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605B1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605B1
KR102256605B1 KR1020170085992A KR20170085992A KR102256605B1 KR 102256605 B1 KR102256605 B1 KR 102256605B1 KR 1020170085992 A KR1020170085992 A KR 1020170085992A KR 20170085992 A KR20170085992 A KR 20170085992A KR 102256605 B1 KR102256605 B1 KR 10225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ttery
coupled
elastic member
oper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402A (ko
Inventor
이진규
강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8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605B1/ko
Priority to CN201880004129.6A priority patent/CN109891636B/zh
Priority to US16/341,399 priority patent/US10903476B2/en
Priority to JP2019526499A priority patent/JP7048844B2/ja
Priority to PCT/KR2018/005991 priority patent/WO2019009519A1/ko
Priority to EP18828675.1A priority patent/EP3537510A4/en
Publication of KR2019000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복수의 배터리 셀에 각각 구비된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버스바로부터 이격되도록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배터리 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작동하여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차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관련하여, 전압에 기초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전압을 차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BMS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과충전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85300호(공고일자:2000년06월15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BMS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등 BMS와 관계없이도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셀의 과충전시 발생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각각 구비된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배터리 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차단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유닛은,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된 작동 본체; 및
상기 작동 본체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작동 본체를 고정하며, 상기 작동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를 향해 상기 작동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를 향하고 있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 파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에는 파단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단부재의 뾰족한 끝부분은 상기 버스바의 파단홈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 본체의 중심부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작동 본체가 상기 한 쌍의 회동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 본체의 양측 단부의 하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2 경사부가 형성된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축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단유닛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테라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셀의 과충전시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차단유닛이 작동하므로, BMS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 등 BMS와 관계없이도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 수축된 탄성부재에 힘이 저장되어 있고 배터리 셀의 과충전시 발생되는 압력이 탄성부재의 트리거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차단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차단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차단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와, 버스바(200)와, 차단유닛(300)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이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110)에는 전극 리드(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1)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리드(111)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는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가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극 리드(111)는 후술하는 버스바(200)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이 충방전되면 배터리 셀(110)의 케이스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며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테라스부(600) 부근에 배치된 가스 포집기(미도시)에 상기 가스가 포집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유닛(300)은 과충전시 가스 포집기(미도시)에 포집된 가스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테라스부(6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테라스부(600)에서 차단유닛(300)으로 가해지는 가스압에 의해 차단유닛(300)이 작동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의 케이스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터리 셀(110)의 케이스가 파우치 타입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배터리 셀(110)을 수납하는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미도시)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된 카트리지 조립체에는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예를 들어, 배터리 셀(110)의 전압 또는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연결 부품 내지 연결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요소는 배터리 셀(110)에 연결되는 메인 단자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 요소는 터미널 볼트가 구비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스바(2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에 각각 구비된 전극 리드(111)들에 결합되어 전극 리드(11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전기전 연결에는 직렬 또는 병렬이 포함될 수 있다.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에 과충전이 발생되는 경우 버스바(200)가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버스바(200)에는 파단홈(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부재(5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들 사이에 배치되며, 차단유닛(300)이 지지부재(50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부재(500)는 하나의 배터리 셀(110)과, 하나의 배터리 셀(110)의 이웃하는 배터리 셀(110) 사이에서 테라스부(6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차단유닛(300)이 지지부재(5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50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인터커넥터일 수 있다. 여기서, 인터커넉터는 배터리 셀(110)들 주변에 위치하여, 배터리 셀(110)의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 동안에 배터리 셀(110)의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 또는 배터리 셀(110)의 전류 내지 전압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BMS에 전달하는 것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차단유닛(300)이 인터커넉터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지지부재(500)가 반드시 인터커넥터일 필요는 없다.
차단유닛(300)은 배터리 셀(110)의 충방전, 특히 과충전시 배터리 셀(110)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10)의 케이스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면 배터리 셀(110)의 전극 리드(111)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테라스부(600) 부근에 배치된 가스 포집기(미도시)에 가스가 포집되므로, 차단유닛(300)은 가스 포집기(미도시)가 위치한 테라스부(600)에 근접한 위치에서 복수의 배터리 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버스바(20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가스 포집기(미도시)가 테라스부(600)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차단유닛(300)의 위치가 가스 포집기(미도시)에 인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의 과충전시 발생되는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차단유닛(300)이 작동하여 전극 리드(111)와 버스바(200)의 전기적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BMS와 관계없이도 배터리 셀(110)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유닛(300)은 작동 본체(310)와, 고정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참조하면, 작동 본체(310)에는 걸림부(311)가 형성되며 제1 탄성부재(312)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320)는 작동 본체(310)가 제1 탄성부재(312)에 의해 탄성 수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에 걸려 작동 본체(310)를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부재(320)가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에 걸려 작동 본체(310)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324)가 고정부재(32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312)가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312)에 결합된 작동 본체(310)는 고정부재(320)에 걸려 고정된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작동 본체(310)는 제1 탄성부재(312)가 탄성 수축된 상태로 고정부재(320)에 결려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과충전에 의해 배터리 셀(110) 내부에 가스가 발생되면 차단유닛(300)의 고정부재(320)에 가스압이 전달되므로 고정부재(320)가 제2 탄성부재(3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부재(320)에 걸려 있던 작동 본체(310)가 걸림해제되므로 제1 탄성부재(312)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작동 본체(310)가 버스바(200)측으로 발사되며, 작동 본체(310)의 발사된 발사력에 의해 작동 본체(310)가 버스바(200)에 충돌하여 버스바(200) 자체를 파단시키거나, 또는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의 연결 부분을 파단시킨다. 이를 위해, 작동 본체(310)에는 파단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파단부재(400)는 버스바(200)를 향하도록 작동 본체(310)에 결합되며 버스바(200)를 향하고 있는 끝부분(410)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본체(310)가 발사되면, 끝부분(410)이 뾰족한 파단부재(400)가 버스바(200)에 충돌하여 버스바(200) 자체 내지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의 연결 부분을 파단시킬 수 있다. 물론, 파단부재(400)가 구비되지 않고 작동 본체(310)만 있는 경우 작동 본체(310)가 버스바(200)에 부딪혀 버스바(200) 자체 내지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의 연결 부분을 파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200) 자체를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도록 버스바(200)에는 파단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파단홈(210)은 다양한 형상 또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버스바(200)에 파단홈(210)이 형성된 경우 파단부재(400)의 뾰족한 끝부분(410)이 버스바(200)의 파단홈(21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작동 본체(310)가 발사되면 파단부재(400)의 뾰족한 끝부분(410)이 바스바의 파단홈(210)에 부딪혀(도 3 참조) 버스바(200)의 파단홈(210)을 중심으로 버스바(200)를 파단시킬 수 있다.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작동 본체(3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부(315)는 고정부재(320)의 회동부(321)에 형성된 제2 경사부(323)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본체(310)의 중심부의 하측에 제1 탄성부재(312)가 결합되며 제1 탄성부재(312)가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가 고정부재(320)에 걸려서 고정된다.
고정부재(320)는 회동부(321)와, 회동축(326)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321)는 걸림부(311)의 제1 경사부(315)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부(315)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323)가 형성되고, 제2 탄성부재(324)가 결합된 제1 회동부(322)와, 제1 회동부(322)로부터 연장되며, 배터리 셀(110)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탄성부재(312)가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에 형성된 제1 경사부(315)에 고정부재(320)의 제2 경사부(323)가 걸리므로 작동 본체(310)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1 탄성부재(312)는 지지부재(50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32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회동부(321)는 작동 본체(310)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작동 본체(310)는 한 쌍의 회동부(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탄성부재(324)와 제2 회동부(325)는 지지부재(500)에 접촉될 수 있다. 회동축(326)은 회동부(3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회동부(321)는 회동축(326)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셀(110)이 과충전에 의해 가스가 발생되면 배터리 셀(110)의 테라스부(600) 부근에서 가스압이 발생되므로 제2 회동부(325)로 가스압이 가해져 제2 회동부(325)가 가압된다. 그리고, 제2 회동부(325)가 회동축(326)에 대해 회동하면 제2 회동부(325)로부터 연장되는 제1 회동부(322)도 회동하게 되며 제1 회동부(322)의 제2 경사부(323)는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의 제1 경사부(315)를 따라 이동한다. 제2 경사부(323)가 이동하여 제1 경사부(315)로부터 걸림 해제되면 제1 탄성부재(312)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작동 본체(310)가 버스바(200)측으로 발사되며 작동 본체(310)에 결합된 파단부재(400)의 뾰족한 끝부분(410)이 버스바(200)의 파단홈(210)에 부딪혀 버스바(200)를 파단시키거나, 또는 작동 본체(310) 내지 파단부재(400)가 버스바(200)에 부딪혀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간 전기적 연결을 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단유닛(300)이 복수의 배터리 셀(11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단유닛(300)의 작동 본체(310)는 제1 탄성부재(312)가 탄성 수축된 상태로 고정부재(3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20)의 제1 회동부(322)에는 제2 경사부(323)가 형성되고, 제2 경사부(323)는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에 형성된 제1 경사부(315)에 걸리며, 이에 의해 작동 본체(310)를 고정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과충전 등에 의해 배터리 셀(110)에 가스가 발생한 경우 가스압에 의해 고정부재(320)의 회동부(321)가 회동축(326)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회동부(321)가 회동하게 되면 작동 본체(310)의 걸림이 해제되므로 작동 본체(310)가 발사된다. 그리고, 작동 본체(310)가 버스바(200)에 부딪히거나, 또는 작동 본체(310)에 결합된 파단부재(400)가 버스바(200)에 부딪혀 버스바(200) 자체를 파단시키거나,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간 연결을 파단시켜 전기적 연결을 끊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과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는 제1 탄성부재(312)와 제2 탄성부재(324)가 사용되므로, 버스바(200) 자체 또는 버스바(200)와 전극 리드(111)간 연결을 파단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큰 힘을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차단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차단유닛(300)의 구체적인 형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작동 본체(310)의 걸림부(311)에는, 작동 본체(3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315)가 형성되고, 제1 탄성부재(312)는 작동 본체(310)의 양측 단부의 하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31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500)에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 수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320)는 회동부(321)와 회동축(326)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321)는 걸림부(311)의 제1 경사부(315)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부(315)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323)가 형성되고, 제2 탄성부재(324)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321)는 제2 경사부(323)가 형성된 제1 회동부(322)와, 제1 회동부(322)로부터 연장되고, 제2 탄성부재(324)가 결합되며, 배터리 셀(110)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32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다르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회동부(321)는 회동축(326)을 기준으로 회동축(326)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단유닛(300)의 기본적은 작동 방식은 제1 실시예의 차단유닛(300)과 공통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미도시)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상기 자동차(미도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소정의 자동차(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배터리 셀 적층체 110 : 배터리 셀
111 : 전극 리드 200 : 버스바
210 : 파단홈 300 : 차단유닛
310 : 작동 본체 311 : 걸림부
312 : 제1 탄성부재 315 : 제1 경사부
320 : 고정부재 321 : 회동부
322 : 제1 회동부 323 : 제2 경사부
324 : 제2 탄성부재 325 : 제2 회동부
326 : 회동축 400 : 파단부재
410 : 끝부분 500 : 지지부재
600 : 테라스부

Claims (16)

  1.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각각 구비된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배터리 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차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유닛은,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된 작동 본체; 및
    상기 작동 본체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작동 본체를 고정하며, 상기 작동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 본체의 중심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를 향해 상기 작동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버스바를 향하고 있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 파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는 파단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단부재의 뾰족한 끝부분은 상기 버스바의 파단홈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작동 본체가 상기 한 쌍의 회동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에 각각 구비된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상기 버스바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배터리 셀 내부에 발생된 가스의 가스압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전극 리드와 상기 버스바의 전기적 연결을 끊는 차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유닛은,
    걸림부가 형성되며 제1 탄성부재가 결합된 작동 본체; 및
    상기 작동 본체가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작동 본체를 고정하며, 상기 작동 본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본체의 걸림부는 상기 작동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제1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 본체의 양측 단부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1 경사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부에 대응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결합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2 경사부가 형성된 제1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가압되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부는 상기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축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단유닛이 접촉되어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테라스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5. 제1항 또는 제9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1항 또는 제9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085992A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5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92A KR102256605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1880004129.6A CN109891636B (zh) 2017-07-06 2018-05-25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US16/341,399 US10903476B2 (en) 2017-07-06 2018-05-25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JP2019526499A JP7048844B2 (ja) 2017-07-06 2018-05-25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PCT/KR2018/005991 WO2019009519A1 (ko) 2017-07-06 2018-05-25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18828675.1A EP3537510A4 (en) 2017-07-06 2018-05-25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WITH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992A KR102256605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02A KR20190005402A (ko) 2019-01-16
KR102256605B1 true KR102256605B1 (ko) 2021-05-26

Family

ID=6495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992A KR102256605B1 (ko) 2017-07-06 2017-07-06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03476B2 (ko)
EP (1) EP3537510A4 (ko)
JP (1) JP7048844B2 (ko)
KR (1) KR102256605B1 (ko)
CN (1) CN109891636B (ko)
WO (1) WO2019009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75A (ko) * 2019-12-04 2021-06-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07B1 (ko) * 2013-06-28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안전장치
KR101500229B1 (ko) *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93B1 (ko) * 1998-10-14 2006-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
KR200185300Y1 (ko) 2000-01-07 2000-06-15 임영삼 소형밧데리 충전기의 과충전방지회로
KR101046192B1 (ko) 2007-10-30 2011-07-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용 과충전 안전장치
KR101082862B1 (ko) 2008-10-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2010257625A (ja) 2009-04-22 2010-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イパススイッチ
WO2011123808A2 (en) * 2010-04-02 2011-10-06 Boston-Power, Inc. Battery pack safety techniques
US8709628B2 (en) 2010-09-02 2014-04-29 Bathium Canada Inc.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device
KR101294168B1 (ko) * 2011-09-26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JP5866463B2 (ja) * 2012-02-29 2016-02-1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安全性が向上した電池セル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含む電池モジュール
KR101500101B1 (ko) 2013-07-10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KR101583873B1 (ko) * 2013-10-22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및 배터리
KR101558685B1 (ko) 2013-12-09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기반 통신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차량
KR101500222B1 (ko) *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방지 장치
KR20150071571A (ko) * 2013-12-18 2015-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KR102092852B1 (ko) * 2015-09-30 2020-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KR102067711B1 (ko) * 2015-12-22 2020-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 방지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TWI719110B (zh) 2016-01-15 2021-02-21 日商Jx金屬股份有限公司 銅箔、覆銅積層板、印刷配線板之製造方法、電子機器之製造方法、傳輸線之製造方法及天線之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07B1 (ko) * 2013-06-28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안전장치
KR101500229B1 (ko) * 2013-12-18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44228A1 (en) 2020-02-06
KR20190005402A (ko) 2019-01-16
EP3537510A1 (en) 2019-09-11
US10903476B2 (en) 2021-01-26
EP3537510A4 (en) 2020-02-12
JP2019537829A (ja) 2019-12-26
JP7048844B2 (ja) 2022-04-06
WO2019009519A1 (ko) 2019-01-10
CN109891636A (zh) 2019-06-14
CN109891636B (zh)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24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9844996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US7399554B2 (en) Hybri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high power and high energy density lithium cells
US1044681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10114912B (zh) 具有连接器断开装置的电池模块
US20190109313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212449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01344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EP354082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0651457B2 (en) Battery module
KR10206619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49457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1608694B1 (ko) 2차 전지용 과충전 방지 장치
KR102256605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62316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5699428A (zh)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车辆
KR102379765B1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20180119046A (ko) 접착특성을 가진 천공된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308168B1 (ko)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5298898A (zh) 二次电池和电池模块
KR20200137224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