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57B1 -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57B1
KR102254857B1 KR1020200019271A KR20200019271A KR102254857B1 KR 102254857 B1 KR102254857 B1 KR 102254857B1 KR 1020200019271 A KR1020200019271 A KR 1020200019271A KR 20200019271 A KR20200019271 A KR 20200019271A KR 102254857 B1 KR102254857 B1 KR 102254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play device
unit
audio sig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
정일석
김회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내부 스피커, 외부 스피커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의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상된 음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하여,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오디오를 재생하기 위한 음향 시스템으로 홈씨어터 시스템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5.1 채널 또는 그 이상의 채널들로 구성된다. 또한, 최근 Height 사운드를 포함하는 5.1.2 채널을 지원하는 음향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다. 5.1.2 채널은 기존의 5.1 채널에 전방 상향의 Height 2 채널이 추가된 시스템이다.
하지만, 공간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가정에서 이러한 홈씨어터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운드바나 헤드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사운드바를 TV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에서는 오디오가 출력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TV는 제품 하단에 위치하여 아래 방향을 향하는 한쌍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운드바와 함께 오디오가 출력되는 경우 제대로된 음향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에 내장된 스피커를 활용하기 위해서 TV의 설치 방향을 바꾸는 경우 TV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과 출력되는 음향의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하여,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장치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장치의 상하단부 각각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내부 스피커, 외부 스피커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의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이 상향이고,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내부 스피커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통신부를 통해 외부 스피커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이고, 제1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 중 height 2 채널 신호이며, 제2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 중 5.1 채널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목소리 신호와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를 포함하고, 제1 오디오 신호는 목소리 신호이며, 제2 오디오 신호는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설정 정보로부터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측정한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의 회전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이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외부 스피커는 HDMI 케이블 연결,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통신 연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부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어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외부 스피커가 연결되면, 회전 브라켓을 제어하여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상향이 되도록 하우징을 회전시키며,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회전 브라켓을 제어하여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하향이 되도록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하여,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장치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회전하는 장치의 상하단부 각각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스피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외부 스피커의 연결 상태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스피커에서 구분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스피커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내부 스피커의 방향을 파악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의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회전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우징(195), 디스플레이(180), 내부 스피커(185a, 185b), 통신부(130m) 및 제어부(170m)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스피커(5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195)은 전면에 디스플레이(180)가 설치되고, 내부에 내부 스피커(185a, 185b), 통신부(130m) 및 제어부(170m)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의 양 모서리 부근에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195)의 아랫 방향(하향)을 향하거나, 윗 방향(상향)을 향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오디오 출력부(18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30m)는 외부 스피커(500)와 영상 표시 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외부 스피커(5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5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185a, 185b) 또는 외부 스피커(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종류의 패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조도 센서(197)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외부 스피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부(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 표시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197)는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광량을 측정한다. 조도 센서(197)에서 측정된 광량 정보를 신호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는, 조도 센서(197)에서 측정된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 표시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7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7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7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생성부(340),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영상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700)에 대응하는 포인터(7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7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705)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7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7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7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7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7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7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7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7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7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7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7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7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7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7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7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7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7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7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7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7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7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7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7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7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7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7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7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7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7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7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7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7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7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7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7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7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7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7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7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7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7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7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7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7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7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외부 스피커의 연결 상태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500)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 스피커(500)와 연결되는 경우, 내부 스피커(185a, 185b)와 외부 스피커(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더 고려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5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185a, 185b) 또는 외부 스피커(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스피커(500)는 사운드 바(Sound Bar)일 수 있다.
사운드 바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및 오디오 출력이 기능하고,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연결되어 스피커 시스템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 바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 구성으로, 복수의 라우드 스피커를 선형으로 연결한 라우드 스피커 어레이(Loud speaker Array)일 수 있다. 사운드 바는 복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음장을 재현할 수 있다.
사운드 바는 단독 또는 사운드 바가 포함된 스피커 시스템의 배치 환경하에서, 패닝(Panning), 파면 음장 합성(Wave Field Synthesis), 빔포밍(Beam Forming), 초점 음원(Focused Source), 머리 전달함수(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등과 같은 3차원 음장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가상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아랫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하향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상단부 양측에 상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180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하향인 상태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의 방향이 하향인 상태이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하향 상태인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향인 상태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500)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피커(500)는 HDMI 케이블 연결(유선 연결),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통신 연결(무선 연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부(130m)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하향 상태이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외부 스피커(500) 만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외부 스피커(500) 뿐만 아니라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서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스피커(500)와 내부 스피커(185a, 185b)에서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서로 구분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에서는 영상 내의 인물의 목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스피커(500)에서는 영상 내의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상향인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상단부 양측에 상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180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상향인 상태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의 방향이 상향인 상태이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향 상태인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상향인 상태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상향 상태이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내부 스피커(185a, 185b)와 외부 스피커(50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m)는 외부 스피커(500)와 내부 스피커(185a, 185b)에서 서로 구분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통신부(130m)를 통해 외부 스피커(500)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상향 상태이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외부 스피커(500) 만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통신부(130m)를 통해 외부 스피커(500)로부터 외부 스피커(5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모델 정보는 외부 스피커(500)가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버 헤드 스피커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제2 모델 정보로부터 외부 스피커(500)에 오버 헤드 스피커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외부 스피커(500)가 오버 헤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70m)는 상향 상태인 내부 스피커(185a, 185b)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향으로 내부 스피커(185a, 185b) 및 외부 스피커(500)에서 동시에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스피커에서 구분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70m)는 5.1.2 채널 신호를 분리하여, 5.1.2 채널 신호 중 height 2 채널 신호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내부 스피커(185a, 185b)로 출력하고, 5.1.2 채널 신호 중 5.1 채널 신호를 제2 오디오 신호로 통신부(130m)를 통해 외부 스피커(5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향 상태인 내부 스피커(185a, 185b)를 통해 height 2 채널 신호가 출력되므로,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5.1.2 채널 환경의 일반적인 오버헤드 스피커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500)와 연계하여 서라운드(surround) 입체 효과가 강화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는 목소리 신호와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목소리 신호를 제1 오디오 신호로 내부 스피커(185a, 185b)로 출력하고,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를 제2 오디오 신호로 통신부(130m)를 통해 외부 스피커(5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목소리 신호와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m)는 입력되는 컨텐츠에서 언어 또는 대사와 관련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제1 신호와, 배경음 또는 효과음과 관련된 음성 신호를 나타내는 제2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고, 제1 신호와 제2 신호의 진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진폭이 조절된 제1 신호를 내부 스피커(185a, 185b)로 전송하고, 제2 신호를 외부 스피커(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500)와 연계하여 또렷하게 분리된 목소리와 출력이 강화된 배경음을 분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외부 스피커(500)와 내부 스피커(185a, 185b)에서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와 외부 스피커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상향 상태에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스피커(500)에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185a, 185b)에서 상향으로 출력된 제1 오디오 신호의 일부는 천장(800)에 반사되어 사용자(900)가 있는 방향으로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천장(800) 방향으로부터 도달하는 제1 오디오 신호와 사용자(900)의 전면 방향에서 도달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모두 청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900)는 음장감이 향상된 사운드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의 회전에 따른 사용자 입력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디스플레이(18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150a, 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50a, 150b)는 IR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R 센서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센서(150a, 150b)는 RF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RF 센서는 원격제어장치(7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50a, 150b)는 IR 센서와 RF 센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복수의 센서(150a, 150b) 중 어느 한 센서에 의해 해당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해당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가 달라질 수 있다.
종래의 TV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단부에 배치된 센서를 사용하므로, 해당 센서는 하단부 위치에서 수신감도가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TV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는 하우징(195)의 하단부 양측에 하향으로 배치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180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상하단이 180도 회전되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100)가 회전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18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센서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상하단이 회전하여 설치된 상태와 관계없이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내부 스피커의 방향을 파악하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와 외부 스피커(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d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과 외부 스피커(5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내부 스피커(185a, 185b) 또는 외부 스피커(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설정 정보로부터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700)에는 회전 설정 신호와 관련하여 특정 키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특정 키를 누르는 입력에 따라, 원격제어장치(700)에서 회전 설정 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회전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메뉴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80)에 영상 표시 장치(100)의 설정과 관련한 메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뉴 정보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설정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700)로부터 회전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수신한 회전 설정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1 모델 정보를 비교하여,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모델 정보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m)는 제1 모델 정보와 회전 설정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185a, 185b)의 방향이 상향 상태인지 하향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가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상단부 상향 배치된 모델이고, 회전 설정 정보가 180도 회전인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현재 하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상단부 상향 배치된 모델이고, 회전 설정 정보가 0도 회전인 경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현재 상향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9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중력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m)는 센서부(155)에서 측정한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중력 센서는 장치에 적용되는 중력을 센싱하여 장치의 회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회전하는 경우, 중력 센서는 이에 따른 전기 신호를 제어부(170m)로 전달하고,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각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인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단위 시간에 물체가 회전한 각도의 값을 알려 주는 센서로, 각속도를 센싱하는 센서이다. 제어부(170m)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값과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각도를 도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m)는 수신한 회전 설정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1 모델 정보를 비교하여, 내부 스피커(185a, 185b)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의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회전시키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디스플레이(180)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상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이 회전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180도 회전한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이 회전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 상태를 판단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가 회전하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원래의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하우징(195)의 배면에 장착되어 하우징(195)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1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5)은 디스플레이(180)의 전면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전면부(195a)와, 전면부(195a)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180)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부(195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5)은 디스플레이(810)를 수용한 상태에서 내부에 장착된 복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단일 몸체 또는 다수의 몸체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배면부(195b)에 장착된 회전 브라켓(196)을 통해 벽면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196)은 영상 표시 장치(100)를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부(196a), 고정부(196a)와 결합되어, 영상 표시 장치(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96b, 196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96a)는 벽면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벽면에 설치된 고정부(196a)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회전부(196b, 196c)는 내부에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회전 구동부(196c) 및 영상 표시 장치(100)와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 구동축(196c)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96c)의 모터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모터는 회전 구동축(196c)과 직접 연결되어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회전 구동부(196c)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고, 일측에 구동기어가 장착된 회전축(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축(196c)은 일측에 종동기어가 장착되어,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맞물리면서, 모터의 회전력이 회전 구동축(196c)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회전 브라켓(196)의 동작에 의해 ±180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70m)는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면, 회전 브라켓(196)을 제어하여 내부 스피커(195a, 195b)의 방향이 상향이 되도록 하우징(195)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m)는 외부 스피커(500)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회전 브라켓(196)을 제어하여 내부 스피커(195a, 195b)의 방향이 하향이 되도록 하우징(19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외부 스피커(100)와 연결되는 경우, 내부 스피커(195a, 195b)의 현재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195a, 195b)가 하향인 상태(도 11의 (a) 참조)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가 외부 스피커(100)와 연결되는 경우(도 11의 (b) 참조), 제어부(170m)는 내부 스피커(195a, 195b)와 외부 스피커(100)에서 모두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 스피커(195a, 195b)가 상향 상태가 되도록 회전 브라켓(196)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196)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180도 회전하고 나면, 제어부(170m)는 제1 오디오 신호를 내부 스피커(195a, 195b)로 출력하고, 제2 오디오 신호를 외부 스피커(500)로 출력하여, 내부 스피커(195a, 195b)와 외부 스피커(100)에서 모두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m)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외부 스피커(100)와 연결되어 있다가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 내부 스피커(195a, 195b)가 하향 상태가 되도록 회전 브라켓(196)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 브라켓(196)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180도 회전하고 나면, 제어부(170m)는 오디오 신호를 내부 스피커(195a, 195b)로 출력하여, 외부 스피커(500)와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 내부 스피커(195a, 195b)에서만 오디오 신호가 하향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스피커(5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동작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설정값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70m)는 설정값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500)의 연결 여부와 상관없이 자동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고, 외부 스피커(500)가 연결되면 내부 스피커(195a, 195b)가 하향 상태가 되도록 자동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부(130m)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30m)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70m)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신호처리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70m)는 신호처리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하우징;
    디스플레이;
    사운드를 출력하는 내부 스피커;
    외부 스피커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입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과 상기 외부 스피커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내부 스피커 또는 상기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이 상향이고,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내부 스피커로 제1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스피커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이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 중 height 2 채널 신호이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5.1.2 채널 신호 중 5.1 채널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된 오디오 신호는 목소리 신호와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는 목소리 신호이며,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배경음 또는 효과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여,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회전 설정 정보로부터 상기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스피커가 향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상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이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피커는
    HDMI 케이블 연결, 블루투스 페어링 또는 WiFi 통신 연결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회전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되면, 상기 회전 브라켓을 제어하여 상기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상향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며,
    상기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상기 회전 브라켓을 제어하여 상기 내부 스피커의 방향이 하향이 되도록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200019271A 2020-02-17 2020-02-17 영상 표시 장치 KR10225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71A KR102254857B1 (ko) 2020-02-17 2020-02-17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71A KR102254857B1 (ko) 2020-02-17 2020-02-17 영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857B1 true KR102254857B1 (ko) 2021-05-21

Family

ID=7615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71A KR102254857B1 (ko) 2020-02-17 2020-02-17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2752A (zh) * 2021-05-26 2022-11-29 深圳信扬国际经贸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和音效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806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5.1채널 사운드 디스플레이기기
KR20080111303A (ko) * 2007-06-18 2008-1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1467B1 (ko) * 2014-01-20 2015-04-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 표시 장치
KR20180033771A (ko) * 2016-09-26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2806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5.1채널 사운드 디스플레이기기
KR20080111303A (ko) * 2007-06-18 2008-1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1467B1 (ko) * 2014-01-20 2015-04-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피커 유닛 및 이를 갖는 영상 표시 장치
KR20180033771A (ko) * 2016-09-26 201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12752A (zh) * 2021-05-26 2022-11-29 深圳信扬国际经贸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和音效处理方法
CN115412752B (zh) * 2021-05-26 2024-05-28 深圳信扬国际经贸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和音效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5093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26234A (ko)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33771A (ko) 영상표시장치
KR102254857B1 (ko) 영상 표시 장치
KR20170119572A (ko) 이동 단말기
KR1023133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101984576B1 (ko)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컨트롤 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17507A (ko) 영상표시장치
KR10233060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459166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29597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595573B1 (ko) 공간 리모컨, 공간 리모컨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048857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78183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042325A (ko) 원격제어장치
KR2021005676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72638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42326A (ko) 원격제어장치
KR10230931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362543A1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device,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system having same
EP4354884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same
EP416377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10092035A (ko) 무선 수신 장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