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420B1 -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420B1
KR102259420B1 KR1020210004604A KR20210004604A KR102259420B1 KR 102259420 B1 KR102259420 B1 KR 102259420B1 KR 1020210004604 A KR1020210004604 A KR 1020210004604A KR 20210004604 A KR20210004604 A KR 20210004604A KR 102259420 B1 KR102259420 B1 KR 10225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query
response list
generated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8890A (en
Inventor
신종호
장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688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78978A/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10004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420B1/en
Publication of KR2021000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25Iterative querying; Query formu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 preceding que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2Query formulation
    • G06F16/243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3Query optimisation
    • G06F16/24534Query rewriting; Transformation
    • G06F16/24539Query rewriting; Transformation using cached or materialised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3Query execution of query operations
    • G06F16/24561Intermediate data storage technique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includes receiving a first query from a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query.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providing virtual goods to the first terminal; storing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with respect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cond query from a second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generating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query using the stored history information.

Description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복수의 단말에 걸쳐,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쿼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ross a plurality of terminals, at least one or more virtual goods generated based on a query received from a first user terminal.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사용 가능하게 되었고, 종래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이용하던 데이터들이, 최근 클라우드 가상 공간에 저장되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자유롭게 클라우드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sers can freely use the network anywhere in the country by using the user terminal,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ventional user terminal is recently stored in the cloud virtual spac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user terminal. You can freely access the cloud virtual space anytime, anywhere and use the data you want.

또한, 종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이 핸드폰으로 한정되었던 것과는 달리, 최근 사용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내비게이션, IPTV 등의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user terminal using a network is limited to a mobile phone, a recent user can access the network through various user terminals such as a smartphone, smart pad, navigation, IPTV, and receive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network. became

복수의 단말에 걸쳐,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쿼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t least one or more virtual goods generated based on a query received from a first user terminal across a plurality of terminal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a first query from a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generating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query,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 providing a virtual go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a history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cond query from a second terminal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 secon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query and generating a response list using the stored history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컨텐츠 서버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하는 응답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응답 전송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 입력부,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는 가상 재화 제공부, 및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쿼리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생성부는 상기 수신된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serv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uery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query from a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fir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query. Any one of a respon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sponse list, a respons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A selec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a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and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to the user It may include a DB for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wherein the query receiving unit receives a second query from a second terminal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nd generates the response The unit may generate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cond query using the stored history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은 제 1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대한 가상 재화를 수신하는 제 1 단말,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 및 제 2 쿼리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first query, receives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 first terminal that selects any one of the responses, receives the virtual goods for the selection, receives the first query from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ransmits to the first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sponses from the first terminal, provides a virtual go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query, the first and a content server that stores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a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with respect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at transmits a second query to the content server , and the content server may generate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using the stored history information.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에 걸쳐,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쿼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재화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at least one or more virtual goods generated based on a query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cross a plurality of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ent server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by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configuration diagram or processing flow char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컨텐츠 서버(200), 검색 엔진(300), 및 웹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 a content server 200 , a search engine 300 , and a web server 400 . However, since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사용자 단말(100)은 데스크탑(110), 스마트폰(120), IPTV(130), 로봇형 단말(예를 들어, KTTM의 키봇, 140) 및 자동차 내비게이터(15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하나의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들(110 내지 150)은 하나의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들일 수 있고, 또는 타인의 단말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을 이용한 로그인으로서의 인증 절차를 거쳐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것을 컨텐츠 서버(200)에서 인지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언급한 인증 절차는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뿐만 아니라 음성 인식, 기설정된 제스처 인식, 기설정된 단축키 입력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desktop 110 , a smart phone 120 , an IPTV 130 , a robotic terminal (eg, KTTM's Kibot, 140 ) and a car navigator 150 , each of which may be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one piece of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terminals 110 to 150 may be terminals possessed by one user, or even if they are terminals of another person, the content server 200 is used by the user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dure as a login using various methods. ) may be aware of. For example, the aforementioned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voice recognition, preset gesture recognition, and preset shortcut input as well as log-in for inputting a user ID and password.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각각의 단말들(110 내지 150)은 서로 다른 플랫폼을 갖고 있을 수 있으며, 컨텐츠 서버(200)에서 다양한 응답(Response)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플랫폼간 동기화는 브로드 캐스팅과 같은 네트워크, 멀티 에이전트 기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Furthermore, each of the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have different platforms, and the synchronization between platforms required to generate various responses in the content server 200 is This can be done through a network, multi-agent technology such as broadcasting.

앞서 언급한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단말들(110 내지 1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user terminal 100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have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V device, a computer, or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Here, an example of the TV device includes a smart TV, an IPTV set-top box, and the like, and an example of the computer includes a laptop, a desktop, and a laptop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is portable. An example of a termina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tablet PC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he like may be included.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제 1 사용자 단말(110 내지 150 중 어느 하나, 이하 데스크탑(110))은 컨텐츠 서버(200)에게 제 1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될 쿼리는 멀티모달 방식으로 데스크탑(110)에게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텍스트, 음성 및 제스처 등을 이용하여 데스크탑(110)에게 제 1 쿼리를 입력할 수 있고, 데스크탑(110)은 입력받은 제 1 쿼리를 컨텐츠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 hereinafter, the desktop 110 may transmit a first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 A query to be mentioned below may be input to the desktop 110 in a multimodal manner.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 first query to the desktop 110 using text, voice, and gesture, and the desktop 110 may transmit the received first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

컨텐츠 서버(200)에게 쿼리를 전송한 데스크탑(110)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해당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응답(Response)을 포함하는 제 1 응답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스크탑(110)은 어느 하나의 응답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멀티모달 방식 등으로 수신하고, 선택 결과를 컨텐츠 서버(2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해당 통지에 대한 응답으로 데스크탑(110)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선택 결과에 따른 가상 재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응답의 생성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쿼리에 대한 의미해석이 선행될 수 있으며, 응답은 쿼리가 입력된 시간, 장소와 같은 컨텍스트(Context)를 종합적으로 인식하여 추출된 복수의 응답후보 중 컨텐츠 서버(100)의 자동선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The desktop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may receive a first response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In this case, the desktop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one response in a multi-modal manner or the like, and notify the content server 200 of the selection result. In response to the notification, the desktop 110 may receive the virtual goods according to the selection result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At this time, semantic analysis of the query input by the user may be preceded to generate the response, and the response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response candidates extracted by comprehensively recognizing the context such as the time and place where the query was input. I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utomatic selection of the content server 100 .

여기서, 가상 재화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지도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rtual goods may include applications, video content, music content, map content, and advertisement content.

가상 재화를 수신한 후, 사용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제 2 사용자 단말(110 내지 150 중 어느 하나, 이하 스마트폰(120))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200)에게 제 2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폰(120)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복수의 응답을 포함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virtual goods, the user sends the content server 200 to the content server 200 using any one of the second user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martphone 120 ). A second query may be sent. Similarly, the smartphone 120 may receive a second response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respons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이 때, 제 2 응답 리스트는 제 2 쿼리, 제 1 쿼리,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 서버(200)에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제 2 응답 리스트는 대응하는 제 2 쿼리를 전송한 스마트폰(120)의 제 2 사용자 단말로서의 종류(플랫폼), 스마트폰(120)의 위치, 제 2 쿼리가 생성된 시점(예를 들어, 제 2 쿼리 전송 시점), 환경 및 컨텍스트(context)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response list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ent server 200 based on the second query,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Furthermore, the second response list includes the type (platform) of the second user terminal of the smart phone 120 that transmitted the corresponding second query, the location of the smart phone 120,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for example, , the second query transmission time), the environment, and the context (contex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또한, 제 1 응답 리스트 또는 제 2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간 순서는 각각 사용자 단말의 플랫폼별 가중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랫폼별 가중치는 제 1 응답 리스트의 경우 제 1 쿼리를 전송한 제 1 사용자 단말(데스크탑(110))의 가중치가 가장 높을 수 있고, 제 2 응답 리스트의 경우 제 2 쿼리를 전송한 제 2 사용자 단말(스마트폰(120))의 가중치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응답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플랫폼에 대응하는 응답은 반드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between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or the second response list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weight for each platform of the user terminal. Here, as for the weight for each platform, in the case of the first response list, the weight of the first user terminal (desktop 110)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query may be the highest,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response list, the second user who transmitted the second query The weight of the terminal (smartphone 120) may be the highest.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sponse selected by the user or corresponding to the platform currently being used by the user may be necessarily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respon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대응되는 가상 재화를 제공받은 후, 어느 하나의 제 3 사용자 단말(110 내지 150)을 통해 제 3 쿼리를 컨텐츠 서버(200)에게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제 3 응답 리스트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하겠다. 이 경우, 제 3 응답 리스트는 제 3 쿼리, 제 2 쿼리, 제 2 응답 리스트 및 제 2 응답 리스트에 대한 응답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고, 제 1 쿼리, 제 1 응답 리스트 및 제 1 응답 리스트에 대한 응답 선택 결과는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컨텐츠 서버(200)는 직전의 히스토리 정보(쿼리, 응답 리스트, 및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응답 선택 결과)만을 이용하여 응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second response list and receiving the corresponding virtual goods, the third user terminals 110 to 150 3 It is assumed that a query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200 and a third response lis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In this case, the third response lis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sponse selection results for the third query, the second query, the second response list, and the second response list, and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first response list The response selection result for the response list may not be reflected. That is, the content server 200 may generate a response list by using only previous history information (query, response list, and response selection result included in the response list).

사용자는 직전에 이용한 제 2 사용자 단말 보다 더 이전에 이용한 사용자 단말들에서 이용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쿼리를 제 3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서버(200)에게 해당 쿼리를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해당 쿼리에 대하여,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히스토리 정보(쿼리, 응답 리스트, 및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응답 선택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응답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a preset query to the third user terminal in order to inquire information used in user terminals used earlier than the second user terminal used immediately before. In this case, the third user terminal transmits a corresponding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 and the most recently stored preset number of history information (query, response list, and response list) for the corresponding query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The response list generated by using the response selection result included in ) can be received.

컨텐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쿼리를 수신하고, 수신된 쿼리에 적합한 복수의 응답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응답을 리스트 형식으로 사용자 단말(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플랫폼, 위치, 쿼리의 내용에 기초하여 응답을 생성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직전에 수신된 쿼리,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응답들, 및 해당 복수의 응답들 중 선택된 응답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200 may receive a query from the user terminal 100 , generate a plurality of responses suitable for the received query, and transmit the generated responses to the user terminal 100 in a list format. As mentioned above, the content server 200 may generate a response based on the platform, location, and content of the query of the user terminal 100 , and furthermore, the query received immediately befor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thus The response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responses and a respons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responses.

컨텐츠 서버(200)는 수신된 쿼리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기 위하여, 검색 엔진(300) 또는 웹서버(400)와 협업할 수 있다.The content server 200 may cooperate with the search engine 300 or the web server 400 to generate a response to the received query.

검색 엔진(300)은 GoogleTM, NaverTM, YahooTM, AOLTM 등의 국내외 포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일 수 있다. 컨텐츠 서버(200)는 검색 엔진(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여 응답을 생성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The search engine 300 may be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domestic and foreign portal search services such as GoogleTM, NaverTM, YahooTM, and AOLTM. The content server 200 may search for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search engine 300 and use it to generate a response.

웹서버(400)는 크라우드(Crowd)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일 수 있다. 크라우드 서비스란, 기존의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식이 아니라,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크라우드 서비스에 접속되어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질문을 하여 원하는 정보를 얻어내는 서비스 방식일 수 있다.The web server 400 may be a server of a service provider that provides a crowd service. The crowd service may not be a method of searching for data stored in an existing DB, but may be a service method of obtaining desired information by asking a question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crowd service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 컨텐츠 서버(200), 검색 엔진(300), 및 웹서버(400) 각각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5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Each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ent server 200 , the search engine 300 , and the web server 400 included in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500 . At this time, the network 500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ncludes the Internet and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rea Network), Wide Area Network (WAN), Personal Area Network (PAN), 3G, Long Term Evolution (LTE), Wireless Fidelity (WiFi),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reless Gigabit (WiGig), and mor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100)에게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A service for providing virtual goods to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 Here, the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pp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00 .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서버(2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ent server 2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2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서버(200)는 쿼리 수신부(210), 응답 생성부(220), 응답 전송부(230), 선택 입력부(240), 가상 재화 제공부(250) 및 DB(2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서버(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서버(200)에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ent server 200 shown in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the content server 200 includes a query receiving unit 210 , a response generating unit 220 , a response transmitting unit 230 , a selection input unit 240 , a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250 and a DB 290 . may include. However, the content server 200 shown in FIG. 2 is only one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ased 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the content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a certain command or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may generall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but may also b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display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쿼리 수신부(21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제 1 단말(110 내지 1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 The query receiver 210 may receive a first query from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나아가, 쿼리 수신부(21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제 2 단말(110 내지 1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쿼리는 제 1 쿼리가 수신되어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응답(Response) 리스트가 생성되고 제 1 단말로부터 이에 대한 선택을 받은 이후에 수신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query receiver 210 may receive a second query from the second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econd query may be received after the first query is received, a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is generated, and a selection thereof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응답 생성부(220)는 쿼리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제 1 응답 리스트는 복수의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생성부(220)는 쿼리 수신부(210)에서 제 2 쿼리를 수신한 경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sponse generating unit 220 may generate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received by the query receiving unit 210 , and the first response lis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sponses. Also, when the second query is received from the query receiving unit 210 , the response generator 220 may generate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응답 생성부(220)는 외부의 크라우드 소스(Crowd Source), 검색 엔진 및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응답 리스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응답(Response)들을 생성할 수 있다. The response generator 22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response list by using at least one of an external crowd source, a search engine, and history information.

여기서 쿼리란 사용자 단말(100)로 수신하는 가상 재화 요청이고, 응답이란 가상 재화 요청에 대응하여 생성하는 추천 가상 재화일 수 있다. 즉, 응답 리스트는 복수의 추천 가상 재화 리스트로서, 사용자에게 추천 가상 재화 리스트로부터 원하는 가상 재화를 선택하게끔 할 수 있다.Here, the query may be a virtual goods request receiv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response may be a recommended virtual good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virtual goods request. That is, the response list is a plurality of recommended virtual goods lists, an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virtual goods from the recommended virtual goods list.

응답 전송부(230)는 응답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The response transmitter 230 may transmit the first response list generated by the response generator 220 to the first terminal.

선택 입력부(240)는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The selection input unit 240 may receive a selection from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가상 재화 제공부(250)는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제 1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재화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지도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250 may provide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Here, the virtual goods may include applications, video content, music content, map content, and advertisement content.

마찬가지로, 응답 전송부(230)는 응답 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제 2 응답 리스트를 제 2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선택 입력부(240)는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가상 재화 제공부(250)는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제 2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Similarly, the response transmission unit 230 may transmit the second response list generated by the response generation unit 220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election input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of the second response list included in the second response list from the second terminal. Any one of the responses may be selected, and in response, the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250 may provide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second terminal.

DB(29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90)는 데이터는 컨텐츠 서버(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컨텐츠 서버(200)와 컨텐츠 서버(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DB 290 may store data. At this time, the DB 290 includes data input and output between each component inside the content server 200 , and input and output between the content server 200 and components outside the content server 200 . Output data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DB(290)는 제 1 쿼리, 제 1 응답 리스트 및 이에 대응되는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B 290 may stor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a selec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이러한 DB(290)의 일 예에는 컨텐츠 서버(2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DB 290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nd a memory card existing inside or outside the content server 200 .

당업자라면, 쿼리 수신부(210), 응답 생성부(220), 응답 전송부(230), 선택 입력부(240), 가상 재화 제공부(250) 및 DB(2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For those skilled in the art, each of the query receiving unit 210 , the response generating unit 220 , the response transmitting unit 230 , the selection input unit 240 , the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250 , and the DB 290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among them It will be fully understood that one or more may be integrated and implemented.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c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공되는 가상 재화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대한 가상 재화 제공이 수행된 이후, 도 3b에 대한 가상 재화 제공이 수행되고, 이어 도 3c에 대한 가상 재화 제공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d는 도 3c와 택일적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일 수 있다.3A to 3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ere, FIGS. 3A to 3C may illustrate virtual goods provided over time. For example, after provision of the virtual goods of FIG. 3A is performed, provision of the virtual goods of FIG. 3B may be performed, and then provision of the virtual goods of FIG. 3C may be performed. Furthermore, FIG. 3D may be an alternative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to FIG. 3C .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IPTV(130) 시청 중, IPTV(130)에 등장한 배우가 쓰고 있는 썬그라스 주변으로 손을 가져가고, "이거 어디서 사"라는 쿼리를 IPTV(130)에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쿼리는 음성으로서 "이거 어디서 사?"뿐만 아니라 썬그라스를 가리키는 제스처로서의 손동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A , while watching the IPTV 130 , the user may bring a hand around the sunglasses worn by the actor who appeared on the IPTV 130 , and input a query “where to buy this” into the IPTV 130 . . In this case, the query may include not only "where to buy this?" as a voice, but also a hand gesture as a gesture pointing to the sunglasses.

IPTV(130)는 해당 쿼리를 컨텐츠 서버(200)에게 전송하고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3개의 응답이 포함된 응답 리스트를 수신하여 IPTV(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응답(동네 안경점 연결할까요?)은 IPTV(130) 플랫폼에 대응하여 생성된 응답(사용자는 IPTV(130)를 이용하여 쇼핑하는 경우 동네 상점을 선호)이고, 제 2 응답(Gmarket.com에서 보여드릴까요?)은 스마트폰(120) 플랫폼에 대응하여 생성된 응답(사용자는 스마트폰(120)을 이용하여 쇼핑하는 경우 G-market 을 선호)이고, 제 3 응답(Amazon.com에서 연결할까요?)은 데스크탑(110) 플랫폼에 대응하여 생성된 응답(사용자는 데스크탑(110)을 이용하여 쇼핑하는 경우 Amazon을 선호)일 수 있다. The IPTV 130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 receive a response list including three responses from the content server 200 , and display it on the IPTV 130 . At this time, the first response (Do you want to connect to a local optician?) is a respons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IPTV 130 platform (the user prefers a local store when shopping using the IPTV 130), and the second response (Gmarket) Shall I show you in .com?) is the respons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martphone 120 platform (the user prefers G-market when shopping using the smartphone 120), and the third response (Amazon.com) Connect from?) may be a respons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desktop 110 platform (the user prefers Amazon when shopping using the desktop 110).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응답들 간의 순서는 사용자 단말(100) 별 가중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서버(200)는 IPTV(130)를 통해 쿼리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과거 IPTV(130)에서 선호하던 특성에 대응하는 응답이 제 1 응답으로서 응답들 중 가장 위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order among the first to third responses may be determined in response to a weight for each user terminal 100 . That is, since the content server 200 receives the query through the IPTV 130 , the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 favored by the IPTV 130 in the past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responses as the first response.

도 3a에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응답을 선택할 수 있고,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운전을 하면서 자동차 내비게이터(150)를 이용할 수 있다.In FIG. 3A , the user may select any one response, and referring to FIG. 3B , the user may use the car navigator 150 while driving.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동차 내비게이터(150)에게 "아까 그 안경점 어디있지?"라는 음성 쿼리를 입력할 수 있고, 자동차 내비게이터(150)는 컨텐츠 서버(200)에게 해당 쿼리를 전송함으로써, 3개의 응답을 포함하는 응답 리스트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자동차 내비게이터(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 the user may input a voice query to the car navigator 150 , “Where is the optician?”, and the car navigator 150 transmits the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The response list including the responses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and displayed on the vehicle navigator 150 .

여기서 제 1 응답은 도 3a에서의 제 1 응답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 2 응답은 크라우드 소스를 이용하여 제 3 자에게 실시간으로 문의하는 것일 수 있고, 제 3 응답은 현재 자동차 내비게이터(150)의 위치(압구정)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Here, the first response may be to provide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sponse in FIG. 3A back to the user, and the second response may be to inquire a third party in real time using a crowd source, 3 The response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r navigator 150 (Apgujeong).

도 3b에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응답을 선택할 수 있고,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로봇형 단말(140)을 이용할 수 있다.In FIG. 3B , the user may select any one response, and referring to FIG. 3C , the user may use the robotic terminal 140 .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로봇형 단말(140)에게 "이 동네 지도 보여줘"라는 음성 쿼리를 입력할 수 있고, 로봇형 단말(140)은 컨텐츠 서버(200)에게 해당 쿼리를 전송함으로써, 3개의 응답을 포함하는 응답 리스트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로봇형 단말(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C , the user may input a voice query “Show me this neighborhood map” to the robotic terminal 140, and the robotic terminal 140 transmits the query to the content server 200, The response list including the responses of the number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er 200 and displayed on the robotic terminal 140 .

제 1 응답은 현재 로봇형 단말(140)의 위치(압구정)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고, 제 2 응답은 도 3b에서 사용자가 제 2 응답을 선택한 경우의 해당 가상 재화 결과일 수 있고, 제 3 응답은 자동차 내비게이터(150)에 대응하여 생성된 응답일 수 있다.The first response may correspond to the current position (Apgujeong) of the robotic terminal 140, and the second response may be a corresponding virtual goods result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response in FIG. 3B, and the third response may be a response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vehicle navigator 150 .

다만, 도 3c의 제 1 내지 제 3 응답은 가장 최근 이용한 자동차 내비게이터(150)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만 이용하여 결정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 단말(110 내지 150)에서의 히스토리 정보를 조회를 요청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first to third responses of FIG. 3C may be determined using only history information on the most recently used car navigator 150, referring to FIG. 3D , the user can use other user terminals 110 to 150 You can request inquiry of history information.

사용자가 로봇형 단말(140)에게 과거 히스토리 정보들을 요청하면, 로봇형 단말(140)은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플랫폼별 히스토리 정보를 기설정된 개수만큼 수신하여 로봇형 단말(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When a user requests past history information from the robotic terminal 140 , the robotic terminal 140 receives a preset number of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platform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content server 200 to the robotic terminal ( 140) can be display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컨텐츠 서버(200), 검색 엔진(300) 및 웹서버(4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의 사용자 단말(100), 컨텐츠 서버(200), 검색 엔진(300) 및 웹서버(4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user terminal 100 , a content server 200 , a search engine 300 and a web server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 ), which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ent server 200 , the search engine 300 , and the web server 400 of FIGS. 1 to 3 ar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 It can also be applied to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according to

단계 S401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제 1 단말(110 내지 150)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401, the content server 200 may receive a first query from the first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단계 S402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1에서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02, the content server 200 may generate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received in step S401.

단계 S403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2에서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제 1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In step S403, the content server 200 may transmit the first response list generated in step S402 to the first terminal,

단계 S404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3에서 제 1 단말에게 전송된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제 1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In step S404, the content server 200 may receive a selection from the first termi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in step S403.

단계 S405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4에서의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제 1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S405, the content server 200 may provide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in step S404 to the first terminal.

단계 S406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1 내지 단계 S40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언급된 제 1 쿼리, 제 1 응답 리스트 및 제 1 응답 리스트에 대응하는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406, the content server 200 identifies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history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first response list mentioned in at least one of steps S401 to S405.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stored.

단계 S407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 포함된 제 2 단말(110 내지 150)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407 , the content server 200 may receive a second query from the second terminals 110 to 150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단계 S408에서 컨텐츠 서버(200)는 단계 S407에서 수신된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단계 S406에서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408, the content server 200 may generate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received in step S407 by using the history information stored in step S40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8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01 to S408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or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사용자 단말
200: 컨텐츠 서버
300: 검색 엔진
400: 웹서버
100: user terminal
200: content server
300: search engine
400: web server

Claims (17)

가상 재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과 다른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쿼리 및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상기 제 1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는 상기 제 2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A method of providing virtual good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query from a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query;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from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providing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stor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with respect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second query from a second terminal different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based on the second query a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cond response list to the second terminal,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are generated us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query is generated and a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us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and a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쿼리 수신 단계는 상기 저장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wherein the second query receiv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toring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복수의 플랫폼에 대한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빈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are generated using a plurality of pieces of history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latforms, and are generated based on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pieces of histor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복수의 플랫폼별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응답의 순서가 결정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wherein the order of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is determined based on a plurality of weights for each plat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외부의 크라우드 소스(Crowd Source), 검색 엔진 및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will be generated by using at least one of an external crowd source, a search engine, and histor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will be generated using the most recently stored history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ieces of history inform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n receiving a preset query from the first terminal,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most recently stored preset number of history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the virtual goods provi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 인식, 사용자 ID 및 비밀번호 입력, 기설정된 제스처 인식 및 기설정된 단축키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performing any one of a user's voice recognition, user ID and password input, preset gesture recognition, and preset shortcut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IPTV, 자동차 내비게이터, 로봇형 단말, 컴퓨터 및 스마트폰 각각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tform includes a platform corresponding to each of IPTV, car navigator, robotic terminal, computer and smart phone, virtual goods provi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쿼리는 텍스트, 음성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oods, wherein the first query is input using at least one of text, voice, and gesture.
컨텐츠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제 1 단말로부터 제 1 쿼리를 수신하는 쿼리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생성하는 응답 생성부;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응답 전송부;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 입력부;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는 가상 재화 제공부; 및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DB를 포함하고,
상기 쿼리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과 다른 제 2 단말로부터 제 2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생성부는 상기 제 2 쿼리 및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응답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제 2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2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상기 제 1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는 상기 제 2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컨텐츠 서버.
In the content server,
a query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query from a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respon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irst query;
a respons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a selection input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from the first terminal;
a virtual goods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virtual goods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and
a DB for storing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for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The query receiving unit receives a second query from a second terminal different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response generator generates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based on the second query and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response transmitter transmits the generated second response list to the second terminal,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are generated us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query is generated and a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is that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using the time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content ser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외부의 크라우드 소스(Crowd Source), 검색 엔진 및 히스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will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an external crowd source, a search engine, and history information, the content ser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복수의 히스토리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저장된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will be generated using the most recently stored history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history information, the content serve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쿼리를 수신하는 경우, 가장 최근에 저장된 기설정된 개수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인, 컨텐츠 서버.
The method of claim 13,
When receiving a preset query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ontent server that transmits the most recently stored preset number of history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쿼리는 텍스트, 음성 및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것인, 컨텐츠 서버.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query will be input using at least one of text, voice, and gesture, the content server.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쿼리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쿼리에 대응하는 제 1 응답(Response)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대한 가상 재화를 수신하는 제 1 단말;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쿼리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응답 리스트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응답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하는 가상 재화를 상기 제 1 단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 1 쿼리,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 및 상기 선택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의 플랫폼에 대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서버; 및
제 2 쿼리를 상기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제 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상기 제 1 단말과 다른 단말이고,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제 2 쿼리 및 상기 제 1 단말의 히스토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응답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응답은 상기 제 1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1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 2 쿼리에 대응하는 제 2 응답 리스트는 상기 제 2 쿼리가 생성된 시점 및 상기 제 2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인,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
In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Sending a first query, receiving a first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first quer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and purchasing virtual goods for the selection a first terminal for receiving;
receiving the first query from the first terminal included i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first response list to the first terminal; , receiving a selec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sponses from the first terminal, providing a virtual good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including the first query, the first response list, and the selection result a content server for storing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tform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econd query to the content server,
The second terminal is a terminal different from the firs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content server generates a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based on the second query and the history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 plurality of responses included in the first response list are generated us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first query is generated and a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response lis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using a time point at which the second query is generated and a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재화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컨텐츠, 음악 컨텐츠, 지도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인, 가상 재화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The virtual goods will include applications, video content, music content, map content, and advertisement content, the virtual goods providing system.
KR1020210004604A 2013-12-31 2021-01-13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KR102259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04A KR102259420B1 (en) 2013-12-31 2021-01-13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890A KR20150078978A (en) 2013-12-31 2013-12-31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KR1020210004604A KR102259420B1 (en) 2013-12-31 2021-01-13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890A Division KR20150078978A (en) 2013-12-31 2013-12-31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90A KR20210008890A (en) 2021-01-25
KR102259420B1 true KR102259420B1 (en) 2021-06-01

Family

ID=7423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04A KR102259420B1 (en) 2013-12-31 2021-01-13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420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3753A (en) * 2009-05-27 2012-05-30 谷歌公司 Computer Application Data In Search Results
KR101349768B1 (en) * 2011-12-22 2014-01-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to user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890A (en)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519B1 (en) Server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using voice information
US95845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peripheral information, and location proxy server
US2014033770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Exchanging Interactive Map Information
WO2015035868A1 (en) Place of interest recommendation
US9373140B2 (en) Generation of an interface with computer-executable options and visual elements based on collected social network data
US9948729B1 (en) Browsing session transfer using QR codes
US20140351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as a weblink
US11405966B2 (en)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companion experiences to handheld devices
WO2015027516A1 (en) Mechanism for facilitating dynamic location-based zone management for computing systems
US20160241569A1 (en) Information sharing for third party applications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KR101513472B1 (en) Apparatus for confirming buddy based on telephone number and method thereof
US11039215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selecting and managing content
US9214002B2 (en) Contents providing scheme using display history information
KR10225942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KR20130072984A (en) Server and method for recognizing representation device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of user and performing service connection process with the representation device, and devices
KR20130029950A (en) Contents sharing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KR2015007897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goods and method thereof
KR1017638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 area chatting
KR101497986B1 (e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atarials of template to device, and the device
KR20130064436A (en) Server and method for searching contents based on friend recommendation, and device
KR20140054494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KR20160128171A (en) Product order and payment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in on-line shopping, product order and payment system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1022057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summary of news
KR20130082943A (e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by distributing contents
KR2014005449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