201, 301, 401, 501, 601, 701, 801)의 경우, 청색을 발광하는 제 3 발광영역(EA3)과 중첩되는 어레이 소자(A3)는 제 3 부 화소영역(SP3) 내에 위치하는 반면 적색 및 녹색을 발광하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연결되는 어레이 소자(A1, A2)는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SP1, SP2)에 걸쳐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과 어레이 소자(A1, A2)와의 중첩 영역의 위치는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동일한 위치가 되고 있다. As shown, in the cas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101, 201, 301, 401, 501, 601, 701, and 801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s of each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the third light-emitting region ( The array element A3 overlapping EA3 is located in the third sub-pixel area SP3 while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emitting areas EA1 and EA2 emitting red and green light. ) is formed over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 areas SP1 and SP2. 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overlapping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and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ccording to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 1 내지 제 8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 201, 301, 401, 501, 601, 701, 801)는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P1, P2, P3, P4) 내에서 동일하게 고정됨으로서 이러한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 내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기 위한 메탈 마스크는 동일한 개구 위치를 갖게 되므로 일원화될 수 있으므로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2, EA3) 별로 서로 다른 개구 배치 형태를 갖는 메탈 마스크를 각각 구비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것 대비 비용적으로 또한 사후 메탈 마스크 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할 것이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101 , 201 , 301 , 401 , 501 , 601 , 701 , and 801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EA1 and EA2 . Since the positions are fixed equally in each of the pixel areas P1, P2, P3, and P4, the metal mask for form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has the same opening position, so it is unified.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post-metal mask management compared to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having a metal mask having a different opening arrangement shape for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2 and EA3, respectively. something to do.

이후에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내지 제 8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부분에 대한 단면 구조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eigh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ame part is the same as that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 등의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형성된 제 1 기판(110)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미도시)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무기절연막(미도시) 또는 유기절연막(미도시) 등으로 대체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3 and 4, as show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rray element such as a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composed of a first substrate 110 on which the diode E is formed, and a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encapsulation. 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may be omitted by being replaced with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or an 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고분자 재질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02)의 상부에는 버퍼층(103)이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버퍼층(103) 위로 표시영역에는 게이트 절연막(116)과 층간절연막(123)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며 부 화소영역(SP1, SP2, 미도시)을 정의하며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나란하게 전원배선(미도시)이 형성되고 있다. A buffer layer 103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102 made of a plastic or polymer material or glass material having a flexible property, and in the display area over the buffer layer 103, the gate insulating layer 116 and the interlayer A gate line (not shown) and a data line (not shown) are formed,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layer 123 interposed therebetween, defining sub-pixel regions SP1 and SP2 (not shown), and the gate wiring (not shown). Alternatively, a power line (not shown)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ata line (not shown).

또한, 부 화소영역(SP1, SP2, 미도시)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데이터 배선(미도시)과 연결되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일 전전 및 상기 전원배선(미도시)과 연결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sub-pixel regions SP1 and SP2 (not shown),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gate line (not shown) and the data line (not shown) is formed,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is formed. ) and connected to the power wiring (not shown),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순수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영역(113a)과 이의 양측에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3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113)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과, 상기 액티브영역(113a)과 중첩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120)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3b)을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125)을 갖는 상기 층간절연막(123)과,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125)을 통해 각각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113b)과 각각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3, 136)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 113), the gate insulating layer 116, the gate electrode 120 formed to overlap the active region 113a, and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125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13b. It consists of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3 and 136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in contact with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113b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125,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lso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 있어서는 상기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가 각각 상기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1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탑 게이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상기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semiconductor layer 113 of the polysilicon,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Although forming the top gate structure is shown as an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may be variously modified.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는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과,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으로 구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서 서로 이격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의 적층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DTr) includes a gate electrode, a gate insulating film, a semiconductor layer comprising an active layer of pure amorphous silicon and an ohmic contact layer of impurity amorphous silicon, a sour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A stacked structure of the drain electrode may be achieved.

또한,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는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과, 산화물 반도체층, 에치스토퍼와, 상기 에치스토퍼 상에서 서로 이격하며 각각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과 접촉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적층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DTr) has a gate electrode, a gate insulating layer,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an etch stopper, and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tch stopper and in contact with the oxide semiconductor layer,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achieve a laminated configuration of electrodes.

이렇게 비정질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는 게이트 전극이 최하부에 위치하는 보텀 게이트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게이트 배선(미도시)은 게이트 절연막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미도시)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way, a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miconductor layer made of amorphous silicon or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may form a bottom gate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is located at the bottom, in this case, the gate wiring ( (not shown) is positioned below the gate insulating layer, and the data line (not shown) is positioned above the gate insulating layer.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및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DTr, 미도시) 상부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36)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43)을 갖는 보호층(138) 및 평탄화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a protection having a drain contact hole 143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36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and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DTr (not shown) A layer 138 and a planarization layer 140 are formed.

이때, 상기 보호층(138)은 무기절연물질은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평탄화층(140)은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차를 적절히 해소시켜 평탄한 표면을 이루도록 유기절연물질 예를들면 포토아크릴(photo acryl)로 이루어지고 있다. At this time, the protective layer 138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 oxide (SiO 2 ) or silicon nitride (SiNx) as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40 appropriately resolves the step difference located below it to have a flat surface. It is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hoto acryl.

하지만 이렇게 보호층(138) 위로 평탄화층(140)이 구비되고 있다 하더라도 상기 평탄화층(140)의 표면은 완전히 평탄한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실질적으로는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즉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DTr) 등의 어레이 소자(A1, A2, 미도시)에 기인하는 단차부에 의해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planarization layer 140 is provided on the protective layer 138 in this way, the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140 does not achieve a completely flat state, and a component substantially located below, that is, a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by the step portion caused by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not shown) such as DTr).

즉, 상기 평탄화층(140)의 표면은 특히 어레이 소자(A1, A2, 미도시)가 형성된 부분이 타영역 대비 높게 형성되고 그 외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어레이 소자(A1, A2, 미도시)와 중첩되는 부분을 상방으로 하고 중첩하지 않는 부분을 하방으로 하는 경사면을 이룬다. 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140 , in particular, the portion on which the array elements A1 and A2 (not shown) is formed is formed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regions, and the other portions are formed relatively low, so that the array elements A1, A2, It forms an inclined plane with the portion overlapping the city) as the upper side and the non-overlapping portion as the lower side.

도면에 있어서는 제 1 발광영역(EA1)에 대해서는 좌상우하의 경사면이 형성됨을 보이고 있으며 제 2 발광영역(EA2) 있어서는 우상좌하의 경사면이 형성됨을 있음을 보이고 있다.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inclined surface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are formed on the upper left, lower right and lower sides,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has inclined surfaces on the upper right and lower left.

다음, 상기 드레인 콘택홀(143)이 구비된 상기 평탄화층(140) 위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143)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36)과 접촉하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에 대응하여 각각 제 1 전극(150)이 형성되어 있다.Next, on the planarization layer 140 provided with the drain contact hole 143,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143 and in contact with the drain electrode 136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e first, second and The first electrodes 150 are respective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not shown).

이러한 제 1 전극(150)은 상부 발광 방식으로 구동되는 특성 상 이중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층(150a)은 빛을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층(150b)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즉, 4.8eV 내지 5.2eV 정도의 일함수 값을 갖는 투명 도전성 물질 예를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짐으로서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150 is preferably made of a double-layer structur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driven in the upper emission mode, the lower layer 150a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light reflectance, and the upper layer 150b has a relatively work function value. As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large work function value of about 4.8 eV to 5.2 eV, for example, indium-tin-oxide (ITO), serves as the anode electrode.

다음,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의 경계에는 뱅크(152)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뱅크(152)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에 대응해서는 각각 상기 제 1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Next, a bank 152 is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not shown). The bank 15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exposes the first electrode 150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EA2, not shown.

또한 상기 뱅크(152)로 둘러싸인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 내부에는 상기 제 1 전극(150) 위로 각각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구비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not shown) surrounded by the bank 152 ,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is emitted over the first electrode 150 , respectively. This is being provided.

이때, 도면에 있어서는 제 1 발광영역(EA1)에는 적색(R)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형성되고, 제 2 발광영역(EA2)에 대해서는 녹색(G)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형성되며, 제 3 발광영역(EA3)에 대해서는 청색(미도시)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형성됨을 일례로 보이고 있지만, 상기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은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에 관계없이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공통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에 대해서 상기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위로 적색 및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이 형성된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draw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emitting red (R) light is formed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EA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which emits green (G) light is form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EA2. is formed, and the organic emission layer 155 emitting blue light (not shown) is formed in the third emission area EA3 as an example, but the organic emission layer 155 emitting blue light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formed in commo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irrespective of the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not shown) and emitting blue light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 may form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emitting red and green light is formed.

한편, 상기 유기 발광층(155)은 도면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 물질만으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지만,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중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made of only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it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to increase luminous efficiency.

상기 유기 발광층(155)이 다중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는 상기 제 1 전극(150)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5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4중층 구조,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 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의 3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has a multilayer structu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transport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50 serving as the anode electrode. A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formed in a five-layer structure, o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A four-layer structure of an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emitting material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It may be formed in a triple-layer structure of (electron transporting layer).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갖는 특히 제 1 및 제 2 발광영역(EA1, EA2)에 구비된 적 및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155)은 그 하부에 형성된 평탄화층(140)의 영향을 받아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좌상우하 또는 우상좌하의 경사면 가지며 형성되고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0)의 일 특징이 되고 있다.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emitting red and green ligh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areas EA1 and EA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fluenced by the planarization layer 140 formed thereunder at a predetermined angle. One characteristic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has an inclined surface of upper left, upper right, lower right, and lower left.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155) 상부에는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대응하여 제 2 전극(1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극(160)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낮은 금속물질 예를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은(Ag), 마그네슘(Mg), 금(Au),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하나로 이루어짐으로서 캐소드 전극의 역할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In addition, a second electrode 160 is formed 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155 to correspon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The second electrode 160 is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work function value, for example, aluminum (Al), aluminum alloy (AlN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aluminum magnesium alloy (AlMg).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rves as a cathode electrode.

이때, 상기 제 1 기판(110) 상의 각 제 1, 2 및 제 3 발광영역(EA1, EA2, 미도시)에 순차 적층된 상기 제 1 전극(150)과 유기 발광층(155) 및 상기 제 2 전극(160)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룬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50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55 , and the second electrode sequentially stacked o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areas EA1 , EA2 , not shown on the first substrate 110 . Reference numeral 160 constitut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의 제 1 기판(102)에 대응하여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미도시)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encapsul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102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ve.

상기 제 1 기판(102)과 제 2 기판(미도시)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실란트 또는 프릿(frit)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미도시)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02)과 제 2 기판(미도시)이 합착되어 패널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An adhesive (not shown) made of a sealant or frit is provided along the edges of the first substrate 102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and the first substrate is formed by the adhesive (not shown). 102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are bond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panel state.

이때, 서로 이격하는 상기 제 1 기판(102)과 제 2 기판(미도시) 사이에는 진공의 상태를 갖거나 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짐으로써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case, a vacuum state or an inert gas atmospher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02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being filled with an inert gas.

상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고분자 재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점착층을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상기 제 1 기판(102)의 최상층에 구비된 상기 제 2 전극(16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the encapsulation may be made of a plastic or polymer material having flexible properties, or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Furthermore,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160 provid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first substrate 102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제 2 전극(160) 상부로 유기절연막(미도시) 또는 무기절연막(미도시)이 더욱 구비되어 캡핑막(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절연막(미도시) 또는 무기절연막(미도시)은 그 자체로 인캡슐레이션 막(미도시)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or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electrode 160 to form a capping layer (not shown), and the 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or inorganic insulating layer (not shown) may be used as an encapsulation film (not shown) by itself, and 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유기전계 발광소자
A1, A2, A3: 어레이 소자
EL1, EL2, EL3: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
P1, P2, P3, P4: 화소영역
PL1: 홀수 세로 화소라인
PL2: 짝수 세로 화소라인
R, G, B: 적색, 녹색 및 청색 빛
SP1, SP2, SP3: 제 1, 제 2 및 제 3 부 화소영역
SPL1: 홀수 가로 화소라인
SPL2: 짝수 가로 화소라인
100: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1, A2, A3: Array element
EL1, EL2, EL3: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P1, P2, P3, P4: pixel area
PL1: odd vertical pixel line
PL2: Even vertical pixel line
R, G, B: red, green and blue light
SP1, SP2, SP3: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 regions
SPL1: odd horizontal pixel line
SPL2: Even horizontal pixel line

Claims (11)

3가지 색을 각각 발광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을 갖는 화소영역이 다수 구비된 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과 중첩하며 형성된 어레이 소자와;
상기 어레이 소자 상부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에 순차 적층된 형태로 구성되며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은 서로 이격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과 상기 제 3 발광영역의 장축 방향은 직교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제 1 발광영역 중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일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타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제 2 발광영역 중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일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3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인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제 2 발광영역은 장축 방향의 타측이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a substrate having a display area defined with a plurality of pixel areas each having first, second, and third light-emitting areas emitting light of three colors;
an array element formed to overlap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of each pixel region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that i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on the array element.
where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 regions, and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nd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third light emitting region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mong all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except for the first ratio The remaining first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among all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is One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configured to overlap the array element,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except for the third ratio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ther side in the long axis direction overlaps the array element. electroluminesc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은 각각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상기 제 1 비율과 제 3 비율의 차이의 절대값은 0 내지 0.2인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have a valu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respectively,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atio and the third ratio is 0 to 0.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율과 제 2 비율 중 제 1 비율이 제 2 비율보다 클 경우, 상기 제 3 비율과 제 4 비율 중 제 3 비율이 제 4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ratio among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ratio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tio, the third ratio among the third ratio and the fourth ratio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ourth rati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영역에는 적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발광영역에는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3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red light is provided in the first emission region, 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green light is provided in the second emission region, and an organic emission layer emitting blue light is provided in the third emission reg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전면에 대응하여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과 더불어 적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발광영역에는 청색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더불어 녹색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 구비된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light is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area,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light together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blue light is provided in the first light emitting area, and blue light emiss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green light is provided along wit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영역은 제 1, 제 2 및 제 3 부 화소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어레이 소자는 각 화소영역 내에서 상기 각 제 1, 제 2 및 제 3 부 화소영역 별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모든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 중 상기 제 1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과 상기 제 3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발광영역은 상기 제 1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며, 상기 제 2 비율에 해당하는 제 1 발광영역과 상기 제 4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발광영역은 상기 제 2 부 화소영역에 구비된 어레이 소자와 중첩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pixel area is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 areas, and the array element is formed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 areas within each pixel area, and all Among the first and second emission regions, the first emiss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io and the second emission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ratio overlap the array elements provided in the first sub-pixel region,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tio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ourth ratio overlap the array element provided in the second sub-pixel reg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 내에서 각 제 1, 제 2 및 제 3 부 화소영역 별로 구비된 어레이 소자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동일하게 고정되며, 각 화소영역 별로 상기 어레이 소자와 일측 또는 타측이 중첩하도록 구성됨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달리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ositions of the array elements provided for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 regions within each pixel region are fixed in the same manner for each pixel region, and one side or the other side overlaps the array element for each pixel regio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are different for each pixel region by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영역은 제 1, 제 2 및 제 3 부 화소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어레이 소자는 상기 각 화소영역 내부에서 이격하는 3개의 제 1, 제 2 및 제 3 어레이 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어레이 소자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부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3 어레이 소자는 상기 제 3 부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pixel region is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sub-pixel regions, and the array element includes three first, second, and third array eleme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each pixel region, and the first and third sub-pixel regions The second array elemen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sub-pixel regions, respectively, and the third array element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ub-pixel region, respectivel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 별로 각 화소영역에 구비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영역의 위치가 동일하게 고정되고, 각 화소영역 별로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과 중첩하는 제 1 및 제 2 어레이 소자의 위치가 각 화소영역 별로 달리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9. The method of claim 8,
First and second arrays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ght emitting regions provided in each pixel region are identically fixed for each pixel region, and overlap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for each pixel regio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device is different for each pixel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소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array element i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소자를 덮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일 전극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을 갖는 평탄화층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층 상부로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일 전극과 접촉하는 상기 제 1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평탄화층은 상기 제 1 및 제 2 발광영역 내에서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되는 부분을 상방으로 하고 상기 어레이 소자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하방으로 하여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lanarization layer covering the array element and having a drain contact hole exposing on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provided, and the first electrode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the drain contact hole is provid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 electrode is provided, and the planarization layer forms an inclined surface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with a portion overlapping the array element as an upper portion and a portion not overlapping with the array element as a lower portion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ing regions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0140130452A 2014-09-29 2014-09-29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2656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452A KR102265610B1 (en) 2014-09-29 2014-09-29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452A KR102265610B1 (en) 2014-09-29 2014-09-29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82A KR20160038182A (en) 2016-04-07
KR102265610B1 true KR102265610B1 (en) 2021-06-16

Family

ID=5578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452A KR102265610B1 (en) 2014-09-29 2014-09-29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1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0538B (en) * 2018-10-08 2023-05-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Light-emitting device
KR102608778B1 (en) * 2018-12-19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10082309A (en) 2019-12-24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20210102558A (en) 2020-02-11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012A (en) 2005-05-31 2006-12-14 Lg Philips Lc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9300748A (en) 2008-06-13 2009-12-2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4041366A (en) 2007-12-03 2014-03-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64B1 (en) * 2011-11-29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012A (en) 2005-05-31 2006-12-14 Lg Philips Lcd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14041366A (en) 2007-12-03 2014-03-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Display device
JP2009300748A (en) 2008-06-13 2009-12-2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182A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309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ummy pixels with transmissive areas
CN110676299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142481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205401B1 (en) Organic 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device
US962745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6992201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14612B1 (en) Flat Panel Display Connecting Front Side to Rear Side of Substrate Using Through Hole
CN10697204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569438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9825109B2 (en) Display device
JP6756560B2 (en) Display device
KR102514938B1 (en) Display device
KR10250443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120153321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59478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JP201201509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6749160B2 (en) Display device
KR10261859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52334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9602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65610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JP2017157314A (en) Display device
JP2019061927A (en) Display device
JP2015141775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KR102591727B1 (en) Electrostatic protection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prot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