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999B1 - hot air balloon - Google Patents

hot air ball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999B1
KR102259999B1 KR1020197018987A KR20197018987A KR102259999B1 KR 102259999 B1 KR102259999 B1 KR 102259999B1 KR 1020197018987 A KR1020197018987 A KR 1020197018987A KR 20197018987 A KR20197018987 A KR 20197018987A KR 102259999 B1 KR102259999 B1 KR 102259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nonwoven fabric
resin material
protrus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9966A (en
Inventor
슈지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564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94006A1/en
Publication of KR20190089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9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6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adhesive, self-st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61F7/034Flameless
    • A61F2007/036Fuels
    • A61F2007/038Carbon or charcoal, e.g. a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온열구는,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 (30) 를 구비하고,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 시트 (15) 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한다.The heating device includes a sheet 10 having a convex projection 12 on one side 10a side,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30 disposed on the other side 10b side of the sheet 10, the sheet (10)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accompanying a phase transition, respectively, Among these, the 1st endothermic peak is 60 degreeC or more and 180 degrees C or less. ,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on the higher temperature side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Description

온열구hot air balloon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implement.

특허문헌 1 에는, 시트상의 온열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온열구는, 초조 (抄造) 에 의해 성형된 시트상의 것이고, 전체면이 발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편면측에 볼록한 복수의 돌기부를 가지고 있다. Patent Document 1 describes a sheet-shaped heating implement. This heating implement is a sheet-shaped thing molded by sheet-forming, is comprised so that the whole surface may generate heat, and has a some protrusion part convex on the single side|surface side.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1118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111180

본 발명은,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eet hav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를 구비하고, to provide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The she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on-woven fabric sheet,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는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higher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It relates to the heating element present on the side.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단면도 (도 2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구성하는 시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생체에 첩부 (貼付) 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도 7(e), 도 7(f), 도 7(g), 도 7(h), 도 7(i), 도 7(j) 및 도 7 (k)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돌기부의 배치 또는 형상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를 구성하는 시트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단면도이다.
도 11(a)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장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 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이 중 도 12(a) 는 사시도, 도 12(b) 는 손바닥을 돌기부로 압압 (押壓) 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손바닥만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3(a), 도 13(b) 및 도 13(c) 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13(a) 는 온도의 시간 경과적 변화의 측정에 제공된 돌기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b) 는 실시예 1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c) 는 실시예 2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 측정에 사용한 측정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5 는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흡열 피크의 측정에 사용한 샘플의 샘플링 지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 은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측정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 의 (a) 및 (b) 는 실시예 5 의 돌기부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 및 (d) 는 실시예 6 의 돌기부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 는 실시예 7 의 돌기부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c) 및 도 19(d) 는 실시예 8 의 돌기부의 촬상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b)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본체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a)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사시도, 도 21(b) 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측면도, 도 21(c) 는 도 21(b)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is a plan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eries of steps of forming protrusions on the sheet constituting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ttached to a living body.
7(a), 7(b), 7(c), 7(d), 7(e), 7(f), 7(g), 7(h), 7 (i), FIG. 7(j), and FIG. 7(k)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arrangement or shape of the protrusion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9(a) and 9(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eries of steps of forming protrusions on a sheet constituting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body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1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tting part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2(a) and 12(b)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which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2(b)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壓) is a diagram showing the aspect, and only the palm is shown as a cross section.
13(a), 13(b), and 13(c) are views for explaining Examples 1 and 2, of which FIG. 13(a) is provided for measurement of a change in temperature with time Fig. 13(b)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Example 1, and Fig. 13(c) is a graph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Example 2.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measuring apparatu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xample 1 and Example 2. FIG.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sampling points of samples used for measurement of endothermic peaks in Examples 3 and 4;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measured value of Example 3 and Example 4. FIG.
17 is a graph showing measurement results of Examples 3 and 4;
18A and 18B are diagrams showing the imaging results of the projections of Example 5, and (c) and (d) are diagrams showing the imaging results of the projections of Example 6. FIG.
19(a) and 19(b) are views showing the imaging results of the projections of Example 7, and FIGS. 19(c) and 19(d) are diagrams showing the imaging results of the projections of Example 8. FIG.
Fig. 2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body part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nd Fig. 20(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body part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21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Fig. 21 (b) is a side view of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nd Fig. 21 (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1 (b). .

돌기부를 갖는 온열구에 의해, 인체 등의 생체의 피부를 보다 충분히 압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하여, 요구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온열구에서는, 그러한 요구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또한 개선의 여지가 있다.There is a demand for a heating implement having a protrusion so that the skin of a living body such as a human body can be pressed more sufficiently. However, in the heating implement of patent document 1, in realizing such a request|requiremen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돌기부에 의해 인체 등의 생체의 피부를 보다 충분히 압압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의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implemen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ore sufficiently pressing the skin of a living body such as a human body by means of a protrus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s. In addition, in all the drawings,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suitably.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 중 어느 것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일방의 면 (10a) (도 3, 도 4) 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도 3, 도 4) 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 (30) (도 3, 도 4) 를 구비하고 있다.1 to 4 ,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heet 10 having a convex projection 12 on one side 10a ( FIGS. 3 and 4 ) side.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FIG. 3, FIG. 4) arrange|positioned at the other surface 10b (FIG. 3, FIG. 4) side of the sheet|seat 10. It is provided.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도 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sheet 10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FIG. 4).

부직포 시트 (15) 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한다.The nonwoven fabric sheet 15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higher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exists on the high-temperature side.

이 때문에, 부직포 시트 (15) 가, 제 1 흡열 피크와 제 2 흡열 피크의 중간의 성형 온도에서 성형되어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 (12)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돌기부 (12) 에 의해 인체 등의 피부를 충분히 압압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is reason, since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molded at a molding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endothermic peak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to form the protrusion 12, the rigidity of the protrusion 12 can be sufficiently ensured,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ss the skin of a human body etc. by the protrusion part 12. As shown in FIG.

또한,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흡열 피크는, 제 1 흡열 피크의 온도보다 높은 한에 있어서, 180 ℃ 이하여도 된다.In addition, as long as the 2nd endothermic peak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a 1st endothermic peak, 180 degrees C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it.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기성이 있는 망목 구조를 유지하면서 부직포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입체적인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protrusion part 12 is preferably formed by shape|molding a nonwoven fabric sheet, maintaining the mesh structure with air permeability so that it may mention later.

그 수법으로는, (1) 성형 가공에 추종하는 유연성이 있는 망목 구조를 목적의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그 상태 (형상) 를 유지시키는 수법과, (2) 망목 구조를 탄성적으로 신축시키면서 변형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1) a method of deforming a flexible network structure following the molding process into a desired shape and maintaining the state (shape), and (2) deforming the network structure while elastic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 a method of maintaining that state is mentioned.

(1) 의 수법에서는, 돌기부 (12) 의 목적 형상까지의 변형을 허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부직포를 성형하고, 그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섬유 (후술하는 제 1 수지 재료의 섬유) 끼리를 결착 (후술하는 제 2 수지 재료의 결착부에 의해 결착) 시키고, 형상을 유지시킨다. 그 때문에, 2 개 이상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사용하여, 저융점측의 1 개 이상의 수지가 다른 수지와 결착할 수 있는 온도 이상에서 성형한다.In the method of (1), a flexible nonwoven fabric capable of allowing deformation to the desired shape of the protrusion 12 is molded, and in that state, the fibers (fibers of the first resin material to be described later) are partially bound together. (Bundled by the binding part of the 2nd resin material mentioned later), and the shape is maintained. Therefore, a nonwoven fabric containing two or more resins is used and mold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at which one or more resins on the low melting point side can bind with other resins.

이 성형 시에는, 고융점측의 수지 섬유 (제 1 수지 재료의 섬유) 는 융해되지 않고 구조를 유지하면서 변형되고, 성형 온도보다 낮은 융점을 가지는 수지가 섬유끼리를 결착하여, 변형 후의 형상을 유지시킨다.In this molding, the resin fibers on the high melting point side (fibers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re deformed while maintaining their structure without being melted, and the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e molding temperature binds the fibers to each other and maintains the shape after deformation. make it

(1) 의 수법에서의 성형 가공에 제공되는 부직포 시트 (혼면, 심초 등) 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갖고, 각 수지의 융점인 2 개 이상의 흡열 피크를 가지고 있다. (1) 의 수법에서는, 이들 흡열 피크 중 온도축에 있어서 양단의 피크 사이의 온도에서 성형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sheet (blended cotton, core sheath, etc.) subjected to the molding process by the method of (1) has a deformable structure and has two or more endothermic peaks which are melting points of each resin. In the method of (1), the projection part 12 can be formed by shape|molding at the temperature between the peaks of both ends in the temperature axis among these endothermic peaks.

(2) 의 수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부직포 섬유가 녹는 일 없이 변형 가능한 온도 상태에서, 당해 부직포 섬유를 변형시키고, 냉각함으로써, 그 변형 후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2) 의 수법에서는, 부직포의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 (필름화되거나 하지 않고) 부직포가 변형 가능한 온도 영역에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of (2), the shape after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can be maintained by deforming the said nonwoven fabric fiber in the temperature state which can deform|transform the nonwoven fabric fiber comprised without melting, and cooling it. That is, in the method of (2), it is preferable to shape|mold in the temperature range which a nonwoven fabric can deform|transform (without film-forming) without destroying the structure of a nonwoven fabric.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comprised by the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fibers are separa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inding portion to be bound.

이와 같이, 시트 (10)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 (15) 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시트 (10) 의 강성, 나아가서는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 (12) 에 의해 인체 등의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heet 10 is a nonwoven fabric sheet including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binder portion made of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binding the fibers together. Since it has (15), the rigidity of the sheet|seat 10, and also the rigidity of the projection part 12 of the sheet|seat 10 can fully be ensu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ss the skin of a living body such as a human body by the projection 12 .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흡열 피크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이다. 또,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흡열 피크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이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Moreover, the 2nd endothermic peak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melting|fusing point of 1st resin material.

또한, 시트 (10) 및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 또한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융점을 가지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당해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수지 재료 (돌기부 (12) 의 성형을 수반하는 부직포의 가공 시에 융해되지 않는 수지군 (적어도 제 1 수지 재료를 포함한다)) 의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제 2 결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Further, the sheet 10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re made of at least one resin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higher than the resin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inder binding the fibers of the resin material of the melting point (the resin group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resin material) that does not melt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nonwoven fabric accompanying the molding of the protrusion 12) there may be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온열구 (100) 를 인체 등의 생체에 장착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압박하면서, 발열재 (30) 의 열에 의해 생체의 표층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By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100 to a living body such as a huma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12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the surface layer of the living body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heating material 30 while pressing the skin of the living body with the protrusion 12 . can be warmed

이로써, 예를 들어, 피부의 하층의 근막에까지 돌기부 (12) 에 의한 압압과 발열재 (30) 의 온열에 의한 자극을 줌으로써, 침구와 같이, 경락이나 경혈을 압압과 온열에 의해 자극할 수 있다.Thereby, for example, by giving stimulation by the pressure by the protrusion 12 and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o the fascia of the lower layer of the skin, the meridians and acupuncture points can be stimulated by pressure and heat as in acupuncture. .

또한, 온열구 (100) 는, 사용 전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포장재 내에 밀폐 수용되어 있다. 포장재가 개봉되고, 온열구 (100) 가 포장재로부터 취출되면, 외기에 포함된 산소가 발열재 (30) 에 공급됨으로써 그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before use,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hermetically accommodated in a packaging material (not shown). When the packaging material is opened and the heating e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oxygen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heating material 30 so that the heating material 30 generates heat.

시트 (10) 는, 예를 들어, 평탄한 시트상의 기부 (11) 와, 기부 (11) 를 기준으로 하여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타방의 면 (10b) 측이 공동 (13) 으로 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구비하고 있다.The sheet 10 has, for example, a flat sheet-like base 11 and a convexly curved surface 10a on one side of the sheet 10 with respect to the base 11 and the other side 10b. ) side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12 which becomes the cavity 13.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충전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e cavity 13 of the projection part 12 of the sheet|seat 10, for example.

단,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발열재 (30) 는, 공동 (13) 에는 충전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does not need to be filled in the cavity 13 .

온열구 (100) 는, 생체의 피부에 있어서 온열을 부여하고 싶은 부위에 대어지는 본체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The heating implement 100 is provided with a body part 50 which is applied to a part of the skin of a living body to which heat is to be applied.

본체부 (50) 는, 예를 들어, 시트 (10) 와,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충전되어 있는 발열재 (30) 와, 시트 (10) 에 대해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 (20) (도 3) 와, 제 2 시트 (20) 와 기부 (11)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열재 (30) 의 조성 등에 따라, 온열구 (100) 는 흡수 시트 (40)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The body portion 50 includes, for example, the seat 10 ,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filled in the cavity 13 of the protrusion 12 of the seat 10 , and the other side of the seat 10 . A structure comprising a second sheet 20 (FIG. 3)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face 10b, and an absorbent sheet 40 (FIG. 3) laminated between the second sheet 20 and the base 11 has been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etc., the heating implement 100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the absorbent sheet 40. As shown in FIG.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하방) 을 전면측이라고 칭하고,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상방) 을 후면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trusion direction (downward in FIG. 3) of the protrusion part 12 in the main body part 50 is called a front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part 12 (in FIG. 3). upper side) is sometimes referred to as a rear side.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 개의 모서리부가 각각 모따기 형상으로 된 사각형상 (예를 들어 정방형상) 으로 할 수 있다. 단,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상, 원형, 타원형 등,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Although the planar shape of the body part 5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it can be made into the quadrangular shape (for example, square shape) in which the four corner|angular parts were each chamfered. However, the planar shape of the body part 50 may be other shapes, such as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quadrangle, a circle|round|yen, an ellipse.

시트 (10) 는, 본체부 (50) 의 전면측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트 (10) (특히 돌기부 (12)) 가 생체의 피부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온열구 (100) 가 사용된다.The sheet 10 constitutes the outer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50 . For example,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sheet 10 (in particular, the projection 12)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living body.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는, 1 층의 부직포 시트 (15) (도 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heet|seat 10 is comprised by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FIG. 4) of one layer.

또, 제 2 시트 (20) 는, 본체부 (50) 의 후면측의 외표면을 구성하고 있다.Moreover, the 2nd sheet|seat 20 comprises the outer surface of the back side of the main-body part 50. As shown in FIG.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서로의 외형선이 일치하는 상태로 중첩되고, 서로의 주연부끼리가 접합되어 있다.The sheet 10 and the second sheet 20 are formed, for example, in the same planar shape as each other, overlap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ir outlines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ir peripheral edges are joined to each other.

이로써, 시트 (10) 의 기부 (11)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흡수 시트 (40) 가 유지되고 있다. Thus, the absorbent sheet 40 is held between the base 11 of the sheet 10 and the second sheet 20 .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내주면과 흡수 시트 (40) 사이에 발열재 (30) 가 유지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hel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ion 12 of the sheet 10 and the absorbent sheet 40 .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에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발열재 (30) 가 발열한다.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comprised including, for example,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retaining agent, and water. When oxygen is supplied to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generates heat.

또, 발열재 (30) 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Moreover,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may contain iron and a carbon component.

여기서 말하는 철은,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상기 피산화성 금속과는 별도여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철은, 피산화성 철이다.The iron as used herein may be at least a part of the metal to be oxidized, or may be separate from the metal to be oxidized. The iron referred to herein is iron to be oxidized.

또, 여기서 말하는 탄소 성분은, 상기 보수제의 적어도 일부분이어도 되고, 발열재 (30) 는 상기 보수제와는 별도로 탄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Moreover, at least a part of the said water-retaining agent may be sufficient as the carbon component here,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may contain the carbon component separately from the said water-retaining agent.

본체부 (50) 에 있어서,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외에,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도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사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여도,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두께가,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생체의 피부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를 국소적으로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다.In the body portion 50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2 of the sheet 10 is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 and the seat 10 and the second sheet are also located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11 .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may be filled between (20).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2 of the sheet 10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11 . A large one is preferable, and by do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locally warm a sit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 in the skin of the living body.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 (10) 의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고,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는 발열재 (30) 가 존재하지 않는다.More preferably, a portion of the sheet 1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 is locally filled with the heating material 30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11 is provided with the heating material 30 . does not exist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데에 대해, 기부 (11) 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실질적으로 발열재 (30) 가 존재하고 있지 않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ortion of the sheet 10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 is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wherea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11 is substantially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does not exist

발열재 (30) 는, 공동 (13) 내에 있어서, 적어도 돌기부 (12) 의 선단부와 대응하는 부위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돌기부 (12) 의 선단부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preferably filled in at lea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protrusion 12 in the cavity 13 . Thereby, the skin of a living body can be warmed by the front-end|tip part of the protrusion part 12.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도 4 에 있어서의 하단측으로부터 50 % 이상의 영역 (도 4 에 높이 치수 H2 로 나타내는 범위의 하반분과 대응하는 영역) 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vity 13,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located in a region 50% or more from the lower end side in Fig. 4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half of the range shown by the height dimension H2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be filled.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7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동 (13) 의 높이 치수 H2 에 대해, 공동 (13) 내에 있어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영역의 높이 치수가, 0.7H2 이상으로 되어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70% or more of the area|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vity 13, for example.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height dimension of the area|region with whic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e cavity 13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mension H2 of the cavity 13 is 0.7H2 or more.

이로써, 돌기부 (12) 를 보다 충분히 가열하여,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따뜻하게 할 수 있다.Thereby, the projection part 12 can be heated more fully, and the skin of a living body can be fully warmed by the projection part 12.

발열재 (30) 는, 예를 들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90 % 이상의 영역에 충전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공동 (13) 내에 있어서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는 영역의 높이 치수가, 0.9H2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90% or more of the area|reg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vity 13, for example. That i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area|region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cavity 13 is set to 0.9H2 or more.

이와 같이,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충전율은, 7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u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70 % or more, and, as for the filling rat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vity 13,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90 % or more.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시트 (10) 의 기부 (11) 의 후면 (도 4 에 있어서의 상면) 과 발열재 (30) 의 후면 (도 4 에 있어서의 상면) 이 서로 면일 (面一) 로 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rear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4) of the base 11 of the sheet 10 and the rear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4)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re flush with each other.一) is made.

여기서, 공동 (13)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충전율의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measuring method of the filling factor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vity 13 is demonstrated.

측정기로는, 고저차를 측정 가능한 레이저 현미경 또는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한다. 레이저 변위계로는 1 차원의 스폿 타입, 2 차원 레이저 변위계, 3 차원 레이저 변위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돌기부 (12) 의 형상 및 높이 치수에 따라, 요구되는 측정 거리 및 레이저 광의 스폿 거리에 기초하여, 적절한 레이저 변위계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키엔스사 제조의 센서 헤드 ; IL-300 (측정 거리 160 mm ∼ 450 mm, 스폿 직경 φ500 ㎛) 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easuring device, a laser microscope or a laser displacement meter capable of measuring a height difference is used. As the laser displacement gauge, a one-dimensional spot type, two-dimensional laser displacement gauge, a three-dimensional laser displacement gauge, or the like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height dimension of the protrusion 12, an appropriate laser displacement meter is selected based on the required measurement distance and the spot distance of the laser light. For example, the sensor head manufactured by Keyence; IL-300 (measurement distance 160 mm - 450 mm, spot diameter phi 500 micrometers) can be used.

측정하려면, 발열재 (30) 가 발열하지 않도록, 질소 분위기 중에서, 온열구 (100) 로부터 본체부 (50) 를 취출하고, 시트 (10) 로부터 제 2 시트 (20) 와 흡수 시트 (40) 를 제거하여, 공동 (13) 내의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 (도 4 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상면) 을 노출시킨다.To measure, the body part 50 is taken out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in a nitrogen atmosphere so tha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does not generate heat, and the second sheet 20 and the absorbent sheet 40 are separated from the sheet 10. It is removed to expose the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FIG. 4 )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protrusion 12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cavity 13 .

측정기에 의한 측정은, 시트 (10) 에 대해 수직으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실시한다. 이 측정에서는,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 (도 4 에 있어서의 발열재 (30) 의 상면) 과,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의 고저차를 측정한다. 이때, 레이저 광이 발열재 (30) 에 있어서의 돌기부 (12) 의 기단측의 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레이저 광을 당해 면의 직경 방향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과도 일치한다) 으로 주사시키고, 고저차의 최대값을 구한다. 이때,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The measurement by the measuring device is performed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perpendicularly to the sheet 10 . In this measurement, th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the base-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FIG. 4 ) and the other surface 10b of the sheet 10 . measure At this time, the laser beam is direc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rface (which also coincides with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rojection 12) so that the laser ligh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urface on the proximal side of the protrusion 12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Scan, and find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in elevation. At this time, the scan distance is set to a distance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jection 12 .

발열재 (30) 의 높이 치수는, 도 4 에 나타내는 높이 치수 H2 로부터, 측정에 의해 구한 고저차의 최대값을 빼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한다.Le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b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height difference calculated|required by the measurement from the height dimension H2 shown in FIG.

여기서,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에는, 높이 치수 H2 로서, 편의적으로, 도 4 에 나타내는 높이 치수 H1 을 사용할 수 있다.Here, when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and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vity 13)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 height dimension H2 is the height dimension shown in FIG. 4 for convenience. H1 can be used.

요컨대, 발열재 (30) 의 높이 치수는, 높이 치수 H1 로부터, 측정에 의해 구한 고저차의 최대값을 빼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한다.That is, let the height dimension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be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height difference calculated|required by measurement from the height dimension H1.

이를 위하여, 높이 치수 H1 을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다. 즉, 상기 고저차의 측정 시란 시트 (10) 의 표리를 반전시켜 배치하고, 돌기부 (12) 의 정점을 통과하도록 하여, 레이저 광을 주사시켰을 때의 고저차의 최대값을 구한다. 이때, 레이저 광을 돌기부 (12) 의 직경 방향으로 주사시키고, 주사 거리는, 돌기부 (12) 의 직경보다 긴 거리로 설정한다. For this purpose, the height dimension H1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when measuring the height difference,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heet 10 are reversed,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height difference when the laser beam is scanned is obtained by passing the apex of the protrusion 12 . At this time, a laser beam is scann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rojection part 12, and a scanning distance is set to the distance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jection part 12.

한편,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과 돌기부 (12) 의 외주면의 형상 (공동 (13) 의 외주면의 형상) 이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공동 (13) 의 외주면이 뿔대상인 경우에는, 질소 분위기 중에서, 공동 (13) 중에 들어가 있는 발열재 (30) 를 제거한다. 이때,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공동 (13) 의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발열재 (30) 를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저차의 최대값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공동 (13) 의 높이 치수 (높이 치수 H2) 를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and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sion 12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vity 13) are different, for example,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vity 13 is a horn object, nitrogen In the atmosphere,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ontained in the cavity 13 is removed. At this time,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removed using a brush or the like, taking care not to change the shape of the cavity 13 . And the height dimension (height dimension H2) of the cavity 13 is measured by scanning a laser beam similarly to the measurement of the said maximum value of a height difference.

돌기부 (12)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선단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돌기부 (12) 의 선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shape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a shape tapering toward the front-end|tip sid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end|tip part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made into a round shape.

돌기부 (12) 의 형상은, 예를 들어, 원뿔상, 타원뿔상 또는 장원뿔상 등의 뿔상, 혹은, 원뿔대상, 타원뿔대상 또는 장원뿔대상 등의 뿔대상으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 can be, for example, a cone shape, such as a cone shape, an elliptical cone shape, or a long cone shape, or a cone shape, such as a cone shape, an elliptical cone shape, or a long cone shape.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돌기부 (12) 의 형상은, 원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formed in conical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도 4)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lthough the height dimension H1 (FIG. 4) of the protrusion part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3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It is 5 mm or more and 8 mm or less. more preferably.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이 2 mm 이상 15 mm 이하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또한 적당히 압박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dimension H1 of the protrusion 12 is 2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and moderate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

돌기부 (12) 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mm 이상 3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상 2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직경이 2 mm 이상 38 mm 이하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또한 적당히 압박할 수 있다.Although the diameter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2 mm or more and 38 mm or less,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Whe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12 is 2 mm or more and 38 mm or less,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and moderate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도 4)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 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가 30 도 이상임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다.Although the inclination angle (alpha) (FIG. 4)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30 degrees or mor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45 degrees or more. When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protrusion 12 is 30 degrees or more,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

또,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는, 8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5 도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돌기부 (12) 의 경사 각도 α 가 80 도 이하임으로써,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80 degrees or less, and, as for the inclination angle (alpha) of the projection part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70 degrees or less, It is still more preferable that it is 65 degrees or less. When the inclination angle α of the protrusion 12 is 80 degrees or less,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protrusion 12 in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range.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 (12) 의 선단부는, 둥그스름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기부 (12) 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은, 0.5 mm 이상 3.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oreover, 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end|tip part of the protrusion part 12 has a round shap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5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and, as for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ront-end|tip part of the projection part 12,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0.8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여기서, 근막은, 예를 들어, 인체의 어깨의 부분이면,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약 6 mm 의 깊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 깊이에 압압 작용과 가온 작용이 미치도록, 돌기부 (12) 의 형상과 발열재 (30) 의 발열 성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열재 (30) 의 발열 성능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피부의 표면의 온도가 37 ℃ 이상 44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42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Here, if the fascia is, for example, a part of the human shoulder, it is located at a depth of about 6 mm from the surface of the skin,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 and the heating material so that a pressing action and a warming action are applied to the depth.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30) is set. Moreover, about the heat gener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skin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37 degreeC or more and 44 degrees C or less, for example, and it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38 degreeC or more and 42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복수의 돌기부 (12) 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지그재그 격자상, 정방 격자상 등의 배치로 할 수 있다.Although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some protrusion part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be set as arrangement|positioning, such as a zigzag lattice form, a square lattice form.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10) 는,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배치된 5 개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10) 의 중앙부에 1 개의 돌기부 (12) 가 배치되고, 당해 돌기부 (12) 의 주위에 나머지 4 개의 돌기부 (12)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4 개의 돌기부 (12) 는, 시트 (10) 의 4 개의 모퉁이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sheet 10 has five projections 12 arranged in a zigzag grid. In more detail, one projection 12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heet 10 , and the remaining four projections 12 are disposed around the projection 12 . These four projections 12 are respectively arrang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heet 10 .

이웃하는 돌기부 (12) 의 중심 간 거리 L (도 2)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돌기부 (12) 의 높이 치수 H1 (도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 치수 H1 의 1.5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개개의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다. Although the distance L (FIG. 2) between the centers of adjacent protrusions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height dimension H1 of the protrusions 12 (FIG. 4) or more is preferabl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5 times or more of the height dimension H1. . By doing in this way,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pressed by the individual projections 12 .

여기서, 돌기부 (12) 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시트 (10) 의 상태에 있어서,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돌기부 (12) 를 압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1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고, 25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 개의 돌기부 (12) 당, 5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고, 18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소성 변형하도록, 돌기부 (12) 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Here, in the state of the sheet 10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not filled in the protrusion 12 , when the protrusion 1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heet 10, one protrusion 12 per , so that the protrusion 12 does not substantially plastically deform with a force of 1 N and the protrusion 12 is deformed 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and the protrusion 12 plastically deforms with a force of 25 N, 12) is preferably set, and the protrusion 12 does not substantially plastically deform with a force of 5 N per one protrusion 12, and the protrusion 12 deforms in the range of elastic deform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oad resistance of the protrusion 12 is set so that this occurs and the protrusion 12 plastically deforms with a force of 18N.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By doing in this way,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and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protrusion 12 with respect 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range.

여기서, 시트 (10) 의 면직 방향이란, 시트 (10) 의 법선 방향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이다. Here,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10 is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heet 10 (direction orthogonal to one surface 10a of the sheet 10 ).

또, 돌기부 (12) 내에 발열재 (30) 가 충전된 본체부 (50) 의 돌기부 (12) 를,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압압했을 때에, 1 개의 돌기부 (12) 당, 3 N 의 힘으로는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도록,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 N 의 힘으로도 돌기부 (12) 가 실질적으로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의 범위에서의 돌기부 (12) 의 변형이 생기도록,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와 대응하는 부위의 내하중성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protrusion 12 of the main body 50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protrusion 12 is pres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heet 10 , 3 N per one protrusion 12 . The load resistan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 12 in the body portion 50 is set so that the projection 12 is not substantially plastically deformed by force and the projection 12 is deformed with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Preferably, the protrusion 12 in the main body 50 so that even with a force of 5 N, the protrusion 12 does not substantially plastically deform and the protrusion 12 is deformed within the elastic deformation rang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part corresponding to .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박할 수 있음과 함께, 생체의 피부에 대한 돌기부 (12) 의 파고드는 정도를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By doing in this way,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sufficient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and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protrusion 12 with respect 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made into an appropriate range.

본체부 (50) 의 전후의 외표면을 구성하는 시트 (10) 와 제 2 시트 (20) 중, 적어도 일방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 시트 (10) 또는 제 2 시트 (20) 의 적어도 일방을 통해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하여, 그 발열재 (30) 를 발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At least one of the sheet 10 and the second sheet 20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outer surfaces of the main body 50 has air permeability. Thereby, oxygen is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heet|seat 10 or the 2nd sheet|seat 20,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made to generate heat.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the sheet 10 has air permeability.

즉, 상기와 같이 시트 (10) 가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당해 시트 (10) 의 강성, 나아가서는 돌기부 (12)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That is, since the sheet 10 is constitut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as described above, the rigidity of the sheet 10 and furthermore the rigidity of the projections 12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the sheet 10 is It has breathability.

이 때문에, 시트 (10) 를 통하여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예를 들어, 시트 (10) 를 통하여 수증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while being able to supply oxygen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hrough the sheet|seat 10, for example, water vapor|steam can be discharged|released through the sheet|seat 1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10) 는, 돌기부 (12) 에 있어서도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돌기부 (12) 를 통하여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를 통하여 수증기를 방출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heet 10 has air permeability also in the protrusions 12 , and oxygen can be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hrough the protrusions 12 , and water vapor through the protrusions 12 . can be emitted.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시트 (10) 의 통기성이 제 2 시트 (20) 의 통기성보다 높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sheet 20 .

즉, 온열구 (100) 는, 시트 (10) 에 대해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 (20) 를 구비하고, 제 2 시트 (20) 의 통기성보다 시트 (10) 의 통기성이 높다.That is, the heating implement 100 includes a second sheet 20 laminated on the other side 10b side of the sheet 10 ,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10 is high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20 . High permeability.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비통기성의 시트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2nd sheet|seat 20 is a non-breathable sheet|seat which does not pass air substantially, for example.

여기서, 시트 (10) 의 통기도는, 바람직하게는 1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초/100 ㎖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하이다.Her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10 is preferably 1 second/100 m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 seconds/100 ml or more. Moreover, Preferably it is 20000 sec/100 ml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0 sec/100 ml or less.

또, 부직포 시트 (15) 의 통기도는, 바람직하게는 1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초/100 ㎖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하이다.Moreover, the air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 second/100 ml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 second/100 ml or more. Moreover, Preferably it is 20000 sec/100 ml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0 sec/100 ml or less.

또, 제 2 시트 (20) 의 통기도는,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초/100 ㎖ 이상이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20 is preferably 1000 sec/100 m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000 sec/100 ml or more.

통기도는, JIS P8117 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고, 일정한 압력하에서 100 ㎖ 의 공기가 6.45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통기도는, 오켄식 통기도계 혹은 그것에 준한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The air permeability is a value measured by JIS P8117, and is defined as the time for 100 ml of air to pass through an area of 6.45 cm 2 under a constant pressure. The air permeability can be measured with an Oken-type air permeability meter or a measuring instrument similar thereto.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통기성을 갖는다란, 통기도가 190000 초/100 ㎖ 이하인 것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통기도가 100000 초/100 ㎖ 이하인 것으로 한다. 또, 비통기성이란, 통기도가 190000 초/100 ㎖ 를 초과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having air permeability" means that the air permeability is 190000 seconds/100 ml or less, and preferably, the air permeability is 100000 seconds/100 ml or less. In addition, the non-breathable property means that the air permeability exceeds 190000 seconds/100 ml.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re is more content of the 1st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an content of the 2nd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이로써, 시트 (10) 의 강성을 (지나치게 단단하지 않다) 적당한 범위로 할 수 있다. 또, 시트 (10) 의 통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Thereby, the rigidity of the sheet 10 can be made into a suitable range (not too hard). Moreover,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seat 10 can be ensured easily.

상기 흡수 시트 (40) 는, 기부 (11) 에 대해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다.The absorbent sheet 40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10b side of the sheet 10 with respect to the base 11 .

즉, 온열구 (100) 는, 시트 (10) 의 기부 (11) 에 대해 타방의 면 (10b) 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고 있다.That is,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provided with the absorbent sheet 40 (FIG. 3) laminated|stacked on the other side 10b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11 of the sheet|seat 10. As shown in FIG.

온열구 (100) 가 흡수 시트 (40) 를 구비함으로써, 발열재 (30)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 시트 (40) 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ncludes the absorbent sheet 40 , excess water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absorbed by the absorbent sheet 40 . Therefore, 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the heating material 30 can generate heat quickly.

흡수 시트 (40) 로는, 예를 들어, 흡수성 폴리머, 레이온 부직포, 셀룰로오스 부직포 또는 종이 등에 의해 구성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As the absorbent sheet 40, for example, a sheet constituted by an absorbent polymer, a rayon nonwoven fabric, a cellulose nonwoven fabric, or paper can be used.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 (40) 는,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흡수 시트 (40) 는, 흡수성 폴리머를 시트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Especi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bent sheet 40 is comprised including a water absorbent polymer, and such a water absorbent sheet 40 may be obtained by shape|molding a water absorbent polymer into a sheet form.

흡수 시트 (40) 는, 적어도, 각 돌기부 (12) 의 후면측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수 시트 (40) 는,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30) 의 충전 영역의 후면측을 덮고 있다. 따라서, 각 돌기부 (12) 내에 충전된 발열재 (30) 중의 수분을 흡수 시트 (40) 에 의해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sorbent sheet 40 covers at least the rear side of each protrusion 12 . In this case, the absorbent sheet 40 covers the rear side of the filling region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filled in each projection 12 . Accordingly, moisture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filled in each projection 12 can be preferably absorbed by the absorbent sheet 4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열구 (100) 는, 흡수 시트 (40) 대신에, 불연속으로 배치 (시트상이 아닌 형상으로 배치) 된 흡수성 폴리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implement 100 may have a water absorbent polymer discontinuously disposed (arranged in a shape not in a sheet shape) instead of the absorbent sheet 40 .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발열재 (30) 는 흡수성 폴리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발열재 (3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 비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발열재 (30) 의 발열량 및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does not contain a water absorbent polymer substantially, and by doing in this way, the content rate of the oxidizable metal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fully be ensured. Therefor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nd the duration of heat genera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온열구 (100) 는,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60) 를 구비하고 있다.The heating implement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60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100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art 12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장착부 (60) 는, 예를 들어, 각각 일방향 (도 2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으로 약간 장척의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attaching part 60 is provided with a pair of attaching band parts 61 formed in the shape of a slightly elongate strip|belt in one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2), respectively, for example, and it is comprised, for example.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상이다. 예를 들어, 본체부 (50) 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의 각각을 따라, 각 장착 밴드부 (61)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인 기단부 (66) 가 고정되어 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lanar shape of the main-body part 50 is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long each of a pair of mutually opposing edges of the body part 50, the base end part 66 which i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attachment band part 61 is being fixed.

장착 밴드부 (61) 는, 시트상의 장착부 구성 시트 (63) 와,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선단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층 (64)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attachment band part 61 is provided with the sheet-like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and the adhesive layer 64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part on the front-end|tip side of the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and is comprised.

점착층 (64) 은, 장착부 구성 시트 (63) 에 있어서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때에 피부측이 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The adhesive layer 6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ttaching part constituting sheet 63 on the skin side 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attached to the living body.

이와 같이, 장착부 (60) 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 (예를 들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에 있어서 점착층 (64)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attaching part 60 is comprised including the adhesive sheet part (for example, the part in which the adhesive layer 64 is formed in the attaching part constituting sheet 63) which is adhesively fixed to the skin.

이 때문에, 장착부 (60) 에 장력이 부여되는 상태에서 점착 시트부를 피부에 점착 고정함으로써,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 (12) 를 피부 (91) 에 대해 압접시키고,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by adhesively fix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to the skin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attaching portion 60, the projection 12 is pressed against the skin 91 as shown in FIG. It can be mounted on a living body.

생체에 있어서 온열구 (100) 가 장착되는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깨나 등 등의 동체부, 손목 등의 팔부, 발바닥 등의 다리부, 눈가 등의 두부에 온열구 (100) 를 장착할 수 있다.The site to which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attached in the living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heating device 100 can be attached to a body portion such as a shoulder or back, an arm portion such as a wrist, a leg portion such as a sole, or a head portion such as an eye area.

또한, 온열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각 장착 밴드부 (61) 에는, 점착층 (64) 을 덮는 박리지 (65) 가 첩부 (貼付) 되어 있다.Moreover, in the state before use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the release paper 65 which covers the adhesive layer 64 is affixed to each attachment band part 61. As shown in FIG.

온열구 (100) 의 사용 시에는, 각 장착 밴드부 (61) 로부터 박리지 (65) 를 벗기고, 각 장착 밴드부 (61) 의 점착층 (64) 을 피부 (91) 에 첩부함으로써,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다.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used, the release paper 65 is peeled off from each attachment band portion 61 and the adhesive layer 64 of each attachment band portion 61 is adhered to the skin 91, whereby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 can be mounted on the living body.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당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각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도 2 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He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part structural sheet 63 is comprised with the material which can expand-contrac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mounting part structural sheet 63. That is, each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in the arrow B direction in FIG.

이와 같이, 장착부 (60) 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전체가 신축 시트부로 되어 있다.In this way, the attaching part 60 is comprised including the elastic stretchable sheet|seat par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whole of the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is an elastic sheet part.

장착 밴드부 (61) 를 당해 장착 밴드부 (61) 의 길이 방향으로 잡아 늘인 상태에서, 장착 밴드부 (61) 의 선단부의 점착층 (64) 을 피부 (91) 에 첩부함으로써, 보다 충분한 압접력으로 돌기부 (12) 를 피부 (91) 에 대해 압접시킬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band portion 61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tachment band portion 61, the adhesive layer 64 at the distal end of the attachment band portion 61 is attached to the skin 91, whereby the projection ( 12) can be pressed against the skin 91 .

이하, 온열구 (100) 의 각 부의 재료 및 특성의 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of materials and properties of each part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피산화성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취급성,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 또는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 metal to be oxidized which is normally used as a material for this type of heat generating material can be used. As the metal to be oxidiz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wder or a fibrous metal from the viewpoints of handleability, moldability, and the like.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철분, 알루미늄분, 아연분, 망간분, 마그네슘분, 칼슘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철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form of powder include iron powder, aluminum powder, zinc powder, manganese powder, magnesium powder, calcium powder and the like. It is preferably used.

분체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반응의 컨트롤이 양호한 점에서 입경 (이하, 입경이라고 할 때에는,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 또는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경을 말한다.) 이 0.1 ㎛ 이상 300 ㎛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150 ㎛ 이하인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metal to be oxidized in the form of powder, the particle s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rticle size, the maximum length in the form of powder, or the average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laser diffraction method, etc.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of 0.1 micrometer or more and 300 micrometers or less,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the thing containing 50 mass % or more of particle diameters 0.1 micrometer or more and 150 micrometers or less.

또,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으로는,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마그네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취급성 및 제조 비용 등의 점에서 스틸 섬유, 알루미늄 섬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섬유상의 형태를 갖는 피산화성 금속은, 발열 성능 등의 점에서 섬유 길이 0.1 mm 이상 50 mm 이하, 굵기 1 ㎛ 이상 1000 ㎛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over, as a metal to be oxidized which has a fibrous form, a steel fiber, an aluminum fiber, a magnesium fiber,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a steel fiber, an aluminum fiber, etc. are used preferably from points, such as handleability and manufacturing cost. As the oxidizable metal having a fibrous form, it is preferable to use a fiber length of 0.1 mm or more and 50 mm or less and a thickness of 1 µm or more and 1000 µ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heat generation performance and the like.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30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30 mass % or more and 80 mass % or less, and, as for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40 mass % or more and 70 mass % or less.

이 함유량을 3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가 충전된 돌기부 (12) 의 발열 온도를, 인간이 손가락끝 등으로 접촉하여 뜨겁게 느끼는 정도 이상으로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By making this content into 30 mass % or more, since the exothermic temperature of the protrusion 12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fully be raised beyond the grade which a human|human touch with a fingertip etc. and feel hot, it is preferable.

이 함유량을 8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통기성이 충분한 것이 되고, 그 결과, 발열재 (30) 의 중심부까지 충분히 반응이 일어나, 발열재 (30) 의 발열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의 발열 시간을 충분한 길이로 할 수 있는 외에, 보수제에 의한 수분 공급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By setting this content to 80 mass% or les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becomes sufficient, and as a result, a reaction occurs sufficiently to the center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nd the exothermic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sufficiently raised. can Moreov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make the heat_generation|fever_generation tim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 sufficient length, the water supply by a water retaining agent can also be made sufficient.

여기서, 발열재 (3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으로 측정하거나, 피산화성 금속이 철인 경우에는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생기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측정하거나 할 수 있다. Here,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measured by a batch test according to JIS P8128, or when the oxidizable metal is iron, magnetization occurs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Vibration sample type magnetization measurement test It can be measured or carried out by

발열재 (30) 중의 보수제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보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수제는, 수분 유지제로서 기능한다. 또, 이 보수제는,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되는 산소를 유지하고 그 산소를 피산화성 금속에 공급하는 공급제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어도 된다.As the water-retaining agent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 water-retaining agent commonly used as a material for this type of heat generating material can be used. This water retaining agent functions as a water retention agent. Moreover, this water retaining agent may also have a function as a supply agent which maintains the oxygen supplied to a oxidizable metal, and supplies this oxygen to an oxidizable metal.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무기 재료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is water-retaining agent, the thing of an inorganic material is used preferably, for example.

이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다공질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As this water-retaining agent, a porous material is used preferably, for example.

보수제로는, 예를 들어, 활성탄 (야자각탄, 목탄분, 역청탄, 이탄, 아탄),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흑연,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실리카, 캔크리나이트, 플루오라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보수능, 산소 공급능, 촉매능을 갖는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water retaining agent include activated carbon (coconut coal, charcoal powder, bituminous coal, peat, and peat),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graphite, zeolite, perlite, vermiculite, silica, cancrinite, fluorite, and the like. Among these, activated carbon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having water holding capacity, oxygen supply capacity and catalytic capacity.

이 보수제로는, 피산화성 금속과의 유효한 접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입경이 0.1 ㎛ 이상 500 ㎛ 이하의 분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이 0.1 ㎛ 이상 200 ㎛ 의 분체상의 것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s this water-retaining ag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powdery substanc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1 µm or more and 500 µ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n effective contact state with the oxidized metal, and 50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ain more than mass %.

이 보수제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활성탄 섬유 등의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As this water-retaining agent, the thing of form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powder form can also be used, For example, the thing of fibrous forms, such as activated carbon fiber, can also be used.

발열재 (30) 중의 보수제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 mass % or more and 50 mass % or less, and, as for content of the water retaining agent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2 mass % or more and 40 mass % or less.

이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이 산화 반응에 의해 인체 온도 이상으로 온도 상승하는 정도로 반응을 지속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수분을 발열재 (30) 중에 충분히 축적할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의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발열재 (30) 에 대한 산소 공급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어, 발열재 (30) 의 발열 효율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When this content is 1 mass % or more, the water|moisture content required for sustaining reaction can fully accumulate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o the extent that a oxidizable metal temperature rises above a human body temperature by oxidation reaction. Moreover, sinc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fully ensured, oxygen supply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fully be performed, and the heat generating efficienc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made favorable.

이 함유량을 50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얻어지는 발열량에 대한 발열재 (30) 의 열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 온도 상승이 커져, 인간이 따뜻하다고 체감할 수 있는 온도 상승이 얻어진다.By making this content into 50 mass % or less, since the heat capacit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heat obtained can be suppressed, the exothermic temperature rise becomes large, and the temperature rise which a human can sense bodily as warmth is obtained.

발열재 (30) 는, 전해질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may contain an electrolyte.

이 전해질로는, 이러한 종류의 발열재의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electrolyte, an electrolyte commonly used as a material for this type of heat generating material can be used.

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혹은 중금속의 염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제 1, 제 2) 등의 각종 염화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전해질은,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electrolyte include chlorides or hydroxide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heavy metals. And among these, various chlorides, such as sod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and iron chloride (1st, 2nd), are used preferably from the point which is excellent in electroconductivity, chemical stability, and production cost. These electrolytes can also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발열재 (30) 중의 전해질의 함유량은, 발열재 (30) 중의 물 질량비로 0.5 질량% 이상 24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0.5 mass % or more and 24 mass % or less, and, as for content of the electrolyte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1 mass % or more and 10 mass % or less in water mass ratio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이 함유량을 0.5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산화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고,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때문에, 발열재 (30) 의 수분의 비율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발열 온도 상승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By setting this content to 0.5 mass % or more,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sufficiently advanced and the electrolyte necessary for the heat generating function is secured, so the ratio of moisture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also be suppressed, As a result, an increase in the exothermic temperature can be sufficiently ensured.

이 함유량을 24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재 (30)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 발열 기능에 필요한 전해질을 확보하기 때문에, 발열재 (30) 중의 수분 비율을 어느 정도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어, 충분한 물이 피산화성 금속 등에 공급되어, 발열 성능이 우수하고, 발열재 (30) 에 균일하게 전해질을 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By setting this content to 24 mass % or les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olyte required for the heat generating function is secured. This is preferable because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oxidizable metal or the like, the heat generating performance is excellent, and the electrolyte can be uniformly blend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

또, 발열재 (30) 에는, 증점제나 응집제, 나아가서는 그 밖의 첨가물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a thickener, a coagulant|flocculant, and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by extension.

미세한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 발열재 (30) 를 균일하게 충전하기 위해, 당해 발열재 (30) 를, 유동성을 가지는 슬러리의 상태로 공동 (13) 내에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발열재 (30) 는 증점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로는, 주로, 수분을 흡수하여 조도 (稠度) 를 증대시키거나, 틱소트로피성을 부여하는 물질, 예를 들어, 수용성의 고분자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uniformly fill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 the cavity 13 of the fine protrusion 12,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nto the cavity 13 in the state of a slurry having fluidity, In this case,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preferably contains a thickener. As the thickener, a substance that mainly absorbs moisture to increase roughness or imparts thixotropy, for example, a water-soluble polymer material can be used.

온열구 (100) 의 돌기부 (12) 는, 발열 도달 온도가 35 ℃ 이상 9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8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2 ℃ 이상 60 ℃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12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preferably has a heating attainable temperature of 35°C or more and 98°C or less, more preferably 38°C or more and 70°C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42°C or more and 60°C or less.

온열구 (100) 의 발열 도달 온도의 측정은, JIS S4100 과 동등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of the heating attainable temperature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can be performed by the method equivalent to JIS S4100.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가 충전된 시트 (10) 는, 발열재 (30) 의 단위중량 (1 g) 당, 10 분 동안에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20 mg/g 이상 250 m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mg/g 이상 180 mg/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sheet 10 in which the protrusion 12 is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in 10 minutes per unit weight (1 g)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20 mg/g or more and 250 mg/g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70 mg/g or more and 180 mg/g or less are more preferable.

여기서, 이 수증기량 (수증기 발생량) 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Here, this amount of water vapor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ion) is measured, for example as follows.

측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알루미늄제의 측정실 (용적 4.2 L) 과, 측정실의 하부에 제습 공기 (습도 2 % 미만, 유량 2.1 L/분) 를 유입시키는 유입로와, 측정실의 상부로부터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로를 구비하고 있다. 유입로에는, 입구 온습도계와 입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유출로에는, 출구 온습도계와 출구 유량계가 장착되어 있다. 측정실 내에는 온도계 (서미스터) 가 장착되어 있다. 온도계로는, 온도 분해능이 0.1 ℃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The apparatus used for the measurement includes a measurement chamber made of aluminum (volume 4.2 L), an inflow path for introducing dehumidified air (less than 2% humidity, flow rate 2.1 L/min)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easurement chamber, and the air flows ou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easurement chamber. It is equipped with an outflow path. The inlet is equipped with an inlet thermo-hygrometer and an inlet flow meter.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path is equipped with an outlet thermo-hygrometer and an outlet flow meter. A thermometer (thermistor) is installed in the measurement room. As a thermometer, a thing with a temperature resolution of about 0.1 degreeC is used.

측정 환경 온도 30 ℃ (30 ± 1 ℃) 에 있어서 온열구 (100) 를 포장 주머니로부터 취출하고, 시트 (10) 의 일방의 면 (10a) 측을 위로 하여 측정실에 재치하고, 금속구 (질량 4.5 g) 를 부착한 온도계를 그 위에 얹는다. 이 상태에서 측정실의 하부로부터 제습 공기를 흘리고, 입구 온습도계와 출구 온습도계에 의해 계측되는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측정실에 공기가 유입되기 전후의 절대습도의 차를 구한다. 또한 입구 유량계와 출구 유량계에 의해 계측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온열구 (100) 가 방출한 수증기량을 산출한다. 측정 개시로부터 10 분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수증기 발생량을 계측한다. At a measurement environment temperature of 30°C (30±1°C),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bag, and placed in the measurement chamber with one side 10a of the sheet 10 facing up, and a metal sphere (mass 4.5) Place the thermometer with g) on it. In this state, dehumidified air flows from the lower part of the measurement room, and the difference in absolute humidity before and after air flows into the measurement room is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by the inlet thermo-hygrometer and the outlet thermo-hygrometer. Further, based on the flow rates measured by the inlet flowmeter and the outlet flowmeter, the amount of water vapor emitted by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calculated. The amount of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until 10 minutes has passed is measured.

부직포 시트 (15) 의 재료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고, 제법으로는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스펀 레이스법, 멜트 블로우법, 플래시 방사법, 에어레이드법, 에어스루법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nclude synthetic fibers, natural fibers, and composite fibers thereof. Example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 a spun bond method, a needle punch method, a spun lace method, a melt blow method, a flash spinning method, and an air-laid method. , an air-through method, and the like.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binder part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and binding the fibers together.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레이온, 폴리스티렌, 아크릴, 비닐론, 셀룰로오스, 아라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first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rayon, polystyrene, acrylic, vinylon, cellulose, aramid,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naphthalate,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mentioned, 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또는 저융점 PET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인 것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또는, 저융점의 PET 인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e second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or low-melting PET (copolymerized polyester). Among them, polyethylene or low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ET of melting|fusing point.

또한,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may become the core-sheath structure containing the core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sheath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다.There is more content of the 1st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an content of the 2nd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6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다. 또,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은,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이다.Preferably, content of the 1st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60 mass % or more and 95 mass % or less. Moreover, content of the 2nd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5 mass % or more and 40 mass % or less.

부직포 시트 (15) 에 있어서의 제 1 수지 재료 및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부직포 시트 (15) 의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 (15)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By setting content of the 1st resin material and 2nd resin material i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n this way, the rigid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can fully be ensured,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fully. .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은, 15 g/㎡ 이상 500 g/㎡ 이하, 특히 30 g/㎡ 이상 3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이 15 g/㎡ 이상임으로써, 시트 (10) 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외에, 발열재 (30) 의 온도가 적당히 완화되어 피부에 전해지도록 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이 500 g/㎡ 이하임으로써, 시트 (10) 를 통하여 발열재 (30) 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15 g/m<2> or more and 500 g/m<2> or less, especially 30 g/m<2> or more and 350 g/m<2> or less.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15 g/m 2 or more, sufficient strength of the sheet 10 can be ensur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moderately mod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kin.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500 g/m 2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kin through the sheet 10 .

시트 (10) 의 기부 (11) 의 두께는, 0.03 mm 이상 2.6 mm 이하, 특히 0.08 mm 이상 1.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 (11) 의 두께가 0.03 mm 이상임으로써, 시트 (10) 의 형태 유지성 (특히 돌기부 (12) 의 형태 유지성), 나아가서는 본체부 (50) 의 형태 유지성이 양호해진다. 기부 (11) 의 두께가 2.6 mm 이하임으로써, 시트 (10) 의 전열성이 양호해진다.The thickness of the base 11 of the sheet 10 is preferably 0.03 mm or more and 2.6 mm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08 mm or more and 1.25 m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11 is 0.03 mm or more, the shape retention properties of the sheet 10 (particularly the shape retention properties of the protrusions 12 ) and furthermore the shape retention properties of the body part 50 become good.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11 is 2.6 mm or less, the heat transfer property of the sheet 10 becomes good.

시트 (1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1000 g/(㎡·24h) 이상 17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g/(㎡·24h) 이상 12000 g/(㎡·24h)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sheet 10 is, for example, preferably 1000 g/(m2·24h) or more and 17000 g/(m2·24h) or less, and 2000 g/(m2·24h) or more and 12000 g/(m2·24h) or more. ) or less is more preferable.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시트 (10) 의 투습도보다 낮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20 is lower than that of the sheet 10 .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는, 예를 들어, 2000 g/(㎡·24h) 이하, 특히 1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second sheet 20 is, for example, preferably 2000 g/(m 2 ·24h)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00 g/(m 2 ·24h) or less.

제 2 시트 (20)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30) 의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재 (30) 에 대한 산소의 공급이 시트 (10) 측으로부터 실시되고, 제 2 시트 (20) 로부터의 수증기의 발생은 억제할 수 있어, 주로 시트 (10) 측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20 is set in such a range, the direction of generation of water vapor accompanying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regulated by the second sheet 20 . For example, supply of oxygen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performed from the sheet 10 side, and generation of water vapor from the second sheet 20 can be suppressed, so that water vapor is mainly supplied from the sheet 10 side. can make it happen.

제 2 시트 (20)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20)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에 수반하는 수증기의 발생 방향을 제 2 시트 (20) 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The second sheet 20 preferably has a basis weight of 10 g/m 2 or more and 200 g/m 2 or less, and 20 g/m 2 or more and 100 g/m 2 or less.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second sheet 20 is set in such a range, the direction of generation of water vapor accompanying heat generation can be regulated by the second sheet 20 .

제 2 시트 (20)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나일론,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시트를 들 수 있고, 특히, 상기 수지 중에 산화티탄 등의 무기 필러를 배합한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제 2 시트 (20) 에 의한 발열재 (30) 의 은폐성이 양호해진다. 제 2 시트 (20)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The second sheet 20 includes a resin film composed of a resin such as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olyester, polyamide, polyurethane, polystyrene, nylon, polyvinylidene chloride, and poly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a sheet in which an inorganic filler such as titanium oxide is blended in the resin, in particular, the hiding property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by the second sheet 20 is improved. The second sheet 20 may be u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시트 (20) 로는, 예를 들어, 종이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나, 부직포와 상기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필름이 제 2 시트 (20) 의 내면측 (흡수 시트 (40) 측) 이 되고, 제 2 시트 (20) 를 구성하는 종이나 부직포가 제 2 시트 (20) 의 외면측 (후면측) 에 배치된다. 나아가서는, 배면측으로의 방열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시트 (20) 의 후면측에 부직포가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Mor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econd sheet 20 include a laminated sheet of paper and the resin film, and a laminated sheet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resin film. In this case, the resin film is on the inner surface side (absorbent sheet 40 side) of the second sheet 20 , and the paper or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second sheet 20 is placed on the outer surface side (rear surface side) of the second sheet 20 . side) is placed. Furthermore, in order to suppress heat dissipation to the back side, a nonwoven fabric may be laminated on the back side of the second sheet 20 .

흡수 시트 (40) 가 흡수성 폴리머 시트인 경우, 당해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구성하는 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성을 갖는 중합체 입자이다.When the absorbent sheet 40 is an absorbent polymer sheet, the absorbent polymer constituting the absorbent polymer sheet is a polymer particle having water absorbency.

흡수성 폴리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괴상, 포도상, 부정 형상, 다공상, 분말상 또는 섬유상일 수 있다. 이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입자경은, 본체부 (50) 로부터의 흡수성 폴리머의 탈락이나 흡수성 폴리머의 이동의 억제를 위해서, 100 ㎛ 이상 1000 ㎛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0 ㎛ 이상 650 ㎛ 이하로 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500 ㎛ 이하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absorbent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pherical, lumpy, grape-like, irregular, porous, powdery or fibrou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may be 100 µm or more and 1000 µm or less, preferably 150 µm or more and 650 µm or less,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the drop-off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from the body part 50 or the movement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and more preferably 200 µm or more and 500 µm or less.

일례로서, 흡수성 폴리머를 얻으려면, 이하의 모노머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모노머를 중합하고, 또, 필요에 따라 가교한다. 여기서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역상 현탁 중합법이나 수용액 중합법 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흡수성 폴리머의 여러 가지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 대해 필요에 따라 분쇄, 분급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중합체를 원하는 평균 입자경으로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무기 미립자 처리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가 얻어진다.As an example, in order to obtain a water absorbent polymer, one or more types of monomers selected from the following monomers are polymerized, and further, if necessary, crosslinked. The polymerization method he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of the water-absorbing polymer generally known, such as a reverse phase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an aqueous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can be employed. Then, the polymer obtained by polymerization is subjected to processing such as pulverization and classification as necessary, the polymer is adjusted to a desired average particle diameter, and, if necessary, inorganic fine particles are treated to obtain a water absorbing polymer.

흡수성 폴리머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모노머로는, 수용성이고, 중합성의 불포화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모노머로는, 보다 상세하게는,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 또는 그 염, 올레핀계 불포화 인산에스테르, 올레핀계 불포화 아민, 올레핀계 불포화 암모늄염, 올레핀계 불포화 아미드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비닐 모노머가 예시된다.As a monomer used when manufacturing a water absorbent polymer, it can use the monomer which is water-soluble and has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More specifically, as this monomer, olefin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its salt, olefi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ster, olefinically unsaturated sulfonic acid or its salt, olefinically unsaturated phosphoric acid or its salt, olefinically unsaturated phosphoric acid ester, and vinyl monomers having a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such as an olefinically unsaturated amine, an olefinically unsaturated ammonium salt, and an olefinically unsaturated amide.

흡수 시트 (40)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5 mm 이상 2 mm 이하로 할 수 있고, 0.1 mm 이상 1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absorbent sheet 4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be 0.05 mm or more and 2 mm or les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0.1 mm or more and 1 mm or less.

흡수 시트 (40) 의 두께가 0.05 mm 이상임으로써, 흡수 시트 (40) 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흡수 시트 (40) 의 두께가 2 mm 이하임으로써, 본체부 (50) 를 충분히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absorbent sheet 40 is 0.05 mm or more, the absorbent sheet 40 can sufficiently absorb water. Moreo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absorbent sheet 40 is 2 mm or less, the main-body part 50 can be comprised sufficiently thin.

흡수 시트 (40) 의 두께의 측정은, 예를 들어, 피콕 게이지 측정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absorbent sheet 40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a Peacock gauge measurement method.

흡수 시트 (40) 로는, 수분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고, 유연성을 갖는 시트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한 시트 재료로는, 예를 들어 섬유를 원료로 하는 종이,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의 섬유 시트나, 스펀지 등의 다공체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시트 (40) 의 재료가 되는 섬유로는, 예를 들어 식물 섬유나 동물 섬유 등의 천연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나 화학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식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코튼, 케이폭, 목재 펄프, 비목재 펄프, 낙화생 단백 섬유, 옥수수 단백 섬유, 대두 단백 섬유, 만난 섬유, 고무 섬유, 마, 마닐라마, 사이잘마, 뉴질랜드마, 나포마, 야자, 골풀, 맥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동물 섬유로는, 예를 들어 양모, 염소모, 모헤어, 캐시미어, 알파카, 앙고라, 카멜, 비큐나, 실크, 우모, 다운, 페더, 알긴 섬유, 키틴 섬유, 카세인 섬유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로는, 예를 들어 레이온,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absorbent sheet 40, a sheet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d maintaining moisture and having flexibility is used. As such a sheet material, fiber sheets, such as paper, nonwoven fabric, woven fabric, knitted fabric, etc. which use fiber as a raw material, porous bodies, such as a sponge,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a fiber used as a material of the absorbent sheet 40, what has natural fibers, such as plant fiber and animal fiber, as a main component, and the thing which has chemical fiber as a main component are mentioned, for example. Plant fibers include, for example, cotton, kapok, wood pulp, non-wood pulp, peanut protein fiber, corn protein fiber, soy protein fiber, mannan fiber, rubber fiber, hemp, manila hemp, sisal hemp, New Zealand hemp, napoma. ,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selected from palm, chrysanthemum, and wheatgrass can be mentioned. The animal fibers include, for example, one or two types selected from wool, goat hair, mohair, cashmere, alpaca, angora, camel, vicuna, silk, down, feather, algin fiber, chitin fiber, and casein fiber. more can be mentioned. As a chemical fiber, 1 type(s) or 2 or more types chosen from rayon, acetate, and a cellulose can be used, for example.

그 중에서도 흡수 시트 (40) 로는, 전술한 섬유로 구성되는 섬유 재료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m, the absorbent sheet 40 preferably contains a fiber material composed of the aforementioned fibers and a water absorbent polymer.

흡수 시트 (40) 가, 성분 (a) 섬유 재료, 및, 성분 (b)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고 하면, 흡수 시트 (40) 의 형태로는, (i) 성분 (a) 및 성분 (b) 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1 장 시트로 한 것, (ii)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 사이에 성분 (b) 가 배치된 것, (iii) 성분 (b) 를 산포하여 시트상으로 한 것의 3 개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absorbent sheet 40 contains component (a) a fiber material and component (b) an absorbent polymer, in the form of the absorbent sheet 40, (i)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One sheet in a uniformly mixed state, (ii) a sheet in which component (b) is disposed between the same or different sheets containing component (a), (iii) a sheet in which component (b) is dispersed Three forms of what was imaged can be illustrated.

이 중 바람직한 것은, (ii) 의 형태의 것이다. 또한, (ii) 의 형태의 흡수 시트 (40) 는, 예를 들어, 성분 (a) 를 포함하는 시트 상에 성분 (b) 의 흡수성 폴리머를 균일하게 산포하고, 그 위로부터 200 g/㎡ 의 양의 물을 분무한 후, 또 그 위에 성분 (a) 를 포함하는 동일한 또는 서로 상이한 시트를 적층하고, 100 ± 0.5 ℃, 5 kg/㎠ 의 압력으로 프레스 건조하여 함수율이 5 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Among these, the thing of the form (ii)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absorbent sheet 40 of the form (ii) is, for example, uniformly dispersed in the absorbent polymer of the component (b) on a sheet containing the component (a), and 200 g/m 2 of After spraying an amount of water, the same or different sheets containing component (a) are laminated thereon, and press-dried at 100±0.5° C. and a pressure of 5 kg/cm 2 to obtain a moisture content of 5 mass%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pare by drying until

흡수성 폴리머로서,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 및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겔화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수 시트 (40) 의 충분한 흡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형상으로는, 구상, 괴상, 포도송이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입경은,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5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된다.By using a hydrogel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nd holding a liquid 20 times or more of its own weight and capable of gelling as the water absorbent polymer, sufficient water absorption performance of the absorbent sheet 40 can be ensured. As a shape of the particle|grains of a water absorbent polymer, a spherical shape, a block shape, grape cluster shape, fibrous shape, etc. are mentio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grains of a water absorbing polymer is 1 micrometer or mor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 micrometers or mor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grains of a water absorbing polymer is 1000 micrometers or less,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0 micrometers or less. In addi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absorptive polymer particle is measured by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a laser diffraction method, or the like.

흡수성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전분, 가교 카르복실메틸화셀룰로오스,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알칼리금속염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염 그래프트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흡수 시트 (40) 의 흡수성능을 높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Specific examples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starch, crosslinked carboxymethylated cellulose, 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or alkali metal 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and salts thereof, and polyacrylate graft polymers. can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polyacrylic acid, a salt thereof, and a polyacrylate graft polymer, such as a polymer or copolymer of acrylic acid or alkali metal acrylate, in order to improve the absorbent performance of the absorbent sheet 40 .

흡수 시트 (40) 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1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 시트 (40) 에서 차지하는 성분 (b)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비율은, 건조 상태에서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6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particle|grains of the component (b) water absorbent polymer occupied in the absorbent sheet 40 is 10 mass % or more in a dry stat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0 mass % or mor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particle|grains of the component (b) water-absorbing polymer occupied in the absorbent sheet 40 is 70 mass % or less in a dry state,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65 mass % or less.

흡수 시트 (40) 는, 건조 상태에서 그 평량이 2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0 g/㎡ 이상 22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g/㎡ 이상 180 g/㎡ 이하이다. 흡수 시트 (40) 에 포함되는 성분 (b) 의 평량은, 건조 상태에서 5 g/㎡ 이상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0 g/㎡ 이상 17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g/㎡ 이상 130 g/㎡ 이하이다.The absorbent sheet 40 preferably has a basis weight of 20 g/m 2 or more and 250 g/m 2 or less in a dry state, and preferably 40 g/m 2 or more and 22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60 g/m 2 . or more and 180 g/m 2 or less. The basis weight of the component (b) contained in the absorbent sheet 40 is preferably 5 g/m 2 or more and 20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10 g/m 2 or more and 170 g/m 2 or less, more preferably in a dry state. It is preferably 30 g/m 2 or more and 130 g/m 2 or less.

본 실시형태의 경우, 흡수 시트 (40) 로는,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20 g/㎡) 와 흡수성 폴리머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평량 90 g/㎡)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평량 30 g/㎡) 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흡수성 폴리머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s the absorbent sheet 40, wood pulp paper (basis weight 20 g/m2), water absorbent polymer (spherical shap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0 µm, basis weight 90 g/m2), and wood pulp paper (basis weight) 30 g/m 2 ) by laminating and integrating the absorbent polymer sheet can be used.

장착부 구성 시트 (63)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 할 수 있다. 이 부직포의 재료로는, 합성 섬유,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섬유를 들 수 있다.Although the material of the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be set as the nonwoven fabric which has elasticity. As a material of this nonwoven fabric, a synthetic fiber, a natural fiber, or these conjugated fiber is mentioned.

단, 장착부 구성 시트 (63) 는, 부직포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무 섬유 함유 직포 등이어도 된다.However, the attachment part structural sheet 63 is not limited to a nonwoven fabric, For example, a rubber fiber containing woven fabric etc. may be sufficient.

점착층 (64) 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에멀션계, 핫멜트계, 수겔계 등의 점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material of the adhesive layer 64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dhesive materials, such as a rubber type, an acrylic type, a silicone type, an emulsion type, a hot melt type, a water gel type, can be used.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imple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은, 부직포 시트 (18) (도 5(a)) 를 준비하는 공정과, 부직포 시트 (18) 를 포함하는 시트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8)) 를 준비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여기서, 부직포 시트 (18) 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imple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prepares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FIG. 5(a)), The sheet|seat contain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is prepared process is provided. Her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exist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the first endothermic peak. It exists on the higher temperature side than the peak.

또한, 이 제조 방법은, 이 시트를 제 1 흡열 피크와 제 2 흡열 피크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이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과,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발열재 (30) 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한다.Further, in this manufacturing method,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endothermic peak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to form the convex projections 12 on one face side of the sheet;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on the surface side is provided.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8)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를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이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trusion 12,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the convex protrusion 12 is formed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이 제 1 흡열 피크이고,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이 제 2 흡열 피크이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is the first endothermic peak,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is the second endothermic peak.

먼저, 부직포 시트 (15)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8) 를 준비한다.First,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used as the bas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prepared.

여기서, 부직포 시트 (18) 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섬유와 제 2 섬유의 혼면인 경우). 단,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Her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is comprised including, for example, the 1st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fiber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first fiber and in the case of blending of the second fiber). However,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may become the core-sheath structure containing the core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sheath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다음으로, 부직포 시트 (18) 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시트 (10) 를 성형한다.Next, the sheet 10 in which the projection part 12 was formed is shape|molded by heat-pressing with respect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As shown in FIG.

여기서,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Here,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set to an intermediate temperatur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Thereby, the second resin material is melted while the first resin material is not melted, so that, through the molten second resin material, the fiber constituted by the first resin material (the fiber has a core-sheath structure). It may be a part of the deliberation). That is, the molten second resin material constitutes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fibers made of the first resin material to each other.

그 결과, 시트 (10)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시트 (10)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sheet 1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while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10 . That is, the air permeability and rigidity of the base 11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2, from the base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protrusion 12, while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the whole can be made sufficiently rigid. have.

여기서,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2 수지 재료가 충분히 용융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저온 (예를 들어,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30 ℃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20 ℃ 이하의 온도)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열 프레스 후의 부직포 시트 (15)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어, 본체부 (50) 의 촉감이 양호하게 된다.Here,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as low as possibl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second resin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melted (for example, a temperature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30 ° C. or lower, preferably the second resin material). is preferably set to a melting point of +20 °C or less). By doing in this way,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fter hot pressing can have the texture of a nonwoven fabric, and the feel of the main body part 50 becomes favorable.

여기서, 예를 들어,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을 사용하여,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He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protrusion 12 is formed on the sheet 10 using the first mold 70 and the second mold 8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can

제 1 금형 (70) 은, 제 2 금형 (80) 과 대향하는 평탄면 (71) 과, 평탄면 (71) 으로부터 제 2 금형 (80) 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 (72) 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mold 70 includes a flat surface 71 facing the second mold 80 ,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72 protruding from the flat surface 71 toward the second mold 80 .

제 2 금형 (80) 은, 제 1 금형 (70) 과 대향하는 평탄면 (81) 과, 평탄면 (81) 에 있어서 각 돌기부 (72) 와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오목부 (82) 를 구비하고 있다.The second mold 80 has a flat surface 81 opposed to the first mold 70,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 82) is provided.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형 (70) 과 제 2 금형 (80) 을 서로 근접시켜 시트 (10) 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함과 함께,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에 의해 시트 (10) 를 가열함으로써, 시트 (10) 에 복수의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 시트 (10) 에 있어서,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의 평탄면 (71, 81) 과 대응하는 부위는 기부 (11) 가 되고, 제 1 금형 (70) 및 제 2 금형 (80) 의 돌기부 (72) 및 오목부 (82) 와 대응하는 부위는 돌기부 (12) 가 된다.As shown in Fig. 5(b), the first mold 70 and the second mold 80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and the sheet 10 is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ile the first mold 70 and the second mold are pressed. A plurality of projections 12 are formed on the sheet 10 by heating the sheet 10 by (80). In the sheet 1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at surfaces 71 and 81 of the first mold 70 and the second mold 80 becomes the base 11, and the first mold 70 and the second mold 80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72 and the concave portion 82 of 80 becomes the protrusion 12 .

이렇게 하여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한 후,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한다.After the protrusion 12 is formed on the sheet 10 in this way, the protrusion 12 is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

이를 위해서는, 피산화성 금속, 보수제 및 물을 포함하는, 발열재 (30) 의 원료 조성물 (슬러리) 을 조제하고, 그 원료 조성물을 각 돌기부 (12) 에 흘려 넣는다.For this purpose, a raw material composition (slurry) for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ontaining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is prepared, and the raw material composition is poured into each protrusion 12 .

이로써, 돌기부 (12) 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르게 하여 발열재 (30) 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재 (30) 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돌기부 (12) 의 형상과 동일한 뿔상 또는 뿔대상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Thereby,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filled by following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12.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hape of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made into the shape of a cone shape or the shape of a cone object similar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part 12, for example.

시트 (10) 의 각 돌기부 (12) 에 발열재 (30) 를 충전한 후에, 시트 (10) 의 기부 (11) 상에 흡수 시트 (40) 를 적층한다.After filling each projection 12 of the sheet 10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 the absorbent sheet 40 is laminated on the base 11 of the sheet 10 .

또한, 흡수 시트 (40) 상에 제 2 시트 (20) 를 적층하고, 제 2 시트 (20) 의 주연부와 시트 (10) 의 주연부를 서로 접합한다.Further, the second sheet 20 is laminated on the absorbent sheet 40, and the periphery of the second sheet 20 and the periphery of the sheet 10 are bonded to each other.

제 2 시트 (20) 와 시트 (10)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Bonding of the 2nd sheet|seat 20 and the sheet|seat 10 may be performed using an adhesive agent, and may be performed by heat sealing.

이렇게 하여, 본체부 (50) 를 제작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dy part 50 can be manufactured.

다음으로, 본체부 (50) 에 대해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의 기단부 (66) 를 각각 접합한다.Next, the base end portions 66 of the pair of attachment band portions 61 are joined to the main body portion 50, respectively.

본체부 (50) 에 대한 장착 밴드부 (61) 의 접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시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Bonding of the attachment band part 61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50 may be performed using an adhesive agent, and may be performed by heat sealing.

이렇게 하여, 온열구 (100) 가 제조된다.In this way,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manufactured.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온열구 (100) 는, 일방의 면 (10a) 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와, 시트 (10) 의 타방의 면 (10b) 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 (30) 를 구비하고,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implement 100 includes a sheet 10 having a convex projection 12 on one side 10a side, and a sheet 10 on the other side 10b side.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provided, the sheet 10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comprised with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It is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and is comprised including the binding part which bind|concludes the fibers.

시트 (10)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 (15) 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시트 (10) 의 강성, 나아가서는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 (12) 에 의해 인체 등의 생체의 피부를 충분히 압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heet 10 is a nonwoven fabric sheet 15 including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binder portion made of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binding the fibers together. Since it has , the rigidity of the sheet 10 and furthermore the rigidity of the projection 12 of the sheet 1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ss the skin of a living body such as a human body by the projection 12 .

특히,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가 부직포 시트 (15)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당해 시트 (10) 의 강성, 나아가서는 돌기부 (12)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sheet|seat 10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e rigidity of the said sheet|seat 10, furthermore, the rigidity of the projection part 12 can fully be ensured, but also , the sheet 10 has air permeability.

이로써, 돌기부 (12) 에 의한 생체의 피부의 충분한 압압 작용과, 시트 (10) 를 통한 수증기의 방출 작용을 양립시킬 수 있다.Thereby, the sufficient pressure action of the skin of the living body by the protrusion 12 and the release action of water vapor through the sheet 10 can be made compatible.

또, 상기와 같이 온열구 (100) 가 돌기부 (12) 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발열재 (30) 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침이나 불을 사용하지 않고,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를 국소적으로 압압하면서 가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ing implement 100 includes the protrusion 12 and the heating material 30 contain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a needle or fire is used. Without heating, the living body can be warmed while being locally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

또, 온열구 (100) 는, 돌기부 (12) 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60)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보거나 가사를 실시하거나 하는 등 다른 일을 실시하면서, 생체의 국부적인 압압과 가온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60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100 to the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art 12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the heating implement 10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iving body. While i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for example, while performing other tasks such as watching TV or doing housework, local pressure and heating of the living body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k) 를 이용하여,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modified example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the arrangement of the projections 12 and the shape of the projections 1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k).

<변형예 1> <Modification 1>

도 7(a) 및 도 7(b)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1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a) 는 평면도, 도 7(b) 는 도 7(a)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of which FIG. 7(a) is a plan view, FIG.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a).

본 변형예의 경우,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부 (12) 가, 지그재그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시트 (10) 에 예를 들어 가로 3 열, 합계 10 개의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projections 12 having the same shap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re arranged in a zigzag grid, and the sheet 10 is provided with, for example, three horizontal rows of 10 projections 12 in total.

시트 (10)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경우의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시트 (10) 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다.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is formed, for example, in a hexagonal shape. In addition, the planar shape of the body part 50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seat 10. As shown in FIG.

<변형예 2> <Modification 2>

도 7(c) 및 도 7(d)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2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c) 는 평면도, 도 7(d) 는 도 7(c)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7(c) and 7(d)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cond modification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12, of which Fig. 7( c) is a plan view, and FIG. 7(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c).

본 변형예의 경우, 돌기부 (12) 가 원뿔대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돌기부 (12) 의 꼭대기부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projection 12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In other words, the top of the projection 12 is formed flat.

본 변형예의 경우, 돌기부 (12) 의 배치 및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에 대해서는, 변형예 1 과 동일하다.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it is the same as that of modification 1 about the arrangement|positioning of the projection part 12 and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seat 10 (and the body part 50).

<변형예 3> <Modification 3>

도 7(e) 및 도 7(f)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3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e) 는 평면도, 도 7(f) 는 도 7(e)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7(e) and 7(f) are views for explain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12, of which Fig. 7( e) is a plan view, and FIG. 7(f)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e).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sheet 10 has a plurality of types of protrusions 12 different in shape from each other.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sheet|seat 10 has the several types of projection part 12 mutually different in dimension.

보다 상세하게는,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의 중앙부에 1 개의 돌기부 (12) (이하,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고, 제 1 돌기부 (12a) 의 주위에 복수 (예를 들어 8 개) 의 돌기부 (12) (이하, 제 2 돌기부 (12b)) 가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one protrusion 12 (hereinafter, the first protrusion 12a)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heet 10, and a plurality (eg, the first protrusion 12a)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2a. For example, eight) projections 12 (hereinafter, second projections 12b)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circumference at equal intervals.

또, 제 1 돌기부 (12a) 의 직경이, 제 2 돌기부 (12b) 의 직경보다 크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의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예를 들어,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봤을 때에, 제 1 돌기부 (12a) 의 외형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외형 치수보다 크다.Moreover, the diameter of the 1st projection part 12a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2nd projection part 12b. In other words, the dim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a and the dimen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10 , the outer dim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a is the first. 2 It is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protrusion 12b.

또한,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는, 예를 들어,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제 1 돌기부 (12a) 의 경사 각도는, 제 2 돌기부 (12b) 의 경사 각도보다 완만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돌기부 (12b) 에서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In addition, the height dimension of the 1st protrusion part 12a is the same as the height dimension of the 2nd protrusion part 12b, for example. For this reas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1st projection part 12a is gentl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2nd projection part 12b. In other words, the shapes of the first protrusion 12a and the second protrusion 1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이,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seat 10 and the body part 50 becomes circular, for example.

단,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중앙의 제 1 돌기부 (12a) 에 의해 보다 충분히 생체의 피부를 압박할 수 있다.However, the height dim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a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2b. In this way, the skin of the living body can be more fully pressed by the central first protrusion 12a.

또, 제 2 돌기부 (12b) 의 높이 치수가 제 1 돌기부 (12a) 의 높이 치수보다 커도 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위의 제 2 돌기부 (12b) 에 의해 보다 충분히 생체의 피부를 압박할 수 있다.Moreover, the height dimension of the 2nd protrusion part 12b may be larger than the height dimension of the 1st protrusion part 12a, and by doing in this way, the skin of a living body can be pressed more fully by the 2nd protrusion part 12b around.

<변형예 4> <Modification 4>

도 7(g) 및 도 7(h)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4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g) 는 평면도, 도 7(h) 는 도 7(g)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7(g) and 7(h) are views for explaining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of which FIG. 7(g) is a plan view, FIG. 7 (h)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g).

본 변형예의 경우, 복수 (예를 들어 9 개) 의 돌기부 (12) 가 정방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이, 모서리가 둥근 정방 형상으로 되어 있다.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a plurality (for example, nine) of the protrusions 12 are arranged in a square lattice shape. Moreover,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seat 10 and the body part 50 is a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변형예 5> <Modification 5>

도 7(i) 및 도 7(j)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돌기부 (12) 의 배치 및 돌기부 (12) 의 형상의 변형예 5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이 중 도 7(i) 는 평면도, 도 7(j) 는 도 7(i)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7 (i) and 7 (j)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and the modified example 5 of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12, of which Fig. 7 ( i) is a plan view, and FIG. 7(j)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i).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sheet 10 has a plurality of types of protrusions 12 different in shape from each other.

또,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는, 서로 치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돌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sheet|seat 10 has the several types of projection part 12 mutually different in dimension.

보다 상세하게는, 본 변형예의 경우, 시트 (10) 및 본체부 (50)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변형예 1 및 2 와 동일하다. 그리고, 시트 (10) 의 중앙부에 가로로 긴 장원형의 1 개의 돌기부 (12) (이하, 제 1 돌기부 (12a)) 가 배치되어 있고, 제 1 돌기부 (12a) 의 주위에 복수 (예를 들어 8 개) 의 돌기부 (12) (이하, 제 2 돌기부 (12b)) 가 배치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the planar shapes of the sheet 10 and the body portion 50 are, for example, the same as in Modifications 1 and 2, for example. Then, at the center of the sheet 10, one transversely elongated, elliptical protrusion 12 (hereinafter, the first protrusion 12a) is disposed, and a plurality of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2a)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protrusion 12a. Eight) projections 12 (hereinafter, second projections 12b) are arranged.

제 1 돌기부 (12a) 의 꼭대기부는, 가로로 긴 능선을 가지고 있다 (도 7(j) 참조).The top of the first projection 12a has a horizontally long ridge line (see Fig. 7(j)).

본 변형예의 시트 (10) 에 있어서의 제 1 돌기부 (12a) 의 배치 영역은, 변형예 1 및 2 의 시트 (10) 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2 개의 돌기부 (12) 의 배치 영역에 상당하고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의 치수와 제 2 돌기부 (12b) 의 치수가 서로 상이하고, 예를 들어, 시트 (10) 의 면직 방향으로 봤을 때에, 제 1 돌기부 (12a) 의 외형 치수가 제 2 돌기부 (12b) 의 외형 치수보다 크다.The arrangement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12a in the sheet 10 of the present modification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area of the two protrusions 12 at the center in the sheets 10 of Modifications 1 and 2. In other words, the dim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a and the dimen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2b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sheet 10 , the outer dimension of the first protrusion 12a is the first. 2 It is larger than the outer dimension of the protrusion 12b.

제 1 돌기부 (12a)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장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돌기부 (12b) 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돌기부 (12a) 와 제 2 돌기부 (12b)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The planar shape of the 1st projection part 12a is an oval shape, for example. On the other hand, the planar shape of the 2nd protrusion part 12b is circular, for example. In other words, the first projection 12a and the second projection 12b are different in shape from each other.

<변형예 6> <Modification 6>

도 7(k) 는, 시트 (10) 의 평면 형상 및 돌기부 (12) 의 배치의 변형예 6 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 복수 (예를 들어 4 개) 의 돌기부 (12) 가 직선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FIG. 7(k)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ixth modification of the planar shape of the sheet 10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s 12 . In the case of this modification, a plurality (for example, four) of the projections 1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raight line.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9(b) 를 이용하여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b).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시트 (10) 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heet 10, and in other respects,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100)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0) 가 1 장의 부직포 시트 (1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In said 1st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sheet|seat 10 was comprised by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of 1 sheet was demonstrated.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10) 는,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5)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7)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heet|seat 10 i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10, and the said sheet|seat 10. a nonwoven fabric sheet 17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constituting the other outermost layer of the , and a ventilation sheet 16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는,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5),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3층 구조로 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heet 10 has a three-layer structure of a nonwoven fabric sheet 15, a breathable sheet 16, and a nonwoven fabric sheet 17, as shown in FIG. 8, for example. has been

단,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3 층의 다른 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례로서, 시트 (10) 는,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사이에 2 층의 통기 시트 (16) 를 구비하고, 또한, 이들 2 층의 통기 시트 (16) 끼리의 사이에 제 3 부직포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 합계 5 층의 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sheet|seat 10 may be comprised including the other layer of 3 layer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e air permeabl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s an example, the sheet 10 includes two layers of air-permeable sheets 16 between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nd is formed between the two-layer air-permeable sheets 16 comrades. 3 nonwoven fabric sheets are provided, and it may be set as the layer structure of 5 layers in total.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 (17) 도, 부직포 시트 (15) 와 마찬가지로,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ncludes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binder made of a second resin material that binds the fibers together. have. Moreover,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is also comprised, similarly to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binding part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and binding the fibers together. have.

즉, 제 1 부직포 시트 및 제 2 부직포 시트의 각각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at is, each of the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2n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binding part comprised with the 2nd resin material and binding the fibers together.

단,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However, the 1s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1s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may be mutually the same material, and mutually different materials may be sufficient as them.

또,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는, 서로 동일한 재료여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여도 된다.Moreover,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may be mutually the same material, and mutually different materials may be sufficient as them.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는 서로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1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임과 함께,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와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가 서로 동일한 재료이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mutually comprised by the same material, The 1s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While the 1st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is mutually the same material,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mutually the same material.

또, 부직포 시트 (17) 의 평량에 대해서는, 부직포 시트 (15) 의 평량과 마찬가지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Moreover, about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similarly to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t can set suitably.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may become the core-sheath structure containing the core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sheath comprised with the 2nd resin material.

또,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섬유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also about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similarly, you may become the core-sheath structure containing the core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sheath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부직포 시트 (17) 의 통기도는, 부직포 시트 (15) 의 통기도와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1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초/100 ㎖ 이상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하이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is the same a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Preferably it is 1 second/100ml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 seconds/100ml or more. Moreover, Preferably it is 20000 sec/100 ml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000 sec/100 ml or less.

통기 시트 (16) 는,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air-permeable sheet 16 is constituted by including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가 100 g/(㎡·24h) 이상 13000 g/(㎡·24h) 이하, 특히 200 g/(㎡·24h) 이상 8000 g/(㎡·24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가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시트 (10) 를 통하여 산소가 발열재 (30) 에 공급되고, 그 발열재 (30) 로부터 열과 수증기가 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통기 시트 (16) 의 투습도의 측정은, 예를 들어, JIS(Z0208) CaCl2 법으로 실시할 수 있고, 측정 조건은, 40 ℃, 90 %RHM 으로 할 수 있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air permeable sheet 1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ir permeable sheet 16 is 100 g/(m 2 ·24h) or more and 13000 g/(m 2 ·24h) or less, particularly 200 g/( m2·24h) or more and 8000 g/(m2·24h) or less. Since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ventilation sheet 16 is set in such a range, 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oxygen is quickly supplied to the heating material 30 through the sheet 10, and the heating material ( 30), heat and water vapor can be generated rapidly, and the duration of heat generation can be sufficiently long. The moisture permeability of the air permeable sheet 16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the JIS (Z0208) CaCl 2 method, and the measurement conditions can be 40°C and 90%RHM.

통기 시트 (16) 는, 그 전체면에 걸쳐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air permeable sheet 16 may have air permeability over its entire surface, or may have air permeability partially.

통기 시트 (16) 는, 평량이 10 g/㎡ 이상 200 g/㎡ 이하, 특히 2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 시트 (16) 의 평량이 이와 같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열과 수증기가 빠르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발열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The air-permeable sheet 16 preferably has a basis weight of 10 g/m 2 or more and 200 g/m 2 or less, particularly 20 g/m 2 or more and 100 g/m 2 or less. When the basis weight of the ventilation sheet 16 is set in such a range, heat and water vapor can be rapidly generated 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and the duration of heat generation can be sufficiently long.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된 시트에 기계적으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이들 수지와 무기 필러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켜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또, 그 결정 구조의 계면 박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 발포 성형에 의한 연속 기포를 이용하여 미세한 통기 구멍을 연통시킨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펄프, 목재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비닐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 직포, 합성지, 종이 등도 들 수 있다. 통기 시트 (16) 는, 복수 장을 겹쳐 사용할 수도 있다. As the ventilation sheet 16, a sheet in which ventilation holes are mechanically formed in a sheet made of a polyolef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or a resin such as polyester, polyamide, polyurethane, polystyrene, or poly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 mixed sheet of a resin and an inorganic filler is interfacially peeled by stretching to form fine vents, and fine vents are formed using interfacial exfoliation of the crystal structure, and open cells by foam molding are used. and those in which fine ventilation holes are mad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xamples of the air-permeable sheet 16 include synthetic pulp such as polyolefin, wood pulp, rayon, and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acetate, nonwoven fabric, woven fabric, synthetic paper, paper, and the like formed of vinylon fibers and polyester fibers. The ventilation sheet 16 may be u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sheets.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 시트 (16) 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에 의해 계면 박리시킴으로써, 그 혼합 시트에 미세한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air-permeable sheet 16, a mixed sheet of polypropylene and calcium carbonate is interfacially peeled by stretching to form fine ventilation holes in the mixed sheet can be preferably u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통기 시트 (16) 가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이하의 설명을 실시한다.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air permeable sheet 16 is comprised by extending|stretching the mixed sheet|seat of polypropylene and calcium carbonat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given.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imple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도,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 (예를 들어, 도 9(a) 에 나타내는 부직포 시트 (18, 19)) 를 준비하는 공정과,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예를 들어, 도 9(a) 에 나타내는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의 적층체) 를 준비하는 공정과, 이 시트를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이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과,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발열재 (30) 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imple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also a nonwoven fabric sheet containing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with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for example, Fig.9(a))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nonwoven fabric sheets 18 and 19 shown in), and the sheet|seat containing a nonwoven fabric sheet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the air permeabl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shown in Fig.9(a)) ) preparing the laminate), and hot-pressing this sheet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to form the convex projections 12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and a step of disposing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먼저, 부직포 시트 (15)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7) 의 기초가 되는 부직포 시트 (19) 를 준비하고,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의 순서로 겹쳐지도록 이들 3 개의 시트를 적층한다.First,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used as the bas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the air permeabl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used as the base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prepared,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ventilation These three sheets are laminated so as to overlap in order of th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시트 (18) 는, 예를 들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1 섬유와,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 2 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 부직포 시트 (18) 를 구성하는 섬유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심과,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초를 포함하는 심초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is comprised including the 1st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fiber comprised with the 2nd resin material, for example. However,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may become the core-sheath structure containing the core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sheath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부직포 시트 (19) 도, 예를 들어, 부직포 시트 (18) 와 동일한 것이다.The nonwoven fabric sheet 19 is also the same as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for example.

다음으로, 이들 3 개의 시트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의 적층체에 대해 열 프레스를 실시함으로써, 돌기부 (12) 가 형성된 시트 (10) 를 성형한다 (도 9(a), 도 9(b) 참조).Next, the laminate of these three sheets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the air-permeabl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is subjected to hot pressing to form the sheet 10 having the projections 12 formed thereon. (See Fig. 9(a), Fig. 9(b)).

본 실시형태에서도,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로 설정한다. 즉,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 미만의 온도이고, 또한,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hot press is set to the intermediate|middle temperature of melting|fusing point of 1st resin material, and melting|fusing point of 2nd resin material.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이로써, 제 2 수지 재료가 용융되는 한편으로, 제 1 수지 재료는 용융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를 통하여,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 (당해 섬유는, 심초 구조의 심의 부분이어도 된다) 끼리가 결착된다. 즉, 용융된 제 2 수지 재료가,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섬유끼리를 결착하는 결착부를 구성한다.Thereby, the second resin material is melted while the first resin material is not melted, so that, through the molten second resin material, the fiber constituted by the first resin material (the fiber has a core-sheath structure). It may be a part of the deliberation). That is, the molten second resin material constitutes a binding portion that binds the fibers made of the first resin material to each other.

따라서,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트 (10)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기부 (11) 의 통기성 및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당해 돌기부 (12) 의 기단부터 선단에 걸쳐, 통기성을 확보하면서도, 전체를 충분한 강성으로 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since the rigidity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can be sufficiently ensured, the breathability and rigidity of the sheet 10 are sufficiently ensured. can do. That is, the air permeability and rigidity of the base 11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also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2, from the base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protrusion 12, while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the whole can be made sufficiently rigid. have.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열 프레스의 온도는, 제 2 수지 재료가 충분히 용융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저온 (예를 들어,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30 ℃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 + 10 ℃ 이하의 온도) 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열 프레스 후의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체부 (50) 의 외표면측에 위치하는 부직포 시트 (17) 가 부직포의 질감을 가짐으로써, 본체부 (50) 의 촉감이 양호하게 된다. 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as low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resin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melte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 30 ° C. or less, preferably is preferably set to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 a temperature of 10°C or less). By doing in this way,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fter hot pressing can be made to have the texture of a nonwoven fabric. In particular, when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ody part 50 has a texture of a nonwoven fabric, the feel of the body part 50 becomes favorable.

본 실시형태의 경우, 열 프레스의 온도는, 통기 시트 (16) 가 포함하는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이고, 통기 시트 (16) 의 연신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 프레스 후에 있어서도 통기 시트 (16) 의 통기 구멍을 유지시켜, 그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 is preferably set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third resin material contained in the air-permeable sheet 16 , and set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air-permeable sheet 16 . Thereby, even after hot pressing, the ventilation holes of the ventilation sheet 16 can be maintained, and the ventilation properties of the ventilation sheet 16 can be ensured.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에서는,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8)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9)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통기 시트 (16) 는,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u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eating implement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 sheet|seat consists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and the other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a nonwoven fabric sheet 19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and a ventilation sheet 16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air permeable sheet 16 )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그리고,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 (12) 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시트를 열 프레스한다.Then,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vex projections 12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third resin material.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각각 부직포 시트 (18) 와 부직포 시트 (19) 를 겹친 상태에서, 이들 3 층의 시트 (부직포 시트 (18), 통기 시트 (16) 및 부직포 시트 (19)) 를 열 프레스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are respectively overlapped on both surfaces of the air-permeable sheet 16 constituted including the third resin material, these three-layered sheets (non-woven fabric sheets) 18), the air-permeable sheet 16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are hot-pressed to form the projection 12.

이로써, 열 프레스 시에, 통기 시트 (16) 의 양면을 각각 부직포 시트 (18, 19) 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열 프레스에 제공되는 시트 (10) 가 구비하는 통기 시트 (16) 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높은 결정성을 갖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여도, 통기 시트 (16) 의 파단을 억제하면서,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10) 가 전체면에 걸쳐 균일한 통기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Thereby, at the time of hot pressing, both surfaces of the ventilation sheet 16 can be protected by the nonwoven fabric sheets 18 and 19, respectively. For this reason, even when the air-permeable sheet 16 included in the sheet 10 provided for hot press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high crystallinity such as polypropylene, for example, the air-permeable sheet 16 is The protrusion 12 can be formed on the sheet 10 while suppressing the frac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ke the sheet 10 have uniform air permeability over the entire surface.

또, 열 프레스 후의 시트 (10) 는,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각각 부직포 시트 (15, 17) 가 배치된 적층 구조가 된다. 이 때문에, 시트 (10) 의 강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강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Moreover, the sheet 10 after hot pressing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nonwoven fabric sheets 15 and 17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surfaces of the air permeable sheet 16 . For this reason, the rigidity of the sheet|seat 10 can be ensured more easily, and especially rigidity can be ensured favorably also about the projection part 12. FIG.

또한, 열 프레스 후의 시트 (10) 에 있어서,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수지 재료, 및, 부직포 시트 (17) 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6) 에 대해 결착하고 있어도 되고, 결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Further, in the sheet 10 after hot pressing, the second resin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second resin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may be bound to the air permeable sheet 16, you don't have to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의 제 2 수지 재료, 및, 부직포 시트 (17) 의 제 2 수지 재료는, 통기 시트 (16) 에 대해 결착하고 있지 않고, 이로써,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2nd resin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not bound to the air-permeable sheet 16, and, thereby, the air-permeable sheet 16 can maintain good breathability.

시트 (10) 에 돌기부 (12) 를 형성한 후의 제조 공정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after forming the projection part 12 in the sheet|seat 10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description is abbreviate|omitted.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가 제조된다. In this way,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트 (10) 는,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5) (제 1 부직포 시트) 와, 당해 시트 (10) 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 (17) (제 2 부직포 시트) 와, 제 1 부직포 시트와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 (16)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10) 의 강성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돌기부 (12) 에 대해서도 강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돌기부 (12) 에 의해 생체의 피부를 보다 충분히 압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2nd Embodiment, the sheet|seat 10 ha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10, and the other in the said sheet|seat 10.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2n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the outermost layer of , and the air permeable sheet 16 which comprises the intermediate|middle layer located between the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2nd nonwoven fabric sheet. Thereby, the rigidity of the sheet 10 can be more easily ensured, and especially rigidity can be ensured favorably also with respect to the projection part 12, and the skin of a living body can be pressed more fully by the projection part 12.

또, 통기 시트 (16) 는,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이, 부직포 시트 (15, 17) 를 구성하는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보다 높기 때문에, 통기 시트 (16) 의 통기성이 양호하게 유지된 구조의 온열구 (100) 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Moreover, the ventilation sheet 16 is comprised including the 3rd resin material, and since melting|fusing point of the 3rd resin material is higher than the melting|fusing point of the 2nd resin material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s 15 and 17, the ventilation sheet|seat The heating implement 100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permeability of (16) is maintained can be easily obtained.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시트 (16) 로서, 폴리프로필렌과 탄산칼슘의 혼합 시트를 연신함으로써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기 시트 (16) 는,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에 복수의 세공을 형성함으로써 제작된 것이어도 된다. 즉, 통기 시트 (16) 는, 예를 들어, 제 3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 시트이고, 당해 통기 시트 (16) 의 표리를 관통하는 복수의 세공을 가지고 있다.Moreover, although the 2nd Embodiment mainly demonstrated the example in which what was comprised by extending|stretching a mixed sheet of polypropylene and calcium carbonate as the air-permeable sheet 16,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ventilation sheet 16 may be produc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ores in a resin sheet made of the third resin material. That is, the air-permeable sheet 16 is, for example, a resin sheet made of the third resin material, and has a plurality of pores penetrat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air-permeable sheet 16 .

또한, 상기 서술한 열 프레스 시에 통기 시트 (16) 의 양면에 부직포 시트 (18) 와 부직포 시트 (19) 를 겹치기 전에, 미리, 통기 시트 (16) 에 부직포를 첩합 (貼合) 하여, 통기 시트 (16) 를 보강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fore overlapp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8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9 on both surfaces of the air permeable sheet 16 at the time of the above-mentioned hot pressing, the nonwoven fabric is previously bonded to the air permeable sheet 16, and ventilation is carried out. It is also preferable to reinforce the sheet 16 .

〔제 3 실시형태〕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10 을 이용하여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본체부 (50) 의 구조가, 상기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portion 5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t is comprised similarly to the heating implement 10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r 2nd Embodiment.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시트상으로 형성된 본체 시트 (120) 와, 본체 시트 (120) 의 내부의 수용 공간 (124) 에 수용되어 있는 발열체 (130) 와, 본체 시트 (120) 의 일방의 면에 첩부되어 있는 시트 (10) 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은, 본체 시트 (120) 측과는 반대측이다. 또, 발열체 (130) 가, 발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portion 50 includes a main body sheet 120 formed in a sheet shape, and a heat generating element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ng space 124 inside the main body sheet 120 ( 130 , and a sheet 10 affix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120 .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the opposite side to the main body sheet|seat 120 side. Moreover,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30 is comprised including a heat generating material.

즉, 온열구 (100) 는,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 (본체 시트 (120)) 를 구비하고, 시트상 본체부는, 시트 (10) 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다.That is, the heating implement 100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main body sheet 120 ) having a heat generating material, and 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10 .

본체 시트 (120) 는, 본체부 (50) 가 사용자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시트 (121) 와, 본체부 (50) 가 사용자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시트 (122)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시트 (121) 와 제 2 시트 (122) 는, 서로 중첩되어 있다.The body sheet 120 includes a first sheet 121 positioned on the user's skin side when the body part 50 is mounted on the user, and the skin side of the user with the body part 50 mounted on the user. It is comprised with the 2nd sheet|seat 122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o it.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overlap each other.

제 1 시트 (121) 와 제 2 시트 (122) 는, 예를 들어, 그들의 주연부에 위치하는 고리형의 접합부 (123) 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 1 시트 (121) 와 제 2 시트 (122) 는, 점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bonded to each other at, for example, an annular bonding portion 123 positioned at their periphery. The 1st sheet|seat 121 and the 2nd sheet|seat 122 may be joined by adhesion or adhesion|attachment, and may be joined by the heat seal.

수용 공간 (124) 은, 제 1 시트 (121) 와 제 2 시트 (122) 의 간극이다.The accommodation space 124 is a gap between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

제 1 시트 (121) 및 제 2 시트 (122) 의 각각은, 단층의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복수의 시트의 적층체여도 된다.Each of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may be constituted by a single-layer sheet or may be a laminate of a plurality of sheets.

본체 시트 (120) 를 구성하는 시트재 (제 1 시트 (121), 제 2 시트 (122))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부직포, 직포, 그 밖의 편물, 폴리에틸렌이나 우레탄 등의 수지 필름, 다공질체, 그들의 임의의 2 종 이상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As a material of the sheet material (first sheet 121, second sheet 122) constituting the body sheet 120,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a woven fabric, other knitted fabrics, a resin film such as polyethylene or urethane; A porous body, a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thereof, etc. are mentioned.

본 실시형태의 경우,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의 기단부 (66) 는, 제 2 시트 (122) 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end portions 66 of the pair of attachment band portions 61 are being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

발열체 (130) 는, 예를 들어,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와,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시트상의 발열부 (13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는, 서로 중첩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에 의해, 발열부 (133)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체가 구성되어 있다.The heating element 130 is,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first covering sheet 131 , a second covering sheet 132 , and a sheet held between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 A heat generating unit 133 is provided and configured.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overlap each other. Thereby, by the 1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2nd covering sheet 132, th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the heat generating part 133 inside is comprised.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는, 예를 들어, 그들의 주연부에 있어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are bonded to each other in their peripheral portions, for example.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는, 점착 또는 접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히트 시일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The 1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2nd covering sheet 132 may be joined by adhesion or adhesion|attachment, and may be joined by heat sealing.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중, 제 1 피복 시트 (131) 는, 제 1 시트 (121) 측, 즉 본체부 (50) 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측이 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피복 시트 (132) 는, 제 2 시트 (122) 측, 즉 본체부 (50) 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쪽에 배치되어 있다.Among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has the first sheet 121 side, that is, the user's skin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50 is attache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is dispos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user's skin side in the state where the body portion 50 is attached, that is, on the second sheet 122 side.

또한,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발열체 (130) 는 제 1 피복 시트 (131) 및 제 2 피복 시트 (132) 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발열부 (133) 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체는, 예를 들어, 제 1 시트 (121) 및 제 2 시트 (122) 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 제 1 시트 (121) 는 제 1 피복 시트 (131) 의 기능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 등) 을 갖고, 제 2 시트 (122) 는 제 2 피복 시트 (132) 의 기능 (제 2 피복 시트 (132) 의 통기성 등) 을 갖는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heat generating body 130 does not need to have the 1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2nd covering sheet 132. In this case, the container which accommodates the heat generating part 133 inside is comprised by the 1st sheet|seat 121 and the 2nd sheet|seat 122, for example. Also in this case, the first sheet 121 has a function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 etc.), and the second sheet 122 is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of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 It has a function (air permeability of the 2nd covering sheet 132, etc.).

발열부 (133) 는, 상기 발열재 (3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heat generating part 133 is comprised including the said heat generating material 30.

발열체 (130) 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접합부 (134) 에 있어서, 본체 시트 (120) 의 내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30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sheet 120 in the joint portion 134 .

발열부 (133) 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포형, 분체 타입, 및, 초지 (초조) 타입의 3 타입을 들 수 있다.Although the form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33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3 types of a coating type, a powder type, and a papermaking (papermaking) type are mentioned.

이 중 도포형의 발열부 (133) 는, 크레이프지, 또는 종이의 적층체에 도공 가능한 발열 조성물 (철분, 활성탄, 물 등을 함유하는 발열 조성물) 을 도포하고, 그 위에 폴리머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폴리머 시트 대신에, 흡수성 폴리머, 종이나 레이온 부직포 등의 흡수층을 사용하여도 된다.Among these, the coating-type heat generating part 133 is constructed by coating a crepe paper or a laminated body of paper with a coatingable heat generating composition (a heat generating composition containing iron powder, activated carbon, water, etc.) and laminating a polymer sheet thereon. has been Instead of the polymer sheet, an absorbent layer such as an absorbent polymer, paper, or rayon nonwoven fabric may be used.

분체 타입의 발열부 (133) 는, 철, 활성탄, 물, SAP (Super Absorbent Polymer), 무기 분체 등을 혼합한 분체를 시트상으로 눌러 굳히고, 이것을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사이에 봉입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powder-type heat generating part 133 presses and hardens powder mixed with iron, activated carbon, water, SAP (Super Absorbent Polymer), inorganic powder, etc. into a sheet form, and this is formed into a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a second covering sheet. It is constituted by enclosing between (132).

초지 타입의 발열부 (133) 는, 철분, 활성탄 및 펄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발열 재료에 식염수를 포함시키고, 이것을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사이에 봉입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paper-making type heat generating part 133 is constructed by incorporating saline solution into a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rising iron powder, activated carbon and pulp, and encapsulating it between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have.

여기서, 제 1 피복 시트 (131) 와 제 2 피복 시트 (132) 중 적어도 일방은 통기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 1 피복 시트 (131) 는 제 2 피복 시트 (132) 와 비교해 보다 통기성이 높다. 또한, 제 2 피복 시트 (132) 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통기성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Her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ir permeability.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has higher air permeability as compared with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 In addition, the 2nd covering sheet 132 may have air permeability, and does not need to have air permeability substantially.

또, 제 1 피복 시트 (131) 는 투습성 시트이다. 한편, 제 2 피복 시트 (132) 는, 투습성 시트이거나, 또는 비투습성 시트이다. 제 2 피복 시트 (132) 가 투습성 시트인 경우, 그 제 2 피복 시트 (132) 의 통기성은,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과 동일해도 되고,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보다 낮게 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보다 높게 되어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1st covering sheet 131 is a moisture-permeable sheet|seat. On the other hand, the 2nd covering sheet 132 is a moisture-permeable sheet|seat or a moisture-impermeable sheet|seat. When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is a moisture-permeable shee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may be the same a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or low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 may be used, or may be high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

또, 제 1 시트 (121) 의 통기성은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제 2 시트 (122) 의 통기성은 제 2 피복 시트 (132) 의 통기성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시트 (122) 가 비통기성인 경우, 제 2 피복 시트 (132) 도 비통기성이어도 되고, 제 2 피복 시트 (132) 는 비통기성이 아니어도 된다.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sheet 121 is pref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122 is pref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 When the second sheet 122 is non-air-permeable,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may also be non-air-permeable, and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may not be non-air-permeable.

또한, 제 2 피복 시트 (132) 의 통기성을 제 1 피복 시트 (131) 의 통기성보다 낮게 하는 편이, 보다 피부측으로 증기를 방출시키기 쉬워진다.Further, whe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covering sheet 132 is low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the vapor is more easily released to the skin side.

또, 제 1 시트 (121) 는 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시트 (122) 는,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통기성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제 2 시트 (122) 는 투습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투습성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Moreover, the 1st sheet|seat 121 is comprised with the material which has air permeability and moisture permeability. The second sheet 122 may or may not have air permeability substantially. Moreover, the 2nd sheet|seat 122 may have moisture permeability, and does not need to have moisture permeability substantially.

본 실시형태의 경우, 시트 (10) 는, 제 1 시트 (121) 의 외면에 첩부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eet 10 is af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heet 121 .

또, 시트 (10) 의 돌기부 (12) 의 공동 (13) 내에는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지 않고, 돌기부 (12) 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Moreover,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not filled in the cavity 13 of the projection part 12 of the sheet|seat 10, and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hollow.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10) 는, 돌기부 (12) 에 있어서도 통기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시트 (10), 제 1 시트 (121) 및 제 1 피복 시트 (131) 를 통하여 발열체 (130) 의 발열부 (133) 의 발열재 (30) 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heet|seat 10 has air permeability. More specifically, the sheet 10 has air permeability even in the projection 12 . For this reason, oxygen can be su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of the heat generating part 133 of the heat generating body 130 via the sheet|seat 10, the 1st sheet 121, and the 1st covering sheet 131.

온열구 (100) 가 사용 시에 포장재로부터 취출됨으로써, 발열체 (130) 의 발열부 (133) 의 발열재 (30) 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발열부 (133) 가 발열함과 함께 수증기 (증기 온열) 를 발생하고, 이 수증기가 제 1 피복 시트 (131), 제 1 시트 (121) 및 시트 (10) 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at the time of use, the heating material 30 of the heating part 133 of the heating element 130 comes into contact with oxygen in the air, and the heating part 133 generates heat and water vapor ( steam heating), and this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vering sheet 131 ,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heet 10 .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기부 (12) 의 공동 (13) 에 발열재 (30) 가 충전되어 있지 않은 구조여도, 발열체 (130) 의 열을 수증기의 잠열에 의해 생체의 피부에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eve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avity 13 of the protrusion 12 is not filled with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30 is rapidly transferred to the skin of the living body by the latent heat of the water vapor. can

특히, 돌기부 (12) 도 통기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돌기부 (12) 로부터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피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돌기부 (12) 로 피부를 가온하면서, 돌기부 (12) 에 의해 피부를 압압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rotrusion 12 also has air permeability, heat can be transferred to the skin by the water vapor emitted from the protrusion 12 , so the skin is pressed by the protrusion 12 while warming the skin with the protrusion 12 . can do.

〔제 4 실시형태〕 [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2(b) 를 이용하여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to 12(b).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following explanations, and in other respects,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 100) is configured in the same way.

본 실시형태의 경우, 온열구 (100) 는, 상기 서술한 장착부 (60) 대신에, 이하에 설명하는 장착구 (114) (장착부) (도 11(b)) 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tool 114 (mounting part) (FIG. 11(b)) demonstrated below instead of the attachment part 60 mentioned above.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구 (114) 는, 예를 들어, 탄성 변형 가능한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일체 성형되어 있는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구 (114) 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 (115) 와, 이들 대향부 (115) 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 (116) 를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대향부 (115) 의 각각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예를 들어, 연결부 (116) 도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구 (114) 는, 총체적으로, 일방향으로 장척인 판을 U 자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11(b), although what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resin material which can elastically deform, for example, the mounting tool 114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integrally molded. The mounting tool 114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ing parts 115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art 116 which connects these opposing parts 115 to each other. Each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is formed in a plate shape. Moreover, the connection part 116 is also formed in plate shape, for example. For this reason, the mounting tool 114 is the shape which curved the elongate board in one direction in the U-shape as a whole.

장착구 (114) 는,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진 상태에서는, 장착구 (114) 가 당초의 형태로 탄성 복귀 (탄성 복원) 하고자 함으로써, 장착구 (114) 는,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가진다. The mounting tool 114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posed spacing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is widened. In a state where the opposing interval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is widened, the fitting 114 elastically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elastic restoration), so that the fitting 114 becomes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 ha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posed spacing of

1 쌍의 대향부 (115) 의 각각의 선단에는, 예를 들어, 만곡부 (117) 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대향부 (115) 의 선단의 만곡부 (117) 는, 타방의 대향부 (115)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동일하게, 타방의 대향부 (115) 의 만곡부 (117) 는, 일방의 대향부 (115)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A curved portion 117 is formed, for example, at the tip of each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 The curved part 117 at the front-end|tip of the one opposing part 115 is cur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ther opposing part 115. Similarly, the curved part 117 of the other opposing part 115 is cur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ne opposing part 115. As shown in FIG.

단, 장착구 (114) 는, 만곡부 (117)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However, the mounting tool 114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curved part 117.

예를 들어, 1 쌍의 대향부 (115) 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리브 (118)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리브 (118) 는,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For example, in a pair of opposing parts 115, the some rib 118 is formed i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 These plurality of ribs 118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for example.

단, 장착구 (114) 는, 리브 (118)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However, the mounting tool 114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rib 118 .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부 (12) 가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ain-body part 50 is formed in one direction to be elongate, as shown to Fig.11 (a).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jections 12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a line.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에 있어서,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당해 본체부 (50) 를 장착구 (114) 에 첩부하기 위한 점착층 (11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b) 참조). 또한, 온열구 (100) 의 사용 전 상태에서는, 점착층 (112) 에는 박리지가 첩부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5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ide on which the protrusion part 12 is formed, the adhesive layer 112 for affixing the said main body part 50 to the mounting tool 114. ) is formed (see Fig. 12(b)). In addition, in the state before use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 a release paper is affixed to the adhesive layer 112 .

온열구 (100) 의 사용 시에는, 점착층 (112) 으로부터 박리지를 벗기고, 점착층 (112) 을 장착구 (114) 의 내면에 첩부함으로써, 본체부 (50) 가 장착구 (114) 에 장착된다.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used, the release paper is peeled off from the adhesive layer 112 , and the adhesive layer 112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tool 114 , so that the body part 5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tool 114 . do.

이 상태에서, 돌기부 (12) 는, 대향부 (115) 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으로, 연결부 (116) 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b) 참조).In this state, the projection 12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posing portion 115, while not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116 (see Fig. 12(b)).

본체부 (50) 를 장착구 (114) 에 장착한 상태에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고, 또한, 그 상태에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에 손바닥 (113) 등을 삽입하고,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는 힘을 해제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5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tool 114,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is widened, and in this state, the opposit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is extended by the palm of the hand. (113) and the like are inserted, and the force for widening the opposed spacing between the pair of opposed portions 115 is released.

이로써, 장착구 (114) 가 탄성 복귀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2(a) 및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바닥 (113) 에 있어서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의 부분의 피부에 대해 돌기부 (12) 를 압접시켜, 이 부분에 위치하는 경혈 등을 돌기부 (12) 에 의해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by, since the fitting tool 114 elastically retur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the skin of the palm 113 between the thumb and forefinger is applied to the skin. It becomes possible to press-contact the projection part 12, and to press the menstrual blood etc. located in this part with the projection part 12.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부는, 돌기부 (12) 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 (손바닥 (113) 등) 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 (114) 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is a fitting tool 114 for pressing the protrusion 12 to the skin by sandwich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such as the palm 113) through the protrusion 12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

또한, 장착구 (114) 는, 온열구 (100) 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온열구 (100) 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 (50) 자체가 온열구 (100) 가 된다.In addition, the fitting 114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eating implement 100 .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body part 50 itself becomes the heating implement 100 .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장착구 (114) 는, 돌기부 (12) 를 갖는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 (114) 이고, 돌기부 (12) 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킨다.That is, the fitting tool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itting tool 114 for attaching the heating device 100 having the protrusion 12 to the living body, and is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a part of the living body through the protrusion 12 . The projection 12 is press-contacted to the skin by being pinched by the .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장착구 (114) 에 의하면, 돌기부 (12) 를 갖는 온열구 (100) 를 생체에 장착할 수 있음과 함께, 장착구 (114)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돌기부 (12) 를 생체의 피부에 압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장착구 (114) 에 의해, 돌기부 (12) 를 지속적으로 피부에 압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fitting tool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device 100 having the protrusion 12 can be attached to the living body, and the protrusion 12 can be fixed to the living body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tting tool 114 . can be pressed against the skin of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contact the protrusion 12 to the skin by the fitting 114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또, 이 장착구는, 상기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 (115) 와, 이들 대향부 (115) 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 (116) 를 구비하고,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Moreover, this mounting tool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posing parts 115 which are arrange|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s mentioned above, and the coupling part 116 which connects these opposing parts 115 comrades with each other, A pair of opposing parts It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ce|interval opposite to (115) widens.

여기서, 장착구 (114) 는 복수의 리브 (118)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착구 (114) 에 대해 본체부 (50) 를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어, 장착구 (114) 에 대한 본체부 (50) 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Here, since the fitting 1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bs 118, the body portion 50 can be more stably attached to the fitting 114, and the body portion ( 50) can be suppressed.

또, 장착구 (114) 가 만곡부 (117)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착구 (114) 를 손바닥 (113) 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히려고 할 때에, 손가락을 만곡부 (117) 에 걸어 용이하게 1 쌍의 대향부 (115) 의 대향 간격을 넓힐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fitting tool 114 is provided with the curved part 117, when trying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in order to separate the fitting tool 114 from the palm 113 or the like, a finger is hung on the curved portion 117 to easily widen the opposed spacing between the pair of opposed portions 115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50) 가 점착층 (112) 에 의해 장착구 (114) 에 첩부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간단히 장착구 (114)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장착구 (114) 와 피부 사이에 본체부 (50) 를 끼워 넣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main body part 50 is pasted to the fitting 114 by the adhesive layer 112 was demonstrated, the fitting 114 and the fitting 114 simply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tting 114 were demonstrated. The body portion 50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skins.

〔제 5 실시형태〕 [Fifth embodiment]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Next, a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erms of being described below, and in other respects,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is different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re configured the same.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 시트 (15)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composed of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fibers are bound together. An example composed of parts has been described.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부직포 시트 (15) 및 부직포 시트 (17) 의 각각이,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였다.Moreover, in the said 2nd Embodiment, each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is made of the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1st resin material. The example in which it is comprised and is comprised including the binding part which bind|concludes the fibers is demonstrated.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혹은,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의 적어도 일방 또는 양방이,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comprised from the fiber of amorphous PET. Or at least one or both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comprised from the fiber of amorphous PET.

여기서, 부직포 시트 (15) 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아모르퍼스 PET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부직포 시트 (17) 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아모르퍼스 PET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된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는, 아모르퍼스 PET 이외의 재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Here, the fiber which comprises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may contain the fiber formed with materials other than amorphous PET. Similarly, the fiber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may contain fibers formed of materials other than amorphous PET. Moreover, the fiber of amorphous PET may contain materials other than amorphous PET.

이 아모르퍼스 PET 는,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60 ℃ 이상 165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갖고, 이 흡열 피크의 온도는, 이 아모르퍼스 PET 의 연화점보다 저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흡열 피크의 온도는, 아모르퍼스 PET 의 연화점과 동일해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is amorphous PET has an endothermic peak accompanying a phase transition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 degreeC or more and 165 degrees C or les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of this endothermic peak is lower than the softening point of this amorphous PET. However, the temperature of this endothermic peak may be the same as the softening point of amorphous PET.

이 흡열 피크에 있어서, 시트 (10) 의 단위중량당의 흡열량 (J/g) 은, 0.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상 1.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상 1.4 이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this endothermic peak, the endothermic amount (J/g) per unit weight of the sheet 10 is preferably 0.1 or more and 2.0 or less, more preferably 0.2 or more and 1.7 or less, and preferably 0.5 or more and 1.4 or less.

본 실시형태의 경우, 부직포 시트 (15) 의 상기 연화점은, 아모르퍼스 PET 의 연화점이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aid softening point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is the softening point of amorphous PET.

보다 상세하게는, 이 아모르퍼스 PET 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의 온도는, 유리 전이 온도 (TG) 로서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이다. 또, 아모르퍼스 PET 의 제 2 흡열 피크의 온도는,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이다.More specifically, this amorphous P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ndothermic peak among them i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more and 180°C or less. it's mine Moreover, the temperature of the 2nd endothermic peak of amorphous PET is higher than the 1st endothermic peak.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은, 부직포 시트 (15), 혹은, 부직포 시트 (15) 와 부직포 시트 (17) 의 적어도 일방 또는 양방이,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점 외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or at least one or both of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and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are constituted by fibers of amorphous PET. It is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Also by this embodiment, the same effect as each said embodiment is acquired.

또,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시트 (10) 가,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시트 (15) (또는 부직포 시트 (17))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돌기부 (12) 를 보다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is inventor, the sheet|seat 10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15 (or the nonwoven fabric sheet 17) comprised with the fiber of amorphous PET, and the projection part 12 is more desired. It becomes possible to precisely machine into the shape.

〔제 6 실시형태〕 [Sixth embodiment]

다음으로, 도 20(a) 내지 도 21(c) 를 이용하여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Next, a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a) to 21(c).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에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100)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n other respects, the heating implemen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가 갖는 돌기부 (12) 의 수는, 예를 들어 도 20(a) 또는 도 2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 (도 20(a)) 또는 1 개 (도 20(b)) 로 되어 있다. 본체부 (50) 는, 시트상의 부분과, 이 시트상의 부분으로부터 일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 (12) 를 갖는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2 included in the body portion 5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0(a) or Fig. 20(b), two (Fig. 20(a)) or 1 (Fig. 20(b)). The body part 50 has a sheet-like part and the projection part 12 which protrudes in one side from this sheet-like part.

이 시트상의 부분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각형상 (바람직하게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 으로 형성되어 있다. Although the planar shape of this sheet-like par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formed in the square shape (preferably square shape with rounded corners).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장착구 (114) 의 1 쌍의 대향부 (115) 중, 일방의 대향부 (115) (이하, 대향부 (115a)) 에는, 본체부 (50) 를 삽입 발출 가능한 유지 홈 (181) 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of the fitting 114 , one of the opposing parts 115 (hereinafter, the opposing part 115a ) has the main body part 50 insertable/removable holding. A groove 181 is formed.

유지 홈 (181) 은, 예를 들어,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홈부 (181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은, 도 21(c)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고, 도 21(b) 에 있어서의 지면의 안측 방향 및 앞측 방향이다.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의 각각은, 예를 들어, 연결부 (116) 측으로부터 대향부 (115)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holding groove 181 connects, for example, a pair of side groove portions 181a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opposing portion 115a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pair of side groove portions 181a comrad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groove portion 181b.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posing part 115a is the left-right direction in FIG.21(c), and it is the back direction and the front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in FIG.21(b). Each of the pair of side groove portions 181a extends linearl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16 side toward the tip side of the opposing portion 115 , for example. The connection groove part 181b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the edge parts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16 in a pair of side groove part 181a, and has mutually connected these edge parts. The connecting groove portion 181b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posing portion 115a.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의 각각은, 서로의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연결 홈부 (181b) 는, 대향부 (115a) 의 선단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Each of the pair of side groove portions 181a is open toward each other. The connecting groove portion 181b is opened toward the tip side of the opposing portion 115a.

대향부 (115a) 는, 평판상의 판상부 (182) 와, 이 판상부 (182) 를 기준으로 하여 타방의 대향부 (115) (이하, 대향부 (115b)) 측에 배치되어 있는 유지 클로부 (183)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opposing part 115a is the flat plate-shaped part 182, and the holding|maintenance claw part arrange|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other opposing part 115 (henceforth opposing part 115b) with this plate-shaped part 182 as a reference|standard. (183) is provided.

유지 클로부 (183) 와 판상부 (182) 사이의 공간 (간극) 이, 유지 홈 (181) 을 구성하고 있다.The space (gap) between the holding|maintenance claw part 183 and the plate-shaped part 182 comprises the holding|maintenance groove|channel 181. As shown in FIG.

유지 클로부 (183) 는,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와,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 클로부 (183b)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의 각각은, 예를 들어, 대향부 (115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부분으로부터 대향부 (115) 의 선단측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 클로부 (183b) 는, 1 쌍의 측방 클로부 (183a) 에 있어서의 연결부 (116) 측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단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The holding claw part 183 connects a pair of side claw parts 183a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opposing part 115a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and a pair of side claw parts 183a comrades.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connection claw part 183b. Each of the pair of side claw portions 183a extends linearly from a portion on the connecting portion 116 side of the opposed portion 115a toward the tip side of the opposed portion 115 , for example. The connecting claw part 183b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the ends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part 116 in a pair of side claw part 183a, and has mutually connected these end parts.

대향부 (115a) 의 선기단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측방 클로부 (183a) 의 형상은 L 자상으로 되어 있다 (도 21(c) 참조).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tip end direction of the opposing part 115a, the shape of the side claw part 183a is L-shaped (refer FIG.21(c)).

대향부 (115a) 의 폭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연결 클로부 (183b) 의 형상은 L 자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 생략).In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posing part 115a, the shape of the connecting claw part 183b is L-shape (not shown).

유지 클로부 (183) 는, 타방의 대향부 (115b) 와 대향하는 위치에, U 자상의 절결 형상부를 갖는다. The holding claw part 183 has a U-shaped notch-shaped part in the position opposing the other opposing part 115b.

판상부 (182)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유지 홈 (181) 의 치수는, 본체부 (50) 에 있어서의 시트상의 부분의 두께 치수와 동등하거나, 또는, 당해 시트상의 부분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The dimension of the holding groove 18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ate-shaped part 182 is equal to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heet-like part in the body part 50, o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said sheet-like part. It is set to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 (50) 는, 점착층 (112) 은 가지고 있지 않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ain-body part 50 does not have the adhesive layer 112. As shown in FIG.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본체부 (50) 를 대향부 (115a) 에 장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part 50 can be attached to the opposing part 115a as demonstrated below.

먼저, 본체부 (50) 의 시트상의 부분을, 대향부 (115a) 의 선단측으로부터 도 21(b) 에 있어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대향부 (115a)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당해 시트상의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 (53) (도 20(a), 도 20(b) 참조) 를 각각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삽입하고, 이들 연변부 (53) 의 일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다른 연변부를 연결 홈부 (181b) 에 삽입한다. 이때, 1 쌍의 연변부 (53) 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대해 슬라이드한다.First, the sheet-like part of the body part 50 is moved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counter part 115a in the arrow A direction in FIG. 21(b) from the front-end|tip side of the opposing part 115a. Thereby, a pair of mutually opposing edge portions 53 (see FIGS. 20(a) and 20(b)) of the sheet-like portion are inserted into a pair of side groove portions 181a, respectively, and these edge portions 53 Insert the other edge portion connecting the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181b). At this time, a pair of edge part 53 slides with respect to a pair of side groove part 181a.

이렇게 하여, 도 21(a) 내지 도 2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50) 가 대향부 (115a) 에 장착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 (50) 의 돌기부 (12) 는, 유지 클로부 (183) 의 U 자상의 절결 형상부를 통하여, 타방의 대향부 (115b)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In this way, as shown in Figs. 21(a) to 21(c), the main body portion 50 can be attached to the opposing portion 115a. In this state, the projection 12 of the main body 50 protrudes toward the other opposing portion 115b side through the U-shaped cut-out of the holding claw portion 183 .

또, 대향부 (115a) 에 장착된 본체부 (50) 를 도 21(b) 에 있어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대향부 (115a) 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본체부 (50) 를 대향부 (115a) 로부터 빼낼 수 있다. 이때에도, 1 쌍의 연변부 (53) 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에 대해 슬라이드한다.Moreover, by moving the main body part 50 attached to the opposing part 115a relative to the opposing part 115a in the arrow B direction in FIG. 21(b), the main body part 50 is moved to the opposing part ( 115a) can be withdrawn. Also at this time, a pair of edge part 53 slides with respect to a pair of side groove part 181a.

예를 들어, 타방의 대향부 (115b) 에 있어서, 일방의 대향부 (115a) 와 대향하는 면에는, 대향부 (115a)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 (185) 가 형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other opposing part 115b, the protrusion part 185 which protrudes toward the opposing part 115a side is formed in the surface opposing the one opposing part 115a.

또, 일방의 대향부 (115a) 에 있어서, 타방의 대향부 (115b) 측과는 반대측의 면 (1151) 에는, 예를 들어, 돌기부 (186) 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in one opposing part 115a, the protrusion part 186 is formed in the surface 1151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ther opposing part 115b side, for example.

단,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대향부 (115b) 에는 돌기부 (185)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대향부 (115a) 에는 돌기부 (186)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The protrusion part 185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opposing part 115b. Moreover, the protrusion part 186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opposing part 115a.

여기서는, 1 쌍의 대향부 (115) 중 일방의 대향부 (115a) 가, 본체부 (50) 를 유지하는 위한 구조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1 쌍의 대향부 (115) 의 쌍방이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Here,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in which one opposing part 115a among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has a structure for holding the main body part 50 (the holding groove 181 and the holding claw part 183 ). , both of the pair of opposing parts 115 may have the holding groove 181 and the holding claw part 183 .

본 실시형태의 경우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장착구 (114) 는, 온열구 (100) 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온열구 (100) 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어도 되고, 이 경우, 예를 들어, 본체부 (50) 자체가 온열구 (100) 가 된다. Also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mounting tool 114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implement 100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heating implement 100, in this case, yes For example, the body part 50 itself becomes the heating implement 100 .

이와 같이, 1 쌍의 대향부 (115) 의 적어도 일방은, 온열구 (100) 를 유지하는 유지부 (예를 들어 유지 홈 (181) 및 유지 클로부 (183) 에 의해 구성된다) 를 갖는다.In this way, at least one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115 has a holding portion that holds the heating implement 100 (eg, constituted by the holding groove 181 and the holding claw portion 183 ).

또, 유지부는, 시트상의 온열구 (100) 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 (53) 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Moreover, the holding|maintenance part hold|maintains a pair of mutually opposing edge part 53 of the sheet-like heating implement 100 detachably, respectively.

또, 유지부는, 온열구 (100) 의 1 쌍의 연변부 (53) 를 각각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 발출 가능한 1 쌍의 홈부 (1 쌍의 측방 홈부 (181a)) 를 갖는다. Moreover, the holding|maintenance part has a pair of groove parts (a pair of side groove parts 181a) which can be inserted/removed by sliding a pair of edge part 53 of the heating implement 100, respectively.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한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변형, 개량 등의 양태도 포함한다.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aid each embodiment and each modified example, Insofar as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is achieved, aspects, such as various deformation|transformation and improvement, are also included.

예를 들어, 발열재 (30) 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For example,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may be comprised including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water, and a water absorbing polymer.

발열재 (30)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발열재 (30) 중의 잉여의 물을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온열구 (100)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면 신속하게 발열재 (30) 가 발열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comprised including the water absorbent polymer, excess water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absorbed by the water absorbent polymer. Therefore, when the heating implement 100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the heating material 30 can generate heat quickly.

발열재 (30) 가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온열구 (100) 는, 상기 서술한 흡수 시트 (40) (도 3) 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Whe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comprised including the water absorbent polymer, the heating implement 100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sheet 40 (FIG. 3).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1 질량% 이상 12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 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흡수성 폴리머에 의해 충분히 흡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발열재 (30)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을 12 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발열에 기여하는 피산화성 금속의 발열재 (30) 중의 함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1 mass % or more and 12 mass % or less, and, as for content of the water absorbing polymer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y are 2 mass % or more and 8 mass %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water absorbent polymer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1 mass% or more, the water absorbent polymer can sufficiently absorb. Moreover, when the content of the water-absorbing polymer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is 12 mass% or less, the content of the oxidizable metal contributing to heat generation 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3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부 (60) 가 점착성의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포대 등의 띠상체를 사용하여 본체부 (50) 를 다리나 팔 등에 감아, 돌기부 (12) 를 피부에 압접시켜도 된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60 is provided with a pair of adhesive attachment band parts 61 and is comprised was demonstra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a sack etc. The body part 50 may be wound around a leg, an arm, etc. using a band-shaped body, and the protrusion part 12 may be press-contacted to skin.

또, 장착부 (60) 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하는 아이 마스크와 같은 형태여도 된다. 즉, 장착부 (60) 는, 1 쌍의 장착 밴드부 (61) 대신에 1 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Moreover, the form similar to the eye mask provided with a pair of ear-ear parts hooked on the user's ear may be sufficient as the wearing part 6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attachment part 6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ear-ring parts instead of the pair of attachment band part 61. As shown in FIG.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The said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technical ideas.

<1>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1> a sheet having a convex protrus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The she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on-woven fabric sheet,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는 온열구.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higher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The heating element present on the side.

<2>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온열구.<2>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binding part which is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aid 1st resin material and binds the said fibers together.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 which is

<3>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은 <2> 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s described in <2> with more content of the said 1st resin material in the <3> said nonwoven fabric sheet than content of the said 2nd resin material in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4>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상기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4> The said sheet|seat comprises the 1st sai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2nd sai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the other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 and the said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a ventilation sheet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nonwoven sheet, and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2> 또는 <3> 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 or <3>, wherein the ventilation sheet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5> 상기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온열구.<5>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6>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6> The said heating implement is equipped with the sheet-like main body part which has the said heat generating material,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7> 상기 돌기부의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는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7>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hollow.

<8>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8>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sheet has air permeability.

<9>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8> 에 기재된 온열구.<9>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8>, wherein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10>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10>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having the heating material,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고,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상기 돌기부의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hollow,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The sheet has breathability,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1> 에 기재된 온열구.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 wherein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11>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11>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econd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sheet,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높은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8> to <10>,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sheet.

<12>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12>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rise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는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n absorbent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13>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13>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2>, where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ntain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water, and a water absorbent polymer.

<14>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14>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3>,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is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art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jection part is pressed against the skin.

<15>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고 있는<14> 에 기재된 온열구.<15>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4>,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that is adhesively fixed to the skin.

<16> 상기 장착부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14> 또는 <15> 에 기재된 온열구.<16>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4> or <15>,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stretchable elastic sheet portion.

<17>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14> 에 기재된 온열구.<17>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4>, wherein the attaching part is an appliance for press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pinch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rotrusion.

<18>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18>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7>,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contains iron and carbon components.

<19> 상기 철이 피산화성 철인 <18> 에 기재된 온열구.<19>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18>, wherein the iron is oxidizable iron.

<20>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부직포 시트로서,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는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20> A step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present 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more and 180°C or less, 2 endothermic peak is a step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present on the higher temperature side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상기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A step of preparing a sheet compris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상기 시트를 상기 제 1 흡열 피크와 상기 제 2 흡열 피크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forming a convex protrusion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by hot-pressing the sheet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endothermic peak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발열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and disposing a heat generating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21>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21>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with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aid 1st resin material,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를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20> 에 기재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jection,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to form a convex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sheet. A method for producing the described heating implement.

<22>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22> Said sheet|seat comprises the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2n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the other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said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aid and a ventilation sheet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nonwoven sheets,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The air-permeable sheet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상기 시트를 열 프레스하는 <21> 에 기재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1>, wherein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vex projections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third resin material. .

<23> 상기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20> 에 기재된 온열구의 제조 방법. <23> The method for producing a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0>,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24>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24> a sheet having a convex protrus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The she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on-woven fabric sheet,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by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it is comprised by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aid 1st resin material, Comprising: The heat-heat which is comprised including the binding part which bind|concludes the said fiber with each other. phrase.

<25>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25> A step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comprising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상기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A step of preparing a sheet compris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상기 시트를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form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by hot pressing the sheet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발열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and disposing a heat generating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aid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technical ideas.

<26>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높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26> A sheet hav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wherein the sheet includes a nonwoven fabric shee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 phase change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accompanying The sheet includes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binding portion binding the fibers together, and the nonwoven fabric comprises: Content of the said 1st resin material in a sheet is more than content of the said 2nd resin material in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The said heating implement is equipped with the sheet-like main body part which has the said heat generating material, The said sheet-like main body part ,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the sheet has air permeability,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and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econd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sheet, ,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is high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rise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and the heating device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with respect to the sheet. A heating implement comprising: an absorbent sheet with an existing heating element,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contains iron and carbon components.

<27>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26> 에 기재된 온열구.<27>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6>,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art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28>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와,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27> 에 기재된 온열구.<28>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7>,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that is adhesively fixed to the skin and a stretchable elastic sheet portion.

<29>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27> 에 기재된 온열구.<29>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27>, wherein the attaching part is an appliance for press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clamp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rotrusion.

<30>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높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30> A sheet hav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sheet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wherein the sheet includes a non-woven fabric sheet, wherein the non-woven sheet has a phase change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accompanying The sheet is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and the heating device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having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and 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and the sheet is breathable. , wherein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and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econd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side with respect to the sheet,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is high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rise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and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n absorbent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with respect to the sheet,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ntains iron and carbon components. containing heaters.

<31>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30> 에 기재된 온열구.<31>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0>, wherein the heating implemen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art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32>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와,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31> 에 기재된 온열구.<32>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1>,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fixed to the skin and an elastic elastic sheet portion.

<33>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31> 에 기재된 온열구.<33>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1>, wherein the attaching part is an appliance for press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clamp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rotrusion.

<34>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고,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상기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상기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의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34> A sheet hav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wherein the sheet includes a nonwoven fabric shee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 phase change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accompanying The sheet includes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binding portion binding the fibers together, and the nonwoven fabric comprises: The first sai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ntent of the said 1st resin material in a sheet|seat is more than content of the said 2nd resin material in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aid sheet|seat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and a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constituting the other outermost layer of the sheet, and a ventilation sheet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sheet; The ventilation sheet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the heating device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having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and the sheet-like body portion includes the other side of the sheet. is disposed on the face side of the protrusion,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hollow, the sheet has air permeability,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and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comprise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water, and an absorbent polymer and, wherein the heating material contains iron and carbon components.

<35>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34> 에 기재된 온열구.<35>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4>,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36>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와,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35> 에 기재된 온열구.<36>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5>,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that is adhesively fixed to the skin and a stretchable elastic sheet portion.

<37>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35> 에 기재된 온열구.<37>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35>, wherein the attaching part is an appliance for press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clamp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rotrusion.

<38> 상기 돌기부의 높이 치수는, 2 mm 이상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1> 내지 <19>, <24> 또는 <26> 내지 <3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38> The height dimension of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2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more preferably 3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and 8 mm or less <1> to <19>, <24 > or the hea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26> to <37>.

<39> 상기 돌기부의 직경은, 2 mm 이상 3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mm 이상 2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 <1> 내지 <19>, <24> 또는 <26> 내지 <3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온열구.<39> Any one of <1> to <19>, <24> or <26> to <38>, preferably 2 mm or more and 38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The heating implement described in the paragraph.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의 기술 사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aid embodiment includes the following technical ideas.

〔1〕돌기부를 갖는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로서,[1] A fitting device for attaching a heating device having a protrusion to a living body, comprising: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A fitting for press-contact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clamp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through the protrusion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2〕당해 장착구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1 쌍의 대향부와, 이들 대향부끼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1 쌍의 대향부의 대향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1〕에 기재된 장착구.[2] The fitting includes a pair of opposing portion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pposing portions to each other,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posed spacing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is widened 1] described in the fittings.

〔3〕상기 1 쌍의 대향부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온열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2〕에 기재된 장착구.[3] The fitting according to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opposing portions has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heating implement.

〔4〕상기 유지부는, 시트상의 상기 온열구의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연변부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3〕에 기재된 장착구.[4] The fitting according to [3], wherein the holding portion detachably holds a pair of mutually opposed edge portions of the sheet-like heating implement.

〔5〕상기 유지부는, 상기 온열구의 상기 1 쌍의 연변부를 각각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삽입 발출 가능한 1 쌍의 홈부를 갖는〔4〕에 기재된 장착구.[5] The fitting device according to [4], wherein the holding portion has a pair of groove portions tha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by sliding the pair of edge portions of the heating implement, respectivel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3(a) 내지 도 14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를 설명한다.First, Embodiment 1 and Embodiment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to 14 .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본체부 (50) (도 1 내지 도 3 참조) 를 시료 (155) (도 13(a)) 로서 사용하여, 돌기부 (12) 의 승온 특성을 조사하였다.In Example 1 and Example 2, the body part 50 (refer FIGS. 1-3) of the structure demonstrated in 1st Embodiment was used as the sample 155 (FIG. 13(a)), and the projection part 12 The temperature rising characteristics of the were investigated.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 에서는,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 한 한편으로, 실시예 2 에서는, 돌기부 (12) 를 갖는 시트 (10) 가 비통기성의 구조로 하였다.More specifically, in Example 1, the sheet 10 having the projections 12 has a structure having air permeability, whereas in Example 2, the sheet 10 having the projections 12 is non-breathable. structure was made.

실시예 1 의 시트 (10) 는, 통기도가 1 초/100 ㎖ 이상 3 초/100 ㎖ 이하였다. 실시예 2 의 시트 (10) 는, 통기도는 측정 상한값의 ∞ 였다.The sheet 10 of Example 1 had an air permeability of 1 second/100 ml or more and 3 seconds/100 ml or less. In the sheet 10 of Example 2, the air permeability was ∞ of the upper limit of the measurement.

여기서,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50) 가 갖는 5 개의 돌기부 (12) 중, 대각선 상에 배열되는 3 개의 돌기부 (12) 에, 제 1 돌기부 (141), 제 2 돌기부 (142), 제 3 돌기부 (143) 의 명칭을 붙인다.Here, as shown to Fig.13 (a), the 1st projection part 141, the 2nd projection part in the 3 projection part 12 arranged on the diagonal line among the 5 projection parts 12 which the main body part 50 has. (142), the third projection 143 is named.

도 13(b) 는, 실시예 1 에 대해, 제 1 돌기부 (141) 의 꼭대기부 (P1), 제 2 돌기부 (142) 의 꼭대기부 (P2), 제 3 돌기부 (143) 의 꼭대기부 (P3) 의 각각의 승온 특성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3( b ) shows the top portion P1 of the first projection 141 , the top portion P2 of the second projection 142 , and the top portion P3 of the third projection 143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 is a graph showing the profile of each temperature increase characteristic.

도 13(c) 는, 실시예 2 에 대해, 제 1 돌기부 (141) 의 꼭대기부 (P1), 제 2 돌기부 (142) 의 꼭대기부 (P2), 제 3 돌기부 (143) 의 꼭대기부 (P3) 의 각각의 승온 특성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3( c ) shows the top portion P1 of the first projection 141 , the top portion P2 of the second projection 142 , and the top portion P3 of the third projection 143 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 is a graph showing the profile of each temperature increase characteristic.

도 13(b) 및 도 13(c) 의 각각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분), 세로축은 온도 (℃) 이다.In each of FIGS. 13(b) and 13(c),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minutes),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emperature (°C).

도 14 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 의 측정에 사용한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 측정 장치는, JIS S4100 에 준거한 것이다.14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measuring apparatu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Example 1 and Example 2. FIG. This measuring device is based on JIS S4100.

이 측정 장치는, 항온 수조 (151) 와, 항온 수조 (151) 의 천면 (天面) 상에 배치되어 있는 판재 (152) 와, 판재 (152) 상에 배치되어 있고 시료 (155) 가 재치되는 받침재 (153) 와, 받침재 (153) 상에 배치되어 있는 온도 센서 (154) 와, 시료 (155) 상에 씌워 배치되는 피복재 (156) 와, 피복재 (156) 상에 추로서 배치되는 분동 (157) 을 구비하고 있다.This measuring device includes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 a plate material 152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 and a sample 155 disposed on the plate material 152 . A support material 153 , a temperature sensor 154 disposed on the support material 153 , a covering material 156 disposed over the sample 155 , and a weight disposed as a weight on the covering material 156 . (157) is provided.

항온 수조 (151) 는, SUS304 로 형성되어 있고, 항온 수조 (151) 는 주위를 단열재 (161) 로 피복되어 있다.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is formed of SUS304,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is coat|cover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1 around it.

항온 수조 (151) 는, 순환수가 도입되는 도입구 (151a) 와, 순환수를 도출하는 도출구 (151b) 를 갖는다.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has an inlet 151a through which circulating wate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51b through which circulating water is drawn out.

판재 (152) 는, 폴리프로필렌제의 두께 7 mm 의 판이다.The plate material 152 is a plate made of polypropylene with a thickness of 7 mm.

받침재 (153) 는, 일본 약국방에서 규정하는 타입 I 의 가제를 2 장 겹친 것이다.The backing material 153 is a thing which laminated|stacked 2 sheets of type I gauze prescribed|regulated by the Japanese Pharmacopoeia.

피복재 (156) 는, 면 100 % 의 텍스 번수 5.905 의 쌍사의 플란넬을 8 장 겹친 것이다.The covering material 156 overlaps 8 sheets of 100-percent-cotton Tex count 5.905 twin-yarn flannel.

또한, 이 측정 장치는, 순환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면서 순환시키는 순환식 항온 수조 (158) 와, 순환식 항온 수조 (158) 로부터 항온 수조 (151) 의 도입구 (151a) 에 순환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배관 (159) 과, 항온 수조 (151) 의 도출구 (151b) 로부터 순환식 항온 수조 (158) 로 순환수를 되돌리기 위한 복귀 배관 (160) 을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is measuring device supplies a circulation typ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8 that circulates while maintaining the circulating water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supplies circulating water from the circulation typ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8 to an inlet 151a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 It is provided with the supply piping 159 for this, and the return piping 160 for returning the circulating water from the outlet 151b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1 to the circulation typ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158.

또한, 이 측정 장치는, 온도 센서 (154) 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억하는 로거 (도시 생략) 와, 로거로부터 이 검출 결과를 취득해 수집하고, 해석을 실시하는 퍼스널 컴퓨터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is measuring device includes a logger (not shown) that stores the detection result by the temperature sensor 154, and a personal computer (not shown) that acquires and collects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logger and performs analysis, have.

측정 조건은, 주위 온도는 20 ℃ ± 1 ℃, 주위 습도는 55 % ∼ 70 %, 풍속은 무풍 상태 (0.5 m/초 이하) 로 하였다.As for measurement conditions, the ambient temperature was 20 °C ± 1 °C, the ambient humidity was 55% to 70%, and the wind speed was a no-wind state (0.5 m/sec or less).

시료 (155)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고, 돌기부 (12) 의 돌출 방향을 하향으로 하여 시료 (155) 를 받침재 (153) 상에 배치하고, 시료 (155) 상에 피복재 (156) 를 배치하고, 또한, 피복재 (156) 상에 분동 (157) 을 배치하였다.The sample 155 i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the sample 155 is placed on the support material 153 with the project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 facing down, and the covering material 156 is placed on the sample 155, Further, a weight 157 was placed on the covering material 156 .

시료 (155)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한 타이밍을 도 13(b) 및 도 13(c) 에 있어서의 측정 개시 시간 (가로축이 0 분) 으로 하였다. 또, 시료 (155) 를 포장재로부터 취출하고 나서, 피복재 (156) 상에 분동 (157) 을 배치할 때까지를 신속하게 (30 초 이내에) 실시하였다.The timing at which the sample 155 was taken out from the packaging material was taken as the measurement start time (the horizontal axis is 0 minutes) in FIGS. 13(b) and 13(c). Moreover, after taking out the sample 155 from the packaging material, it carried out quickly (within 30 seconds) until the weight 157 is arrange|positioned on the covering material 156.

도 13(a) 와 도 13(b) 의 비교로부터, 실시예 1 에서는, 실시예 2 와 비교해, 돌기부 (12) 의 최고 도달 온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에서는, 실시예 2 와 비교해, 돌기부 (12)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comparison with FIG. 13(a) and FIG. 13(b), in Example 1, compared with Example 2, it turned out that the highest attained temperature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high. Moreover, in Example 1, compared with Example 2, it turned out that time until the projection part 12 reaches the maximum temperature is short.

한편, 실시예 2 에서는, 실시예 1 과 비교해, 돌기부 (12) 의 온도가 최고 도달 온도 부근에서 유지되는 시간 (지속 시간) 이 긴 것을 알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Example 2, compared with Example 1, it turned out that the time (duration time) for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projection part 12 is hold|maintained in the vicinity of the highest achieved temperature is long.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7 을 이용하여 실시예 3 및 실시예 4 를 설명한다.Next, Examples 3 and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에서는,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구조의 시트 (10), 즉,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10) 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고, 샘플의 흡열 피크를 측정하였다.In Examples 3 and 4, samples were taken from a sheet 10 having the structure of the fifth embodiment, that is, a sheet 10 comprising a non-woven fabric sheet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and The endothermic peak was measured.

시트 (10) 로는, 성형 온도 (돌기부 (12) 의 성형 온도) 를 100 ℃ 로 한 것 (실시예 3) 과, 성형 온도를 120 ℃ 로 한 것 (실시예 4) 의 2 종류를 준비하였다.As the sheet 10, two types were prepared: one in which the molding temperature (the molding temperature of the protrusions 12) was 100°C (Example 3), and the other in which the molding temperature was 120°C (Example 4).

또,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시트 (10) 의 각각의 3 지점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하였다. 즉,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각각에 대해, 돌기부 (12) 의 꼭대기부 (171) (도 16 에 나타내는 샘플명의 「돌기부 꼭대기부」에 대응), 돌기부 (12) 의 측면부 (172) (도 16 에 나타내는 샘플명의 「돌기부 측면부」에 대응), 및, 시트 (10) 에 있어서 돌기부 (12)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인 평면부 (173) (도 16 에 나타내는 샘플명의 「평면부」에 대응) 의 3 지점으로부터 채취하였다.In addition,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of the three points of the sheet 10 of Examples 3 and 4. That is, as shown in FIG. 15 , for each of Examples 3 and 4, the top 171 of the projection 12 (corresponding to the “top of the projection” in the sample name shown in FIG. 16 ), the projection 12 ) of the side part 172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ide part" of the sample name shown in FIG. 16), and the flat part 173 (shown in FIG. 16) which is a portion of the sheet 10 in which the protrusion 12 is not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lat part" of the sample name), samples were taken from three points.

도 16 에는, 각 샘플의 명칭 (샘플명), 성형 온도 (℃), 샘플의 중량 (mg) 및 최초로 나타난 흡열 피크에서의 단위중량당의 흡열량 (J/g) 을 나타낸다.Fig. 16 shows the name (sample name) of each sample, the molding temperature (°C), the weight (mg) of the sample, and the endothermic amount per unit weight (J/g) at the first endothermic peak.

또, 도 17 은, 각 샘플의 DSC 차트를 나타낸다.Moreover, FIG. 17 shows the DSC chart of each sample.

또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성형 전」은, 성형 전의 시트 (10) 를 의미한다. 성형 전의 시트 (10) 는 평탄하고, 당해 시트 (10) 의 일부분을 샘플로서 채취하였다.In addition, "before shaping|molding" shown in FIG. 16 and FIG. 17 means the sheet|seat 10 before shaping|molding. The sheet 10 before molding was flat, and a part of the sheet 10 was taken as a sample.

도 16 에 나타내는 흡열량의 측정 결과, 및, 도 17 에 나타내는 DSC 차트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한 결과이다.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amount of heat absorption shown in FIG. 16 and the DSC chart shown in FIG. 17 are the results measured as follows.

측정 장치로는, 주식회사 리가쿠사 제조 Thermo Plus EVO2 DSC8231 시차주사 열량계 ; DSC 를 사용하였다.As a measuring apparatus, Rigaku Corporation Thermo Plus EVO2 DSC8231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was used.

측정 환경은, 질소 분위기로 하였다.The measurement environment was made into nitrogen atmosphere.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100 ℃ 에서 성형) 및 실시예 4 (120 ℃ 에서 성형) 의 각각에 대해, 「돌기부 꼭대기부」, 「돌기부 측면부」 및 「평면부」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70 ℃ 부근에서 최초의 흡열 피크가 나타났다. 이 최초의 흡열 피크의 온도는, 아모르퍼스 PET 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다.As shown in Fig. 17, for each of Example 3 (molding at 100°C) and Example 4 (molding at 120°C), in any of the "protrusion top", "protrusion side part" and "flat part" , the first endothermic peak appeared around 70 °C. The temperature of this first endothermic peak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morphous PET.

또,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각각에 대해, 「돌기부 꼭대기부」, 「돌기부 측면부」 및 「평면부」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2 번째의 흡열 피크가 250 ℃ 부근에서 나타났다. 이 2 번째의 흡열 피크의 온도는, 아모르퍼스 PET 의 융점이고, 아모르퍼스 PET 의 연화점을 초과한 온도이다.In addition, for each of Examples 3 and 4, the second endothermic peak appeared at around 250°C in any of the "protrusion top part", "protrusion side part" and "flat part". The temperature of this second endothermic peak is the melting point of amorphous PET and is a temperature exceeding the softening point of amorphous PET.

또한,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의 각각에 대해, 「돌기부 꼭대기부」에서는, 최초로 나타난 흡열 피크에서의 단위중량당의 흡열량이, 「돌기부 측면부」 및 「평면부」가 작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 for each of Examples 3 and 4, in the "top of the protrusion", the endothermic amount per unit weight at the endothermic peak first appeared, "the side of the protrusion" and the "plane" small.

한편, 「성형 전」에서는, 80 ℃ 부근에서 최초의 흡열 피크가 나타났다. 이 최초의 흡열 피크의 온도는, 아모르퍼스 PET 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다. 또, 「성형 전」이어도, 2 번째의 흡열 피크가 250 ℃ 부근에서 나타났다. 이 2 번째의 흡열 피크의 온도는, 아모르퍼스 PET 의 융점이고, 아모르퍼스 PET 의 연화점을 초과한 온도이다.On the other hand, in "before molding", the first endothermic peak appeared around 80°C. The temperature of this first endothermic peak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amorphous PET. Moreover, even before "molding", the 2nd endothermic peak appeared around 250 degreeC. The temperature of this second endothermic peak is the melting point of amorphous PET and is a temperature exceeding the softening point of amorphous PET.

또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에서는, 「성형 전」과 비교해, 유리 전이 온도가 저온측으로 시프트하여 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실시예 3 및 실시예 4 에 있어서는, 시트 (10) 가 성형 온도로부터 실온으로 냉각되는 열이력을 받고 있는 점에서, 엔탈피 완화에 의한 비정구조의 변화가 생겼던 것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In addition, in Example 3 and Example 4, compared with "before shaping|mold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shifting to the low temperature side. The reason for this is not clear, but in Examples 3 and 4, the sheet 10 was subjected to a thermal history of cooling from the forming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and the change in the amorphous structure due to enthalpy relaxation occurred. I think to do it.

다음으로, 도 18(a) 내지 도 19(d) 를 이용하여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을 설명한다.Next, Examples 5 to 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a) to 19(d).

도 18(a) 및 도 18(b) 는, 실시예 5 에서 제작된 돌기부 (12) 를 촬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이 중 도 18(b) 는 도 18(a) 의 확대 사진이다.18(a) and 18(b) show the results of imaging the projection 12 fabricated in Example 5, of which FIG. 18(b)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FIG. 18(a).

도 18(c) 및 도 18(d) 는, 실시예 6 에서 제작된 돌기부 (12) 를 촬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이 중 도 18(d) 는 도 18(c) 의 확대 사진이다.18(c) and 18(d) show the results of imaging the projection 12 fabricated in Example 6, of which FIG. 18(d)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FIG. 18(c).

도 19(a) 및 도 19(b) 는, 실시예 7 에서 제작된 돌기부 (12) 를 촬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이 중 도 19(b) 는 도 19(a) 의 확대 사진이다.19(a) and 19(b) show the results of imaging the projection 12 fabricated in Example 7, of which FIG. 19(b)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FIG. 19(a).

도 19(c) 및 도 19(d) 는, 실시예 8 에서 제작된 돌기부 (12) 를 촬상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고, 이 중 도 19(d) 는 도 19(c) 의 확대 사진이다.19(c) and 19(d) show the results of imaging the projection 12 fabricated in Example 8, of which FIG. 19(d) is an enlarged photograph of FIG. 19(c).

실시예 5 및 실시예 6 에서는, 시트 (10) 의 성형에 공통의 금형을 사용하고, 또, 성형 온도는 서로 동일하게 하였다.In Example 5 and Example 6, a common metal mold|die was used for shaping|molding the sheet|seat 10, and the shaping|molding temperature was made mutually equal.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에서는, 시트 (10) 의 성형에 공통의 금형을 사용하고, 또, 성형 온도는 서로 동일하게 하였다.In Example 7 and Example 8, a common metal mold|die was used for shaping|molding the sheet|seat 10, and the shaping|molding temperature was made mutually equal.

실시예 5 및 실시예 6 에 사용한 금형과, 실시예 7 및 실시예 8 에 사용한 금형에서는,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The molds used in Examples 5 and 6 and the molds used in Examples 7 and 8 differ in shape from each other.

실시예 5 및 실시예 7 에 있어서는, 시트 (10) 의 재료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재료이다. 즉, 실시예 5 와 실시예 7 에서 사용한 시트 (10) 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수지 재료는 PET 이고, 제 2 수지 재료는 저융점 PET 이다.In Examples 5 and 7, the material of the sheet 10 is the material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sheet 10 used in Examples 5 and 7 was composed of fibers made of a first resin material and a second resin material having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fibers were bound together.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comprised including the binding part which is doing.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sin material is PET, and the second resin material is low melting point PET.

실시예 6 및 실시예 8 에 있어서는, 시트 (10) 의 재료는,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재료이다. 즉, 실시예 6 과 실시예 8 에서 사용한 시트 (10) 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Examples 6 and 8, the material of the sheet 10 is the material described in the fifth embodiment. That is, the sheet|seat 10 used in Example 6 and Example 8 wa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comprised from the fiber of amorphous PET.

실시예 5 (도 18(a) 및 도 18(b)) 와 실시예 6 (도 18(c) 및 도 18(d)) 의 비교로부터, 시트 (10) 가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기부 (12) 를 보다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From the comparison of Example 5 (FIG. 18(a) and FIG. 18(b)) and Example 6 (FIG. 18(c) and FIG. 18(d)), the sheet 10 was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It turns out that the projection part 12 can be precisely processed into a more desired shape when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동일하게, 실시예 7 (도 19(a) 및 도 19(b)) 과 실시예 8 (도 19(c) 및 도 19(d)) 의 비교로부터도, 시트 (10) 가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기부 (12) 를 보다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Similarly, from the comparison of Example 7 (Fig. 19(a) and Fig. 19(b)) and Example 8 (Fig. 19(c) and Fig. 19(d)), the sheet 10 was made of amorphous PET. It turns out that when comprised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comprised from fibers, the protrusion part 12 can be precisely processed into a more desired shape.

본 출원은, 2017년 4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84050호 및 2018년 3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60659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받아들인다.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on the basi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7-84050 filed on April 20, 2017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60659 filed on March 27, 2018, all of the disclosures is accepted here.

10 : 시트
10a : 일방의 면
10b : 타방의 면
11 : 기부
12 : 돌기부
12a : 제 1 돌기부
12b : 제 2 돌기부
13 : 공동
15 : 부직포 시트
16 : 통기 시트
17 : 부직포 시트
18, 19 : 부직포 시트
20 : 제 2 시트
30 : 발열재
40 : 흡수 시트
50 : 본체부
51 : 접합부
53 : 연변부
60 : 장착부
61 : 장착 밴드부
63 : 장착부 구성 시트
64 : 점착층
65 : 박리지
66 : 기단부
70 : 제 1 금형
71 : 평탄면
72 : 돌기부
80 : 제 2 금형
81 : 평탄면
82 : 오목부
91 : 피부
100 : 온열구
112 : 점착층
113 : 손바닥
114 : 장착구 (장착부)
115, 115a, 115b : 대향부
116 : 연결부
117 : 만곡부
118 : 리브
120 : 본체 시트
121 : 제 1 시트
122 : 제 2 시트
123 : 접합부
124 : 수용 공간
130 : 발열체
131 : 제 1 피복 시트
132 : 제 2 피복 시트
133 : 발열부
134 : 접합부
141 : 제 1 돌기부
142 : 제 2 돌기부
143 : 제 3 돌기부
151 : 항온 수조
151a : 도입구
151b : 도출구
152 : 판재
153 : 받침재
154 : 온도 센서
155 : 시료
156 : 피복재
157 : 분동
158 : 순환식 항온 수조
159 : 공급 배관
160 : 복귀 배관
161 : 단열재
171 : 꼭대기부
172 : 측면부
173 : 평면부
181 : 유지 홈
181a : 측방 홈부
181b : 연결 홈부
182 : 판상부
183 : 유지 클로부
183a : 측방 클로부
183b : 연결 클로부
185 : 돌기부
186 : 돌기부
P1, P2, P3 : 꼭대기부
10: sheet
10a: one side
10b: the other side
11: Donate
12: protrusion
12a: first protrusion
12b: second protrusion
13: joint
15: non-woven sheet
16: breathable seat
17: non-woven sheet
18, 19: non-woven sheet
20: second sheet
30: heating material
40: absorbent sheet
50: body part
51: junction
53: marginal part
60: mounting part
61: mounting band part
63: mounting part composition sheet
64: adhesive layer
65: release paper
66: proximal end
70: first mold
71: flat surface
72: protrusion
80: second mold
81: flat surface
82: concave
91: skin
100: heating bulb
112: adhesive layer
113: palm
114: mounting hole (mounting part)
115, 115a, 115b: opposing parts
116: connection part
117: curved part
118: rib
120: body sheet
121: first sheet
122: second sheet
123: junction
124: receiving space
130: heating element
131: first covering sheet
132: second covering sheet
133: heating part
134: junction
141: first protrusion
142: second protrusion
143: third protrusion
151: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151a: inlet
151b: exit
152: plate
153: support material
154: temperature sensor
155: sample
156: covering material
157: weight
158: circulating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159: supply piping
160: return pipe
161: insulation material
171: top
172: side part
173: flat part
181: retaining groove
181a: side groove
181b: connection groove
182: plate part
183: maintenance claw
183a: lateral claw
183b: connecting claw
185: protrusion
186: protrusion
P1, P2, P3 : Top

Claims (23)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갖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재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부직포 시트는,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는, 온열구.
A sheet hav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thereof;
and a heat generating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The sheet is configured to include a nonwoven fabric sheet,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higher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present on the side, the he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끼리를 결착하고 있는 결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by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aid 1st resin material, and the fiber comprised by the said 1st resin material bind|bonds Consisting of a binder with a heating el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부직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함유량보다 많은,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ing implement in which content of the said 1st resin material in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more than content of the said 2nd resin material in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aid sheet|seat includes the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2n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the other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said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aid 2nd nonwoven fabric Consists of including a ventilation sheet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sheets,
and the ventilation sheet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from the fiber of amorphous PET, The heating implemen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having the heating material,
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hollow, the heating devic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sheet has breathabilit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8,
A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제 1 항에 있어서,
당해 온열구는, 상기 발열재를 갖는 시트상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상 본체부는,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의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기부가 통기성을 가지고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heet-like body portion having the heating material,
The sheet-like body por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is hollow,
The sheet has breathability,
A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protrusion has air permeability.
제 8 항에 있어서,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 2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시트의 통기성보다 상기 시트의 통기성이 높은,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 second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heet is higher tha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second she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당해 온열구는, 상기 시트에 대해 상기 타방의 면측에 적층되어 있는 흡수 시트를 구비하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and water,
The heating implement includes an absorbent sheet lamin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with respect to the shee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피산화성 금속과, 보수제와, 물과,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heat generating material includes a metal to be oxidized, a water retaining agent, water, and an absorptive polym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피부에 압접되는 상태에서 당해 온열구를 생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mounting portion for attaching the heating implement to a living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is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ski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피부에 점착 고정되는 점착 시트부를 포함하고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4,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ortion fixed to the skin, the heating devic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신축성의 신축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4,
The heating imple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ttaching portion includes a stretchable and stretchable sheet portio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돌기부를 통하여 생체의 일부분을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상기 돌기부를 피부에 압접시키는 장착구인,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is a fitting device for press-contacting the protrusion to the skin by pinching a part of the living body with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rough the protru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재는, 철과 탄소 성분을 함유하는, 온열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ting material is a heating implement containing iron and carbon components.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철이 피산화성 철인, 온열구.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iron is oxidizable iron.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부직포 시트로서, 각각 상전이를 수반하는 흡열 피크를 적어도 2 개 갖고, 이 중 제 1 흡열 피크는 60 ℃ 이상 180 ℃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 존재하고, 제 2 흡열 피크는 상기 제 1 흡열 피크보다 고온측에 존재하는 부직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를 상기 제 1 흡열 피크와 상기 제 2 흡열 피크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시트의 타방의 면측에 발열재를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A step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has at least two endothermic peaks each accompanied by a phase transition, of which the first endothermic peak is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C or higher and 180°C or lower,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is a step of preparing a nonwoven fabric sheet present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irst endothermic peak;
A step of preparing a sheet comprising the nonwoven fabric sheet;
forming a convex projection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by hot pressing the sheet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endothermic peak and the second endothermic peak;
and a step of arranging a heat generating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shee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제 1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섬유와, 상기 제 1 수지 재료보다 저융점의 제 2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시트를 상기 제 1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열 프레스하여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said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rised including the fiber comprised by the 1st resin material, and the 2nd resin material of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said 1st resin material,
In the step of forming the projection,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to form a convex projection on one side of the sheet. Way.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일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1 부직포 시트와, 당해 시트에 있어서의 타방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제 2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1 부직포 시트와 상기 제 2 부직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통기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시트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보다 고융점의 제 3 수지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시트에 일방의 면측에 볼록한 돌기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수지 재료의 융점과 상기 제 3 수지 재료의 융점의 중간의 온도에서 상기 시트를 열 프레스하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1,
The said sheet|seat includes the 1st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one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2nd nonwoven fabric sheet which comprises the other outermost layer in the said sheet|seat, The said 1st nonwoven fabric sheet, and the said 2nd nonwoven fabric Consists of including a ventilation sheet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sheets,
The air-permeable sheet includes a third resin material having a higher melting point than the second resin material,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vex projections on one surface side of the sheet, the sheet is hot-pressed at a temperature intermediate betwee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resin material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third resin material.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시트는, 아모르퍼스 PET 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온열구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20,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ing implement, wherein the nonwoven fabric sheet is composed of fibers of amorphous PET.
KR1020197018987A 2017-04-20 2018-04-16 hot air balloon KR10225999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4050 2017-04-20
JP2017084050 2017-04-20
JPJP-P-2018-060659 2018-03-27
JP2018060659A JP7083676B2 (en) 2017-04-20 2018-03-27 Steam generation heater
PCT/JP2018/015642 WO2018194006A1 (en) 2017-04-20 2018-04-16 Heat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966A KR20190089966A (en) 2019-07-31
KR102259999B1 true KR102259999B1 (en) 2021-06-02

Family

ID=6428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987A KR102259999B1 (en) 2017-04-20 2018-04-16 hot air ballo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83676B2 (en)
KR (1) KR102259999B1 (en)
TW (1) TWI78297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9580B2 (en) 2021-01-08 2024-04-17 麗美 小林 Heated eye mas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80A (en) 2003-10-10 2005-04-28 Kao Corp Heating compact
JP2007275082A (en) 2004-07-14 2007-10-25 Mycoal Products Corp Exothermic pack,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2008272007A (en) 2007-04-25 2008-11-13 Kao Corp Heating element
JP2014008269A (en) 2012-06-29 2014-01-20 Kiribai Kagaku Kk Heat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2364B (en) * 1996-08-26 1999-02-11 Chisso Corp A composite sheet comprising a non-woven fabric and a film
JP2003164501A (en) * 2001-11-30 2003-06-10 Lion Corp Molding for body care
JP3725488B2 (en) * 2002-04-25 2005-12-14 ユニチ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lastic molding
AT512621B1 (en) * 2012-02-28 2015-09-15 Chemiefaser Lenzing Ag hygiene produ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180A (en) 2003-10-10 2005-04-28 Kao Corp Heating compact
JP2007275082A (en) 2004-07-14 2007-10-25 Mycoal Products Corp Exothermic pack,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2008272007A (en) 2007-04-25 2008-11-13 Kao Corp Heating element
JP2014008269A (en) 2012-06-29 2014-01-20 Kiribai Kagaku Kk Heat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42887A (en) 2018-12-16
JP2018175858A (en) 2018-11-15
TWI782978B (en) 2022-11-11
JP7083676B2 (en) 2022-06-13
KR20190089966A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06662A1 (en) Heating element
JP2011136060A (en) Nasal region heating implement for mask
KR102259999B1 (en) hot air balloon
JP4394726B2 (en) Heating tool
KR102259998B1 (en) hot air balloon
JP6126321B1 (en) Breastfeeding pad
JP4757062B2 (en) Physiological function improvement device
TWI808272B (en) foot warmer
WO2018194006A1 (en) Heating instrument
WO2018194005A1 (en) Heating instrument
TWI754780B (en) warming appliance
JP4822944B2 (en) Physiological function improvement device
JP7332839B2 (en) heating tool
JP5354488B2 (en) Method for defining excess water value of exothermic composition
JP2023078617A (en) Steam heating tool
CN107205842B (en) Heating body
JP2011110166A (en) Elastic heat generation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