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307B1 -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307B1
KR102262307B1 KR1020140082504A KR20140082504A KR102262307B1 KR 102262307 B1 KR102262307 B1 KR 102262307B1 KR 1020140082504 A KR1020140082504 A KR 1020140082504A KR 20140082504 A KR20140082504 A KR 20140082504A KR 102262307 B1 KR102262307 B1 KR 10226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ression
wrinkles
wrinkl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85A (ko
Inventor
장수임
김은주
이해광
연영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8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307B1/ko
Priority to US15/323,220 priority patent/US10238332B2/en
Priority to PCT/KR2015/006578 priority patent/WO2016003123A1/ko
Priority to CN201580041536.0A priority patent/CN106659482B/zh
Publication of KR2016000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5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by non-invasive methods, e.g. for determining thickness of tissu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A61B2576/02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organ o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는,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및 제2 밀착부를 포함하는 표면 방향 압축부, 및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후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주름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Wrinkle Measuring Device and Wrinkle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주름을 측정할 수 있고 주름의 깊이, 모양, 탄력 등의 성질을 정량화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화를 인지할 수 있는 첫 번째 요소는 주름이다. 미세 주름 분류에 따르면, 1차 주름은 20 내지 100 ㎛, 2차 주름은 5 내지 40 ㎛, 3차 주름은 0.5 ㎛까지, 4차 주름은 0.05 ㎛까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또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서 피부 이미지를 통하여 피부 주름 및 노화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피부 이미지를 통하여 피부 상태를 측정 및 분석하는 방법의 경우, 가시적으로 명확하게 보이지 않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눈에 띄게 드러나는 1차 주름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된 주름의 경우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주름의 깊이가 최소 1 mm 가 되어야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이미지 측정이 가능하다. 즉, 2차 주름부터는 평면 이미지를 통하는 방법으로 측정이 어렵다.
따라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잠재된 숨은 미세 주름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JP 1993-253210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눈에 보이지 않는 40 ㎛ 미만의 2차 이상의 주름들을 가시적으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주름의 깊이와 모양과 같은 특징뿐만 아니라, 주름에 탄력 또는 복원력과 같은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는,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및 제2 밀착부를 포함하는 표면 방향 압축부, 및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후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주름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 측정부는 3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표면 방향 압축부는, 비-압축 상태의 제1 간격과 압축 상태의 제2 간격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로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이 상기 제1 간격 또는 제2 간격이 되도록, 상기 관통 로드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방법은,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고, 상기 피부의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후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한다.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 평균 거칠기, 주름의 모양, 주름 깊이, 주름 면적, 주름 길이, 주름 부피 및 주름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의 3차원 이미지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후 또는 압축 중과 압축 후의 주름의 차이에 따라 피부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의 압축 후의 주름의 압축 전의 상태로의 회복 시간 측정을 통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주름 측정을 통하여, 상기 압축 전의 40 ㎛ 이하의 주름을 압축하여 주름의 형태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눈에 보이지 않는 40 ㎛ 미만의 2차 이상의 주름들을 가시적으로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름이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잠재된 숨겨진 미세 주름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주름의 깊이와 모양과 같은 특징뿐만 아니라, 주름에 탄력 또는 복원력과 같은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름 측정 및 비교에 있어서 정량화가 가능해 지므로,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주름 분석이 가능해 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의 압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주름 측정 장치의 압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로 주름을 압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눈 가의 주름의 이미지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눈 밑의 주름의 이미지들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1)는,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및 제2 밀착부를 포함하는 표면 방향 압축부(10)(이하, "압축부"라고도 함) 및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후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주름 측정부(20)를 포함한다.
표면 방향 압축부(10)는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한 것이다. 피부에 밀착되어 피부의 표면 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을 주어 인위적으로 주름을 생성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40 ㎛ 이하의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주름도 압축부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40 ㎛ 이상의 주름이 되게 하여 주름의 형태를 비교 및 분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름을 자극함으로써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 또는 복원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름의 측정으로 통하여 주름의 형태를 알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피부 평균 거칠기(Ra, Arithmetic average value of the profile roughness), 주름의 모양, 주름 깊이, 주름 면적, 주름 길이, 주름 부피 및 주름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알 수 있다.
상기 주름 측정부(20)는 주름의 위와 같은 형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2차원 이미지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통한 분석, 주름의 어두워진 부분의 면적을 통한 분석 및 육안 분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름 측정부(20)로 3 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주변 투영(Fringe projection) 원리를 적용한 3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의 경우 주름 평가의 정확도가 높으며, 재현성이 높은 평가가 가능하다.
3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의 경우 미세 주름을 9 내지 12 ㎛ 크기의 주름을 측정하였을 경우 주름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압축부(10)를 사용하여 주름을 압축하거나 주름에 자극을 주어 주름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게 하여 측정하므로 주름에 대한 3 차원 이미지 측정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로서 독일 GFM사의 PRIMOS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의 3차원 이미지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향 압축부(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면 방향 압축부(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면 방향 압축부(11)는 제1 밀착부(13a) 제2 밀착부(13b), 관통 로드(17) 및 위치 고정부(1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 비-압축 상태의 제1 간격(X1)(도 2의 (a))과 압축 상태의 제2 간격(X2)(도 2의 (b))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는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는 비-압축 상태의 제1 간격(X1)과 압축 상태의 제2 간격(X1)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간격(X1)이 3 cm 라면, 제2 간격(X2)은 2 cm 가 될 수 있다.
상기 관통 로드(17)는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 로드(17) 상에는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위치 고정부(19)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의 간격이 상기 제1 간격(X1) 또는 제2 간격(X2)이 되도록, 상기 관통 로드(17)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위치 고정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관통 로드(17)는 너트를 수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위치 고정부(19)로 너트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다른 방식으로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를 관통 로드(17) 상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나사산이 없는 관통 로드 상에 고무링으로 제1 및 제2 밀착부를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15a, 15b)가 형성될 수 있다.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면의 접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피부에 안정적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경우 밀착면에 양면 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력을 부가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압축부(11)의 경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가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나, 도 3의 실시예의 압축부(11')의 경우 제1 및 제2 밀착부(14a, 14b)가 밀착 플레이트와 이에 연결된 양측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의 형상은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피부 표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전 상태(a)와 압력을 가하는 상태(b)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13a, 13b, 14a, 14b)들은 피부 표면에 부착되어, 피부 표면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은 제1 간격(X1) 및 제2 간격(X2)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압력을 가한 뒤 피부 표면으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 분간 압력을 가하고 압축부를 피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특히, 압력을 가하는 시간 또는 제1 및 제2 간격의 차이를 조절함으로써 압력의 크기 또는 압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상기 주름 측정 장치에서와 동일한 부재 및 방법에 대해서는 동일한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방법은,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피부의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후 중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한다.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 평균 거칠기, 주름의 모양, 주름 깊이, 주름 면적, 주름 길이, 주름 부피 및 주름 개수 중 하나 이상의 피부 형태를 측정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파라미터가 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주름 측정을 위해, 2차원 이미지 측정, 3차원 이미지 측정, 주름의 어두운 면적 계산 및 육안 측정 등 다양한 방식이 이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의 3차원 이미지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차원 이미지 측정을 통하는 경우 1회의 측정으로 인하여, 주름의 깊이, 평균 거칠기, 주름 모양, 주름 면적, 주름 길이, 주름 부피 및 주름 개수를 측정할 수 있으며, 1회의 측정만으로도 주름의 다양한 특징의 분석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의 측정을 통하여 피부 탄력 또는 피부 복원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름의 탄력 또는 주름의 복원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주름의 탄력은 주름이 앞으로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냐를 판단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 또는 피부(또는 주름)의 복원력은 피부가 얼마나 빨리 회복되느냐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피부가 얼마나 빨리 회복되었느냐와 (동일한 시간에 대해서는) 피부의 회복 정도가 어느 정도가 되느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후 또는 압축 중과 압축 후의 주름의 차이에 따라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압축 전/후의 측정을 통하여 압력에 대하여 주름이 얼마나 주름이 얼마나 깊게 형성되었느냐를 측정하여,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중과 압축 후의 주름의 차이를 통하여, 피부가 얼마나 회복되었느냐를 측정하여 피부의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압축 전과 시간에 따른 압축 후의 주름의 회복 시간 측정을 통하여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압축 후의 주름이 원래 상태(압축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데에 얼마나 많은 회복 시간이 걸리느냐를 측정하여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탄력은 시간 또는 길이나 면적의 형태로 측정되기 때문에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해진다. 즉, 시간 값의 비교나 길이나 면적 값을 비교 및 분석함으로써 피부(또는 주름)의 탄력도가 어느 정도 인지를 정량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여 볼 수 있다.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주름 측정을 통하여, 상기 압축 전의 40 ㎛ 이하의 주름을 압축하여 주름의 형태를 측정할 수 있다.
즉, 40 ㎛ 이하의 주름의 경우 가시적으로 확인이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이 경우 3차원 이미지 촬영을 하더라도 명확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주름 측정을 통하여 주름의 형태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가능해 진다.
특히, 주름이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20 대와 30 대의 미세 주름을 명확하게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을 자극하여 주름이 명확하게 보이게 하여 주름의 형태를 측정함으로써,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는 잠재된 숨겨진 미세 주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압력으로 압축하여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축된 상태의 주름의 형태의 분석으로 주름의 정량적인 비교 및 분석이 또한 가능해진다.
20 대와 30 대의 연령별 각각 2명(총 4명)을 대상으로 비누 세안을 한 뒤 항온/항습 조건(20℃, RH 40%)에서 15분 동안 피부를 적응시켰다. 압축부를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3차원 입체 측정기(독일 GFM사의 PRIMOS를 사용함)를 이용하여 3차원 이미지 촬영을 하였다. 이후 압축부의 제1 및 제2 밀착부를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여 눈 가와 눈 밑에 부착하였다. 압축 전의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인 제1 간격(X1)은 3 cm 이었고, 압축 후의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인, 제2 간격(X2)은 2 cm 로 하였다. 압축 상태를 3분간 유지한 뒤, 압축부를 떼어내었다. 그리고 다시 동일한 3차원 입체 측정기로 눈 가와 눈 밑을 이미지 촬영을 하였다. 눈 가에 대해 측정된 이미지들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눈 밑에 대해 측정된 이미지들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3차원 이미지들을 통하여 분석한 평균 거칠기(Ra)는 다음 표 1과 같다.
눈 가 눈 밑
압축 전(㎛) 압축 중(㎛) 압축 후(㎛) 압축 전(㎛) 압축 중(㎛) 압축 후(㎛)
20대 15.4 104.9 20.35 20.4 39.1 25.4
30대 26.9 131.5 32.9 26.85 76.4 46.2
위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측정 장치로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20 및 30대의 2차 주름은 압축 중에는 1차 주름으로 바뀌었고, 떼어낸 후에는 이전보다 주름이 증가하였다. 20대의 경우 보이지 않던 주름이 시각적으로 보이는 주름으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특히, 피부의 두께가 얇은 눈 밑의 경우에는 압축부로 주름을 유발하기 전에는 20 대와 30 대의 평균 거칠기(Ra) 차이가 대략 5 ㎛ 였으나, 압축부로 주름을 유발한 후에는 대략 20 ㎛가 차이가 났다. 즉, 압축부로 주름에 압력을 가하기 전보다 4배 정도 차이가 났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보이지 않는 미세 주름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주름의 수치를 정량적으로 표현하여 비교할 수 있었다.
1: 주름 측정 장치
10, 11, 11': 표면 방향 압축부
13a, 13b, 14a, 14b: 제1 및 제2 밀착부
17: 관통 로드
19: 위치 고정부
20: 주름 측정부

Claims (10)

  1.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는 제1 및 제2 밀착부를 포함하는 표면 방향 압축부; 및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제거 후 상태 중 적어도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하는 주름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 측정부는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제거 후 또는 압축 중과 압축 제거 후의 주름의 차이 또는 상기 피부의 압축 제거 후의 주름이 압축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회복 시간을 측정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측정부는 3차원 이미지 측정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방향 압축부는,
    비-압축 상태의 제1 간격과 압축 상태의 제2 간격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로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이 상기 제1 간격 또는 제2 간격이 되도록, 상기 관통 로드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측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밀착부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면에는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측정 장치.
  5. 피부에 밀착되어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밀착부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피부를 그 표면 방향으로 압축하고;
    상기 피부의 압축 전, 압축 중 및 압축 제거 후 상태 중 적어도 2 이상의 상태에서 피부 주름을 측정하고,
    상기 피부 주름 측정은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제거 후 또는 압축 중과 압축 제거 후의 주름의 차이 또는 상기 피부의 압축 제거 후의 주름이 압축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회복 시간을 측정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측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 평균 거칠기, 주름 깊이, 주름 면적, 주름 길이, 주름 부피 및 주름 개수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측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주름의 측정은 피부의 3차원 이미지 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측정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압축 전과 압축 제거 후의 주름 측정을 통하여, 상기 압축 전의 40 ㎛ 이하의 주름을 압축하여 주름의 형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측정 방법.
KR1020140082504A 2014-07-02 2014-07-02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KR10226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04A KR102262307B1 (ko) 2014-07-02 2014-07-02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US15/323,220 US10238332B2 (en) 2014-07-02 2015-06-26 Wrinkle measurement apparatus and wrinkle measurement method
PCT/KR2015/006578 WO2016003123A1 (ko) 2014-07-02 2015-06-26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CN201580041536.0A CN106659482B (zh) 2014-07-02 2015-06-26 皱纹测量仪器及皱纹测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504A KR102262307B1 (ko) 2014-07-02 2014-07-02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85A KR20160004085A (ko) 2016-01-12
KR102262307B1 true KR102262307B1 (ko) 2021-06-09

Family

ID=5501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504A KR102262307B1 (ko) 2014-07-02 2014-07-02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38332B2 (ko)
KR (1) KR102262307B1 (ko)
CN (1) CN106659482B (ko)
WO (1) WO20160031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26A1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톤28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제조장치 및 방법
CN109199323B (zh) * 2017-06-29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皮肤检测装置、产品信息确定方法、装置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9643A1 (en) * 2011-09-22 2013-03-28 Lvmh Recherche Method to measure skin elasticity and firmn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4070A (en) * 1989-11-17 1995-12-1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astographic measurement and imaging
JP3051778B2 (ja) 1992-03-09 2000-06-12 鐘紡株式会社 皺計測システム
EP0821565A1 (fr) * 1996-02-16 1998-02-04 L'oreal Dispositif d'evaluation du plissement de la peau in vivo et procede pour sa mise en oeuvre
US20080304736A1 (en) * 2007-02-20 2008-12-11 Masahiro Nakagawa Method of estimating a visual evaluation value of skin beauty
US8175689B2 (en) * 2007-03-19 2012-05-08 Nicholas Hunter-Jones Skin elasticity measurement
KR101021027B1 (ko) * 2008-07-01 2011-03-09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주름 평가를 위한 입체영상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90163B1 (ko) 2011-05-18 2017-10-26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의 측정 방법
US20130035611A1 (en) * 2011-08-01 2013-02-07 Carter Bell White Vaginal Bio-mechanics Analyzer
CN104540448A (zh) * 2012-01-27 2015-04-22 雷文斯治疗公司 用于测量皱纹严重度的方法和评价量表
JP6251489B2 (ja) * 2013-03-28 2017-12-20 株式会社 資生堂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及び画像解析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9643A1 (en) * 2011-09-22 2013-03-28 Lvmh Recherche Method to measure skin elasticity and firm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482A (zh) 2017-05-10
CN106659482B (zh) 2020-08-18
WO2016003123A1 (ko) 2016-01-07
KR20160004085A (ko) 2016-01-12
US20170127998A1 (en) 2017-05-11
US10238332B2 (en)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307B1 (ko) 주름 측정 장치 및 주름 측정 방법
Teo Material dependence of Casimir interaction between a sphere and a plate: First analytic correction beyond proximity force approximation
Narayanan et al. Sensing of damage and substrate stress in concrete using electro-mechanical impedance measurements of bonded PZT patches
US201802668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ow parameters
US20230228630A1 (en) Shear and normal force sensors,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N104122078A (zh) 一种近眼显示光学镜头像质的评价方法
MY188296A (en) Evaluation device for skin texture based on skin blob and method thereof
CN107123427B (zh) 一种确定噪声声品质的方法及装置
US10739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fingerprint sensor protection layer thickness
Hiti et al. Analysis of the slider force calibration procedure for the British pendulum skid resistance tester
US20200200520A1 (en) Flatness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of same
CN110243510A (zh) 一种新型透明材料的应力检测仪器
CN103196359B (zh) 一种间隙的测量方法及装置
CA3006225A1 (en) Check method of worm gears
WO2019101977A1 (en) Test specimen
US20180231578A1 (en) Capacitance sensor and direction detection device including same
Garza et al. Measurement of mechanical strain using chromatic monitoring of photoelasticity
CN112380756B (zh) 检测调光玻璃的调光膜褶皱的方法及***
KR101552157B1 (ko) Pcb 스트레인 검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6212092A (ja) 角層細胞標本の解析方法
Goerke et al. Investigations of the influence of geometrical irregularities and roughness on the normal contact stiffness of joints
KR20130064581A (ko) 슬립감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20150041876A (ko) 금형을 이용한 피부 탄력 평가 방법
JP2023069035A (ja) ゴム弾性体の接地面観察方法
Destro et al. Four-year study of roughness patterns using weekly calib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