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24B1 -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 Google Patents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524B1
KR102246524B1 KR1020190015206A KR20190015206A KR102246524B1 KR 102246524 B1 KR102246524 B1 KR 102246524B1 KR 1020190015206 A KR1020190015206 A KR 1020190015206A KR 20190015206 A KR20190015206 A KR 20190015206A KR 102246524 B1 KR102246524 B1 KR 10224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nursing
driving unit
us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7603A (en
Inventor
최은진
Original Assignee
최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진 filed Critical 최은진
Priority to KR102019001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524B1/en
Publication of KR2020009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47D13/083Baby feeding cushion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 쿠션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동 수유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동 수유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영유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전동 수유 의자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 상기 좌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앞 부분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영유아를 받치는 수유 쿠션;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수유 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t is a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nursing 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nursing cushion. To this end,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nursing chair for a user to sit and feed infants, and includes a seat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 backres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feeding cush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backrest and supports infants and toddler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nursing cushion; And a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connection unit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Description

전동 수유 의자{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본 발명은 수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lactation.

일반적으로, 수유는, 영유아에게 모유 또는 우유를 먹이는 일을 일컫는다. 수유 횟수는 영유아나 산모의 상태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나 신생아기에는 3기간마다 하루에 6 내지 8회, 4개월경부터는 4시간마다 하루에 5 내지 6회 정도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In general, lactation refers to the feeding of breast milk or milk to an infant. The number of feedings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infant or mother, but it is usually about 6 to 8 times a day every 3 periods in the neonatal period and 5 to 6 times a day every 4 hours from around 4 months.

이러한 수유는, 통상적으로 영유아를 산모의 무릎 위에 앉히고 산모의 팔과 손을 이용하여 영유아의 고개를 약간 뒤로 젖혀서 10 내지 15분 정도 행해진다. 이후, 영유아를 안아 영유아의 등을 두드리며 트림을 유도한다. 하지만, 수유를 위해 산모의 팔과 손을 이용하여 영유아의 머리와 몸통을 장시간 받쳐야 해서 어깨 관절이나 손목 관절에 상당한 부담이 가는 문제가 있다.Such feeding is usually performed for about 10 to 15 minutes by placing the infant on the mother's lap and tilting the infant's head slightly back using the mother's arms and hands. Then, hold the infant and tap the infant's back to induce burping.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burden is placed on the shoulder joints or wrist joints because the infant's head and body must be supported for a long time using the mother's arms and hands for lactation.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수유 쿠션은, 영유아를 산모의 무릎에 앉히기 전 산모의 무릎에 먼저 올려져 그 위해 영유아를 받치는데 사용되는 쿠션이다. 따라서, 수유 쿠션을 통해 영유아를 받치게 되므로 산모의 팔과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The nursing cushion developed to solve this problem is a cushion that is used to support infants and toddlers by placing them on the mother's knee before placing the infant on the mother's knee. Therefore, since the infant is supported through the nursing cushion, the load applied to the mother's arms and hands can be alleviated.

하지만, 기존의 수유 쿠션은, 높낮이 조절이 되지 않아 산모가 직접 무릎을 들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수유를 하거나 등을 구부리고 수유를 해야 해서 불편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 existing nursing cushion has an inconvenient problem because the height cannot be adjusted, so that the mother must directly raise or lower the knee to breast-feed or bend the back to breast-fe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유 쿠션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동 수유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nursing chair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a nursing cushion.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산모의 발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발을 받칠 수 있는 전동 수유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nursing chair that can support the foot by adjusting it to the height of the mother's foot.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유 쿠션의 위치를 복수개 기억하여 재 사용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자동 조절되는 전동 수유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nursing chair that stores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nursing cushion and automatically adjusts to a selected position when re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유아 용품의 수납이 가능한 전동 수유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nursing chair capable of storing baby produ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는, 사용자가 앉아서 영유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전동 수유 의자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 상기 좌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앞 부분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영유아를 받치는 수유 쿠션;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수유 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유 쿠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타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을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유 쿠션에 타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nursing chair for a user to sit and feed infants, and a seat for supporting a user's buttocks; A backres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feeding cush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backrest and supports infants and toddler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nursing cushion;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left and right transfer unit provided with a part of the backrest unit, a second unit provided at the connection unit, and moving the nursing cushion left and right; And an up-down position adjusting part provided with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the other part provided in the nursing cushion, and adjusting the up-and-down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삭제delete

상기 좌우 이송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등받이부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rack); 상기 랙에 기어에 의해 맞물리는 피니언(pinion); 및 상기 등받이부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좌우 이송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conveying unit may include a rack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unit and slidable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backrest unit;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by a gear; And a left and right transfer motor provided on the backrest and rotating the pinion.

상기 상하 위치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을 받치는 쿠션 지지 브라켓; 상기 수유 쿠션에 고정되는 상하 이송 너트; 상기 쿠션 지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상하 구동 모터; 및 상기 상하 구동 모터에 축 결합되며 상기 상하 이송 너트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상하 이송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osition adjustment unit, a cushion support bracke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to support the nursing cushion; Up and down transfer nuts fixed to the nursing cushion; A vertical drive motor provided on the cushion support bracket; And a vertical transfer screw shaft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vertical drive motor and fastened to the vertical transfer nut by a screw.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유 쿠션에 구비되어 상기 수유 쿠션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전후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ront-rear position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connection unit and the nursing cushion to adjust the front-rear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상기 전후 위치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전후 이송 너트; 상기 쿠션 지지 브라켓에 구비되는 전후 구동 모터; 및 상기 전후 구동 모터에 축 결합되며 상기 전후 이송 너트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전후 이송 스크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rear position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front-rear transfer nu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A front and rear drive motor provided on the cushion support bracket; And a front-rear transfer screw shaft coupled to the front-rear drive motor and fastened to the front-rear transfer nut by a screw.

상기 연결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부와 평행하게 놓이는 수평 연결봉; 상기 수평 연결봉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중간 연결봉; 및 상기 수평 연결봉에 수직한 상태로 상기 중간 연결봉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 연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평 연결봉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 연결봉에 대해 상기 중간 연결봉을 회전시키며 상기 수유 쿠션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 회전부; 및 상기 수직 연결봉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 연결봉에 대해 상기 수직 연결봉을 회전시켜 상기 수유 쿠션을 좌우 회전시키는 좌우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and a horizontal connecting rod placed in parallel with the backrest portion; An intermediate connecting rod rotatably provided on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And a vertical connecting rod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n up-down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intermediate connecting ba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rotating the feeding cushion in an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axi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a left-right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feeding cushion left and right by rotating the vertical connecting rod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vertical connecting rod.

상기 상하 회전부는, 상기 수평 연결봉 또는 상기 중간 연결봉에 구비되는 상하 회전 모터일 수 있다.The vertical rotation unit may be a vertical rotation motor provided on the horizontal connection rod or the intermediate connection rod.

상기 좌우 회전부는, 상기 중간 연결봉 또는 상기 수직 연결봉에 구비되는 좌우 회전 모터일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rotation unit may be a left and right rotation motor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or the vertical connecting ro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는, 상기 좌부의 앞부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portion that is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t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and supports the user's feet.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는, 상기 구동부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 상기 구동부의 조절값을 두 개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조절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불러오는 선택 버튼; 및 상기 조절 버튼의 입력값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선택 버튼에 따라 선택된 해당 조절값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driving unit; A memory for storing two or more adjustment values of the driving unit;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vely calling one of the adjustment values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ith an input value of the control button 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ith a corresponding adjustment valu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button.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는, 상기 좌부의 측면에 구비되며 영유아 용품이나 컵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 and accommodating an infant product or a cup.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부와, 등받이부와, 수유 쿠션과, 연결부와, 그리고 구동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좌부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구동부를 통해 수유 쿠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예를 들어, 산모)가 직접 무릎을 들거나 낮출 필요가 없고 등을 구부릴 필요가 없어 편안한 자세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유를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including a seat, a backrest, a nursing cushion, a connection, and a driving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through the driving unit while the user sits comfortably on the seat is provided.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for example, the mother) does not need to raise or lower the knee directly and does not need to bend the back, so that the breastfeeding can proceed without exerting effort in a comfortable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부를 제공하므로, 산모의 발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발을 받칠 수 있어, 키가 작더라도 까치 발을 들 필요가 없고 키가 커서 발을 오므릴 필요가 없는 등 편안한 자세로 수유를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footrest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oot by adjusting it to the height of the mother's foot. Breastfeeding can be carried out in a comfortable position, such as no need to retr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 버튼과, 메모리와, 선택 버튼과, 그리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조절 버튼의 입력값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구동부가 제어되어 수유 쿠션의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을 길게 한 번 누르면 제어부를 통해 그 정해진 구동부의 조절값이 메모리에 기억될 수 있고, 이를 반복하여 2개 이상의 조절값을 메모리에 기억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을 한 번 짧게 누르면 첫번째 조절값이 선택되어 수유 쿠션이 첫번째 조절값에 맞게 자동 조절되거나 두 번 짧게 누르면 두번째 조절값이 선택되어 수유 쿠션이 두번째 조절값에 맞게 자동 조절될 수 있는 등, 재 사용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유 쿠션의 위치가 자동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echnical configuration further including an adjustment button, a memory, a selection button, and a control unit is provided,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 butt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set, when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once for a long time, the adjusted value of the determined driving uni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two or more adjustment values are repeatedly stored in the memory. Pressing the select button once briefly selects the first adjustment valu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feeding cushion to the first adjustment value, or presses twice shortly to select the second adjustment valu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nursing cushion to the second adjustment value. During use,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ny one select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부의 측면에 영유아 용품이나 컵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더 제공하므로, 수유 중 영유아 용품을 찾기 위해 사용자가 전동 수유 의자를 벗어나지 않아도 되어, 본 발명의 전동 수유 의자의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unit for accommodating infant supplies or cups, etc.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leave the electric nursing chair to find the infant supplies during lactation, The use of the chair can be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를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구동부 위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 중 발 받침부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의 제어부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and mainly showing a driving unit.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in part of FIG. 2 cut along the line III-III.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otrest of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를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구동부 위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III-III 선으로 잘라 본 개념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n electric nur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as viewed from above and mainly showing a driving part, and FIG. 3 is a main part of FIG.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cut with the -III line.

도 4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 중 발 받침부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동 수유 의자의 제어부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ootrest of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nursing chair of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예를 들어, 산모)가 앉아서 영유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전동 수유 의자로, 좌부(110)와, 등받이부(120)와, 수유 쿠션(130)과, 연결부(140)와, 그리고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is an electric nursing chair for a user (for example, a mother) to sit and feed an infant, and the seat 110 ), and a backrest part 120, a nursing cushion 130, a connection part 140, and a driving part 15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1 to 5.

좌부(110)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좌부(1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쉬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둔부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쿠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seat 11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lthough not shown, the seat 110 may be made of a mesh material to prevent sweating, or may be made of a cushion material to comfortably support the buttocks.

등받이부(12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등받이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부(110)의 후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부 중 사용자의 요추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요추 받이가 전후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부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목을 받치는 목 받이가 전후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backrest part 12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The backrest part 12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 110 as shown in FIG. 1.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lumbar support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or up and down in a portion of the back support where the user's lumbar is locat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neckrest for supporting the user's neck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r vertically.

수유 쿠션(130)은, 영유아를 받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유 쿠션(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20)의 앞 부분에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수유 쿠션(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배를 감쌀 수 있도록 등받이부(120)를 향하는 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nursing cushion 130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infants and toddlers. Such a nursing cushion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backrest part 120, as shown in FIG. 1. Further, as shown in FIG. 1, the nursing cushion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in a portion facing the backrest part 120 so as to wrap a user's stomach.

연결부(140)는, 등받이부(120)와 수유 쿠션(13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연결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연결봉(141), 중간 연결봉(142), 그리고 수직 연결봉(1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40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120 and the nursing cushion 130. For example, the connecting part 140 may include a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an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and a vertical connecting rod 143, as shown in FIGS. 1 and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가이, 수평 연결봉(141)은 등받이부(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등받이부(120)와 평행하게 놓일 수 있고, 중간 연결봉(142)은 수평 연결봉(141)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직 연결봉(143)의 일단부는 수평 연결봉(141)에 수직한 상태로 중간 연결봉(14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수직 연결봉(143)의 타단부는 수유 쿠션(130)에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guy,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may be connected to the backrest portion 120 and may be placed in parallel with the backrest portion 120, an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is rotatable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In addition, one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rod 143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connecting rod 143 may be provided on the nursing cushion 130.

구동부(150)는, 수유 쿠션(1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에 구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0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130. The driving unit 150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unit 140 as shown in FIG. 2.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좌부(110)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구동부(150)를 통해 수유 쿠션(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예를 들어, 산모)가 직접 무릎을 들거나 낮출 필요가 없고 등을 구부릴 필요가 없어 편안한 자세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유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구동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refore, since the above components are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130 can be adjusted through the driving unit 150 while the user sits comfortably on the seat 110, so that the user (for example, a mother) can directly There is no need to raise or lower the knee, and there is no need to bend the back, so the breastfeeding can proceed without exertion in a comfortable posi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gain, the driv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구동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이송부(L10)와 상하 위치 조절부(U1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우 이송부(L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20)와 연결부(140) 사이에 구비되어 수유 쿠션(130)을 좌우 이동시킬 수 있고, 상하 위치 조절부(U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와 수유 쿠션(130)에 구비되어 수유 쿠션(1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left and right transfer unit L10 and an up/down position adjustment unit U10. As shown in FIG. 2, the left and right transfer parts L10 are provided between the backrest 120 and the connection 140 to move the nursing cushion 130 left and right, and 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part U10, As shown in FIG. 3, it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part 140 and the nursing cushion 130 to adjust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nursing cushion 130.

구체적으로, 좌우 이송부(L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rack)(L11), 피니언(pinion)(L12), 그리고 좌우 이송 모터(L13)를 포함할 수 있다. 랙(L11)은 연결부(140)의 일단부에 구비됨과 함께 등받이부(120)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피니언(L12)은 랙(L11)에 기어에 의해 맞물릴 수 있으며, 그리고 좌우 이송 모터(L13)는 등받이부(120)에 구비되어 피니언(L1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이송 모터(L13)에 의한 피니언(L12)의 회전으로 랙(L11)이 직선 이동을 하면서 수유 쿠션(130)을 일측(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는 수유 쿠션(130)의 방해 없이 편안하게 좌부(110)에 착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transfer units L10 may include a rack L11, a pinion L12, and a left and right transfer motor L13, as shown in FIG. 2. The rack (L11)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on the backrest part (120), and the pinion (L12) may be meshed with the rack (L11) by a gear, and The left and right feed motors L13 are provided on the backrest part 120 to rotate the pinion L12. Therefore, the rack L11 moves linearly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L12 by the left and right feed motors L13, and the nursing cushion 130 can be moved to one side (the right side based on FIG. 1), so that the user can breastfeed. It is possible to sit comfortably on the seat 110 without disturbing the cushion 130.

상하 위치 조절부(U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지지 브라켓(U11), 상하 이송 너트(U12), 상하 구동 모터(U13), 그리고 상하 이송 스크류 샤프트(U14)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지지 브라켓(U11)은 연결부(14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유 쿠션(130)을 받칠 수 있고, 상하 이송 너트(U12)는 수유 쿠션(1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하 구동 모터(U13)는 쿠션 지지 브라켓(U11)에 구비될 수 있고, 상하 이송 스크류 샤프트(U14)는 상하 구동 모터(U13)에 축 결합되며 상하 이송 너트(U12)에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구동 모터(U13)에 의한 상하 이송 스크류 샤프트(U14)의 회전으로 상하 이송 너트(U12)가 상하 이동을 하면서 수유 쿠션(13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unit (U10), as shown in FIG. 3, may include a cushion support bracket (U11), a vertical transfer nut (U12), a vertical drive motor (U13), and a vertical transfer screw shaft (U14). have. The cushion support bracket U11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40 and may support the nursing cushion 130, and the upper and lower transfer nuts U12 may be fixed to the nursing cushion 130. The vertical drive motor (U13) may be provided in the cushion support bracket (U11), the vertical transfer screw shaft (U14) is shaft-coupled to the vertical drive motor (U13) and can be fastened to the vertical transfer nut (U12) by a screw. have. Accordingly, the vertical transfer nut U12 moves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screw shaft U14 by the vertical drive motor U13,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130 can be adjusted.

이와 더불어, 구동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위치 조절부(F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후 위치 조절부(F10)는 연결부(140)와 수유 쿠션(130)에 구비되어 수유 쿠션(13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ing unit F10, as shown in FIG. 3.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unit F1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unit 140 and the nursing cushion 130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nursing cushion 130.

예를 들어, 전후 위치 조절부(F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이송 너트(F11), 전후 구동 모터(F12), 그리고 전후 이송 스크류 샤프트(F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 이송 너트(F11)는 연결부(140)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전후 구동 모터(F12)는 쿠션 지지 브라켓(U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후 이송 스크류 샤프트(F13)는 전후 구동 모터(F12)에 축 결합되며 전후 이송 너트(F11)에 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구동 모터(F12)에 의한 전후 이송 스크류 샤프트(F13)의 회전으로 전후 이송 너트(F11)가 전후 이동을 하면서 수유 쿠션(13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rear position adjusting part F10 may include a front-rear transfer nut F11, a front-rear drive motor F12, and a front-rear transfer screw shaft F13, as shown in FIG. 3. The front and rear transfer nut F11 may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140, the front and rear drive motor F12 may be provided on the cushion support bracket U11, and the front and rear transfer screw shaft F13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I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tor F12 and can be fastened to the front and rear transfer nut F11 by screws.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transfer nut F11 moves back and forth by rotation of the front and rear transfer screw shaft F13 by the front and rear drive motor F12,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nursing cushion 130 can be adjusted.

이와 더불어, 구동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회전부(156) 및 좌우 회전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하 회전부(156)는 수평 연결봉(141)의 축을 기준으로 수평 연결봉(141)에 대해 중간 연결봉(142)을 회전시키며 수유 쿠션(13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회전부(156)는 수평 연결봉(141)(또는 중간 연결봉)에 구비되는 상하 회전 모터일 수 있다. 좌우 회전부(157)는 수직 연결봉(143)의 축을 기준으로 중간 연결봉(142)(또는 수직 연결봉)에 대해 수직 연결봉(143)을 회전시켜 수유 쿠션(130)을 좌우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회전부(157)는 중간 연결봉(142)에 구비되는 좌우 회전 모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rotation unit 156 and a left and right rotation unit 157 as shown in FIG. 2. The vertical rotation unit 156 may rotate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and rotate the feeding cushion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vertical rotation unit 156 may be a vertical rotation motor provided on the horizontal connecting rod 141 (o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The left and right rotation unit 157 may rotate the vertical connecting rod 143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or vertical connecting rod)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vertical connecting rod 143 to rotate the nursing cushion 130 left and right. For example, the left and right rotation unit 157 may be a left and right rotation motor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1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받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 받침부(160)는 좌부(110)의 앞부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을 받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ootrest 160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footrest unit 160 may be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t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110 and may support the user's feet.

따라서, 산모의 발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발을 받칠 수 있어, 키가 작더라도 까치 발을 들 필요가 없고 키가 커서 발을 오므릴 필요가 없는 등 편안한 자세로 발을 발 받침부(160)에 올려 놓고 수유를 진행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foot by adjusting it to the height of the mother's foot, so that even if the height is small, there is no need to lift the claw foot, and the foot is in a comfortable position, such as no need to close the foot due to the large height. Put it on and you can proceed with lactation.

예를 들어, 발 받침부(160)는,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발 받침대(161)와, 발 받침대(161)에 고정되는 발 높이 조절 너트(162)와, 좌부(110)에 구비되는 발 높이 조절 모터(163)와, 그리고 발 높이 조절 모터(163)에 축 결합되며 발 높이 조절 너트(162)에 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발 높이 조절 스크류 샤프트(1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 높이 조절 모터(163)에 의한 발 높이 조절 스크류 샤프트(164)의 회전으로 발 높이 조절 너트(162)가 상하 이동을 하면서 발 받침대(161)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otrest unit 160 includes a footrest 161 on which the user's foot is raised, a foot height adjustment nut 162 fixed to the footrest 161, and a foot height provided on the seat 110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motor 163 and a foot height adjustment screw shaft 164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foot height adjustment motor 163 and is fastened to the foot height adjustment nut 162 by a screw. Accordingly, by rotating the foot height adjusting screw shaft 164 by the foot height adjusting motor 163, the foot height adjusting nut 162 moves up and down, and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foot rest 161 can be adjust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0)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171)과, 구동부(150)의 조절값을 두 개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172)와. 메모리(172)에 저장된 조절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불러오는 선택 버튼(173)과, 그리고 조절 버튼(171)의 입력값으로 구동부(150)를 제어하거나 선택 버튼(173)에 따라 선택된 해당 조절값으로 구동부(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5, the adjustment button 171 for adjusting the driving unit 150, and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150 A memory 172 that stores two or more values. A selection button 173 that selectively loads one of the adjustment values stored in the memory 172, and a corresponding adjustment valu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button 173 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50 with an input value of the adjustment button 171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74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150.

따라서, 조절 버튼(171)의 입력값에 따라 제어부(174)를 통해 구동부(150)가 제어되어 수유 쿠션(130)의 위치가 정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173)을 길게 한 번 누르면 제어부(174)를 통해 그 정해진 구동부(150)의 조절값이 메모리(172)에 기억될 수 있고, 이를 반복하여 2개 이상의 조절값을 메모리(172)에 기억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 버튼(173)을 한 번 짧게 누르면 첫번째 조절값이 선택되어 수유 쿠션(130)이 첫번째 조절값에 맞게 자동 조절되거나 두 번 짧게 누르면 두번째 조절값이 선택되어 수유 쿠션(130)이 두번째 조절값에 맞게 자동 조절될 수 있는 등, 재 사용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수유 쿠션(130)의 위치가 자동 조절될 수 있다.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150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74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of the control button 171 and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130 is determined, the user presses the selection button 173 once for a long time, and the control unit Through 174, the predetermined adjustment value of the driving unit 15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2, and the user may select the selection button 173 in a state in which two or more adjustment values are stored in the memory 172 by repeating this. Pressing) once briefly selects the first adjustment valu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nursing cushion 130 to the first adjustment value, or presses twice shortly to select the second adjustment value and automatically adjusts the nursing cushion 130 to the second adjustment value.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130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t any one selected position when reused, such as that which can be used.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수유 의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부(110)의 측면에 구비되며 영유아 용품이나 컵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는 수건 등의 영유아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덮개 달린 수납함(181)과, 컵을 거치하기 위한 컵 홀더(182)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at 110 and accommodates an infant product or a cup, etc. )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covered storage box 181 for storing baby products such as towels, and a cup holder 182 for mounting a cup.

따라서, 수유 중 영유아 용품 등을 찾기 위해 사용자가 전동 수유 의자(100)를 벗어나지 않아도 되어, 본 발명의 전동 수유 의자(100)의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does not have to leave 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to find infant supplies during lactation, and the electric nursing chai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of

100: 전동 수유 의자 110: 좌부
120: 등받이부 130: 수유 쿠션
140: 연결부 141: 수평 연결봉
142: 중간 연결봉 142: 수직 연결봉
150: 구동부 L10: 좌우 이송부
U10: 상하 위치 조절부 F10: 전후 위치 조절부
156: 상하 회전부 157: 좌우 회전부
160: 발 받침부 171: 조절 버튼
172: 메모리 173: 선택 버튼
174: 제어부 180: 수납부
100: electric nursing chair 110: seat
120: backrest 130: nursing cushion
140: connection part 141: horizontal connection rod
142: intermediate connecting rod 142: vertical connecting rod
150: driving unit L10: left and right conveying unit
U10: Up and down position adjustment unit F10: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unit
156: up and down rotation part 157: left and right rotation
160: footrest 171: adjustment button
172: memory 173: select button
174: control unit 180: storage unit

Claims (3)

사용자가 앉아서 영유아에게 수유하기 위한 전동 수유 의자로,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부;
상기 좌부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앞 부분에 이격되어 위치되며 영유아를 받치는 수유 쿠션;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수유 쿠션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유 쿠션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타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을 좌우 이동시키는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유 쿠션에 타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유 쿠션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 위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전동 수유 의자.
It is an electric nursing chair for the user to sit and feed the infant,
A seat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 backrest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at and supporting the user's back;
A feeding cush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backrest and supports infants and toddler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backrest part and the nursing cushion; And
A driving unit tha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Including,
The driving unit,
A left and right transfer part provided with a part of the backrest part, the other part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moving the nursing cushion left and right; And
A vertical position control unit provided with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the other part provided on the nursing cushion, and adjust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nursing cushion;
Including
Electric nursing chair.
제1항에서,
상기 전동 수유 의자는,
상기 좌부의 앞부분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을 받치는 발 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전동 수유 의자.
In claim 1,
The electric nursing chair,
A footrest part provid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t the front part of the seat and supporting the user's feet
Further comprising
Electric nursing chair.
제1항에서,
상기 전동 수유 의자는,
상기 구동부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
상기 구동부의 조절값을 두 개 이상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조절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불러오는 선택 버튼; 및
상기 조절 버튼의 입력값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선택 버튼에 따라 선택된 해당 조절값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동 수유 의자.
In claim 1,
The electric nursing chair,
An adjustment button for adjusting the driving unit;
A memory for storing two or more adjustment values of the driving unit;
A selection button for selectively calling one of the adjustment values stored in the memor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ith an input value of the control button 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ith a corresponding adjustment value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button;
Including
Electric nursing chair.
KR1020190015206A 2019-02-08 2019-02-08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KR102246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06A KR102246524B1 (en) 2019-02-08 2019-02-08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06A KR102246524B1 (en) 2019-02-08 2019-02-08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03A KR20200097603A (en) 2020-08-19
KR102246524B1 true KR102246524B1 (en) 2021-04-29

Family

ID=7229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206A KR102246524B1 (en) 2019-02-08 2019-02-08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5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0917B2 (en) * 2020-01-27 2022-05-17 Marissa Nichols Nursing chair having an adjustable ar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850A1 (en) * 2005-07-23 2007-02-08 Chi-Nan Weng Breastfeeding chair
KR101491741B1 (en) 2014-03-26 2015-02-10 김휘욱 nursing for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966A (en) * 2006-06-10 2007-12-13 박인송 Automatic adjusting system of head restraint
KR20110084812A (en) * 2010-01-18 2011-07-26 박재진 Nursing 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850A1 (en) * 2005-07-23 2007-02-08 Chi-Nan Weng Breastfeeding chair
KR101491741B1 (en) 2014-03-26 2015-02-10 김휘욱 nursing for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603A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24421A (en) Supporting stand for infants
US3477761A (en) Dental chair headrest
US11672349B2 (en) Chair for supporting a person who is feeding a baby
US20070067908A1 (en) Support for baby
US4125269A (en) Recliner-rocker geriatric wheel chair
KR102246524B1 (en) Electrically powered chair for breast-feeding or bottle-feeding
EP4051333A1 (en) Breast pumping system
CN111481398A (en) Leg intraoperative positioning device for surgical treatment
KR101491741B1 (en) nursing for chair
CN107374850B (en) Multifunctional nursing bed chair
WO2009044422A1 (en) Nursing chair
JP3201286U (en) Baby feeding chair with crib
CN211130450U (en) Auxiliary support for nursing of lying-in woman
CN108294515A (en) A kind of seat of double acting power drive
CN108451228A (en) A kind of breast-feeding chair preventing lumbago
CN111329639B (en) Seat is corrected to hemiplegia patient position of sitting
GB2577674A (en) Improvements in baby feeding or nursing pillows
CN213046147U (en) Electric nursing chair
AU2016269414A1 (en) Apparatus, Chair and Associated Method for Breastfeeding
CN213697588U (en) Fixed sickbed for orthopedic spinal trauma
CN220256136U (en) Electric cradle chair
CN215382763U (en) Pregnant woman lactation device for supporting baby after caesarean section
CN217285204U (en) Nursing chair
CN216822404U (en) Nursing chair
CN210930406U (en) Multifunctional nurs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