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487B1 -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 Google Patents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487B1
KR102260487B1 KR1020200036788A KR20200036788A KR102260487B1 KR 102260487 B1 KR102260487 B1 KR 102260487B1 KR 1020200036788 A KR1020200036788 A KR 1020200036788A KR 20200036788 A KR20200036788 A KR 20200036788A KR 102260487 B1 KR102260487 B1 KR 10226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lution
roun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신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와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와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와인드
Priority to KR102020003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D1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D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는, 일정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측 하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1 슬릿과,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1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1 결합부;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X,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이 대칭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우측 상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2 슬릿과,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2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에 의하면, 역 원추형 컵에 기밀하고 타이트하게 결합되면서 조립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고, 커피 원두 내지 꽃과 같은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의 거치 및 지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FUNCTIONAL CUP HOLDER IMPROVED ASSEMBLY CONVENIENCE}
본 발명은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신속한 조립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함과 동시에 조립 구조의 견고함을 보장하면서 미적 디자인을 추구할 수 있는 기능성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컵 홀더는 사전적 의미로서는 컵을 받치는 기능을 제공하는 물체로서 패널 타입의 받침대, 자동차용 홈이나 텀불러 등의 다양한 구조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일반인들이 현재 널리 이용하는 커피점에서 취급하는 테이크아웃 컵을 지지하기 위한 컵 홀더는 일정 폭을 가진 띠지 형태로 이루어져 컵의 외주면을 감싼 다음 양 측을 고정시키면서 컵에 체결되는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같이 테이크아웃 컵용 컵 홀더는 테이크아웃 컵에 수용된 음료가 뜨겁거나 차가울 때 이를 직접 파지할 경우 신체에 손상을 주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보온 또는 보냉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공지의 테이크아웃 컵 홀더를 살펴보면,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길이로 연장되되 양 단에 돌기/홈과 같은 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보편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 즉 역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테이크아웃 컵에 장착될 경우 컵 홀더의 상부와 컵 사이에 불필요한 이격 공간이 발생되어 컵 홀더가 쉽사리 컵에서 이탈되거나 보냉/보온 기능을 저해하는 문제가 따랐다. 더불어, 일반적인 띠지 형상을 가져 디자인적으로도 평범한 미감을 제공하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컵 홀더, 특히 테이크아웃용 컵 홀더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별도의 기능을 부여한 컵 홀더가 적지 않게 공개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컵과의 결합력을 보완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3-0125003호인 기능성 테이크아울 컵 홀더는 내부에 컵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상광하협의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어 휴대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홀더 본체; 및 상기 홀더 본체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 본체와 컵의 결속을 위한 홀딩 벨트; 를 포함하여, 홀딩 벨트를 통해 컵과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에 따르면, 본체 이외에 별도의 홀딩 벨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따를 뿐 아니라 홀더 본체를 1차적으로 컵에 장착한 다음 홀딩 벨트를 2차적으로 컵에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방법이 번거로워진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 없이 본체 자체적으로 컵, 특히 테이크아웃용 컵에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은 물론 보다 뛰어난 디자인을 제공하면서 조립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컵 홀더를 개발할 필요성이 따르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띠지 형태의 본체 양단에 제 1,2 결합부를 제공하되 이 제 1,2 결합부에 구비된 슬릿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역 원추형 컵에 특히 불필요한 이격 공간 없이 완벽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2 결합부가 결합한 돌출 부위가 커피 원두나 꽃과 같은 형상을 가져 새로운 미감을 형성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신체 일부 부위를 걸거나 파지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 1,2 결합부의 결합 시 결합 부위가 쉽사리 찢기지 않도록 하는 보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체에 항균 또는 탈취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위생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는, 일정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측 하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1 슬릿과,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1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1 결합부;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X,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이 대칭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우측 상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2 슬릿과,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2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슬릿의 도입 부위와 상기 본체의 하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1 슬릿 라운딩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2 슬릿의 도입 부위와 상기 본체의 상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2 슬릿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2 슬릿은, 도입 부위로부터 절개 종결 지점까지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처리되고, 상기 절개 종결 지점은, 라운딩 챔퍼(chamf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에 의하면,
1) 역 원추형 컵에 기밀하고 타이트하게 결합되면서 조립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고,
2) 별도의 화학 접착제 없이 제 1,2 슬릿만으로 안전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친화적 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무접착제 기반으로 재활용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3) 커피 원두 내지 꽃과 같은 제 1,2 결합부의 돌출 부위의 형상을 제공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의 거치 및 지지 기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티백을 편리하게 걸 수 있으며,
4) 휘어진 공지의 띠지 형태의 컵 홀더와 달리 일자로 연장되어 있으면서도 역 원추 형상의 컵에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시 재료의 로스를 방지하여 자원 절약을 추구할 수 있음과 동시에,
5) 찢김 방지 및 불필요한 유격 방지 등의 세부적인 효과를 추가로 제공할 뿐 아니라,
6)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부가하여 위생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 홀더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제 1,2 결합부를 결합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변형 실시예를 컵에 끼운 상태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본체에 적층되는 보호층에 포함된 탈취 물질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컵 홀더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제 1,2 결합부를 결합한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컵 홀더는 본체(10)와 제 1,2 결합부(100,200)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0)는 일정한 폭,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이 컵 홀더를 컵(1)에 끼웠을 때 화상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컵(1)을 파지할 수 있는 정도, 즉 컵(1)의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7 내지 15cm 가량의 폭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컵(1)을 감쌀 수 있는 충분한 길이(이 역시 컵의 직경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음)로 이루어진 스트랩(strap)이나 바(bar) 형상을 취한다.
이 본체(10)는 역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재활용 자원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재활용 종이(골판지, 판지, 두꺼운 마분지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플라스틱 재질이나 기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10)는 양 단에 각각 제 1,2 결합부(110,120)를 구비하고 있는바, 편의상 도 1 내지 3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좌측단에 형성된 결합부를 제 1 결합부(100), 본체(10)의 우측 단에 형성된 것을 제 2 결합부(200)라 한다.
본 발명에서 '좌측','우측'은 본체의 기립 방향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방향, 즉 본체(10)의 길이가 좌우로 연장되도록 본체(10)를 배치하였을 때 본체(10)의 왼쪽 부위를 좌측, 본체(10)의 오른쪽 부위를 우측이라 정의하고, 좌측 단 부위는 본체(10)의 좌측면, 즉 본체(10)의 좌측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기립 부위를 의미하며 우측 단 부위는 본체의 우측면, 즉 본체의 우측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기립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의 전면 방향이라 함은 도 1에서 보이는 본체의 앞쪽 부분을 향한 방향을 의미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100)는 제 1 슬릿(110)과 제 1 라운딩 파트(12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슬릿(110)은 본체(10)의 좌측 하단에서 내측(본체의 중앙 부위 방향)으로 일정 거리 진입된 지점(본 발명에서는 이 지점을 '제 1 지점'이라 한다)에서 좌측 방향, 즉 본체(10)의 좌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라운딩 파트(120)는 본체(10)의 좌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부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체(10)의 평면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변을 가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이 본체의 좌측 단 부위는 상하단 각각에 각이 진 모서리와 일자로 연장된 단변을 형상을 가지나, 제 1 라운딩 파트(120)는 이 상하단의 모서리 부위와 단변을 둥글게 라운딩 처리하였다는 의미이다.
이에 대응하여, 제 2 결합부(200)는 본체(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X,Y축을 기준으로 제 1 결합부(100)의 형상이 대칭 형성된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제 2 결합부(200)는 제 2 슬릿(210)과 제 2 라운딩 파트(220)를 구비하는데, 제 2 슬릿(210)은 본체(10)의 우측 상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2 지점에서 본체(10)의 우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부위이고, 제 2 라운딩 파트(220)는 본체(10)의 우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부위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제 1 결합부(100)가 본체(10)의 좌측 하단에 형성되고 제 2 결합부(200)는 본체(10)의 우측 하단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제 1 결합부(100)가 좌측 상단에 형성되고 제 2 결합부(200)가 우측 하단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중요한 점은 제 1,2 결합부(100,200)가 서로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X,Y축을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 1,2 지점은 각각의 본체(10) 단부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같고 제 1,2 슬릿(110,210)의 경사각이나 절개 길이나 절개 폭도 같게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물론 반드시 완벽하게 제 1,2 결합부(100,200)가 동일한 사이즈 및 동일한 대칭 형상 등을 가질 필요는 없고 후술할 본 발명의 기능 및 작용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약간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제 1 결합부(100)는 제 1 슬릿(110)의 도입 부위와 본체(10)의 하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1 슬릿 라운딩 파트(130)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 2 결합부(200) 역시 제 2 슬릿(210)의 도입 부위와 본체(10)의 상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2 슬릿 라운딩 파트(23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좌측 단 또는 우측 단은 상단 모서리에서 각 측부 및 하단을 지나 제 1 또는 제 2 슬릿이 도입되는 지점까지 전체적으로 라운딩 처리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컵 홀더의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컵 홀더를 컵(1)에 댄 다음 컵(1)의 외주면의 일 측을 감싼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 1,2 결합부(100,200)는 서로 만나는데 이 상태에서 제 1,2 슬릿(110,210)을 서로 결합시키면 최종적으로 도 3과 같은 컵 홀더를 완성시킬 수 있다. 즉, 복잡한 조립 과정 없이 제 1, 2 슬릿(110,210)만을 간단하게 결합시킨 다음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즉, 제 1,2 라운딩 파트의 일부 부위로서 원형 형상으로 정면을 향해 돌출된 것처럼 보이는 부위)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편리하게 결합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공지의 컵홀더와 달리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 1,2 슬릿(110,210)의 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을 추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한 제품은 재활용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컵 홀더는 무접착제 기반이므로 얼마든지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3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는 마치 커피 원두와 같은 디자인을 제공하여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하는 것은 물론 제 1,2 라운딩 파트(120,220)의 라운딩 형상에 의해 별다른 이물감이나 각진 부위 없이 동그랗게 처리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거나 번거로운 거치적거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지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에는 컵(1)에 티백이 포함된 경우에 이 티백을 깔끔하게 걸 수 있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추가적으로 형성된 제 1,2 슬릿 라운딩 파트(130,230)에 의해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를 도 3과 같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원형 꽃잎과 같은 디자인을 제공하여 미감을 부각할 뿐 아니라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의 잔여 부분이 각질 경우에 의한 거치적거림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2 슬릿(110,210)의 경사 형성된 구조에 의하여 이들이 결속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컵(1)을 감싼 본체(10)가 '-' 형상을 가지기 보다는 'ㅅ'형상을 취한다.
커피점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컵(1), 즉 1회용 컵이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 즉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큰 역원추 형상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본체(10)의 'ㅅ'형상에 의하여 컵 홀더가 컵(1)에서 이격되는 문제없이 역원추 형상의 컵(1)에 긴밀하게 접촉, 즉 밀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 구체적으로 제 1 또는 제 2 라운딩 파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범위나 정도에 따라 손쉽게 컵(1)에 보다 타이트하게 본체(10)를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본체를 제작할 때 굳이 본체를 공지의 컵홀더와 같이 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제작할 필요가 없어져 원재료의 로스(loss)를 방지하면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제 1,2 슬릿(110,210)은 일정 폭을 가져 제 1,2 슬릿(110,210)의 결속 시 다양한 접점 부위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을 기준으로 제 1 슬릿(110)의 절개 종결 지점에서 좌측 모서리와 제 2 슬릿(210)의 절개 종결 지점에서 우측 모서리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 밀리지 않고 보다 안정적인 결합 관계를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커피 원두와 같이 제 1,2 결합부(100,200)의 전면으로 부각된 부위, 즉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는 사용자가 컵(1)을 파지한 경우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질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 컵(1)에서 밀리거나 미끄러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 및 상술한 바와 같이 티백을 거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아니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용자의 장지와 검지 또는 장지와 약지 사이에 이 부위를 끼워 상술한 손 밀림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컵 홀더에 의하면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에 의한 독특한 미감을 제공하고 손 밀림 방지 및 컵(1)의 외주면에 타이트하게 밀착되는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컵 홀더에 대한 3가지 변형 실시예를 (a),(b),(c)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3가지 실시예에서는 제 2 결합부(200)의 세부 부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같은 원리와 구조가 제 1 결합부(100)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도면 부호 111, 112는 도 4의 211,212를 통해 제 1 결합부(100)의 어느 부위에 형성되는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먼저, 도 3(a)의 실시예는 제 1,2 슬릿(110,210)의 형상을 변형한 것으로, 제 1,2 슬릿(110,210) 각각은 절개가 시작되는 도입 부위에서 절개 종결 지점까지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taper) 처리된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절개 종결 지점이 뾰족한 것이 아니라 라운딩지도록 챔퍼(chamfer) 처리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제 1,2 슬릿(110,210)이 경사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가 역원추 형상의 컵(1)에 결합될 때 보다 긴밀하게 밀착할 수 있는 구조인 'ㅅ'형상을 취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면서 절개 종결 지점이 서로 벌어진 폭, 즉 면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점에 수렴되도록 하여 제 1,2 결합부(100,200)의 결합 부위가 서로 밀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절개 종결 지점이 점에 수렴되어 자칫 쉽사리 찢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라운딩 챔퍼 처리를 한 것이다.
즉,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가 일정 각으로 회전되거나 본체(10)가 결합된 컵(1)을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면서 본체(10)를 컵(1)의 상부 방향으로 살짝 미는 등으로 본체(10)를 유동시킬 때 제 1,2 슬릿(110,210)의 절개 종결 지점이 쉽사리 찢어지지 않고 본체(10)의 유동 범위에 상응하여 컵 홀더 본연의 지지 기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의 실시예는 제 1,2 슬릿(110,210)의 절개 종결 지점의 주변 부위를 본체(10)의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처리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두껍게 처리된 부위를 보강 부위(111,211)라 한다.
즉, 제 1,2 슬릿(110,210)의 절개 종결 지점이 면 또는 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도 제 1,2 결합부(100,200)의 결합력이 집중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찢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보강 부위(111,211)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보강 부위(111,211)는 본체(10)와 같은 재질을 가지되 본체(10)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 절편 또는 시트를 제 1 또는 제 2 슬릿의 절개 종결 지점의 주변 부위에 부착하거나, 아니면 본체(10)의 제조 시 이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일체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c)의 실시예는 제 1,2 슬릿(110,210) 각각에 확장 슬릿(112,212)을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확장 슬릿(112,212)은 제 1 슬릿(110)의 절개 종결 지점의 좌측 모서리와 제 2 슬릿(210)의 절개 종결 시점의 우측 모서리 각각에서 제 1,2 슬릿(110,210)보다 좁은 폭으로 내측으로 추가 절개된 부위를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제 1,2 결합부(100,200)가 이 확장 슬릿(112,212) 부위에 상호 결합되는바 다시 말해 제 1,2 슬릿(110,210)의 결합 부위보다 깊숙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역원추 형상의 컵(1)의 테이퍼 처리되는 기울기가 급격하게 형성된 경우 이에 순응하면서'ㅅ'형상으로 본체(10)가 가변되기 위하여 뾰족한 부분, 즉 'ㅅ'형상의 상단 끝 부분이 보다 첨예하게 형성될 필요가 있을 때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 확장 슬릿(112,212)의 주변 부위에도 추가 찢김 방지를 위해 상술한 보강 부위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 4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컵 홀더의 지지 기능 및 컵의 형상에 순응하는 가변 기능을 보다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컵 홀더의 변형 실시예를 컵에 끼운 상태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 중 일 부위가 정면 방향(도 5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휘어진 부위를 벤딩 부위라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라운딩 파트(120)에 구비된 제 1 벤딩 부위(121)는 본체(10)의 좌측 상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부위를 의미하고, 제 2 라운딩 파트(220)에 구비된 제 2 벤딩 부위(221)는 본체(10)의 우측 하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부위를 의미한다.
이 제 1,2 벤딩 부위(121,221)는 본체(10)의 제조 시 휨 처리를 하여 만들거나 아니면 제 1,2 벤딩 부위(121,221)에 다른 부위보다 주름이 많도록 주름을 형성하여 이 주름 부위를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전면으로 휘어 제 1,2 벤딩 부위(121,221)를 완성시킬 수 있다.
이 부위는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로 인해 파지 영역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자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 제 1 또는 제 2 벤딩 부위로 인해 전방으로 휘어진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의 둘레에 끼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시 말해 사용자의 안정적인 파지감을 보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 부분을 이 제 1,2 벤딩 부위(121,221)로 인해 전방으로 더욱 돌출된 제 1,2 결합부(100,200)의 둘레 사이에 끼우면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0)와 컵(1)을 파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이 제 1,2 벤딩 부위(121,221)로 인해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가 전방을 향해 추가적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시각적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특정 손가락이 걸릴 수 있는 지지대와 같은 역할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컵을 놓치거나 미끄러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 1 라운딩 파트(120)는 본체(10)의 좌측 하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1 추가 벤딩 부위(122)를 구비하고, 제 2 라운딩 파트(220)는 본체(10)의 우측 상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2 추가 벤딩 부위(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제 1,2 추가 벤딩 부위(122,222)는 상술한 제 1,2 벤딩 부위(121,221)에 의한 제 1,2 결합부(100,200)의 돌출 부위에 대한 전면 지향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다시 말해 본체(10)의 좌측 상단 및 하단 부위는 물론 본체(10)의 우측 상단 및 하단 부위에 벤딩 부위를 형성하여 상술한 손가락 걸림 기능 및 안정적인 파지감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체에 적층되는 보호층에 포함된 탈취 물질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체(10)는 여러 사람에 노출된 장소에 비치되는 경우가 많아 위생적인 관리 상태가 요구될 수 있다. 특히, 테이크아웃 용 컵이 재활용 종이로 제작된 경우 특유의 비린내와 같은 냄새가 발생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따른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체(10)에는 탈취 물질을 포함한 보호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보호층은 베이스(10)의 적어도 일 면(컵의 외주면에 닿는 면이거나 아니면 전면 방향인 사용자의 손에 땋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무되는 방식으로 일정 주기로 코팅되거나 시트나 필름 형태로 이루어져 역시 일정 주기 별로 교체 방식으로 부착되는 등의 다양한 구조와 방식으로 본체(10)에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보호층에 포함된 탈취 물질은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시클로덱스트린은 신체에 무해하여 아동용제약에도 사용되며, 분자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붙잡는 작용으로 탈취 효과를 인정받은 물질이다.
하기에서는 이 탈취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탈취 물질은 제 1용액 제조 단계(S200), 제 2용액 제조 단계(S210), 탈취 물질 완성 단계(S220)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200)는 레시틴 60 내지 70중량부, 콜레스테롤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에탄올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레시틴은 인산, 당지질 등 인지질구조를 가지는 지방 물질군을 두루 가리키는 용어로서 리포좀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고, 리포좀을 형성하는 레시틴류의 액체상이라면 구체적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때, 리포좀이란 수용성과 지용성성분을 모두 캡슐화 하는 인지질 이중막으로 구성되며,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막은 생체막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어 피부 친화적이고 안전하여 인체에 적용하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스테로이드와 알코올의 조합인 스테롤의 하나로서, 콜레스테롤의 수산화기는 인지질의 극성머리부분과 상호작용하고, 콜레스테롤의 스테로이드 구조는 큰 분자량을 가져 비극성으로 작용하며, 인지질의 비극성꼬리부분과 상호작용하여 인지질 이중막을 밀집시켜 유지력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또, 에탄올은 극성이 작은 수용성액체로 본 단계에서는 리포좀이 과하게 빠르게 형성되어 탈취 물질을 적게 수용하는 것을 막는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수행하며, 휘발성이 강해 후술할 단계들을 진행하며 제거되어 리포좀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어서, 제 2 용액 제조 단계(S210)는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을 포함하는 탈취 보조제 45 내지 55중량부, 제 1용액 40 내지 50중량부, L-아르기닌 1 내지 5중량부를 70 내지 8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2500 내지 3500rpm에서 1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L-아르기닌은 알칼리성을 띄고 식물의 탄수화물로부터 만들어져 안전하기 때문에 신체에 노출될 수 있는 제품의 pH 조절을 목적으로 첨가하는 물질이다.
그리고, 탈취 보조제는 본 발명의 탈취 물질의 핵심 물질로서 캡슐 형상의 탈취 물질 내에서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탈취 보조제엔 냄새 제거를 위한 물질로 앞서 언급한 시클로덱스트린이 포함되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탈취 물질 완성 단계(S220)는 제 2용액을 680 내지 720bar의 압력으로 1 내지 3회 분산시켜 탈취 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로서, 고압을 통해 리포좀을 미세하게 존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압력으로 제 2 용액을 분산시키는 과정은 고압분산기를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때, 고압분산기는 유체를 높은 압력으로 관에 통과시켜 입자간의 충돌을 유도해 미세하게 파쇄하고, 압력이 다시 낮아졌을 때 액체가 기화되어 기포가 형성되는 공동화 현상을 이용하여 유체내부에서 세포파괴, 분산, 유화, 리포좀형성 등이 일어나도록 설계한 기기로서, 초음파 및 볼밀 등을 이용한 기기들에 비해 우수한 효율을 보이는 기기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탈취 물질은 레시틴, L-아르기닌, 콜레스테롤 등의 신체에 적용하여도 안전한 물질들을 사용하여 제조되었고, 고압 분산기를 이용해 작은 크기의 리포좀을 형성시켜 캡슐의 표면적을 극대화 한 제품이다. 추가적으로, 작은 크기의 리포좀 형태는 탈취 물질이 분무 되었을 시에 부유시간을 길게 하여 탈취 효과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술한 탈취 물질은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을 포함하는 탈취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악취 원인을 붙잡아 휘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탈취 보조제는 1차 용액 제조 단계, 2차 용액 제조 단계, 3차 용액 제조 단계, 탈취 보조제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 제조 단계는 물 90 내지 95중량부, 시클로덱스트린 5 내지 10중량부를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시클로덱스트린은 당류의 하나로 무독성을 보여 아동용의약품의 쓴맛을 가리는데 사용될 정도로 안전한 물질이다. 추가하여, 시클로덱스트린은 포도당 6 내지 8개가 둥근 왕관 형태로 결합하여 내부 기공을 가지는 고리 구조를 이루는데 이때, 내부 기공에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잡아두어 탈취작용을 할 수 있다. 또, 이 고리구조는 외력으로 파괴되지 않으며, 알코올류 등의 휘발성 물질을 첨가하여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붙잡은 시클로덱스트린을 휘발시킬 수 있다.
더하여, 물은 시클로덱스트린을 쉽게 분산시킬 수 있어 용매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2차 용액 제조 단계는 에탄올 90 내지 95중량부, 방향성 물질 5 내지 10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에탄올은 용매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하여, 완성된 탈취 보조제에서 당류인 시클로덱스트린이 변질되지 않도록 하는 방부제 기능과 함께,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붙잡은 시클로덱스트린을 날려 보내줄 휘발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향성 물질은 티몰, 시트랄등 향기를 가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성을 띄고 물에는 녹지 않지만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가능한 물질이다. 더하여, 티몰은 허브의 한 종류인 타임에서 추출한 물질이고, 시트랄은 레몬 등의 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이며, 이들은 좋은 향기를 가지기 때문에 방향제, 입욕제 등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천연항균제로도 알려져 있어 상술한 항균 물질의 기능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어서, 3차 용액 제조 단계는 1차 용액 45 내지 55중량부, 2차 용액 45 내지 55중량부를 2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22 내지 26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교반기는 높은 rpm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자석젓개 등의 간단한 교반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2차 용액 내의 수용성이면서 무극성 용매인 에탄올을 통해 방향성 물질과 탈취 보조제가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탈취 보조제 완성 단계는 3차 용액을 -70 내지 -60℃에서 동결건조하여 탈취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동결건조를 하였을 때의 긍정적인 점으로는 방향성 물질이 제조단계에서 유실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으며, 고온건조 할 시에 에탄올이 빠르게 증발하게 되어 탈취 보조제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탈취 보조제는 상술한 탈취 물질의 리포좀 안에 캡슐화 될 수 있으며, 캡슐화 된 탈취보조제는 일시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들여 서서히 작용하므로 상술한 보호층에서 탈취는 물론 항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속시간이 늘어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더하여, 인체에 무해한 재료들을 사용해 제조하였기 때문에 신체가 직접 닿는 부위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추가로, 방향성 물질을 포함하여 사용만족도를 높이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2차 용액 제조 단계에는 전체 3차 용액 중량대비,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악취저감제 및 1 내지 5중량% 및 아스코르브산 1 내지 5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아스코르브산은 흔히 비타민C로 알려져 있고, 수용성비타민으로서 분자가 극성을 띄어 탈취 물질에서 유기용제의 휘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하여, 휘발을 방지하는 작용원리는 극성액체와 무극성액체를 혼합할 시 분리가 일어나 공기와의 분리막을 형성하여 유기용제의 휘발을 막는 원리이며, 이를 통해 급격한 휘발을 방지해 탈취 효과가 오래 지속되도록 보조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아스코르브산은 산소라디칼을 잘 잡아내는 항산화제이기도 하여 보존기간 및 사용기간에 탈취 물질의 산소노출에 의한 변질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상술하였듯 2차 용액 제조단계에는 악취저감제가 전체 2차 용액 중량대비,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악취저감제는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3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4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악취저감제 완성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물 50 내지 8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15중량부, 황산제일철 5 내지 25중량부, 황산마그네슘 1 내지 15중량부를 1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수산화알루미늄이 물에서 용해되어 알루미늄 이온으로 수중에서 존재하게 되는데, 알루미늄 이온 주변으로 음전하를 가진 오염물질이 응집된다. 여기서, 알루미늄은 특히 pH 5.6 내지 7.0에서 최적의 응집 효율을 보인다. 따라서 수산화알루미늄이 응집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차 혼합 용액의 pH를 5.6 내지 7.0로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황산제일철의 철(Fe)도 수산화알루미늄의 알루미늄과 같이 수중에서 철 이온으로 존재하며 오염물질을 응집하는 역할을 하는데, 알루미늄이온보다 플록(floc) 형성이 빠르고 더 넓은 pH 내에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더 넓은 응집 pH 범위를 가지며 응집 효율이 더 좋다. 특히, Fe3+ 이온은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황 화합물과 반응하여 FeS 침전물을 만들어냄으로써 폐기물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황산마그네슘의 마그네슘(Mg) 또한 응집제로 사용 가능하나, 알루미늄 이온과 철 이온에 비해서 응집 성능이 떨어지므로 알루미늄이온과 철 이온의 응집 보조제로 이용 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1차 혼합용액 70 내지 99중량부, 황산 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2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1차 혼합 용액을 산화시켜 pH를 낮추는 과정으로서 황산은 1차 혼합 용액의 pH를 낮춰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폐기물 내의 음전하를 띠고 있는 점토입자나 콜로이드 등의 물질을 전기적으로 중화시켜주어, 충돌 집합함으로써 플록을 형성할 수 있고, 2차 혼합 용액은 이러한 플록을 포함하게 된다.
이후, 3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2차 혼합 용액 30 내지 7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 30 내지 70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은 분산제로서 큰 입자와 응집한 입자를 분산시켜 보다 작은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 때 생성된 미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이 단계에서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나노 미셀이 알루미늄이온으로부터 생성된 플록의 표면에 코팅되는데, 폴리아크릴아마이드로 나노 코팅 된 플록들이 서로 같음 전하를 가지므로 서로 반발하여 분산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4차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3차 혼합 용액 70 내지 99중량부, 과산화수소 1 내지 30중량부를 40 내지 6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혼합하여 4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과산화수소는 중합제로서 악취저감제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악취저감제 완성 단계는 4차 혼합 용액 60 내지 99중량부, 규산나트륨 0.1 내지 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악취저감제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규산나트륨은 안정제로서 악취저감제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수산화나트륨은 염기물질로서 황산으로 인해 낮아졌던 pH를 올려주어 용액의 pH를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컵 10: 본체
100: 제 1 결합부 110: 제 1 슬릿
111: 보강 부위 112: 확장 슬릿
120: 제 1 라운딩 파트 121: 제 1 벤딩 부위
122: 제 1 추가 벤딩 부위 130: 제 1 슬릿 라운딩 파트
200: 제 2 결합부 210: 제 2 슬릿
211: 보강 부위 212: 확장 슬릿
220: 제 2 라운딩 파트 221: 제 2 벤딩 부위
222: 제 2 추가 벤딩 부위 230: 제 2 슬릿 라운딩 파트

Claims (10)

  1.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로서,
    일정 폭을 가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
    상기 본체의 좌측 하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1 슬릿과, 상기 본체의 좌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1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1 결합부;
    상기 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X,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이 대칭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우측 상단에서 내측으로 진입된 제 1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제 2 슬릿과, 상기 본체의 우측 단 부위를 라운딩 처리한 제 2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 면에는,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을 포함한 탈취 물질이 포함된 보호층이 적층되되,
    상기 탈취 물질은,
    레시틴 60 내지 70중량부, 콜레스테롤 분말 10 내지 20중량부, 에탄올 5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을 포함하는 탈취 보조제 45 내지 55중량부, 상기 제 1용액 40 내지 50중량부, L-아르기닌 1 내지 5중량부를 70 내지 8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2500 내지 3500rpm에서 10 내지 30분간 혼합하여 제 2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2용액을 680 내지 720bar의 압력으로 1 내지 3회 분산시켜 탈취 물질을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고,
    상기 탈취 보조제는,
    물 90 내지 95중량부, 상기 시클로덱스트린(Cyclo dextrin) 5 내지 10중량부를 30 내지 40분 동안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에탄올 90 내지 95중량부, 방향성 물질 5 내지 10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용액 45 내지 55중량부, 상기 2차 용액 45 내지 55중량부를 200 내지 300rpm의 속도로 22 내지 26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차 용액을 -70 내지 -60℃에서 동결건조하여 탈취 보조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며,
    상기 2차 용액은,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 악취저감제 및 아스코르브산을 추가로 포함하되, 전체 2차 용액 중량대비, 1 내지 5중량%의 상기 악취저감제와 1 내지 5중량%의 상기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저감제는,
    물 50 내지 8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1 내지 15중량부, 황산제일철 5 내지 25 중량부, 황산마그네슘 1 내지 15중량부를 1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1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혼합 용액 70 내지 99중량부, 황산 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혼합 용액 30 내지 70중량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 30 내지 70중량부를 60 내지 8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차 혼합 용액 70 내지 99중량부, 과산화수소 1 내지 30중량부를 20 내지 5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혼합하여 4차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4차 혼합 용액 60 내지 99중량부, 규산나트륨 0.1 내지 20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내지 20중량부를 40 내지 6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혼합하여 악취저감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슬릿의 도입 부위와 상기 본체의 하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1 슬릿 라운딩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2 슬릿의 도입 부위와 상기 본체의 상단 경계 지점을 라운딩 처리한 제 2 슬릿 라운딩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슬릿은,
    도입 부위로부터 절개 종결 지점까지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 처리되고,
    상기 절개 종결 지점은, 라운딩 챔퍼(chamfer)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슬릿의 절개 종결 지점의 주변 부위는,
    상기 본체의 다른 부위보다 두껍게 처리된 보강 부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의 절개 종결 지점의 좌측 모서리와 상기 제 2 슬릿의 절개 종결 시점의 우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 1,2 슬릿보다 좁은 폭으로 내측으로 추가 절개된 확장 슬릿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운딩 파트는,
    상기 본체의 좌측 상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1 벤딩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라운딩 파트는,
    상기 본체의 우측 하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2 벤딩 부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라운딩 파트는,
    상기 본체의 좌측 하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1 추가 벤딩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라운딩 파트는,
    상기 본체의 우측 상단 부위를 전면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처리한 제 2 추가 벤딩 부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컵 홀더.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36788A 2020-03-26 2020-03-26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KR10226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88A KR102260487B1 (ko) 2020-03-26 2020-03-26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788A KR102260487B1 (ko) 2020-03-26 2020-03-26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487B1 true KR102260487B1 (ko) 2021-06-21

Family

ID=765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88A KR102260487B1 (ko) 2020-03-26 2020-03-26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4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91Y1 (ko) * 2002-03-12 2002-07-13 이상욱 전개형 컵홀더
JP2004167218A (ja) * 2002-10-28 2004-06-17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組成物
KR20100008283U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투고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KR20190108442A (ko) * 2018-03-14 2019-09-24 곽경래 컵 트레이 겸용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91Y1 (ko) * 2002-03-12 2002-07-13 이상욱 전개형 컵홀더
JP2004167218A (ja) * 2002-10-28 2004-06-17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剤組成物
KR20100008283U (ko) * 2009-02-10 2010-08-19 주식회사 투고솔 컵 용기의 단열 슬리브
KR20190108442A (ko) * 2018-03-14 2019-09-24 곽경래 컵 트레이 겸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harya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transnasal microemulsion of carbamazepine
Kau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ovel surfactant-based elastic vesicular system for ocular delivery of fluconazole
CN111065415A (zh) 药剂局部递送的平台及其配制方法
Sahu et al. Nanoemulsion: A novel eon in cancer chemotherapy
KR100379777B1 (ko) 윤활보조체
CN101658511B (zh) 粘合贴剂
US8268367B2 (en) Topical herbal formulation for treatment of acne and skin disorders
BRPI0611107A2 (pt) composições para administração de medicamentos
JP5882558B2 (ja) 芳香又は香気を開放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260487B1 (ko)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컵 홀더
US9708115B2 (en) Scented paper tissue container
JP2008094828A (ja) ヒトの皮膚に適用可能で、水と接触してゲル化可能な固体の化粧品および治療用組成物
CA2595615C (en) Feminine anti-itch gel
US8261907B2 (en) Wound closure adhesive remover
RU2342923C1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антисеп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рук с увлажняющим эффектом (варианты)
US20160206548A1 (en) Coconut oi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Anandharamakrishnan et al. Liposomal Encapsulation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JP2003521340A (ja) 医薬品または化粧品分野で使用可能な有効成分の塗布装置
Sarolia et al. The effect of edge activator on the evolution and application of a nonionic surfactant: The elastic vesicular system
Saikumar et al. Role of penetration enhancers i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AR015531A1 (es) Composicion farmaceutica oral, concentrado farmaceutico y proceso para prepararlo
CN104983673B (zh) 抗hiv病毒的jb蛋白直肠凝胶制剂配方及制备方法
JP2001335428A (ja) アイパック化粧料
JP2000319123A (ja) シート状パック剤
WO2017111587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kerat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