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067B1 - 거꾸로 접히는 우산 - Google Patents

거꾸로 접히는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067B1
KR102260067B1 KR1020200134302A KR20200134302A KR102260067B1 KR 102260067 B1 KR102260067 B1 KR 102260067B1 KR 1020200134302 A KR1020200134302 A KR 1020200134302A KR 20200134302 A KR20200134302 A KR 20200134302A KR 102260067 B1 KR102260067 B1 KR 102260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rame
handle
hing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웅
Original Assignee
박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웅 filed Critical 박진웅
Priority to KR102020013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8Umbrellas having upward pointing rib ends when closed, i.e. the lower dry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outside when closed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지가 거꾸로 접혀 사용시 빗물이 잔존하는 우산 외측면이 내측면으로 접히면서 우산과 인접한 외부에 빗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고, 우산지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이 간단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지가 접히면서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프레임의 상단을 확장되어 접힘상태로 프레임 상단을 지면에 지지하여 우산지에 잔존하는 빗물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프레임 밖으로 배수될 수 있어 우산을 별도로 펼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건조될 수 있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꾸로 접히는 우산 {FOLDING UMBRELLA UPSIDE DOWN}
본 발명은 우산지가 거꾸로 접혀 사용시 빗물이 잔존하는 우산 외측면이 내측면으로 접히면서 우산과 인접한 외부에 빗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고, 우산지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이 간단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지가 접히면서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프레임의 상단을 확장되어 접힘상태로 프레임 상단을 지면에 지지하여 우산지에 잔존하는 빗물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프레임 밖으로 배수될 수 있어 우산을 별도로 펼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건조될 수 있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관한 것이다.
우산은 비를 피하기 위한 도구로, 일반적으로 우산을 사용하고 접을 경우 비를 맞은 외측 우산지가 접힘과 동시에 바깥쪽을 향하게 되고, 이로인해 우산을 접은 상태로 소지한 사용자 및 우산 주변에 우산에 잔존하는 빗물이 묻기 쉬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644호에 "거꾸로 접히는 자동우산"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우산살이 차량의 문짝에 걸리지 않으므로 완전히 폐산 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한손으로 자동폐산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우산을 차량내부로 당겨들이면서 문짝을 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우산에 비해 비를 적게 맞고 승차가 가능하도록하는 유용한 고안이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고장이 잦으며, 우산을 펴고 접을 때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산살이 외부에 위치하면서 내측으로 우산천이 구비되나 우산살은 얇기 때문에 우산천을 보호하기 어렵고 우산을 접는 과정에서 우산천에 묻은 물이 외측으로 튈 수 있어 이로인해 주변에 빗물 영향을 주게 된다는 문제는 동일하게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8644호 "거꾸로 접히는 자동우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7074호 "거꾸로 접히는 우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3312호 "거꾸로 접히는 우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지가 거꾸로 접혀 사용시 빗물이 잔존하는 우산 외측면이 내측면으로 접힘으로써 우산과 인접한 외부에 빗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고, 우산지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이 간단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우산지가 접히면서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프레임의 상단을 확장되어 접힘상태로 프레임 상단을 지면에 지지하여 우산지에 잔존하는 빗물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프레임 밖으로 배수될 수 있어 우산을 별도로 펼치지 않고도 자동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중교통 이용과 같이 우산을 잡기 불편한 상황에서는 접힘상태의 우산을 지면에 지지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산을 직접 들고있지 않아도 우산의 임시 거치가 용이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우산을 이루는 프레임과 우산살의 재질은 기존의 철재가 아닌 경화시킨 쌀가루로 대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프레임 및 우산살이 빗물로 인해 녹스는 등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있어서,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상측에 구비되는 우산살과, 상기 우산살과 결합되어 상기 우산살의 이동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되는 우산지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을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우산살의 일단과 결합되어 하강시 상기 우산살 및 상기 우산지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핸들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우산살과 상기 우산지와 상기 승강핸들을 내부로 수용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핸들이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높이를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에 내장된 상기 승강핸들의 일측이 관통되는 핸들이동홈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핸들이동홈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승강핸들을 잡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우산을 펼침 또는 접힘 상태로 조작된다.
또한, 프레임의 상단은 외경 및 내경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를 지면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우산을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확장부는 상기 확장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우산살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우산살 인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우산살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우산살 인입홈 내측을 따라 내삽되어 이동된다.
또한, 외부프레임 하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이 관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중앙홀을 거쳐 상기 외부프레임 외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어진다.
또한, 승강핸들은, 중앙에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인입홀이 형성된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부 및 상기 관통부 상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우산살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를 가지는 힌지가 구비되는 우산살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살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회동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결합구의 개방된 일면으로 상기 힌지의 외측면이 인입되며 상기 회동결합구 및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결합고정시키는 회동결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결합구는 상기 회동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우산지가 거꾸로 접혀 사용시 빗물이 잔존하는 우산 외측면이 내측면으로 접힘으로써 우산과 인접한 외부에 빗물로 인한 피해를 주지 않고, 우산지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이 간단하여 조작이 간편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우산지가 접히면서 프레임 내부로 수용되고, 프레임의 상단을 확장되어 접힘상태로 프레임 상단을 지면에 지지하여 우산지에 잔존하는 빗물이 자동으로 하강하여 프레임 밖으로 배수될 수 있어 우산을 펼치지 않고 자동으로 건조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사용자가 대중교통 이용과 같이 우산을 잡기 불편한 상황에서는 접힘상태의 우산을 지면에 지지하여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산을 직접 들고있지 않아도 우산의 임시 거치가 용이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우산을 이루는 프레임과 우산살의 재질은 기존의 철재가 아닌 경화시킨 쌀가루로 대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며, 프레임 및 우산살이 빗물로 인해 녹스는 등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도 3의 B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의 C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핸들과 우산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승강핸들과 우산살의 결합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이 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이 접힘상태시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저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A-A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a는 도 3의 B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도 3의 C를 부분확대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핸들과 우산살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승강핸들과 우산살의 결합예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이 거치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꾸로 접히는 우산이 접힘상태시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1)은 프레임(100), 우산살(200), 우산지(300) 및 승강핸들(400)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와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고, 승강핸들(400)이 내장되어 상기 승강핸들(400)이 프레임(1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가 외부로 펼쳐지거나 프레임(100) 내측으로 수용되어 보관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은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를 수용하며,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프레임(110)과,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외측면을 따라 관통결합된 승강핸들(400)이 승하강하여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를 외부로 펼치거나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내부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외부프레임(11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상단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110a)가 형성되는데, 확장부(110a)는 사용자가 우산(1)을 직접 들게되면 외부프레임(110)의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게 되며, 도 8과 같이 우산(1)이 접힘상태로 구비되면 하단에 위치하는 확장부(110a)로 인해 프레임(100)의 하중을 분산하여 용이하게 우산(1)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프레임(110)은 일측에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핸들이동홈(111)이 형성된다.
핸들이동홈(111)은 내장된 승강핸들(400)의 핸들부(420)가 외부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핸들부(420)를 잡아 핸들이동홈(1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를 통해 우산(1)을 접힘 또는 펼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이동홈(111)은 도 1과 같이 외부프레임(110)의 최상면측부터 하단 손잡이(130)와 근접한 부분까지 연장되어 내측을 따라 승강핸들(400)이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가 함께 프레임(100) 외내측으로 이동되어 우산(1)을 펼침 또는 접힘 상태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프레임(110)의 하단에는 내부프레임(120)의 하단이 관통되는 중앙홀(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홀(112)은 도 4와 같이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내부프레임(120)이 인입시 내부프레임(120)의 하단, 즉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21)가 중앙홀(112)을 거쳐 외부프레임(110) 외측 하단으로 돌출되고, 중앙홀(1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결합부(121)는 손잡이(130)와 결합되어 내부프레임(120)이 안정적으로 외부프레임(110) 내측 중앙에 구비된 상태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승강핸들(400)이 내부프레임(120) 외측면을 따라 외부프레임(110)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프레임(110)의 확장부(110a)에는 외내측이 우산살(2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우산살 인입홈(113)이 형성된다.
우산살 인입홈(113)은 도 7과 같이 우산살(200)이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인입되면 우산살(200)이 우산살 인입홈(113) 내측으로 끼워져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우산살 인입홈(113) 내측으로 우산살(200)이 끼워져 보관되는 경우 지면에 용이하게 외부프레임(110)의 상면 및 우산살(200)의 말단이 지지될 수 있어 우산(1)이 균형있게 지면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우산살(200)이 인입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우산살(200)은 우산살 인입홈(113) 내측으로 끼워져 안정적으로 외부프레임(110) 내측에 보관되어질 수 있고, 승강핸들(400)의 이동에 따라 우산살(200)이 우산살 인입홈(113) 내측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용이하게 접힘 또는 펼침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외경이 외부프레임(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프레임(110)에 인입시 내부프레임(120)은 상기 외부프레임(11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외부프레임(110)과 내부프레임(120)간의 간격이 형성되며, 이러한 간격에는 승강핸들(400)의 관통부(410)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승강핸들(400)이 내부프레임(120)과 외부프레임(110)간의 간격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프레임(120)의 상단(120a)은 단면크기가 확장되어 우산지(300) 중앙에 형성된 프레임관통홀(310)에 내부프레임(120)이 하단부터 관통인입되며, 확장된 상단(120a)이 프레임관통홀(310)의 상면에 구비되어 내부프레임(120)과 우산지(300)를 결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관통홀(310)을 상단(120a)이 폐쇄하여 빗물이 프레임관통홀(31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프레임(120)은 외부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며, 하단은 외부프레임(110) 밖으로 돌출되는 결합부(121)가 형성된다.
결합부(121)는 내부프레임(120)의 외경보다 적은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프레임(120)의 결합부(121)는 외부프레임(110) 하면 밖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결합부(121)와 손잡이(130) 상면 중앙에 함몰형성된 결합홈(131) 내측으로 인입되어 내부프레임(120)과 손잡이(130)가 결합되어진다.
손잡이(130)는 도면과 같이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기존의 우산들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우산(1) 휴대시 직접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구성으로, 상면은 외부프레임(1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져 내부프레임(120)과 결합시 손잡이(130) 상면과 외부프레임(110) 하면이 밀착됨과 동시에 외측면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측면으로 돌출되는 등의 이질감없이 사용자가 우산(1) 손잡이(130)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130) 상면, 즉 내부 프레임(120)가 맞닿는 면에는 결합부(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131)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31)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부(121)와 나사결합되면서 내부프레임(120)과 결합된다.
우산살(200)은 일단이 승강핸들(400)의 상단과 결합되며, 일단에서 연장된 타단측은 우산지(300)의 가장자리와 결합된다. 이러한 우산살(200)은 우산지(300)가 펼쳐지는 상태로 유지 및 우산지(300)를 지지할 수 있고, 승강핸들(400)과 연결된 일단이 상기 승강핸들(400)을 따라 프레임(100)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우산살(200)도 함께 프레임(100)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우산살(200)의 타단과 연결된 우산지(300)가 접혀져 우산살(200)과 함께 프레임(100) 내측으로 인입 및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우산살(200)의 개수에 따라 우산지(300)도 우산살(200)과 대응되는 면 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우산살(200)은 단면이 원형인 바(bar) 형상이 아닌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너비를 갖도록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가지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우산살(200)의 끝단에는 상기 우산살(200)의 끝단을 보호하고, 우산지(300)의 가장자리 말단이 내측으로 끼워져 우산지(300)가 우산살(200)에 의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말단보호구(201)가 구비된다.
말단보호구(201)는 도 6과 같이 우산살(200)이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접혀져 들어가면 말단보호구(201)가 지면에 닿아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를 지지할 수 있고, 지면과 우산살(200)이 맞닿아 우산살(200)이 닳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우산살(200)을 중심으로 말단보호구(201)가 구비된 끝단과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승강핸들(400)과 우산살(200)을 결합시키는 회동결합구(210)가 형성된다.
회동결합구(210)는 말단보호구(201)와 같이 우산살(200) 말단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며, 말단보호구(201)와 힌지(431)가 맞닿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후술된 중앙 힌지돌기(431a)와 측면 힌지돌기(431b)간의 이격된 공간 너비와 대응되는 회동돌기(211)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돌기(211)는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회동돌기(211)간의 이격된 공간에는 중앙 힌지돌기(431a)가 끼워지며, 회동돌기(211)의 외측면에는 측면 힌지돌기(431b)가 밀착되어 힌지(431)와 회동결합구(21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후 회동돌기(211)의 측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회동홀(212)과 중앙 및 측면 힌지돌기(431b)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힌지홀(432)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며, 연통된 회동홀(212) 및 힌지홀(432) 내측으로 회동결합부재(433)가 끼워져 상기 회동결합부재(433)를 중심으로 회동돌기(211)를 포함한 우산살(200)이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홀(212) 및 힌지홀(432)의 내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회동결합부재(433)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외경은 회동홀(212) 및 힌지홀(43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후 회동결합부재(433)가 끼워지면 외부에서 사용자가 회동마감구(433a)를 상기 회동홀(212) 및 힌지홀(432)을 관통한 회동결합부재(433)의 양측 말단에 각각 끼워 회동결합부재(433)를 통해 회동결합부재(433)가 회동홀(212) 및 힌지홀(432)을 이탈하지 않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도 5a 참조).
이러한 회동결합구(210)는 관통결합된 회동결합부재(433)를 중심으로 개방된 상면측으로 회동되고, 일정각도이상 회동되면 폐쇄된 하면과 힌지(431)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우산살(200)이 과도하게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힌지(4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우산살(200)이 승강핸들(400)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펼침 또는 접힘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승강핸들(400)이 프레임(100)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우산살(200)은 프레임(100)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자동으로 펼쳐져 함께 프레임(100) 내측에 보관되었던 우산지(300)도 펼쳐짐과 동시에 우산지(300)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우산살(200)은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동일간격을 가지며 도 4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나 6, 8개 등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우산살(200)은 도 4와 같이 우산지(300)가 구비되는 측에서 반대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우산지(300) 상측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우산살(200)의 휨 방향에 따라 지면측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우산지(300)는 기존의 우산지와 동일하게 합성섬유나 비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우산살(200)을 통해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우산지(300) 하측에서 비를 피할 수 있고, 우산(1) 미사용시에는 우산지(300)가 접혀져 프레임(100) 내측으로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우산지(300)는 우산살(200)을 통해 빗물이 잔존하는 상면이 내측으로 접혀져 프레임(100)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1)을 다시 펼치더라도 사용자와 대향하는 측의 우산지(300) 하면은 빗물이 묻어나지 않아 사용자를 포함한 주변인에게 빗물이 튀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프레임(100) 및 우산살(200)은 기존의 우산들과 동일하게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금속재 대신 경화된 쌀가루로 이루어진 막대로 대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쌀가루와 타피오카 전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이를 고온압축시켜 프레임(100)과 우산살(200)의 형상을 갖도록 경화시킨다. 상술된 쌀가루 및 타피오카 전분의 혼합물로 만들어진 프레임(100)과 우산살(200)은 우산지(300)를 포함한 빗물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외력에서 쉽게 부서지거나 하지 않아 튼튼하고, 이로인해 장기간 파손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추후 폐기시 우산지(300)와 함께 버릴 수도 있고, 프레임(100)과 우산살(200)을 분리한 뒤 세척하여 식용으로도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및 우산살(200)을 쌀가루 및 타피오카 전분의 혼합물을 경화시켜 금속재를 대체함으로써 금속재로 제작된 프레임(100) 및 우산살(200)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고,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우산(1) 폐기시에도 쉽게 해체하여 폐기함으로써 분리수거 문제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승강핸들(400)은 도 5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형성된 인입홀(411)을 통해 내부프레임(1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높이를 따라 승하강될 수 있는 관통부(410), 상기 관통부(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측면으로 돌출되어 외부프레임(110)의 핸들이동홈(111)측으로 인입되어 외부프레임(110) 밖으로 돌출되는 핸들부(420) 및 상기 관통부(410)의 상면에 구비되어 관통부(410)와 함께 내부프레임(120)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며, 외측면에는 우산살(200)의 회동결합구(210)와 결합되는 힌지(431)가 구비되는 우산살결합부(430)로 구성된다.
이때, 관통부(410)와 우산살결합부(43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부(410)와 우산살결합부(430)의 중앙에 형성된 인입홀(411)을 통해 승강핸들(400)이 내부프레임(120)에 관통된 상태로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중앙홀(112)의 내경은 내부프레임(120)의 외경 및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관통부(410)의 외경은 외부프레임(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승강핸들(400)이 외부프레임(110)과 내부프레임(120)간의 간격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관통부(410)의 측면에 구비되어 핸들이동홈(1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핸들부(420)를 통해 사용자가 핸들부(420)를 잡고 승강핸들(400)을 승하강시켜 우산(1)을 펼침 또는 접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우산살결합부(430)는 관통부(410)와 동일하게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외경이 관통부(4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며, 우산살결합부(430) 측면에 우산살(200)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에 따라 힌지(431)가 구비된다.
힌지(431)는 우산살 결합부(430)에서 관통부(410)의 외경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관통부(410)의 외경을 벗어나진 않으며, 중앙 힌지돌기(431a)와 상기 중앙 힌지돌기(431a)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힌지돌기(431b)로 구성된다.
먼저, 중앙 힌지돌기(431a)는 상술된 한 쌍의 회동돌기(211)간의 이격된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며 돌출되고, 측면 힌지돌기(431b)는 상기 중앙 힌지돌기(431a)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중앙 힌지돌기(431a)와 측면방향으로 이격되는데 이때 이격되는 너비는 회동돌기(211)의 너비와 대응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한 쌍의 회동돌기(211)는 중앙 힌지돌기(431a)와 양측의 구비된 측면 힌지돌기(431b)와의 이격된 공간으로 끼워지고, 이때 힌지(431)와 회동돌기(211)에 각각 형성된 힌지홀(432) 및 회동홀(212)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며, 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회동결합부재(433)를 통해 힌지(431)와 우산살(200)이 결합되어진다.
이때, 측면 힌지돌기(431b)의 외측면에는 회동마감구(433a)가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431) 및 회동돌기(211)를 관통한 회동결합부재(433)가 잦은 회동으로 인해 최초 설치위치를 벗어나 우산살(200)과 힌지(43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결합부재(433)를 중심으로 회동결합구(210)가 회동되어 우산살(200)이 외부프레임(110)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회동결합부재(433)는 잦은 회동에도 회동결합구(210) 및 힌지(431)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산살(200)이 쉽게 펼침/접힘상태가 될 수 있도록 스프링 핀(spring pi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프레임(100) 외측으로 돌출된 승강핸들(400)을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우산(1)을 펼치거나 접혀 프레임(100) 내측으로 수용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우산살(200) 및 우산지(300)가 프레임(100) 내측으로 수용되는 경우 외부로 프레임(100)만이 노출되고, 상단에 확장부(110a)가 형성된 외부프레임(110)을 통해 도 6과 같이 확장부(110a)를 지면을 향해 구비하면 안정적으로 지면상에 우산(1)이 놓여질 수 있고, 개방된 프레임(100)으로 빗물이 떨어져 우산지(300)가 자동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우산지(300)가 접혀져 프레임(100) 내부로 수용시 빗물이 묻지않은 하면이 외측을 향하게 접히기 때문에 프레임(100) 내측면으로 빗물이 묻어 오염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지면상에 우산(1)이 거치되면서 자동으로 우산지(300)에 묻은 빗물이 우산지(300) 상면을 따라 바닥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우산(1)을 펼치더라도 우산지(300)에 묻은 빗물이 사용자에게 튀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대중교통 이용시나 우산(1)을 들기 어려운 상태일 때 우산(1)을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어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들고다니기 편리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 및 우산살(200)은 다른 실시예로 쌀가루를 경화시켜 제작된 쌀막대 등으로 대체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이점을 가지며, 철재와 유사하게 강한 강도를 가져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 또한 보유할 수도 있다.
또한, 우산살(200)은 단일개로 이루어지며 회동결합구(210)를 통해 접힘상태시 자동으로 프레임(100) 내측으로 접혀들어가는데, 이러한 우산살(200)은 다단으로 연결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바람 등의 외력으로 인해 연결된 부위가 꺾여 우산살(200)의 꺾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우산
100: 프레임 110: 외부프레임
110a: 확장부 111: 핸들이동홈
112: 중앙홀 113: 우산살 인입홈
120: 내부프레임 120a: 상단
121: 결합부 130: 손잡이
131: 결합홈 200: 우산살
201: 말단보호구 210: 회동결합구
211: 회동돌기 212: 회동홀
300: 우산지 310: 프레임관통홀
400: 승강핸들 410: 관통부
411: 인입홀 420: 핸들부
430: 우산살결합부 431: 힌지
431a: 중앙 힌지돌기 432: 측면 힌지돌기
432: 힌지홀 433: 회동결합부재
433a: 회동마감구

Claims (5)

  1. 거꾸로 접히는 우산에 있어서,
    하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측에 구비되는 우산살;
    상기 우산살과 결합되어 상기 우산살의 이동에 따라 펼침 또는 접힘 상태가 되는 우산지; 및
    상기 프레임 내측을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우산살의 일단과 결합되어 하강시 상기 우산살 및 상기 우산지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승강핸들;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우산살과 상기 우산지와 상기 승강핸들을 내부로 수용하는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핸들이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되는 내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높이를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에 내장된 상기 승강핸들의 일측이 관통되는 핸들이동홈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핸들이동홈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승강핸들을 잡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우산을 펼침 또는 접힘 상태로 조작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단은 외경 및 내경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를 지면에 밀착지지되어 상기 우산을 지면에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확장부 내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우산살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우산살 인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우산살은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인입시 상기 우산살 인입홈 내측을 따라 내삽되어 이동되며,
    상기 승강핸들은,
    중앙에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인입홀이 형성된 관통부; 상기 관통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는 핸들부; 및 상기 관통부 상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우산살과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를 가지는 힌지가 구비되는 우산살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우산살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와 결합되는 회동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결합구의 개방된 일면으로 상기 힌지의 외측면이 인입되며 상기 회동결합구 및 상기 힌지를 관통하여 결합고정시키는 회동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결합구는 상기 회동결합부재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양말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회동마감구가 구비되어 상기 회동결합부재가 상기 회동결합구 및 상기 힌지를 이탈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 하면에는 상기 내부프레임이 관통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은 상기 중앙홀을 거쳐 상기 외부프레임 외부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접히는 우산.
  5. 삭제
KR1020200134302A 2020-10-16 2020-10-16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10226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02A KR102260067B1 (ko) 2020-10-16 2020-10-16 거꾸로 접히는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302A KR102260067B1 (ko) 2020-10-16 2020-10-16 거꾸로 접히는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067B1 true KR102260067B1 (ko) 2021-06-03

Family

ID=7639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302A KR102260067B1 (ko) 2020-10-16 2020-10-16 거꾸로 접히는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06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644Y1 (ko) 2002-03-19 2002-06-20 이제영 거꾸로 접히는 자동우산
KR101323312B1 (ko) 2012-12-18 2013-10-29 안일모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130141105A (ko) * 2012-06-15 2013-12-26 이승일 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우산
KR101517189B1 (ko) * 2014-03-28 2015-05-04 이흥범 우산
KR20160105048A (ko) * 2015-02-27 2016-09-06 황큰별 우산
KR20170067074A (ko) 2015-12-07 2017-06-15 이석진 거꾸로 접히는 우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644Y1 (ko) 2002-03-19 2002-06-20 이제영 거꾸로 접히는 자동우산
KR20130141105A (ko) * 2012-06-15 2013-12-26 이승일 역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우산
KR101323312B1 (ko) 2012-12-18 2013-10-29 안일모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101517189B1 (ko) * 2014-03-28 2015-05-04 이흥범 우산
KR20160105048A (ko) * 2015-02-27 2016-09-06 황큰별 우산
KR20170067074A (ko) 2015-12-07 2017-06-15 이석진 거꾸로 접히는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984A (en) Special fold-up umbrella having rib and frame design for easier opening and closing of umbrella, and two canopies designed to stabilize the ribs and vent the air
US8104494B2 (en) Portable sun and weather shelter
WO2005021106A3 (en) Canopy for co-sleeper, crib or play yard
KR102260067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US7448399B2 (en) Umbrella
CN209489603U (zh) 伞套
US6910490B1 (en) Umbrella apparatus
KR200411422Y1 (ko) 회전우산의 구조
KR200403063Y1 (ko) 우산
KR200441121Y1 (ko) 커버 겸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우산
KR200480580Y1 (ko) 어린이용 우산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KR200467823Y1 (ko)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
JP3013187U (ja) 折畳み形テント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KR200339799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101675399B1 (ko) 손잡이 케이스가 구비된 우산
KR20190127131A (ko) 역방향으로 접히는 살없는 내장형 우산
KR20050045217A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489507Y1 (ko) 빗물받이용 우산 스탠드
KR200227797Y1 (ko) 회전 우산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KR200321302Y1 (ko) 내접식우산
KR200462812Y1 (ko) 우산커버가 일체로 구비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