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94B1 -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94B1
KR102254894B1 KR1020150000482A KR20150000482A KR102254894B1 KR 102254894 B1 KR102254894 B1 KR 102254894B1 KR 1020150000482 A KR1020150000482 A KR 1020150000482A KR 20150000482 A KR20150000482 A KR 20150000482A KR 102254894 B1 KR102254894 B1 KR 10225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ategories
content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4059A (en
Inventor
이상석
서두환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8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고, 획득한 음성을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외부 장치로부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수신한 후,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고, 배열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며, 배열된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erein the user obtains a voice,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obtained voice,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an external device, and retrieves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After receiv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s are classified by category, the classified categories are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y,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s are arranged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nd the arranged categories an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ain point is to display it.

Description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TV에서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arranging categories in an order convenient for a user by using a recognition search result in a smart TV.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어 음성 인식 검색이 가능하다. Recently, many users are using display devices such as smart TVs. The performance of the display device device is improved, and voice recognition search is possible.

그런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컨텐츠 음성 인식 검색 기능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생성한 음성이 카테고리의 구별 없이 모두 하나의 항목에 같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한 번에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음성 검색 결과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 위해서 스크롤을 많이 움직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when a user uses a content voice recognition search function, all voices generated by the user are displayed in one item without distinction of categories, 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ntent desired by the user at once. In addition, when there are many voice search resul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because the user has to move a lot of scrolls to find the desired search resul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쉽게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lassifies the speech recognition search results by category, and arranges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d use content, and a display device and control thereof. It aims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최근 검색한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y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a recent search and allowing a user to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사용 빈도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y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and allowing a user to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resul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획득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여 더욱 정확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capable of obtaining more accurate content search results by converting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identifying a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는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더욱 쉽게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y subdividing and classify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obtain the desired search result.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획득한 상기 음성을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명령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고,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며,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n interface module for obtaining a voice from a user; Generate a command based on the acquired voice, transmit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e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Classify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s by category, arrange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arrang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s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nd arrange the categories and the contents A controller that displays on the screen; And a display module that displays the category and the content on a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음성을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명령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는 단계; 및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obtaining a voice from a user;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acquired voice;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Classify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s by category; Arranging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Arrang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nd displaying the arranged categories and the contents on a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쉽게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ecause a user can easily select and use content by classifying the speech recognition search results by category and arranging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근 검색한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y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a recent search and allowing a user to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 빈도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ategorie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and a user can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result,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여 더욱 정확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accurate content search result can be obtained by converting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identifying a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더욱 쉽게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s subdivided and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obtain a search result desir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 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때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말을 하면 검색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에서 검색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편집에 의해 카테고리 순서를 조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근에 검색한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빈도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y one of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y one of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usable as a gam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tegory and a category when a display device searches for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earch result appears when a user spea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specific category is clicked on, content searched in the category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djusting the order of categories by user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recently sear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rrangement of categories in order of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is faithful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etc. Or, it can have an interface that is more convenient to us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computer with the support of wired or wireless Internet functions, and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s can be perform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a standardized general-purpose OS can be used.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Accordingly, in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applications can be freely added or deleted, for example, on a general-purpose OS kernel, various user-friendly functions can be performed.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 network TV, an HBBTV, a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be applied to a smart phone in some cases.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ctual meaning of the term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not a simple name of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를 포함한 전체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 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인 클라이언트(100)에 대응한다.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 해당하며,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이다.As shown in FIG. 1, the entire broadcasting system including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vider (CP) 10, a service provider (SP) 20, and It can be classified into a network provider (NP) 30 and an HNED 40. The HNED 40 corresponds to, for example, the client 100, which is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ent 100 corresponds to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is, for example, a network TV, a smart TV, or an IPTV.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er 10 produces and provides various types of content. 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provider 10 includes a terrestrial broadcaster, a cable system operator (SO) or a multiple system operator (MSO), a satellite broadcaster, and an Internet broadcast. Self (Internet broadcaster) and the like may be exemplified.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추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er 10 may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in addition to broadcast content.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20 may provide content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10 by forming a service package.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er 20 of FIG. 1 may package a first terrestrial broadcast, a second terrestrial broadcast, a cable MSO, a satellite broadcast, various Internet broadcasts, and applications, and provide them to a user.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er 20 may provide a service to the client 100 by using a unicast or multicast method. The un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1:1 between one sender and one receiv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nicast method, when a receiver requests data from a server, the server may transmit data to the receiver according to the request. The multicast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in a specific group. For example, the server may transmit data to a plurality of previously registered receivers at once. For such multicast registration, an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protocol or the like may be used.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network provider 30 may provide a network network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client 100. The client 100 may be provided with a service by establishing a Home Network End User (HNED).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As a means for protecting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system as described above, conditional access or content protection may be used. As an example for such limited reception or content protection, a method such as a cable card or a 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 (DCAS) may be used.

한편,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Meanwhile, the client 100 may also provide content through a network.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 conversely, the client 100 may become a content provider, and the content provider 10 may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client 100. When designed in this way,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interactive content service or data servi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의 다른 일 예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2, a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 audio output unit 185, a power supply unit 190, and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The broadcast reception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110, a demodulation unit 120,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Of course,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tuner 110 and the demodulation unit 120 so as not to includ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Conversely, the tuner 110 and the tuner 110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r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not to include the demodulation unit 120.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The tuner 110 selects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radio frequency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or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ll pre-stored channels. In addition,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110 may process both digital broadcast signals or analog broadcast signals.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110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tuner 1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method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multiple carriers according to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method.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uner 110 may sequentially select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RF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have.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The demodulation unit 120 receives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the ATSC method, the demodulation unit 120 performs, for example, 8-VSB (8-Vestigal Side Band)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Trellis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 Solomon Decoder, such as trellis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ading. Soloman decryp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gital IF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is DVB, the demodulator 120 performs, for example, 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COFDMA) demodulation. Also, the demodulator 120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To this end, the demodulator 120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a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Soloman decoding.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20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In this case,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ransport Stream (TS) in whic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nd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are multiplexed.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demodulation unit 120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method and the DVB method. That is,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n ATSC demodulation unit and a DVB demodulation unit.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fter performing demultiplexing, image/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70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s an audio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and the like by wire/wireless.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transmits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lso,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output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V input/output unit is a USB terminal,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component terminal, S-video terminal (analog), DVI so that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external devices can be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t may include a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Other electronic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set-top boxes and at least one of the aforementioned various terminals t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 an adjacent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70 or the storage unit 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to a wired network, and for connection to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Wi- 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communication standards may be use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In particular,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a selected user or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among other electronic devices.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network, the server and data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In addition,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content such as movies, advertisements, games, VODs, broadcast signals,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may be received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eive update information and an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It can also send data to the Internet or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open to the public through a network.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스코어를 저장하는 서버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executing a game application on a video display devic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may transmit or receive predetermined data from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over a networ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or receive predetermined data with a server that stores game scores.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70, or may store a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various platforms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4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에 있어서, 게임 컨트롤러로 사용된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게임 플레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unique information and game play information of a user terminal used as a game controller in providing a game application in a video display device.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for exampl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and ROM (EEPROM, etc.).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produce and provide a content file (movie file, still image file, music file, document file, application file,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o a user.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70,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power on/off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frared (IR) communication method. A control signal such as setting may be received and processed, or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nd a set value to the control unit 170.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70 or sens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 (not shown). Here,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tuner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to output signals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created and printed.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80 and may be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In addition,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may be audio output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Tuning)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an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network to download an application or an application list desired by a user in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tuner 110 to input a signal of a selected channe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hen, the video, audio, or data signal of the selected channel is processed. The control unit 170 enables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processed image or audio signal.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In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may be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camera or a camcorder, according to an external device image playback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an image signal or an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For example, a broadcast image input through the tuner 110, an external input image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 image input through a network interface unit, or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this cas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content to be played back. The content at this time may be content stor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received broadcast content, or external input content input from the outside. The content may b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image, an external input image, an audio file, a still image, a connected web screen, and a document fil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in rela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the hom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80 according to a movement input to the home screen.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 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영상표시기기 내 또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scree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rd objects classified by content source. The card object is a card object representing a thumbnail list of broadcast channels, a card object representing a broadcast guide list, a card object representing a broadcast reservation list or a recording list, and a media list within the video display device or a devic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card objects representing.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ard object representing a list of connected external devices and a card object representing a list related to a call.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screen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menu including at least one executable application item.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re is a card object movement input, the controller 170 may move and display a corresponding card object or control a card object that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o be mov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redetermined card object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card objects in the home scree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rd object.

한편,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 received broadcast image and an object indic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image in a card object displaying the broadcast image. In addition, the broadcast image can be controlled so that its size is fixed by the lock setting.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영상표시기기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셋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display a setup object for at least one of a video setting, an audio setting, a screen setting, a reservation setting, a pointer setting of a remote control device, and a network setting in the video display device in the home screen. can do.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n object for a login, help, or exit item in a region of the home screen.

한편,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the number of all card objects on one area of the home screen or an object indicating the number of card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among all card objects.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card object name in a predetermined card object is selected from among the card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card objec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s a full screen.

한편,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in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or video display device, the controller 170 focuses and displays a call-related card object among a plurality of card objects, or displays a call-related card object in the display unit 180. It can be controlled to move and display.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entering the application view item,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display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r from an external network.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install and run an application downloaded from an external network in addition to various user interfa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unit 180 to display an image related to an application to be executed by the user's selection.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어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할당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게임 실행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게임 실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video display device provides a game application, the controller 170 allocates a player identifier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and executes the game application to generate game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 the game execu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player identifier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and the user terminal can control to receive the game execution information.

또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searches for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outputs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 To receive a selection signal of a user terminal used as a user controller from the searched user terminal list.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 및 게임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o output a game progress screen of a game application including player information and game progr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user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을 통하여 입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게임 플레이 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진행에 반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determine a predetermined signal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as game play information, and control it to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application.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플레이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o transmit the play information of the game application to a predetermined server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소정의 서버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게임 플레이 정보의 변동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소정 영역에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o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when the change information of the game pla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predetermined server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I can.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 channel signal or an external input signal may be further provided.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channel browsing processing unit receives the stream signal TS output from the demodulation unit 120 or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and extracts an image from the input stream signal to generate a thumbnail image. I ca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70 as it is or after being encoded. In addition, the generated thumbnail image may be encoded in the form of a stream and input to the controller 170. The controller 170 may display a thumbnai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on the display 180 by using the input thumbnail images. Meanwhile, the thumbnail images in the thumbnail list may be updat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a plurality of broadcast channels.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an image signal and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Generate a drive signal.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PDP, LCD, OLED, flexible display, 3D display, or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other than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udio. The audio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speakers.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detect a user's gesture, as described above, a sens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 voic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 motion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have.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not show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Meanwhil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for photographing a user may be further provided.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70.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detect a user's gesture by combining or combining an image captured from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or a signal sensed from a sensing unit (not shown).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unit 180 for image display,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I can.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Meanwhil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unit 180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backlight lamps, an inverter (not shown) capable of PWM operation may be further provided for luminance variable or dimming driving. May b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IR) communication, Ultra 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it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output a voice or vibration.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video display device 100 is a fixed type ATSC system (8-VSB system) digital broadcasting, DVB-T system (COFDM system) digital broadcasting, ISDB-T system (BST-OFDM system) digital broadcasting, etc. It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does not include the tuner 110 and the demodulation unit 120 shown in FIG. 2, unlik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2, but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 video content may be received and played back.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예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셋탑 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an example of a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of an image stored in the device or an input image. Another example of the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is the display unit 180 illustrated in FIG. 2. ) And a set-top box excluding the audio output unit 185, the above-described DVD player, Blu-ray player, game device, computer, etc. may be further exemplifi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2 as follow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multiplexer 310, an image processing unit 320, an OSD generator 340, a mixer 350, a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5, and a formatter ( 360). In addition,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an input stream. For example, when an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and separated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or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5.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perform image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image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325 and a scaler 335.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3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35 performs scaling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80.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video decoder 325 may include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MPEG-2 standard coded video signal,

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Right, it can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is an encoded video signal of the H.264 standard according to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method or DVB-H, it may be decoded by the H.264 decoder.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Meanwhile, the image signal decod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is input to the mixer 350.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or 340 generates an OSD signal by itself or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examp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as a graphic or text may be generated.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SD generator 340 may generate a signal for displaying a caption of a broadcast image or broadcast information based on EPG.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The mixer 350 may mix the OSD signal generated by the OSD generating unit 340 and the decoded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The mixed signal is provided to the formatter 360. Since the decoded broadcast video signal or the external input signal and the OSD signal are mixed, the OSD can be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broadcast video or the external input imag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rate converter (FRC) 355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frame rate of 60Hz is converted to 120Hz or 240Hz.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12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ame first frame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r insert a third frame predicted from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When converting the frame rate of 60 Hz to 240 Hz, it is possible to insert three more identical frames or three predicted frames.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put frame rate without separate conversion.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The formatter 360 receives an output signal from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5, changes the format of the signal to suit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s it. For exampl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nd the R, G, B data signals may be output a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or mini-LVDS.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voice processing of a demultiplexed voice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include various decoders.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is an encoded voice signal, the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decode the demultiplexed voice signal. For example, the demultiplexed speech signal may be decoded by an MPEG-2 decoder, or an MPEG 4 decoder, or an AAC decoder, or an AC-3 decoder.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 voice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a base, a treble, and a volume control.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data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when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may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may b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air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ATSC-PSIP)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method, and may include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DVB method. .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The ATSC-PSIP information or DVB-SI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tream, that is, a header (4 bytes) of an MPEG-2 TS.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170 shown i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 other modules or omit some of the illustrated modul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y one of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As illustrated in FIG. 4A,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13의 (b)), 앞뒤(도 1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FIG. 13(b)), back and forth (FIG. 13(c)).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the figure, since the corresponding pointer 205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3D spac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referred to as a space remote controller.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4B illustrates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so moves to the left in response thereto.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4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ly, the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be close to the display unit 180, a selection area in the display unit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in a reduced size. 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the selected area may be zoomed in.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may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approaches the display unit 180,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but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may be recognized.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inter refers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ly, objects of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arrow shape shown in the drawing are possible with the pointer 205. For example,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point, a cursor, a prompt, a thick outlin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inter 205 may be displayed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on the display unit 180, as well a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oints such as a line and a surface. Do.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y one of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user input unit 235, a sensor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power supply unit 260, a storage unit 270,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280.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기기(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ny one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mong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imag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RF module 2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RF communication standard.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n IR module 2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221.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commands regarding power on/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223 as needed.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235 may be composed of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A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manipulating the user input unit 235.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When the user input unit 235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n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2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manipul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gyro sensor 241 or an acceleration sensor 243.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241 may sens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243 may sense information about a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like. Meanwhile, a distance measurement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thereby sensing a distance to the display unit 180.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250, the user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whether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s controlled.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output unit 250 is an LED module 251 that lights up when a user input unit 23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a vibration module that generates vibration ( 253), a sound output module 255 for outputting sound, or a display module 257 for outputting an image may be provided.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mov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260 may resum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70 may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nd application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2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Send and receive. The control unit 2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paired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frequency band through which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storage unit 270, and You can refer to it.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80 controls all item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8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2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5. Can be transmitted to (10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는 (1900)는 무선 통신부(1910), A/V(Audio/Video) 입력부(1920), 사용자 입력부(1930), 센싱부(1940), 출력부(1950), 메모리(1960), 인터페이스부(1970), 제어부(1980) 및 전원 공급부(19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190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an audio/video (A/V) input unit 1920, a user input unit 1930, a sensing unit 1940, and an output unit ( 1950), a memory 1960, an interface unit 1970, a control unit 1980, a power supply unit 1990, and the like.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are not essential,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components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910)는 이동 단말기(19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900)와 이동 단말기(19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910)는 방송 수신 모듈(1911), 이동통신 모듈(1912), 무선 인터넷 모듈(1913), 근거리 통신 모듈(1914) 및 위치정보 모듈(19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9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9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9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9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9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9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9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915. .

방송 수신 모듈(19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9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이동통신 모듈(19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9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ve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multimedia messages.

무선 인터넷 모듈(19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9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9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in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900. As a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may be used.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9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913 or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914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to or from a predetermined video display device so that a user terminal can be used as a user controller of a predetermined game applic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에서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할 사용자 단말기가 선택되면,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선택된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로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상기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a network-connected user terminal from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to be used as a user controller is selected from the search results, the video display device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selected user terminal. Thus, an operation for using the selected terminal as a user controller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predetermined signal through a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predetermined signal to an image display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reflect the game progress of a game application.

위치정보 모듈(19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9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6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9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921)와 마이크(19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9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9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n A/V (Audio/Video) input unit 19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921 and a microphone 1922. The camera 19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pictur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51.

마이크(19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9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9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9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a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9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9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9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930 may be composed of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positive pressure/electro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940)는 이동 단말기(19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9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9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9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9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940)는 근접 센서(19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940 detect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900, such a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9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900, the pre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u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900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9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ls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90 supplies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9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may be sensed. Meanwhile, the sensing unit 19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941.

또한, 센싱부(1940)는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중인 소정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신호로 이용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940 may generate a signal to be used as a predetermined game progress sig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used as a user controller of a predetermined game application running on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을 함으로써 센싱부(1940)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무선통신부(191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여 포커게임에서 배팅금액을 감소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ame application is a poker card game, the user shakes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sensing unit 1940 generat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You can enter a command to reduce the bet amount in the poker game by sending it to.

출력부(19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951), 음향 출력 모듈(1952), 알람부(1953), 및 햅틱 모듈(19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9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951, a sound output module 1952, an alarm unit 1953, and a haptic module 1954. I can.

디스플레이부(1951)는 이동 단말기(1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9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9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9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9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a photographed or/and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is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9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9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9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9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configured as a transparent type or a light-transmitting type so that the outside can be seen through it.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9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transmitting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an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951 of the terminal body.

또한, 디스플레이부(1951)는 사용자 단말기(1900)가 소정의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소정의 게임 진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951 may output a predetermined game progress screen when the user terminal 1900 is used as a user controller of a game application running on a predetermined video display device.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951)에는 사용자 단말기(1900)에 부여된 플레이어 식별자에 해당하는 히든(hidden) 카드 패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ame application is a poker card game, a hidden card hand corresponding to a player identifier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1900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951.

이동 단말기(19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9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9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wo or more display units 1951 may exis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9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19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디스플레이부(19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9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95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951 is used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a shape such as,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951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9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a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a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9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980)는 디스플레이부(19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a signal(s)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980.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9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951 has been touched.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을 상기 게임의 진행에 반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terminal is used as a user controller of a game application executed on an image display device, a touch input to a touch sensor may be reflected in the progress of the game.

예를 들어, 상기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포커 카드 게임인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951)의 소정의 카드가 디스플레이된 부분에 터치 입력을 하면, 터치 센서는 상기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는 터치 제어기 및 제어부(1980)로 전송되며, 무선통신부(1910)를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신호를 전송받아 포커 게임에서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카드를 제출한 동작을 입력한다.For example, when the game application is a poker card game, when a user makes a touch input on a portion where a predetermined car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51 of the user terminal,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input and responds to the input. The corresponding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touch controller and the control unit 1980, and transmit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running the game applic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device receives the signal and inputs an operation in which the user submits a predetermined card in a poker gam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9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9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6, a proximity sensor 19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mobi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19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without mechanical contact.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span and higher utilization than contact sensors.

상기 근접 센서(19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941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typ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type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he like.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as being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by approaching the touch screen without contacting the pointer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A position at which a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a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pointer vertically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 센서(19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1941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9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9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9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952)은 이동 단말기(19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9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9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or stored in the memory 19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9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900. The sound output module 19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953)는 이동 단말기(19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9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951)나 음성 출력 모듈(19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951, 1952)은 알람부(19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9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9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The alarm unit 19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by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9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952, and thus, they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953.

햅틱 모듈(haptic module)( 19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9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9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9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9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may be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9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954 is designed to respond to stimuli such as an arrangement of pins that move vertically to the contact skin surface, blow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 jet or inlet, grazing against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and electrostatic force It can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by the effect and an effect by reproducing the feeling of cooling and warming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햅틱 모듈(19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954)은 이동 단말기(19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954 may not only deliver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may also be implemented so that a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muscle sensations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954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aspect of the mobile terminal 1900.

메모리(1960)는 제어부(19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9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9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The memory 19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s and sounds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메모리(19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9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9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96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etc.), and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disk and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1900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960 over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970)는 이동 단말기(19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9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9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9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9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900. The interface unit 19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9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9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to connect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970.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9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9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right to use the mobile terminal 19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and a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900 through the port.

제어부(controller, 19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9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9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981)은 제어부(19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9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900. For example,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980 may also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9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9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9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980.

상기 제어부(19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9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capable of recognizing a hand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어부(1980)는, 사용자 단말기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 중인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951)에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 모듈 또는 센서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is used as a user controller of a game application running on a video display device, the control unit 1980 outputs predetermined game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951, and each module of the user terminal 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to the image display device.

즉,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980)는, 상기 영상표시기기로부터 사용자 컨트롤러로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의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자 컨트롤러 모드로 설정하여 소정의 게임 실행 정보를 무선 통신부(1910)를 통해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951)에 출력하고, 터치 센서에서 감지되는 터치 신호, 위치 정보 모듈에서 판단되는 위치 변경 신호등을 무선 인터넷 모듈(19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914)을 통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predetermined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controller is selec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is received, the controller 1980 sets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controller mode and transmits predetermined game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910. ) And outputs to the display unit 1951, and transmits a touch signal detected by a touch sensor and a position change signal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to a game application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913 or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914. It can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a running video display device.

전원 공급부(1990)는 제어부(19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9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700)는 통신 모듈(710), 인터페이스 모듈(720), 컨트롤러(730), 디스플레이 모듈(7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device 7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710, an interface module 720, a controller 730, and a display module 740.

통신 모듈(710)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급 서버, 방송국, IPTV 서버 등이 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7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Her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content supply server, a broadcasting station, or an IPTV server that provides content.

인터페이스 모듈(72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한다. The interface module 720 acquires a voice from a user.

인터페이스 모듈(72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아바타를 찾아줘라는 음성을 획득한다. The interface module 720 includes a microphone module that obtains a voice from a user, and obtains, for example, a voice prompting a user to find an avatar.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720)는 장르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한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module 720 acquires a voice including a genre and content.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영화, 아바타를 찾아줘라는 음성을 획득하면, 아바타가 영화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고, 이를 전제로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므로, 음성 인식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730 obtains a voice asking for a movie or an avatar from a user, the avatar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movie, and on the premise of this, the controller 730 receives the search result from an external device. Can increase.

예를 들면, 해바라기를 찾아줘라는 음성을 획득하면, 드라마 해바라기, 영화 해바라기와 같이 2개의 컨텐츠가 혼합하여 검색된다. For example, when a voice prompting you to find a sunflower is acquired, two contents such as a drama sunflower and a movie sunflower are mixed and searched.

그러나, 컨트롤러(730)가 영화 해바라기를 찾아줘와 같이, 장르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하면, 드라마 해바라기는 배제하고, 해바라기가 영화라는 카테고리에 포함되고, 이를 전제로 외부 장치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므로, 음성 인식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However, when the controller 730 acquires a voice including a genre and content, such as a search for a movie sunflower, the drama Sunflower is excluded, and the sunflower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a movie. By receiv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peech recognition search result.

컨트롤러(730)는 획득한 음성을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를 통신 모듈(710)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통신 모듈(710)을 통하여 수신한다. The controller 730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acquired voice, transmits the generated comman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710, and transmits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710. Receive through.

컨트롤러(730)는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classifies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s by category, and arranges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여기서, ALL(전체 보기) -> TV 라이브 -> TV 다시 보기 -> Movie, 3D -> APP -> Youtube -> Web Search와 같은 카테고리 순서는 디폴트 상태로 초기 지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한 경우, 저장하면 다음 번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ON 시키면, 카테고리 순서는 변경된 상태로 설정된다. Here, the order of categories, such as ALL (view all) -> TV live -> TV replay -> Movie, 3D -> APP -> Youtube -> Web Search, may be initially set as the default state, or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If the change is ma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the next time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after saving, the order of the categories is set to the changed state.

예컨대, 사용자가 무한 도전과 같은 특정 컨텐츠를 찾아줘라고 말을 하면(910), 컨트롤러(730)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와 같은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ays to search for specific content such as an infinite challenge (910), the controller 730 returns the content search result to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Classify by categories such as, Web Search.

이중에서 무한 도전과 특정 컨텐츠가 있는 카테고리는 ALL(전체 보기), TV Live, TV 다시 보기, Youtube. Web Search만 해당되므로, 컨트롤러(730)는 이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한다. Among them, categories with infinite challenges and specific content are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Youtube. Since only Web Search is applied,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m according to priority.

컨트롤러(730)는 배열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며, 배열된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The controller 730 arrange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search result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nd displays the arranged categories and contents on the screen.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ALL(전체 보기) -> TV Live -> TV 다시 보기 -> Youtube -> Web Search로 배열하고, 사용자로부터 Youtube 카테고리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우측에 무한 도전 20141220, 무한 도전 20142213, 무한 도전 토토가 김종국과 같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as ALL (view all) -> TV Live -> TV replay -> Youtube -> Web Search, and receives a Youtube category selection input from a user, an infinite challenge 20141220 on the right, Infinite Challenge 20142213, Infinite Challenge Toto displays the same content as Kim Jong-guk on the screen.

컨트롤러(730)는 획득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730 converts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identifies a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and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ion.

컨트롤러(730)는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한다. The controller 730 extracts at least one of a noun and a verb included in the text, and determines a search inten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noun and a verb.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아바타를 찾아줘 라고 말을 하면,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음성을 아바타를 찾아줘를 포함하는 텍스트로 변환한다. 컨트롤러(730)는 변환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한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says to find an avatar, the controller 730 converts the voice acquired from the user into text including the search for the avatar. The controller 730 determines the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구체적으로, 컨트롤러(730)는 아바타를 찾아줘를 포함하는 텍스트에서 명사인 아바타, 동사인 찾아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아바타라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원하다는 검색 의도를 파악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730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noun avatar and the verb search from the text including the search for the avatar, and determines the search intention that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content called the avatar. do.

텍스트의 명사는 주로 컨텐츠의 이름이 될 확률이 높고, 동사는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이 될 확률이 높다. Text nouns are most likely to be the names of content, and verbs are likely to be actions the user wants.

컨트롤러(730)는 사용자가 아바타라는 컨텐츠를 검색하기를 원한다는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인 Search for Avatar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730 generates a command, Search for Avatar, based on a search intention that the user wants to search for content called an avatar.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4에서 후술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an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14.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시청 시간 순서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viewing time.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시청 시간이 긴 순서를 기초로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의 카테고리를 Movie -> TV 다시 보기 -> Youtube -> 3D -> Web Search -> TV 라이브 -> APP -> ALL(전체 보기) 순서로 배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selects the categories of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and Web Search based on the order of long viewing time: Movie -> TV Replay -> Youtube -> 3D -> Web Search -> TV Live -> APP -> ALL (View All).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가장 최근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순서로 배열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에서 후술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13.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추천 클릭 수를 기초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based on the number of recommended click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추천 클릭수를 기초로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의 카테고리를 Youtube -> TV 다시 보기 -> Movie -> 3D -> Web Search -> TV 라이브 -> APP -> ALL(전체 보기) 순서로 배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selects the categories of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and Web Search based on the number of recommended click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from Youtube -> Replay TV. -> Movie -> 3D -> Web Search -> TV Live -> APP -> ALL(View all).

컨트롤러(730)는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한다. The controller 730 classifies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by subdividing it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장동건과 같은 특정 배우를 찾아줘 라는 음성을 수신한 경우,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의 특정 배우의 검색 결과가 있는 카테고리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730 receives a voice from the user asking to find a specific actor such as Jang Dong-gun, the specific actor of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 The category with the search result of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중에서, 컨트롤러(730)는 Movie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특정 배우가 출연한 Movie의 하위 카테고리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Movie의 하위 카테고리는 가족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단편 영화, 뮤지컬 영화, 액션 영화, 멜로 영화, 느와르 영화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730)는 특정 배우가 출연한 영화의 컨텐츠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므로,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더욱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Among them, when the controller 730 clicks the Movie category, the subcategory of the Movie in which the specific actor appeared on the screen. Here, the sub-category of Movie may be a family movie, a documentary movie, a short movie, a musical movie, an action movie, a melody movie, a noir movie,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controller 730 subdivides and classifies the movie into a sub-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characteristic of a movie in which a specific actor appears, so that the user can more accurately obtain the content search result desired by the user.

컨트롤러(730)는 검색 결과가 있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검색 결과가 없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더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The controller 730 displays a category and content with a search result on the screen. In this case, since categories and content without a search result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more easily find a desired category and content,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디스플레이 모듈(740)는 컨트롤러(73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module 740 displays categories and contents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7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컨트롤러(730)에 의하여 수행된다.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y the controller 730.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한다(S810).As shown in FIG. 8, first, a voice is obtained from a user (S810).

인터페이스 모듈(720)은 장르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한다. The interface module 720 acquires a voice including genre and content.

다음으로, 획득한 상기 음성을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한다(S820).Next, a command is generated based on the acquired voice (S820).

구체적으로, 컨트롤러(730)는 획득한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며,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730 converts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determines a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and generates a command based on the determined search intention.

컨트롤러(730)는 검색 의도를 파악할 때,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한다. When determining the search intention, the controller 730 extracts at least one of a noun and a verb included in the text, and determines the search inten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noun and a verb.

생성된 상기 명령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S830).The generated command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S830).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S840).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S840).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다(S850).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s classified by category (S850).

구체적으로,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 별로 분류할 때,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한다. Specifically, when classifying by category, the controller 730 classifies and classifies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한다(S860).The classified categories are arranged according to priority (S860).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시청 시간 순서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viewing time.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가장 최근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순서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컨트롤러(730)는 카테고리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추천 클릭 수를 기초로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based on the number of recommended click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배열된 카테고리를 기초로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한다(S870).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s are arranged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S870).

끝으로, 배열된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880).Finally, the arranged categories and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S880).

구체적으로, 컨트롤러(730)는 검색 결과가 있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Specifically, the controller 730 displays a category and content with a search result on the scree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때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ategory and a category when a display device searches for specific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찾아줘라고 말을 하면(9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테고리 종류를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로 표시한다(920). 이중 특정 컨텐츠가 있는 카테고리는 ALL(전체 보기), TV Live, TV 다시 보기, Youtube. Web Search만 해당된다. As illustrated in FIG. 9, when the user says to search for specific content (910), the display device displays the category type as follows.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 (920). Categories with specific content are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Youtube. Web Search only.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말을 하면 검색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search result appears when a user spea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하면, 이를 토대로 컨텐츠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0, when a voice is received from a user, the controller 730 performs a content search based on this, and arranges categories based on the search result.

예를 들면, 카테고리 순서는 ALL(전체 보기) -> TV 라이브 -> TV 다시 보기 -> Movie -> 3D -> APP -> Youtube -> Web Search와 같은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tegory order may be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ALL (view all) -> TV live -> TV replay -> Movie -> 3D -> APP -> Youtube -> Web Search.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방송 중이거나 방송 예정인 컨텐츠를 포함하는 TV 라이브와 같은 특정 카테고리 버튼 입력을 수신하면, 그 카테고리 내에 있는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controller 730 receives an input of a specific category button such as TV live including content currently being broadcast or scheduled to be broadcast from the user, the controller 730 displays the content within the category on the scree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카테고리를 클릭하면 해당 카테고리에서 검색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when a specific category is clicked on, content searched in the category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TV 다시 보기 카테고리 클릭 입력을 수식하면, TV 다시 보기에서 검색된 컨텐츠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controller 730 modifies a click input of the TV replay category from the user, the content retrieved from the TV replay is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면, A 프로그램(방영일 : 2014. 10. 01), A 프로그램(2014. 10. 08), A 프로그램(2014. 10. 15)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For example, program A (aired on October 01, 2014), program A (October 08, 2014), and program A (October 15, 2014) ar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편집에 의해 카테고리 순서를 조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djusting the order of categories by user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우스 커서로 드래그 앤드 드랍하여 카테고리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user can adjust the order of categories by dragging and dropping with a mouse cursor.

예를 들어, 컨트롤러(730)는 사용자로부터 유튜브 카테고리를 드래그하여 ALL(전체보기) 앞으로 드롭하면, 다음 번에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할 때에는 유튜브 카테고리가 제일 윗 부분에 디스플레이 된다. For example, if the controller 730 drags a YouTube category from the user and drops it to the front of ALL (view all), the YouTube category is displayed at the top when it acquires a voice from the user next tim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최근에 검색한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recently sear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30)는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의 카테고리 중에서 최근에 검색한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한다. As shown in FIG. 13,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ly searched among the categories of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and Web Search.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ALL(전체보기) -> TV 다시 보기 -> Movie -> 3D -> Web Search -> TV 라이브 -> APP -> Youtube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may arrange categories in the following order: ALL (view all) -> replay TV -> Movie -> 3D -> Web Search -> TV live -> APP -> Youtub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 빈도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rrangement of categories in order of frequency of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30)는 ALL(전체 보기), TV 라이브, TV 다시 보기, Movie, 3D, APP, Youtube, Web Search의 카테고리 중에서 사용 빈도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한다. As shown in FIG. 14, the controller 730 arranges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among the categories of ALL (view all), TV live, TV replay, Movie, 3D, APP, Youtube, and Web Search.

컨트롤러(730)는 검색 결과에 따라, 카테고리 클릭 횟수와 컨텐츠 클릭 횟수를 저장하여 사용 빈도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한다. The controller 730 stores the number of category clicks and the number of content clicks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and arranges the categories in order of use frequency.

예컨대, 컨트롤러(730)는 사용 빈도 순서에 따라, ALL(전체보기) -> Youtube -> TV 라이브 -> 3D -> Web Search -> Movie -> APP -> TV 다시 보기 순서대로 카테고리를 배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730 can arrange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ALL (view all) -> Youtube -> TV live -> 3D -> Web Search -> Movie -> APP -> TV repla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쉽게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ecause a user can easily select and use content by classifying the speech recognition search results by category and arranging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최근 검색한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y arranging categories in the order of a recent search and allowing a user to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sul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 빈도 순서로 카테고리를 배열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categorie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use and a user can select content corresponding to a search result,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여 더욱 정확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re accurate content search result can be obtained by converting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identifying a search intention based on the converted text, and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 시 예에 따르면, 수신된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더욱 쉽게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s subdivided and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obtain a search result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are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provid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processor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영상표시기기
105: 방송 수신부
110: 튜너
120: 복조부
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원격 제어장치
7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10: 통신 모듈 720: 인터페이스 모듈
730: 컨트롤러 740: 디스플레이 모듈
100: video display device
105: broadcast receiver
110: tuner
120: demodulation unit
130: network interface unit
135: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40: storage unit
150: user input interface unit
170: control unit
180: display unit
185: audio output
190: power supply
200: remote control device
700: display device
710: communication module 720: interface module
730: controller 740: display module

Claims (20)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획득한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명령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고,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며,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n external device;
An interface module for obtaining a voice from a user;
Convert the obtained speech to text,
Extracting at least one of a noun and a verb included in the text,
Grasp the search inten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nouns and verbs,
Generate commands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Classify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by category,
Arrange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Arrang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 controller that displays the arranged categories and the contents on a screen; And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category and the content on a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ler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테고리를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rranging the above categories in order of frequent use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테고리를 시청 시간 순서로 배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rranging the categories in order of viewing time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테고리를 가장 최근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순서로 배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rranging the categories in the order they were most rec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추천 클릭 수를 기초로 배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Arranging the categories based on the number of recommended click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장르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module
Acquiring voices including genre and content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lassifying and subdivid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In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검색 결과가 있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ing categories and content with search results on the screen
In display device.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명사와 동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검색 의도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된 검색 의도를 기초로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명령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컨텐츠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상기 카테고리를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를 기초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배열하는 단계; 및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Obtaining a voice from a user;
Converting the acquired voice into text;
Extracting at least one of a noun and a verb included in the text;
Determining a search inten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extracted nouns and verbs;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identified search intent;
Transmitting the generated command to an external device;
Receiving a content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from the external device;
Classify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s by category;
Arranging the classified categories according to priority;
Arrang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arch result based on the arranged categories; And
Displaying the arranged categories and the contents on a scre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사용 빈도가 높은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rang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is
Includ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categories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of use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시청 시간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rang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is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the categories in order of viewing time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가장 최근에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순서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rang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is
And arranging the categories in the order most rec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배열하는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추천 클릭 수를 기초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rranging according to the priority is
Arranging the categories based on the number of recommended click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는
장르와 컨텐츠를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obtaining the voice from the user
Including the step of acquiring a voice including genre and content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컨텐츠 검색 결과를 컨텐츠의 특성에 대응하는 하위 카테고리로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classifying by category
Including the step of subdividing and classifying the received content search result into sub-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제 11 항에 있어서, 배열된 상기 카테고리와 상기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검색 결과가 있는 카테고리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displaying the arranged categories and the contents on a screen comprises: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category and content with the search result
In-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KR1020150000482A 2015-01-05 2015-01-05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KR1022548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82A KR102254894B1 (en) 2015-01-05 2015-01-05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82A KR102254894B1 (en) 2015-01-05 2015-01-05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59A KR20160084059A (en) 2016-07-13
KR102254894B1 true KR102254894B1 (en) 2021-05-24

Family

ID=5650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482A KR102254894B1 (en) 2015-01-05 2015-01-05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214B1 (en) * 2018-02-19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The system and an appratus for providig contents based on a user utterance
KR102184962B1 (en) * 2018-05-24 2020-12-01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Voice inpu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178464B2 (en) 2018-12-14 2021-11-16 Roku, Inc. Audio search results in a multi-content source environment
WO2021132738A1 (en) * 2019-12-23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355903B1 (en) * 2020-01-31 2022-01-25 울산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N113542899A (en) * 2020-04-22 2021-10-22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Information display method, display device and server
WO2024106913A1 (en) * 2022-11-15 2024-05-2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tterance and op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21B1 (en) * 2009-10-08 2011-07-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grated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and its oper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25B1 (en) * 2006-07-04 2008-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favorite channnel management of image display device
KR101262700B1 (en) * 2011-08-05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ic Apparatus thereof
KR102057284B1 (en) * 2013-01-2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21B1 (en) * 2009-10-08 2011-07-1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ntegrated voice recognition remote control and its ope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59A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619B2 (en) Smart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2254894B1 (en) Display device for arranging categories using voice recognition searching results, and method thereof
US8852002B2 (en) Method of providing game application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984564B (en) By the controllable image display of remote controller
KR102396036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63075B1 (en) Service system,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a service thereof
CN107018434B (en) System including digit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reof
KR20120010433A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9756398B2 (en) TV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60039830A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guide thereof
KR2011012971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05131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US20220030319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7297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35381A (en) Im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ehreof
KR20110129714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60009415A (en)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haring ccontents with external input appatatus
KR10239970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49243A (en) Video display device using finger sca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08546A (en) personaliza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in television linkage wireless terminal
KR102369588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20200054725A (en) Im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26404B1 (en) Digital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the same
KR102105459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20080510A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y display screen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