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330B1 -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330B1
KR102249330B1 KR1020200163754A KR20200163754A KR102249330B1 KR 102249330 B1 KR102249330 B1 KR 102249330B1 KR 1020200163754 A KR1020200163754 A KR 1020200163754A KR 20200163754 A KR20200163754 A KR 20200163754A KR 102249330 B1 KR102249330 B1 KR 102249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iot
information
controller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우
최안식
문대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to KR1020200163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보안등 관제시스템에서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를 모니터링할 경우, 각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remote monitoring employing security light for security of danger region employing bigdata and AI}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보안등은 어두워서 범죄나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는 지역에 안전을 위하여 다는 등을 일컫는데, 도시의 주택가, 시골마을, 인적이 드문 곳 등에 설치된다.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해 놓은 등을 일컫는데, 주로 도로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안등 및 가로등의 점등, 소등, 고장 등에 관한 사항은 관리자가 현장에 직접 나와 점검하고 처리하였으나, 요즈음은 보안등 점멸기가 관리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에 의하여 보안등이 원격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이렇게 보안등이 여러 지역에 설치될 경우, 보안등에 대해서 더 나은 원격관리를 개발하고, 보안등 주변에서 미리 위험을 예방함으로써, 안전한 주변 환경과 행인 등이 편하고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추가적으로 이러한 보안등의 종래기술들은 예를 들어 가로등 또는 보안등을 일출시간에 끄고 일몰시간에 켜며, 가로등 또는 보안등에 대한 전압, 전류 등을 측정하여 가로등 또는 보안등의 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에 이상이 있을 경우 해당 가로등 또는 보안등이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하고 전문인력을 현장에 파견하여 해당 가로등 또는 보안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순히 해당 보안등의 상태만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그쳤다.
특히, 본 명세서의 개시된 내용과 관련하여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도로조명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더하여 보안등 제어기의 각종 데이터를 원활히 처리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 정제/가공/저장/검색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산업용 IoT 플랫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 등이다.
(특허문헌 0001) KR102060572 B1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개략적으로 IoT 기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보안등을 제어하는 정도이다.
한편, 이러한 플랫폼과 관련해서, 최근 들어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시설물 안전이나 환경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면서 IoT 등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의 관제센터에서 로컬 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 카메라 등으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특정 장소나 위치의 환경적, 물리적 상태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CCTV 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의 관제센터에서 로컬 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와, IoT 디바이스 등을 통해 온도, 습도 등의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로컬 측의 상태변화를 확인하며, 상태변화에 따라 관련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앙의 관제센터에서 로컬 측에서 수집한 모니터링 정보를 중앙집중식으로 취합하여 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모니터링 정보처리로 인하여 관제센터에 과부하가 걸리고, 이에 따라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의 관제센터에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하여 대용량의 저장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스템 유지 및 운영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IOT 환경에 적용되는 경량화 장치들은 낮은 CPU와 메모리 등 제한적인 요소에 의해 일정 정도의 보안 강도를 준수하기 어려웠다.
개시된 내용은,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보안등 제어기를 모니터링할 경우, 관제 시스템에서 IoT 디바이스화한 보안등 제어기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구역별로 설치된 보안등을 각기 온, 오프하도록 하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에 의한 온, 오프 동작을 미리 설정된 스케쥴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원격지에서 IoT를 통해 제어하는 보안등 관제시스템;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와 보안등 관제시스템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 제어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보안등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각각의 제어명령을 해당 보안등 제어기로 전달하는 IoT 플랫폼; 을 포함하고,
상기 IoT 플랫폼은,
a)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별로 통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산업설비의 통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해서,
c)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산업설비에 따른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와 통신하고,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은,
a)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를 제어할 경우, 각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하고,
b) 상기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하고,
c) 상기 추출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행인 등이 안전하게 편히 다니게 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관제시스템의 통제 하에 보안등의 점등과 소등제어, 이상유무를 감시하는 시스템으로서, 보안등의 실시간 동작상태를 확인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IoT 통신(예: LoRA, NB-IoT)을 이용하여 각종 운용데이터의 설정 및 제어명령과, 점검명령, 점·소등상태, 누전상태, 선로단락, 안정기 및 램프고장 등을 판단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보안등 고장으로 인한 시민의 민원을 사전에 대비하여 궁긍적으로 시민의 불편을 제거하여 야간 보행안전을 높여준다.
이러한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지역별로 설치된 각 보안등을 현장에서 제어하는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IoT 플랫폼(300),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기본적인 전술한 기능 이외에, RTC(Real Time Clock)가 내장되어 관제 시스템의 명령을 받지 못하더라도 자가 운영이 가능하다. 부연하여, 이러한 자가 운영은 정전 시를 대비하여 정전보상용 RTC가 내장되고, 최종 운용데이터는 영구히 보전되어 정전 복구 시에도 기존대로 정상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조작키 내장으로 현장에서도 점·소등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전류센서를 설치해 보안등의 동작과 전력소모량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IoT 플랫폼(300)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요구사항을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IoT 플랫폼(300)은 데이터 정제/가공/저장/ 및 검색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IoT 플랫폼(300)은 실시예와 관련되기에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관련된 보안관리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이러한 IoT 플랫폼(300)은 실시예에 따라 아래의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다.
1. 디바이스용 라이브러리
1)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2)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2. 유연성을 제공하는 서버 솔루션
1)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빅 데이터를 지원한다.
2) 서비스 특성에 따른 실시간과 비실시간 처리를 수행한다.
3. oneM2M 표준 + α
1)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 및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2) 저성능 IoT 장비를 위한 경량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4. 실시간 DMS
1) 설비별 이력과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2) 운영 통계와 분석을 위한 대시 보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를 모니터링할 경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모든 종류의 보안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담당 지역 내의 보안등과 장비의 운영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상황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지도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알림을 수행해서, 수치와 지도를 통해 보안등의 운영상황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보안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알림을 제공한다. 또한, 보안등고장 이력과, 통계정보도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각 정보 패널들은 위젯 형식으로 관리자가 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아래의 기능도 구비한다.
1) 원격제어
지정한 타이머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점·소등되며, 변경된 스케쥴은 등록된 모든 장비에 시스템적으로 전파된다.
2) 일괄 및 그룹 개별제어
보안등을 일괄 및 그룹,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고유번호(개별 ID)로 관리하고, 이러한 보안등 개별 ID 및 그룹으로 점·소등한다.
3) 비상제어
국지적인 기상 변화에 따른 점·소등 시간을 변경하고, 비상제어 시간이후는 해당 시간에 따른 점·소등이 시스템적으로 유지된다.
4) 전력 사용량 확인
사용자 설정 시간 간격으로 전력사용량을 확인한다.
5) 원격전원 절체
낙뢰 등의 천재지변 발생 시 전원 보호를 위한 개별 및 전체그룹으로 원격으로 전원 오/오프를 수행한다.
6) 로그 값 전송과 프린트
명령 수행시마다 송·수신된 데이터값이 시스템적으로 전송되어 필요시 운영자가 쉽게 확인과 출력이 가능하다(저장되는 로그값은 점·소등 제어 명령과, 점검, 상태, 전원, 시간 등 포함).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다수의 상이한 지역별로 설치된 각 보안등의 온, 오프를 포함한 보안등동작을 제어하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와, 각 제어기(110-1, 120-1, 1n0-1, ... )의 보안등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보안등 관제시스템(300)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와 보안등 관제시스템(3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제어기(110-1, 120-1, 1n0-1, ... )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안등 관제시스템(300)으로 전달하고, 각 제어명령을 해당 제어기로 전달하는 IoT 플랫폼(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는 다수의 상이한 지역별로 예를 들어, a 지역과, b 지역, ... , n 지역(×××도시의 △△△구역 등)에 설치된 각 보안등의 온, 오프를 포함한 보안등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는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보안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상상태(예: 과전류)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으로 알람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는 이렇게 보안등을 점등 또는 소등 등을 할 경우,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으로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해서, 인공지능을 통해 보안등 주변에서 행인 등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의 각 보안등동작을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예를 들어 스케쥴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이러한 정보 등과 관련하여 외부연계기관을 미리 등록해서 연동하는데, 이때 외부연계기관은 경찰서 정보처리장치와, 긴급구조 정보처리장치 등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를 모니터링할 경우, 각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한다.
상기 IoT 플랫폼(300)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10-1, 120-1, 1n0-1, ... )와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호 간의 데이터를 자가망을 통해 IoT 기반으로 중계한다. 이러한 경우,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300)은 전술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데이터 정제/가공/저장/ 및 검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디바이스용 라이브러리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서버 솔루션,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경량 프로토콜 등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자가망은 예를 들어 TCP/IP망, LTE망, 무선통신망, IoT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300)은 외부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전술한 디바이스용 라이브러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및 IoT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상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보안등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부(101)와, 보안등상태 감지결과 등의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변환하는 AC-DC 컨버터 모듈(102), 각 부를 제어하여 보안등을 원격모니터링하는 CPU(103), 모니터링 결과 등을 보안등 관제시스템과 교환하는 IoT 모듈(10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 상기 CPU(103)는 상기 IoT 모듈(104)을 통해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의 제어명령을 전송받아서, 자신에게 연결된 보안등의 온, 오프 동작 등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CPU(103)는 자신의 보안등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IoT 모듈(104)을 통해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CPU(103)는 실시예에 따라 이렇게 보안등을 점등 등을 할 경우, 여러 센서(미도시)로부터 주변의 행인을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감지하여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정전시에 정상 동작을 위해 자가 운용하는 RTC(105)와, 이때의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10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보안등의 전류를 감지하여, 감지결과 과전류 등인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는 릴레이(107)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디버깅과 프로그램 업로드를 위한 JTAG 인터페이스부(108)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정보 교환하는 통신부(201)와, 이러한 제어기(100)의 정보를 분석하는 데이터 처리부(202), 분석 결과에 따라 보안등의 온, 오프 상태 등을 제어하고 이상시에 알람하는 제어부(203) 및 알람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2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203)는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한다.
상기 IoT 플랫폼(300)은 관리자가 원하는 바 등에 의해 대규모 설비의 지원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보안등의 원격모니터링과 관련된 데이터의 정제/가공/저장/ 및 검색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디바이스용 라이브러리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유연성을 제공하는 서버 솔루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빅 데이터를 지원하고, 서비스 특성에 따른 실시간과 비실시간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세 번째로 oneM2M 표준과 그에 따른 추가기능을 위해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 및 아키텍처를 제공하고, 저성능 IoT 장비를 위한 경량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그리고, 네 번째로 실시간 DMS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비별 이력과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운영 통계와 분석을 위한 대시 보드를 제공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먼저 기본적으로 기존과 같이,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이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에 의한 온, 오프 동작을 미리 설정된 스케쥴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원격지에서 IoT를 통해 제어명령을 송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다수의 상이한 지역별로 각기 설치된 보안등을 점등 또는 소등한다.
그래서, 이러한 다수의 상이한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의 제어명령에 따라 자신의 보안등을 각기 온하여 점등 또는 오프해서 소등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IoT 플랫폼(300)은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 제어기(100)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으로 전달하고, 각각의 제어명령을 해당 보안등 제어기(100)로 전달한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300)은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설비에 맞추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설비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동작
a) 먼저, 상기 IoT 플랫폼(300)은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별로 통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산업설비의 통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한다.
c) 그래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산업설비에 따른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통신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설비에 맞추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설비 개발을 쉽게 한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를 모니터링할 경우,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는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보안등 관제시스템에서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를 모니터링할 경우, 각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한다.
그리고, 이렇게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한다.
그래서, 이러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각각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여러 지역 등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동작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어하여 안전한 주변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IoT 플랫폼(300)은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설비에 맞추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설비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1)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동작
a) 먼저, 상기 IoT 플랫폼(300)은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별로 통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산업설비의 통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한다.
c) 그래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산업설비에 따른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와 통신한다.
그래서, 이를 통해 산업 설비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산업 설비에 맞추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고 설비 개발을 쉽게 한다.
2)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동작
a‘) 먼저 IoT 플랫폼(300)은 보안등과 관련된 다수의 상이한 설비별 개발가이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개발, 설비 제어용 동작 환경과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설비의 보안등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한다.
b') 그리고 나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설비의 개발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등록된 동작 환경과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한다.
c') 그래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설비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라이브러리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라이브러리는 산업 설비와 관련된 각 디바이스의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1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자바 스크립트, 자바 등)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이브러리는 이러한 제어에 사용하는 메소드를 기술한 클래스를 1 이상 포함하고, 이러한 클래스를 조합하여 생성된다. 이때, 상기 메소드는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제어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브러리는 표준 라이브러리와 사용자 정의 라이브러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소드는 설비 가이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이한 설비의 보안등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제어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정의 프로그램은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때, 표준 라이브러리에 원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가 없을 때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Java 등으로 원하는 클래스 라이브러리(서브루틴, 매크로, 글로벌 변수 등)를 작성하고 그것을 사용자 정의 라이브러리4(옵션)에 등록한다. 혹은 표준 라이브러리에 포함되는 2 이상의 임의의 클래스 내용(메소드 또는 함수)을 조합하여 그 조합을 사용자 정의 라이브러리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표준 클래스 라이브러리군에 없는 기능(메소드)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Java 언어에 의해 사용자 원하는 클래스를 독자적으로 작성(정의)할 수 있다. 혹은 표준 클래스 라이브러리군에서 취출한 기존의 클래스를 조합하여 새로 사용자 정의 클래스를 작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성(정의)한 클래스는 사용자 정의 라이브러리에 저장되고, 적당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다른 실시예는 다수의 상이한 지역별로 설치된 각 보안등의 온, 오프동작을 제어하는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와 보안등 관제시스템의 사이에 IoT 플랫폼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는 이러한 IoT 플랫폼에 의해 각 산업 설비별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라이브러리와, 설비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해서, 데이터 가공을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설비에 맞추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관련된 설비 개발을 쉽게 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빅 데이터를 제공해서, 관리자가 원하는 형태의 설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아래의 동작도 수행한다.
d') 먼저, 상기 IoT 플랫폼(3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에 의해 제공된 보안등데이터를 기기별과, 일자별, 위치별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빅 데이터를 분류등록한다.
e') 그리고 나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등록된 라이브러리와 상기 빅 데이터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생성한다.
f') 그래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설비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서비스 특성에 따른 실시간 및 비실시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위의 빅 데이터 지원 동작과 아울러 유연성을 제공하는 서버 솔루션이 이루어진다.
d'') 이러한 경우, 상기 서비스 특성에 따른 실시간 처리동작은 다수의 상이한 설비 서비스 특성별로 대응하여 실시간과 비실시간 처리를 해서, 상이한 설비 서비스 특성에 따라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해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술한 IoT 플랫폼(300)에서 저성능 IoT 장비를 위한 경량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먼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의 IoT 전송사양을 미리 설정된 기준 IoT 전송사양과 비교한다.
b-1'') 상기 비교결과,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의 IoT 전송사양이 상기 기준 IoT 전송사양보다 이상인 경우, 사용하는 IoT 전송사양을 유지한다.
b-2'') 반면 상기 비교결과,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의 IoT 전송사양이 상기 기준 IoT 전송사양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암호화를 위한 버퍼를 할당하여 초기화한다.
c'') 그리고, 미리 설정된 마스터 키를 통해 암호화 키를 생성한다.
d'') 다음,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데이터를 읽는다.
e'') 그리고 나서, 상기 데이터의 길이와,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별로 상이하게 미리 설정된 암호화 데이터 길이 중에서 해당 암호와 데이터 길이를 비교한다.
f'') 상기 비교결과, 상기 데이터의 길이가 상기 암호화 데이터 길이보다 작은 경우 암호화 하지 않고 전송하며, 큰 경우에는 프레임을 검출한다.
g'') 그리고, 확장 헤더는 확장 비트를 읽어 유무를 확인한다.
h'') 상기 확인결과, 확장 비트가 있는 경우에 페이로드 시작점 오프셋을 확장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i'') 그래서, 상기 프레임, 암호용 키, 페이로드 오프셋 정보를 파라미터로 전달받아 프레임의 페이로드 시작부분을 미리 설정된 암호화 포맷으로 부분 암호화해서 저성능 IoT 장비의 경량 프로토콜로서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여기에 더하여 상기 IoT 플랫폼(300)에서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이러한 동작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a''') 먼저 상기 IoT 플랫폼(300)은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에 대해 센서노드로서 관리할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상기 프로토콜의 관리를 위한 파일로 된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등록한다.
b''') 상기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는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된다.
c''') 그리고 나서,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oneM2M 표준에 따른 대상 프로토콜의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한다.
d''') 그래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oneM2M 표준과 그에 따른 추가기능을 위해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 및 아키텍처를 제공하고, 저성능 IoT 장비를 위한 경량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계속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IoT 플랫폼(300)에서 산업설비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 다른 관리자와 공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IoT 플랫폼(300)은 아래의 동작도 수행한다.
a‘’‘’) 먼저, 보안등과 관련된 산업설비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다른 관리자와 공유하기 위한 편집기와, 상기 편집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설비와 연결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도구를 미리 등록한다.
b‘’‘’) 그리고, 상기 연결된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 앱 서비스로 표현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불러오고, 상기 신규 컴포넌트를 관리자가 제작 및 오픈 API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등록한다.
c‘’‘’) 그리고 나서, 상기 기능을 가진 오픈플랫폼을 연결하여 스마트보안등설비 서비스 앱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파일로 생성한다.
d‘’‘’) 그래서, 상기 생성된 결과를 사용하여 보안등 산업설비를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네트워크 사양과 시스템 사양 등이 상이하고, 데이터의 경량화 등을 위해 관리자가 원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맞춤 정제할 수 있도록 한다.
a''''') 이를 위해, 상기 IoT 플랫폼(300)은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수의 상이한 데이터 전송포맷에 따른 각 제어명령을 제공받는다.
b''''') 다음,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원시 데이터를 전달받을 경우, 상기 전달된 원시 데이터를 상기 제공된 각 제어명령에 의해 정제한다.
c''''') 그리고 나서, 미리 설정된 각 데이터의 현장영상정보와 상기 정제된 결과만을 상호 연동시켜 HMI화해서 영상통합계측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영상통합계측은 상기 전달된 원시 데이터가 다수개인 경우, 상기 다수개의 원시 데이터의 현장영상정보와 해당 정제된 결과만을 상호 간에 매칭하고, HMI 기반에 맵 형태로 팝업해서 이루어진다.
d''''') 그래서, 상기 영상통합계측된 결과를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200)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러한 시스템 환경하에서 보안관리를 위해 아래의 구성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는 외부로부터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해시트리를 기준으로 하위의 해시값과 메시 네트워킹으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IoT 플랫폼(300)을 통해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에 제공한다.
이때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이러한 해시트리의 상위 해시값을 저장하여 다수의 상이한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별로 해시값을 연결해서 해당하는 해시노드를 구성함으로써, 보안관리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IoT 플랫폼(300)으로부터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활용해서 강화된 보안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먼저 보안등 관제시스템(200)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100)로부터 데이터가 제공될 경우, IoT 플랫폼(3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감지한다.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감지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니처 정보를 상기 IoT 플랫폼(300)을 통해 전송받는다.
다음,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에 기반한 사용자 선택 모드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시그니처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나서, 다수의 상이한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별로 해시값을 연결해서 해당하는 해시노드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검색결과,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IoT 플랫폼(300)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허용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IoT 플랫폼(300)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을 차단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화이트 리스트 및 블랙 리스트는 이중 암호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 암호화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시그니처 정보를 MD5 암호화한다.
그리고, 상기 MD5 암호화 중에 생성된 문자열을 짝수열과 홀수열로 나눈다.
그리고 나서, 이렇게 나눠진 짝수열, 홀수열 각각에 대해 SHA-256 암호화한다.
그리고, 짝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과 홀수열 SHA-256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결합한다.
그래서, 이러한 이중 암호화된 결과 문자열을 저장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는 여러 지역에 설치된 보안등을 모니터링할 경우, 원격지 관제 시스템에서 보안등 제어기의 해킹을 방지하여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100 :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200 : 보안등 관제시스템
300 : IoT 플랫폼
101 : 외부 인터페이스부 102 : AC-DC 컨버터 모듈
103 : CPU 104 : IoT 모듈
105 : RTC 106 : 배터리
107 : 릴레이 108 : JTAG 인터페이스부

Claims (10)

  1. 다수의 상이한 구역별로 설치된 보안등을 각기 온, 오프하도록 하는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에 의한 온, 오프 동작을 미리 설정된 스케쥴 또는 이벤트 발생 여부에 따라 원격지에서 IoT를 통해 제어하는 보안등 관제시스템;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와 보안등 관제시스템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보안등 제어기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보안등 관제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각각의 제어명령을 해당 보안등 제어기로 전달하는 IoT 플랫폼; 을 포함하고,

    상기 IoT 플랫폼은,
    a)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별로 통신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산업설비의 통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해서,
    c)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산업설비에 따른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와 통신하고,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은,
    a)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를 제어할 경우, 각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부터 주변의 행인정보를 포함한 인적정보와 환경정보를 제공받아서, 날씨와 온도, 습도를 포함한 기상정보와 통합적으로 시간대별로 빅데이터화하고,
    b) 상기 빅데이터화된 결과로부터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 또는 상황정보를 도출하여 대응하는 방범정보를 시간대별로 추출하고,
    c) 상기 추출된 방범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로 해당 제어명령을 인공지능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위험지역을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a‘) 보안등과 관련된 다수의 상이한 설비별 개발가이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개발, 설비 제어용 동작 환경과 라이브러리를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상이한 설비의 보안등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하여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설비의 개발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등록된 동작 환경과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해서,
    c')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설비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d')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에 의해 제공된 보안등데이터를 기기별과, 일자별, 위치별을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빅 데이터를 분류등록하고,
    e')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대상 대규모 설비의 지원을 위한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등록된 라이브러리와 상기 빅 데이터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생성해서,
    f')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대상 설비의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d'') 다수의 상이한 설비 서비스 특성별로 대응하여 실시간과 비실시간 처리를 해서, 상이한 설비 서비스 특성에 따라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a''') IoT 디바이스용 보안등 제어기에 대해 센서노드로서 관리할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상기 프로토콜의 관리를 위한 파일로 된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를 등록하고,
    b''') 상기 프로토콜 라이브러리는 오픈된 공통플랫폼 하에서, 다수의 상이한 산업설비의 통신데이터 특성과 내용별로 통합적으로 구성되고,
    c''') 상기 보안등 관제시스템 또는 외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공된 oneM2M 표준에 따른 대상 프로토콜의 미리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에 의해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를 직접 생성해서,
    d''')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컴포넌트에 의해 oneM2M 표준에 따른 프로토콜과 아키텍처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a‘’‘’) 보안등과 관련된 산업설비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다른 관리자와 공유하기 위한 편집기와, 상기 편집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어설비와 연결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도구를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연결된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관리자 앱 서비스로 표현하기 위한 컴포넌트를 불러오고, 신규 컴포넌트를 관리자가 제작 및 오픈 API로 등록하여 사용하는 기능을 미리 등록하고,
    c‘’‘’) 상기 기능을 가진 오픈플랫폼을 연결하여 스마트보안등설비 서비스 앱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파일로 생성해서,
    d‘’‘’) 상기 생성된 결과를 사용하여 보안등 산업설비를 실시간 모니터링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63754A 2020-11-30 2020-11-30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KR102249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54A KR102249330B1 (ko) 2020-11-30 2020-11-30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54A KR102249330B1 (ko) 2020-11-30 2020-11-30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330B1 true KR102249330B1 (ko) 2021-05-10

Family

ID=7591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754A KR102249330B1 (ko) 2020-11-30 2020-11-30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3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02A (ko) * 2002-03-25 2003-10-01 (주)동원테크 보안등 원격 제어장치
KR20050079890A (ko) * 2004-10-28 2005-08-11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보안등 원격제어/고장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5601A (ko) * 2012-07-05 2014-01-15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원격제어 시스템
KR20190063554A (ko) * 2017-11-30 2019-06-10 김상조 IoT 기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디밍 제어시스템
KR20190103843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노비스텍 가로등 무선원격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102A (ko) * 2002-03-25 2003-10-01 (주)동원테크 보안등 원격 제어장치
KR20050079890A (ko) * 2004-10-28 2005-08-11 주식회사 알에프테크윈 보안등 원격제어/고장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5601A (ko) * 2012-07-05 2014-01-15 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원격제어 시스템
KR20190063554A (ko) * 2017-11-30 2019-06-10 김상조 IoT 기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디밍 제어시스템
KR20190103843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노비스텍 가로등 무선원격 관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572B1 (ko) IoT 기반 LED 가로등 및 보안등 디밍 제어시스템
JP6906270B2 (ja) 街灯と街灯柱に基づいてスマートシティIoTを構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0740546B (zh) 一种基于智能物联网的夜晚照明感知***
KR101829040B1 (ko) 모듈형 시설장치에 부착된 모듈형 기기들을 원격으로 진단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
CN104896394A (zh) 一种智能路灯、其控制方法及由其组建的无线网络***
KR101186774B1 (ko) 유비쿼터스 도시 통합 관제 시스템
CN104780660A (zh) 基于4G与ZigBee物联网络及带Web功能的LED路灯控制***
KR20130004494A (ko) 자동 조명 제어 및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N103200731A (zh) 路灯监控管理***
CN110766590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路灯预测性维护***及方法
CN103325225A (zh) 一种嵌入式无线机房监控***及监控方法
CN108364485B (zh) 一种交通信号控制***
CN214890842U (zh) 多功能智慧路灯杆
CN106304555A (zh) 用于照明网络的控制方法、装置及***
KR102249353B1 (ko)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Abarro et al. Implementation of IoT-based low-delay smart streetlight monitoring system
KR102249330B1 (ko)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위험지역 방범의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Umamaheswari Smart street lighting in smart cities: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street lighting
Sánchez et al. On the energy savings achieved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enabled smart city trial
KR102276011B1 (ko) 보안등 제어장치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등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KR102361372B1 (ko) IoT 통합모듈 분전반을 통한 스마트시티 전지역 통합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
CN207911107U (zh) 一种应用于路灯的故障监测***
CN104780658A (zh) 一种路灯无线监控***
CN104507234A (zh) 有轨电车车站用照明控制***及控制方法
JP2019149743A (ja) Ip変換器及びインフラ情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