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982B1 -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982B1
KR102251982B1 KR1020200080204A KR20200080204A KR102251982B1 KR 102251982 B1 KR102251982 B1 KR 102251982B1 KR 1020200080204 A KR1020200080204 A KR 1020200080204A KR 20200080204 A KR20200080204 A KR 20200080204A KR 102251982 B1 KR102251982 B1 KR 10225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le
support
earth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근
Original Assignee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알앤디, 박이근 filed Critical (주)지오알앤디
Priority to KR102020008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21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버팀대의 위치를 측면말뚝 위치로 고정 설치하고 띠장은 버팀대 설치 후에 버팀대에 형성된 고정점에 결속하도록 하여 흙막이판재를 통해 전달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고, 측면말뚝에 직접 고정하는 버팀대 하중으로 인해 측면말뚝의 국부적인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팀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측면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잇는 스티프너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판의 구조적 안정성은 크게 높아지고 그로 인해 배면지반의 침하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Description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축건물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은 거의 필수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계획심도까지 터파기하기 위해서는 흙막이가시설을 시공하여야 한다. 흙막이가시설은 대지경계로부터 사업부지 내측으로 시공되어야 하고, 터파기를 완료한 후에는 흙막이가시설 내측에 지하구조물 본 벽체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사업부지 지하공간이 흙막이가시설에 사용된 부지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공간은 부지의 최외측라인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감소면적은 상당히 큰 편이다.
이러한 사항으로 인해 종래부터 실무자들은 흙막이가시설을 그대로 지하구조물의 본 벽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터파기 방법에 대한 것과 본 벽체에 배근하여야 할 철근부재 설치의 부적정과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되어 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해 온 것이 현실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을 참고하면 측면말뚝(1)의 천공공간에서의 채움불량, 흙막이판(2)을 설치하기 위해 측면말뚝(1)과 측면말뚝(1) 사이의 공간을 터파기 하는 과정에서 배면토의 이완, 여굴 발생, 여굴공간의 채움불량 등으로 배면지반이 침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팀대(4)의 압력에 의해 도 2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버팀대(4)가 띠장을 밀게되며, 이에 따라 흙막이판재(2)는 여굴공간(M)으로 이동되어 배면 지반이 침하되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지하 굴착과정에서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있는 점에 역행하는 사실이어서 조속히 지하굴착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야 하는 대책이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 특히 본 특허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그리고 흙막이가시설을 본 구조물 벽체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하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는데 본 특허기술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보완되게 되어 장점이 큰 기술이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420782호 (2014.07.11)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774887호 (2017.08.30)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 판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200)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버팀대의 위치를 측면말뚝 위치로 고정 설치하고 띠장은 버팀대 설치 후에 버팀대에 형성된 고정점에 결속하도록 하여 흙막이판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고, 측면말뚝에 직접 고정하는 버팀대 하중으로 인해 측면말뚝의 국부적인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팀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측면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잇는 스티프너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판의 구조적 안정성은 크게 높아지고 그로 인해 배면지반의 침하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은 심도 즉 토압의 크기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는 측면말뚝(100)과,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200)과,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를 지지하기 위한 판지지구(3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는 측면말뚝(100)과,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200)과,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판지지구(300)와,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의 일측 공간과 타측공간에 각각 형성되는 말뚝스티프너(400)와, 상기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측면말뚝(100)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버팀대(500)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H형 빔으로 이루어지며 H형 빔의 플랜지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버팀대(500)와 결합되는 띠장(600)과, 상기 띠장(600)과 버팀대(5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H형 빔의 형태로 형성되는 띠장지지대(7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과,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판(200)은 채움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단이 절곡되도록 겹침절곡부(212)가 형성되는 흙막이판재(210)와,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주입구(211)를 막기 위해 주입구(211)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주입구마개(220)와,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겹침절곡부(212)의 일측에 형성되되 연속설치되는 흙막이판재(210)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기 위한 누수방지패치(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측면말뚝(100)을 삽입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반을 천공하여 소정 개수의 천공홀(10)을 형성하는 천공홀형성단계(S1); 상기 천공홀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천공홀(10)에 측면말뚝(100)을 삽입하는 측면말뚝삽입단계(S2);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 이후, 측면말뚝(100)이 삽입된 천공홀(10)에 채움재를 주입하는 천공부채움단계(S3); 상기 천공부채움단계(S3) 이후, 측면말뚝(100)의 배면 주변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단계(S4); 상기 그라우팅단계(S4) 이후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30)가 위치하는 곳까지 터파기를 진행하는 터파기단계(S5); 상기 터파기단계(S5)를 통해 터파기가 진행된 후,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흙막이판(200)를 삽입하는 흙막이판설치단계(S6); 상기 흙막이판설치단계(S6)를 통해 흙막이판(200)를 설치한 후, 흙막이판(200)와 결합되도록 판지지구(300)를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설치하는 판지지구설치단계(S7);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의 측면말뚝(100)은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판설치단계(S6)의 흙막이판(200)은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지지구설치단계(S7)의 판지지구(30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과,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 시공방법과, 상기 판지지구설치단계(S7) 이후 흙막이판(20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해 채움재를 주입하여 배면채움을 진행하는 배면지반채움단계(S8); 상기 배면지반채움단계(S8) 이후,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버팀대(500)를 설치하는 버팀대설치단계(S9);상기 버팀대설치단계(S9) 이후 버팀대(500)의 양측에 띠장(600)을 설치하는 띠장설치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21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버팀대의 위치를 측면말뚝 위치로 고정 설치하고 띠장은 버팀대 설치 후에 버팀대에 형성된 고정점에 결속하도록 하여 흙막이판재를 통해 전달되는 토압을 지지하도록 하고, 측면말뚝에 직접 고정하는 버팀대 하중으로 인해 측면말뚝의 국부적인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팀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측면말뚝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잇는 스티프너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판의 구조적 안정성은 크게 높아지고 그로 인해 배면지반의 침하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판재 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전체적인 모습을 도식화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천공홀형성단계(S1) 및 측면말뚝삽입단계(S2)에 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측면말뚝(1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판지지구 설치단계(S7)에 관한 도면이다.
도 9, 10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흙막이판(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판지지구(3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 1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 중 버팀대설치단계(S9)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말뚝스티프너(4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지브라켓(510)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지지브라켓(510)이 설치되어 버팀대(500)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과 띠장(600)이 추가로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띠장지지대(7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와 구조물 기초바닥의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은 측면말뚝(100), 흙막이판(200), 판지지구(300), 말뚝스티프너(400), 버팀대(500), 띠장(600), 띠장지지대(700), 홈메움재(800), 체결구(9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아래 흙막이판재시공방법을 설명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흙막이판재시공방법은 천공홀형성단계(S1), 측면말뚝삽입단계(S2), 천공부채움단계(S3), 그라우팅단계(S4), 터파기단계(S5), 흙막이판설치단계(S6), 판지지구 설치단계(S7), 배면지반 채움단계(S8), 버팀대설치단계(S9), 띠장설치단계(S10), 터파기단계(S11) 순서로 진행된다.
S1: 천공홀형성단계
천공홀형성단계(S1)는 측면말뚝(100)을 삽입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반을 천공하여 소정 개수의 천공홀(1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S2: 측면말뚝삽입단계
측면말뚝삽입단계(S2)는 상기 천공홀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천공홀(10)에 측면말뚝(100)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말뚝삽입단계(S2)에 관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천공홀(10)에 측면말뚝(100)을 각각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는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30)의 양단에 주입관(20)이 구비되며 굴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면지반에서의 누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7은 측면말뚝(100)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측면말뚝(100)은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되, 웨브(110)의 양측에 판가이드(1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말뚝(100)은 H형강의 형태에서 판가이드(140)가 추가된 것으로, 상기 판가이드(140)는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재(21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도면과 같이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판가이드(140)와 배면플랜지(130)와의 사이 공간이 흙막이판재(210)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흙막이판재(210)의 끝단부가 판가이드(14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천공부채움단계
천공부채움단계(S3)는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 이후, 측면말뚝(100)이 삽입된 천공홀(10)에 채움재를 주입하는 단계이다. 채움재로는 통상 양질토사, 사질토사, 빈배합의 소일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S4: 그라우팅단계
그라우팅단계(S4)는 상기 천공부채움단계(S3) 이후, 측면말뚝(100)의 배면 주변을 그라우팅하는 단계로 배면 지반 내의 공극을 밀실채움하여 누수, 유출수를 차단하기 위한 단계이다.
S5: 터파기단계
터파기단계(S5)는 상기 그라우팅단계(S4) 이후 소정의 심도까지 터파기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파기단계(S5)는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30)가 위치하는 곳까지 터파기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터파기단계(S5)에서 누수 발생시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형성된 주입관(20)을 통해 1차적으로 차수를 실시하거나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접촉부를 용접하거나 방수 기능의 재료를 실링 주입하는 기법을 병용하여 함으로써 차수 및 누수를 거의 완벽하게 이루어 누수문제를 차단할 수 있다.
S6: 흙막이판설치단계
흙막이판설치단계(S6)는 상기 터파기단계(S5)를 통해 터파기가 진행된 후,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흙막이판재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후 아래의 판지지구설치단계(S7)에서 판지지구(300)가 추가로 설치되는데, 이에 관한 도면은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흙막이판설치단계(S6)에서 삽입되는 흙막이판(200)에 관한 도면으로 도 9(a)는 흙막이판(200)의 사시도이며 도 9(b)은 흙막이판(2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흙막이판(200)은 소정 크기의 판상형상으로 형성되되 흙막이판재(210), 주입구마개(220), 누수방지패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흙막이판재(210)는 채움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단이 절곡되도록 겹침절곡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겹침절곡부(212)는 상부에 위치하는 흙막이판재(210)와 하부에 위치하는 흙막이판재(210)가 서로 겹쳐짐으로 빈공간이 생겨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주입구마개(220)는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주입구(211)를 막기 위한 것으로 주입구(211)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누수방지패치(230)는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겹침절곡부(212)의 일측에 형성되되 연속설치되는 흙막이판재(210)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다수개의 흙막이판(200)이 설치된 도면으로 도 10(a)는 사시도의 형태이고 도 10(b)는 측면도의 형태로서, 도 10(b)의 확대도를 살펴보면 흙막이판재(210)의 겹침절곡부(212)에 흙막이판재(210)가 겹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S7: 판지지구설치단계
판지지구설치단계(S7)는 상기 흙막이판설치단계(S6)를 통해 흙막이판(200)을 설치한 후, 흙막이판(200)과 결합되도록 판지지구(300)를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8는 판지지구설치단계(S7)를 통해 판지지구(3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판지지구(300)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체결되고 타측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에 체결되고 타측의 타단은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에 체결된다.
도 11은 판지지구(300)에 관한 도면으로, 판지지구(30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판지지구(300)는 판받침(310), 체결부(320), 제1판지지구(330), 제2판지지구(340), 제1말뚝체결부(350),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받침(310)은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형태로 형성된다.
체결부(320)는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320)는 체결홈(321)이 추가로 형성되며, 체결홈(321)은 체결부(3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판지지구의 개수만큼씩 형성된다.
제1판지지구(330)는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체결되되 아치와 같은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제2판지지구(340)는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체결되되 아치와 같은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판지지구(330)와 제2판지지구(340)가 연결되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파이프, 봉재와 같은 선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말뚝체결부(350)는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된다.
제2말뚝체결부(360)는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된다.
상기 판지지구(300)가 설치됨으로써 측면말뚝(100)과 판지지구(300) 사이에 공간(M)이 형성되며 이 공간(M)에 철근을 설치할 수도 있어, 지하구조물 벽체에 세로방향의 철근 배치가 필요한 구조인 경우 판지지구를 설치하기 이전에 필요 철근을 미리 넣어 두거나 측면말뚝을 지중으로 삽입하는 단계에서 측면말뚝에 필요 철근을 미리 임시 결속으로 매달아 두었다가 도 18과 같이 벽체철근(1200) 배근시 활용할 수 있다.
S8: 배면지반 채움단계
배면지반채움단계(S8)는 상기 판지지구설치단계(S7) 이후 흙막이판(20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해 채움재를 주입하여 배면채움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면지반채움단계(S8)를 통해 흙막이판(200)의 주입구(211)를 통해 배면지반으로 채움재를 주입함으로써 흙막이판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 공간을 밀실채움하여 배면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어 터파기에 따른 주변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S9: 버팀대설치단계
버팀대설치단계(S9)는 상기 배면지반채움단계(S8) 이후,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버팀대(500)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측면말뚝(100)과 버팀대(500)가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도 12는 상부에서 바라본 버팀대설치단계(S9)에 관한 도면이며, 도 13은 측면에서 바라본 버팀대설치단계(S9)에 관한 도면으로, 상기 버팀대설치단계(S9)는 버팀대(500)의 위치를 측면말뚝(100) 위치로 고정 설치하고, 하기 S10의 단계에서 띠장(600)은 버팀대(500) 설치 후에 버팀대(500)에 형성된 고정점에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흙막이판(200)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도 13의 화살표 방향 참고)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버팀대(500)는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측면말뚝(100)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또한 측면말뚝(100)에 직접 고정하는 버팀대(500)의 하중으로 인해 측면말뚝(100)의 국부적인 좌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버팀대(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와 배면플랜지(130)를 잇는 말뚝스티프너(400)를 설치하고 버팀대(500)와 띠장(600) 설치방법의 변화로 인해 흙막이판(200)의 구조적 안정성은 크게 높아지고 그로 인해 흙막이가시설의 변위를 최소화하여 배면지반의 침하현상은 거의 완벽히 해소할 수 있다.
말뚝스티프너(400)는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의 일측 공간과 타측공간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팀대(5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측면말뚝(100)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14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말뚝(100)의 빈 공간을 채워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버팀대(500)는 측면말뚝(100)에 지지브라켓(510)을 설치한 후 지지브라켓(510) 상부에 버팀대를 올려 측면말뚝과 버팀대를 강결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브라켓(510)은 측면으로 봤을 때 'ㄱ'자모양으로 꺽인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일측에 보강대(511)가 추가로 형성되어 지지브라켓(510)을 보강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1개의 보강대(511)만 도시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510)은 볼트(도 16의 T 참고)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체결홈(51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지지브라켓(510)이 설치된 모습을 확인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4를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지지브라켓(510)에 버팀대(500)가 안착되어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6(b)는 이후 띠장(600)이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로 표시된 부분은 지지브라켓(510)이 볼트체결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으로 볼트체결 외에 용접 등 다른 방법으로 체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버팀대(500)는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측면말뚝(100)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브라켓(510)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510)은 삼각브라켓 형상으로 형성되되 버팀대(5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일측면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됨으로서 버팀대(500)와 측면말뚝(10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이후 띠장을 설치할 때도 띠장 받침대로 사용되도록 버팀대 폭보다 약간 크게 설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버팀대설치단계(S9)는 버팀대(500)를 설치하기 전에 말뚝스티프너(400)를 설치하거나 버팀대(500)를 설치하면서 지지브라켓(510)을 추가로 설치하도록 한다.
S10: 띠장설치단계
띠장설치단계(S10)는 상기 버팀대설치단계(S9) 이후 버팀대(500)의 양측에 띠장(600)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버팀대(500)와 띠장(600)이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띠장설치단계(S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띠장(6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H형 빔으로 이루어지며 H형 빔의 플랜지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버팀대(500)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띠장(600)은 버팀대(500)와 결합되는 측면에 제3연결판(61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띠장(600)은 띠장받침(62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띠장받침(620)은 삼각브라켓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은 띠장(600)의 하부면 일측에 체결된다(도면 미도시됨).
상기 띠장받침(620)은 미리 설치된 버팀대(500)의 하부에 띠장받침(620)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띠장(600)이 놓여지게 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부재 간 상호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띠장설치단계(S10)는 띠장(600)을 설치한 이후, 버팀대(500)와 띠장(600) 사이에 띠장지지대(700)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어 배면의 토압이 판지지구(300)를 통해 측면말뚝(100)으로 전달되고 측면말뚝(100)에 작용하는 하중은 버팀대(500)와 띠장(600)을 통해 전달된 후 띠장지지대(700)를 통해 버팀대가 하중을 전부 받아낼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토압지지구조가 된다(도 15 참고).
띠장지지대(700)는 상기 띠장(600)과 버팀대(5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H형 빔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스티프너 보강재를 추가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띠장지지대(700)가 버팀대(500)의 좌우측에 설치됨으로써 측면말뚝(100)에서 띠장(600)을 통해 전달되는 토압의 반력대는 양측의 띠장지지대(700)가 되며 띠장지지대(700)와 띠장(600),띠장지지대(700)와 버팀대(500)가 강결되도록 볼팅 또는 용접한다.
또한 띠장지지대(700)는 도 17과 같이 버팀대(500)와 만나는 부분에 판상형태의 제2연결판(710)이 추가로 설치되어 띠장지지대(700)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버팀대(500)의 일측에도 상기 제2연결판(710)과 만나도록 제1연결판(530)이 설치되되, 상기 제1연결판(530)은 제2연결판(710)보다 큰 폭을 가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띠장지지대(700)가 볼트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G표시의 볼트체결모습 참고).
S11: 터파기단계
터파기단계(S11)는 상기 띠장설치단계(S10) 이후 다음 단을 설치하기 위해 터파기를 실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터파기단계(S11) 이후, S6~S10단계를 반복하며 소정의 계획심도까지 터파기를 완료하여 시공을 마친다.
도 5를 참고하면 측면말뚝(100)과 띠장(600)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우기 위해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에 홈메움재(8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체결구(900)가 형성되어 각 부재들을 연결시키며, 측면말뚝(100)과 버팀대(5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버팀대체결구(910),
띠장(600)과 띠장지지대(700), 그리고 버팀대(500)와 띠장지지대(700)를 연결하기 위한 띠장지지대체결구(920),
버팀대(500)와 하중잭(1000)을 연결하기 위한 제1하중잭체결구(930), 제2하중잭체결구(940) 등이 형성된다.
하중잭(1000)은 버팀대(500)를 설치한 후 하중을 가하여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와 밀착시켜 지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버팀대(500)와 버팀대(5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8은 측면말뚝 공간을 활용하여 지하구조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철근을 배근하는 예시로 흙막이판(200)까지 구조물의 용도별 구조계산을 통해 벽체에서 요구되는 철근을 배근하는 것이 가능한 사항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활용이 가능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천공홀
20 주입관
30 그라우팅홀
100 측면말뚝
110 웨브
120 전면플랜지
130 배면플랜지
140 판가이드
200 흙막이판
210 흙막이판재
211 주입구
212 경침절곡부
220 주입구마개
230 누수방지패치

300 판지지구
310 판받침
320 체결부
321 체결홈
330 제1판지지구
340 제2판지지구
350 제1말뚝체결부
360 제2말뚝체결부
400 말뚝스티프너
500 버팀대
510 지지브라켓
511 보강대
530 제1연결판
600 띠장
610 제3연결판
620 띠장받침
700 띠장지지대
710 제2연결판
800 홈메움재
900 체결구
910 버팀대체결구
920 띠장지지대체결구
930 제1하중잭체결구
940 제2하중잭체결구
1000 하중잭
1200 벽체철근

Claims (5)

  1.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는 측면말뚝(100)과,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200)과,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를 지지하기 위한 판지지구(30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2.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는 측면말뚝(100)과,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흙막이판(200)과,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판지지구(300)와,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와 배면플랜지(130) 사이의 일측 공간과 타측공간에 각각 형성되는 말뚝스티프너(400)와,
    상기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측면말뚝(100)과 수직하도록 설치되는 버팀대(500)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H형 빔으로 이루어지며 H형 빔의 플랜지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버팀대(500)와 결합되는 띠장(600)과,
    상기 띠장(600)과 버팀대(5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되 H형 빔의 형태로 형성되는 띠장지지대(7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판(200)은
    채움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단이 절곡되도록 겹침절곡부(212)가 형성되는 흙막이판재(210)와,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주입구(211)를 막기 위해 주입구(211)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주입구마개(220)와,
    상기 흙막이판재(210)의 겹침절곡부(212)의 일측에 형성되되 연속설치되는 흙막이판재(210) 사이의 빈 공간을 메꾸기 위한 누수방지패치(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4. 측면말뚝(100)을 삽입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지반을 천공하여 소정 개수의 천공홀(10)을 형성하는 천공홀형성단계(S1);
    상기 천공홀형성단계(S1)를 통해 형성된 천공홀(10)에 측면말뚝(100)을 삽입하는 측면말뚝삽입단계(S2);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 이후, 측면말뚝(100)이 삽입된 천공홀(10)에 채움재를 주입하는 천공부채움단계(S3);
    상기 천공부채움단계(S3) 이후, 측면말뚝(100)의 배면 주변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단계(S4);
    상기 그라우팅단계(S4) 이후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30)가 위치하는 곳까지 터파기를 진행하는 터파기단계(S5);
    상기 터파기단계(S5)를 통해 터파기가 진행된 후,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흙막이판(200)를 삽입하는 흙막이판설치단계(S6);
    상기 흙막이판설치단계(S6)를 통해 흙막이판(200)를 설치한 후, 흙막이판(200)와 결합되도록 판지지구(300)를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설치하는 판지지구설치단계(S7);
    상기 측면말뚝삽입단계(S2)의 측면말뚝(100)은 웨브(110)의 일측에 전면플랜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배면플랜지(130)가 형성되되,
    상기 측면말뚝(100)은
    측면말뚝(100)의 웨브(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흙막이판(200)이 끼워지기 위해 흙막이판(2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판가이드(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판설치단계(S6)의 흙막이판(200)은 소정 크기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지지구설치단계(S7)의 판지지구(30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흙막이판(200)과 결합되고 타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어 흙막이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판지지구(300)는
    상기 흙막이판(200)의 하부면을 받치도록 소정 크기의 판상 형태로 형성되는 판받침(310)과,
    상기 판받침(31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제1판지지구(330)의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에 제2판지지구(34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체결홈(321)이 형성되는 체결부(320)와,
    상기 체결부(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1판지지구(330)와,
    상기 체결부(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체결홈(321)에 체결되되 곡선형태의 제2판지지구(340)와,
    제1판지지구(330)의 일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일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1말뚝체결부(350)와,
    제2판지지구(340)의 타단에 위치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중 타측 측면말뚝(100)의 전면플랜지(120)의 일측에 안착되기 위한 제2말뚝체결부(3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 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지구설치단계(S7) 이후 흙막이판(200)에 형성된 주입구(211)를 통해 채움재를 주입하여 배면채움을 진행하는 배면지반채움단계(S8);
    상기 배면지반채움단계(S8) 이후, 측면말뚝(100)의 일측에 버팀대(500)를 설치하는 버팀대설치단계(S9);
    상기 버팀대설치단계(S9) 이후 버팀대(500)의 양측에 띠장(600)을 설치하는 띠장설치단계(S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 시공방법.
KR1020200080204A 2020-06-30 2020-06-30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5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4A KR102251982B1 (ko) 2020-06-30 2020-06-30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04A KR102251982B1 (ko) 2020-06-30 2020-06-30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982B1 true KR102251982B1 (ko) 2021-05-14

Family

ID=7591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04A KR102251982B1 (ko) 2020-06-30 2020-06-30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9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692B1 (ko) 2021-06-15 2021-09-09 한일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6121A (ja) * 1986-05-23 1987-12-01 Yoshihiro Yonahara 矢板支持具
JP2001295275A (ja) * 2000-04-13 2001-10-26 Kajima Corp 支保工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土留支保工
KR20100061932A (ko) * 2008-12-01 2010-06-10 유진지오 주식회사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20120039439A (ko) * 2010-10-16 2012-04-25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엄지말뚝을 이용한 합성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0782B1 (ko)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652682B1 (ko) * 2016-01-13 2016-08-31 서경식 에이치(h)피스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6121A (ja) * 1986-05-23 1987-12-01 Yoshihiro Yonahara 矢板支持具
JP2001295275A (ja) * 2000-04-13 2001-10-26 Kajima Corp 支保工部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土留支保工
KR20100061932A (ko) * 2008-12-01 2010-06-10 유진지오 주식회사 아치형 강판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구조
KR20120039439A (ko) * 2010-10-16 2012-04-25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엄지말뚝을 이용한 합성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0782B1 (ko)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652682B1 (ko) * 2016-01-13 2016-08-31 서경식 에이치(h)피스
KR101774887B1 (ko) 2016-10-06 2017-09-05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가변형 차수 강판 연속벽 흙막이 구조를 이용한 가시설 흙막이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692B1 (ko) 2021-06-15 2021-09-09 한일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3538B (zh) 一种高流塑深层软基下的钢板桩支护施工方法
KR102351269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100831332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WO2023213117A1 (zh) 一种临河既有路基路堤墙段加宽结构及施工方法
CN211368741U (zh) 一种长江沿岸粉细沙地层中的支护***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22519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2667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195203B1 (ko) 수평 및 경사 버팀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9990014608A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합성 지하옹벽 설계방법 및 건축물 지하 옹벽 공사방법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CN112376509B (zh) 一种水利农业灌溉防渗渠道的施工方法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240078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40977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20771B1 (ko) 개착가시설을 위한 브이자형 강판이 부착된 철근콘크리트 합성형 에이치 파일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RU2032024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основания ленточного фундамента при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20200137297A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1625101B1 (ko) 원형 강관 벽체 강가시설 시공방법
KR102468396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102460370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KR102342510B1 (ko) 주열식 차수벽 설치용 오버랩 원통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