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843B1 -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 Google Patents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843B1
KR102254843B1 KR1020180040903A KR20180040903A KR102254843B1 KR 102254843 B1 KR102254843 B1 KR 102254843B1 KR 1020180040903 A KR1020180040903 A KR 1020180040903A KR 20180040903 A KR20180040903 A KR 20180040903A KR 102254843 B1 KR102254843 B1 KR 10225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utput device
user
skin care
ligh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8383A (en
Inventor
윤병호
김주용
조병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0290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18221A/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84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383A/en
Priority to KR1020190079711A priority patent/KR1022906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 which at least one light source is disposed toward the user's skin, a front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rear cover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wear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rear cover to contact a part of the user's body so that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s worn by the user, and a wearing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user is wearing it.

Description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안면 피부로 광을 출력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that is worn on a user's face and outputs light to the facial skin.

피부는 세포의 노화, 특정 얼굴 표정의 반복, 외부 환경으로의 지속적인 노출(자외선, 미세먼지 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예컨대 세포의 노화나 특정 얼굴 표정의 반복은 피부의 주름을 유발할 수 있고, 외부 환경으로의 지속적인 노출이나 스트레스 등은 여드름, 기미와 같은 각종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Skin can be damaged by aging of cells, repetition of certain facial expressions, constant exposur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ultraviolet rays, fine dust, etc.), stress, and the like. For example, aging of cells or repetition of specific facial expressions may cause wrinkles in the skin, and continuous exposure or stress to an external environment may cause various troubles such as acne and spots.

이러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피부 관리는, 잡티가 없고 청결하며 부드러운 피부의 유지를 목표로 하고, 특히 신체 부위 중 얼굴의 피부 관리에 대하여 가장 많은 관심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얼굴의 피부 관리를 위해 마사지를 받거나, 기능성 화장 제품을 바르거나, 각종 세정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자 한다.Skin care for preventing or minimizing such damage to the skin is aimed at maintaining clean and soft skin without blemishes, and in particular, the most attention has been formed on the skin care of the face among body parts. Therefore, people seek to keep their skin clean by receiving a massage, applying functional makeup products, or using various cleaning products for facial skin care.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 또는 착용되어 광을 출력하는 기기(예컨대, 마스크형 피부 관리 기기 등)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광 출력 기기에는 복수의 광원(예컨대, LED 등)이 배치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 등을 향해 광을 출력할 수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devices (eg, mask-type skin care devices) that are attached or worn on a user's face to output light have appeared. In such a light output devic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g, LEDs, etc.) may be disposed to output light toward the user's facial skin.

복수의 광원이 배치되어 광을 출력하는 경우, 출력된 광이 사용자의 피부로 균일하게 조사되지 못하는 경우 피부 관리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또는, 이마와 같은 특정 부위의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피부 손상이 심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특정 부위로 광이 보다 집중될 필요성이 있다.Whe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to output light, if the output light is not uniformly irradiated to the user's skin, the effect of skin care may be degraded.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specific area such as the forehead, skin damage may be more severe than that of other areas, and in this case, there is a need for more light to be concentrated to the specific area.

1. 등록특허공보 제10-1074882호 (2011.10.12. 자 등록)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74882 (registered on October 12, 20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동작할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that can effectively detect and operate whether or not a user is wearing 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피부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의 광이 조사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having a structure for irradiating light of different intensities according to skin reg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 which light output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can be evenly irradiated onto a user's ski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사용자의 피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착용되도록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in which at least one light source is disposed toward the user's skin, a front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rear cover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wear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the rear cover to contact a part of the user's body so that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s worn by the user, and a wearing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user is wearing it.

상기 착용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및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wearing device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 first face contact part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long an interface between the opening and contacting the user's skin. A face contact portion and a nose sea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opening portion and seated in the user's nose, and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착용 감지 센서는 상기 코 안착부의 내부 또는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nose seating portion.

상기 기판,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리어 커버, 및 상기 착용 장치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substrate, the front cover, the rear cover, and the wearing device may form an opening for securing the user's view, and the siz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substrate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other openings. .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착용 감지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용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kin care light output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the wear detection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whether the user is worn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wear detection sensor.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 또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on the substrate or a user manipu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ubstrate.

상기 기판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emit different light based on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그루브, 및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cover may include a groove formed to dispers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lenses disposed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상기 복수의 렌즈들 중 일부는 볼록 렌즈로 구현되어,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소정 위치에 집중되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Some of the plurality of lenses are implemented as convex lenses, so that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concentrated and irradi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도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cover may include a light guide layer for scattering light emitted from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the light guide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cattering particles.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양 면 중 상기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흡수부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cover includes an opening for securing a view of the user, and at least one light absorbing part is disposed along a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on a surface of both surfaces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substrate. I c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미간이나 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형에 따른 차이가 최소화되는 위치에 착용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may more accurately and effectively detect whether the user is wearing by providing a wear detection sensor at a position whe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r's face shape is minimized, such as the eyebrows or nose. I can.

또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개구부들 중 기판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크기가 나머지 개구부들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광원이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리어 커버의 개구부에는 광 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구성된 광 흡수부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조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좌안 및 우안으로 광이 조사됨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안구의 손상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openings formed in the substrate among the openings of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or equal to the other openings, so that the light sourc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laced clos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In addition, a light absorbing unit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light absorption rate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rear cover, so that light irradia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can be effectively absorb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discomfort or damage to the eyeball due to irradiation of light to the left and right eyes.

뿐만 아니라, 리어 커버에는 기판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키거나 산란시키는 그루브 또는 도광층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부위에 광이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여 피부 관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groove or a light guide layer for dispersing or scattering light emitted from light sources of the substrate is formed on the rear cover, the skin care effect may be improved by evenly irradiating the light to the user's skin.

또한, 리어 커버에는 주름이 많이 발생하거나 트러블이 많이 발생하는 이마나 볼과 같은 특정 부위에 대응한 위치에 볼록 렌즈가 배치됨으로써, 해당 부위로 광을 집중시켜 피부 관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convex le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area such as a forehead or cheek where a lot of wrinkles or troubles occur on the rear cover, light can be concentra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to maximize the skin car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크래들을 포함하는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사용자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착용 감지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e including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nd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nd a user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cluding the rear cover shown in FIG. .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cluding the rear cover shown in FIG. 7 .
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FIG. 10 is a rear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to show an additional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3.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크래들을 포함하는 패키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사용자 조작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e including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nd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management and a user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2; 이하 '광 출력 기기'라 함)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피부로 광을 출력함으로써,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주름, 탄력, 피부톤을 개선하거나, 피부 트러블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광 출력 기기(2)는, 광 출력 기기(2)의 충전 또는 보관 시 장착되는 크래들(3)과 함께 하나의 피부 관리 패키지(1)를 구성할 수 있다. 크래들(3)에 장착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는 크래들(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light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outputs light to the user's skin, It may be a device that promotes the activity of skin cells to improve wrinkles, elasticity, and skin tone, or to help improve skin troubles.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constitute one skin care package 1 together with a cradle 3 mounted when charging or storing the light output device 2. As it is mounted on the cradle 3,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can be charg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안면 피부로 광을 출력하는 마스크 형태의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 피부 전체적으로 광을 고르게 출력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는 사람의 얼굴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output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device in the form of a mask that is worn on the user's face and outputs light to the user's facial skin. In order to evenly output light over the user's facial skin,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long the shape of a person's face.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와 연결되어, 광 출력 기기(2) 또는 광 출력 기기(2)와 연결된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로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래들(3)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외부의 전력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cradle 3 is connected to the light output device 2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with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or the user operation device 4 connected to the light output device 2. Can supply. To this end, the cradle 3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3)은 광 출력 기기(2)의 외곽 가장자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The cradle 3 may form a seating portion for the light output device 2 to be seated. As shown in FIG. 1, the cradle 3 may have a sea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n outer edg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도 2를 참조하면, 광 출력 기기(2)는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리어 커버(23), 및 착용 장치(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include a front cover 21, a substrate 22, a rear cover 23, and a wearing device 24.

프론트 커버(21)는 광 출력 기기(2)의 전면을 형성하고, 리어 커버(23)와의 사이에 구비된 기판(22)을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론트 커버(21)는 각종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ront cover 21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and can protect the substrate 22 provided between the rear cover 23 from external impact or contact. To this end, the front cover 21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plastics or ceramics.

프론트 커버(21)에는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이 개구부(211)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개구부(211)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개구부(211)를 통해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과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211)를 덮는 개구부 보호 커버(212)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 보호 커버(212)는 투명 재질의 아크릴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n opening 211 for securing a user's field of view may be formed in the front cover 21 when the user wears it.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user's eyes are positioned in the opening 211, so that the user can secure a view through the opening 2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contacting or colliding with the user's eyes through the opening 211, an opening protection cover 212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pening 211. The opening protection cover 212 may be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crylic or plastic.

기판(22)은, 사용자의 피부 관리를 위한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strate 22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that irradiates light for skin care of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output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at output light of different colors.

예컨대, 상기 복수의 LED는 적어도 하나의 적색 LED와 적어도 하나의 청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LED는 약 645nm 내지 670nm 파장의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광은 피부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주름, 탄력, 및 피부 톤의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청색 LED는 약 400nm 내지 430nm 파장의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청색 광은 피부의 각종 트러블 제거에 효과적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EDs may include at least one red LED and at least one blue LED. The red LED can emit red light with a wavelength of about 645 nm to 670 nm. Red light promotes the activity of skin cells and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wrinkles, elasticity, and skin tone. The blue LED can emit blue light with a wavelength of about 400 nm to 430 nm. Blue light can be effective in removing various skin problems.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와 트러블 제거 모드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적색 LED가 활성화되어 적색 광을 피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동작 모드가 트러블 제거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청색 LED가 활성화되어 청색 광을 피부로 방출할 수 있다. 동작 모드에 따른 광원의 제어는 후술할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는 적어도 하나의 황색 LED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황색 LED는 약 580nm 내지 600nm 파장의 황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황색 광은 피부 톤을 보다 밝게 하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다.Assuming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divided into an active promotion mode and a trouble removal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an active promotion mode, a red LED is activated to emit red light to the ski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trouble removal mode, a blue LED is activated to emit blue light to the skin. Control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LED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yellow LED. Yellow LEDs can emit yellow light with a wavelength of about 580 nm to 600 nm, and yellow light can be effective in brightening skin tones.

기판(2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 출력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IC(integrated circuit), 마이크로컴퓨터, 임베디드 프로세서(embedded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사용자 조작 장치(4)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substrate 22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by an integrated circuit (IC), a microcomputer, an embedded processor, o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included in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to be described later.

프론트 커버(21)와 유사하게, 기판(22)에는 사용자의 착용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눈이 개구부(221)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는 개구부(221)를 통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Similar to the front cover 21, the substrate 22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21 for securing a view when worn by a us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user's eyes are positioned in the opening 221, so that the user can secure a view through the opening 221.

한편, 마스크 형상을 갖는 광 출력 기기(2)에 구비되는 기판(22)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판(22)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bstrate 22 provi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having a mask shape may be formed to form at least a part of a curved surface. To this end, the substrate 22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리어 커버(23)는,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되어, 기판(22)의 일 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와 리어 커버(23)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22)으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판(22)에 배치된 광원이나 기타 구성 요소들의 고장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r cover 23 may be form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22 by being fastened to the front cover 21 and the substrate 22. The front cover 21 and the rear cover 23 prevent water or other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substrate 22 disposed therein, thereby preventing failure or damage to the light source or other components disposed on the substrate 22. Can be prevented.

또한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리어 커버(23)는 기판(22)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피부가 기판(22)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rear cover 2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22 and the user's skin to prevent the user's skin from contacting the substrate 22.

리어 커버(23)는, 기판(22)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안면 피부로 조사되기 위해, 투명 재질의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리어 커버(23)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피부로 고르게 조사되도록 하거나, 특정 부위로 광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rear cover 23 may be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plastic or acrylic material in order to irradiate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provided on the substrate 22 to the user's facial skin. In particular, the rear cover 23 may have a structure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evenly irradiated to the skin or the light is concentrated to a specific area.

리어 커버(23) 또한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Like the front cover 21 and the substrate 22, the rear cover 23 may also include an opening 231 for securing a user's view.

착용 장치(24)는, 광 출력 기기(2)를 사용자가 착용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를 사용자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착용 장치(24)는 리어 커버(23)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장치(24)는 사용자의 코와 귀에 안착되어 착용될 수 있는 안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wearing device 24 may fix the light output device 2 to the user as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wearing device 24 may be fastened with the rear cover 23. For example, the wearing device 24 may have a shape of glasses that can be seated and worn on the user's nose and ears.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용 장치(24)는,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earing device 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aring detection sensor for effectively detecting whether a user is wearing it.

착용 장치(24)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 및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ore specific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wearing device 2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착용 장치(24)는 개구부(241), 안면 접촉부(242), 코 안착부(243), 착용 고정부(244), 및 착용 감지 센서(24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earing device 24 may include an opening 241, a face contacting part 242, a nose seating part 243, a wearing fixing part 244, and a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개구부(241)는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및 리어 커버(23)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착용 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41)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론트 커버(21)에 개구부 보호 커버(21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착용 장치(24)의 개구부(241)에 렌즈가 구비될 수도 있다. 개구부 보호 커버(212) 또는 상기 렌즈에 의해, 이물질이 사용자의 눈과 접촉하거나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할 수 있다.Like the front cover 21, the substrate 22, and the rear cover 23, the opening 241 may be formed to secure a view when a user wears it. The opening 24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ser's left and right ey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opening protection cover 212 is not provided in the front cover 21, a lens may be provided in the opening 241 of the wearing device 24. The opening protection cover 212 or the lens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contacting or colliding with the user's eyes.

프론트 커버(21), 기판(22), 리어 커버(23), 및 착용 장치(24) 각각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해 비교하면, 기판(22)에 형성된 개구부(221)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211, 231, 241)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기판(22)에 형성된 개구부(221)의 경계면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과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기판(22)의 광원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과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착용 장치(24)에 형성된 개구부(241)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211, 221, 231)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도록 해준다.When comparing the opening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cover 21, the substrate 22, the rear cover 23, and the wearing device 24, the size of the opening 221 formed in the substrate 22 is the remaining openings 211 , 231, 241). That is, since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221 formed in the substrat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source of the substrate 22 from being disposed to be clos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opening 241 formed in the wearing device 24 is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remaining openings 211, 221, and 231 to effectively secure the user's view.

안면 접촉부(242)는 개구부(241)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는 경우, 안면 접촉부(242)는 사용자의 좌안 주변에 위치한 피부면 및 우안 주변에 위치한 피부면과 각각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안면 접촉부(242)가 사용자의 양안 주위에 위치한 피부면과 접촉함에 따라, 기판(22)의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눈으로 조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안면 접촉부(242)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현되고, 광의 투과를 최소화하는 불투명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The facial contact portion 242 may be formed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241.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face contact portion 242 may be composed of a first face contact portion and a second face contact portion each in contact with a skin surface located around the user's left eye and a skin surface located around the right eye. I can. As the facial contact part 242 contacts the skin surface located around both eyes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f the substrate 22 is irradiated to the user's eyes. The face contact part 242 may be implemented with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have an opaque color that minimizes light transmission.

코 안착부(243)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 또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코에 안착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기 위해, 코 안착부(243)는 사람의 코 형상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nose seating portion 2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ial contact portions, and may be seated on the user's nose when worn by the user. In order to be seated on the user's nose,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person's nose.

착용 고정부(244)는 사용자의 착용시 귀 상에 안착되거나, 사용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코 안착부(243) 및 착용 고정부(244)에 의해,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wearing fixing part 244 may be fixed to the user's body by being seated on the ear when the user is wearing it or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ead circumference. By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and the wearing fixing portion 244,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be worn and fixed on the user's body.

착용 감지 센서(245)는, 광 출력 기기(2)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245)는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가 근접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는 광 출력 기기(2)가 착용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안면) 일부가 근접 센서로 근접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근접이 감지됨에 따른 감지 신호를,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근접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may detect whether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on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may be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When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is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that a part of the user's body (eg, a face) is approached by the proximity sensor as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The proximity sensor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detection of proximity of a part of the user's body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2. The control unit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detect whether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based on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손 등 다른 부위가 근접함에 따른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착용 감지 센서(245)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광 출력 기기(2)가 정상적으로 착용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in order to prevent false detection due to the proximity of other parts such as the user's hand, the control unit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determined from the wear detection sensor 245.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or more than a period of time, it may be detected that the optical output device 2 is normally worn.

이러한 착용 감지 센서(245)는 기판(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기판(22)을 통해 사용자 조작 장치(4)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wear detection sensor 24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22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through the substrate 22.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감지 센서(245)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사이, 또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사이, 및 코 안착부(243)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착용 감지 센서(245)는 사용자의 착용 시 이마 또는 미간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의 이마나 미간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ial contact portions, and above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have. That is,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orehead or the eyebrow when the user is wearing it, and may sense the proximity of the user's forehead or the eyebrow.

사람의 얼굴형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얼굴형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와 안면의 각 부위 사이의 거리 또한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시 광 출력 기기(2)와 미간 사이의 거리는 얼굴형에 따른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미간에 해당하는 위치에 착용 감지 센서(245)가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형과 관계없이 착용 여부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The face shape of a pers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output device 2 and each part of the face may also be parti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face shape. However, in general,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output device 2 and the eyebrow may have relatively littl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face shape. Therefore, the light output devic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detect whether the wearer is worn regardless of the user's face shape by arranging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row. have.

착용 감지 센서(245)의 착용 감지 여부에 따른 광 출력 기기(2)의 동작에 대한 예는 이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according to whether the wear detection sensor 245 is wor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below.

도 4를 참조하면, 패키지(1)는 사용자 조작 장치(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장치(4)는 광 출력 기기(2)와 케이블(421)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출력 기기(2)의 기판(22) 및 사용자 조작 장치(4) 각각에는 무선 통신 칩이나 소자가 더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ackage 1 may further include a user manipulation device 4.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may be connected by wire through the optical output device 2 and the cable 421,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may be connected wirelessl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or eleme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each of the substrate 22 and the user operation device 4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사용자 조작 장치(4)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a user to turn on/off the pow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or to set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사용자 조작 장치(4)의 본체부(41)에는 버튼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버튼부(411)는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동작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411)는 전원 버튼과 동작 모드 버튼이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부(411)의 일 측은 전원 버튼에 해당하고, 타 측은 동작 모드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버튼부(411)는 서로 분리된 전원 버튼과 동작 모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411)를 누르는 등의 조작을 통해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A button portion 411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41 of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For example, the button unit 411 may include a power button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and an operation mode button for changing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As shown in FIG. 4, the button unit 411 may be formed as a single unit with a power button and an operation mode button. In this case, one side of the button unit 411 may correspond to a power button, and the other side may correspond to an operation mod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utton unit 411 may include a power button and an operation mode button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user may turn on/off the pow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or set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pressing the button unit 411.

사용자 조작 장치(4)는 버튼부(411)의 조작에 따라 현재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 표시부(412), 및 배터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배터리 정보 표시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드 표시부(412)와 배터리 정보 표시부(413)는 LED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includes an operation mode display unit 412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currently set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411, and a battery information display unit 413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a battery state. can do. The operation mode display unit 412 and the battery information display unit 413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light source, but are not necessarily the case.

*구체적으로, 동작 모드 표시부(412)는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 모드 표시부(412)는 복수의 동작 모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 모드는 피부의 주름, 탄력, 및/또는 피부톤을 개선하기 위한 활성 촉진 모드와, 피부의 트러블을 제거하기 위한 트러블 제거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복수의 동작 모드 표시부 중 제1 동작 모드 표시부는 활성 촉진 모드에 대응하고, 제2 동작 모드 표시부는 트러블 제거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즉,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가 활성 촉진 모드인 경우, 제1 동작 모드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특정 색상의 광(예컨대, 적색 광)을 출력하고, 현재 선택된 동작 모드가 트러블 제거 모드인 경우, 제2 동작 모드 표시부가 활성화되어 특정 색상의 광(예컨대, 청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ion mode display unit 412 may notify the user of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selected operation mode. To this end, the operation mode display unit 4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ration mode display units. As described above in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include an activation promotion mode for improving wrinkles, elasticity, and/or skin tone of the skin, and a trouble removal mode for removing skin troubles. In this case, the first operation mode display unit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 display units may correspond to the active promo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display unit may correspond to the trouble removal mode. That is, when the currently selected operation mode is the active promotion mode, the first operation mode display unit is activated to output light of a specific color (eg, red light), and when the currently selected operation mode is the trouble removal mode,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display unit may be activated to output light of a specific color (eg, blue light).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는 배터리의 잔량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점멸 주기 등이 변경될 수 있다.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to the user. For example, the color of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be changed or the flashing period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일례로, 배터리의 잔량이 기준량 이상인 경우,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제1 색상(예컨대, 녹색)으로 표시되거나,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가 점멸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배터리의 잔량이 기준량 미만인 경우,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의 색상이 제2 색상(예컨대, 적색)으로 표시되거나, 배터리 상태 표시부(413)가 점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amount, the color of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be displayed in a first color (eg, green), or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not blink.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less than the reference amount, the color of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be displayed in a second color (eg, red), or the battery status display unit 413 may flash.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기판(22) 대신 사용자 조작 장치(4)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케이블(421)을 통해 기판(22)과 연결되어, 기판(22)에 구비된 광원이나, 착용 장치(24)에 구비된 착용 감지 센서(245)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be provided in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instead of the substrate 2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22 through the cable 421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provided on the substrate 22 or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provided in the wearing device 24. have.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조작 장치(4)는 보관시 크래들(3)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작 장치(4)는 연결 단자(422)를 통해 크래들(3)과 연결되어, 크래들(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조작 장치(4)의 내부에는 사용자 조작 장치(4)뿐만 아니라 광 출력 기기(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터리는 크래들(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광 출력 기기(2)의 동작 시 상기 배터리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user operation device 4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3 during storage. In this case,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may be connected to the cradle 3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422 to receive power from the cradl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as well as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may be provided inside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be charged by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3. In addition,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operated, the battery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cluding the rear cover shown in FIG. .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23A)는 개구부(231), 체결부(232), 사용자 조작 장치(4)와 기판(22)이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33), 착용 장치 체결부(234), 및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ar cover 23A includes an opening 231, a fastening part 232, a connection part 233 for connecting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and the substrate 22, and a wearing device fastening part 234. , And a wearing detection sensor connection part 235.

개구부(231)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의 착용시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2, the opening 231 may be formed to secure a user's field of view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리어 커버(23A)는 체결부(232)를 통해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부(232)는 체결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는 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리어 커버(23A)가 체결부(232)를 통해 프론트 커버(21) 및 기판(22)과 체결됨에 따라, 기판(22)은 프론트 커버(21) 및 리어 커버(23A)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될 수 있다.The rear cover 23A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cover 21 and the substrate 22 through the fastening part 232.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232 may be composed of a fastening hole and a screw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s the rear cover 23A is fastened with the front cover 21 and the substrate 22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232, the substrate 22 can be surrounded and protected by the front cover 21 and the rear cover 23A. have.

착용 장치(24)는 리어 커버(23)의 착용 장치 체결부(234)를 통해 리어 커버(23)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장치 체결부(234)는 특정 형상의 체결 홈 등으로 구현되고, 착용 장치(24)에는 상기 체결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됨으로써, 착용 장치(24)와 리어 커버(23)가 체결될 수 있다. 도 5에는 리어 커버(23)에 하나의 착용 장치 체결부(234)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착용 장치 체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wearing device 24 may be fastened with the rear cover 23 through the wearing device fastening portion 234 of the rear cover 23.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wearing device fastening part 234 is implemented as a fastening groov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the wearing device 24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groove, so that the wearing device 24 ) And the rear cover 23 may be fastened. 5 illustrates that one wearing device fastening part 234 is formed on the rear cover 23, but a plurality of wearing device fastening parts may be formed according to embodiments.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기판(22)과 착용 감지 센서(245) 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와 착용 감지 센서(24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착용 감지 센서(245)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 연결부(235)는 도전성을 갖는 접촉 패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착용 감지 센서(245)와 기판(22)의 연결을 위한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결공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connector 235 may be form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ubstrate 22 and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or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and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connection part 23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For example, the wear detection sensor connection part 235 may be implemented as a conductive contact pad, or as a connection hole through which a cable for connecting the wear detection sensor 245 and the substrate 22 passes.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커버(23)에는 그루브(236), 제1 렌즈(237), 및 제2 렌즈(238)가 형성될 수 있다.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 5, a groove 236, a first lens 237, and a second lens 238 may be formed in the rear cover 23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판(22)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22)에 배치되는 광원들 간의 간격은, 광원의 광 조사각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조사각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광원들을 배치하는 경우,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조사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광원이 배치되어 전력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22)에는 광원의 광 조사각에 기초하여 광원들이 배치됨으로써, 광 출력 기기(2)에 배치되는 광원들의 수가 최적화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피부 관리 동작의 효율 또한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22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n interval between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substrate 22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light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when light sources are arbitrarily arranged without considering the light irradiation angl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may not be evenly irradiated to the user's skin, or unnecessarily many light sources may be disposed, thereby reducing power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sources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22 based on the light irradiation angle of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number of light sources dispos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optimized to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nd efficiency of skin care operations. It can also be boosted.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광이 방출되는 경우, 광원이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로 조사되는 광의 세기는, 광원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로 조사되는 광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부로 광이 불균일하게 조사됨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피부 관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When light is emitted from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ski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disposed is the intensity of light irradiated to the skin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the light source is not disposed. May be greater than the century. That is, as the light is irradiated unevenly to the user's skin, the skin care effect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be deteriorated.

한편, 특정 부위의 피부에는 다른 부위의 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름이나 트러블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마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주름이 많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볼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기미나 주근깨 등이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이마나 볼 등과 같은 특정 부위에 상대적으로 보다 많은 광을 조사하여 피부 관리 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다.Meanwhile, a lot of wrinkles or troubles may be formed on the skin of a specific area compared to the skin of other areas. For example, a user's forehead may have more wrinkles than other areas, and a user's cheek may have more spots or freckles than other areas. In this case, the light output device 2 needs to maximize the skin care effect by irradiating relatively more light to a specific area such as a user's forehead or cheek.

그루브(236)는 리어 커버(23)의 렌즈(237, 238), 및 착용 장치(24)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그루브(236)는 리어 커버(23)의 표면을 굴곡지거나 불규칙하게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그루브(236)를 투과할 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에 광이 보다 고르게 조사되어, 안면의 여러 부위에 대한 피부 관리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groove 236 may be formed entirely in the rest of the rear cover 23 except for a portion on which the lenses 237 and 238 and the wearing device 24 are mounted. For example, the groove 236 may be curved or irregular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ar cover 23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ay be dispersed when passing through the groove 236. As a result, light is more evenly irradiated to the user's skin, so that the skin care effect for various parts of the face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제1 렌즈(237)와 제2 렌즈(238)는, 기판(22)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리어 커버(23)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렌즈(237)는 볼록 렌즈로 구현되고, 제2 렌즈(238)는 평면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lens 237 and the second lens 238 may be disposed on the rear cover 23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isposed on the substrate 22. For example, the first lens 237 may be implemented as a convex lens, and the second lens 238 may be implemented as a planar lens.

특히, 제1 렌즈(237)는 이마나 볼 등과 같이 주름이나 트러블 등의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 즉 피부 관리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부위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irst lens 237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wrinkles or troubles, such as a forehead or cheek, that is,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need for skin care.

도 6을 참조하면, 기판(22)에 구비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1 렌즈(237)를 통과할 때, 상기 방출된 광은 제1 렌즈(237)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소정 범위로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다. 즉, 제1 렌즈(237)를 통과한 광(L)은, 제1 렌즈(237)에 대응하는 위치의 피부 부위로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다. 해당 피부 부위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광이 집중됨에 따라, 피부 관리의 효과가 보다 높아질 수 있다.6,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provided on the substrate 22 passes through the first lens 237, the emitted light is refrac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237 It can be concentrated in a range and investigated. That is, the light L passing through the first lens 237 may be concentrated and irradiated to the skin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ns 237. As light is concentrated in the skin area compared to other areas, the effect of skin care may be higher.

한편, 기판(22)에 구비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2 렌즈(238)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방출된 광은 제2 렌즈(238)를 통과할 때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제2 렌즈(238)를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반사된 광은 기판(22)에서 다시 반사되어 그루브(236) 등을 통해 피부로 조사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A)는 그루브(236)와 제1 렌즈(237)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provided on the substrate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lens 238, the emitted light is partially reflected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 lens 238, and partially May pass through the second lens 238 as it is. The reflected light may be reflected back from the substrate 22 and irradiated to the skin through the groove 236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cover 23A may include only the groove 236 and the first lens 237.

즉, 리어 커버(23A)에 형성되는 그루브(236)에 의해,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피부로 고르게 조사될 수 있다. 또한, 피부 관리의 필요성 또는 중요도가 높은 부위에는 제1 렌즈(237)가 형성되어,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해당 부위로 집중되어 조사됨으로써, 피부 관리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That is, by the groove 236 formed in the rear cover 23A,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can be evenly irradiated to the skin. In addition, the first lens 237 is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necessity or importance of skin care is high,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is concentrated and irradiated to the region,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skin car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 커버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단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cluding the rear cover shown in FIG. 7 .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리어 커버(23B)는 기판(22)의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도광층(2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과 도 8에서는 리어 커버(23B)에 도광층(239)만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B)에는 도 5의 제1 렌즈(237)와 도광층(239)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광층(239)는 그루브(236) 및 제2 렌즈(238) 대신 형성될 수 있다.7 and 8, the rear cover 23B may include a light guide layer 239 for evenly distribu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of the substrate 22. 7 and 8 show that only the light guide layer 239 is formed on the rear cover 23B,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lens 237 and the light guide layer 239 of FIG. 5 are included in the rear cover 23B. It can also be formed. In this case, the light guide layer 239 may be formed instead of the groove 236 and the second lens 238.

도광층(239)은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피부 쪽으로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피부 쪽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ight guide layer 239 transmits and diffus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toward the skin,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is uniformly provided toward the skin.

도광층(239)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광층(239)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39)의 내부에는 다수의 산란 입자들(239A)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산란 입자들(239A)은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피부로 광이 보다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The light guide layer 239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for example, silicone or acrylic resin. However, the light guide layer 239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resins other than that. In addition, a plurality of scattering particles 239A may be provided inside the light guide layer 239. In detail, the scattering particles 239A may scatter or refract light,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may be diffused more widely. As a result, light can be irradiated more evenly to the user's skin.

산란 입자들(239A)은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scattering particles 239A are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guide layer 239 in order to scatter or refra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and more specifically, a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guide layer 239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a silicone-based or acrylic-based resin.

예를 들어, 산란 입자들(239A)은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스티렌 (PS), 실리콘,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cattering particles 239A are poly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M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styrene (PS), silicon, titanium dioxide (TiO2), silicon dioxide ( SiO2)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by combining the above materials.

한편, 산란 입자들(239A)은 도광층(239)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광층(239)에 기포(bubble)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cattering particles 239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light guide layer 239, for example, may be formed by forming bubbles in the light guide layer 239. have.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포함된 리어 커버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r cover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shown in FIG. 1.

도 9를 참조하면, 리어 커버(23)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따라 배치되는 광 흡수부(DOT)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rear cover 23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part DOT disposed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231.

광 흡수부(DOT)는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되어 개구부(231)에 인접하도록 조사되는 광을 흡수함으로써, 광원(222)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통해 사용자의 안구로 직접 또는 안구에 근접하도록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출력 기기(2)의 사용시 안구에 광이 조사됨에 따라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거나, 안구에 손상을 초래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 흡수부(DOT)는 폴리실리콘, 갈륨아세나이드(GaAs) 등의 광 흡수성이 높은 각종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The light absorbing unit (DOT) absorb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and irradiated adjacent to the opening 231,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2 passes directly to the user's eyeball through the interface of the opening 231. Or it can prevent the irradiation close to the eyeball. Accordingly, when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used, the risk of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or causing damage to the ey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s light is irradiated to the eyeball. The light absorbing part DO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aterials having high light absorption, such as polysilicon or gallium arsenide (GaA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흡수부(DOT)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광 흡수부(DOT)는 개구부(231)의 경계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9, a plurality of light absorbing units DO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231,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absorbing unit DOT may be disposed at the boundary surface of the opening 231. It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리어 커버(23)에는 광 흡수부(DOT) 대신 광의 투과를 방지하는 광 투과 방지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광 투과 방지부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등의 작용을 통해 광이 사용자의 안구로 조사되거나 안구에 근접하도록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 cover 23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ssion preventing unit that prevents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instead of the light absorbing unit DOT. The light transmission prevention unit may prevent the light from being irradiated to the user's eyeball or being irradiated to the eyeball by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도 9에서는 사용자의 안구와 근접한 위치에 광 흡수부(DOT)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광 흡수부(DOT)는 사용자의 입(mouth)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배치되어, 상대적으로 피부가 약한 입에 광이 조사되어 부작용을 초래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9 shows that the light absorbing unit DOT is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user's eyeball,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absorbing unit DOT is also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mouth, As light is irradiated to the weak-skinned mouth, the risk of causing side effects can be prevented.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착용 감지 센서의 배치 위치에 대한 추가적인 실시 예를 보여주기 위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배면도이다.FIG. 10 is a rear view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to show an additional embodiment of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wear detection sensor shown in FIG.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출력 기기(2)에 포함된 착용 감지 센서(245)는 사용자의 미간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ther tha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brows and detect whether the user is wearing i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출력 기기(2)에 포함된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코 안착부(243)의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착용 감지 센서(245A)가 근접 센서 또는 접촉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코 안착부(243)의 표면에 배치된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사용자의 착용 시 코 안착부(243)가 사용자의 코와 근접 또는 접촉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광 출력 기기(2) 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장착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wear detection sensor 245A inclu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be disposed inside the nose seat 243 or on the surface of the nose seat 243. For example, when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A is implemented as a proximity sensor or a contact sensor,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A disposed inside the nose compartment 243 or on the surface of the nose compartment 243 is worn by the user. When the nose seating unit 243 approaches 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nose, a detec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light output device 2 or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can detect that the user has installed the light output device 2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코 안착부(243)는 사용자의 얼굴형과 관계없이,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코 안착부(243)의 내부 또는 표면에 착용 감지 센서(245A)가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착용시 코가 코 안착부(243)와 접촉하게 되어 착용 여부를 다른 위치에 비해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The nose seating part 243 may contact the user's nose when worn, regardless of the user's face shape. Therefore, when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A is disposed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the nos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when the user is wearing it, so that whether or not wearing is accurately detected compared to other locations. I can.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 다른 부위가 근접함에 따른 오감지를 방지하기 위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착용 감지 센서(245A)로부터 소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광 출력 기기(2)가 정상적으로 착용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in FIG. 3, in order to prevent false detection due to proximity of other parts such as a user's finger when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control unit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includes a wear detection sensor ( When a detection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245A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may be detected that the optical output device 2 is normally worn.

도 10에서는 착용 감지 센서(245A)가 코 안착부(243)에 배치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착용 감지 센서(245A)는 사용자의 착용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는 다른 위치(예컨대, 안면 접촉부(242)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얼굴형 차이에 따른 오감지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In FIG. 10, only an embodiment in which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A is disposed on the nose seating portion 243 has been described,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A is a different location in which a user's body part is contacted when the user wears it. It is disposed on (for example, the face contact part 242, etc.),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erroneous dete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face shape of the user, and accurately detect whether or not to wea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이 온 될 수 있다(S100).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버튼부(411)의 전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광 출력 기기(2)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power of the optical output device 2 may be turned on by a user's manipulation (S100). For example, the user can turn on the pow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by operating the power button of the button unit 411 provided in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광 출력 기기(2)는, 착용 감지 센서(24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10).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detect whether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using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S110).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전원이 온 된 경우 착용 감지 센서(245)를 활성화시켜,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착용 감지 센서(245)와 관련된 내용은 도 3에서 상술한 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troll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detect whether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by activating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content related to the wearing detection sensor 245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nd an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것으로 감지하기 전까지는 광을 출력하지 않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so as not to output light until the user detects that the light output device 2 is worn.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 사용자의 피부로 광을 조사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S120).When the light output device 2 detects that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it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to irradiate light to the user's skin (S120).

예컨대, 사용자는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전 미리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고, 광 출력 기기(2) 착용 후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may set the operation mode in advance before wearing the light output device 2 or set the operation mode after wearing the light output device 2.

사용자는 광 출력 기기(2)의 착용 전, 버튼부(411)의 동작 모드 버튼을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Before wearing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user may set the operation mode in advance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mode button of the button unit 411. In this case, the controller of the light output device 2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to automatically output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when a user's wearing is detected.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광 출력 기기(2)를 착용한 후, 사용자 조작 장치(4)에 구비된 버튼부(411)의 동작 모드 버튼을 조작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면, 광 출력 기기(2)의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광을 출력하도록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fter the user wears the light output device 2, if the operation mode button of the button unit 411 provided in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4 is set to set the operation mode, the light output device 2 The controller of) may control the light source to output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t operation mode.

즉, 광 출력 기기(2)는 사용자의 착용 전에는 광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 중 눈으로 광이 조사됨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이나 안구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at is, as the light output device 2 controls the light not to be output before the user wears 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discomfort or damage to the eyeball due to the irradiation of light to the user's eyes while wearing it, and effectively consume unnecessary power. Can be prevented, and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maximiz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들이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을 덮는 프론트 커버;
상기 기판의 타 면을 덮는 리어 커버;
상기 리어 커버에 체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도록 상기 얼굴에 접촉되는 착용 장치; 및
상기 착용 장치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얼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는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착용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와 제2 개구부,
상기 제1,2 개구부 각각의 경계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제1 안면 접촉부와 제2 안면 접촉부 및
상기 제1,2 안면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는 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코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얼굴의 이마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얼굴의 볼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굴절시켜, 상기 이마 및 상기 볼에 조사하는 복수의 제1 렌즈들, 및
상기 제1,2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상기 복수의 제1 렌즈들과 다른 타입의 복수의 제2 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된 광을 분산시켜, 상기 얼굴에 고르게 조사시키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복수의 제1 렌즈들, 상기 복수의 제2 렌즈들 및 상기 착용 장치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In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A front cover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rear cover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wearing device fastened to the rear cover to contact the face of the user so that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s worn on the user's face; And
It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wearing device, and includes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face is close,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roximity sen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is worn,
The wearing devic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The first and second face contact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inte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nd ar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cial contact portions, and includes a nose seating portion to be seated on the nose of the user,
The proximity sensor is disposed above the nose seat,
The rear cover
Arranged in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orehead of the face and a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eeks of the face, refracting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irradiate the forehead and the cheek A plurality of first lenses, and
A plurality of second lenses of a type different from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which are disposed in area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areas to pass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e rear cover is formed with a groove for disper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evenly irradiate the face,
The groove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a portion o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and the wearing device are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기 프론트 커버, 상기 리어 커버, 및 상기 착용 장치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는 나머지 개구부들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substrate, the front cover, the rear cover, and the wearing device forms an opening for securing a view of the user,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wherein the siz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subst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remaining open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들 및 상기 근접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얼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얼굴이 근접한 경우, 상기 얼굴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proximity sensor,
The control unit,
Detecting whether the face is in proximity based on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proximity sensor,
When the face is close, it is determined that the face is worn, and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controls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emit 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판 또는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provided on the substrate or a user manipu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광을 방출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emit different light based on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렌즈들 각각은 볼록 렌즈이고,
상기 복수의 제2 렌즈들 각각은 평면 렌즈인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lenses is a convex lens,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lenses is a flat lens,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도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은 복수의 산란 입자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cover,
Further comprising a light guide layer for scatter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he light guide layer is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cluding a plurality of scattering part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의 양 면 중 상기 기판을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경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광 흡수부가 배치되는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cover,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for securing the user's view,
On the side of both sides of the rear cover facing the substrate,
A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in which at least one light absorbing unit is disposed along an interface of the opening.
제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사용자 조작 장치; 및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및 상기 사용자 조작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피부 관리용 광 출력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조작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피부 관리 패키지.
The light output device for skin ca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user manipu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skin care light output device and including a button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kin care light output device; And
A skin care package comprising a cradle connected to the skin care light output device and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a battery provided in the skin care light output device or the user manipulation device.
KR1020180040903A 2017-08-14 2018-04-09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KR102254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en) 2017-08-14 2018-04-09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KR1020190079711A KR102290626B1 (en) 2018-04-09 2019-07-02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04A KR20190018221A (en) 2017-08-14 2017-08-14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en) 2017-08-14 2018-04-09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04A Division KR20190018221A (en) 2017-08-14 2017-08-14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11A Division KR102290626B1 (en) 2018-04-09 2019-07-02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83A KR20190018383A (en) 2019-02-22
KR102254843B1 true KR102254843B1 (en) 2021-05-24

Family

ID=6558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03A KR102254843B1 (en) 2017-08-14 2018-04-09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8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560B1 (en) * 2019-03-27 2022-07-15 아이디어브릿지 지식재산1호 창업벤처전문 사모투자 합자회사 Light mask device for skin
KR102293845B1 (en) * 2019-03-28 2021-08-25 (주) 공감 Smart skin beauty mask
KR102355064B1 (en) * 2019-07-15 2022-01-25 (주)셀리턴 Mask apparatus for skin care
KR20210014240A (en) 2019-07-29 2021-02-09 희성전자 주식회사 Light emitting diode mask device
JP7440661B2 (en) 2020-04-08 2024-02-28 コリア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LED irradiator and facial recovery method using it
KR102404124B1 (en) 2020-04-08 2022-06-02 (주)코리아테크 LED irradiation device and facial rejuvenation method thereby
US11975215B2 (en) * 2020-05-26 2024-05-07 Know Bio, Llc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phototherapeutic treatment of skin
KR102557314B1 (en) * 2020-10-15 2023-07-19 (주) 파오드 Facial skin care mask device
KR102650028B1 (en) * 2021-07-23 2024-03-21 (주) 파오드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in which the inner mask is made of graphene composite mater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48Y1 (en) * 2012-06-21 2014-03-28 신헌철 Face mask
KR101635927B1 (en) 2016-01-08 2016-07-04 김종천 Mask devices for facial treatment
KR101735703B1 (en) 2016-03-24 2017-05-15 (주)엠엠코리아 LED Mask device for managing the face and scal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26B1 (en) * 2005-11-21 2007-09-03 김태형 Mask having skin beauty and therapy function
KR101074882B1 (en) 2010-10-29 2011-10-19 (주) 로우티에스 Mask apparatus for skin beauty care using light
US8771328B2 (en) * 2011-09-08 2014-07-08 La Lumiere Llc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48Y1 (en) * 2012-06-21 2014-03-28 신헌철 Face mask
KR101635927B1 (en) 2016-01-08 2016-07-04 김종천 Mask devices for facial treatment
KR101735703B1 (en) 2016-03-24 2017-05-15 (주)엠엠코리아 LED Mask device for managing the face and scal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383A (en)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843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US11198019B2 (en) Optical output device for skin care
KR101735703B1 (en) LED Mask device for managing the face and scalp
KR101616002B1 (en)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linic
US20230000683A1 (en) Skin care apparatus
US9789333B2 (en)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KR102290626B1 (en) Illumination device for skin care
US20220152417A1 (en) Mask device for skincare using light
KR101440325B1 (en) Skin care apparatus using light and controlling apparatus method thereof
KR200474613Y1 (en) Beauty mask
US20220001195A1 (en) Light outputting device for scalp care
KR102490509B1 (en) Personal mask with combination stimulaion led
KR102162432B1 (en) Skin care device
KR102667061B1 (en) Skin care device
KR102667062B1 (en) Skin care device
KR102375681B1 (en) Mask for skin care
KR200494147Y1 (en) Light emitting diode face mask apparatus having wear stability and storage design elegance
ES2796325T3 (en) Phototherapy point applicator
KR102157630B1 (en) Glass-Type Photocosmetic Device
KR102663911B1 (en) skin care device
KR102461332B1 (en) Portable skin beauty machine
AU2019204695B2 (en) Light therapy platform system
KR101591434B1 (en) Skin care apparatus using light
ES2796304T3 (en) Phototherapy platform system
KR20220057372A (en) Skin car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