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985B1 -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985B1
KR102246985B1 KR1020140031435A KR20140031435A KR102246985B1 KR 102246985 B1 KR102246985 B1 KR 102246985B1 KR 1020140031435 A KR1020140031435 A KR 1020140031435A KR 20140031435 A KR20140031435 A KR 20140031435A KR 102246985 B1 KR102246985 B1 KR 10224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guide
fixture
crown
hex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8535A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4003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985B1/en
Priority to EP15157578.4A priority patent/EP2929854B1/en
Priority to US14/656,769 priority patent/US9585730B2/en
Priority to CN201510117007.6A priority patent/CN104921823B/en
Priority to TW104108550A priority patent/TWI608831B/en
Publication of KR2015010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4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an ionising-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and a non-ionising radiation diagnostic technique, e.g. X-ray and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천공 형성을 안내하되, 픽스츄어 식립 및 보철물 결합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CT 촬영을 통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 및 오랄 스캔을 통한 상기 3차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설계된 크라운; 내부에 헥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헥사홀이 정렬되도록 식립각도가 설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스탠트 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되 내주에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지지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부가 돌설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 스탠트; 및 상기 크라운이 정렬되어 고정되도록 하부에 상기 헥사홀에 형합되어 고정되는 헥사돌기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를 제공한다.In the process of implantation,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formation of perforations for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but improves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combination of the prosthesis. A crown designed according to a 3D procedure guide image obtained by image matching of a 3D image of the 3D image and a 3D external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through an oral scan; A fixture having a hexa-hole formed therein, wherein an insertion angle is set so that the hexa-hole is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It is formed in a profile set through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and provided to be fixed to surround the periodontal tissue, and a stent body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but an implant drill rotates around the inner periphery. A guide stand including a sleeve in which a supported guide hole is formed and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an insertion angle of the fixture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it provides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including an abutment is formed with a hexa protrusion that is fitted to the hexa hole and fixed i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crown is aligned and fixed.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dental implant insertion set}Dental implant insertion set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천공 형성을 안내하되, 픽스츄어 식립 및 보철물 결합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nd more particularly, guides the placement of a fixture and the formation of a perforation for placement of the fixture during an implant procedure, but improves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combination of the prosthesis. It relates to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본래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인체조직을 대신할 수 있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픽스츄어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hat can replace human tissue when the original human tissue is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implanting an artificial tooth. To replace the lost roots, a fixture made of titanium, which does not have a rejection reaction to the human body, is planted in the alveolar bone from which the teeth have been removed, and then the artificial tooth is fix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ooth.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충치 발생요인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자연 치아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으며, 관리만 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general prosthesis or denture,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the implant can prevent damage to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can be used stably because there is no secondary caries incidence factor. In addition, since the implant has the same structure as a natural tooth, there is no pain or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gums, an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f it is well managed.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식립하는 1차 시술(s1,s2,s3,s4)과,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골융합되는 시간(3~6개월)을 기다린 후 최종보철물(crown)을 고정시키는 과정(s5,s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is the first procedure (s1, s2, s3, s4) in which a fixture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time when the fixture is bone fused to the alveolar bone (3 to 6 months). ), and then fixing the final prosthesis (crown) (s5, s6).

먼저, 1차 시술은 치아가 결손된 부분의 잇몸을 여는 잇몸 제거 단계(s1),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s2), 그리고 픽스츄어 식립 단계(s3),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first procedure is a gingival removal step (s1) to open the gums in the part where the teeth are missing, a multi-stage drilling step (s2) to form a perforation in which the fixture is to be placed, and the fixture placement step (s3), and the implanted fix. It consists of a step (s4) of coupling the temporary teeth to the chure.

상세히, 잇몸 제거 단계(s1)에서 티슈 펀치 등을 통해 잇몸을 제거하고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위치의 치조골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치조골의 노출된 부분에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를 거쳐 픽스츄어 식립을 위한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In detail, in the gum removal step (s1), the gum is removed through a tissue punch or the like, and the alveolar bon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s exposed. Then, through a multi-stage drilling step (s2) 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alveolar bone, a perforation for fixture placement is formed.

이때, 상기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는 초기 홀을 형성하는 단계, 홀을 확장하는 단계, 홀의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홀 내부의 잔존 치조골을 제거하는 단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술에 사용하는 드릴의 종류와 드릴링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ulti-stage drilling step (s2) may include forming an initial hole, expanding the hole, forming a thread inside the hole, and removing the remaining alveolar bone inside the hole. It can be mad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drill used and the drilling method.

그리고, 상기 다단계 드릴링 단계(s2)를 거쳐 형성된 천공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s3), 식립된 픽스츄어에 임시치아를 결합시키면(s4) 1차 시술과정은 마무리된다.In addition, when the fixture is placed in the perforation formed through the multi-stage drilling step (s2) (s3), and the temporary teeth are coupled to the placed fixture (s4), the first procedure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천공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인공치아의 뿌리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치조골이 픽스츄어와 골융합을 형성하는 회복과정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골융합 후 치조골과 픽스츄어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단계 드릴링 단계(s2)에서 정확한 천공을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임플란트 시술을 통한 인공치아 형성의 완성도를 좌우하게 된다. Here, the fixture placed in the perforation serves as the root of the artificial tooth.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n accurate perforation in the multi-stage drilling step (s2) in order to quickly and stably proceed in the recovery process of the alveolar bone forming bone fusion with the fixture, and to provide a stabl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after bone fusion. It will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the artificial tooth formation through the implant procedure.

이때, 상기 임시치아는 힐링 어버트먼트 및 커버 스크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힐링 어버트먼트 및 상기 커버 스크류는 식립된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후 지대부 및 크라운이 제조되는 기간 동안 삽입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에 잇몸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픽스츄어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emporary tooth includes a healing abutment and a cover screw. Here, the healing abutment and the cover screw are inserted during the period during which the abutment and crown are manufactured after the implanted fixture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prevents the inflow of gums or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side of the fixture. This prevents damage to the inside of the fixture.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에 상기 임시치아를 결합시키고 3개월 내지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치조골이 회복되는 것을 기다린 후, 상기 임시치아를 제거하고 지대부(abutment)를 결합하게 된다(s5). 마지막으로, 상기 지대부에 최종보철물(crown)을 결합하면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s6).Then, the temporary tooth is coupled to the fixture and after waiting for the alveolar bone to recover for a period of 3 to 6 months, the temporary tooth is removed and an abutment is joined (s5). Finally, when the final crown is coupled to the abutment, the implant can be completed (s6).

한편, 상술된 시술과정에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에 정확한 깊이와 방향으로 천공을 형성하는 것은 초심자뿐만 경험자에게도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상기 천공 형성을 위한 드릴링 작업에는 스탠트라고 하는 수술 가이드 도구를 사용하여 시술이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forming a perforation with an accurate depth and direction at a location where a fixture is to be placed is a very difficult task not only for beginners but also for experienced users. Accordingly, the drilling operation for forming the perforation is performed using a surgical guide tool called a stent.

여기서, 상기 스탠트는 CT촬영을 통해 구강 내의 치조골 형상을 획득하고, 구강 내의 프로파일을 본떠 형성된 석고모델을 통해 치아 및 잇몸의 형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이를 영상 정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을 계획하고, 상기 계획에 맞게 수술을 안내할 수 있는 스탠트를 제작하게 된다. Here, the stent acquires the shape of the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through CT imaging, and acquires the shape of the teeth and gums through a gypsum model formed after a profile in the oral cavity. Then, the image is matched to plan an implant procedure through simulation, and a stance capable of guiding the surgery according to the plan is produced.

이때, 상기 스탠트에는 구강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 대응되는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공의 내주는 천공 형성시 사용되는 드릴의 외주를 회전지지하여 드릴링 과정에서 천공이 정확한 방향과 깊이로 형성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nt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for guiding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fixture corresponding to the implant procedure plan while being fixed in the oral cavity. In additi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guide hole may support rotatio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ll used for forming the perforation to guide the perforation to be formed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depth during the drilling process.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안내공이 고속회전되는 드릴에 의해 쉽게 열화됨에 따라 천공 형성시 안정적으로 드릴의 회전을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천공의 정확도가 감소하여 임플란트 시술의 전체적인 완성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as the guide hole is easily deteriorated by a high-speed dri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rotation of the drill when the hole is formed, and accordingly, the accuracy of the formed hol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completion of the implant procedure. There was a problem to let you.

또한, 드릴링 단계를 거쳐 형성된 천공에는 픽스츄어가 식립되는데, 픽스츄어의 내측에는 헥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헥사홀에 임시치아(힐링 어버트먼트/커버 스크류)나 지대부(어버트먼트)의 헥사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헥사홀의 내부에 접착제를 함께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헥사홀 및 상기 헥사돌기는 압력 분산에 유리한 벌집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헥사돌기는 기설정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헥사홀의 내부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xture is placed in the hole formed through the drilling step, and a hexa hole is formed inside the fixture, and a temporary tooth (healing abutment/cover screw) or abutment (abutment) is formed in the hexa hole. The hexa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At this time, the adhesive is inserted and fixed together in the hexa hole. In addition, the hexa hole and the hexa protrusion are provided in a honeycomb shape advantageous for pressure distribution, and the hexa protrusion may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hexa hole when inser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그러나, 종래에는 픽스츄어 내측의 헥사홀의 배치각도가 일정하게 정렬되지 못하기 때문에 픽스츄어가 식립된 각도에 따라 임시치아나 지대부의 삽입각도가 달라지게 되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hexa hole inside the fixture is not uniformly aligned, the insertion angle of the temporary tooth or the abut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fixture is placed.

상기 임시치아 중 커버 스크류는 픽스츄어 내부의 텅빈 공간으로 음식물이 침투하여 감염을 발생시키거나 잇몸이 유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 사이의 결합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힐링 어버트먼트는 커버 스크류의 역할과 함께 재생되는 잇몸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해 사용된다. Among the temporary teeth, the cover screw prevents food from penetrating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fixture and causing infection or the inflow of the gums to redu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and the healing abutment serves as a cover screw. It is used to shape the gums that regenerate together.

이때,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된 각도가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의 배치각도와 상이한 경우에 상기 픽스츄어의 배치각도를 바로 잡기 위해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통해 끼웠다 뺐다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치조골이 손상되거나 치고골의 손실이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회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when the angle where the fixture is placed is different from the placement angle of the healing abutment according to the implant procedure plan, it is necessary to insert and remove it through several trials and errors in order to correct the placement angle of the fix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very period is prolonged due to the case that the alveolar bone is damaged or the loss of the chigo bon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지대부의 상측에는 최종보철물이 결합되는 다각 돌기가 형성되는데, 상기 다각 돌기의 방향이 지대부의 삽입각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최종보철물 제작시 픽스츄어 식립 후 지대부의 방향을 반영하여 제작해야 하므로, 지대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영상을 추가로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 따라 최종보철물인 어버트먼트나 크라운을 제작하는 등 임플란트 시술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polygonal protrusion to which the final prosthesis is coupl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abut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polygonal proje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angle of the abutment. Therefore, when the final prosthesis is manufactur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rection of the abutment after the fixture is placed. Therefore, an intraoral image of the person to be treated is additionally acquired while the abutment is combined, and the abutment or crown, which is the final prosthesis, i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mplantation period was increased, such as manufacturing.

한국 등록특허 제10-092072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072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픽스츄어의 식립 위치 및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한 천공 형성을 안내하되, 픽스츄어 식립 및 보철물 결합의 편의성과 정확성이 향상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that guides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formation of perforations for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but improves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fixture placement and prosthesis bonding. What is provided is a solu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T 촬영을 통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 및 오랄 스캔을 통한 상기 3차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설계된 크라운;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식립각도가 정렬 및 설정되도록 내부에 헥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헥사홀이 정렬되도록 식립각도가 설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크라운이 정렬되어 고정되도록 하부에 상기 헥사홀에 형합되어 고정되는 헥사돌기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구강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스탠트 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되 내주에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지지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부가 돌설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 스탠트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츄어의 정렬을 위해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기설정된 식립 가이드 각도에 정렬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헥사홀을 상기 가이드돌기부와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에는 상기 헥사돌기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외면폭은 상기 가이드면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by image registra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rough CT scan and a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an oral scan. Crown design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guide image; A fixture having a hexa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align and set an grafting angle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and an grafting angle set so that the hexa hole is align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An abutment having a hex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so that the crown is aligned and fixed; And a stent body formed in a profile se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to surround and fix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and a stent body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 implantation in the inner circumference. It includes a guide stand including a sleeve in which a guide hole through which a drill is rotated is formed and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an insertion angle of the fixture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for alignment of the fixture. A guide surface provid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butment to align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with the guide protrusion, which is aligned with the set insertion guide angle and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outer surfac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provides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guide surface.

여기서, 상기 크라운은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정렬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내부에 결합홈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wn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is mated and inserted wh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alig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및 그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가이드 스탠트는 가이드돌기부를 통해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제조되는 크라운이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결합되도록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정렬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의 식립각도에 대응하여 크라운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스탠트 제작시 크라운의 배치각도를 설정하여 제조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을 준비하고, 각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한번의 시술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 천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guide stand can align the fixture/abutment so that the crow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is coupled to a preset arrangement angle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so that the crow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fixture. Instead of manufacturing,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by setting the placement angle of the crown when manufacturing the guide stand,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time to prepare for implant surgery and manufacture various prostheses, remove the gums with a single procedure, and puncture the fixture placement. It can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that can complete drilling, fixture placement, and abutment/crown installation.

둘째,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원주방향 폭은 어버트먼트의 가이드면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시술자가 가이드면을 가이드돌기부에 맞춰 정렬하기만 픽스츄어의 헥사홀, 어버트먼트의 헥사돌기가 자동으로 정렬되므로 손쉬운 정렬이 가능하여 시술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Second,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guide surface of the abutment, so that the operator aligns the guide surface to the guide protrusion, but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and the hexa protrusion of the abutment are automatically Since it is aligned, it is possible to easily align, so that treatment time can be saved.

셋째,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정보를 부정확한 석고모델을 통해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피시술자의 구강을 직접 스캔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기반으로 CT촬영을 통한 3차원 이미지와 정합하여 획득하므로 한층 정밀한 시술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하고 정확한 가이드 스탠트 제작이 가능하여 시술의 완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ird, the information on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is not acquired through an inaccurate gypsum model, but is acquired by matching the 3D image through CT scans based 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directly scanned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 precise treatment plan can be established,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recise and accurate guide stan, so that the degree of completion of the treatment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슬리브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픽스츄어의 정렬을 나타낸 예시도.
도 5c는 도 5b의 A-A 단면에서 픽스츄어의 헥사홀 및 임플란트 커넥터의 제1헥사돌기를 투영하여 점선으로 나타낸 투영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돌기부의 일면에 어버트먼트가 정렬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투영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1 is a flow chart showing a conventional implant procedure.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a guide stent in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eeve of the guide stent in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leeve of a guide stent in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lignment of fixtures in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and the first hexa protrusion of the implant connector projected by a dotted line in the AA section of FIG. 5B.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fixture and an abutment in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butment is aligned on one surface of a guide protrusion in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 스탠트의 슬리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픽스츄어의 정렬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A-A 단면에서 픽스츄어의 헥사홀 및 임플란트 커넥터의 제1헥사돌기를 투영하여 점선으로 나타낸 투영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픽스츄어 및 어버트먼트의 결합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돌기부의 일면에 어버트먼트가 정렬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투영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 is an exemplary view of a guide stent in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of the guide stent in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sleeve of a guide stent in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illustrate alignment of a fixture in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tted line by projecting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and the first hexa protrusion of the implant connector in the AA section of FIG. 5B, and FIG. 6 is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in the placement set, Figure 7 is a partial proj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utment is align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in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는 크라운(5), 픽스츄어(3), 가이드 스탠트(100), 그리고 어버트먼트(6)를 포함한다.2 to 8,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wn 5, a fixture 3, a guide stand 100, and an abutment 6 do.

여기서, 상기 크라운(5)은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설계된다. 이때, 상기 크라운(5)은 피시술자의 치아 결손부에 고정되어, 결손 치아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인공 치아를 의미한다. Here, the crown 5 is designed according to a 3D procedure guide image acquired through a 3D image inside the oral cavity and a 3D external shape image. At this time, the crown 5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that is fixed to the defective part of the tooth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is used in place of the missing tooth.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는 CT 촬영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치주조직 중 치관(잇몸 외부로 나타난 치아 상부측), 치근(치조골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잇몸 내부로 가려진 치아 하부측), 치조골 등의 내부 조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At this time, the 3D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CT scan, etc.,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the upper side of the tooth appearing outside the gum), the root (the lower side of the tooth covered with the inside of the gum as a part that is combined with the alveolar bone), It contains information on internal tissues such as alveolar bone.

또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오랄 스캔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치주 조직 중 치관의 형상과 상기 3차원 이미지 상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치근 주변의 잇몸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an oral scan or the like, and includes a shape of a crown among periodontal tissues in the oral cavity and a shape of a gum around the root that is not clearly visible on the 3D image.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공통적인 부분인 치아의 치관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는 치관과 잇몸의 형상을 비롯하여 잇몸 내부의 치근, 치조골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image matching two images based on the crown of the tooth, which is a part common to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 3D procedure guide image may be obtained, and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s a crown It may inclu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roots and alveolar bones inside the gums, including the shape of the gums and gums.

그리고,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상기 크라운이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가 CT 촬영장치나 오랄 스캐너 등에 의해 3차원 벡터 데이터로 변환됨에 따라 형성 및 획득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wn may be designed through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Here,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formed and obtained as information on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is converted into 3D vector data by a CT imaging device or an oral scanner.

그리고, 상기 각 이미지의 3차원 벡터 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를 기반으로 각 이미지를 중첩하는 영상 처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vector data of each image may be digitized and stored in a storage device of a computer, and an image processing process of overlapping each imag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mputer.

이때, 상기 영상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 내에 포함된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치근 주변의 잇몸의 형상과 함께 그 내부의 치근과 치조골에 대한 형상 정보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periodontal tissue included in the 3D image and information on periodontal tissue included i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combin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an implant procedure by combining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tooth root and the alveolar bone inside the gum shape around the tooth root.

이때,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의 획득은 디지털화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quisition of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based simulation program using the digitized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설계된 크라운과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치아 교합, 외형 등의 시술 완료시 보철 결과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예측 결과를 시술대상 환자나 당해 보철물을 제작하는 기공소 등과 공유하여 시술 준비 단계에서 최종 식립될 크라운의 배치각도 및 외형을 정확하게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mulation program can predict the prosthesis result upon completion of the procedure such as tooth occlusion and appearance through the designed crown and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so that the predicted result is shared with the patient to be treated or the laboratory that manufactures the prosthesis. In the preparation stag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sign and manufacture the arrangement angle and appearance of the crown to be finally placed.

이때, 상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크라운의 3차원 외형에 대한 좌표나 이미지 등의 정보를 제조장비로 전송하여, 크라운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조장비는 밀링 머신이나 3D 프린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된 3차원 좌표나 3차원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mulation program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coordinates or images of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crown to the manufacturing equipment, thereby manufacturing the crown.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equipment may be provided with a milling machine or a 3D printer, and a finished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3D coordinates or 3D image information may be produced.

한편, 상기 픽스츄어(3)는 내부에 헥사홀(3a)이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5)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헥사홀(3a)이 정렬되도록 식립각도가 설정된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3)는 치아의 치근을 대신하는 부분으로 치조골(2)에 삽입되어 상기 크라운(5) 및 상기 어버트먼트(6)를 고정하게 된다. Meanwhile, the fixture 3 has a hexa hole 3a formed therein, and an etch angle is set so that the hexa hole 3a is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5. At this time, the fixture 3 is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2 as a part that replaces the root of the tooth to fix the crown 5 and the abutment 6.

여기서, 상기 픽스츄어(3)는 대체하는 자연 치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3.5mm, 4.0mm, 4.5mm, 5.0mm 등의 치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3)는 외주를 따라 치조골에 삽입 및 고정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어버트먼트(6)가 삽입 및 고정되는 육각형의 헥사홀(3a)이 형성된다.Here, the fixture 3 may be provided in various diameters according to the type of natural tooth to be replaced, and dimensions such as 3.5mm, 4.0mm, 4.5mm, and 5.0mm are used. In addition, the fixture 3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for being inserted and fixed to the alveolar bone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a hexagonal hexa hole 3a into which the abutment 6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이때, 상기 헥사홀(3a)은 치아의 저작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벌집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어버트먼트(6)는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헥사홀(3a)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xa hole 3a may be provided in a honeycomb shape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pressure applied during mastication of the tooth, and the abutment 6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xa hole 3a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Can be completely inserted.

즉, 상기 픽스츄어(3)는 상기 크라운(5)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헥사홀(3a)의 방향이 정렬되도록 식립각도가 설정되며, 상기 식립각도로 상기 치조골(2)에 식립된 상기 픽스츄어(3)에는 정렬된 헥사홀(3a)의 방향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6)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헥사홀(3a)에 의해 정렬된 상기 어버트먼트(6)에는 상기 크라운(5)이 설계된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xture 3 is se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hexa-hole 3a is alig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acement angle of the crown 5, and the placement angle is set to the alveolar bone 2 The abutment 6 may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ture 3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aligned hexa hole 3a. In addition, the abutment 6 aligned by the hexa hole 3a may be coupled to the crown 5 corresponding to the designed arrangement angle.

한편,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는 스탠트 몸체(10)와 슬리브(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는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이후 행해지는 제반 임플란트 시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guide stand 100 includes a stand body 10 and a sleeve 20. Here, the guide stent 100 is formed in a profile corresponding to a 3D procedure guide image acquired through a 3D image inside the oral cavity and a 3D external shape image, and serves to guide all implant procedures to be performed thereafter. do.

상세히,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는 환자의 CT촬영을 통해 구강 내의 치조골(2) 및 치아 등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오랄 스캔을 통해 치아, 잇몸(1) 등 환자의 치주조직의 외형에 대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정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In detail,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acquires 3D images of the alveolar bone (2) and teeth in the oral cavity through CT imaging of the patient, and the appearance of the patient's periodontal tissues such as teeth and gums (1) through an oral scan. After acquiring a 3D external shape image, the 3D image may be obtained by matching the 3D external shape image.

그리고,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환자의 해부학적 보철관계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후 임플란트 시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implant procedure plan may be established after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atient's anatomical prosthetic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의 골량, 골밀도, 분포 등에 따른 치조골과 픽스츄어 간 배치 및 결합, 각 치아 사이 공간과 크라운(인공 치아)의 외형 및 배치각도 등 내부적인 조건과 외부적인 조건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3차원 이미지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양측 모두를 종합적으로 사용할 때 더욱 정확하고 완성도 높은 시술을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implant procedure must consider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placement and coupling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bone mass, bone density, and distribution of the alveolar bone, the space between each tooth and the external shape and angle of the crown (artificial tooth). Rather than using either a three-dimensional image or a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accurate and complete treatment when both sides are used comprehensively.

여기서, 상기 스탠트 몸체(10)는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되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결합홀(11)이 형성된다. Here, the stent body 10 is formed in a profile se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and is fixed to surround the periodontal tissue, and a coupling hole 11 is formed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탠트 몸체(10)의 외면은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치주조직이 형합되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2, the outer surface of the stent body 10 is formed in a profile se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so that the periodontal tissue may be joined to be inserted and fixed.

이때, 상기 스탠트 몸체(10)는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나타난 치주조직의 3차원 정보에 따라 광경화성 레진을 바닥에서부터 UV laser로 경화시켜 겹겹히 층을 생성하여 3차원 물체를 만드는 3D 프린터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tent body 10 is a 3D printer that creates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curing the photocurable resin with a UV laser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of the periodontal tissue shown in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Can be produced by

또한, 상기 스탠트 몸체(10)의 측부에는 앵커홀(1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홀(12)에는 앵커핀이 삽입되며, 상기 앵커핀이 환자의 잇몸 및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스탠트 몸체(10)가 구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nchor hole 12 may be provided at a side of the stent body 10. In addition, an anchor pin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12, and the stent body 10 may be fixed in the oral cavity as the anchor pin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atient's gums and alveolar bone.

이에 따라, 상기 스탠트 몸체(10)는 고정된 상태에서 드릴링 작업을 포함한 제반 임플란트 시술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트 몸체(10)에는 픽스츄어(3)가 식립될 위치를 따라 식립될 임플란트 수에 대응하여 결합홀(11)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stent body 10 may stably guide all implant procedures including drilling in a fixed state. In addition, the stent body 10 is preferably a coupling hole 1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mplants to be placed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3) is to be placed.

이때, 상기 스탠트 몸체(10)의 결합홀에는 상기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 따른 픽스츄어 식립 위치를 안내하고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안내하는 슬리브(2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of the stent body 10 is provided with a sleeve 20 for guiding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implant procedure plan and for guiding drilling for forming a perforation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20)는 상기 각 결합홀(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공형 부싱부(23)와 가이드돌기부(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11)은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중공형 부싱부(23)는 내주를 따라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지지되는 가이드홀(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the sleeve 2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each of the coupling holes 11, and includes a hollow bushing portion 23 and a guide protrusion 21. Here, the coupling hole 11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nd the hollow bushing part 23 has a guide hole 22 through which an implant drill is rotated and supported along an inner circumference.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22)에는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될 천공을 형성하는 드릴이 회전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홀(22)은 상기 천공의 깊이, 형성방향, 직경 등을 안내하게 된다. In addition, a drill for forming a perforation in which the fixture is to be placed is rotated in the guide hole 22, and the guide hole 22 guides the depth, direction, and diameter of the perforation.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22)은 상기 드릴의 외주면에 접하여 안내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홀(22)의 상측 테두리는 상기 드릴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guide hole 2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ameter that can be guided b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ll, and the upper edge of the guide hole 22 is formed in a height range capable of adjus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drill. It is desirable to be.

또한, 상기 중공형 부싱부(23)는 황동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드릴의 고속회전으로 인한 응력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회전시 마찰력 감소시켜 마찰열 발생을 줄이고, 응력이나 마찰열로 인한 가이드홀(22)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low bushing portion 23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rass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stress caused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drill, reduce frictional force during rotation, to reduce frictional heat generation, and prevent deformation of the guide hole 22 due to stress or frictional heat.

이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드릴을 가이드하여 상기 천공의 정밀도 향상시킴으로써 더욱 완성도 높은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변형으로 인한 상기 드릴의 진동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accurately and stably guiding the drill to improve the precision of the perfor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complete implant procedure, as well as to prevent vibration or damage of the drill due to the deformation.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중공형 부싱부(23)의 외주 일측에 돌설되되 상기 결합홀(11)의 일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슬리부(20)가 상기 결합홀(11) 내측에서 삽입되어 고정될 때 회전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to 4, the guide protrusion 21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llow bushing part 23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11. Here, the guide protrusion 21 may prevent rotational flow when the sleeve 2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coupling hole 11.

즉, 상기 중공형 부싱부(23)는 내주면이 상기 드릴의 외주면과 맞닿아 있으므로 드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공형 부싱부(23)가 함께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부(21)가 가이드 스탠트(10)의 결합홀(11)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중공형 부상부(23)의 회전 유동, 그리고 이로 인한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hollow bushing part 23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ll, a force to rotate the hollow bushing part 23 together acts by rotation of the drill, and the guide protrusion 21 By being fix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hole 11 of the guide stand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al flow of the hollow floating portion 23, and separation and separation due thereto.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중공형 부싱부(23)가 드릴을 따라 회전되어 따라 드릴 가이드의 정확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안정적인 가이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rotrusion 21 may provide a stable guide performance since the hollow bushing part 23 is rotated along the drill and thus the accuracy of the drill guide is prevented from decreasing.

또한, 상기 중공형 부싱부(2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거칠기 가공된 결합면(2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형 부싱부(23)와 상기 결합홀(11)이 접착제 등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접촉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ushing part 23 may be provided with an engaging surface 23b rough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hollow bushing part 23 and the coupling hole 11 are join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 coupling force may be improved as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물론, 상기 중공형 부싱부(23)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탈방지홈부(2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홈부(23a)에는 상기 결합홀(1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Of course, a separation preventing groove 23a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ushing part 23. At this time,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 may be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23a to be locked and fixed.

이로 인해, 상기 슬리브(20)는 상기 가이드돌기부(21)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이탈방지홈부(23a)와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결합홀(11)에 고정될 수 있어, 단순히 방향을 맞춰 끼워 삽입하는 것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돌기부가 설정된 위치로 자동 정렬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leeve 20 is fixed so as not to be rotated by the guide protrusion 21,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groove 23a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are mutually coupled to be fixed to the coupling hole 11 , It is not only firmly coupled by simply fitting and inserting the direction, but also the guide protrusion is automatically aligned to the set position, so that the assembl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는 하부에 상기 헥사홀(3a)에 삽입되는 가이드헥사돌기(4a)가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5)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픽스츄어(3)를 정렬하여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A, the implant connector 4 has a guide hexa protrusion 4a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under the It is preferable to align and insert (3).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는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천공이 형성되면, 상기 천공에 픽스츄어(3)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결합되는 가이드헥사돌기(4a)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3)의 식립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implant connector 4 can be used to insert the fixture 3 into the perforation when a perforation is formed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nd is coupled to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The angle of insertion of the fixture 3 may be adjusted through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즉,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가이드헥사돌기(4a)에 상기 픽스츄어(3)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츄어(3)를 기형성된 천공으로 식립할 수 있다.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3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of the implant connector 4, the fixture 3 may be placed with a preformed perforation.

상세히, 도 5b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픽스츄어(3)의 내측에는 헥사홀(3a)이 형성되며, 상기 헥사홀(3a)에 상기 가이드헥사돌기(4a)가 형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헥사돌기(4a)가 상기 헥사홀(3a)에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픽스츄어(3)를 상기 천공으로 삽입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S. 5B to 5C, a hexa hole 3a is formed inside the fixture 3, and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is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so that the guide is fitted. With the hexa protrusion 4a temporarily fixed to the hexa hole 3a, the fixture 3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erforation.

이때, 상기 가이드헥사돌기(4a)는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헥사홀(3a)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헥사돌기(4a)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정렬면(4b)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addition, an alignment surface 4b provid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implant connector 4.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가 획득되면, 최종보철물인 크라운(5)이 구강 내에 결합되는 배치각도에 따라, 상기 어버트먼트(4) 및 상기 픽스츄어(3)가 정렬되도록 기설정된 식립 가이드 각도로 상기 결합홀(11)의 테두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guide protrusion 21 is the abutment 4 and the fixture 3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at which the crown 5, which is the final prosthesis, is coupled into the oral cavity whe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s obtain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11 at a predetermined insertion guide angle so that the alignment is aligned.

이때, 상기 픽스츄어(3)는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천공으로 삽입되며, 천공 내에서 회전되며 삽입될 때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정렬면(4b)과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외면(21a)을 평행하게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픽스츄어(3)가 기설정된 식립각도로 상기 천공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ture 3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in a st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implant connector 4 and is inserted through the perforation, rotates within the perforation, and when inserted, the alignment surface of the implant connector 4 By aligning (4b) and the outer surface 21a of the guide protrusion 21 in parallel, the fixture 3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perfor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즉,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 방향을 정렬하는 기준이 되고,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 방향과 정렬되어 결합된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방향을 상기 가이드돌기부(21)에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 방향이 정렬될 수 있다.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21 serves as a reference for aligning the direction of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and the implant connector aligned and coupled with the direction of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By aligning the direction of (4) with the guide protrusion 21, the direction of the hexagonal hole 3a of the fixture 3 may be aligned.

이때,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의 가이드헥사돌기(4a)는 상기 어버트먼트(6)의 헥사돌기(6b)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임플란트 커넥터(4)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를 정렬하면, 상기 어버트먼트(6) 역시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형합되어 삽입됨에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버트먼트(6)에 결합되는 상기 크라운(5)이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맞게 구강 내에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hexa protrusion 4a of the implant connector 4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hexa protrusion 6b of the abutment 6, and when the fixture is aligned through the implant connector 4 , The abutment 6 may also be align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Accordingly, the crown 5 coupled to the abutment 6 may be coupled into the oral cavity to fit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6)는 상기 크라운(5)을 고정하여 상기 배치각도로 정렬하도록 하부에 상기 헥사홀(3a)에 형합되어 고정되는 헥사돌기(6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버트먼트(6)는 상기 크라운(5)와 상기 픽스츄어(3)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헥사돌기(6b)에 의해 상기 픽스츄어(3)와의 결합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utment 6 has a hexa protrusion 6b that is fitted and fixed to the hexa hole 3a at the lower part so as to fix the crown 5 and align it with the arrangement angle. Here, the abutment 6 connects and fixes the crown 5 and the fixture 3, and the angle can be adjusted when the abutment 6 is coupled with the fixture 3 by the hexa protrusion 6b. have.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3)가 설정된 식립각도로 식립되면, 상기 어버트먼트(6)는 상기 픽스츄어(3)의 각도에 따라 방향이 설정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5)은 상기 어버트먼트(6)와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최초 설계된 배치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ixture 3 is placed at a set insertion angle, the abutment 6 may be coupled by setting a direction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fixture 3, and the crown 5 It may be combined with the abutment 6 in a certain direction and combined with the initially designed arrangement angle.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에 따라 제조되는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형합되는 어버트먼트(6)의 헥사돌기(6b)가 정렬되도록 기설정된 배치각도에 정렬되어 상기 결합홀(11) 테두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protrusion 21 is a hexa protrusion of the abutment 6 that fits into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It is preferable that (6b) is aligned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so that it is aligned and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11).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픽스츄어(3)의 내측에는 헥사홀(3a)이 형성되며, 상기 헥사홀(3a)에 어버트먼트(6)의 헥사돌기(6b)가 형합되도록 삽입되며,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6, a hexa hole 3a is formed inside the fixture 3, and the hexa protrusion 6b of the abutment 6 is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so that it is fitted. , Can be fixed by adhesive.

이때, 상기 헥사홀(3a) 및 상기 헥사돌기(6b)는 치아의 저작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손상되지 않도록 벌집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헥사돌기(6b)는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상기 헥사홀(3a)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xa hole 3a and the hexa protrusion 6b may be provided in a honeycomb shape so as not to be damaged by pressure applied during mastication of the tooth, and the hexa protrusion 6b is the hexa hole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3a)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side.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어버트먼트(6)에는 상기 헥사돌기(6b)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면(6c)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abutment 6 may have a guide surface 6c provid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6b.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가 획득되면, 최종보철물인 크라운(5)이 구강 내에 결합되는 배치각도에 따라, 상기 크라운이 결합되는 어버트먼트(6) 및 상기 어버트먼트(6)가 결합되는 픽스츄어(3)가 정렬되도록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상기 결합홀(11)의 테두리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is obtained, the guide protrusion 21 is provided with an abutment 6 to which the crown is coupled and the abutment 6 to which the crown is coupl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angle at which the crown 5, which is a final prosthesis, is coupled into the oral cav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buttment 6 is fixed to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11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so that the fixture 3 to which the buttment 6 is coupled is aligned.

즉,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의 방향을 정렬하는 기준이 되므로,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방향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3)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6)가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크라운이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에 맞게 구강 내에 결합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guide protrusion 21 serves as a reference for aligning the direction of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the guide protrusion 21 is coupled to the fixture 3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1. The buttment 6 may be aligned, and the crown may be combined into the oral cavity to fit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이에 따라, CT 촬영과 오랄 스캔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가 획득되는 시점에서 가이드 스탠트(100) 제작과 함께,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를 제작하여 시술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ime required for a procedure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manufacturing the guide stant 100 and manufacturing the crown and abutment at the time when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is acquired through CT imaging and oral scan.

다시 말해, 상기 천공에 식립되는 픽스츄어(3)의 배치각도가 정해지면 상기 픽스츄어(3)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크라운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스탠트(100)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준비하고, 각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xture 3 to be placed in the perforation is determined, the crown is not manufactured in response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xture 3, but 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guide stand 100 Since it is possible to set the placement angle of the crow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preparing an implant procedure and manufacturing various prostheses.

이에 따라, 한번의 시술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 천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capable of completing the removal of the gums, the placement of the fixtures, the drilling, the placement of the fixtures,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butment/crown with a single procedure.

이때,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의 상기 결합홀(11) 상부 테두리에는 정렬홈부(1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렬홈부(11a)는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에 따라 제조되는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형합되는 어버트먼트(6)의 헥사돌기(6b)가 정렬되도록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상기 가이드돌기부(21)가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lignment groove (11a) is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coupling hole (11) of the guide stand (100). Here, the alignment groove (11a) is a hexa protrusion of the abutment (6) that is fitted to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data The guide protrusion 21 may be inserted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so that (6b) is aligned.

상세히,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에 따라 임플란트 시술계획이 수립되며, 상기 임플란트 시술계획에 따라 픽스츄어(3)가 식립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결합홀(11)이 형성된다. In detail, an implant procedure plan is established in the guide stand 100 according to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and a coupling hole 11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ant procedure pla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3 is placed. do.

그리고, 상기 결합홀(11)에는 픽스츄어(3) 식립을 위한 천공의 방향, 직경을 안내하는 슬리브(20)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슬리브(20)의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결합홀(11) 내에 형성된 정렬홈부(11a)에 삽입되어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정렬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sleeve 20 for guiding the direction and diameter of the perforation for insertion of the fixture 3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hole 11, and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sleeve 20 is the coupling hole It is inserted into the alignment groove (11a) formed in the (11) can be aligned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이처럼,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 획득데이터가 획득되면, 크라운이 배치될 각도에 대응하여 결합홀(11) 내에 정렬홈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정렬홈부(11a)에 상기 가이드돌기부(21a)가 삽입되어 고정된다.As such, when the 3D image acquisition data is acquired in the guide stand 100, an alignment groove 11a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1 correspon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crown is to be disposed, and the alignment groove 11a The guide protrusion 21a is inserted and fixed.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을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정렬하고,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상기 어버트먼트(6)를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정렬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스탠트(100) 제작 시점에서 제조된 크라운을 임플란트 시술계획에 맞게 구강 내에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is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1, and the abutment 6 is placed in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By aligning and inserting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the crown manufactur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guide stent 100 can be accurately coupled into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implant procedure plan.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가이드면(6c)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면(6c) 폭과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원주방향 폭이 동일하게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2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guide surface 6c, and the width of the guide surface 6c and the circumferential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21 are the same. It is more desirable to be.

이에 따라,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원주방향 폭에 상기 가이드면(6c) 폭이 대응되도록 맞춰 정렬하기만 하면 상기 어버트먼트(6)의 헥사돌기(6b) 및 상기 헥사돌기(6b)가 형합되도록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을 자동으로 정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only needs to align and align the guide surface 6c with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2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hexa protrusion 6b and the hexa protrusion 6b of the abutment 6 )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lign the hexagonal hole (3a) of the fixture (3)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match.

이에 따라, 시술자는 기제조된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손쉽게 상기 픽스츄어(3) 및 어버트먼트(6)를 정렬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align the fixture 3 and the abutment 6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pre-manufactured crown, so that the operation time can be reduced.

물론, 시술자는 상기 픽스츄어(3)를 식립할 때, 직접 헥사홀(3a)의 방향을 보며 상기 가이드돌기부(21)에 맞게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placing the fixture 3, the operator may directly view the direction of the hexa hole 3a and arrange it in alignment with the guide protrusion 21.

또한, 헥사홀(3a)의 방향이 직접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어버트먼트(6)를 상기 픽스츄어(3)에 삽입하고, 상기 헥사돌기(6b)가 상기 헥사홀(3a)에 형합되도록 삽입될 때 가이드면(6c)이 상기 가이드돌기부(21)에 정렬되도록 픽스츄어(3)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irection of the hexa hole (3a) is not directly confirmed, the abutment (6)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3), and the hexa protrusion (6b) fits into the hexa hole (3a). When inserted, the direction of the fixture 3 can be adjusted so that the guide surface 6c is align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1.

이때, 상기 가이드면(6c)은 상기 어버트먼트(6)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헥사돌기(6b)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가이드면(6c)을 상기 가이드돌기부(21)에 정렬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헥사돌기(6b)를 정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guide surface (6c)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6)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6b), so that the guide surface (6c) is attached to the guide protrusion (21). By arranging and arranging, the hexa protrusions 6b can be aligned.

다시 말해,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21)를 기준으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가이드면(6c), 헥사돌기(6b), 혹은 상기 픽스츄어의 헥사홀(3a) 중 어느 하나를 정렬하면 나머지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6)가 정렬됨에 따라,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제조된 크라운(5)이 정확한 배치각도로 결합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perator aligns the guide surface (6c) of the abutment, the hexa projection (6b), or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based on the guide projection (21), the rest of the Can be sorted. In addition, as the abutment 6 is aligned, the crown 5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can be combined with an accurate arrangement angle.

즉, 시술자가 가이드돌기부(21)의 원주방향 폭에 가이드면(6c) 폭이 대응되도록 손쉽게 정렬함으로써 시술 시간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3)/어버트먼트(6)가 자동으로 정확하게 정렬됨에 따라 제조된 크라운(5)이 정확한 배치각도로 결합되므로 시술의 편의성 및 정밀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or can easily align the width of the guide surface 6c to the width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1 so that the procedure time can be reduced, and the fixture (3)/abutment (6) is automatically As the crown 5 is accurately aligned, the manufactured crown 5 is combined with the correct placement angle, so that the convenience and precision of the procedure may be improved.

물론, 상기 픽스츄어(3)에는 내부의 헥사홀(3a)의 방향을 외부에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상측 테두리에 상기 헥사홀(3a)에 대응하는 표식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술자는 상기 픽스츄어(3)의 방향 및 상기 픽스츄어(3)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6)의 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Of course, the fixture 3 may be provided with a mark corresponding to the hexa hole 3a on the upper rim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inner hexa hole 3a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direction of the fixture 3 and the direction of the abutment 6 coupled to the fixture 3.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외면(21a)은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제조되는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6)에 형성된 가이드면(6c) 및 상기 가이드면(6c)에 대응되는 헥사돌기(6b)의 일면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외면(21a)은 평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21a of the guide protrusion 21 is a guide surface 6c formed on the abutment 6 and the guide surface 6c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 Is preferably disposed in a position that is aligned parallel to the on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6b.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21a) of the guide protrusion (21) is preferably provided in a flat surface.

즉, 시술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21)의 외면(21a)에 평행하게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 일면이나 상기 헥사홀(3a)에 형합되는 어버트먼트(6) 헥사돌기(6b)의 일면 또는 상기 헥사돌기(6b)의 일면과 평행한 가이드면(6c)을 정렬함으로써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어버트먼트(6)를 정렬하여 결합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or has an abutment (6) fitting to one side of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or the hexa hole (3a) parallel to the outer surface (21a) of the guide protrusion (21). By aligning the guide surface 6c parallel to the one surface of 6b) or th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6b, the abutment 6 may be aligned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이에 따라, 상기 천공에 식립된 픽스츄어(3)에 어버트먼트(6)가 결합된 후에 상기 어버트먼트(6)에 배치각도에 따라 크라운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가이드 스탠트(100)를 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준비하고, 각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abutment 6 is coupled to the fixture 3 inserted in the perforation, the crown is no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to the abutment 6, but the guide stand 100 is Since it is possible to set the placement angle of the crown in the manufacturing step,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preparing an implant procedure and manufacturing various prostheses.

이에 따라, 어버트먼트/크라운이 기제조된 경우에 한번의 시술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 천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butment/crown is pre-manufactur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capable of completing the gum removal, fixture placement, perforation drilling, fixture placement, and abutment/crown installation with a single procedure. .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상기 중공형 부싱부(23) 외주의 단일 개소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부(21)는 기설정된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의 배치각도, 상기 어버트먼트의 배치각도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rotrusion 21 protrudes at a single loca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bushing part 23.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21 can accurately guide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fixture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abutm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한편, 상기 크라운(5)의 내부에는 상기 픽스츄어(3) 및 상기 어버트먼트(6)의 정렬시, 상기 어버트먼트(6)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6a)가 형합되어 삽입되는 결합홈부(5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when the fixture 3 and the abutment 6 are aligned inside the crown 5, a coupling protrusion 6a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6 is fitted and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 portion 5a is formed.

상세히, 상기 어버트먼트(6)는 상기 크라운(5)과 함께 제조될 수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헥사돌기(6b)가 상기 픽스츄어(3)의 헥사홀(3a)에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6)의 상부에는 결합돌기(6a)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6a)는 상기 크라운(5)의 결합홈부(5a)에 형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In detail, the abutment 6 may be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crown 5, and the hexa protrusion 6b form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hexa hole 3a of the fixture 3 to be aligned. . At this time, a coupling protrusion 6a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butment 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a may be fitte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a of the crown 5.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6a)는 비대칭적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부(5a)에 설정된 방향으로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3)의 식립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픽스츄어(3)와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어버트먼트(6)가 정렬되고, 상기 어버트먼트(6)가 정렬되면 상기 크라운(5)이 상기 어버트먼트(6)와 일정한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크라운(3)이 기설정된 배치각도로 정렬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protrusion 6a is provided in an asymmetrical shape and can be inserted only in a direction set in the coupling groove 5a. Accordingly, when the mounting angle of the fixture 3 is set, the abutment 6 coupled with the fixture 3 in a certain direction is aligned, and when the abutment 6 is aligned, the crown As (5) is coupled to the abutment 6 in a certain direction, the crown 3 may be aligned at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gle.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CT 촬영을 통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 및 오랄 스캔을 통한 상기 3차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한다(s10). Meanwhile, referring to FIG. 8,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 3D imag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hrough CT scanning and a 3D external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3D image through an oral scan are acquired (s10).

이때,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외부형상 획득 시 별도의 석고 모형 제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시술 준비시간을 단축하여 피시술자의 내원 횟수를 줄이고 시술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obta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 separate plaster model is not required, so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procedure can be shorten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visits to the patient and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cedure.

더욱이, 부정확한 석고모형의 외형 이미지에 CT 촬영을 통한 3차원 이미지 상의 정보를 정합하는 것이 아니라 피시술자의 구강을 직접 스캔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CT 촬영을 통한 구강 내 치주조직의 정보를 정합하여 한층 정밀한 영상 정합 결과를 획득하여 정밀한 가이드 스탠트를 제작할 수 있다. Moreover, rather than matching the information on the 3D image through the CT scan to the inaccurate gypsum model exterior image, the information on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through the CT scan is matched to the 3D exterior image directly scanned of the patient's mouth. A more precise image matching result can be obtained and a precise guide stand can be manufactured.

이처럼, 정밀한 진단과 한층 세밀한 임플란트 설계가 반영된 정밀한 가이드 스탠트를 제작함으로써, 픽스츄어 식립 후 어버트먼트 식립이나 크라운 결합 단계에서 추가적인 인상 획득을 통한 시술 계획 보정 없이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As such, by manufacturing a precise guide stand reflecting precise diagnosis and more detailed implant desig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implant procedure without correcting the procedure plan by obtaining additional impressions at the abutment placement or crown bonding stage after the fixture placement.

이에 따라, 가이드 스탠트의 제조와 함께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을 제작함으로써 가이드 스탠트 제작 이후 한번의 시술로 픽스츄어 식립과 어버트먼트/크라운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 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capable of completing the fixture placement and the abutment/crown installation with a single procedure after the guide stand is manufactured by manufacturing the guide stand and the abutment and crown. have.

한편,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가 획득되면(s10),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한다(s20). Meanwhile, when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re acquired (s10),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re image-matched to obtain a 3D procedure guide image (s20).

여기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각 영상을 정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이미지 사이의 형합도롤 출력하는 디피런스 맵을 이용한 영상 정합 방법을 예로써 설명한다. Here, a method of matching each image to obtai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may be variously perform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mage match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map that outputs a matching degree between each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do.

상세히, 상기 디피런스 맵은 각 이미지를 중첩하여 각 픽셀에 각 이미지 사이의 형합도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가 CT 촬영장치나 오랄 스캐너 등에 의해 3차원 벡터 데이터로 변환됨에 따라 형성 및 획득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ifference map may output a degree of conformity between each image in each pixel by overlapping each image. Here,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formed and obtained as information on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is converted into 3D vector data by a CT imaging device or an oral scanner.

그리고, 상기 각 이미지의 3차원 벡터 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를 기반으로 각 이미지를 중첩하는 영상 처리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vector data of each image may be digitized and stored in a storage device of a computer, and an image processing process of overlapping each image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mputer.

이때, 상기 영상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 내에 포함된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 포함된 치주조직에 대한 정보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치근 주변의 잇몸의 형상과 함께 그 내부의 치근과 치조골에 대한 형상 정보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periodontal tissue included in the 3D image and information on periodontal tissue included i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combin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an implant procedure by combining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tooth root and the alveolar bone inside the gum shape around the tooth root.

다시 말해,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한다는 말은 두 이미지 상에 공통적으로 나타내는 치관을 기준으로 두 이미지를 결합하여, 치관에 연결된 치근 및 치조골에 대한 정보와 함께 치근 및 치조골에 결합된 잇몸의 정보를 서로 매칭한다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image matching of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eans that the two images are combined based on the crown commonly displayed on the two images, an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root and alveolar bone connected to the crown, the root and the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of the gums bound to the alveolar bone in the sense of match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형합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유사한 정도를 두 이미지 사이의 형합오차로 나타낸 것으로, 형합오차의 절대값이 낮을수록 두 이미지는 서로 형합되어 정확하게 중첩된 것을 의미하며 형합도가 높다고 표현할 수 있다. Here, the matching degree represent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s a matching error between two images, and the lower the absolute value of the matching error is, the more accurately the two images are matched and overlapped. It can be expressed as a high degree of conformity.

그리고, 형합오차의 절대값이 높을수록 두 이미지는 서로 어긋나게 중첩된 것을 의미하며 형합도가 낮다고 표현할 수 있다. 즉, 형합오차가 0인 경우 형합도는 가장 높으며, 형합오차의 절대값 크기에 비례해 형합도가 낮아진다고 표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matching error is higher, it means that the two imag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matching degree is low. That is, when the matching error is 0, the matching degree is the highest, and it can be expressed that the matching degree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matching error.

예를 들면, 상기 형합도는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중첩하였을 때, 상기 이미지 중 어느 일측 이미지의 표면으로부터 타측 이미지의 표면이 돌출되고 함몰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re superimposed, the degree of conformity may indicate a degre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other image protrudes and depresses from the surface of one of the images.

이때, 상기 형합도는 각 이미지의 3차원 벡터 데이터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이미지의 3차원 벡터 데이터는 동일한 좌표계로 변환될 수 있으며, 동일한 좌표계로 변환된 3차원 벡터 데이터를 통해 각 이미지의 표면의 높이 정보가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gree of conformity may be calculated through 3D vector data of each image. For example, 3D vector data of each image may be converted to the same coordinate system, and height information of the surface of each image may be expressed numerically through 3D vector data converted to the same coordinate system.

그리고, 상호 중첩된 상태의 각 이미지의 표면 높이를 비교하여 일측 이미지의 각 부분에서 타측 이미지의 표면이 어느 정도 돌출되거나 함몰되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돌출되거나 함몰된 정도가 큰 경우에 형합오차의 절대값이 크고 이는 형합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each image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how much the surface of the other image protrudes or depresses from each part of the one image. That is, when the degree of protrusion or depression is large, the absolute value of the fitting error is large, which means that the fitting degree is low.

이때, 일측 이미지의 표면보다 타측 이미지의 표면이 돌출된 경우 형합오차는 양수 값을 가지며, 일측 이미지의 표면보다 타측 이미지의 표면이 함몰될 경우 형합오차는 음수 값을 가지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surface of the other image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one image, the molding error has a positive value, and if the surface of the other image is depressed than the surface of the one image, the molding error has a negative value.

그리고, 상기 디피런스 맵은 상기 각 이미지를 중첩하여 형성되며, 각 픽셀에 형합도가 표현된다. 즉, 상기 디피런스 맵은 상기 3차원 이미지의 정보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각 픽셀에 중첩된 각 이미지 사이의 형합도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ce map is formed by overlapping each of the images, and a degree of conformity is expressed in each pixel. That is, the difference map includes both information on the 3D image and information 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nd indicates a degree of conformity between each image superimposed on each pixel.

이때, 상기 디피런스 맵의 각 픽셀에 표시된 형합도를 높이는 영상정합을 수행하고, 영상정합이 완료되면 상기 형합도가 표시된 레이어를 제거하여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image matching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matching degree displayed on each pixel of the difference map, and when the image matching is completed, the layer marked with the matching degree is removed to include information on both a 3D image and a 3D external shape image. A 3D procedure guide image can be obtained.

그리고,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임플란트 시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스탠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등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보철물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stent for guiding an implant procedure may be manufactured through the obtained 3D procedure guide image, and a prosthesis required for an implant procedure such as an abutment and a crown may be manufactured.

이때, 상기 디피런스 맵을 통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의 획득은 디지털화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acquisition of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through the difference map may be performed by a computer-based simulation program using the digitized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치아 교합, 외형 등의 시술 완료시 보철 결과를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 획득과 연계하여 예측할 수 있으므로 예측 결과를 시술대상 환자나 당해 보철물을 제작하는 기공소 등과 공유하여 한층 완성도 높은 임플란트 시술을 제공할 수 있다. And, through the simulation program, the prosthesis result can be predicted by linking with the acquisition of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when the procedure such as tooth occlusion and appearance is completed, so that the prediction result is shared with the patient to be treated or the laboratory that manufactures the prosthesis to achieve a higher level of completion. Implant procedures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한층 정밀한 시술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므로, 천공 형성, 픽스츄어 식립, 어버트먼트 제작 및 식립, 크라운 제작 및 식립 등 임플란트 시술단계마다 별도의 재측정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a more precise procedure plan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a separate re-measurement process is required for each implant procedure step such as hole formation, fixture placement, abutment fabrication and placement, crown fabrication and placement. It doesn't work.

이에 따라, 가이드 스탠트 제작과 함께 후속 시술에 요구되는 다양한 보철물이 제조될 수 있어 환자의 내원 횟수 및 시술 소요 기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진단 및 시술계획 수립 후 한번의 시술로 픽스츄어 식립과 어버트먼트/크라운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원데이 임플란트의 기반 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various prostheses required for follow-up procedures can be manufactured along with the manufacture of the guide stand, so that the number of visits and the duration of the procedur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t can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for a one-day implant that can complete the installation of the abutment/crown.

또한, 상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예측된 보철 결과 등은 CAD/CAM 제조장비 등과 호환되는 데이터로 형성되어 간단한 보철물의 경우 보철 결과 산출과 함께 상기 제조장비에서 즉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sthesis result predicted by the simulation program is formed as data compatible with CAD/CAM manufacturing equipment, etc., so that simple prostheses can be produced immediately in the manufacturing equipment together with the prosthetic result calculation.

그리고,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기설정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대응하여 결합홀이 형성된 스탠트 몸체를 제조한다.In addition, whe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s obtained, a stent body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mplant plac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obtained 3D procedure guide image is manufactured.

여기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는 피시술자의 치아 배열 및 결손 위치, 치아가 결합된 치조골의 형태 및 골밀도, 치조골과 치근을 덮고 있는 잇몸이 형태가 상세하게 나타날 수 있다. Here, i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the teeth arrangement and defect location of the person to be treated, the shape and bone density of the alveolar bone to which the teeth are combined, and the shape of the gum covering the alveolar bone and the root may be shown in detail.

이에 따라, 시술자는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치아 결손 위치에 대해 가시 가능한 외부 형상과 이에 대응되는 내부 조직을 포함하는 상세하고 세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obtain detailed and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 visible external shape and an internal tissue corresponding thereto for a location of a tooth defect requiring an implant procedure.

즉, 상기 시술자는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치조골의 형태와 골밀도에 따라 천공의 형성 방향과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or may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fixture is to be placed at the implant placement position, and may determine the direction and depth of the perforation according to the shape and bone density of the alveolar bone.

물론, 이러한 임플란트 진단 및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는 전술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천공의 방향과 깊이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픽스츄어 식립시 결합력, 저작시 요구되는 압력을 픽스츄어나 치조골이 견딜 수 있는지 여부 등 임플란트 시술과 관련된 제반 정보를 계산하여 시술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simulation system may be used for such implant diagnosis and implant procedure planning. At this time, the simulation system calculates 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mplant procedure, such as whether the fixture or alveolar bone can withstand the pressure required for mastication, and the bonding force at the time of fixture placement th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depth of the perforation, to the operator. Can provide.

이때, 상기 스탠트 몸체의 내부 프로파일은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나타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외형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의 구강 내 삽입시 상호 간의 프로파일이 합치됨에 따라 상기 피시술자의 치아에 형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ternal profile of the stent body may be formed as an external profil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shown i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t can be combined by being attached to.

그리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스탠트 몸체(10)가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공이 형성될 위치에 배치되고, 천공의 방향에 따라 상기 관통홀(11)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트 몸체(10)는 상기 천공의 깊이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관통홀 주변의 두께, 형태 등 외부 프로파일이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upling hole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perforation is to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stent body 10 is coupled into the oral cavity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the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11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erfora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nt body 10 has an external profile such as a thickness and a shape around the through hole to guide the depth of the perforation.

여기서, 상기 스탠트 몸체(10)는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디자인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의 입력시 상기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외형이 삽입될 수 있는 스탠트 몸체(10)의 내면 프로파일을 산출할 수 있다. Here, the stent body 10 may be designed based o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For example, whe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s input, the simulation system may calculate an inner profile of the stent body 10 into which the external shap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can be inserted.

그리고, 시술자의 입력이나 내부 알고리즘에 의해 결합홀의 위치, 방향 등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트 몸체(10)의 외부 프로파일은 시술 중 치아를 보호하는 두께를 갖되 상기 내부 프로파일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홀(11) 주변의 외부 프로파일은 드릴을 지지하거나 드릴의 깊이를 가이드할 수 있는 두께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coupling hole may be calculated by the operator's input or an internal algorithm. In addition, the outer profile of the stent body 10 has a thickness that protects teeth during the procedure, but may be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inner profile, and the outer profile around the coupling hole 11 supports a drill or drills. It may be provided in a thickness or shape that can guide the depth of the.

이때, 산출된 결과에 따라 상기 스탠트 몸체(10)의 디자인이 결정되면, 디자인의 3차원 외형에 대한 좌표나 이미지 등의 정보를 제조장비에 입력하여 상기 스탠트 몸체(10)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조장비는 정밀 CNC 가공장치나 3D 프린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된 3차원 좌표나 3차원 영상정보에 대응되는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design of the stent body 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the stent body 10 can be manufactured by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coordinates or images for the three-dimensional appearance of the design into the manufacturing equipment. have. Here, the manufacturing equipment may be provided with a precision CNC processing device or a 3D printer, and a finished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3D coordinates or 3D image information may be produced.

한편, 3차원 시술 가이드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20)는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공통부분을 비교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중첩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서 상기 각 비교영역의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obtaining a 3D procedure guide image (s20) includes setting a common portion of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s a comparison area, and the overlapped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orrecting each image so that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outermost portion of each comparison region in the image coincide with each other.

여기서, 중첩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중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보정하여 상기 비교영역의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correct the 3D external shape image based on the 3D image among the overlapped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to match the uppermost end and the outermost part of the comparison area.

상세히, 상기 3차원 이미지는 CT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방사선 단층사진을 조합하여 치아의 치관 및 치근, 치조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In detail, the 3D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a CT 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crown, roots, and alveolar bone of a tooth is included by combining a radiographic tomography image.

또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구강 스캐너를 통해 획득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내의 치주조직을 따라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고 조합하여 치아의 치관 및 잇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obtained through an oral scanner, and the scan image is acquired along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combined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crown and gums of the teeth.

이처럼,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치아의 치관에 대해 공통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할 수 있다. As such,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nclude common information on the crown of a tooth, and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image matched based on this information.

이때, 각 이미지의 공통부분인 치관을 나타낸 부분을 비교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이미지에서 공통부분을 산출하고 비교영역을 설정하는 작업은 이미지 처리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시술자가 수동으로 비교영역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 portion representing the crown, which is a common portion of each image, may be set as a comparison area.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common part in each image and setting the comparison area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operator may manually set the comparison area.

한편,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오랄 스캔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오랄 스캔은 구강 스캐너 등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피시술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구치(어금니)의 협면(뺨쪽), 전치(송곳니 및 앞니)의 순면(입술쪽)을 따라 스캐닝하고, 피시술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벌어진 상태에서 치아의 절단면을 따라 스캐닝하게 된다.Meanwhile,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obtained by an oral scan. At this time, the oral scan is performed using an oral scanner, etc., and scanning along the buccal surface (cheek side) of the posterior (molar) and the labial surface (lip side) of the anterior teeth (canine and incisors) wit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being closed. , Scanning is performed along the cut surface of the tooth with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erson being treated open.

그리고, 스캐닝된 영상 정보는 구강 스캐너의 영상 정보처리장치 내에서 결합되어 치아의 치관과 잇몸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을 담고 있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anned image information may be combined in the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f the oral scanner and combined into a 3D external shape image contain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rown and gums of the teeth.

여기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서 이동되는 구강 스캐너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영된 영상 정보를 결합하여 획득되므로 결합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치열의 곡률은 실제 치주조직과 왜곡되어 나타날 수 있다.Here,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s obtained by combining image information continuously photographed by an oral scanner that moves in the oral cavity of the person to be treated, so the curvature of the dentition appearing in the combined 3D external shape image is distorted with the actual periodontal tissue. Can appear.

즉,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서 전치에서 구치측으로 갈수록 실제 치주조직의 치열 곡률보다 더 벌어진 형상이거나 상하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치열 곡률의 왜곡은 스캔된 이미지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s the anterior tooth goes toward the posterior tooth, the shape may have a shape that is wider than the curvature of the teeth of the actual periodontal tissue or has a shape that is curved vertically. Such distortion of the curvature of the teet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scanned images.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서 각 치아의 폭, 부피 등의 정보는 실제 치주조직의 정보를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으므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정확한 치열 곡률로 보정하고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로 결합하여 정확한 영상 정합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width and volume of each tooth i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ccurately represents the actual periodontal tissue informati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s corrected to an accurate dental curvature and combined into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image matching result.

여기서, 상기 각 이미지는 중첩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에서 상기 비교영역의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보정하여 정합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images may be matched by correcting so that the uppermost end and the outermost part of the comparison area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overlapped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그리고,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중 상기 3차원 이미지에서 나타난 치열 곡률을 기준으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열 곡률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제 치주조직의 치열 곡률과 합치되는 정합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correct the dentition curvature o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based on the dentition curvature shown in the 3D image among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which matches the dentition curvature of the actual periodontal tissue. Matching results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관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가 상기 3차원 이미지의 치관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와 일치되도록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수직 혹은 수평 이동하여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열 곡률이 보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s vertically or horizontally moved so that the crown top an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coincide with the crown top and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3D image. Dental curvature can be corrected.

여기서, 여기서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수직 및 수평 이동은 3차원 랜더링 기법에 의해 치열을 따라 배열된 이미지의 각 단면이 이동되며 각 단면 사이의 보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o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performed by moving each section of the image arranged along the teeth by a 3D rendering technique and interpolating between the sections.

이처럼, 구강 내에 영상 정합 기준점이 표시된 별도의 구강 삽입물을 삽입하지 않더라도 각 이미지의 정보를 종합하여 상기 3차원 기술 가이드 이미지로 영상 정합할 수 있으므로, 상기 트레이에 의해 치주조직의 일부가 가려지지 않고 정확하고 세밀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으며, 가려진 치주조직에 대한 추가 이미지 획득하여 보상하는 단계가 제거되어 이미지 처리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even without inserting a separate oral insert with the image registration reference point displayed in the oral cavity, information of each image can be combined and image registered with the 3D technology guide image, so that a part of the periodontal tissue is not covered by the tray and is accurate. And, a detailed image can be obtained, and the step of compensating by obtaining an additional image of the occluded periodontal tissue can be eliminated, so that the imag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비교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은 각 이미지 사이의 형합도를 색상별로 분해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영역 내에 기설정된 형합도 이하인 부분을 오차영역으로 지정하여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setting the comparison region preferably includes the step of decomposing and outputting the matching degree between each image by color, and the step of designating and receiving a portion of the comparison region having a matching degree or less as an error region.

여기서, 상기 디피런스 맵의 각 픽셀에는 각 픽셀 내에 중첩된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사이의 형합도가 표시되며, 상기 형합도는 각 픽셀마다 중첩된 각 이미지 사이의 형합 오차로 표시될 수 있다.Here, a matching degree between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superimposed within each pixel is displayed on each pixel of the difference map, and the matching degree is a matching error between each image superimposed for each pixel. Can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디피런스 맵의 각 픽셀에는 각 이미지 간의 형합오차를 색상으로 표시하여 시술자가 영상 정합 과정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 정합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by displaying the matching error between each image in color on each pixel of the difference map,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the image matching process, and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accuracy of the image matching result.

이를 통해, 시술자는 영상 정합 후에도 임플란트 시술시 중요한 부분이 정확하게 정합되었는지 용이하게 판단가능하며, 임플란트 시술의 필수적으로 정합되어야 하는 부분이 정합되지 않았다면 재정합을 수행하거나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 더욱 정밀한 정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actition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important parts are correctly matched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even after image registration, and if the parts that need to be matched in the implant procedure are not matched, re-alignment or correction work can be performed to achieve more precise registration images. Can be obtained.

그리고, 기설정된 형합도 이하인 부분은 일정 이상의 형합 오차가 나타난 부분을 의미하며, 임플란트 시술시 완성도에 큰 영향을 주는 부분이나 시술과정에서 보상되기 힘든 큰 오차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ortion less than a preset joint degree refers to a region in which a joint error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appears, and it is preferable to be understood as a part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leteness during an implant procedure or a part that exhibits a large error that is difficult to compensate during the procedure.

이에 따라, 전체 디피런스 맵을 한번에 연산하여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보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술자가 색상별로 분해되어 출력되는 형합도를 통해 정합 결과에 대한 정확성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고, 임플란트 시술시 주요부에 대한 즉각적인 정확성 판단을 통해 디피런스 맵 내에서 오차가 큰 영역을 설정하여 설정된 영역 내에서만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신속한 이미지 연산처리가 가능하다. Accordingly, rather than correcting the 3D external shape image by calculating the entire difference map at once, the operator intuitively judges the accuracy of the matching result through the matching degree that is decomposed and output by color, and is the main part of the implant procedure. By immediately determining the accuracy of, a region with a large error is set in the difference map, and correction is performed only within the set region, thereby enabling rapid image processing.

영상 정합 방법에 대한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영역의 범위 내에 상기 디피런스 맵을 치열 곡선을 따라 복수개의 단면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단면에서 상기 각 비교영역의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가 상호 일치되도록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상하 및 좌우로 평행이동하여 상기 치열 곡선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Looking at an example of the image matching method, the step of correcting the 3D external shape image includes dividing the difference map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long a dental curve within the range of the error region, and the divided ang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correcting the tooth row curve by moving the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in parallel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 uppermost end and the outermost part of each comparison area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cross section.

이때, 상기 치열 곡선이란, 각 이미지에서 비교영역으로 설정된 치관의 영상을 대표하는 곡선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각 치아의 중심점을 대표점으로 설정하면, 상기 대표점을 따라 U자형의 치열 곡선을 그릴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ntition curve means a curve representing an image of a crown set as a comparison region in each image. For example, if the center point of each tooth is set as a representative point, a U-shaped dentition curve can be drawn along the representative point.

여기서, 상기 치열 곡선을 기준으로 치관, 잇몸의 정보를 3차원으로 복원하면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상기 치열 곡선을 기준으로 치관, 치근, 치조골의 정보를 3차원 복원하면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Her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rown and the gum is restored in 3D based on the dental curve, a 3D external shape image is obtained, and when the information on the crown, root, and alveolar bone is restored based on the dental curve in 3D, a 3D image can be obtained. I can.

그리고, 각 치열 곡선을 정렬하여 치관, 잇몸, 치근, 치조골의 모든 정보를 복원하면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And, by aligning each dental curve and restoring all information on the crown, gums, roots, and alveolar bones, a 3D procedure guide image can be obtained.

즉, 각 이미지에 나타난 각 치아의 치관 대표점을 연결하여 치열 곡선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각 이미지에 나타난 치관의 최상단부 및 최외곽부를 상호 일치시켜 상기 각 이미지의 치관 대표점이 일치될 수 있으며, 상기 대표점을 연결한 치열 곡선이 보정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represent a dental curve by connecting the representative crown points of each tooth shown in each image, and the crown representative points of each image may be matched by matching the uppermost end and the outermost part of the crown shown in each image, The dentition curve connecting the representative points may be corrected.

그리고, 보정된 치열 곡선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 및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고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3D image and the 3D external shape image may be image-matched through the corrected dental curve, and a 3D procedure guide image may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오차영역 내의 상기 디피런스 맵은 치열 곡선 내의 한점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면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열 곡선 상의 각 대표점마다 하나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치열 곡선을 세분화된 점으로 분할하고 각 점마다 하나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difference map in the error reg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ross sections including one point in the dental curv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one cross section for each representative point on the dentition curve,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vide the dentition curve into subdivided points and form one cross section for each point.

이때, 각 단면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 상의 치관 및 치근, 치조골의 형상 정보와 함께,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상의 치관 및 잇몸의 형상 정보가 나타나게 된다. At this time, in each cross section, shape information of the crown, roots, and alveolar bone on the 3D image and shape information of the crown and gums on the 3D external shape image are displayed.

그리고, 상기 3차원 이미지 상의 치관에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관이 일치되도록 평행이동하여 상기 치열 곡선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 상의 치관 최상단부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관 최상단부가 일치되도록 상기 각 단면 상의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상하 평행이동하고, 상기 3차원 이미지 상의 치관 최외곽부와 상기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의 치관 최외곽부가 일치되도록 좌우 평행이동하여 두 이미지를 영상 정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oth curve may be corrected by moving in parallel so that the crown o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coincides with the crown on the 3D image. At this time, the 3D external shape image on each cross-section is vertically parallelly moved so that the uppermost end of the crown on the 3D image and the uppermost end of the crown of the 3D external shape image coincide, and the outermost part of the crown and the 3D image on the 3D image are aligned. The two images can be image matched by moving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so that the outermost part of the crown of the 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oincides.

물론, 상술된 영상 정합 방법은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영상 정합 기준점을 이용하여 이종의 영상을 정합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image matching method is only one example, and different types of images may be matched using an image matching reference point in various ways.

마지막으로, 획득된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기설정된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대응하여 관통홀이 형성된 스탠트 몸체를 제조하고,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결합홈부가 형성된 크라운 및 상기 결합홈부에 형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어버트먼트를 제조한다(s30). Finally, according to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a stent body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correspondence to a preset implant placement position is manufactured, and the crown and the coupling groove in which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are manufactured. To prepare an abutment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s30).

이처럼,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밀한 시술 계획 및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 스탠트를 통해 임플란트 진단 및 가이드 스탠트 제조단계에서 최종보철물을 설계하여 함께 제조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을 준비하고 보철물을 제작하는 기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번의 시술로 잇몸 제거, 픽스츄어 식립 천공 드릴링, 픽스츄어 식립 및 어버트먼트/크라운 설치를 완료할 수 있는 기반기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nal prosthesis can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together at the stage of implant diagnosis and guide stent manufacturing through a precise procedure plan and guide stent that guides it using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so prepare for implant surgery and manufacture the prosthesi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eriod of operat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se technology device that can complete the removal of the gums,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drilling the drilling, the placement of the fixture,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butment/crown with a single procedure.

한편, 상기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결손 치아를 진단하고, 오랄 스캔과 CT 촬영을 통해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 및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한다. Meanwhile, an implant procedure using the dental implant placement set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perator diagnoses the defective tooth in the oral cavity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nd acquires a 3D external shape image and a 3D image through an oral scan and a CT scan.

그리고, 획득된 각 이미지를 영상정합하여 3차원 시술 가이드를 획득하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통해 상세한 시술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예를 들면, 치조골의 분포나 결손치아의 종류에 따라 천공의 방향, 깊이, 직경을 설정하고, 천공에 식립될 픽스츄어를 선택하게 된다. Then, each acquired image is image-matched to obtain a 3D procedure guide, and a detailed procedure plan is established through a simulation system. For example, the direction, depth, and diameter of the perforation are se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alveolar bone or the type of the missing tooth, and a fixture to be placed in the perforation is selected.

그리고, 수립된 시술계획에 따라, 천공 형성을 안내하는 가이드 스탠트를 디자인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스탠트는 픽스츄어의 식립각도를 안내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각도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결합될 크라운을 디자인하게 된다. The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treatment plan, a guide stance that guides the formation of the perforation is designed. At this time, the guide st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that guides the mounting angle of the fixture, and an abutment coupled to the fixture and a crown to be coupled to the abutment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mounting angle of the fixture. .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스탠트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가 제조되면, 상기 가이드 스탠트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실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uide stand, crown, and abutment are manufactured, an implant procedure may be performed using the guide stand.

먼저, 상기 가이드 스탠트를 피시술자의 구강 내에 고정시킨 후 가이드홀의 안내에 따라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천공에 픽스츄어가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시 임플란트 커넥터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를 상기 가이드돌기부와 정렬시켜 삽입할 수 있다. First, after fixing the guide stent in the oral cavity of the person to be treated, a perforation is formed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hole. At this time, the fixture may be inserted into the formed hole, and when inserted, the fixture may be aligned with the guide protrusion through an implant connector and inserted.

그리고, 픽스츄어가 삽입되면, 기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어버트먼트의 고정 후 상기 크라운을 결합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될 수 있다. And, when the fixture is inserted, a pre-manufactured abutment is inserted and fixed. After fixing the abutment, the implant may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crown.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돌기와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부는 일정한 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어버트먼트가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된 각도에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됨에 따라 기설계된 배치각도로 상기 크라운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abutment and the coupling groove of the crown are provided to be inserted only in a certain direction, so that the abutment is aligned in a certain direction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fixture is placed, and the abutment and the As the crowns are align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crowns may be combined at a pre-designed arrangement angle.

물론, 상기 어버트먼트의 결합돌기 및 상기 크라운의 결합홈부는 기설정된 방향으로만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abutment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of the crown may be provided in a polygonal shape so as to be fitted and inserted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처럼, 픽스츄어의 식립각도에 맞는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시간 동안에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픽스츄어의 헥사홀이 잇몸의 회복으로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식립할 필요 없이 최초 설계된 치아 복원 계획에 따라 기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식립할 수 있으므로 시술 단계가 간소화될 수 있으며 피시술자의 내원횟수가 감소되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designed tooth without the need to place a healing abutment that prevents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from being clogged due to the recovery of the gums, as it is manufactured to a certain standard during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crown and abutment suitable for the implantation angle of the fixture. Since a pre-manufactured abutment can be placed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lan, the proced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visits by the person to be treated can be reduced,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improved.

즉, CT 촬영과 오랄 스캔을 통해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가 획득되는 시점에서 가이드 스탠트를 제작함과 동시에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를 제작하여 시술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can be drastically reduced by manufacturing the crown and the abutment at the same time as the guide stance at the time when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is acquired through CT scan and oral scan.

물론, 어버트먼트의 고정 후에 최종 크라운을 바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상기 어버트먼트와 3도 이내의 공차로 결합될 수 있는 임시 크라운을 구비하여, 임시 크라운과 상기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3일 정도의 대기 시간을 거친 후 별도의 스캐닝을 통해 시술 경과를 확인한 후 최종 크라운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final crown may be directly coupled after the abutment is fixed, but by providing a temporary crown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abutment with a tolerance of 3 degrees or less, combining the temporary crown and the abutment, 3 After waiting for about one da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procedure through a separate scanning and then attach the final crown.

이에 따라, 상기 최종 크라운과 유사한 형태의 임시 크라운을 결합하여 예측된 결과와 실제 시술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층 정밀하고 완성도 높은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하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precise and highly complete implant procedu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edicted result and the actual procedure result by combining the temporary crown of the shape similar to the final crow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possible to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claim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가이드 스탠트 1: 잇몸
2: 치조골 3: 픽스츄어
3a: 헥사홀 4: 임플란트 커넥터
4a: 가이드헥사돌기 4b: 정렬면
5: 크라운 5a: 결합홈부
6: 어버트먼트 6a: 결합돌기
6b: 헥사돌기 6c: 가이드면
10: 스탠트 몸체 11: 결합홀
11a: 정렬홈부 12: 앵커홀
20: 슬리브 21: 가이드돌기부
22: 가이드홀 23: 중공형 부싱부
100: guide stent 1: gum
2: alveolar bone 3: fixture
3a: Hexahole 4: Implant connector
4a: guide hexa protrusion 4b: alignment surface
5: crown 5a: coupling groove
6: abutment 6a: coupling protrusion
6b: hexa protrusion 6c: guide surface
10: stand body 11: coupling hole
11a: alignment groove 12: anchor hole
20: sleeve 21: guide protrusion
22: guide hole 23: hollow bushing

Claims (5)

CT 촬영을 통한 피시술자의 구강 내 치주조직의 3차원 이미지 및 오랄 스캔을 통한 상기 3차원 이미지에 대응되는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영상 정합하여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설계된 크라운;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식립각도가 정렬 및 설정되도록 내부에 헥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크라운의 배치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헥사홀이 정렬되도록 식립각도가 설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크라운이 정렬되어 고정되도록 하부에 상기 헥사홀에 형합되어 고정되는 헥사돌기가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구강내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픽스츄어 식립 위치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스탠트 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되 내주에 임플란트용 드릴이 회전지지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외주 일측에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각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부가 돌설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가이드 스탠트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츄어의 정렬을 위해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기설정된 식립 가이드 각도에 정렬되어 상기 결합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며,
상기 픽스츄어의 헥사홀을 상기 가이드돌기부와 정렬시키기 위해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에는 상기 헥사돌기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외면폭은 상기 가이드면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A crown designed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procedure guide image obtained by image match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through CT scan and a three-dimensional external shap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hree-dimensional image through an oral scan;
A fixture having a hexa hole formed therein so as to align and set an grafting angle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and an grafting angle set so that the hexa hole is align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crown;
An abutment having a hex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so that the crown is aligned and fixed; And
A stent body formed in a profile set through the 3D procedure guide image and provided to wrap and fix the periodontal tissue in the oral cavity, and where a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fixture placement position, and an implant drill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on the inner periphery The rotationally supported guide hole is formed and includes a guide stand including a sleeve protruding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angle of insertion of the fixture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For alignment of the fixture, the guide protrusion is aligned to a preset insertion guide angle and fixed to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In order to align the hexa hole of the fixture with the guide protrusion, a guide surface provided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hex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butment, and the outer surfac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guide surface width. Tooth implant placement s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상기 픽스츄어 및 상기 어버트먼트의 정렬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형합되어 삽입되도록 내부에 결합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wn is a tooth implant placement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is mated and inserted when the fixture and the abutment are aligned.
삭제delete
KR1020140031435A 2014-03-18 2014-03-18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KR102246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35A KR102246985B1 (en) 2014-03-18 2014-03-18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EP15157578.4A EP2929854B1 (en) 2014-03-18 2015-03-04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4/656,769 US9585730B2 (en) 2014-03-18 2015-03-13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510117007.6A CN104921823B (en) 2014-03-18 2015-03-17 Tooth implant inserts external member and its manufacture method
TW104108550A TWI608831B (en) 2014-03-18 2015-03-18 Reference marker,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35A KR102246985B1 (en) 2014-03-18 2014-03-18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35A KR20150108535A (en) 2015-09-30
KR102246985B1 true KR102246985B1 (en) 2021-04-30

Family

ID=5424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435A KR102246985B1 (en) 2014-03-18 2014-03-18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9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32Y1 (en) * 2015-11-06 2017-01-02 주식회사 디오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KR101691977B1 (en) 2016-01-18 2017-01-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icro screw system and intraoral image file merge method using the same
KR101812484B1 (en) * 2016-10-06 2017-12-2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Image Generation System for implant Diagnosis and the same
KR102308475B1 (en) * 2019-02-28 2021-10-06 주식회사 트루어버트먼트코리아 Implant set device for sinus membrane elevation
KR102485193B1 (en) * 2019-03-12 2023-01-06 주식회사 메디트 Method for aligning digital scanbody and apparatus using thereof
WO2020185019A1 (en) * 2019-03-12 2020-09-17 주식회사 메디트 Digital scan body alignment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IT201900017159A1 (en) * 2019-09-25 2021-03-25 Luca Ortensi KIT FOR DENTAL IMPLANTOLOGY, AND RELATED DENTAL COMPONENT
KR102353970B1 (en) * 2019-12-17 2022-0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lifting sinus membran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22060017A1 (en) * 2020-09-18 2022-03-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ccuracy of implant surgery guid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488A1 (en) * 2000-12-09 2004-11-04 Young-Wook Choi Dental implant and head for a compacttion drill
KR100920727B1 (en) 2007-10-24 2009-10-07 이태경 Stent structure for an implant with an elastic materials for accurate guidanc-insertion
KR100970341B1 (en) * 2008-12-19 2010-07-15 이준호 Multi-purpose stent mp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20100255445A1 (en) 2007-10-03 2010-10-07 Bernard Gantes Assisted dental implant treatment
US20120164593A1 (en) * 2007-05-25 2012-06-28 Bavar Trevor Surgical drill guide and index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488A1 (en) * 2000-12-09 2004-11-04 Young-Wook Choi Dental implant and head for a compacttion drill
US20120164593A1 (en) * 2007-05-25 2012-06-28 Bavar Trevor Surgical drill guide and index system
US20100255445A1 (en) 2007-10-03 2010-10-07 Bernard Gantes Assisted dental implant treatment
KR100920727B1 (en) 2007-10-24 2009-10-07 이태경 Stent structure for an implant with an elastic materials for accurate guidanc-insertion
KR100970341B1 (en) * 2008-12-19 2010-07-15 이준호 Multi-purpose stent mp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35A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985B1 (en)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KR10144472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uide stent of dental implant
KR102114015B1 (en) Virtually designing a customized healing abutment
TWI608831B (en) Reference marker, dental implant insertion s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54157B1 (en) reference marker for attaching intraor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guide stent of dental implant operation using the same
KR10172670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EP2785272B1 (en) Dental preparation guide
US9308055B2 (en) Designing a dental positioning jig
KR101706335B1 (en)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f operation using surgical guide
KR101638558B1 (en) digital onebody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ing digital library
KR101631258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3D oral confirm model using digital scan body
KR10165932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abutment,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cloud system
EP2895102A1 (en) An improved virtual splint
EP2895101A1 (en) An improved surgical template
KR1016385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of dental implant using partial scan
KR101918936B1 (en) Tray-guide and Tray-guide manufacturing system
KR1015503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and crown, abutment in mouth for dental implant
KR20170057178A (en)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f operation using surgical guide
KR101767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dure Planning of Dental Implant and Surgical Guide for Procedure of Dental Implant
KR10155415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of dental implant using cloud system
KR102082917B1 (en) Dental implant procedure guide device, dental implant procedure guide devic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e the same
KR102523432B1 (en) image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ntal restoration design
KR102129526B1 (en) 3D printing connector production system for transferring occlusion information formed by 3D data to a real articulator and manufacture methods the same
EP3649984B1 (en) Digital den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and denture hole guider applied thereto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706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rgica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