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042B1 -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042B1
KR102253042B1 KR1020200133006A KR20200133006A KR102253042B1 KR 102253042 B1 KR102253042 B1 KR 102253042B1 KR 1020200133006 A KR1020200133006 A KR 1020200133006A KR 20200133006 A KR20200133006 A KR 20200133006A KR 102253042 B1 KR102253042 B1 KR 10225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housing
tower
grat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102020013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면 양 가장자리에 제1힌지단(111)이 형성된 집수헤드(110)와, 집수헤드(110)의 바닥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헤드연장관(120)과, 집수헤드(110)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힌지단(111)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단(131)이 형성된 그레이팅(130)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100)(10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테두리날개(210); 및 테두리날개(21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함체(220);를 포함하고, 함체(220)는, 함체바닥(2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테두리날개(210)와 연결되는 함체측벽(222)과,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223)과,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배수구멍(223) 보다 큰 내경의 제2배수구멍(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Sand box for bridge drain trench}
본 발명은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랜 시간동안 집수 및 배수기능을 유지하고, 수거된 토사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용이한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도 1은 일반적인 교량 배수시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교량 배수시설은, 교각에 지지되는 교량 슬라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다수개의 집수구(10)와, 집수구(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교량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공동배수관(20)을 포함한다.
집수구(10)는, 교량 슬라브 가장자리에 매립되는 집수헤드(11)와, 집수헤드(11)의 바닥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헤드연장관(12)과, 집수헤드(11)의 입구에 결합된 것으로서 큰 이물질을 거르는 다수의 그리드로 이루어진 그레이팅(13)과, 집수헤드(11)에 내장되어 그레이팅(13)을 통과한 노면수에 포함된 토사(모래 및 협잡물로 이루어짐)를 거르기 위한 토사수거함(14)로 구성되고, 헤드연장관(12)은 공동배수관(2)에 연결된다. 여기서, 토사수거함(14)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함체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배수시설에 의하여, 교량 슬라브를 흐르는 노면수는 다수 집수구(10)의 그레이팅(13)을 통과한 후 집수헤드(11)로 집수되고, 이후 토사수거함(14)을 통과한 후 헤드연장관(12)을 통하여 공동배수관(20)으로 배수된다.
그런데, 상기 집수구(10)에 있어서, 토사수거함(14)에 형성된 배수공이 작을 경우 큰 입경의 토사가 토사수거함(14)에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작은 입경의 토사가 큰 입경의 토사들 사이에 쌓여지면서 모든 배수공을 막게 되어 집수구(10)의 배수 능력이 급격히 상실되었다.
반대로, 토사수거함(14)의 배수공이 클 경우, 큰 입경의 토사는 토사수거함(14)의 배수공을 통과한 후 헤드연장관(12)을 경유하여 공동배수관(20)으로 배수되는데, 이때 굴곡되거나 분기되는 헤드연장관(12)과 공동배수관(20) 사이에 토사가 점차로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공동배수관(20)의 배수 능력이 상실되었다.
이 경우, 노면수를 배수되지 못하여 교량 슬라브에 고임 현상이 발생되고, 고인 노면수는 포장면을 파손시키거나 교량 구조물이 내구성을 약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시설의 배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집수구(10)에 내장된 토사수거함(14)의 토사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그레이팅(13)을 집수헤드(11)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집수헤드(11) 바닥으로부터 토사수거함(14)을 분리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토사수거함(14)에 많은 토사가 쌓일 경우, 토사수거함(14)과 집수헤드(11) 내주면 사이에 토사가 진흙처럼 쌓이고, 이에 따라 토사수거함(14)을 집수헤드(11)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웠고, 따라서, 교량에 설치되는 수십개에서 수백개 단위의 집수구(10)를 유지 관리하는데 많은 노력 및 비용이 발생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큰 입경의 토사는 수거하고 작은 입경의 토사를 배수시킴으로서, 헤드연장관과 공동배수관 사이가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용 배수시설의 토사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많은 양의 토사가 수거되더라도 집수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용이한 유지관리를 가능한, 교량용 배수시설의 토사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은, 내측면 양 가장자리에 제1힌지단(111)이 형성된 집수헤드(110)와, 상기 집수헤드(110)의 바닥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헤드연장관(120)과, 상기 집수헤드(110)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힌지단(111)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단(131)이 형성된 그레이팅(130)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100)(10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테두리날개(210); 상기 테두리날개(21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함체(220); 및 상기 함체(220) 중앙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배수타워(23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20)는, 함체바닥(2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날개(210)와 연결되는 함체측벽(222)과, 상기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223)과, 상기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배수구멍(223)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배수구멍(224)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타워(230)는, 상기 함체바닥(221)의 중앙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메인타워(231)와, 상기 메인타워(231)에서 단차진 후 상부측으로 돌출된 서브타워(232)와, 상기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다수의 제3배수구멍(233)과, 상기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3배수구멍(233)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4배수구멍(234)와, 상기 제4배수구멍(234) 상부측의 상기 서브타워(232)의 최상단 측부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4배수구멍(223)(224)(233)(234)이 통과할 수 있는 유량 이상의 월류수가 유입될 때 그 월류수를 곧바로 배수하기 위한 월류수유로(235)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223)과 상기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제3배수구멍(233)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함체측벽(222) 상부측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224)과 상기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제4배수구멍(234)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상기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날개실링턱(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실링턱(240)은, 상기 테두리날개(2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튜브공간(241a)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된 실링튜브(241)와, 상기 튜브공간(241a)의 내부에서 실리튜브(241)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자석바아(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과 제1메인타워(231)에 다수의 제1,3배수구멍(223)(233)이 형성되고,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 및 서브타워(232)에 제1,3배수구멍(223)(233) 보다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큰 입경의 토사(S1)는 함체측벽(220)과 메인타워(231) 사이의 트랜치에서 수거되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을 통하여 빠져나간 후 헤드연장관(120)을 통하여 배수됨으로써, 헤드연장관(130)과 공동배수관(140) 사이가 토사에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토사수거함(200)이 그레이팅(130)의 가이드단턱(133)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그레이팅(130)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토사수거함(200)을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함체(210)에 많은 양의 토사가 수거되더라도 집수헤드(110)로부터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교량의 용이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날개(210)에 날개실링턱(240)을 결합시킴으로서, 토사수거함(200)을 형태 변형없이 그레이팅(13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도 1은 일반적인 교량 배수시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수거함이 설치되는 교량용 배수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교량용 배수시설에 설치되는 집수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집수구에서 분해된 토사수거함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토사수거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토사수거함이 날개실링턱을 구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도 9의 날개실링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집수구와 토사구거장치의 분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시설의 토사수거함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수거함이 설치되는 교량용 배수시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교량용 배수시설에 설치되는 집수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집수구에서 분해된 토사수거함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사수거함(200)은, 내측면 양 가장자리에 제1힌지단(111)이 형성된 집수헤드(110)와, 상기 집수헤드(110)의 바닥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헤드연장관(120)과, 집수헤드(110)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1힌지단(111)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단(131)이 형성된 그레이팅(130)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100)(10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결합되는 테두리날개(210)와, 테두리날개(21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함체(220)와, 함체(220) 중앙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배수타워(230)와, 테두리날개(210)의 상부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한쌍의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날개실링턱(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수구(100)(100')는 교량 슬라브(B)의 가장자리를 따라 3~5m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교량의 길이에 따라 수십개에서 수백개 단위로 설치된다.
집수구(100)(100')를 구성하는 집수헤드(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입구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호퍼 형태를 가지며, 집수헤드(110)의 바닥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된 헤드연장관(12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헤드연장관(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B) 하부측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공동배수관(140)과 연결되고, 공동배수관(140)은 하수시설과 연결된다.
그레이팅(130)은, 교량 슬라브(B)를 따라 흐르는 노면수를 집수헤드(110)로 집수되도록 함과 동시에, 집수되는 노면수에 포함된 큰 협잡물, 예를 들면 나무토막, 캔, 병등을 거르는 것으로서, 사각 테두리에 다수개의 그리드(13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2힌지단(111)(132)을 축으로 회동되면서 집수헤드(110)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여기서, 집수헤드(110)에 형성된 제1힌지단(111)과 그레이팅(130)에 형성된 제2힌지단(131) 중 어느 하나는 돌기이고, 집수헤드(110)에 형성된 제1힌지단(111)과 그레이팅(130)에 형성된 제2힌지단(131) 중 다른 하나는 돌기가 끼어지는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단(111)은 집수헤드(110)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돌기이고, 제2힌지단(131)은 그레이팅(130)의 측면에서 형성된 구멍이다. 또한 제1,2힌지단(111)(131)은, 집수헤드(110)와 그레이팅(130)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핀을 끼어넣어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집수헤드(110)에 있어 한쌍의 제1힌지단(111)이 형성되지 않은 내주면 일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힌지단(111)(13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대응되는 내곡률이 형성된 회동홈(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홈(112)을 형성함으로써, 그레이팅(130)이 제1,2힌지단(111)(131)을 축으로 회동될 때, 제2힌지단(131) 측 단부에 형성된 모서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집수헤드(110)에 있어 제1힌지단(111)을 중심으로 회동홈(112)의 맞은편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30)이 집수헤드(110)의 입구를 닫을 때, 그레이팅(130)의 후방측이 거치되는 가이드단턱(113)이 형성된다. 가이드단턱(113)은 제1힌지단(111)의 후방측에서 집수헤드(110)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에 따라 그레이팅(130)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넓게 지지하고, 그레이팅(130)에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그레이팅(130)이 집수헤드(110)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턱(133)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턱(133)에 토사수거함(200)의 테두리날개(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130)이 제1,2힌지단(111)(132)을 축으로 비스듬하게 회동된 상태에서, 토사수거함(200)은 잡아당겨져 그레이팅(130)으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더욱 회동시키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토사수거함(200)에서 토사를 제거한 후, 테두리날개(210)를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다시 끼어서 결합시키고, 그레이팅(130)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집수헤드(210)를 폐쇄한다.
도 7은 도 2의 토사수거함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토사수거함이 날개실링턱을 구비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9의 날개실링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의 집수구와 토사구거장치의 분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토사수거함(200)은, 그레이팅(30)을 통하여 집수헤드(110)로 집수되는 노면수에 포함된 토사를 수거한다. 이러한 토사수거함(2100)을 구성하는 테두리날개(210)는 가이드턱(1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어져 결합되고, 결합되었을 때 토사수거함(200)은 집수헤드(110) 내측 바닥에서 부양된 상태를 유지한다.
테두리날개(210)는 함체(220)의 상단에 설치되어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결합된다. 이러한 테두리날개(2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함체(220)는, 함체바닥(2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날개(210)와 연결되는 함체측벽(222)과,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223)과,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1배수구멍(223) 보다 큰 내경의 제2배수구멍(2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배수구멍(223)은 함체측벽(222)의 높이 1/2 하부측에 형성되고, 제2배수구멍(224)은 함체측벽(222)의 높이 1/2 상부측에 형성된다.
배수타워(230)는, 함체바닥(221)의 중앙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메인타워(231)와, 메인타워(231)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서브타워(232)와,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제3배수구멍(233)과,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3배수구멍(233) 보다 큰 내경의 제4배수구멍(234)과, 서브타워(232)의 최상단 측부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월류수를 배수하기 위한 월류수유로(23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223)과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제3배수구멍(233)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함체측벽(222) 상부측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224)과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제4배수구멍(234)은 동일한 내경을 가진다. 즉, 함체측벽(222)의 하부측과 메인타워(231) 사이에 형성된 트렌치(trench)에 형성된 제1,3배수구멍(223)(233)은, 함체측벽(222)의 상부측과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제2,4배수구멍(224)(234) 보다 작다.
월류수유로(235)는, 서브타워(232)의 상부 측부에 형성되어, 폭우에 의하여 집수헤드(110)로 많은 노면수가 집수되어 상기 제1,2,3,4배수구멍(223)(224)(233)(234)이 통과할 수 있는 유량 이상이 될 때, 노면수를 곧바로 배수한다. 즉, 월류수유로(235)는 노면수가 갑작스럽게 증가할 때, 헤드연장관(120)으로 곧바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노면수에 큰 입경의 토사(S1)와 작은 입경의 토사(S2)가 포함되어 토사수거함(200)으로 유입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입경의 토사(S1)는 함체측벽(220) 하부측과 메인타워(231) 사이의 트랜치에서 수거되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제1,3배수구멍(223)(233) 보다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을 통하여 빠져나간 후 헤드연장관(120)을 통하여 배수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토사는 물에 비하여 비중이 크기 때문에, 입경이 큰 토사(S1)는 작은 입경의 토사(S2)에 비하여 무겁다. 따라서 큰 입경의 토사(S1)와 작은 입경의 토사(S2)가 포함된 노면수가 토사수거함(200)의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유입될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입경의 토사(S1)는 자중에 의하여 함체측벽(220)에 근접된 위치로 낙하(트렌치 가장자리 부근)되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노면수에 함유된 상태로 배수타워(230) 측으로 낙하된다. 이에 따라, 큰 입경의 토사(S1)는 제1,3배수구멍(223)(233)에 의하여 함체측벽(220)과 메인타워(231) 사이의 트랜치에서 수거되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제1,3배수구멍(223)(233) 보다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을 통과하여 헤드연장관(120)으로 배수된다. 그리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자중이 작기 때문에 노면수와 함께 헤드연장관(120) 및 공동배수관(140)을 통하여 하수시설로 배수되고, 이에 따라 헤드연장관(120)과 공동배수관(140) 사이에서 토사가 쌓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날개실링턱(240)은, 테두리날개(210)의 상부면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테두리날개(210)와 가이드턱(133) 사이 공간으로 토사가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날개실링턱(2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날개(2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튜브공간(241a)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된 실링튜브(241)와, 튜브공간(241a)의 내부에서 실리튜브(241)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자석바아(242)를 포함한다.
실링튜브(241)는 자바라 형태이며 이에 따라 평소 납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부측에 그레이팅과 같은 철제물이 위치될 때 자석바아(242)의 자력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부풀어오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8의 상태에서, 토사수거함(200)을 그레이팅(13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테두리날개(210)를 그레이팅(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끼우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공간(241a) 내에서 실링튜브(241) 천정에 고정된 자석바아(242)가 자력에 의하여 가이드턱(133) 상부측의 그레이팅(130)에 근접되면서 실링튜브(241) 상단을 그레이팅(130)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실링튜브(241)는 전체적으로 부푼 형상을 하게 된다.
부풀어진 형태의 실링튜브(241)는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 공간을 폐쇄하고,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에서 굳어진 토사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시간이 한참 지난후에 토사수거함(200)을 그레이팅(13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참고적으로, 날개실링턱(240)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로 토사가 유입되어 쌓일 수 있으며, 이러한 토사는 단단하게 굳게 되어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를 견고하게 밀착시킨다. 이 경우, 토사수거함(200)을 잡아당겨도 그레이팅(130)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매우 어렵고, 강한 힘으로 토사수거함(200)을 잡아당길 경우 토사수거함(200)의 형태가 변형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는 토사를 수거하는 함체(220)는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져 외부 압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날개실링턱(240)은, 토사수거함(200)의 형태 변형없이 그레이팅(130)으로부터 토사수거함(200)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기술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과 제1메인타워(231)에 다수의 제1,3배수구멍(223)(233)이 형성되고,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 및 서브타워(232)에 제1,3배수구멍(223)(233) 보다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이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큰 입경의 토사(S1)는 함체측벽(220)과 메인타워(231) 사이의 트랜치에서 수거되고, 작은 입경의 토사(S2)는 큰 제2,4배수구멍(224)(234)을 통하여 빠져나간 후 헤드연장관(120)을 통하여 배수됨으로써, 헤드연장관(130)과 공동배수관(140) 사이가 토사에 막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토사수거함(200)이 그레이팅(130)의 가이드단턱(133)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때문에 그레이팅(130)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토사수거함(200)을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함체(210)에 많은 양의 토사가 수거되더라도 집수헤드(110)로부터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교량의 용이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날개(210)에 날개실링턱(240)을 결합시킴으로서, 토사수거함(200)을 형태 변형없이 그레이팅(13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100' ... 집수구 200 ... 토사수거함
110 ... 집수헤드 111 ... 제1힌지단
112 ... 회동홈 113 ... 가이드단턱
120 ... 헤드연장관 130 ... 그레이팅
131 ... 제2힌지단 132 ... 그리드
133 ... 가이드턱 140 ... 공동배수관
200 ... 토사수거함 210 ... 테두리날개
220 ... 함체 221 ... 함체바닥
222 ... 함체측벽 223 ... 제1배수구멍
224 ... 제2배수구멍 230 ... 배수타워
231 ... 메인타워 232 .... 서브타워
233 ... 제3배수구멍 234 ... 제4배수구멍
235 ... 월류수유로 240 ... 날개실링턱
241 ... 실링튜브 241a ... 튜브공간
242 ... 자석바아

Claims (4)

  1. 내측면 양 가장자리에 제1힌지단(111)이 형성된 집수헤드(110)와, 상기 집수헤드(110)의 바닥 중앙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헤드연장관(120)과, 상기 집수헤드(110)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힌지단(111)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단(131)이 형성된 그레이팅(130)을 포함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100)(100')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그레이팅(130) 하단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턱(13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테두리날개(210);
    상기 테두리날개(210)의 내측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함체(220); 및
    상기 함체(220) 중앙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배수타워(23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220)는, 함체바닥(2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날개(210)와 연결되는 함체측벽(222)과, 상기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다수의 제1배수구멍(223)과, 상기 제1배수구멍(223) 상부측의 함체측벽(22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배수구멍(223)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2배수구멍(224)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타워(230)는, 상기 함체바닥(221)의 중앙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메인타워(231)와, 상기 메인타워(231)에서 단차진 후 상부측으로 돌출된 서브타워(232)와, 상기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다수의 제3배수구멍(233)과, 상기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3배수구멍(233) 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다수의 제4배수구멍(234)과, 상기 제4배수구멍(234) 상부측의 상기 서브타워(232)의 최상단 측부 둘레를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1,2,3,4배수구멍(223)(224)(233)(234)이 통과할 수 있는 유량 이상의 월류수가 유입될 때 그 월류수를 곧바로 배수하기 위한 월류수유로(235)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바닥(221) 및 함체측벽(222)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배수구멍(223)과 상기 메인타워(231)에 형성된 제3배수구멍(233)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함체측벽(222) 상부측에 형성된 제2배수구멍(224)과 상기 서브타워(232)에 형성된 제4배수구멍(234)은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턱(133) 내측에서 상기 테두리날개(210)와 그레이팅(130) 사이 공간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날개실링턱(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실링턱(240)은, 상기 테두리날개(21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튜브공간(241a)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된 실링튜브(241)와, 상기 튜브공간(241a)의 내부에서 실리튜브(241)의 천정면에 고정되는 자석바아(2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KR1020200133006A 2020-10-14 2020-10-14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KR10225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006A KR102253042B1 (ko) 2020-10-14 2020-10-14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006A KR102253042B1 (ko) 2020-10-14 2020-10-14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042B1 true KR102253042B1 (ko) 2021-05-14

Family

ID=7591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006A KR102253042B1 (ko) 2020-10-14 2020-10-14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94B1 (ko) *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908A (ja) * 1997-06-05 1998-12-22 Shingiken Consultant:Kk 路面排水装置
KR200201948Y1 (ko) * 2000-05-25 2000-11-01 임삼식 배수용 침전조
KR200316324Y1 (ko) * 2003-03-04 2003-06-18 주식회사 지엔에프 회전식 방음판의 고정장치
KR20040078247A (ko) * 2003-03-03 2004-09-10 주식회사 지엔에프 회전식 방음판의 고정장치
KR200446850Y1 (ko) * 2009-03-12 2009-12-04 이태희 배수용 집수구
KR20110007026U (ko) * 2010-01-07 2011-07-13 이유진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KR20160146247A (ko) * 2015-06-12 2016-12-21 김세연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908A (ja) * 1997-06-05 1998-12-22 Shingiken Consultant:Kk 路面排水装置
KR200201948Y1 (ko) * 2000-05-25 2000-11-01 임삼식 배수용 침전조
KR20040078247A (ko) * 2003-03-03 2004-09-10 주식회사 지엔에프 회전식 방음판의 고정장치
KR200316324Y1 (ko) * 2003-03-04 2003-06-18 주식회사 지엔에프 회전식 방음판의 고정장치
KR200446850Y1 (ko) * 2009-03-12 2009-12-04 이태희 배수용 집수구
KR20110007026U (ko) * 2010-01-07 2011-07-13 이유진 배수관 연결이 용이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
KR20160146247A (ko) * 2015-06-12 2016-12-21 김세연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94B1 (ko) *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US20050218049A1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CN110206118B (zh) 一种有利于雨天市政雨水分流装置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225304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집수구 토사수거함
CN210421340U (zh) 一种防堵塞市政排水管结构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2027469B1 (ko)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CN202689169U (zh) 涡轮雨水箅子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102505926B1 (ko) 하수도시설의 협잡물 제거 스크린설비
CN113417189B (zh) 高效型园林道路排水装置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JP2022149742A (ja) 水貯留排水装置
KR100994674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 장치
KR20060070948A (ko) 배수관로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0436505Y1 (ko) 교량용 집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