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622B1 -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 Google Patents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622B1
KR102254622B1 KR1020190078322A KR20190078322A KR102254622B1 KR 102254622 B1 KR102254622 B1 KR 102254622B1 KR 1020190078322 A KR1020190078322 A KR 1020190078322A KR 20190078322 A KR20190078322 A KR 20190078322A KR 102254622 B1 KR102254622 B1 KR 10225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buoyancy
water
f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766A (en
Inventor
신건수
Original Assignee
신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건수 filed Critical 신건수
Priority to KR102019007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622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12Printed circuits or mounted components having integr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수의 콘트롤 박스에 히터, 투습방수지 및 고정링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롤 박스에 스며든 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에 관한 것으로,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립공(46); 조립공(46)을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47); 및 투습방수지(47)를 콘트롤 박스(49)에 고정시키는 고정링(48);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that can quickly remove water penetrating into the control box by forming a heater, a moisture-permeable resin and a fixing ring in the control box of the fountain,
A fountain for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comprising: a heater formed in a control box 49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 assembly hole 46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47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covering the assembly hole 46; And a fixing ring 48 for fixing the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47 to the control box 49.

Description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분수의 콘트롤 박스에 스며든 물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는 분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ountain that can be removed by evaporating water that has permeated into a control box of a fountain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분수가 음성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하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광경을 연출하는 음악분수가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호수 중앙에 떠 있으면서 작동하는 분수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several fountains have been installed, and each fountain operates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usic, and a musical fountain has emerged that creates a scene of dancing. In particular, it is in the spotlight while floating in the center of the lake.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provide fractions.

그러나 일명 부유 분수라고 소개되는 호수 위에 떠 있는 분수는 겨울에 기온이 하강하여 호수가 어는 경우에 분수도 함께 얼게 되어 부유 분수가 동파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상기와 같은 부유 분수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겨울이 되기 전에 호수 위에 설치해 놓은 부유 분수를 매번 분리·회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However, the floating fountain, which is introduced as a floating fountain, has a problem that the floating fountain freezes when the temperature drops in winter and the lake freezes, causing the floating fountain to freeze. Before this, the cumbersome work of separating and recovering the floating fountain installed on the lake was required every time.

그리하여 본 발명자가 과거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0836730호에서는 분수를 물속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잠수장치를 본체에 설치함으로써, 평소에는 물속에 잠겨 있다가 분수 작동시에만 부상하여 분수에 대한 신비감이 극대화되고, 겨울에도 동파의 염려가 없는 잠수 분수를 연출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836730, which the inventor applied for and registered in the past, by installing a diving device in the main body that raises and lowers the fountain, it is usually submerged in the water, but only when the fountain is operated, the mystery of the fountain. This was maximized, and even in winter, it was possible to create a diving fountain without fear of freezing.

하지만, 본 발명자의 종래기술은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분수 장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 분수 장치가 고장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ors has a serious problem in that the water fountain device fails when water seeps into the fountain device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수의 콘트롤 박스에 히터, 투습방수지 및 고정링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롤 박스에 스며든 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heater,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and a fixing ring in the control box of the fountain, to provide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that can quickly remove the water that has permeated into the control box. There is a purpose.

분수를 물공급관, 우회몸체, 중간관 및 노즐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체결부를 본체의 하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다양한 패턴의 분수를 연출할 수 있는 분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The fountain is formed by dividing it into a water supply pipe, a bypass body, an intermediate pipe, and a nozzle, and the joint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simple, so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considerably reduced.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 fountain that can not only create a fountain of various patterns, but also can produce a fountain of various patterns.

또한, 잠수식 부력체를 형성함으로써, 급수펌프의 동작에 따른 즉각적인 제어가 가능한 분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ubmersible buoyancy body,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fountain capable of immediate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상기 콘트롤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립공; 상기 조립공을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 및 상기 투습방수지를 상기 콘트롤 박스에 고정시키는 고정링;을 포함한다.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comprises: a heater formed inside a control box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 assembly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covering the assembly hole; And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to the control box.

상기 조립공에는 곡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투습방수지가 상기 곡관의 타단을 덮으며, 상기 고정링이 상기 투습방수지를 상기 곡관의 타단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One end of the curved pipe is coupled to the assembly hole,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resin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and the fixing ring may fix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resin to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상기 콘트롤 박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볼트; 상기 조립볼트를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 및 상기 투습방수지를 상기 조립볼트에 고정시키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너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comprising: a heater formed inside a control box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 assembly bolt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and having a through hole; A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covering the assembly bolt and having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properties; And an assembly nut that fixes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to the assembly bolt and has a through hole.

상기 콘트롤 박스의 일측에는 곡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곡관의 타단에는 상기 조립볼트가 형성되며, 상기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는 누설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누설센서가 누수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히터가 작동될 수 있다.One end of the b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the assembly bolt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end, and a leak sensor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and when the leak sensor detects a leak, the heater is It can work.

또한, 상기 분수는 로봇 분수로서, 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물 공급관; 상기 본체의 하면과 물 공급관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 하부로 돌출되며, 단면이 “∪”자 형상인 체결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관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상기 본체의 상면과 물 공급관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이 “ㅠ”자 형상인 지지부; 상기 물 공급관의 상단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공급관과 연통되는 우회로가 형성되는 우회몸체; 회전체는 상기 우회몸체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기 우회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체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통과공;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일단은 상기 통과공과 연통되는 중간관; 상기 회전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관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중간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우회몸체에 결합된 회전체가 물 공급관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상기 노즐의 회전방향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물 공급관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우회로, 통과공 및 중간관을 통과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서 분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ntain is a robot fountain, the water supply pipe rot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A fastening part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 shape in cross section; A first motor formed inside the body and rotating the water supply pipe; A support part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ㅠ" shape in cross section; A bypass body which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has a bypass circuit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pipe; The rotating body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ypass body, th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An intermediate tube rotating inside the rotating body and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A second motor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to rotate the intermediate pipe; And a nozz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ipe, wherein the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bypass body rotates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ozzle cross each other, and the water Water supplied to the supply pipe may be sprayed through the nozzle through the bypass, the through hole, and the intermediate pipe.

상기 분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수식 부력체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 상기 부력파이프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가 멈출 때에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 및 상기 부력파이브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을 포함하거나,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 상기 제1배수관의 타단이 연결되는 배수 실린더; 상기 배수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배수펌프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배수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배수관;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 상기 급수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가 멈출 때에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 및 상기 부력파이브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untain include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a buoyancy pipe fixed to the frame; A drain pip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and extending upward; A drain pump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drain pipe and discharging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A water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ipe and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stopp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when the water supply pump is stopped; And an air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and extending upwardly; a buoyancy pipe including or fixed to the frame; A first draina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A drain cylinder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ain pipe is connected; A drain pump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A second drain pipe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rain cylinder; A water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ipe and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stopp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when the water supply pump is stopped; And an air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five and extending upward.

본 발명은 분수의 콘트롤 박스, 본체 및/또는 회전체에 히터, 투습방수지 및 고정링(또는 조립너트)을 형성함으로써, 콘트롤 박스에 스며든 물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apidly removing water that has permeated the control box by forming a heater, a moisture-permeable resin, and a fixing ring (or assembly nut) on the control box of the fountain, the main body and/or the rotating body.

잠수식 부력체로서, 배수관, 배수펌프, 급수관, 급수펌프, 공기관 및 멈춤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여 제작,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상당히 감소할 뿐 아니라 대형화할 수 있고, 급수펌프 및 배수펌프의 동작에 따른 즉각적인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by forming a drain pipe, a drain pump, a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pump, an air pipe and a stop,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simple, so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considerably reduced, and the size can be increased. , There is also an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the drain pump.

또한, 잠수식 부력체에 설치되는 분수에는 물공급관, 우회몸체, 중간관 및 노즐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체결부를 본체의 하면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패턴의 분수를 연출할 수 있고, 분수의 회전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조립과 분해를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메인부에 전선공을 형성하여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고, 다수의 로봇 분수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분수 쇼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fountain installed in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s formed by dividing into a water supply pipe, a bypass body, an intermediate pipe, and a nozzle, and by forming a fasten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oduce a fountain of various patterns While securing rotational stability, assembly and disassembly can be carried out more conveniently. A wire hole is formed in the main part to prevent twisting of wires, and a number of robot fountain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for various types of fountain show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이 형성된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이 형성된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본체의 투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본체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회전체의 투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회전체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부분 단면 3D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누설센서와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3D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부분 3D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배수부의 3D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배수부와 공기관의 정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급수부의 3D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급수부의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with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with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body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otating body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3D perspective view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k sensor and a bracke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artial 3D perspective view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portion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outlet and the air pipe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3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par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이 형성된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with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립공(46); 조립공(46)을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47); 및 투습방수지(47)를 콘트롤 박스(49)에 고정시키는 고정링(48);을 포함한다. 이때, 조립공(46)에는 곡관(45)의 일단이 결합되고, 투습방수지(47)가 곡관(45)의 타단을 덮으며, 고정링(48)이 투습방수지(47)를 곡관(45)의 타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comprising: a heater formed inside a control box 49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 assembly hole 46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47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covering the assembly hole 46; And a fixing ring 48 for fixing the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47 to the control box 49. At this time, in the assembly hole 46, one end of the bent pipe 45 is coupled,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covers the other end of the bent tube 45, and the fixing ring 48 connects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to the curved pipe 45. Can be fixed to the other end.

상기 전자부품에는 모터, 감속기, 인버터, 이더넷 및 각종 회로기판 등이 포함되고, 전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The electronic components include a motor, a speed reducer, an inverter, an Ethernet, and various circuit boards, and various components that require electricity may be included.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콘트롤 박스(49)에 형성된 구성요소는 후술하는 제1모터(14)가 형성되는 본체(10) 또는 제2모터(24)가 형성되는 회전체(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remove moisture, the components formed in the control box 49 can be applied equally to the body 10 on which the first motor 14 is formed or the rotating body 20 on which the second motor 24 is 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ve.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일측에는 조립공(46)이 형성되고, 투습방수지(47)는 조립공(46)을 덮으며, 고정링(48)은 투습방수지(47)를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링(48)과 투습방수지(47)는 볼트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고, 투습방수지(47)로는 고어텍스와 같이 투습성과 방수성을 지닌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An assembly hole 4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47 covers the assembly hole 46, and the fixing ring 48 is moisture-permeable. The waterproof paper 47 is fixed to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At this time, the fixing ring 48 and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may be fixed through bolts, and as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material 47, various materials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such as Gore-Tex may be used.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상당한 부분이 물 속에 잠겨 있는 경우에는 조립공(46)에 곡관(45)을 결합하여 곡관(45)의 타단이 수면 밖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곡관(45)의 일단이 조립공(46)에 결합되고, 투습방수지(47)가 곡관(45)의 타단을 덮으며, 고정링(48)이 곡관(45)의 타단에 투습방수지(47)를 고정시킨다. 이때, 곡관(45)의 타단은 측면을 향하거나 더 구부러져 하면을 향하도록 하여 빗물이 투습방수지(47)에 들이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a substantial part of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is submerged in water, the other end of the bend 45 is positioned outside the water surface by connecting the bend 45 to the assembly hole 46. Do it. That is, one end of the curved pipe 45 is coupled to the assembly hole 46,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resin 47 covers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and the fixing ring 48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 Is fixed.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is directed toward the side or further bent toward the lower surface, so that rainwater can be minimized from hitting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분수의 일부 또는 상당한 부분이 물 속에 잠겨 있는 경우에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또는 회전체(20) 등으로 물이 스며들 수 있고,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또는 회전체(2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며든 물을 빨리 외부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When a part or a substantial part of the fountain is submerged in water, water may permeate into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or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or the ash Since electronic components are formed inside the entire 20, it is necessary to quickly remove the water that has permeated to the outside.

이때, 히터가 스며든 물을 증발시켜 투습방수지(4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투습방수지(47)는 빗물과 같은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정해진 시간 동안 규칙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나,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또는 회전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누설센서가 누수를 감지하는 경우에만 작동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impregnated by the heater is evapor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47, and the moisture-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47 blocks the inflow of external water such as rainwater into the interior. In addition, the heater may be operated regularly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ut may be operated only when a leak sensor formed in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or the rotating body 20 detects water leakag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이 형성된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곡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of a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with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8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urved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볼트(56); 조립볼트(56)를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47); 및 투습방수지(47)를 조립볼트(56)에 고정시키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너트(58);를 포함한다. 이때,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는 곡관(45)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곡관(45)의 타단에는 상기 조립볼트(56)가 형성될 수 있다.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comprising: a heater formed inside a control box 49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 assembly bolt 56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nd having a through hole;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47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covering the assembly bolt 56; And an assembly nut 58 in which the moisture permeable and waterproof resin 47 is fixed to the assembly bolt 56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curved pipe 45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nd the assembly bolt 56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일측에는 조립볼트(56)가 형성되고, 조립볼트(56)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투습방수지(47)는 조립볼트(56)를 덮으며, 조립너트(58)는 투습방수지(47)를 조립볼트(56)에 고정시키고, 조립너트(58)에는 통공이 형성된다.An assembly bolt 5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the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ssembly bolt 56, and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is an assembly bolt ( 56), and the assembly nut 58 fixes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resin 47 to the assembly bolt 56,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assembly nut 58.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상당한 부분이 물 속에 잠겨 있는 경우에는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일측에 곡관(45)을 결합하여 곡관(45)의 타단이 수면 밖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즉, 곡관(45)의 일단이 콘트롤 박스(49),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일측에 결합되고, 곡관(45)의 타단에는 조립볼트(56)가 형성되며, 투습방수지(47)는 조립볼트(56)를 덮으며, 조립너트(58)는 투습방수지(47)를 조립볼트(56)에 고정시킨다.When a substantial part of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is submerged in water, a curved pipe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Combine (45)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urface. That is, one end of the curved pipe 4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the main body 10 and/or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assembly bolt 5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and breathable The waterproof paper 47 covers the assembly bolt 56, and the assembly nut 58 fixes the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resin 47 to the assembly bolt 56.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부분 종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longitudinal section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수는, 본체(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체(20)가 형성되고,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회전방향이 교차하는 노즐(30)을 포함하는 분수에 있어서,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물 공급관(11); 본체(10)의 하면과 물 공급관(1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본체(10)의 하면 하부로 돌출되며, 단면이 “∪”자 형상인 체결부(12);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물 공급관(11)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4); 본체(10)의 상면과 물 공급관(11)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이 “ㅠ”자 형상인 지지부(16); 물 공급관(11)의 상단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물 공급관(11)과 연통되는 우회로(19)가 형성되는 우회몸체(18); 회전체(20)는 우회몸체(18)의 상면에 체결되고, 우회로(19)와 연통되도록 회전체(2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통과공(21); 회전체(20)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일단은 통과공(21)과 연통되는 중간관(23); 회전체(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중간관(23)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간관(23)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24); 및 중간관(23)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즐(30);을 포함하고, 물 공급관(11)에 공급되는 물은 우회로(19), 통과공(21) 및 중간관(23)을 통과하여 노즐(30)을 통해서 분사된다.In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untain including a nozzle 30 having a rotating body 20 rotatab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cross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 , A water supply pipe 11 rot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 fastening portion 12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 shape in cross section; A first motor 14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rotating the water supply pipe 11; A support part 16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having a “ㅠ” shape in cross section; A bypass body 18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has a bypass circuit 19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rein; The rotating body 2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ypass body 18, the through hole 21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body 19; An intermediate pipe 23 which rotates inside the rotating body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21 at one end; A second motor 24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2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23 to rotate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a nozzle 3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ipe 23, wherein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passes through the bypass 19,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It is sprayed through (30).

본 발명에 따른 분수는 본체(10), 우회몸체(18), 회전체(20) 및 노즐(30)을 포함하고, 본체(10)는 물 공급관(11), 체결부(12), 제1모터(14) 및 지지부(16)를 포함하며, 하면 일측에 통과공(21)이 형성되는 회전체(20)는, 중간관(23) 및 제2모터(24)를 포함한다.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bypass body 18, a rotating body 20 and a nozzle 30, and the body 10 is a water supply pipe 11, a fastening part 12, a first The rotating body 20, which includes a motor 14 and a support 16, and in which a through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includes an intermediate pipe 23 and a second motor 2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본체 내부가 보이도록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본체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부분 단면을 3D 랜더링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누설센서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ee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3D-render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akage sensor and bracket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물 공급관(11)은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고, 베어링(42)으로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11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is supported by a bearing 42 to rotate.

단면이 “∪”자 형상인 체결부(12)는 본체(10)의 하면 하부로 돌출되고, 본체(10)의 하면과 물 공급관(1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체결부(12)의 하면은 물 배관(60)에 결합되고, 체결부(12)의 하면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물 배관(60)에서 공급되는 물이 물 공급관(11)으로 전달된다. 또한, 물 공급관(11)과 체결부(12) 사이에는 베어링(42)이 형성되고, 베어링(42)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43)이 형성되며, 체결부(12)의 상단에는 플랜지(28)가 형성되고, 플랜지(28)를 통해 체결부(12)는 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체결부(12)를 본체(10)의 하면 하부로 돌출시켜 본체(10)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의 손실 없이 상하로 다수의 실링(43)을 형성할 수 있어 본체(10)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12 having a "∪" shape in cross sect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water pipe 6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12 penetrates up and down so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60 is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In addition, a bearing 42 is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fastening part 12, at least one sealing 43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earing 42, and a flang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part 12. 28 is formed, and the fastening portion 12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through the flange 28. The fastening part 12 can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secure a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sealing 43 can be formed up and down without loss of space, so that the main body 10 ) It can prevent leakage into the inside.

단면이 “ㅠ”자 형상인 지지부(16)는 본체(10)의 상면과 물 공급관(11)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지지부(16)는 본체(10)의 상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체결되며, 지지부(16)의 상면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물 공급관(11)이 삽입되고, 물 공급관(11)과 지지부(16)의 사이에 베어링(42)이 형성되며, 베어링(42)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43)이 형성된다.The support part 16 having a "ㅠ" shape in cross sect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support part 16 is inser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the lower part. It is fastene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16 is penetrated vertically to insert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a bearing 42 is formed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support unit 16, and the bearing 42 At least one sealing 43 is formed on the top.

이때, 물 공급관(11)의 상단부에 단면이 “ㅠ”자 형상인 메인부(11a)가 일체로 결합되면, 메인부(11a)와 지지부(16)의 사이에 베어링(42)이 형성되고, 베어링(42)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43)이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main part 11a having a “T” shape in cross sectio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 bearing 42 is formed between the main part 11a and the support part 16, At least one seal 43 is formed on the bearing 42.

슬립링(13; slip ring)이 물 공급관(11)의 하부 외면에 형성되어 회전체(20)로 전력과 신호를 전선의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메인부(11a)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전선공(15)이 형성되고, 메인부(11a)의 상단에 결합되는 우회몸체(18)에도 전선공(15)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우회몸체(18)의 상단에 결합되는 회전체(20)에도 전선공(15)이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슬립링(1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선이 전선공(15)을 통과하여 회전체(20)의 내부로 제공되는바, 물 공급관(11)과 회전체(20)가 회전하더라도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다.A slip ring 13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1 to stably supply power and signals to the rotating body 20 without twisting the wires. The main part 11a is formed with a wire hole 15 penetrating up and down, and the wire hole 15 is extended and formed in the bypass body 18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art 11a, and the bypass body 18 ), the wire hole 15 is also extended and formed in the rotating body 20 coupled to the upper end, so that the wire provided from the slip ring 13 passes through the wire hole 15 and is provided in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Bar, even i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rotating body 20 rotate, twisting of the electric wire does not occur.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모터(14)는 물 공급관(11)을 회전시키는데, 물 공급관(11)의 외면에는 종동 풀리(51)가 형성되고, 구동 풀리(50)의 축과 직교하는 제1모터(14)의 축은 감속기(53)[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의 다양한 기어 방식으로 회전 속도가 제어됨]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구동 풀리(50)와 종동 풀리(51)는 벨트(52)로 연결될 수 있고, 풀리는 기어 또는 스프라킷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물 공급관(11)과 제1모터(14)는 후술하는 중간관(23)과 제2모터(24)와 같이 기어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first motor 14 formed inside the body 10 rotates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a driven pulley 5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shaft of the driving pulley 50 The axes of the first motor 14 that are orthogonal may be coupled through a reducer 53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by various gear methods such as worm gears or bevel gears). At this time, the driving pulley 50 and the driven pulley 51 may be connected by a belt 52, and the pulley may be replaced with a gear or sprocket. That is,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first motor 14 may be coupled by gears, such as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the second motor 24 to be described later.

본체(10)의 내부에 물 공급관(11), 메인부(11a), 제1모터(14), 지지부(16), 구동 풀리(50), 종동 풀리(51) 및 감속기(53)가 위치하고, 본체(10)의 하면 외부에 체결부(12)가 위치한다.The water supply pipe 11, the main part 11a, the first motor 14, the support part 16, the driving pulley 50, the driven pulley 51 and the reducer 53 ar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fastening part 12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본체(10)의 내부에는 누설센서(40; leak sensor)가 형성되어 본체(1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누설센서(40)는 “ㄷ”자 형상의 브라켓(41)에 체결되어 본체(10)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eak sensor 40 is formed inside the body 10 to detect that water seeps into the body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sensor 40 is fastened to the bracket 41 having a “c” shape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회전체 내부가 보이도록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회전체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부분 단면을 3D 랜더링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누설센서와 브라켓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ng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3D rendering of a partial cross-section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akage sensor and a bracke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물 공급관(11)의 상단에 체결되는 우회몸체(18)의 내부에는 물 공급관(11)과 연통되는 우회로(19)가 형성되고, 우회몸체(18)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28)를 통하여 우회몸체(18)는 메인부(11a) 및 회전체(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the inside of the bypass body 18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 bypass circuit 19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ipe 11 is formed, and a flange 28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ypass body 18 Through the bypass body 18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main portion (11a) and the rotating body (20).

회전체(20)의 하면 일측에는 우회로(19)와 연통되도록 통과공(21)이 형성되고, 회전체(20)는 우회몸체(18)의 상면에 결합되며, 회전체(20)의 내부에서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중간관(23)의 일단은 통과공(21)과 연통된다. 이때, 회전체(20)와 중간관(23)의 사이에 베어링(42)이 형성되고, 베어링(42)의 양측 또는 일측에 실링(43)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2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19, and the rotating body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ypass body 18, and inside the rotating body 20 One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23 capable of rota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 is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At this time, the bearing 42 is formed between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sealing 43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bearing 42.

회전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모터(24)는 중간관(23)의 타단에 연결되어 중간관(23)을 회전시키는데, 중간관(23)의 타단에 연결축(27)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축(27)과 직교하는 제2모터(24)의 축은 감속기(53)[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의 다양한 기어 방식으로 회전 속도가 제어됨]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간관(23)과 제2모터(24)는 물 공급관(11)과 제1모터(14)와 같이 풀리와 벨트로 결합될 수도 있다.The second motor 24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23 to rotate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the connecting shaft 27 is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23. It may be additionally formed, and the shaft of the second motor 24 orthogonal to the connection shaft 27 may be coupled through a reducer 53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by various gear methods such as worm gears or bevel gears). .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the second motor 24 may be coupled with a pulley and a belt like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first motor 14.

회전체(20)는 제1회전체(20a)와 제2회전체(2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회전체(20a)의 내부에 중간관(23)이 위치하고, 제2회전체(20b)의 내부에 연결축(27), 감속기(53) 및 제2모터(24)가 위치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2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otating body 20a and a second rotating body 20b, and an intermediate pipe 23 is located inside the first rotating body 20a,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 The connection shaft 27, the speed reducer 53, and the second motor 24 may be located inside 20b).

회전체(20)의 내부에는 누설센서(40; leak sensor)가 형성되어 회전체(20)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누설센서(40)는 “ㄷ”자 형상의 브라켓(41)에 체결되어 회전체(20)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eak sensor 40 is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20 to detect that water seeps into the rotating body 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kage sensor 40 is fastened to the bracket 41 having a “c” shape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body 20.

중간관(23)의 중앙부에는 노즐(30)이 결합되고, 노즐(30) 주위에는 LED 조명등이 형성될 수 있다.A nozzle 30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an LED lighting lamp may be formed around the nozzle 30.

메인부(11a)의 상단에 결합되는 우회몸체(18)에도 전선공(15)이 연장 형성되고, 우회몸체(18)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회전체(20a)에도 전선공(15)이 연장 형성되며, 제1회전체(20a)의 전선공(15)은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2회전체(20b)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모터(24)에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체(20b)의 일측에서 외부로 전선이 인출되어 LED 조명등에 연결될 수 있는바, 노즐(30)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더라도 LED 조명등으로 전력과 신호를 전선의 꼬임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wire hole 15 is extended to the bypass body 18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part 11a, and the wire hole 15 is also formed in the first rotating body 20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ypass body 18. It is formed to extend, and the wire hole 15 of the first rotating body 20a extends horizontally so that the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24 located inside the second rotating body 20b. In addition, a wire can be drawn out from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0b to be connected to the LED lamp. Even if the nozzle 30 rotates freely in various directions, the power and signal can be stably transmitted to the LED lamp without twisting the wire. Can supply.

물 공급관(11)에 공급되는 물은 우회로(19), 통과공(21) 및 중간관(23)을 통과하여 노즐(30)을 통해서 분사된다. 즉, 물 공급관(11)이 회전하므로 물 공급관(11)에 결합된 우회몸체(18)가 회전하고, 우회몸체(18)에 결합된 회전체(20)가 회전하며, 회전체(20)의 내부에서 중간관(23)이 물 공급관(11)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물 공급관(11)에 공급되는 물은 노즐(30)을 통하여 분사될 뿐만 아니라 물이 분사되는 노즐(30)을 여러 방향으로 회전 제어할 수 있어 아름다운 분수를 연출할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passes through the bypass 19,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30. That is, since the water supply pipe 11 rotates, the bypass body 18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rotates, and the rotating body 20 coupled to the bypass body 18 rotates, Even if the intermediate pipe 23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11,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is not only sprayed through the nozzle 30, but also the nozzle 30 through which water is sprayed. You can control the rotation in multiple directions to create a beautiful fountain.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기능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and actions of the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분수에서는 노즐(30)이 다양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우회몸체(18)에 결합된 회전체(20)가 물 공급관(11)과 함께 회전하고, 회전체(20)의 내부에서 중간관(23)이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며, 중간관(23)에 결합된 노즐(30)도 회전한다. 이때, 물 공급관(11)에 공급되는 물은 우회로(19), 통과공(21) 및 중간관(23)을 통과하여 노즐(30)을 통해서 분사된다. 이때, 체결부(12)를 본체(10)의 하면 하부로 돌출시켜 공간의 손실 없이 상하로 다수의 실링(43) 및 베어링(42)을 형성할 수 있어 본체(10)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llow the nozzle 30 to freely rotate in various directions, the rotating body 20 coupled to the bypass body 18 rotates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rotating body 20 The intermediate pipe 23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nozzle 30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ipe 23 also rotates. 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passes through the bypass 19,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30. At this time, by protruding the fastening part 12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seals 43 and bearings 42 vertically without loss of space, thereby preventing leakage into the main body 10. Not only can it be possible, but also rotational stability can be secured.

또한, 본체(10), 회전체(20) 및 콘트롤 박스(49)의 내부 일측에는 누설센서(40)가 형성되어 본체(10) 및/또는 회전체(20)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슬립링(13)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선이 메인부(11a), 우회몸체(18) 및 회전체(20)에 형성되는 전선공(15)을 통과하여 회전체(20)의 내부로 제공되므로 물 공급관(11)과 회전체(20)가 회전하더라도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으며, 노즐(30)의 주위에 LED 조명등이 형성되는 경우에 전선이 제2회전체(20b)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LED 조명등에 연결되므로 노즐(30)이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더라도 LED 조명등으로 전력과 신호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 leakage sensor 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the rotation body 20, and the control box 49 to determine whether water permeates the body 10 and/or the rotation body 20. The wire provided from the slip ring 13 passes through the main part 11a, the bypass body 18, and the wire hole 15 formed in the rotating body 20, and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body 20 Therefore, even i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rotating body 20 rotate, twisting of the wire does not occur, and when an LED lighting lamp is formed around the nozzle 30, the wire is external from one sid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0b. Since it is drawn out and connected to the LED lamp, even if the nozzle 30 rotates freely in various directions, power and signals can be stably supplied to the LED lamp.

이때, 본체(10), 회전체(20) 및 콘트롤 박스(49)의 내부로 누수가 되더라도 히터가 스며든 물을 증발시켜 투습방수지(4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투습방수지(47)는 빗물과 같은 외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본체(10), 회전체(20) 및 콘트롤 박스(49)는 누수의 염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At this time, even if water leaks into the body 10,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control box 49, the water impregnated by the heater is evapor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and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Since external water such as rainwater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the main body 10, the rotating body 20, and the control box 49 can be free from the fear of leakage.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3D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부분 3D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배수부의 3D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급수부의 3D 사시도이다.Figure 16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artial 3D perspective view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age portion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0 is a 3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분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수식 부력체는, 프레임(70)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71);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수관(75); 배수관(7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을 배수관(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 일단이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85); 급수관(85)의 타단에 형성되고, 급수관(85)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90); 급수관(85)의 상부에 형성되고, 급수펌프(90)가 멈출 때에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95); 및 부력파이브(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97);을 포함하거나,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가 설치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는 분수에 있어서, 상기 잠수식 부력체는, 프레임(70)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71); 일단이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76); 제1배수관(76)의 타단이 연결되는 배수 실린더(77);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펌프(80);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배수펌프(8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타단이 배수 실린더(77)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배수관(78); 일단이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85); 급수관(85)의 타단에 형성되고, 급수관(85)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90); 급수관(85)의 상부에 형성되고, 급수펌프(90)가 멈출 때에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95); 및 부력파이브(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97);을 포함한다.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and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ncludes a buoyancy pipe 71 fixed to the frame 70; A drain pipe 75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nd extending upward; A drain pump 80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drain pipe 75 and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75;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the water supply pipe 85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9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 stopping part 9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an air pipe 97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five 71 and extending upwardly; or in a fountain including a submersible buoyancy body in which a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is installed, the submersible buoyancy The sieve, the buoyancy pipe 71 fixed to the frame 70; A first drainage pipe 7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 drain cylinder 77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ain pipe 76 is connected; A drain pump 80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A second drain pipe 78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80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rain cylinder 77;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the water supply pipe 85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9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 stopping part 9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an air pipe 97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five 71 and extending upwardly.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는 부력파이프(71), 배수부[배수관(75), 배수펌프(80)], 급수부[급수관(85), 급수펌프(90), 멈춤부(95)] 및 공기관(97)을 포함하거나, 부력파이프(71), 배수부[제1배수관(76), 배수 실린더(77), 제2배수관(78), 배수펌프(80)], 급수부[급수관(85), 급수펌프(90), 멈춤부(95)] 및 공기관(97)을 포함한다.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oyancy pipe 71, a drainage part (drainage pipe 75, drainage pump 80), a water supply part (water supply pipe 85), a water supply pump 90, a stop part 95 )] and the air pipe 97, or the buoyancy pipe 71, the drain portion [the first drain pipe 76, the drain cylinder 77, the second drain pipe 78, the drain pump 80]], the water supply portion [ It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85, a water supply pump 90, a stop 95] and an air pipe 97.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가 설치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잠수식 부력체의 프레임(70)에 부력파이프(71)가 고정되는데, 프레임(70)은 금속빔이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70)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 부력파이프(7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격자 형태의 금속빔의 상면에 타공판이 형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 프레임(7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상부 파이프(72)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파이프(72)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거나 스티로폼과 같이 비중이 낮은 부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The fountain include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in which a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is installed, and a buoyancy pipe 71 is fixed to the frame 70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and the frame 70 has a metal beam in a lattice shape. It may be a rectangular shape to give a sense of structural stability by being combined with, a buoyancy pipe 71 may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frame 70, and a perforated plat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attice-shaped metal beam. And,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frame 70 can be variously deformed, and the upper pipe 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ipe 71, and the inside of the upper pipe 72 is filled with air or like styrofoam. Floating bodies with low specific gravity can be filled.

분수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물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어떤 액체 속에 잠겨 있으면 그 물체에 의해 밀려나온 액체의 중량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부력이 그 물체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분수가 물속에 잠겨 있을 때 잠겨 있는 분수의 체적만큼 가벼워지는데 이 부력이 분수의 무게와 같을 때 분수는 물속에서 뜨거나 가라앉지 않으며, 만약 이 상태에서 분수에 부력이 더 작용하면 수면으로 부상한다.Fractions are based on Archimedes' principle. When a part or all of an object is immersed in a liquid, the weight and size of the liquid pushed out by the object are the same, and a buoyant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acts on the object. In other words, when the fountain is submerged, the volume of the submerged fountain becomes lighter. When this buoyancy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fountain, the fountain does not float or sink in the water. If more buoyancy is applied to the fountain in this state, it rises to the surface. do.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부분 3D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배수부의 3D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배수부와 공기관의 정면도.FIG. 17 is a partial 3D perspective view of a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3D perspective view of a drainage par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front view of the drainage part and air pipe of 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는 제1배수관(76)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배수관(76)의 타단에는 배수 실린더(77)가 연결되며,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는 배수펌프(80)가 위치하고,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2배수관(78)의 일단은 배수펌프(8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제2배수관(78)의 타단은 배수 실린더(77)의 외부로 돌출된다. 잠수식 부력체가 물에 잠기더라도 제2배수관(78)의 타단은 수면 밖에 위치하고, 제2배수관(78)의 타단에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drainage pipe 7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 drainage cylinder 77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ainage pipe 76, and a drain pump 80 is inside the drainage cylinder 77. ) Is located, and one end of the second drainage pipe 78 located inside the drainage cylinder 77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ump 80 and extends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ainage pipe 78 is a drainage cylinder 77 Protrudes to the outside of. Even i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s submerged in water,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ainage pipe 78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urface, and a valv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ainage pipe 78.

일단이 부력파이브(71)의 상부에 연결되는 공기관(97)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잠수식 부력체가 물에 잠기더라도 공기관(97)의 타단은 수면 밖에 위치하며, 공기관(97)의 타단에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air pipe 9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five 71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pipe 97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urface even i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s submerged in water,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pipe 97 In the valve may be formed.

이때, 배수펌프(80)를 작동시키면, 배수펌프(80)는 배수 실린더(77) 내부의 물을 제2배수관(7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은 제1배수관(76)을 통하여 배수 실린더(77)로 이동하며, 공기는 공기관(97)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이동하고, 부력파이프(71)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잠수식 부력체는 상승하며, 수면이 제2배수관(78)에 형성된 수위 센서(99)에 도달하면, 배수펌프(80)가 멈추고, 잠수식 부력체의 상승도 멈춘다.At this time, when the drain pump 80 is operated, the drain pump 80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rain pipe 78, and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is It moves to the drainage cylinder 77 through the drain pipe 76, and the air moves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air pipe 97, and the amount of air in the buoyancy pipe 71 increases, thereby submersible buoyancy. The body rises, and when the water surface reaches the water level sensor 99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pipe 78, the drainage pump 80 stops, and the rise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also stops.

또한, 배수 실린더(77)가 형성되지 않으면,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는 제1배수관(76)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배수관(76)의 타단은 배수펌프(80)에 연결되며, 제2배수관(78)의 일단은 배수펌프(80)에 연결되고, 제2배수관(78)의 타단은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배수관(76)과 제2배수관(78)이 결합하여 배수관(7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단이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 연결되는 배수관(75)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을 배수관(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는 배수관(7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잠수식 부력체가 물에 잠기더라도 배수관(75)의 타단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배수관(75)의 타단에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ainage cylinder 77 is not formed, one end of the first drainage pipe 76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ainage pipe 76 is connected to the drainage pump 80, One end of the second drain pipe 78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8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ain pipe 78 may extend upward. That is, the first drainage pipe 76 and the second drainage pipe 78 may be combined to form the drainage pipe 75, and the drainage pipe 7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the drainage pump 80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pipe 75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drainage pipe 75. Even i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s submerged in water,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75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urface, and a valv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drain pipe 75.

이때, 배수펌프(80)를 작동시키면, 배수펌프(80)는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을 배수관(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는 공기관(97)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이동하며, 부력파이프(71)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잠수식 부력체는 상승하고, 수면이 배수관(75)에 형성된 수위 센서(99)에 도달하면, 배수펌프(80)가 멈추고, 잠수식 부력체의 상승도 멈춘다.At this time, when the drain pump 80 is operated, the drain pump 80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75,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air pipe 97. Moving inside, the amount of air in the buoyancy pipe 71 increases, so that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rises, and when the water surface reaches the water level sensor 99 formed in the drain pipe 75, the drain pump 80 is It stops, and the rise of the submersible buoyancy is also stopp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잠수식 부력체의 부분 3D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급수부의 3D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수의 급수부의 정면도이다.17 is a partial 3D perspective view of a submersible buoyancy body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3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uni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front view of a water supply unit of a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85)의 일단은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연결되고, 급수관(85)의 타단에는 급수펌프(90)가 형성되며, 급수펌프(90)는 급수관(85)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formed in a “∩” shap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nd a water supply pump 9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the water supply pump 90 is a water supply pipe ( 85) to supply water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pipe (71).

“∩”자 형상의 급수관(85)의 상부에 형성되는 멈춤부(95)는 급수펌프(90)가 멈출 때에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으며, 잠수식 부력체가 물에 잠기더라도 멈춤부(95)는 수면 밖에 위치하고, 멈춤부(95)의 타단에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op 95 formed on the top of the “∩”-shaped water supply pipe 85 can stop the supply of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s Even when locked, the stopping part 95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urface, and a valv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ing part 95.

이때, 급수펌프(90)를 작동시키면, 급수펌프(90)는 급수관(85)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공기는 공기관(97)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며, 부력파이프(71)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감소하여 잠수식 부력체는 하강하고, 수면이 급수관(75)에 형성된 수위 센서(99)에 도달하면, 급수펌프(90)가 멈추고, 멈춤부(95)를 통하여 급수관(85)의 상부로 공기가 공급되어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이 즉시 중단되므로 잠수식 부력체의 하강도 바로 멈춘다. 멈춤부(95)가 없으면, 급수펌프(90)가 멈추더라도 관성에 의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이 즉시 중단되지 않으므로 잠수식 부력체의 제어에 어려움이 따르는바, 실시간 제어가 불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is operated, the water supply pump 90 supplies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the ai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is passed through the air pipe 97. As it escapes to the outside, the amount of air in the buoyancy pipe 71 decreases, so that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descends, and when the water surface reaches the water level sensor 99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75, the water supply pump 90 is After stopping,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85 through the stop 95, so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pipe 71 is immediately stopped, so the descent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mmediately stops. Without the stopper 95, even if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the supply of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is not immediately stopped due to inertia, so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so real-time control is impossible. Do.

또한, 멈춤부(95)는 항상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나, 멈춤부(95)의 타단에 솔레노이드 밸브를 형성하여 급수펌프(90)의 작동 시에 폐쇄되어 있다가 급수펌프(90)의 중단 시에 개방되게 할 수도 있다. 멈춤부(95)가 항상 개방되어 있으면, 급수펌프(90)의 작동 시에 멈춤부(95)를 통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으나, 멈춤부(95)의 직경을 급수관(85)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멈춤부(95)를 통한 물 배출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ing part 95 may be always open, but a solenoid val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ing part 95 to be closed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is operated, and then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is stopped. You can also make it open. If the stop 95 is always open,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top 95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is operated, but the diameter of the stop 95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supply pipe 85 Thus,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reduc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top (95).

본 발명에 따른 잠수식 부력체의 기능 및 작용을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and actions of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21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분수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가 설치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평소 물속에 잠겨 있다가 분수 작동 시에 잠수식 부력체를 수면 위로 부상시키기 위하여 배수펌프(80)를 작동시키면, 배수펌프(80)는 배수 실린더(77) 내부의 물을 제2배수관(7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은 제1배수관(76)을 통하여 배수 실린더(77)로 이동하며, 공기는 공기관(97)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부력파이프(71)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증가하면서 잠수식 부력체가 상승하여 수면이 제2배수관(78)에 형성된 수위 센서(99)에 도달하면, 배수펌프(80)의 작동이 멈추고, 잠수식 부력체의 상승도 멈춘다.The fount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mersible buoyant body in which a fountain that sprays water through a nozzle is installed, and a drain pump 80 in order to float the submersible buoyant body above the water surface when the fountain is normally immersed in water. When operating, the drainage pump 80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rainage pipe 78, and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is drained through the first drainage pipe 76. It moves to the cylinder 77, and air is introduced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air pipe 97.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air in the buoyancy pipe 71 increases and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rises and the water surface reaches the water level sensor 99 formed in the second drainage pipe 78,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80 stops. Also, the rise of the submersible buoyancy is stopped.

분수 작동 완료 후에 잠수식 부력체를 수면 아래로 잠수시키기 위하여 급수펌프(90)를 작동시키면, 급수펌프(90)는 급수관(85)을 통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부력파이프(71) 내부의 공기는 공기관(97)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부력파이프(71)의 내부에 공기의 양이 감소하면서 잠수식 부력체가 하강하여 수면이 급수관(75)에 형성된 수위 센서(99)에 도달하면, 급수펌프(90)의 작동이 멈추고, 잠수식 부력체의 하강도 멈춘다. 통상적으로 급수펌프(90)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관성에 의하여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이 즉시 중단되지 않으나, “∩”자 형상의 급수관(85)의 상부에 멈춤부(95)가 형성되므로 급수펌프(90)의 작동이 멈추는 경우에 멈춤부(95)를 통하여 급수관(85)의 상부로 공기가 바로 공급되어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도 즉시 중단되고, 잠수식 부력체의 하강도 즉각적으로 멈춘다.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is operated to submerge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below the water surface after the fountain operation is completed, the water supply pump 90 supplies water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the buoyancy pipe (71) The air in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pipe (97).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air in the buoyancy pipe 71 decreases and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descends and the water surface reaches the water level sensor 99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75,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dives. The descent of the buoyant body is also stopped. Normally,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90 stops, the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is not immediately stopped due to inertia, but the stop 95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water supply pipe 85 of the "∩" shape. Since it is formed,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85 through the stop 95, so that the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is immediately stopped, and the submersible buoyancy The sieve's descent also immediately stop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물 공급관
11a: 메인부 12: 체결부
13: 슬립링 14: 제1모터
15: 전선공 16: 지지부
18: 우회몸체 19: 우회로
20: 회전체 21: 통과공
23: 중간관 24: 제2모터
27: 연결축 28: 플랜지
30: 노즐 40: 누설센서
41: 브라켓 42: 베어링
43: 실링 45: 곡관
46: 조립공 47: 투습방수지
48: 고정링 49: 콘트롤 박스
50: 구동풀리 51: 종동풀리
52: 벨트 53: 감속기
56: 조립볼트 58: 조립너트
60: 물 배관 70: 프레임
71: 부력파이프 72: 상부 파이프
75: 배수관 76: 제1배수관
77: 배수 실린더 78: 제2배수관
80: 배수펌프 85: 급수관
90: 급수펌프 95: 멈춤부
97: 공기관 99: 수위센서
10: main body 11: water supply pipe
11a: main part 12: fastening part
13: slip ring 14: first motor
15: wire hole 16: support
18: bypass body 19: bypass
20: rotating body 21: through hole
23: middle pipe 24: second motor
27: connecting shaft 28: flange
30: nozzle 40: leak sensor
41: bracket 42: bearing
43: sealing 45: elbow
46: assembler 47: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48: retaining ring 49: control box
50: driving pulley 51: driven pulley
52: belt 53: reducer
56: assembly bolt 58: assembly nut
60: water piping 70: frame
71: buoyancy pipe 72: upper pipe
75: drain pipe 76: first drain pipe
77: drain cylinder 78: second drain pipe
80: drain pump 85: water supply pipe
90: water pump 95: stop
97: air pipe 99: water level sensor

Claims (7)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상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립공(46);
상기 조립공(46)을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47); 및
상기 투습방수지(47)를 상기 콘트롤 박스(49)에 고정시키는 고정링(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In a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A heater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49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An assembly hole 46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47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 properties covering the assembly hole 46; And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comprising: a retaining ring (48) for fixing the moisture permeable and waterproofing resin (47) to the control box (4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46)에는 곡관(45)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투습방수지(47)가 상기 곡관(45)의 타단을 덮으며, 상기 고정링(48)이 상기 투습방수지(47)를 상기 곡관(45)의 타단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bent pipe 45 is coupled to the assembly hole 46,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covers the other end of the bent tube 45, and the fixing ring 48 connects the moisture-permeable resin 47 to the bent pipe.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other end of (45).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분수에 있어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 형성되는 히터;
상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 형성되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볼트(56);
상기 조립볼트(56)를 덮는 투습성 및 방수성을 지닌 투습방수지(47); 및
상기 투습방수지(47)를 상기 조립볼트(56)에 고정시키고, 통공이 형성되는 조립너트(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In a fountain spraying water through a nozzle,
A heater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49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An assembly bolt 56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nd having a through hole;
A moisture-permeable waterproofing resin 47 hav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waterproofness covering the assembly bolt 56; And
The moisture-removable water fountain, comprising: an assembly nut (58) for fixing the moisture permeable and waterproofing resin (47) to the assembly bolt (56) and forming a through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49)의 일측에는 곡관(45)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곡관(45)의 타단에는 상기 조립볼트(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The method of claim 3,
A water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curved pipe 45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trol box 49 and the assembly bolt 56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urved pipe 4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49)의 내부에는 누설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누설센서가 누수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히터가 작동되며,
상기 분수는, 본체(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물 공급관(11);
상기 본체(10)의 하면과 물 공급관(1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하면 하부로 돌출되며, 단면이 “∪”자 형상인 체결부(12);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관(11)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4);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물 공급관(11)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단면이 “ㅠ”자 형상인 지지부(16);
상기 물 공급관(11)의 상단에 체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공급관(11)과 연통되는 우회로(19)가 형성되는 우회몸체(18);
회전체(20)는 상기 우회몸체(18)의 상면에 체결되고, 상기 우회로(19)와 연통되도록 상기 회전체(2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통과공(21);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일단은 상기 통과공(21)과 연통되는 중간관(23);
상기 회전체(2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관(23)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중간관(23)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24); 및
상기 중간관(23)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노즐(30);을 포함하고,
상기 우회몸체(18)에 결합된 회전체(20)가 물 공급관(1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체(20)의 회전방향과 상기 노즐(30)의 회전방향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물 공급관(11)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우회로(19), 통과공(21) 및 중간관(23)을 통과하여 상기 노즐(30)을 통해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leak sensor is formed inside the control box 49, and the heater is operated when the leak sensor detects a leak,
The fountain, the water supply pipe 11 rotat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fastening part 12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shaped cross section;
A first motor (14) formed inside the body (10) and rotating the water supply pipe (11);
A support part 16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having a “ㅠ” shape in cross section;
A bypass body 18 that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has a bypass circuit 19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upply pipe 11 therein;
The rotating body 2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ypass body 18, and a through hole 21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ypass body 19;
An intermediate pipe 23 which rotates inside the rotating body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21 at one end;
A second motor (24)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2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pipe (23) to rotate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Including; a nozzle 30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ermediate pipe 23,
The rotation body 20 coupled to the bypass body 18 rotates together with the water supply pipe 11,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ody 20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ozzle 30 cross each other,
Water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 passes through the bypass (19), the through hole (21) and the intermediate pipe (23) and is sprayed through the nozzle (3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수식 부력체는, 프레임(70)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71);
상기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수관(75);
상기 배수관(7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력파이프(71)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관(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80);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85);
상기 급수관(85)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85)을 통하여 상기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90);
상기 급수관(85)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90)가 멈출 때에 상기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95); 및
상기 부력파이브(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9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ountain contain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ncludes a buoyancy pipe 71 fixed to the frame 70;
A drain pipe (75)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nd extending upward;
A drain pump 80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drain pipe 75 and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oyancy pipe 71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75;
A water supply pipe 8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ipe 71 and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9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 stopping part 9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And an air pipe 97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five and extending upwardl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는 잠수식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잠수식 부력체는, 프레임(70)에 고정되는 부력파이프(71);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7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76);
상기 제1배수관(76)의 타단이 연결되는 배수 실린더(77);
상기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펌프(80);
상기 배수 실린더(77)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단이 배수펌프(8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타단이 상기 배수 실린더(77)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배수관(78);
일단이 상기 부력파이프(71)의 상부에 연결되고,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급수관(85);
상기 급수관(85)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85)을 통하여 상기 부력파이프(71)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펌프(90);
상기 급수관(85)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펌프(90)가 멈출 때에 상기 부력파이프(71) 내부로의 물 공급을 멈출 수 있는 멈춤부(95); 및
상기 부력파이브(7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기관(9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제거가 가능한 분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fountain contains a submersible buoyancy body,
The submersible buoyancy body includes a buoyancy pipe 71 fixed to the frame 70;
A first drainage pipe (76)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pipe (71);
A drain cylinder 77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ain pipe 76 is connected;
A drain pump 80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A second drain pipe 78 located inside the drain cylinder 77, one end connected to the drain pump 80 and extending upward,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drain cylinder 77;
A water supply pipe 8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oyancy pipe 71 and formed in a “∩” shape;
A water supply pump 9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buoyancy pipe 7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85;
A stopping part 95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upply pipe 85 and capable of stopping water supply into the buoyancy pipe 71 when the water supply pump 90 stops; And
And an air pipe 97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five and extending upwardly.
KR1020190078322A 2019-06-28 2019-06-28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KR102254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22A KR102254622B1 (en) 2019-06-28 2019-06-28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22A KR102254622B1 (en) 2019-06-28 2019-06-28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66A KR20210001766A (en) 2021-01-06
KR102254622B1 true KR102254622B1 (en) 2021-05-20

Family

ID=741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22A KR102254622B1 (en) 2019-06-28 2019-06-28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6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203B1 (en) * 2021-09-15 2023-05-26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stand alone type robotic fount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02B1 (en) 2009-03-12 2009-11-03 플러스파운틴(주)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1185627B1 (en) 2012-03-05 2012-09-24 범양계전(주) Apparatus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electric pan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229A (en) * 2004-12-10 2005-01-17 플러스파운틴(주) Movable type fountain system and moving apparatus thereof
KR101252584B1 (en) * 2011-08-25 2013-04-09 최선필 Multiaxial and time-varying driving inj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802B1 (en) 2009-03-12 2009-11-03 플러스파운틴(주) Multi vector control nozzle device
KR101185627B1 (en) 2012-03-05 2012-09-24 범양계전(주) Apparatus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for electric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66A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8776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oil spilled in ocean
KR102254622B1 (en) Fountain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CN110053730B (en) Semi-submersible platform and ballast system thereof
WO2012021935A1 (en) Filtration device
RU2047571C1 (en) Floating aerator
KR102293826B1 (en) Diving fountain
KR101996884B1 (en) Diving fountain
AU710973B2 (en) Seawater desalination system - Kish water supply scheme
CN207680107U (en) A kind of oil water separator
KR101570379B1 (en) Nonfreezing valve for water work
JP3711502B2 (en) Non-powered automatic standing lodging gate using changes in water level such as weirs
US11701673B2 (en) Robotic fountain
KR20140129800A (en) An assembling typ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CN103408155A (en) Water filtering device
CN203440176U (en) Water filtering device
CN208072525U (en) Anti-floating type integrated buried pumping plant
KR200165350Y1 (en) A separator for the mixture of water and oil
KR101399605B1 (en) Floating dock device and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JPS59110871A (en) Power generation device which utilizes water-pressure as power source
CN208562034U (en) One heavy metal species water pollution purification device
WO2018146289A1 (en) Hydroelectric power plant
CN219559220U (en) Liquid level control meter and deodorization equipment
CN208379685U (en) A kind of construction environment-protective circulating cistern device
KR20050100504A (en) Apparatus for regulating flow by bypass overflow
CN208678452U (en) A kind of ship bio foam elimin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