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435B1 - Diy 싸인보드 - Google Patents

Diy 싸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435B1
KR102255435B1 KR1020200184243A KR20200184243A KR102255435B1 KR 102255435 B1 KR102255435 B1 KR 102255435B1 KR 1020200184243 A KR1020200184243 A KR 1020200184243A KR 20200184243 A KR20200184243 A KR 20200184243A KR 102255435 B1 KR102255435 B1 KR 10225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coupling portion
cover
di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강지원
Original Assignee
이지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그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4Information to display
    • G09F2013/1863Layer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Y 싸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투광패널 및 발광유닛을 구비하되, 측면 조사 타입으로 상기 투광패널에 형성되는 문양부를 발광시키되,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더 구비함에 따라 조립편의성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직접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DIY 싸인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IY 싸인보드{DIY SIGNBOARD}
본 발명은 DIY 싸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투광패널 및 발광유닛을 구비하되, 측면 조사 타입으로 상기 투광패널에 형성되는 문양부를 발광시키되,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더 구비함에 따라 조립편의성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직접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DIY 싸인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업이나 제조업을 경형하는 회사의 측면에서는 자신의 상호나 제품에 대하여 제품의 우수성과 우수한 제품을 만드는 업체라는 것을 광고 선전을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이미지광고 또한 다양하게 이와 같이 광고 선전의 방법은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특히 조명수단을 이용한 방법에는 간판이나 전광판 및 싸인보드 등이 대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용 간판의 경우에는 고정 틀 내부에 설치되는 형광등 또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등의 조명수단을 이용하여 도형 된 글자나 형상을 밝혀주고, 싸인보드의 경우에는 고정 틀 내부에 설치되는 엘이디(LED)가 고정 배치된 발광수단을 이용하여 도형 된 광고 문안을 밝혀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5268호 『풀 컬러 싸인 보드의 패널구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1은 후레임 내부에 안착된 발광수단에서 발광되는 빛의 중첩으로 인해 광고문안이 도형된 패널 하단부에 형성되는 그림자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조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풀 컬러 싸인보드의 패널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조사된 빛을 확산시켜 외부로 발산하는 메인패널과, 상기 메인패널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패널과, 상기 메인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되, 내부에 발광수단이 안착된 후레임을 갖춘 풀 컬러 싸인보드에 있어서, 사익 서브패널과 상기 발광수단사이에는 그 발광수단으로부터 투광되는 빛의 그림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부가 형성된 패널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은 단순히 글씨 또는 배경에 빛을 발산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키는 싸인보드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에서 빛을 발산함에 따라 빛의 세기가 약하고, 단순히 시트지를 붙여 빛을 가려 부각시키는 방법으로, 온도차, 습기차이로 외부 시트지가 벗겨질 우려가 있으며, 제품 완성도를 위하여 전문가가 사전에 제작한 후 이를 설치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95901호 『원목 싸인 보드』(이하 '종래기술2'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2는 천연 목판으로 된 싸인 보드에서 나무결 방향의 양측부에 홈으로 형성된 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에 휨 및 균열을 방지하는 프레임을 고정되게 장착 결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싸인 보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원목을 이용함에 따라 자유로운 도형, 그림 등과 같은 문양을 나타내기 어렵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3637호 『풀 컬러 엘이디를 이용한 싸인보드』(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등록특허 제10-0787552호 『직시형 컬러 발광 프레임을 갖는 광고용 싸인보드』(이하 '종래기술4'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3은 적색, 녹색, 청색,의 3원색의 엘이디램프를 조함한 원칩 형태의 엘이디부를 4개로 구성한 발광부를 싸인보드에 장착하고, 플래시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색상 및 출력 패턴을 제작하여 컨버터에 로딩시켜 제어부에 의해 색상 및 출력 패턴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하는 풀 컬러 엘이디를 이용한 싸인보드를 제시하고
상기 종래기술4는 투광판의 배면에 보다 축소폭을 갖는 광고지와 도광판을 형성하고, 투광판의 배면에는 틀체로 된 투광프레임을 부착 형성하며, 그 투광프레임의 배면에는 다양한 색상으로 된 컬러인쇄부를 형성하고, 투광프레임의 내측단과 도광판의 외측단 사이에는 양방향으로 엘이디를 갖는 발광수단을 내장한 직시형 컬러 발광 프레임을 갖는 광고용 싸인보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 및 4는 단순히 색상을 달리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싸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색상의 다양화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며, 다른 광고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들은 제품의 완성도를 위하여 제작자 또는 전문가가 직접 조립 및 설치해야 함에 따라, 인건비, 출장비 등을 포함하여, 제품 단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작업 공정의 복잡화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의 난이도 또한 높아지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빛을 발산하는 LED 등의 발광유닛에 있어, 백색 LED와 RGB LED의 PCB 폭에 따라 제품을 따로 제작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투광패널, 상기 투광패널에 측면 조사 방식으로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통하여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DIY 싸인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에 누광방지부재를 더 도입하여 발광유닛 반대쪽으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이고,
상기 커버는 프레임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하고 유지보수 시 이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DIY 싸인보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레임에 폭확장부를 더 도입함에 따라 백색 LED 및 RGB LED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상기 투광패널의 측면에 발광부재가 정위치하여 제품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DIY 싸인보드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되, 문양부가 형성되는 투광패널;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패널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PCB와 발광부재로 이루어지는 발광유닛;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투광패널, 투광패널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프레임에 손쉽게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직접 각각의 부품을 조립할 수 있어, 택배나 퀵 등을 이용하여 배송된 후 사용자가 DIY(Do It Yourself) 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조립식 제품으로 인하여 각종 추가비용, 즉 인건비나 설치비 등의 절감효과가 있으며, 조립식 제품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품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투광패널은 특수 코팅을 하여 투명도를 유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내오염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 원터치로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도록 고안됨으로서, 제품 조립 및 설치, 더 나아가 유지보수 시에도 손쉽게 본체를 분리할 수 있으며,
투광패널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상호나 문구 변경이 용이하고,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폭확장부를 더 도입하여 PCB의 폭이 다른 백색 LED 와 RGB LED를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기존의 LED 색상에 따라 프레임을 따로 제작해야 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분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프레임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커버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프레임과 커버의 결합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발광유닛의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측단면도
도 9 및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실시도
도 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DIY 싸인보드(SB)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는 투광패널(20)과 발광유닛(30)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4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4개의 프레임분체(11)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나, 조립 편의성 및 생산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따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어 하나의 사각 프레임(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개의 프레임분체(11)는 모두 동일한 형상(구비되는 위치, 즉 가로 및 세로의 위치에 따라 서로 길이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40)가 구비되는 방향을 후면, 그 반대방향을 전면이라 지칭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져 조립 완료 후, 상기 투광패널(20)의 테두리 부분을 깔끔하게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수용부(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브라켓(13)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라켓수용부(12)의 후면에는 상기 브라켓수용부(12)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1)가 구비되게 된다.
다시 상기 고정브라켓(13)은 4개의 프레임분체(1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각 코너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분체(11)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사선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13)은 인접하는 두 프레임분체(11)를 고정하면서, 사각의 틀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직각을 이루는 강성재질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13)은 상기 브라켓수용부(12)에 측방향에서 끼워지는 부재로, 조립 시, 사용자가 4개의 프레임분체(11)에 고정브라켓(13) 4개를 각 코너에 결속한 후, 각각의 프레임분체(11)를 서로 인접할 수 있게 힘을 가하여 조립하면 구조상 어느 하나의 프레임분체(11)만 임의로 분리될 수 없게 되어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3)에는 무두볼트(131)(일반 볼트도 사용이 가능하다.)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수용부(12)의 저면에 밀착됨에 따라 고정브라켓(13)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무두볼트(131)는 상기 고정브라켓(13)을 관통하여 브라켓수용부(12)의 저면에 밀착되며, 무두볼트(131)를 조이면 상기 고정브라켓(13)의 후면을 지지하는 상기 이탈방지부(121)에 의해 고정브라켓(13)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고, 무두볼트(131)가 브라켓수용부(12)의 저면으로 가압됨에 따라 고정브라켓(13)을 프레임분체(11)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수용부(12)의 안쪽(투광패널(20)이 구비되는 방향을 의미한다.)에는 발광유닛(30)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4)가 일종의 외벽과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부(14)는 상기 브라켓수용부(12)를 형성하는 벽과 후술하는 제2결합부(19)로 인해 형성되는 벽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 내측,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프레임분체(11)의 가장 안쪽에는 수평방향으로 평탄한 패널안착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패널안착부(16)에 투광패널(20)의 테두리부분이 안착되어 조립되게 된다.
이 때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패널안착부(16)에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투광패널(20)에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문양, 문구, 도안 등의 문양부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투광패널(20)의 외면에 특수 기능성 코팅처리를 하여 내스크래치성, 방오성, 방염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다시 상기 투광패널(20)의 테두리부분이 상기 패널안착부(16)에 안착되면 벽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14)가 상기 투광패널(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밖에 없으며, 이 고정부(14)에 발광유닛(30)이 고정되어 빛을 투광패널(20)의 측면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측광조사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발광유닛(30)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부재(31)와, 상기 발광부재(31)에 구비되는 PCB(33)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백색 LED와 RGB LED는 발광 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PCB(33) 또는 PCB(33)와 발광부재(31)의 폭이 차이가 있으며, 실제 백색 LED의 PCB(33)의 폭은 5mm 이고, RGB LED의 PCB(33)의 폭은 8mm로, 종래에는 LED의 종류에 따라 고정부(14)의 폭이 달라지도록 프레임(10)을 나누어 제작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14)에 폭확장부(15)를 더 구비하여 백색 LED 및 RGB LED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확장부(15)는 상기 도7을 기준으로 고정부(14) 인근에 형성된 홈으로 상기 투광패널(20)이 안착되는 패널안착부(16)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도7[A]와 같이 백색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광패널(20) 측면에 발광부재(31)가 정위치 되도록 PCB(33)의 일부가 폭확장부(15)에 인입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도7[B]와 같이 RGB 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폭확장부(15)에 PCB(33)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고정하여 백색 LED와 동일하게 발광부재(31)(LED CHIP)의 위치가 투광패널(20)의 측면에 정위치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2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광패널(20)의 측면에는 누광방지부재(21)를 더 구비하여 발광유닛(3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투광패널(20)의 측면으로 조사된 후, 반대쪽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누광방지부재(21)의 위치는 상기 발광유닛(3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방향 반대쪽 위치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양면테이프 등의 별도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투광패널(20)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누광방지부재(21)는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암막시트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누광방지부재(21)는 상기 발광유닛(30)에 의해 빛이 조사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유닛(30)이 구비되면, 상기 발광유닛(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331)이 필수적으로 구비되게 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케이블(331)이 관통되는 별도의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이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당업자가 쉽게 유추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에 발광유닛(30) 및 투광패널(20)이 구비되면 상기 발광유닛(30)과 투광패널(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4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40)는 각각의 프레임분체(11)에 대응되도록 4개의 커버분체(41)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40)는 상기 프레임(10)에 원터치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으로 유지보수 시에도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상기 프레임(1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8)와 제2결합부(19)가 형성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에는 상기 제1결합부(18) 및 제2결합부(19)에 각각 결합되는 제1대응결합부(48) 및 제2대응결합부(49)가 구비되어, 도6과 같이 상기 커버(40)가 상기 프레임(10)에 원터치로 탈착 결합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는 외측에 제1결합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8)로부터 이격된 내측에 제2결합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9)의 일면이 상기 발광유닛(30)이 고정되는 고정부(14)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제1결합부(18)는 상기 프레임(10) 후단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제1기둥부(181)와, 상기 제1기둥부(181) 단부에 구비되는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헤드부(182)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제1대응결합부(48)가 결합 및 회전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19)는 상기 제1결합부(18)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후면으로 돌출된 제2기둥부(191)와 상기 제2기둥부(191)로부터 상기 제1결합부(18)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192)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192)의 상단은 상기 걸림부(192)의 끝 부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부(19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18) 및 제2결합부(19)는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후술하는 제1대응결합부(48)와 제2대응결합부(49) 또한 상기 커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부(18)와 제2결합부(19)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도5는 상기 커버(4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커버(40)에는 상기 제1결합부(18)에 대응되도록 제1대응결합부(48)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대응결합부(48)는 상기 제1결합부(18)의 헤드부(182)가 안착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대응결합부(48)의 내측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481)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커버(40)가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었을 때, 커버(40)가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그 형상이 제1결합부(18)와 제1대응결합부(48)가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2대응결합부(49)는 상기 커버(40)로부터 돌출된 제3기둥부(491)와, 상기 제3기둥부(491)로부터 전방으로 내측으로 절곡된 대응걸림부(49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3기둥부(491)와 대응걸림부(492)는 둔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2결합부(19) 및 제2대응결합부(49) 또한 그 형상이 상호 바뀌어도 무관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8)과 제1대응결합부(48)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제1결합부(18)와 제1대응결합부(48)가 약간의 유격이 생기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이하, 도6을 참고하여 고정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은 커버(40)를 프레임(10)에 조립하는 순서대로 [A], [B], [C]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6[A]와 같이 상기 커버(40)를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서 상기 제1결합부(18)가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1대응결합부(48)에 안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상기 커버(40)의 내측을 눌러 상기 제1결합부(18) 및 제1대응결합부(48)를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192)의 외측에 대응걸림부(492)가 위치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부(192)의 후면부에 대응걸림부(492)의 전면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커버(40)를 외측으로 밀면, 제1결합부(18)와 제1대응결합부(48)의 유격에 의해 약간 밀리게 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192)와 대응걸림부(492)의 중첩폭이 0.1mm가 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조금만 힘을 가하여도 상기 대응걸림부(492)가 상기 걸림부(192)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더 힘을 가하여 도6[B]와 같이 상기 대응걸림부(492)의 단부가 상기 걸림부(192)의 단부를 통과하도록 한 후, 가압력을 제거하면 다시 상기 커버(40)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도6[C]와 같은 상태가 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걸림부(492)의 단부가 상기 걸림부(192)의 단부 전면부(도면상으로는 하단을 의미한다.)에 위치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걸림부(192)와 대응걸림부(492)의 중첩폭이 0.2mm가 되어 임의로 상기 커버(4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92) 상부에 형성되는 경사부(192a)에 의해 상기 대응걸림부(492)가 걸림부(192)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커버(40) 분리시에는 상기 대응걸림부(492)가 제3기둥부(491)로부터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손쉽게 걸림부(192)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 편의성을 높여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 후면에 차광부재(DS)를 더 도입하여 빛샘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4개의 프레임분체(11)를 상호 연결하며, 이에 대응하도록 4개의 커버(40)를 상호 조립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커버분체(41)와 커버분체(41) 사이로 간극이 생겨 빛이 새어나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커버분체(41)로 이루어지는 커버(40)의 각 코너에 접착식 차광부재(DS)를 더 구비하여 커버분체(41)와 커버분체(41) 사이의 틈새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면에 프레임(10)을 부착할 있도록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 전면에는 부착부재(VT)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부재(VT)는 바람직하게는 암,수로 이루어지는 밸크로테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마그넷, 테이프 등의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발광유닛(30)에 연결되는 케이블(331)은 잭(332) 바이 잭(332)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보조어댑터(SA)를 더 구비하였으며, 상기 보조어댑터(SA)는 메인전원과 연결되어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직접 전달할 수 도 있으나, 내부에 충전부를 도입하여 메인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메인전기 없이도 상기 발광유닛(3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어댑터(SA)에는 상기 케이블(331)의 잭(332)이 끼워지는 단자부(SA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단자부(SA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한 번에 복수개의 싸인보드(SB)에 빛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메인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메인케이블(MC)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보이지 않으나 상기 메인케이블(MC)이 결합되는 메인케이블(MC)단자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나아가 상기 보조어댑터(SA)에는 상기 발광유닛(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구비되고, 이 제어모듈은 상기 발광유닛(30)의 ON/OFF, 디밍(Dimming), 타이머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 기능이란, ON/OFF 시간 설정, 발광 유지시간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밍 기능이란 발광유닛(30)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으로, 단순 밝기 조절 뿐만 아니라, 특정 규칙에 따른 밝기 조절 등을 의미한다.
또한 RGB LED의 경우에는 색상 변경 규칙 등을 더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보조어댑터(SA)에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하여 원격으로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송수신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무선송수신부를 통하여 모바일기기에서 사용자가 원격으로 상기 제어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발광유닛(30)의 전원 ON/OFF, 디밍, 타이머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에는 제어모듈 제어를 위한 별도의 앱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부착부재(VT)의 또 다른 변형례로서 탈착결합블록(A)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착결합블록(A)은 상호 결합되는 제1블록(A1) 및 제2블록(A2)과 상기 제2블록(A2) 내에 구비되는 아이언볼(BB) 및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 각각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지는 푸쉬유닛(P)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손쉽게 록킹 및 해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하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11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간략하게는 상기 제1블록(A1)은 상기 프레임(10) 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삽입홈(A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A2)은 기둥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A12)에 결합되도록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블록(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블록(B)와 와이어(W)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블록(A2)에 형성된 볼이동부(A23)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으로부터 돌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푸쉬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타단에서 일단으로 복귀시키는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기둥은 건물의 유리 일측에 구비되는 기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탈착결합블록(A)은 상기 기둥에 상기 프레임(10)을 고정하는 타입일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둥의 일측에는 제2블록(A2)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 측면에 제1블록(A1)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상기 제1블록(A1)은 프레임(10) 측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돌출된 제1밀착부(A11)가 형성된 유사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록(A2)은 기둥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밀착부(A11) 내측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A21)가 형성된 유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의 밀착부와 제2블록(A2)의 제2밀착부(A21)가 서로 어긋나게 밀착되어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A1)의 제1밀착부(A11)에는 상기 제2밀착부(A21)와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홈(A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임홈에 후술하는 삽입블록(B)이 끼워져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의 상하방향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블록(A2)은 상기 제2밀착부(A21)에 앞서 언급한 삽입블록(B)이 삽임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이동부(A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이동부(A22) 외측에서 상기 삽입이동부(A22) 하부 방향으로 곡선형의 볼이동부(A23)가 형성되며, 이 볼이동부(A23)에 아이언볼(BB)이 내장되어 볼이동부(A2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삽입블록(B)은 상기 삽입홈(A12)에 내삽되는 삽입부(B1)와, 상기 삽입부(B1)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B2), 상기 수평부(B2) 타측에 상기 삽입부(B1)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된 수직부(B3)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시 흔들림 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블록(B)을 평행 이동하여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아이언볼(BB), 와이어(W) 및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볼이동부(A2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볼이동부(A23)와 상기 삽입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삽입블록(B)의 수직부(B3)는 탄성력이 없는 와이어(W)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은 상기 제2블록(A2)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아이언볼(B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단턱(A231)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블록(A2)에는 상기 와이어(W)가 걸쳐지는 도르래봉(D)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르래봉(D)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곡선부 내측이면서 상기 삽입이동부(A22)의 외측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일단(도11참조)에 위치하면 삽입이동부(A22)내에서 삽입블록(B)이 삽임홈(A12)으로부터 해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타단(도12참조)에 위치하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도르래와 같이 삽입블록(B)이 이동하여 삽입부(B1)가 제1블록(A1)의 삽입홈(A12)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삽입블록(B)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는 제2푸쉬바(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블록(A1)에는 상기 제1푸쉬바(P1)가 내삽되는 푸쉬홀(A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푸쉬홀(A13)은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A132)과, 상기 이동홀(A132)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홀(A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푸쉬바(P1)는 상기 이동홀(A132)에 내삽되는 푸쉬부(P11)와, 상기 푸쉬부(P11)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블록(A1)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손잡이부(P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쉬홀(A13)에는 제1탄성체(P3)가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P1)의 일측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이동홀(A132)의 타단은 상기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P1)는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부(P12)가 걸림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탄성체(P3)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P12)가 이동홀(A132)에 위치하도록 한 후 이를 놓으면 상기 제1탄성체(P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쉬부(P11)의 타단은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순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이동홀(A132)의 타측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과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동작하면 상기 제1푸쉬바(P1)의 타단이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는 아이언볼(BB)의 측면을 순간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움직이고, 이에 따라 삽입블록(B)이 이동하여 삽입홈(A12)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제2블록(A2)에는 제2푸쉬바(P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푸쉬바(P2)는 일측이 상기 제2블록(A2)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위치하고, 제2탄성체(P4)가 더 구비되어 있다.(상기 제2탄성체(P4)는 볼이동부(A23)에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언볼(BB)이 상기 제2푸쉬바(P2) 일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제2푸쉬바(P2)를 아이언볼(BB)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탄성체(P4)를 압축시킨 후, 놓으면 상기 제2푸쉬바(P2)가 복원되면서 아이언볼(BB)의 일면을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시켜 삽입블록(B)을 원위치 시키게 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분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결합 및 분리함에 있어,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를 동작함으로서 손쉽게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견고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결합안정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아이언볼(BB)은 볼이동부(A23)의 일단 및 타단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볼이동부(A23)의 일측에는 제1스토퍼(S1)가 구비되어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제2스토퍼(S2)를 구비하여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이언볼(BB)은 푸쉬유닛(P)의 타격을 통하여 제1스토퍼(S1) 및 제2스토퍼(S2)(이를 함께 스토퍼(S)라 한다.)를 통과해야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S)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압착되면서 아이언볼(BB)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 상부에는 마그넷(M)을 더 구비하여 자성을 통해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마그넷(M)은 볼이동부(A23) 타단에도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은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약하게 제한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이루어져 푸쉬유닛(P)의 타격에 의해 아이언볼(BB)이 움직이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DIY 싸인보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B : 싸인보드
10 : 프레임 11 : 프레임분체
12 : 브라켓수용부 121 : 이탈방지부
13 : 고정브라켓 131 : 무두볼트
14 : 고정부 15 : 폭확장부
16 : 패널안착부 18 : 제1결합부
181 : 제1기둥부 182 : 헤드부
19 : 제2결합부 191 : 제2기둥부
192 : 걸림부 192a : 경사부
20 : 투광패널 21 : 누광방지부재
30 : 발광유닛 31 : 발광부재
33 : PCB 331 : 케이블
332 : 잭
40 : 커버 41 : 커버분체
48 : 제1대응결합부 481 : 이탈방지돌기
49 : 제2대응결합부 491 : 제3기둥부
492 : 대응걸림부 DS : 차광부재
SA : 보조어댑터 SA1 : 단자부
MC : 메인케이블 VT : 부착부재

Claims (4)

  1.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되, 문양부가 형성되는 투광패널(2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패널(20)의 측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PCB(33)와 발광부재(31)로 이루어지는 발광유닛(30);
    상기 프레임(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결합부(18)와 상기 제1결합부(18)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결합부(19)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40)에는 상기 제1결합부(18) 및 제2결합부(19)에 각각 결합되는 제1대응결합부(48) 및 제2대응결합부(49)가 구비되되,
    상기 제2결합부(19)는 상기 제1결합부(18)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기둥부(191)와 상기 제2기둥부(191)로부터 제1결합부(18)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19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대응결합부(49)는 상기 커버(40)로부터 돌출된 제3기둥부(491)와, 상기 제3기둥부(491)로부터 전방 내측으로 절곡된 대응걸림부(49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18)가 상기 제1대응결합부(48)에 결합될 때, 유격이 생기도록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커버(40)를 프레임(10)에 가압하면 상기 유격에 의해 상기 커버(40)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대응걸림부(492)가 상기 걸림부(192)를 통과하여 상기 대응걸림부(492)의 단부가 상기 걸림부(192)에 걸려 커버(40)를 프레임(10)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싸인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패널(20)에는 누광방지부재(21)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발광유닛(3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상기 투광패널(20)의 측면으로 조사된 후, 반대쪽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싸인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복수의 프레임분체(11)를 상호 조립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40)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분체(11)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커버분체(41)로 이루어지되,
    인접하는 커버분체(41)들 사이의 간극을 차단하여 빛샘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40)의 각 코너에는 접착식 차광부재(DS)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싸인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발광유닛(30)이 구비되는 고정부(14)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14)에 폭확장부(15)가 더 구비되어
    상기 발광유닛(30)의 일부가 상기 폭확장부(15)에 인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발광유닛(30)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발광유닛(30)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부(14)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 싸인보드.
KR1020200184243A 2020-12-28 2020-12-28 Diy 싸인보드 KR10225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43A KR102255435B1 (ko) 2020-12-28 2020-12-28 Diy 싸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43A KR102255435B1 (ko) 2020-12-28 2020-12-28 Diy 싸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435B1 true KR102255435B1 (ko) 2021-05-24

Family

ID=7615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43A KR102255435B1 (ko) 2020-12-28 2020-12-28 Diy 싸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4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04U (ko) * 2013-07-05 2015-01-14 (주)마크스톤 엘이디가 내장된 인테리어 조명 패널
KR20150110916A (ko) * 2014-03-21 2015-10-05 주식회사 한영아이피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 사인
KR20160049105A (ko) * 2014-10-24 2016-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204U (ko) * 2013-07-05 2015-01-14 (주)마크스톤 엘이디가 내장된 인테리어 조명 패널
KR20150110916A (ko) * 2014-03-21 2015-10-05 주식회사 한영아이피 엘이디를 이용한 광고 사인
KR20160049105A (ko) * 2014-10-24 2016-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4706A (ko) 도광판에 면발광패턴층과 이미지패턴층이 형성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한 led조명기구
KR101101213B1 (ko) 전방 및 후방 측면에서 발광되는 면발광 광고장치
KR102255435B1 (ko) Diy 싸인보드
CN201689803U (zh) 一种按钮开关
KR101026881B1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CN205717034U (zh) 光学元件、光源模组和照明设备
KR20120118534A (ko) 측면 발광 광고장치
CN2919431Y (zh) 一种用于家用电器的双色铭牌指示装置
KR200490473Y1 (ko) 옥외 광고를 위한 채널간판장치
CN202064554U (zh) 墙角装饰线条灯
KR20200085622A (ko) 시선유도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KR20180103774A (ko) 조명 간판
CN201731341U (zh) 面板型led照明灯
CN104605676A (zh) 发光变换情境的相/画框
CN220436296U (zh) 灯光装置
CN2867506Y (zh) 一种用于家用电器的铭牌装置
CN108548134A (zh) 照明装置
CN204500128U (zh) 发光变换情境的相/画框
JP2001030698A (ja) 展示パネル装置
CN214619361U (zh) 一种模拟天空光照的灯具
KR101616818B1 (ko) 엘이디 조명 타일 및 그 조립체
CN201069105Y (zh) 一种led点光源阵列灯具
CN218864002U (zh) 一种灯光内饰组合结构
KR102235879B1 (ko) 광고용 면 발광 채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