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35B1 -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35B1
KR102255835B1 KR1020190014274A KR20190014274A KR102255835B1 KR 102255835 B1 KR102255835 B1 KR 102255835B1 KR 1020190014274 A KR1020190014274 A KR 1020190014274A KR 20190014274 A KR20190014274 A KR 20190014274A KR 102255835 B1 KR102255835 B1 KR 102255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cylindrical body
hot air
stir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033A (ko
Inventor
김순봉
Original Assignee
김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봉 filed Critical 김순봉
Priority to KR102019001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7/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량이 많은 젖은 음식물쓰레기 건조에 적합한 것으로 일차적으로 교반동작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오수를 하수관으로 탈수배출시켜서 불필요한 오수 건조시간을 줄이고, 고온 열풍을 상·하측 부분으로 동시 가열 건조 시키는데 이때, 상, 하부 배출구를 막아 이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 건조시간 및 향상된 에너지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건조기 미 작동시 해충 등의 출입을 차단하고, 또한, 상기 하부배출구 통로로 수거통입구막음판을 두어 건조된 쓰레기를 외부 수거통으로 투입을 쉽게 하였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Dryer for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가정·소형, 대형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 수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배출단계에서부터 신속하게 건조, 살균, 경량화시킴으로, 수거 처리시 그냥 방치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부패와 수거 쓰레기양을 줄여주어, 2차 환경오염(침출수로 인한 주변 오염, 부패로 인한 악취, 수거운반고충 등) 유발을 신속하게 조기 차단하며 자원 재활용을 높일 수 있는 용도 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 제731904호, 특허등록 제874164호, 실용신안등록 제440555호에서 고안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앞서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는 비교적 단순 구조이면서 제작 및 사용의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이익이 있었지만 대형 음식점, 집단 급식소 등 다량의 많은 음식물쓰레기 적체량에 따라 내부에 고인 오수가 많아져 증발 시간이 늘어나고, 적체된 음식물쓰레기 중간부위에는 고온 열풍의 도달이 매우 어려워 전반적 건조가 더디게 되고, 따라서 부패 되기 쉬운 온도와 습도가 장시간 진행되고, 그에 따른 상당량 장시간의 악취와 적체된 음식물쓰레기 중간 부분의 부분적 부패와 불완전한 건조가 발생 되어, 더 많은 건조시간이 요구되며, 과열에너지 소비가 발생 되었던 것이다. 즉, 건조 시간 등 건조 효율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한 점이 지적되어 왔고, 더욱이 농식품부 2017년10월 1일 시행, 남은 음식물쓰레기류 재활용시, 수분함량 14% 이하 여야하고, 100℃ 이상에서 30분 이상 가열 처리 등 관련법이 개정 고시됨에 따라, 고온에서도 안전하게 건조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성능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자의 상기 특허등록 제731904호, 특허등록 제874164호, 실용신안등록 제440555호로 고안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 건조 처리와 개정된 관련법에 필요한 적정 기준과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쓰레기 건조시간을 단축하려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조를 위하여 적용된 히터와 새로이 추가 적용되는 상, 하부배출구에 각각 상, 하부제어 막음판을 두어, 이들 모두 또는 각각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이고, 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오수 및 수분이 많이 함유하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음식물쓰레기에 많이 함유된 오수를 재빨리 미리 많이 외부로 탈수배출시켜서, 건조시간을 상당히 단축, 건조효율 및 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며, 더욱이, 양질의 남은 음식물쓰레기를 재빨리 건조시켜서 고품질의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자원을 생산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다량 함유된 오수를 가열 건조하기 전에 먼저 신속하게 하수구로 탈수배출시킨 후, 건조 진행을 유도하며,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배출시 이송을 손쉽게 할 수 있는 교반봉과 교반날개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본체와; 상기 원통형 본체 상부 일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로부터 상, 하부로 열풍 순환이 연결되는 제1순환통로 및 제2순환통로와 열풍 건조에 의해 발생한 악취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통로인 상부배출구를 포함한 덕트와; 상기 상부배출구에 악취 제거 탈취통을 교환, 청소시 탈, 부착할 수 있는 탈취통연결구와; 상기 원통형 본체 상부의 또 다른 일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상기 원통형 본체 내부 음식물쓰레기들의 부패균과 유해균들을 살균시키기 위한 자외선살균램프와; 상기 원통형 본체 내부의 온도, 압력,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두었으며; 그리고 상기 원통형 본체 하부 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지지하는 메쉬칸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칸 하부로 고온열풍이 제2순환통로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오수는, 상기 원통형 본체 내부에 포함된 교반 날개들의 작용으로 상기 메쉬칸을 통과, 하수관으로 신속하게 오수의 탈수배출이 이루어지고, 배출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 상기 메쉬칸 밑으로 고온 열풍의 내부 순환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원통형 본체 내부에서 계속되는 교반 날개 작동이 상기 원통형 본체 하부에서부터 내부 쪽 상측부로의 고온열풍 내부순환에 상당한 도움을 준다. 그러나 상기 메쉬칸에 찌꺼기 등이 끼이고, 건조 이물질이 막혀 하부 측 통풍순환의 기능을 저하 시킬 수 있으므로, 수시로 청소를 쉽게 하기 위하여 외부로의 착탈이 쉬워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메쉬칸을 보호하며 배치되는 하부배출구는; 음식물쓰레기 오수를 하수관으로의 배출 연결을 쉽게 시킴과 동시에, 상기 메쉬칸 밑으로 하부로의 열풍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연결시키고, 건조가 다 된 쓰레기를 외부로 수거 이송시에 수거통으로의 연결 등, 세 가지의 연결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배출구에는 음식물쓰레기 오수가 하수관으로 쉽게 배출되도록 하수관 연결호수와의 연결을 돕는 하수관연결구와; 상기 메쉬칸 밑으로 하부열풍순환을 연결하는 하부송풍연결구와; 건조가 다 된 쓰레기의 외부 이송시 수거통에 쉽게 담기 위하여 수거통입구막음판을 포함한다. 상기 수거통입구막음판은 건조가 다 된 쓰레기를 외부 수거통 투입시에만 열어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배출구와 탈취통연결구 사이에 별도의 상부제어 막음판을 두고; 하부 측에 오수 및 건조된 쓰레기를 배출하는 하부배출구와 하수관연결구 사이에도 별도의 하부제어 막음판을 두었으며; 더욱이 상기 송풍기로부터 연결된 덕트의 제1순환통로 및 제2순환통로에는 각각의 전열히터가 내부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감지센서의 정보를 통해서, 상기 두 개의 전열 히터와 상, 하부제어 막음판 모두를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투입 초기부터 쓰레기 오수를 빨리 먼저 외부배출 후, 재빨리 외부 찬 공기를 차단하여 내부 온도를 높이면서 열풍순환 건조가 이루어져, 외부로의 열풍 손실을 줄이고, 내부압력과 건조온도를 증가시켜 빠른 건조 효율을 신속하게 높이며, 안전하고 적절한 제어를 하면서 건조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내부의 장시간 작동시 고온, 고압력증가 위험 발생시, 상기 온도, 압력, 습도감지 센서에 의해 모두 또는 각각 선택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하여 위험을 예방, 방지시키도록 하였고, 상기 본체 외부 측면에 교반 모터와 제어부를 두어 제어 동작을 입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를 안전 투입구에 투입 후, 교반 작동을 통하여 처음부터 음식물쓰레기 오수와 함유된 수분을 상당량 미리 먼저 탈수 배출시킴으로, 건조기 내부에 많이 고이는 오수를 하부에 일부러 모아서 불필요하게 가열 건조 시키지 않고, 하부 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메쉬칸과 하부배출구를 통하여 하수관연결구로 오수를 충분히 신속 배출시켜준다. 따라서, 필요 이상의 전력소모와 열에너지의 낭비를 줄이게 되며, 그 다음 상, 하부제어 막음판을 모두 닫아놓고, 두 개의 전열히터와 송풍기, 교반동작을 작동 본격적인 건조를 진행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음식물쓰레기 투입 초기부터 빠르게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내부 압력과 온도를 급상승시키며, 이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계속 교반 시키고, 계속적으로 고온의 열풍을 신속하게 상·하부로 순환시켜, 젖은 음식물쓰레기에 골고루 뒤섞이게 하여, 상하 동시적으로 열풍 가열 건조가 골고루 이루게 한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장시간의 예열적 전력 낭비를 없애고, 외부로 빠져나가는 고온의 열풍 에너지 낭비를 줄여주게 된다. 더욱이 복합감지 센서를 통해서, 미리 설정시킨 내부의 온도, 압력, 습도를 판단하여 음식물쓰레기 건조를 진행시키게 되는데, 건조 작동시 내부의 고온, 고압의 위험으로부터 상기 내장된 두 개의 전열히터와 상, 하부제어 막음판들을 모두 또는 각각 제어하여 위험을 예방, 방지시키므로 전반적 건조기의 사용안전과 건조 효율이 더욱 편리하고 향상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하부배출구를 통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오수를 하수구로의 배출시키는 통로와, 상기 메쉬칸 밑으로 열풍 하부연결통로와,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의 외부이송 수거 통로 등, 세 가지 기능연결용으로 사용되는데, 복잡한 설치구조를 단순화시켜 건조기의 제작과 관리에 유리하며, 특히,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기능을 이용, 외부로 이송시, 수거통에 투입을 쉽게 하고, 건조기 미 작동시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들을 모두 닫아, 각종의 해충 출입을 차단 시키고, 상부 측 내부에 설치된 자외선살균램프를 작동시켜, 내부의 부패균과 유해균들을 미리미리 사멸시킴으로 악취와 주변 오염 발생을 줄이게 하며, 양질의 남은 음식물쓰레기의 부패를 최대한 신속히 줄여 양질의 자원을 생산하여 자원재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의 구성도
도 2는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적용된 덕트의 상세도
도 4는 도 1과 도 2에 적용된 하부배출구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제어 순서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작용, 효과는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 적용된 덕트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1과 도 2에 적용된 하부배출구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는 부호 100으로 표시된다. 도 1과 도 2 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는 각각 별도로 제공되는 좌, 우측 판(1,2)과, 각종 스위치가 배치되는 제어부(5)와 교반 모터(6)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는 원통형 본체(11)와 연통 되어 배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안전투입구(7)와 상기 원통형 본체(11)상부 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온도, 압력, 습도를 감지하는 복합감지센서(8) 및 부패균 및 유해균들을 사멸시키는 자외선살균램프(15)와 많은 양의 적체된 음식물쓰레기 속에 함유된 오수를 미리 먼저 분리 탈수 배출시키고, 고온 열풍을 골고루 내부순환 송풍시키며,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 외부수거를 용이하게 하는 교반봉(12)과 다수의 교반 날개(13)들과, 상기 원통형 본체(11) 상부의 다른 일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송풍기(16), 그리고 상기 송풍기(16)에 배치되는 덕트(21), 상기 덕트(21)는 세 개의 통로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의 통로는 수증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상부배출구(17)로서, 상기 상부배출구(17)에는 악취 제거를 위한 탈취통(18)과, 상기 악취제거 탈취통(18)의 청소 및 교환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한 탈취통연결구(19)가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부배출구(17)와 탈취통연결구(19) 사이에는, 상부제어 막음판(20)이 있다. 그리고 나머지 두 개의 통로는 열풍 공기를 상기 원통형 본체(11)의 내부로 열풍을 순환시키기 위한 상부 제1순환통로(23)와 하부 제2순환통로(24)를 갖는다. 또한, 상부 제1순환통로(23)에 배치되는 전열히터(23a)와 하부 제2순환통로(24)에 배치되는 전열히터(24a)로 이루어지며, 제1순환통로(23)는 상기 원통형 본체(11) 상부 측에서 하부 측 내부공간으로 열풍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상부 중앙으로 연장시키고, 제2순환통로(24)는 상기 원통형 본체(11)하부 측에서 상부 측 내부 공간으로 열풍 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부로 연장, 유인시켜주는 하부송풍연결관(30)과 하부송풍연결구(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원통형 본체(11) 하부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지지하는 메쉬칸(25)이 있는데, 상기 메쉬칸(25)은 음식물쓰레기에 다량 함유된 오수를 분리배출, 하수관연결호수(34)로 신속히 흘려보내며,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로의 열풍 순환통로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쉬칸을 보호하며 배치되는 하부배출구(26)가 있는데, 상기 하부배출구(26)는 특히 세 가지의 기능연결용으로, 그중 첫 번째는 오수가 빠져나가는 하수관연결호수(34)와의 연결을 쉽게 돕는 하수관연결구(27)와, 두 번째는 상기 하부송풍연결관(30)이 상기 메쉬칸(25) 밑으로 연결되어 하부 열풍순환 유인 연결을 돕는 하부송풍연결구(35)와, 세 번째는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수거통 연결투입을 돕는 수거통입구막음판(33)이 모두 포함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배출구(26)는 음식물쓰레기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통로와, 하부 열풍순환 연결통로와,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의 외부이송 수거 통로 등, 즉, 세 개의 통로 모두가 상기 하부배출구(26)에 모여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배출구(26)와 하수관연결구(27) 사이에도 하부제어 막음판(20a)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의 외부 수거통 투입이송시, 상기 하부송풍연결구(35)와 상기 하부제어 막음판(20a)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수거통입구막음판(33)만을 열어서 반출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5)는 상기 온도, 압력, 습도를 복합감지센서(8)로 감지하여,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과, 전열히터(23a, 24a)를 모두 또는 각각 효율적으로 제어하는데, 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여 보면,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 설치 장소의 위험도가 있어도 무방한 설치장소와 다른 하나는 위험도가 있으면 안 되는 설치 장소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건조 제어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로 위험도가 있어도 무방한 장소에서의 제어 방법은, 대부분 상당량의 오수가 함유된 음식물쓰레기가 건조기(100)로 투입되면서부터, 상부제어 막음판(20)은 닫고, 하부제어 막음판(20a)은 열린 상태에서, 교반 작동이 진행되고, 10분 정도 오수를 상기 하부배출구(26)의 하수관연결구(27)로 탈수배출시킨 후, 다시,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 모두를 닫아놓고, 상기 송풍기(16)와 두 개의 전열 히터(23a, 24a)를 작동, 이때,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 온도가 45℃에 이르기 시작하면서부터, 상기 하부제어 막음판(20a)은 닫아놓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제어 막음판(20)만 열어 주어, 탈취통(18)으로 악취 제거 및 외부로 수증기를 보내면서, 상기 두 개의 전열히터(23a, 24a)를 적절히 제어,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 온도를 60~70℃로 유지시키면서 건조 진행 후, 상기 원통형 본체(11)내부 습도가 14% 이내가 되면,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 온도를 100℃ 이상으로 30분 유지시킨 후, 두 개의 전열히터(23a, 24a)와 교반, 송풍기 작동을 모두 정지시킨다. 다만, 도중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어 오수가 새로이 발생되면, 상기 하부제어 막음판(20a)을 열어서 5분간 오수 방출 후 닫고, 다시 상기 제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였고, 다음 두 번째 위험도가 있으면 안 되는 장소에서의 제어 방법은, 먼저 1시간 단위로 작동 시간을 음식물쓰레기의 투입량으로 임의 산정 입력 후, 음식물쓰레기 투입 후, 10분 동안 오수 배출한 상태에서,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을 모두 닫고, 상기 첫 번째 방법과 마찬가지로 내부 온도가 45℃가 되면 상기 상부제어 막음판(20)만을 열어서, 악취 및 수증기를 탈취통(18)으로 배출시키며, 이후 60~70℃로 원통형 본체 내부온도를 유지시키면서 건조를 진행, 입력시간 종료시까지 건조 작동되는데, 도중 새로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제어 막음판(20a)만 열어 5분간 오수 방출 후, 다시 하부제어 막음판(20a)을 닫고 나머지 입력시간 종료시까지 건조작동 완료한다. 이때, 자외선살균램프(15)와 미리 설정된 시간은 변함없이 계속해서 작동된다. 당연히 두 번째 제어 방법으로 수거 이송된 쓰레기 건조물은 제2차 공정에서 수분 함수율 14% 이하이며, 100℃에 30분 가열 조건을 재차 모두 통과한 후에, 자원 재활용 용도로 이용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외부 찬 공기의 출입을 조기 차단시키고, 또한,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의 온도, 습도가 설정 목표에 도달하면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의 작동을 종료시키는 등 일련의 제어작동으로, 소비 전력낭비를 줄여주고, 제어부는 고온, 고압이 설정 최고보다 높은 위험 수준에 이르면 상, 하부제어 막음판을 모두 열어놓거나, 전열히터의 작동을 강제정지시키되, 상기 송풍기는 이에 상관없이 계속 작동하며, 다시 정상 범위 내에 도달되면 재가동 되게 하는 등, 이러한 모든 제어 동작은 고온, 고압의 위험을 미리 예방, 방지시키게 하고, 더욱이, 상기 교반봉(12)과 교반 날개(13)들의 계속적 교반 작동은, 상기 하부배출구(26)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를 음식물쓰레기 투입 초기부터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에 담아 불필요하게 담아둔 오수까지 건조 시키지 않게 하고, 상기 메쉬칸(25)과 상기 하부배출구(26)와 하수관연결구(27)를 통해, 상기 원통형 본체(11) 외부로 상당량의 오수를 신속히 분리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으로의 제어전달은 상, 하부제어 전달막대(32, 32a)로 의해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을 모두 닫은 상태에서의 건조 진행은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로의 찬 공기의 유입을 초기부터 철저히 차단시키며, 상기 송풍기(16)와 상기 제1순환통로(23)에 의해 순환되는 고온 열풍을 상부에서 하부로 유인시키고, 이때, 고온 열풍이 교반 동작으로 음식물쓰레기에 상부에서 하부로 골고루 전달시키게 되고, 상기 제2순환통로(24)의 하부송풍연결관(30)과 하부송풍연결구(35)를 통해 상기 메쉬칸(25) 하부로 연장되어온 고온 열풍 또한, 교반 작용과 송풍기(16)의 내부 열풍공기흡입 순환 작용으로 상기 메쉬칸(25)을 통과해서 상기 원통형 본체(11) 하부의 내부로 유인시킨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오수 및 수분이 많이 함유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원통형 본체(11) 하부로의 고온 열풍순환이 강조되는바, 고온 열풍이 닿기 어려운 음식물쓰레기 하부측 부분에도 고온 열풍을 골고루 전달시키면서, 상, 하부에 동시 가열 건조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 초기 작동부터 내부 열에너지의 손실을 줄이면서 내부 건조 온도를 빠르게 높이기 위한 등의, 이러한 모든 동작은 예열적 전력낭비와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의 건조 작동에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전력낭비를 줄이고,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의 외부로 불필요하게 많은 열에너지가 방출되는 손실을 최대한 줄이며, 그에 따라, 건조시간이 상당히 많이 단축되니, 음식물쓰레기의 전체적인 건조 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더욱이,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은 음식물쓰레기 건조기(100) 미 작동시 해충 등의 출입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본체(11)하부 외부 표면에 정면으로 연통하여 배치되는 메쉬칸출입개방구(3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메쉬칸(25)이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기타의 찌꺼기, 이물질 등이 끼인 상태에서 건조되어 상기 메쉬칸(25)의 통기 구멍의 막힘의 발생으로, 상기 메쉬칸(25)으로의 오수 배출과 고온 열풍의 하부순환 통기성 기능이 상당히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쉬칸(25)에 끼인 찌꺼기들을 수시로 자주 제거 청소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메쉬칸(25)의 착탈을 쉽게 돕고, 상기 메쉬칸(25)의 원활한 출입을 위하여 가드레일(미 도시)이 포함되어 있다.
1. 좌측판 2. 우측판 5. 제어부
6. 교반모터 7. 음식물쓰레기 안전투입구 8. 온도, 습도 감지센서
11. 원통형 본체 12. 교반봉 13. 교반 날개 15. 자외선살균램프
16. 송풍기 17. 상부배출구 18. 탈취통 19. 탈취통연결구
20. 상부제어 막음판 20a. 하부제어 막음판 23. 제1순환통로
24. 제2순환통로 23a. 제1순환통로에 배치된 전열히터 21. 덕트
24a. 제2순환통로에 배치된 전열히터 25. 메쉬칸 26. 하부배출구
27. 하수관연결구 30. 하부송풍연결관 31. 메쉬칸출입개방구
32. 상부제어 전달막대 32a. 하부제어 전달막대 33. 수거통입구막음판
34. 하수관연결호수 35. 하부송풍연결구 100.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laims (3)

  1. 삭제
  2.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교반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반모터(6) 및 원통형 본체(11)와; 상기 원통형 본체는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시키는 교반봉(12)과 다수의 교반 날개(13)들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본체(11)의 상부 일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송풍기(16)와; 상기 송풍기에 연통하여 설치되며 세 개의 통로를 갖는 덕트(21)와; 상기 덕트의 두 개 통로는 상기 원통형 본체(11) 상부로 유인 내부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고온열풍을 순환시키는 제1순환통로(23) 및 상기 원통형 본체 하부로 고온열풍을 연장 유입시키는 제2순환통로(24)이고, 나머지 한 개는 악취를 포함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부배출구(17)이며, 상기 상부배출구에는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통(18)과; 탈취통 연결을 돕는 탈취통연결구(19)와; 상기 탈취통연결구와 상기 상부배출구 사이에 있는 상부제어 막음판(20)과; 상기 제1순환통로 및 제2순환통로에 각각 장착되는 전열히터(23a, 24a)와; 상기 원통형 본체 상부 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부패균과 유해균을 사멸시키는 자외선살균램프(15)와; 온도, 압력,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8)와; 상기 원통형 본체(11) 하부 측에 연통하여 배치되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지지하는 내부 메쉬칸(25)과; 상기 메쉬칸을 보호하며 배치되는 하부배출구(26)와; 상기 메쉬칸(25) 밑으로 고온열풍이 하부로 순환되도록 상기 제2순환통로를 하부로 연장시키는 하부송풍연결관(30)과; 상기 하부배출구(26)에 연통하여 배치된 상기 원통형 본체(11) 내부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의 고온열풍 순환을 돕는 하부송풍연결구(35)와; 투입된 젖은 음식물쓰레기 오수를 하수관연결호수로의 배출 연결을 돕는 하수관연결구(27)와; 상기 하부배출구(26)와 상기 하수관연결구(27) 사이에 있는 하부제어 막음판(20a)과; 건조가 다 된 음식물쓰레기를 외부 수거통에 담을 때만 열어서 사용하는 수거통입구막음판(33)과; 상기 두 개의 전열히터의 동작 제어와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들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에 최초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하부제어 막음판(20a)만을 열어서 설정된 시간내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오수의 탈수배출을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시키고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을 모두 닫은 후, 열풍건조를 진행하게 되는데, 설정된 온도와 습도, 압력 등 상기 감지센서(8)로 부터 감지된 정보에 따라 상기 상, 하부제어 막음판(20, 20a)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를 제어하며,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미 작동시 상, 하부제어 막음판들을 모두 닫아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내부로의 해충 등의 출입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출구(26)는: 세 가지의 기능연결용으로, 그중 첫 번째는 음식물쓰레기의 함유된 오수를 교반동작으로 탈수, 하수관연결호수(34)와의 연결을 쉽게 돕는 하수관연결구(27)로 하수 배출시키는 기능과, 두 번째는 제2순환통로를 하부로 연장 시킨 상기 하부송풍연결관(30)에 연결되어, 상기 메쉬칸(25) 밑으로 하부 고온열풍 유인 연결순환을 돕는 하부송풍연결구(35)의 하부 열풍순환 연결통로 기능과, 세 번째는 상기 수거통입구막음판(33)을 열어서 교반봉과 교반날개들의 교반동작으로 건조가 다 된 쓰레기를 수거통에 손쉽게 전량 투입할 수 있는 기능 등 모두가 상기 하부배출구에 연통하여 포함배치 되어있어, 상기 하부배출구를 통해서 각기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20190014274A 2019-02-07 2019-02-07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2255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74A KR102255835B1 (ko) 2019-02-07 2019-02-07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74A KR102255835B1 (ko) 2019-02-07 2019-02-07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33A KR20200097033A (ko) 2020-08-18
KR102255835B1 true KR102255835B1 (ko) 2021-05-25

Family

ID=7226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74A KR102255835B1 (ko) 2019-02-07 2019-02-07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71B1 (ko) 2021-10-01 2022-07-08 주식회사리션 악취제거 및 살균수의 융복합 건조시스템
KR2023007660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인큐스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KR102642031B1 (ko) 2022-11-07 2024-02-29 한세희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41155A1 (pl) * 2022-05-12 2023-11-13 Krzysztof Antosiak Suszarni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25Y1 (ko) * 2002-06-17 2002-09-11 (주)삼화엔지니어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8423Y1 (ko) * 2004-05-20 2004-08-07 영 신 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31904B1 (ko) * 2006-08-30 2007-06-28 김순봉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033A (ko) * 1998-03-05 1999-10-05 구자홍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20000004805U (ko) * 1998-08-17 2000-03-15 이명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24838A (ko) * 2008-08-26 2010-03-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525Y1 (ko) * 2002-06-17 2002-09-11 (주)삼화엔지니어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8423Y1 (ko) * 2004-05-20 2004-08-07 영 신 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31904B1 (ko) * 2006-08-30 2007-06-28 김순봉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71B1 (ko) 2021-10-01 2022-07-08 주식회사리션 악취제거 및 살균수의 융복합 건조시스템
KR2023007660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인큐스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KR102623935B1 (ko) * 2021-11-24 2024-01-11 주식회사 인큐스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KR102642031B1 (ko) 2022-11-07 2024-02-29 한세희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33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835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N111405948B (zh) 食物垃圾处理装置
KR20130029124A (ko) 건조 감용 처리 장치
KR2009006578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81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986477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20160034469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467775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098761A (ko) 증발응축방식의 함수쓰레기 탈취건조처리기
KR100885908B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장치
KR200173892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101064292B1 (ko) 음식물처리기의 멸균 건조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697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0181273B1 (ko) 가정용 소형 폐기물 건조기
KR10094717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필터유니트
KR100558255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9667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013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85040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열풍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