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133B1 -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133B1
KR102263133B1 KR1020210006256A KR20210006256A KR102263133B1 KR 102263133 B1 KR102263133 B1 KR 102263133B1 KR 1020210006256 A KR1020210006256 A KR 1020210006256A KR 20210006256 A KR20210006256 A KR 20210006256A KR 102263133 B1 KR102263133 B1 KR 102263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space
content
interfa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제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넷 filed Critical (주)제주넷
Priority to KR102021000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1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04Aligning objects, relative positioning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rovided is technology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create an exhibition space displaying contents authored by the user in a virtual space as exhibits and set additional settings capable of empathizing with other users, thereby increasing interest and utilization rate of exhibi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omprises: a space production unit when receiving exhibition object data, which is modeling data of an exhibition to be placed on a 3D virtual space, and space sett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space, from a user terminal, arranging exhibition objects visualiz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object data in each exhibition area provided in a 3D virtual space having a 3D model genera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to generate an exhibition space which is a virtual space having the exhibition objects arranged therein; an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receiving a setting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which is inpu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is content helpful for viewing the exhibition object, when another user account uses the exhibition object by using the exhibition space and setting the additional content to each exhibition object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ting input; and an interface generation unit applying the additional content set by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to the exhibition space genera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to generate an exhibition interface allowing other user accounts to use the exhibition space and use the additional content when the exhibition space is used and managing the generated exhibition interface capable of being used by other user accounts.

Description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A device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본 발명은 VR 및 AR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유저들이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서, 2차원 또는 3차원 전시물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유저들이 가상 공간의 FOV를 조작함에 따라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제작한 전시물을 상기의 가상 공간에 전시하고자 하는 유저의 니즈에 대응하여, 유저가 편리하게 가상 공간에 전시물 배치가 가능하고, 전시물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view exhibits by arrang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exhibits in a virtual space as a space usable by users using techniques such as VR and AR, and allowing users to view exhibits by manipulating the FOV of the virtual space. Specifically, in response to the needs of users who want to display their own exhibits in the virtual space, the user can conveniently arrange the exhibits in the virtual space and create an interface that allows additional explanations of the exhibits. It is about the authoring technology that makes it possible.

최근 비대면 사회가 구축되면서 유튜브 등 다양한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한 문화 컨텐츠의 이용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콘서트 등의 경우에도, 스테이지에서 연주자가 연주를 진행하는 상황을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 스트리밍 도는 녹화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가 원격에서 비대면 상태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Recently, as a non-face-to-face society has been established, the use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various content shar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is increasing.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concert, the situation where the performer is performing on the stage is photographed with a camera, etc., and a large number of users use it remotely and non-face-to-face through services such as real-time streaming or streaming of recorded content. will do

이러한 형태의 문화 컨텐츠 서비스는, 음악, 연극, 오페라 등 공연 컨텐츠의 경우 매우 효율적이고 현재 구축된 상기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한 이유로, 그 이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연 컨텐츠와 달리, 그림, 조각 등의 미술품과 기타 전시물의 경우, 즉각적으로 유저들이 컨텐츠에 대한 이해 등을 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즉, 상술한 전시물은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시간을 갖고 주시하거나, 그 컨텐츠에 함유된 내용들에 대한 큐레이팅 등의 서비스가 있어야 관람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상술한 이유에서 실시간 촬영 및 스트리밍이 어렵거나 기존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서비스가 물가능한 특징이 있어, 해당 전시물에 대한 비대면 관람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는 시점에 있어서 전시물의 관람에 적합한 플랫폼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The use of this type of cultural content service is great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efficient in the case of performance content such as music, play, and opera,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currently constructed content sharing platform. However, unlike these performance contents, in the case of works of art such as paintings and sculptures and other exhibits, there is a feature that users cannot immediately understand the contents. That is, the above-described exhibits can be viewed only when the user watches the exhibits with time or has a service such as curating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ent. These contents are difficult to shoot and stream in real time for the above reasons, or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able to service the existing contents sharing platform, so a platform suitable for viewing the exhibition at a time when the need for non-face-to-face viewing of the exhibition is increasing. The need for is increasing.

이때 전시물이 저작자 측면에서는, 상술한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전시 공간에 대한 제작 및 제공을 일임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형태의 전시 공간을 제작하는 데 제작자와의 의견 조율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으며, 최종적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전시 공간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시 공간에 전시된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관람바와 공유하고자 하는 전시물에 대한 느낌이나 정보들을 정확하게 공유하는 것은 전시물이 가상 공간에 전시되는 특성에 의하여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At this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of the exhibit, when the work is displayed using the virtual space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and provision of the exhibition space is entrusted to the company that provides the exhibition service, and accordingly, the display in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in coordinating opinions with the producer in creating a space, and in the end, he cannot produce the exhibition space he wants. Also, with respect to the exhibits displayed in the exhibition space, it is true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share feelings or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s that the user wants to share with the viewing b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being displayed in the virtual space.

이러한 관련 기술에 대해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2151451호 등에서는, 3차원의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가상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히트맵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한 후 이를 관람객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이 단말을 통해서 가상의 전시 공간에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With respect to these related technologies,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51451, etc., in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hibition space to a visitor terminal, a heat map is generated based on big data by analyzing virtual space data. Then, by providing it to the visitor terminal, a technology is provided so that the visitor can view the exhibits in a virtual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terminal.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원하는 컨셉을 갖는 전시 공간의 제작에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되며, 특히 가상 공간을 통한 전시물의 전시의 특성 상, 관람자와 저작자 간의 감성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는 매우 부족하여, 가상 공간을 통한 전시 서비스의 이용의 상용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But. As described above, it takes a lot of money and effort to produce an exhibition space with a concept desired by users, and in partic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exhibition of exhibits through virtual space, the service for sharing the emotions between the viewer and the author is very insuffici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the use of exhibition services through virtual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전시물의 저작 및 전시를 원하는 유저가 전시 공간의 생성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되,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전시 공간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가 원하는 컨셉의 전시 공간의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상의 전시 공간 생성 및 제공의 활성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existing technologies, and a user who wants to author and display an exhibition object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the exhibition space, but it is possible to author the exhibition space very simply and easily. , it aim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enables creation and provision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y enabling users to create exhibition spaces with a desired concept.

또한, 유저의 전시물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물의 전시 시의 유저와 해당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타 유저 사이의 전시물을 통한 감성의 공유가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enabling the user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hare emotions through the exhibits between the user during the exhibition of the exhibits and other users who view the exhibition spac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저 단말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상기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제작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상기 전시물 객체를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부가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전시 공간의 이용 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omprising: exhibition object data that is modeling data of an exhibition to be arranged in a 3D virtual space from a user terminal; and space setting, which is information for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space When information is received, an exhibition object visualiz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object data is placed in each exhibition area provided o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del genera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exhibition object is placed in a virtual space a space production unit that creates an exhibition space; A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nother user account uses the exhibition object using the exhibition space, a setting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which is content that is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object, is received, and the input is applied to the received setting input. Accordingly, an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additional content to each exhibit object; and applying the additional content set by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to the exhibition space crea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so that other user accounts can use the exhibition space and use the additional content when using the exhibition space. and an interface generating unit that creates an exhibition interface and manages the other user accounts in a usable state.

상기 공간 제작부는, 유저 단말로부터 객체 데이터와 각 전시 영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수신 시, 상기 배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 영역에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하여 상기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각 객체 데이터마다 실행하여 상기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e production unit edits the modeling data of the virtual space by overlaying vis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data on the exhibi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object data and arrangement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area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create the exhibition space by executing a process for each object data.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전시물 객체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관람 순서 정보를 전시물 객체마다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물 객체에 상기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유저로부터 자동 관람 요청을 수신 시, 상기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상기 전시 공간에 대한 FOV(Field Of View)가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관람 순서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 관람 기능을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upon receiving a setting input for the viewing order of the exhibition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sets viewing order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object as the additional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and the interface generator is configured to: In a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viewing order information is set, when receiving an automatic viewing request from another user, an effect of moving the FOV (Field Of View) for the exhibition space in the order of the viewing order information occur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an automatic viewing function that allows an exhibition object in the FOV to be output through an output means of another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viewing order to be available through the exhibition interface.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수신 시, 상기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설명 컨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는 설명 출력 영역을 배치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upon receiving the explanatory content for the exhibition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sets the explanatory content to each exhibition object as the additional content, and the interface generator, in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display interface to arrange a description output area in which description content for an object is output.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 중, 각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전시 영역과 인접된 영역을 상기 설명 출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terface generator sets an area adjacent to an exhibition area in which each exhibition object is output as the description output area among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설명 출력 영역에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큐레이션 메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큐레이션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상기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configures the exhibition interface so that a curation menu for using explanatory content is output to the explanation output area, and the explanatory content is output 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curation menu is detected. .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다른 유저 단말에서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전시 공간에 대한 FOV 내에 어느 한 전시물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설명 컨텐츠가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face generator includes, in the exhibition interface, a function of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output the explanatory content when an exhibition object is included in the FOV for the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n exhibition interface output from another user terminal. It is desirable to create a display interface.

상기 설명 컨텐츠는,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제1 컨텐츠,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수집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상기 유저 단말을 이용하는 유저 계정이 온라인 상에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2 컨텐츠, 및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등록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온라인 상에 다른 유저가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3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description content includes first content for explana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bject collected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y include a user account using the user terminal onl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tent, which is the registered published content, and the third content, which is the posted content registered by another user online related to the exhibition object registered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re included.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전시 공간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미리보기 컨텐츠 생성 요청을 수신 시, 상기 전시 공간을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서 이동 시 전시 공간에 대한 FOV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시각 데이터를 영상화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로서 생성하고, 상기 부가 컨텐츠로서 상기 전시 공간에 대한 미리보기 컨텐츠를 상기 전시 공간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may include, when receiving a preview content cre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exhibition space is crea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and moving the exhibition space along a preset path, movement of the FOV with respect to the exhibition spac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visual data to be output to the exhibition interface, generate the preview content, and set the preview content for the exhibition space as the additional content for the exhibition space.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대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어드레스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유저 계정에 제공하여, 상기 유저 계정이 다른 유저 계정에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ddress information enabling online access to a storage space for the preview content, and then provide the generated address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so that the address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another user account in the user account.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hare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들은 전시물 객체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과, 전시물 객체가 배치되는 가상 공간에 대한 설정 및 배치에 대한 입력만을 통해서, 간편하게 전시물 객체가 배치되어 다른 유저의 관람 시 3차원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다양한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여 전시물 관람에 대하여 다른 유저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conveniently arrange exhibit objects through input of data on exhibit objects and input on setting and arrangement of a virtual space in which exhibit objects are place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when viewing by other users.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in which to view the exhibits by using it, and to set various additional contents thereto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other users regarding the viewing of the exhibits.

이를 통해서 기존의 기술과 달리, 유저들이 전시 공간의 설정을 직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전시 공간에 대한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원하는 컨셉의 전시 공간의 저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전시 공간 생성 및 제공의 활성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unlike the existing technology, it allows users to directly set up the exhibition space and at the same time, it enables very simple and easy authoring of the exhibition space, allowing users to create the exhibition space of the desired concept. It provides a technology that can activate the creation and provision of exhibition space,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new type of social network service.

한편, 유저의 전시물에 대해서 부가 컨텐츠를 자유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다른 유저와 공유하기 원하는 감정이나 내용 등에 대해서 효율적인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by allowing users to freely and in various ways to provide additional content for their exhibit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the user with the emotions and contents that the user wants to share with other users,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exhibition space. can have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전시물 객체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가 관람 순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어 전시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rranging an exhibition object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setting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sets the viewing ord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set and implemented in a display interfa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s of various aspects may be employed,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n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herein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전시물 객체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가 관람 순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어 전시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arranging exhibition objects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setting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ample of setting the viewing order by an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dditional content is set and implemented in the display interfa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공간 제작부(11), 부가 컨텐츠 설정부(12) 및 인터페이스 생성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에는 상기의 각 구성에 의하여 생성, 수정 및 삭제되거나, 이를 통해 외부와 공유되는 모든 데이터의 저장 장치로서, 데이터베이스(14)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rawings, the apparatus 10 for providing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production unit 11, additional con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tting unit (12) and an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database 14 as a storage device for all data created, modified, deleted, or shared with the outside through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본 발명의 장치(10)는 후술하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와 동일하거나, 해당 장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그룹 서버 및 단일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기능적인 구성에 해당하는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a computing device to be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or a group serv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devices and a device corresponding to a functional configuration included in a single computing device. will be understood to be relevant.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 등과 구분되어 독립적인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컴퓨팅 장치인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서는 유저 단말(20)과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기능에 따라서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n independent terminal by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1 , but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 , which is a computing device. That is, although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a configuration distinct from the user terminal 20 in FIG. 1 ,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its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장치(10)가 일 구성(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경우 회로적인 연결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다른 유저 단말(30))에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원거리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a plurality of external devices as shown in FIG. 1 , which means that the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one configuration (eg, the user terminal 20 ). )) is a circuit connection, and when it is connected to another configuration (eg, another user terminal 30), it means that it is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 of a short distance/long distance.

한편 본 발명에서 계정이 의미하는 바는, 특정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해당 서비스에 가입 시 생성되는 아이디 등을 의미하며, (다른) 유저 계정은 (다른) 유저가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한 계정을 의미하는 등, 다양한 단말을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로그인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count means an ID generated when subscribing to the service in order to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specific terminal, and the (other) user account is (Other) refers to a subject that logs in to various terminals to use the service, such as an account created by a user by subscribing to the service.

한편 본 발명의 장치(10)의 각 기능 수행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휴대 단말 등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 단말에서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 상에서 구동 가능한 웹 프로그램 등의 실행 및 접속에 의하여 실행되는 다수의 화면 및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s available through the performance of each function of th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execution and access of a program executable on a computing device, an application executable on a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a web program that can be driven on a web page accessible from each terminal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available through a user interface (UI) including a plurality of screens and menus executed by the .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면, 먼저 공간 제작부(11)는 유저 단말(20)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the above description, first, the space production unit 11 receives from the user terminal 20 information for setting exhibition object data, which is modeling data of an exhibition object to be arranged in the 3D virtual space,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space. When the in-space se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an exhibition object visualiz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object data is placed in each exhibition area provided o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del genera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exhibition object is placed in a virtual spac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reating an exhibition space.

본 발명에서 전시물 객체는, 대표적으로 예술 작품으로서, 그림 등의 2차원 형태 및 조각 등 3차원 형태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전시물을 디지털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컨텐츠로 생성한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2차원 또는 3차원의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해당 전시물 객체를 인지한 다른 유저가 전시물이 다른 유저 단말(30)에 시각화됨에 따라서 전시물이 출력된 것으로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ibit object is typically a work of art, and is data generated by digital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 content of an exhibit including all forms of two-dimensional forms such as paintings and three-dimensional forms such as sculp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eans data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 That is, it refers to an object that can be recognized and identified as an exhibit output as another user who recognizes the exhibit object by visually realizing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data as the exhibit object is visualized on the other user terminal 30 .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은, 마치 전시물이 전시된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 구현되는 가상의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가 시각화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출력됨으로써 다른 유저 단말(30)이 이를 인지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공간 상에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상태, 즉 가상 공간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전시물 객체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결합된 공간은 전시 공간으로 지칭된다. 즉 가상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따라서 유저 단말(20)에 출력되는 이미지로서 해당 이미지를 유저가 확인 시 마지 전시물이 배치되는 가상의 전시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배경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다.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having a three-dimensional model is a space in which modeling data for a virtual space implemented in order to express an effect as if an exhibition object is displayed is visualized, and is included in an exhibition interface to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 to other user terminals ( 30) will be understood as a recognizable concept.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a state in which exhibition objects are arranged in a virtual space, that is, a space in which dat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space 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object are combined is referred to as an exhibition space. That is, the virtual space is an image output to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exhibition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user confirms the image, it means background data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image as a virtual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 last exhibition object is placed. .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마다 할당된 가상 공간 상의 일정한 영역들로서,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의 각 픽셀값에 가상 공간의 좌표를 매칭함에 따라서 설정되는 가상 공간 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전시 영역이 할당 및 매칭되거나, 가상 공간의 모델링 시 전시 영역이 할당된 상태로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전시물 객체의 배치 순서, 사이즈, 종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의 설정 입력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자동으로 전시물 객체별 전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The exhibition area refers to certain areas on a virtual space allocated to each exhibition object, and the exhibition area refers to an area on the virtual space that is set by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virtual space to each pixel value of the exhibition object. The display area for each exhibition object may be allocated and matched by the user terminal 20 , or the model may be modeled in a state in which the exhibition area is allocated when modeling the virtual space.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rder, size, type, etc. of the exhibit objects may be set by a setting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as described above, or an exhibition area for each exhibit object may be automatically set.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시 공간이 구성되어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 시, 유저들이 마치 전시 공간을 따라서 전시물 객체에 대응되는 전시물들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 전시물 객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및 전시 영역에 대한 좌표 및 전시물 객체별 할당 정보 등 전시 공간에 대한 제어를 위한 데이터들이 유저 단말(20)의 입력 및 상술한 공간 제작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구성될 것이며, 상술한 데이터 및 할당 정보 등의 조합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an exhibition interface configured to be output to another user terminal 30 is configured in an exhibition space, an effect can be realized such that users view exhibi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exhibition objects along the exhibition space. To this end, the data for controlling the exhibition space, such as modeling data of the virtual space, modeling data for the exhibition object, and the coordinates for the exhibition area and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object, are inputted by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space production unit ( 11), the display interface is configured by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data and allocation information.

전시 인터페이스에는 각 가상 공간에 대한 좌표의 제어 입력값을 수신 시, 해당 좌표의 제어 입력값과 그 입력값의 변화에 따른 벡터 입력이 생성되고, 벡터 입력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제어되어 출력되는 가상 공간이 제어된다. In the exhibition interface, when a control input value of a coordinate for each virtual space is received, a vector inpu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and a change in the input value, and the FOV (Field Of View)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ector input. The output virtual space is controlled.

즉, 전시 공간을 이용하는 다른 유저 계정은 예를 들어 전시 인터페이스가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는 경우, 다른 유저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별 가용되는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입력을 통한 조작에 따라서 가상 공간에 대한 FOV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서 유저가 마치 가상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출력이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것이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설정되는 경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FOV가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at is, other user accounts using the exhibition space may perform input to input means available for each exhibition interface executed in the other user terminal 30 when, for example, the exhibition interface is output to another user terminal 30 . In addition, the FOV for the virtual spa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input, and accordingly, the output such as the user viewing the exhibition while moving along the virtual spac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means of the other user terminal 30 will be. Alternatively, as described later, the FOV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using a path set by the user terminal 20 .

이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러한 효과 및 제어 수단 등이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며, 해당 전시 인터페이스가 다른 유저 단말(30)에 제공되고, 다른 유저 단말(30)에서는 제공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실행함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은, 다른 유저 단말(30)에 배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이 가능한 웹에 대한 접속에 의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Accordingly, the exhibition object in the FOV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means of the other user terminal 30 , such effects and control means are included in the exhibition interface, and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interface is provided to the other user terminal 30 , and other users As the terminal 30 executes the provided exhibition interface,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s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execution of the exhibition interface is possible by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r program disposed in another user terminal 30 or by accessing the web in which the execution of the exhibition interface is possible.

이러한 전시 인터페이스 상의 전시 공간을 유저 단말(20)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구현하기 위해서, 공간 제작부(11)는 유저 단말로부터 객체 데이터와 각 전시 영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수신 시, 배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 영역에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하여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각 객체 데이터마다 실행하여 전시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exhibition space on the exhibition interface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of the user terminal 20 , the space production unit 11 receives object data and arrangement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area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An exhibition space may be created by executing a process of editing modeling data of a virtual space by overlaying vis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data on the area for each object data.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2 .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입력된 전시물 객체(100)들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110)가 존재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전시 공간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예를 들어 리스트화된 전시물 객체(100)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의 입력 등을 통해서, 전시물 객체(100)를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110) 상의 할당 가능한 전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과 전시물 객체(100) 같의 배치 정보(120)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exhibition objects 100 input by the user terminal 20 may exist, and modeling data 110 of a virtual space selected by the user terminal 20 may exist. The user terminal 20, for example,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create an exhibition space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performs a drag and drop method for the listed exhibition object 100 . Through the input of , the arrangement information 120 of the exhibition object 100 can be set with any one of the exhibition areas that can be assigned to the exhibition object 100 on the modeling data 110 of the virtual space.

한편, 가상 공간에 대한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공간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의 형태, 사이즈, 가상 공간 상의 벽면, 바닥면, 천정에 해당하는 면 영역의 색상, 질감 등을 포함하여 가상 공간의 시각화를 위해서 설정 가능한 모든 입력에 해당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pace setting information for setting the attribute information for the virtual space includes, for example, the shape and size of the virtual space, and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surface area corresponding to the wall, floor, and ceiling in the virtual space. It mean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ll inputs that can be set for space visualizatio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의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는, 가상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단위 모델링 데이터(111, 112)들이 제공되며,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선택 입력 및 상술한 속성 정보 등의 설정 입력과 함께, 선택 가능한 전시 영역들에 대한 할당 정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전시물 객체들이 각 전시 영역(121, 122)에 배치 가능한 가상 공간(113)이 완성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 for example, on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20 , unit modeling data 111 and 112 that can be set in a virtual space are provided, and A virtual space 113 in which exhibit objects can be arranged in each of the exhibition areas 121 and 122 is finally completed through the selection input and the setting input such as the above-described attribute information and the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able exhibition areas. .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 즉 전시 공간의 모델링이 완료되면,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전시물 객체를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1 , when the modeling of the exhibition space, ie, the exhibition space, is comple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11 ,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displays the exhibition object a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 When another user account uses the space, it receives a setting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which is content that is helpful for viewing the exhibit object, and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the additional content for each exhibit object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ting input. .

즉, 부가 컨텐츠는 전시 공간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 상의 일 영역에 출력되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시각 정보뿐 아니라, 전시물 객체의 내용이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That is, the additional content is output to an area on the exhibition interface where the exhibition space is output, and information that can be set by the user terminal 20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 or emotion of the exhibition object as well as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object. content that includes

이러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 및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이 생성되고 해당 전시 공간에 배치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부가 컨텐츠 설정부(12)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전시 공간의 이용 시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함은, 생성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데이터베이스(14) 등 온라인을 통해 접속 가능한 경로에 저장 및 관리하고, 다른 유저 계정이 다른 유저 단말(30)을 통해 접속 시 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실행하도록 하여,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When an exhibition space is created by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and the space creation unit 11 and the process of setting additional content for an exhibition object disposed in the exhibition space is completed,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generates by By applying the additional content set by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to the displayed exhibition space, other user accounts can use the exhibition space and create an exhibition interface that can use the additional content when using the exhibition space to create a different user accoun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managing the available state. In this case, the management in a state where other user accounts can be used means that the created exhibition interface is stored and managed in a path accessible through online such as the database 14 , and when another user account is connected through another user terminal 30 , the exhibition interface It means to provide or to execute so that it is output to another user terminal 30 .

상기와 같은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부가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물 객체를 다른 유저들이 시각적으로 인지 시 해당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들을 각각 설정학 위해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the additional content means information that can be understood when other users visually recognize the exhibition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t each of these pieces of information,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제1 예로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전시물 객체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 시,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관람 순서 정보를 전시물 객체마다 설정할 수 있다.As a first example,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may set viewing order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object as additional content when receiving a setting input for the viewing order of the exhibition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20 for each exhibition object. have.

이 경우,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부가 컨텐츠로서 전시물 객체에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유저로부터 자동 관람 요청을 수신 시,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전시 공간에 대한 FOV(Field Of View)가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여, 관람 순서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 관람 기능을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receives an automatic viewing request from another user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on viewing order information is set in an exhibition object as additional content included in the exhibition interface, and displays the exhibition space in the order of viewing order information. An automatic viewing function is used through the exhibition interface to generate the effect of moving the Field Of View (FOV) for the display, so that the exhibition object in the FOV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means of another user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viewing order. can be configured to make it possible.

즉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설정 정보를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 시, 해당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자동으로 FOV가 이동되도록 하는 모드를 활성화하고, 다른 유저 단말(30)로부터 해당 모드에 대한 활성화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자동 관람 기능을 활성화하여 다른 유저 단말(30)의 제어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전시물 객체를 관람 순서에 따라서 관람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That is, upon receiving th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viewing order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activates a mode in which the FOV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order of the corresponding viewing order information when generating the exhibition interface. When receiving an activation request input for a corresponding mode from another user terminal 30, the automatic viewing function is activated to automatically view exhibition objects in the viewing order without a control input from another user terminal 30. It is to create an exhibition interface so that it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각 전시물 객체(101, 102, 103)에 유저 단말(20)로부터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131)을 수신하게 되면, 이를 인터페이스 생성부(13)에 전송하게 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공간 상에서 전시물 객체(A1, A2, A3)를 관람 가능한 FOV 및 각 전시 공간을 따르는 경로 상의 각 포인트마다 설정된 노드(n)별로, 그 이동 순서를 포함하는 경로(R)를 설정하여, 자동 관람 기능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receives a setting input 131 for viewing order from the user terminal 20 to each exhibition object 101 , 102 , 103 . , when this is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sets the FOV for viewing the exhibit objects A1, A2, and A3 on the exhibition space, and a node set for each point on the path along each exhibition space. For each (n), a path R including the movement order is set, so that the automatic viewing function can be used.

한편, 이러한 자동 관람 기능 이외에, 유저들은 자신이 저작한 전시물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저작 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저작물을 보고 어떤 감정을 느끼기 원할 수 있다. 또는, 유저들은 해당 전시물의 저작한 사람이 자신이며, 언제 해당 전시물을 저작했는지를 알려주기 원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is automatic viewing function, users may want other people to feel a certain emotion when they see their work when they writ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hibits they have written. Alternatively, users may wish to inform that the person who authored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object is themselves and when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object was authored.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예에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수신 시,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설명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is function, in the second example,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may set the description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as additional content when receiving the description content for the exhibition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20 . .

이때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는 설명 출력 영역을 배치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may generate the exhibition interface so as to arrange a description output area in which description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is output in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5 .

도 6의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화면(200)을 참조하면, 전시 공간(201)이 출력되며 전시 공간(201)에 각 전시물 객체(203, A1, A2)가 배치된다. 이때,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썸네일이나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리스트(204)가 리스트 출력 영역(202)에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creen 200 on which the exhibition interface of FIG. 6 is implemented, an exhibition space 201 is output, and each exhibition object 203 , A1 , and A2 is arranged in the exhibition space 201 . In this case, a list 204 including thumbnails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object may be output to the list output area 202 .

이때 전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은, 보기 메뉴(205)를 선택하여, 각 전시물 객체(203)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users using the exhibition interface may select the view menu 205 to check the description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203 .

이러한 리스트 출력 방식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 중, 각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전시 영역과 인접된 영역을 설명 출력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리스트를 다른 유저들이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영역 인근에 출력하여, 전시물 객체를 확인하면서 자연스럽게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o the list output metho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sets an area adjacent to the exhibition area in which each exhibit object is outputted as the description output area among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You can create interfaces. That is, the list is not individually checked by other users, but is output near the area where the exhibit object is output, and the exhibition interface is configured so that the explanatory content can be used naturally while checking the exhibit object.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쩡 FOV를 갖는 화면(210)이 출력됨을 가정하면, 해당 화면(210)에는 가상 공간에 해당하는 배경 영역(211)과 특정 전시물 객체(212)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에 인접한 영역에 설명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작가명(P1) 및 저작 일시(D1)를 출력하는 등의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여 전시물 객체(212)의 확인과 함께 자연스럽게 해당 전시물에 대한 설명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 assuming that a screen 210 having a normal FOV is output, a background area 211 corresponding to a virtual space and a specific exhibition object 212 are output on the screen 210 . it can be confirmed that At this time, as explanatory content, for example, the author's name (P1) and the date of writing (D1) are output as explanatory content in the area adjacent thereto, so that the description of the exhibit is naturally displayed along with the confirmation of the exhibit object 212. It can be configured to be recognized.

한편, 제2 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 출력 영역에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큐레이션 메뉴(214)가 출력되도록 하고, 큐레이션 메뉴(214)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설명 컨텐츠의 내용이 많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있어서 별도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구성하여 다른 유저들의 관람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xample,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outputs a curation menu 214 that can use the explanatory content to the explanation output area as shown in FIG. 6 , and displays the curation menu 214 in the curation menu 214 . The exhibition interface may be configured so that explanatory content is output when a selection input is detected. This is to help other users to view by configuring a menu that can separately check the explanatory content in a cas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scription content at a time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description content.

한편, 제2 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다른 유저 단말(30)에서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전시 공간에 대한 FOV 내에 어느 한 전시물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설명 컨텐츠가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example,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automatically outputs explanatory content when an exhibition object is included in the FOV for the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xhibition interface output from the other user terminal 30 . An exhibition interface can be created by including a function to control so as to be in the exhibition interface.

예를 들어 먼저 도 7에 도시된 화면(220)을 참조하면, 특정 전시물 객체(221)가 포함되는 FOV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설명 컨텐츠(222)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다른 유저들이 편리하게 해당 전시물 객체(221)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생성부(13)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first, referring to the screen 220 shown in FIG. 7 , when an FOV including a specific exhibition object 221 is detected, explanatory content 222 is automatically output to make it convenient for other users. The display interface may be configured by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13 so that the description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object 221 can be checked.

또는 이러한 기능을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한 도 8의 화면(230)을 참조하면, FOV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전시 공간(231)에 특정 전시물 객체(232)가 포함되는 경우, 다른 전시물 객체(233, A2)로 FOV가 이동되기 전까지는, 오디오 컨텐츠로서 해당 전시물 객체(232)에 대한 큐레이션 정보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오디오 큐레이션 메뉴(234)가 자동 활성화되는 것이다.Alternatively, referring to the screen 230 of FIG. 8 for accurately implementing such a function, when a specific exhibition object 232 is included in the exhibition space 231 that is included in the FOV and output, other exhibition objects 233 and A2) Until the FOV is moved to , the audio curation menu 234 is automatically activated so that cura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 object 232 is automatically reproduced as audio content.

한편 도 7의 설명 컨텐츠(222)를 확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설명 컨텐츠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제1 컨텐츠,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수집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유저 단말(20)을 이용하는 유저 계정이 온라인 상에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2 컨텐츠, 및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등록된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온라인 상에 다른 유저가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3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로서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scription content 222 of FIG. 7 is check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content is, for example, first content for description of an exhibition objec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 and setting from the user terminal 20 . The second content, which is posted content registered online by a user account using the user terminal 20 as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ion object col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and the exhibition objec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It may be set as any one of third contents that are posted contents registered by other users on a related online site.

제1 컨텐츠를 예를 들어 도 6 및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시물 객체의 저작자, 저작 일시, 저작 일시에서의 날씨, 전시물을 저작한 지역, 해당 지역의 저작 일시에서의 날씨, 저작자가 전시물을 저작 시 방문한 장소, 먹었던 음식, 입었던 옷 등, 유저가 다른 유저와 공유하고자 하는 해당 전시물을 저작 시의 환경이나 감정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of the first content, the author of the corresponding exhibit object, the writing date and time, the weather at the writing date and time, the region where the exhibition was written, the weather at the writing date and tim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and the author It refers to information that can infer the environment or emotions at the time of authoring of the exhibits that the user wants to share with other users, such as places visited, food eaten, and clothes worn at the time of writing.

한편 제2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시물과 관련되어 유저가 자신이 활동하는 SNS에 게시한 게시물 등에 대한 정보로서, 역시 전시물을 저작 시의 유저의 감정, 환경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ent, for example, is information about a post posted on an SNS by a user in relation to an exhibition object, and also means content that can infer the user's emotions and environment when authoring the exhibition object. .

한편 제3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시물과 관련되어 유저 이외의 다른 유저나 업체 등, 유저가 게시한 게시물 이외에, 해당 전시물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시물의 화풍, 화풍의 역시, 전시물의 종류와 관련된 유명한 작가의 작품, 전시물의 저작 시점에 유행했던 노래 등의 문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content refers to, for example, content that can acquire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hibit other than a post posted by a user, such as a user or a company other than the user, in relation to the exhibit. For example, the style of the exhibition object, the style of the painting, works of famous artists related to the type of exhibition object, and culture such as songs that were popular at the time of writing the exhibition object may be included.

제1 예 및 제2 예에서 언급된 설명 컨텐츠를 통해서, 다른 유저들은 유저가 저작한 전시물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해당 전시물의 저작한 유저와의 정보 공유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고, 마치 유저가 해당 전시물에 대해서 큐레이션을 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감정의 공유에 따른 실감나는 관람이 가능해져 그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rough the explanatory contents men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examples, other user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hibits authored by the user through information sharing with the user who wrote the exhibits, as if the user It is possible to use a service such as curating for a movie, and it is possible to enjoy realistic viewing according to the sharing of emotions,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한편 제3 예에서, 유저들은 다른 유저들에게 자신이 제작한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제작한 전시 공간을 소개하고자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순히 전시 공간에 대한 방문을 유도하는 것 보다, 전시 공간을 미리 볼 수 있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Meanwhile, in the third example, users may induce other users to use the exhibition space they have created. In other words, you can introduce the exhibition space you have created. In this case, it may be more effective to generate and provide content for previewing the exhibition space, rather than simply inducing a visit to the exhibition space.

본 발명의 제3 예에서 부가 컨텐츠 생성부(12)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이 생성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20)로부터 미리보기 컨텐츠 생성 요청을 수신 시, 전시 공간을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서 이동 시 전시 공간에 대한 FOV의 이동에 따라서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시각 데이터를 영상화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미리보기 컨텐츠로서 생성하고, 부가 컨텐츠로서 전시 공간에 대한 미리보기 컨텐츠를 전시 공간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컨텐츠는 예를 들어 기설정된 용량 또는 시간(예를 들어 1분)의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동 시의 이동 속도에 대한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FOV에 대한 이동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In the thir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content generating unit 12 receives a preview content gener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20 in a state in which the exhibition space is created by the space producing unit 11 to implement this function. Upon reception, when moving the exhibition space along a preset pa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OV with respect to the exhibition space,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visual data to be output to the exhibition interface is generated and generated as preview content, and added to the exhibition space as additional content. Preview contents can be set for the exhibition space. In this case, the preview content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as an image of a preset capacity or time (for example, 1 minute), and moves with respect to the FOV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0 for the moving speed during movement. The speed can be set.

이 경우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대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어드레스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를 유저 계정에 제공하여, 유저 계정이 다른 유저 계정에 어드레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12 generates address information capable of online access to the storage space for the preview content, and then provides the generated address information to the user account, so that the user account is assigned an address to another user account. You may be able to share information.

해당 기능의 구현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계정은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보유할 수 있고, 다른 유저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300) 등을 통해서, 해당 어드레스 정보에 대한 공유 정보(301)를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유저들은, 해당 공유 정보(301)를 선택 시, 상술한 미리보기 컨텐츠의 재생 서비스 화면(301)을 확인하여, 미리보기 컨텐츠 영상(311)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un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 the user account may hold address information for preview content, and may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users, for example, a chatting application 300 . Through such a method, it is possible to share information 301 for the corresponding address information. In this case, other users may check the preview content image 311 by checking the above-described playback service screen 301 of the preview content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hared information 30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that overlap with those of FIGS. 1 to 9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10,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 a power circuit 1150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a flash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input/output subsystem 11400 .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10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10,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0,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ar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As an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저 단말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상기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제작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상기 전시물 객체를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부가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전시 공간의 이용 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해 전시 공간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미리보기 컨텐츠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시각 데이터를 영상화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로서 생성하고,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어드레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유저 계정에게 제공하여 상기 유저 계정으로 하여금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다른 유저 계정에게 공유하도록 하되,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는,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유저 단말에 의해 설정된 FOV(Field Of View)에 대한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To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When receiving exhibition object data, which is modeling data of an exhibition object to be placed on a 3D virtual space, and space sett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setting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virtual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a stereoscopic generated according to the attribute information a space production unit arranging an exhibition object visualized according to the exhibition object data in each exhibition area provided on the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having a model, and generating an exhibition space that is a virtual space in which the exhibition object is disposed;
A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when another user account uses the exhibition object using the exhibition space, a setting input for additional content, which is content that is helpful in viewing the exhibition object, is received, and the input is applied to the received setting input. Accordingly, an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the additional content to each exhibit object; and
An exhibition in which additional content set by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i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crea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so that other user accounts can use the exhibition space and use the additional content when using the exhibition space Including; an interface generating unit that creates an interface and manages the other user accounts in a usable state.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When a request for generation of preview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exhibition space is created by the space production unit, image data obtained by imaging visual data to be output to the exhibition interface is generated and generated as the preview content and,
In a state in which the generation of the preview content is completed, address information that allows online access to the storage space for the preview content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addres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account so that the user account can use the address information to share with other user accounts,
The preview content is
When the other user account accesses the storage space for the preview content through the address information, the screen is switched based on the movement speed for the field of view (FOV) set by the user terminal. A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작부는,
유저 단말로부터 객체 데이터와 각 전시 영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수신 시, 상기 배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 영역에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하여 상기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각 객체 데이터마다 실행하여 상기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pace production unit,
When receiving the object data and arrangement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area from the user terminal, the process of editing the modeling data of the virtual space by overlaying the visual data corresponding to the object data on the exhibi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information is performed for each objec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ibition space is generated by executing it for each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전시물 객체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관람 순서 정보를 전시물 객체마다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물 객체에 상기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유저로부터 자동 관람 요청을 수신 시, 상기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상기 전시 공간에 대한 FOV(Field Of View)가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관람 순서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 관람 기능을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When receiving a setting input for viewing order of exhibition objects from the user terminal, setting viewing order information for each exhibition object as the additional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When an automatic viewing request is received from another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viewing order information is set in the exhibition object object, an effect of moving the FOV (Field Of View) for the exhibition space in the order of the viewing order information occurs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viewing order, an automatic viewing function for outputting an exhibition object in the FOV through an output means of another user terminal is available through the exhibition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수신 시, 상기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설명 컨텐츠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는 설명 출력 영역을 배치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content setting unit,
When receiving explanatory content for the exhibit object from the user terminal, setting the explanatory content to each exhibit object as the additional content,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and generating the exhibition interface so as to arrange a description output area for outputting description content for each exhibition object in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 중, 각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전시 영역과 인접된 영역을 상기 설명 출력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and setting an area adjacent to the exhibition area where each exhibition object is outputted as the description output area, among one area of the exhibition inte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설명 출력 영역에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큐레이션 메뉴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큐레이션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상기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3D virtual exhib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ibition interface is configured such that a curation menu that can use explanatory content is output to the explanation output area, and the explanatory content is output when a selection input for the curation menu is detected A device for providing space creation servic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다른 유저 단말에서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전시 공간에 대한 FOV 내에 어느 한 전시물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설명 컨텐츠가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face generating unit,
When an exhibition object is included in the FOV of the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n exhibition interface output from another user terminal, the exhibition interface includes a function to automatically output the explanatory content to generate the exhibition interface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컨텐츠는,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제1 컨텐츠,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수집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상기 유저 단말을 이용하는 유저 계정이 온라인 상에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2 컨텐츠, 및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등록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온라인 상에 다른 유저가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3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scription content is
The first content for explanation of the exhibit object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ent related to the exhibit object collected according to th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first content registered online by a user account using the user terminal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2 contents and third contents that are posted contents registered by other users online related to the exhibition object registered according to a setting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6256A 2021-01-15 2021-01-15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KR102263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56A KR102263133B1 (en) 2021-01-15 2021-01-15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56A KR102263133B1 (en) 2021-01-15 2021-01-15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133B1 true KR102263133B1 (en) 2021-06-09

Family

ID=7641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56A KR102263133B1 (en) 2021-01-15 2021-01-15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13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56B1 (en) * 2021-06-17 2022-04-21 (주)제주넷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service through a virtual booth
KR102481613B1 (en) * 2022-02-11 2022-12-27 주식회사 유룸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3d website making platform with edit function
KR102505666B1 (en) * 2021-12-30 2023-03-03 주식회사 닷밀 A device that performs rendering optimized for the viewer's point of view in a specific location to provide ultra-realistic content
KR20230049426A (en)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아이티로 A shopping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implements a shopping mall in a residential complex as a virtual booth
KR102537403B1 (en) * 2022-02-11 2023-05-26 주식회사 유룸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3d website making platform with 3d contents load function
KR102540309B1 (en) * 2022-10-28 2023-06-07 (주)제주넷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n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xhibiting copyright-infringed images
WO2023136379A1 (en) * 2022-01-17 2023-07-20 고태규 System for constructing metaverse utilizing object, and operating method for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36A (en)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System, user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guid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KR20170051019A (en)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Method for 3d virtual gallery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170107581A (en)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 virtual space
KR20190127367A (en) * 2018-05-04 2019-11-13 디프트(주) Method of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fficient data management
KR102151451B1 (en) * 2018-11-30 2020-09-03 데이터킹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KR20200145003A (en) * 2019-06-20 2020-12-30 정규인 System and method for rentting exhibition space using v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036A (en) * 2010-08-11 2012-02-21 주식회사 저스트아이디어 System, user terminal unit and method for guiding display information using mobile device
KR20170107581A (en)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in virtual space
KR20170051019A (en)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Method for 3d virtual gallery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190127367A (en) * 2018-05-04 2019-11-13 디프트(주) Method of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fficient data management
KR102151451B1 (en) * 2018-11-30 2020-09-03 데이터킹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KR20200145003A (en) * 2019-06-20 2020-12-30 정규인 System and method for rentting exhibition space using v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256B1 (en) * 2021-06-17 2022-04-21 (주)제주넷 A device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service through a virtual booth
KR20230049426A (en) * 2021-10-06 2023-04-13 주식회사 아이티로 A shopping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implements a shopping mall in a residential complex as a virtual booth
KR102661649B1 (en) * 2021-10-06 2024-04-29 주식회사 아이티로 A shopping service provision system that implements a shopping mall in a residential complex as a virtual booth
KR102505666B1 (en) * 2021-12-30 2023-03-03 주식회사 닷밀 A device that performs rendering optimized for the viewer's point of view in a specific location to provide ultra-realistic content
WO2023136379A1 (en) * 2022-01-17 2023-07-20 고태규 System for constructing metaverse utilizing object, and operating method for system
KR102481613B1 (en) * 2022-02-11 2022-12-27 주식회사 유룸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3d website making platform with edit function
KR102537403B1 (en) * 2022-02-11 2023-05-26 주식회사 유룸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3d website making platform with 3d contents load function
KR102540309B1 (en) * 2022-10-28 2023-06-07 (주)제주넷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n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for exhibiting copyright-infringed im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133B1 (en) 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US11087548B2 (en) Authoring and presenting 3D presentations in augmented reality
Rahaman et al. From photo to 3D to mixed reality: A complete workflow for cultural heritage visualisation and experience
US107544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ments in a virtu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KR101863041B1 (en) Creation of playable scene with an authoring system
CA3023644A1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KR102276936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CN105191327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polyhedral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9147392A1 (en) Puppeteering in augmented reality
Shen et al. An augmented 3D iPad mobile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learning (CCL) of building MEP systems
Sun et al. A synchronous distributed cloud-based virtual reality meeting system for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
Ryabinin et al. Cyber-physical museum exhibits based on additive technologies, tangible interfaces and scientific visualization
JP2018511102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internet comic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KR20230075050A (en) Devices for creating vr exhibition spaces
JP2019532385A (en) System for configuring or modifying a virtual reality sequence,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the sequence
Wakefield et al. COSM: A toolkit for composing immersive audio-visual worlds of agency and autonomy.
Kimer et al. A model of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for virtual environments: definition and a case study
Yan et al. 3d simulation of interior house design in vr using vr3id method
Chu et al. Navigable videos for presenting scientific data on affordable head-mounted displays
Machuca et al. 3D mobile interactions for public displays
Huang et al. Developing a BIM-based visualization and interactive system for healthcare design
US20150007031A1 (en) Medical Environment Simulation and Presentation System
KR10254126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Applying an object to VR content
Hillmann Pioneering Platforms and UX Learnings
US20240106984A1 (en) Navigation and view sharing system for remote collab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