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203B1 - 자연대류형 컨벡터 - Google Patents

자연대류형 컨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203B1
KR102256203B1 KR1020190142470A KR20190142470A KR102256203B1 KR 102256203 B1 KR102256203 B1 KR 102256203B1 KR 1020190142470 A KR1020190142470 A KR 1020190142470A KR 20190142470 A KR20190142470 A KR 20190142470A KR 102256203 B1 KR102256203 B1 KR 10225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heater
heat sink
housing
convect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990A (ko
Inventor
유봉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티
Priority to KR102019014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2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대류형 컨벡터에 관한 것으로, 카트리지 히터와 방열판을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열전달 효율을 상승시키고, 컨벡터 내부의 대류를 상방으로 흐르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실내에 안전하게 구비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벡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연대류형 컨벡터{Convector of Natural Convection Types}
본 발명은 자연대류형 컨벡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벡터 내부의 대류를 상방으로 흐르도록 하여 방열효과를 향상시키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무게중심으로 형성되어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벡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온도를 데우는 난방장치로 온수를 이용하는 온수 공급형 방열기, 석영관 램프 안에 니켈-크롭 열선을 발열체로 사용하는 석영관히터, 도체에 전류를 흘러 발생되는 줄발열을 이용하는 카트리지히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수 공급형 방열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일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며, 유체가 유동되는 관의 동파 방지 장치 등 설치해야 하는 장치가 복잡하고,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높고 사후 유지관리가 어려워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영관 히터는 가격이 저렴하지만, 열이 금속 반사판에 반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난방을 해주기 때문에 가열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발열량이 적은 편으로 개인 난방용으로 쓰기 적하고, 전선을 수평으로 배열하여 전원부가 측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불안정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카트리지 히터는 도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원자 이온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행하는 줄발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금속 보호관의 내부에 충진하여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견고하고, 전기 열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다양한 모양으로 사용자의 용도와 형태에 적합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카트리지 히터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하나의 카트리지 관이 S자형 곡선을 그리며 구비되며,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방열핀이 관을 따라 부착되며 형성된다. 이때, 방열핀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방열핀을 카트리지 관의 둘레를 따라 부착시키기 때문에 방열핀이 주름지며 카트리지 관에 부착되게 되고, 카트리지 관과 방열핀의 접촉면이 고르지 못하게 형성되므로 이로 인한 열손실이 발생하며, 방열핀의 끝단까지 열전달이 어려워 열방사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고, 카트리지와 방열핀이 부착되는 구조가 복잡하며 구조가 불안정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129800호("컨벡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실내에 안전하게 구비시킬 수 있으며, 열방사효율이 높아 에너지 효율이 좋은 자연대류형 컨벡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자연대류형 컨벡터는 U자형으로 형성되되, 절곡 형성된 부분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히터;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수직 배열되며 결합되되, 대류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방열판;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 및 상기 방열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하면 및 전면이 ㄷ자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면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 및 방열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되,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 하면의 통풍구로 유입되어, 대류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도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풍구로 배출되는 자연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서로 이웃한 카트리지 히터의 상측을 고정하는 상측고정부 및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외주면 크기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하측 끝단이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거치되는 하측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하측 끝단이 상기 전원부와 전기접촉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열판은, 상기 카트리지 히터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중앙 방열판; 및 상기 중앙 방열판에서 앞뒤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열핀은, 일정 각도로 비틀림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핀은, 상기 중앙 방열판의 앞측과 뒷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중앙 방열판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내측이 상기 카트리지 히터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상측고정부는, 일측이 갈고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부로 형성되되, 각각 고정부의 갈고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방열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자연대류형 컨벡터는 카트리지와 방열핀의 접촉 면적이 매끄럽게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성이 높아져 열방사 효율이 향상되며, 방열핀을 이용하여 컨벡터 내부의 대류가 계속 유동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국부적인 가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히터가 과열되지 않아 장시간 사용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부를 하부로 연결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열효율이 향상된 히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 히터 및 방열판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히터 및 방열판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열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 히터 및 방열판 부분 확대도
도 7는 본 발명의 후면 하우징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U자형으로 형성되되, 절곡 형성된 부분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카트리지 히터(100),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 수직 배열되며 결합되되, 대류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방열판(200),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상기 방열판(200)을 수용하는 하우징(300) 및 상기 하우징(3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수평 또는 수직하는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는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되기 때문에, 설치되는 히터봉의 개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방을 향하게 되는 양 끝단은 상기 컨벡터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전원부(500)에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컨벡터(1000)에서 일렬로 또는 나란히 배열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 및 효과(크기)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방열판(20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예를 들면 알루미늄) 성분으로 구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서 발생한 열을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서 전달된 열이 한 곳에 국부적으로 가열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열판(200)의 형태는 상기 하우징(300)의 형태에 맞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와 접하여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형태 상관없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방열판(200) 및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접하는 면을 매끄럽게 하기위해 상기 방열판(200)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방열판(200)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끼움 결합되며 서로 고정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방열판(200)의 사시도이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관통되는 관통부(211)를 포함하는 중앙 방열판(210) 및 상기 중앙 방열판(210)에서 앞뒤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핀(22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방열판(210)은 상기 관통부(211) 및 방열핀(220)이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관통부(211) 및 복수개의 방열핀(22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211)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상기 방열판(200)과 직접 접촉하며 열전달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상기 방열판(20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관통부(211)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외부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관통부(211)의 둘레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외면 둘레 이하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압입되어 끼움 결합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관통부(211)는 접촉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중앙 방열판(210)의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열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원통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관통부(211) 또한 원통 형상으로 상기 중앙 방열판(21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와 넓은 면적을 접하며 열전달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방열핀(220)은 상기 중앙 방열판(210)의 모든 측면에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 효과를 넓히기 위해 가장 넓은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소정 영역의 넓이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방열핀(220)이 외측으로 방열하도록 하여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핀의 개수를 조절하여 방열 효과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220)은 상기 컨벡터(1000)의 내부 대류를 상방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방열핀(220)은 설계자가 원하는 정도의 일정 각도로 비틀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방열판(210)을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림 형성되어 상기 컨벡터(1000) 내부 대류의 흐름이 원활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핀(220)이 비틀림 형성되면 대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유도시키기 때문에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도 일정 이상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상기 방열판(200)을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방열판(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00)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상기 방열판(20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상기 방열판(200)이 발산하는 열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방열판(200)은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서 별도의 거치대에 거치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00)의 어느 한 면에 거치대가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방열판(200)이 거치되며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하우징(300)은 전면의 상측 및 하측에서 상면 및 하면이 연장 형성되는 전면 하우징(310), 상기 상면 및 하면에 접하며 체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를 고정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는 후면 하우징(320) 및 상기 전면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하우징(3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310)은, 상면 및 하면이 연장형성된 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데워진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에도 통풍구가 형성되어 더 많은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하우징(320)은 상기 고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400)는 일단이 상기 방열판(200)이 결합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를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타탄이 상기 후면 하우징(320)과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상기 방열판(200)이 거치될 수 있는 형태이면 상관없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발산하는 열에도 손상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상측을 고정하는 상측고정부(410)(400) 및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측을 고정하는 하측고정부(420)(400)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측면판에 열을 전도시킬 수 있는 효과 있다. 상기 상측고정부(410)(400)는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함몰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함몰부가 교차되며 상방 및 하방을 향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측 고정부(41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판에 복수개의 상측 고정부(410)가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부(420)는 U자로 절곡 형성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단을 거치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하나의 고정부(400)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외주면의 크기에 따른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단이 끼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끝단이 각각 상기 전원부(500)에 연결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를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측 고정부(420)와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측 끝단이 끼워진 후, 볼트조임 또는 고무부재 등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여 단단하게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하우징(330)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하우징(320)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감싸기 위한 것이며,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면의 양 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하우징(330)은 상기 전면 하우징(3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후면 하우징(320)에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전면 및 후면 하우징(320)에 각각 하나씩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00)의 조립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00)는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의 하측 끝단과 전기 접속하여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하우징(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벡터(1000)의 무게중심이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컨벡터(1000)가 전도 되지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원부(500)는 전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끝단을 연결한 전선이 상기 하우징(300) 외부로 배출되고 플러그 형태로 콘센트에 꼽아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500)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300) 하측에 상기 배터리가 위치되고, 상기 배터리로 전원을 고급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한 상기 컨벡터(1000)의 작동법을 설명하면, 상기 전원부(500)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에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하게 되면, 상기 관통부(211)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중앙 방열판(210)에 열이 전달되고 각각의 상기 방열핀(220)을 통해 방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하우징(310)의 하면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비틀림 형성된 상기 방열핀(220)에 의해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데워진 공기가 상기 전면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 온도를 데우는 난방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온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방열핀(220)을 꼬임 형성하여 컨벡터 내부의 대류를 상방으로 흐르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소음을 유발하는 별도의 팬을 구비하지 않아도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따뜻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지속으로 발생되는 대류로 인해 방열에 효과적이고, 장시간 사용에도 상기 방열판(200) 및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일정 이상 온도로 상승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컨벡터(100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를 U자로 절곡 형성하여 히터봉의 개수를 줄여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방열판(200)의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와 상기 방열판(200)이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를 통해 상기 후면 하우징(320)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 및 방열판(200)을 고정시킨 후 조립할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방열판(200)과 상기 카트리지 히터(100)가 매끄럽게 접촉되며 열을 전달하므로, 열손실 없이 상기 방열핀(220)을 통해 전반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방열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이며 방열효과가 상승된 난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원부(500)를 하부에 위치시켜 무게중심이 상기 컨벡터(10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실내에 구비하여 사용되는 난방장치에 있어서 전도 위험이 낮은 상기 컨벡터(10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컨벡터 100 : 카트리지 히터
200 : 방열판 210 : 중앙 방열판
211 : 관통부 220 : 방열핀
300 : 하우징 310 : 전면 하우징
320 : 후면 하우징 330 : 측면 하우징
400 : 고정부 410 : 상측고정부
420 : 하측고정부 500 : 전원부

Claims (10)

  1. U자형으로 형성되되, 절곡 형성된 부분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히터;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수직 배열되며 결합되되, 대류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방열판;
    상면 및 하면에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 및 상기 방열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카트리지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 하면 및 전면이 ㄷ자로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면에 상기 카트리지 히터 및 방열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되되,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 하면의 통풍구로 유입되어, 대류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상기 유도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통풍구로 배출되는 자연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서로 이웃한 카트리지 히터의 상측을 고정하는 상측고정부 및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외주면 크기와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하측 끝단이 상기 구멍에 삽입되며 거치되는 하측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카트리지 히터의 하측 끝단이 상기 전원부와 전기접촉 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카트리지 히터가 관통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중앙 방열판; 및
    상기 중앙 방열판에서 앞뒤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방열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은,
    일정 각도로 비틀림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은,
    상기 중앙 방열판의 앞측과 뒷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중앙 방열판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내측이 상기 카트리지 히터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정부는,
    일측이 갈고리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부로 형성되되, 각각 고정부의 갈고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히터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방열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대류형 컨벡터.
KR1020190142470A 2019-11-08 2019-11-08 자연대류형 컨벡터 KR102256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70A KR102256203B1 (ko) 2019-11-08 2019-11-08 자연대류형 컨벡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70A KR102256203B1 (ko) 2019-11-08 2019-11-08 자연대류형 컨벡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90A KR20210055990A (ko) 2021-05-18
KR102256203B1 true KR102256203B1 (ko) 2021-05-27

Family

ID=7613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70A KR102256203B1 (ko) 2019-11-08 2019-11-08 자연대류형 컨벡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2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972A (en) 1950-02-04 1953-07-28 Knapp Monarch Co Fin type radiator
WO2018166886A2 (de) * 2017-03-14 2018-09-20 Stiebel Eltron Gmbh & Co.Kg Elektrische konvektionsheiz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336A (en) * 1949-01-28 1952-03-25 Electromode Corp Explosion-proof heater
KR101129800B1 (ko) 2011-08-31 2012-03-27 최운규 컨벡터
KR101851949B1 (ko) * 2015-08-18 2018-04-25 주식회사 엠티티 실내 작물재배용 전기히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6972A (en) 1950-02-04 1953-07-28 Knapp Monarch Co Fin type radiator
WO2018166886A2 (de) * 2017-03-14 2018-09-20 Stiebel Eltron Gmbh & Co.Kg Elektrische konvektionsheiz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990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1743B2 (en) Electrical heater unit and heater
WO2010012142A1 (zh) 一种能使室内空气循环的辐射型电暖器
KR102256203B1 (ko) 자연대류형 컨벡터
US4304291A (en) Heat exchanger for a convector heater
US2256049A (en) Heater
CN202475823U (zh) 一种液冷散热的电磁加热线盘及电磁炉
KR102230541B1 (ko) 난방용 벽판넬
KR102246518B1 (ko) 허니콤 타입의 고전압 피티씨 히터모듈
CN204534777U (zh) 电暖器
CN108800287B (zh) 一种太阳能取暖器
US2976389A (en) Electric baseboard heating unit
US20200015322A1 (en) Infrared Heating Mechanism and Device
KR20100010404U (ko) 램프관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열교환 장치
CN104654429A (zh) 电暖器
CN213207983U (zh) 一种电磁采暖加湿二合一装置
CN215295093U (zh) 一种踢脚线电暖器
KR102669167B1 (ko) 전도열과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한 전기난로
KR200391217Y1 (ko) 전기방열판히터
CN212339371U (zh) 一种双重加热取暖加湿装置
CN209840400U (zh) 一种大功率通水型ptc加热管
KR20150032990A (ko) 차량용 히터
KR100833253B1 (ko) 개량된 오일 충전식 전기 히터
CN219761780U (zh) 一种ptc加热器散热结构
CN217635853U (zh) 一种电暖器
CN215601519U (zh) 一种相变散热装置及电磁感应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