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01B1 -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01B1
KR102262101B1 KR1020200140427A KR20200140427A KR102262101B1 KR 102262101 B1 KR102262101 B1 KR 102262101B1 KR 1020200140427 A KR1020200140427 A KR 1020200140427A KR 20200140427 A KR20200140427 A KR 20200140427A KR 102262101 B1 KR102262101 B1 KR 10226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matter
carbonization
carbonizer
dryer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석
Original Assignee
이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석 filed Critical 이진석
Priority to KR102020014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5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indirect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00001Exhaust gas re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되는 높은 함수율의 유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00)와, 상기 건조기로 부터 배출되는 건조 유기물을 탄화시키는 탄화기(200)를 구비하여, 유기물을 건조한 후 탄화물로 탄화시키도록 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화기(200)는 회전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탄화로(230)와, 상기 탄화로의 외측 둘레에 제공된 가열수단으로 유기물을 간접가열하며, 상기 가열수단은 탄화로의 내부 온도를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탄화로(230) 외측에 제공되고 외측에 단열재가 제공된 자켓(250) 내측에 설치된 전기히터(260)로 구성되며, 상기 탄화기(200)내에서 유기물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를 상기 건조기에서의 유기물 건조를 위해 건조기(100)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탄화기에서 생성된 건류가스를 이용하여 유기물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탄화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열원으로 전기히터를 사용하고 SCR컨트롤러로 비례제어하여 온도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탄화로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탄화기를 정밀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종래 연료를 사용하여 탄화시키는 장치와 비교하여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HYBRID SYSTEM FOR DRYING AND CARBONIZING ORGANIC MATTER}
본 발명은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슬러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나 축분을 건조한 다음, 전기히터로 구성된 가열수단에 의한 간접가열방식으로 유기물의 탄화과정을 설정 온도에 편차없이 정확한 온도로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탄화시키며,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를 탈취로로 공급하여 연소과정에서 유해 악취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고 이 과정에서 고온으로 승온된 열풍을 건조기에 공급하여 유기물의 건조에 소요되는 다량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구조의 유기물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축분과 함께 많은 인구의 생활중에 다량의 유기성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침출수로 인한 토양 오염을 유발하고 매립지 확보에 큰 어려움이 있으며, 소각 처리를 하는 경우 환경오염 유발의 문제 발생과 함께 막대한 연료비용이 소요되고, 그 중에 함유된 유용자원이 폐기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 특히 축분으로 부터 유용 자원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축산 분뇨, 인분, 농·수산물 가공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 식품가공 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 도축공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 함유율이 높으면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아서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 및 탄화시켜 재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를 위한 장치는, 예를들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0969호(공개일자 2008년12월22일)에는 건조로에서 고온 열풍에 의해 건조된 유기물을 내부 중앙에 구비된 열매체관으로 통과하는 탄화물을 산소결핍 상태에서 탄화시키도록, 열매체 관 가열버너를 탄화로에 적정 각도로 부착하여 열매체 관을 가열하여 열매체관의 내부로 통과하는 탄화물을 간접 가열을 하여 탄화시키며, 후단에 설치된 유인송풍기에 의해 유도되어 열매체관 출구 쪽으로 가스와 함께 탄화품이 이송되도록 구성된 탄화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탄화과정에서 생성되는 건류가스에 분진이 다량 포함되어 탄화로 내벽에 분진과 건류가스가 점착되어 탄화기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탄화로에서 열매체관을 가열 후 열원은 열분해로에 보내지며, 유기물 건조와 탄화물 탄화과정에서 발생되는 건류가스와 기타 가스 및 증기를 열분해로에 이송시켜 열분해존에서 가스를 열분해 후 일부의 열을 열회수관을 통하여 열 회수 조절댐퍼로 일정량의 열을 회수하여 다시 탄화로에 열을 공급하여 재사용하도록 되어 연료비는 절감할 수 있으나, 생성된 건류가스를 전량 연소하고 건류가스의 열량이 일정하지 않아 탄화기로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서 균질의 탄화물을 생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하여 탄화물이 연소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탄화로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버너를 사용하여 연료를 연소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량을 상시 배기해야 되는 구조로서 연소가스 배기로 인한 열에너지의 낭비가 초래되어 결국 열에너지의 효율성이 낮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0969호(공개일자 2008년12월2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전기히터가 설치된 자켓 내에서 회전되는 드럼 내에서 건조된 유기물들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탄화시키며 탄화에 필요한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가 가능하여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고 탄화기 회전드럼과 고정부의 씰링구조를 작게 하여 탄화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을 극단적으로 줄임으로써 산소 유입으로 인한 탄화물 화재를 억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유기물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은, 투입되는 높은 함수율의 유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로 부터 배출되는 건조 유기물을 탄화시키는 탄화기를 구비하여, 유기물을 건조한 후 탄화물로 탄화시키도록 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화기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탄화로와, 상기 탄화로의 외측 둘레에 제공된 가열수단으로 유기물을 간접가열하며, 상기 가열수단은 탄화로의 내부 온도를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탄화로 외측에 제공되고 외측에 단열재가 제공된 자켓 내측에 설치된 전기히터로 구성되며,
상기 탄화기내에서 유기물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를 상기 건조기에서의 유기물 건조를 위해 건조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히터는 자켓의 내측면에 배열된 열선으로 구성되고, 탄화로 내부 온도 제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탄화로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응답하여 작동하는 SCR컨트롤러로 상기 전기히터를 비례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화로의 배출측 단부에는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배출수단으로서 버킷부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킷부들은 탄화로가 회전될 때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탄화물을 담고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 스크류가 내장된 배출컨베이어의 입구로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화기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는 탈취로를 통하여 탈취된 상태로 건조기로 공급된다.
상기 탄화기로 부터 배출되는 탄화물을 냉각하는 냉각기와, 그 냉각기에서 냉각된 탄화물을 배출 이송하는 이송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기의 냉각탑에서 냉각된 냉각수에 의해 탄화로에서 배출된 탄화물이 회전되는 이송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도록, 상기 이송로는 케이스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상부에는 냉각수 분사노즐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로의 하부는 케이스 바닥에 일정 수위로 공급된 냉각수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냉각탑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이송기의 바닥으로 공급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되는 탄화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도록 된다.
상기 탄화기에서 배출되는 탄화물은 컨베이어를 통해 냉각기로 투입되며, 상기 탄화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탄화물이 대기중의 산소와 접할 때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에는 불활성물질로서 액화질소를 탄화물에 분사하여 탄화물을 순간적으로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로 부터 건조된 건조 유기물을 일정 규격의 활성탄 형태로 미리 성형하여 탄화기로 투입하도록 상기 건조기의 배출측에 성형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물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은 함수율이 높은 유기성 물질을 건조하기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를 탄화기에서 생성된 건류가스를 이용하여 유기물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탄화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열원으로 전기히터를 사용하고 SCR컨트롤러로 비례제어하여 온도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하여 탄화로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으며,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탄화기를 정밀한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별도의 배기가 필요없게 됨에 따라 종래 연료를 사용하여 탄화시키는 장치와 비교하여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되는 양질의 탄화물을 연료탄으로 사용하거나 활성화단계를 거쳐 폐수처리 여과장치 및 기타 탈취장치에 활성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저렴한 가격에 수요자에 공급하여 유지관리비의 부담으로 인한 여과장치의 활성탄을 제때 교체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처리되지 않고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가의 활성탄의 수입 대체 효과와 폐기물을 자원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해물질이 제거된 탄화물은 토양 개량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탄화기의 히팅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탄화기의 선 A-A에 의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B-B에 의한 단면도로 전기히터 열선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C-C에 의한 단면도로서 전기히터의 열선 배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탄화기에서 탄화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은 투입되는 유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00)와, 상기 건조기로 부터 배출되는 건조 유기물을 탄화시키는 탄화기(200), 상기 탄화기로 부터 배출되는 탄화물을 냉각하는 냉각기(300) 및 냉각기에서 냉각된 탄화물을 배출 이송하는 이송기(400)를 포함한다.
유기물의 탄화(carbonization)는 유기물을 가스 배출구가 있는 용기 내에서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면 연소되지 않고, 각종 구성원소가 서로 결합하여 여러 가지 화합물을 만들며, 이들은 다시 결합 또는 분해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로 변화되므로 포집하여 열원으로 활용되고 최종 탄화물이 만들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건조기(100)는 원료공급설비로 투입되는 유기물을 내부로 장입하는 컨베이어(110)를 포함하며, 투입된 유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는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130)에 의해 파쇄된 유기물을 이송하면서 후술하는 탄화기(200)에서 발생된 고온의 건류가스를 송풍기(210)에 의해 건조기 내부로 공급하여 고온의 건류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유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함수율이 높은 유기물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하게 된다.
상기 탄화기(200)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는 송풍기(210)에 의하여 탈취로(150)를 통하여 탈취된 상태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취로에는 송풍기(160)에 의해 외부 공기를 탈취로(150)로 공급한다.
상기한 건조기(100)에서 함수율 5%내로 건조된 유기물은 건조기 로터리밸브(170)를 통하여 탄화기 투입기(220)로 공급되며, 상기 탄화기 투입기(220)는 스크류 방식으로 탄화기(200)로 건조 유기물을 공급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건조된 유기물을 활성탄과 같이 일정 규격의 형태로 미리 성형하여 탄화기(200)로 공급하도록 상기 건조기 로터리밸브(170) 아래쪽에 성형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기(100)에서 유기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분진은 집진기(500)에서 포집되어 정화된 공기는 배기가스 처리시설로 배출되고, 포집된 분진은 이송기(400)로 배출되며, 건조기에서 배출되는 건조 유기물이 탄화기(200)로 투입될 때 발생되는 부스러기나 분진 또한 이송기(400)로 배출된다.
도 2 내지 4에 있어서, 상기 탄화기(200)는 회전모터(225)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형의 탄화로(230)와, 상기 탄화로의 외측 둘레에 제공된 가열수단으로서 전기 히터에 의해 유기물을 간접가열하며, 이를 위하여 회전되는 탄화로(230)는 그 외측에 제공된 자켓(250) 내측에 전기히터(260)가 제공되며, 상기 탄화로의 내부 온도가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도면에 미도시된 통상의 온도센서에 의해 응답하여 작동하는 SCR컨트롤러로 상기 전기히터(260)를 비례제어함으로써 온도 제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CR컨트롤러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탄화로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감지된 현재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SCR 전류를 높여 열선에 전류가 흐르게 하고, 설정된 온도 보다 높으면 상기 SCR 전류를 낮춰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구성 자체는 이미 공지의 것임을 밝혀둔다.
이로써, 탄화로(230)의 내부 온도가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온도 범위로 정밀하게 제어됨으로써, 탄화물이 생성과정에서 연소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양호한 품질의 탄화물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종래 연소열에 의한 탄화시 필요 이상의 고온으로 인한 과도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게 되므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켓(250)은 그 내측 표면에 전기히터(260)로서의 열선이 배열되며, 상기 열선은 탄화시 최적의 온도로 제어하도록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 각 구역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여 탄화로(230)의 내부 온도를 700℃~850℃로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로의 내부 구역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도면에 미도시된 SCR컨트롤러로 상기 전기히터(260)를 구역별로 최적 조건으로 비례제어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켓 외측면에는 단열재(251)가 설치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켓(250)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로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열선들이 사각형 단면의 3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4면에 설치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화로(230)의 배출측 단부에는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배출수단으로서 버킷부(23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킷부들은 탄화로가 회전될 때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탄화물을 담을 수 있고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 스크류가 내장된 배출컨베이어(255)의 입구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배출 컨베이어(255)는 내부에 회전되는 스크류가 설치되어 투입된 탄화물을 냉각기(300)로 이송하는 투입구측 컨베이어(310)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는 스크류컨베이어로 구성되고 배출단에는 2단 게이트(256)가 설치되어 교차로 여닫음으로서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 냉각기로의 투입을 위한 컨베이어(310)에는 상기 탄화기(200)에서 배출되는 탄화물이 300℃ 이상으로 되어 배출시 대기중의 산소와 접할 때 화재가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컨베이어(310)에는 불활성물질로서 액화질소를 탄화물에 분사하여 탄화물을 순간적으로 냉각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탄화로(230)의 배출컨베이어(255)에 연결된 관로를 통해 송풍기(210)에 의해 건류가스를 상기한 건조기(100)에 구비된 탈취로(150)를 거쳐 건조기로 순환되게 함으로써, 탄화로에서 발생된 건류가스의 열을 건조기(100)에서의 유기물 건조에 활용함으로써 열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기(300)는 탄화로(230)에 설치된 배출컨베이어(255)를 통해 탄화물이 컨베이어(310)를 통해 회전가능한 이송로(320)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탑(330)에서 냉각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로(320)는 케이스(34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상부에는 냉각수 분사노즐(350)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로(320)의 하부는 케이스(340) 바닥에 일정 수위로 공급된 냉각수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이송로(320)가 회전되는 동안에 냉각수가 이송로 상면에 공급되고 하부는 냉각수에 잠김으로써, 이송로 내부의 탄화물은 40℃이하로 냉각된다. 상기 냉각탑(330)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분사노즐(350)로 공급되는 한편, 케이스(340)의 하부로 공급되어 다시 냉각탑에서 냉각되어 순환된다.
상기 이송로(320)의 배출측 단부에는 배출컨베이어(360)가 설치되며, 이송로에서 냉각된 탄화물이 배출컨베이어(360)로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탄화로(230)의 배출컨베이어(255)의 배출측에 형성된 버킷부(231)들로 된 배출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배출컨베이어(360)에 의해 탄화물은 이송기(400)의 이송컨베이어(410)에 의해 운송수단이나 저장고로 배출된 다음, 탄화물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판매토록 한다.
상기 냉각탑(330)에서의 냉각수가 상기 이송기(400)의 바닥으로 공급되어 이송컨베이어(410)를 통해 배출되는 탄화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은 탄화기에서 건조 유기물을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의 건류가스를 건조로의 유기물 건조에 활용하는 한편, 전기히터로 탄화로 내에서의 정밀하게 제어되는 온도범위에서 유기물을 탄화시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 화석 연료를 사용한 연소열로 건조 및 탄화시키는 것과 비교하여 열에너지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고, 탄화로를 미리 설정된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온도 범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 축분을 포함하여 유기물을 함유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정밀한 온도 제어하에서 에너지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건조 및 탄화시켜 연료탄이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여과기 또는 악취방지시설의 흡착용 활성탄 생성, 및 유해물질이 제거된 탄화물로 토양 개량재로 개질시키도록 이용될 수 있다.
100 : 건조기 200 : 탄화기
300 : 냉각기 400 : 이송기
500 : 집진기

Claims (8)

  1. 투입되는 높은 함수율의 유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100)와, 상기 건조기로 부터 배출되는 건조 유기물을 탄화시키는 탄화기(200)를 구비하여 유기물을 건조한 후 탄화물로 탄화시키도록 된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화기(200)로 부터 배출되는 탄화물을 냉각하는 냉각기(300)와, 그 냉각기에서 냉각된 탄화물을 배출 이송하는 이송기(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화기(200)는 회전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의 탄화로(230)와, 상기 탄화로의 외측 둘레에 제공된 가열수단으로 유기물을 간접가열하며, 상기 가열수단은 탄화로의 내부 온도를 건조 유기물의 탄화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하도록 탄화로(230) 외측에 제공되고 외측에 단열재가 제공된 자켓(250) 내측에 설치된 전기히터(260)로 구성되며,
    상기 탄화기(200)내에서 유기물의 탄화과정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를 상기 건조기에서의 유기물 건조를 위해 건조기(100) 내부로 공급하도록 되고,
    상기 냉각기(300)에는 냉각탑(330)이 제공되어 냉각된 냉각수에 의해 탄화로(230)에서 배출된 탄화물이 회전되는 이송로(320)를 통과하는 동안에 냉각되도록, 상기 이송로(320)는 케이스(340)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340)의 내측면 상부에는 냉각수 분사노즐(350)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로(320)의 하부는 케이스(340) 바닥에 일정 수위로 공급된 냉각수에 잠기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260)는 자켓(250)의 내측면에 배열된 열선으로 구성되고, 탄화시 최적의 온도로 제어하도록 상기 열선을 다수의 구역으로 분리하여 구역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고, 탄화로(230) 내부 온도 제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탄화로의 내부 구역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응답하여 작동하는 SCR컨트롤러로 상기 전기히터(260)를 구역별로 최적 조건으로 비례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로(230)의 배출측 단부에는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배출수단으로서 버킷부(231)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버킷부들은 탄화로가 회전될 때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탄화물을 담고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개방된 중앙부를 통해 배출 스크류가 내장된 배출컨베이어(255)의 입구로 투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기(200)에서 발생된 건류가스는 송풍기(210)에 의하여 탈취로(150)를 통하여 탈취된 상태로 건조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330)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이송기(400)의 바닥으로 공급되어 이송컨베이어(410)를 통해 배출되는 탄화물을 상온으로 냉각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기(200)에서 배출되는 탄화물은 컨베이어(310)를 통해 냉각기(300)로 투입되며, 상기 탄화기(2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탄화물이 대기중의 산소와 접할 때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310)에는 불활성물질로서 액화질소를 탄화물에 분사하여 탄화물을 순간적으로 냉각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100)로 부터 건조된 건조 유기물을 일정 규격의 활성탄 형태로 미리 성형하여 탄화기(200)로 투입하도록 상기 건조기의 배출측에 성형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KR1020200140427A 2020-10-27 2020-10-27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KR10226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27A KR102262101B1 (ko) 2020-10-27 2020-10-27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427A KR102262101B1 (ko) 2020-10-27 2020-10-27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101B1 true KR102262101B1 (ko) 2021-06-08

Family

ID=7639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27A KR102262101B1 (ko) 2020-10-27 2020-10-27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15B1 (ko) * 2022-01-11 2022-11-30 주식회사 강원이솔루션 전기히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용 분말원료 건조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76A (ko) * 1998-09-17 2000-04-15 안봉조 고온 열분해식 자동 소각장치
KR20080110969A (ko) 2008-11-28 2008-12-22 (주)한국환경기술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KR101003006B1 (ko) * 2008-07-11 2010-12-21 옥철안 건류가스 제거기능을 구비한 연소로 및 탄화시스템
KR20130020518A (ko) * 2011-08-19 2013-02-27 박준호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KR20130098602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엠에스비이이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탄화장치
KR20160143266A (ko) * 2015-06-05 2016-1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US20170210625A1 (en) * 2015-06-05 2017-07-27 Suez International Hydrothermal carbonization method and device with optimised sludge and steam mixing
KR101838982B1 (ko) * 2017-06-02 2018-04-27 주식회사에코코리아 건조 탄화 공법을 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5978B1 (ko) * 2019-02-14 2019-10-01 (주)오앤엠 코리아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반탄화 설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76A (ko) * 1998-09-17 2000-04-15 안봉조 고온 열분해식 자동 소각장치
KR101003006B1 (ko) * 2008-07-11 2010-12-21 옥철안 건류가스 제거기능을 구비한 연소로 및 탄화시스템
KR20080110969A (ko) 2008-11-28 2008-12-22 (주)한국환경기술 슬러지 건조와 탄화장치
KR20130020518A (ko) * 2011-08-19 2013-02-27 박준호 슬러지 탄화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부생연료추출방법
KR20130098602A (ko) * 2012-02-28 2013-09-05 주식회사 엠에스비이이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 탄화장치
KR20160143266A (ko) * 2015-06-05 2016-12-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반탄화 장치
US20170210625A1 (en) * 2015-06-05 2017-07-27 Suez International Hydrothermal carbonization method and device with optimised sludge and steam mixing
KR101838982B1 (ko) * 2017-06-02 2018-04-27 주식회사에코코리아 건조 탄화 공법을 활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5978B1 (ko) * 2019-02-14 2019-10-01 (주)오앤엠 코리아 에너지 절감형 하이브리드 반탄화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15B1 (ko) * 2022-01-11 2022-11-30 주식회사 강원이솔루션 전기히터를 구비한, 이차전지 제조용 분말원료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676B1 (ko) 유기성 폐기물 탄화방법 및 그 장치
JP3602504B2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KR101916958B1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JP2006274201A (ja) 連続減圧乾燥/炭化装置
KR20180054939A (ko) 슬러지용 열분해 탄화장치 및 방법
CN110805907B (zh) 一种处理含水含有机物和含其它溶解性气体的固体废盐裂解炉工艺及装置
TW201940678A (zh) 碳化爐
KR102262101B1 (ko) 유기물의 건조 탄화 하이브리드시스템
KR200380974Y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KR20140016451A (ko) 열분해장치
CN104211271A (zh) 一种二段式污泥燃气化处理方法及处理装置
KR101179523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장치
KR20060064141A (ko) 열분해법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처리 장치 및 처리방법
CN204125311U (zh) 一种二段式污泥燃气化处理装置
KR100520347B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JP5156253B2 (ja) アスコン工場における産廃焼却施設の設置による省エネ方法
CA2140897A1 (en) Apparatus for retorting organic matter
JP4077811B2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KR100473583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활성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9138089A (ja) 多段スクリュー炭化装置
CN109708464B (zh) 一种烟-气分流净化的双筒回转窑
KR20060094116A (ko) 에너지 절약형 슬러지 처리시스템
KR20190004169A (ko) 하수슬러지 처리장치
KR200422220Y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100482786B1 (ko) 폐기물 고속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